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강 삼각주 지역 현대박물관의 전통 가옥 특징 및 재현 연구 : 장쑤성·저장성·안후이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진방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박물관은 전통과 문화의 매개체로서 도시에서 무엇과도 대체할 수 없는 문화 건축물이다. 1950~60년대 이후 중국은 도시마다 박물관이 계속해서 들어서고 있으며, 특히 최근 몇 년 사이 국력 증강과 도시경제 발전, 문화산업 중시 등으로 박물관 건립이 더욱 활발해졌다. 박물관 역할도 유물 보관에서 문화부호나 랜드마크로 연구 범위가 확대되고 있지만, 박물관의 건축은 점점 지역 문화가 뚜렷하지 않거나 서양의 건축문화를 일방적으로 받아들이는 ʻ천편일률적인 박물관ʼ이 되는 추세로 발전하고 있다. 이처럼 옛것과 새것이 교차하는 사회적 배경 속에서 어떻게 박물관을 지역 집단의 문화적 정체성을 보존하는 매개체로 활용하느냐는 현대박물관 디자인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핵심 문제가 되었다. 장강 삼각주(长江三角洲) 지역은 중국 최대의 종합적 공업지대로 정치, 경제, 문화뿐만 아니라 박물관의 수와 건축 면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장강 삼각주는 지역 특색이 뚜렷하면서도 서로 조화를 이루며 일맥상통하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는 지역 문화를 기점으로 중국 장강 삼각주(长江三角洲) 지역 즉 장쑤(江苏)성, 저장(浙江)성, 안후이(安徽)성 3개 지역의 자연환경, 역사 발전, 취락 형태 등을 고찰하고, 이 지역 전통 가옥과 건축 자재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장쑤, 저장, 안후이의 전통 가옥의 건축양식과 박물관 건축물에 대한 현지 조사와 분석을 통해 장강 삼각주 지역을 대표하는 쑤저우박물관(苏州博物馆), 닝보박물관(宁波博物馆), 후이저우문화박물관(徽州文化博物馆)의 전통건축의 현대화 활용 및 건축 재현을 중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전통 가옥의 특징과 건축 자재가 현대박물관에서 어떻게 재현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문은 쑤저우박물관, 닝보박물관, 후이저우문화박물관의 사례분석을 통해 박물관 설계가 어떻게 시대적 변화의 요구에 부응하고 민족성과 지역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 나아가 현대박물관 건축물에서 지역 특성이 사라지고 있는 현상에 대해 개선 제안과 지역 문화 기호의 중요성을 제시할 것이다. 이 세 곳의 전통 건축물의 구조, 건축 자재 특징에 대해 정리하면서 다음과 같은 유사성도 있지만 지형과 문화의 차이로 인해 주거 건축물의 세부적인 내용이 서로 다르다는 것도 발견하게 되었다. 쑤저우박물관은 전통적인 가옥 자재의 단점을 피하고 현대적인 자재를 사용하여 가옥 특성을 재현함으로써 설계가 ʻ의도적 표현ʼ이라고 할 수 있다. 닝보박물관의 설계 중에는 현지의 지방 전통 자재와 기술을 중점적으로 사용하였다. 비록 박물관의 외관과 건물 규모가 주거 건축물과 같지 않지만, 박물관은 현지의 재료와 기술을 융합하여 다른 지역에서는 볼 수 없는 품격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 역시 닝보박물관이 다른 박물관과 구별되는 특별한 점이다. 이러한 전통적 자재나 건축적 상징을 통해 재구성된 디자인 방식을 ʻ리셋 구성ʼ이라고 할 수 있다. 후이저우문화박물관은 비록 현대적인 건물로 박물관의 지붕과 말 머리 모양의 담장 등을 현대적인 건축 자재로 사용했지만, 박물관의 외관, 공간 배치, 전시장 장식 디자인 측면에서 전통 주거 건축물의 특징을 완전히 복원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설계 표현방식은 ʻ직접적인 표현ʼ이라 할 수 있다. 현재의 ʻ천편일률적인 박물관ʼ 들은 단순히 지역 자재 활용 부족이라는 문제에서 나아가 급속한 도시화 과정에 새로이 지어지는 건물들이 어떻게 지역 문화를 반영하고, 특히 박물관 건축물을 통해 어떻게 잘 보존해가느냐의 문제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지역 문화의 테마 박물관 건립과 지역 문화의 보호, 계승, 발전을 위한 보다 넓은 사고의 길을 제공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 지방공기업 직원의 무형식학습,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간의 구조관계 분석 : D 지방 공기업을 중심으로

        서숙영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공기업 직원의 무형식학습,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고, 무형식학습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D 광역시 D 공기업에 재직 중인 일반직원 중 6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616명의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공기업 직원의 무형식학습은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직무만족은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조직몰입은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지방공기업 직원의 무형식학습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매개로 하여 조직시민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무형식학습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조직시민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지방공기업 직원의 조직시민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무형식학습 활동을 활성화하고,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증대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즉, 조직시민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기주도적인 학습문화와 개방적인 소통문화를 형성하여 무형식학습이 활발히 일어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도록 조직차원의 구조적 환경개선과 제도의 도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informal learning,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local public enterprise employees, and to clar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 achieve the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643 general employees working in D public enterprise in D metropolitan city, an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616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18.0 progra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formal learning of local public enterprise employees directly affect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addition, job satisfaction directly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irectly affect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informal learning of local public enterprise employees indirectly affect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 medium. In addition, informal learning indirectly affect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y sequentially mediat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se results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activate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and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local public enterprise employees. In other words,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t is necessary to form a culture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open communication so that informal learning can occur actively. In addition,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tructural environment and introduce a system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그림책을 활용한 주제중심 구성 차시 학습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1학년 중심으로

        김나연 광주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주제중심 구성 차시 학습’을 위한 매체로 그림책을 활용하여, 학습방법을 구안하고 적용하고자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먼저 ‘주제중심 구성 차시 학습’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다. 더 나아가 초등학교 1학년 통합교과용 도서에 새롭게 도입된 구성 차시의 의미와 도입 의도를 분석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1학년 통합교육과정 분석을 토대로 5개의 주제에 적합한 그림책을 선정하였고, ‘주제중심 구성 차시 학습’의 단계를 계획-도입-전개-마무리의 4단계로 설정한 후, 11개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하였다. 다음은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교육적 의미이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주제중심 구성 차시 학습’은 학생들의 표현능력과 공감능력을 신장시켰다. 다양한 그림책의 그림과 표현 기법 및 재료의 사용은 학생들의 표현 활동의 좋은 참고자료가 되었으며, 한 권의 그림책을 친구들과 함께 공유함으로써 다른 대상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마음도 기를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그림책을 활용한 학습을 통해 즐거운 생활 교과의 핵심 역량을 함양할 수 있었다. 그림 작가의 작품을 보고 이미지에 대한 미적 감각을 키울 수 있었고, 그림책의 시각적 표현을 통해 심미적 감성을 신장시켰다. 또 학생들은 그림책 주제와 관련한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끊임없이 의사소통할 수 있었다. 더불어 그림책을 활용한 학습은 하나의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생각과 창의적인 사고를 촉진시켰다. 셋째, 학생들은 그림책을 활용한 학습을 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갔다. 그림책은 교과서 내용 중심, 교사 중심의 단편적인 학습에서 탈피하여 학습의 범위를 확장시켰고, 이는 학생들의 호기심과 탐구욕을 불러일으켰다. 학습 과정에 있어서 교사와 학생이 함께 수업을 계획하고 구상하여 실행하는 전 과정은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 및 학생 중심 학습의 실현을 극대화 시켰다. 본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그림책은 저학년의 ‘주제중심 구성 차시 학습’을 돕는 효율적인 교육 매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림책을 통해서 학생들이 진심으로 즐거워하는 모습을 보았고, 학생이 학습의 주인공이 되는 모습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가 ‘주제중심 구성 차시 학습’의 운영을 위한 하나의 사례로서, 구성 차시 수업을 어려워하는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지·덕·체 기반 중학교 전인교육 성과 평가도구 개발

        오미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지·덕·체 기반 중학교 전인교육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하는 전인교육 성과 평가도구를 개발한다. 둘째, 중학교 전인교육 성과 평가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한다. 본 연구 대상은 중학생 324명이며 SPSS 23.0과 AMOS 23.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덕·체 기반 전인교육의 관점에서 중학생이 지각하는 중학교 교육성과 평가도구의 하위요소는 크게 8가지로 구분되었다. 지영역에서 3개(지식이해, 창의·탐구, 지식적용) 요소, 덕영역에서 3개(도덕인지, 도덕감정, 도덕행동) 요소, 그리고 체영역에서 2개(건강이해, 건강관리) 요소로 구성되었다. 지·덕·체 영역의 최종 추출된 문항은 40개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전인교육 성과 평가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결과, 문항 양호도 분석, 신뢰도,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에 의해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덕·체 기반 중학생 전인교육 성과 평가도구의 활용 시 기대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덕·체 기반 중학생 전인교육 성과 평가도구를 활용함으로써 학교교육의 지적, 정의적, 신체적 성과를 포괄적으로 평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평가도구는 학생의 관점에서 학교 교육의 성과를 평가함으로써 개별 학교 단위에서 자율적으로 교육의 질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erformance scale for evaluating the outcomes of the whole-person education based on the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domain in the middle schools. The specific contents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performance scale of the whole-person education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were developed. Seco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erformance scale were verifi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4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components of the performance scal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were largely divided into eight: 3 components (knowledge comprehension, creativity & inquiry, knowledge application) in Intellectual domain, 3 components (moral cognition, moral emotion, moral behavior) in Moral domain and 2 components (health knowledge, health care) in Physical domain. The final extracted items were 40. Second, as the result of verify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he performance scale, it was found that all of them were good in terms of the item quality analysis, reliability test, EFA and CFA.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points are expected when using the performance scale of the whole-person education based on the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domain in middle schools. First, the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education can be comprehensively evaluated by using the performance scale. Second, the performance scale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at the individual school by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schoo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s.

      • 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 진단도구 개발

        이영래 계명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수자에게 요구되는 교수 역량이 어떤 요소로 구성되는지 밝히고, 이러한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과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고, 2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교수역량의 구성요소를 규명하여 교수역량모델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2개의 역량군과 8개 역량, 그리고 각 역량을 설명하는 30개의 행동지표로 구성된 교수역량모델이 개발되었다. 둘째, 교수역량모델을 기반으로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K대학교수를 대상으로 진단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진단결과를 바탕으로 교수역량과 진단도구에 대한 타당화를 진행하였다. 전문가 패널을 통해 2개의 역량군과 8개의 역량, 그리고 33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진단도구를 통해 진단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문항 신뢰도를 분석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8개 역량과 33개 하위요소에 대한 잠재변수와 측정변수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모형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진단모형의 적합도는 CMIN/DF = 2.071, CFI = .857, TLI = .826, RMSEA = .049로 나타나 수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검증하여 구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교수역량모델과 진단도구를 수정하여 최종적으로 2개 역량군과 8개 역량, 그리고 32개의 하위요소로 구성된 교수역량모델과 진단도구를 확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수역량 진단도구는 대학 교수자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각 교수자는 개인의 교수 수행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전문성 개발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진단도구는 교수 수행능력을 공정하게 평가하는 근간이 되며, 교수자의 역량 발휘에 따른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동기부여의 도구로도 활용될 수 있다. 본 진단도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교수 지원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한다면 양질의 교수-학습을 제공할 수 있는 대학 교수자 양성과 더불어 대학교육의 경쟁력 확보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at factors constitute the teaching competency required for faculty members, to develop a diagnostic tool for teaching competency of them based on these components, and to verify its validity. First, in this study, the teaching competency model was derived by identifying the components of the teaching competency through reviewing the literatures related to the teaching competency of faculties, and conducting the Delphi survey twice. As a result, a developed teaching competency model consisted of 2 competency groups, 8 competencies, and 30 behavioral indexes that describe each competency. Second, the self diagnostic tool was developed based on the teaching competency model,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empirical dat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validity of the teaching competency and the diagnostic tool was verified. The diagnostic tool developed through the expert panels was comprised of 2 competency sections, 8 competencies, and 33 diagnostic questions.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latent variables and the measurement variables for the 8 competencies and the 33 sub-components, the model fit was confirmed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 provided a acceptable result to satisfy the criteria. In terms of model fit index provided CMIN/DF = 2.071, CFI = .857, TLI = .826, RMSEA = .049. In addition, I confirmed that the teaching competency model and the diagnostic tool secured the construct validity by verifying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As a result, the teaching competency model and the diagnostic tool were revised and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teaching competency model and the diagnostic tool composed of 2 competency groups, 8 competencies, and 32 sub-components. Since the teaching competency model and the diagnostic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suggests the teaching competencies required for faculty members, the faculties can grasp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ir own teaching performance and can set the direction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based on their level of competencies. In addition, this diagnostic tool is a basis for fair evaluation of teaching performance and it can be used as a tool of motivation by providing the incentives. The developing and operating a teaching support program by using the results of the diagnosis for teaching competency will contribute to securing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y education as well as training faculty members who can provide high-quality teaching and learning.

      • 초등 사회과 학습에서 지필 마인드맵과 컴퓨터 마인드맵 활용에 따른 학습 효과와 맵 구성의 차이

        김종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사회과 학습에서 지필 마인드맵과 컴퓨터 마인드맵의 활용에 따른 학습의 효과와 맵 구성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 사회과 학습에서 지필 마인드맵과 컴퓨터 마인드맵의 활용에 따른 학업 성취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 사회과 학습에서 지필 마인드맵과 컴퓨터 마인드맵의 활용에 따른 학습 흥미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초등 사회과 학습에서 지필 마인드맵과 컴퓨터 마인드맵의 활용에 따른 마인드맵의 방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소재한 N초등학교 5학년 30명을 실험집단으로 구성을 하였다. 사전 검사로 학업 성취도 검사를 실시하고 4주간 2가지 주제에 대해서 총 10차시 수업을 진행한 후 사후 학업 성취도 검사와 사후 학습 흥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독립변인은 지필형 수업과 컴퓨터형 수업이며 종속 변인으로는 학업 성취도와 학습 흥미도의 변화이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의 처리는 SPSS 12.0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를 하였다. 지필 마인드맵과 컴퓨터 마인드맵의 활용에 따른 학업 성취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학습 흥미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초등 사회과 학습에서 지필 마인드맵과 컴퓨터 마인드맵 활용에 따른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컴퓨터 마인드맵 활용 집단이 지필 마인드맵 활용 집단보다 학업 성취도 점수가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 사회과 학습에서 지필 마인드맵과 컴퓨터 마인드맵 활용에 따른 학생들의 학생들의 학습 흥미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컴퓨터 마인드맵 활용 집단의 학습 흥미도가 지필 마인드맵 활용 집단보다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초등 사회과 학습에서 지필 마인드맵과 컴퓨터 마인드맵 활용에 따른 학생들의 마인드맵 구성 방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지필 마인드맵 활용 집단과 컴퓨터 마인드맵 활용 집단 간의 마인드맵 구성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이 분야의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두 집단간 학업 성취도 변화의 요인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학생들의 컴퓨터 선호도나 컴퓨터 활용 능력을 고려한 집단 편성이 필요하다. 둘째, 장기간에 걸친 마인드맵 학습을 통하여 컴퓨터 활용 집단이 지필 활용 집단 보다 학업 성취도와 학습 흥미도가 향상이 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differences of learning effects and mapping methods between hand-drawn mindmap and computer-based mindmap used for teaching elementary Social Studies. Research questions intended to clarify the difference were as follows: First, do the two mindmaps reveal any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when they are used to teach elementary Social Studies?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course interest between the two mindmaps? Thir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mapping methods between the two mindmaps? For the questions, the experimental group was made up of 30 pupils of the fifth grade of 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alsung-gun, Daegu. An academic achievement test was administered as pre-tests and a total of 10 lessons covering two topics went on for 4 weeks. In addition, post-tests on student achievement and interest were given after all lessons were finished. Academic achievement and course interest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while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 two types of mindmap lessons - hand-drawn and computer-based. This research study adopted the SPSS 12.0 for Windows to assist in data analysis and evaluation.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as used in examining the differences of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two mindmap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s proceeded to verify the differences of student interes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a group which used computer-based mindmap for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improved its academic achievement score while a group which utilized hand drawn mind maps showed no changes. It was clear that the computer-based group showed a bigger improvement in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other. Second, when it comes to the differences of changes in student interest between the two groups, the interest score of the computer-based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aper-based group. It was noticeable that the former had more significant changes than the latter. Third,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mind-mapping methods of the two groups. For future research, the following suggestions have been made. First, it is needed to consider students' computer preferences or abilities to clarify factors causing changes in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two groups. Second, it is important to do research whether the computer-based group is able to show bigger improvements in academic achievement and student interest than the paper-based one when long-term effect of mindmap learning approaches are adopted.

      • 전문대학의 flipped learning 수업에서 오프라인 학습 활동의 효과 분석

        장은정 계명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플립드 러닝 수업에서 문제풀이, 토의․토론, 프로젝트 기반 오프라인 학습 활동에 따른 전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수업참여도,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8년 2학기 전문대학의 전공선택 과목인 ‘운영체제’ 교과목을 수강한 1학년 3개 반 총 12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은 플립드 러닝의 오프라인 학습 모형인 문제풀이 활동, 토의․토론 활동, 프로젝트 활동이고, 종속변인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수업참여도, 학업성취도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 플립드 러닝의 문제풀이, 토의․토론, 프로젝트 기반 오프라인 학습 모형은 ADDIE 모형 기반으로 수업을 설계하고 8주에 걸쳐 진행되었다. 플립드 러닝 수업에서 문제풀이, 토의․토론, 프로젝트 기반 오프라인 학습 활동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다변량공분산분석(MANCOVA)과 Bonferroni로, 수업참여도는 다변량분산분석(MANOVA)과 Scheffé로, 학업성취도는 공분산분석(ANCOVA)과 Bonferroni로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풀이 활동보다 프로젝트 활동이 전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토의․토론 활동이 전문대학생의 정서적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토의․토론 활동보다 문제풀이 활동과 프로젝트 활동이 전문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수업방법에 따라 전문대학생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문제풀이 활동에서는 자가 점검 및 학습 효율성, 토의․토론 활동에서는 의사소통능력, 그리고 프로젝트 활동에서는 팀별 상호작용과 문제해결능력에 도움이 되었다. 한편 문제풀이 활동에서는 퀴즈의 난이도 변별력과 보충 학습 자료 제공, 토의․토론 활동에서는 충분한 시간과 자가 점검 퀴즈 기회 제공, 그리고 프로젝트 활동에서는 개별 평가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문대학생의 학습부진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개별 맞춤형 교육이 가능한 플립드 러닝 수업에서 프로젝트 기반 오프라인 학습 활동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고차원적인 사고 능력을 보다 향상 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교수자는 오프라인 학습 활동에서 나타난 강점들을 플립드 러닝 수업에서 보다 활성화시키고 약점으로 인식되는 요소들은 최소화할 수 있는 수업 운영 전략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교수자는 플립드 러닝 수업에서 학습 목적에 따라 세 가지 오프라인 학습 활동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조화롭게 활용한다면 플립드 러닝을 통해 지식, 태도, 동기 등 모든 측면에서 교육적 효과를 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ether there are the differences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quizzes, discussion and debate, and project based offline learning activities in flipped learning classe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23 students in three classes of freshmen who took the 'Operating System' course, a major elective course of the second semester of 2018 school year.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the activities which are the offline instructional models of flipped learning, such as quizzes, discussion and debate, and project activities. The dependent variables ar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study, quizzes, discussion and debate, and project based offline learning model of flipped learning was designed based on the ADDIE model and conducted for 8 weeks. In order to analysis the effects of quizzes, discussion and debate, and project based on offline learning activities in flipped learning classes,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conducted by MANCOVA and Bonferroni, the academic engagement was conducted by MANOVA and Scheffé, the academic achievement was conducted by ANCOVA and Bonferroni as a Post-Hoc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ject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rather than quizzes activities. Second, the discussion and debate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motional engagement of college students. Third, quizzes activity and project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rather than discussion and debate activitie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pinions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teaching methods, it was helpful for self-checking and learning efficiency in quizzes activities, communication ability in discussion and debate activities, and team-specific interac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project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in quizzes activities, it suggested the discrimination capacity of quiz and supplementary learning materials, sufficient time and self-check quiz opportunities for discussion and debate activities, and the necessity of individual evaluation for project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high-dimensional thinking ability can be improved by utilizing project-based offline learning activities in flipped learning classes with individual customized training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 of underachievement learning for college students. The teachers need to the lesson operational strategies which activate more strengths of offline learning activities in flipped learning classes and minimize the factors perceived as weaknesses. In addition, if the instructor consider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ree offline learn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learning in the flipped learning class, it is expected that the flipped learning will bring out educational effects in all aspects such as knowledge, attitude, and motivation.

      • 대학생이 지각하는 e-러닝포트폴리오 시스템의 활용 효과

        박창준 계명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하는 e-러닝포트폴리오 시스템의 활용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 및 경력관리, 운영과정, 시스템 사용성, 전반적 만족도 측면에서 대학생이 지각하는 e-러닝포트폴리오 시스템의 활용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학업 및 경력관리, 운영과정, 시스템 사용성, 전반적 만족도 측면에서 대학생의 배경변인(e-러닝포트폴리오 개발 경험 횟수, 성별, 학년, 전공 계열)에 따른 e-러닝포트폴리오 시스템의 활용 효과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e-러닝포트폴리오 시스템의 활용에 있어서 대학생이 지각하는 장점과 개선사항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위하여 A 대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e-러닝포트폴리오 시스템 활용 경험이 있는 학생 2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문항은 학업 및 경력관리, 운영과정, 시스템 사용성, 전반적 만족도에 관한 총 20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은 e-러닝포트폴리오 활용 효과에 대해 체계적인 활동 이력 관리에 효과가 있다고 지각하였다. 또한 e-러닝포트폴리오를 개발하는 데 있어서 개발 사례, 양식, 작성 가이드가 충분히 제공되어 유용하다고 지각하였다. 학습활동과 경력활동 등의 대학생활 이력을 한눈에 볼 수 있어 유용했다고 지각하였으며, 동료학습자에게 e-러닝포트폴리오 개발을 추천할 의사가 있다는 지각이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취업 및 진로 준비에 도움, 개발 시기와 기간,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의 다양한 기기에서의 사용성 측면에서는 비교적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개발경험 횟수, 성별, 학년, 전공계열 등의 대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e-러닝포트폴리오 활용 효과에 대한 지각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e-러닝포트폴리오 시스템의 장점으로는 학습역량 및 경력개발, 자기관찰, 시스템의 편의, 기타로 나타났다. e-러닝포트폴리오 시스템의 개선사항으로는 시스템에서의 오류개선과 메뉴 항목 개선, 사용 환경 및 자료 용량 개선 등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effects of an e-learning Portfolio System.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established. First, what is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the e-learning portfolio system in terms of academic and career management, operational processes, system usability, and overall satisfaction? Second, how do these perceptions of effectiveness (specifically, academic and career management, operational processes, system usability, and overall satisfaction) differ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such as previous experience with e-learning portfolio system, gender, major and grade? Third, what are the merits and improvements of the e-learning portfolio system? A total of 204 university students who previously used the e-learning portfolio system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survey consisted of 20 items regarding academic and career management, operational processes, system usability, and overall satisfac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that academic and career management of the e-learning portfolio system were effective. Also, they answered that development practices, forms, and writing guides of the e-learning portfolio were useful. The e-learning portfolio system was recognized useful because students can view the system, to see information such as learning activities and career activities at a glance. For this reason,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would recommend the system to fellow students. On the other hand, students responded with relatively low satisfaction in terms of the assistance to employment and career preparation, the development timing and duration, and easy of using various functions.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sponses based on stu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previous experience with an e-learning portfolio system, gender, major, or year at university. Third, the advantages of e-learning portfolio system showed strong in learning competency and career development, self-observation, convenience systems, and etc.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learning portfolio system needs improvements in system error correction, system environment, the system menu items, systems used items, and material capa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