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의 인성 및 직무수행 연구

        이수연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A study on personality and job performance of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 teachers Lee, Soo-yeo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Ha, Seung-min This study aims at comparing the personality and job performance of the teachers who serve at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and at examining the influence in job performance of the childhood teacher personality, the teachers who serve at the two groups. The objects were 297 childhood teachers such as 150 nursery school teachers and 147 kindergarten teachers, the facilities located at Jeonju-si and Wanju-gun, Jeollabuk-do. The measurement tool for the childhood teacher personality used in this study was personality self-appreciation tool invented by Jeon, Jaesun (2011) and revised and complemented by Jeong Myeong Ja (2016). This study revised and complemented it again, appropriate to the study quality. The measurement tool for job performance was a questionnaire used by Lee, Su Jin (2016), revised and complemented on the basis of Yang, Gyeong Hye (2012)'s job performance role category which was presented by Saracho (1988).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in general the personality of the teachers who served at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was affirmative. In the two cases, concerning on the teachers who served at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the job performance attitude category, subsidiary to personality, was highest. The personality depending on age of the teachers who served at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was high at the group older than the forties. The personality of the married teachers was more affirmative than that of single teachers. As for the analysis of personality difference, depending on career, the nursery school teacher didn'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ut the kindergarten teacher had it. As for the result of personality difference, depending on academic history, major department, and belonging organization, the two groups didn'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s for the personality difference, depending on certificates, the personality of the teachers who held regular kindergarten teacher certificate class1 was more affirmative. Second, in general, highest was the job performance of the teachers who served at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In two groups, the role as the counselor and advisor was the highest. The job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age of the teachers who served in the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didn'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so much. But, as for the job category as educational designers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forties performed the job the better. As for the job performance depending on marriage, the married teachers of the two groups performed the job better. As for the nursery school teacher, the married teacher performed better ‘the job category as a curriculum designer’, ‘the job category as a worker, planner, and performer’, and as for the kindergarten teacher, the married teacher performed the better 'the job category as a curriculum designer’. This study examined the job performance deference depending on the career of the teachers who served at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The nursery school teacher didn'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ut the kindergarten teacher holding longer than 7 year's career performed the better. As for the analysis of role performance difference depending on academic history and major departments of the teachers who served at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the two groups didn'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performance statistically. The job performance depending the certificate held by the teachers who served at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s for the nursery school teacher, the teachers who held care teacher class1, regular kindergarten teacher class1 performed jobs the better, and as for the kindergarten teacher, the teachers who held care teacher class1, regular kindergarten teacher class2, and regular kindergarten teacher class1 performed jobs the better. Job performance depending on organization types in which the nursery school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belonged didn'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hir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ersonality and job performance of the teachers who served at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The more affirmative the personality of the teachers who served at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the higher the job performance was.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forgiveness category’ and ‘job category as the person in charge of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subsidiary category of personality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neither was there the correlation among ‘altruistic category’, ‘job category as a curriculum designer’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Fourth, the personality of the teaches who served at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had an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The subsidiary factor to the personality which influences in nursery school teacher's job performance the most was a creative tendency.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의 인성 및 직무수행 연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전공 이수연 지도교수 하승민 본 연구는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의 인성 및 직무수행을 비교해 보고, 두 집단의 유아교사 인성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전주시와 완주군에 위치한 어린이집 교사 150명과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147명으로 총 297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유아교사의 인성에 대한 측정도구는 정명자(2016)가 전재선(2011)의 인성 자기평가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것을 본 연구의 특성에 맞게 재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직무수행 측정도구는 이수진(2016)이 양경혜(2012)의 Saracho(1988)가 제시한 직무수행 역할 범주에 기초하여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인성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 모두 인성의 하위요인인 직무수행태도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연령에 따른 인성은 두 집단 모두 40대 이상에서 높게 나타났고, 기혼인 교사의 인성이 미혼인 교사보다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교직경력에 따른 인성 차이 분석에서 어린이집 교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치원 교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과 전공학과와 소속 기관유형에 따른 인성 차이 결과에서는 두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격증에 따른 인성 차이에서는 두 집단 모두 유치원 정교사 1급을 가지고 있는 교사의 인성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으로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직무수행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 모두 상담자 및 조언자로서의 역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연령에 따른 직무수행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설계자로서의 직무 영역에서는 40대의 유치원 교사가 직무수행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유무에 따른 직무수행에서는 두 집단 모두 기혼인 유아교사가 직무수행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의 경우 ‘교육과정 설계자로서의 직무’, ‘일과 계획 및 수행자로서의 직무영역’이, 유치원 교사의 경우 ‘교육과정 설계자로서의 직무 영역’에서 기혼인 유치원 교사가 직무수행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른 직무수행 차이 검정 결과를 살펴보면, 어린이집 교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치원 교사는 7년 이상의 교직경력일 때 직무수행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학력과 전공학과에 따른 역할수행 차이 분석에서는 두 집단 모두 직무수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가 소지한 자격증에 따른 직무수행 차이에 대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의 경우, 보육교사 1급, 유치원정교사 1급을 가지고 있는 교사가 직무수행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치원 교사는 보육교사 1급, 유치원정교사 2급, 유치원정교사 1급을 가지고 있는 교사가 직무수행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소속 기관유형에 따른 직무수행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인성과 직무수행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인성이 긍정적일수록 직무수행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단, 어린이집 교사는 인성의 하위요인인 용서 영역과 ‘행정업무 및 관리자로서의 직무 영역’이, 유치원 교사는 이타성 영역과 ‘교육과정 설계자로서의 직무 영역’, 그리고 자기조절 영역과 ‘행정업무 및 관리자로서의 직무 영역’은 무상관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인성이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수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인성 하위요인은 공감적 이해로 나타났으며, 유치원 교사의 역할수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인성 하위요인은 창의적 성향으로 나타났다.

      • 동화듣기를 함께한 음악감상 활동이 유아의 음악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지연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동화듣기를 함께한 음악감상 활동이 유아의 음악인지 능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동화듣기를 함께한 음악감상 활동이 유아의 음악인지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익산에 위치한 어린이집 유아 40명이다. 선정된 유아는 각각 실험집단(남:8, 여:12)과 비교집단(남:9, 여:11)로 배정하였다 . 유아의 음악 인지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검사 도구는 Seashore, (1919)의 Musical Talent Test와 Lorton, Walley(1979)의 Music Materials for Teaching 을 김광자(2004)가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사전․후 검사에는 본 연구자가 CD를 제작하여 사용했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화듣기를 함께한 음악감상 활동을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비교집단의 유아들에 비하여 음악 인지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음악 인지능력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음높이(t=2.97, p< .05), 리듬(t=2.54, p< .05), 음색(t=1.77, p< .05), 리듬(t=2.45, p< .05)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동화듣기를 함께한 음악감상 활동이 유아의 음악 인지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음악 인지능력의 발달을 높이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길 기대해본다.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with listening to fairy-tale influence of young children’s on music cognitive ability Kim Ji youn Department of Eari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Ha Seung m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sic appreciation activity on listening ability of young children‘s . first, How does music appreciation activity with listening to a fairy tale affect the infant's music cognitive ability? For this study, 40 infants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Ik-san, Jeolla buk-do were selected .the selected infants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male: 8, female: 12) and comparative group (male: 9, female: 11). The test tools used to investigate the music and cognitive abilities of young children are the Musical Talent Test by Seashore (1919) and the Music Materials for Teaching by Lorton and Walley (1979). In the pre- and post-test, the researcher produced and used cd.Data collected through pre - test and post - test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with listening to the fairy tal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music cognitive ability compared with the children in the comparison group. If we look at the sub-factors of music perception ability T = 2.97, p <.05), rhythm (t = 2.54, p <.05), tone (t = 1.77, p <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usic appreciation activity with listening to a fairy tal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infant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hope to uti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a basic data to improve the development of music cogni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미술활동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고진옥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미술활동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고 진 옥 우석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 및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하 승 민 본 연구의 목적은 치료적인 요소를 포함한 미술활동 프로그램을 구성 한 다음 이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 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가를 알아보기 위함에 있다. 본 연구에 서는 첫째, 선행연구를 토대로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개념 과 구성요인을 설정하고,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시 키기 위한 구체적인 활동들을 구성함으로써 치료적인 요소를 포함한 미 술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둘째, 치료적인 요소를 포함한 미술활동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아동들의 자아존중감 증진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가를 검증하였다. 치료적인 요소를 포함한 미술활동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 고 있는 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아동 3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지역아동센터 두 곳을 선정하여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최보가·전귀연(1993)의 척도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정희원·김경연(2005)의 척도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 다. 실험처치에 앞서 치료적인 요소를 포함한 미술활동 프로그램이 아동 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016년 7월 15일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주 2회, 10주 동안 18회기 로 진행하였고(2016년 7월 18일 부터 2016년 9월 30일), 실험처치가 끝 난 후 실험처치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사전검사와 동일한 검사도구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검사는 연구자가 해당기관을 방문하 여 직접 실시하였다. 치료적인 요소를 포함한 미술활동 프로그램에 따른 두 집단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사후 검사에 대하여 사전검사 점수에 대한 효과를 제거하고 치료적인 요소를 포함한 미술활동 프로그램에 따른 순수효과를 분리 검출할 수 있도록 사 전검사 점수를 공변량으로 하는 공변량분석(analysis of covariancs; ANCOVA)을 적용하였다. 치료적인 요소를 포함한 미술활동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 의 자아존중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보면, 아동들에게 치료적인 요소를 포함한 미술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전체 자아존중감에서 사전검사 에 비해 사후검사의 자아존중감이 증진하는 효과가 있었다. 자아존중감 을 하위 개념으로 한 치료적인 요소를 포함한 미술활동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공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 아동의 자 아존중감 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 및 표준편차의 사전사후 검사 비교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집단 간의 차이는 치료적인 요소를 포함한 미술활동 프로그램을 활용한 교육프로그 램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후검사 점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 었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모든 하위영역에서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 에서 자아존중감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적인 요소를 포함한 미술활동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 아동들 이 통제집단의 아동들에 비해 친사회적 행동이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친사회적 행동을 하위 개념으로 한 치료적인 요소를 포함한 미술활동 프 로그램의 적용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공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험 집단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 및 표 준편차의 사전사후검사 비교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집단 아동들에게 나타난 치료적인 요소를 포함한 미술활동 프로그램 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전체적인 친사회적 행동뿐만 아니라 친사회적 행동을 구성하는 모든 하위영역에 대해서도 효과가 있음이 규 명되었다. 핵심어: 지역아동센터, 치료적인 요소를 포함한 미술활동 프로그램 자아존중감, 친사회적 행동

      • 고등학생의 성의식과 학교성교육에 대한 요구

        김은정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ABSTRACT A Study on Sexual Consciousness and School Sex Education Needs in High School Students Kim Eun Jeong Major in Child Welfare &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Child Welfare Studies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Ha Seung M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retely examine the differences in sexual consciousness, the actual state of school sex education, and the needs for sex education contents in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enders and school types. Fur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being utilized as the materials for school sex education in the front line fields of high school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over the subjects of 2,155 students attending high schools located in 14 cities and counties of Jeollabuk-do.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calculated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This study derived several conclusions based upon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sexual consciousness in high schoo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perform school sex educa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genders. Male students acquired sex information through internet, whereas female students obtained sex information through school sex education. This implies that male students can be exposed to stimulating and interest-oriented sex information in their defenseless state more than female students, so that it is necessary to execute school sex education methods differently i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dating in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66.4% of female students, 61.1% of male students, 63.1% of humanities high school students, and 64.2%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experienced dating. They responded that the advantage of dating is ‘I am not lonely’, 28.1% of female students and 28.5% of humanities high school students responded that the disadvantage of dating is ‘it is difficult to concentrate on study’, 33.5% of male students and 33.9%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responded that ‘I do not know’ its disadvantage. This implies that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 dating as positive. In contrast, the persons in charge of school sex education and their parents perceive dating as negative, which shows their differences. In order to reduce these differences, it is necessary to endeavor to respect and understand their opinions mutually.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ctual state of school sex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situational education according to school types.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cquired sex information through school sex education more than humanities high school students. In the persons in charge of sex educatio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received sex education from sex education experts more abundantly and more frequently than humanities high school students. In satisfaction with sex educatio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re higher than humanities high school students. In the reasons for dissatisfaction with sex education, 24.1% of humanities high school students and 17.1%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responded that the time for sex education is insufficient, and 31.8% of humanities high school students and 33.0%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responded that sex education is boring, which shows differences.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hoped the class through interesting explanation, whereas humanities high school students hoped the class providing sufficient and correct knowledge, which shows their differences. In the reason why sex education is necessary,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responded with ‘in order to prevent students’ sexual damages’, whereas humanities high school students responded with ‘in order to have right sexual ethics and sexual morality’, which shows their differences. Thus, because needs are different according to school types and school situations are different, it is necessary that the class for sex education should be performed appropriately to school type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satisfaction with the class for sex education, it was most satisfactory that sex education was executed in the class for related school subjects (biology, physical education, home economics, or ethics etc.) and the teachers in charge were home economics and technology teachers and the methods for sex education were broadcast education and instructor special lectures and the materials for sex education were moving picture material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sex education needs, in sex education contents necessary according to genders, male students were higher in the needs for contents about male and female genital organs, masturbation, and sexual desire/ sexual impulse. In contrast, female students were higher in the needs for contents about ‘pregnancy and childbirth’, ‘marriage and home’, ‘love and friendship’, ‘physic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in adolescence’, ‘dating’, ‘decision making training’, ‘clear self-assertiveness’, ‘keeping chastity’, ‘contraceptive education’, ‘venereal diseases/ AIDS’, ‘sexual violence’, ‘the meaning of gender equality’, ‘the artificial termination of pregnancy(abortion)’, ‘sex and mass media’,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sex’. According to school types, humanities high school students were higher in the needs for most sex education contents including ‘decision making training’ and ‘clear self-assertiveness’ tha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ere differences in sex education needs as well as there were a lot of differences in the necessity for school sec education, the reasons why sex education is necessary, sex informants, and needed sex education methods according to genders and school types. Although educational authorities endeavor after school sex education in diverse ways, there were still many parts not to reflect adolescents’ needs. It is required to reflect adolescents’ needs more systematically and try more sufficiently to establish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sex in schools. 고등학생의 성의식과 학교성교육에 대한 요구 김 은 정 우석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아동복지 및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하 승 민) 본 연구에 목적은 고등학생의 성의식, 학교 성교육 실태 및 성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를 성별과 학교유형에 따른 차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한다. 나아가 본 연구결과는 일선 고등학교 현장에서 학교 성교육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14개 시군에 재학 중인 고등학교 학생 2,15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 및 논의를 토대로 몇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고등학생의 성의식에 관한 연구결과를 살펴본 결과 학교 성교육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남학생은 인터넷을 통해서, 여학생은 학교 성교육을 통해서 성의 정보를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극적이고 흥미위주의 성 정보 속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아 남학생과 여학생의 학교 성교육 방법은 다르게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고등학생의 이성교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 이성교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여학생 66.4%, 남학생 61.1%, 인문계 63.1%, 전문계 64.2%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성교제의 장점으로는 ‘외롭지 않다’고 응답하였으며, 단점으로는 여학생 28.1%. 인문계 28.5%가 ‘공부에 집중하기 어렵다’ 남학생 33.5%, 전문계 33.9%는 ‘모르겠다’고 응답하여 고등학생들은 이성교제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교 성교육 담당자와 부모들은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어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상호간에 의견을 존중하고 이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 성교육 실태를 살펴본 결과 학교유형에 따른 상황교육이 필요하다. 전문계고 학생의 경우가 학교 성교육을 통해 성에 관한 정보를 인문계고 학생보다 더 많이 얻고 있으며, 성교육 담당자의 경우도 전문계고 학생이 인문계고 학생보다 성교육 전문가들로부터 더 많이, 더 자주 성교육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 성교육 만족도도 인문계고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성교육 불만족 이유로는 인문계고 학생의 경우는 ‘성교육 시간이 부족해서’ 24.1%, 전문계고 학생의 경우는 17.1%, ‘지루해서’는 인문계고 학생의 경우는 31.8%, 전문계고 학생의 경우는 33.0%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전문계고 학생의 경우는 ‘재미있는 설명을 통한 수업’을 인문계고 학생의 경우는 ‘충분하고 정확한 지식을 주는 수업’을 바라고 있었으며, 성교육이 필요한 이유가 전문계고 학생의 경우는 ‘학생들의 성적인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인문계고 학생의 경우는 ‘올바른 성윤리 및 성 도덕관을 가지기 위하여’라고 응답하여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렇듯 학교 유형마다 요구하는 것이 다르고 학교 상황도 다르기 때문에 학교 성교육은 학교 유형에 맞는 수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현재 성교육 받는 수업시간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관련교과(생물, 체육, 가정, 도덕 등) 수업시간에 한다’, 담당 교사로는 가정·기술선생님을, 성교육 방법은 방송교육 및 강사특강이 성교육은 자료는 동영상자료를 가장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교육 요구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성별에 따른 필요한 성교육 내용을 살펴보면, 남학생의 경우는 ‘남녀 생식기’, ‘자위행위’, ‘성욕구· 성충동’에 관한 내용이, 여학생은 ‘임신과 출산’, ‘결혼과 가정’, ‘사랑과 우정’, ‘사춘기의 신체·심리발달’, ‘이성교제’, ‘의사결정훈련’, ‘분명한 자기주장’, ‘순결 지키기’, ‘피임교육’, ‘성병/에이즈’, ‘성폭력’, ‘양성평등의 의미’, ‘인공임신중절(낙태)’, ‘성과 대중매체’, ‘성 상품화’ 내용에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학교유형에서는 인문계고 학생이 요구하는 성교육 내용은 ‘의사결정 훈련’, ‘분명한 자기주장’ 등 대부분의 성교육 내용 대한 요구가 전문계고 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성별과 학교유형에 따라 성교육 요구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학교 성교육의 필요성, 필요한 이유, 성정보원, 요구하는 성교육 방식 등에도 많은 차이가 나타났다. 교육 당국에서도 많은 방법으로 학교성교육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아직도 청소년들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부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좀 더 체계적이고 청소년들의 요구가 반영되길 바라며, 학교에서는 성(性)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정립될 수 있도록 더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

      • 육아종합지원센터 서비스에 대한 보육교직원과 부모의 중요도와 만족도 비교 연구 : IPA 분석을 통해서

        이봉선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A Comparative Study o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ers and Parents about Services of Central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 Through IPA - Lee Bong-sun Major in Child Welfare &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Child Welfare Studies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Ha Seung-m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nd analyz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ervice users of central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This is intended to help central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become a comprehensive and professional childcare institution made by children, families and local community and provide wide range of services to users.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n the service users of central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on 605 childcare teachers and 331 parents at J, H, I and G central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located in cities and districts of Jeollabuk-do Province. The questionnaire was made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a tool used in a previous study by Gyeongha Yeo (2014) and referring to a study tool of Jonghee Choi(2016) based on the IPA matrix method. Service usage and IPA of parents and childcare teachers at central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service usage of central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childcare teachers were found to use services through ‘website / phone call(online)’, ‘education and event’ and ‘website search or link’. Frequency of use was ‘1-2 times a month’, and primary service used was ‘education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nd safety education, etc.)’. Parents were found to use services through ‘visiting (offline)’ and ‘website / phone call (online)’. Frequency of use was ‘1-2 times a month’, and primary service used was ‘playroom (indoor playroom, childcare sharing center, etc.)’.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current usage of services provided by central support centers for childcare, Highest frequency of service use of childcare teachers was shown by ‘education of childcare teachers’ for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counseling related to evaluation certification’ for counseling service, ‘education on safety and child abuse prevention’ for education service, ‘evaluation certification (indicator education and field consulting)’ and ‘childcare process (childcare plan, diary and activity) for childcare consulting service, and ‘support of substitute teachers’ for substitute teacher and event service. Highest frequency of service use of parents was shown by ‘use of playroom (indoor playroom, childcare sharing center, etc.)’ for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use (rental) of toy library’ for number of uses, ‘inquiry on use of daycare center and childcare information’ for counseling service, and ‘rental of toy’ for childcare support servic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ervices at central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according to age of childcare teachers, type of daycare center, marriage and wage. However,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of services at central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according to job position of childcare teachers, respondents who have positions as directors of centers and other positions were found to regard services at central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to be more important compared to childcare teachers. As for the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of services at central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of childcare teachers, teachers with educational background of graduate school or above were found to regard services to be more important. In terms of licenses, childcare teachers with licenses such as 1st level childcare teacher license, 1st and 2nd level preschool teacher licenses and other licenses were found to regard services as important. As for the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of services according to age of children taken care by teachers, teachers responsible for taking care of children aged 0~2 years, 3 years and 5 years regarded services to be more important. For the difference in service performance, high performance was shown by childcare teachers aged 35~39 years. As for performance according to job position, directors of centers and other teachers showed higher performan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service performance at central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according to type of daycare center at which childcare teachers are working, educational background and marital status. As for the awareness of performance according to licenses, teachers with licenses such as 1st level childcare teacher license and 1st and 2nd level preschool teacher licenses showed higher performance. According to work experience, childcare teachers with 8 years of experience or longer showed high performance, and no difference was found according to age of children taken care of. For average monthly wage, childcare teachers with wage of 2.5 million Korean won or above showed higher performanc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about services at central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paren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age, sex, number of children, age of child, double income, average monthly income). In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service performance, parents aged 35~39 years showed high performan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performance according to sex, number of children, double income and average monthly income of parents.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IPA about services at central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importance of service was higher than performance for both childcare teachers and parents. This implies that they are aware of importance of services provided by central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The results of utilizing IPA to analyze relative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ers about services at central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including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counseling service, education service, childcare consulting service and substitute teacher and event service, are as follows. Among 9 items of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service related to evaluation certification showed highest importance and highest performance. Use (rental) of toy library showed lowest importance and lowest performance. Among 5 items of counseling service, counseling service related to evaluation certification showed highest importance and highest performance. Counseling service related to personnel and labor affairs showed lowest importance and lowest performance. Among 9 items of education service, education service related to evaluation certification showed highest importance and highest performance. Education service on parent monitoring of daycare center showed lowest importance and lowest performance. Among 5 items of childcare consulting service, service related to evaluation certification (indicator education and field consulting) showed highest importance and highest performance. Financial accounting service (personnel, labor affairs, accounting, etc.) showed lowest importance and lowest performance. Among 4 items of substitute teacher and event service, substitute teacher support service showed highest importance and highest performance. Parent monitoring business service showed lowest importance and lowest performance. The results of utilizing IPA to analyze relative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parents about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counseling service and childcare support service are as follows. Among 12 items of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use of playroom (indoor playroom, childcare sharing center, etc.) showed highest importance and highest performance. Guidance of professional agencies in local community (similar agencies, etc.) showed lowest importance and lowest performance. Among 5 items of counseling service, childcare counseling service showed highest importance and highest performance. Counseling service related to use of center such as part-time childcare showed lowest importance and lowest performance. Among 6 items of childcare support service, use of playroom (indoor playroom, childcare sharing center, etc.) showed highest importance and highest performance. Part-time childcare service showed lowest importance and lowest performance.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ers and parents about services at central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importance of service was mostly higher than performance for both childcare teachers and parents. On the contrary, bo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low for use (rental of toy library), counseling on personnel and labor affairs, education on parent monitoring of daycare center, financial accounting (personnel, labor affairs, accounting, etc.), and parent monitoring business in the case of childcare teachers. They were low for guidance of professional agencies in local community (similar agencies), counseling related to use of center such as part-time childcare, and part-time childcare in the case of parents. The analysis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services. 육아종합지원센터 서비스에 대한 보육교직원과 부모의 중요도와 만족도 비교 연구 – IPA 분석을 통해서 – 본 연구의 목적은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알아보고 분석해 보는데 있다. 이로써 육아종합지원센터가 영유아와 가정, 지역 사회와 함께 만들어가는 포괄적인 육아지원 전문기관으로서 역할과 이용자들에게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도록 도모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육아종합지원센터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IPA(중요도-만족도) 분석을 목적으로 전라북도 시, 군에 소재한 J, H, I, G,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이용하는 보육교직원 605명과 부모 3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선행연구인 여경하(2014)의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참고로 수정·보완하였고, IPA 매트릭스 방법을 활용한 최종희(2016)의 연구도구 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연구내용으로 육아종합지원센터 서비스에 대한 부모와 보육교직원의 이용현황 및 IPA(중요도-만족도)는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육아종합지원센터 서비스 이용에 따른 분석 결과로 보육교직원의 서비스 이용방법은 ‘홈페이지/전화(on-line)’, ‘교육 및 행사’ 순으로, ‘웹사이트 검색 또는 링크’를 통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횟수는 ‘월 1-2회’ 이용하고 있으며, 주로 이용한 서비스는 ‘교육(표준보육과정 및 안전교육 등)’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육아종합지원센터 서비스 이용방법으로는 ‘방문(off-line)’, ‘홈페이지/전화(on-line)’ 순이며, ‘월 1-2회’ 이용하고, 주로 이용한 서비스는 ‘놀이실 이용(실내놀이터, 육아나눔터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육아종합지원센터 서비스 제공에 대한 이용 현황 분석 결과로 보육교직원의 정보제공 서비스에서는 ‘보육교직원 교육’, 상담서비스에서는 ‘평가인증 관련 상담’, 교육서비스에서는 ‘안전 및 아동학대예방 교육’, 보육컨설팅 서비스에서는 ‘평가인증(지표교육 및 현장컨설팅)’과 ‘보육과정(보육계획 및 보육일지, 보육활동)’, 대체교사행사 등 에서는 ‘대체교사 지원’ 서비스의 이용횟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모의 육아종합지원센터 서비스 제공에 대한 이용 현황 분석 결과는 부모의 정보제공 서비스에서 ‘놀이실 이용(실내놀이터, 육아나눔터 등)’, 이용횟수에서는 ‘장난감도서관 이용(대여)’, 상담서비스에서는 ‘어린이집 이용 및 보육정보 문의’, 육아지원 서비스에서는 ‘장난감 대 여’ 서비스의 이용횟수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직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육아종합지원센터 서비스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보육교직원의 연령과 어린이집 유형, 결혼유무, 급여에 따른 중요도 인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보육교직원의 직위에 따른 육아종합지원센터 서비스 중요도 인식 차이에서는 원장 및 기타 직위를 가진 응답자가 보육교사보다 육아종합지원센터 서비스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직원의 학력에 따른 서비스 중요도 인식 차이는 대학원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교사가 서비스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자격증에 따라서도 보육교사 1급, 유치원 1급, 2급 정교사 및 기타의 자격증을 가진 보육교직원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교사가 맡고 있는 영유아의 연령에 따른 서비스 중요도 인식 차이는 0∼2세, 3세, 5세 연령대를 맡고 있는 교사 가 서비스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의 만족도 차이에서는 보육교직원의 연령에 따라 35세∼39세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직위에 따른 만족도는 원장 및 기타 교사가 더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격증에 따른 만족도 인식은 보육교사 1급, 유치원 1급, 2급 정교사가 더 만족하고 있으며, 근무경력에 따른 만족도는 8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보육교직원이 높게 나타났으며, 맡고 있는 영유아의 연령에는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 평균 봉급수준에는 250만원 이상인 보육교직원이 더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육아종합지원센터 서비스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인식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중요도 인식 차이 분석은 부모의 인구사회학적인 변인(연령, 성별, 자녀수, 자녀 연령, 맞벌이 여부, 월평균 소득)에 따라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의 만족도 차이 분석에서는 부모의 연령에 따라 35세∼39세 미만 부모가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성별, 자녀수, 맞벌이, 월평균 소득에서 만족도 인식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육아종합지원센터 서비스에 대한 IPA(중요도-만족도) 차이 분석결과 보육교직원, 부모 모두 서비스의 중요도가 만족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진행하는 서비스에 중요도를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육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정보제공 서비스, 상담 서비스, 교육 서비스, 보육컨설팅 서비스, 대체교사행사 등 서비스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의 상대적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IPA 매트릭스 방법을 활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보제공 서비스 9개 항목 중 평가인증 관련 서비스가 가장 높은 중요도와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으며, 장난감도서관 이용(기관 대여) 서비스가 가장 낮은 중요도와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담서비스 5개 항목 중 평가인증 관련 상담 서비스가 가장 높은 중요도와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인사·노무 관련 상담서비스가 가장 낮은 중요도와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다. 교육서비스 9개 항목 중 평가인증 교육서비스가 가장 높은 중요도와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어린이집 부모모니터링 교육서비스가 가장 낮은 중요도와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다. 보육컨설팅 서비스 5개 항목 중 평가인증(지표교육및 현장컨설팅) 서비스가 가장 높은 중요도와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재무회계(인사, 노무, 회계 등) 서비스가 가장 낮은 중요도와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다. 대체교사 행사 등 4개 항목 중 대체교사 지원 서비스가 가장 높은 중요도와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부모모 니터링사업 서비스가 가장 낮은 중요도와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다. 부모를 대상으로 한 정보제공서비스, 상담서비스, 육아지원서비스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상대적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IPA 매트릭스 방법을 활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보제공서비스 12개 항목 중 놀이실 이용(실내놀이터, 육아나눔터 등) 서비스가 가장 높은 중요도와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지역사회 전문기관 안내(유사 기관 등)가 가장 낮은 중요도와 가장 낮 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상담서비스 5개 항목 중 양육 상담서비스가 가장 높은 중요도와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으며, 시간제보육 등 센터 이용 관련 상담서비스가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났다. 육아지원서비스 6개 항목 중 놀이실 이용(실내놀이터, 육아나눔터 등) 서비스가 가장 높은 중요도와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시간제보육 서비스가 가장 낮은 중요도와 가장 낮은 만족도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육아종합지원센터 서비스에 대한 보육교직원과 부모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비교 연구한 결과, 대체적으로 보육교직원과 부모 모두 서비스의 중요도가 만족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보육교직원은 장난감도서관 이용(기관 대여), 인사·노무 관련 상담, 어린이집 부모모니터링 교육, 재무회계(인사, 노무, 회계 등), 부모모니터링 사업에서, 부모는 지역사회 전문기관 안내(유사 기관 등), 시간제보육 등 센터 이용 관련 상담, 시간제보육에서,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게 나타나고 있는 분석 결과에 따라 본 연구의 내용을 토대로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 양육태도, 효능감, 자녀와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유은선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자녀양육 교육법으로 유아교육 기관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STEP(Systematic Training for Effective Parenting) 부모교육이 프로그램 이수자의 양육태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설문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북 익산시 왕궁면에 소재한 S어린이집의 부모 중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2016년 6월 14일 화요일부터 2016년 7월 19일 화요일까지 총 6주간 동안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이경우가 번역한 교재 『STEP 당신도 유능한 부모가 될 수 있다』와 이경우, 이인용지음의 『당신도 유능한 부모가 될 수 있다.』교재를 병행하여 사용하였으며 실험집단은 매주 1회 오전 10-12시까지 2시간씩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부모교육을 실시 후 교육 이수자 21명과 미이수자 21명을 랜덤하게 구성하여 설문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집단의 크기가 크지 않아 정규성 검사를 실시해보니 어머니 양육태도의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어머니 양육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둘째,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머니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머니의 효능감의 하위요인인 부모로서의 효능감, 부모로서의 불안감과 좌절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어머니의 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셋째,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머니가 자녀 의사소통기술 및 관계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 지역아동센터 프로그램이 이용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안명숙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The effect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program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hn, Myung Suk Major in Child Welfare and Child Education General Graduate School Woosuk University Advisor: Professor Ha, Seung Min This study shows how the community child center program effects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lso, it implies whether community child center program is helpful to emotional intelligence on children by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This study evaluates the program whether it contributes children’s nurturing or not. Additionally this study takes this opportunity to examine the role of community child center. The research performed the analysis of frequency to calculat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using Cronbach’s α, the analysis on reliabilit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degree of participation rate, program completeness and children’s satisfactory rate, which are the characterization tool for community child program. The fourth and sixth graders and workers who are in the community child center had surveys. Twenty-three centers answered the survey among sixty-five centers. One hundred ninety seven survey respon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First, this study shows how the general feature of program supporte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fter investigating the research shows that if there is a difference on satisfactory rate of community child center by children’s general features, the level of female children scored higher than male children.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children’s domestic economic condition, the participation rate of community child center program was higher on children who answered ‘very good’. Second, it examined the influence on the relations between satisfactory rate and emotional intelligence, participation rate and emotional intelligence, substantiality of community child center program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using centers. As the satisfactory rate of children on both the educatory program and the cultural program are increased, the children use more amount of the self-emotion. When the children’s satisfactory rate is high on cultural program, children have better relationship with teachers. It examined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 on guardian-related variable, which is subordinate variable of community child center program substantiality and use of self-emotion, which is subordinate variabl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friends. It indicates that the guardian-related program becomes more substantial. It helps children to use better self-emotion and to get better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friends. Third, this study shows how the satisfactory rate, the participation rate, substantiality would work for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it examined that the subordinate variable of community child center program substantiality gav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 유아교육기관 CCTV 설치·운용에 대한 인식 연구

        김진숙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A Study on The Awareness of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CCTV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Kim Jin-sook Major in Child Welfare &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Child Welfare Studies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Ha Seung-m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wareness of directors and teachers on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by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513 daycare and kindergarten directors and teachers in Northern Jeollabuk-do province. Measurement tools for the purpose and influence of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used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from those used in Seo et al.(2016) and measurement tools for statu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from those used in Kang et al.(201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s: First, the results from analysis of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status awareness in terms of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occupational positions, institute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occupational positions regarding the main reason for CCTV installation, but both directors and teachers sympathized with the idea 'for child safety and prevention of abuse'. Directors showed greater awareness towards CCTV installation necessity, installation and operation satisfaction levels, the fact that 'parent's will be able to identify whether a safety incident, involving their children, has occurred using CCTV' than teachers. Regarding differences among institutes, 'for child safety and prevention of abuse' appeared in common as the reason for CCTV install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Both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therefore, showed sympathy towards the necessity of CCTV installation. Second, the results from analysis of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purpose awareness in terms of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occupational positions, meaning that directors perceived the purpose of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more positively than teachers, and positively viewed the fact that CCTV was installed for sub-factors such as 'expertise expansion devi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child abuse prevention device', 'parent comfort devi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sponse to institute types but kindergartens recognized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purpose as a 'Child protection device' more than daycare centers. Third, the results from analysis about influence and effect awareness of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in terms of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occupational positions but there was a tendency for directors to emphasize the positive functions about influence and effect awareness of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than teachers whereas teachers had a tendency to take notice of negative functions. Similarly,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rth, the results from analysis of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improvement measure awareness in terms of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occupational positions, meaning that directors possessed more positive perceptions towards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improvement measures than teachers.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ut sub-factors showed that kindergartens responded to 'Enhancing CCTV utilization policy' more positively than daycare centers. Fifth, according to results from the research done on CCTV utilization problems and solutions, among the voiced opinions of daycare and kindergarten directors and teachers, 'Increased job stress due to feeling of surveillance' wa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problem and 'priority in improving teachers' self-esteem and dependability via work environment improvement' wa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solution. The results show the necessity of a political improvement plan that can reduce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employees' work stress and recover their self-esteem. * Keywords: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awareness 유아교육기관 CCTV 설치·운용에 대한 인식 연구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CCTV 설치·운용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전라북도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장·교사 5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CCTV 설치·운용의 목적과 영향 측정도구는 서보순 외(2016)의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토대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CCTV 설치·운용 현황 및 개선방안 측정도구는 강은진 외(2015)의 연구도구를 토대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배경 변인(직급별, 기관별)에 따른 CCTV 설치·운용 현황 인식 분석 결과, 직급 간 차이는, CCTV 설치 주된 이유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원장과 교사 모두 ‘아동안전과 학대예방을 위해서’라는 의견에 공감하였다. 또한 원장이 교사보다 CCTV 설치에 대한 필요성, 설치 및 운용 만족도와 ‘부모가 CCTV로 자녀의 안전사고여부를 파악’할 것이라는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 간 차이에서는, 유아교육기관의 CCTV 설치 이유는 ‘아동안전과 학대예방’이라는 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즉, 어린이집과 유치원 양 기관 모두 CCTV 설치의 필요성에 대해서 공감하고 있었다. 둘째,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른 CCTV 설치·운용 목적 인식 분석 결과, 직급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원장이 교사보다 CCTV 설치·운용의 목적에 대하여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하위요인별로 CCTV가 ‘유아교육기관의 전문성 확대장치’, ‘아동학대 방지장치’, ‘부모안심장치’로써 설치되었다는 점에 더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기관유형에 따른 차이는 없었지만 유치원이 어린이집에 비해 CCTV 설치·운용 목적은 ‘아동보호장치’를 위한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셋째,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른 CCTV 설치·운용 영향 및 효과에 대한 인식 차이 결과, 직급 간 차이는 없었지만, 원장은 교사보다 CCTV 설치·운용의 영향 및 효과에 대해 더 긍정적인 기능에 주목한 반면, 교사는 CCTV의 부정적인 기능에 주목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기관 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른 CCTV 설치·운용 개선방안 인식 결과, 직급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원장이 교사보다 CCTV 설치·운용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기관유형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하위요인에서 유치원이 어린이집보다 개선방안으로 ‘CCTV 활용정책제고’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했다. 다섯째, CCTV 활용에 따른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문제점으로는 유아교육기관의 원장들과 교사들의 의견이 ‘감시당하는 느낌 속에서 제약 받는 일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가중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선방안으로는 ‘교사의 처우개선으로 자존감을 높이고 신뢰성 회복이 최우선 요망’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자존감을 회복해야만 되는 정책적 개선방안의 필요성을 나타낸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 주제어: 유아교육기관, CCTV 설치·운용, 인식

      •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지역사회협력의 인식과 요구 : -전라북도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을 중심으로-

        고미옥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지역사회협력의 인식과 요구 -전라북도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을 중심으로- 고 미 옥 우석대학교 아동복지학과 및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하 승 민 본 연구에서는 전북지역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아동학대예방을 위한 지역사회협력에 대한 인식과 요구 정도가 어떠한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북 지역 소재 지역아동센터 시설장 52명과 생활복지사 380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협력기관들 간의 협력에 대한 지역아동센터 시설장들의 인식을 단계별로 분석한 결과, 신고접수 단계에서부터 마지막 사례종결 단계에 이르기까지 지역사회 협력의 내용에 대해서는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협력에 대한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지역사회협력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으나 현재의 관련기관들과의 협력이 잘 이루어지 않고 있으며 많은 장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아동센터 시설장들은 지역사회 협력을 위해 상담을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과 전문가 확보, 아동학대예방교육이 적극적으로 실시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관리를 위한 사후관리기관 지정, 24시간 상설 신고접수체계를 구비할 것을 요구했다. 넷째,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들은 신고접수부터 사례종결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지역사회에 소재하는 다른 기관들과의 협력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아동학대예방교육의 교육내용에 대해서는 학대받는 아동을 상담하거나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고, 교육방법에 대해서는 관련기관의 외부 강사를 초빙하여 실시하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다. 연구결과 및 논의를 통해 지역사회 차원에서의 아동학대예방을 위한 협력에 대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인식과 요구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아동학대예방을 위한 지역사회협력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핵심어 : 아동학대예방,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 지역사회협력의인식과 요구 Recognitions and Needs of Community Collaboration for Prevention of Child Abuse -Focusing on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at Jeollabuk-do- Koh Mioak Major in Child Welf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Ha Seungmin This study aims to examine recognitions and needs of community collaboration for prevention of child abuse focusing on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at Jeollabuk-do.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52 directors of community child centers and 380 life welfare workers’ at Jeollabuk-do and interviews and survey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stepwise analysis of the recognitions on inter-institutional cooperation in the community that directors of community child centers have, it was found that inter-community cooperation was insufficient ranging from the receipt of a report to the closure of each case. Second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cognitions on inter-community cooperation that life welfare workers’ of community child centers have, community cooperation with related institutions was not working and they were suffering from such lack of community cooperation although they were sympathetic to the need for community cooperation. Thirdly, directors of community child centers said that it is required to have systematic system and expertise for counseling so as to establish inter-community cooperation and to carry out preventive education actively for child abuse and to designate a post-monitoring institution for continuous care and to have a 24-hour permanent report reception system. Fourthly, life welfare workers’ at community child centers strongly insisted that cooperation between institutions located in the community is required at every step ranging from the receipt of a report to the closure of each case. In terms of educational contents of child abuse prevention, there was a high demand regarding how to counsel and take care of abused children; and as for the method of education, they requested the most to invite outside lecturers of relevant institution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n the research and discussion, the study provided clear evidence that the level of recognitions and needs of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were high for cooperation for prevention of child abuse at the local community level and suggested measures to improve community cooperation for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key words: Prevention of Child Abuse Child Center workers’ Recognitions and Needs of Community Collaboration

      • 인성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이 유아의 인성특성에 미치는 영향

        박혜린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Impact of the Recognition of Mothers about Character Education on the Character Traits of Preschoolers Park, Hye Li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Ha, Seung M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recognition of mothers about character education on the character traits of preschool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99 mothers whose children attended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the city of J, North Jeolla Province.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 recognition of the mothers on character education was Won In-sook(2011)'s inventory that was based on the inventories used by Ryu Mal-soon(2002), Lim Jeong-ryeol(2002) and Park Kyung-ok(2010). This inventory was utilized in this study with some modifications. The instrument used to evaluate the character traits of the preschoolers was Choi Hye-kyung(2006)'s inventory that was a modified version of Kang Nan-ki(1989)'s inventory, an extract from Jeong Beom-mo(1987)'s inventory which suited preschooler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recognition of character education, the mothers were most aware of the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As a result of asking them why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stressed, they cited lack of morality as the greatest reason, and they regarded character building as the biggest goal of character education. Second, concerning the content of character education, they put the most emphasis on the right values, followed by etiquette and respect for others. Among the virtues of character, they placed the most importance on honesty, followed by good manners and human respect. Third, regarding the usefulness of character education, they considered it to be most helpful for having the right understanding of oneself, followed by well-rounded human development, well-rounded health promotion and autonomous problem solving skills. Fourth, in relation to the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they attached the most importance to the development of well-planned, intriguing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followed by the revitaliza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geared toward prospective parents, parent-teacher collaboration, and nurturing professional teachers/social support. Fifth, as a result of asking whether they would be role models for their children or not, the majority replied, "So-so," or "A little." As to the priority of character education at home, they placed the most importance on basic life habits, followed by emotional guida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Regarding the degree of character education at home, they got a mean of 2.62 out of a five. Sixth, as for the focus of character education at home, they taught their children how to behave in daily routine life and tried to set a good example for their children. Concerning difficulties in character education at home, the largest group replied they weren't sure how to conduct character education, and the second biggest group mentioned the social climate that was dominated by academic background. Seventh, they got a mean of 2.48 in the level of their preschool children's character traits. Among the subfactors of character traits, they scored highest in their children's activity level(3.09), followed by dominance(2.91), impulsiveness(2.55), stability(2.35), conscientiousness (2.24) and sociability(1.72). Eighth, regarding the relationship of the subfactors of the mothers' recognition on character education, the degree of character educa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activity level(r=.13, p<.01) and sociability(r=.11, p<.05).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dominance(r=.10, p<.05), and recognition of the concept of character educa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stability(r=.16, p<.01), conscientiousness(r=.14, p<.01) and sociability(r=.13, p<.01). Ninth, how the degree of character education,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recognition of the concept of character education and recogni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character education and whole-person education that were the subfactors of the mothers'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were associated with the preschool children's activity level that was one of the subfactors of preschooler character traits was analyzed, and the degree of character education was found to have an impact on activity level(β=.141, p<.01). Tenth, how the degree of character education,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recognition of the concept of character education and recogni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character education and whole-person education that were the subfactors of the mothers'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were associated with the preschool children's dominance that was one of the subfactors of preschooler character traits was analyzed, and none of the subfactors of the mothers'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affected dominance. Eleventh, how the degree of character education,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recognition of the concept of character education and recogni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character education and whole-person education that were the subfactors of the mothers'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were associated with the preschool children's stability that was one of the subfactors of preschooler character traits was analyzed, and recognition of the concept of character education was found to exert an influence on stability(β=.168, p<.001). Twelfth, how the degree of character education,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recognition of the concept of character education and recogni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character education and whole-person education that were the subfactors of the mothers'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were associated with the preschool children's impulsiveness that was one of the subfactors of preschooler character traits was analyzed, and recognition of the concept of character education was found to affect impulsiveness(β=-.095, p<.05). Thirteenth, how the degree of character education,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recognition of the concept of character education and recogni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character education and whole-person education that were the subfactors of the mothers'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were associated with the preschool children's conscientiousness that was one of the subfactors of preschooler character traits was analyzed, and recognition of the concept of character education was found to exercise an influence on conscientiousness(β=.137, p<.01). Fourteenth, how the degree of character education,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recognition of the concept of character education and recogni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character education and whole-person education that were the subfactors of the mothers'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were associated with the preschool children's sociability that was one of the subfactors of preschooler character traits was analyzed, and the degree of character education(β=129, p<.01),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β=.106, p<.05) and recognition of the concept of character education(β=.109, p<.05) were found to affect sociability. 국문초록 본 연구는 인성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이 유아의 인성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대상은 전북 J시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 499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는 인성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류말순(2002), 임정렬(2002), 박경옥(2010)이 사용한 도구를 토대로 한 원인숙(2011)의 것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유아인성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정범모(1971)가 개발한 것 중 강난기(1989)가 유아특성에 적절한 것을 발췌·사용하여 최혜경(2006)이 수정하여 사용한 것을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인성교육의 필요성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성교육이 강조되는 이유는 도덕성 결여가 가장 많았고, 인성교육의 목적으로는 인격형성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둘째, 바람직한 인성교육의 내용은 바른 가치관 교육, 예절교육, 타인 존중 순이었고, 인성의 주요 덕목으로는 정직, 예의범절, 인간존중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성교육을 통해 자녀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것으로 자신에 대한 올바른 이해, 전인적 인간발달과 전인적 건강증진, 자율적인 문제해결 능력의 신장순이었다. 넷째, 인성교육 방향에 대한 순위는 ‘아이들이 관심 가질 수 있는 자연스러운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출산 전부터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 ‘부모와 교사의 상호협력’, ‘전문교사 양성 및 사회적 지원’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정에서 평소 자녀에게 바른 행동의 모델이 되는가’에서는 ‘보통이다’와 ‘조금 바른 모델이다’가 다수를 차지하였고, 가정에서 ‘인성교육의 집중 분야’로는 ‘기본생활습관’, ‘정서지도’, ‘인간관계’ 순이었고, ‘가정에서의 인성교육 활동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치 2.62로 나타났다. 여섯째, 가정의 인성교육 활동 분야로는 ‘일상생활지도’와 ‘부모의 솔선수범’이었고, 가정에서 인성교육 실시의 어려움의 요인으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몰라서’와 ‘사회전반의 학벌주의 풍토라서’ 순이었다. 일곱째, 유아의 인성특성 수준의 평균은 2.48점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인성특성 하위요인 중, 활동성이 3.09점, 지배성 2.91점, 충동성 2.55점, 안정성 2.35점, 사려성 2.24점, 사회성 1.72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인성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의 각 하위변인 간 관계에서, 인성교육 정도와 활동성(r=.13, p<.01), 사회성(r=.11, p<.05)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인성교육의 필요성 인식은 지배성(r=.10, p<.05)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인성교육 개념의 인식은 안정성(r=.16, p<.01), 사려성(r=.14, p<.01), 사회성(r=.13, p<.01)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의 하위변인인 인성교육 정도, 인성교육의 필요성 인식, 인성교육 개념의 인식, 전인교육과의 차이 인식과 유아 인성특성의 하위변인인 활동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하위변인 중 인성교육 정도가 활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141, p<.01). 열 번째,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의 하위변인인 인성교육 정도, 인성교육의 필요성 인식, 인성교육 개념의 인식, 전인교육과의 차이 인식과 유아 인성특성의 하위변인인 지배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하위변인은 지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한 번째,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의 하위변인인 인성교육 정도, 인성교육의 필요성 인식, 인성교육 개념의 인식, 전인교육과의 차이 인식과 유아 인성특성의 하위변인인 안정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하위변인 중 인성교육 개념의 인식이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168, p<.001). 열두 번째,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의 하위변인인 인성교육 정도, 인성교육의 필요성 인식, 인성교육 개념의 인식, 전인교육과의 차이 인식과 유아 인성특성의 하위변인인 충동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하위변인 중 인성교육 개념의 인식이 충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95, p<.05). 열세 번째,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의 하위변인인 인성교육 정도, 인성교육의 필요성 인식, 인성교육 개념의 인식, 전인교육과의 차이 인식과 유아 인성특성의 하위변인인 사려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하위변인 중 인성교육 개념의 인식이 사려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137, p<.01). 열네 번째,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의 하위변인인 인성교육 정도, 인성교육의 필요성 인식, 인성교육 개념의 인식, 전인교육과의 차이 인식과 유아 인성특성의 하위변인인 사회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하위변인 중 인성교육 정도(β=129, p<.01), 인성교육 필요성 인식(β=.106, p<.05), 인성교육 개념의 인식(β=.109, p<.05)은 사회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