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의 체력 수준이 성격강점에 미치는 영향

        유기범 서울교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체력 수준에 따른 성격강점 사이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체력이 성격강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 전인교육으로서의 체육의 위상을 재고하며, 행복한 학교생활과 인성교육을 위한 체육의 역할을 고찰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초등학생의 체력 수준과 체력요인이 성격강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학생건강체력평가 측정 결과와 성격강점의 핵심덕목 계발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서울에 있는 11개 교육청별로 1개 학교씩을 선정하여 11개 학교의 6학년 3개 학급 남녀 754명을 할당표본추출법으로 선정 하였고, 이 학생들 중 학생건강체력평가를 실시하고 성격강점 측정 설문지를 성실하게 응답하는 742명의 학생들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학생건강체력평가의 측정결과는 연구의 목적과 과정을 충분히 설명한 후 학교장의 허락을 얻고 연구대상자의 동의를 얻어 진행하였다. 성격강점은 CST(권석만, 2010)를 박효진(2012)이 초등학생에 맞게 수정한 성격강점 측정 설문지를 전문가 협의(교수 1명, 박사과정 1명, 석사과정 1명)를 거쳐 수정보완 후 사용하였다. 체력 수준에 따른 성격강점의 차이는 i-STATistic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원변량분석(ANOVA)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체력 수준에 따른 성격강점의 차이 분석결과 지혜와 지식(p<.01), 용기(p<.01), 인간애(p<.01), 정의(p<.01) 덕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절제와 초월성 덕목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체력 요인에 따른 성격강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심폐지구력은 6개 상위 덕목 가운데 용기(p<.05) 덕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순발력은 용기(p<.05), 인간애(p<.01), 정의(p<.001) 덕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유연성, 근력·근지구력, 체질량지수(BMI)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성격강점이 인간의 바람직한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심리적 특성을 가리킨다고 했을 때, 체력은 초등학생의 바람직한 성격 발달에 광범위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겠다. 이러한 결과는 체육활동이 바람직한 정서, 인성 교육의 하나의 대안으로 고려할 가치가 있으며, 전인교육으로서의 체육 교과의 위상과 가치를 고찰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국내 서식 감염병 매개모기 방제를 위한 가열연무의 살충효과

        민영환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내 보건소에서 모기 방제를 위해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법은 가열연막법과 가열연무법으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질병을 매개하는 대표적인 4종의 모기를 대상으로 휴대용 가열연막기를 이용한 가열연무의 살충력을 알아보고 방제력을 평가하여 효율적인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 수집을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에 사용한 모기 4종은 Dengue virus와 Zika virus를 매개하는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 West Nile virus(WNV)를 매개하는 빨간집모기(Culex pipiens), 말라리아와 일본뇌염을 각각 매개하는 얼룩날개모기류(Anopheles spp.)와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였다 (Lee, 2017). 연구에 사용한 살충제는 국내 보건소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역용 살충제로 etofenprox (AI 0.13%), bifenthrin (AI 0.025%) 및 deltamethrin (AI 0.13%)을 선정하였고, 제품 라벨의 희석비율 대로 물에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은 4종의 암컷 모기 25마리를 노출장에 넣고 2, 4, 6, 8, 10 m의 다섯 지점의 거리에 놓고 살충제를 살포하였다. 살충제를 가열연무기로 살포한 다음 10분 동안 방치한 후 모기를 항온항습실 (27±2℃, 65±5%)로 옮기고, 24시간이 경과한 뒤에 치사수를 관찰 기록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 살충제의 치사율은 얼룩날개모기류(Anopheles spp.)에서 살충제에 따라 40.3~81.1%로 평균 54.6%였고, 흰줄숲모기(Ae. albopictus)에서 81.9%~100.0%로 평균 91.7%였으며, 빨간집모기(Cx. pipiens)에서 49.9%~79.2%로 평균 68.0%의 치사율을 보였다. 또한, 작은빨간집모기(Cx. tritaeniorhynchus)에서 치사율은 살충제에 따라 37.6%~48.6%로 평균 42.6%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흰줄숲모기(Ae. albopictus)는 살충제에 대한 감수성이 다른 모기종에 비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살충제를 물에 희석하여 사용하는 가열연무의 거리별 치사효과는 살충제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2~6 m 거리에서 가장 높았고, 10 m 이내의 평균 치사율은 살충제에 따라 53.4%~77.2%로 평균 64.2%로 나타났다.

      • 사회적 형성 이론을 결합한 다중흐름 모형 기반의 아케이드 게임산업 사행화 규제연구

        강소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최근 게임 부문에서 정책적 전환이 이루어진 아케이드 게임산업과 관련하여 정부가 개입하지 않거나 회피하던 영역에서 제2의 바다이야기와 같은 외부적 사건발생 없이 패러다임 전환이 일어난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사례는 오랜기간 사행화 도구였던 자동진행장치를 금지함으로써 업계의 강한 반발을 야기한 규제정책과 현행 게임산업법상 금지된 점수보상형 게임기의 시범사업 정책이며, 부담과 수혜 정책을 동시에 추진한 맥락을 입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사회적 형성 이론을 다중흐름모형과 결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바다이야기 사태로 인해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2006년 이후부터 점수보상형 게임기가 시범사업 형태로 시행되고, 자동진행장치가 금지된 이후 집행효과가 드러나기 시작한 2021년까지로 설정하였다. 정책결정 사례분석으로서 Yin(2006)이 제안한 사례연구 절차에 따라 연구설계와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문헌 등 2차 자료에 더하여 다중흐름모형 분석요소를 구조화한 질문지를 기반으로 핵심관계자의 인터뷰를 시행한 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6년 참여정부 당시 바다이야기 사태에 대한 학습은 후대 정권에도 영향을 미쳐 아케이드 부문의 규제는 유지되어 왔으며, 등급분류를 받은 아케이드 게임이 사행적으로 개·변조되어 도박성으로 활용되는 행태가정책변동의 기저 배경으로 작용한다. 이익집단은 언론을 통해 주무부처가 아케이드 산업진흥의 의지가 없다며 부처 이관을 주장하는 틀 짓기(framing)를 함으로써 게임주관부처로서 산업진흥을 주관하는 문화체육관광부에 부담을 주는 가운데, 게임산업의 성장을 선도하던 온라인·모바일 게임의 성장 정체로 다른 성장 동력을 찾아야 하는 상황과 맞물리면서, 그동안 규제의 대상인 것 외에 별다르게 주목받지 못하던 아케이드 게임산업의 활로를 모색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전체 게임장의 약 70%가 게임기의 버튼을 이용자 대신 눌러주는 자동진행장치를 제공하고 있어 사행화가 아케이드 게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원인이라는 문제의 틀이 성립되었고, 사행화 우려로 인한 과도한 규제가 아케이드 산업 침체의 원인이라는 문제의 틀도 공존하였다. 규제완화를 약속한 문재인 대통령의 2017년 당선과 2020년 여당의 압승은 규제완화 정책의 산출을 추동하며 규제 샌드박스가 시행되었고, 아케이드 게임업계가 중소벤처기업부를 통한 의견 개진 등 조직화된 정치적 힘을 보여준 결과, 사행도구인 자동진행장치를 금지하되 점수보상형 게임기의 허용이라는 합의의 틀을 구성한다. 이때 규제완화의 경우 즉각적인 법개정이 아니라 일정 기간 사행화 여부를 점검해 볼 수 있는 규제 샌드박스 실증특례의 활용이 가치수용의 접점이 되었다. 이처럼 문화체육관광부가 누적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책기업가로서 정치의 흐름을 활용하여 아케이드 산업 내에 분화된 대상집단별 대안을 선택함으로써 사건 재량적 창을 열게 되었으며, 건전 아케이드 업계에는 규제완화를 통한 지원정책을, 사행성 아케이드 업계는 부담정책을 강화하여, 다른 것을 다르게 대응하는 정책으로 패러다임이 변동된 것이다. 이를 사회적 형성주의 관점의 맥락에 대한 이해 없이, 다중흐름모형의 렌즈로만 들여다본다면, 각 정책의 결정과정과 인접시기의 문제·정치·정책의 흐름 및 정책기업가가 선택한 대안의 분석은 가능하나, 자동진행장치가 새로운 장치가 아니고, 점수보상형 게임기가 새로운 대안이 아닌데 왜 지금 정부의제로 선택됐는지, 아케이드 게임산업이라는 대상집단에 대하여 왜 상반된 정책이 추진됐는지에 대한 이유는 추측의 영역에 머물러 있을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하나의 정책대상 집단의 유형이 이원화되어 딜레마 상태일 경우 정책결정이 장기간 교착 상태에 빠질 수 있으며, 이탈집단에 의한 정책 오남용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의 존재와 정책기업가의 적극 행정 의지에 따라 현재 상태에 최적화 된 정책이 산출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paradigm shift from the area where the government did not intervene or avoided to the transitions made without external events such as the second “Sea Story” in relation to the arcade games which have recently undergone policy changes in the game sector. Cases to be analyzed are regulatory policies that have caused strong opposition from the industry by banning automatic processing devices, which have been used as gambling tools for a long time, and the pilot project policies on redemption game prohibited under the current Game Industry Act. The Social Construction Theory combined with the Multiple Streams Framework was used in order to multilaterally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simultaneous promotion of burden and benefit policies. The time range of this study was set from 2006 when the Game Industry Promotion Act incurred from the "Sea Story" incident was enacted to 2021 when redemption game were implemented as pilot projects and the enforcement effect of banning the automatic processing devices has become visible. When analyzing policy-making case, research design and protocol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case study procedure proposed by Yin (2006), and interviews with key officials were conducted based on a questionnaire that structures Multiple Streams Framework analysis elements along with the secondary data such as literature. Experience from the "Sea Story" incident in 2006 during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affected later governments to maintain regulations in the arcade sector, and the behavior of arcade games modified to be used for gambling served as the underlying background to this. As interest groups framed the transfer of responsible ministry from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hich is currently in charge of the game industry growth, through the media for not having the will to promote the arcade industry, and with the stagnation of growth in online․mobile games led a search to find other growth engines in the game industry, allowing the arcade game sector to finally seek breakthrough. However, about 70% of game venues with automatic play devices pressing the game buttons instead of users caused negativity and established a framework that it is a problem. Also the concern for speculation led excessive regulation causing the slump of the arcade industry. President Moon Jae In's 2017 election and 2020 ruling party's landslide victory, which promised deregulation, introduced regulatory sandboxes with the yield of deregulation policies, and the arcade game industry showed organized political power, including expressing opinions through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This resulted the consensus to permit redemption game while prohibiting automatic processing devices. At this time of deregulation, the use of regulatory sandboxes, which allows the examination the speculative element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rather than immediate revision of the law, became the point for value acceptance. As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chose to use the stream of politics implementing alternatives accordingly with the target groups within arcade industry, it opened a discretionary window and shifted the paradigm. If this was analyzed only with a multi-flow model without understanding the context, merely each policy decision process and the stream of its adjacent issues, politics, regulations and chosen alternatives would be identified, still leaving the reason why it was selected as the government agenda now and why conflicting policies were carried specifically for arcade game industry will remain as just assump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policy decisions can be stalled for a long time if one type of policy target group is dualized, in a state of dilemma, and that policies can be optimized in such a state with alternatives and active administrative will.

      • 체육수업에서 자율적 결정도가 초등학생의 내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

        이보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16주 동안 자율적 결정도를 적용한 체육수업을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실시한 후 초등학생의 내적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에 소재하는 S초등학교 6학년 학급 중에 3개 학급 69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은 16주 48차시 동안 자율적 결정도를 적용한 체육수업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은 교육과정에 따른 일반적인 체육수업을 운영하였다. 두 집단의 자율적 결정도와 내적 동기에 대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하였고, 검사 결과를 i-STATistic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공분산분석(ANCOVA)과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도출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적 결정도를 적용한 체육수업이 초등학생의 체육수업 내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내적 동기 4가지 요인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지각된 유능감 요인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자율적 결정도를 적용한 체육수업이 초등학생의 체육수업 내적 동기 중 지각된 유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 동기의 다른 요인인 흥미․즐거움(p<.001), 노력․중요성(p<.05), 긴장․압력(p<.05) 또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율적결정도를 적용한 체육수업이 초등학생의 내적 동기 4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율적 결정도의 5요인이 내적 동기의 4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내적 동기의 4가지 요인 중 흥미․즐거움, 노력․중요성, 긴장․압력에 자율적 결정도의 요인들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즐거움에는 준비․평가․집단요인이, 노력․중요성에는 준비․집단요인이 마지막으로 긴장․압력에는 준비요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요인인 지각된 유능감에는 자율적 결정도 요인들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자율적 결정도를 적용한 체육수업이 초등학생의 내적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자율적 결정도 요인 중 준비와 집단요인이 내적 동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율적 결정도를 적용한 수업 중에 학생들이 준비운동을 포함하는 과제 활동을 주도적으로 실시하고, 동료 집단을 선택하여 활동하는 과정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얻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자율적 결정도를 체육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과 학생들의 내적 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학교 현장에서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주요어: 초등학생, 자율적 결정도, 내적 동기 * 본 논문은 2014년 11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석사학위 논문임.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n which the degree of students' self-determination is appli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after delivering the class for 16 weeks. To this end, 69 students from three sixth-grade classes at S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For the experimental group, 48 hour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n which the degree of students' self-determination was applied was delivered for 16 weeks, and for the control group, general physical education class based on curriculum was given. The two groups were given tests of the degree of self-determin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test results were subject to ANC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i-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naly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analyses of the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where students' self-determination was appli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about physical education clas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in terms of the four factors of intrinsic motivation. In terms of perceived competenc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p<.05), indicating that physical education class where students' self-determination is applied has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competence, the fact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about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two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 other factors too interest and enjoyment(p<.001), effort and importance(p<.05), and nervousness and pressure(p<.05), indicating that physical education class in which students' self-determination is applied exerts a positive effect on the four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about physical education class. Second, the effects of the five factors of students' self-determination on the four factors of intrinsic motivat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of students' self-determination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ree out of the four factors of intrinsic motivation, which were interest and enjoyment, effort and importance, and nervousness and pressure. More specifically, among the factors of students' self-determination, preparation, evaluation and collectiveness had positive effects on interest and enjoyment, and preparation and collectiveness on effort and importance, and preparation on nervousness and pressure. Meanwhile, the factors of students' self-determination did not exert any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competence, another factor of intrinsic motivation. In conclusion, it turned out that physical education class in which students' self-determination was applied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about physical education class. Particularly, among the factors of students' self-determination, preparation and collectiveness had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This implies that during physical education class in which students' self-determination was applied, students gained positive effects from proactively conducting task activities including preparation exercise and selecting and working with a peer group. Therefore, continuous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on a variety of methods with which students' self-determination can be applied to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methods for the improvement of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Key words: elementary students, self determination degree, intrinsic motivation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 초등학교 배구부 운영 실태 분석

        이해인 서울교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is for providing basic information about managing elementary school volleyball team, enhancing their performance and expanding the base of volleyball by understanding the way of organizing a volleyball team, lifestyle of players, manage ment of team budget and recognition of coaches.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71 elementary school volleyball coaches are surveyed by myself, reviewed by 4 well-experienced coaches and ensured reliability by reliability test. i-STATistics program was used for converting percentage and analyzing frequenc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Usually there are about 6 to 9 players in one elementary volleyball team. They have difficulty in finding new players and they are completely leaning on coach's ability to get new players. They receive their players not from their own school but from another schools for school volleyball team training and opposition of players’ parents is the most difficult step to have them. Most of the teams have only one full-time coach who once had been a volleyball player in high school or university. About half of elementary school players continue to play when they go middle school and coach's opinion is crucial for them. When players choose their middle school, the distance from their home to school i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em. Every teams practice for about 2-4 hours a day, 4 times or more a week. They do not do or do less on weekend, but they practice intensively on summer/winter vacation.(expecially girls’ team). Most of teams go to training on vacation and participate in 3-4 tournament games annually. When they go our of the school for training or tournament games, they usually use coaches' personal car. When off-season or before tournament, most of players attend the regular classes and coaches think academic achievement of their players is not so bad comparing with average elementary students. To improve academic performance for the players, coaches encourage them to get supplementary classes and parents are also very interested in their children's study. Usually a elementary school volleyball team spend about 10,000,000 won per a year for managing their team, but coaches answered that boys team needs more budget. Local authorities are the biggest financial supporter for boys team except budgets from their school and Education Office, while middle schools is the biggest financial supporter for girls team. There is no monthly fee for players or their parents and personal sporting goods like volleyball shoes are provided by team budget. Teams spend their entry fee for tournament games within their budget and if they do not have enough budget, they do not participate tournament games. Coaches of elementary schools think the best time for starting volleyball is the 3rd or 4th grade and they have positive attitude about the future life of being a volleyball player. They answered selecting and managing new players is the most difficult job as a coach. Most of them are agree with 'minimum academic achievement score' system for their players, changing an elementary volleyball team into a club team and having a weekend volleyball league. Coaches think selecting new players and job stability(more salary) of themselves are the most important things for managing a team efficiently. They also think getting more budget and support, changing to club team and popularity of professional volleyball league are key facts to expand the base of elementary school volleyball. In conclusion, elementary school volleyball team have difficulty in selecting new players and coaches believe there should be a new way to get them depending on their own ability. As an elite team, they are conducting consistent training like professional team. Teams managed their team within their own budget. There results would be good basis of managing efficient volleyball team and expanding volleyball. 본 연구는 초등학교 배구부의 운영 실태 측면에서 배구부의 조직, 선수들의 생활, 예산, 지도자의 인식 실태 등에 관해 파악하여 초등학교 배구부의 효율적인 운영과 배구 경기력 향상 및 저변확대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의 모든 71개 초등학교 배구부 지도자를 조사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본 연구에 맞게 연구자가 작성하였으며, 배구부 지도경험이 있는 지도자 4명의 검토를 거쳐 수정․보완 하여 타당성을 검증했으며, 신뢰도 검사를 통해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설문은 i-STATistic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백분율 산출 및 빈도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팀별 배구선수 인원수는 ‘6~9명’이 가장 많았으며, 선수수급에 어려움이 많았고, 선수 선발은 거의 전적으로 지도자의 역량에 기대고 있었다. 배구부 훈련을 위하여 본교 학군이 아닌 다른 학교에서 선수를 전입 받고 있었으며, 선수선발시 애로사항은 학부모의 반대를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팀은 전임코치 1명을 두고 있었으며, 전임코치는 고등학교 이상 선수경력을 가지고 있었다. 선수의 절반 정도만 체육특기자로 상급학교로 진학하고, 진학방법을 결정하는 데는 전임코치의 역할이 결정적인 것으로 파악됐다. 진학하는 중학교를 결정하는 주요요인은 통학거리(관내학교)를 우선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팀은 일주일 평균 4일 이상, 하루 2~4시간 연습을 하고 있었으며, 주말 및 공휴일에는 하지 않거나 평일보다 줄여서 연습을 하고 있었다. 방학기간 중 지속적으로 연습을 하고 있었으며, 특히 여자팀이 더욱 집중적인 훈련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팀은 방학기간을 이용하여 전지훈련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연간 ‘3~4회’ 대회 참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습경기 및 대회 참가 등으로 학교 외부로 이동하는 경우 ‘지도자의 개인차량’을 이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평시 및 시합 전 선수들은 거의 대부분 정규수업 모두 참여하고 있었으며, 지도자들은 선수들의 학업성취도가 낮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수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보충수업 등 적극적으로 격려하고 있으며 학부모들 또한 선수들의 학업성취도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배구부의 연간 총 소요 예산은 ‘1000만원 대’가 가장 많았으며, 상대적으로 남자팀이 예산이 부족하다고 답한 경우가 많았다. 학교와 교육청을 제외한 가장 큰 재정지원자는 남자팀은 ‘지역기관’, 여자팀은 ‘상급학교’였다. 학생 및 학부모의 월회비는 없었으며, 운동화 등 개인용품 일체도 예산으로 구입하는 경우가 많았다. 대회참가 비용은 대부분의 팀이 전액 예산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예산 지원이 없는 경우 대회에 참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배구부 지도자는 배구선수로 시작하는 가장 적당한 시기를 초등학교 중학년(3~4)학년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배구선수로의 직업 장래성을 대체적으로 좋게 생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배구부 운영에 있어서 선수선발 및 관리를 가장 어려운 부분으로 꼽았다. 최저학력제 시행에 대해서는 대부분 찬성하고 있었으며, 운동부의 스포츠 클럽화 및 각종 대회의 주말리그제 전환에 대해서도 대체적으로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율적인 배구부 운영을 위하여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선수확보, 전임코치 신분안정(보수인상) 순이었으며, 초등배구의 발전과 배구 저변확대를 위하여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일은 예산 및 시설 지원확대, 배구부의 클럽 활동으로 전환, 프로리그 활성화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 배구부는 선수선발에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지도자들은 효율적인 배구부 운영을 위해 선수확보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지도자 개인의 역량에 많은 부분을 기대고 있었다. 엘리트 운동부로서 전문적이고 지속적인 훈련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예산범위 내에서 운영하는 시스템이 정착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효율적인 배구부 운영과 배구의 저변확대를 위한 하나의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부모의 기대 수준이 초등학교 운동부 학생의 내적 동기와 스포츠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차용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운동부 학생의 내적 동기와 스포츠 자신감과 그 부모님의 기대 수준을 연구함으로써 부모의 기대 수준이 초등학교 운동부 학생의 내적 동기와 스포츠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의 11개 교육지원청 내 운동부 운영교 11개교를 선정하여 운동부 학생의 내적 동기와 스포츠 자신감, 그 부모님의 기대 수준을 검사지로 측정하였다. 검사 결과를 SPSS 18..0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도출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기대 수준이 초등학교 운동부 학생의 내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내적 동기 2가지 요인에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 동기 요인 중 긴장·불안 요인에서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신체적 역량 기대, 인지적 역량 기대, 사회적 역량 기대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의 기대 수준이 높으면 초등학교 운동부 학생의 내적 동기 중 긴장·불안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어머니 기대 수준 중 인지적 역량 기대와 흥미·즐거움과도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어머니의 인지적 역량 기대가 높으면 초등학교 운동부 학생의 흥미·즐거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기대 수준이 초등학교 운동부 학생의 스포츠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스포츠 자신감의 능력 입증, 사회적지지, 코치 지도력, 신체적·정신적 준비 4요인과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 기대수준과 스포츠 자신감과는 r=0.198(p<0.01)에서 r=0.302(p<0.001)의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어머니 기대수준과 스포츠 자신감과는 r=0.226(p<0.01)에서 r=0.327(p<0.001)의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부모의 기대수준이 높으면 스포츠 자신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내용을 종합해보면, 부모의 기대 수준이 높을수록 초등학교 운동부 학생의 내적 동기 중 긴장·불안이 높고, 어머니의 인지적 기대 수준이 높으면 학생의 흥미·즐거움이 높으며, 부모의 기대 수준이 높을수록 학생의 스포츠 자신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적절한 기대 수준이 학생의 내적 동기와 스포츠 자신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부모의 기대 수준이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는 다양한 방안과 학생들의 내적 동기와 스포츠 자신감을 고취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sport self-confidence of athlet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their parents' expectation level and also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s' expectation level on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sport self-confidence of athlete students. For those purposes, the researcher selected 11 schools that ran an athletic club under the supervision of 11 offices of education within the jurisdiction of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measured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sport self-confidence of athlete students and the expectation level of their parents with an inventory. The results were put to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SPSS 18.0 for Windows statistical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and conclusion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parents' expectation level on the intrinsic motivation of athlet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found that it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wo factors of their intrinsic motivation. Tension and anxiety, as main two factors of intrinsic motivation,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fathers' and mothers' expectations for physical, cognitive, and social capabilities, which indicates that when parents have a high level of expectation, their athlet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recorded a high level of tension and anxiety among the factors of intrinsic motivation. There were also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mothers' expectations for cognitive capabilities and athlete students' interest and enjoyment, which indicates that mothers' higher expectations for cognitive capabilities could lead to athlete students' higher interest and enjoyment. Second, the study also analyzed the effects of parents' expectation level on the sport self-confidence of athlet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found that it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ll of four factors of sport self-confidence, which include demonstration of abilities, social support, coach's leadership, and physical and mental preparation.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in the range of r=0.198(p<0.01) ~ r=0.302(p<0.001) between fathers' level of expectation and athlete students' sport self-confidence and those in the range of r=0.226(p<0.01) ~ r=0.327(p<0.001) between mothers' level of expectation and athlete students' sport self-confidence. In other words, parents' higher level of expectation is strongly correlated to the greater sport self-confidence of their athlete students. The findings in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parents' higher level of expectation is highly correlated to and could predict the higher tension and anxiety of athlet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mong the factors of intrinsic motivation, that mothers' higher level of cognitive expectation is linked to the greater interest and fun of athlete students, and that parents' higher level of expectation also has a correlation with the greater sport self-confidence of students. That is, parents' proper level of expectation is likely t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sport self-confidence of their children. The findings raise a need to conduct further research on various ways to maintain parents' expectations at a proper level or to increase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sport self-confidence of students in the field of school.

      • 친환경 마찰재의 마찰특성과 저주파 소음 평가

        이길형 충북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Recently, industries has developed greatly throughout. Automobile industry is not an exception. The development of frictional material before 1980s was proceeded, mainly, by using asbestos fiber. But after its harmfulness was spread through the world, in the 1980s, frictional material made by non-asbestos organic(NAO) material have become the mainstream of the development.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materials suitable for trends according to recent applica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Therefore, we researched a frictional properties of brake pads included ZrSiO4 new environment friendly abrasives and low frequency noise mechanisms that have not been studied so far. The samples used in this study were 4 types of ZrSiO4 the mixing ratio changed to 0, 3, 5, 7 vol% and 3 types of ZrSiO4 particle size is 1~3 ㎛, 5~10 ㎛, 15~20 ㎛ respectively. Using this samples, we investigated optimum coefficient of friction per mixing ratio and friction characteristics of per velocity, deceleration, before and after thermal fade history. The optimum conditions of the materials were determined by aggression of rotor, duration of wear, a durability test of vehicle as well.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friction coefficient on the change factor (relative humidity, absolute humidity, cooling wind speed, chamber temperature, soaking time, pads area and scorching time etc.)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is confirmed that the optimum mixing ratio of ZrSiO4, which is a newly developed material, is 5 vol%, and the average coefficient of friction is 0.45 there is no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rmal history. The optimum particle size was verified 5~10 ㎛. Changing cooling speed wind speed and chamber temperature was little effect coefficient of friction, however depending on the humidity change, the coefficient of friction is different the maximum 0.045 during the test and it was decreased with the higher. The longer scorching time the loss in weight grow. In the case of coefficient of friction, when the scorching time is 25 second it was 0.09 higher than without scorching. Additionally, we investigated the mechanisms that is dynamic groan noise and cold judder in low-frequency noise. As a consequence of the study, the mechanism of dynamic groan noise is that Brake Torque Variation (BTV) is occurred by unstable contact due to thermal deformation between rotor and brake pads and it is confirmed that BTV is developed below 5Nm, it can satisfy a requirement. Cold judder is occurred by BTV growth due to generation of Disc Thickness Variation (DTV) during the braking and we found that the vibration from cold judder reached to vehicle inside. Therefore, it is verified that management of the particle size of ZrSiO4 and setup run-out can control occurrence of cold judder.

      • 과속단속시스템 운용정책의 교통사고 및 통행속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박희건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이중차분법과 선행연구에서 쓰이는 방법들(단순사고건수, 일대일 비교, 비교그룹방법)을 사용해 교통사고와 통행속도의 추세변화가 과속단속시스템에 의해 어떻게 달라지는지 비교하였다. 자료는 2011. 01~2020. 12 기간 내 구간 과속단속을 시행한 4개의 고속도로에서 6개 구간의 교통사고 건수(인적 사고), 통행속도, 교통량 자료를 사용하였다. 먼저 비교그룹방법과 이중차분법을 사용해 구간별 교통사고와 통행속도 추세변화에 대해 추정하였고 이중차분법을 사용해 과속단속 유형별 사고감소 효과가 있었는지 추정하였다. 교통사고 분석 결과에서 비교그룹방법은 6개의 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사고감소 효과를 보였다. 반면, 이중차분법은 설악서종 구간을 제외한 5개의 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통행속도 분석 결과에서는 비교그룹은 약 3~8%의 상대적인 속도감소를 보였고 이중차분법은 약 1~5km/h의 평균속도가 감소하였다. 구간 과속단속의 운용은 지점 과속단속과 미단속 운용보다 통행속도 측면에서 속도가 약 3~5km/h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반면, 교통사고 측면에서 전 구간 약 –0.1~0.3 건수가 변화한 추정결과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기존 연구방법인 비교그룹방법의 결과는 교통사고감소 효과가 있는 것처럼 해석할 수도 있지만, 이중차분법을 활용해 분석했을 때, 다른 결과가 나온 경우들이 있었다. 따라서 정책의 효과를 분석할 때는 각 방법의 특성을 파악하고 주의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mpares how the trend changes in traffic accidents and speed is changed by the speeding enforcement system(SES) using the difference-in-difference method(DID) and methods used in previous studies(simple before and after evaluation method, with yoked comparison, comparison group method(C-G)). The data were used for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human injuries), speed, traffic volume in 6 sections of 4 highways that operated the section SES from January. 2011 to December. 2020. First, both the C-G and the DID to the trend changes of traffic accident and speed are used in the empirical analysis and then, each type of SES, the DID is used to estimate the effect of reducing accidents. As a result of traffic accident analysis, the C-G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ident reduction effect in 6 sections. However, the DID does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five sections except for the Seorak-Seojong section. In the result of the speed analysis, the C-G shows a relative speed decrease of about 3~8%, and the DID shows average speed decrease of about 1~5km/h in the remaining sections except for one section. In section SES, the spe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d by about 3~5km/h in terms of traffic speed compared to point SES and non-SES operation.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traffic accidents, the estimates are ranged –0.1~0.3 in all sections insignificantly. In conclusion, even when the C-G method tells some policies look effective, the DID method can deny the significance of the effects. Therefore, when analyzing the effect of the polic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ethod.

      • 산화알루미늄이 코팅된 이산화티타늄 입자의 제조와 자외선 흡수 특성

        윤지현 충북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Titanium dioxide has excellent whiteness, tinting power and light scattering effect. Therefore, It was appl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pigment, paint and cosmetics. To improve dispersibility and stability in product, titanium dioxide is coated with aluminium oxide. Also, it could decrease photocatalytic activity. In this study, titanium dioxide is coated with aluminium oxide synthesized via hydrothermal precipitation method. As process parameters changed the amount of Al2O3, pH, temperature and reaction time. The samples were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 X-ray diffractometer,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thermogravimetry and differential thermal analsis, UV-Vis spectrometer. Also, photo activity of TiO2 coated with Al2O3 were analyzed by photodecomposition of methylene blue. Optimal condition of synthesis was conformed when amount of Al2O3 was 50 wt%, pH was 9, time was 1 hour. This study conformed increase of UV absorption and improvement of disadvantage such as high photocatalytic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