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거유형에 따른 아동의 장소성 형성에 관한 연구

        김은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is to see which places are recognized as significant or reluctant for children in their resident environmental space, which seems to become poor for children in their everyday activities, and to examine what has caused such formation of placeness of children. To pursue these aims, this study first consider some conceptual contexts of place and placeness and residential life of children. And then this study conducts questionary survey, to children in the sixth grade of 3 primary schools in Jisandong Soosunggu Daegu, especially dividing and comparing two groups of children who live in independent houses and row houses, and those who live in apartment complex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classified questions for child’s cognition about his resident environment physical factor, behavioral factor and psychological factor, and compared children in apartment from children in independent and row houses. As a result, only between physical and behavioral factor are statistically different, but not in psychological factor. That is, by the function that residence should be, child, regardless of the resident type, had the same feelings psychologically to their resident space. Also, children showed that they responded positively in all items and most of them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resident environment. Second, the village center of which children cognized, regardless of resident type, was responded all highly the school, we could see that the center for children was cognized the place, centralized by their activities rather than the real point of visual, symbolical and scale side. Also, the distance to the center showed to be very near to their resident place. Third, the past children, as they actively used an alley even a distant place like a natural environment, were good at their social, geographical accessibility to the distant places, different from now, diverse outdoor places showed generally even applying frequency. But the favorite place for actual children, different from the past, was responded downtown factor near to their houses, we could see that the meaning of downtown like a place for children who live in cities become very high. Besides, their favorite place responded corresponded to positive environmental factor, but also such negative environmental factor as traffic and harmful factor if they provide them with the resource to play with be their favorite place, while though the place corresponds to the positive environmental factor if the environment isn’t agreeable or funny children cognized there to be averse place. That is, the preference of place for child showed to be different not only its physical environment but also his contribution of importance of which child himself does by his actions in the place. Children cognize much the place they frequent within their resident environment or the environment they have been given some of visual stimulus, conscious or unconsciously showed resident environment have a lot of effect on children’s formation of placeness. In the dramatic process of urbanization so far, the effort to make image, apt to separate city or each of resident area, actually can be said to almost not be realized. The good image to the resident environment makes children form emotional security and harmonious placeness. So, the further resident environment should be planed to give children more positive effect.

      • 중년성인의 알츠하이머병 위험감소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behaviour change wheel model 기반으로

        김은주 대전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1855

        국문초록 본 연구에서는 행위변화 휠(Behaviour Change Wheel [BCW]) 모델을 기반으로 알츠하이머병 위험감소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알츠하이머병 위험요인을 가진 중년성인에게 적용 한 후 알츠하이머병 지식, 대인관계, 건강관련 자기효능감, 우울,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효과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무작위 대조군 반복측정설계(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peated measurements study)를 사용하였다. 대상자는 J시에 있는 학력인정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45세 이상 65세 이하의 중년성인 52명을 실험군 26명, 대조군 26명으로 무작위 할당하였으며 프로그램 시작 전까지 할당 은폐하였다. 연구의 기간은 2016년 3월 10일부터 4월 22일까지였으며, 프로그램 진행은 3월 14일부터 4월 19일까지 1회 60분, 주 2회, 6주 진행하였다. 알츠하이머병 위험감소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알츠하이머병 지식은 Alzheimer’s Disease Knowledge Test (ADKT)를 기반으로 Carpenter 등(2009)에 의해 수정된 도구를 Kim과 Jung(2015)이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번역하여, 내적일치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ADKS-K(Alzheimer’s Disease Knowledge Scale-Korean Version)도구로 측정하였다. 대인관계는 Schlein과 Guerney(1971)가 개발한 Relationship Change Scale을 Moon(1980)이 번안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건강자기효능감은 Becker, Stuifbergen, Oh & Hall(1993)이 개발한 The Self Rated Abilities for Health Practices Scale을 Choi와 Moon(2005)이 번안하고 수정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우울은 Radloff(1977)가 개발한 CES-DS(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를 Cho와 Kim(1993)이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표준화한 CES-DS(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건강증진행위척도는 Walker 등(1987)이 개발한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Ⅱ (HPLP-Ⅱ)를 Seo(2001)가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2.0을 사용하였으며, 처리의향분석(intent-to-treat, ITT)원칙을 적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인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가설검정은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알츠하이머병 지식의 변화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결과, 시간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F=21.75, p<.001, partial η²=.303) 가설 1은 지지되었다. 2) 대인관계의 변화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결과, 시간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F=1.37, p=.258, partial η²=.027) 가설 2는 기각되었다. 3) 건강관련 자기효능감 변화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결과, 시간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F=3.80, p=.036, partial η²=.071), 가설 3은 지지되었다. 4) 우울의 변화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결과, 시간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F=1.17, p=.311, partial η²=.023) 가설 4는 기각되었다. 5) 건강증진행위의 변화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결과, 시간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F=2.98, p=.060, partial η²=.056) 가설 5는 기각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알츠하이머병 위험감소프로그램은 지식과 건강관련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며, 건강증진행위가 변화되기 위해서는 6주 이상의 프로그램이 적절하다. 따라서 알츠하이머병 위험감소프로그램은 중년성인의 알츠하이머병 위험감소를 위한 중재로 사용가능하다.

      • 여성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 영향요인

        김은주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장애와 여성이라는 두 가지 어려움을 동시에 안고 살아가는 여성장애인이 취업 후 안정적인 고용을 유지할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직무만족에 관심을 두었으며 인구사회학적 요인, 조직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실시한 「2018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2차 웨이브 3차 조사)」원자료를 재가공하여 이중 여성장애인 임금근로자라고 응답한 400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요인별 특성과 직무만족과의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직무만족에 상대적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 Enter Method)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장애인 임금근로자의 각 요인별 직무만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인구사회학적요인 중에는 연령, 교육수준, 전반적인 건강상태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요인으로는 직업지위, 임금, 복리후생제도, 장애편의 근무환경이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복리후생제도, 장애편의 근무환경으로 분석되었으며 회귀모형은 22.1%의 설명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직장 내 복리후생제도이다. 여성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도에는 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이나 장애요인 보다는 일자리 요인이 더욱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이용할 수 있는 복리후생제도의 개수와 같이 일자리의 질과 안정성을 가리키는 변수들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이 규명되었다. 여성장애인 근로자들이 높은 직무만족도를 가지고 근무할 수 있도록 다양한 복리후생제도를 개발하고, 상여금 지급이나 일가족양립지원 제도 등의 복리후생 이용에 있어 장애인 차별금지를 강화하는 등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여성장애인 근로자가 근무환경을 보다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도록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대상 시설의 범위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현행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대상이 되는 사업장을 단계적으로 확대하여 여성장애인 근로자들이 근무환경에서 더욱 안전함을 느낄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그리고 장애유형별로 적합한 편의시설을 추가로 발굴하고 설치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편의시설에 대한 인식개선 및 홍보도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 굿거리장단을 활용한 소금 가락짓기 지도방안 연구 : 초등 혁신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김은주 추계예술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국악교육의 영역이 확대되고 국악기 지도에 관한 내용도 점차 증대되면서 휴대하기 좋고 쉽게 배울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조에서 폭넓은 연주가 가능한 소금이 초등학교 2007개정 교육과정에 새로 도입되었다. 그러나 소금을 도입한 2종 음악교과서 중 금성출판사 6학년 음악교과서를 분석하여 보면 소금 지도 시수를 3시간으로 설정하고 있어 실제로 소금을 충분하게 배우고 익힐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없는 실정이다. 기존 학교교육과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미래형 학교 모습의 일환으로서 2011년에 학교를 변화하는 문화운동으로 시작된 혁신학교에서는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을 재구성한 주제 중심 통합학습형 프로그램을 학교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있으며, 또한 1인 1악기 교육에서도 단소보다는 소금을 대표악기로 선정하여 지도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혁신학교 6학년 학생들이 굿거리장단을 활용한 소금 가락짓기 학습과정을 통해 소금 연주법을 향상할 수 있도록 소금 연주 지도방안을 구안하는 데 있으며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금을 처음 접하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소금 연주의 기초가 되는 이론을 습득한 후 소금 연주법을 쉽고 재미있게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각 과정마다 간단한 연습곡을 제시하고, 쉬운 리듬에 자신이 연주할 수 있는 소금 가락을 얹어 연주할 수 있도록 단계적인 지도방안을 구안하였다. 둘째, 소금 연주법을 습득한 후 제재곡을 연주하는데만 그치는 현재의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소금 연주를 위한 리듬과 가락을 창작하는 단계까지 발전할 수 있도록 지도 방안을 세분화하였다. 이를 위해 6학년 음악교과서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굿거리장단의 3분박 리듬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세분하여 단계별 지도방안을 구안하였다. 셋째, 학생들이 자기가 만든 굿거리장단 리듬에 소금 가락을 입히는 과정을 통해 장단과 가락을 보다 잘 이해한 후 창작의 즐거움을 맛볼 수 있도록 지도방안을 구안하였다. 또한 모둠별 창작학습 및 연주 발표를 통해 학생들이 재능을 서로 나누며 협동학습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과제를 구안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안한 단계적 방안을 활용하여 소금을 지도함으로써 초등혁신학교 뿐만 아니라 일반학교 학생들도 국악 리듬을 흥미있게 익히길 기대하며, 추후 이를 위한 많은 후학들의 연구가 계속되어지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lan teaching methods for Sogeum playing to make grade 6 in elementary school improve Sogeum playing through the process of learning Sogeum melody making by using Gutgeory jangdan. Teaching-learning plans were produced over the course of the analysis of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by collecting research methods-related literature and documents. As a result, teaching methods of understanding step-by-step were planned to make the students figure out Gutgeory jangdan's 1/3 beats and melody making exactly. The teaching methods of understanding subdivided teaching methods to develop from the practice for Sogeum playing to a playing stage of creating rhythm and melody. In addition, to inspire students' creative motivation, this researcher suggested to introduce creative learning by groups and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 to add self-made Gutgeory rhythm to Sogeum melody. The teaching methods for Sogeum melody making planned by the researcher will mak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 traditional music rhythm interestingly and increase the learning effect of Sogeum playing.

      • 블루베리(Vaccinium corymbosum L.)의 품종특성, 삽목번식 및 토양관리체계 확립

        김은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1839

        Ⅰ.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Highbush Blueberry Cultivars In 2008, cultivar characteristics (growth and fruit quality) were investigated from 20 highbush blueberry cultivars at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For this study, two-year old seedlings had been transplanted in 2006. The results showed that bloom period was the earliest in ‘Collins’ (16 April) and latest in ‘Darrow’ and ‘Elliott’ (29 April). Fruit set were higher in ‘Bluecrop’, ‘Collins’, ‘Duke’, ‘Jersey’, ‘Northland’, ‘Rancocas’, and ‘Sierra’ than ‘Berkley’, ‘Blueray’, ‘Chandler’, ‘Elliot’, ‘Nelson’, and ‘Spartan’. Fruit was larger in ‘Berkley’, ‘Chandler’, ‘Patriot’, and ‘Spartan’(>3.5 g), than ‘Collins’, ‘Jersey’, ‘Northblue’, ‘Northland’, and ‘Rancocas’(<2.4 g). The varieties showing relatively high TSS (>13°Brix) were ‘Bluejay’, ‘Blueray’, ‘Coville’, ‘Darrow’, ‘Dixi’, ‘Jersey’, and ‘Northland’. Anthocyanin content was in the range of 55~155 mg/100 g and the cultivars with more than 100 mg/100 g were ‘Bluejay’, ‘Collins’, ‘Coville’, ‘Elliott’, ‘Jersey’, ‘Northblue’, ‘Patriot’, and ‘Rancocas’ varietie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using 21 characteristics of highbush blueberry, the 20 cultivars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 by maturing time and yield. Ⅱ. Establishment of the Propagation Methods by Cuttings for Blueberry Plan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propagation by cuttings of highbush blueberry plants. The pH of the media for cuttings was 4.3 for peatmoss only, 4.4~4.6 for peatmoss +sand, and 4.6~4.7 for peatmoss+perlite. The most optimal medium for rooting was peatmoss:perlite(7:3) in which rooting, root length and root weight were good. Mean percent budding of the cuttings was promoted when PGRs were applied. Determined 90 days after cutting, callus development and rooting rate were high with 500 mg·L-1 NAA for the cultivars ‘Bluecrop’ and ‘Sunrise’ cultivars but IBA at 500 mg·L-1 promoted rooting in ‘Duke’. Mean temperatures of the media for cuttings decreased with increasing level of shading; compared to non-shading control, shading reduced temperatures by 1.1~2.2℃ around 9 AM, by 3.3~4.8℃ around 1 PM, and by 2.6~3.6℃ 5 PM. Callus development and rooting rate were highest with 30% shading. The rooting rate from the hardwood cutting varied according to the time of sampling; rooting rate was higher in the cuttings sampled in early April, compared to the mid March samples. The growth potential of roots and shoots of the cuttings increased with increasing number of nodes per cutting. Considering rooting rate and cutting efficiency, 4~5 nodes per cutting was considered to be optimal. Ⅲ. Soil Management of Blueberry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oil management techniques for improving blueberry production, which included the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mounding height, incorporated organic materials, and mulching materials. Several organic materials were tested for their alternative to peatmoss, when partly composted pine needles, rice hulls and sawdust were used alone or in mixture. The pH of the organic materials was the lowest in peatmoss (4.3), followed by pine needles (4.8), sawdust (5.7) and rice hulls (7.8). Soil water content was maintained highest in peatmoss + pine needles, followed by peat only, peatmoss + sawdust and peatmoss + rice hulls. Soil pH that measured after incorporation of organic materials into the soil was similar in peat only and peatmoss + pine needles (5.2) while hieger in peatmoss + sawdust and peatmoss + rice hulls (5.4 and 5.9, respectively). Plant vigor and fruit set were good in both peatmoss only and peatmoss + pine needles treatments, leading to the increase in yield, but fruit quality was not influenced. The optimal mounding height in terms of plant growth and fruit number was found to be 15 ~ 20 cm. Overall root growth was highest with 15 cm mounding in which the number of vegetative branches developed averaged 8.3 per plant and roots weighed 385 g. Mulching materials affected soil water content and temperatures. Growth was good in both black polyethylene film and black non-woven fabric mulching treatments but black polyethylene film induced a slight winter injury (15%) on the current years growth. Consequently, fruit set and yield were higher in the black non-woven fabric mulching treatment than black polyethylene film. However fruit characteristics were not influenced. 국내에 도입되어 있는 블루베리 품종을 대상으로 생육 및 과실특성을 조사하고 삽목번식방법을 구명하였으며, 유기물 시용효과, 정식시 복토높이, 생력화를 위한 토양피복재료 등 토양관련 재배기술을 개발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Ⅰ. 블루베리 품종의 생육 및 과실특성 북부하이부시 품종 20종을 수집하여 특성을 조사한 결과 개화기는 ‘Collins’가 4월 16일로 가장 빠르고 ‘Darrow’와 ‘Elliott’는 4월 29일로 늦었다. 수고는 ‘Nelson’, ‘Rancocas’, ‘Sunrise’가 125~128cm로 컸으며 반수고인 ‘Northblue’는 60cm로 작았다. 착과수는 ‘Bluecrop’, ‘Collins’, ‘Duke’, ‘Jersey’, ‘Northland’, ‘Rancocas’, ‘Sierra’가 많았고, ‘Berkeley’, ‘Blueray’, ‘Chandler’, ‘Elliot’, ‘Nelson’, ‘Spartan’ 등은 500개/주 이하로 적었다. ‘Collins’, ‘Duke’, ‘Spartan’의 수확기는 6월 23일로 빨랐고, ‘Darrow’와 ‘Elliott’는 7월 13일로 늦었다. 과중은 ‘Berkeley’, ‘Chandler’, ‘Patriot’, ‘Spartan’ 등이 3.5g 이상으로 대립이었고 ‘Collins’, ‘Jersey’, ‘Northblue’, ‘Northland’, ‘Rancocas’ 등은 2.4g 이하로 작은 편이었다. 고당도 품종은 ‘Darrow’ 등 7종이 13°Brix 이상이었고 경도가 높은 품종은 ‘Duke’, ‘Sierra’, ‘Bluejay’, ‘Rancocas’였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Bluejay’ 등 8종이 100mg/100g 이상이었다. 주성분분석에 의한 품종분류 결과 수확기가 빠르면서 수량이 높은 A군, 수확기가 중간이면서 수량이 높은 B군, 수확기와 수량이 중간인 C군, 수확기는 중간이고 수량이 낮은 D군, 수확기가 늦고 수량이 중간인 E군 등 5개 군으로 분류되었다. Ⅱ. 블루베리의 삽목번식 삽목 용토별 pH는 피트모스 단용 4.3, 피트모스+모래 4.4~4.6, 피트모스+퍼라이트 혼용처리가 4.6~4.7이었고 함수율은 모래에 비해 퍼라이트 혼용시 높았는데 피트모스(70)+퍼라이트(30)처리는 45.9%를 나타내었다. 발근율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컸으나 용토별로는 피트모스(70)+퍼라이트(30)처리가 피트모스 단용에 비해 평균 5~20% 향상되었다. 생장조정제 처리에 의해 삽수의 발아율이 높아졌고 발근율은 ‘Sunrise’와 ‘Bluecrop’의 경우 NAA 500mg·L-1에서, ‘Duke’는 IBA 500mg·L-1 처리에서 높았다. 삽목 후 발근기까지(4월~6월) 삽상내 평균지온은 무차광에 비해 차광정도가 30~90%로 높아질수록 오전(9시)에는 1.1~2.2℃, 한낮(오후 1시)에는 3.3~4.8℃, 오후(5시)에는 2.6~3.6℃ 낮아졌고 발근율은 30% 차광처리에서 가장 좋았다. 삽목시기별 발근율은 3월 중순에 비해 4월 상순 처리에서 높았고 발근된 묘의 뿌리 발달 정도와 신초 생장량은 삽수마디가 클수록 양호하였으나 삽목효율 면에서 적정 삽수 마디수는 4~5개였다. Ⅲ. 블루베리의 토양관리 유기물의 pH는 피트모스가 4.3으로 가장 낮았고 소나무잎 4.8, 왕겨 7.3, 톱밥은 5.7이었다. 유기물 조성에 따른 생육기별 토양수분 함량은 피트모스+소나무잎〉피트모스단용〉피트모스+톱밥〉피트모스+왕겨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기물 처리 후 토양화학성은 피트모스단용 처리시 pH 5.1, 피트모스+소나무잎 5.2, 피트모스+왕겨 5.9, 피트모스+톱밥 처리시 5.4로 변하였다. 피트모스단용과 피트모스+소나무잎 처리에서 수세가 양호하고 착과수가 많았으나 과실특성은 차이가 없었다. 복토 15cm, 20cm 처리에서 수고와 수폭이 커지고 신초장, 신초수, 과실 송이수가 많았다. 복토높이에 따라 지하부 생육이 달라졌는데 복토 15cm 처리에서 지중에서 발생되는 발육지수가 8.3개로 가장 많았고 근중도 385g으로 높았다. 토양 피복재 처리 후 지온과 토양수분의 변화는 흑색PE필름 처리에서 전 기간 높게 유지되어 생육이 월동 전까지 진행되었고 이로 인해 동해가 발생되었다. 반면에 흑색부직포 처리는 정식 후 초기생육이 촉진되었고 착과수가 많아 수량 확보에 유리하였다. 잡초는 흑색차광망 처리에서 주로 발생되었으나 과실특성은 토양 피복재 처리에 의한 차이가 없었다.

      • 중국 전통적 공간개념을 토대로 한 上海 석고문 이농주택 외부공간의 영역적 표현 특성

        김은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Shanghai Shikumen Linong Housing had been changed from late 19th century to 20th century. It is representative style of Shanghai Housing, which is related with chinese traditional space concep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basic documents to plan the outdoor space of Shanghai Housing through analysis of characteristic of territorial expression in outdoor space of Shanghai Shikumen Linong Housing based on china traditional space concept. A method of study, first the elements of Territory is redefined to four kinds of characteristic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y. Second each space of shanghai shikumen Linong Housing is analyzed into the redefined the characteristic of Territoriality. The results show that, the methods of shikumen Linong Housing in the area of external space performance, although there have been some changes, but basically according to traditional Chinese architecture with the performance of the field line. In this paper, by demonstrating to the Chinese traditional concept of space in the area of performance-based method, basic information of residential buildings in Shanghai of external space which are developing provided.

      • 또래교수가 고등학생들의 영어 독해력과 영어 교과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은주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이 연구는 또래교수가 고등학생들의 영어 독해력과 영어 교과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초등교육, 특수교육, 상담, 수학교과 분야에서 주로 실시된 선행연구에서 또래교수가 학업성취도와 교과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에 근거해서 영어 교과에서도 학업성취도와 교과태도 면에서 효과적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라남도 A시 소재의 일반계 B고등학교 2학년 중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으며, 각 집단별 남학생 9명 여학생 11명 총 20명씩 편성하여 집단의 동질성을 확보한 후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또래교수법을, 통제집단은 전통적 교수법을 실시하였고, 두 집단 모두에게 사전검사로 영어 독해력을 측정하는 지필검사와 자아개념, 학습태도, 학습습관의 하위 영역으로 구성된 영어 교과태도를 측정하는 설문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영어 독해력 사전검사 결과 10명의 또래교수자와 10명의 또래학습자로 구성되었으며, 또래교수자는 영어로 된 지문을 읽고 글의 세부내용, 글의 주제나 요지를 파악하는 학습활동 중에 또래학습자를 가르치는 또래교수법이 처치되었다. 통제집단에서는 교사 주도의 전통적 교수법을 실시하였다. 처치가 끝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동형의 사후 영어 독해력 지필검사와 영어 교과태도 설문지 검사를 실시하였고, 또래교수 집단에게만 또래교수활동과 관련된 서술형 설문지 검사를 추가로 실시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점수를 통제했을 때, 또래교수 집단이 전통적 교수 집단보다 영어 독해력 점수가 높았다. 즉, 또래교수활동이 전통적 교수 방법보다 학습자들이 영어로 된 글을 읽고 글의 세부내용이나 요지를 파악하는 영어 독해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사전점수를 통제했을 때, 또래교수 집단이 전통적 교수 집단보다 영어 교과태도 각 하위 영역인 자아개념, 학습태도, 학습습관의 모든 영역의 점수가 높았다. 전통적교수 집단과 비교하여 또래교수 집단의 영어 교과태도는 처치 후 자아개념, 학습태도, 학습습관의 모든 영역에서 전통적 교수 집단보다 유의한 차이를 보여 수업 중 또래간의 활동이 긍정적인 영어 교과태도를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셋째, 또래교수 집단 내에서는 또래교수자가 또래학습자보다 영어 독해력 향상에는 효과가 있었지만, 영어 교과태도 측면에서는 또래교수 역할에 따라 유의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종합해 보면, 영어 수업 중 학습자들 간의 또래교수 활동이 학습자들이 주어진 글을 읽고 대의를 파악하는 독해력을 키워주고 영어 교과에 대한 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사용자 선호도 기반한 모바일 웹에서의 뷰 적응 미들웨어

        김은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무선통신망의 발달로 인하여 사용자들은 좀더 좋은 품질의 서비스를 보장 받을 수 있게 되었다. HSDPA나 와이브로 기술 등은 최고 초당 14.4Mb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서비스 측면에서는 이러한 대역폭의 확장에 적합한 서비스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못하고 있다. 모바일 인터넷은 컨텐츠 사업자가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컨텐츠에 한해서 텍스트 위주의 서비스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의 특성에 적합하면서도 단말기의 자원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미들웨어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모바일 웹 서비스가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모바일 웹 서비스를 위한 자동 트랜스코딩방식에 대한 기존 연구를 요약 및 설명하고, 상황인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존의 연구에서 정의한 상황의 여러 의미를 보이고 미들웨어 분야에서의 상황 인식을 위한 모델링 기법과 이러한 상황 모델링 기법에 대해 연구한 다양한 연구를 조사하였다. 또한 이러한 기존 연구들을 바탕으로 선호도 기반 뷰 관리 미들웨어 시스템(VAM)에 대해 제안하고 설명한다. In mobile web environments, it is needed to care variable mobile devices to connect open mobile web environment. It has many studies for variable mobile device auto transcoading in mobile web environment. However most of studies about transcoading run for server-centric client model, not regard client’s improvement capability. And user get context-awareness services by using Middleware Structure. A high adaptable middleware has been an essential platform to provide more flexible services for multimedia, mobile, and ubiquitous applications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In addi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View Adaptation Middleware System (VAMS) to support efficiently dynamic adaptation of application services. User has two parts of context-knowledge are user preference category service and local based context-aware service. We also demonstrate the current implementation of the context-adaptive middleware that help adapt user preference and user behavior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 거제 연안에 분포하는 부유성 난과 자치어

        김은주 여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39

        경상남도 거제시 지심도 연안 해역에서 2004년 2월부터 2004년 11월까지 총 4회에 걸쳐 채집된 부유성 난&#8228;자치어의 종조성, 양적변동 및 체장조성을 연구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채집된 부유성 난은 총 11개 분류군이 출현하여 멸치, 정어리, 넙치, 미역치, 쌍동가리, 주둥치, 청보리멸, 노랑촉수, 양태, 동갈양태속 어류, 기타 난 등으로 분류되었고, 출현량을 보면, 멸치의 난이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부유성 난의 65.23%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하는 종으로 나타났다. 자치어는 총 3목 11과 12개의 분류군이 출현하였는데, 그 중 11개 분류군은 종 수준까지, 1개 분류군은 과 수준까지 동정되었다. 그 중 멸치과에 속하는 멸치가 출현한 자치어의 61.1%를 차지하여 최우점종이었으며, 다음으로 날돛양태가 자치어의 9.8%를 차지하여 우점하였다. 이들 2종이 차지한 비율은 70.9%로 나머지 10종들에 비해 월등하게 우점하게 나타났다. 군집 구조를 보면 계절별 종다양도지수(H)는 0.3046~1.4660, 균등도 지수는 0.4395~0.9056, 우점도 지수는 0.7000~1.0000으로 나타났고, 조사정점별로는 다양도지수(H)가 0.8991~1.5634, 균등도 지수는 0.4620~0.8725, 우점도 지수는 0.5905~0.8696로 나타났다. Seasonal variation and distribution of eggs and ichthyoplanktons were investigated by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coastal waters of Jisimdo, Geaje from February to November, 2004. Approximately 11 species of eggs were collected. Among them in which Engraulis japonicus was a dominant species, followed by Sardinops melanostictus, Hypodytes rubripinnis, Neopercis sexfasciata, Leiognathus nuchalis, Upeneus bensasi, Sillago japonica, Platycephalus indicus, Callionymus sp., Paralichthys olivaceus and the others. The larvae and juveniles were indentified into 12 species, 11 families, 3 orders. The most dominant species were Engraulis japonicus accouted for 61.1% of the total larvae and juveniles, followed by Repomucenus beniteguri(9.8%). These 2 taxa constituted 70.9% of the total collected larvae and juveniles. The seasonal species diversity index(H') of fishes caught in Geoje between February to November ranged 0.3046~1.4660. The evenness index ranged 0.4395~0.9056 and the dominance index ranged 0.7000~1.0000. The stational diversity index of ranged 0.8991~1.5634, the evenness index of ranged 0.4620~0.8725 and the dominance index ranged 0.5905~0.869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