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뮤지컬을 활용한 마을공동체 문화콘텐츠 연구 : 불광천 '오즈의 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손지영 명지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s and implications of musical-using cultural contents for constructing and sustaining a village community by focusing on the case of ‘Oz’s village in Bulgwangcheon’ in Eunpyeonggu, a part of Seoul village community projec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tilize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musical to explore the values of musical as village community cultural contents and organized the major concepts of Seoul village community projects through literature review. Moreover,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representative cases of domestic village community that utilized performance art for constructing and sustaining village community among Seoul village community projects. Based on the findings abo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musical-using cases of ‘‘Oz’s village in Bulgwangcheon’ to comprehend its specificity and limitation for the construction and sustainability of village communities. After classifying village communities into community organization type, artist community type, public project type according to their construction types to examine performance art-using village community cases in Korea, this study deduced their features for constructing and sustaining village communiti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and examined whether performance art was suitable for village community cultural contents. Finally, this study classified the actual musical-using cases of 「Oz’s village in Bulgwangcheon」 into educational contents for local teenagers, self-realization contents for local residents, art-participation contents for marginalized classes. As a result, it was suggested that musical-using cultural contents can be a new alternative for the construction and sustainability of village communiti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sustainability of village community centered on musical cultural contents as a part of Seoul village community projects can be a useful material for village community cases. Also, the follow-up studies on how communities are affected by musical-using village community cultural contents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Keyword Musical, Village Community, Cultural Contents, Bulgwangcheon, Village of OZ 본 연구는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은평구 「불광천 ‘오즈의 마을’」사례를 통해 마을공동체의 형성과 지속에 있어 ‘뮤지컬’이라는 문화콘텐츠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고 있고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연구한 논문이다. 이를 위해 뮤지컬의 개념과 특징을 도출하여 마을공동체 문화콘텐츠로써 뮤지컬의 가치를 살펴보고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의 연구를 통해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의 주요 개념을 정리한다. 또한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 중 마을공동체 형성과 지속에 공연예술을 활용한 국내 마을공동체 대표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공연예술이 마을공동체 형성과 지속에 미친 영향을 파악한다. 이를 바탕으로 「불광천 ‘오즈의 마을’」의 실제 뮤지컬활용 사례를 연구하여 보고 뮤지컬이 마을공동체 형성과 지속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그 특수성과 한계를 파악한다. 본 연구는 뮤지컬을 활용한 마을공동체 문화콘텐츠 연구를 위해 마을공동체를 형성유형에 따라 마을만들기형, 예술가마을형. 공공사업형으로 나누어 공연예술을 활용한 국내 마을공동체 사례를 검토하였다. 이어 사례비교분석을 통해 마을공동체 형성과 지속을 위한 특징을 도출하고 공연예술이 마을공동체 문화콘텐츠로서 적합한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불광천 ‘오즈의 마을’」의 실제 뮤지컬활용 사례를 마을청소년 교육콘텐츠, 마을주민 자아실현콘텐츠, 마을소외계층 예술참여콘텐츠로 나누어 살펴보고 마을공동체 형성과 지속에 있어 뮤지컬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파악하고 그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뮤지컬을 활용한 문화콘텐츠가 마을공동체의 형성과 지속에 있어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된 뮤지컬 문화콘텐츠 중심의 마을공동체 형성 및 지속에 관한 본 논문이 마을공동체 사례에서 뮤지컬을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되는 참고자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며 앞으로 마을공동체 문화콘텐츠로 뮤지컬을 활용함으로써 공동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할 것이다. 주제어 뮤지컬, 마을공동체, 문화콘텐츠, 불광천, 오즈의 마을

      • 예술고등학교 연기과 학생 지도방안 연구 : 고양예술고등학교 연기과 2학년 전공실기 실습공연 <동승>을 중심으로

        김보람 명지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고양예술고등학교 연기과 2학년 전공실기 수업지도를 통한 예술고등학교 연기과의 <동승> 공연제작실습과정을 연구한 것이다. 연극영화과에 진학하고 싶어하는 지망생들이 급증하고 그에 따라 연극영화과를 개설하는 예술고등학교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각종 매체의 오디션프로그램이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면서 예술에 대한 좋은 인식과 사회적인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이러한 현 상태에서 청소년기의 학생들이 연기자가 되길 희망하여 전문적인 교육집단인 예술고등학교에 입학하여 인기있는 대학에 진학하길 바라고 있다. 전문교육집단인 예술고등학교에서 예비종사자들이 받는 연기수업과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수업지도방안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공연제작실습과정을 지도한 연구는 존재하지 않기에 연구자는 지도대상에 따른 공연제작실습과정과 지도방안을 연구 하였다. 본 연구는 제2장에서 고양예술고등학교의 교육과정과 교육목표에 따른 예술고등학생에게 적합한 수업지도교안을 작성하고, 그 교안을 토대로 교육적 가치를 염두하여 사전제작단계부터, 제작단계, 제작 후 정리단계로 나누어 예술고등학교 연기과 시스템에 적합한 지도방안을 제시하려고 하였다. 제3장은 사전제작단계에서는 작품선정과 텍스트 읽기, 첫인상 정리, 이야기 정리 통한 작품이해와 공개 오디션을 통한 배역선정과정을 다루었다. 제작단계에서는 작품의 목표와 장면의 목표, 작가조사 등 작품전체를 분석하는 작품분석과 인물의 목표와 행동, 배경과 특성을 찾는 인물분석을 어떻게 지도하는지 연구하였다. 분석을 토대로 인물의 자서전을 통해 인물의 구체적인 전사를 만들고 장면 만들기를 통해 행동선과 짓거리를 더하여 인물구축을 보다 풍성하게 구현하도록 한다. 그렇게 만든 장면을 면밀하게 다듬고 리듬과 템포를 조정하여 극을 완성한다. 작품을 세밀하게 다듬고 정리하여 리허설의 3단계인 Stage Rehersal, Technical Rehersal , Derss Rehersal 을 거친 후 공연을 발표한다. 공연을 발표하기까지 공연제작과정과 지도내용에 대하여 정리 해 놓은 것이다. 공연이 끝난 후 무대철거와 합평회의 과정으로 본 연구를 마무리 한다. 본 연구는 지도대상의 눈높이에 맞는 지도방안 연구에 목적을 두었다. 분석과정을 보다 흥미롭게 다가갈 수 있도록 자서전과 인물관계도롤 통해 접근방법을 보다 이해하기 쉽도록 하였고, 무엇보다 지도대상과 예술고등학교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작과정을 수정하고 그에 따른 지도방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이 연구를 제시함으로써 예술고등학교에서 연기교육의 연구가 활발해지길 바라며, 예술고등학교 연기수업에 관련된 지도방안 발전을 위하여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processes of titled "A Little monks", performance production practical curriculum for 2nd graders of acting department in Goyang high school of arts. Lately as many students hope to major in theater and film in college, domestic arts high schools have rushed to open departments of theater and film. In addition, there are lots of social concerns and favorable interests to public arts for popularity of many audition programs in a variety of mass media. in this situation, many adolescents eager to be actors after graduating arts high schools providing expertise and skills. While much interests to acting curricula in high schools of arts have increased, studies in teaching methods of acting are scarce. Especially, there are few studies about processes of performance production practical curriculum targeting high schoo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guidances for performance production practices. This study is structured as follows. First, guidance plans are suggested for arts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curricula and educational objectives of in Goyang high school of arts. Then considering educational values in guidances, this study proposes teaching methods in a series of three steps- preproduction, production, and postproduction. Second, more detailed examinations are done. In preproduction step, production understanding and casting are covered. The former is through play selection, text reading, first impression summary and story note, the latter is through public auditions. In production step, two approaches are supposed. One is how to analyze entire production regarding production objectives, scene objectives, author studies et al. The other is character analysis based on character's aim, background, and traits. And then, students are helped to make their concrete lifelong history using characters' life stories and to develope rich characterization with blocking and business through scene making. After scenes are intensively adjusted to rhythm and tempo, production is shaped. Finally, as passed through three stages of rehearsal-stage rehearsal, technical rehearsal, dress rehearsal, the production is performed. This study is about production processes and teaching approaches for performance including strike and review. This study is focused on teaching methods suitable to targeted trainees. This study offers to easy understandings about production processes by analysing characters' lifelong stories and characters' relationship. Most of all, this study proposes to revise production processes and introduces appropriate teaching approaches considering nature of arts high schools and trainees. This study is contributed to future researches about acting education in arts high school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 뮤지컬 <스프링어웨이크닝> 연출·제작과정 연구 : 2012 명지대학교 뮤지컬공연전공 하계워크샵을 중심으로

        이은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based on the actual performance case of Myongji University summer workshop <Spring Awakening> is to study the course of performance Production of University students of Musical major. As the musical of united type of various art genre such as the song, the dance and the performance started to get the limelight from the Public, the necessity for the training professional manpower together with the social interest for this came to the fore. Accordingly, each University Institute started to establish the musical related subject, the subject has been established in about more than 30 Universities and 8 Graduate Schools and the number of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is growing gradually. Even though, the number of University training the precious human resources of Korean musical increased, by comparison, it is the real state that the study for the course of Musical Production being progressed in each University is insufficien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urse of Production because the commercial performance being produced by the outside professional manpower and the University performance being produced by the University students of musical major are different in the given circumstances and in the objective. The smooth progress may be difficult if the Production course of commercial performance is followed without the understanding of University System. Also, the students accustomed to the mechanically produced performance mostly passing the entrance examination should try the originative and the experimental creation activity continuously based on the theory learned in the University. Hence, each University should prepare the environment for the students to encounter the works actively and creatively, the study for the Production course of efficient University performance is necessary at any cost because the course making the performance itself is a musical education.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Production course of musical suitable for the University system through the data arrangement for the Production course from the initial planning stage to the final result. The musical <Spring Awakening> has been selected by collecting the opinion of students hoping to take part in the workshop for this study, it is examined if this work has the sufficient value educationally through the data investigation. The final decision as well has been made through the discussion with the Thesis Director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requirement such as the Production period, the performance place, the number of people participated, the cost of experimental practice and the audiences, etc. First the understanding for the general Production course of musical is necessary to study the Production course of University performance. Of course, there is no big difference in the Production course of commercial performance and University performance. Merely, more effective exercise progress, the course-oriented production of performance is required for the higher educational effect. In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based on the basic Production course of performance, it is analyzed how its course is modified and sup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given environment and circumstances. The courses to be prepared prior to the production of works in the Pre-Production stage are investigated, the course reaching to the performance passing the course of practice practically preparing the works in the production stage of performance is studied. After the final performance the completion and appraisal of performance are researched in the Post-Production stage. All the courses are restructured based on each reference data and the direction notebook. It shows how the course is modified to the students in accordance with the given environment and the circumstances based on these basic Production course of performance. It is checked the necessary factors the actors and staffs taking part in the University performance should have and the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is the responsibility as the mature artists. Second is the cooperation where all draw one picture. Third, it is the never giving up endurance. Fourth is the flexibility to cope with any circumstances. From now on, the students of musical major of each University leading Korean Musical experience the works where the creation coexists with the imitation through the University performance, the participants should engage in the works with these factors since the teaching the students to have the attitude as the mature artists is the main object. The proposal for the most effective section out of production course of University performance is made in the conclusion. First is to draw each individual life graph. Second is the discussion about the works ceaselessly. Third is not to put the limit to one idea of justice. Fourth is to get in the habit of preparing the performance notebook. Fifth is the most efficient use of time All of members know each other deeply by taking part in the performance through these courses and can keep the mood like one family from the practice to the completion of performance, in the position of direction, the proper request is possible as the understanding for the personal character, the family environment and the matter of interest, etc. become easy. Also the actors themselves can have the power to grow naturally and engage in the works actively, cultivate a good habit through the efficient practice and keep the best condition. I hope this paper studying the production course of University performance as the practical workshop performance centered could be helpful reference data for to form and progress the production of University performance, the succeeding study for the production course of University performance for the purpose of development of Korean musical education and the high level of performance culture shall have to be continued. 본 연구는 명지대학교 하계워크샵 <스프링어웨이크닝>의 실제 공연 사례를 바탕으로 뮤지컬전공 대학생의 공연제작과정을 연구한 것이다. 노래, 춤, 연기 등 다양한 예술장르가 합쳐진 형태의 뮤지컬이 대중들에게 각광받기 시작하면서 이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과 함께 전문 인력 양성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각 대학기관에서는 뮤지컬 관련 학과를 개설하기 시작했고, 2011년 기준으로 약 30여 대학 및 8개 대학원에 개설되어 있으며 점점 그 수가 늘어나고 있다. 한국 뮤지컬의 귀중한 인적자원을 양성하는 대학의 수는 늘어났지만 그에 비해 각 대학에서 진행되는 뮤지컬제작과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외부에서 전문 인력에 의해 만들어지는 상업 공연과 뮤지컬전공 대학생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학교 공연은 주어진 상황과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제작과정의 차이가 있다. 대학 시스템에 대한 이해 없이 상업공연의 제작과정만을 따르려고 하다보면 원활한 진행이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입시를 거치면서 대부분 기계적으로 찍어내는 연기에만 익숙한 대학생들은 학교에서 배운 이론들을 바탕으로 독창적이고 실험적인 창작활동을 끊임없이 시도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각 대학에서는 학생들이 능동적이고 창조적으로 작품에 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하며, 공연을 만들어가는 과정 자체가 뮤지컬교육이기 때문에 효율적인 대학공연 제작과정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뮤지컬 <스프링어웨이크닝>의 초기 기획 단계부터 제작과정, 최종 결과에 대한 자료정리를 통하여 대학 시스템에 맞는 뮤지컬 제작과정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워크샵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뮤지컬 <스프링어웨이크닝>을 선택하였고, 자료조사를 통하여 이 작품이 교육적으로 충분한 가치를 가졌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제작 기간, 공연 장소, 참여 인원, 실험실습비용, 관객 등의 환경적인 요건을 고려하여 지도교수님과 협의를 통해 최종 결정을 내렸다. 대학공연 제작과정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반적인 뮤지컬 제작과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물론 상업공연과 대학공연의 제작과정에는 큰 차이가 없다. 다만 보다 효과적인 연습진행, 그리고 보다 높은 교육적 효과를 위하여 과정중심의 공연제작이 요구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본론에서는 기본적인 공연제작과정을 토대로 대학생들에게 주어진 환경과 상황에 따라 그 과정이 어떻게 수정되고 보완되는지 분석한다. 사전제작단계(Pre-Production)에서는 작품을 제작하기 전에 준비해야할 과정들을 연구하며, 공연제작단계(Production)에서는 실제적으로 작품을 준비하는 연습과정을 거쳐 공연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연구한다. 마지막 공연 후 정리단계(Post-Production)에서는 공연의 마무리와 평가에 대하여 연구한다. 모든 과정들은 각각의 참고 자료와 연출노트를 바탕으로 재구성하였다. 이러한 기본적인 공연제작과정을 토대로 대학생들에게 주어진 환경과 상황에 따라 그 과정이 어떻게 수정되는지 보여준다. 본론의 연구 내용을 통해서는 학교공연에 참여하는 배우와 스텝이 갖춰야 할 필수 요소에 대해 확인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숙한 예술인으로써의 책임감이다. 둘째, 모두가 하나의 그림을 그려나가는 협동심이다. 셋째, 포기하지 않는 끈기이다. 넷째, 어떠한 상황에도 대처할 수 있는 유연성이다. 앞으로 한국뮤지컬을 이끌어갈 각 대학의 뮤지컬전공자들이 학교 공연을 통하여 창조와 모방이 공존하는 작업을 경험하고, 성숙한 예술인으로써의 자세를 갖추도록 교육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기 때문에 참여자들은 이러한 요소들을 갖추고 작업에 임해야 한다. 결론에서는 대학공연 제작과정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부분에 대하여 제언한다. 첫째, 참여자 각 개인의 인생그래프를 그린다. 둘째, 작품에 대해 끊임없이 대화를 나눈다. 셋째, 정당성이 있는 한 아이디어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넷째, 연기노트 작성하는 습관을 들인다. 다섯째, 시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공연에 참여하는 구성원 모두가 서로에 대해 깊이 알게 됨으로써 연습부터 공연 끝날 때까지 한 가족 같은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으며, 연출의 입장에서는 개인의 성격이나 가정환경, 사상, 관심사 등에 대한 파악이 쉬워져서 각 사람에게 알맞은 요구가 가능해 진다. 또한 배우들 스스로 자생하는 힘이 생기게 될 뿐더러 능동적인 태도로 작품에 임하게 되고, 효율적인 연습을 통해 좋은 습관을 기르고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실제 워크샵 공연을 중심으로 대학공연 제작과정을 연구한 본 논문이 앞으로 후배들이 대학공연 프로덕션을 구성하고 진행하는데 도움이 되는 참고자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며, 앞으로도 한국 뮤지컬 교육의 발전과 수준 높은 공연 문화를 위해서 대학공연 제작과정에 대한 후속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할 것이다.

      • 공공극장의 관객서비스가 뮤지컬 관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충무아트센터를 중심으로

        유창근 명지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뮤지컬을 장기적으로 공연함과 동시에 공공극장 중 뮤지컬 전문극장에서 출발하여 현재는 복합문화공간을 운영중인 충무아트센터 중심으로 공공극장의 서비스품질이 뮤지컬공연을 관람하는 관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분석 하였다. 뮤지컬이 공연예술산업에 가장 큰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뮤지컬작품에 관한 연구와 마케팅 부분에 관한 연구는 지속해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관객개발과 극장에 관한 연구와 서비스를 담당하는 인력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현재 문화예술정책은 문화산업육성, 문화 향수증대, 창작여건 개선, 국제교류 활성화 등 문화예술 분야에 다양한 부문으로 발전해왔다. 극장은 시대별 특징, 정치적 지향성, 그리고 문화적 특징을 가장 잘 담고 있으며 시대의 정치와 문화를 가장 즉각적으로 선명하게 드러내는 건축물이다. 그리고 국가에서 운영하는 공공극장은 사회교육기관과 함께 사교와 여가의 공간이며 편의시설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으로 운영 중이다. 서울의 공공극장 충무아트센터를 선정한 이유는 뮤지컬 전문극장이면서 접근성이 좋기 때문이다. 경제성장과 더불어 여가시간이 윤택해지고 개인의 문화생활 욕구가 확대됨에 따라 문화예술에 관한 관심과 활동이 매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인다. 이에 따라 국민의 문화예술의 기회를 다각도로 제공하기 위해서 공공재의 역할로 정부의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그 결과로 문화예술산업이 크게 발전해왔다. 특히 공연예술 부분으로 대중적인 뮤지컬은 국내 공연산업 중 가장 큰 규모로써 대중들에게 관심을 받고 있으며 이를 찾는 관객의 인식변화에 따라 요구는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문화서비스공간인 극장은 다양한 관객의 요구에 맞춰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래서 문화상품인 공연을 소비하는 관객에게 극장의 관객서비스 영역이 중요하고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방법으로는 문헌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문헌 조사방법으로는 객관성을 위하여 국내외 단행본, 논문 및 학술지, 정기간행물을 참고했고 인터넷은 한정적인 기사만을 참고하였다. 이와 함께 선행연구에 관한 내용을 고찰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충무아트센터에서 2019년 10월 6일까지 대상으로 설문 작성 47명, 온라인 설문 130명 총 177명을 1차로 조사하고 2차로 11월 25일까지 온라인 설문 125명을 실시하여 총 302명을 통계 대상으로 했다. 변수설정은 충무아트센터의 서비스품질 매개의 유형성, 신뢰성, 응답성, 확실성, 공감성 5개 요인으로 나눴고 뮤지컬관객의 만족도와 재방문 의사를 1개씩 매개로 설정하였다. 조사자료 분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25.0을 사용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분석. 신뢰성 분석, 요인분석, 기술 통계분석, t-test, ANOVA,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충무아트센터의 관객서비스영역은 관객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택속성인 서비스품질인 유형성 즉 극장시설과 청결, 편리성 응답성인 서비스담당 인력 직원들의 전문성과 확실성인 공연의 수준과 다양성, 티켓가격이 관객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객서비스영역은 재방문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택속성인 서비스품질인 유형성, 신뢰성인 공연시간엄수, 안전시설영역과 공감성인 공공성, 주차 시설, 접근성 등이 서비스품질부분이 재방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무아트센터 관객서비스 영역이 관객만족과 재방문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서비스품질을 세분화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공공극장인 충무아트센터 관객서비스의 발전을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This study analyzed and studied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f public theater on audience satisfaction of musical theater, focusing on the Chung-mu Art Center, which currently operates a multicultural space and has been a musical specialty theater long-running musical pieces among public theaters. Although musical plays are the most considerable part of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research on the musical works and marketing continues to be conducted, while the same on the piece itself and its marketing aspects are not. At present, policy on the culture and art division has been developed into one concerning various sectors like fostering cultural industry, increasing cultural nostalgia, improving creative conditions, and promoting international exchange. The theater has the best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political orientation,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is the building that displays the politics and culture of the era most immediately and clearly. The public theater, which is operated by the state, is operated as a complex cultural space with amenities along with social, leisure and community education sites. The focus of the study, Chung-mu Art Center, was chosen for its accessibility and its specialty as musical theater. As the economy grew, so did the leisure time and desire of the people's cultural life, and thus the interests and activities for culture and arts grow constantly each year. Accordingly, the government's efforts are continuing in the role of public goods to provide people with various opportunities for cultural arts. As a result, the culture and arts industry has considerably developed. To be specific, musical plays are the largest in the domestic performing industry and are commanding the attention of the public. The theater, a cultural service space, strives to provide services to meet the needs of various audiences. Therefore, the important audience service area is necessary to be studied for the audience who consumes the performance, which is a cultural product. For this research metho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for literature objectivity, reference was made 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books, papers, journals, and periodicals, while the internet was referred to only limited sets of articles.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previous research were examined. For statistical analysis, 47 participants at Chun-gmu Art Center and 130 online participants, 177 in total, by October 6, 2019, were surveyed as the first term in the study. For the second term, until November 25, 2019, 125 online participants were subject to the survey, comprising 302 participants in total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Variables were divided into five factors like tangibility, reliability, responsiveness, certainty, and empathy of service quality mediation of Chung-mu Art Center. For data analysi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 v.25.0 was used with which demographic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e audience service area of Chung-mu Art Cent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udience satisfaction. Optional attributes, the quality of service which is cleanliness and theater facilities, convenience and responsiveness, which are professionalism of the staff members and certainty which is the level of the performance and variety, and the ticket price influenced audience satisfaction. Also, the audience service area demonstrated a significant effect on return visits. Service quality was influenced by re-visit in terms of service quality, tangible qualities, reliable performance time observance, safety facilities and publicity, parking facilities, and accessibility. The service quality was subdivided into how Chung-mu Art Center's audience service area affects audience satisfaction and return visits. Based on the research,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to be taken for the development of audience service in Chung-mu Art Center.

      • 국공립예술단 혁신을 위한 쟁점 분석 연구 : 서울시뮤지컬단을 중심으로

        함제범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21st century, which called Cultural period, the public has been getting interested in something to be satisfied with their intrinsic value, and to fulfill this desire, people choose arts. However, the value of arts is so huge to limit to improvement of quality of personal life. Arts has an positive effect on the local community and the nation. Through this, the nation should support the development of arts. There are direct and indirect ways to support the arts from the government. In these ways, funding artists directly to inspire their creative activities and promoting importance of arts activities to the public are included. One of these arts supports is that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arts groups. The operation of national arts groups is the most important way to support arts nationally. In Korea, there are a lots of national arts groups. In domestic musical industry, the representative national arts group is Seoul Metropolitan Musical Theatre. A musical industry takes the largest portion in performing arts industry. Because of this market situation, many private musical production agencies operate. To survive these fierce musical industry, Seoul Metropolitan Musical Theatre should achieve their national goals and have differences from privates. National arts groups have basically two missions. First mission is to develop new creative arts contents and the other is to support the public for enjoyment of arts. Seoul Metropolitan Musical Theatre is no exception. Seoul Metropolitan Musical Theatre also tries to create valuable musical contents to revitalize the domestic musical industry and to offer high quality musical for the public. This study analyzes whether Seoul Metropolitan Musical Theatre tries to achieve their goals, which made from position of national arts groups, or not. For the effective study progress, the study uses the case research to analyze one specific organization and the interview with experts who can give professional opinions about Seoul Metropolitan Musical Theatre. The case research and the interview might use to analyze the issues about identification of Seoul Metropolitan Musical Theatre, the current organization and operation system, members of Seoul Metropolitan Musical Theatre, and their professionalism. A study on the analysis of issues for Seoul Metropolitan Musical Theatre innovation will offer the chance to decide what is the efficient operation system. This study also will provide the solution of the improvement of the national arts groups. 문화의 시대로 불리는 현 21세기에 들어 대중들은 삶의 가치를 중시하고 인간의 내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수단에 높은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그들의 내적 풍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선택된 매개체가 바로 문화예술이었다. 그러나 문화예술의 가치를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울타리 안에 한정시키기에는 그 역할이 너무나 방대하다. 문화예술의 가치는 지역 커뮤니티, 국가로까지 그 영향력을 확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국가에서 문화예술의 발전을 지원해야만 하는 필요성이 강조된다. 국가가 문화예술의 발전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은 지원금을 통한 직접 지원, 문화예술의 중요성을 홍보하는 간접 지원 등이 존재한다. 이러한 다양한 지원 방안 가운데 하나로 국가는 국공립 예술단체를 운영함으로써 국가적 차원에서 문화예술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국내에는 다양한 예술 장르의 국공립 예술단체가 존재하며, 뮤지컬 시장에서의 대표적인 국공립 예술단체로는 서울시뮤지컬단을 들 수 있다. 뮤지컬 시장은 공연예술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뮤지컬 기획사 역시 상당수 존재한다. 이에 서울시뮤지컬단은 국공립 예술단체로서 민간 뮤지컬 기획사와의 차별화를 통해 국공립 예술단체만이 수행할 수 있는 역할을 찾아가야할 필요가 있다. 국공립 예술단체는 기본적으로 예술가의 창작 활동 지원에 따른 새로운 문화예술 콘텐츠 개발과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를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두 가지 미션을 갖게 된다. 서울시뮤지컬단 역시 국공립 예술단체의 기본 미션에 부합할 수 있도록 창작 뮤지컬의 제작을 통해 뮤지컬 시장 콘텐츠 시장을 활성화하고 수준 높은 콘텐츠를 대중들에게 제공함으로써 대중들의 정서적 만족을 충족시켜야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뮤지컬단이 국공립 예술단체로서 단체의 미션을 올바르게 정립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지에 대한 서울시뮤지컬단의 현재의 상황을 분석하게 된다. 그리고 효과적인 연구의 수행을 위해 서울시뮤지컬단이라는 하나의 대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사례 조사와 뮤지컬 산업에 종사하며 서울시뮤지컬단에 대해 충분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전문가 인터뷰를 병행한다. 사례 조사와 전문가 인터뷰는 국공립 예술단체의 목표에 따른 서울시뮤지컬단의 정체성 확립, 서울시뮤지컬단 현재의 조직 현황 및 운영 방식에 따른 운영 구조의 개선, 조직 구성원의 임기 및 변화 등에 따른 역할과 전문성에 대한 쟁점을 도출하는 적절한 근거로 활용될 것이다. 서울시뮤지컬단의 정체성과 운영의 적합성에 대한 쟁점 연구는 국공립 예술단체의 운영 실태를 객관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국공립 예술단체가 정체성을 확립하고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하여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서울시뮤지컬단 등의 국공립 예술단체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예술단체로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본다.

      • 뮤지컬 워크샵 연출 사례 연구 : 2023 명지대학교 뮤지컬전공 하계 워크샵 <형제는 용감했다>를 중심으로

        박민주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워크샵을 통한 작품의 연출 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명지대학교 2023년도 하계 워크샵 <형제는 용감했다>의 실제 공연 사례를 바탕으로 뮤지컬전공 학생들의 공연제작실습과정, 기획, 연출 노트, 비평 등 모든 과정을 정리하였다. 대학교육에서 뮤지컬은 2000년에 처음으로 백제예술대학교에 뮤지컬학과를 개개 한 것이 시초이다. 이후 명지대학교를 비롯한 전국 32개 대학에서 뮤지컬학과 또는 뮤지컬전공을 개설하여 뮤지컬 배우 및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 이는 최근 20여년동안 뮤지컬 시장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였고, 이와 함께 뮤지컬 관련 전문 인력 양성의 필요성 또한 커졌다는 반증이다. 각 대학은 뮤지컬 전문 배우를 양성하기 위하여 보컬, 무용, 연기를 포함한 종합적인 배우 교육을 하고 있다. 그러나 학생들 자체의 종합뮤지컬제작실습(Work-shop)은 각 대학의 형편에 따라 그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학생들의 자체 워크샵은 지역별(방학 중 학생들의 거주 및 교통), 학년별, 공연저작권승인 및 공연 제작의 예산 등 많은 요소들의 제약을 받게 된다. 이러한 여러 가지 제약 속에서도 학생들 자체의 워크샵 공연은 학기 중 정규 교육과정에서 체험할 수 없는, 교육을 보완하는 성격을 가진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실험과 도전을 통한 소중한 예술창작과정의 성취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뮤지컬은 춤, 연기, 노래 등 다양한 예술 장르가 합쳐진 형태이다. 이 세 가지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외에도 무대와 조명, 음향, 분장 등 수많은 요소들이 합쳐져 있다. 즉 뮤지컬은 뛰어난 한 개인이 아닌 작품에 참여하는 수 많은 요소들이 합쳐서 만들어 진다. ) 공연의 본질적인 면에서 본다면 연극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지만 양식에 차이가 있기에 이에 대한 차별적인 교육방식이 요구되어 진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뮤지컬의 특성과 뮤지컬을 전공하는 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워크샵 공연이 연출되어지는 전 과정을 정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본론에서 제 1절은 작품의 연습이 이루어지기 전 연출이 준비해야 할 과정들을 연구하였다. 이때 연출은 작품의 사전제작부터 끝나는 과정까지 전체적인 설계도를 만들어야 한다. 제 2절에서는 작품 연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연구하였다. 제 3절에서는 공연이 끝난 후의 정리 과정을 연구하였다. 결론에서는 실제 공연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연출 제작 과정에 대해 제언하였다. 모든 과정은 23년도 하계 워크샵 <형제는 용감했다>를 연출하는 과정의 연출 노트와 참고자료를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실제 워크샵을 바탕으로 대학교 작품제작과정을 연구한 본 논문이 후학들의 대학교 제작실습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참고가 되는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This research is a study on the directing process of musical productions through a case study of a workshop production. This study summarizes the entire process of preparing a musical production by musical major students, from practice, planning and directing notes, to criticism, based on an actual performance case from Myongji University's summer workshop <The Brothers were Brave>. Musical education in universities began in 2000 with the opening of a musical department at Baekje University of the Arts. Since then, 32 universities nationwide, including Myongji University, have opened musical departments and majors to train musical actors and professionals. This is evidence that the musical market has developed dramatically over the past 20 years, and along with this, the need for training musical professionals has also increased. Each university provides comprehensive education with vocal, dance, and acting classes to train professional musical actors. However, student-led musical productions (workshop productions) take o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 of each university. Students-led workshop productions are limited by many factors, such as region (students' residence and transportation during vacation), grade level, performance copyright approval, and performance production budget. Despite such limitations, students-led workshop productions by nature provide complementary education, with experiences that cannot be found in the regular curriculum during the semester. Through such workshop productions, students experience the sense of accomplishment that comes with creating art through experimentation and taking on challenges. A musical is a combination of various art genres such as dance, acting, and singing. These three aspects connect with each other, while numerous other elements such as the set, lighting, sound, and makeup also add on to complete the art. In other words, a musical is not created by a single outstanding individual, but by the cooperation between many people participating in the work. In terms of the essential aspects of the performance, it can be said that musicals are similar to plays, but due to the difference in style, a differentiated education method is required. This research seeks to organize the full process of producing a workshop performance,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musica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majoring in musicals. In the main body of this study, Section 1 studies the director’s preparation process before practice begins. At this time, the director must create an overall blueprint of the production from pre-production to post-production. Section 2 studies the process of the practices. Section 3 studies the post-production process, which happens after the performance. The conclusion presents an effective musical production process based on experience with actual performances. The entire process was reconstructed based on the directing notes and reference materials from the 2023 Summer Workshop <The Brothers were Brave>. This paper, which studies the process of producing musicals at universities based on actual workshop productions, was written in hope that it would serve as a reference material for future students organizing university musical productions.

      • 한국 뮤지컬 여배우 이태원, 전수경, 최정원 연구 : 1990년대부터 2011년까지를 중심으로

        김유림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대한민국 뮤지컬의 대표 여자 배우 3인 이태원, 전수경, 최정원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예술 분야인 뮤지컬을 학문적 관점에서 연구해 볼 필요성을 느끼고, 그 중에서도 배우예술에 주목하여 진행하였다. 여배우의 짧은 생명력과 공연계의 중추 역할을 해야 하는 중년배우의 기근현상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여배우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설문조사와 수상경력을 객관적 잣대로 삼아 뮤지컬 배우 이태원, 전수경, 최정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그들의 삶과 출연작품, 출연작품에 대한 배우의 기여도, 뮤지컬 배우 이외의 활동에 주목해보며 그들의 생명력과 배우로서의 가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론 제1절에서는 먼저 그들의 삶에 조명한다. 일단 성장배경을 살펴보며 가정환경이 그들의 선천적 재능을 어떻게 발견시킬 수 있게 했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그들을 예술가로 성장할 수 있게 한 교육배경에 대해서도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성장배경과 교육배경을 거쳐 뮤지컬계에 입문하기까지의 과정을 되짚어보며 그 과정들이 세 배우의 예술가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본다. 본론 제2절에서는 이태원, 전수경, 최정원을 대한민국 여배우로 자리 잡을 수 있게 한 대표작품을 세편씩 선정하여 그 작품들을 통한 배우의 성장과정을 되짚어본다. 그리고 세 여배우의 작품 활동과 수상경력을 바탕으로 비교 분석에 들어간다. 그들의 수상 경력이 활동기간과 참여 작품 수, 활동분야, 그리고 배우로서의 다양한 변화 시도 여부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본다. 세 배우의 출연 작품들을 표현수단, 장르, 작품의 원산지에 따라 분류해 도표화 시켜 볼 것이다. 그리고 작품의 성격에 따라 코믹, 비극, 드라마, 스릴러, 가족극, SF, 컬트 등의 뮤지컬 장르로 나누어 세 배우의 출연 작품을 분류시켜본다. 출연 작품 장르 분류를 통해 배우가 특별히 더 주력하고 있는 장르가 있는지 살펴보고, 작품을 선정할 때 어떤 점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출연을 결정하는지, 그들이 그렇게 밖에 할 수 없는 선천적, 후천적 영향이 있지는 않은지 분석해 본다. 이 외에도 여러 가지 측면에서 세 배우의 출연작품을 비교해 보며 그 속에서 그들의 차이점과 배우로서의 가치에 주목해 본다. 세 배우 모두 뮤지컬 배우 활동 이외의 제2의 인생이 있다. 이태원은 교육자로서의 삶을 살고 있고, 전수경은 뮤지컬 분야 이외에 영화, 드라마에 꾸준히 출연하고 있다. 최정원은 연극배우로서의 입지를 굳혀 나가고 있는 중이다. 따라서 제3절에서는 세 여배우의 제2의 인생에 대해 살펴보며 그 분야에서 그들이 어떠한 활동을 하고 있고 어떤 가치를 지니는지 분석한다. 오랫동안 뮤지컬 배우로 활동해 오며 대한민국 대표 여배우로 그 공로를 인정받고 있는 세 배우의 연구는 현재 뮤지컬 배우의 길을 가고 있거나 혹은 뮤지컬 배우를 꿈꾸는 이들에게 진정한 배우의 길이 무엇인지를 고민하게 하고 그 길의 지표를 제시 할 수 있는 뜻 깊은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3 most representative Korean musical actresses who are Lee Tae won, Jeon Soo kyung and Choi Jung won. Out of necessity to study a fast-growing art of late which is a musical from a academic point of view,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rt of performers. Performers who, despite a short acting career of young female performers and a lack of middle-aged female performers who are supposed to play a key role in performance scene, are carrying actively their performance career until a recent date are chosen as objects of study. On the basis of surveys and award-winning status, 3 musical actresses (Lee Tae won, Jeon Soo kyung and Choi Jung won) were chosen to estimate their vitality and values as musical actresses focusing on their lives, musicals in which they performed, their contributions to the works and their activities other than as performers. In the first part of the main body, their lives will be focused on. By taking a closer look at their backgrounds, we will see how their home environments affect and develop their innate talents.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which made possible the growth of their artistic talents also merits to mention. By looking back on how they put their foot on musical scene starting from their familial and educational backgrounds, how all those backgrounds affect their artistic activities will be elucidated. In the second part of the main body, 3 representative works for each performer which established their position as national musical actresses will be focused on to trace back the process of their growth. Then,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3 actresses will be conducted on the basis of surveys and award-winning status. We will see how their award-winning status are differentiated respectively by their acting period, the number of works in which they performed, their activity spheres and their various trials of transformation as actresses. Their works will be schematized and tabulated according to expression medium, genres and origins of works. They will also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which genre of musical each work belongs to like comedy, tragedy, drama, thriller, family drama, SF and cult musical. By doing so, the problems of whether there is any genres performers are more focused on, on what basis they choose the works, whether there are any innate or acquired reasons why they choose such works will be analyzed. Furthermore, we will focus on their differences and values as performers by comparing the works in which they performed on various aspects. All three actresses have additional career other than their musical performer career. Lee Tae won is following the teaching profession, Jeon Soo kyung performs in movies or dramas other than musical works. Choi Jung won is securing her position as a stage actress. In the third part of the main body, their careers other than musical performer will be focused on, where what activities they are doing and their values will be analyzed. This study which focuses on 3 musical actresses who are recognized as national female performers will serve to those who is now musical performers or who are dreaming of becoming musical performers one day as a meaningful material making them think deeply about the path to being a true performer and showing them valuable clues leading to that path.

      • 뮤지컬 쇼 스톱퍼(Show Stopper)의 역할연구 : 연극사적 의미와 작품을 중심으로

        이성호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쇼 스톱퍼(Show Stopper)’에 관한 연구이다. ‘쇼 스톱퍼’는 뮤지컬에서 조연을 맡은 극중 인물로써 관객에게 재미를 선사하는 배우를 지칭하는 말이다. 이러한 배우는 무거운 주제의 극의 흐름을 환기 시키고 극의 흐름에 상관없이 관객에게 즐거움을 선사하는 기능을 한다. 이 ‘쇼 스톱퍼’는 ‘쇼 스톱퍼 송(Show Stopper Song)’이라는 자신만의 독특한 노래를 가지는데 뮤지컬 초기에는 ‘코메디 송(Comedy Song)’으로 불리웠다. 이렇게 뮤지컬에서 중요한 극적요소와 극 흐름을 만들어 내는 중요 배역인‘쇼 스톱퍼’에 대한 독자적인 연구가 거의 없었다. 몇 권에 서적에서는 ‘쇼 스톱퍼’에 대한 언급이 있었지만 뮤지컬 음악종류를 분류하면서 끼워 넣은 정도일 뿐 이였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연극사 속에 존재 하였던‘쇼 스톱퍼’뿌리를 밝히고 그 역할을 재조명하여 ‘쇼 스톱퍼’ 의 중요성을 역설하는데 목적이 있다. ‘쇼 스톱퍼’는 서양연극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고대 그리스의 연극에서부터‘코러스(Chorus)’라는 이름으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 물론 지금의 기능과 역할과는 큰 차이가 있지만 본질적으로 관객의 흥미를 유발한다는 관점에서는 같다. 그 이후로 16 세기 이탈리아의 코메디아 델 아르테 (Commcdia dell’arte)에서 대중연극으로써의 발전과 함께 연기법의 발달과 배우의 기술에 대한 중요성이 더해진다. 그 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의 희곡에서 코메디아 델 아르테 (Commcdia dell’arte)의 연기 방법은 계승 발전하게 된다. 뮤지컬에서 ‘쇼 스톱퍼’는 각 작품마다 그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레미제라블(Les Miserables)’의‘떼나르디에(Thenardier)’, ‘맘마미아(Mamma Mia)’의‘페퍼(Pepper)',‘렌트 (Rent)’의‘마크(Mark)’와‘엔젤(Angel)’, 뮤지컬 ‘달고나’ 의 ‘막내 삼촌’의 ‘쇼 스톱퍼’로써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심도 있게 비교 분석해 보고 역사적인 맥락의 증거와 함께 극의 플롯(plot)안에서 얼마만큼의 중요도를 가지고 있는지를 연구 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쇼 스톱퍼의 개념과 정의를 연극사를 통해 연구한다. 둘째, 작품의 실 예를 들어 연구한다. 셋째, 쇼 스톱퍼의 배우적 가치를 연구하여 뮤지컬 창작에 학문적 토대를 마련한다. This is a study on "show stoppers." Show stoppers are the supporting characters in a musical that bring comic relief to the audience. The role of the actor is to lighten the mood of the musical regardless of the main storyline. A Showstopper has his own unique song called the "Show Stopper Song" that used to be called the "comedy song" in early musical history. Although the role of "show stopper" is vital to control the mood of the musical, there was no complete study on the role of "showstopper." Because show stoppers were not considered to be important, there was no thorough information on show stoppers: only small excerpts in books about show stopper song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uncover the importance of the show stopper by shedding new light on the show stopper and discovering the roots of the show stopper. The role of show stopper can be traced back to western origins: more specifically, the "Chorus" from Greek plays. Though the current role of show stopper and role of the Chorus are very different, they essentially serve the same function. In the sixteenth centery, the Italian Commcdia dell' arte was able to gain a profitable following and thus allowed performing artists to develop their skills in acting and to develop their play techniques. Shakespeare continued to develop the techniques of acting in Commcdia dell'arte. Before, the role of the show stopper was not elevated, but now, the importance of the showstopper is visible in musicals today like: Thenardier in Les Miserables, Pepper in Mamma Mia, Mark and Angel in Rent, and Maknae Samchon in Dalgona. This dissertation compares and contrasts the characteristics of all the show stoppers from the above mentioned musicals. First, this dissertation will define the role of show stopper by examining the history of plays. Second, this dissertation will study specific musical works. Third, this dissertation will shed new light on the value of the show stopper in a musical, and this dissertation can be used by writers and actors as a guide to effectively utilize the role of a showstopper.

      • 뮤지컬 <댄싱 섀도우>와 뮤지컬 <산불> 제작과정 비교 연구 : 명지대학교 뮤지컬공연전공 제5회 졸업공연을 중심으로

        구태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명지대학교 뮤지컬전공 대학생들의 졸업공연으로 창작되어진 뮤지컬 <산불>과 그 원작에 해당하는 뮤지컬 <댄싱 섀도우>를 분석하고 비교 연구한 것이다. 뮤지컬 학문이 독립적으로 자리 잡고 국내 뮤지컬 관련 학과들은 점차 그 수가 늘어가는 추세이나 아직 대학 내 창작뮤지컬의 연구 및 교육에 대해선 많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아직까지 많은 대학의 공연제작실습 과정은 라이선스 뮤지컬이 주를 이루며 이는 외부에서 오르는 공연의 모방에 머무르고 있다. 창작뮤지컬의 제작과정은 연기는 물론 연출 및 기획을 포함한 공연을 올리기 위한 모든 부분을 학생들 스스로 개척해 나가야 한다는 의미에서 교육적인 의의가 있다. 물론 대학의 공연제작실습이 한 학기 또는 1년이라는 시간으로 배정되어 있어 창작뮤지컬을 온전히 제작하기엔 부족한 시간이며 대부분이 배우와 연출, 이분화 된 전공인 경우가 많아 다양한 분야의 창작자들이 필요한 작업특성에 있어 다소 어려움이 따른다. 여러 가지 어려움 중 ‘극작의 미숙성’과 ‘음악의 완성도 부족’을 큰 문제로 볼 수 있겠는데 본 연구자는 뮤지컬 <댄싱 섀도우>를 통해 뮤지컬 <산불>을 재창작함으로서 학생들의 힘으로 창작 뮤지컬을 제작함에 따르는 어려움을 해소하며 그 해결점을 찾았다.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비교하려는 두 작품의 원작인 희곡 <산불>의 평가와 의의를 살펴본다. 희곡 <산불>을 원작으로 제작한 창작뮤지컬 <댄싱 섀도우>를 원작 <산불>과 비교하고 제작과정을 살펴본다. 끝으로 뮤지컬 <산불>을 공연 제작 과정 중에 쓰인 연습일지 및 배우노트를 바탕으로 진행 과정을 설명하고 공연된 결과물과 원작 뮤지컬 <댄싱 섀도우>를 알아보기 쉬운 도표를 통하여 비교 연구한다. 결론에서는 본론의 비교 연구를 통해서 대학 내 효과적인 창작뮤지컬 제작의 중요 점 두 가지를 제안한다. 우선 비단 창작뮤지컬뿐만이 아니라 모든 뮤지컬이 필요로 하듯 텍스트의 선택, 즉 작품의 기초가 되는 좋은 이야기 선택의 중요성이다. 이것은 일부 특수한 관객의 예술장르가 아닌 일반 대중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뮤지컬의 특성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 고전, 코미디, 로맨스를 비롯하여 장르를 불문하고 시대상과 윤리의식, 역사의식 등 보편적으로 관객들이 공감하고 즐길 수 있는 작품이여야 한다. 두 번째로 음악의 선택이다. 뮤지컬에 있어서 음악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뮤지컬에 있어서 음악은 중요한 표현요소이며 이것은 이야기와 함께 작품의 색깔을 결정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렇게 음악이 중요한 만큼 국내에서 좋은 뮤지컬 작곡가를 만나기란 어려운 일이다. 특히나 그것이 대학과 같은 교육기관의 연극 및 뮤지컬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는 불가능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음악 또는 작곡을 전공하는 타 학과와 협업하여 뮤지컬을 제작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지만 한 학기 또는 1년이라는 제한된 시간에 뮤지컬의 이해와 함께 장르의 차이를 극복하고 창작 작업을 협업하기엔 부족함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이것의 해결책으로 기존의 곡을 차용하는 것에서 찾았다. 선정한 이야기에 어울리는 음악을 찾고 그것을 작품에 맞게 편곡, 개사하는 작업은 뮤지컬 음악의 이해와 함께 교육적으로 도움이 된다. 실제로 이제는 뮤지컬의 한 장르로 자리 잡은 주크박스 뮤지컬의 성공에서도 이 작업의 가치와 가능성을 볼 수 있다. 뮤지컬 <댄싱 섀도우>와 뮤지컬 <산불>의 제작과정을 통한 비교 연구로 라이선스 작품의 제작과정과는 다른 교육적 지표와 신진창작자 개발에 도움을 주어 창작뮤지컬의 발전 가능성을 도모하였으면 한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and made a comparative study on Musical <Sanbul (Forest Fire)> created as graduation performance of Myongji university students who majored in Musical and Musical <Dancing Shadow> corresponding to its original. Musical study is independently establishing itself and the number of domestic musical related departments is growing but it is true tha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and education on creative musicals of universities. Until now, the process of performance production practice of many universities is dominated by license musicals and is just the imitation of a performance staged from the outside. The production process of a creative musical has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students themselves should explore all parts for a performance including direction and planning as well as acting. It is true that there is not enough time to fully produce a creative musical because one semester or 1 year is assigned to performance production practice of universities and it is somewhat difficult in term of work characteristics requiring creators of various fields because most majors are divided into two parts of actors and direction. Of several difficulties, ‘Immaturity of playwriting’ and ‘Lack of completeness of music’ can be regarded as big problems and this researcher eliminated the difficulties accompanied when students produce a creative musical on their own by re-creating Musical <Sanbul> through Musical <Dancing Shadow> and found a solution. First, this study discusses assessment and significance of a drama <Sanbul>, the original of two works to be compared. We compare a creative musical <Dancing Shadow> created based on its original drama <Sanbul> with its original <Sanbul> and examine the production process. Finally, we explain the progress of Musical <Sanbul> based on practice journal and actor’s note written during the performance production process and make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formed result and original Musical <Dancing Shadow> through easy-to-read chart. In conclusion, we propose two important points of effective creative musical production in universities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body. First, as with all musicals as well as creative musicals, it is important to select text, that is, a good story forming the basis of a work. This should b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usicals that can be easily accessed by the general public, not the genre of art of some special audience. Regardless of genre including classics, comedy, romance, it should be a work that can be universally sympathized and enjoyed by the audience such as the phases of the times and ethics, historical consciousness etc. Second is the choice of music. Music is an essential element of musicals. For musicals, music is the important element of expression and often determines the color of the work with the story. Since music is so important like this, however, it is difficult to meet a good musical composer in Korea.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as impossible for students majoring in drama and musical of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universities. Of course, it is one way to produce a musical through collaboration with other departments majoring in music or composition but it is true that it is not enough to overcome the difference of the genre in addition to understanding of musicals and cooperate for creation work within limited time of one semester or 1 year. So this researcher found its solution in borrowing existing songs. The work of finding music matching with the selected story and arranging, changing lyrics according to the work is educationally helpful with understanding of musical music. Actually, the value and possibility of this work can be seen in the success of Jukebox Musical positioned as one genre of musicals. We hope that a comparative study through the production process of Musical <Dancing Shadow> and Musical <Sanbul> can give help to develop educational indicators and young creators unlike the production process of license works and promote the development possibility of creative musicals.

      • 뮤지컬 교육과정 표준화 연구 : 한국 대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조상원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Rising concern about the musical attendance in the nation's musical market, industrial-scale enough to be called a "musical industry" since 2000 10 times, an industrial scale in terms of showing a remarkable 20 times growth.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demand to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musical learn musical hameuroseo musical colleges and vocational schools is increasing day by day. Musical majors to exhaust Musical Curriculum and standardized positive and professional musical actor for curriculum related research, but significantly lacking an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ity department in the fields of acting, singing, dance, and class biased. Accordingly, in this study,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musical Admission to cultivate professional performer who wants to build a basic foundation. Imperative to build a standardized musical skills in musical majors for discharging Curriculum can. Time range you want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scope of the study, content in the range of configuration space range, the setting was. The content and scope of this study, Chapter 1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cope of the study and how it was described. In Chapter 2, to Learn the general theory on the performing arts and musical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by identifying, acting, singing, dance consists of the fact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musical. In the third chapter, the field of curriculum status and musical related, compared and analyzed.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facilities of the market demand, and musical performances in the musical majors. Second, the market supply of musical performer for the education agency status were analyzed. Musical education institution curriculum and finally analyzed. Analysis of the results, the components of the musical acting, singing, dancing, some of the problems were concentrated in certain areas according to the University of the education offered in universities. Chapter 4 the musical majors for the settlement of the musical school curriculum for the standard curriculum development plan in order to resolve the issues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chapter 3, and the important implications are suggested. Analysis of the results, the first college majors that are included in the designation of the musical and otherwise, between the University Musical relevant course opened this difference, and the Second, the lack of a professional gyogangsa is a problem, and the third of the major professor, majoring depending on the courses organized or gyogangsa biased, influenced the selection of musical majors employment linkage programs, and lack of musical performances are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issues have been raised. Governmental countermeasur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process of musical education, college and department-dimensional, student-dimensional is proposed. The government of systematic musical industry continues to grow as wateuna the lack of support in the state, there is a need to consider the following policy support. First, the basic guidelines for the standard curriculum set, secondly, the world markets through production support, financial support for creative musical Third, support the development of a wide variety of musical material keontencheueul proposed. Support of the university-wide learning program support and facilities aspects aspects are presented. In specific areas, like majors labs and facilities complement, Second, Third, production support of the Training fee, such as providing incentives for the famous instructor support is needed. First, the alternative measures of the Department dimensional Secondly, the musical diversity of the major professor, a Broadway production company or need to market personalized musical extremes and association, through the Academic program to train experts. During college, marketable work by participating in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upon graduation can be seen.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domestic and overseas most have still incomplete research on the standard curriculum of the musical, so the actual effectiveness and awareness investigation could be carried out, such as the limits are. However, for the musical curriculum organized Exploratory studies in the sense that its meaning can be great. 뮤지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우리나라의 뮤지컬 시장은 2000년도 이후 “뮤지컬 산업” 이라고 불릴 정도로 산업 규모가 관객수에서 10배, 산업 규모 면에서는 20배 가량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뮤지컬의 발전과 성장으로 뮤지컬을 배우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므로서 뮤지컬과 관련된 대학과 전문학교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뮤지컬 전공자들을 배출하기 위한 표준화 된 뮤지컬 전공 교육과정 및 뮤지컬 배우의 전문적인 양성과 관련된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는 현저히 부족하며, 각 대학교 에서는 학과의 특성에 따라서 연기, 노래, 무용 중 한 분야에 편중된 수업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뮤지컬 관람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전문적인 연기자의 양성에 기본적인 토대를 구축하고자 하는 것이다. 능력 있는 뮤지컬 전공자들을 배출하기 위한 표준화된 뮤지컬 전공교육과정을 구축하는 것이 급선무라 할 수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연구범위는 시간범위, 공간범위, 내용범위로 구성하여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적 범위로 제1장에서는 서론으로 연구의 목적, 연구의 범위와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공연예술과 뮤지컬에 관한 일반적인 이론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존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뮤지컬의 개념과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뮤지컬의 구성은 연기, 노래, 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제3장에서는 뮤지컬관련 분야의 현황과 교과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첫째, 뮤지컬 전공자의 수요시장인 뮤지컬 공연과 시설에 대한 현황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뮤지컬 연기자의 공급시장인 교육기관에 대한 현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뮤지컬 교육기관별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현황분석 결과, 뮤지컬의 구성요소인 연기, 노래, 무용 중 일부 대학에서는 대학의 편리에 따라 특정분야에 편중된 교육시 제공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제4장은 제3장의 현황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뮤지컬 전공교육의 정착을 위한 뮤지컬전공 표준교육과정을 위한 발전방안 및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현황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뮤지컬이 전공명칭에 포함되어 있는 대학과 그렇지 않은 대학간의 뮤지컬관련 교과목 개설이 차이가 있으며, 둘째, 전문적인 교강사가 부족하다라는 문제점이 있으며, 셋째, 전공교수의 전공에 따라 교과목 편성이나 교강사 선정에 편향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넷째, 뮤지컬 전공자의 취업연계프로그램이 부족하며, 다섯째, 뮤지컬 공연이 수도권에 편중되어 있다라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뮤지컬교육과정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대응방안을 정부차원, 대학 및 학과차원, 학생차원으로 제시하였다. 뮤지컬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으나, 정부차원에서의 체계적인 지원은 부족한 상태에서 다음과 같은 정책지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첫째, 표준교육과정에 대한 기본적인 가이드 라인 설정, 둘째, 창작 뮤지컬에 대한 재정지원을 통해 세계시장 진출을 제작지원, 셋째, 뮤지컬의 소재가 되는 다양한 컨텐츠 개발 지원을 제안하였다. 대학차원의 지원은 시설적인 측면과 학습프로그램 지원 측면을 제시하였다. 첫째, 전공실습실과 같은 특정분야의 시설의 보완, 둘째, 제작실습비의 지원, 셋째, 유명강사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과 같은 지원이 필요하다. 학과차원의 대안방안은 첫째, 뮤지컬 전공교수의 다양성, 둘째, 뮤지컬 제작사나 극단과의 산학프로그램 연계를 통해 시장맞춤형 뮤지컬 전문가를 양성할 필요가 있다. 대학 재학중에 시장성이 있는 작품에 참여함으로써 졸업시 취업의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국내뿐 아니라 국외의 경우 대부분 아직도 뮤지컬의 표준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실제적인 효과성과 인식도 등의 조사를 실시할 수 없었다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뮤지컬의 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시론적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