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연극치료의 역사적 고찰과 실태

        최윤주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63

        최근 한국의 예술치료분야가 통합의학의 한 축으로까지 인식되고 있는 이때에 이미 역사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있는 음악치료, 미술치료, 무용치료, 표현예술치료 등의 타 예술분야와 달리 연극치료의 역사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학문간 균형 있는 발달과 후학들을 위해서 연극치료학의 역사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연극치료가 우리나라에 처음 소개된 1990년 초부터 실용화 단계에 이른 현재까지 약 20년의 정착 및 성장과정을 역사적 흐름에 맞게 교칙한다. 둘째,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높아지는 현대인들의 힐링 욕구에 힘입어 그 수요가 증대하고 있는 사회에 한국연극치료의 올바른 학문적 활용을 도모한다. 셋째, 한국의 연극치료 실태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의 전망과 비전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크게 도입 및 정착과 사회·임상·교육·연구적 동향으로 구분하여 사회적 동향은 언론매체를 신문사 6곳(경향신문, 동아일보, 매일경제,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방송사 4곳(KBS1·2TV, EBS, MBC, SBS)을 대상으로 연극치료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기관 및 단체의 개설현황을 연극치료와 명칭이 일치하거나 연극치료를 다루는 유사관련 단체로 구분해 분석하였다. 연구범주에 해당되는 기간 중 시행된 임상활동은 정부기관, 공공기관, 사립기관, 병원과 같은 지원기관을 기준으로 임상적 동향에서 정립하였으며, 전문 연극치료사 양성을 위한 교육적 동향을 고등교육기관과 중등교육기관으로 구분한 뒤 대학원과 대학의 학과명 및 전공명 일치 또는, 연극치료 교과교수 현황을 각 성격별로 비교분석하고,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방과 후 연극치료 활동을 전문상담사 및 Wee클래스 배치 현황과 관련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적 동향을 통해 국내 출간되어 있는 연극치료 학위논문을 크게 연도·성격·연구대상·검사 도구별로 분류 및 비교하고, 국내 출판되어있는 학술지논문과 서적현황을 조사하였다. 이와 같이 공적기록을 바탕으로 연구물을 분석한 결과, 한국연극치료는 1990년 사회적 병리현상으로 인한 심리적 안녕이 절실해지던 때 홍유진 박사에 의해 한국에 소개되었다. 이후 1992년부터 2000년도까지 텔레비전을 포함, 각종 언론매체를 통해 그녀가 주도적으로 연극치료 소개 및 시연을 활발히 하였다. 현재까지 방송매체에서 연극치료사 또는 치료프로그램을 다룬 프로그램은 약 42편이며 그 중에서도 1992년부터 2004년까지 홍박사의 연극치료 작업을 다룬 프로그램이 주류를 이루었던 반면에 2005년부터 박미리, 송연옥 등 다양한 연극치료사들의 작업이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지고 있음을 볼 때, 이는 한국의 연극치료분야가 다양한 전문가들의 활동으로 폭 넓게 발달하고 활성화되었음을 반증하는 바람직한 사례라 하겠다. 뿐만 아니라 한국의 연극치료 방송프로그램의 1990년대 초 도입기는 시연을 통한 연극치료 소개 또는 치료사 중심의 특별기획으로 진행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면 최근 매스컴의 동향은 SBS와 EBS 처럼「우리아이가 달라졌어요」,「달라졌어요 시리즈」처럼 대상중심의 상담 솔루션 형태로 기획되어 방영되는 추세이다. 특히 1992년경 연구소가 개소되기 시작하면서 정신건강을 바라는 이들의 욕구에 충족하고자 관련 기관 및 학회단체도 등장하였다. 이는 도입 후부터 2000년 전후로 약 10여년이 지나서야 각 분야에서 연극치료활성화가 일어났다고 볼 수 있는데 고무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이처럼 국내외에서 1세대 연극치료인들이 활발한 임상활동으로 ‘국민 정신건강 회복’이라는 사회적 측면에 힘썼으며 타 예술치료분야의 발전과 함께 의료계에 ‘통합의학’이라는 새로운 관점의 패러다임을 여는 가능성도 보였다. 전문연극치료사를 양성하기 위한 학계의 움직임도 활발해졌다. 2001년 원광대학교 보건환경의학대학원 공연예술치료 전공에서 연극치료사를 양성하기 시작하였으며 2006년에는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의 연극심리학과 연극치료전공이 개설되면서 명실 공히 한국 최초로 연극치료학과가 대학에서 개별학과로 탄생되었다. 또한 초기에 발표된 연극치료관련 학술지논문과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연극요법(Dramatherapy)연구”(중앙대학교 연구논집, 한명희 1991)학술지논문과, “CATHARSIS: Ritual & Theater”(홍유진, 1992, 뉴욕대: 박사학위논문), “An Exploration of ‘Roles’ in Naerim Kut, the Korea Shaman Initiation Rite”(김진숙, 1994, 뉴욕대: 박사학위논문), “한국무속의례의 연극치료(Dramatherapy)”(한명희, 1994, 중앙대: 석사학위논문)가 있다. 연극치료 관련서적은『카타르시스: 굿과 연극 그리고 드라마치료』(홍유진, 1993, 서울: 들불)를 시작으로 저서 5권과, 연극치료를 체계화시킨 해외이론가들의 번역서 10권으로 총 15권이 출판되었다. 번역본은 연극치료의 대표적 학자인 영국의 Sue Jennings, 미국의 Robert Landy와 David Read Johnson이 고안한 EPR모델, Role모델, DvT모델의 정의 및 기법을 소재로 저술한 이론이 주를 이룬다. 1970년대 이후 미국 뉴욕대학교와 영국 허트포드셔 대학교 그리고 센트럴 오브 스쿨 스피치&드라마 대학교 등과 같은 해외교육기관의 활성화와 함께 한국의 연극치료 발달과정은 1990년대는 도입기로 90년대 말로 가면서 해외유학파들이 국내에서 활동을 전개하던 시기이다. 그들은 연극치료 1세대들로서 미국에서 수학하고 동덕여대 연극치료학과를 개설한 홍유진 교수, 역시 미국에서 수학하고 명지대 예술심리치료학과를 개설한 김진숙 교수, 영국에서 수학한 후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한명희 연극치료사가 있으며. 국내파로는 용인대 연극치료학과를 개설한 박미리 교수와 다수의 외국 서적을 번역한 이효원번역가 등이 있는데 그들은 모두 한국연극치료 발전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한 대표적 인물들이라 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연극치료분야는 1세대들의 왕성한 활동에 힘입어서 2세대의 활약이 기대되는 시점이다. 이제 연극을 포함한 각 예술치료분야는 상호보완적 관점에서 통합예술치료로서의 전향적 발전에 노력해야한다고 본다. 그런 점에서 한국예술치료교수협의회 발족은 예술치료의 발전에 의미 있는 행보로 보여 진다. 한국연극치료는 빠르게 변화하는 경제성장과 정신문명에 순응하며 급진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추후 통합과 통섭이라는 학문적 비전과 과제를 수행하고 전 인류의 정신문명 발전에 기여되는 연극치료연구가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 In the recent years, the field of art therapy in South Korea has been recognized as the realm of Integrative Medicine; however, the historical research on drama therapy has not been studied in depth unlike music, art, dance and expressive arts therapy. Thus, research on history of drama therapy is essential to develop the balance between interdisciplinary studies and foster students in drama therapy maj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reviewed settlement and development of the drama therapy for twenty years from its introduction in the early 1990's to its practical application stage up to the present with the historical approach. Second, it promoted to find method to apply the Korea drama therapy to contemporary men who seek to find the holistic healing in the fast growing society. Finally, it suggested the prospect and vision of the Korea drama therapy by analysing application condition of it. The research method was designed to analyse the introduction and settlement, and social, clinical, and educational, research trends of the Korea drama therapy; therefore it collected the data from six newspaper publishing companies such as Kyunghyang Newspaper, Dong-A Ilbo, Maeil Business Newspaper, Chosun Ilbo, JoongAng Ilbo, Hankyoreh and four broadcasters such as KBS1 · 2TV, EBS, MBC, SBS. In addition, the status of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were divided into the two categories; (1) the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with the title of drama therapy and (2) the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dealing with drama therapy. Clinical activity during the research period was defined by the standard of support agencies such as government agencies, public institutions, private institutions, hospitals based on the clinical trends. Next, To analyse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of professional drama therapy, it researched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and analysed the after school drama therapy activities and arrangement status of school counselors and Wee class from elementary schools to high schools on a national scale, and it also researche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analysed the status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ograms by its title, features and the number of professors. Finally, it analysed the current publications such as thesis and articles in journals related to drama therapy. Especially, the theses were categorized and compared by their publication year, features, research target and method. Thus, based on public records and analysed data, the Korea drama therapy was introduced by Dr. Youjin Hong in 1990 when the society had a desperate need of psychological well-being. From 1992 to 2000, she played a major role on introducing drama therapy and it effect by demonstrating it through the various media including TV. Broadcast media has been covering approximately forty three programs of drama therapists or therapeutic programs. Among them, from 1992 to 2004, the mainstream of the programs was dealing with Dr. Hong's drama therapy works. On the other hand, from 2005 Miri Park, Yeonok Song's drama therapy works also were introduced by media. This proved that Korea drama therapy has developed by the various therapists. In addition, Korea drama therapy programs in the early 1990s were mainly focused on demonstrating drama therapy to introduce its function and effect or on therapist-centered programs; however, the recent media trends has changes to a target-oriented counselling solutions aired in SBS and EBS "My child has changed", "We are different now series". In particular, research institutions began to open in 1992 and in this regard, the institutions and agencies related to drama therapy had emerged to meet the public's need to become mentally well-being. Since the introduction of drama therapy in Korea, it has been a tremendous impact on the society that the drama therapy could effect and apply to all kind of field and this overall progress seems very encouraging. As mentioned, the first generation of drama therapists were focused on the social aspect, 'national mental health recovery' and now it shows that a new perspective paradigm of drama therapy as 'integrative medicine' could open in the future. In academia, it became very active to train professional drama therapists. In 2001, Wonkwang University started to foster drama therapists in the department of performing arts therapy, Graduate School of Health & Complementary Medicine. In 2006, Dongduk Women's University opened the drama therapy major in the department of drama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Performing Arts and it was the first independent academic department which offered drama therapy major. The early published articles in journals and the research trend related to drama therapy were as stated below; "Research on Dramatherapy"(Chung Ang University Research Journal, Myunghee Han 1991), “CATHARSIS: Ritual & Theater”(Yujin Hong, 1992, Newyork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An Exploration of ‘Roles’ in Naerim Kut, the Korea Shaman Initiation Rite”(Jinsuk Kim, 1994, Newyork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Dramatherapy of Korean Shamanistic Ceremony” (Myunghee Han, 1994, Chung Ang Univeristy; Master's thesis). Also there are fifteen books related drama therapy published; five of them were written by Doctor Yujin Hong and her first publication was 『A Catharsis: Gut(shamanistic ritual), Play and Drama therapy』(Yujin Hong, 1993, Seoul, Deulbul), and ten of them were translated books of drama therapy theories which covers the definition and method of EPR model, Role model DvT model created by Sue Jennings from the UK, Robert Landy and David Read Johnson from the USA respectively. Since the 1970s, drama therapy field has continued to prosper through the overseas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New York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University of Hertfordshire in the United Kingdom, University of London-Central School of Speech & Drama etc.; apart from this, drama therapy in Korea was introduced in 1990s and in the late 1990s, students studying abroad regarded as the first generation in the drama therapy field returned to Korea and brought a new phase in drama therapy development. They are professor Yujin Hong who studied in the USA and open a drama therapy major in Dongduk Women's University, and professor Jinsook Kim who studied in the USA as well and open an arts psycho therapy major in Myongji University. and Myunghee Han, a drama therapist, who studied in the UK and has been actively working in the field in Korea. In addition, there are Miri Park who studied in Korea and opened a drama therapy major in Yongin University, and Hyowon Lee, a translator who has translated numerous books related to drama therapy. They all are leading figures who has considerab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drama therapy in Korea. As stated above, the first generation of therapists in the field of drama therapy has been fully devoted to their works, and now expectation to nurture and flourish the field is high for the second generation. Thus, not only drama therapy but also other arts therapy should strive to develop under the category of integrative arts therapy with complementary perspectives. In that sense, inauguration of Korean professor council for arts therapy is considered to be a meaningful progress of the development of arts therapy. Korea drama therapy has radically developed to adapt to rapidly changing economic growth and spiritual civiliza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study on drama therapy should carry out academic vision and task through integration and convergence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piritual civilization of all mankind.

      •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연극치료 단일사례연구

        최선화 동덕여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study is a single case study to design and evaluate the possible application of drama therapy for the North Korean defector’s child born in the 3rd countries. The participant included one North Korean defector’s child born in China and reside in J, South Korea. The drama therapy program was 50 minutes per session and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2 sessions from March to May 2016. As a therapist,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program and did participant observation. With the guardian’s permission, the program was recorded and pictured. The participant, a North Korean defector’s child, entered middle school in 2016 and had low self-esteem due to the experience of stress adapting to the culture and under-achievement in school. The researcher designed the drama therapy program based on the theory by Robert J. Landy(1994) with the goal of increasing self-esteem. Considering the special case of participant and the limited method of single arts therapy, the researcher used projective model in Integrative Arts Therapy IT Menual by Youjin Hong(2013) as a subsidiary. By evaluating in-depth interview done before-after the session and observational journals showing positive·negative reactions, the result regarding participant’s behavioral change was qualitatively analyzed. Through this analysis, possible application of drama therapy was suggested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North Korean defector’s child based on analysis of each session. As a result, the participant showed increase in self-esteem and had a chance to achieve positive self-identity.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has a goal of designing and assessing the possible application of drama therapy for the North Korean defector’s child born in the 3rd countries. So far, North Korean defector’s child has been studied in different areas, but only twice regarding arts therapy. Especially, this study was the first to look into the drama therapy conducted for North Korean defector’s child. Thu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for evaluating the process of drama therapy for North Korean defector’s child and extending the field of study. 이 연구는 ‘제3국 출생의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연극치료 프로그램의 설계 및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질적 단일사례연구이다. 이 연구는 J시 거주 북한이탈주민의 자녀 중 중국 출생 남학생 1명을 대상으로 2016년 3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주 2회 50분씩, 총 12회기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치료사로서 대상자와 1:1 프로그램을 진행, 직접 참여관찰 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보호자 동의하에 녹취 및 사진 촬영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16년 중학교에 입학한 북한이탈주민의 자녀로서 국내 적응 스트레스로 인한 학습부진을 겪는 등 자존감이 낮은 상태였다. 연구자는 대상자의 자존감 향상을 목표로 Robert J. Landy(1994)의 연극치료 이론을 적용하여 설계하였다. 동시에 대상자의 특수한 환경을 고려하여 단일 예술치료로서 부족한 구성 및 기법을 홍유진(2013)의 통합예술치료 IT매뉴얼의 투사모델로 보완하였다. 사전-사후 심층면접과 긍정적·부정적 반응을 보인 관찰일지 분석을 통하여 대상자의 행동 변화에 따른 결과를 질적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극치료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 및 회기별 분석에 따른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특성 및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연구대상자는 국내 적응 스트레스로 인한 낮은 자존감이 향상됨을 보였으며, 미흡했던 자아정체성 성취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이 연구는 연구자가 제3국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대상으로 연극치료 프로그램 설계 및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특히 북한이탈주민 자녀 대상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있어왔지만 예술치료 분야에 있어서는 단 2건만 진행되었으며, 더욱이 이들을 위한 연극치료 프로그램의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되었다. 때문에 이 연구는 국내 첫 북한이탈주민 자녀 대상 연극치료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연구 대상을 확장한 데에 의의가 있다.

      • 중년여성의 우울감 완화를 위한 통합예술치료 사례연구

        곽혜신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예술치료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of organizing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to relieve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and evaluating the application result of the program.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6th to Marth 31st 2016 with five participants from G district in Seoul. The program was 120 minutes per session, twice a week, and 12 sessions in total. Based on Dr. Youjin Hong’s projection model in Integrative Arts Therapy, the program utilized video·movie, art, literature, music, and etc. to have at least two arts genres per session. In order to evaluate cognitive and emotional change of the participants, interview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corded tape, observational journals, creative words, pictures were used in addition to both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the researcher observed during the session. As a result, the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was discovered to let participants lower their unconscious defense and re-recognize inner trauma, and thus help them bring emotional insight and lower their depression. Especially in this case study, the use of picture and video·movie as a main arts media was effective in bringing positive reactions from the participants. This indicates that there were less psychological defense and denial in the process of projection, which promotes self-recognition and insight through self-understanding. In addition, pre-checking therapeutic space and flexible response of the therapist were pointed out as to be enhanced in the process of program.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for analyz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actions observ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to relieve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The researcher proposes the present study to be used in related fields of study and further researches to be done in Integrative Arts Therapy. Key Words: Depression, Middle-aged Women, Integrative Arts Therapy 이 연구는 중년여성의 우울감 완화를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2016년 2월 16일부터 3월 31일까지 서울시 G구의 아파트 내에서 연구대상자 5명에게 회기 당 120분씩 주 2회 총 12회기에 걸쳐 적용한 후 분석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프로그램의 설계는 홍유진 박사(2015)에 의해 정립된 통합예술치료 이론의 투사모델을 중심으로 사진과 영상·영화, 미술, 문학, 음악 등을 활용해 회기 당 두 개 이상의 예술매체를 유기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연구 수집 자료는 연구대상자에게 일어난 인지·정서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진행한 사전·사후 서면 인터뷰, 녹취록, 관찰일지, 창작물, 활동사진 등이 활용되었으며 연구자가 관찰한 연구대상자의 언어적·비언어적 표현을 포함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그 결과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그 대상자로 하여금 무의식적 방어를 낮추고 내면의 트라우마(trauma)를 탐색 및 재인지하며 정서적 통찰을 도와 중년여성의 우울감 완화를 위한 방안으로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사진과 영상‧영화를 주 매체로 활용하거나 이와 함께 다른 예술매체를 접목 활용했을 때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심리적 방어와 거부감 없이 투사가 가능해 자기이해를 통한 자기인식과 통찰의 촉진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치료세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치료 공간의 사전점검 재확인과 유연한 대처도 유의해야 할 점으로 확인되었다. 중년여성의 우울감 완화를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설계 및 적용 가능성을 살펴본 이 연구는 특히 긍정적·부정적 반응을 보인 치료세션을 분석함으로써 추후 동일 증상이나 집단의 관련 연구에 보다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통합예술치료 학문의 이론적 발달과 임상적 적용 발전을 위해 지속적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주제어: 우울감, 중년여성, 통합예술치료

      • 북한이탈주민의 사회 적응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이세연 동덕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15

        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사회 적응을 돕기 위한 단일 사례연구이다. 북한이탈주민 27세 여자 1명을 대상으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성 및 적용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국내외 단행본, 학술 및 학위논문 중 예술 매체를 이용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검증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사회 적응에 관한 선행연구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으며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대부분의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 또는 북한이탈주민의 제3국 출생 자녀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자(부록2 참조, p. 128)는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사회 적응을 위하여 홍유진(2017)의 통합예술치료 이론의 IT매뉴얼을 중심으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2018년 3월 12일부터 4월 30일까지 회기 당 90분씩 주 2회 총 15회기에 직접 참여하여 연구 대상의 비언어적인 측면과 언어적 측면의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은 연구 목적과 연구대상 특성을 고려하여 회기 당 두 개 이상의 다양한 매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연구 자료의 수집은 연구대상의 심리 상태 및 상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진행했던 사전 면담과 매 회기 녹음 및 녹화 영상, 회기별 관찰일지, 연구대상의 창작물 등을 활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대상이 치료공간 안에서 실제 행동하고 언급한 사실과 상황적 맥락을 근거로 결과 분석에 반영하였다. 매 회기 치료 세션을 진행하는 동안 연구대상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연구대상의 남한 사회 적응에 긍정적인 변화가 발견되었다. 프로그램 구성에 사용된 여러 가지 모델 중에서 연구대상은 투사모델과 가면아이모델을 통해 현재와 과거의 자신을 통찰해 봄으로써 자신의 내면을 탐색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역할모델과 그림자엿보기모델은 연구대상이 객관적으로 자신의 모습을 수용하고 자발적으로 긍정적인 목표를 설정하여 치료 세션과 제3치료 공간인 학교에서 실천해봄으로써 사회적으로 균형 잡힌 역할을 수행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의 초반부에는 연구대상이 먼저 치료 세션에서 이루어진 활동에 대해 제3치료공간에서 사용해보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후반부로 갈수록 연구대상은 스스로 적용하기(Application) 과정에서 어떤 부분이 이루어지면 좋을지 그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또한 사회 적응 과정에서 자신이 직면한 문제의 해결 방안을 자발적으로 모색하고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이처럼 통합예술치료는 연구대상이 사회 적응을 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과 해결 방안을 스스로 찾도록 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정책적, 경제적 대안만을 제시한 반면 이 연구는 치료 세션에서 이루어진 활동을 제2,3치료 공간인 가정과 학교에서도 수행하도록 하여 실질적인 방법을 제시한 점에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only observational case study based on integrative art therapy programs to help North Korean refugees adapt to South Korean society. Proven cases of using art media as psychotherapy programs to help North Korean refugees adapt to South Korean society has not yet been reported in publications, dissertations, and theses, both domestic and foreign. Most studies on North Korean refugees have focused on teenage refugees or the children of refugees born outside of the Korean peninsula. The researcher designed an integrative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Hong Yu-Jin's IT Manual on Integrative Art Therapy Theory (2017) to help North Korean refugees adapt to the South Korean society. From March 12, 2018 to April 30, 2018, the researcher participated in a total of 15 sessions, held twice a week, to analyze the qualitative changes in subjects' non-verbal and linguistic aspects. In consideration of the study's purpo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 program was designed to utilize two or more media forms in each session. Data was collected in forms of pre-interviews (conducted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status and situation of each subject), voice recordings and videos of each session, observation logs of each session, and the creative outputs of the subjects. Such data collected, in conjunction with observation of subject behavior within the treatment space, objective facts provided by subjects, and context, were reflected in the results analysis. Analysis of the subjects' responses during the sessions showed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s had a positive influence in the adaptations of the subjects to South Korean society. Among the various models used in the program composition, the subjects used the projection model and the masked eye model to analyze their past and present selves and thus explore their inner worlds. In addition, the role model and the shade peek model were effective in helping the subjects accept themselves and voluntarily establish positive goals. Practicing such actions in both the treatment space and other (third) treatment spaces positively affected subjects in performing balanced social roles. In the early part of the program, the subjects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utilize the activities performed in the treatment space in other (third) treatment spaces. As the program progressed, the subjects displayed awareness on which parts needed work in the Application stage, as well as voluntary effort to find and solve issues they were confronted with during the adaptation process.

      • 조현병 환자의 역할증대를 위한 통합예술치료 적용 연구 : 'I therapy' 매뉴얼을 중심으로

        최슬아 동덕여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이 연구는 성인 조현병 환자의 역할증대를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설계 및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S정신의학과 낮 병원 회원들에게 4개월간 실시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홍유진(2013) 박사의 통합예술치료 투사모델과 역할모델을 적용하여 매 회기마다 과제에 따른 긍정적인 피드백을 통해 자기 가치를 새롭게 인식·변화하도록 하였다. 치료세션의 관찰일지와 축어록을 바탕으로 긍정적 반응과 부정적 반응을 해석하였으며, 롤 다이어그램 검사와 동적가족화(KFD) 검사를 통해 연구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통합예술치료 과정의 질적 분석으로 역할수행 요소가 향상된 것을 확인함으로써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는 결과를 보였다. 대상자들은 역할훈련을 통해 문제가 되고 있는 특정 역할을 재인식하고 체험하여, 새로운 인격체로의 변화가 이루어진 것에 긍정적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통합예술치료가 조현병 환자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의미하며, 실제 작업수행의 성과에 따른 적절한 피드백이 수행정도를 높이는 동기가 됨을 설명해준다. 반면 퇴행을 유발하거나 판타지를 자극할 수 있는 주제를 활용한 세션은 현실인지에 부정적 반응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실현 가능한 것을 주제로 하여 현실감각을 강화시키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각 영역별 조현병 환자의 역할인식은 병원영역에서 더 높게 나타나, 균형적으로 역할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 위의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을 고려한 방안을 마련하여 적용해야 할 것이다. 핵심어: 조현병, 역할인식, 역할증대, 피드백, 통합예술치료 The present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looking into structure and possible application of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as a means to schizophrenic patients’ role enhancement. The study was conducted for four months on schizophrenic patients attending psychiatric day care. Dr. Youjin Hong’s projection model and role model in Integrative Arts Therapy were applied in each session to provide positive feedback to patients and for them to newly perceive their own values. Positive and negative reactions were evaluated using observational journals and verbatim transcription, and Role Diagram and Kinetic Family Drawing were used to support the analysis. In addition, qualitative analysis showed that Integrative Arts Therapy process improved role performance components, thus corresponding to the purpose of study. Through role training, the participants re-recognized and experienced particular roles that had been trouble, and transformed into new person. The results showed that Integrative Arts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schizophrenic patients and explains appropriate feedback on their process as a motivation to boost their performance degree. On the other hand, sessions using themes that are capable of triggering regression or stimulating fantasies were found to arouse negative reaction to acknowledging reality, and so enhancing sense of reality in the session was concluded to be more suitable to schizophrenic patients. Lastly, schizophrenic patients showed higher role recognition in the hospital among other areas, and so the researcher suggests further studies to be done in order to balance schizophrenic patients’ role recognition in different areas. Key Words: Schizophrenia, Role Recognition, Role Enhancement, Feedback, Integrative Arts Therapy

      • 복지시설 아동의 사회적응력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적용 연구

        염혜조 동덕여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이 연구는 복지시설 아동의 사회적응력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적용 사례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G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 중 3학년에서 5학년까지의 남녀초등학생 6명으로서 사회적응력의 향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연구는 2016년 10월 4일부터 11월 9일까지 회기 당 60분씩 주 2회 총 12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은 홍유진(2017)의 통합예술치료이론의 IT 매뉴얼을 중심으로 설계하였다. 매 회기 카타르시스 모델, 역할 모델, 투사 모델, 그림자 엿보기 모델, 가면아이 모델을 적용해 회기 당 두 개 이상의 다양한 예술매체를 유기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연구 자료 수집은 연구대상의 자기표현과 대인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사전 면담 및 초기 진단자료, 매 회기 녹화영상, 관찰일지, 결과물을 활용하였으며 참여적 관찰을 통해 연구대상자의 언어적, 비언어적 반응을 채집하여 사회적응력의 변화를 질적 분석하였다. 대상자별 분석과 치료세션의 긍정적․부정적 반응 분석 결과,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연구대상들의 사회적응력에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고, 따라서 효과적인 치료방안으로 적용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카타르시스 모델과 투사 모델은 연구대상의 프로그램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도출해 냄으로써 이 연구는 복지시설 아동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 연구가 앞으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되길 바라며, 향후에도 복지시설 아동의 사회적응력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장기적으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적용되길 바란다. 주제어: 복지시설아동, 사회적응력, 통합예술치료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that designed, applied, and analyzed an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for Social Adaptation Ability of Children in Welfare Facilities. The program was conducted from October 4th to November 9th 2016, 60 minutes per session, twice a week, and 12 sessions in total. The participants included six 3rd to 5th grade students using G child welfare facility in Seoul. The program was designed of models such as Catharsis, Role, Projective, Self-shadowing, and Masking Inner Child in the IT Manual developed by Youjin Hong(2017). In order to evaluate the change in participants’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and form social relationship, the preliminary interview and diagnosis, the researcher observed and evaluated recorded tape, journals, and creative works of each session were used. Also, participants' both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As a result, the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was found to have an effect in changing participants’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and form social relationship, thus increasing social adaptation ability. Specially in this study, catharsis, projective model was effective to participants. The present study has a significance for demonstrating a possible application of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for children in welfare facilities. The researcher proposes the study to be used in further research of developing programs, and hopes the Integrative Arts Therapy to be continually used as a program for social adaptation ability for children in welfare facilities.

      • 분노감소와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적용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 부모자녀 대상

        김성희 동덕여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과 이들 부모의 분노감소와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적용 사례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고학년인 4, 5, 6학년 아동과 그 어머니로서 분노감소 및 의사소통 향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프로그램의 설계는 홍유진(2015)에 의해 정립된 통합예술치료 이론의 I Therapy 매뉴얼을 중심으로 카타르시스, 투사, 역할, 가면아이, 그림자 엿보기, 시간여행자모델 등을 활용해 회기 당 두 개 이상의 다양한 예술매체를 유기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연구 수집 자료는 연구대상자에게 일어난 분노와 의사소통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진행한 심층면접, 녹취록, 비디오 활동촬영, 창작물, 활동사진 등이 활용되었으며 연구자가 관찰한 연구대상자의 언어적·비언어적 표현을 포함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그 결과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4, 5, 6학년 자녀와 이들의 어머니의 분노를 감소시키고 의사소통을 증진시키는 효과적인 치료방안으로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자녀의 경우 IT매뉴얼 중 카타르시스모델의 게임놀이기법, 감정표현기법과 역할모델을 주 방법으로 활용하거나 어머니들과 동일한 예술매체를 접목 활용했을 때 긍정의 반응을 보였다. 또한, 어머니의 경우 투사모델을 주 방법으로 활용하거나 자녀와 동일한 예술매체를 활용했을 때 각각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자녀와 어머니가 함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5회기와 10회기의 시간여행자모델이 상호 긍정적 변화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어느 한 집단의 일방적 변화가 아니라 상호 쌍방적 변화를 실제적으로 체감하면서 어머니와 자녀가 변화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인식과 새로운 관계에 대한 희망을 가졌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과 어머니의 분노감소 및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설계 및 적용 가능성을 살펴본 이 연구는 특히 긍정적·부정적 반응을 보인 치료세션을 분석함으로써 추후 동일 증상이나 집단의 관련 연구에 보다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의미를 두었다. 이를 통해 통합예술치료 학문의 이론적 발달과 임상적 적용 발전을 위해 후속적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기를 바란다. 주제어: 분노, 의사소통, 초등학교 고학년, 어머니, 통합예술치료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applying Integrative Arts Therapy to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anger reduction and communication enhancement. The participants included 4th to 6th grade students and their mothers. The researcher designed the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based on catharsis, projective, role, masking inner child, self-shadowing, and time traveller model in the IT Manual developed by Youjin Hong(2015), and used at least two arts media in each session. In order to evaluate the change in participants’ anger and communication, in-depth interview, creative works, recordings and photos taken during the sessions were assessed. Also, participants’ both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As a result, Integrative Arts Therap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anger and enhancing communication between 4th to 6th grade students and their mothers. Specifically in this study, using game and emotional expression methods in catharsis model or role model of the IT Manual to children and using projective model to mothers resulted in positive reactions from participants. In both cases, applying same arts media between two participant groups also resulted in positive reactions. In addition, 5th and 10th sessions, which children and mothers joined together for the session, with time traveller model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ducing positive change in participants. Experiencing mutual change rather than unilateral change in one group led participants to perceive more positive effect in the change and have hopes for a new relationship. By designing and applying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to upper elementary students and mothers for their anger reduction and communication enhancement,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for evaluating positive and negative reactions of participants in sessions and suggesting more effective way to do research in similar groups. The researcher hopes further researches to be done for academic development and clinical application of Integrative Arts Therapy. Key words: Anger, Communication, Upper Elementary Students, Mothers, Integrative Arts Therapy

      • 통합예술치료를 통한 발달장애 아동의 자기표현 증진 : 'I therapy' 매뉴얼을 기반으로

        이채원 동덕여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 대상 통합예술치료 적용 연구로 서울특별시 S장애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발달장애 아동 7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질적 사례 연구이다. 발달장애 아동의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통한 자기표현 능력 및 사회성 기술 향상을 목적으로 2016년 01월 08일부터 03월 25일까지 주 1회 60분씩, 총 12회기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설계 및 적용하였다.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구성은 미술, 음악, 연극, 동작 등 다양한 예술매체를 상호 통합적으로 활용한 투사모델을 기반으로 설계하였다. 초기단계는 긍정적 상호작용을 통한 라포형성을, 중기단계는 자기감정 탐색 및 인식을 목표로 하였다. 마지막 후기단계는 자기표현 실현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매 회기 치료세션의 일지분석을 통하여 연구대상자의 회기별 정서 및 행동변화를 심층적으로 질적 분석하였다. 또한 창작물 및 동영상을 추적하여 분석함으로써 연구대상자들의 긍정적 및 부정적 반응을 나타낸 기법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치료세션 분석 결과, 통합예술치료 경험은 연구대상자들의 자기감정 탐색 및 자기표현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긍정적 관계형성을 위한 공동작업 경험은 사회적 상호작용에 긍정적 반응을 나타내었다. 반면 긍정적 반응을 보인 매체를 수정 및 보완한 프로그램 적용은 연구대상자들의 특성에 부적합하였으며, 이들의 부정적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설계 및 적용 시 기법의 사용에 따른 유의사항을 분석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함으로써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설계 및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이 연구가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효율적으로 운용되길 바라며, 향후 장애아동의 정서 및 행동적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통합예술치료가 제도화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of applying Integrative Arts Therapy to seve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S welfare center for disabled in Seoul.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self-expression and social skills through forming positive relationship, the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took place from January 8th to March 25th 2016. The program was structured in 60 minutes per session, once a week, and 12 sessions in total. The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was established based on projection model using various arts media such as art, music, drama and movement. Building rapport through positive interaction was a goal in the beginning of the program, searching and recognizing one’s emotion in the middle, and actually doing self-expression in the end. Participants’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 in each session was qualitatively analyzed using journals. In addition, creative works and video recorded in the session were used to see participants’ positive and negative reaction to techniques used in the therapy. As a result, being involved in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in participants searching for their emotion and improving self-expression. Also, group works provided them positive experience of social interaction. On the other hand, some revised program was found to be not appropriate, considering characteristic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researcher was able to note cautions of using technique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for applying and evaluating the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The researcher hopes the present study to be used as basis for further development of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and the therapy to be institutionalized for the purpose of help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their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 연극치료가 학교폭력 청소년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최정윤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연극치료가 학교폭력 청소년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연극치료 참여자 군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S중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들로서 해당 내 상담실 교사가 설문조사를 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가해자로 선정된 학생들을 치료집단(N=10)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연극치료 프로그램은 치료 공연을 목적으로 David Johnson(1980)의 발달변형과 Robert Landy(1994)의 역할 모델을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연극치료 프로그램은 연구자와 보조진행자 한 명이 참여하였으며, 주 1-2회, 90분씩, 12회기를 진행하였다.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치료집단에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1회씩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통계적 검증은 SPSS 17.0의 T-검증을 통해 공격성 변화에 대한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유의도 수준은 p<.05로 하였다. 공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Buss와 Durkee(1975)의 “적의성 검사(An Inventory for Assessing Different Kinds of Hostility)”와 황정규(1964)의 “공격성 검사”를 허일범(1997)이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검사지는 5개의 하위영역(신체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우회적 공격성, 부정성, 흥분성)으로 구성되어 있고 총 30문항이다. 그리고 통계 결과로만 알 수 없었던 행동상의 변화를 참여관찰법과 비디오촬영 자료를 바탕으로 회기별로 질적 분석하여 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 분석으로 인해 연극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교폭력 청소년들의 전체적 공격성이 프로그램 전보다 감소되었다. 둘째, 양적 분석으로 인해 연극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교폭력 청소년들의 공격성 하위 요인인 언어적 공격성, 우회적 공격성, 부정성, 흥분성이 감소를 나타내었지만 신체적 공격성은 효과가 없었다. 셋째, 질적 분석으로 인해 공연치료는 참가자들 간에 집단역동을 통한 일체감을 느끼게 하고, 공연 과정을 통해 성취감을 갖게 했다. 이는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이 향상되어 공격성 감소에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존의 학교폭력 연구가 예방 위주의 소극적 연구방법이 주를 이루었는데 반하여 본 연구는 치료에 목적을 두고 좀 더 적극적인 방법으로 내담자가 직접 공연에 참여하는 공연치료를 적용한 것에 의의가 있다. 그리고 아직은 생소한 공연치료가 학교폭력청소년에게 유용하고 적절한 치료적 접근이 되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를 둘 수 있으며 추후 관련 연구자들에게 유익한 자료가 되기를 희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effect of drama therapy on reduction of aggression in adolescents with school viol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ten second grade students with school violence who entailed completing a survey from the school counselor of S middle school in Seoul. The drama therapy program for adolescents was based on Developmental Transformation of David Johnson (1980), and Role model of Robert Landy (1994) for drama therapy. The drama therapy program operated by the researcher and another research assistant, 1-2 times per week, 90 minutes per session, total of 12 sessions were conducted.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pre-examination, post-examination on experimental group. Analysis of data was performed by t-test of SPSS 17.0.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 violence, and the significant level was p<.05. In order to find adolescents' aggression "An Inventory for Assessing Different Kinds of Hostility" by Buss & Durkee (1975), and the reorganized model by Huh, Il-beom (1997) based on aggression test of Hwang, Jeong-Kyu (1964) were used. The questionnaire in this study consists of 5 sub-factors (physical aggression, linguistic aggression, indirect aggression, negativity and irritability) and includes 30 items. To examine behavioral changes which were not indicated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participation observation method and the video records were added. The result obtained in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quantitative analysis, the adolescents with school violence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drama therapy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of aggression. Second, in quantitative analysis, the adolescents with school violence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drama therapy showed reduction in the sub-factors of aggression - linguistic aggression, indirect aggression, negativity and irritability.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physical aggression. Third, in qualitative analysis, theatre therapy helps unify the participants through group dynamics, and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from performance process.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ability of empathy effects the reduction of aggression. The result from this study implication are an application of more active theatre therapy through clients' participation in therapy directly, however most existing research were passive methods for preven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assive method for violence prevention in school, it is meaningful to apply theatre therapy through clients' participation in therapy directly. Although theatre therapy is unfamiliar, as an approach for the effective therapy for adolescents with school violence, the result from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the relative researchers.

      • 치매노인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소형 동덕여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현대의학의 발전과 과학문명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연장 된 것은 전 세계적으로 더 이상 새로운 현상이 아니다. 이와 관련된 노인질환 역시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그 중 치매노인 수의 증가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치매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치료법으로 약물을 이용한 의학적 치료법 외에 다양한 예술치료를 통한 심리 치료법의 효과성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최근에는 단일 예술치료의 장점을 극대화시키고 단점을 보완한 통합예술치료가 다양한 대상자들을 통해 그 효과와 영향을 인정받고 있지만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현실이다. 이에 이 연구자(부록 10참조, p. 179)는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치매노인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먼저 연구 I을 통해 치매노인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홍유진(2017)의 통합예술치료(Integrative Arts Therapy [IT]) 이론에 근거하여 개발하였다. B시 J종합사회복지관 치매노인 12명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한 후 대상자들의 정서 및 사회적 행동 변화를 질적 분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구성 및 내용과 진행 방법에 대해 수정 및 보완할 사항에 대해서도 분석한 후 치매노인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II에서는 개발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행동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자들은 B시 S노인복지센터를 이용하는 치매노인 15명으로서 7명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집단으로 8명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프로그램 참여집단에게는 2017년 1월 2일부터 4월 12일까지 주 2회 90분씩 30회기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대상자들의 변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참여관찰을 통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30회기 프로그램 전체를 녹취·녹화한 자료와 치료사가 매 회기 작성한 관찰일지를 연구 도구로 사용하였다. 이와 더불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집단과의 비교 연구를 위하여 두 집단에게 인지, 정서, 사회적 행동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권용철, 박종한(1989)의 한국형 인지기능 척도(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와 Snyder, Ryden, Shaver, Wang, Savik, Gross(1997)의 정서 측정도구(The Apparent Emotion Ratings Instrument) 그리고 김부영(2001)의 사회적 행동기능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두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는 SPSS v25를 사용하여 t-검정을 실시한 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의 치매노인들은 회기가 진행될수록 우울감이 감소되고 안정이 유지되며 관심과 기쁨의 증가로 정서적인 안정을 유지하였다. 대상자들에게서 관찰되는 비언어적인 행동으로는 무표정하거나 슬픈 표정에서 미소와 웃음이 증가하고 춤을 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위 환경에 무반응이었던 대상자들이 주위에 관심을 보이는 행동을 하고 편안한 신체 자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언어적인 행동으로는 대상자들의 목소리가 힘차고 커지며 기쁘거나 만족스러움에 대해 표현하고 노래를 부르고 유머를 사용하는 것이 점진적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의 치매노인들은 회기가 진행되는 동안 무관심, 무반응, 수동적인 행동에서 의사소통이 증진되고 능동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치료사/보조치료사와의 관계에 있어서 대상자들은 인사를 하거나 눈 맞춤을 하며 설명에 잘 따르고 자신의 불편한 점에 대해서도 편하게 말하는 것이 점진적으로 관찰되었다. 동료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대상자들은 동료에게 반갑게 인사하거나 동료의 행동을 관찰·모방·수정하며 서로를 칭찬하며 신체적인 접촉도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아울러 실시한 참여집단과 비 참여집단의 인지, 정서, 사회적 행동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참여집단의 인지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는 유의하지는 않지만 평균 0.71 증가하였고 정서는 유의수준 .001에서 사회적 행동은 유의수준 .05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비 참여집단은 같은 기간 인지, 정서, 사회적 행동 모두 유의수준 .05에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 연구에서 개발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행동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증명할 뿐만 아니라 치매노인에 대한 통합예술치료의 필요성을 뒷받침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부족한 실정에서 이 연구가 치매관리의 중요성을 알리고 통합예술치료의 활성화에 중요한 기여를 한 것에 의의를 둔다. 이 연구가 치매노인을 위한 통합예술치료의 유용한 본보기와 준거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치매노인, 정서적 안정, 사회적 행동, 통합예술치료 The prolongation of human life expectancy due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medicine and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civilization is no longer a new phenomenon all over the world. The diseases of the old adults related to this are also inevitable reality.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old adults with dementia is emerging as a serious social problem. There are many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psychotherapy through various art therapies besides medical treatment using medication as a treatment for relieving symptoms of dementia. Recently, Integrative Arts Therapy, which maximizes the merits of single art therapy and compensates for weaknesses, has been acknowledged through various subjects. However, research on the old adults with dementia is still lacking. Therefore, the researcher(Appendix 10, p. 179) recognized the need for an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for the old adults with dementia and developed an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for the old adults with dementia to improve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l behavior.    To accomplish this goal, the researcher first developed an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for the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l behavior enhancement of the old adults with dementia through research I based on the Integrative Arts Therapy Manual of Hong, Yoo-Jin(2017).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12 old adults with dementia in B city J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emotional and social behavior changes of the subject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tudy, we developed an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for improving the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l behavior of the old adults with dementia.    In research II, we examined the effects of the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developed for the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l behavior of the old adults with dementia.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on 15 old adults with dementia using S welfare center in B city. 7 people were divided into the program group and 8 peopl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Participants in the program participated in 30 sessions of Integrative Arts Therapy, 90 minutes twice a week, from January 2 to April 12, 2017.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 of the subjects in detail,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The recorded and recorded data of the entire 30 session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s and the observation journal prepared by the therapist each session were used as research tools. In addition, pre-and post-test of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behaviors were performed on the two groups in order to compare them with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e research tools included measuring instruments for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of Kwon, Yong-Cheol and Park Jong-Han(1989) and the Emotional measurement tool of Snyder, Ryden, Shaver, Wang, Savik and Gross(1997) and the Social Behavior measurement Tool of Kim, Bu-young(2001). The pre-post test results of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by t-test using SPSS v25.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old adults with dementia of the group participating in the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maintained emotional stability by decreasing depression, maintaining stability, and increasing interest and joy as the sessions progressed. The nonverbal behaviors observed in the subjects showed that smile and laughter increased and dance in expressionless or sad expression. And subjects who were unresponsive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ere observed to behave in a manner that showed interest in the surrounding situation and to maintain a comfortable body posture. In verbal behaviors, the voice of the subjects was stronger and bigger, gradually expressing pleasure or satisfaction, singing and using humor. Also, it was observed that the old adults with dementia of the group participating in the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improved communication and active interaction during indifference, unresponsiveness, and passive behavior during the session. In relation to the therapist/assistant therapist, it was gradually observed that the subjects greeted or greeted, followed the explanation well, and was comfortable talking about their discomfort. In relation to peers, the subjects were also observed to greet their peers in a friendly manner, to observe, imitate, modify their peers' behaviors, to praise each other, and to increase physical contact.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behavior of participating groups and non-participating groups. The pre-test for the cognitive of the participant group was not significant but increased 0.71 and the emotional level was .001 and the social behavior was significant at the significance level .05. On the other hand, the non-participation group decreased in significance level .05 in both the same period, emotion, and social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developed in this research not only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the old adults with dementia in promoting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l behavior, but also supports the need for Integrative Arts Therapy for the old adults with dementia. In addition, in the context of the lack of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s for the old adults with dementia,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informing the importance of dementia management and contributing to the activation of Integrative Arts Therapy.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be a useful example and reference for Integrative Arts Therapy for the old adults with dementia. Key words: the Old Adults with Dementia, Emotional Stability, Social Behavior, Integrative Arts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