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저소득 모자가정에 대한 복지체계의 현황과 개선에 관한 연구

        김희주 강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우자의 결손 또는 배우자가 있어도 사실상 母가 가족의 생계를 책임이지고 살아가고 있는 모자가정은 한부모 가정이라는 가족 구조적 요인과 여러 주변적 요인에 따라 다양한 욕구와 복합적인 문제를 지니고 있는데 이러한 사회적 특수성으로 인하여 대부분이 저소득 모자가정으로서 빈곤하거나 빈곤에 빠질 위험이 매우 높은 집단이다. 더욱이 최근의 한국사회가 재해·사고·질병 등으로 인한 40- 50대 남성 사망률의 증가, 경기침체 및 대량 실업, 미혼모의 증가, 이혼율의 증가 등으로 모자가정이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서 빈곤의 여성화 현상이 모자가정을 중심으로 가속화 되고 있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그동안 저소득 모자가정과 관련된 기존의 선행연구가 대부분 모자가정의 현황과 복지욕구 조사를 통하여 모자가정의 문제에 대한 부분적인 접근을 시도하거나, 빈곤 해결을 위한 정책 및 제도적 접근이 공공부조와 사회복지서비스 제도에 한정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자가정이 지니는 사회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사회보장제도의 영역에서 빈곤을 제거하는 측면뿐만 아니라 빈곤을 예방하는 측면으로서 저소득 모자가정과 관련된 제도들을 분석·평가하여 저소득 모자가정에 대한 우리나라의 복지체계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개선할 바를 찾아 정책적으로 제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저소득 모자가정과 관련된 사회보장제도들을 대상 범위 및 자격 요건, 급여 종류 및 내용을 분석의 틀로 하여 각 제도가 사회안전망으로서의 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 각 제도가 상호 보완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저소득 모자가정과 관련된 사회보장제도로는 공공부조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사회보험제도로서 국민연금제도, 특수직역 연금제도, 국민건강보험제도, 고용보험제도, 사회보험제도, 산업재해보험보상제도, 그리고 사회복지서비스 및 관련제도로서 모자복지법, 영유아보육법, 영구임대제도를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우리나라 저소득 모자가정 관련 복지 체계는 저소득층을 우선적으로 보호해야하는 사회보장제도의 이념과는 반대로 저소득 모자가정이 사회안전망의 보호에 포함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다. 현행 사회보장제도의 제도적 취약성은 제도가 포괄하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너무 광범위하여 저소득 모자가정에 대하여 각각의 제도가 사회적 안전망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제대로 할 수 없으며, 각 제도 사이에 간극이 크기 때문에 불완전한 안전망제도에 대하여 상호 보완할 수 있는 기능도 없는 상태에 있어 사회보장의 사각지대에 떨어진 사람들에 대해서는 기존 제도의 연계 미비로 아무런 대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사회보장제도의 기본적인 개선 없이는 사각지내에 놓여 있는 저소득 모자가정을 보호할 수 없다는 점을 인식하고 사회적 안전망의 확충과 소득 보장을 위한 정책적 방안은 제도적 개선에 중점을 두어야 함과 동시에 사회적 안전망으로서의 원활한 역할 수행을 위해 각 제도간에 상호 보완하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사회보장제도가 저소득 모자가정을 사회 안전망의 범위에 포함하기 위해서는 적용대상의 기준에 있어서 경직성을 배제하여야 한다. 둘째, 사회보장제도는 보호 및 지원의 수준이 다양한 위험들에 대하여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해 줄 수 있는 수준이 되어야 한다. 셋째, 사회적 안전망으로서의 원활한 역할 수행을 위해 각 제도간에 상호 보완하는 연계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전 세계적으로 빈곤의 여성화 현상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 한국에서도 모자가정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빈곤의 여성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저소득 모자가정과 관련된 현재의 복지체계를 직시하고 잔여적인 정책에서 벗어나 사회보장제도의 거시적인 측면에서 종합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A mother-headed family, which refers to the absence of father or mother's being breadwinner even though father exists, has diverse needs and complex problems, due to the structural and peripheral factors as a single- parent family. Most mother - headed families are from the low- income class, and they are highly likely to be poor or in danger of becoming poor. Furthermore, the mother - headed families are on the increase, because of the growing mortality rate of men in their 40s and 50s caused by unexpected disaster, accident or disease, depression, mass-unemployment, increasing unmarried mothers, and growing divorce rate. The female population's being poor is accelerated by mother - headed families, and this is now one of the severe social issues. Meanwhile, most studies on the low- income mother - headed families attempted to partially deal with their problems by surveying their realities and their needs for welfare, and the relevant national policies are actually confined to public assist ance and social welfare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agnose the current realities of our country's welfare system for the low- income mother - headed families and to seek ways to improve that system in a bid to prevent the poverty, in consideration of the unique social features of the mother - headed families. The coverage, beneficiary eligibility, and benefit types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s associat ed with the low-income mother-headed families were examined to see whether they properly performed their own roles as a social safety network and whether they made up for one another. The social security systems dealt with in this study included the national pension system, the pension system for special job,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the employment insurance system, the social insurance system, the industrial disaster insurance and compensation system, and the social welfare service. The social welfare services involved the maternity welfareact, the infant care and education act, and the permanent rental syste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bove-mentioned systems, it's shown that the welfare systems related to the low-income mother-headed families run against the ideology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 which provides preferential care for the low- income class. The mother-headed families aren't include in the care of the social safety network. Rather, they are exposed to various dangers. The wide, extensive areas are actually left out of the coverage of the current social security systems, and individual system fails to perform its role as a social safety network for the low-income mother - headed families. Furthermore, they can't supplement one another to make up for the incomplete network due to the broad gap among themselves. The poor connection among the existing sy stems leads to the absolute lack of proper measures for those who are left out of the coverage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s. The low-income mother-headed families can't be properly cared, if there is no improvement in the social security systems. The national policy should concentrate it s attention to changing the systems and making institutional devices to build mutual cooperation among the systems to create an effective social safety network and have it perform it s role smoothly. First, the eligibility of beneficiary should be eased to include the low-income mother-headed families. Second, the social security systems should be able to guarantee the fundamental living standard against multiple dangers. Third, an articulated system should be built among the systems for mutual complement and smooth role performance. The female population's being poverty-stricken is emerging as a big issue worldwide, and in our country, there are also loud concern about the recent increase of the mother-headed families and the female population's being poor. At this point of time, we should take a look at the current welfare system associated with the low- income mother - headed families, and more comprehensive measure should be studied from long - term, all- inclusive per spective, instead of fragmentary one.

      • 구아검 첨가량에 따른 토란의 냉동품질 특성

        김희주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set the optimal conditions of preprocessing temperature, freezing temperature and thawing methods of Taro (Colocasia esculenta L. Schott) to improve the properties of taro that is difficult to be stored for a long term because it has high moisture content and its tissues are easily destroyed when thawing. After setting the optimal preprocessing methods, the study purpose to identify whether Guar gum, which helps improve processability of food, is helpful for improving the properties of taro by adding the plant. According to the color measurement of taro over the period of storage,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s and experimental group, and the brightness of most of the samples decolumned over time. While the value of redness increased, the yellowness decrease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the changes in color depending on the storage period, there were the differences in color of 5.67-16.55 between the controls and experimental group. Thi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color among all the samples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he pH.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the drip rate, the drip rate was the highest in the samples thawing at 4℃ in all preprocessing methods and the lowest in the samples thawing in running water. In terms of moisture contents,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he moisture contents among all the samples over the period of storage.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he hardness among the samples stored for from week 1 to week 8 but the hardness of the samples gradually decolumned over the period of storag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the total cell count of the germs and total coliform count under each condition, the microorganisms were killed by heat during the preprocessing procedure, and the number of the microorganisms was controlled or decolumned over the period of storage. In addition, a higher number of the germs were detected with a lower or a higher thawing time. The freezing characteristic of taro was measured by adding 0.1%, 0.5% and 1.0% of Guar gum each after setting the pre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color,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brightness between the controls and the samples stored for week 0 and the brightness decreased over the period of storage. Redness increased over the period of storage. The yellowness decolumned over the storage perio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the difference in color over the period of storage, the sample with the freezing temperature of –20℃ and 1.0% of Guar gum added had the lowest difference in color.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the pH, the pH of the sample seemed to increase in the beginning but decreased over the period of storage. In terms of the drip rate, the sample with 1.0% of Guar gum added had the lowest rat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the moisture contents,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over the period of storage but the moisture contents were high in the samples with 0.5% and 1.0% of Guar gum adde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n hardness, the samples with 1.0% of Guar gum added had higher values than other sample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the total cell count of the germs and total coliform count, there was no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mount of added Guar gum, but a lower number of over the period of storage. As a result, given the changes in the quality of the frozen taro depending on the amount of added Guar gum, the properties of taro were improved as the amount of added Guar gum increased and it indicates that it helps to improve the property being hard to be stored. However, there are still lacking processing methods and researches to improve the properties of taro and it is expected to be necessary to conduct more researches since it will not be easy to improve the properties perfectly even if the processing is done. Based on this experiment, if more study is conducted, distribution form of the properties of taro being difficult to be stored will be convenient.

      • 그림책을 활용한 영아의 유리드믹스 창작교육 제안

        김희주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그림책은 영아에게 기쁨을 주고 상상의 단서를 제공함과 동시에 언어발달, 정서발달과 사회화 과정에 영향을 주는 교육적 매체이며 책을 통해 다양한 간접 경험을 하게 되고, 즐거움과 감동을 느끼게 된다. 유아의 음악교육 또한 창의성을 향상 시키고, 언어발달을 도우며 서로 다른 영역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정서발달에 기여를 한다. 또한 리듬언어와 노랫말을 언어에 대한 이해와 반복적 연습을 통해 인지를 발달시킨다. 이렇듯 유아기에 있어서 언어적인 성장과 음악적인 성장은 같은 과정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며, 언어와 음악적인 활동은 서로 관련되어 있고 상호 보완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영아의 예술적 감흥, 상상력과 창의력, 언어발달과 음악적 감각발달을 높이기 위해서 문연경 유리드믹스 교육법을 바탕으로 영아문학에 맞는 단순하고, 반복적이며 리드미컬한 구조와 내용을 포함한 그림책 다섯 권을 선정하여 그림책을 활용한 영아의 유리드믹스 창작 교육을 제안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영아의 그림책 읽기에서 영아의 구체적 발달적 특징과 영아의 읽기 발달 정도, 그림책 읽기와 언어발달의 관계 및 교육적 중요성을 살펴보고 영아의 발달에 맞는 그림책 선정을 위한 방법에 대해 이론적으로 접근하여 소개하였다. 둘째, 유아의 음악교육의 중요성과 유아의 음악언어 발달단계를 살펴보고 그림책읽기와 음악적 표현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음악언어 특징을 고찰하였다. 셋째, 유리드믹스 음악교수법과 문연경 유리드믹스 음악교수법을 접근하여 창작표현에 바탕이 되는 즉흥, 리듬, 솔페지와 유리드믹스 언어리듬 활용에 대해 고찰하였다. 넷째, 문연경 유리드믹스 교육법을 바탕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유리드믹스 창작교육방법을 제시하였다. 유리드믹스는 리듬, 즉흥, 솔페지를 바탕으로 한 음악교육이며 문연경 유리드믹스 음악교육은 0세에서 초등까지 두뇌로 인식하여 신체로 움직이고 표현하고 노래하며 피아노를 잘 연주 할 수 있도록 음악성과 두뇌감각을 키우는 영,유아의 신체적, 정신적, 감성적, 사회적, 인지적 발달을 돕는 음악교육이다. 본 논문은 영아들에게 흥미와 집중력이 좋은 그림책을 통해 감성과 언어발달 더불어 음악적 감각을 높여주기 위해 주제, 플롯, 매체등 그림의 예술성과 영아들의 심미적 상상력을 기를 수 있는 책을 선정하였고 영아의 발달에 맞는 단순하고 명쾌하며, 반복적이고 리드미컬한 것을 즐길 수 있는 구조와 내용을 가진 다섯권의 책을 선정하여 글과 그림을 음악적으로 분석하고 표현하여 그림책을 입체적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창작함으로써 2차원의 평면적 그림책이 음악요소와 음악자료를 더하여 창작함으로써 3차원적 그림책으로 유아의 상상력을 촉진시키고, 흥미와 예술적 감흥, 음악적 발달 감각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상으로 본 논문 ‘그림책을 활용한 영아의 유리드믹스 창작그림책’은 운율과 음악적 리듬을 창조하는 자연스러운 능력을 촉진할 수 있는 교육적인 자료가 되기를 바라며 음악적인 요소들은 영아들의 언어적 능력과 음악 감각을 발달시키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는 만큼 ‘그림책을 활용한 영아의 유리드믹스 창작그림책’은 음악과 언어를 통합하는데 있어서 좋은 교수 매체가 되기를 희망하며 영유아 음악교육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식물의 생명력과 원초적 이미지의 표현

        김희주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의 삶은 식물의 삶과 그 순환에 의존해왔다. 식물은 우리의 의식주를 해결해주고, 광합성으로 인한 먹이사슬의 최초 생산자로 지구상의 모든 생물의 에너지원이 되고 있다. 이렇게 태초의 지구에 출현한 식물은 진화의 시발점이 되어 지금의 우리가 있게 하였다. 곡식을 재배하면서 형성된 고대 사회에서는 먹을 것을 제공해주고 때로는 아픈 몸을 낫게 해주는 식물을 숭배하고 소중히 하였다. 그들은 식물을 상징화하여 초기 형태의 예술에 그 위대함을 나타내기 시작하였고 이후 미술, 문학, 음악 등 다양한 종류의 예술에서 식물의 아름다움과 생명력에 대한 표현은 계속되었다. 나는 태초의 지구에 나타난 식물을 생명력의 근원으로 생각하였고 이를 나타내기 위해 원시세계의 식물의 느낌을 찾아나갔다. 또한 생태계를 이끌어가고 있는 식물을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존재로 여겼으며 식물의 형태에 운동성을 주고 유기질의 재료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표현을 통해 각각 원시의 생물과 상상 속의 생물을 떠올리게 하여 관람자로 하여금 평소 느끼지 못했던 자연의 생생함과 그 에너지를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식물 삶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열매와 꽃을 각각 덩어리와 고깔 형태로 상징화하고, 그 조합을 통해 열매에 응축된 능동적인 생명에너지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식물의 생명력을 표현하기 위해 형태와 표면의 질감과 색감을 다양하게 탐구하였는데, 형태작업은 주로 전해주조를 통해 이루어졌고 칠보를 비롯한 세라믹용 에나멜컬러, 녹청 기법 등으로 표면을 처리하였다. 거친 듯 견고한 표면 처리를 통해 자연물에서 느낄 수 있는 강렬함을 나타내어 형태를 더욱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작업들은 장신구로 제작되었다. 나는 이 작업을 통해 자연의 눈에 보이지 않는 의지와 그 에너지를 표현하고자 하였고, 이러한 표현이 관람자에게 자연을 다시 바라보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착용함으로써 간접적으로나마 자연의 능동적이고 생생한 힘을 느낄 수 있기를 기대하였다. Our life has relied on plant and the cycling. Plan has fed us, whose photosynthesis has created food chain and serves as source of energy for all lives on the planet. That is how plant, the first living thing on the planet, ignited evolution and has made us what we are. In ancient times, people subsisted on grown plant, worshipping plant as something that has power to heal their scars and sickness. Their worship has reached a point where plant was symbolized as something with great power and beauty through painting, music, literature and other types of art. I believed that plant, the first living thing on the planet, is the source of energy. In order to represent it, I have tried to identify the exact feeling that the plants in primitive world would have yielded. In addition, I represented plant serving as the source of energy for ecosystem as active existence. No wonder I used organic materials to represent plant so that I can portray plant as something dynamic. In doing so, the representation may remind audience of living things both in primitive world and in imagination, leading them to feel vividness and energy of the nature. What’s more, I symbolized fruit and flower, essential part of plant, as lump and peaked hood respectively. Through the combination, I attempted to represent energy of dynamic life condensed into the fruit. In an effort to represent energy of plant, I examined the depth of plant color and texture in various ways. I used electro forming to create the shape and applied enamel color for ceramics and patination technique to surface. By making the surface look rough and at the same time durable, I highlighted the shape delivering strong impression given by the nature. all the pieces of work have made as ornament. Through the process, I wanted to represent strong will and energy inherent in nature. In doing so, I wanted the audience to reconsider nature. At the same time I expected the audience to directly feel the dynamic and vivid presence of nature by allowing them to wear the jewelry.

      • 시판 화장품전문점의 판매원들의 교육경로와 실태에 관한 연구

        김희주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화장품 시장의 계속적인 발전 속에서 그 유통경로는 점점 다양해 지고 있다. 점점 세분화되고 다양해지는 유통 경로 속에서 1980 ~ 1990년대 화장품 시장의 80%를 차지하던 전문점의 시장 점유율은 2004년 30%내외를 보이고 있다. 이는 단순 신유통의 출현으로 소비자 이탈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는 것이다. 이는 전문점의 내부적, 외부적 원인과 함께 우리나라 화장품 산업의 전반적이 유통의 문제이다. 처음 방판에서 할인코너로 소비자가 이동할 때도 할인코너의 제품 구성력과 편리성도 있지만, 가장 큰 우위요소는 할인 판매였다. 이는 할인 코너란 이름에서도 볼 수 있다. 그러다 할인코너가 전문점이란 이름으로 화장품 시장을 잠식한 후 다시 대형 할인점에서의 할인 판매로 인해 소비자가 유츌 되고, 그 후 인터넷 쇼핑몰과 홈쇼핑등 전문점보다 가격적인 면에 우위요소를 갖고 나타난 유통경로에 소비자가 다시 이탈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런 흐름 속에서도 다시 정찰판매를 고수하는 방판과 백화점이 서비스라는 우위요소를 이용해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있다는 것을 통해 이제 전문점도 가격경쟁을 통한 판매가 아닌 서비스를 통한 판매로 고정 고객을 확보하고, 계속 변해가는 유통시장 속에서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하는 것은 전문점의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고하는 판매원들의 교육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판 화장품의 일반 전문점에 근무하는 판매원들 180명과 판매원들의 교육을 통한 전문성을 높이고자 아카데미를 운영하는 체인점의 판매원 40명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직업의 만족도와 전문성에 대한 사고를 파악하고, 현재 전문점 판매원들의 제품과 실무에 관한 교육경로와 실태를 파악하고 또 이 두 집단을 비교하여 향후 전문점의 전문화를 도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판매원의 근무현황과 교육경로와 실태, 실무 교육 내용, 교육방법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χ2(Chi-square) 검증과 t-test(검증), 그리고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될 수 있다. 1. 전문점의 판매원들의 직업 만족도는 낮은 편이며 자신들의 직업에 대한 전문성에도 낮은 평가를 보였다. 판매원들의 47.2%가 이직을 생각하고 있다. 그러므로 판매원들의 질을 높여 고객 서비스를 높이기 위해선 판매원들의 직업의식과 현장 근무 실태를 바르게 파악함으로 인해 판매원들의 불만요소를 해결하고, 판매원들의 직업 의식을 높이는 것이 가장 시급한 문제이다. 2. 화장품 전문점은 시장개방에 따른 수입화장품의 시장확대를 막는데 많은 기여를 했다. 그러나 현재는 화장품 전문점의 수입화장품 취급으로 인해 수입화장품의 수입량이 늘어가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화장품 시장의 전반적이 할인판매의 관행으로 인해 생겨난 문제이다. 서비스 중심의 판매로 인한 화장품 유통시장이 안정화로 전문점이 국산 브랜드의 전문적인 판매 경로화 되어야만 우리나라 국내 화장품 산업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3. 현재 대부분의 화장품 회사 주관의 세미나는 일부 회사들만 시행하고 있다.그러나 전문점의 점유율 하락과 함께 그 세미나의 개최 회사나 횟수가 줄어들고 있다. 본 연구 결과 이런 세미나는 신제품의 설명회와 홍보위주로 이루어 지고 있으며, 부족한 제품의 효능과 효과에 대한 판매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내용은 제품의 설명서 등을 통해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사측의 교육은 제품에 관한 교육에 치중되어 있고, 판매에 필요한 스킬 이나 서비스교육 등은 등한시 되고 있다. 4 . 현재 화장품전문점은 많은 브랜드를 취급하고 있으며 화장품은 점점 고기능화 되어가고 있고, 소비자들의 니즈는 점점 세분화 되어 가고 있다. 그러므로 소비자의 고객만족을 통한 판매를 위해선 판매원들의 기반 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 단순 제품의 암기가 아닌 이해를 통한 상담을 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5. 체계적인 교육 정도에 대해 판매원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는 판매원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인식하는 판매원이 77.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는 회사의 교육이 판매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으며, 이는 회사측의 낭비이다. 지금이라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매출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을 해야 한다. 화장품 판매원은 기능성화장품과 피부상담과 같은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한 전문직이다. 그러나 이를 뒷받침 해줄 교육체계나 교육 프로그램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전문적인 인력으로 전문화되지 않으면 현 유통 시장 속에서 전문점은 경쟁력을 잃고 도태할 것이다. 판매원들의 근무 환경의 개선과 실력에 따른 급여제도로 판매원 스스로 변화할 수 있는 의욕을 만들어주어야 하며,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는 판매원들이 손쉽게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만 전문점은 지금의 과도기 속에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Amid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cosmetic market, its distribution channel is getting diversified. In the middle of a distribution channel that is being gradually segmented and diversified, the market share of a specialty store, which had possessed 80% of the cosmetic market in the 1980s ~ 1990s, is showing about 30% in 2004. Now a specialty store also needs to increase competitive edge amid the distribution market that is proceeding with continuously changing, with the sale through service, other than the sale through the price competition. Aiming at the high-quality service, the education for salespeople is required.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come help in promoting the expertise of a specialty store hereafter, by grasping the present status of working and the realities of education, targeting 180 salespeople working for general specialty stores of marketable cosmetics, and 40 salespeople of chain stores that are operating academy. The collected data of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program of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As to the technique of analysis, it calculated frequency and percentage aiming to understand general characteristics. Also, aiming at the present status of working and the realities of education for salespeople, it carried out χ2(Chi-square) test, t-test, and One-way ANOVA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The job satisfaction of salespeople for a specialty store tends to be low, and even as to the expertise for a job of themselves, they are evaluating low, and the salespeople who consider the turnover account for 47.2%. Therefore, aiming to enhance the quality of service through education, it is most urgent matter to solve a complaint factor of salespeople, and to increase the job consciousness of salespeople. 2. A specialty store much contributed to preventing the imported cosmetic market from being expanded according to the opening of a market. However, now the handling of imported cosmetics by a specialty store, avoiding the price competition, is getting increased. This is a matter that was caused by the wholly habitual practice of discount sale in the cosmetic market for our country. It can devise the domestically cosmetic industry of our country only in case of allowing a specialty store to be the professionally selling channel of the home-made brand, with the stabilization of distribution market for cosmetics owing to the service-centered sale. 3. Only some companies are presently conducting the most of seminars supervised by a cosmetic company. However, along with a drop in the occupancy rate of a specialty store, a company of holding the seminar, or frequency is getting decreas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this seminar is being attained centering on a descriptive meeting of new products and on publicity, and the details actually required for the sale, in terms of efficacy and effect of products that are insufficient, are acquired through the instruction manual of products, and the education from the side of a company, is being given emphasis to the education of products, and the skill or the service education necessary for sale, is being neglected. 4. Now a specialty store of cosmetics, is dealing with many brands, and cosmetics are getting highly functional, and consumers needs are gradually segmented. Therefore, the basic education for salespeople are absolutely needed, aiming at the sale through customer satisfaction of consumers. 5. As to the level of education, most salespeople are thinking that education is not being systematically attained and is not helpful to practical affairs. It needs to carry out education that can promote service and sale through systematically education program, other than education of new products. The cosmetic salesperson is the professional job that requires expertise like the functional cosmetics and the skin counsel. However, it is reality that there is no education system and the education program to support this. In case of being not specialized with professional manpower, a specialty store amid the currently distribution market, will lose competitive edge and be dismissed. A specialty store will be able to be developed in the middle of this transition period, only in case of needing to create desire that can allow a salesperson oneself to change, with the improvement in working environment for salespeople, and with a pay system depending on ability, and in case of making environment that can allow salespeople who feel the necessity for education, to easily receive education.

      • NC/Nga 마우스의 아토피성 피부염 발병기전에 있어서의 인터페론 감마 시그날링의 역할

        김희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토피 증후군의 한 증상인 아토피성 피부염 (Atopic dermatitis, 이하 AD)은 사람과 개에서 다발하며 소양증과 습진성의 피부 병변을 특징으로 한다. AD는 면역 매개 질병으로서 다양한 발병 기전이 제시되었으며 그중 helper T (Th) cells의 편향성에 의한 것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다만 Th1 cells에서 유래하는 interferon gamma (IFN-γ) 시그날링 (signaling)이 명확하게 AD 발병 및 경과의 진행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인지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다. 이번 연구에서는 IFN-γ 수용체가 결핍된NC/Nga (IfngR-/- NC/Nga) 마우스를 이용하여 AD의 발병 및 임상증상 경과와 IFN-γ signaling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2,4-dinitrochlorobenzene (DNCB)를 IfngR-/- NC/Nga 마우스에 일주일간 제모된 등에 도포하여 감작시키고 이 후, 3일 간격으로 3번 DNCB를 귀와 제모된 등에 재도포하여AD를 유도하였다. 임상증상 및 혈중 면역글로불린 E (Immunoglobulin E, IgE), 병변 내 사이토카인 그리고 조직병리학적 소견 등을 일반 NC/Nga (wt NC/Nga)마우스와 비교 분석하였다. IfngR-/- NC/Nga 그룹의 임상증상은 감작시기에 일반 그룹보다 약한 증상을 나타내었으나, AD 유발 시기에서는 오히려 보다 빠르고 심한 증상을 나타내었다. 혈중 IgE의 농도 또한 감작시기 직후에는 IfngR-/- NC/Nga 그룹보다 wt NC/Nga 그룹이 약 2배 가량 더 증가하였으나, AD 유발 이후 만성으로 진행될수록 IfngR-/- NC/Nga 그룹의 IgE 농도가 증가하였다. 병변 내 interleukin-4 (IL-4)와 IL-12는 wt NC/Nga 그룹에서 AD가 진행될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 반면, IfngR-/- NC/Nga 그룹에서는 오히려 초기에 큰 증가량을 보이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IL-10 의 병변 내 농도는 IfngR-/- NC/Nga 그룹과 wt NC/Nga 그룹 모두 AD가 진행될수록 증가하였다. AD의 발병단계, 즉 감작기 및 발현기에서 IFN-γ 의 시그날링이 차별적으로 관여한다는 것이 이번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으며 AD의 예방 및 치료적 대응에 있어서 이러한 다면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topic dermatitis (AD) that is characterized by severe pruritus as well as chronic and relapsing eczematous plaques, is one of major immunological diseases in humans and canines. The pathogenesis of AD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and it is well known that the polarity of helper T cells is the main reasons to cause AD. The roles of IFN-γ from Th1 cells in the development and clinical progression of AD, however, remain to be clarified. In order to reveal the roles of IFN-γ signaling in the development of AD, IFN-γ receptor(R)-deficient NC/Nga (IfngR-/- NC/Nga) mice which is a model animal for AD are generated. AD was induced by application of 2,4-dinitrochlorobezene (DNCB) solution, to the hair-removed back of mice every day for a week. Three, six, and nine days after the final sensitization, ears and dorsal skin were challenged with DNCB. The clinical skin signs of IfngR-/- NC/Nga mice were less severe than those of the wild-type NC/Nga (wt NC/Nga) group in the sensitizing phase. Contrary to this, the clinical skin signs in the AD challenging phase become more severe in IfngR-/- NC/Nga mice. Whereas DNCB-applied mice showed the increase of serum IgE irrespective of the presence of IFN-γR at the initiating phase, IgE levels of IfngR-/- NC/Nga group exhibited significant increase at the late phase. While IL-4 and IL-12 levels in the IfngR-/- group were considerab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ose in the wt NC/Nga group at the initiation phase, they were significantly reduced at the late phase. IL-10 levels were increased in both groups as well as in both phase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roles of IFN-γ signaling in the development and clinical signs in AD differ depending on the clinical phase, demonstrating that the controls including prevention and therapy against AD should be made considering these facts.

      •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 compound derived from enzymatic hydrolysates of Umbilicaria esculenta

        김희주 건국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enzymatic hydrolysates from Umbilicaria esculenta (U. esculenta) was evaluated by measur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alk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using an electron spin resonance (ESR) spectrometer. In addition, protection effect on H2O2-induced DNA and cell damage. In our study, U. esculenta was enzymatically hydrolyzed by seven carbohydrases and eight proteinases. Flavourzyme hydrolysates, which showed clearly superior alk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yield, was further purified using a membrane system and consecutive chromatographic methods. Finally, a novel antioxidant compound was obtained, and the anti-oxidant compound was characterized as mixed 1-deoxy castanospermine and thymine or 6-methyluracil by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scopy and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scopy (ESIMS). In addition, the antioxidant compound purified from U. esculenta showed protective effect on DNA damage and cell death in PC-12 cells against H2O2-induced oxidative damage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1-deoxy castanospermine derived from enzymatic hydrolysates of U. esculenta possess potential antioxidative activity.

      • 다변화하는 플랫폼을 종횡하는 문화비평 노동자에 대한 연구

        김희주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급속한 기술 환경의 변화 속에서 글쓰기의 노동화, 비평의 평탄화라는 현상이 형성되었다고 전제한다. 그리고 이러한 토대 위에서 문화비평의 속성과 성격, 위상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잡지 매체를 중심으로 활동해 온 문화비평 노동자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론적 배경으로 부르디외의 ‘새로운 문화매개자’ 개념과 바우만의 ‘액체근대’의 유동성과 불안정성 개념 등을 활용했다. 그리고 근대 형성기의 한국 사회에서 대중지식의 생산자이자 발신자로서 주요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한 잡지의 역사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한국 사회에서 문화비평의 장이 본격적으로 형성된 1990년대부터 인터넷 기반 환경이 마련된 2000년대 이후의 흐름을 살피면서 비평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확인했다. 한국의 미디어와 저널리즘 산업은 1990년대 후반 경제 위기, 2000년대 초반 포털의 급속한 성장을 거치며 격변을 겪었다. 그 과정에서 기자를 비롯해 잡지 매체를 중심으로 문화비평 영역에서 활동하던 이들은 직업의 물리적 공간과 비평의 정신적 공간을 잃은 채 표류해왔다. 이들은 웹, 모바일, 오프라인 등 다양한 플랫폼을 종횡하며 새로운 방식의 문화비평 노동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보의 생산과 유통을 스스로 담당하는 다중의 부상과 신자유주의 체제의 불안정 노동 환경에서 대두된 문화비평 노동 현장의 변화 양상을 ‘비평의 서비스화’로 규정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문화비평 노동의 조건과 전망이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중심으로, 노동 현장을 세심하게 관찰하고 생생하게 묘사하여 보다 실질적인 분석 결과를 얻고자 했다. This study works on the premise that, within the rapidly changing technological environment after the 2000s, writing has become laborious and critique has become standardized. Based on this foundation, the course of change in the attribute, nature and status of cultural criticism was examined through cultural critics who were mainly active on the magazine media. Bourdieu’s concept of ‘new cultural intermediary’ and Baumann’s liquidity and instability of ‘liquid modernity’ concept were utilized as theoretical backgrounds. Moreover, the historicity of magazines, which played a significant social role as the producer and sender of common knowledge, was reviewed. In addition,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people on criticism was examined ranging from the 1990s, when the platforms for cultural criticism was first formed in the Korean society, until the 2000s, when the internet-based environment was first provided. Korean media and journalism industries underwent dramatic changes during the economic crisis in the late 1990s and during the rapid growth of portals in the early 2000s. In that course, the journalists as well as others who were active in the cultural criticism domain through the magazine media drifted at the loss of physical space for work and spiritual space for criticism. Now, they span across various platforms including the web, mobile and offline to exert the labor of cultural criticism in their own novel ways. In this study, the rise of the multitude in charge of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information and the change in the field of cultural criticism which came to rise in the unstable labor environment of the neoliberalism as ‘servitization of criticism’. In the process, the laboring sites were closely observed and vividly described, centering on the changes in the condition and prospect cultural criticism, to acquire a more practical analysis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