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부갈등 수준과 대처 방식에 따른 여성의 결혼생활 만족도

        박희정 가천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갈등 수준과 부부의 갈등 대처 방식에 따라, 이들의 결혼만족 수준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부부가 인식하는 갈등을 낮추는 것 뿐 아니라, 갈등에 대한 적절한 대처 방식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추후 부부교육 및 상담 적 개입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한국여성가족패널’(KLoWF: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y) 제5차년도(2014)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전체 응답자 10,031명 중, 현재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배우자와 동거중이며, 결혼만족도와 부부갈등에 대해 빠짐없이 응답한 2,763명을 최종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여성가족패널 조사의 부부갈등 대처 방식 문항과 결혼만족, 남편과의 관계만족, 가사분담 만족 문항 등을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BM SPSS 21.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통하여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고,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여 부부 갈등 수준에 따라 기혼여성의 결혼 생활 만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군집분석(K-means)을 통해 부부의 갈등 대처를 유형화 하고,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여 갈등 대처 유형에 따라 결혼만족 관련 요인들에 대한 수준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부갈등 및 결혼 만족 관련 변인 수준을 살펴본 결과는 부부 갈등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2.04(SD=.397), 결혼 만족 수준은 10점 만점에 평균 6.97(SD=.1.497)로 나타나, 우리나라 기혼여성들이 결혼생활에서 약간 높은 수준의 결혼만족감을 느끼고, 약간 낮은 수준의 갈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응답자들은 부부갈등 대처 방식에 있어 차분한 대화와 이야기 하지 않는 방법에 대한 수준이 다소 높은 편이었으며, 격렬한 논쟁이나 폭력적 대응 수준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갈등 수준에 따른 결혼 만족 관련 요인의 수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부부갈등 평균을 기준으로 낮은 부부갈등(집단1)과 높은 부부갈등(집단2)의 두 집단으로 구분한 뒤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두 집단은 모든 영역에서 차이를 보였다. 갈등 대처 방식에서도 두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는데, 이 중 가장 큰 차이를 보인 영역은 격렬한 논쟁이었다. 이는 부부사이 갈등이 발생했을 때에, 차분한 대화로 해결되지 않고 격렬한 논쟁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높은 갈등 집단에 더 많이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부부갈등 대처 유형의 특성을 보다 자세히 밝히기 위해서, 어떤 사람들이 각 유형에 분포하는지 사회인구학적 특성별로 살펴보았으며, 이를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력과 소득에서 집단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연령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분석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부갈등 수준은 폭력형, 회피형, 대화형, 낮은 갈등 대화형 순으로 낮게 보고되었는데, 결혼 만족 수준은 대화형이 가장 높고, 낮은 대화형이 그 뒤를 이었으며, 폭력형과 회피형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단순히 갈등수준이 낮은 것이 결혼만족으로 이어지지 않고, 오히려 갈등을 회피하고자 하는 태도가 결혼만족을 높이는데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결혼생활의 만족감은 부부간의 갈등여부 보다는 부부가 건설적인 갈등해결방식을 사용하는가, 아니면 파괴적인 갈등해결방식을 사용하는가에 따라 좌우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문제를 가진 부부들은 협동적인 방법보다는 경쟁적이거나 회피적인 방법을 갈등해결전략으로 많이 적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연구는 부부체계에 야기되는 부부갈등과 갈등대처방식을 유형화하여 분석, 확인 과정을 통하여 결혼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부갈등의 부정적인 영향력을 약화, 가족관계를 강화할 수 있는 갈등대처방식을 증진시킬 수 있는 부부심리상담이나 역할연습, 의사소통방법, 부부관계 증진 프로그램의 정책적 도입과 실천에 있어서 근거기반실천(evidence-based practice)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성과지향형 혁신모델 구축 및 인재육성 체계에 관한 연구 : L사 사례를 중심으로

        박희정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국내 L사의 사례를 통하여 다양한 고객과 제품을 가지고 있는 기업에서 사업부별 맞춤형 혁신활동 모델에 대한 그 추진방향과 방법에 대해서 고찰하였고, 추진주체가 되는 인적자원인 차별화 된 혁신인재를 육성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해당 기업에 적용하는 부분에 대한 유효성을 실증연구를 통하여 검증한 논문임.

      • 시공간 점화 과제에서 강박성향 집단의 수행 양상

        박희정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강박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시공간 점화과제에서 나타내는 수행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학생 902명을 대상으로 Padua 강박질문지-워싱턴 주립 대학 개정판(PI-WSUR)을 실시하여 점수가 높은 상위 5%에서 강박집단(22명)을 +1SD와 -1SD 사이에서 무작위 추출하여 통제집단(21명)을 구성하였다. 실험에서는 중립정서 조건과 위협정서 조건으로 나누어 시공간 점화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점화과제는 정적점화 조건, 기저선 조건, 부적점화 조건으로 이루어져 있다. 2(집단: 강박집단, 통제집단)x2(정서: 중립, 위협)x3(점화: 정적, 기저선, 부적)의 혼합설계 변량분석 결과, 점화의 주효과와 정서의 주효과가 유의했으며 점화와 정서의 상호작용이 있었다. 촉진 점화량은 기저선 조건의 반응시간에서 정적점화 조건의 반응시간을 뺀 값으로 자극 부호화의 강도를 의미하며, 억제 점화량은 부적점화 조건의 반응시간에서 기저선 조건의 반응시간을 뺀 값으로 불필요한 자극을 약화시키는 능력을 뜻한다. 촉진에서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치는 아니었지만 강박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증가된 촉진 점화량을 나타냄으로써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강박집단을 강박사고 유형에 따라 자생성 강박사고 집단과 반응성 강박사고 집단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중립정서 조건에서 자생성 강박사고 집단은 반응성 강박사고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된 촉진과 감소된 억제를 나타냈다. 반면 반응성 강박사고 집단은 통제집단과 비슷한 수행패턴을 나타냈다. 이는 자생성 강박사고 집단과 반응성 강박사고 집단의 이질성을 지지하며, 강박사고 유형에 따른 하위집단의 구분이 유용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erformance patterns on visuospatial priming tasks in obsessive-compulsive groups. A total of 902 undergraduate university students were screened with the self-report format of the Padua Inventory-Washington State University Revision (PI-WSUR). According to their PI-WSUR scores, students who scored within the top 5% were selected for the obsessive-compulsive group(n=22). Students within one standard deviation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n=21). Subjects performed a visuospatial priming task under two emotional conditions: neutral and threat. The priming task had three conditions: positive priming, baseline, negative priming. The results of the 2 groups: (OC, control) x 2 emotion (neutral, threat) x 3 priming (positive, baseline, negative) mixed ANOVA showed the main effect of emotion and priming, the interaction effect of emotion and priming. Facilitation effects were calculated by subtracting reaction time(RT) of positive priming condition from RT of baseline condition, meaning the strength of stimulus activation. On the other hand, nhibition effects were calculated by subtracting RT of baseline condition from RT of negative priming condition, referring to ability to suppress irrelevant stimulus. Although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 OC group exhibited more increased facilitation than the control group under any emotional condition. This result wa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On the base of factor analysis of PI-WSUR, the OC group was divided into two different subtypes: autogenous obsession and reactive obsession. In a neutral emotion condition, the autogenous obsession group showed more increased facilitation and decreased inhibition than the reactive obsession group. On the other hand, the performance patterns of the reactive obsession group was similar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se findings support heterogeneous of the OC group and the usefulness of subtype.

      • 발달성 말실행증과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초분절적 특성 비교 - 청지각 및 음향학적 평가과제를 중심으로 -

        박희정 대구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1839

        초분절은 분절의 잉여요소가 아니라 필수 요소이다. 특히, 발달성 말실행증의 주요 특징 중의 하나는 비정상적인 운율이다. 많은 선행연구에서 초분절은 발달성 말실행증의 일차적 또는 이차적 특징이라고 언급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연구들은 단지 청지각적 또는 음향학적 분석만을 이용하여 비체계적으로 발달성 말실행증 아동의 초분절적인 능력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청지각적 분석과 음향학적 분석을 이용하여 발달성 말실행증, 조음음운장애, 정상 발달아동들을 대상으로 초분절적인 특징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발달성 말실행증 아동들의 기저 문제를 규명하는데 있다. 청지각과 음향학적 분석을 이용함으로써 선정된 음향학적 매개변수로 집단 간 차이를 규명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청지각적 분석을 통하여 그들의 차이를 평가하려고 하였다. 이를 위해 3세 6개월에서 6세 3개월의 발달성 말실행증 아동 5명, 조음음운장애 아동 10명, 정상 발달아동 10명으로 구성된 세 집단 총 25명을 대상으로 초분절적인 능력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세 개의 초분절적 과업 연접, 문미 억양구, 낱말 악센트를 실시하였다. 연접은 내적 개연접과 내적 폐연접으로 나누어서 평가하였고, 문미 억양구는 H%, HL%, LH%, LHL%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조음 난이도(저, 고), 강세 유형(강약, 약강)에 따라 유의미 낱말과 무의미 낱말로 구성된 낱말을 이용하여 낱말 악센트를 평가하였다. 자료 분석은 5점 척도를 이용한 청지각적 분석과 지속시간과 경사를 매개변수로 한 음향학적 분석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적 연접의 청지각적 평가에서는 발달성 말실행증 아동과 정상 통제집단의 아동만이 유의한 차이가 났다. 음향학적인 분석은 모든 집단이 총 지속시간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연접 전후의 음절만을 포함하는 지속시간은 단지 발달성 말실행증과 조음음운장애 아동, 발달성 말실행증과 정상 통제집단 아동만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청지각적 분석과 음향학적 분석의 유의한 상관은 거의 없었다. 둘째, 청지각적 분석 결과 발달성 말실행증 집단이 조음음운장애와 정상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더 많은 문미 억양구 오류를 범하였다. 음향학적 분석 중 문미 억양구의 총 지속시간은 발달성 말실행증 집단과 조음음운장애 집단이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음절의 음도 경사는 문미 억양구×집단, 문미 억양구×경사 위치에서 유의한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발달성 말실행증 아동들은 문미 억양구 LH%의 후행경사가 다른 지반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낱말 악센트는 청지각적 분석 중 분절 정확성은 발달성 말실행증, 조음음운장애, 정상 통제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강세 정확성은 단지 발달성 말실행증과 정상 통제집단만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음향학적 분석 중 유의미 낱말의 총 지속시간은 조음 난이도×강세유형×집단의 유의한 상호작용이 있었으며, 무의미 낱말은 조음 난이도×집단의 유의한 상호작용이 있었다. 발달성 말실행증 집단은 유의미 낱말에서 총 지속시간이 가장 길었지만, 무의미 낱말에서는 조음 난이도 ‘저’의 낱말 총 지속시간이 가장 길었으나, 조음 난이도 ‘고’에서는 낱말의 총 지속시간이 가장 짧았다. 음절의 음도 경사 역시 유의미 낱말은 조음 난이도×집단, 무의미 낱말은 조음 난이도×강세유형의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발달성 말실행증 집단은 음절의 음도 경사가 낮았다. 청지각적 분석과 음향학적 분석의 유의한 상관은 거의 없었다. 모든 연구문제에서 청지각적 분석과 음향학적 분석의 유의한 상관이 없다는 것은 청지각적 분석만으로 발달성 말실행증의 치료 효과를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언어치료사들은 아동들의 비정상적인 운율을 치료할 때 청지각적 측정뿐만 아니라 음향학적 매개 변수에 대한 정보도 있어야 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발달성 말실행증은 음운적 표상 시스템과 초분절적 능력이 지체되거나 편차되었고 이는 그들이 운동 프로그래밍뿐만 아니라 언어적 계획에도 문제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발달성 말실행증을 치료할 때 단지 운동 프로그램과 관련된 중재뿐만 아니라 언어 처리 과정 역시 중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One characteristic included in many definitions of developmental apraxia of speech/developmental verbal apraxia(DAS/DVA) is a description of abnormal prosody. Although some authors posit that disordered prosody is a fundamental part of DAS/DVA or a subtype of DAS/DVA, these studies were reported on suprasegmental abilities in children with DAS/DVA using only perceptual or acoustic measures. A few study to data has systematically examined suprasegmental abilities in DAS/DVA and phonological disorder(PD) or DAS/DVA and typically developing speech(TD).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study, both perceptually and acoustically, suprasegmental abilities of three children who had been diagnosed with DAS/DVA, PD and TD. By focusing on perceptual and acoustic analysis, this study was able to assess whether children can produce perceptually detectable differences suprasegmental abilities, even if it were to fail to measure the acoustic parameters that the individual child is using. Three groups of children, who are 5 children with DAS/DVD, 10 children with PD, 10 children with TD were administered suprasegmental tasks.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internal juncture, IP-final boundary tone in sentence accent, and lexical accent. First, internal juncture is divided into internal open and close juncture. Second, since an accentual phrase(AP) boundary tone in an intonation phrase(IP)-final position is overridden by the IP-final boundary tone, only the IP-final boundary tone(%) was labeled at the end of an IP. This study was used to H%, LH%, HL%, LHL% in IP-final position. Finally, lexical accent is composed of phonetic complexity(easy, difficulty) and stress pattern(iambic and trochaic) on productions of real words and nonsense words. Perceptual measures of accuracy of target words or phrases used 5 rating scales. Acoustic measures were examined on duration and slope. The principal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ual analysis that interval scales of internal juncture produced by children with DAS/DVA and TD was only significant in this study. Juncture patter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of group. In acoustic analysis, total dur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of groups. Also internal juncture was only significantly different in children with DAS/DVA and PD, DAS/DVA and TD. Hower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oustic analysis and perceptual analysis. Second, in perceptual analysis, when IP-final position in sentence accent was examined, DAS/DVA group made significantly more error than the PD group. In acoustic analysis, total sentence dur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ll of group. Result of pitch slopes of IP% indicate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intonation pattern and groups, and IP% pattern and slope position. However, the interactions between perceptual analysis and acoustic analysi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inally,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both real words and nonreal words in perceptual analysis in all groups while Post Hoc tes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cy of segmental in all groups except only in accuracy of stress the DAS/DVA and PD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Total duration of acoustic analysis indicated a significant interaction among phonetic complexity, stress and groups in real words. Unlike real words,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phonetic complexity and stress. Pitch slopes of acoustic analysis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phonetic complexity and groups in real words and between phonetic complexity and stress in nonreal words. However, the interactions between perceptual analysis and acoustic analysi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fact that the interactions between these perceptual analysis and acoustic analysis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is study suggests that targeting them in remediation might not effect a large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prosodically normal speech. This information may inform clinical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bout which phonetic parameters as well as perceptual measures to target in remediation with children demonstrating atypical prosody.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theory that DAS/DVA may have an deviant and delayed phonological representation system and suprasegmental ability in children with DAS/DVA were reflected "linguistic planning" as well as motoric programming" proces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eatment protocols for DAS/DVD should encompass linguistic processing as well as motor programming activities.

      • 국내 야외조형물 보존의 현황 및 사례연구

        박희정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2016 국내석사

        RANK : 1839

        1960년대에 본격적으로 설치되기 시작한 야외조형물은 1995년도 건축물 미술작품 설치 의무화에 힘입어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정책적으로 설치를 장려하여 도시 곳곳에서 손쉽게 야외조형물을 접할 수 있게 되었지만, 매년 언론에서 사후관리 미흡으로 인해 야기된 흉물스러운 모습들이 보도되고 있다. 현대미술작품에서 작가가 의도적으로 택한 재료나 색상은 작품의 이미지를 완성시키며 의미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야외설치 작품은 다양한 손상 원인에 노출되어 있어 실내 작품과 비교하였을 때 손상의 정도가 심하다. 따라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또는 작가가 의도한 최초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관련 제도에 근거를 두고 관리하고 있다. 국내에는 건축물 미술작품 관련 조례, 동상·기념비·조형물 관련 조례, 박물관미술관법 관련 조례 등이 제정되어 있지만 전국 모든 지자체에 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지자체별로 기준과 내용에 차이가 있다. 그러나 대체로 사후관리와 관련하여 미흡한 부분이 많고, 체계적이거나 상세하지 못하다. 또한 시민의식과 보존관련 전문 지식 부족으로 인해 작품이 훼손되고, 이러한 훼손 사항에 대해 시정 명령을 내려도 예산과 인력 부족 등의 이유로 방치하고 있으나 이를 방지하거나 강제할 제도적 방침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와 관련하여 지자체의 보존 관련 전문 인력 부재가 주원인이라면, 현재 활동 중인 국립현대미술관이나 전국 시·도립 미술관에 전문 인력을 늘려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 것이며, 근본적으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전담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이상적인 해결 방안일 것이다. 국외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예산과 인력 부족 문제를 겪고 있으나, 설치비용을 줄이는 대신 유지·보존비용을 늘리거나 후원을 통해 예산을 충당하고 있다. 또한 학교나 지역 단체 등과 연계하여 조형물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을 높이는 동시에, 방과 후 활동이나 자원봉사 활동 등으로 예산과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이외에도 야외조형물 제작 단계에서부터 의무적으로 보존전문가의 자문을 얻어 내구성을 고려한 재료와 제작 방법, 설치 방법 등을 선택하거나 보안조명 설치 및 반달리즘 처벌법 등의 제도를 통해서 예방보존에 힘쓰고 있다. 이러한 예방보존 노력은 장기적으로 사후관리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국외의 보존 관련 활동과 제도를 검토하여 국내에 적용 가능한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통한 예산과 인력 부족 문제 해결 등 사후관리 제도 개선방안 모색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ince the active initiation of installing outdoor public sculptures in 1960s Korea, the demand for outdoor sculpture has dramatically increased since 1995 following a mandatory policy from the government regarding the installation of public artworks. Although the outdoor sculptures are easily spotted at various places in the cities after the policy has been active, every year maltreated and deformed sculptures are gathering public attention regarding the lack of follow-up management. In contemporary sculpture, material and color of the artwork determine the vital intention of the artist. However, the influence of outdoor environment conditions puts the art work in jeopardy as it decays and deforms in comparison to the works displayed indoors. Thus strict measures are required to maintain its original form, designed to portray the artist's initial intentions and minimize damage from outer force. While regulations regarding ‘artworks of percent for art in public places’, ‘statue/monument/sculpture’, and 'laws of museum and art gallery' are enacted in Korea, these are applied to municipalities either partially or fully having differences in regulation and detail. Nevertheless each regulation in terms of post installation maintenance lacks in adequacy in labor and system in detail to the art work. Furthermore, unaware citizenship and staff's shortage of knowledge on conservation of outdoor installation leads to the art work being damaged. The damaged works are being abandoned from conservation due to shortage of maintenance crew and funding and also open to risk of damage from the absence of restrictions to such acts from the public. In regards to this issue if lack of expert personnel engaging in conservation in municipalities is the main cause of damage, expert personnel currently working in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or art galleries located in cities/provinces can be increased, and ultimately, it is ideal to establish an organization responsible for conservation under Ministry of Culture, Sports & Tourism. In foreign countries, budget and personnel are equally insufficient. Whereas they compensate by decreasing installation expenses with an increase of maintenance expense, or complement their budget by funding. Also conjoining with local schools or local charity groups and encouraging attention to outdoor sculpture, raising the public's interest and utilizing their human volunteer recourses is a way to depressurize the stress of lack of funding and understaffed problems. Furthermore, maintaining the original condition of the art work can be considered in many ways; steps for early stages of manufacturing the outdoor sculptures to mandatorily go through inspections and suggestions from conservators for relatively sustainable methods of art work manufacturing processes in regards to selecting material, installation; or even through installing security lights and constituting anti-vandalism laws. Such efforts for conservation may reduce the cost of follow-up management in the long term. This study examines the conservation projects and policies outside Korea, aiming to resolve a path/solution to be applied to Korea, conclusively becoming a basic research to improve lack of funding and staff. The study becomes a guide to maintaining the quality of the original outdoor sculpture.

      •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교육지원과의 상관관계

        박희정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The social phenomena such as private education expenses is a factor to give suffering to most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correlation between bringing attitude of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rivate education expenses. 208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for parents bringing attitudes was developed based on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Schaefer, 1959) by researcher. And the questionnaire for private education expenses was developed based on other questionnaire on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by resear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in the bringing attitudes of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grief attitudes was the highest, then control, onlooking, denial attitudes; (b) the attitudes of the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were the strong needs and will; and (c) in the correlation between bringing attitude of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rivate education expenses, grief, onlooking, and denial attitudes were related with low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control attitudes was related with high private education expense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bringing attitude of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correlated with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 중년여성의 비형식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박희정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비형식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중년여성의 개인특성, 가족특성, 학습동기 및 학습기대가 평생교육 프로그램 중 직업능력향상교육프로그램, 인문교양교육프로그램, 문화예술스포츠교육프로그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2020년도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실시한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실태’ 조사 자료 중 만 40∼64세인 중년여성 1,020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χ²-검정, t-검정, 상관분석, 이분형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개인특성은 연령대, 학력, 건강상태, 취업여부, 사회활동참여여부를 분석하였고, 가족특성은 월가구소득, 거주지역,자녀유무 및 막내자녀 상태, 부양가족유무를 분석하였다. 둘째, 학습지향동기의 평균은 5점 만점 기준으로 3.98점이었고, 학습기대 하위요인은 정신적 건강이 4.08점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육체적 건강 3.97점, 사회참여만족 3.90점, 경제적 안정감 3.33점 순이었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개인특성과 가족특성에 따른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직업능력향상교육프로그램은 연령대, 학력, 취업여부, 월 가구소득, 자녀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인문교양교육프로그램은 취업여부, 사회활동참여, 거주지역, 자녀상태, 부양가족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문화예술스포츠교육프로그램은 연령대, 학력, 취업여부, 자녀상태, 부양가족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직업능력향상교육프로그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인특성 중 연령대는 40대가 60대 보다 참여 확률이 2.6배 높았고, 취업여부는 취업자가 미취업자보다 참여 확률이 10.5배 높았다. 또한 학습지향동기가 높을수록 참여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기대 하위요인 중에는 경제적 안정감에 대한 기대가 클수록 참여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적 건강과 육체적 건강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문교양교육프로그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인특성 중 취업여부는 미취업자가 취업자보다 1.5배, 사회활동참여는 미참여자가 참여자보다 1.6배 인문교양 프로그램에 참여할 확률이 높았다. 가족특성 중에는 거주지역과 부양가족유무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기대 하위요인 중 정신적 건강은 정적(+)으로, 육체적 건강은 부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즉, 정신적 건강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참여 확률이 높아지는데 반해, 육체적 건강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참여 확률은 낮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여섯째, 문화예술스포츠교육프로그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인특성 중 학력은 중학교 졸업이하보다 고등학교 졸업자의 참여 확률이 1.8배 높았고, 취업여부는 미취업자가 취업자보다 3.5배 높았다. 가족특성 중에서는 부양가족이 없는 중년여성이 있는 중년여성에 비해 참여 확률이 1.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기대 하위요인 중에는 육체적 건강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참여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년여성들의 프로그램 참여 활성화를 위해 중년여성들의 평생학습 수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수요에 기초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중년여성들은 분명한 학습기대를 갖고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때문에 학습기대에 대한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내용이 갖추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중년여성들의 다중역할을 고려하여 강좌 시간대와 접근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그리고 쾌적한 학습환경, 학습지원시스템, 다양한 홍보 등 수업 외적인 부분의 보완을 통해 중년여성의 학습동기와 학습기대를 유발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middle-aged women's participation in a non-formal lifelong education program. Specifically, it analyzed the effects of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family characteristics,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expectation on their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covering the enhancement of vocational abilities, humanities & liberal arts, and culture, arts and sports. Analyzed in the study was the data of 1,020 middle-aged women aged 40∼64 from the "2020 Korean Adult Lifelong Learning Survey"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SPSS 22.0 program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χ²-test,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b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analyzed such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s age, educational background, health status, employment,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s well as their family characteristics including monthly household income, place of residence, children, state of the youngest child, and dependents. Second, they scored mean 3.98 points out of 5 in learning-oriented motivation. Of the subfactors of learning expectation, mental health recorded the highest points at 4.08, being followed by physical health at 3.97, satisfaction with social participation at 3.90, and economic stability at 3.33 in the order. Third, the study analyzed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and family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grams for the enhancement of vocational abilities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background, employment,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state of children.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umanities & liberal arts programs according to employment,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place of residence, state of children, and dependents and in culture, arts and sports programs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background, employment, state of children, and dependents. Fourth, the study analyzed the influential factors of programs for the enhancement of vocational abilities and found that those who were in their forties recorded a participation probability 2.6 times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were in their sixties. Those who had a job recorded a participation probability 10.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had no jobs. Higher learning-oriented motivation led to higher participation probabilities. Of the subfactors of learning expectation, higher expectation for economic stability resulted in higher participation probabilities. Mental and physical health had negative(-) effects on them. Fifth, the study also analyzed the influential factors of humanities & liberal arts programs and found that those who had no jobs recorded a participation probability 1.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had a job. Those who participated in no social activities were 1.6 times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humanities & liberal arts programs than those who participated in one. Of family characteristics, place of residence and dependents had impacts on the probabilities. Of the subfactors of learning expectati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had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them, respectively. That is, higher expectation for mental health led to higher probabilities for participation. Higher expectation for physical health led to lower probabilities for participation. Finally, the analysis results of the influential factors of culture, arts and sports programs show that high school graduates recorded a participation probability 1.8 times higher than that of middle school graduates or lower. Those who had no jobs recorded a participation probability 3.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had a job. The middle-aged women with no dependents were 1.5 times more likely to participate than those with a dependent. Of the subfactors of learning expectation, higher expectation for physical health led to higher participation probabilities. These findings raise a need to analyze systematically the lifelong learning demand of middle-aged women and develop various programs based on their demand in order to vitalize their participation in programs. Since middle-aged women participate in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with clear learning expectation, it is important to include content that can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learning expectation in a program. There is also a need to vitalize onlin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at can solve the issues of lecture hours and accessibility based on the multiple roles of middle-aged women. Moreover, it is required to promote their learning motivation and expectation by supplementing such programs in aspects other than lessons including a pleasant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assistance system, and diverse promotions.

      • 5성급 호텔구성원이 지각한 윤리경영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박희정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5성급 호텔 구성원이 지각한 윤리경영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이러한 영향 관계에 있어서 조직신뢰의 매개효과가 작용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현 시대의 대다수 기업들은 외부 환경에 의해 변화하고 있어 조직의 인적자원 관리시 고객과의 서비스 접점에 있는 구성원들의 관리가 매우 중요할것이며 구성원들이 조직에 대한 신뢰를 갖도록 윤리경영 하는것이 조직에 대한 믿음으로 이어지고 조직신뢰 또한 조직몰입에 많은 영향관계가 있을것으로 보았다. 윤리경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경영자뿐 아니라 호텔 구성원의 시각에서 윤리경영을 실천할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며 구성원이 지각하는 시점에서 윤리경영을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호텔기업에서의 구성원이 지각하는 윤리경영과 조직신뢰를 바탕으로 한 호텔조직에서의 조직몰입과의 영향 관계를 검증한 후 호텔 구성원이 지각하는 윤리경영의 필요성에 대하여 이야기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