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비쿼터스 테크놀로지 기반의 전시디자인에 대한 연구 : 디지털 스토리텔링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유인두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599

        전시의 4구성요소는 전시물(object), 공간(space), 관객(person), 시간(time)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전시구성요소가 다가올 유비쿼터스 시대에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중심개념으로 새로운 형식의 전시디자인이 필요로 할 것이라는 가설을 토대로 박물관학적 문헌고찰을 통하여, 전시디자인의 변화과정을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전시디자인 형태적 특성과 개념적 특성 모두에서 디지털 스토리텔링과의 연관성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전시의 구성요소가 다음과 같이 변화하고 있음을 도출하였다. 전시계획의 첫 번째 요소인 ‘전시물(object)’에 대한 전시해설 변화과정은 이야기 중심(storytelling -oriented)으로 이동해 가고 있음을 도출하였다. 전시관의 관람자는 인간과 인간의 환경에 대한 물질적 증거를 보여주는 각종 전시물에 담겨있는 인간에 관한 유․무형의 증거를 바탕으로 유희적 언어의 표출과 역사적 증거의 수집을 비롯하여 인간의 일과 생각에 관한 스토리텔링을 이미 오래 전부터 추구하여 왔고 유비쿼터스 시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그 욕구들이 빠르게 실현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시계획의 두 번째 요소인 ‘공간(space)’은 텔레마틱 전시미디어의 변화 양상을 스토리텔링의 특성과 연결시켜 분석함으로써 전통적인 박물관의 전시디자인에서는 불가능했던 물리적 공간과 전자적 공간의 교접을 가능케 해주는 전시연출기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전시디자인은 전시공간에서 요구되는 진정한 상호작용이 무엇인가 하는 점을 기존의 연구와는 다른 시각으로 새로운 전시디자인의 이론적 토대를 넓히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전시계획의 세 번째 요소인 ‘관객(person)’은 스토리텔러라고 할 수 있는 큐레이터와 전시디자이너를 통해 관람객은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이미 지구상에서 사라진 그 당시의 인간세계와 생활문화, 그리고 물질문명을 재현, 복원하여 당시 인간의 삶의 모습을 보여주는 고고 박물관뿐만 아니라 역사, 민속, 자연사, 산업, 여러 종류의 테마박물관에서도 관람객이 원하는 것은 유비쿼터스 기술의 속성과 결합된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통해 서사적․상징적 전시로 표출됨으로써 삶의 전체를 파악할 수 있는 감성적․직관적 사유를 전시디자인에 요청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시계획의 네 번째 요소인 ‘시간(time)’은 유비쿼터스 사회의 텔레마틱 전시미디어 사례를 수집하고 그 변화 양상을 분석한 결과 기존의 전통적인 전시와 달리 다른 두 장소와 시간에 의식이 동시 분산 병행될 수 있는 상태를 실현하고자 하였고, 전시 성립시점의 조건에 해당하는 시기, 기간, 시간의 제약을 근본적으로 초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정리하였다. 유비쿼터스 시대에는 디지털 기술기반의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진정한 차원의 상호작용을 유발하여 전시물에 담겨있는 심오한 세계를 만나고, 만끽하고, 체감하게 될 것이다. 유비쿼터스 기술은 단순히 어떤 문제를 더 깊이 볼 수 있는 정신적 능력을 키워주는 것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인지방법, 즉 생각하는 방식이나 시스템 차원의 변화를 야기하게 될 것이며, 급격하게 다가오고 있는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박물관의 전시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근간으로 정립할 것이다. 서사와 이미지, 동영상과 상호작용성이 통합되어 완벽한 몰입의 유비쿼터스 공간 속에서 창출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인류가 소망하던 꿈의 박물관을 만드는 전시디자인의 패러다임으로 확립되기 위해서는 꾸준한 사례수집과 분석을 통한 검증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러한 연구가 이론에서 그치지 않고 향후 실제 디자이너의 작업에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the four parts of Museum design, which are object, space, person, and time, will be needed the new form centered on digital storytelling on the coming age of ubiquitous technology: through the study of literatures about Museum, there has been changed the way of exhibition of object like this; in the past, the information was delivered by intuition from displayed objects, but now the invisible and non material information is to be delivered by interpretation from the five senses; which means that the presentation of object is build up the network with the communication through object: from this result and the analysis the transformation of Museum Design on the view of digital storytelling, this result is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 behavioral and conceptual quality and digital storytelling. Through this analysis process this study finds that the four parts of Museum design has been changed like these; The transforming process of the exposition of the first part of Museum design, object, is from object-oriented about object itself to contents-oriented, and concept-oriented to storytelling-oriented over exhibition. Audiences of museum has look forward to storytelling about their work and life long ago, now it has been accomplished by the ubiquitous technology. For the second part of Museum design, person, users ask a storyteller as a curator or a designer to present a narrative and symbolical exhibition through digital storytelling united with the ubiquitous technology as a communication means, and the emotional and intuitional speculation to understand their lives as a whole. The third part of Museum design, time, is focused on the cases of the digital media of the ubiquitous society, which are studied and finally found that the traditional museum design has been changed to be focused to realize the state of mind as double consciousness which is to actualize the different two places and times in concurrency, distribution, and parallel For the last part of Museum design, space, on the coming age of ubiquitous technology, the traditional museum design has been transformed and suggested the displaying technical which makes it possible to contact between the physical space and electronic space. This Museum design suggests what the real communication should be in space, and as a start point it will enlarge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new Museum design in approaching the different view.

      • 국내 타운하우스의 계획요소와 특화요소에 관한 연구

        김경희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내의 경제발전과 그에 대한 도시화로 인한 주거시설의 확충을 위해 아파트가 도입된 이래 현재에는 보편적이 주거로 자리 잡게 되었다. 획일화된 주거형태에 대한 반감과 소득수준의 향상과 주 5일제 도입 등으로 인해 근래에는 ‘삶의 질’을 높이는 주거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량공급에만 집중하던 건설사들이브랜드 차별화 전략이나 특화전략을 계획하는 점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최근 친자연적인 주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전원주택과 같은 환경이지만 집합주거의 장점인 관리와 보안의 편리함을 갖춘 타운하우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여 타운하우스가 국내에서 발전하기 위해서는 계획요소는 물론 특화요소의 정립이 필요하다.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주거의 질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저층집합 주거유형으로 타운하우스를 고찰하고, 이것을 올바로 계획하고 분석할 수 있는 계획요소와 특화요소를 제시하고자 문헌조사와 국내외 사례분석, 전문가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먼저 문헌조사를 통해 타운하우스의 정의와 역사에 대해 살펴보았다. 17세기부터 영국에서 시작된 타운하우스는 신대륙인 미국에 18세기에 전파되고 일본에는 1970년대부터 적용이 되어 다양하게 변형·발전함을 알 수 있었다. 각 국가마다 거주자의 생활양식에 따라 배치계획, 연립방식, 단위세대계획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이론고찰 및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계획요소와 3개의 특화요소 즉, 친환경 요소, 디지털 요소, 유니버설 요소를 정리하여 세부적인 계획기준을 정리하였으며 이들 요소는 단지계획, 건축계획, 기타시설의 세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이는 전문가 면담조사 및 설문조사를 통해 중요도를 검증 받아 최종적인 타운하우스 분석의 틀을 정립하였다.전문가 면담을 통한 중요도 분석을 살펴보면, 계획요소에서는 기존지세, 미기후를 이용한 대지개발과 주동의 배치에 있어서 향보다 조망을 더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친환경요소에서도 역시 녹지/녹도 조성과 같은 단지 내 친자연적 환경을 중시하였고, 디지털 요소에서는 무인경비시스템과 보안과 관련된 요소와 구급시스템, 초고속 정보통신시스템과 같은 도시와 연결되는 시설에 관심이 높았다. 유니버설 요소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게 평가되었으며 이는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주거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고 제품디자인에 대한 그것이 앞서기 때문으로 판단된다.이 분석의 틀로 대표적인 국내 타운하우스 두개의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반영된 요소와 그렇지 못한 요소를 도출하여 앞으로 국내 타운하우스 발전을 위해 더욱 발전이 필요한 계획요소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이 분석의 틀로 타운하우스에 대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세밀한 분석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이를 종합하여 국내 타운하우스를 계획하고자 함에 있어 유의하여야 할 계획요소와 특화요소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계획요소에 있어 기존의 지형을 최대한 이용하여 배치하고 동선계획은 보차혼용을 이용하여 주호 앞까지 차량접근을 용이하게 반영하되 단지 내에서는 자연스럽게 감속이 되도록 고려한다. 조망이 좋도록 주동을 배치하고 모든 세대가 동일한 조건을 갖도록 최대한 배려한다. 단위 주호의 계획에 있어서는 다층의 공간감을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평면 및 단면 계획을 하고 지하층은 채광 및 통풍이 가능하도록 계획한다. 친환경 요소로는 단지 내에 녹지를 충분히 조성하고 각 세대별로 정원을 줄 수 있도록 고려하고 친환경에너지를 반영한다. 디지털 요소는 단지 전체는 물론 각 세대별로 보안이 중요하며 통신 및 방송시설 등이 단지 전체에 공급될수 있도록 계획한다. 유니버설 요소는 다층 주거가 갖는 단점을 보안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며 향후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Since its introduction as a mean to secure residential facilities demanded by the economic growth and urbanization of Korea, apartmenthas become a common residential place these days. However, due to people's feeling against uniformed living, increase of income and the introduction of a 'five-working-days-a-week' system, interests are elevating towards a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ly, construction companies which used to focus only on mass supply began to introduce differentiation and specialization strategies for their brands.Nowadays, interests are high towards environment-friendly housing, and accordingly, demands for 'townhouse,' which has an environment similar to suburban-style houses and management/security merits similar to apartments, are drastically increasing. However, researches related to such townhouse are still insufficient, bringing up the necessity of defining the planning, as well as specialization elements of townhouse.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reviewed townhouse as a new low-rise residential place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ving. Also, this study analyzed documents, reviewed foreign/domestic cases and interviewed experts to suggest a planning and specialization element that can properly plan and analyze townhouse.First, by analyzing related documents, this study reviewed the definition and history of townhouse. Town-house first appeared in England, 17th century. In the 18th century, it spread to the New Continent, America, and in the 1970s, it arrived to Japan to be altered and develop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living customs of each country, townhouse showed difference in arrangement plans, rowing types, unit resident plans, etc.By reviewing related theories and foreign/domestic cases, a planning element and three specialization elements, including environment-friendly element, digital element and universal element, were suggested to set a detailed planning standard. The elements above were then organized into three articles; housing complex plan, construction plan and other facilities. By interviewing and surveying related experts, the importance of each article was approved to fix the final analytic frame of townhouse.According to the analysis on importance obtained by interviewing experts, previous topography, land development using good weather and view (rather than facing direction) of the main building turned out to be important among the planning elements. For the environment-friendly elements, proper environment inside the complex, such as the formation of greens, turned out to be important. For the digital elements, many experts showed high interest towards security factors, such as an automatic security system, as well as facilities connected to metropolitan areas, such as an emergency rescuing system, ultra-speed communication system, etc. On the other hand, the importance of the universal elements was evaluated to be relatively low, since researches on universal design were insufficient on residential areas, mostly focused on products and goods.Based on the analytic frame derived above, two cases of domestic townhouse were analyzed. By reviewing the elements well reflected (or poorly reflected) in these cases, the planning elements necessary for the better improvement of domestic townhouse were suggested. Moreover, the analytic frame revealed itself to be a good tool in thoroughly analyzing townhouse up to a certain level.According to this study, the planning and specialization eleme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constructing a domestic townhouse are as follows.For the planning elements, the townhouse should fully use the merits of previous topography. Traffic should consider both pedestrians and vehicles, allowing them easily access to the main housing. In spite of the above, traffic plan must make vehicles slow down their speed naturally inside the complex. The main building should be placed in an area with a good view. Also, careful considerations must be made to allow every resident to have an equal living condition. In planning each unit house, various sketches on plane and cross section should be provided to make residents enjoy the spaciousness of a multistory building. Also, the basement of each house should have good allow lighting and ventilation. For the environment-friendly elements, sufficient greens should be formed inside the complex. When available, a garden should also be provided for each residence to fully reflect the environment-friendly merits. For the digital elements, not only the whole complex, but also the unit house must have a sound security system. A proper 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system should also be provided to the overall complex. For the universal elements, tools that can supplement the shortcomings of multistory housings are necessary. Future studies should focus on suggesting such elements.

      • 현대건축에 나타나는 상호작용성 연구

        송옥자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599

        정보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컴퓨터 기술의 발달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가능케 하였으며 테크놀로지와 인간의 상호작용 또한 자연스럽게 발생하고 발전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인간과 테크놀로지 사이뿐만 아니라 인간과 인간 간에도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통해 보다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해지게 된 것이다.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등장으로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은 쌍방향적 소통, 즉 상호작용으로 전환되기 시작했다. 상호작용의 이 같은 경향은 건축에서도 마찬가지로 새로운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건축에 나타나는 상호작용적 코드들을 살펴보고 기계도구의 디자인 프로세스와 결과물에 대한 개입 정도에 따른 상호작용성의 특징들을 비교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현대사회의 특징에 대해 여러 학자들이 분석해낸 다양한 내용을 토대로 재정리하여 상호작용성이 사회전반에 미치는 영향과 커뮤니케이션의 현대사회에서의 영향력을 통해 상호 작용성의 중요성을 살펴본다. 둘째, 현대건축의 제경향들을 분석하고 디자인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인한 디자인 방법의 변화와 그 안에서 상호작용성의 주체들 간에 일어나는 상호작용성을 파악한다. 셋째, 현대건축의 경향으로 분류된 Conventional 건축, Digital 건축, Virtual 건축, Hybrid 건축의 사례를 수집, 주체들 간의 상호작용성을 알아보고, 그 안에서 상호작용성의 흐름과 내용을 파악해 본다.넷째, 현대사회의 건축 디자인이 어떻게 변모해가며 어떠한 프로세스를 통해 디자인 되고 있는지를 읽어내고, 현대건축에 있어서 상호작용의 객체중 하나인 기계도구의 개입 정도에 따른 상호작용의 정도와 내용을 파악하여 미래건축 디자인에 있어서 상호작용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더욱 증가할 것임을 다시 한번 검증한다. 먼저 인문학적 고찰을 통해 현대사회를 상호작용성, 다중심성, 이동성, 일회성, 가상성으로 특징지었으며, 이 가운데 상호작용성에 초점을 맞추어 현대사회의 커뮤니케이션의 변화양상과 상호작용성이 가져오는 사회적 효과를 통해 상호작용성이 중요성을 갖는다는 점을 분석했다. 현대사회의 특징을 바탕으로 현대건축의 제 경향으로 상호작용성, 일회성, 다중심성, 사용자중심 공간, 비물질성으로 파악하고 현대건축의 변화 양상을 디자인 패러다임, 디자인 미디어, 디자인 방법, Skin- interaction 측면에서 분석하여 디자인 프로세스에 나타나는 상호작용성의 주체와 객체를 추출해 내고 프로세스와 결과물에의 기계도구 개입 정도에 따라 현대건축을 분류하여 프로세스의 주체별로 상호작용성을 분석한 결과 기계도구가 프로세스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상호작용의 강도가 변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첫째, 인문학적 고찰을 통해 현대사회에는 컴퓨터 테크놀로지의 발달이 커뮤니케이션의 형태를 바꾸고 상호작용이 증대되면서 사회전반에 걸쳐 그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둘째, 현대건축에 있어서 테크놀로지 패러다임이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에 변화를 가져오게 된 원동력이 되었다는 점과 디자인 방법 또한 이와는 무관하지 않게 변화되었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상호작용성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셋째, 현대건축을 기계도구의 활용도 및 개입정도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하여 사례를 수집하고 각각의 주체들 간에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내용과 강도를 분석하였다. 이는 기존 연구가 생산물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적인 특징을 추출해내는데 머무른 것과는 달리 생산물과 디자이너, 사용자, 기계도구 간에 나타나는 상호작용을 구체적으로 세분화하여 사용과정과 디자인과정에서의 상호작용성을 분리하여 분석해 봄으로써 향후 현대건축에서 더욱 강화되어질 상호작용성에 대한 분석적 틀을 구축하는 기초 자료로써 가치를 가진다.그러나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현대사회에 맞추어 상호작용성을 각 장르별 건축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성에 대한 방법론적 연구가 상세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건축물뿐만 아니라 디자인 과정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디자이너의 적극적인 프로젝트 리뷰작업이 수반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가 이론에 그치지 않고 향후 계획되어질 건축물에서 상호작용성은 더욱 강력하게 도입될 것이라고 본다. As we''ve entered into Information society, the enhancement of computer technology and interactivity between technology and human-being enabled a totally new way of communication. Not only between human-being and technology but also between relationship of people, digital technology provides an active interaction. Since digital technology has appeared, communication got an interactive character, namely, interaction. We can see this trend is also reflected in archite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interactive code, which appears in modern architecture, and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n interactive characters, which vary according to the design process of equipments and the level of intervention in the result. First, I''ll rearrange the distinctive features of modern society through references of various scholars. This is to understand how interactivity affects the whole society and what is the importance of this interactive wave. Second, I''ll analyze several trends of modern architecture and figure the change of methodology of design based on the advancement of design technology. This is to understand the interactive relation of the subjects. Third, I''ll make a case study for Conventional Digital Virtual Hybrid architecture, category of the modern architecture trend. Throughout this procedure, I''ll figure out the interactive relation of the subjects as well as the flow and substance of interaction. Fourth, I''ll seek how architecture design has changed in modern society and under which process design is made. This is to clarify the fact that the portion of interaction will increase in future architecture design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of equipment, which is one of the objects of interaction in modern architecture. First of all, throughout reference studies, I understood that modern society has interactive, multi-centric, mobile, temporary, and virtual aspects. Focused on interaction, I analyzed the change of communication in modern society and the effect brought by interaction which explains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 Based on the features of modern society, I figured the trend of modern architecture as interactive, temporary, multi-centric, user-oriented interface, immateriality and the change phase as design paradigm, design media, design method, Skin-Interaction. This understanding enabled to sort out the subject and object of interaction, which appears during the design process. As I''ve analyzed the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subject of each process and category of modern architecture of equipment intervention, I verified that according to the effect on the process made by the equipment the intensiveness of interaction also varies. Throughout this phases of analysis, I found following conclusions: First, with contemplation based on human studies, I found the improvement of computer technology changes the way of communication. As interaction increases, its effect is also widened to the whole range of society. Second, I found that technology paradigm has acted as the foundation of the change of space design process in modern architecture, and also design method has changed accordingly which can be the evidence of interaction. Third, I''ve collected case studies of modern architecture from 4 categories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d intervention level of equipment and analyzed the contents and intensity of interaction among each subjects. While previous studies just remain to sort out the interactive features appearing in the products, this study is unique since it concretely breaks down the interaction appearing between the products, designers, users, and equipments. Then, as analyzing the interaction of the use procedure and design procedure, it can be utilized as a basic material to set up an analysis frame for interaction which will be enforced in future modern architecture. But still I need to proceed a detail methodological research on interaction of architecture of each genre according to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This requires not only an architecture but also a review made on the project by a designer who can easily access to the design procedures.I believe this kind of study can effectively apply interaction to future planned architectures not only remaining as theory.

      • 도시재생을 위한 공동주택 리모델링 프로세스

        강혜연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나라의 주택의 보급은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위주로 공급이 되어 향후정비구역의 대다수 대상을 차지하게 될 공동주택이 이러한 재건축 위주의 정비방식으로 시행된다면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문제점은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재건축의 병폐를 해결하고자 정부에서 공동주택의 정비방식으로 리모델링을 지원하는 정책을 강화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리모델링 사업은 도시정비사업의 대안으로서의 체계화된 법제를 확보하지 못한 채 정부의 제도적, 경제적 지원과 투자의 부족과 재건축에 대비하여 사업성이 저조하다는 선입견등으로 실질적 사업진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도시정비사업의 방향이 뉴타운 계획처럼 획일화된 재건축위주의 개발로 전개되는 것을 지양하고 지역의 실정에 부합하는 다양한 주거지 공급을 목표로 하는 정비수법의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리모델링을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정비사업에 접목함으로 사업시행의 법적, 제도적 체계화와 보완을 모색함과 동시에 공동주택이라는 공간적 영역에서 확장된 근린생활권, 광역의 도시와 조화를 이루는 도시재생의 또 하나의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프로세스는 도시정비사업은 도시계획의 체계적인 절차에 따라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에 근거한 기본 계획의 범위 내에서 시행하는 것이 원칙으로 하여 기존의 법적, 제도적 위계 하에 순차적으로 도출함으로 그 정합성과 실현가능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프로세스 대상을 주택재개발 사업의 정비구역 내 10가지 주거지 유형 중 기반시설정비필요공동주택지역, 나홀로 아파트혼재지역, 정비(예정)구역혼재지역으로 파악하여 실질적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시재생을 위한 리모델링 프로세스는 보행권으로 초등학교 권역을 포함한 광역의 정비구역을 설정함으로 그 지역의 특성에 적합한 전체적인 개발방향을 수립하고 이에 근간하여 지역주민전체를 조합원으로 하여 도시정비사업의 계획·시행을 시작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근린생활권 내 소규모 단위 정비구역의 노후화된 공동주택의 정비방식으로 리모델링을 추진하면서 근린생활권의 개발방향에 부합하는 계획과 시행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는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주체인 주민이 근린생활권의 거주민으로서 도시정비사업에 동시에 참여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도시재생사업의 계획단계에서 근린생활권을 포함하는 정비기반사업의 진행과 함께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이 계획되고 시행되는 사업은 근린생활권 전체의 개발 방향과 내용이 이후 개별 수립되는 공동주택 리모델링에 연계되어 조화로운 개발로 진행된다. 본 연구의 주민은 도시계획에서 근린생활권의 정비기반사업과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프로세스를 주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도시재생에 대한 거시적인 안목을 가지고 지역사회의 공익과 함께 자신의 생활터전을 계획하고 정비함으로써 이전의 소극적인 정비 대상의 주민이 아닌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주체가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체의 역할은 온라인커뮤니티를 통해 그 적극적인 수행이 가능해지는데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온라인 커뮤니티는 도시재생의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실질적인 사업에의 적용을 위해 관련 전문가와 주체간의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며 관계자의 조정과 합의로 의견이 계획에 반영되는 과정이 수반되는 상호전략형성의 장이 되도록 방향을 설정하였다. 온라인 커뮤니티의 상호전략형성의 과정을 거쳐 도시재생을 위한 공동주택 리모델링은 비로소 도시계획의 하향식 정책시행의 과정을 보완하고 주민의 적극적 참여가 수반된 상향식 계획과 정책수립이 가능한 프로세스로서 개방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한 공동주택 유비쿼터스 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도상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today has brought big changes not only in people's lives, but also in the space of future construction. Among them, changes in living space, which is the most basic living space for people, is going through changes quickly. New future living spaces are appearing such as intellectual home and cyber apartments, and diverse ubiquitous services are applied using home network system. However, there are cases where ubiquitous services are not appropriately applied on services for the residents, and the efficiency is largely falling since the services are designed regardless of consumer demands. This is because current home network systems are developed mainly around providers, solutions, and devices, and because the preferences of final users and cooperating with the constructors are not considered. What is even more important is that such problems are accepted at the early stage of designing, and the services are applied after building the space first as space design and service development are rationalized. Therefore, there are diverse studies under progress to solve the problems of mutual compatability between devices, services, and space.Thus this study aims on observing whether the ubiquitous service developed from the initial stage of designs can be applied in the space, suggesting a new approach different from existing service development processes to allow designing of proper future space as a result, and proposing a method to develop ubiquitous service for apartments based on space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spatial information of apartments.This study is made up of 6 chapters in total, and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each chapter.Chapter 1 describes of the study's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method.Chapter 2 observes the properties of ubiquitous servi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 and of ubiquitous intellect space by dividing it into physical and cyber spaces. Also, situation-recognizing type service is suggested as the direction ubiquitous service must pursue.Chapter 3 understands the current situation of intellect-type home network apartment services and home network businesses through site and Internet research, and then analyzed the problems and demands.Chapter 4 suggests a new strategy to develop ubiquitous service for apartments based on the spatial information achieved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spatial information related documents and existing ubiquitous service development methodology.Chapter 5 first suggests LOS(Level of Service) analysis method to apply ubiquitous service on spac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rategy proposed in chapter 4. Then the connection among the spatial information of apartments has been observed, and a spatial information framework method is proposed to develop a ubiquitous service for apartments based on such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the method proposed in the last, the ubiquitous service has been applied and expressed in the form of design plan.Chapter 6 summarizes the body of this study, and discusses the studies to follow in the future.This study has significances as following;First, it is possible to develop ubiquitous services appropriate for living spaces. Second, not only could customized services for users be developed according to collation of LOS methodology, but also diverse services in connection and integrated services be developed to provide full services. Third, expenses for maintenance and repair be reduced after the construction. Forth, this study can be expanded to wide services between cities and countries, and in the future also develop services for cities systematically by building an integrated city management center.Fifth, this could be a basic study to standardize ubiquitous services, system, and devices. Lastly, studies in such direction will harmonize communications among professionals who demand multi-academic cooperation in the flow of most updated harmonized construction, and it is thought that high social and economic effects could be expected by doing so.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은 오늘날 인간생활 행태의 변화뿐만 아니라 미래건축 공간에도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생활환경인 주거 공간의 변화는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지능형 홈, 사이버 아파트 등의 새로운 미래주거 공간이 나타나고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다양한 유비쿼터스 서비스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거주자를 위한 유비쿼터스 서비스가 공간에 적절히 적용되지 않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고 수요자 요구와 관련 없이 서비스가 설계되어 있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현재의 홈네트워크 서비스가 공급자 위주의 솔루션과 기기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기 때문이며, 주택을 잘 알고 있는 건설인과의 협업이나 최종 사용자의 기호가 고려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초기 디자인 단계에서 이러한 문제점들이 수용되고 있지 못하고 공간 디자인과 서비스 개발이 유리화되어 공간을 먼저 구축한 후, 서비스를 적용하는 방법으로 계획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기기 및 서비스 그리고 공간 간의 상호호환성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따라서 본 연구는 초기 디자인 단계에서부터 개발된 유비쿼터스 서비스가 공간에 적용 가능한지를 살펴보고, 이에 따라 적절한 미래공간을 디자인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기존의 서비스 개발 프로세스와는 다른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공동주택 공간정보와 연계시켜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한 공동주택 유비쿼터스 서비스 개발 방법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본 연구는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장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목적, 범위 그리고 연구방법을 설명하였다.2장에서는 이론고찰을 통해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의 특징과 유비쿼터스 서비스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물리적 공간과 가상 공간으로 나누어 유비쿼터스 지능공간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상황인지형 서비스를 유비쿼터스 서비스가 지향해야 할 방향으로 제안하였다.3장에서는 인터넷 리서치와 현장 조사를 통하여 홈네트워크 업체와 지능형 홈네트워크 아파트의 서비스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 및 요구사항에 대해 분석하였다.4장에서는 기존의 유비쿼터스 서비스 개발 방법론과 공간정보 관련 문헌을 비교 분석하여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한 공동주택 유비쿼터스 서비스 개발을 위한 새로운 전략을 제시하였다.5장에서는 4장에서 제시한 개발 전략에 따라 먼저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공간에 적용하기 위한 LOS(Level of Service) 분석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공동주택 공간정보를 도출하여 이들 간의 연계성을 검토한 후,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한 공동주택 유비쿼터스 서비스 개발을 위한 공간정보 프레임워크 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방법을 토대로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적용하여 보고 이를 설계도서 형식으로 표현하여 보았다.6장에서는 본 연구의 본론을 요약하고 향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첫째, 주거 공간에 적합한 유비쿼터스 서비스 개발이 가능하다. 둘째, LOS방법의 조합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계 서비스 및 통합 서비스를 개발하여 풍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시공 후 보수 등의 유지관리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넷째, 본 연구는 도시, 국가 간의 광역 서비스로 확장이 가능하며, 향후 도시 통합 관리센터 구축시 도시형 서비스 또한 체계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 다섯째, 유비쿼터스 서비스 및 시스템, 기기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 연구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방향의 연구는 첨단융합건설의 흐름 속에서 다학제적 협업을 요구하는 전문가들의 의사소통을 더욱 원활히 해줄 것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경제적,사회적으로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상업 건축물의 입면과 간판과의 관계 분석에 관한 연구

        정경애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599

        소규모 상업 건축물은 전체 상업 건축물을 대표할 만큼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소규모에 대한 명확한 인식도의 부족으로 대규모 건축물에 비하면 무분별한 간판의 난립이나 무계획적인 개조에 의한 도시 경관과의 부조화 및 영세한 투자로 인한 건축 형태 등의 커다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소규모 상업 건축물의 전체 파사드를 구성하고 있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인 입면과 간판에 대한 각각의 개별적인 특성 및 문제점들을 지적해내고, 그 다음으로는 입면과 간판과의 상관성까지 파악해내어 여기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현상들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해보고, 앞으로의 소규모 상업 건축물에 있어서 입면 및 간판 디자인 계획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 조사와 현장 조사 및 내용 분석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문헌별 사례를 통하여 입면 및 간판의 분류 체계를 수집한 다음 통합 분류 기준 틀을 세우고, 현장 조사를 통해 대학가 주변에 위치해 있는 총 44개의 소규모 상업 건축물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는데, 대학가는 내용 분석에 대한 객관성과 타당성을 갖게 하기 위해 대중의 인지도를 고려한 지역이다. 이렇게 하여 선정된 조사 대상건물은 통합 분류 기준 틀에 따라 구분하여 입면과 간판의 유형별 특성 및 입면과 간판과의 상관성 도출이라는 본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의 자료로서 사용되었으며, 분석 방법은 빈도와 백분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입면 유형 분석 조사 대상 건물의 입면에 대해서 면의 형태, 면의 그리드 패턴, 면의 모서리 처리 방식, 출입구 형태, 출입구 위치, 출입구 연결 방식, 창호부 유형, 지붕부 유형, 장식, 재료, 색채의 11가지로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대학가 주변 네 군데 조사 대상 지역에서는 각 거리별 다양한 개성과 기능을 강조하여 각각의 건축물에 표현하려는 특징이 있었지만, 6층 이하의 소규모라는 규격화된 틀에 짜 맞추다 보니, 주변 건물과의 관계와는 별 신경을 쓰지 않고 무 계획적이며 단순 상업적 목적의 독단적인 건축물이 대부분이며, 본래의 기능이나 용도와는 어울리지 않는 입면들이 많았다. 2) 간판 유형 분석 조사 대상 건물의 간판에 대해서 종류, 구조, 재료, 색채, 글자체의 5가지로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상업 건축물의 간판들은 입면이라든가 주변 환경 등을 고려하지 않고 독자적인 상업성에만 치우친 나머지 면적을 너무 많이 차지한다든가 우선 눈에 띄는 간판들이 대부분인데, 앞으로는 여러 가지 상황이나 여건에 맞는 간판 유형을 선택하여 적절한 장소에 적합하게 배치되어야 하며, 또한 간판 디자인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 개발로 선택의 폭이 다양화될 수 있도록 고려하여야 한다. 3) 입면과 간판과의 관계 분석 조사 대상 건물의 입면 유형에서 면의 형태, 그리드 패턴, 출입구 형태, 창호부 유형, 지붕부 유형과 간판의 종류와의 상관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입면은 자체 완결적인 건축물보다는 주변 환경이나 주변 건물과의 조화를 이룬 건축물이 세워졌으면 하고, 간판은 단순 상업성 목적의 무분별한 선택과 배치가 아닌 건물 입면이나 주변 건물과의 조화된 환경을 고려한 배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은 간판 유형을 선택할 때 우선은 상업성 위주의 선택이지 입면 유형을 고려한다든가 하지는 않기 때문에, 앞으로의 간판 선택에 있어서는 보다 디자인적 차원을 고려한 이러한 전문화된 디자인 중심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소규모 상업 건축물의 입면과 간판에 대한 문제점들을 지적해내고, 앞으로의 바람직한 입면과 간판 디자인 계획 방안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하지만, 특정 지역과 소규모라는 상업 건축물을 조사 대상으로 하여 전 지역과 중, 대규모, 전체 상업 건축물의 입면과 간판에 대한 분석 현황으로 일반화할 수 없어 지역별, 규모별로 비교해서 보다 심층적인 내용 분석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며, 입면과 간판 유형별 분석에서는 각 건물에서 가장 대표적인 유형만을 제시한 자료를 근거로 해서 가장 많이 나타난 유형 위주로 집중 분석하여 보다 다각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그리고, 입면과 간판과의 관계 분석에서는 입면과 간판의 특정된 유형만을 선정하여 상호간의 교차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앞으로는 그 외의 유형과의 비교 분석에 대한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분석 결과 자체가 실질적으로는 전혀 적용되지 않는 현실성 없고 무의미한 분석이긴 하지만, 이러한 가상의 실험적인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앞으로 보다 방대한 연구 자료에 활용되고, 디자인 중심적인 분석 연구가 선행되어서 상업 건축물의 입면과 간판이 보다 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조화로 구성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importance of small scale commercial buildings has not been properly noticed, although they hold a large majority of commercial buildings, which have caused many problems such as reckless setting up of signs, spoiling of surrounding scenic beauty resulted from indiscreet remodeling and disharmonious architectural structures owing to poor investment. This study intends to point out features and problems of facades of small scale commercial buildings and signs attached to such buildings, which is followed by the investig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ades and signs, and the suggestion of solutions for such problems. As the final step,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the design of facades and signs of small scale commercial buildings. For this study, relevant literatures and actual spots were examin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Reference frame for integrated classification was set up based on classification systems collected through literatures, and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to select 44 small scale commercial buildings located in the vicinity of college towns for investigation, considering good awareness of people about college towns so that the analysis of data can have the objectivity and feasibility. The selected subject building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ference frame of the integrated classification, and typical features of and relationships between facades and signs were induced based on the classified result by the method of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conclusion is summed up as follows: 1) Classification of facades Facades of the subject building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11 items of: form of surfaces, grids pattern of surfaces, treating method of surface edges, form of entrances, location and connection type of entrances, type of windows, coverings, ornaments, materials and color. Despite the efforts to express diverse characters and functions unique to the located streets, most of buildings in the surveyed four college towns were haphazard, built only with the commercial purpose, and the facades were disharmonious with surrounding buildings and the functions or usage, because of the regulation that they should be 6 floors or below. 2) Classification of signs Signs of the surveyed buildings were classified by 5 items of: type, structure, material, color and character. Most of signs attached to the commercial buildings left facades or surrounding conditions out of consideration, taking too much area with the sole consideration of commercial purpose or unpleasant to the eye. These signs should be attached at proper places with types suitable to the surrounding conditions and diverse designs of signs should be developed to allow wide variety of options. 3) Relationships between facades and signs In connection with this subject, relationships of types of signs to form of surfaces, grids pattern of surfaces, form of entrances, type of windows and coverings were analyzed. Facades are requested to be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s rather than to make a completion in their own ways and signs to be placed with consideration to facade or surrounding buildings instead of reckless selection of types and places with the sole consideration to the purpose of commerce. In the future selections of sign types, to the contrary to the conventional selections which have been concentrated on commerciality, it is recommended to give priority to the aspect of design, for which specialized research on designs is required. This study, which intended to find out problems with facades and signs of small scale commercial buildings and suggest programs for desirable facades and signs, was based on small scale commercial buildings in given districts. For the reason, the research on the facades and signs of general commercial buildings, including medium and large scale as well as small scale commercial buildings, should be separately conducted by districts and sizes. Multilateral research on types of facades and signs is suggested to intensively conduct based on the typical types with focus on the most frequent types. Research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acades and signs was limited in this study to the cross-analysis of specific types of facades and signs. Comparative research on other types is required, as the hypothetical experimental result can provide researchers with vast research materials, though it has no practical applicability. Design-centric analytical resear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cientific and systematic harmony of facades of commercial buildings with signs.

      • 공간디자인에서 디지털 스토리텔링 연구

        심재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599

        컴퓨터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인터넷의 확산속도 증가로 인한 정보혁명은 우리 사회의 거의 모든 방면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또한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전으로 기존의 추상적인 것들이 구체적으로 체험 가능한 것으로 변화하고 이를 통해 인간의 경험의 폭이 확장되고 있다. 공간디자인에 있어서도 정보화 사회의 등장은 무시할 수 없는 현상으로 본 연구는 글쓰기라고 하는 창작 작업의 변화가 공간디자인 작업에도 유사하게 나타난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정보화 시대에 부합하는 공간디자인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인문학과의 연결 관계 내에서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세부적인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첫째,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글쓰기의 발전과정을 고찰하고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등장 배경에 대해 살펴본다. 둘째, 공간디자인 분야에서 정보화 사회의 특징이 반영된 제반 디자인 경향을 수집하고 이들의 공간디자인 특성을 추출하여 그 변화 양상을 분석한다. 셋째, 위에서 추출된 공간디자인 변화양상 및 디자인 특성을 스토리텔링의 특징과 비교하여 분석한다. 먼저 인문학적 문헌고찰을 통해 스토리텔링의 속성을 도출하여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정보화 사회의 특징과 연관지어 비교하는 작업을 하였는데 스토리텔링은 풍부한 표현 수단, 비선형성, 상호작용성의 세 가지 속성을 갖는다. 이를 바탕으로 정보화 시대 공간디자인을 디지털 도구를 이용한 공간 형태 탐구, 디지털 도구를 이용한 협업설계, 지능화된 공간 디자인, 상호작용적인 공간 디자인, 가상공간 디자인, 정보 공간 디자인, 풍요롭고 개인화된 공간 디자인의 7가지 경향으로 분류하여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디자인 형태적 특성과 개념적 특성 모두에서 디지털 스토리텔링과의 연관성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인문학적인 문헌고찰을 인간의 사고과정을 표현하고 지식을 저장 및 전달하는 미디어로써 글쓰기가 보다 자유롭고 비선형적인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고 이는 정보화 시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가속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스토리텔링을 최근의 문화적 주류 현상으로 파악하고 여기에 정보화 사회의 속성과 결합시켜 디지털 스토리텔링으로 재정의하고 인문학과 공간디자인 분야에서 면면히 흐르는 맥이 상이한 것이 아님을 밝힘으로써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셋째, 정보화 사회의 공간디자인 사례를 수집하고 그 변화 양상을 7가지 특성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이는 기존의 연구가 공간의 형태적인 특성에 머무른 것과는 달리 기술력이 도입된 사례에서부터 가상환경이라는 미디어에 의한 가상공간, 공간디자인 이론 및 패러다임의 변화에 이르기까지 총체적인 공간디자인의 변화를 정리함으로써 향후 발전방향을 예측하는 기초 자료로써 가치를 가진다. 넷째, 공간디자인 변화 양상을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특성과 연결시켜 분석함으로써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정보화 사회 공간디자인 패러다임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기존의 연구와는 새로운 시각으로써 공간디자인의 이론적 토대를 넓히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그러나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정보화 시대에서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공간 디자인 패러다임으로 확립되기 위해서는 꾸준한 사례수집과 분석을 통한 검증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러한 연구가 이론에서 그치지 않고 향후 실제 디자이너의 작업에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Information-revolution, inspired by the advance in computer-communication technology and rapid distribution of Internet has brought about significant changes in various aspects of our society. The advance in digital technology has also made what was much more abstract in the past to something that can be specifically experienced and therefore has expanded the scope of human experience. The advent of an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has also brought about significant changes in spatial designs. Under the assumption that changes observed in creative work such as the process of writing can also be observed in the works of spatial design, this study intends to discover a new paradigm of spatial design in relation to humane studies, which is suitable for the emerging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The specific goa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review the developmental stages of writing from the view point of humane studies and to examine the background behind the advent of digital storytelling. Second, to collect various design trend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n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in the field of spatial design and to analyze the trend of alternations by extract their features. Finally,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design's change of trends and designs to that of storytelling. First of all, the features of storytelling were extracted under the view point of humane studies and were compared with the features of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which were already presented by preceding studies. Storytelling had three basic characteristics; various methods of expression, nonlinear qualities and interactive qua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patial designs of an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were classified in to 7 trends; spatial configuration designs using digital tools, collaborative designs based on digital tools, smart space designs, interactive space designs, virtual designs, information space designs and affluent and individualized space designs. By analyzing these 7 trends from the standing point of digital storytelling, a certain relationship between the configurative features and conceptual features of designs and digital storytelling was observed. With these analyzing processes the following have been concluded. First, by examining literatures on humane studies, it has been confirmed that writing as a media of storing and conveying human's process of thinking is developing freely in a nonlinear manner and this trend is accelerating with the advent of information oriented society's technology. Secondly, by understanding storytelling as a recent cultural mainstream, by bonding the traits of storytelling with that of an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to redefine the term as digital storytelling and by acknowledging the fact that there are numerous similarities between humanities and spatial design the potentials of digital storytelling have been ascertained. Thirdly, by collecting examples of spatial designs in the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and classifying the trends of changes in to 7 characteristics, the study may have a potential use of predicting the future trends of spatial designs. Whereas preceding studies were limited only to the configurational traits of space, this study has sorted various examples, ranging from examples where technology has been introduced, examples where virtual environment has been used as a media for virtual space, to examples that show changes of theory's in spatial designs and paradigm. With the classification of these overall changes in spacial design, this study may be used as a basic data for predicting future trends of spatial design. Lastly, by analyzing the trends of changes in spatial design in association with digital storytelling, the potentials of digital storytelling as a paradigm of information oriented society's spatial design has been proposed. This effort has started off by taking a different point of view from the other preceding studies, and therefore may serve as an opening of attempts to expand the theoretical groundworks of spatial design. However, to securely establish digital storytelling as a paradigm of spatial design in the rapidly changing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endeavoring efforts in collecting examples and analytic verification works are essential for such studies to have them not end as a mere theory but as a practical field of application for a designer.

      • 거주자 중심 스마트홈에 관한 연구 : 라이프스타일과 주생활양식을 중심으로

        이주령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599

        디지털과 정보기술의 발달이 주거공간에도 영향을 미침으로써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재택학습, 재택근무, 재택의료 등과 가사업무를 도와주는 홈쇼핑, 홈뱅킹, 그리고 가정에서 여가생활을 지원하는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인간과 사물간의 홈네트워크, 홈오토메이션과 거주자의 요구나 변화를 감지하는 지능형 센스를 갖춘 스마트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하지만 거주자의 개성화된 정보의 중요성이 배제된 채 유비쿼터스 기술(Ubiquitous Computing & Network Technology, 이하 uT라고 칭함)이 주거에 도입되어 획일화된 주거환경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uT시스템의 무분별한 도입과 고가의 장비가 사장되어 결국 국가적 낭비를 초래하는 결과를 미연에 방지하기위하여 라이프스타일과 주생활양식을 중심으로 한 거주자 중심의 다양한 스마트홈의 구축방안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라이프스타일과 주생활양식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거주자 중심의 스마트홈에 대한 계획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온라인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라이프스타일, 주생활양식, uT 시스템 선호도, 스마트홈의 개념과 사례 등을 조사 하였고, 조사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 및 주생활양식, 라이프스타일, uT 시스템 선호도를 측정하는 질문으로 조사도구를 구성하여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18세 이상으로 하였고, 조사기간은 2004년 6월11일~14일에 걸쳐 진행되었고, 그 결과 수집된 표본 180개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for Win 1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카이자승 검정, F검정, 요인분석, 군집분석, 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라이프스타일은 물질출세 지향적 성향, 긍정적 보편성향, 실리적 자기중심 성향, 가정 중심적 성향의 6개의 요인으로 추출하여 군집분석을 실시 한 결과, 여성의 경우 결혼해도 자신의 직장을 갖는 것이 좋으며, 인간의 본성은 착하다고 생각하는 ‘실리보수적 생활형’이 36.7%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실리적이면서도 금전적인 만족 없이는 행복해질 수 없고, 인생의 목표가 출세인 ‘실리물질출세 지향적 생활형’이 24.4%, 물질출세를 지향하면서도 체면 때문에 자신의 생활이 얽매이기 싫어하는 ‘물질출세 지향자기중심적 생활형’이 21.1%, 실리적이면서도 성공을 위해서 개인의 즐거움을 희생하고 싶어 하지 않는 ‘실리자기중심적 생활형’이 17.8% 순으로 나타났다. 2) 주생활양식은 휴식지향성취미추구성프라이버시 중시성, 외부활동물질환경중시성현대성안락성적극성, 편의실용성검소성가족생활중시성, 개성유행 심미추구성 등 4개의 요인으로 추출하여 군집분석을 실시 한 결과, ‘외부활동물질환경 중시 주생활형’이 45.6%, ‘휴식여가 주생활형’이 34.4%, ‘개성심미추구 주생활형’이 20.0% 순으로 나타났다. 3) uT 시스템은 안전성정보성건강지향성, 오락성편리성정보성, 효율성에너지 절약성 등의 4개의 요인을 추출하여 군집분석을 실시 한 결과, ‘에너지절약안정성 시스템’ 유형이 41.1%, ‘안전성건강 지향성 시스템’이 21.7%, ‘에너지절약건강지향성 시스템’이 18.9%,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 18.3%의 순으로 나타났다. 4) 라이프스타일, 주생활양식, uT 시스템 유형은 연령과 소득, 학력, 직업, 주택규모, 가족구성 등의 변인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의 목적인 라이프스타일, 주생활 유형, uT 시스템유형사이의 관계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실리·보수적 생활형’의 라이프스타일 양식을 가진 조사대상자의 경우 ‘외부활동물질환경 중시형 주생활양식’유형(47.0%)과‘휴식여가생활형 주생활양식’유형(40.9%)에 대해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실리물질 출세 지향적 생활형’의 라이프스타일 양식을 가진 조사대상자는 ‘개성심미활동 추구형 주생활양식’유형(47.7%)과 ‘외부활동·물질 추구형 주생활양식’유형(45.5%)에, ‘실리자기중심생활형’의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조사대상자는 ‘외부활동물질·환경 중시형 주생활양식’유형(59.4%)에, ‘물질출세 지향적자기중심 생활형’인 라이프스타일 양식을 가진 조사대상자는 ‘휴식여가형 주생활양식’유형(52.6%)에 높은 분포를 보였다. 또한 ‘휴식여가형 주생활 양식’을 가진 조사대상자는 ‘에너지절약안전성 시스템’유형(48.4%)과‘안전성건강 지향성 시스템’유형(33.9%)에 높은 선호도를 보이며, ‘외부활동물질환경 중시형 주생활양식’을 가진 조사대상자는 ‘에너지절약안전성 시스템’유형(45.1%)과‘건강지향성 시스템’유형(23.2%)에, ‘개성심미추구 주생활 양식’을 가진 조사대상자는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유형(61.1%)에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실리·보수적 생활형’의 라이프스타일 조사대상자의 경우 ‘안전성건강지향성 시스템’유형(46.2%)과 ‘에너지 절약 시스템’유형(41.9%)에 매우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실리물질 출세 지향형’ 라이프스타일 조사대상자는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유형(48.5%)에, 실리자기 중심형’ 라이프스타일 조사대상자는 ‘에너지 절약건강지향성 시스템’유형(26.5%)과‘에너지절약안전성 시스템’유형(21.6%)에, ‘물질 출세지향자기중심형’라이프스타일 조사대상자는 ‘안전성건강지향성 시스템’유형(30.8%)에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1) ‘실리보수생활형’라이프스타일을 가진 소비자는 ‘외부활동·물질환경 중시형 주생활양식’과 ‘여가휴식 지향형 주생활양식’유형을 지니고 있다. 이들이 선호하는 uT 시스템은‘안전성건강지향성 시스템’유형과 ‘에너지 절약 시스템’유형이다. 이러한 소비자를 겨냥한 스마트홈을 계획할 때는 주생활양식을 반영하여 교육환경과 취미공간을 고려한다. 네트워크 카메라를 설치하여 아이와 애완동물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위험사항을 확인할 뿐만 아니라, 방문자를 식별할 수 있는 시큐리티 시스템을 설치하거나, 재난 시 가스 및 기타 밸브를 자동으로 잠그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건강화장실과 전자건강체크로 가족의 건강을 돌볼 수 있는 건강 지향성 시스템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년층 거주자들의 사고 시 감지기에 의해 관련기관으로 통보되는 지능형 센스 시스템이 있다. 자동난방온수 시스템, 자동 조명등을 이용한 에너지절약 시스템도 예로 들 수 있다. 2) ‘실리물질 출세 지향적 생활형’의 라이프스타일 양식을 가진 소비자는 ‘개성·심미활동 추구형 주생활양식’과 ‘외부활동·물질 추구형 주생활양식’유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홈 계획단계에서부터 심미적인 실내 환경과 남녀참여 가능한 공동공간을 계획해야 하며, 쉽게 변형 가능한 공간도 고려해야 한다. 이들이 선호하는 uT 시스템은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유형으로써 무엇보다도 집안 곳곳에 CD, DVD, 라디오 등을 조작할 수 있는 컨트롤 시스템이과 홈씨어터 환경이 구축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지능형 센서에 의해서 조절되는 환기시스템, 원격교육과 평생교육이 가능한 환경이 계획되어야 한다. 3) ‘실리자기중심생활형’의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소비자의 경우 ‘외부활동물질 환경 중시형 주생활양식’을 가지고 있고, ‘에너지절약안전성 uT시스템’유형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 그래서 스마트홈 계획 시 교육 공간과 공동 공간을 고려해 설계해야하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에너지수자원시스템, 자동 온도 조절기 및 자동 조명 시스템과 시큐리티 시스템, 자동 가스 차단기 시스템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4) ‘물질출세 지향적자기중심 생활형’인 라이프스타일 양식을 가진 경우 ‘휴식여가형 주생활양식’유형을 가지고 있고, ‘에너지절약안전성 시스템’유형과‘안전성건강 지향성 시스템에 높은 선호도를 보인다. 이러한 경우 스마트홈 계획 시 개인의 사생활을 잘 보호할 수 있는 구조와 취미활동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고려해야 하고, 시큐리티 시스템과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설치를 고려하여야 한다. 5) 주택 사업 분야에서 라이프스타일과 주생활양식에 대한 분석은 주택의 기획 단계부터 분양단계에 이르기까지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즉 라이프스타일과 주생활양식 유형을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스마트홈의 개발, 설계, 홍보 등을 시도한다면, 주택공급자측면에서는 제품의 차별화로 상품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이고, 소비자 측에서도 자신의 특성과 요구에 맞는 디지털 주거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6)라이프스타일과 주생활양식에 따라 uT 시스템선호는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향후 미래의 스마트홈 계획은 라이프스타일과 주생활양식을 고려해서 계획되어져야 하며 좀 더 다양한 스마트홈을 계획할 수 있도록 보다 구체적인 디자인 지침 마련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Since the development of Digital and IT(Information-Technology) influences to Residential Space, those studies are actively on progress regarding to Study from Home, Telecommuting, Medical Care from Home which are utilizing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Home-Shopping, Home-Banking that assists for home-affairs, and Entertainment System that supports leisure life at home, Home Network and Home Automation between Man and Material, and Smart-Home where equipped with intellectual sense that perceives of the resident''s requirement or any of change. In the meanwhile, there is a problem that provides a unified residential environment by introduction of Ubiquitous Computing & Network Technology (to be written as uT hereinafter) to residence, quite excluding the importance of individualized informations of the residents. Also, as because those high-valued equipments become spoiled due to the imprudent introduction of uT System, it is regarded as much meaningful thing that a systematic study on building method for the diversified Smart-Home for which centered on Lifestyle and Residential Living Mode as well as Resident-importance, based on the necessity to prevent in advance from the result bringing such national waste. Therefore, this Study grasps its Lifestyle and Residential Living Mode, and on the basis of this, a planning guideline for the resident-centered Smart-Home would be presented. As the studying method, both methods of documentary-study and on-line questionnaire research were used. Through the documentary-study, life style, residential living mode, preferring degree on uT, concept and example-survey of Smart-Home and so on were examined, and internet questionnaire research was also carried out by composition of researching tool with the questioning items about the characteristic and residential living mode in view of socio-population study for questionnaire-object, lifestyle, and measuring of preferring degree on uT, The questionnaire-objects were organized with those people residing in Republic of Korea whose age is more than 18 years old, survey was progressed during June 11~June 14, and then the collected 180 samples as the result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alysis of the Data was practiced about frequency-analysis, crossing-analysis, Chi-Square Test, F-Test, cause-analysis, group-analysis, dispersion-analysis, utilizing of SPSS for Win 10.0.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hereunder: 1) Lifestyle was extracted into 6 factors such as material·success-aiming propensity, affirmative universal propensity, utilitarian ego-centered propensity, family-importance propensity, etc, and as the result of group-analysis on them, the following patterns were appeared likely as per following order: woman had better to keep her job even though she gets married, ''utilitarian·conservative living style'' who regards that the original nature of human-being is virtuous, was recorded as highest points as 36.7%, ''utilitarian·material, success-aiming life style'' who is utilitarian and thinks it is unable to be happy without monetary satisfaction, whose target of life is success, was figured at 24.4%, ''material, success-aiming·ego-centered living style'' who dislikes to be fastened to his life for honor''s sake while heading towards success, was pointed at 21.1%, ''tilitarian·ego-centered living style'' who does not want to be sacrificed of private pleasure for the sake of success while he is utilitarian, was gotten at 17.8%, respectively. 2) Residential Living Mode was extracted into 4 factors such as rest-purposing charactertaste-pursuing character, privacy-importance character, outer activity·material environment-importance character·modernity·comfortableness·positiveness, conveniency, pragmatic character·plainness·family life-importance character, personality·vogue, aesthetic-pursuing character, and as the result of group-analysis on them, residential living mode of outer activity·material environment-importance showed up 45.6%, rest·leisure residential living mode was at 34.4%, residential living mode of personality· aesthetic-pursuing was at 20.0%, respectively with above-written order. 3)uT System was extracted into 4 factors such as safety·informative character·health-pursuingcharacter, amusement·conveniency·informatives, efficiency·energy-saving character, and as the sequence of group-analysis on them, the type of ''energy-saving·safety system'' was appeared as 41.1%, ''safety·health-pursuing system'' at 21.7%, ''energy-saving·health-pursuing system'' at 18.9%, and ''entertainment system'' at 18.3%, respectively. 4)Those types among Life style and Residential Living Mode and uT System have been appeared that have no voluntary relationship with the varying factor such as age, income, academic career, occupation, residential scale, family constitution. However, it had voluntary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of this Research, namely Life style and Residential Living Mode and uT System. 5)The type of ''utilitarian·conservative living style'' in lifestyle showed high distribution to those ''outer activity·material environment-importance residential living mode'' type(47.0%) and ''rest·leisure life typed residential living mode'' type(40.9%), and also high distributions were given to each those of the followings: the type with lifestyle of ''utilitarian·material, success-aiming life type'' is to ''personality·aesthetic activity-pursuing residential living mode'' type(47.7%) and ''outer activity·material environment-importance residential living mode'' type(45.5%), the type with lifestyle of ''utilitarian·ego-centered living type'' is to ''outer activity·material environment-importance residential living mode'' type(59.4%), the type with lifestyle of ''material, success-aiming·ego-centered living type'' is to ''rest·leisure life typed residential living mode'' type(52.6%), respectively. And also, the type of ''rest·leisure life typed residential living mode has showed high preferring degree to the type of ''energy-saving·safety system''(48.4%) and to that of ''safety·health-pursuing system''(33.9%), and also showed up high preferring degree to each those of the followings: the type of ''outer activity·material environment-importance residential living mode'' is to ''energy-saving·safety system''(45.1%) and the type of ''health-pursuing system''(23.2%), the type of ''personality·aesthetic activity-pursuing residential living mode'' is to ''entertainment system'' type(61.1%), respectively. The type of ''utilitarian·conservative living style'' in lifestyle showed very high preferring degree to the type of ''safety·health-pursuing system''(46.2%) and ''energy-saving system'' type, and also appeared high preferring degree to each those of the followings: The type of ''utilitarian·material, success-aiming life type'' in lifestyle is to ''entertainment system'' type(48.5%), type of ''utilitarian·ego-centered living type'' in lifestyle is to ''energy-saving·health-pursuing system'' type(26.5%) and to ''energy-saving·safety system'' type(21.6%), type of ''material, success-aiming·ego-centered living type'' in lifestyle is to safety·health-pursuing system'' type(30.8%), respectively. In accordance with above-mentioned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should be produced. 1)The type of ''utilitarian·conservative living style'' in lifestyle holds ''outer activity·material environment-importance residential living mode'' and the type of ''leisure·rest-pursuing residential living mode. Also, uT System what they prefer is type of ''safety·health-pursuing system'' and ''energy-saving system'' type. When planning of Smart-Home, a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pace for recreation should be considered by reflecting of Residential Living Mode, not only for checking the dangerous matter, watching behavior of kid and pet by installation of network camera, but also installation of security system which enables to identify visitor, and Home Automation System also to be set up which makes the gas to be stopped by itself and all of the valves to be locked out automatically when a fire breaks out. Besides, an Intelligence-type Sense System to be installed which reports by the sensor to the call-center as soon as an old man falls down, and the health-toilet and the health-pursuing system also to be installed which is able to care of family health by electronic medical check up. Automatic Room-Heating Hot Water System, Automatic Lighting also to be set up for energy saving. 2) The type of ''utilitarian·material, success-aiming life type'' in lifestyle holds ''personality·aesthetic activity-pursuing residential living mode'' and the type of ''outer activity·material-pursuing residential living mode''. Therefore, when Smart-Home is planned, aesthetic indoor environment and common space where able to participate irrespective of man or woman must be planned, also easily convertible space should be considered, too. And, uT System they prefer, as an ''entertainment system'' type, before everything else, a control system which able to enjoy CD, DVD, Radio at everywhere indoor should be placed, and Home Theater circumstance also must be equipped. Moreover, a ventilation system that regulates by intelligence-type sensor, and it should be planned that an environment where remote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can be affordable. 3) The type of ''utilitarian·ego-centered living type'' in lifestyle contains ''outer activitymaterial environment-importance residential living mode'' thereat and its preferring degree to the type of ''energy-saving·safety uT system'' is high. Thereupon, when planning of Smart-Home, education space and common space should be designed, and install energy water resource system and thermostat, automatic lighting system and save energy, also set up security system and automatic gas circuit breaker. 4) The type of ''material, success-aiming·ego-centered living type'' in lifestyle holds ''rest·leisure life typed residential living mode'' type, and it appears its high preferring degree to the type of ''energy-saving·safety system'' and ''safety·health-pursuing system''. When planning of Smart-Home, the structure which able to keep privacy as well as a separate space for tastes have to be considered, and to be installed security system and home-automation system. 5) In the field of Housing Business, Analysis on Lifestyle and Residential Living Mode can be utilized as a useful material throughout from its planning step for housing to the stage of its distribution. So to mention, if some diversified Development, Design, Public Relation for Smart-Home which centered on Lifestyle and Residential Living Mode would be attempted, on the side of House Supplier the Product Value could be enhanced by discrimination of the products, and also on the side of Consumer it could be an opportunity to be provided of Digital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suitable for their own Characteristic as well as Requir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