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dentification of the solutions to water challenges for dry season in the floating villages along Tonle Sap Lake

        Tharika Chheng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impact of the hydrological change from the water source of the Mekong River has a significant effect on water flow and water quantity to Tonle Sap Lake, especially during the dry season which is put further influence the water quality as well. The study on identification of solutions to water challenges in the dry season would be the scenario to address the water issues for people living in floating villages along Tonle Sap Lake.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priority solutions to water issues in the dry season suitable for floating villages along Tonle Sap Lake. The results will be analyzed by using mixed method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to evaluate the priority solutions compiled with the central governments’ interview results and the literature review. The result is showing that there are different priority solution choices between permanent and impermanent residents among the 5 solutions such as raising awareness on water sanitation and usage, water treatment for households, water treatment for the community, water storage implementation, and Tonle Sap Lake restoration. The residents in permanent houses raise the water treatment for households as a priority solution while the residents in impermanent houses choose Tonle Sap Lake restoration. This alternative between water treatment for households and Tonle Sap restoration could identify that people in impermanent houses focusing on water quantity rather than water quality differ from permanent house residents. Even though, the finding also indicated that raising awareness on water sanitation and usage is still useful to adopt in floating villages to improve livelihood and public health.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ill inform the concept and action plan for governments and future researchers to develop the floating communities along Tonle Sap Lake related to water utilization, sanitation, and hygiene with effective solutions to respond to the demand of residents in those areas. 메콩강 수원의 수문학적 변화는, 특히 건조기 동안, 톤레사프(Tonlé Sap) 호로 유입되는 물의 양과 나아가 수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건조기 동안 발생하는 물 관련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식별하는 연구는 톤레사프 호를 따라 거주하는 수상 마을 주민의 물 관련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조기 동안 물 문제를 해결하고 톤레사프 호를 따라 거주하는 수상 마을 주민에게 적합한 우선적인 방안을 분석하는 것이다. 복합적인 방법(정량적 및 정성적 분석 기법)과 중앙 정부 공무원과의 인터뷰 및 자료 검토 결과를 사용하여 우선적인 해결책을 평가함으로써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5가지 해결책(물 위생 및 사용에 대한 인식 제고, 가정 용수 처리, 지역 사회 용수 처리, 물 저장 및 톤레사프 호 복원) 중 영구 거주민과 임시 거주민별로 각기 다른 우선적인 해결 방안을 도출하였다. 영구 주택 거주자들은 가정 용수 처리를 우선적인 해결책으로 생각하는 반면 임시 주택 거주자들은 톤레사프 호의 복원을 선택했다. 이러한 해결 방안의 우선 순위에서 나타나는 차이(가정 용수 처리와 톤레사프 호 복원)를 통해 임시 주택 거주자들이 영구 주택 거주자와 달리 수질보다는 물의 양을 더 중시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용수 위생 및 사용에 대한 인식 제고 또한 수상 마을 거주가가 생활 수준 및 공중 보건을 개선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부 및 연구자가 향후 지역 거주민의 요구에 대응하여 물 이용, 위생 및 보건 측면에서 효과적인 해결책을 가지고 톤레사프 호를 따라 수상 주거촌을 개발할 때 개념 및 실행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Evaluation of land use master plan and sustainable urban mobility plan of Tbilisi : future improvements and recommendations

        Giorgi Shavliashvili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ustainable Urban Mobility Plan and Land Use Master Plan. Both documents play a crucial role in developing a sustainable urban environment. While Land Use Master Plan guides the physical development of a city, Sustainable Urban Mobility Plan promotes sustainable transportation modes, reduces car dependency, and improves accessibility. For the best mobility pattern, it’s important to develop both documents considering one another. The research uses a mixed method approach. Data for this study i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field work, project documents, spatial databases, and remote sensing. And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is calculated using weighted average method. This research evaluates Sustainable Urban Mobility Plan and Land Use Master Plan of Tbilisi, exposes their connection, and identifies four out of many problematic areas for the further discussion. These areas were chosen according to the different factors, including existing and future residential development, street network, existing and planned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and mismatch between Land Use Master Plan and Sustainable Urban Mobility Plan on these locations. Additionally, research explores major problems of the documents, such as topological errors and principal issues, including defining land use zones without calculating current and future transport demand, and calculates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to evaluate how public transport coverage will improve after implementing public transport modes proposed by Sustainable Urban Mobility Plan. Research concludes with a set of recommendations (e.g., Updating Land Use Master Plan after conducting household survey and traffic count, and avoiding high intensity zones in the peripheral districts) to improve the integration of Sustainable Urban Mobility Plan and Land Use Master Plan, and promot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이 연구의 목표는 조지아 트빌리시의 ‘지속가능도시이동성계획(Sustainable Urban Mobility Plan)’과 ‘토지이용마스터 계획(Land Use Master Plan)’ 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것이다. 두 문서는 모두 지속 가능한 도시 환경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토지이용마스터계획은 도시의 물리적 개발에 대한 지침을 담고 있고, 지속가능도시이동성계획은 지속가능한 교통수단을 장려하고, 자동차 의존도를 낮추며, 접근성을 개선한다. 최적의 이동성 형태를 위해서는 두 문서를 함께 참조해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혼합적 연구방법을 사용한다. 이 연구는 인터뷰, 현장 작업, 프로젝트 문서, 공간 데이터베이스, 원격 탐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한다. 대중교통 접근성은 가중평균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이 연구는 트빌리시의 지속가능도시이동성계획과 토지이용마스터플랜을 평가하고, 둘 간의 관계를 드러내고, 추가로 논의해야 할 여러 문제 영역 중 네 가지를 식별한다. 네 영역을 선정하는 데 사용한 요인들은 트빌리시의 현재 및 향후 주거개발, 가로망, 현재 및 계획된 대중교통 접근성, 토지이용마스터계획과 지속가능도시이동성계획의 불일치 등이다. 또한, 이 연구는 현재 및 미래 교통 수요를 계산하지 않은 토지 사용 구역의 정의 등 이 문서들의 위상적 오류 및 주요 쟁점을 살펴보고, 지속가능도시이동성계획에서 제안한 대중교통 양식을 구현할 경우 대중교통 커버리지가 어떻게 개선되는지 평가할 수 있도록 대중교통 접근성을 계산한다. 결론에서는 일련의 권고사항(가구 조사 및 교통량 집계 후 토지이용마스터계획 업데이트하기, 주변 지역의 고밀도 구역을 피하기 등)을 제시함으로써 지속가능도시이동성계획과 토지이용마스터계획의 통합을 개선하고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을 촉진하도록 한다.

      • Urban green space management in Phnom Penh City, Cambodia

        Chan Virak Sok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지속 가능성이 학자와 도시 계획 책임자 사이에서 중요한 주제로 부상해 왔다. 도시 녹색 공간(UGS)은 지속 가능성 기준을 충족함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선진국의 경우 도시 녹색 공간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어 왔으나, 캄보디아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프놈펜 시의 도시 녹색 공간(도시 공원) 관리에 따른 해결 과제를 파악하는 것이다. 아울러 도시 녹색 공간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및 정성적 접근 방식을 둘 다 적용하였다. 도시 녹색 공간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과 필요를 조사하기 위해 공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도전 과제를 파악하기 위해 시 공무원 및 도시 녹색 공간 전문가와의 인터뷰도 수행했다. 조사 결과 프놈펜 시민들이 보건 및 도시 환경 측면에서 도시 녹색 공간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주택 근처에 있는 부적절한 도시 녹색 공간의 경우 안전에 대한 우려와 도시 공원 및 정원의 낮은 수준이 시민들의 도시 녹색 공간 이용을 저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더해, 프놈펜 시에 소재하는 도시 녹색 공간의 관리 또한 많은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주요 문제로는 정책 및 계획의 부재, 도시 녹색 공간 증설을 위한 자금의 부족, 도시 녹색 공간 설계 분야의 전문성 결여, 공공 및 민간 부문의 제한적 참여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녹색 공간 관리와 관련한 정책 및 계획을 강화하여 도시 녹색 공간이 시민들에게 적절하고 모두를 위한 더 많은 레크리에이션 기능과 위생성 및 안전성을 제공하도록 보장할 것을 권고한다. 도시 녹색 공간과 관련한 그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고 높은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시 녹색 공간 관리에 대한 세부적인 제도를 수립해야 한다. 이에 더해, 공공 부문 및 민간 부문의 도시 녹색 공간 개발 참여를 장려하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플랫폼을 고려해야 한다. Sustainability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among academias and urban planners due to the rapid urbanization. Urban green space (UGS) is an important component in meeting the sustainability criteria. Even though, abundant of research on urban green spaces (UGSs) have been studied in developed countries, but there has not been much done in Cambodia.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challenges of urban green spaces (public parks) management in Phnom Penh city. Moreover, the public perception regarding urban green spaces has also been discussed. This study applied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A public survey was conducted to study about people’s perception and demands on urban green spaces. Moreover, the interveiws with civil servants and experts on urban green spaces also been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hallenges and the way to improve UGS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found that Phnom Penh residents value the public green spaces as important for their health and the urban environment. However, the inadequate public green spaces near the residential house, the concern about their safety and the quality of public parks and gardens are crucial issues discourage them from utilizing those public green spaces. Additionally, the management of those public green spaces in Phnom Penh city is still facing so many problems. Major obstacles include the absence of policies and plans, a lack of funding for enhancing those public green spaces, a shortage of experts in urban green space design, and the limited participation of public and private sectors. This study recommends strengthening the policies and plans related to urban green spaces management to ensure that those public green spaces are adequate for the residents, provide more recreational functions, hygiene, and safety for everyone. Specific institutions on urban green space management need to be established to ensure the achievement of those public green spaces goals and maintain high quality. Additionally, a specific and practical platform which encourages public and private participation in urban green spaces development ought to be considered.

      • A study on public awareness for implementing household solid waste classification in Xi'an, China

        Qiang Wang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도시 고형 폐기물 관리가 전 세계적으로 우려스러운 환경 문제로 부상되었다. 도시 폐기물 중 고형 생활 폐기물이 대부분이며, 폐기물 분류가 폐기물 축소 및 재활용을 위한 실질적인 해결책이다. 시안은 고형 생활 폐기물(HSW)의 강제적 분리 배출을 시행하고 있는 중국 내 46개 시범 도시 중 하나이다. 하지만 폐기물 분류에 대한 시안 시민의 인식을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는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시안 시의 HSW 분리 배출 진척도와 이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다. 우선 자료 분석을 통해 중국 및 시안 시의 폐기물 분류에 대한 주요 규정 및 정책을 정리하였다. 또한 시안 시의 HSW 분류 체계 발전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는 세 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1단계는 미시행 단계(1998년 전), 2단계는 탐색적 개발 단계(1998~2015), 3단계는 공식 시행 단계(2016~현재)이다. 이어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일차적인 연구 도구로 활용하여 지식, 행동 및 참여 의지 측면에서 HSW 분리 배출에 대한 시안 시민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사람이 시안 시의 HSW 분리 배출 정책에 대해 알고 있거나 들은 적이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HSW 분리 배출 시행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동참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HSW 분리 배출을 실시할 가능성과 참여 의지가 더 높다. 또한 폐기물 분리 배출 홍보물을 받은 사람의 교육 수준이 다양해, 정부의 폐기물 분리 배출 홍보가 효과적임을 말해준다. 그러나 몇몇 기존 문제점 또한 발견되었는데, 응답자 중 40%가 폐기물 분류 기준을 잘 알지 못해 폐기물 담당자가 이미 분류된 폐기물을 수거 및 운송 과정에서 다시 분류해야 할 수 있다. 폐기물 분류 시설이 부족한 것도 문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안 시의 HSW 분류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몇 가지 권고를 제안했다. 즉, 폐기물 관리 인프라 및 시설을 강화하고, 폐기물 분류 방법에 관한 홍보를 확대하고, 폐기물 분류에 대한 시민들의 지식을 증진하고, 폐기물 관리에 시민들을 참여시키고, 규정 및 정책을 개선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권고는 시민들의 인식 측면에서 시안 시의 HSW 분류 체계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Municipal solid waste management has become an environmental issue of concern worldwide. Household solid waste is the most municipal waste, and its classification is a practical solution to reducing and recycling waste. Xi'an is one of 46 pilot cities in China to implement a mandatory HSW classification. However, there is rarely research on Xi'an's public awareness of waste classifi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SW development and public awareness of HSW classification in Xi'an. First, this study sorted out the principal regulations and policies on waste classification in China and Xi'an through document analysis.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Xi'an's HSW classification.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including the unimplemented stage (before 1998), the exploratory development stage (1998-2015), and the formal implementation stage (2016 to present). Subsequently, this study used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as the primary research tool to study the public awareness of Xi'an's urban residents regarding HSW classification from the knowledge, behavior, and willingness-to-participate perspectives. This study found that most people have known or heard about Xi'an's HSW classification policy. Most people think it's necessary to implement HSW classification and are willing to do it. Higher educational people are more likely to conduct and willing to participate in HSW classification. Moreover, people with different educational levels have received a high proportion of waste sorting publicity, revealing that the government's advertising to promote waste classification is effective. However, some existing issues were also found, such as nearly 40 % of respondents do not know well the standards of waste classification, the staff may remix already sorted waste during waste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and the lack of facilities for waste classifi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d some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 HSW classification in Xi'an: strengthening infrastructure and facilities of waste management, advancing publicity of how to waste sorting, improving public knowledge of waste classification, involving the public in waste management, and improving regulations and policy systems. The results and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advancing Xi'an's HSW classification from a public awareness perspective.

      • Strategies to increase walkability in the Lebak Bulus TOD in Jakarta, Indonesia

        Johanna Irena Tambunan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Based on the Governor Regulation of DKI Jakarta Number 57 of 2020, the Lebak Bulus Area has been designated as one of the Transit-Oriented Development (TOD) areas in Jakarta and has the potential to become a gateway to the city of Jakarta. However, after three years, some of the infrastructure mandated in the master plan has not been built in this area. The success of a TOD cannot be separated from how walkable the area 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the TOD development that could improve walkability by discovering the gap between the expectations of pedestrians or users of this TOD area and its current performance in terms of walkability. By knowing the things that are prioritized for improvement based on the perspective of area users, it will be easier to determine the strategies or policies to implement in Lebak Bulus TO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method with a Likert scale based on 5D variables of walkability (density, diversity, design, distance to transit, and destination accessibility)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ority scale and the level of user satisfaction in Lebak Bulus TOD. In addition, to complete the analysis, a qualitative analysis with open-ended questions was also carried out on 40 policymakers who have been involved in the Lebak Bulus TOD proj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ings that need to be improved and can contribute to customer satisfaction in this area are the creation of crossings at each intersection, equipping sidewalks with street furniture such as shades and benches to increase user comfort, and increasing park and ride access and capacity. Furthermore,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from policymakers’ perspectives, to develop this TOD area optimally,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is the main key. Making policies that are clearer and more detailed can also make the private sector or developers around the area more interested in participating in the development of this area, which is expected to overcome land acquisition problems.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레박 불루스(Lebak Bulus) 지역은 2020년 자카르타 주지사 규정 제57호에 따라 자카르타의 대중교통지향개발(Transit-oriented development, TOD) 지역 중 하나로 지정되어, 자카르타의 관문이 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기본 계획에 명시된 인프라 일부는 3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제대로 개발되지 않고 있다. 대중교통지향개발의 성공은 해당 지역의 보행성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보행자/이용자 기대치와 보행성 측면의 현재 성과 사이의 간극을 발견함으로써 보행성을 개선할 수 있는 대중교통지향개발을 파악하는 것이다. 지역 이용자의 관점에서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사항을 파악한다면 레박 불루스 지역 대중교통지향개발에 어떤 전략이나 정책을 적용해야 할지 파악하는 작업이 더욱 수월해질 것이다. 이 연구는 레박 불루스 지역 대중교통지향개발의 우선순위 척도와 이용자 만족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중요도-수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과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를 사용했다. 분석을 완료하기 위해서는 레박 불루스 지역 대중교통지향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한 정책입안자 4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을 통한 정성적 분석을 수행했다. 연구 결과, 이 지역에서 개선이 필요한 사항, 이용자 만족에 기여할 수 있는 사항은 각 교차로에 횡단보도 만들기, 인도에 그늘막, 벤치 등을 설치하여 이용자 편의성 높이기, 파크앤라이드(park and ride, 대중교통 연계 시스템)의 접근성 및 수용성 늘리기 등으로 나타났다. 대중교통지향개발 지역에 대한 최적 개발의 핵심은 정부와 민간 부문의 협력이다. 정책을 더욱 명확하게 세부적으로 수립하면 민간 및 주변 개발자들이 해당 지역의 개발에 더 관심을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토지 확보 문제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 The impact of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and process digitization in construction management on project efficiency

        Sherzod Inomjonovich Sodikov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is intended to supplement research work in this area by determining the weight of important digitalization criteria in the activities of participa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specifically at the construction stage (documentation). The structure includes evaluation processes, maturity levels, evaluation criteria, and 134 respondents` approaches that define critical improvement mileston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ethodology, a compar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experience of South Korea and Malaysia. The most important of the 10 operations (documentation) and function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that are considered necessary for digitalization have been identified and covered in the areas of contract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quality control and monitoring. It was considered important to adopt a long-term strategy, to harmonize building standards and to execute contracts based on international standards. Parts of the coverage of important stages of construction processes in the current National Information System "Transparent Construction" are also clearly indicated. 이 연구는 건설산업 참여자의 활동, 특히 건설단계(문서화)에서, 중요한 디지털화 기준의 비중을 파악하여 이 분야의 연구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는 평가 프로세스, 성숙도 수준, 평가 기준, 개선에 대한 중요 이정표를 정의하는 134 응답자의 접근방식이 포함되었다. 방법론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과 말레이시아의 경험을 바탕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디지털화에 필요한 건설업의 10가지 업무 (문서화) 및 기능 중 가장 중요한 기능을 계약 관리, 정보 관리, 품질 관리, 모니터링 영역에서 파악하고 다루었다. 장기 전략을 채택하고 건축 표준을 조율하고 국제 표준에 따라 계약을 이행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고려되었다. 현재 국가정보시스템인 '투명한 건설'에서 건설과정의 중요 단계에 대한 부분도 명확하게 지적하였다.

      • Policy implications for public rental housing provision in Myanmar

        Thwe Khaing Soe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개발도상국들은 급속한 도시화 및 인구 증가로 인한 대도시 주택 문제에 직면해 왔다. 미얀마는 특히 양곤에서의 심각한 주택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51년에 공공 임대 주택 사업을 시행하기 시작했다. 그러다가 최초의 민주 정부가 이 주택 정책을 다시 재개했다. 본 연구에서는 미얀마에서 과거 수십 년 동안 이루어져 온 PRH 제공을 살펴 PRH와 관련한 난제 및 도전 과제를 평가하고 주택 수요가 높은 도시 지역의 저소득층에 신규 PRH가 효과적인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복합적인 방법론(정성적 및 정량적)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PRH가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영향을 둘 다 가지고 있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성공 사례가 존재한다. 저소득층을 위한 공공 임대 주택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여 문제를 해결한 다른 국가(한국, 일본, 싱가포르 및 홍콩)의 경험 및 정책에 대한 연구는 향후 미얀마가 이를 모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 논문에서는 미얀마 내에서 이루어지는 공공 임대 주택 개발의 중요성을 조명하고 정부의 PRH 사업 관여와 관련한 정책적 함의를 밝혔다. Developing countries have been facing housing problems in major cities because of rapid urbanization and rapid population growth. Myanmar began implementing public rental housing projects in 1951 to solve the severe housing shortage problem, particularly in Yangon. The first newly democratic government restarted this housing scheme again. This study looks at the PRH provision during past decades in Myanmar assessing the difficulties and challenges in PRH and it examines whether the new PRH is effective or not for low-income people in urban areas where there are high housing demands. A mixed research methodolog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was conducted for data analysis. Although PRH has negative and positive effects, there are examples of success in some countries. Studying other countries of South Korea, Japan, Singapore, and Hong Kong’s experiences and policies of successfully resolving and developing public rental housing for low-income people can emulate Myanmar in the future. The research paper's finding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public rental housing development in Myanmar and revealed th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government to get involved in PRH implementation.

      • Mapping construction project risk management maturity : a case in Tanzania

        Silvester Thomson Haonga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일부 탄자니아 건설사는 종종 비효율적인 기술로 사업의 위험을 관리하여 결과가 좋지 않았고,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였다. CPRM 성숙도를 결정하기 위해 PRM에 대한 문헌과 기존 성숙도 모델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탄자니아의 건설사들의 대표자들에게 설문지를 돌려 사업 및 조직 위험 관리에 대한 회사의 문화, 프로세스, 자원, 관행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연구에 참여하게 하였다. 이후 설문조사 설문지를 사용하여 CPRM 성숙도 평가 도구를 구축하였다. 성숙도 등급을 검증하기 위해 기술적인 통계분석도 수행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탄자니아의 건설사들은 아직 개발 초기단계에 있으며 위험 관리 성숙도 수준은 1과 2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조직이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건설 위험 평가 및 관리를 꾸준히 개선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PRM 성숙도 모델의 개발을 요구하는 바이다. Some Tanzanian construction firms have attempted to manage risk in their projects by using techniques that are frequently ineffective, leading to poor results and other consequences. To determine the level of CPRM maturity,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literature on PRM and already existing maturity models was undertaken. Tanzanian construction companies participated in a study where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respondents on behalf of their organisations to learn more about the company's culture, processes, resources, and practises for projects and organisation risk management. Finally, a survey questionnaire was used to build the CPRM maturity evaluation instrument. To validate the maturity rat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also done. According to research findings, Tanzania's construction enterprises are still in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and fall into risk management maturity levels 1 and 2. The study's conclusion called for the creation of a PRM maturity model that organisations could use to steadily improve their construction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for continuous growth.

      • Comparative study of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measurement systems : case study Villa Nueva, Guatemala

        Melvin Rolando Marcos Mijangos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라틴 아메리카의 도시들, 특히 빌라 누에바 시의 경우, 모두 지속가능성 범위를 정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도시는 이러한 범위를 정하기 위해서는 집중해야 하는 요소 또는 기준을 인식, 파악, 분석해야 한다. 그런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도시는 영토 진단을 해야 하며, 이러한 진단은 향후 계획 프로세스, 공공 정책 추진,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의사 결정의 기초가 된다. 영토진단은 도시의 지속가능성 요인을 측정한 결과이다. 이러한 요소를 지표라고 할 수 있다. 각 국가 또는 도시는 이러한 진단 또는 측정을 생성하기 위해 서로 다른 지표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일부 지표체계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된 시스템의 지표 통합에 대한 제안은 비교 분석을 통해 개발하였다. 새로운 지표 세트 또는 시스템을 적용하면, 정보 부족 또는 성장과정이나 도시의 지속가능성 범위에 대한 지표를 나타낼 수 있는 중요도를 기반으로 빌라 누에바 지자체가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영역을 알 수 있다. The cities of Latin America and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municipality of Villa Nueva, all generate various efforts in the scope of sustainability, to achieve that scope cities need to recognize, understand and analyze what are those factors or criteria to which they should be focused to achieve such sustainability, to achieve that understanding cities are in need of generating territorial diagnoses and these diagnoses become the Based on decision-making for future planning processes, promoting public policies and promoting projects. The territorial diagnoses are the result of measuring the sustainability factors of a city, these factors can be called indicators, each country or city applies different systems of indicators to generate these diagnoses or measurements, in this study an analysis of some indicator systems is carried out and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a proposal for integration of indicators of the analyzed systems is generated, The application of the new set or system of indicators allows us to observe which are those areas that the municipality of Villa Nueva needs to focus more effort, either due to lack of information or the importance that could represent an indicator for its growth processes and scope of urban sustainability.

      •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and potential determinants of poverty in Leyte, Philippines

        Annielyn B. Costiniano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빈곤과 기아 퇴치를 위한 2030년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는 빈곤이라는 오랜 문제에 대해 보다 포괄적이고 폭넓은 이해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필리핀에서는 빈곤 완화를 위한 상당한 진전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가난한 인구의 비율은 동남아시아 국가 중 가장 높다. 또한 넓은 공간적 격차는 국가 내 빈곤의 특징이 되고 있다. 가난한 사람들의 대다수는 시골과 농촌 지역에 살고 있다. 이러한 전제에서 이 연구는 레이테 지역의 빈곤 양상을 분석하고 지역 빈곤의 공간적 변이에 대한 잠재적인 결정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레이테는 필리핀 81개 주 중 빈곤 인구가 가장 많은 곳이다. 따라서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을 이용하여 빈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지리적, 인구학적, 재정적 요인을 선별하여 빈곤에 대한 공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찬가지로, 높은 빈곤 값이 국지적 공간에 집중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기 위해 핫스팟 분석을 수행했다. 마지막으로 R을 활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어떤 요인이 지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빈곤 결정요인인지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 결과는 기획자와 정책입안자가 집중적이고 맞춤형 빈곤 감소 조치를 시행하는 데 지침이 될 수 있다. The 2030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of eradicating poverty and hunger amplified the need for a more comprehensive and better understanding of the longstanding issue of poverty. In the Philippines, significant strides have been made to alleviate poverty. However, the proportion of its poor population remains one of the highest among Southeast Asian nations. In addition, wide spatial disparity characterizes poverty in the country. The majority of the poor are in the countryside and rural areas. In line with the said premi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overty pattern in Leyte and identify potential determinants of the spatial variations in local poverty. Leyte has consistently one of the highest numbers of poor people among 81 provinces in the Philippines. Therefor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spatial analysis of poverty was conducted vis-a-vis select geographic, demographic, and financial factors to examine their likely influence on poverty. Likewise, hot spot analysis was performed to check whether there were any localized spatial concentrations of high poverty values.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tilizing R was employed to determine which factor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terminants of poverty in the provinc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could guide planners and policymakers in implementing focused and tailored-fit poverty reduction meas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