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天人心性合一之圖」의 구성 원리와 그 의의

        김부연 창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thesis treats of 「Diagram of the Unity of Natural mind and Human mind」(天人心性合一之圖), Gweungeun's main idea, and how it has been framed and what is its significance at the present day. 「Diagram of the Unity of Natural mind and Human mind」, first, it has been studi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Diagram of the Unity of Natural mind and Human mind」focused on Joodonyi's 「TeaGukDoSeul」(太極圖說) and Joohee's 「JoongYongJangGoo」(中庸章句) and universal principle of 「Diagram of the Unity of Natural mind and Human mind」 focused on the concept of Taegeuk(太極) and Yin-Yang, Five-Element(陰陽五行). Second, it has been studied of mental principle of 「Diagram of the Unity of Natural mind and Human mind」 laid stress on the idea of nature(天)and man(人), mind(心) and Hsing(性), the Unity of nature and man(天人合一). Although Gweungeun's 「Diagram of the Unity of Natural mind and Human mind」was written referring to the idea of Jooyeumgae and Joohee it showed its own standpoint and opinion. In particular it showed the principle of the unity of nature and man, best Confucian ideas and connected it with the relationship of nature and man. So Gweungeun understood profoundly the unity of nature and man of the confucianism and concept of mind(心) and Hsing(性). 「Diagram of the Unity of Natural mind and Human mind 」revealed Gweungeun's ethical theory and social political point of view. Gweungeun systematized social ethics and theory of feudal system which is early Joseon's social politics appling to the idea of the Unity of nature and man(天人合一). Gweungeun's knowledge of metaphysics(性利學) is revealed much better in his original work, 『Yiphakdoseul』(入學圖說). 『Yiphakdoseul』(入學圖說) outlined main idea of metaphysics(性利學) for the beginners of metaphysics extracting from 「the Doctrine of the Mean」 and 「the Great Learning」. His viewpoint of metaphysics can be seen in 「Diagram of the Unity of Natural mind and Human mind」's arrangement and description. He describes a man(人), a mind(心), Hsing(性) in 「Diagram of the Unity of Natural mind and Human mind」 in the first part of the book. In here he describes that the Confucian idea of Unity of Natural mind and Human mind can be realized through cultivating one's mind. By arranging 'the origin of Ri(理)' and 'the origin of Gi(氣) contrastedly 󰡐Sadan(四端); pure virtue, no evil is deduced from ‘Ri’ and ‘Jeung(情)’; being good and being evil from ‘Gi’ And ‘Will(意)’ is based in determining of being good and bad. And the range of ‘Seung(誠)’, ‘Kyeung(敬)’, ‘Yeok(欲)’ is classfied to a saint, a gentleman, a mean people, and a mean people can be a gentleman, a saint changing his temper. He insisted that a man should overcome the desire because he has both physical ‘Gi’ and natural ‘Ri’. Gweungeun's ‘RiGiSimSung(理氣心性)’ not only gave the logical foundation in which the kings and the governors could rule over with benevolence, justice, politeness but also became the main subject of the scholars as Yihwang(李滉) and Yiyi(李珥)in the late 16C. Gweungeun arranged 「Diagram of the Unity of Natural mind and Human mind」 on the cover of 『Yiphakdoseul』(入學圖說) and the ending part of the preface and he made it to be the essential points for the new pupils. 「Diagram of the Unity of Natural mind and Human mind」's notable character is in this notion; know the reason first, discern the real nature later. That is, in 「Diagram of the Unity of Natural mind and Human mind」 he tried to describe the reason of ‘nature and man’ first and obtain practical morality and human nature later. In order to obtain morality for the Oughtness(當爲) it should be the first to understand the real world, namely the being. At this point the ideal of Confucianism of which two contrasting dimensions of being and oughtness, truth and value, theoretical studying and moral practice harmonize can be confirmed. In the side of western analytical philosophy, this idea may be seen as a confusing knowledge being antinomic ambiguity. Nevertheless, it is still significant for people who try to know ‘how to live’ with the dignity and to practice this task in real world

      • 혜강 최한기의 기학(氣學)과 그 교육론적 특성 : 기(氣)운화론을 중심으로

        이만우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 유교식 교육의 한계와 문제점을 보완하여, 새로운 서구의 문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한 학자로서 교육적 측면에서 ‘철저한 경험주의자’로 평가받는 혜강의 기학(氣學)사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행 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교육적 대안을 밝히는데 있다. 조선 말기에 생존했던 혜강 최한기(1803-1877)는 실학사상의 흐름 속에서 전통적인 유교 사상을 실증적이고, 과학적인 근대화와 관련시켜 발전시킴으로써 유교 사상의 근본정신을 시대적으로 살려내려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혜강은 새로운 학문 즉, 기학을 정립하기 위하여 앞서 내려오고 있는 여러 형태의 학문에 대해 주로 이야기를 하였다. 이러한 학문은 동서를 망라하여, 그의 박식함과 학문적 관심의 폭이 얼마나 넓은가를 엿볼 수 있다. 또한 양반 사대부의 공식 학문인 유교를 철저하게 거부하고, 상민들의 종교적 믿음도 거부한 후에 기학이라는 새로운 사상을 천명하였던 것이었다. 혜강이 살았던 조선 사회는 붕당과 세도 정치로 부패하였고, 또한 방술학(方術學)이 만연했으며, 서양 문물이 유입되기 시작하였다. 이런 시대적 흐름 속에서 참된 학문의 길은 허(虛)를 버리고, 실(實)을 취하는 것이며, 그것은 민생(民生), 민사(民事), 민도(民道)에 도움을 주는 것을 가리킨다. 기(氣)운화론의 개념과 인식론적 이해에 있어서는 먼저 신기(神氣)와 활동운화(活動運化)에 대한 내용을 중요하게 밝히고 있다. 신기는 인식의 주체인 마음을 의미하며, 인식의 주체는 인간만이 아니라 유행지리(流行之理)를 받아들이고 따르는 만물 전체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람을 포함한 만물은 자연의 섭리 즉, 유행지리 앞에 동등한 의무와 권리를 지니게 되는 것이다. 활동운화라는 개념은 기의 자연적 질서를 운화 또는 활동운화라고 한다. 혜강의 활동운화는 본체론, 인식론, 실천론의 범주를 모두 포괄하고 있다. 운화의 개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것은 추측(推測)과 득통(得通)이라고 할 수 있다. 추측은 신기가 지니고 있는 인식의 기능으로서 천지만물의 운화를 파악하는 방법이고, 인간에게 본래 주어진 본성에 따라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추론하고 이해하는 활동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혜강은 인식(추측)의 경험적 측면을 중시한다. 그래서 직관적 방법이 아닌 귀납적 방법을 강조하고 있다. 득통은 혜강의 기학 체계에서 가장 중요한 본체론적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인데, 신기와 가장 중요한 인식론적 개념이 바로 통(通)이다. 인식론적으로 통은 세계에 대한 경험적 실증이나 증험을 근거로 추측된 객관적 물리적 법칙이나 인간 사회의 도덕적 지식을 체득함을 의미한다. 또한 통이란 혜강 인식론에서 인식의 전개 과정에서 마지막 단계를 나타내며, 모든 개체 사이의 벽을 제거함으로써, 생활 속에서 실천해야 할 소통이라고 할 수 있다. 기(氣)운화론적 교육론에서 혜강의 교육이념은 ‘천도를 체득하고, 성현을 본받는 것’이라고 했다. 혜강은 자연 행위와 인간 행위 사이에는 논리적인 유사성이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자연에 춘하추동의 질서가 있듯이, 인간 사회에도 이러한 질서가 있어야 하며, 인간도 때에 맞추어 할 일을 실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인간의 삶 가운데도 이러한 질서가 있음을 인식하고,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자연과 당연의 원활한 소통과 조화 즉, 천인일치(天人一致) 교육이야말로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교육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혜강의 동서취사론적(東西取捨論) 세계관 인식 방법은 서구 문물을 선택적으로 수용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동양(東洋)과 서양(西洋)은 어느 한 쪽이 다른 쪽으로 들어가지 말고, 각기 그대로 있으면서 그 좋은 점을 서로 참조하고 취사(取捨)하자는 입장이다. 혜강에게 있어서 서(西)와 동(東)은 서로 취사하고 배워야 할 점들을 갖는 대상들이었다. 오늘날 우리의 교육 방법에는 혜강 최한기와 같은 미래를 바라볼 수 있는 식견을 가지고 새로운 변화에 대응하는 자세와 태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서구 의존성이 큰 현행 교육은 이제부터 옛 것을 토대로 새로운 것을 창조할 수 있는 근본정신과 태도를 가짐으로써, 혜강의 기학(氣學)사상, 기(氣)운화론적 교육론과 동서취사론적(東西取捨論) 접근법을 배워나가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보았다. 혜강의 기(氣)운화론적 교육론의 본질적인 의미 속에서, 우리는 앞으로 현행 교육이 어떠한 모습이 되어야 할지를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현행 교육에서 제기되는 많은 문제점과 역기능에 의해서 교육의 정체성이 흔들리고 있는 상황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 교육의 본질을 따져 볼 때 현실적인 문제와는 괴리가 있는 이기적인 문제에만 치중되고 편향된 교육으로 흐르는 경향이 곳곳에서 나타고 있다. 따라서 혜강이 주장하는 진정한 삶을 지향하는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인간을 기르는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교육과 관련된 모든 사람들 특히, 학생을 직접적으로 지도하는 교육자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연구가 필요 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더

      • 노자 윤리사상의 이론 토대와 인성교육적 의의

        강미연 대구교육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인간의 도덕성과 관련하여 생기는 여러 사회 문제들은 점점 늘어가고 그 악함의 정도 또한 심해진다. 학교를 비롯한 사회의 여러 부분에서 기본적인 도덕률이 지켜지지 않는 경우 또한 많다. 이로 인하여 올바른 인생관을 획득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점점 도덕에 대하여 감응하지 못하는 사회로 변질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는 새로운 인성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모든 만물을 인위적이지 않음을 통해 설명한 노자의 사상은 우리의 인성교육에 큰 시사점을 제공한다. 노자는 근원적 존재의 순수한 운동 양식을 구체적 인간의 행동 양식으로 제시한다. 이를 통해 인성의 정의를 자연의 측면에서 논의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올바른 관계 형성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노자의 관점에서 인성이란 인간의 본원적 자연성을 뜻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유학에서 말하는 인간의 타고난 천성과는 차이가 있다. 『도덕경』에서 인성(人性)이라는 말은 직접 드러나지 않는다. 따라서 노자가 사람의 인성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보였는지 도덕경의 내용을 중심으로 추리해야한다. 인간이 태어날 때는 원래 순진무구하지만 성장하면서 욕망을 갖게 되고 인위적인 문명의 발달로 인해 여러 가지 다양한 욕구가 생겨나서 우환에 시달리게 된다고 했다. 즉 국가의 혼란이나 개인의 불행 등 모든 그릇된 것들은 탐욕과 지식에 대한 추구에서 야기되는 것이며 이것은 인간의 소박한 본성에 위배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람들의 선량한 본성을 회복하고자 무위자연(無爲自然)의 정신을 말했으며 겸하부쟁(謙下不爭), 화광동진(和光同塵), 대교약졸(大巧若拙), 정언약반(正言若反)의 수양법을 제시했다. 본 연구에서는 노자의 사상을 통해 여러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였으며 현대 인성교육에의 시사점을 탐구해보았다. 노자의 사상이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 훌륭한 가르침을 주는 것은 명확하다. 하지만 이것의 구체적 실현을 위해서는 시스템의 개선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이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다뤄져야할 문제이다. Various social problems arising in relation to human morality are increasing and the degree of ruthlessness is intensifying. There are also many cases where the basic ethical code is not being observed in many parts of society, including schools. As a result, not only are people unable to obtain a proper view of life, but they are also being transformed into a society that is not sensitive to morality. In this situation, we need a new type of humanist education. Therefore, Lao-tzu's idea of explaining that all things are artificial provides great implications for our humanist education. Lao-tzu presents the pure mode of movement of the original being as a specific human behavior. Through this, the definition of humanity can be discussed in the aspect of nature, and based on this, we can find a clue to forming proper relationships. From Lao-tzu's perspective, humanity refers to the original nature of human being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natural innate nature of human beings in Confucianism. In 『Tao Te Ching』, the word humanity is not directly revealed. Therefore, the attitude of Lao-tzu regarding humanity should be inferre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Tao Te Ching. He said that when humans are born they are naive, but that they learn desire as they grow, and due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civilization, they develop various needs and suffer from worry. In other words, all wrongs, such as national confusion and individual misery, are caused by greed and the pursuit of knowledge, which is against humble human nature. So in order to restore people's good nature, he talked about the spirit of leaving nature as it is and suggested methods of moral culture, Gyumhabujeng (謙下不爭), Hwagangdongjin(和光同塵), Daegyoyakjol(大巧若拙), Jungeonyakban (正言若反). In this study, Lao-tzu's ideas were explored in order to solve various problems and determine the implications on modern humanist education. It is clear that Lao-tzu's ideas can give us great teaching in modern times. However, to realize this, it must be accompanied by improvement of the system. This should continue to be addressed.

      • 이청준 소설의 모티프 연구 :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박세윤 대진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A study on motif in novels of Lee Cheong-jun - Focused on his short stories - Park, Se-you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ejin University Mr. Lee Specialized works has always attained attention from lots of researchers for wide variety of subjects, distinctive structure and outstanding literary value. It was kind of self-examination to write for him. Thus, Mr. Lee could express his sense of identity and enjoy literary achievements with self-reflection through writing. Motif means smallest unit of story in literature. In a content of work, it makes up a subject of story and can’t be resolved further. Thus, every literary works are combination of motifs. When literatures written by one author over 50years shows repetitive motif, it suggests that characteristic of the motif have special meaning to author. Also, since he composes novels with same motif repeatedly, it should be noticed that he has potential intention to deliver a special message to authors through motif. In the chapter Ⅱ, the relation between reality of society in 1960’s and characteristic of his works was examined. And people with trauma are well represented in his novel. Some have a phobia to state; others are suffered from a nervous peptic ulcer. They have to be crazy to survive in hopeless situation. The reason that people who experienced trauma appear in his novel can be understood considering the time when he experienced in his youth. Mr. Lee underwent the Korean War, the April 19 Revolution, May 16 coup, Yusin dictatorship and the Gwangju Democratization. People who lived through an era of the possibility of the April 19 Revolution and frustration of May 16 coup were traumatized by the experience. Mr. Lee tried to cure trauma of generation through his work and confession while reflecting reality in characters with awareness of time. In the chapter Ⅲ, the repetitive motif in his novel was examined thoroughly on the basis of analysis of the chapter Ⅱ. After dividing repetitive motif into ‘motif of alter ego’, ‘motif of flashlight beams’, ‘motif of life and death’ and ‘motif of father’, identical points and difference between these motifs in works were analyzed. Although many of novels have ‘motif of flashlight beams’, the source of flashlight beam in works present itself differently. However, it is found that characteristic of motif that Mr. Lee originally imparted is same. While making clear the difference and similarity in his works even though it is same motif, the meaning of repetitive motif was considered. The chapter Ⅳ found that Mr. Lee, Cheong-jun exposed all of repetitive motifs as explained earlier through a series of novels called ‘a negative and positive print under scissors.’ Study on motif aims to find totality of works while considering experience, era and environment that author experienced and to demonstrate that accordance of narrator and author can be interpreted as one motif. If there is a leitmotif found in the overall works of author, it can be understood that author expressed what he or she intended to speak through his or her writing. The research organized that experience and social environment of author can be background to accept motif while analyzing the aspects of leitmotif and how motif appears in Mr. Lee’s story. While considering how far the repetitive motif can be interpreted up to an extent through this discussion, it was found that study on motif can set a firm foundation to help to understand consciousness of author and realm of ideas. 국문초록 이청준 소설의 모티프 연구 -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 박 세 윤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이청준의 작품은 다양한 주제와 독특한 구조, 뛰어난 작품성 등으로 많은 연구자들로부터 주목을 받아왔다. 이청준에게 글쓰는 행위란 자기성찰의 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청준은 글쓰기를 통해서 자의식의 표출 혹은 자기반성이 내포된 문학적인 성취를 이룰 수 있었을 것이다. 문학에서의 모티프(motif)란 이야기의 최소 단위를 말한다. 작품의 내용에서 더 이상 분해가 불가능한 요소로서 작품의 주제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 모든 문학 작품들은 이렇듯 모티프들의 결합이라고 할 수 있다. 한 작가가 반세기를 걸쳐서 쓴 작품들에서 반복적 모티프가 드러난다는 것은 그 모티프가 가지고 있는 성질이 작가에게 특별한 의미를 주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반복적으로 같은 모티프를 가지고 작품을 구성한다는 것 역시 그 모티프를 통하여 독자들에게 특별한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잠재적 의도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수 있다. Ⅱ장에서는 1960년대 사회 현실과 이청준 작품의 특징이 어떤 연관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청준 소설에서는 정신적인 외상을 갖고 있는 인물들이 자주 등장한다. 그들은 진술 공포증을 갖고 있기도 하고, 신경성 위궤양을 앓고 있기도 하며, 희망이 없는 현실 속에서 미쳐야지만 살아갈 수 있기도 하다. 이청준 작품에서 이렇듯 정신적인 외상을 겪는 등장인물이 나타나는 이유는 그가 청년기에 겪은 시대적 상황을 바라보면 이해할 수 있다. 이청준은 6·25 전쟁과 4·19혁명, 5·16 군사정변 그리고 유신독재와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온몸으로 겪은 세대이다. 이렇게 4·19의 가능성과 5·16의 좌절을 경험하면서 이 시대를 살아가던 사람들은 정신적인 충격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이청준은 이 시대의식을 갖고 있는 등장인물에게 현실 반영의 자기고백을 통하여 세대가 가지고 있던 정신적인 외상을 작품을 통해서 치유하고 있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분석한 것을 토대로 이청준 소설 속 반복적 모티프에 대하여 본격적으로 살펴보았다.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모티프를 ‘분신 모티프’, ‘전짓불 모티프’, ‘삶과 죽음 모티프’, ‘아버지 모티프’로 나눈 후 작품 속에서 이 모티프들이 어떤 동일 양상을 갖고 있는지 본 후 차이점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같은 ‘전짓불 모티프’를 가지고 있을지라도 작품 속에서 전짓불의 근원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하지만 본래에 이청준이 이 모티프에 부여한 성질은 같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동일한 모티프여도 작품을 통해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면서 반복 모티프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Ⅳ장에서는 「가위 밑 그림의 음화와 양화」라는 연작소설을 통해서 작가 이청준이 앞에서 나타난 반복적 모티프의 집합체를 전부 드러낸 것을 살펴보았다. 모티프 연구는 결국 작가의 체험이나 시대, 환경 등을 함께 고려하여 작품 세계의 총체성을 확인하는 과정임을 밝히고 서술자와 작가가 일치하는 것까지 결국 하나의 모티프로 볼 수 있음을 논증해 보고자 하였다. 한 작가의 작품 활동 전체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모티프가 있다면 그것은 작가가 제일 말하고자 하는 의도를 글쓰기를 통해서 표현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청준 소설 작품 속 반복 모티프의 양상과 모티프가 나타나는 형식을 분석하여 작가의 경험이나 사회적 환경 등이 모티프의 수용 배경이 된다는 것을 정리해 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반복 모티프가 어떤 범위로까지 넓게 해석될 수 있는지 고찰하면서 모티프 연구란 곧 작가의 작가의식과 관념 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큰 토대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 자원봉사활동의 체험 사례와 예화 자료 개발

        임인환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 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진 본 논문은 크게 구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IMF로 경제가 침체되었던 1998년부터 현재까지 20여 년간 필자 자신이 직접 경험하고 체험한 사례들을 반성적으로 고찰하였다. 둘째, 대구광역시 동구 소재 망우공원 “참 행복한 나눔 마당”에서 2년간(2015~2016 매주 토요일)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강의한 예화사례를 소개하고 그 가운데서도 활용도가 높은 몇 가지 예화의 내용과 강의 평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필자는 특히 자원봉사자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예화의 내용을 주제별로 구분하였는데 인생관, 생활신념, 교훈과 격언, 교양 지식, 행복, 친절과 감사의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그동안 필자가 참여한 자원봉사활동의 대표 사례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참 행복한 나눔 마당[장소: 망우공원] ② 구세군 자선냄비[장소; 서대구 인터체인지] ③ (사)대구동구지원봉사센터 “사랑의 밥차”[장소; 신암공원 등 4곳] ④ 축복교회 어르신 점심 배식[장소; 동구 세일 상가 지하] ⑤ 진명기억학교 치매 어르신에 대한 가요 봉사[장소; 진명학원 건물 4층] ⑥ 팔공산 달빛 걷기 대회[장소; 팔공산 5Km 반환점] 필자는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무엇보다도 타인에게 나눔 봉사를 하게 되면 내 자신이 행복해진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봉사활동은 이론만으로 그쳐서는 아무런 의미가 없으며, 직접 실천에 옮길 때에만이 그 가치가 제대로 드러나게 된다. 보다 건강하고 밝은 세상이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나 자신의 행복을 위해서 내 주위에 있는 어려운 이웃들에게 많은 관심과 사랑을 베풀 수 있어 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무엇보다도 사회 각계의 지도층들이 형식에 그치는 것이 아닌 실질적인 봉사활동에 참여해야 하며, 이러한 봉사활동을 통해 한 개인만이 아니라 건강한 국가의 수립을 도모해야 한다.

      • 서예와 캘리그래피를 활용한 초등학생 인성 함양 방안

        신동길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ersonality education is the one that develops individual inner world righteously and soundly and fosters humane character and capability which are necessary for living together with others, community and nature. This study suggests specific methods to use penmanship learning in ethics and education which play core roles for the personality education in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The consilient education theory is a transdisciplinary study creating new things by integrating human, social and natural science, across disciplines. As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the consilient education theory was used to attempt the consilience with other subjects around ethics and education. The theory aims to allow students to know themselves, hone their innate personality broaden the horizon for understanding others, by obscuring the boundary between disciplines on the basis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that governs and oversees all subjects and flows to mail stream. Here, it is the penmanship, a measure or medium with which students can express themselves. For our ancestors, the penmanship was a practical instrument used in reading and writing as well as an important medium for acquiring and instructing knowledge. Therefore, the ancestors read and studied many texts written by others through the calligraphy, while abstracting phrases related with them, from the texts. In the process, they established their own criteria and practices and realized their lives in the world. Each of them meaningfully lived their own lives by listening stories generated from the back of their minds and expressing them in their language, after studying a lot of knowledge and wisdom achieved by human beings. The results of the method to foster the personality using penmanship and calligraph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an activity for a person to arrange his/her mindset and express his/her inner mind,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ostering him/herself. Second, penmanship and calligraphy contributed to changing students' crooked style of penmanship to more elaborated and harmonized one. Third, students could naturally learn life and experience, depth of life, knowledge and wisdom of the ancestors by repeatedly writing excellent sentences. Fourth, it helped to foster individual personality, by broadening the horizon for understanding others based on conversations, questions and answers, debates and discussions, after establishing an individual value.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penmanship education and cultivation of personality,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in that it actually used the penmanship education at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In addition, it attempted the consilience with other subjects by using ethics and education as the main stream of exploratory subjects and suggests that not only consilience between ethics and fine arts but also that between ethics and other subjects be discussed.

      • 영상 매체를 활용한 소설 교육 방법 연구 : 김려령 <완득이>를 중심으로

        이슬기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A Study on the Novel Education Plans Using Image Media: Focused on Kim Ryeo-ryeong's Wan-deuk Lee Seul-gi Daej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epartment of Education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mporary society is rapidly developing. Teaching methods that educate in the actual field accordingly has been continuously changed. It is because adolescent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wash with image media seek things exciting and sensitive. As our society has depended on these image media, using image media that have excellent visual effects, getting out of the hackneyed way of simply deciphering letters of the past, became an important medium indispensable in our society. This study made an effort to find a right way of how to teach in the actual novel education class using image media. This study suggested a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concentrated on students' attention using films to arouse their interest in the novel education and positively participate in classes. By doing so, it opened possibilities to expand free thinking, swiftly change from printed media to image media and develop an ability to accept literary works critically. The novel used as a material for this study is Wan-deuk, a novel by Kim Ryeo-ryeong, published in 2008 and in the public eye. The reason this novel was selected for this study was that it was written in the easy and concise style for adolescents to understand it without difficulty and that it described main character's candid story through the first-person point of view and could arouse a lot of literary imaginations. In Chapter 2, it could be identified that the importance of media education had been on the rise through various changes in the curriculum until today's curriculum had been settled down. It was the 7th curriculum that using the media was paid attention to educationally first. Then, in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 new elective subject 'Media Language' was also organized; as in the 2015 newly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importance of media was remarkably emphasized, 'Language and Media' was newly organized and separated. The purpose of the novel education can be also examined. In addition, in Chapter 2, a variety of educational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by instructing novels using image media can be understood. First, it is to arouse learners' interest in works and help them understand and improve their memory through the sensitive and detailed description. Furtherm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dmiring ability of various media can be improved. In Chapter 3, the novel Wan-deuk and the film Wan-deuk were analyzed. Unlike the novel, the film chose a method of decisively deleting and adding scenes because of the time restriction. Besides, unlike the novel, the film changed some of the features of characters; however, there were not greatly different things between the novel and the film as a whole. In Chapter 4, a detailed teaching-learning model and method using the actual image media were proposed. Comparing and contrasting focusing on characters, background and incidents between the novel and the film were a big assignment; freely organizing the last ending of Wan-deuk with a feature of open ending was the second assignment; telling coherently his own thoughts of the usual actions of teacher Dong-ju and listening to what the other party told were the third assignment. Using films as the supplementary material in the novel education field, we can think adolescents, learners, can understand novels more easily and actively. 국문초록 영상 매체를 활용한 소설 교육 방안 연구 - 김려령 <완득이>를 중심으로 이 슬 기 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현대 사회는 빠른 속도로 급격하게 발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실제 현장에서 교육하는 학습방법도 지속적으로 변화해 왔다. 영상 매체가 넘쳐나는 현대 사회에서 살고 있는 청소년들은 영상을 통해 자극적이면서도 감각적인 것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듯 사회가 영상 매체에 의존하게 되면서 단순히 과거의 문자를 해독하는 고리타분한 방식에서 벗어나 시각적 효과가 두드러지는 영상 매체의 활용은 우리 사회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매개체로 자리 잡았다. 본고에서는 영상 매체를 활용하여 실제 소설 교육 수업에서 어떻게 진행할 것인가에 대한 올바른 방법을 찾으려고 노력하였다. 소설 교육에서 영화를 활용하여 주의를 집중시키고, 흥미를 유발하여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자유로운 사고의 확장, 인쇄 매체에서 영상 매체로의 빠른 전환, 문학 작품의 비판적 수용 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본고의 제재로 활용된 것은 2008년 출간하여 세간의 주목을 받은 김려령의 소설 <완득이>이다. 이 작품을 제재로 선정한 이유는 쉽고 간결한 문체로 되어 있어 청소년들이 작품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어보였으며, 1인칭 주인공 시점을 통한 자기 고백적인 솔직한 이야기를 서술함으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많은 문학적 상상력을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Ⅱ장에서는 많은 교육과정의 변화를 거쳐 지금의 교육과정이 정착할 때까지 교육과정의 다양한 변화를 통해 매체 교육의 중요성이 점점 대두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처음 매체의 활용이 교육적으로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제7차 교육과정이었다. 그 다음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매체언어’라는 선택과목이 신설되었으며, 새로 개편된 2015 교육과정에서도 매체의 중요성이 두드러지게 강조되어 ‘언어와 매체’로 신설되어 따로 분리되었다. 또 소설 교육목표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다. 또한, Ⅱ장에서는 영상 매체를 활용하여 소설을 지도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가 다양함을 이해할 수 있디. 먼저 작품에 대한 학습자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감각적이고 구체적인 묘사를 통해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 기억력을 증진시키게 된다. 나아가 다양한 매체에 대한 감상 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Ⅲ장에서는 소설 <완득이>와 영화 <완득이>를 분석하였다. 영화는 소설과는 달리 시간적 제약이 있어 과감히 장면을 삭제하고 첨가하는 방법을 택했다. 또한 소설과는 달리 영화에서는 등장인물들의 특징적인 요소가 일부 변화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전체적인 구성에서는 소설과 영화가 크게 다른 점은 없었다. Ⅳ장에서는 실제 영상 매체를 활용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모형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소설 <완득이>와 영화 <완득이>이의 인물, 배경, 사건을 중심으로 두고 비교·대조하는 것이 큰 과제였고, 열린 결말을 특성으로 <완득이>의 마지막 결말을 자유롭게 구성하는 것이 두 번째 과제였으며, 선생 동주의 평소 행동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논리정연하게 이야기하고,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는 것이 세 번째 과제였다. 우리는 소설 교육 현장에서 영화를 보조 자료로 활용함으로써 학습자인 청소년들이 소설을 좀 더 쉽고 능동적으로 이해할 수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다.

      • 공자의 교학사상과 제자교육

        이학상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공자의 교학사상과 제자교육을 검토하여, 공자 사상의 시대적 배경을 통해 그의 삶을 특직정인 시기로 분류하여 정리하고, 공자의 문제의식을 교육적 관점에서 재해석 하여 교학이념과 교육방법으로 나타내었다. 추가적으로 공자가 실천한 교육사상의 현대교육에서의 시사점에 대해 개괄적으로 모색해봤으며, 공자의 주요 제자들이 생각하는 스승 공자의 모습과 공자가 생각하는 제자들의 모습을 서술하였다.

      • 고등학생 수학불안 요인별 분석 : 시기 및 학교/학생 변인에 따른 연구

        최원종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math anxiety based on temporal variables, school variables (grade, region, teaching format), and student variables (gender, college aspirations, academic performance, career plans, elective math classes, parental involvement, private education). The 'Math Anxiety Factor Measurement Tool for High School Students' developed by Kang & Han(2022) was utilized, and math anxiety was measured in one urban and one rural school in Gangwon Province, South Korea, during the second semester in September, December, and at the beginning of a new academic year in March. The study included 71 participants for temporal variables and 820 participants for school and student variabl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software through independent samples t-tests, ANOVA,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th anxiety slightly increased over time,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mong the school variables, grade had a significant effect, with 2nd grade students exhibiting higher levels of math anxiety compared to 1st and 3rd grade students. Region-wise, urban students generally had higher levels of math anxiety than rural students,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the abstractness factor where rural stud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The preferred teaching format had an impact on math anxiety; students preferring online and individualized classes generally experienced higher levels of anxiety compared to those preferring offline and group classes, although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some factors. Third, among the student variables, male students, those aspiring for college, those with good academic performance, those interested in mathematics-related careers, those with high parental involvement, and those receiving private education generally exhibited lower levels of math anxiety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This indicates that confidence in mathematics, aligning learning with math-related career goals, and environments such as parental and teacher support can alleviate math anxiety. These research findings can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implementing appropriate support and educational methods tailored to students' specific situations. 본 연구는 시기변인, 학교변인(학년, 지역, 수업형태), 학생변인(성별, 진학, 성적, 진로, 선택과목, 보호자관심, 사교육)에 따른 요인별 수학불안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강양구·한선영(2022)의 ‘고등학생용 수학불안 요인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강원도 내 시 지역 1개교와 면 지역 1개교에서 2학기 9월, 12월, 새 학년 3월에 수학불안을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시기변인 71명, 학교·학생 변인 820명으로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ANOVA,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기별 수학불안은 평균이 조금씩 상승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학교변인 중 학년변인에서 2학년의 수학불안이 1, 3학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지역변인에서는 대체로 시 지역 학생들이 면 지역 학생들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다만, 추상성 요인에서는 면 지역 학생들이 시 지역 학생들보다 수학불안이 유의하게 높았다. 선호 수업형태에 따른 수학불안은 대체로 온라인 및 개별 수업을 선호하는 학생들이 오프라인 및 모둠 수업을 선호하는 학생들보다 높았으나, 일부 요인을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학생변인 중 남학생, 진학을 희망하는 경우, 성적이 좋은 경우, 수학과 관련된 진로를 희망하는 경우, 보호자의 관심이 높은 경우, 사교육을 받는 경우에 대체로 해당하지 않은 경우보다 수학불안이 낮았다. 이는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수학과 관련된 진로에 맞춘 학습, 부모나 교사의 긍정적 관심과 지원 같은 환경이 수학불안을 완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생들이 처해있는 상황에 맞는 적절한 지원과 교육 방법을 도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유가적 죽음관과 상·장례 의식 연구

        김미경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83

        유가사상은 공자에 의해 집대성된 이래 인류의 발전과 함께 공존해왔다. 그 과정에서 유가 성인들의 가르침은 인간윤리의 근원적 토대로 자리매김 해왔으며, 사회를 구성하고 국가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밑거름으로서의 역할도 해왔다. 그런데 공자에 의해 집대성된 유가사상은 2,500년이라는 시간적 거리를 두고 있는 현대사회에서도 여전히 유효할까? 만약 여전히 유효하다면 어떤 부분에서 그 유용성을 찾을 수 있을까? 논자는 이와 같은 물음에 대한 답을 유가적 죽음관과 상·장례 의식에서 찾고자 한다. 왜냐하면 현대 한국사회의 죽음관이 유가적 죽음관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한국 현대사회의 죽음관 속에서 우리는 여전히 전통사회 죽음의식의 흔적을 강하게 발견할 수 있으며, 특히 상·장례의 의식적인 측면에서는 더욱 더 많은 부분에서 유사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유가사상의 죽음관은 죽음에 현대인들이 갖는 극심한 공포를 극복하는데 있어 긍정적인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상·장례 의식의 경우에는 현대인의 유가적 인성교육에 큰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유한자로서의 모든 인간은 탄생과 죽음 사이에 갇힌 존재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웰빙(well-being)과 웰다잉(well-dying)은 인간 삶의 중심을 차지하게 된다. 여기서 웰빙의 핵심은 건강한 삶과 건전한 정신문화에 있다. 반면 웰다잉의 핵심은 죽음을 맞이할 때 인간이 겪는 많은 감정들을 어떠한 방법으로 해소하며 남겨진 가족들의 마음을 어떤 방법으로 위로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그런데 유가사상은 웰빙과 웰다잉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특히 유가사상에 있어서 죽음관은 삶과 연속적인 입장에서 이해되며 이러한 관점은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바로 이러한 측면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유가사상에서 죽음이 갖는 의미가 무엇이며, 죽음과 관련된 상·장례 의식이 갖는 의미가 어떤 것인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통해 유가적 죽음관과 상·장례 의식이 현대인의 죽음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점이 있다고 한다면 그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주요어 : 공자, 주자, 도, 인(仁), 상례(喪禮), 장례(葬禮), 가례(家禮), 죽음, 주요어 : 웰빙, 웰다잉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