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비노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여부에 따른 죽음불안과 품위있는 죽음태도의 차이

        양소명 원광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목적 : 본 연구는 예비노인을 대상으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여부에 따른 죽음불안과 품위있는 죽음태도를 파악하여 예비노인의 죽음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책 마련 및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제도의 정착과 활성화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 본 연구는 원광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시행하였으며 (WKUIRB-201806-047-01), 만 55세에서 만 65세 미만의 예비노인을 대상으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여부에 따른 죽음불안과 품위있는 죽음태도의 차이를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J도 소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에서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한 예비노인 67명과 보건소와 복지시설을 이용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하지 않은 예비노인 68명, 총 13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죽음불안 도구는 Thorson과 Powell (1992)의 RDAS (Revised Death Anxiety Scale)를 박은경(1995)이 한국인을 대상으로 수정·보완한 총 34문항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품위있는 죽음태도는 조계화(2011)가 한국인을 대상으로 개발한 총 30문항의 품위있는 죽음태도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8월 1일부터 2019년 2월 28일까지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χ2-test,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COVA로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남성이 20명(29.9%), 여성이 47명(70.1%)이었다. 연령은 ‘만 55세~60세 미만’ 45명(67.2%), ‘만 60세~65세 미만’ 22명(32.8%), 배우자가 ‘있다’는 61명(91.0%), ‘없다’는 6명(9.0%)이었다.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이하’가 30명(44.8%), ‘전문대 졸업 이상’이 37명(55.2%)이었고, 주관적 소득수준은 ‘높다’가 9명(13.4%), ‘보통’이 51명(76.1%), ‘낮다’가 7명(10.4)이었다. 종교가 ‘있다’는 55명(82.1%), ‘없다’는 12명(17.9%)이었고, 대상자가 가족의 죽음을 경험한 횟수는 ‘0회’ 5명(7.5%), ‘1~2회’ 30명(44.8%), ‘3~4회’ 20명(29.9%), ‘5회 이상’이 12명(17.9%)이었다. 만성질환의 유무는 ‘있다’가 42명(62.7%), ‘없다’가 25명(37.3%)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비작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남성이 15명(22.1%), 여성이 53명(77.9%)이었다. 연령은 평균 ‘만 55세~60세 미만’ 35명(51.5%), ‘만 60세~65세 미만’ 33명(48.5%), 배우자가 ‘있다’는 59명(86.8%), ‘없다’는 9명(13.2%)이었다.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이하’가 56명(86.8%), ‘전문대 졸업 이상’이 12명(17.6%)이었고, 주관적 소득수준은 ‘높다’가 4명(5.9%), ‘보통’이 41명(60.3%), ‘낮다’가 23명(33.8%)이었다. 종교가 ‘있다’는 47명(69.1%), ‘없다’는 21명(30.9%)이었고, 대상자가 가족의 죽음을 경험한 횟수는 ‘0회’ 4명(5.9%), ‘1~2회’ 35명(51.5%), ‘3~4회’ 23명(33.8%), ‘5회 이상’이 6명(8.8%)이었다. 만성질환의 유무는 ‘있다’가 52명(76.5%), ‘없다’가 16명(23.5%)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 대상자의 죽음불안은 2.26점(±0.64), 품위있는 죽음태도는 3.16점(±0.44)이었으며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대상자의 죽음불안은 2.19점(±0.64)이었고, 품위있는 죽음태도는 3.34점(±0.44)이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비작성 대상자의 죽음불안은 2.34점(±0.64)이었고, 품위있는 죽음태도는 2.99점(±0.38)이었다. 넷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여부에 따른 죽음불안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작성 대상자의 죽음불안은 평균 2.19점(±0.65), 비작성 대상자는 2.34점(±0.64)으로 나타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비작성 대상자의 죽음불안 점수가 더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F=1.85, p=.177). 다섯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여부에 따른 품위있는 죽음태도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작성 대상자의 품위있는 죽음태도는 3.34점(±0.44), 비작성 대상자는 2.99점(±0.38)으로 작성한 대상자의 품위있는 죽음 태도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F=14.81, p<.001). 품위있는 죽음태도의 ‘정서적 안위유지(F=9.88, p=.002)’, ‘사회적 관계정리(F=9.03, p=.003)’, ‘고통 없음(F=11.87, p=.001)’, ‘자율적 의사결정(F=6.04, p=.015)’, ‘역할보존(F=15.72, p<.001)’ 모든 하위항목에서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한 대상자의 품위있는 죽음태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자와 비작성자의 죽음불안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한 예비노인은 비작성 대상자에 비해 품위있는 죽음태도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한 대상자는 비작성 대상자보다 인간적 품위를 지니고 생을 마감하길 원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예비노인 시기부터 자신의 임종과정에 대해 준비하고 자율적인 의사결정을 하도록 돕기 위해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활동과 죽음준비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적극적인 중재는 예비노인이 노년기에 진입하여 노인이 되었을 때 품위있는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an advanced directive (AD) system that can identify dignified death attitudes and reduce the death anxiety of preliminary through their preparation of an AD.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after obtaining approval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Wonkwang University (WKUIRB-201806-047-01). A descrip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death anxiety and dignified death attitudes in the preliminary elderly, aged 55 to 64 years based on whether they signed an AD. It us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to collect data from 135 participants recruited from health centers and welfare facilities located in J-province who did or did not sign an AD. The Revised Death Anxiety Scale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Park (1995) is a death anxiety tool adapted for Koreans that includes 34 questions, which were previously modified by Thorson and Powell (1992). For measuring dignified death attitudes, this study used by Jo’s (2011) 30-question dignified death attitude tool that considers Korean’s socio-cultural etho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018 to February 2019, and frequency, percentage, means, standard deviations, χ2-test,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ANCOV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Results : The study’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f the participants who signed an AD, 20 (29.9%) were males and 47 (70.1%) females; 45 (67.2%) and 22 (32.8%) were in the “55 to 59” and “60 to 64” age brackets, respectively. Sixty-one (91%) had a partner while 6 (9.0%) did not. Regarding education level, 30 (44.8%) were middle school or high school graduates, and 37 (55.2%) were college or university graduates. Regarding participant’s subjective income levels, 9 (13.4%) indicated “high” income, 51 (76.1%) “average”, and 7 (10.4%) “low”. Fifty-five (82.1%) participants practiced a religions and 12 (17.9%) did not. Five (7.5%) participants had not experienced the death of a family member, 30 (44.8%) had experienced it “1–2 times”, 20 (29.9%) “3–4 times”, and 12 (17.9%) “more than 5 times”. Forty-two (62.7%) participants had chronic diseases and 25 (37.3%) did not. Second, of the participants who did not signed an AD, 15 (22.1%) were males and 53 (77.9%) female; 35 (51.5%) and 33 (48.5%) were in the “55 to 59” and “60 to 64” age brackets, respectively. Fifty-nine (86.8%) had a partner and 9 (13.2%) did not. Regarding education level, 56 (82.4%) were middle school or high school graduates and 12 (17.6%) were college or university graduates. Regarding participant’s subjective income levels, 4 (5.9%) participants indicated “high” income, 41 (60.3%) “average”, and 23 (33.8%) “low”. Forty-seven (69.1%) participants practiced a religions and 21 (30.9%) did not. Four (5.9%) had not experienced the death of a family member, 35 (51.5%) had experienced it “1–2 times”, 23 (33.8%) “3–4 times”, and 6 (8.8%) “more than 5 times”. Fifty-two (76.5%) participants had chronic diseases and 25 (37.3%) did not. Third, the overall scores were: 2.26 points (±0.64) on the death anxiety scale and 3.16 points (±0.44) for dignified death attitude. The death anxiety score of those who prepared an AD was 2.19 (±0.64) and their dignity of death score was 3.34 (±0.44). The death anxiety score of those who did not prepared an AD was 2.34 (±0.64) and their dignity of death score was 2.99 (±0.38). Fourth, this study found differences in death anxiety scores based on whether an AD was signed or not. The average scores of those who prepared and did not prepare an AD were 2.19 (±0.65) and 2.34 (±0.64), respectively. As a result, participants who had not signed an AD had higher death anxiety score than those who had signed an AD,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1.85, p=.177). Fifth, the difference in the dignified death attitude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group that signed an AD: 3.34 (±0.44), as compared to the group that did not sign an AD: 2.99 (±0.38).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14.81, p<.001). The attitude of dignified death consists of five themes: “maintain emotional security” (F=9.88; p=.002), “social relationship theorem" (F=9.03, p=.003), “no pain” (F=11.87, p=.001), “self-determination” (F=6.04, p=.015), and “role preservation” (F=15.72, p<.001). The scores revealed that the group that signed an AD had significantly higher “dignified death attitudes”. Conclusion : This study found that the preliminary elderly who signed an AD had a higher dignified death attitude score than those who did not. Additionally, these participants wanted their life to end with dignity.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actively promote public campaigns for ADs and develop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help preliminary elderly prepare themselves for a dignified death and make autonomous decisions. Such activities will facilitate their preparedness for a good death as they age.

      • 섬유근통증후군 환자의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문애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pain, fatigue, perceived stress, and quality of life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among them, and to identify their impact on quality of life.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from 126 outpatients diagnosed with fibromyalgia at W University Hospital in I City. The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is study used Visual Analogue Scale (VAS) to measure pain,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Fatigue (MAF) developed by Tack (1991) to measure fatigue, Perceived Stress Scale (PSS) developed by Cohen et al. (1983) to measure perceived stress, and Kim's (1994) 44 items adopted from Noh's (1988) 47 items to measure quality of life. Data were analyzed through PASW 18.0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s,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s follows: the majority age group was 40-49 years (49, 38.9%) and the average age was 49.01 (±8.08) years, 60 (47.6%) graduated from high school, 78 (61.9%) had spouses, 108 (85.7%) had family and the average family size was 1.86 (±1.31) members, 117 (92.9%) had children and the average number of children was 1.87 (±0.88), 46 (36.5%) were Christians, 83 (65.9%) were housewives, and 60 (47.6%) earned less than 1 million won a month. In terms of disability, 28 (22.2%) had disabilities in daily life caused by the disease, 23 (18.3%) had disabilities in physical activity, 17 (13.5%) had pain, and 17 (13.5%) had disability in working. The most common period of sickness group was 5-10 years (45, 35.7%) and the average period was 95.33 months (±75.40). The most common period of treatment group was 1-5 years (96, 76.2%) and the average period was 35.93 months (±30.89). In terms of hours of sleep, 92 (73.0%) slept less than 6 hours, whereas 34 (27.0%) slept more than 6 hours, and the average was 274.29 minutes (±100.81). 2.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subject's pain, fatigue, and perceived stress, the average scores were 7.79 (±1.65), 39.81 (±8.53), 23.78 (±5.62), 122.77 (±14.80), respectively.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ducation (F=4.082, p=.008), occupation (F=4.584, p=.002), monthly income (F=4.337, p=.003), hours of sleep (t=2.704, p=.008) in pain and education (F=3.751, p=.013), marital status (t=-2.159, p=.033), occupation (F=3.423, p=.011), monthly income (F=2.531, p=.044), period of sickness (F=5.751, p=.004), and hours of sleep (t=4.231, p<.001) in fatigue, family status (t=-2.353, p=.020), monthly income (F=5.925, p<.001), period of sickness (F=3.272, p=.041), duration of treatment (F=7.029, p=.001), and hours of sleep (t=5.285, p<.001) in perceived stress, and marital status (t=5.009, p<.001 ), family status (t=4.003, p<.001), monthly income (F=10.741, p<.001), period of sickness (F=3.727, p=.027), and hours of sleep (t=-4.199, p<.001) in quality of life. 4.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correlations among subject's pain, fatigue, perceived stress, and quality of life,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ain and fatigue (r=.616, p<.001), pain and perceived stress (r=.430, p<.001), and fatigue and perceived stress (r=.494, p<.001), whereas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pain and quality of life (r=-.446, p<.001), fatigue and quality of life (r=-.544, p<.001), and perceived stress and quality of life (r=-.653, p<.001). 5. The following were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effect of pain, fatigue, perceived stres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n the quality of life. 1) In model Ⅰ, pain (ß=-.342, p<.001)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ß=.274, p=.005) significantly affected quality of life (R²=.313). 2) In model Ⅱ, fatigue (ß=-.434, p<.001)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ß=.305, p=.001) significantly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R²=.373). 3) In model Ⅲ, perceived stress (ß=-.551, p<.001)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ß=.209, p=.016) significantly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R²=.466). 4) In model Ⅳ, pain (ß=-.079, p=.356) was not significant whereas fatigue (ß=-.215, p=.016), perceived stress (ß=-.436, p<.001), and number of family members (ß=.192, p=.022)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R²=.507). Among them, perceived stress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at affected quality of life. Conclusion : This study found that patients with fibromyalgia had been experiencing moderate to severe pain, fatigue, and perceived stress. These symptoms that correlated with one another were important factors that reduced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m, perceived stress, fatigue,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significantly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Consequently, in order to promote quality of life, nursing interventions focusing on the management of stress and the development of family support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목적 : 본 연구는 섬유근통증후군 환자들의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 삶의 질을 확인하고,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와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 대상자는 I시에 위치한 W대학병원에서 류마티스 내과 전문의에 의해 섬유근통증후군 진단을 받은 여성 외래 환자 126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 통증은 시각상사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사용하였고, 피로는 Tack(1991)이 개발한 다차원적인 피로척도(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Fatigue: MAF)를 이경숙과 이은옥(1998)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지각된 스트레스는 Cohen 등(1983)이 개발한 전체 10개 문항으로 구성된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erceived Stress Scale: PSS)를 사용하였다. 삶의 질 측정도구는 노유자(1988)가 개발한 47개 문항의 도구를 김종임(1994)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44개 문항으로 수정한 삶의 질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연령은 40-49세가 49명(38.9%)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49.01세(±8.08)이었고, 학력은 고졸이 60명(47.6%)으로 가장 많았다. 배우자가 있는 경우 78명(61.9%), 가족이 있는 경우 108명(85.7%)으로 평균 가족수는 1.86명(±1.31)이며, 자녀가 있는 경우 117명(92.9%)으로 평균 자녀수는 1.87명(±0.88)이었다. 종교는 기독교가 46명(36.5%), 직업은 주부 83명(65.9%), 월수입은 100만원 미만이 60명(47.6%)으로 가장 많았다. 질병으로 인한 불편감으로 일상생활 장애가 28명(22.2%)으로 가장 많았고, 신체활동 장애 23명(18.3%), 통증 17명(13.5%), 직장생활 장애 17명(13.5%)순 이었다. 투병기간은 5-10년 미만이 45명(35.7%)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투병기간은 95.33개월(±75.40)이었고, 치료기간은 1-5년 미만이 96명(76.2%)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치료기간은 35.93개월(±30.89)이었다. 대상자의 수면시간은 6시간 미만이 92명(73.0%), 6시간 이상은 34명(27.0%)으로 평균 274.29분(±100.81)이었다. 둘째, 대상자의 통증은 평균 7.79점(±1.65), 피로는 평균 39.81점(±8.53), 지 각된 스트레스는 평균 23.78점(±5.62), 삶의 질은 평균 122.77점(±14.80)이었다. 셋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통증은 학력(F=4.082, p=.008), 직업(F=4.584, p=.002), 월수입(F=4.337, p=.003), 수면시간(t=2.704, p=.008)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피로는 학력(F=3.751, p=.013), 배우자 유무(t=-2.159, p=.033), 직업(F=3.423, p=.011), 월수입(F=2.531, p=.044), 투병기간(F=5.751, p=.004), 수면시간(t=4.231, p<.001)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지각된 스트레스는 가족 유무(t=-2.353, p=.020), 월수입(F=5.925, p<.001), 투병기간(F=3.272, p=.041), 치료기간(F=7.029, p=.001), 수면시간(t=5.285, p<.001)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삶의 질은 배우자 유무(t=5.009, p<.001), 가족 유무(t=4.003, p<.001), 월수입(F=10.741, p<.001), 투병기간(F=3.727, p=.027), 수면시간(t=-4.199, p<.001)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대상자의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통증과 피로(r=.616, p<.001), 통증과 지각된 스트레스(r=.430, p<.001)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증과 삶의 질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446, p<.001)가 있었다. 피로와 지각된 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494, p<.001)가 있었고,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544, p<.001)가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스트레스와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653,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 일반적 특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형 Ⅰ에서 통증과 일반적 특성을 검정한 결과 통증(ß=-.342, p<.001) 과 가족수(ß=.274, p=.005)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31.3% 설명하였다(R²=.313). 2) 모형 Ⅱ에서 피로와 일반적 특성을 검정한 결과 피로(ß=-.434, p<.001) 와 가족수(ß=.305, p=.001)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37.3% 설명하였다(R²=.373). 3) 모형 Ⅲ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와 일반적 특성을 검정한 결과 지각된 스 트레스(ß=-.551, p<.001)와 가족수(ß=.209, p=.016)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46.6% 설명하였다(R²=.466). 4) 모형 Ⅳ에서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와 일반적 특성을 검정한 결과 통증(ß=-.079, p=.356)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피로(ß=-.215, p=.016), 지각된 스트레스(ß=-.436, p<.001), 가족수(ß=.192, p=.022)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50.7% 설명하였으며(R²=.507), 삶의 질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요인은 지각된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결론 : 섬유근통증후군 환자는 중등도 이상의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를 동시에 경험하고 있으며, 이러한 증상들은 상호 연관성을 가지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 중 지각된 스트레스, 피로, 가족수가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삶의 질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요인은 지각된 스트레스이었다. 따라서 섬유근통증후군 대상자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해서 스트레스 관리에 초점을 둔 간호중재와 가족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간호사의 소진과 공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다솜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목적: 본 연구는 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소진, 공감만족, 간호조직문화, 극복력, 임상수행능력을 조사하고 소진과 공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추후 간호사의 소진을 낮추고 공감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원광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진행하였으며(IRB No. WKUH-2020-09-016-004),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연구 대상자는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239명이었다. 연구도구로 소진과 공감만족은 Stamm (2010)이 개발한 PROQOL Version 5 중 소진과 공감만족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간호조직문화는 한수정 등(2004)이 개발한 간호조직문화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극복력은 박미미와 박지원(2016)이 개발한 간호사 극복력 측정도구를, 임상수행능력은 손정태 등(2007)이 개발한 간호사 임상수행능력 측정도구를 이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21년 3월이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연구 대상자는 모두 여성이었으며, 연령은 20세~29세가 149명(62.3%)으로 가장 많았고 평균연령은 30.40±7.34세였다. 학력은 4년제 졸업이 201명(84.1%), 종교는 없음 158명(66.1%), 결혼상태는 미혼 169명(70.7%), 자녀 수는 없음이 184명(77.0%)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만족도에 대해 보통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145명(60.7%)으로 가장 많았고, 근무부서는 외과 86명(36.0%), 근무부서 만족도는 보통 106명(44.4%)이었다. 근무경력은 1년~5년 미만이 117명(49.0%)이 가장 많았으며 근무 경력은 평균 7.30±7.38년이었다. 현 부서에서의 근무경력은 5년 미만이 207명(86.6%)이 가장 많았으며 평균 현 부서에서의 근무경력은 2.12±1.92년으로 나타났다. 직업만족도는 보통이 110명(46.0%), 건강상태는 보통이 120명(50.2%), 이직의도가 있는 대상자가 140명(58.6%)이었다. 둘째, 소진은 총 5점 만점에 2.85±4.60, 공감만족은 총 5점 만점에 3.15±6.11점이었다. 간호조직문화의 4가지 중 위계지향문화는 5점 만점 중 3.48±0.47점, 관계지향문화 3.24±0.60점, 혁신지향문화 3.04±0.46점, 업무지향문화 2.93±0.47점 순이었다. 극복력은 총 5점 만점 중 평균평점 3.52±0.41점이었고 임상수행능력은 총 4점 만점 중 평균평점 3.04±0.26점이었다. 셋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의 차이는 종교(t=2.62, p=.009), 결혼상태(t=-2.02, p=.044), 경제적 만족도(F=6.61, p=.002), 근무부서 만족도(F=31.84, p<.001), 직업만족도(F=64.08, p<.001), 건강상태(F=32.19, p<.001), 이직의도(t=4.01, p<.001)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넷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감만족의 차이는 결혼상태(t=3.29, p=.001), 자녀(t=3.42, p=.034), 경제적 만족도(F=12.21, p<.001), 근무부서(F=3.99, p=.020), 근무부서 만족도(F=21.62, p<.001), 직업만족도(F=84.87, p<.001), 건강상태(F=29.24, p<.001), 이직의도(t=-3.29, p=.001)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소진, 공감만족, 간호조직문화, 극복력, 임상수행능력 간 상관관계는 소진은 관계지향문화(r=-.40, p<.001), 혁신지향문화(r=-.26, p<.001), 극복력(r=-.55, p<.001), 임상수행능력(r=-.23, p<.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고, 공감만족은 관계지향문화(r=.36, p<.001), 혁신지향문화(r=.30, p<.001), 업무지향문화(r=.14, p=.026), 극복력(r=.63, p=.001), 임상수행능력(r=.31,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극복력은 관계지향문화(r=.31, p<.001), 혁신지향문화(r=.39, p<.001), 위계지향문화(r=.14, p=.02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임상수행능력과 위계지향문화(r=.26, p<.001), 극복력(r=.39,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 1은 소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변수인 종교, 결혼상태, 경제적 만족도, 근무부서 만족도, 직업만족도, 건강상태, 이직의도를 더미변수화하여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설명력은 2.3%였고(adj R²=.023, F=0.51, p=.897)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모형 2에는 간호조직문화, 극복력, 임상수행능력을 추가적으로 투입하였으며 설명력은 5.9%(adj R²=.059, F=1.88, p=.021)로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모형 1보다 3.6%의 설명력이 증가하였다. 분석결과 업무지향문화(β=0.18, p=.017)가 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공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 1은 공감만족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변수인 결혼상태, 자녀, 경제적 만족도, 근무부서, 근무부서 만족도, 직업만족도, 건강상태, 이직의도를 더미변수화하여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설명력은 43.5%였고(adj R²=.435, F=14.10, p<.001), 근무부서와 직업만족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근무부서가 내과병동(β=-0.18, p=.002)인 군이 기타 군보다 공감만족이 더 낮았다. 직업만족도가 보통(β=0.39, p<.001)이거나, 만족(β=.78, p<.001)하는 군이 불만족하는 군보다 공감만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모형 2에서는 간호조직문화, 극복력, 임상수행능력을 추가로 투입하였으며 설명력은 57.7%(adj R²=.577, F=17.24,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근무부서가 내과병동(β=-0.20, p<.001)인 군이 기타 군보다 공감만족이 더 낮았고 직업만족도가 보통(β=0.29, p<.001)이거나, 만족(β=0.56, p<.001)인 군이 불만족하는 군보다 공감만족이 더 높았다. 또한 관계지향문화(β=.17, p=.004), 극복력(β=0.40,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근무부서, 직업만족도, 간호조직문화, 극복력이 병동간호사의 소진과 공감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충분한 간호인력 배치와 함께 간호사가 지원하는 부서를 적극 반영하는 등과 같은 방법으로 근무부서에 대한 부담을 낮추고, 간호사들의 직업만족도와 긍정적인 간호조직문화 형성, 그리고 극복력 향상을 위한 여러 프로그램 도입 및 현실적인 지원 방안 마련이 병동간호사의 소진을 낮추고 공감만족 향상을 위해 필요하다. 또한 이와 같은 긍정적인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부서원들과 책임자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 성인 대상 영양·식생활 진단 및 상담을 통한 식생활 개선 효과 평가 : 어린이집 종사자 중심으로

        박은혜 원광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영유아는 하루 일과 중 어린이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어, 어린이집 교사에게 영유아의 식사지도 뿐만 아니라 식생활 모델로서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 하지만 어린이집 교사는 아침 식사 결식 및 식사의 불규칙성 등의 건강하지 않은 식습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종사자를 대상으로 영양·식생활 진단을 통한 개인별 맞춤 영양상담을 통해 식생활 개선 효과를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익산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 등록된 어린이집 종사자 총 6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중도탈락자 10명을 제외한 총 51명을 대상으로 총 3회의 영양·식생활 조사 및 개인별 맞춤 영양상담을 실시하였다. 영양·식생활 실태 설문조사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개발한 영양·식생활 진단 프로그램의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였으며, 식습관 및 식행동 41문항을 통하여 고지방·고열량군, 결식군, 과식·폭식군, 식이충동군, 나트륨군 총 5가지 식생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식이섭취 실태조사는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CAN-Pro 4.0을 이용하여 분석한 후 영양소 적정 섭취비(NAR), 평균 영양소 적정 섭취비(MAR), 영양밀도 지수(INQ),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DQI-I)를 통해 식사의 질을 평가하였다. 조사 결과 교사의 식생활 유형은 결식군 19명(44.2%), 고지방·고열량군 6명(14.0%), 과식·폭식군 11명(25.6%), 나트륨군 4명(9.3%), 식이충동군 3명(7.0%)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리사의 식생활 유형은 결식군 5명(62.5%), 과식·폭식군 3명(37.5%)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영양상담 전후의 위험 식행동 점수(p < 0.001)와 총 식생활 점수(p < 0.01)는 상담 후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교사의 영양상담 전후의 식사의 질 DQI-I 점수는 4가지 항목 중 적정성 점수가 유의하게 높아졌다(p < 0.001). DQI-I의 총 점수도 상담 후 유의하게 높아졌다(p < 0.01). 조리사의 영양상담 전·후의 식생활 점수 및 식사의 질 점수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교육 후 식생활 점수가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어린이집 종사자를 대상으로 식생활 진단 및 영양상담을 실시한 결과 식생활과 식사의 질이 개선되었다. 향후 어린이집 종사자에게 식생활 문제점을 인식시켜 건강한 식습관을 정착시킬 수 있도록 보다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As infants spend an increasing amount of time in childcare center, teachers' role of dietary models as well as diet education for the infants has become important. However, reports show that childcare center teachers have unhealthy dietary habits such as skipping breakfast and having irregular meal timing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dietary life improvement by tailored nutrition counseling through nutrition·dietary life diagnosis of all childcare center staff. Participants were 61 childcare center staff members registered in Iksan city's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The study conducted three nutrition·dietary life surveys and individualized nutrition counseling for a total of 51 of the 61 staff members; 10 staff excluded participation. The checklist from the nutrition·dietary life diagnosis program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s Safety was used to survey the participants' nutritional and dietary life status. Dietary life was classified into 5 categories: High fat·High calorie, skipping meals, Overeating·Binge, Emotional eating, and Salty taste preference based on the 41 questions on dietary habits and behavior. The survey on dietary intake conditions followed the 24-hour recall method. After the survey was analyzed using CAN-Pro 4.0, diet quality was evaluated using Nutrient Adequacy Ratio (NAR), Mean Adequacy Ratio (MAR),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and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DQI-I). Results showed that 19 participants skipping meals (44.2%), 6 consumed High fat·High calories group (14.0%), 11 were in the Overeating·Binge group (25.6%), 4 in the Salty taste preference group (9.3%), and 3 in the Emotional eating group (7.0%). The dietary behavior of the cooks showed that 5 skipping meals (62.5%) and 3 were in the Overeating·Binge group (37.5%). Teacher's risk dietary behavior score (p < 0.001) and total dietary behavior score (p < 0.0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nutrition counseling. Out of the four categories that compose the DQI-I score pertaining to diet quality, the adequacy scor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nutrition counseling (p < 0.001). The total score of the DQI-I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counseling (p < 0.01). While the cook's dietary life and diet quality scores before and after the nutritional counseling did not have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dietary life score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after the education. Results show that the dietary life and diet quality improved after conducting the dietary life diagnosis and nutrition counseling for childcare center staffs. This implies that childcare center staffs need continuous education to increase awareness of the concerns in dietary life for establishing healthy dietary habits.

      • 전북지역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당류 줄이기 태도와 첨가당 사용실태

        유혜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aim of this study is surveyed to provide basic resources on the importance of the sugar reduction according to the attitudes of sugar reduction and reality of added sugar usage for the school nutritionist in Jeonbuk. A questionnaire survey with total 48 questions were composed and distributed to 130 school nutritionists in Jeonbuk from October 26 to November 8 using the business messenger. Total 96 sheets were collected which was 73.8% of collection rat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s for the awareness of the sugar reduction program to school feeding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d Jeonbuk Office of Education, those who knew were 92.7%. Thus, the awareness level was high. By the working places, the elementary school was the highest with 100% and the high school was the lowest with 81.3% (p<.01). The awareness about attitudes of sugar reduction was shown high at the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provide systematic and continual education on sugars to the nutritionists with short career. Majority nutritionists answered that the nutrition education to reduce sugars was necessary. Yet, as for the question whether they actually provided nutrition education for sugars reduction during the class, those with experiences of that education was low with 26%. For efficient implementation of sugars reduction, the nutritionist need to expand opportunities to educate students. In order to reduce sugar intake within 10% of calories a day through processed food by target of sugar reduction, the nutritionist need to make a continual management with various methods, such as the awareness of importance of continual sugars reduction, realistic effort of sugars reduction and provide educational materials. 본 연구는 전북지역 학교에서 근무하는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당류 줄이기 태도와 첨가당 사용실태를 조사하여 당류 줄이기 중요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2016년 10월 26일부터 11월 8일까지 전북지역 학교 영양(교)사 130명을 대상으로 총 48문항의 설문지를 구성하여 업무용메신저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96명이 응답하여 73.8%의 회수율을 보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전북교육청의 학교급식 당류 줄이기 사업을 알고 있는 경우가 92.7%로 인지도가 높았다. 근무처별로 보면 초등학교는 100%로 가장 높고, 고등학교는 81.3%로 태도가 낮게 나타났다(p<.01). 당류 줄이기 태도는 근무처별로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높게 나타났고 경력이 많고 연령이 높을수록 태도가 높았다. 그러므로 경력이 짧은 영양(교)사들에게 당류 관련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양(교)사들이 ‘당류 줄이기에 대한 학생의 영양교육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는 문항의 5점척도에서 평균 4.26으로 매우 필요성이 있다고 응답한 반면에 실제로 수업시간에 학생들에게 교육한 경험이 26%로 낮았다. 당류 줄이기를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영양(교)사들이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할 수 있는 기회가 좀 더 많아야 하겠다. 당류 줄이기 목표치인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을 1일 열량의 10% 이내로 줄이기 위해서는 영양(교)사들이 지속적인 당류 줄이기의 중요성을 알고 현실적인 당류 줄이기 실행 노력과 교육 자료를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익산 일부 지역 고등학교 기숙사생과 자택거주생의 아침식사 섭취 실태 비교 및 아침급식 요구도

        고현화 원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전라북도 익산지역 일부 고등학교 기숙사생과 자택거주생의 아침식사 섭취 실태 비교 및 학교 아침급식 요구도를 파악하고자 고등학생 4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규칙적인 아침식사 섭취율은 기숙사생 81.4%, 자택거주생 45.5% 로 기숙사생이 높았다.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이유는 늦잠으로 시간이 없어서가 60.2%로 가장 많았으며, 아침식사를 하는 이유는 배가 고파서 38.6%, 습관적으로 24.6% 순이였다. 아침식사에 걸리는 시간은 10~20분 이내가 54.7%로 가장 많았고, 아침식사를 하지 않아 배가 고플 때 59.2%가 군것질로 공복감을 해결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침식사에 대한 섭취 의지는 앞으로도 섭취하고 싶지 않다는 부정적 의견이 31명(7.4%)이였고, 386명(92.6%)이 아침식사 의지에 긍정적이였다. 아침식사가 중요하다고 답한 학생은 기숙사생 199명(88.1%), 자택거주생 142명(74.3%)보다 많았고, 아침식사가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에 대해서는 기숙사생 181명(80.1%), 자택거주생 125명(65.5%)으로 전체 306명(72.8%)으로 높았다. 영양지식 습득 경로는 부모님 148명(35.5%), TV?라디오?신문 100명(24.0%), 인터넷 74명(17.7%), 학교수업 49명(11.8%)순이였다. 영양지식 문항별 정답률에서 ‘아침식사는 우리 몸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89.1%)에 대한 정답률이 가장 높았고, ‘아침식사를 거르면 우리 몸에 피로물질이 많이 쌓인다’는 문항의 정답률이 50.8%로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아침식사는 뇌의 에너지원인 산소와 포도당을 공급 한다’ 문항에 대하여 기숙사생은 91.6%, 자태거주생은 71.7%로 두 그룹 간 점수 차(19.9점)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아침식사를 거르면 우리 몸에 피로물질이 많이 쌓인다’ 문항이 두 그룹 간 점수 차(3.3점)가 가장 작았다. 영양지식 점수는 기숙사생은 7.48점, 자택거주생은 7.07점으로 전체 평균이 7.29점이었고, 기숙사생이 자택거주생보다 영양지식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일주일 동안 군것질 횟수와 종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하루 군것질 비용에서 기숙사생은 1000원 이하 103명(45.5%), 자택거주생은 50명(26.3%)이였고, 1000원 이상의 경우 자택거주생 141명(73.7%), 기숙사생 123명(54.5%)으로 기숙사생의 군것질 비용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 아침급식에서 원하는 식사 형태는 한식 141명(33.8%)으로 가장 많았고, 뷔페식 122명(29.3%), 시리얼과 우유 73명(17.5%), 빵류 47명(11.3%)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 아침급식에서 가장 먹기 싫은 메뉴는 생선류 138명(33.1%), 죽류 132명(31.7%), 채소류 58명(13.9%), 인스턴트류 52명(12.5%), 육류 21명(5.0%) 순으로 조사되었다. 학교급식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기숙사생과 자택거주생 모두 맛이라고 225명(54.0%)이 응답하였고, 영양 96명(23.0%), 위생 80명(19.2%) 순이였다. 학교 아침급식의 적정 가격은 기숙사생은 2800~2900원으로 답한 학생이 107명(47.3%)으로 가장 많았고, 자택거주생은 2500원 이하라고 답한 학생이 92명(48.2%)으로 가장 많았다. 자택거주생의 아침식사를 준비해 주는 사람은 어머니가 60.3%로 가장 많았고, 형제자매 또는 스스로 23.0%, 기타(조부모) 11.6%로 나타났다. 아침식사는 혼자서 먹는 학생이 49.5%, 시간이 맞는 가족과 함께 23.4%, 온가족 14.1%, 형제자매와 함께 10.0%로 나타났다. 자택거주생의 학교 아침급식 요구도에 대한 문항에서 학교에서 아침급식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응답한 학생이 65.4% 였고, 학교에서 아침급식이 제공되면 먹겠다고 응답한 학생이 63.9% 로 조사되었다. 학교에서 아침급식을 먹지 않는 이유는 집에서 먹는게 좋다 56.5%, 입맛이 없어서 18.8%, 급식비 부담 13.0% 순으로 조사되었고, 학교 아침급식에서 중요한 것은 급식의 형태 41.9%, 급식시간 32.5%, 급식비 13.1%, 급식의 양 12.5%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이 자택거주생은 기숙사생에 비해 규칙적인 아침식사 섭취률이 낮았고, 아침식사 섭취 의지와 아침식사 중요성 인지률이 낮았으며, 영양지식 점수가 낮고, 군것질 비용은 많게 조사되어 바람직하지 않은 경향을 보였다. 아침 결식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등교시간을 늦추거나, 학교급식시설의 확충, 학생의 요구에 맞는 맛, 가격, 형태, 위생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전반적인 급식 여건을 개선하고,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영양교육이 학교와 가정에서 연계되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학교 아침급식이 자택거주생의 아침결식률을 낮출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how often the high school students in Iksan living in dormitories and those living at home eat breakfast, and to ascertain the desirability of a school breakfast program. To that e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33 high school students. 81.4% of dormitory students regularly eat breakfast, which is higher than the rate of students living at home, 45.5%. There were several different reasons given for not eating breakfast. Oversleeping was ranked first, with 60.2% of students citing it. Those who eat breakfast varied in their reasons for doing so. Some said they eat breakfast because they are hungry (38.6%) and others said it is merely their habit to eat breakfast (24.6%) It usually takes 10 to 20 minutes to eat breakfast, according to 54.7% of students. 59.2% of the students said they eat snacks to fill up when they feel hungry. 7.4% of the students would rather not eat breakfast, but 92.6% of the students, 386 students, were positive about eating breakfast. 88.1% of dormitory students said eating breakfast is important, while 74.3% of students living at home said the same. 72.8% of students said breakfast affects people's health. The sources from which students get information on nutrition varied as well. Some sources included their parents (35.5%), the media, such as TV, radio and newspaper (24.0%), the Internet (17.7%) and school classes (11.8%).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89.1%) answered correctly that eating breakfast helps keep our body work normally. Conversely, fewer students correctly answered a question pertaining to the effects of skipping breakfast on fatigue. A question about the role of breakfast in providing energy to the brain showed the highest variance in correct versus incorrect for the two groups, at 19.9 percent, while the smallest was a question about skipping breakfast causing fatigue, at 3.3 percent. The nutrition knowledge section comprised ten questions, thus a maximum of ten points. The average grade for knowledge of nutrition was 7.29 points. Dormitory students averaged 7.48 points, while students living at home averaged 7.07 poi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 of snacks or frequency of eating them for students in dormitories or at home. However, in terms of money spent on snacks, dormitory students tended to spend less than students living at home. 103 (45.5%) of the dormitory students spent less than 1,000 won, while 50 students living at home (26.3%) did. 141 students living at home (73.7%) spent more than 1,000 won, while 123 students of dormitory students (54.5%) did. The style of school breakfast students wanted varied. Korean dishes were wanted most, by 141 students (33.8%), 122 students wanted a buffet-style breakfast (29.3%), 73 students wanted cereal and milk (17.5%), and 47 students wanted bread (11.3%) The least favorite dish for breakfast was fish, chosen by 138 students (33.1%), 132 students disliked porridge (31.7%), 58 students answered vegetables (13.9%), 52 students said instant food (12.5%), and 21 students chose meat (5.0%) Students chose tast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ith 225 students (54.0%). Nutrition (96 students) and cleanliness (80 students) followed next. When asked about the appropriate price, 107 dormitory students (47.3%) answered between 2,800 and 2,900 won and 92 students living at home (48.2%) answered under 2,500 won The person who prepared breakfast for students living at home was most commonly their mothers (60.3%), followed by siblings or themselves (23.0%) and finally others, such as grandparents (11.6%). 49.5% of students eat breakfast alone and 23.4 % of students eat with other family members whose schedules fit theirs. 14.1% of students eat with all family members and 10.0% of students eat with their siblings. In terms of desirability for school-provided breakfast by students living at home, 65.4% of students answered it was desirable that school provide breakfast. Also, if breakfast were provided, 63.9% of students said they would eat. There were several different reasons given for not eating breakfast at school. 56.5% of students said they preferred eating at home. 18.8% of students said they don't have an appetite for breakfast. 13.0% of students said that the money required is a burden. Students thought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school breakfast were the serving form (41.9%), meal time (32.5%), cost (13.1%), and the size of the meal (12.5%) As shown above, students living at home tended to eat breakfast less regularly than dormitory students. In addition, they have several unfortunate qualities, such as their unwillingness to eat breakfast, their lack of knowledge on its importance, nutritional knowledge, and the amount spent on snacks. It is natural that schools and homes work together to prevent students from skipping breakfast. Schools providing breakfasts can be an option to reduce the rate of skipping breakfast for students living at h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