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로수 생장 특성에 따른 보도 포장면 융기 특성 연구

        안순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가로수는 도시 골격을 형성하는 선형녹지로서 환경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도시가로수는 열악한 생육환경으로 인해 수분공급과 통기성이 부족하여 수목의 뿌리가 지표면으로 생장하는 뿌리융기현상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보행자는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가로수 생장특성에 따른 보도 포장면 융기현상의 원인과 특성을 조사 분석하고 보도 포장면 변형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하여 안전한 가로 보행 환경과 건강한 가로수 식재환경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가로수 뿌리 융기현상이 나타나는 서울지역 4개 노선과 수도권 제1기 신도시 부천 중동지역 4개 노선을 대상으로 하고 대상지 가로수종은 느티나무, 목백합, 양버즘나무, 은행나무이며 수목의 수령은 서울대상지는 30~40년 이상, 부천 중동대상지는 20년 이상으로 파악되었다. 연구방법은 가로수의 생육특성, 보도의 물리적 특성, 수목보호시설 특성과 융기방향, 융기길이, 융기높이, 융기형태의 특성을 조사하여 가로수조건 및 가로환경조건과 보도포장 변형량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서 가로수 생장 특성에 따른 보도 포장면 융기특성을 규명하였다. 가로수 생장특성에 따른 보도포장면 융기특성 연구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가로 보행환경은 보도폭이 좁고 노후된 불투수성 재료로 포장되어 있었다. 수목 보호시설의 파손율은 높고 보호틀의 식수대 규모는 작으며 일부 경계석은 차도방향으로 밀려나가 파손된 상태로 나타났다. 둘째, 융기방향은 서울 신천동 은행나무가 2방향으로 가장 많고 목백합이 1방향으로 가장 낮았다. 느티나무 융기길이는 평균 60.3cm로 두 지역이 동일하고 융기높이는 평균 11.0cm로 서울이 높았다. 목백합은 융기길이 54.7cm, 융기높이 10.6cm로 서울이 낮고 양버즘나무는 융기길이 78.6cm, 융기높이 11.7cm로 서울이 높았으며 은행나무도 융기길이 66.2cm, 융기높이 10.6cm로 서울이 높았다. 전체적으로 융기길이 평균 54.7~78.6cm, 최대값 90~230cm이며, 융기높이 평균 6.7~11.6cm, 최대값 19~32cm로 나타났다. 융기형태는 대체로 직각형과 모서리형이 많았는데 이것은 식수대 조성 시 보도방향으로의 녹지폭 확보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변형량은 서울지역이 60주에서 총 변형량 3.341㎥이고 부천 중동지역이 65주에서 총 변형량 2.877㎥이며 생육상태가 부진한 서울 목백합 대상지가 0.445㎥로 가장 작았다. 셋째, 보도폭과 식수대, 가로수종과 수목 규격은 통계분석결과 보도포장 변형량과 유의성이 확보되었다. 회귀분석결과 흉고직경과 수관폭을 적용한 모형이 가장 타당하였고 도출된 회귀식을 이용하면 뿌리융기현상이 나타나는 수목의 변형량을 추정할 수 있다. 변형등급은 수목규격이 큰 서울이 4등급, 부천 중동이 3등급으로 나타났고 이것은 수목이 크면 변형량도 증가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일정규격 이상에서는 증가하지 않았는데 이것은 수목 생장량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의미하며 이외에도 가로 보행 환경의 유지관리 및 수목 생육 특성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융기현상을 낮추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띠녹지를 조성하고 보도폭의 유효폭원 확보와 포장재의 투수성 확보 그리고 가로수 생육환경 요소로 배수·통기성을 고려한 토양구조 개선과 수목의 근계특성을 고려한 수종 선정 및 식재 여유폭 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가로수 생장 특성에 따른 보도 포장면 융기 특성을 조사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가로 보행환경과 가로 식재환경에 대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안전한 가로 보행환경과 식재환경이 조성되고 도시지역 가로수 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지형특성에 따른 토성(土城)의 공간구조 연구

        장미란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토성(土城)은 적을 방어하기 위하여 흙으로 만든 성(城)으로 목책과 함께 성곽 문화의 초기 형태이다. 하지만, 흙의 물리적 성질로 인해 침식과 유실이 쉽게 발생하고, 토루에 수목이 왕성하게 생장하여 토성의 존재유무를 분별하기 힘든 곳도 많이 있다. 또한, 토성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그 주변을 주택, 묘지, 경작지 등으로 사용함에 따라 훼손‧변형이 계속되고 있는 곳도 많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첫째, 석성에 비해 관심이 적고 개별적 연구 위주였던 토성에 대한 자료를 총괄적‧통시적으로 구축하고 현재의 모습과 특징들을 기록으로 남긴다. 둘째, 토성에 대한 인식과 지식 확대를 위해 지형에 따른 토성의 공간구조 즉 입지적‧형태적‧수계 특성을 규명한다. 연구 대상지는 기원전에서부터 고려시대까지 축조되었으며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남한의 토성 37개소였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현장조사, 지형자료 분석 방법을 취하였다. 문헌연구는 각종 발굴조사보고서와 고문헌, 기존 연구 자료 등을 구축‧분석하였으며, 현장조사를 통해 토성의 지형, 형태, 수계 및 토지이용 현황 등을 파악하고 사진으로 기록하였다. 이를 최신 지형자료와 중첩 분석하여 지형에 따른 토성의 공간구조 즉, 입지‧형태‧수계 측면에서 그 특성을 도출하였다. 지형 특성에 따른 토성의 공간구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지형 토성은 모두 강이나 천과 같은 수계와 인접하였으며, 단곽성이 많았다. 평면 형태는 정방형, 장방형, 타원형과 같은 정형적 형태가 나타났으며, 단면 형태는 사다리꼴형의 협축식 토루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수계망은 모두 방사형으로 유수는 성 주변의 문지방향으로 분산 유출되었다. 둘째, 구릉지형 토성은 1km내외의 근거리에 수계가 존재하는 곳이 75%이상을 차지했으며, 단곽성이 많았다. 평면형태는 부정형이 정형보다 많았다. 토루 단면은 기존 지형에 의탁한 형태인 테두리형과 산탁형이 80%이상을 차지하였다. 수계망 구조는 수지형, 방사형, 복합형이 모두 고르게 출현하였다. 셋째, 산지형 토성은 근거리 내에 수계가 존재하는 곳이 61%정도로 구릉지형에 비해 외부 수계 의존도가 떨어졌다. 이것은 산지형은 다양한 지형특성상 성 내부에 큰 계곡이나 연못이나 샘 등의 수원공급방법이 별도로 존재했기 때문이다. 평지나 구릉지에 비해 복곽성의 빈도가 60%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평면 형태는 부정형이 80%이상으로 주류를 이루었다. 토루 단면 형태는 단일경사방식의 테두리형과 산탁형이 96%이상으로 나타났다. 수계망 구조는 복합형이 가장 많았고, 수지형, 방사형이 거의 비슷한 빈도로 출현하였다. 본 연구는 토성별 입지, 형태, 수계 특성을 분석‧제시하고, 이러한 토성의 공간구조가 토성이 입지한 곳의 지형 특성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받았음을 증명하였다. 이를 통해, 토성에 대한 정보제공과 인식 확대로 토성의 보존과 다각적 활용에 기초자료가 되길 바란다.

      • 모바일향 한의진단 손목 시계형 맥진기 설계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김용진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초 록 한의학의 진단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맥진이다. 맥진은 손가락으로 손목 부위의 요골동맥의 촌, 관, 척을 접촉하여 맥의 강약, 속도, 빈도, 폭등의 다양한 맥의 정보를 감지하여 환자의 맥동 에 따른 병증이나 생리적인 현상을 진단한다. 한의사의 손끝으로 감지하는 주관 적인 방법을 객관화 시기키 위해 1960년부터 지금까지 수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다. 하지만 개발 당시의 기술적 한계나 개발상의 문제점 등에 의해 개발되어진 맥진기들은 임상에 서 만족할만한 효용성을 제시 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의 국내 맥진기 동향으로는 2011년도 상지대학교 이상석 교수팀의 홀센서를 사용한 Spuls -2011가 만들어 졌고 상지대학교 부속 한방병원에서 임상시험을 완료한 상태이다. 특징은 집게형 맥진기로 맥파의 정보 획득이 간편하며 측정시간이 기존의 맥진기와는 달리 빠르며 간편하게 휴대 할 수 있다. 하지만 임상 시험에 의해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 되었다. 반복성과 재현성이 현저하게 줄어들며 시술자의 경험에 의해 맥파의 정보 획득이 다르게 나타나며 실맥의 맥파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시술자의 오랜 숙련도를 요구한다. 그리고 반복측정으로 인해 맥진기의 센서 부분이 내구성이 떨어져 정확한 맥파의 정보 획득이 어려워진다. Spuls-2011의 반복성 과 재현성 향상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디자인을 제안 하였다. 16번의 과정을 거쳐 디자인 하였고 집게형 맥진기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시대의 흐름에 걸맞게 무선 통신의 기능을 제안하였고, 집게형 맥진기의 센서 부분을 따로 개량하여 내구성을 향상 시켰으며 센서 부분은 독립적으로 사용하여 환자 감시 장치에 사용하도록 디자인 했다. 16차의 디자인에서는 진맥이 끝나면 디스플레이 상에 맥파를 표시 할뿐 아니라 호흡수, 맥박, 맥박수, 말초혈류 속도, 동맥 경화도, 허맥과 실맥 확률까지 알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16차 디자인은 부피가 크고 사용이 어려운 기기들을 대신하여 착용이 쉽고 측정이 간단한 기기의 설계에도 긍정적인 가능성을 보였다. 앞으로 맥파에서 맥상과 연관성을 찾아 질병의 발전추세와 예후를 판단하는데 일정한 임상의의를 갖는 맥진기 디자인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동축 케이블 자동 정렬기 적용을 통한 초음파 프로브 어셈블리의 품질과 생산성 개선 연구

        윤상운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세계는 급속한 고령화로 인하여 의료기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 하나인 초음파 진단기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초음파 의료용 동축 케이블 가공 공법 개발을 통하여 동축 케이블 특성상 수작업에 의한 생산성 및 품질 저하를 개선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초음파 프로브용 마이크로 동축 케이블은 자켓(외피), 쉴드선(외부도체), 인슐레이션(내피), 심선(내부도체)로 구성이 되어 있다. 이 케이블은 구성되는 부분의 재질과 크기에 따라 다양한 AWG 규격을 갖는다. 이렇게 복잡한 구조와 극세화에 비해 현재의 케이블 가공 공정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품질과 생산성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변동폭이 매우 큰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초음파 케이블 가공 시간의 ⅓, 불량의 25%를 차지하는 정렬 공정을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동 정렬기는 초음파 프로브 케이블과 같은 다수의 입출력 신호라인을 갖는 케이블의 입력단과 출력단을 소정의 배열위치로 자동으로 정렬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를 생산 라인에 적용하여 생산 효율 향상 및 작업자 에러 방지를 통해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중심어 : 초음파 프로브, 동축 케이블, 정렬, 자동 정렬기, 품질, 생산성

      • ECG, 맥진모듈, PPG를 이용한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개발과 특성에 관한 연구

        이대희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Because the pulse wave in oriental medicine is only measured by the sensitive method of doctor’ fingers, there is a weak point in the objective medical field until at present. Recently, a prototype of a clip-type pulsimeter equipped with a magnetic field-sensing semiconductor Hall sensor was developed and the objective and standardized research results applying for health care medical device reported. It has a permanent magnet attached in the “Chwan” position to the center of a radial artery. The clip-type pulsimeter is composed of a hardware system measuring voltage signals. To measure spatial pulse wave (PWV) and spatial pulse wave velocity (SPWV), the signal from the radial artery pulsimeter, that from the electrocardiography (ECG), and that from the photoplethysmography (PPG) were simultaneously compared. The pulse wave data from a clinical test of 39 clinical participants (male : female = 25 : 14) with a mean age of 24.36 (±.35) years was analyzed. The mean SPWV, which was simultaneously measured from the radial artery pulsimeter and PPG, was 0.1 times the mean PWV. We suggest the PWV and SPWV results were higher for men than women, because of the better vascularity of terminal tissue in me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may be useful for developing a oriental-western biomedical signal storage device, that is, the new and fusion patient monitor, for a U-health-care system. Keywords: radial artery pulse wave, clip-type pulsimeter, photoplethysmography (PPG), electrocardiograph (ECG), pulsimeter module, biomedical signal. simultaneous measurement, monitoring, patient monitor, pulse wave velocity (PWV), spatial pulse wave velocity (SPWV)

      • 홀센서 집게형 맥진기를 이용한 허맥과 실맥의 진단지표 설정 및 비교분석 연구

        이남규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고령화와 만성질환의 증가로 한의학의 진단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지만 한의사의 주관적인 진단에 따른 표준화 및 객관화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진은 한의학에 주로 많이 사용하는 맥진의 허맥과 실맥을 분류하는 진단지표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맥진기로는 홀센서를 이용한 집게형 맥진기(형명 : SPULS-2011)를 사용했으며, 상지대학교 부속 한방병원에서 임상시험의 절차에 따라 남, 녀의 허맥 군, 실맥 군, 비허실맥 군 피험자를 최소 30명씩 모집하였으며, 집게형 맥진기를 이용하여 맥 군 별로 맥파 정보를 측정한 후, 맥파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맥파 변수를 추출하여, 기타 변수인 생체 정보와 맥파 변수간의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프로그램의 통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허맥 군, 실맥 군, 비허실맥 군의 맥파 변수들이 중첩되는 부분이 있어서 최종적으로 허맥 군과 실맥 군의 맥파 변수들만 이용하여 유의성 있는 변수를 추출하였다. 그 결과로서 유의성 있는 변수로 나이, 성별,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BMI(Body mass index, 체질량지수)의 생체 정보와 S.amp(Systolic peak amplitude, 충격파 높이), R.amp(Reflective peak amplitude, 반사파 높이), N.amp(Norch peak amplitude, 절흔점 높이), R.time(Reflective peak time, 반사파 시간), N.time(Norch peak time, 절흔점 시간)의 맥파 변수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변수를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통해 허맥과 실맥의 판정 로지스틱 회귀 식을 만들었다. 로지스틱 회귀 식을 이용하여 허맥과 실맥의 분류한 결과 최종적으로 분류 정확도는 65.5%이었다. Interest in the diagnosis of oriental medicine has been increased to an increase in the chronic disease and aging, but there is a problem of the standardization and the objectification based on the subjective diagnosis of oriental doctor. Therefore, this thesis are studying to set a certification diagnosis index of vacuous pulse and replete pulse that is often used in oriental medicine. The clip-type pulsimeter (model : SPULS-2011) equipped with a hall sensor was used in clinical trial. The subject of vacuous pulse group, replete pulse group, non-classified pulse group of male and female were recruited at least 30 people according to the procedures of clinical trial in the oriental medicine hospital of sangji university. The pulse wave data of three pulse groups by using the clip-type pulsimeter was measured. The parameters of pulse wave were extracted through pulse analysis program. In the next, statistical analysis of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program of biometric data of other variables and variables of pulse were conducted. In the final step, parameters of pulse with significance was extracted only by vacuous pulse group, replete pulse group, and non-classified pulse group. As a result, parameters of pulse with significance were the biomedical information indexes of age, sex,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BMI(Body mass index) and the pulse major variables of S.amp((Systolic peak amplitude), R.amp(Reflective peak amplitude), N.amp(Norch peak amplitude), R.time(Reflective peak time), N.time(Norch peak time). The certification logistic regression equations of vacuous pulse and replete pulse were determined by parameters of pulse with significance. Finally, the classification accuracy for vacuous pulse and replete pulse by using logistic regression equation was 65.5%.

      • 자동차서비스센터의 서비스품질, 서비스센터이미지, 고객만족 및 재이용의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카자흐스탄 자동차서비스센터를 중심으로

        이부림 강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자동차서비스센터 서비스품질요인, 서비스센터이미지와 고객만족, 재이용의도 관계를 분석하여 카자흐스탄 자동차 서비스센터뿐만 아니라 카자흐스탄 진출을 고려하고 있는 자동차서비스센터들에게 서비스품질 측면의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자동차 서비스센터 서비스품질요인을 서비스센터의 대응성, 유형성, 확신성, 신뢰성과 공감성으로 분류하고 서비스센터 이미지, 고객만족과 재이용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카자흐스탄 서비스센터 고객들에게 서비스 제공할 때 고객입장을 배려, 고객의 요구를 이해하고 반영, 고객의 개별적인 관심, 문의 사항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서비스센터이미지에 많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서비스센터이미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서비스품질의 공감성에 많은 관심을 가지는 필요성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카자흐스탄 고객들이 서비스센터보다 카센터를 많이 이용하는 사실을 인정하면서 자동차서비스센터의 이미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고객입장과 선택을 배려하는 마케팅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둘째, 카자흐스탄 자동차서비스센터 고객들에게 업무 처리의 신속함, 문제를 고객을 도와주려는 적극성, 업무처리 능력,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할 가능성, 서비스의 신뢰성, 직원의 복장과 용모의 단정함, 서비스에 대한 정보제공, 이용시간 편리성, 분위기가 업무와 잘 조화 됨, 편리시설의 구비다 같은 서비스센터의 서비스 제공 종류가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으로 카자흐스탄 자동차 서비스센터들과 카자흐스탄에 진출을 생각하고 있는 한국서비스센터들이 고객을 만족시켜 더 많은 고객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서비스품질의 대응성, 유형성과 신뢰성에 들어가는 항목 변수 내용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고객을 충족시키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센터들이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고 마케팅전략을 새롭게 만들 필요성이 있다. 셋째, 서비스센터의 전반적인 서비스품질, 신뢰성 및 안전성, 사회적 공헌도, 차별화 서비스, 서비스센터에 관한 홍보 효과 같은 서비스제공은 고객만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카자흐스탄 서비스센터들이 고객을 만족시키기 위해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분야를 많이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서비스센터이미지가 고객만족에 많이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자동차서비스센터에 대한 이미지를 개설하기 위한 실질적인 노력과 광고 및 홍보에 대한 전략을 병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factor, image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of car service centers in Kazakhstan, as well as to provide Korean Car service centers considering entering Kazakhstan market with the implications of service quality aspects. For this, car service center service quality factors are classified into service responsiveness, tangibility, assurance, reliability and empathy.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are set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of the service centr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s. This study has shown some relevant implications for marketers: first, there are several factors that affect the image of the car Service centre- customer care, response which is based on customer’s needs, customer’s individual interest and active response to the customer’s inquiries. It can be said that marketers need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empathy about the service quality to enhance the image of the service center. Thus, the current Kazakhstan customers are recognized to use repair shops more than service centers and customer’s access and choice will be important to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to improve the image of service centers. Second, factors such as speed of handling processes, positive helpful attitude, processing capabilities,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service, the appearance and impression of the employees, providing service information, convenience of service hours, well-balanced atmosphere at work and facilities for convenience appear to have influence on customers of car service centers in Kazakhstan. To satisfy customers and to maintain more customers car service centers in Kazakhstan and Korean service centers considering to enter Kazakhstan market are expected to pay a lot of attention for responsiveness of service quality, reliability ,and empathy in the future. Thus, the service centers need to provide new services and create new marketing strategy to satisfy and maintain their customers. Third, the overall service quality of service, reliability and safety, social contribution, differentiated services, and providing publicity announcement about service centers appears to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Kazakhstan service centers need to improve a lot of areas affecting service center image to satisfy their customers in the future. Fourth, car service centers need to carry out substantial efforts and advertising and PR strategies to improve their image, because it has a big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 음파진동기기를 이용한 프리모 순환시스템의 활성화 향상에 관한 연구

        최동희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The fact that Primo vessel by a new circulatory system exists in the lymphatic vessel is confirmed the anatomy of rabbit. The isolated Primo vessel is investigated by the morphological features. Before the anatomy, rabbit inside of cage box lay on the sound wave vibrating apparatus is applied by the various frequency and acceleration during 30 min . The isolation and observation of Primo vessel by the activity of lymphatic circulatory system affected at a special frequency and acceleration of 7 Hz and 1.07 m/s² is better than one with the sonic wave vibration. The probability of observation for Primo vessel enhanced to 90 %. Therefore, the reproducible isolation and observation method of Primo vessel needs the major process such as sonic Wave therapy by the sonic wave vibration apparatus. Keywords : Sonic wave therapy system, Lymph vessel, Primo vessel, Morphological feature, Vitalization, Rabbit, Anatomical experiment, Sonic wave vibration apparatus, Yield enhancement, Sonicworld, Sonix

      • SWOT/AHP와 SWOT/ANP 분석을 통한 국내 외식프랜차이즈의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최채봉 강남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IMF 외환위기 이후 기업의 주기적인 구조조정과 최근 경기 불황의 지속에 따른 명예퇴직과 조기퇴직의 증가로 실직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고용 없는 경제성장으로 기업의 신규채용이 증가하지 않아 2016년 말 현재 청년실업자도 43만 명, 청년 실업률이 9.8%에 이르고 있는 현실에서 창업시장이 확대, 발전하고 있다. 그 중 프랜차이즈 창업은 사업 경험과 관련한 전문성이 부족한 예비 창업자들이 프랜차이즈 본부의 지원과 전문성을 활용할 수 있어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실제 폐업율도 국세청 자료에 의하면 5년간(2011년∼2015년) 자영업자의 폐업율이 73.1%였던 반면 가맹점의 계약해지율은 31.7%로 현저하게 낮다. 본 연구는 이러한 창업시장이 확대되는 사회적, 경제적 환경과 프랜차이즈 산업의 장‧단점 및 산업 환경에 따른 기회와 위기에 주목하여 국내 외식프랜차이즈를 중심으로 국내 외식프랜차이즈의 발전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존연구의 검토와 국내 외식프랜차이즈 업계 운영자 60명과 전문가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SWOT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를 활용한 SWOT 요인들의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해 AHP분석과 ANP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호환성에 문제가 없어 AHP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중요도 분석을 하였다. 또한 SWOT 요인에 대한 국내 외식프랜차이즈 업체의 경쟁능력(대응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경쟁능력(대응능력)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WOT 요인 중요도와 경쟁능력(대응능력)을 이용하여 경쟁력지수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외식프랜차이즈의 발전전략과 발전전략에 따른 실행계획을 제안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SWOT 분석에서 업체그룹과 전문가그룹 모두가 내부적 요인 중 강점요인을 약점요인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외부적 요인 중 기회요인을 위기요인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외식프랜차이즈 사업이 갖는 약점요인과 위기요인이 있긴 하지만 이러한 부정적인 요인보다는 강점요인과 기회요인이 갖는 긍정적인 점을 더 중요하게 판단하여 국내 외식프랜차이즈의 전체적인 성장 가능성을 높이 평가한 결과라고 해석된다. 둘째, 강점요인 중에서는 업체그룹은 검증된 비즈니스모델의 사용으로 사업안정화(S3)가 가장 중요도가 높았으며 전문가그룹은 가맹본부의 표준화된 제품(서비스) 및 경영지원(S2)이 가장 중요도가 높았다. 이는 업체그룹은 프랜차이즈 모델을 적용하여 사업을 초기에 안정화 한다는 현실적인 강점을 중요하게 생각한 반면 전문가그룹은 프랜차이즈 사업의 사전적 의미인 표준화된 제품(서비스) 제공과 경영지원이라는 이론적인 측면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셋째, 약점요인 중에는 업체그룹과 전문가그룹 모두 가맹본부와의 불리한 지위에서 협상 및 해결(W3)과 계약 기간 내 계약 파기 어려움과 파기 시 막대한 손실발생(W4)의 중요도 합계가 0.6에 이른다. 이는 프랜차이즈 계약의 중요성과 속칭 “갑”과 “을”의 상생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겠다. 넷째, 기회요인 중에서는 업체그룹과 전문가그룹 모두에서 라이프 스타일, 가치관, 소비의식 구조의 변화(O3)가 압도적으로 중요하게 나왔으며 이는 미래의 사회적, 환경적, 경제적 변화가 외식산업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한 결과로 해석된다. 다섯째, 위기요인 중에서는 업체그룹과 전문가그룹 모두에서 소비시장의 다양화에 따른 고객의 욕구변화(T1)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부적인 경쟁과 해외 프랜차이즈의 국내 진입과 같은 경쟁요인보다는 향후 다양하게 변할 소비자의 욕구를 어떻게 만족시킬 것인가가 국내 외식프랜차이즈의 위기를 극복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반증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여섯째, 가맹본부 VS. 가맹점 내부 경쟁능력(외부 대응능력) 차이분석에서는 가맹본부가 강점요인, 약점요인, 기회요인, 위기요인 전 부분에서 가맹점보다 내부 경쟁능력(외부 대응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가맹본부와 가맹점의 관계에서 아직도 가맹점이 상대적인 약자임을 의미하며 정부는 프랜차이즈에 대한 지원정책 및 제도를 수립할 때 가맹점의 입장을 더 보호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일곱째, SWOT/AHP 분석과 경쟁력지수를 감안하여 가맹본부 VS. 가맹점 발전전략을 분석한 결과 전체와 가맹본부, 가맹점 모두에서 SO전략(공격적 전략), ST전략(다각화 전략), WO전략(만회전략), WT전략(방어적 전략) 순으로 우선순위가 도출되었다. 이를 크게 두 전략으로 나누면 국내 외식프랜차이즈 사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시장을 확대하는 전략인 SO전략(공격적 전략)과 ST전략(다각화전략)이 우선적인 전략이고 국내 외식프랜차이즈 사업의 두 주체인 가맹본부와 가맹점 간에 공정한 거래가 성립되도록 규제하는 프랜차이즈 사업 공정화에 관한 전략인 WO전략(만회전략)과 WT전략(방어적 전략)이 차선이라 할 수 있겠다. 오늘날 프랜차이즈의 공정거래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는 있으나 분석결과는 먼저 전체적으로 프랜차이즈 사업을 성장시키고 발전시키는 정책과 제도를 우선시 하면서 경제적 약자인 중소 가맹본부와 가맹점을 보호하는 보완적인 정책과 제도가 마련되기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본 연구가 기존 다른 연구들과 차별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외식프랜차이즈와 관련된 연구에서 SWOT 요인을 도출하고 SWOT 요인에 대하여 AHP분석과 ANP분석을 적용한 최초의 연구라 할 것이다. 둘째, SWOT/AHP분석을 활용한 기존연구에서는 대부분 SWOT 요인의 중요도를 산출하여 발전전략의 수립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SWOT 요인의 중요도도 중요하지만 기업이 발전전략을 수립함에 있어 그 전략을 수행할 능력이 있는지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SWOT 요인의 중요도와 함께 경쟁력을 감안한 발전전략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세부 실행계획을 제시했다는 것이 기존연구와의 차별화된 점이다. 또한 가맹본부 그룹과 가맹점 그룹으로 나누어 SWOT/AHP를 분석하고 경쟁능력(대응능력)을 산출하여 그 차이를 해석한 것도 기존연구에서 찾아볼 수 없는 부분이다. 이상과 같은 시사점과 차별성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식프랜차이즈의 업종별 분석을 실시하지 못 하였다. 따라서 향후 국내 외식프랜차이즈의 업종별로 분석하는 연구와 국내 외식프랜차이즈와 해외 외식프랜차이즈를 비교하는 연구가 기대된다. 둘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국내 외식프랜차이즈의 SWOT/AHP의 기존연구가 없었기 때문에 SWOT요인을 도출하는데 어려움이 많았으나 외식프랜차이즈와 관련한 국내·외의 기존연구에서 부분적으로 언급된 SWOT요인을 선정한 후 외식프랜차이즈 운영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등 최선을 다하여 분석대상 SWOT를 도출하였다. 그러나 연구자에 따라 분석 대상 SWOT요인이 달라진다면 연구결과가 달라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향후 다양한 SWOT요인에 대한 활발한 연구를 기대한다.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crisis introduced a system for easy layoffs. With recent economic downturn, employees have been asked to retire early and fewer jobs have become available. As of late 2016, the youth unemployment rate reached 9.8%, approximately 430,000 and as a result, more and more small businesses have been created. Among many, franchise businesses have increased as it does not require people to have much experience and expertise and supports are provided by already established franchise headquarters. The rate of failure according to the National Tax Service (“NTS”) from 2011 to 2015 is 73.1% for non-franchise small businesses whereas it is 31.7% for franchise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rvey 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SWOT”) of franchise business model specifically in food service industry and suggest business improvement strategies. It was done by surveying 60 food service franchise owners and 50 experts to identify the SWOT.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d Analytic Network Process (“ANP”) were used to analyze the SWOT found by the surveys. As the compatibility index is lower than 1.067, the AHP is used to analyze the SWOT. In addition, surveys and analysis were done to analyze the competitive ability and responsive ability. Then, the research result was used to identify development strategies and execution plan for food service franchise businesses. First, the SWOT analysis shows that the franchise owners and the expert group view the industry positively overall and there are more strengths, opportunities than weaknesses, threats. While there are negatives and threats to the industry overall, many people think that there are more opportunities and positive aspects. Second, the franchise owners rank proven business model and platform (S3) as the strongest advantage of food service franchise businesses while the expert group ranks management supports (S2) from headquarters as the strongest advantage. This shows that the franchise owner group values the fact that it is easier to start a franchise business using well established business model and platform more than the expert group that values the management support and standardized products more. Third, the expert group and franchise owner group indicate that the weight on unfair franchise contracts with franchisor(W3) and high penalty from breaking a franchise agreement as weaknesses(W4) is 60% of weaknesses. This shows that contracts between franchisor and franchisee are important. Fourth, both the expert group and franchise owner group indicate that change in people’s lifestyle, value system and consumption pattern as the most important opportunity. This shows that future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change will positively affect the food service franchise industry. Fifth, both groups indicate that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 due to ever changing food service franchise industry as the biggest threat. It is ranked higher than the entry of foreign food service franchises. This shows that response to fast changing consumer trend is very important when it comes to overcoming threats to food service franchise industry. Sixth, the analysis shows that in every criteria, franchisors are ranked higher than franchisees. This means the relationship between franchisees and franchisors is still imbalanced and it is recommended that policy to protect franchisees should be proposed. Seventh, the result of the SWOT/AHP analysis and competitiveness Index rank as follows: SO strategy(aggressive strategy), ST strategy(diversific ation strategy), WO strategy(recovery strategy) and WT strategy(defensive strategy). This can be categorized into two categories. The first one is SO strategy(aggressive strategy) and ST strategy(diversification strategy) that are used to expand and develop the market. The second one is WO strategy(recovery strategy) and WT strategy(defensive strategy) that balance the imbalanced relationship between the franchisor and franchisee. Even though it has been no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anchisor and franchisee should become more fair, the analysis shows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expand and develop the franchise industry itself and secondly should mak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anchisor and franchisee more balanced. This research is different from other researches first this is the first because research to evaluate the food service franchise industry using the SWOT analysis and apply the AHP analysis and ANP analysis. Secondly, while other researches use the SWOT analysis to evaluate and propose a development strategy, this research not only uses the SWOT/AHP analysis, but also considers competitive ability and responsive ability of the food service franchises and suggests development strategies and execution plans. Lastly, this research evaluates franchisors and franchisees separately and used the SWOT/AHP analysis to evaluate competitive ability and responsive ability separately for each group. This research is limited first because it evaluates the industry as a whole, but does not evaluate by industry within the franchise industry. Accordingly, further research categorizing domestic and foreign franchise restaurants will be helpful. Secondly, as mentioned previously, there has not been a research on the food service franchise industry using the SWOT/AHP analysis. This was overcome by careful selection of interviewees. The result may be different based on how SWOT factors are selected. In future, I expect more researches to be done on the other SWOT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