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채비율이 수출·비수출 기업 퇴출에 미친 영향 : 글로벌 금융 위기 이전·금융 위기 기간 비교

        김성후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이항 로짓(logit) 모형을 통해 2004-2009년 동안 코스닥·유가증권시장 상장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부채비율(leverage)이 수출·비수출 기업 퇴출에 미친 영향을 추정하고, 나아가 분석 기간을 글로벌 금융 위기 이전과 글로벌 금융 위기 기간으로 나누어 기간별 비교를 통해 부채비율이 수출·비수출 기업 퇴출에 미친 영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한다. 본 논문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기간 동안 부채비율의 증가는 수출 기업보다 비수출 기업 퇴출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금융 위기 이전과 비교하여 금융 위기 기간 동안 수출·비수출 기업 모두 부채비율 증가에 대한 퇴출 민감도가 더 커졌다. 셋째, 부채비율의 증가는 금융 위기 이전 동안 수출·비수출 기업 퇴출에 상대적으로 비슷한 영향을 미친 반면 금융 위기 기간 동안 수출 기업보다 비수출 기업 퇴출에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본 논문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불완전한 자본 시장의 특성을 가진 현실 경제에서 기업의 효율성 이외에 부채비율과 같은 기업의 재무적 특성은 퇴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비수출 기업과 비교하여 수출 기업은 자금 제약 문제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경향으로 인해 특히 외부 자금 조달 문제가 심화될 수 있는 경제적 위기 상황이 발생할 때 수출 기업은 퇴출에 더 적은 타격을 받을 수 있다. This paper analyses how leverage affected exits of exporters and non-exporters among publicly listed manufacturing firms during 2004-2009 in Korea. Further, it estimates the effect of leverage by partitioning the sample period into the pre-crisis and the crisis periods to compare the effect on exits of exporters and non-exporters in each perio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n increase in leverage resulted in higher exit probability for non-exporters compared with exporters during the sample period. Secondly, when the sample period is split into the pre-crisis and the crisis periods the study finds that the sensitivity of exit to leverage was increased for both exporters and non-exporters during the crisis period compared with the pre-crisis period. Finally, while leverage had relatively similar effect on exits of exporters and non-exporters during the pre-crisis period it affected exits of non-exporters more severely during the crisis period. Implications from thes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it suggests financial variables such as leverage can be important factors for firm exit besides efficiency. Secondly, given that exporters are less likely to be financially constrained than non-exporters, exits of exporters can be less affected especially when the access to external finance is limited.

      • 한국의 해외직접투자와 국내투자 관계분석

        김한영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While the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Outward FDI) has been increasing across the world, there has been concern that the capital outflow might reduce domestic investment. Regarding this concern, I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Outward FDI of South Korea and domestic investment in South Korea. And, the empirical analysis is performed in aspects of both manufacturing and macroeconomy.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2000 and 2014. Firstly, in the aspect of manufacturing, I classify the manufacturing industry of South Korea into 13 sectors and compose a set of panel data. The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of the panel data shows that the annual difference of the real net capital stock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real Outward FDI flows. In addition, I divide the 13 sectors into two groups by the domestic value-added and the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and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of the two groups. One of the two groups is the major industries that consist of electronic products, motor vehicles, chemical products, etc. The other one of the two groups is the minor industries that are composed of textiles, leather products, wood, paper, etc. The results do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major industry group but show a negative correlation in the minor industry group. The results are likely to be related to features of a production process or global value chain of each sector. Secondly and lastly, in the aspect of macroeconomy, I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Gross Fixed Capital Formation(GFCF) as a share of GDP and Outward FDI as a share of GDP. I perform OLS regression analysis of South Korea. And, in order to compare South Korea with other countries that are different economic developing stages on, I set and analyze panel data of the advanced economy group, which consists of 22 developed countries, and the emerging market group, which is composed of 36 developing countries. The analysis of South Korea does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FCF and Outward FDI. However, the analysis of the advanced economy group and emerging market group shows significant correlation. I find a positive correlation in the advanced economy group, but a negative correlation in the emerging market group. These results appear likely to be related to capital cost, technological level, industrial structure, etc. of each country. I interpret the results of analyses in this paper that it is unlikely to reduce the domestic investment of South Korea by Outward FDI. Moreover, I interpret that Outward FDI is likely to propel domestic investment of South Korea if South Korea has competitiveness in the knowledge-and-technology-intensive service industry like advanced countries because the advanced economy group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omestic investment and Outward FDI. 세계적인 해외직접투자(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의 증가 추세와 함께 자본유출에 따른 국내투자 감소를 우려하는 견해가 존재한다. 이러한 우려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한국의 해외직접투자와 국내투자의 관계에 대해, 2000~2014년 자료를 이용하여 산업(제조업) 차원과 거시경제 차원에서 실증분석 하였다. 첫째, 산업 차원에서 제조업을 13개 업종으로 구분하여 패널자료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제조업 전체 측면에서 연도별 실질 순자본스톡 증감액과 실질 해외직접투자액(flow)은 보완관계를 보였다. 또한, 13개 업종을 국내부가가치(2013년 기준)와 현시비교우위지수(2011년 기준)을 이용해 주력 업종(전기/전자, 운송장비, 화학 등)과 비주력 업종(섬유/가죽, 목재, 종이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주력 업종에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관찰할 수 없었고, 비주력 업종에서는 대체관계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업종별 생산공정 및 글로벌 밸류체인과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둘째, 거시경제 차원에서 GDP 대비 총고정자본형성 비율과 GDP 대비 해외직접투자액(flow) 비율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한국에 대해선 OLS 분석을 하였다. 또한, 한국과 다른 경제발전 단계에 있는 국가를 비교하기 위해, 선진국(22개국) 그룹과 신흥국(36개국) 그룹을 설정하여 각각에 대해 패널자료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에 대해서는 해외직접투자와 국내투자에 대해 유의미한 관계를 관찰할 수 없었다. 반면, 선진국 그룹에서는 보완관계를, 신흥국 그룹에서는 대체관계를 발견하였다. 국가별 자본비용, 기술수준, 산업구조 등과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실증분석을 통해, 한국에서 해외직접투자가 국내투자를 대체한다고 보기 어려운 것으로 해석 하였다. 또한, 거시경제 측면에서 선진국은 해외직접투자와 국내투자 사이에 보완관계를 나타내고 있는데, 향후 한국이 경제발전에 따라 선진국과 같이 지식기술집약 서비스업에 경쟁력을 가질 경우에 해외직접투자와 국내투자가 보완관계를 보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 하였다.

      • 초연결사회 감염서사에 드러난 정동정치와 돌봄윤리

        최슬기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초연결사회 감염서사를 대상으로 하여 집단감염의 상황에서 생명권력이 신체에 작동하는 방식과 그에 대한 개별·집단 신체의 정동, 그리고 기존 질서를 재편하고자 하는 대안으로서 돌봄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팬데믹 국면에서 ‘감염’이라는 재난은 이제 일상이 되었다. ‘비가시화 영역’의 바이러스 확산 상황은 우리가 인지하지 못하는 사이 우리의 ‘몸’이 이미 물질과 비물질로 인해 수 없이 연결되어 있음을 주지시킨다. 감염서사에서 신체는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열린-계(系)이자 권력(potentia)과 역능(potestas)이 끊임없이 통과하는 장(場)이다. 본 연구는 초연결사회 일상을 배경으로 한 2010년대 이후 감염서사 텍스트를 대상으로 집단감염의 상황에서 초연결 테크놀로지와 결합한 미시-권력이 신체에 작동하는 방식과 이에 대응하는 개별·집단 신체의 상호작용을 파악한다. 이를 위해 우선, 푸코의 생명정치 이론을 바탕으로 오늘날 통제사회에서 생명권력이 작동하는 방식을 감염 신체의 분리 양상에 따라 분석한다. 집단감염의 상황에서 생명권력은 개별 신체에 대한 규율권력, 집단 신체에 대한 안전권력, 나아가 인종주의를 통해 복원된 주권 권력의 형태로 작동한다. 통제사회로 접어든 오늘날, 감염서사는 새로운 테크놀로지와 결합하면서 일상 깊숙이 파고드는 생명관리권력의 형태를 텍스트를 통해 전면화한다. 다음으로 정동 이론을 참고하여 통제사회의 생명관리권력을 유지하는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작동방식과 감염이라는 재난 상황에 놓인 개별·집단 신체 외부와 내부의 상호작용을 살펴본다. 감염서사에서 ‘정동’은 두 가지 양태로 나타난다. 첫 번째는 감염 신체를 다루는 생명권력에 포섭되어 통치를 용이하게 하는 수단으로 활용되는 정동이다. 감염 신체에 대한 혐오적 정동을 생성함으로써 통치 권력은 ‘권력의 내면화’를 달성하고, 신체를 둘러싼 환경을 이용하여 정동을 조작함으로써 ‘환경의 최적화’를 수행한다. 두 번째는 생명권력에 대항하는 신체들 사이에서 촉발하고 촉발되는 정동이다. 신체 내부에 잠재되어 있던 정동은 신체들의 모여듦과 마주함을 통해 서로를 공명하고 증폭시키면서 신체 역량을 증대한다. 증가한 신체적 역량은 통치 권력의 구조를 비틀고 바깥으로 빠져나가려는 반-경향성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감염서사에 드러난 집단감염과 통제사회로 이행에서 파편화된 개인에 의해 통치 권력의 수동적 대상이 되는 ‘공동체’에 대한 실재적 대안 체제를 사유하기 위해, 헬드와 트론토의 정치·철학적 관점의 ‘돌봄’을 참고한다. 감염서사는 현실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되는 ‘돌봄 불평등’과 ‘돌봄 결핍’의 문제를 궁극적인 재난 상황을 통해 전면화하고, ‘함께 돌봄’에서 이어진 ‘돌봄 민주주의’의 실현을 그려내면서, 존재의 역량을 증대시키는 정동적 연결의 신체성 구축의 한 방식으로 돌봄을 제시한다. 연결된 자신과 타자의 취약성 인지를 바탕으로 상호공유하는 관계성은 감염 재난이 초래한 우울증을 타자에 대한 배려로 전환하고 그러한 배려의 형태는 인간을 넘어 동물과 환경으로 확대된 타자-되기로 발현한다. 감염서사는 이렇듯 인간의 ‘몸’이 다른 ‘몸’ 또는 사물-에너지와 결합하면서 권력에 의해 굴절되거나 저항적 신체로 확장되는 과정을 가시화한다. 감염서사가 가시화한 감염의 정치적 메커니즘을 미시물리·미시정치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팬데믹을 맞이한 현시점에 우리가 궁극적으로 추구할 사회적 방향성을 사유토록 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 서비스 기업 FDI 위치결정에 대한 제조업 군집의 영향 : GVC 관점 분석

        정선미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글로벌 밸류체인 구축의 관점에서 2011년부터 2018년까지 MDIS 기업수준 데이터를 사용하여 한국 제조업분야 기업의 해외직접투자가 서비스 분야 기업의 해외직접투자를 유인하는지를 외연적 한계(해외자회사 수)와 내연적 한계(해외투자금액)로 나누어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제조군집이 된 지역일수록 서비스기업의 해외직접투자는 외연적·내연적 확장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는 한국 서비스기업이 해외에서 자국의 제조기업과 연계하여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In a view of constructing global value chains,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 of manufacturing agglomeration on service firms’ FDI location decisions by dividing it into the extensive margin(number of foreign affiliates) and the intensive margin(the amount of foreign investment) using the MDIS firm-level data from 2011 to 2018. As a result, I find that foreign direct investment by service firms significantly rises with the agglomeration of manufacturing firms. This empirical result suggests that Korean service firms are establishing a global production network in conjuction with their manufacturers.

      • 제조업 기업의 해외직접투자와 국내설비투자 관계 분석

        김민재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통계청의 ‘기업활동조사’ 자료(2010-2018)를 이용하여 기업 수준에서 한국 제조기업들의 국내설비투자와 해외직접투자(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OFDI)에 대한 의사결정을 이변량 프로빗 모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조기업의 국내설비투자와 해외직접투자에 대한 의사결정은 동시에 고려되어야 하며, 두 선택은 서로 보완관계를 보인다. 둘째, R&D집중도가 높은 기업일수록 국내설비투자와 해외직접투자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세계화의 흐름에 따른 기업의 국제화 전략은 경쟁력 강화, 생산성 제고를 위한 자연스러운 흐름이다. 따라서 기업의 국제화 전략을 강화하는 동시에 국내설비투자와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갈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다국적 기업의 국내 본사 분리에 대한 실증 연구

        김준석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Empirical Analysis: Multi-national Enterprise’s Headquarter Separation in the Domestic Country As one of essential parts for corporate’s survival, functions and responsibilities of corporate headquarter (HQ) have been changed. This study uses Survey of Business Activities by Statistics Korea to examine separation choice of HQ and manufacturing functions in South Korean manufacturing. Corporations choose separation strategy as one way of specialization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firm’s management capability. In this study, a hypothesis that multi-national enterprises (MNEs) are more likely to separate HQs from manufacturing functions than domestic firms is used. Nowadays, some MNEs in developed countries leave only HQ functions in domestic country and entirely separate their manufacturing functions into foreign countries. A similar separation pattern of HQ and manufacturing functions which represents intensified HQ functions is found in the South Korea case. It is worth to examine whether MNEs cause significant difference in functional separation choices. In addition, it is valuable to predict how this pattern will change in the future and possible problems such as regional inequality. 기업의 본사는 기업 생존에 있어 핵심 요소로, 그 정의와 기능은 계속 변하고 있다. 본 연구는2006년부터 2014년까지의 기업 활동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다국적 기업의 국내 본사와 제조 기능의 지리적 분리 현상을 살펴보았다. 기업은 특화의 일종으로 본사와 제조 기능의 분리를 선택하는데, 이는 기업의 경영 능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본 논문은 해외 제조 자회사를 보유한 다국적 기업에게서, 내수 기업에 비해 본사와 제조 기능의 분리가 잘 나타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실제 한국의 경우, 해외 제조 자회사를 보유한 다국적 기업이 내수 기업에 비해 국내에서 본사와 제조 기능을 더 많이 분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선진국의 다국적 기업들은 자국에 본사 기능만 남겨두고, 제조 기능은 해외로 완전히 분리시키기도 하는데, 한국의 경우 해외로의 완전한 생산 분리 대신, 국내에서의 분리 현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기업들의 본사 기능 강화, 특히 국제화 전략을 택하는 다국적 기업의 본사 기능 강화로 인해 국내에서 기업 구조의 기능적 재편이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다국적 기업의 분사 분리 선택이 지역 경제 성장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본사의 기능이 지리적으로 분리되는 현상을 살펴보고, 향후 기업의 본사 분리 전략이 어떤 식으로 나타날지, 또한 그로 인해 발생할 문제점은 무엇인지 예상해 보는 데에 의의를 지닌다.

      • 초등학교 무용교육이 학생들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지혜경 대구가톨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초등학교 무용교육이 학생들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G시 소재의 초등학교의 4, 5, 6학년 학생들 400명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외한 357명(참여자 184명, 비참여자 1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신체적, 정서적, 학업적, 사회적의 4가지 하위영역으로 구분하여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교육이 참여 유·무에 따른 자아개념의 차이는 참여집단이 비참여 집단보다 신체적 자아개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인 신체적, 정서적, 학업적, 사회적 요인에서 유의한 차(p<.05)가 나타났다. 둘째, 무용교육 학습자 중 성별에 따른 자아개념의 차이는 하위요인인 정서적, 학업적, 사회적 요인에서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남자보다 여자가 다소 높은 경향을 보았다. 셋째, 무용교육 학습자 중 학년에 따른 자아개념의 차이는 신체적, 정서적, 학업적 하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났으며 저학년보다 고학년 순으로 더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적 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초등학교 무용 교육 참여는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에서의 무용교육을 활성화하여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고, 다양한 경험을 통해 무용 활동의 의미와 가치를 체험하고 만들어 나간다면 이를 통해 자아개념 형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on a total of 400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in the current dance education by dividing them into 4th, 5th and 6th grades of the elementary schools located G city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danc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on student's self-concept and self-concept was divided into 4 subfactors (physical, emotional, academic, social) and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by education participation, sex and age are summarized as below. First, as for the difference of self-concept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dance education, physical self-concept of the participation group was shown higher than the non-participation group.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hat dance education g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self-concep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as for the difference of self-concept of participants in dance education according to sex, fe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males but its statistical significant was not shown. Accordingly, this result can explain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self-concept according to sex. Third, as for the difference of self-concept of participants in dance education according to grade, all the 4th, 5th and 6th grad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subfactors and higher graders were influenced positively more than lower graders. To sum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participation in danc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is considered to positively influence self-concept.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if school dance education becomes active and students can actively participate and experience the meaning and value of dance activities through various experiences, it will help a lot form self-concep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