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집단 활동을 통한 영어 읽기 수업지도 방안

        송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수업에 흥미를 갖고 소집단 활동을 통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며 읽기 지도를 통하여 효율적인 독해를 하도록 동기를 촉구하는 데 있다. 국가의 제7차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며 외국문화를 수용하여 우리문화를 발전시키고 개인별 수준차를 고려한 수준별 수업과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목표로 삼고 있다. 또한 상호작용으로 구성된 과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래서 학생들의 학습환경도 다인수 학급에서 생기는 문제를 고려하여 효율적인 소집단 학급으로 구성하여 자신의 목적에 맞는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영어를 할 수 있는 의사소통 중심의 읽기 지도에 중점을 두었다. 영어 독해에 있어서 읽기 전략과 해석 기술 훈련은 영어 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단계이므로 학생들 스스로가 영어 독해를 할 수 았도록 가능성을 갖게 하는 것이고 영어를 더욱 홍미 있게 배우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개인적 정보와 즐거움을 주며 읽기를 촉진시키는 인기 있는 방법은 다독이며 학생들이 보통 교실 밖에서 그들의 수준에 맞는 언어를 능숙하게 다루며, 수준 내에서 자신들이 선택한 자료를 읽는 것이다. 문법이나 어휘를 유용성보다는 어려움에 근거하는 단어 등 설명하는 전형적인 정독과 비교해볼 때, 다독은 훑어읽기나 중요 정보 찾기 기능으로 읽는 동기뿐만 아니라 많은 어휘나 문장구조를 개발시킨다. 이 기능들은 학생들의 읽기 속도를 증가시켜 핵심상황이나 특정 정보를 찾고 유창성을 기르는데 도움을 준다. 이 연구에 대한 결론은 무엇보다도 먼저 학습자가 독해 전략을 체계적으로 배운다면 문맥의 내용을 이전보다 쉽게 이해하며 읽기 속도 능력이 발달되어 학생들에게 보다 훌륭한 의사소통능력을 길러줄 것이다. 둘째, 읽기 동기를 촉진시키고 학생들을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 40명 이상의 학생들을 6-8명의 학생들로 소집단형태로 나주어서 자신의 능력에 맞추어 상호 개인차를 보완해 줌으로써 학생들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하여 학업 성취도를 높여주는 결과를 가져다 줄 것이다. 셋째, 효율적인 소집단 활동을 이용하여 교실에서 유용한 실제 사용되는 자료나 교재를 학생들이 다룰 수 있고, 자료를 읽고 난 후 정보를 알아내어 학생들이 영어 수업에 관심을 갖고 즐겁게 수업 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소집단을 통한 문화배경 지식을 연구하여 사회언어학적 비 언어학적 의사 소통능력, 문화간의 상호작용능력은 학생들로 하여금 문화적 속박을 줄이고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을 행하고 독해전략을 이해한 학생들은 그들의 읽기 효과에 좋은 결실을 가져올 것이다. 결론적으로 다양한 학습 읽기 프로그램 과업활동이 이루어져 읽기 의사소통능력을 기르는데 교사와 학생들간의 거리를 줄여 주며 자기 주도 학습과 협동학습을 권장하여 효율적인 읽기 지도 향상에 도움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students more interests, to be able to cultivate communication ability and to stimulate motivation in studying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through small group activities. The nation's seventh English curriculum emphasizes on the importance of the communication task, which is mainly made up of interaction. The task itself has also been a central topic to the language teaching as well as language learning. So a teaching method was designed and executed for cooperative small group learning which could be useful in overcoming the normally oversized classes. It seems to be the most important and basic step in English education. Therefore, training decoding skills enable students to have the possibility of reading English for themselves and to have more interests in learning English. A popular approach that promotes reading for personal information and pleasure is extensive reading, in which students read self-selected material within their level of language proficiency, at their own pace, usually outside of class. When we compare to use typical intensive reading explicating grammar and vocabulary (words are chosen based on difficulty rather than on usefulness), extensive reading can help students increase their reading proficiency by developing a large sight vocabulary and text structure knowledge as well as their motivation to read.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f the learners have learned reading skills systematically, they will understand easier than before about main points and content and get the excellent results to improve their reading comprehension. Secondly, to stimulate English reading motivation and active student participation, each classes of over 40 students was grouped into 6 of 8 students facing each other to help shy and withdrawn students centering group leader. Thirdly, for effective mini-group lessons, each group had a leader who oversaw the progress of his peers according to carefully planned instruction for this purpose. Fourthly, The students who have obtained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ies for small groups could be rewarded with good fruits. In conclusion, this study used many types of variable learning programs tasks. It included the utilization of the monitor,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ies for the purpose of the achieving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through small group activities.

      •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을 적용한 합창 교수 학습 방안

        이태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고든은 오디에이션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며, 오디에이션의 8가지 유형과 6단계를 설명하고 이것을 음악학습이론에 적용시켜 변별학습과 추론학습의 단계를 설명하는 기술연계학습이론과 조성과 리듬의 위계화를 설정한 내용연계학습이론을 제시하였다.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의 핵심 개념인 오디에이션의 전제 조건은 소리를 음악적으로 지각하는 능력이다. 음악 수업 시간에 소리를 음악적으로 지각하는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이 기본 과제인 것이다. 이러한 소리에 대해 집중할 수 있는 좋은 방법 중의 하나가 합창이고, 합창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이 많으므로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을 적용하여 합창 학습 모형을 구안했고 그에 따른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음악 교과 시간에 초반부 5분 정도는 다양한 음정 패턴의 연습을 하도록 제시하였는데, 교사의 패턴을 단순히 따라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패턴 연습을 하는 가운데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의 추론학습 중 일반화 또는 그 이상의 단계까지 나갈 수 있도록 꾸준한 연습이 필요하다. 위의 초반부 패턴 학습 후에 합창 교수 학습 방안에서는 악보를 보고 성부를 익혀서 합창을 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교사의 목소리로 제재곡의 가락을 들으면서 학생들은 규칙박을 신체로 쳐서 기본박과 세분박의 구성을 느끼며 제재곡이 몇 박의 곡인지 감지를 하고, 그 가운데 곡의 가락에 어울리는 화음을 오디에이트하여 교사와 확인을 하며, 모둠으로 나눠 화음 반주를 하면서 악보를 확인한다. 학생들이 파악한 화음을 악보로 확인하고 각 성부의 음을 익혀 합창을 하고, 악상의 표현 방법을 토의하여 표현하고 오스티나토 가락의 연주 또는 간단한 화음 반주를 하며 합창을 한다. 합창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익힌 리듬꼴이나 화음의 진행, 음계 등을 바탕으로 즉흥 연주 및 리듬 짓기, 가락 짓기 등을 하고, 수업 진행 속에서 알게 된 사실들을 이론적으로 정리하는 시간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을 적용한 합창 교수 학습 방안에서는 수업 초반부의 패턴 학습이 기본이 되고, 단순한 모방에 의한 소리의 재생이 아닌 학생 스스로의 내적 생산에 의한 소리의 표현이 되도록 반복적으로 지속적인 패턴 연습이 필요하다. 수업의 진행은 되도록 교사의 육성으로 하며, 귀로 감지한 소리와 악보를 결합하는 과정이 수반되며, 먼저 화음을 파악하고 화성의 진행과 가락의 흐름을 익힌 후 각 성부의 가락을 익혀 합창을 하게 되어 성부의 가락을 더 정확히 노래 부를 수 있다. 또한 리듬 짓기와 가락 짓기, 악기 연주 등의 다른 활동과 연계하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인간 경험의 역동적 특질’ 탐색 중심의 음악 감상 교수.학습 방안 연구

        이문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음악은 인간의 삶과 분리되어 생각될 수 없다. 음악 속에는 인간의 영혼이 담겨져 있으며, 인간의 삶과 경험이 살아 숨 쉬고 있다. 그런데 학교 음악교육에서 ‘인간’에 관하여 충분히 생각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의문이 든다. 여러 음악 미학적 관점들은 음악의 본질과 가치에 대한 물음에 답변을 제시해 줄 수 있으며, 그 가운데 표현주의 미학자들은 음악의 본질이 인간의 존재, 즉 삶의 경험이나 느낌에 있다고 주장한다. 음악의 본질이 인간의 경험이나 느낌에 있다면, 그것이 학교 음악교육의 목적과 목표를 설정하고 내용과 방법을 결정하는 데 기초가 되어야 함은 당연한 사실이다. 그것은 인간의 경험이나 느낌이 바로 음악을 생성하게 하는 근원이자 원리라는 의미이며, 학문의 생성 원리에 관한 이해는 학교 교육의 목적이자 기본이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음악교육 현장에서는 다른 두 가지의 음악 생성 원리를 중심으로 음악 감상교육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 두 가지 원리란, 관련주의 미학에 근거하여 음악 외적 대상과의 관련성에서 음악의 본질과 의미를 찾는 경우와 형식주의 미학에 근거하여 순수한 음의 형식을 통해서만 그 본질과 의미를 찾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관점들과 더불어 음악을 ‘인간 경험의 특질’로서 바라보는 관점이 동등한 위치에 놓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인간 경험의 특질’이 음악 속에 어떻게 내재되어 있는가를 탐구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인간 경험의 특질로서의 음악 이해에 해답의 실마리를 줄 수 있는 미학적 관점인 표현주의의 대표적인 미학자 존 듀이(John Dewey)는 예술은 경험의 세련되고 강화된 형식이며, 경험의 형식은 역동적인 조직화의 결과라고 밝히고 있다. 또 다른 표현주의 미학자인 수잔 랭거(Susanne K. Langer)는 예술이 감정의 역동적 형식이라고 주장한다. 결론적으로 듀이와 랭거는 공통적으로 ‘인간 경험의 역동적 특질’과 예술 형식 간의 관련성 측면에서 예술의 의미와 가치를 찾으려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들의 예술론을 중심으로 ‘인간 경험의 역동적 특질’ 및 악곡에 나타난 모습을 탐구해보았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명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불균형과 불안정의 상태로부터 벗어나기 위하여 성장을 이루어가는 가운데 균형과 안정의 상태를 성취하게 된다. 이러한 성장의 본질은 긴장과 갈등의 요소들을 극복하는 데 있으며, 긴장이나 갈등의 요소가 없는 경험은 그 자체로 미적 성질을 가지지 못한다. 또한 감정이라는 내적 경험의 형식에 있어서도 모든 감정에는 긴장과 이완의 요소가 존재한다. 이러한 인간 경험의 역동적 특질은 악곡에 나타나는 긴장의 요소와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다. 악곡에는 긴장의 요소가 항상 존재하며, 그것의 이완과 해결을 지향하게 된다. 둘째, 긴장과 갈등의 상태를 극복하여 평형화의 상태에 이른 경험은 이전과는 다른 성장되고 발전된 상태의 경험이다. 즉 경험 속에는 성장과 발전의 요소가 반드시 존재하는 것이다. 이는 음악에도 해당된다. 음악은 반복, 변형, 대조를 통하여 악곡을 성장, 발전시켜 나가게 된다. 그것은 양적, 질적 상태에의 도달을 의미한다. 셋째, 경험이나 느낌은 그 속에 개별성 및 통일성을 포함하고 있다. 경험이나 느낌을 이루는 각 부분들은 고유의 개별성을 지니는 동시에 전체의 통일성에 기여한다. 악곡 역시 각 부분이 개별성을 가지는 동시에 하나의 전체를 완성시킨다. 악곡의 통일성에 기여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는 조성과 반복, 형식 등을 들 수 있다. 위의 세 가지 특질 가운데 앞의 두 가지 특질을 중심으로 악곡에 나타난 ‘인간 경험의 역동적 특질’을 음악의 구성 요소별로 탐구해 보았다. 긴장과 이완의 원리는 큼작음, 빠르기, 음색, 가락, 흐름결, 조직, 형식, 화성 요소로 나누어 탐구해 보았고, 성장과 발전의 원리는 반복, 변화, 대조 및 형식 요소로 나누어 탐구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악곡에 내재된 긴장과 이완의 원리 및 성장과 발전의 원리 탐색 중심의 음악 감상 교수·학습에의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긴장과 이완의 원리 탐색 수업을 위해 작곡가가 ‘왜 그런 기호를 쓰고, 왜 어떤 음악 구성요소에 변화를 주었는가?’하는 근본적인 문제를 끊임없이 생각하게 하여야 한다. 둘째, 악곡 형식의 지도에 있어서 형식의 구조가 우선이 되는 수업이 아닌, 그 속에 포함된 반복, 변형, 대조의 원리에 의해 그 형식이 생성되었음을 알게 아는 수업이 되어야 한다. 그 외에, 악곡의 전체 흐름을 느끼도록 하는 감상학습이 이루어져야 하고, 학생들이 느끼고 인식하게 된 경험의 특질의 원리들을 표현해 보는 일이 필요하며, 총체적 음 현상의 탐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교수·학습에 있어서의 방향 설정을 위해 적절한 발문이 이루어져야 하며, 타 예술과의 활동 연계가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가사가 있는 악곡은 기악곡 감상학습의 기초가 될 수 있으며, 미적 특질을 가지는 인간 경험과 유사한 좋은 악곡의 선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시사점을 토대로 음악 감상 교수·학습의 지도 단계를 설정하였는데, 첫 느낌 단계, 탐색 준비 단계, 탐색 단계, 의미 도출 단계, 총체적 느낌 단계의 총 다섯 단계이다. 탐색 준비 단계는 탐색 단계에서 음악적 접근을 하기 이전에 다른 예술, 예를 들어 미술이나 무용, 문학과 관련지어 음악적 특징을 느끼도록 하는 단계이다. 탐색 단계는 음악을 반복하여 들으면서 음악에 나타난 ‘인간 경험의 역동적 특질’과 그 음악적 이유를 탐색하는 단계로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의미 도출 단계는 악곡에 나타나는 인간 경험의 역동적 특질들이 악곡에서 어떤 역할을 하며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생각하고, 생활 속 음악과 연관시키는 활동 등을 통하여 그 의미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감상악곡은 7차 교육과정의 감상악곡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각 악곡에 나타난 긴장과 이완의 원리 및 성장과 발전의 원리를 음악 내적 요인을 통해 분석하고 학습 목표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위의 단계에 따라 음악 감상 교수·학습 방안을 구안해 보았다. 악곡 형식에 나타난 ‘인간 경험의 역동적 특질’을 탐색하는 음악 감상 교수·학습이 음악교육을 통한 인간과 삶의 이해 및 통찰에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설 수 있는 길이 되리라 생각하며, 음악교육이 인간교육의 의미를 지니고 그 가치를 더욱 공고히 하게 되기를 바란다. Music is inseparable with human life. Music contains the human spirit and reflects human life and experience. However, it is doubtful whether music education in schools sufficiently considers those “human” aspects of music. Various musical angles all try to answer the questions about the essence and value of music and expressionists believe that such essence lies in human existence, namely experiences and sensations. If the core of music lies in experience and senses, it is obvious that this should be the foundation in setting goals and expectations of school music education. Again, human experience and feelings is what makes music possible, its essence. And the essence and origin of an art(music) should be a basic goal of education. In actual education, however, other two principles of creation for music are the focus of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The other two principles refer to aesthetic relativism, whose basic premise is to find the essence of music through elements outside of music and formalism, which seeks to extract meaning and essence through pure analysis of the form of musical notes. However, the viewpoint of valuing “Specific nature of human experience” should be equally emphasized. For this, ‘Nature of human experience’ as it manifests itself in music should be explored first. Expressionism provides a first step in understanding music appreciation as a specific form of human experience. According to popular expressionist John Dewey, Art is a refined and fortified form of experience, experience being the result of dynamic organization. Another expressionist aesthetician S. K. Langer argued that art is the active form of emotion. Dewey and Langer both attempted to find the meaning and value of art with the relation between ‘The dynamic nature of human experience’ and the form of art. Based on their artistic views, the ‘Dynamic nature of human experience’and its manifestation in music had been explored, and below is the findings. Firstly, life attempts to escape imbalance and instability through interaction with its environments, gradually achieving balance and stability. The essence of this development lies in the overcoming of elements such as tension, and experience in the absence of such tension or conflict tends to lack aesthetic characteristics. Also even in emotion, a form of internal experience, tension and conflict is always present. Music always includes an element of tension, and its relaxation and resolution is sought for. Secondly, experience in equilibrium, having conquered its tension and conflict, becomes distinguished, being more developed and advanced. Indeed, experience always implies growth and development. The same applies to music. Reprise, metamorphosis, contrast in music develops and advances it. This leads to qualitive and quantitive attainment. Thirdly, experience and feelings contain in themselves, individuality and unity. Each part of experience retains its own characteristic while contributing to the unity of the whole. Each part of music has its own individuality while completing the page. Important elements contributing to a piece’s unity are composition, repetition, and form. The former two elements of the aforementioned three manifestations of the ‘dynamic nature of human experience’ in music were further investigated. The principle of tension and release was categorized and researched as dynamics, tempo, timbre, melody, rhythm, texture, form, harmony, while the principle of development and advancement was researched as repetition, metamorphosis, contrast and form elements. This research arrived to the following findings on the implications of the search of principle of tension and releas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inherent in music on musical appreciation teaching and learning. First of all, in teaching the search of tension and release, students should be required to ask the fundamental question ‘Why was this specific note used, and what implication does it have to the music?’ of themselves. Secondly, in the teaching of musical form, the repetitions, metamorphosis, contrast principles contributing to the total structure should be emphasized over formal structure. Also, teaching of appreciation of entire flow should be emphasized, and expression of the experiences of individual students should be emphasized, allowing for total tonal exploration. Appropriate inquiries on the direction of effective teaching-learning should be allowed, and cross-professional studies could prove effective. Music with lyrics could serve as a basis for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and selection of such music that appropriately portrays human musical experience is essential.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several steps of Music appreciation teaching and learning had been laid down. They are the first impressions stage, exploration preparation stage, exploration stage, meaning extraction stage, comprehensive feeling stage, five in total. The exploration preparation stage serves as a step before exploration where other art genres such as painting, choreography, literature are introduced to relate with the musical features. The exploration stage involves repeated listening, to explore the ‘dynamic nature of human experience’and its musical background, and thus serves as the crucial step. Meaning extraction stage is where it is examined what each functions and meaning nature of human nature featured in the piece serve is viewed in light of the whole piece. It is furthered through connecting with real life activities and their meanings. The musical selection was composed of the music included in 7th amendment of Korean education course, and the tension &releas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principle of each piece was analyzed through inherent features to set educational goals. And according to the above stages, a music appreciation teaching-learning program was planned. It is hoped that, through this music appreciation teaching-learning education based on the exploration of ‘dynamic nature of human experience’in music, apprehension and insight of people and their lives could become one step closer, and music education strengthens the meaning of education.

      • ‘충동.탐구.공감’ 의 과정을 통한 음악 창작 학습 지도 방안 연구

        김경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People are instinctively creative and feel a great sense of joy and pride about their creations. When children, who especially need to develop a positive musical attitude and musical abilities, go through a creative experience, it not only motivates self-esteem but also effectively allows them to clearly understand how music works and actually experience the creation of music. Thus, creating music can be seen as the most active music activity because the creator has to combine and adopt existing music ideas and musical capabilities.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o think hard about what kind of aesthetic process of creation children go through, and how music writing classes should be taught to children so they feel a great joy of cre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ges and methods of aesthetic creation for a creative writing class based on B. Reimer's 'impulse, exploration, sharing' process in chapter 2, 'aesthetic creation' of his book, "A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and examined an effective music writing teaching method. The first stage of creation, 'impulse,' makes the child want to create, thinking, 'I want to make a song,' or helps the child find musical ideas from within himself or herself. The song can change depending on how this theme adapts musical factors and principles to the next stage, 'exploration.' This stage is exploring and analysing so the musical idea seed can grow into a tree with the desire to create music. Lastly, in 'sharing,' the child who made the song and the child who listens to the music share the common beauty of the song that goes beyond differences in life and share a common emo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ssence and principle of the 'impulse, exploration, sharing' process presented by Reimer and presented a music teaching method of 5 stages and specific activity contents and methods, as follows. 1) Impulse of germinal idea This is the stage where the child wants to create and comes up with musical ideas. The desire to create can be stimulated by listening to existing songs or by making the child remember a creative experience. Musical ideas can be stimulate through things other than music such as visual, langage or movement stimulators, and through musical stimulators such as rhythm, melody, accompaniment and variation. 2) Understanding of idea Understanding of idea is the process of knowing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a musical idea and exploring how it can be changed. Thus, this is the stage where musical structural factor, creation and expression principles are examined. 3) Idea materialization The structural factors and creation expression principles organized and reviewed in the stage above are combined and actual sound is made in this process. 4) Attempt of various expressions This stage looks for new expression possibilities of the work materialized in the stage above. This stage is necessary because the sound inside someone's head might not sound like that person intended when actually materialized and heard. When this stage is repeated many times, children develop creativity and it stimulates musical growth. 5) Aesthetic sharing Aesthetic sharing means sharing between a musical work and the listener, and this is in turn sharing between the creator and listener. By listening to and evaluating each others' works and thinking of one's own experience through a musical piece, people share what is universally felt as being beautiful. The musical writing teaching process can be executed in various ways, but children have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beauty of music when the process is systematic, based on a principle of aesthetic creation.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needed on specific contents of each of the stages. 인간은 본능적으로 창의적이고 그들 자신이 만든 창조물에 대하여 무한한 기쁨과 놀랄만한 자부심을 가지게 된다. 특히, 음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음악적 능력을 길러야 하는 어린이의 경우 창작의 경험이 자아 동기 유발이 될 뿐 아니라 음악이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분명히 밝혀주고 음악이 발생하는 것에 대한 실제 경험을 주는 데 효과적이다. 즉, 창작은 형성된 음악적 개념과 음악적 능력을 종합하고 적용하며 만들어 낸다는 점에서 가장 적극적인 음악 활동이라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심미적 창작이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어린이가 더욱 더 큰 창조의 기쁨을 느끼기 위해 창작 수업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은 의미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심미적인 창작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리머(B. Reimer)의 저서「음악교육철학(A Philosopy of Music Education)」제 2 장 '심미적 창조'장에서 제시한 '충동'(impulse), '탐구'(exploration), '공감'(sharing)의 과정에 바탕을 두고 심미적 창작의 단계와 방법을 탐색해 보고 효과적인 음악 창작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창조 과정을 시작하게 하는 '충동'은 '곡을 만들고 싶다'라는 창작 욕구를 가지게 하거나 아동 개인의 내면에 들리는 음악적 아이디어를 찾게 하는 것이다. 이 주제는 다음 과정인 '탐구'에서 어떠한 음악 요소와 원리를 적용하는가에 따라 다시 곡이 달라진다. 씨앗과 같은 음악적 아이디어와 음악 창작 욕구를 나무로 자랄 수 있도록 탐구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공감'이란 작품을 만든 어린이와 감상하는 어린이가 삶의 차이를 초월하여 음악 작품 속에서 공통된 아름다움을 경험하고 아름다움에 대한 공통적인 감정을 가지게 되는 것을 말한다. 리머가 제시한 '충동·탐구·공감'과정의 본질과 원리를 탐구하여 다음과 같이 5단계로 음악 지도 단계를 마련하고 구체적인 활동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1) 자극 착상 어린이가 창작 욕구와 음악적 아이디어를 가지게 되는 단계이다. 창작 욕구는 기존 곡의 감상을 통해 불러일으킬 수도 있고 어린이가 창작했던 경험을 떠올리는 활동을 통해서도 가질 수 있다. 음악적 아이디어는 시각, 언어, 움직임 등의 음악 외적인 자극으로 가질 수도 있고 리듬, 가락, 반주, 변주 등과 같이 음악 요소를 통하여 음악 내적인 자극으로도 가질 수 있다. 2) 착상 이해 착상 이해는 자극 착상의 단계에서 가지게 된 음악적 아이디어의 근본적 성질을 알고 근본적 성질이 어떻게 변화될 수 있을지 탐구하는 과정이다. 즉, 음악의 구성 요소와 생성 원리 및 창작 표현의 원리를 살펴보는 단계이다. 3) 착상 형상화 착상 이해 단계에서 검토하고 정리하였던 구성 요소와 창작 표현 원리를 결합하여 실제 음향으로 만들어내는 과정이다. 4) 다양한 표현 시도 착상 형상화에서 이루어진 작품의 새로운 표현 가능성을 찾아보는 단계이다. 이 단계가 필요한 이유는 머릿속에서 상상하고 떠올렸던 표현이 실제 소리로 형상화되었을 때 자신의 의도와 맞지 않을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면서 아동들의 창의성이 길러지고 음악적 성장이 촉진되어진다. 5) 미적 공유 미적 공유에서는 음악 작품과 감상자 사이에 일어나는 공유를 말하며 이는 곧 창작자와 감상자 사이에서 일어나는 공유라 할 수 있다. 서로의 작품을 감상하면서 평가하고 작품 속에서 자신의 경험을 떠올리며 인간이 보편적으로 아름답게 느끼는 것을 공유하게 된다. 음악 창작 지도 과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심미적 창조의 원리에 맞추어 체계적인 학습 단계가 이루어질 때 아동은 음악적 특질과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받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단계별 구체적인 내용은 더욱 활발히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과업중심 영어 듣기활동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정형철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학생들에게 흥미를 주고 학습 동기를 불러 일으켜주는 과업 중심 영어 수업에서 듣기 투입과 듣기과업을 영어교육에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제7차 영어 교육과정은 주로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으로 구성된 과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리고 과업은 학습자 중심이고 의사소통 기능보다는 의사소통 활동에 더 가치를 두고 있다. 따라서 듣기 과업을 영어 교육에 활용한다는 것은 유창성을 추구함과 동시에 정확성을 함양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게 된다. 과업은 학습자들이 실제 결과물을 달성하기 위하여 언어를 사용하는 목적 지향적 활동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과업을 수행하는 동안 학습자들은 의미에 초점을 맞춘다. 그들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언어를 사용하여 의미를 교환한다. 완벽한 과업의 틀은 교실에서 언어학습의 기본 조건(언어노출, 언어사용, 동기부여)을 만들어 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 과업 단계에서 학습자들에게 관련된 단어와 구를 회상 시켜 주고 새로운 단어나 구를 인식하게 해주는데 도움을 준다. 여기서 어린 시절 여행에 관한 추억을 비교하는 개인적 경험을 나누는 열린 과업이라면 학생들은 유창한 화자가 말한 비슷한 과업의 녹음을 듣거나 교재의 일부를 읽는다. 학습자에게 있어서 똑같은 과업을 수행하는 다른 화자의 녹음물을 듣는 것은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그들은 과업목표가 무엇인지를 알고 의미를 확인하며 대본을 공부함으로써 더욱 상세하게 구어의 특징을 조사해볼 수 있다. 과업수행 순환단계에서 과업은 학생들이 짝으로 그룹으로 행해지고 그들이 표현하고자 하는 언어를 사용하고 그들이 말하고자 하는 것을 말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보고계획은 다음 단계에 대한 준비를 한다. 거기에서 학생들은 그들이 어떻게 과업을 수행했으며 결과물이 무엇인지를 전체 학생들 앞에서 간략하게 발표한다. 결과보고에서 교사는 몇몇 짝에게 전체 학생에게 보고하게 하여 모든 학생들은 그들이 발견물을 비교한다. 문제해결이나 목록 만들기 같은 닫힌 과업은 과업수행 후 학생들은 똑같은 과업을 수행하는 유창한 화자 녹음물을 다시 한번 듣고 자기 과업을 수행했던 방법과 비교해본다. 언어초점 단계는 과업중심 교수-학습 틀에서 마지막 국면이다. 그것은 과업순환의 결과보고 단계 후에 오고 명백한 언어 수업 기회를 제공해준다. 언어노출, 언어사용, 동기부여에 첨가해서 학습자들은 또한 언어형태에 초점을 맞춘 수업으로 혜택을 받는다. 교사는 학생들이 읽어왔던 교재를 근거로 하거나 혹은 그들이 들었던 녹음물의 대본을 근거로 해서 언어초점 과업을 설정한다. 언어분석의 목적은 학생들이 언어를 탐구하고, 통사, 연어, 어휘 등의 인식을 향상하고, 언어의 어떤 특정에 대하여 관찰했던 것을 체계화하고, 개념을 분명히 하고, 새로운 것을 주목하는 것을 도와준다. 이 논문은 학습자들이 재미있어하는 듣기과업을 교실의 적용에 초점을 맞추었다. 듣기과업은 구어자료의 녹음이나 시각자료를 통해서 학습자의 언어입력을 해준다. 다시 말해서, 학습자에 이해 가능한 압력을 제공해준다. 듣기과업을 교육적으로 적용해볼 때 과업중심 듣기 교재가 청해를 가르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 먼저 철저한 분석이 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언어 네 기능이 통합되어 사용될 수 있고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듣기과업을 교사들이 체계적인 절차와 방법으로 개발해야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듣기수업 한 단원의 사례는 학생들에게 과업중심 듣기 수업을 설계하고, 듣기과업 활동을 지도하는데 크게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in detail, English task listening activities in EFL classrooms in order to improve the learner's listening comprehension skills. The nation's seventh English curriculum emphasizes on the importance of the communication task, which is mainly made up of interaction. The task, itself, has also been a central topic to the language teaching as well as language learning. In comparison with traditional PPP(presentation, practice and production) model TBLT(task-based language teaching) gives the students a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listening activities. The task is defined as a goal-oriented activity in which learners use language to achieve a real outcome. The important thing is that while doing the tasks, learners are focusing on the meaning and using language to exchange meanings for a real purpose. The complete task framework aims to create the essential conditions(exposure, use, motivation) for language learning in the classroom. The pre-task phase gives useful exposure which helps students to recall relevant words and phrases and to recognize new ones. Here, if the tasks consist of comparing personal experiences students can hear a recording of a parallel task being said by fluent speakers, or being read part of a text. They will get a clear idea of what they are expected to do and how. In the task cycle the task is done by students in pairs or groups and gives them a chance to use whatever language skills they already have to express themselves and say what they want to say. Planning stage prepares for the next stage, where students are asked to report briefly to the whole class how they did the task and what the outcome was. In the report stage, the teacher asks some pair to report briefly to the whole class so everyone can compare findings. If the tasks are closed ones, such as problem to solve or listing, after the task students also listen to a recording of fluent speakers doing the same task, and compare the ways in which they did the task themselves. Language focus adds an opportunity for explicit language instruction. In addition to exposure, use and motivation, the learner also benefits from instruction focused on language form. The teacher sets some language-focused tasks, which is based on the texts students have read or on the transcripts of the recording they have heard. Language analysis activities are to help students to explore language and develop an awareness of aspects of syntax collocation and lexis. And language practice activities are conducted as needed, based on language analysis work already on the board, or using examples from the text or transcript.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listening tasks on English education that is favored by the learners. Listening tasks can draw on learner's own input through recordings of spoken data, or visual data In viewing the educational applications of listening task, many task-based listening course-books and textbooks are examined and analyzed in order to be effectively used for teaching listening comprehension in English classrooms. So we suggest that listening tasks should be used for the language skill-integrated classrooms, and a systematic procedure or method is developed by teachers for students' taking part in meaningful listening tasks. Here, one example unit of listening task can be referred to as a stepping-stone in designing task-based syllabus and developing listening task activities for Korean students.

      • 미적 탐구 중심의 음악 감상 지도 방안 연구

        이승현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예술 작품 속에서 다양한 표현 형식으로 인간의 삶의 본질을 표현한 심미적 특성을 경험하는 것은 자기 인식과 함께 다양한 미적 상태를 통찰하고 공유한다는 점에서 매우 의의 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예술 교육은 다양한 표현 형식에 내재하는 고유의 미적 특질을 지각하고 반응하는 능력인 미적 감수성을 계발하게 하는 동시에 다양하고 수준 높은 미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이끄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음악 작품에서 아름다움과 그 의미는 음악의 표현 형식을 통해서 표현된다. 음악에서 표현 형식은 음악의 구성 요소인 리듬, 선율, 화성, 구조, 형식, 큼작음, 빠르기, 음색과 음악적 정서에 공헌하고 있는 모든 것에 의해 표출되는 미적 특질의 표현을 말한다. 이러한 미적 특질의 표현성을 감지하여 느끼고 그 의미를 통찰하는 것은 미적으로 지각하고 미적으로 반응하는 행위에서 시작된다. 음악 교육은 음악을 미적으로 지각하고 그에 미적으로 반응하는 능력인 음악 미적 감수성을 계발, 향상하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감상 활동을 통하여 음악 작품의 표현 형식 속에 내재된 미적 요소들을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탐구하여 미적 지각과 반응을 심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이론적 근거로 음악교육은 음의 미적 특질에 대한 반응을 발달시킴으로써 인간의 느낌을 교육하는 것이라고 주장한 리머의 이론과 학교의 교육과정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표상의 형식들, 즉 예술 작품을 볼 수 있는 눈을 키워야 한다고 주장한 아이즈너의 이론을 살펴보았다. 이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미적 감수성 계발 및 향상을 위한 미적 탐구 중심의 음악 감상 지도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일반적인 음악 감상의 의미와 목적에 관해 살펴보았고, 이와 함께 앞서 이론적 배경에서 고찰한 내용을 참고하여 미적 탐구 중심의 음악 감상에 관해 서술하였다. 그리고 적합한 감상 지도 내용을 선정하기 위해 제7차 개정 교육과정(2007. 2)의 중학교 음악 교과 내용체계를 이해, 활동(감상을 중심으로), 생활화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현행 9종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감상 활동의 지도내용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내용체계 중 중학교 2학년의 이해와 활동 영역에 적합한 감상곡을 선정하여 지도 내용을 탐색해 보았다. 감상곡은 제7차 교육 과정에서 ‘다양한 시대와 문화권의 음악듣기’라고 명시되어 있듯이 교과서에서 주로 다루지 않았던 작품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라헨만의 ‘Ein Kinderspiel’ 중 1번 ‘Hanschen klein’이 그 일례이다. 미적 감수성 계발 및 향상을 위한 미적 탐구 중심의 음악 감상 지도의 구체적인 방안으로 그에 적합한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세자르 프랑크의 ‘바이올린 소나타’ 중 4악장, 무소르그스키의 ‘전람회의 그림’ 중 ‘프롬나드’ - ‘난쟁이’ - ‘프롬나드’와 슈베르트의 가곡 ‘마왕’의 세 개의 악곡을 선정하여 실제 지도 방안을 구안하였다. 요컨대 ‘미적 탐구 중심의 음악 감상 지도 방안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표현 형식에 내재하는 음악 작품 고유의 미적 특질을 미적으로 지각하고 반응하는 능력인 미적 감수성을 계발?향상시켜 미적 경험으로 이끌도록 하였다. Experiencing the aesthetic quality in the arts is very significant because it makes one share his/her aesthetic insights in common accompanied with self-recognition of oneself as well. A work of art presents the essence of the human life with varied ways and mainly that can be the aesthetic quality in it. In other words, the aim of music education lies in the development of the aesthetic sensitivity which is about the perception and response of the individual aesthetic quality in itself and instalment of various and high-level aesthetic experiences. Beauty and meaning in the work of music can be presented by the representation symbol. Representation symbol in the context of music indicates presentations of the aesthetic quality by musical factors, such as rhythm, melody, harmony, structure, form, dynamic, tempo and tone color, and also by all things which contribute the musical sentiment. Perceiving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aesthetic quality and considering the meaning of it can be starts with the behaviour of the aesthetic perceptions and aesthetic responses The music education aims to develop and to enhance the aesthetic sensitivity which is ability about the aesthetic perceptions and the aesthetic responses. So that, this study intends to search ways for performing the very active investigation about the aesthetic component which lies under the representation symbol of the works through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and deepen the aesthetic perceptions and responses more further. First, I examined two theories about the music education, one is by B. Reimer who claimed music education is about teaching human feelings by developing the responses of aesthetic component of tones and the other is by E. Eisner who thinks school curriculum should be contributed to instruct pupils to distinguish many different presentation forms, in other words, to have them the eyes to appreciate the work of arts. Based on two theories mentioned above, I researched the teaching method for music appreciation focused on the aesthetical inquiry for development and the improvement of the aesthetic sensitivity. First, I reviewed the meaning and goal of the music appreciation in general and described actual music appreciation focused on the aesthetical inquiry in reference to the theoretical bases already claimed. And I examined the Music Category in Revision on 7th Curriculum for Middle School(in Feb. 2007) by three parts-comprehension, activity(focused on appreciation) and application. I also analysed the actual appreciation activities in 9 authorized textbooks now in use. With these backgrounds, I chose the musical works for appreciation activity appropriate for the understanding and the performances of the 2nd grade students. My choices were largely intended to select works which has not been previously covered in the textbook, as represented by the 7th Curriculum - 'Appreciation of music with different ages and cultural areas', for example, No. 1, 'Hanschen klein' from <Ein Kinderspiel> by H. Lachenmann. As for the practical scheme for the teaching method about the music appreciation which is focused on the aesthetical inquiry for development and the improvement of the aesthetic sensitivity, I presented the actual lesson model suitable for my purpose, and I selected three musical works - 4th movement on 'Sonata for Piano and Violin in A major' by C. Franck, 'Promenade'-'Gnomus'-'Promenade' on 'Pictures at an Exhibition' by M. Mussorgsky and Lied 'Der Erlkonig' by F. P. Schubert - to design the actual teaching methods. Consequently, I intended to promote students to develop and improve the aesthetic sensitivity which is about the perception and the responses of the music's innate personal aesthetic components aesthetically and lead them to the aesthetical experiences by this study - A Research on the Teaching Method for Music Appreciation focused on the Aesthetic Inquiry.

      • 중학교 영어의사소통 능력향상을 위한 연구 : 영어 노래 지도와 흥미도를 중심으로

        최순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 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영어 노래를 활용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의사 소통 능력을 신장시켜 학습 효과를 증대시키는데 있다. 2장에서는 의사 소통 능력에 대한 기본 이론과 Direct Method에 관한 기본 이론 및 노래 활동 학습의 지도 유형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영어 노래를 교실 상황에 활용하여 광주 비아중학교 2학년 4개반 187명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하였고 현재 교재로 사용하고 있는 (주)천재교육 Middle School English 2의 <Dialog> 대화문을 채택하였다. 실험 수행은 학생들을 각각 실험 집단 2반과 비교 집단 2반으로 나누어 추진 하였는데 실험 집단은 영어 노래를 활용하여 교수-학습을 실시하였고 비교 집단은 시청각 자료와 교실 영어를 기본으로 하는 외국어 습득의 학습 방법인 Direct Method에 의한 반복적인 대화 연습에 중점을 두었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실험 집단은 비교 집단에 비해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을 영어로 표현하는 데 많은 흥미를 갖게 되었고 영어로 표현하는 능력이 증대되었다. 즉, 영어 노래를 활용한 교수 학습 활동은 영어 학습에 대한 동기 유발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 집단은 비교 집단보다 듣기 능력이 향상되었다. 실험 집단의 듣기 이해 점수가 비교 집단에 비해 높은 향상폭을 보인다. 셋째, 실험 집단은 비교 집단에 비해 영어 성취도 평가에서도 높은 접수를 받았다. 그러므로 여타의 결과에서 보아 알 수 있듯이 영어 노래를 활용한 교수-학습을 실시하면 학습자들의 의사 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다음은 우리 나라의 실제 교육 현장에서 영어 노래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몇 가지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영어 노래의 선별과 그 자료를 교실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 무엇보다도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영어 노래 자료 중에서 우리 교육 목적에 맞고 또한 학습자의 정서 함양에 도움이 되면서 수업 시간 중에 학습한 표현들을 활용할 수 있는 노래를 선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둘째, 영어 노래를 활용하는 수업을 가능하게 하는 교실 환경이 구비되어야 한다. 다양한 교수 학습 자료를 활용하기 위해 녹음기, 컴퓨터, 그리고 뮤직 비디오 등을 상영할 수 있는 시청각 기자재가 확보되어진 영어 전담 교실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영어 노래를 통한 학습은 지루하고 답답한 교과서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즐겁고 활기찬, 이른바 학습자 스스로 선택하여 즐기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 방법이다. 다시 말해 여러 가지 음악적 요소를 도입한 영어 수업은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데 크게 기여한다. 따라서 우리의 영어 교육 현장에서의 영어 노래의 효율적인 활용에 대한 다양한 실험 연구와 영어 노래를 활용한 의사 소통에 접근하는 기법에 관한 연구가 요청되며 교사들이 영어 노래를 활용하여 즐겁고 생동감 있는 수업을 통해 학습자들의 의사 소통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how to increase interest and motivation for English learning through English songs. For this purpose, different teaching-learning procedures, the lessons with the use of VCR materials and sufficient classroom English and the lessons with the use of English songs, were designed with 187 of the second graders in the middle school in the Kwangju area. In the lessons with the use of VCR materials and sufficient classroom English, teachers played videos and tape recorders. The students followed the teacher's instruction spoken in English. In the lessons with the use of English songs, students practiced singing songs and reviewed what they had studied through the whole lesson. Several methods were used teacher observation evaluation, students' self-evaluation, the questionnaires,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the students' reaction to the class. Changes in the interest levels and attitudes of students were also evaluated. The results of these various evaluations were analyzed and several conclusions were reached as below: First, in the classes making use of English songs, students learned songs. Students didn't do mimic drills or repetition drills, but they participated in meaningful communicative activities and increased their self-confidence and achievement. They developed a motivation to learn songs. Second, it was also found that English songs contributed to developing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to study English. Third, analyses of the data also indicated that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ir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than those in the other gro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nglish songs can play a key role in enhancing students' motivation and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as well as positively affecting their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ies. Given these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teachers develop various methods and techniques of using English songs in their English classes.

      • 음악적 감각의 계발에 초점을 둔 '즐거운 생활' 교과의 음악영역 지도방안

        문경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Music education in school should help individual’s musical development effectively through understanding students’ developmental stages and supplying them with appropriate and meaningful music experience and environment at their stages. When children experience fundamental music experience at their stages to have peace in mind, emotional satisfaction, and enhanced mental condition, they have musical mind to enjoy and love music during their own life. Music experience from the first to second grade in elementary school can have an effect on students’ musical development. Music education in school should provide them with proper music experience to develop their fundamental musical sensitivity. The first music subject to learn in school is the subject matter of‘Pleasant life’ and teachers understand essential learning elements of music thoroughly to develop children’s musical sensitivity and present them with various methods of music areas in teaching music elements appropriately. In addition, teachers should present children with general experience through teaching the subject matter of‘Pleasant life’ which is an integrated subject at a time when children haven’t develop their specific musical sense yet. At the same time teachers have to indicate meaningful and integrated activities for children to conduct music subject effectively which is taught students from the 3rd graders.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children’s musical sensitivity to lay their basic foundation for musical growth through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ombining essential musical experience for the 1st and 2nd graders with formative and physical activities. The trial to integrate musical, formative, and physical activities was not unreasonable but systematic and meaningful. In the introduction, the necessity, objective, contents, method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in the introduction. For the basis of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integrated education were examined by literature and musical meaning of ‘Pleasant life’curriculum which is an integrated subject was searched. The features of musical development of the 1st and 2nd graders were investigated to find out musical experience appropriate to their development. In the actual study, first, types of integrated ‘Pleasant life’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and announced in February 28, 2007, were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its contents system to consider precautions and aims for integration when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developed. Next, considering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ir musical growth aspects resulted from the basis of the study, essential music elements such as rhythm, melody, dynamics, speed and tune were selected along with their basic elements. The learning elements of rhythm consisted of beat, time, duration, and rhythmic pattern, and those of melody were composed of pitch, its direction, and its pattern. The degree of dynamics and the use of them were chosen as the learning elements of dynamics and the degree of speed and the use of it were selected as those elements of speed. Lastly, the learning elements of tune were surrounded sounds, characteristics of voice sound and those of instrumental sound. Next, among material songs in the 1st and 2nd graders’ music textbooks based on from the 1st to the 3rd national curriculum and those in the subject matter of 'Pleasant life' textbooks from the 4th to contemporary 7th curriculum, musical pieces reflected the basic learning elements of music to be taught were selected. The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planned by the appropriate integration of musical, formative, and physical activities. It is certain that this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s a condition for incorporative trials of high causality and relativity among integrative elements are effective to develop children’s musical sense. 학교 음악교육은 학생들의 발달 단계를 정확히 이해하고, 발달 단계에 적합한 적절하고 의미 있는 음악적 경험과 환경을 조직·제공함으로써 학생 개개인의 음악적 성장을 효과적으로 도와야 한다. 각각의 발달 단계에서 반드시 체험해야 하는 음악적 경험을 통해 내면의 평화와 정서적 만족, 정신의 고양 상태를 경험할 때 어린이들은 평생 음악을 사랑하고 향유할 수 있는 음악적 심성을 갖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초등학교 1~2학년 시기에 경험하게 되는 음악적 체험은 그 이후의 음악적 성장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학교 음악 교육은 이 시기 어린이들에게 필요한 음악 체험을 지속적이며 적절하게 제공하여, 음악적 성장의 밑거름이 될 수 있는 음악적 감각을 계발시켜 주어야 한다. 어린이들이 학교에서 처음으로 음악을 배우게 되는 교과는 ‘즐거운 생활’ 이므로, 어린이들의 음악적 감각 계발을 위하여 교사는 이 시기 어린이들이 반드시 학습해야 하는 음악 기본 요소 별 학습 요소를 숙지하고, 음악 학습 요소를 적절하게 지도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즐거운 생활’ 교과의 음악 영역을 지도해야 한다. 또한 교사는 통합 교과인 ‘즐거운 생활’의 지도를 통해 발달 특성상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분화되지 못한 이 시기 어린이들의 총체적 경험을 통합적으로 제시해 주는 동시에 ‘즐거운 생활’ 교과와 연장선상에 있는 3학년부터 시작되는 ‘음악’ 교과 학습을 어린이들이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유의미한 통합 활동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이에 이 연구는 어린이들의 음악적 성장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1~2학년 어린이들이 반드시 체험해야 하는 음악적 경험들을 조형·신체 활동과 통합하여 지도하는 교수·학습 방안을 구안함으로써 이 시기 어린이들의 음악적 감각을 계발하고자 하였다. 음악 활동·조형 활동·신체 활동의 통합을 시도함에 있어 무리한 통합의 시도는 지양하였으며, 세 요소간의 관련성 있는 유의미한 통합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먼저 서론에서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연구의 제한점을 밝혔다. 연구의 기초에서는 문헌을 통하여 통합교과 교육의 특징 및 의의를 살펴 통합 교과인 ‘즐거운 생활’ 교과가 갖는 기초로서의 음악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았으며, 초등학교 1~2학년 어린이들의 음악적 성장 특징을 살펴, 그에 알맞은 음악 경험이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연구의 실제에서 2007년 2월 28일에 고시된 개정 교육과정 ‘즐거운 생활’ 교과의 내용 체계를 바탕으로 ‘즐거운 생활’ 교과의 통합 형태를 고찰하여, 통합적 교수·학습 방안을 구안 할 때 통합의 지향점 및 유의점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그 다음 연구의 기초에서 고찰하였던 초등학교 1~2학년 어린이들의 발달 특성과 음악적 성장 특징을 고려하여 이 시기 어린이들이 반드시 학습해야 하는 음악 기본 요소로서 ‘흐름결(리듬), 가락, 큼작음(셈여림), 빠르기, 음색’을 선정하고, 각각의 음악 기본 요소 별 학습 요소를 선정하였다. 흐름결의 학습 요소로 ‘박, 박자, 음길이, 흐름결꼴’을 선정하였고, 가락의 학습 요소로 ‘음높이, 가락의 진행 방향, 가락꼴’을 선정하였다. 큼작음의 학습 요소로 ‘크고 작은 정도, 큼작음의 사용’을 선정하였으며, 빠르기의 학습 요소로 ‘빠르고 느린 정도, 빠르기의 사용’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음색의 학습 요소로 ‘주변의 소리들, 목소리의 특색, 악기 소리의 특색’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제 1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제 3차 교육과정 시기까지의 초등학교 1, 2학년 ‘음악’ 교과서에 실린 제재곡과, 제 4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현행 제 7차 교육과정 시기까지의 ‘즐거운 생활’ 교과서에 실린 제재곡을 중심으로 음악 기본 요소별 학습 요소를 두드러지게 반영한 악곡들을 음악 학습 요소 지도를 위한 제재곡으로 선정하고, 음악적 활동, 조형적 활동, 신체적 활동을 적절히 통합하여 지도하는 통합 교수·학습 방안을 구안하였다. 통합 요소간의 인과성과 관련성이 높은 통합의 시도를 전제로 한 음악적 활동·조형적 활동·신체적 활동의 통합 교수·학습 지도는 어린이들의 음악적 감각을 계발하는 데 매우 효과적일 것이라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