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직무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과정에 대한 반응평가 연구 : 전문대학 NCS 기반 교육과정 사례중심으로

        오민아 동덕여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학문의 실용성을 확대하기 위해 직무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과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를 위해 교육부에서는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NCS 기반 교육과정으로 개편하여 운영하기를 권고하고 있다. 교육과정 수립 절차를 고찰한 결과로 대부분의 개발 모형에서 평가 단계가 포함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전적인 교육과정을 위해서 지속적인 평가는 필요하며, 본 연구는 NCS 기반 교육과정의 평가를 위해 커크패트릭(Kirkpatrick)의 4수준 평가모델의 1단계인 반응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직무분석과 NCS의 개념, 개발과정, 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고찰을 위해 문헌으로 살펴봄으로써 직무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내용을 파악하였다. 반응평가를 실시하기 이전에 커크패트릭의 4수준 평가모델인 반응평가, 학습평가, 행동평가 및 결과평가에 대한 개념을 확인하였으며, 반응평가와 NCS 기반 교육과정의 관계를 파악하여 교육과정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반응평가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반응평가의 하위영역을 구성하기 위해 반응평가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하위영역으로 ‘NCS에 대한 인식’, ‘수업내용’, ‘교강사’, ‘교육환경’, ‘교육과정을 통한 자기향상’, ‘전반적인 교육과정 만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D대학과 Y대학에서 NCS 기반 교육과정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 7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NCS에 대한 인식, NCS 관련 인식과 전반적인 교육과정 만족의 상관관계, 반응평가의 하위영역별 분석, 반응평가의 하위영역별 상관관계, 일반적 특성별 반응평가의 분석, 반응평가의 하위영역별로 전반적인 교육과정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NCS의 개념 인식에 대해서 응답한 학생의 과반수가 알고 있다고 조사되었으며, NCS 기반 교육과정과 기존 교육과정의 차이를 느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느꼈다’에 응답한 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기존 교육과정 보다 NCS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흥미를 묻는 질문에서는 ‘느꼈다’라고 응답한 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 전반적인 NCS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NCS 기반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차이점을 묻는 질문에서는 ‘수업방식’이 다르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NCS 기반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교육성과에 대한 질문에서는 ‘수업의 이해도 향상’이라는 결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의 NCS 관련 인식과 전반적인 교육과정 만족의 관계성을 분석한 결과로는 NCS 기반 교육과정을 수강하고 있다는 인지, NCS의 개념에 대한 인식, 기존 교육과정과 NCS 기반 교육과정의 차이 인식, NCS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흥미는 모두 전반적인 교육과정 만족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수업내용, 교강사, 교육환경, 교육과정을 통한 자기향상, 전반적인 교육과정 만족 영역 중에서 교강사에 대한 만족감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반면에 교육환경에 대한 만족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학생들의 서술식 설문 문항에서 교재, 수업의 수준, 교강사의 전문성, 실기수업을 위한 환경 조성, NCS에 대한 안내의 필요성 등의 의견을 수집할 수 있었다. 넷째, 반응평가의 하위영역과 전반적인 교육과정 만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수업내용, 교강사, 교육환경, 교육과정을 통한 자기향상, 전반적인 교육과정 만족은 모두 상관관계 분석에 있어 상관이 있는 유의한 결과로 조사되었다. 그 중 수업내용과 교육과정을 통한 자기향상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교강사와 교육환경이 가장 낮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일반적 특성인 성별, 학년, 전공, 수강학기 수에 따른 하위영역별 반응평가를 살펴보면 하위영역 중 수업내용, 교강사, 전반적인 교육과정 만족에서만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고 교육환경과 교육과정을 통한 자기향상 영역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일반적 특성 중에서는 공통적으로 고학년과 사회계열 학생들에게서 만족감이 커지는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학년과 전공만이 유의한 값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반응평가의 하위영역별 전반적인 교육과정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로 수업내용을 제외한 교강사, 교육환경, 교육과정을 통한 자기향상 영역이 전반적인 교육과정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교육과정을 통한 자기향상 영역이 가장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NCS 기반 교육과정의 반응평가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NCS 기반 교육과정의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고 교육과정의 질 관리 부분과 발전적인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적 자료로써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re is a growing need for job analysis based on curriculum in order to expand the practicality of learning. For this purpose, the Ministry of Education recommends that community colleges should operate NCS-based restructured curriculum. According to the research on establishment procedure of curriculum, it has been confirmed that most development models do not include an evaluation stage. But constant evaluation is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centered on the NCS-based curriculum evaluation, has been carried out at the first level of reaction evaluation out of a four-level evaluation model presented by Kirkpatrick.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opics such as job analysis, the concept of NCS, development procedure, development model of curriculum, and job analysis-based on overall curriculum content was understood through the lens of reference research in order to inquire about the issues. Before carrying out the reaction evaluation, I verified the concepts of Kirkpatrick's four-level evaluation model, such as, reaction evaluation, learning evaluation, behavior evaluation and result evaluation. Based on research on the relation between reaction evaluation and NCS-based curriculum, it is confirmed that reaction evaluation is highly important for the constant development of curriculum. In order to form the subordinate scope of reaction evaluation, preceding research related to reaction evaluation has been carried out. This way, it was possible to draw findings on the "awareness of NCS", "class content", "professors and instructors", "educational environment", "self-improvement through curriculum" and "overall curriculum satisfaction". This study has utilized a questionnaire with 70 students who were taking NCS-based curriculum at D University and Y University in Korea. With an aim of drawing conclusions of the study, I have analyzed the awareness of NCS, the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of NCS and overall curriculum satisfaction, analysis of subordinate scope of reaction evalu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different subordinate scope of reaction evaluation, analysis of reaction evalua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influences of overall curriculum satisfaction according to subordinate scope of reaction evaluation. The findings of analysis show as follows : First, regarding the concept awareness of NCS,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 and regard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NCS-based curriculum and existing curriculum, the answer of "Yes, I perceived the difference" ranked the highest. Regarding the question about their interest in NCS -based curriculum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curriculum, the answer of "Yes, I felt interest" ranked the highest, so it is considered that the awareness of NCS is positive in general. On the other hand, regarding the question about the concrete difference between NCS-based curriculum and another, the answer of "teaching method is different" ranked the highest, while the question about concrete education performance of NCS-based curriculum, resulted in, "comprehension improvement of class" ranking the highest.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wareness of NCS and overall curriculum satisfac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overall curriculum satisfaction presents correlation with the following subjects : the awareness of taking NCS-based curriculum, the concept awareness of NCS, the awareness in the difference between existing curriculum and NCS-based curriculum and interest in NCS-based curriculum. Third, among the class content categories, professors and instructors, educational environment, self-improvement through curriculum and overall curriculum satisfac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satisfaction of professors and instructors ranked the highest, while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ranked the lowest. Regarding the narrative questionnaire, students gave opinions about textbooks, level of class, professionalism of professors and instructors, environment development for non-theory classes and the need for NCS guidelines. Fourth,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subordinate scope of the reaction evaluation and overall curriculum satisfaction, it is confirmed that all the following categories presented significant result in terms of correlation analysis, including the class content, professors and instructors, educational environment, self-improvement through curriculum and overall curriculum satisfaction. Among them, the highest correlation presented between class content and self-improvement through curriculum, while the lowest correlation presented between professors and instructor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Fifth, in terms of the reaction evaluation of subordinate scope according to general features such as gender, years at the university, major and number of course semesters, it is confirmed that the significant result has been drawn only in the categories of class content, professors and instructors and overall curriculum satisfaction, while no significant result has been confirmed in the categories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elf-improvement through curriculum. Regarding general features, it is confirmed that students of higher year and from social studies-related major showed higher satisfaction in common, therefore, only the number of year at the university and major are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Finally, regarding the research result of the influence of the reaction evaluation on overall curriculum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ubordinate scope, it is confirmed that except for class content, the other fields such as, professors and instructors, educational environment, self-improvement through curriculum influence the overall curriculum satisfaction. Among them, self-improvement through curriculum has the strongest influence. I expect that this stud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reaction evaluation of NCS-based curriculum, can contribute, not only to confirming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NCS-based curriculum, but also to serving as basic data for quality management of curriculum and further developmental follow-up studies.

      • 대학 학습지원 프로그램 참여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자기결정성 동기와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다집단 분석

        김희은 동덕여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Outcomes among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university's learning support program,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with the group of non-participating students.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a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support program for the past three years and university students who had never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t classified 324 participants in the university learning support program and 223 non-participating groups, and used the SPSS 23.0 and AMOS 23.0 statistical programs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in this study, all variables, except for positive psychologists, had a direct relationship with learning performances. In other word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found not to have a direct impact on learning performances. Second, looking at the mediating effect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directly affects learning performances through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r learning flow. In addi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shown to have an indirect impact on learning performances by double-mediati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learning flow.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nalysis between participants in the learning support program and non-participating groups. In the case of the nonparticipating group, there was no impact of learning flow on learning performances, and all the mediating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learning support program confirmed the achievement of improving learning performances by organically linking the internal factors of individuals with those experienced in the course of learning. Therefore, a long-term and integrated program should be designed to produce the best learning performances along with learning methods based on strategies that enhance learning performances by increas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for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which are internal factors of learners, and to raise the degree of learning flow experienced in the learning process. From the design stage of the learning support program, the learners themselves should continue to manage the performances of the learning support program through activities that can develop programs that can promote learning performances with various strategies, participate in the program, complete learning, and evaluate and analyze performance. Keywords : University Learning Support Program, Structural Relations Analysi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Learning flow, Learning Performance 이 연구는 대학 학습지원 프로그램 참여 학생을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 자기결정성 동기, 학습몰입,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 비참여 학생 집단과 구조적 관계를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국의 12개 4년제 대학 재학생 중 최근 3년간 학습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과 한번도 참여하지 않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학 학습지원 프로그램 참여자 집단 324명과 비참여자 집단 223명으로 분류하였으며,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3.0과 AMO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조적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을 제외하고 모든 변인들은 학습성과에 대하여 직접적인 관계가 있었다. 즉, 긍정심리자본은 학습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긍정심리자본은 자기결정성 동기 또는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습성과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심리자본은 자기결정성 동기와 학습몰입을 이중 매개하여 학습성과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지원 프로그램 참여자와 비참여자 집단의 구조모형분석을 비교한 결과 두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비참여자 집단의 경우, 학습성과에 대한 학습몰입의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지원 프로그램이 개인의 내적요인과 학습과정에서 경험하는 요인들을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학습성과 향상을 도모하는 성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학습자의 내적요인인 긍정심리자본과 자기결정성 동기를 높여 학습과정에서 경험하는 학습몰입의 정도를 끌어올리는 전략을 기반으로 학습법과 함께 최상의 학습성과를 도출하게 하는 장기적이고 통합적인 프로그램을 설계해야 한다. 학습지원 프로그램의 설계 단계부터 다양한 전략으로 학습성과를 고취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학습을 완료한 후 학습자 스스로가 성과를 평가하고 분석하는 활동을 통해 학습지원 프로그램의 성과를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할 것이다. 주요어: 대학 학습지원 프로그램, 구조적관계분석, 긍정심리자본, 자기결정성 동기, 학습몰입 학습성과

      • 대학생의 진로장벽 인식이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비교과 유형별 참여여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오민아 동덕여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대학은 사회의 빠른 변화와 학령인구 감소로 학생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로 인하여 신입생뿐만 아니라 재학생에 대한 유지 관리도 중요하게 되었다. 최근 학생들은 학업에 대한 성취동기가 낮고, 대학생활의 부적응으로 인하여 학업을 중단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대학에서는 이러한 요소들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서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대안을 마련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학생들은 대학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사회진출을 위해 준비를 도모하게 된다. 새로 접하는 시기인 만큼 기존 환경으로부터 심리적 독립, 진로 결정 등 여러 가지 과업으로 혼란과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적성에 맞는 진로를 결정하는 것은 한 번에 결정되는 것이 아니며, 여러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대학생들은 진로에 대한 장벽이 높다고 느끼면 대학생활적응에 어려움을 느끼고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대학에서는 이러한 장벽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변인을 찾아서 확인하고, 학생들에게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진로를 결정해가는 과정에서 불안정한 상황에 대한 동기부여나 용기를 정서적인 부분을 통해 극복할 수 있으며, 적절한 정서의 활용은 진로 관련 행동 수행에 중요하다. 정서지능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학습몰입을 더 잘하고 이는 대학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나 어려움을 정서적인 부분을 통해 극복하였다면, 진로선택과 준비를 적극적으로 행동하기 위해서는 자기가 스스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는 신념이 필요하다. 또한 대학생활과 대인관계에 비교과 활동의 참여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대학생의 진로장벽 인식과 대학생활적응에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은 심리적 안정과 적극적인 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비교과의 참여도 대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과 달리 각 변인들을 통합하여 결과를 확인하고, 결과에 따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의 진로장벽 인식이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을 이중매개하여 대학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비교과 유형별 참여에 따라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대학생 423명의 설문응답으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SPSS 24, R 3.6.2, PROCESS macro v3.4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이중매개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진로장벽 인식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이 이중매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비교과 전체 유형별 참여여부에 따라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에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과 유형별 참여여부에 따라 기본소양, 학습 유형에서는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상담, 봉사 유형에서는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하면 첫째, 진로에 대해 장애를 느끼는 대학생들에게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은 긍정적인 역할을 하여 대학생활적응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정서지능을 먼저 개발하여 동기부여나 용기를 얻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스스로 진로탐색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자기효능감을 개발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둘째, 진로장벽을 느끼는 대학생들이 대학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비교과 프로그램에 활발히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가 필요하다. 비교과 유형에 많이 참여할수록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진로에 장애를 느끼더라도 대학생활적응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부적으로 기본소양 유형은 진로장벽 인식과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 유형은 진로장벽 인식과 자기효능감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상담과 봉사 유형은 정서지능, 자기효능감에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진로장벽을 인식하여 진로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들에게 부족한 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적절한 비교과 유형을 지원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첫째, 진로장벽 인식,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단편적인 연구들을 통합하여 관찰하고자 하였다. 둘째,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여 대학생활적응에 도움이 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비교과 유형별 참여여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비교과 유형별 프로그램으로 구체화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비교과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비교과 유형별 대처 방안이 대학생활에 도움이 되어 궁극적으로 대학생들의 학업지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niversities are having difficulty attracting students due to rapid changes in society and a decrease in the number of school-aged people. As a result, it is important to maintain new students as well as enrolled students. In recent years, students stopped their studying due to having low motivation to achieve their studies and maladjustment to their college life. In order to properly respond to these factors, universities need to identify the exact and come up with alternatives. Students will adapt to the new environment of college and prepare for social advancement. Students may experience confusion and difficulties due to various tasks such as psychological independence, career decisions. Career decisions are not made at once, but are made through various processes. When college students feel barriers to their careers, it's hard to adapt to college life. Universities should find and identify variables that can alleviate these barriers, and take appropriate measures for students. Students can overcome their motivation or courage for unstable situations through emotional parts in the course of career decision, and the use of proper emotion is important in carrying out career-related actions. If stress or difficulty about career has been overcome through emotional parts, self-efficacy should be enhanced to actively act on career preparation and decis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extracurricular activities are helpful through the results of improv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college life and helping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it is to analyze whether the type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regulate this dual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a survey of 423 college students. Using SPSS 24, R 3.6.2, PROCESS macro v3.4, descriptive statistic, dual mediation effect, moderated mediation effect were verified.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areer barrier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had correlation at <.01 levels.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had a dual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ird, the type of elemental ability and learning had moderating effects, the type of counseling and voluntary service had moderating effects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To sum up, for the students having difficulties in their career exploration, college must develop emotional intelligence first and self-efficacy to help them adapt to college life and alleviate difficulties. Second, students need to support by specific type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type of elementary ability had moderating effects on self-efficacy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Learning type had moderating effects on self-efficacy. The type of counseling and voluntary service had moderating effects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Therefore, students who suffer from career barriers should be able to develop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through the support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I expect that this study, the previous studies about career barrier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can be summed up. And students and colleg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It is hoped that the support by typ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will ultimately help students adapt to college life by preventing them from leaving the college.

      • 플립러닝 기반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성인 발달장애인의 원예교육을 중심으로

        국윤정 동덕여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플립러닝 기반 디자인씽킹을 활용하여 성인 발달장애인의 원예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선행연구 및 문헌 분석, 요구설문조사, 내용타당도 전문가 검증, 예비연구, 실제 수업 적용으로부터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플립러닝 기반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원예교육 프로그램을 최종적으로 완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원예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성인 발달장애인이 자기 주도적이고 친사회적인 기술 및 태도를 습득함으로써 독립적인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량을 함양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목표는 식물과 친숙해지고 꽃과 도구를 다루는 방법을 익혀 상품적 가치가 있는 제작물을 스스로 만들 수 있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교육내용은 일상생활과 연계된 소재를 중심으로 성인 발달장애인의 관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화훼장식 프로그램 위주로 구성하였다. 교수·학습방법은 온·오프라인의 블렌딩 전략으로 플립러닝 기반 디자인씽킹을 활용하여 학습자가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평가에 있어서는 성인 발달장애인의 공감 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성취도를 사전과 사후로 나누어 양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경험적 인식을 확인하기 위한 인터뷰를 실시한 후 그 내용을 질적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프로그램이 성인 발달장애인의 공감 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경험적 인식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원예교육 프로그램에 플립러닝 기반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교육 현장에 적용 및 평가해 보았다는 점에서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연구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던 성인 발달장애인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horticulture educational program using flipped learning-based design thinking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 A horticulture educational program for adults with DD was finally created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 demand survey, content validity reviewed by experts, preliminary research, and actual class application. The goal of the horticulture educational program in this study was to motivate adults with DD to become self-directed members of society independently and improve their prosocial skills and behaviors. The objective was for adults with DD to become familiar with plants and learn how to handle flowers and tools, so they can make valuable commodities on their own. The educational content was organized with a flower decoration program focusing on life-related topics to arouse the interest of adults with DD. An online and offline blended strategy that utilizes flipped learning-based design thinking was used for teaching/learning methods so learner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es with interest. For the evaluation, quantitative analysis was done by conducting pre- and post-tests of empathic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content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after interviewing to confirm empirical understanding of the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mpathy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adults with DD were improved. And the empirical understanding of horticultural education program using flipped learning-based design thinking was affirmative. This study is theoretical, and practically significant for developing a learner-centered horticulture educational program using flipped learning -based design thinking for adults with DD, and for applying it to the educational sett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for adults with DD that were not well studied on teaching-learning methods.

      • 대학생 취·창업 비교과 프로그램 요구분석

        김진희 동덕여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대학은 취업률 감소와 미래에 변화될 직업을 대비하고 있으며 인재 양성 방법에 대한 끊임없는 고민을 통해 다각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이 바로 비교과 프로그램이다. 대학에서는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정부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통해 대학생들의 역량 증진과 사회경제 활성화를 위해 2018년 이전부터 재정적 지원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대학생의 취·창업 역량 증진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인 개발이나 운영이 미흡하며, 관련 연구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취·창업 역량 증진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의 기존 교육내용을 확인하고 교육요구를 도출하였다.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단계, 취·창업 비교과 프로그램의 세부 교육내용을 도출하기 위해서 선행연구와 실제 운영사례를 분석하였다. ‘취업’에서는 3단계, 30개의 교육내용을 도출하였으며, ‘창업’에서는 3단계, 21개의 교육내용을 도출하였다. 2단계, 도출한 교육내용을 토대로 설문에 임하기 전 9명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2차례의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전문가 델파이 조사는 2022년 3월 15일부터 3월 21일 총 7일간 실시되었고, 2차 전문가 델파이 조사는 2022년 4월 6일부터 4월 9일 총 4일간 실시되었다. 내용타당도(CVR)검증을 실시하여 유사한 내용은 통합하고 교육내용의 하위 범주를 변경하였으며, 관련성이 적은 내용은 삭제하는 과정을 거쳤다. 최종적으로 ‘취업’에서는 3단계, 27개의 교육내용을 도출했으며, ‘창업’에서는 3단계, 22개의 교육 내용을 최종 도출하였다. 3단계, 본 조사를 실시하기 전에 대학생 6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문항을 읽고 모르는 용어나 이해가 어려운 문항에 표시하고 이유를 작성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문항을 수정하였다. 4단계, 2022년 4월 13일부터 4월 23일 총 11일간 설문을 실시하여 232명의 유효한 연구대상을 확보했다. 수집된 내용을 토대로 -검정, Borich 요구도 분석, Locus for Focus Model을 통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Borich 요구도의 상위 1/3에 해당하는 교육내용과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통해 현재수준과 필요수준의 차이가 높은 영역인 HH분면에 속한 취·창업 교육내용의 중복 여부를 확인하여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해당 절차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를 종합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 비교과 프로그램의 경우, 취업활동에 있어서 면접과 관련된 교육과 자기소개서 및 포트폴리오 작성과 관련된 교육 요구가 가장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교육에서 그치는 일회성 교육이 아닌 실습 과정과 컨설팅이 포함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취업 단계별 요구분석을 통해 우선순위를 확인하여 학년별 필요 교육내용을 도출하였다. 단계에 따라 도출된 교육내용을 종합하여 학년별 수준에 맞는 교육계획을 수립한다면 효과적이고 질적인 취업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취업 비교과 프로그램 교육내용과 관련된 선행연구 조사 과정에서 가장 많이 제시된 교육내용과 요구분석을 통해 도출된 교육내용이 비슷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현재 대학생에게 제공되는 취업 교육내용에 대한 방향성은 맞으나 교육내용에 필요한 내용이 포함되어있지 않거나, 많은 학생이 교육에 대한 혜택을 받지 못하여 활성화가 되지 않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요구분석을 실시하여 실제 필요한 교육내용을 파악하고 효율적인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넷째, 창업 비교과 프로그램의 경우, 창업 활동에 있어서 투자유치전략과 사업 제안서·프레젠테이션 작성법과 관련된 교육 요구가 가장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취업 비교과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실습 과정을 거치고 컨설팅을 받을 수 있는 교육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또한, 창업을 희망하는 학생을 위한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창업 단계별 요구분석을 통해 우선순위를 확인하여 학년별 필요 교육내용을 도출하였다. 단계에 따라 도출된 교육내용을 종합하여 학년별 수준에 맞는 교육계획을 수립한다면 효과적이고 질적인 창업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창업 비교과 프로그램 교육내용과 관련된 선행연구 조사 과정에서 가장 많이 제시된 교육내용과 요구분석을 통해 도출된 교육내용이 매우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대학에서 제공하는 창업 비교과 프로그램 교육내용의 방향성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창업 교육에 관한 지원과 연구가 새로이 진행되어야 하며, 교육을 개편하고 대학생에게 필요한 교육을 알맞게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위한 취·창업 비교과 프로그램에 필요한 교육내용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실제 필요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내용 중 무엇을 최우선으로 반영해야 할 것인지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체계적이고 고도화된 대학 내 취·창업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 대학생 취·창업 역량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colleges are preparing for reduction in employment rate and jobs that have changed in the future and developing diversified curriculum through consistent consideration of the method of cultivating talents. Such effort is demonstrated by extracurricular programs. Colleges provide various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the government has been carrying out financial support ever since before 2018 for enhancing the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and social economy activation through such extracurricular programs. Regardless of such interest,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development or operation regarding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to enhance the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and also, currently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on this. Therefore, this research confirmed the initial education details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for enhancing the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and drew the educational needs. Stage 1, The preceding research and actual operation cases were analyzed in order to deduce detailed content of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3 stages and 30 educational content were drawn for “employment,” while 3 stages and 21 education content were drawn for “entrepreneurship.” Stage 2, Prior to the survey based on the drawn educational content, a professional delphi survey was executed with 9 professional panels as the subject. The first professional delphi survey was executed for a total of 7 days from March 15, 2022 to March 21, 2022, and the second professional delphi survey was executed for a total of 4 days from April 6, 2022 to April 9, 2022. A content validity ratio (CVR) verification was executed to integrate similar content and change the subcategories of educational content, and the process of deleting content of little relevance was taken. Ultimately, 3 stages and 27 educational content were drawn for “employment,” and 3 stages and 22 educational content were drawn for “entrepreneurship.” Stage 3, A preliminary investigation was executed with 6 college students as the subject prior to executing this investigation. They were made to read each question, mark any that they found difficult to understand or did not know the meaning of, indicate the reason, and the questions were finally modified. Stage 4, A survey was executed for a total of 11 days from April 13, 2022 to April 23, 2022, and 232 persons of effective research subject were secur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 requirement analysis was executed through the -test,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Locus for Focus Model. Ultimately, redundancies in entrepreneurship and employment educational content part of the HH quadrant, with high level of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level and necessary level, were checked through the educational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op 1/3 of the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o select the order of priority. The overall research result drawn through the applicable procedures is as follows. First of all, in terms of the employment extracurricular program, the highest need was for education related to interview in employment activity and education related to completing one’s CV and portfolio. It seems that not one-time education but education that includes actual practice process and consulting is necessary. Secondly, the educational need for each class year was drawn by looking at the priority order through the requirement analysis per employment stage. An effective and qualitative employment extracurricular program can be provided if an educational plan for each level of class year is established by integrating the educational content drawn for each stage. Thirdly, the educational content most presented in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process regarding the employment extracurricular program educational content and the educational content drawn through the requirement analysis revealed to be similar. It can be inferred that activation is prevented due to the fact that while the employment educational content provided to college students currently is in the right direction, it lacks the required content, or many students not being able to receive the benefits of education. Therefore, the educational content that is actually necessary should be identified through a regular requirement analysis, and measures for operating an efficient extracurricular program should be sought. Fourthly, in terms of the entrepreneurship extracurricular program, the highest need was for education related to investment attraction strategy and business proposal and presentation preparation methods. As with employment extracurricular program, education that includes actual practice process and consulting should be presented. Also, education that can encourage voluntary participation for students wishing to start a business seems to be necessary. Fifth, the necessary educational content was drawn for each class year by checking the priority order through the requirement analysis for each stage of starting a business. An effective, qualitative entrepreneurship extracurricular program can be provided if an educational plan according to the level of each class year is established by integrating the educational content drawn for each stage. Six, the educational content most presented in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process regarding the entrepreneurship extracurricular program educational content and the educational content drawn through the requirement analysis reveale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This demonstrates that the direction of the entrepreneurship extracurricular program provided by colleges is quite different. Therefore, support and research regarding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should be newly proceeded with, and education should be re-established to make effort to provide education that accommodates college students.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educational content necessary for the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extracurricular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and executed a requirement analysis to provide education that is actually needed. Through this, the educational content that should be prioritized for application was made specific and clarified. This research result can contribute to the systematic and advanced operation of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extracurricular programs of colleges, and eventually it is expected to positively affect the enhancement of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

      •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

        김나라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599

        It is necessary to support undergraduates’ career preparation based on practical research results not only in the cognitive domains but also in the behavioral domains, typicall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ecause undergraduate students must substantially prepare for their own careers during the university days. Based on this need of research, the main goal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More specific research objectives were as follows: Firstly, to identify the causal structural model fitness; Secondly, to identify direct impacts between variables; and Thirdly, to identify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career resilience.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was undergraduate students attending 4-year universities in Korea, and a total of 490 students from 7 universities were sampled using stratified, cluster, and ratio sampling methods. The instrument consisted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career resilie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demographic items and those items were selected from previous studies.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instrument were secured through pilot and main data collection. The pilot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th to 23rd, 2023 and some items were modified based on the pilot test result. The mai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5th to October 10th, 2003. A total of 560 copies of the instrument were distributed, and a total of 399 copies were used for final data analysis. IBM SPSS Statistics 21.0 and Amos 24.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5,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used as a statistical metho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has a direct positive impact on self-direct learning. This means that the more students have faith that they can make wise career decision, the more prepared they are to control their own internal or external factors as learners; Secondly,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has a direct positive impact on career resilience. This means that the more students have faith in wise career decision making, the better they can cope with difficult situations related to their careers; Third, undergraduat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has a direct positive impact on career resilience. This means that the more prepared they are to control their internal or external factors, the more efforts they will make to actively cope with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or difficult situations related to their careers; Fourthly,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resilience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means that students who respond flexibly to their career-related environment have a higher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ifthly, undergraduat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has a direct positive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means that the more learners have a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behavior, the higher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ecomes; and Sixthly,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means that students who have greater belief that they can successfully perform the tasks necessary in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are more likely to displa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and research process,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is a need to conduct research with expanded samples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grade, so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ample and conduct research to confirm differences by grade. In the case of freshme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y have not yet performed specific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may not yet have matured in terms of career resilience, so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crease as the grades go up; Secondly,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structural model that considers career decision level variable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n be greatly influenced by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making, so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research including career decision level variables; and Thirdly, since the variables related to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ve been revealed through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more detailed research on the career guidance system and what preparations are needed within universities to support these preceding variables. 대학생들은 재학 중 자신의 진로를 실질적으로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인지적 영역뿐만 아니라 행동적 영역, 대표적으로 진로준비행동 관련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그들의 진로준비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밝힘을 주된 목적을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첫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인과적 구조 모형을 검정하고 둘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밝히며, 셋째,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진로탄력성을 매개로 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을 연구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이고, 층화 표집, 군집 표집, 비율 표집을 활용하여 총 7개 대학, 490명을 표본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과 인구통계학적 항목으로 구성하였고, 선행연구들에서 개발된 도구를 연구 맥락에 맞게 선정하여 활용하였으며,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예비조사는 2023년 9월 20일부터 9월 23일까지 실시하였고, 본조사는 예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역 문항을 일반 문항으로 수정하고, 문항의 순서를 일부 변경하여 2023년 9월 25일부터 10월 10일까지 실시하였다. 총 560부의 조사도구를 배포하여 최종 399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1.0과 Amos 24.0을 활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으며,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통계 방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자기주도학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대학생이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현명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질수록 학습자로서 자신의 내적 또는 외적 요인을 통제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탄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진로와 관련된 현명한 의사결정에 대한 신념을 가질수록 진로와 관련된 어려운 상황에 처하더라도 잘 대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은 진로탄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학습자로서 자신의 내적 또는 외적 요인을 통제할 준비가 되어 있을수록 진로와 관련된 다양한 환경 변화나 어려운 상황에서도 적극 대처하기 위해 노력함을 의미한다. 넷째, 대학생의 진로탄력성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대학생일수록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다섯째,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인 학습태도와 행동을 할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더 높아짐을 의미한다. 여섯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자신의 진로와 관련한 의사결정과정에서 필요한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믿음이 큰 학생일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론과 연구 수행 과정을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표집을 확대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 학년별로 진로준비행동에 차이가 있다고 나타나, 향후에는 표집을 확대하여 학년별로 차이를 확인하는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1학년의 경우 아직 구체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수행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진로탄력성 측면에서도 아직 성숙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진로준비행동이 높아지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진로결정수준 변인을 고려한 구조모형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진로준비행동은 진로결정수준에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해볼 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관련된 변인들이 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으므로, 이들 선행 변인을 지원하기 위해서 대학 내에서 어떠한 준비가 필요한지 진로지도 체계에 대한 연구가 보다 구체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주요어 :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 구조적 관계, 대학생

      • 사이버대학생의 수강시간 프로파일에 따른 학업성취도 및 수강행태 분석

        윤정미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course-taking time profile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ing analysis targeting cyber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ze the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profile group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urse-taking behavior.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cases of each course-taking time profile grou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devise a learning support plan by deriving cyber university students’ course-taking time profiles and analyzing their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course-taking behavior of heterogeneous subgroups by applying person-oriented research targeting cyber university students showing diversity (Murphy et al., 2019; Sullivan et al., 2022). Using this approach,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educational prescriptions according to cyber university students’ course-taking profile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collecting learning log data, analyzing the status of online course-taking, deriving course-taking profiles,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profiles and characteristics of course-taking behavior, and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sampled total 99 courses that were newly produced in 25 department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3 at 4-year A cyber university located in Seoul and used quizzes, assignments, and tests as evaluation methods. Targeting 4,411 students in the course, this researcher collected learning log data with personal information deleted from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Each-week course-taking time was used to derive course-taking time profiles. Academic achievement data, the dependent variable, consisted of quizzes, assignments, tests, and final grade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ourse-taking time profile, course-taking behavior, course access behavior (day of access, time of access), and course completion rates for each week were compared. Finally, to explore the cases of each course-taking time profile group,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students who showed similar characteristics in each profile among the students of A Cyber University. SPSS 25.0 and Mplus 8.1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each week’s course-taking time as an indicator variable, and the final profile was selected by considering both statistical fit and interpretability.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a dependent variable, this study used the BCH(Block-Cronon-Hagenarrs) analysis method(Asparouhov & Muthén, 2014) recommended for continuous variables, using the chi-square test for each latent profile. Next, one-way ANOVA and Multivariate ANOVA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course-taking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profile groups. Finally,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utilized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at classifies and categorizes data meanings into units that can be def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yber university students’ course-taking profiles were found in four group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week course-taking time patterns, they were named as ‘the initial concentrated type’ (N=591, 13.4%), ‘the balanced type’ (N=1,310, 29.7%), ‘the stay type’ (N=366, 8.3%), and ‘the test concentration type’ (N=2,144, 48.6%).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course-taking time profile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methods used to evaluate academic achievement, such as quizzes, assignments, final exams, and final grades. The final grades were the highest in ‘the balance type’, followed by ‘the initial concentration type’, ‘test concentration type’, and ‘stay type’ in order.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file groups’ course-taking behavio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ourse access behavior (day of access and time of access) and course completion rate. Fourth, as a result of the in-depth interviews, subcategories were derived around four areas consisting of meaning of course time, goals and plans, postponing/hasty treatment, and practice strategi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meaningful to explore which latent profile groups can be classified using log data related to cyber university students’ course-taking time. Second, based on cyber university students’ course-taking time profile groups revealed through this study, the foundation is laid for future studies dealing with specific type classification and related variables. Thir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n initial study that verifies the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four course-taking time profile groups derived from it and confirms the characteristics of course-taking behavior. Through this, we can discuss areas to focus more on when preparing a learning support plan.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분석학 관점에서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사용하여 수강시간 프로파일을 도출하고, 프로파일 집단 간 학업성취도 차이 및 수강행태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수강시간 프로파일 집단별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이버대학의 수업은 온라인 강의 중심으로 운영된다. 하지만 아직까지 온라인 강의 수강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여 학생들의 수강 현황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기보다는, 교육 만족도 조사 또는 강의평가 결과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학생들의 주관적인 응답 결과이기 때문에 강의 수강 관련 시사점을 도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실제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은 학생들의 학습과정을 이해하고,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면밀히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생의 수강시간 프로파일 도출 및 특징을 분석하여 이들의 학습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사이버대학생은 서로 다른 연령, 학력, 가정환경, 직업 등을 지니고 있으므로 이러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사회적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김현아, 김현진, 2011; 정찬길 외, 2018). 따라서 이러한 다양성을 보이는 사이버대학생을 대상으로 개인 중심(person-oriented) 연구를 적용하여 이질적인 하위집단 간의 강의 수강행태를 탐색할 필요가 있다(Murphy et al., 2019; Sullivan et al., 2022). 개인 중심 접근 연구 방법의 하나인 잠재 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은 개인에 따라 유사한 특성이 있는 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Moran et al., 2012). 이러한 접근으로 본 연구는 선행연구 및 문헌 분석, 학습 로그 데이터 수집, 온라인 강의 수강현황 분석, 수강시간 프로파일 도출, 프로파일 간 학업성취도 차이 및 수강행태의 특징 분석, 심층면담을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대학생의 수강시간 프로파일에 따른 교육적 처방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소재 4년제 A 사이버대학교에서 2023학년도 1학기 25개 학과에서 신규 제작되었고, 평가 방법으로 퀴즈, 과제, 시험을 시행한 총 99개의 강좌를 표집하였다. 해당 강좌의 수강생 4,411명을 대상으로 학습관리시스템(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에서 추출할 수 있으며, 개인정보가 삭제된 학습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강시간 프로파일 도출을 위한 데이터는 주차별 수강시간을 활용하였다. 종속변수인 학업성취도 데이터는 퀴즈, 과제, 시험, 최종성적으로 구성하였다. 수강시간 프로파일 집단 간 수강행태의 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강의 접속 행태(접속 요일, 접속 시간대)와 주차별 수강 완료 비율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수강시간 프로파일 집단별 사례를 탐색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인 A 사이버대학생들 중에서 프로파일별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5.0와 Mplus 8.1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각 변수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차별 수강시간을 지표변수로 하여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고, 통계적 적합도와 해석 가능성을 함께 고려하여 최종 프로파일을 선정하였다. 종속변수인 학업성취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잠재 프로파일별 카이제곱 검증을 사용하여 연속형 변수에 추천되는 BCH(Bolck-Croon-Hagenarrs) 분석 방법(Asparouhov & Muthén, 2014)을 활용하였다. 다음으로 프로파일 집단 간 수강행태의 특징을 비교하기 위해서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심층면담의 결과물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자료의 의미를 규정할 수 있는 단위로 분류 및 범주화하는 반복적 비교분석법(constant comparison method)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대학생의 수강시간 프로파일은 총 4개의 집단으로 나타났다. 주차별 수강시간 패턴의 특징을 바탕으로 ‘초기집중형’(N=591, 13.4%), ‘균형형’(N=1,310, 29.7%), ‘체류형’(N=366, 8.3%), ‘시험집중형’(N=2,144, 48.6%)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각 수강시간 프로파일 집단 간 학업성취도 차이를 검증한 결과, 학업성취도의 평가방법인 퀴즈, 과제, 기말시험, 최종성적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성적은 ‘균형형’이 가장 높았고, ‘초기집중형’, ‘시험집중형’, ‘체류형’ 순이었다. 셋째, 프로파일 집단 간 수강행태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강의 접속 행태(접속 요일, 접속 시간대)와 수강 완료 비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심층면담 결과 수강시간의 의미, 목표와 계획, 미루기/급한 처리, 실천 전략으로 구성된 4개 영역을 중심으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사이버대학생의 수강시간과 관련한 로그 데이터를 활용하여 탐색적으로 어떤 잠재 프로파일 집단으로 구분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수강시간의 행태에서도 특징이 다른 여러 집단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수강행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연구사례를 제시하였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사이버대학생의 수강시간 프로파일 집단을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서 구체적 유형 구분 및 이와 관련된 변인 연구에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점이다. 그동안 학습행동 데이터에 대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하위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주제는 낮은 빈도를 보이는 상황에서 특히 성인학습자의 유형에 대해 보다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도출된 수강시간 프로파일 4개의 집단에 따라 학업성취도 차이를 검증하고, 수강행태의 특징을 확인한 초기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학습지원 방안을 마련할 때 더욱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 요약하면, 사이버대학생을 대상으로 수강시간에 대한 잠재 프로파일 집단의 분류를 통해 각 집단별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학습 로그 데이터에서 보이는 수강행태를 좀 더 세분화하고, 실제에 근접하여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성인학습자로서 사이버대학생의 특징을 구분하고 학습지원 방안을 마련할 때 학습자 유형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