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해안 사구의 보전 현황 평가

        최희경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해안사구의 통합적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명확한 기준에 의한 사구의 보전현황에 평가와 그에 근거한 관리전략과 관리지침의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32개 동해안 사구에 대하여 사구역과 해안경관역으로 구분하여 주요 경관생태학적 속성과 토지이용 현황도를 작성하였고, 각 사구의 보전현황을 평가할 항목과 기준을 선정한 다음 그 기준을 따라 보전현황 평가를 수행하였다. 보전현황 평가를 위하여 선정한 항목은 사구지형의 보전, 인공구조물, 경작지, 해수욕장의 이용 그리고 교목림, 관목림 및 초본군락의 7가지 항목이었다. 항목별 평가는 토지이용 현황도에 작성된 각 항목별 면적 구성 비율을 이용하여 상대적인 평가점수를 산출하였다. 보전현황 평가는 각 항목별 점수를 합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는데, 다른 항목보다 중요하다고 판단된 사구 지형의 보전 상태와 해안 식생 항목에 대해서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하였다. 32개 사구에서 보전 현황의 평가는 사구역과 해안경관역의 두 권역으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사구의 굴곡성을 나타내는 해안연장지수는 대부분의 사구가 1.2 이내로서 동해안 특유의 단조로운 해안 특성을 잘 나타내었다. 사구역의 토지이용현황에 따르면 인공구조물이 많이 들어서 있고, 경작지로 이용되는 면적이 넓은 반면에 해안 초본과 관목식생의 훼손상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로밀도가 높고, 인공구조물의 패치밀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자연경관의 단편화 및 난개발이 이루어진 사구들이 많았다. 사구역에 대한 보전현황을 평가한 결과 매우양호로 평가된 사구는 하시동, 원평, 향목 및 송정의 4개 사구, 양호로 평가된 사구는 반암, 송죽, 맹방, 용화, 낙산, 사천, 오산, 고래불, 공현진, 동호 및 옥계의 11개 사구, 보통으로 평가된 사구는 경포, 화진포, 망상, 북분, 낙산, 남애, 죽도, 호산, 봉포 및 연곡의 10개 사구, 훼손으로 평가된 오호와 오봉의 2개 사구, 그리고 매우훼손으로 평가된 사구는 송포, 삼포, 속초 및 주문진의 4개 사구이었다. 해안으로부터 500m 이내의 범위를 갖는 해안경관역에 대한 평가결과는 사구역과 달랐다. 해안경관역에 대한 평가에서 매우양호로 평가된 사구는 하시동 사구 1개 사구뿐이었고, 양호로 평가된 사구는 송죽, 향목, 고래불, 오산, 남항진, 공현진 및 송정의 7개 사구이었고, 보통으로 평가된 사구는 반암, 맹방, 동호, 화진포 및 망상의 5개 사구이었으며, 훼손으로 평가된 사구는 경포, 옥계 등 13개 사구이었고, 매우 훼손으로 평가된 사구는 용화, 주문진 등 6개 사구이었다. 대체적으로 사구역 기준보다 해안경관역에 대한 보전 상태가 불량하다고 평가되었다. 사구에 대한 기능분석 결과, 대부분의 사구들이 보전가치와 이용/개발 가능성이 상충하고 있었으므로 보전과 이용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관리의 방향설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특히 하시동사구는 보전가치를 상승하는 방향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고, 보전가치에 비하여 개발이 이미 많이 이루어진 삼포, 주문진 및 속초는 이미 개발이 많이 이루어졌으므로 개발보다는 보전측면을 강조하는 관리방향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으며, 고래불, 망상, 맹방 및 동호 사구는 현재 보전과 개발이 균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이를 유지하는 관리방향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대체로 사구역 기준보다는 해안경관역 기준의 사구들이 개발방향으로 많이 치우쳐 있으므로 향후 보전가치 상승을 위한 관리전략과 목표 설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특히 동해안의 사구는 해안초본식생과 해안관목식생의 훼손이 심각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므로 사구의 보전 가치 상승과 이용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해안관목과 초본식생의 복원을 위한 보다 체계적인 복원 전략과 관리지침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 관광목적지 개성에 관한 연구 : 일체감, 매력도, 만족도, 충성도를 중심으로

        최희경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1839

        This study is aimed to identify if brand personality can be adopted to destinations. It also examined what are the dimensions of destination personality and what is the relationship among destination personality, identification, attractiveness, satisfaction and loyalty. Through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es, it is found that the Aaker's BPS can be applied to tourism destinations and the destination personality has three dimensions with thirteen personality variables: competence(contemporary, corporate, up-to date, leader and daring), excitement(cool, spirited, sentimental, exciting, cheerful and successful) and reliability(secure and reliable). A research model was proposed in which five hypotheses were developed as follows: (1)if destination personality positively influences on attractiveness, (2)identification ha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destination personality and attractiveness, (3)attractiveness has a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4)identification positively influences on satisfaction, (5)satisfac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loyalty. The empirical data was collected in major tourism destinations.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e high inter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In the regression analysis, the hypothesis one(H1) showed that the dimensions of competence and excitemen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ttractiveness. The hypothesis two(H2) revealed multicollinearity effects between destination personality, identification and attractiveness. And identification moderated the impact of the dimension of reliability on attractiveness. The other hypotheses(H3, H4, H5) showed positive results among identification, attractiveness,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ndicate important implications. That is Aaker's brand personality can be applied to destinations and also a new concept of destination personality could be drawn through this study. As the brand personality has been used for product differentiation and positioning, the destination personality can be used for the differentiation of tourism places in the same way. In conclusion, the manageri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study finding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브랜드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차별화 방법으로 브랜드 개성을 이용하는 것처럼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관광지를 차별화하기 위하여 제 품과 같이 브랜드 개성을 관광지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제품 차별화의 방법으로 Aaker(1997)가 제시한 브랜드 개성(Brand Personality)을 관광목적지 개성 차원으로 분류?적용할 수 있 는지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이에 따른 관광목적지 개성 척도를 도출하고 개성과 일체감, 매력도, 만족도, 충성도 간 영향 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Aaker(1997)가 제시한 브랜드개성 척도(BPS)를 관광목적지 개성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유능, 흥미, 신뢰라는 3개 차원의 13개 개성을 도출하였다. 상관관계분석은 관광목적지 개성, 일체감, 매력도, 만족도, 충성도 간에는 모두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설 검정 결과에서는 첫째, 관광목적지 개성이 관광지 매력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능, 흥미가 매력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신뢰는 영 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목적지 개성이 관광지 매력도에 미치는 영향은 일체감에 따라 높아질 것이라는 가설은 유능과 흥미에서 다중공선성이 발생하여 베타값이 음(-)으로 분석되어 일체감이 조절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기각되었다. 그러나 신뢰는 정(+)의 결과가 나타남으로써 일체감에 따라 개성이 매력도에 미치는 영향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광지 매력도가 관광 만족도를 증가시킬 것이라는 가설은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체감은 관광 만족도를 증가시킬 것이라는 가설은 정(+)의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설 5의 관광 만족도는 충성도를 증가시킬 것이라는 가설은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학문적 분야의 시사점을 제 시하고자 한다. 첫째, Aaker(1997)의 브랜드 개성 척도(BPS)를 관광지에 적용할 수 있다 는 근거를 제시한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기존 브랜드 개성에 관한 연구 들은 대부분 제품이나 서비스, 호텔 및 레스토랑을 대상으로 한 연구였지 만 브랜드 개성을 관광지에 적용한 관광목적지 개성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둘째, 관광지가 어떤 개성을 갖고 있는지를 알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흥 미, 유능, 신뢰라는 3개 차원의 13개 개성이 도출되었다. 향후 관광 분야에 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때 관광목적지 개성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셋째, 지금까지 일반 제품 관련 마케팅에 적용되었던 일체감을 관광에 적용했을 때 관광 만족도와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결과 를 도출함으로써 관광 마케팅 전략에 일체감을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 시할 수 있었다. 네째, 관광목적지 개성, 매력도, 일체감, 만족도, 충성도 간 영향 관계를 검 증함으로써 관광분야 연구에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다섯째, 브랜드 개성이 만족도와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 행연구 결과처럼 본 연구에서도 관광목적지 개성이 만족도와 충성도에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것은 관광목적지 개성을 관광 지에 적용했을 때 제품이나 서비스처럼 관광지를 브랜드화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또한 관광정책 입안자들에게 관광지와 관광객의 관계 구축에 있어 관광목 적지 개성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에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브랜드 개성을 제품에 적용하여 브랜드화에 활용하듯이 관광목적 지 개성을 관광지에 적용하여 브랜드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적인 특성 을 잘 반영하는 관광목적지 개성을 관광 브랜드에 부여함으로써 관광객의 감성적인 면을 자극하는 마케팅을 활용하는 것도 효과적일 것이다. 둘째, 관광목적지 개성을 통하여 새로운 포지셔닝을 시도할 수 있을 것 이다. 차별화를 위하여 자원이나 시설 등 기능적인 면을 강조하는 포지셔 닝에서 탈피하여 관광지 특성을 잘 표현하면서도 관광객들이 공감할 수 있 는 관광목적지 개성을 활용하는 새로운 포지셔닝이 필요하다. 브랜드 개성 이 브랜드와 소비자와의 관계를 밀접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는 것처럼 관광 목적지 개성을 통하여 관광객들과의 친밀감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관광목적지 개성이 관광객의 만족도나 충성도에 영향을 준다는 결 과에 근거하여 과연 어떤 개성이 관광객으로 하여금 만족도나 충성도를 갖 게 하는지를 파악하여 마케팅 전략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타겟 집단이 있을 때 그 집단이 매력적으로 느끼는 개성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마케팅 전략에 반영함으로써 좀 더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네째, 일체감이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에 근거하여 대부분 브랜드에 적용되었던 일체감을 관광지에 적용함으로써 만족도와 충 성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브랜드가 갖고 있는 브랜드 개성이 다른 어떠한 요소보다도 광 고나 홍보 같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통하여 소비자들에게 잘 전달 될 수 있는 것처럼 통합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함으로써 관광목적지 개 성을 관광객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와 충성도의 차이를 파악함으 로써 관광목적지 개성을 활용하여 관광지 브랜드화를 시도할 때 전략 수립 에 도움이 될 것이다.

      • 포크아트 樣式과 表現 技法을 應用한 바디페인팅 作品 硏究

        최희경 漢城大學校 藝術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21st century the culture which is various is recognized and as time of pluralistic attention art the art of various style receives and respect opens the market of the art and is going. Is caused by with development of like this aesthetic sense and makeup artistic field the artiness is coming to be demanded with growth of beauty care industry. Reed painting which is one of makeup artistic field the indigenous artiness of interest and the expressive territory of masses only will be necessary knows reed painting and grafting making beauty care and art was combined the quality element of various style is growing with new art. To recently the event choreography illumination, production etc. is effective in order leads from public performance art of the stage and the artiness and work characteristic to look better, is expressive, with avant garde and popular art with strong message produces an impression from like this change inside and as the art which is an indigenous of one individual is becoming the recognition. But reed painting in masses the style of reed painting calling forth an interest is unfamiliar so far from our country and daytime line culture is recognized and is not recognized concretely to be being and the reason also with the professional manpower tribe the scholastic research which is systematic does not become accomplished and as because not being sees. So so far collection of data of reed painting which is to developmental phase smoothness and until commercial art and decorative art the reed painting work more and the fork art which is joined together Folk Art grafting does from meaning which expects the expansion of information sharing and diffuses scholastically sees that meaning composes the work which recovers from the artistic side, according to national by culture and emotion uniquely, the national art development gropes the expressive technique of the fork art which expresses with the anger law which is developed and sees and the painting door ocean which is our country fork art and the work reflects produces as in reed painting which is original expression of fork art Technique presented a grafting one research possibility and established meaning which raises a artiness put reed painting in indigenous artistic field. The work research and scholastic research of reed painting which applies the expressive technique of fork art with start accomplish the research which sees and route they wish and the place charging with the beauty care art which is developed more, does there is a questionable matter of the research which sees. The research contents of the present paper leads and preceding research paper about history and theoretical process art quality and the element material of reed painting tries to investigate before the Tray which will be a conception legal principled process which is necessary to a design conception and a plan about tries to observe a theoretical background in reed painting production. Applies a fork art form and a technique and in order reed painting work research efficient, the concept, a historical national by fork art feature and a expressive technique of fork art in the center and to observe description below arranges tries, each country with style of characteristics uniquely, applies the basic technique and a material feeling control technique of the fork art which is formed and produces the reed painting work. With research method work production investigate a reed painting general background in the center and the feature and a format and a technique of the national by fork art which is various and apply, the flower door double meaning technique which is trillion toe styles of Russia and a basic hemp cloth unemployment technique and apply the gun blooms rest to use a technique, scandal material feeling etc. naturally with pictures technique grafting The building, and color the picture industrial product etc. and decorates and the painting door good-hearted person head beginning and the appendix which apply the image of East and West a fork art in reed painting the subject matter which is various lead and about low of the work to be how grafting do, researched. Also, with one rolled up and expressed completes and the work which with former production process of reed painting ladled the gun until the distant produced and the characteristic element of the work which is the possibility of feeling time effectively appeared in the work and the human body which express. Like this research process with research result of the present paper to lead with after words escape did a same conclusion. First. The fork art all artistic field is like that with this traditional folk tale passes by the transition period of modernization and reaches the painter with one style of the art which puts a base with the life fine arts of the populace where is not the professional wife's father tech Nick from pole factual depiction of the pure pictures according to variety and other use of the watercolor painting and acryl appeasing etc. subject matter interior decoration or to today and will be able to apply from which place. Also, a new motive and in today when the guard of the pure fine arts and the application fine arts comes to be dim provided there being a possibility to raise the artistic originative American sense of fork art, was made to know. Second. Applied a subject matter and the image which come to seem plentifully from fork art and expresses in reed painting the basic technique of fork art in resultant reed painting which and applied the modern moulding sense and line sense him day this was manifested. Three. Our country traditional color or expression of positive and negative principles, was not bound subject technique etc. and not to be with expressive technique of fork art harmonized well and the quality was well embossed. Four, applied the concept and a quality of fork art in various angle and the possibility of the creation which is infini

      • 아동학대, 공격성 및 아동기 비행간의 관계 : 모녀를 중심으로

        최희경 湖南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에서는 모녀를 중심으로 가족 내에서 행해지는 신체학대가 여아의 공격성과 아동기 비행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신체학대가 아동기 비행에 영향을 미칠 때 야기되는 내부기제에 대해서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생 5, 6학년 여아 229명이고, 평균연령은 11.49세로, 조사시기는 2005년 6월 30일부터 7월 7일까지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학대와 공격성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한 결과, 신체학대는 공격성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신체학대와 공격성의 각 하위요인간의 관계를 보면, 폭행을 제외한 나머지 하위요인들 즉, 간접적 공격성간에는 .23, 부정성 .21, 흥분성 .18, 언어적 공격성 .16 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임으로써 가설 1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따라서 여아가 어머니로부터 많은 신체학대를 받았다고 지각할수록 여아의 공격성향은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공격성과 아동기 비행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한 결과, 공격성은 아동기 비행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공격성과 아동기 비행간의 각 하위요인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폭행은 도피행동을 제외한, 일시적 호기심에서 .29, 사회적 질서파괴 .17, 집단폭력 .27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간접적 공격성은 도피행동을 제외한, 일시적 호기심에는 .28, 사회적 질서파괴 .18, 집단폭력 .20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부정성은 도피행동과 사회적 질서파괴를 제외한, 일시적 호기심에는 .26, 집단폭력 .22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흥분성은 도피행동, 사회적 질서파괴, 집단폭력을 제외한, 일시적 호기심에서 .18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언어적 공격성은 일시적 호기심, 사회적 질서파괴를 제외한, 도피행동에는 .17, 집단폭력 .18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연구결과는 아동의 공격성향이 높을수록 아동기 비행성향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함으로써 가설 2를 부분적으로 지지하였다. 셋째, 신체학대와 아동기 비행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한 결과, 신체학대는 아동기 비행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신체학대와 아동기 비행의 하위요인들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도피행동을 제외한, 신체학대와 일시적 호기심간에는 .30, 사회적 질서파괴 .18, 집단폭력 .39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신체학대와 아동기 비행의 하위요인 중 도피행동을 제외한 나머지 하위요인간에는 유의한 관계를 보임으로써 가설 3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이는 여아가 어머니로부터 많은 신체학대를 받았다고 지각할수록 여아의 아동기 비행행동을 많이 보인다는 것을 시사한다. 넷째, 신체학대가 아동기 비행에 영향을 미칠 때 공격성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집단폭력은 직접효과만을 보였고, 도피행동에서만 공격성이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시적 호기심과 사회적 질서파괴는 직접효과뿐만 아니라 간접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머니로부터 신체학대를 받았다고 지각하는 여아일수록 공격성이 내면화되며, 이는 직 · 간접적으로 아동기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형제관련변인, 친구관련변인, 학업성적, 외모만족도에 따른 신체학대와 공격성, 아동기 비행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형제관련 변인 중 형제와의 갈등빈도만이 신체학대와 유의한 관계를 보였고, 형제관련변인의 대부분이 공격성과 아동기 비행에 유의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관련변인 중 친구관계는 언어적 공격성에만 유의한 관계를 보였고, 학업성적은 언어적 공격성과 아동기 비행의 도피행동과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또한 외모만족도는 아동기 비행의 일시적 호기심에만 유의한 관계를 보임으로써 가설을 부분적으로 지지하였다. 이는 아동학대, 공격성 및 아동기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형제관계, 친구관계, 학업성적 및 외모만족도가 중요함으로 알 수 있으며, 보다 정교한 연구를 위해서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relations between physical abuse by family members and the aggressiveness and juvenile delinquency of daughters, focusing on mother-and-daughter relationship. It also examined how physical abuse by mother affected misbehaviors in childho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9 female students of fifth and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ged 11.49 on average.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une 30 to July 7 in 2005.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hysical abuse and aggressiven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in correlation analysis. Hypothesis 1 was partially supported since correlations between subordinate factors in indirect aggressiveness category other than violence turned out significant: negativity .23, excitability .18, verbal aggressiveness .16.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more a daughter perceives that she was abused by her mother, the more likely she is to display aggressiveness. Second, aggressiveness and juvenile delinquency reveal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the correlation analysis.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 factors of aggressiveness and juvenile delinquency, violence showed significance in temporary curiosity (.29), subversion of social order (.17), and organized violence (.27) except for avoidance behavior. Indirect aggressiveness showed significance in temporary curiosity (.28), subversion of social order (.18), and organized violence (.20) except for avoidance behavior. Negativity showed significance in temporary curiosity (.26) and organized violence (.22) except for avoidance behavior and subversion of social order. Verbal aggressiveness showed significance in avoidance behavior (.17) and organized violence (.18) except for temporary curiosity and subversion of social order. In consequence, partially supported was Hypothesis 2 that the more aggressive a child is, the more likely he/she is to commit juvenile delinquency. Third, physical abuse and juvenile delinquency revealed positive correlation in correlation analysis.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 factors of physical abuse and juvenile delinquency,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buses showed significance in temporary curiosity (.30), subversion of social order (.18) and organized violence (.39) except for avoidance behavior. Thus, hypothesis 3 was also partially supported by showing significance in subordinate factors of physical abuse and juvenile delinquency except for avoidance behavior. This implies that the more a daughter perceived she was abused by her mother, the more likely she is to commit juvenile delinquency. Forth,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aggressiveness affected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abuse and juvenile delinquency. The results showed that organized violence had a direct impact but aggressive acted as an intermediary in avoidance behavior. In addition, temporary curiosity and subversion of social order had not only direct effect but also indirect effect.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a daughter who perceived that she was physically abused by her mother is likely to internalize her aggressiveness, which affect directly and indirectly juvenile delinquency. Fifth,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 between physical abuse, aggressiveness and juvenile delinquency in proportion to sibling variables, friends variable, academic achievements, and satisfaction in appeara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conflicts among siblings had significant effect on physical abuse but most of sibling variables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ggressiveness and juvenile delinquency. Among friend variables, friendship had significance in verbal aggressiveness and academic achievements had significance in verbal aggressiveness, juvenile delinquency and avoidance behavior. Moreover, satisfaction in appearance proved significant only in temporary curiosity of juvenile delinquency. So, hypothesis was partially supported. This signifies that siblings, friends,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appearance ar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relations between child abuse, aggressiveness and juvenile delinquency. More sophisticated further study is needed.

      • 유치원 교사의 특수교육 전문 능력에 대한 인식조사

        최희경 광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장애유아를 포함한 모든 유아의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자질과 인성을 갖춘 유치원 교사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알아봄으로써 유치원 교사의 연수 방안과 근무 환경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 유치원 교사가 구비해야 할 특수교육 전문 능력을 유치원 교사의 하위변인 별로 알아본다. 둘째 : 유치원교사가 구비하고 있는 특수교육 전문 능력을 유치원 교사의 하위변인별로 알아본다. 셋째 : 유치원교사의 하위변인에 따른 특수교육 저해요인에 대해 알아본다. 연구의 대상은 전남지역의 공·사립 유치원 교사 및 어린이집 교사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유치원 교사의 특수교육 전문 능력에 대한 인식을 설문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지 문항구성은 영역별로 나누어 제시하면 첫째, 특수교육의 전문성, 둘째, 특수교육 저해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설문지의 자료로 얻어진 내용의 통계처리는 SPSSWIN1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문항을 빈도·백분율로 산출하였고, 요인분석, F-검증 및 분산분석,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해석으로부터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가 구비해야 할 특수교육 전문성에 관한 인식 비교에서 주목할 점은 공립유치원 교사가 사립유치원이나 어린이집 교사보다 특수교육 지식에 대한 인식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공립 유치원 교사가 사립유치원 교사보다 특수교육에 대한 연수의 기회가 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둘째, 유치원 교사가 구비하고 있는 특수교육 전문 실태 비교에서 주목할 점은 특수교육에 대한 강좌 경험(p <.01)이 있을수록 구비하고 있는 특수교육에 관한 지식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특수교육과 관련된 연수가 유치원 교사의 특수교육 전문성 향상에 기여함을 알 수 있다. 셋째, 한편, 유치원 교사의 특수교육 수행을 저해하는 요인에서 주목할 점은 교사의 연령과 경력이 낮을수록 교육적·개인적 저해요인에 대해 유치원교사의 특수교육 수행을 저해하는 요인이라고 전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며, 사립유치원 교사일수록 이질적 학급집단, 교육방법의 곤란, 불충분한 교육, 연수기회의 부족, 과다한 수업시간이 특수교육 전문성의 저해요인이라고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유치원 교사의 특수교육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환경의 시설과 설비를 확충하여 환경을 재구조화 할 필요가 있으며, 사립유치원 교사에 대한 특수교육 연수 기회를 자주 갖게하여 사립유치원 교사에게 전문성 향상의 기회를 가지게 할 필요가 있다.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특수교육에 대한 전문 지식의 확장과 연수의 기회가 넓혀져야 한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인식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법적, 제도적, 행정적 지원이 우선되어야 한다. 셋째, 유치원 통합교육의 현실을 고려하여 빠른 시일 내에 진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training methods for kindergarten teacher and the way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by examining the variables the influence the enhancement of the professional ability of kindergarten teacher equipped with good qualifications and personality to satisfy the various educational requirements for all preschool children including special children. The specific purpos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professional ability for special education that a kindergarten teacher must be equipped with is examined per the sub variables for kindergarten teachers. Secondly, the professional ability for special education currently possessed by kindergarten teachers is examined per the sub variables for kindergarten teachers. Thirdly, the arresting factors for kindergarten teachers are examined per the sub variables. The object of the study is the teachers at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nd preschools in the jeollanam-do province region that was randomly chosen for a survey for the recognition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 ability for special education. The structure of the questionnaire in each sphere is composed of firstly, the professional ability in special education and, secondly, the arresting factors for the special education. And the statistic treatment of the contents acquired from the data of the questionnaire was done to calculate each question's frequency and percentage using the SPSSWIN11.0 program, and the factor analysis, F-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 analysis were also conducted.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their interpretation are as follows. Firstly, what is notable in the comparison of the recognition on the professional ability for special education that must be possessed by kindergarten teachers is that the teachers at public kindergarten have a higher degree of recognition on the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than the teachers at private kindergarten or preschools, which seems to be due to the fact that the teachers at public kindergarten have a systematic training on special education than the teachers at private kindergarten. Secondly, what is notable in the comparison of the professional qualif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possessed by kindergarten teachers is that the possessed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appeared higher as there was an experience of lecture (p <.01) on special education, which shows that the training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in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 ability for special education. Thirdly, what is notable in the arresting factors for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formance of special education is that the younger the teachers and the les experience they have, the more it is recognized that the educational factors and personal factors are the arresting factors for the professional ability for the special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afore-mentioned study results, the suggestions for the successive studies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ly, the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on special education and the opportunity for training must be expanded. Secondly, the legal,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which cannot be solved by the recogni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only must be provided first. Thirdly, the matter needs to be proceeded soon considering the reality of the integrated education of kindergartens.

      • 울진 왕피리 주석광의 품위향상을 위한 부유선별 특성연구

        최희경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부가가치가 높은 국내 부존 주석광의 효율적인 개발을 위해 이에 기여하는 선별기술을 개발하고자 부유선별법을 이용하여 주석광의 품위향상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시료는 경북 울진 왕피리 지역에서 채취한 주석광으로 원광의 Sn 품위는 1.37%이고, 주석의 광석광물은 석석으로 확인이 되었다. 주요 불순물은 XRD 분석결과 대부분이 규산염광물로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석 정광을 회수하기 위해 올레인산 포수제를 사용한 부유선별의 경우, 조건변화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최적조건을 얻을 수 있었다. 조선 부선의 경우 입자크기 -150mesh, 광액농도 30%solid, 부선기 교반속도 1,500rpm에서 억제제(Na2SiO3) 300g/t, pH 5(H2SO4), 포수제(oleic acid) 600g/t, 기포제(AF65) 20g/t의 순서로 첨가하였으며, 정선 부선에서는 부선기 교반속도를 1,200rpm으로 낮추고, 광액의 pH를 5로 유지하여 8회의 정선횟수를 실시하였다. 이때 Sn의 품위와 회수율이 각각 55.32%와 77.24%인 최종 주석 정광을 회수할 수 있었다. 광액의 pH를 5로 유지하여 정선 부선을 실시하면서 광물 종류에 따라 억제의 특성이 서로 다름을 확인하였다. 고품위 주석 정광을 회수하기 위해 선택성이 향상된 알킬-하이드록삼산 포수제를 사용한 부유선별의 최적조건은 다음과 같다. 조선 부선의 경우 입자크기 -150mesh, 광액농도 20%solid, 부선기 교반속도 1,200rpm에서 억제제(Na2SiF6) 1,000g/t, pH 5(H2SO4), 포수제(alkyl-hydroxamic acid) 600g/t, 기포제(AF65) 20g/t의 순서로 첨가하였으며, 정선 부선에서는 억제제 500g/t 첨가 후, 광액의 pH를 5로 유지하여 정선횟수 3회를 실시하였고, 이때 Sn 품위와 회수율이 각각 75.55%와 89.86%의 고품위의 최종 주석 정광을 회수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올레인산 포수제는 선택성이 낮지만 정선 과정에서 pH 조절과 같은 제반조건의 변화만으로 비교적 높은 선별효율의 최종 주석 정광을 회수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선택성이 좋은 알킬-하이드록삼산 포수제의 경우 규산염 맥석광물 억제에 효과적이면서 포수제와 가장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 억제제 NaSiF6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공정의 단축화와 더불어 선별효율이 우수한 선별기술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향후 저품위 주석광 뿐만 아니라, 주석광의 비중선별 과정에서 발생되는 광미 중 미립자 주석의 회수를 위한 부유선별 처리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study on the grade improvement of tin ore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separation technology adopting froth flotation for the efficient development of domestic tin ore having high added value. The sample used in this study was obtained from Wangpiri, Uljin area. And it was known as cassiterite having grade of 1.37%Sn. The impurity minerals were examined as quartz, amphibole, biotite, muscovite, chlorite by XRD analysis. Froth flotation using oleic acid as collector was carried out with various changes of experiment conditions for the recovery of relatively high grade tin concentrate. The optimum conditions obtained were as follows, -150mesh ground sample, 30%solid in pulp density, 1,500rpm in impeller velocity and the addition of reagents in sequence such as Na2SiO3(depressant) 300g/t, pH 5 using sulfuric acid(pH modifier), oleic acid(collector) 600g/t and AF65(frother) 20g/t, respectively. The cleaner flotation on the rougher concentrate was performed at 1,200rpm in impeller velocity, maintaining pH 5 and 8 cleaning stages. As a result, it appears that tin concentrate of Sn grade of 55.32% is obtained with recovery of 77.24%Sn. Especially, it is confirmed that the selective depression effect on different minerals appears in the 8 cleaner stages, keeping at pH 5. And another froth flotation using alkyl-hydroxamic acid as collector was carried out in order to get high grade tin concentrate. The optimum conditions obtained were as follows, -150mesh ground sample, 20%solid in pulp density, 1,200rpm in impeller velocity and the addition of reagents in sequence such as Na2SiF6(depressant) 1,000g/t, pH 5 using sulfuric acid(pH modifier), alkyl-hydroxamic acid(collector) 600g/t and AF65(frother) 20g/t, respectively. The cleaner flotation on the rougher concentrate was performed to add to depressant 500g/t in the 3 cleaning stages, respectively. Consequently, the result shows that the high grade tin concentrate of 75.55%Sn is obtained with 89.86%Sn recovery. In conclusion, it is confirmed that the use of oleic acid having low selectivity renders to get fair grade tin concentrate with good recovery, if controlling proper pH adjustment in the cleaning stage. Moreover,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coupling uses of alkyl-hydroxamic acid as collector and Na2SiF6 as selective depressant renders to get excellent high grade tin concentrate with good recovery and to make the process simplicity as well. In the future, therefore, it expects that froth flotation technology and process studied can effectively be applied for the development of not only the low-grade tin ore but also the fine particle size tin in tailing wasted from tin gravity separation process in the future.

      • 리더십유형과 임파워먼트가 看護師의 職務滿足 및 組織沒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희경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1839

        최근 병원조직의 환경은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다변화 환경속에서 기존의 전통적 조직체계는 조직의 발전을 감소시키고 내적으로는 조직구성원들의 의기소침과 무력감, 그리고 탈진을 유발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조직 구성원들은 지식이나 창의력을 키우고 변화에 대처할 수 있도록 임파워먼트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조직의 유효성을 높히고, 개인들은 직무나 역할로부터 많은 의미와 성취감을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조직구성원들의 태도나 지각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 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으며 특히 임파워먼트에 적합한 리더십 유형으로 변형적 리더십이 제시되고 있다. 이는 비전제시를 통한 자발적인 노력을 유도하고 직무에 대한 의미감이나 창의성을 가지고 변화에 대처하도록 구성원들을 동기부여시키는 리더십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고 병원조직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임파워먼트와 리더십 유형에 대한 이론들을 정리하고 리더십과 임파워먼트 그리고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연계하여 연구함으로서, 이들간의 관련성을 찾고자 하였다. 아울러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고 구성원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조직몰입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리더십을 제시하려는 것이 연구자가 원했던 결과이다. 이와 같은 실증적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팀리더의 변형적 리더십의 발휘는 간호사들로 하여금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거래적 리더십의 발휘에서 상황에 대한 보상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예외에 의한 관리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역 상관관계를 보여 하위 직원들의 이탈된 행동이나 부족한 면을 찾기 위한 리더의 활동이 발휘될수록 하위직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팀리더의 변형적 리더십의 발휘는 간호사의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거래적 리더십의 발휘는 상황에 대한 보상은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예외에 의한 관리는 역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리더가 하위직원이 업무를 원할히 하지 못하는 경우에 주로 관심을 두고 관여를 할수롤 부하직원의 임파워먼트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파워먼트가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권한이나 파워가 구성원간에 공정하게 배분되고 업무의 목표나 목적이 자신의 가치에 비추어 중요하다고 생각될 때 구성원들은 직무수행시 만족을 느끼고 조직에 몰입하게 될 것이다.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가 부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파워먼트의 매개역할을 통하여 팀리더의 리더십이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변형적리더십이 거래적리더십보다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더들은 하위자들이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이며, 직무나 자신의 역할에 있어 자신감과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고, 조직생활에서 자신의 역할상의 의미감을 찾아 생활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어야 할 것이다. Today, environments of healthcare and hospital organizations are changing very raipdly, previous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human management produce negative organizational development and cause organizational member's powerlessness, lack of autonomy, burnout, frustration and decrease individual work effectiveness. In response to these rapid and seemingly uncontrollable changes, organizational members should be empowered with their self-confidence and self-responsibility. Through empowerment process, feelings of powerlessness can be reduced and enhance the effective work behaviours of employees, thus enabling them to successfully achieve organizational goals Leadership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influencing subordinates' empowerment and empowerment is most widely discussed influence transformational leaders have on follwers. Nowaday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discussed as most suitable leadership style on employees' empowerment, which enhance followers' work-oriented values and shape the self-efficacies , but empirical study clarifying these relationship for hospital members haven't been analyzed until now. This study is attempted to explore the relation between leadership style and emplwerment and its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among the nursing staff.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both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However, of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subscales, only contingent reward is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Management by exception is nega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Second, all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variables are positively related to empowerment. Of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variables, only contigent reward is posistively related to empowerment. The management-by-exception is negatively related to empowerment. Third,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are showed that transformational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subordinates'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were moderated by the empowerment, Partially. Fourth, as expect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more positively related with subordinates'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job involvement than transactional leader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