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ingle camera markerless motion capture system using RGB-D sensor to measure shoulder range-of-motion : a systematic review

        이운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연구 배경 가동 범위(Range of motion)은 관절 가동성의 필수요소이다. 어깨 관절 가동범위 측정은 어깨 관절의 복잡하게 구성되어 측정에 어려움이 있다. 마커리스 모션 캡쳐 시스템은 측정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 현재까지 마커리스 모션 캡쳐 시스템의 타당도를 평가한 체계적 문헌 고찰은 없다. 이 연구는 RGB-D 센서를 사용한 단일 카메라 마커리스 모션 캡쳐 시스템을 이용한 어깨 관절 가동범위 측정의 신뢰도 타 당도 연구들의 측정 방법과 결과들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RGB-D 센서를 사용한 마커리스 단일 카메라 모션 캡쳐 시스템을 통해 어깨 관절의 가동범위 측정의 평가자 간, 평가자 내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한 연구들이 포함되었다. 9개의 데이터베이스(MEDLINE, EMBASE, Cochrane library, CINAHL via EBSCO, IEEE xplore, CNKI, KoreaMed, KISS, RISS)를 사용하여 검색하였고, 2022년 12월까지의 연구를 검색하였다. 두 저자가 독립적으로 Consensus-based Standards for the selection of health Measurement Instruments(COSMIN) checklist 중 Reliability, Measurement error, Criterion Validlity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연구의 질을 평가하였다. 1차 결과 변수는 마커리스 단일 카메라 모션 캡쳐 시스템을 통해 어깨 관절의 굴곡, 신전, 외전, 내전, 외회전, 내회전 측정의 평가자 간, 평가자 내 신뢰도와 타당도이다. 하위 그룹 분석은 마커리스 모션 캡쳐 시스템을 이용한 가동 범위 측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찾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결과 전자 검색을 통해 2976개의 기록이 검색되었으며, 부적합한 논문을 배제하여 최종적으로 17개의 논문이 포함되었다. 평가자 내 신뢰도를 평가한 10개의 연구에서는 결과가 일관되지 않았고, 소수의 좋은 결과, 다수의 중등도에서 나쁜 결과가 포함되었다. 회전에서 외전과 굴곡보다 높은 신뢰도를 보고한 연구들이 있었고, 이질성도 비교적 낮았다. 타당도를 평가한 15개의 연구의 결과에서도 결과가 일정하지 않았으나, Bland-altman plot 을 사용한 연구 중 임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범위 내의 신뢰구간을 가진 연구들, 상관관계에서는 양호에서 훌륭한 수준의 상관관계를 보인 연구가 포함되었다. 외전과 굴곡에서 상대적으로 좋은 타당도를 보였으며, 복잡 동작을 측정했을 때 이질성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COSMIN 체크리스트를 통한 연구의 질 평가에서는 적절한 결과 값의 사용, 일정한 값을 얻기 위한 환자의 상태에 대한 고려, 측정의 세부사항에 대한 정확한 언급 등이 주요한 부족한 점으로 지적되었다. 연구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RGB-D 센서를 사용한 단일 카메라 마커리스 모션캡쳐 시스템 의 어깨 가동범위 측정에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현재 연구들의 결과는 신뢰도 와 타당도에서 일정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지만, 굴곡, 외전의 단순 동작에서는 타당 도 면에서 임상적 사용이 가능한 결과를 보였다. 추후 최신 기기를 이용한 질 높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Shoulder joint range of motion(ROM) measurement has been problematic due to its complexity although it is essential for shoulder joint mobility assessment. A markerless motion capture system can be a potential alternative for upper limb assessment. Currently, there is no systematic review to evaluate the validity of a markerless motion capture system for assessing shoulder ROM. This study aims to describe methods and evaluate the results of the studies that assess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single camera markerless motion capture system that uses an RGB-depth (RGB-D) sensor to measure shoulder ROM. Methods: Studies that measured shoulder ROM with a single camera markerless motion capture system using the RGB-D sensor to measure ROM of the shoulder joint and assessed the intra- and/or inter-rater reliability, and/or validity of the device were included. A search of the MEDLINE, EMBASE, Cochran library, Cumulative Index to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via EBSCO, IEEE Xplore,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KoreaMed,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s databases were performed for all relevant articles from inception to December 2022. Two authors independently performed quality assessments using the Consensus-based Standards for the selection of health Measurement Instruments (COSMIN) checklist for reliability, measurement error of outcome measurement instrument, and criterion validity. The primary outcomes were the intra- and inter-rater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arkerless motion capture system measuring shoulder flexion, extension, abduction, adduction, internal rotation, or external rotation. A sub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an influencing factor in the measurement of ROM using a markerless motion capture system. Results: 2976 records were collected from the databases. After screening the records, 17 studies were included. In intra-rater reliability, the result was inconsistent in 10 studies and included few excellent values and included moderate to bad values. Some studies relatively higher reliability in rotation than in abduction and flexion, with less heterogeneity. In validity, although the result was also not consistent, the result included studies with clinically acceptable discrepancies in Bland-Altman plot and with good to excellent level in correlation. The result of abduction and flexion showed relatively good result. The heterogeneity of the results tends to be low with simple movements compared with complex movements. In quality assessment with COSMIN checklists, there was a lack of consideration of the patient's condition, use of appropriate outcome values, and accurate reference to measurement detail. Conclusions: This systematic review suggests that there is potential of single camera markerless motion capture system using RGB-D sensor to measure shoulder range-of-moti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ies are not sufficient for clinical use in term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however, when flexion and abduction were measured by performing simple movements, the validity was good enough for clinical use. Future high-quality studies using more advanced devices are needed.

      • U-상담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도시형 위탁 대안학교 적용사례

        오미경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유비쿼터스 기술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컴퓨터 사용자의 수도 늘어나 정보기술산업의 규모와 범위도 그만큼 커지게 되며 여러 분야에서 유비쿼터스의 적용 범위가 여러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U-상담시스템은 유비쿼터스의 개념을 사이버 상담과 결합시켜 기존의 사이버상담에서 보이는 단점과 대면 상당의 단점을 보안하여 가상의 공간에서의 상담을 통하여 직접 학교에 와서 상담하지 않더라도 하나의 가상공간에서 상담 절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하며 여러 가지 학교 부적응으로 도시형 위탁 대안학교에 찾아오는 도시형 위탁 대안학교 적용사례로 설계하고 다음과 같이 구현하였다. 가. 실시간으로 접속하여 상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나. 비밀보장 되는 실시간 상담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다. 내담자들이 시·공간의 제한이 없도록 한다. 라. 내방상담을 하고 싶은 내담자들은 예약을 통하여 방문상담 할 수 있도록 한다. 마. 방문상담예약이 끝나면 예약자에게 예약이 언제 되었다는 예약내역 문자를 보낸다. 바. 위탁상담만이 아닌 진로, 이성문제 등 학생들 개개인의 고민들 털어 놓을 수 있는 U-상담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여 적용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과 부모님이 학교로 직접 찾아오기 힘든 상담자들이 상담할 수 있는 부모가 쉽게 상담할 수 있으며, 전화상담이 필요 없이 누구나 학교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시·공간의 제한 없이 상담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예약시스템으로 학교에 내방상담 시 기다리는 일이 줄어들어 내담자, 상담자가 원활히 상담할 수 있어 상담의 기대치를 높일 수 있으며, 학생과 학부형이 방문상담시 문자로 예약된 시간을 통보하여 정확하게 상담자와의 약속을 지킨다. 마지막으로 U-상담시스템을 통하여 상담자(교사)의 업무경감을 줄 수 있다고 본다.

      • 통합 가상화 기법을 사용한 경계 없는 캐주얼 게임 서버 구현

        김성백 단국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온라인게임이 발전하면서 게임유저들은 친구, 클랜(파티)들과 커뮤니티를 형성하면서 이들과 같이 게임을 하는 것에 가장 많은 재미를 얻는다. 또한 몇몇 게임들은 게임보다는 커뮤니티 만드는 것을 주목적으로 개발된 게임들도 있다. 하지만 물리적 서버의 한계로 인하여 동 시간에 같은지역(존)에서 게임을 할 수 있는 유저들의 숫자는 평균 100명 이하, 그리고 게임 커뮤니티(채팅, 쪽지, 친구)로 연결이 가능한 유저수는 3,000 ~ 10,000명을 넘지 못하게 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규모 유저들이 같은 게임서버 지역(존)에서 함께 게임을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통합 가상화의 방식으로 링크 서버를 사용해 내부의 서버를 통합화 하는 환경을 구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게임 유저들에게 보여주는 서버는 하나로 보여주고, 유저들은 게임에 접속한 모든 유저의 정보를 공유한다. 이렇게 구축된 서버에 테스트 클라이언트를 사용해서 온라인 서버의 품질 요구 조건인 확장성(scalability), 일관성(Consistency), 최소지연성(Latency)을 만족하는 것을 증명하였다. As online gaming evolves, players experience the most fun playing in communities such as friends, clans, and parties. Some games are even built around community features. However, the limit for maximum players allowed in a same game sever area(zone) is less than average one hundred players or less due to technical limitations. Furthermore, allowed players for game community (chatting, mail, friend, etc) connection cannot exceed 3,000 to 10,000 players. This document builds the environment that combines internal servers by using virtual environmental method using link servers to solve above limitations. By doing that players will be able to share information of every connected players in one displayed server. Clients tested on servers built around this environment have proven that this method fulfills scalable architecture, consistency, and latency which are the key quality conditions for online servers. 

      •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fire needling for musculoskeletal pain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조예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Background Musculoskeletal pain (MP) is a major clinical symptom that causes distress, activity limitation, weakness, and fatigue; and it yields high medical utilization. Fire needling (FN) is a special type of acupuncture treatment wherein a red-hot needle is applied to specific acupuncture points or tender points in the body. It has been clinically used to treat MP by reducing inflammation and strengthening the ligaments and muscles. Although there have been several clinical trials for application of FN in MP,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its effectiveness objectively.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FN for MP v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thods Fourteen databases (CENTRAL, MEDLINE, AMED, EMBASE, CINAHL, CNKI, and eight Korean databases) were searched for studies using search terms for pain and FN from inception to March 2020.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in which FN was used for MP were included. The risk of bias of the included studies was evaluated using Cochrane Collaboration’s risk of bias tool. To measure the treatment effect, the risk ratio for dichotomous data and either the mean difference or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for continuous data were calculated using a random effects model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Subgroup and sensitivity analyses wer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reviously planned protocol. Results Out of the 595 studies screened, 16 studies with a total of 1,498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Most studies were determined to have a moderate risk of bias. For cervical pain, FN as a monotherapy significantly improved function, but not the effective rate. FN as an add-on treatment greatly reduced pain with a large effect size but did not increase the effective rate. For shoulder and upper limb pain, FN as a monotherapy had a significant effect only in improving effective rate, but not pain intensity and functional disability. FN as an add-on treatment showed a moderate effect on pain reduction an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he effective rate. It did not exhibit benefits in the functional improvement of shoulder and upper limb diseases. For lumbar pain, FN as a monotherapy significantly reduced pain with a large effect size. However, FN as an add-on treatmen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pain reduction and functional improvement. For knee pain, FN as a monotherapy had a large effect size with regards to pain reduction and function improvement, but did not increase the effective rate. For multiple-site pain, FN as a monotherapy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in reducing pain and improving the effective rate. Only three studies reported adverse events related to FN and there were no severe adverse events report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view, FN appears to be effective and safe treatment for MP. However, it is essential to interpret these results carefully because the level of evidence was low to moderate, and the included studies had a moderate risk of bias. More well-designed studies are needed to establish the basis for objectively proving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FN for MP. 연구배경 근골격계 통증은 고통, 활동 제한, 약화, 피로감을 야기하는 주요 임상 증상으로 의료 이용률이 높은 질환이다. 화침은 특정 혈자리 또는 압통점에 가열된 침을 자입하는 특수 침치료로, 염증을 줄이고 인대 및 근육을 강화시켜 근골격계 통증 치료로 쓰인다. 근골격계 통증에 이용한 화침의 임상연구가 있지만 객관적으로 효과를 살펴본 연구는 많지 않아, 이에 본 연구로 근골격계 통증에 대한 화침 치료의 효과와 안전성을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으로 평가하였다. 연구방법 2020년 3월까지 14개의 데이터베이스 (CENTRAL, MEDLINE, AMED, EMBASE,CINAHL, CNKI 및 8개의 국내 주요 논문 검색 데이터 베이스)에서 통증과 화침에 대한 검색어를 사용하여 검색하였다. 근골격계 통증 환자에 대해 화침 치료를 시행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들을 포함하였고, 각 연구의 비뚤림 위험에 대해서는 코크란 그룹의 비뚤림위험평가도구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치료 효과 측정으로 확률효과모형에서 95% 신뢰구간을 이용하여 위험비 (이분형 자료), 평균차 혹은 표준화된 평균차 (연속형 자료)를 산출하였고, 사전에 계획한 프로토콜에 따라 하위분석과 민감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데이터베이스 검색 후 595편 연구가 나왔고 선정, 배제기준을 통해 최종적으로 총 16개의 연구 1,498명의 환자가 본 연구에서 분석되었다. 비뚤림 평가는 전반적으로 중등도였다. 경추 질환에 대해 화침 단독치료는 유의하게 기능을 개선시켰으나 유효율 증가에는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화침 병행치료는 통증 개선에 큰 치료 효과를 보였지만 유효율 증가에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어깨 및 상지 질환에 대해 화침 단독치료는 유의하게 유효율을 증가시켰지만 통증 감소, 기능 개선에는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화침 병행치료는 통증 개선에 중등도 효과를, 유효율 증가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지만 기능 개선에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요통에 대해서 화침 단독치료는 통증 개선에 유의하고 큰 치료 효과가 있었지만 병행치료는 통증 및 기능개선에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무릎 통증에 대해 화침 단독치료는 통증 및 기능 개선에 큰 치료 효과를 보였고, 유효율 증가에 대해서는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다발성 통증에 대해 화침 단독치료는 통증 감소 및 유효율 증가에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오직 3편의 연구에서 화침으로 인한 이상반응을 보고했고 심각한 이상반응은 없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화침이 근골격계 통증에 대해 안전하고 유효한 치료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근거수준이 낮음에서 중증도로 부족하고 포함된 연구들의 중증도 비뚤림 위험 때문에 본 연구 결과 해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추후 질 좋은 연구가 진행되어, 근골격계 통증에 대한 화침 효과 및 안전성을 객관적으로 증명하는 임상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복용 환자의 침치료 후 출혈 관련 이상반응 평가 : 전향적 관찰 연구

        이민준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Objective : Although acupuncture therapy is a relatively safe procedure based primarily on clinical experience, there is no evidence-based guideline for acupuncture therapy in patients taking anticoagulants or antiplatele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patients taking anticoagulants or antiplatelets exhibit an increased risk of bleeding-related adverse events such as bleeding, hematoma formation, and ecchymosis after acupuncture therapy compared to those who are not taking the drugs. Methods : Study subjects underwent 1 session of acupuncture therapy followed by two-time assessments to evaluate any bleeding-related adverse events. The severity of the bleeding-related adverse events was also evaluated. Results : A total of 169 patients taking anticoagulants or antiplatelets and 259 patients not taking were studied. 66 of 169 patients who were taking medications showed bleeding-related adverse events and out of 259 patients who were not, 115 showed bleeding-related adverse even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bleeding-related adverse event risk between groups (relative risk=0.70, 95% CI 0.70-1.11). All the adverse events were subclinical. Conclusion : Our findings suggest that taking anticoagulants or antiplatelets does not increase the incidence rate of bleeding-related adverse events such as bleeding, hematoma formation, and ecchymosis after acupuncture therapy.

      • Phylogenetic analyses and development of species-specific primers for rapid detection of medicinal mushrooms

        김문옥 부산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599

        상황버섯을 비롯한 동충하초 및 차가버섯은 약용버섯으로서 이미 밝혀진 항종양효과 및 면역증강 등의 연구결과에 따라 큰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현재 건강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면서 고가에 유통되고 있는 버섯들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상황버섯 및 동충하초, 차가버섯과 그 유사 종들 간의 염기서열을 상호 비교하여 계통분류학적인 체계를 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신속․정확한 동정을 위한 PCR이나 southern blotting에 이용 가능한 probe의 개발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먼저 nuclear rRNA gene의 ITS 부위에서 각 유사 종간에 대하여 특이적인 염기서열을 primer로 디자인 하였고 그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ITS는 가운데의 5.8S를 포함하여 약 600bp 정도로, 그 염기서열을 결정하기가 간편하고 시간적인 제약을 덜 받기 때문에 다수의 균종을 대상으로 하는 분류학적 연구에 적합하며, 그 분자진화속도가 빨라 염기서열의 다양성을 요구하는 종, 속의 분류에 적합하다. 더구나 보존성이 높은 5.8S 부위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ITS 부위와의 각각의 비교가 가능하며, 이러한 풍부한 정보량과 간편성으로 동일 속내의 종간 및 속간의 유연관계의 연구에 유용하다. 또한 mitochondrial small subunit rRNA gene(mtSSU)은 ITS 부위에 비해 비교적 높은 변이율이 보인다는 보고에 따라 ITS 부위에서 변이가 낮게 나타나는 동충하초(Cordycpes) 속에 대해 mtSSU에 대한 염기서열분석 및 primer를 디자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1) 동충하초(Codyceps) 속에서는 ITS 부위 내에서 Peacilomyces tenuipes 의 primer를 mtSSU rRNA의 서열분석을 통하여 Cordyceps militaris의 primer를 개발하였으며, (2) 차가버섯과 유사종 Inonotus obliquus, I. hispidus, I. dryadeus, I. cuticularis 에 대한 PCR primer를 개발하여 그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3) 그리고 상황버섯 중 형태학적으로나 유전학적으로 유사도가 높은 Phellinus linteus와 P. baumii에 대한 detection primer를 개발하였고, 이 두 종의 유전학적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PCR-RFLP를 시행하였다.

      • Inhibitory Effect of Bee Venom on Tumor Growth and Angiogenesis in vitro and in vivo Models

        이민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Bee venom (BV) is the therapeutic application of honeybee venom (HBV) to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in Oriental medicine. In the present work, we evaluated the in vitro and in vivo anti-angiogenic and anti-tumor activities of BV. BV significantly inhibited the viability of various cancer cells origin of lung, liver, colon, breast, prostate, leukemia in a dose-dependent manner. Also, BV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roliferation, migration and tube formation in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treated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 BV effectively disrupted the VEGF induced neovascularization in Matrigel plug in vivo angiogenesis assay. When given by s.c. injection, BV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tumor angiogenesis in LLC model.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stained with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endothelial cells (CD31),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revealed reduced tumor cell proliferation and angiogenesis. Mouse bearing subcutaneous tumor of BV at 10 g/ml and 100 g/ml treated LLC showed > 50% - 75% reduction in primary tumor volume and reduced spontaneous pulmonary metastasis. Our results show the effectiveness of BV as an angiogenesis inhibitor in suppressing tumor growth during different stage of tumor progression, validating the application of BV in treatment against lung cancer. 봉독은 꿀벌의 독을 채취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한의학에서는 오래 전부터 여러 가지 질병에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쓰여왔다. 이번 연구에서는 봉독이 in vitro와 in vivo 에서 발휘하는 혈관 신생 억제 작용과 그로 인한 항암 효과를 알아보았다. 봉독은 농도 선택적으로 폐, 간, 대장, 유방, 전립선 등 여러 장기에서 발생한 암세포의 생장을 막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구나 봉독은 HUVEC로 처치된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 (VEGF)에서 세포의 증식과 이동, 관 형성 작용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vivo 의 Matrigel plug assay에서 봉독은 신생 혈관 형성이 유도된 VEGF 를 억제시켰고 LLC 모델에서 암세포의 혈관 신생 역시 의의 있는 수치로 억제되었다. 면역 조직 화학 분석에서 PCNA, CD31, VEGF 를 각각 염색하여 봉독 처치를 한 후의 결과에서 암세포의 증식과 신생 혈관 형성이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LLC 유발 동물 모델에서 10 g/ml, 100 g/ml 의 봉독 투여시 암세포의 부피와 폐의 전이 정도가 50~70% 이상 감소하였다. 이번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암세포의 진행 과정 중 신생 혈관 생성을 막아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폐암과 관련된 경우 임상적인 적용이 더욱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