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이명철 협성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15

        국 문 초 록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 협성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전공 이명철 지도교수 이근홍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핵심인력인 요양보호사들이 서비스이용자인 노인들의 직접적인 돌봄을 담당하는데 있어 처우가 낮고 근무환경들이 열악하여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나는 상황에서 요양보호사들의 현 근무환경을 재조명해보고 직무만족을 통해 이직의도를 낮추거나 완화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당진시를 중심으로 장기요양기관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들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배부된 400부중 330부를 회수 이중 불성실한 응답자 26부를 제외한 304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설문기간은 2014년 7월 2일부터 2014년 9월 2일까지 약 2개월간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근무환경과 이직의도에 대한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와 관련하여 근무환경의 하위변수들에 대해 분석한 결과, 보수, 근무여건, 서비스여건, 동료관계, 상사와의 관계, 서비스대상자와의 관계, 대상자 가족과의 관계 등 모든 하위변수들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보수가 적을수록, 근무여건이 나쁠수록, 동료관계가 좋지 않을수록, 상사와의 관계가 좋지 않을수록, 대상자 가족과의 관계가 좋지 않을수록, 서비스여건이 좋지 않을수록, 서비스대상자와의 관계가 좋지 않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보수, 근무여건, 상사와의 관계, 서비스대상자와의 관계에서는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대해 부적(-)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며, 동료관계와 대상자 가족과의 관계에서는 이직의도에 대해 부적(-)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과 이직의도 및 직무만족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의를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과 이직의도에 대한 이론을 인적자본이론, 교환이론, 조직균형이론 등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본 연구에서는 인적자본이론(Ehrenberg & Smith, 1988)이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과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잘 설명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즉 현재의 조직이 이직하려고 하는 조직보다 임금이나 환경이 열악할 경우 지금보다 나은 조직으로 이직하게 된다는 인적자본이론이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과 이직의도를 잘 설명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근무여건이 이직의도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요양보호사들의 근무여건에 대한 욕구를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요양보호사들의 교육기관 양성에 대한 창구 일원화와 이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관리기관을 단일화하고 네트워크화 할 수 있는 조직체계의 정비를 정책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요양보호사들의 낮은 보수와 열악한 근무환경 등은 결국 이직을 생각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고 질 낮은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어 이들의 서비스를 받는 서비스 이용자들의 불만을 초래하는 악순환을 되풀이하게 되는 상황에 놓이게 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요양보호사만을 양성하는 데에 그치지 말고 각 지자체는 현재의 고령인구 비율이 어느 정도이고 어느 정도의 요양보호사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있는지를 객관적인 자료수집을 통해 파악한 후 공단과 지자체의 센터들이 함께 협력하여 요양보호사들의 직무에 대한 매뉴얼을 새롭게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동료관계, 상사와의 관계, 서비스 대상자 가족과의 관계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요양보호사들의 의사소통기술과 상당히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휴먼서비스를 행하는데 있어 정서적으로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좀 더 의사소통기술 및 대인관계 기술 등의 다양한 기법들에 대한 교육 및 실습이 다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2008년부터 실시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128만 명의 요양보호사들을 배출하고 있으며, 근무환경을 개선하고 이직의도를 낮추려는 다양한 접근을 하고 이들에 대한 처우개선을 위한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접근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가 차원에서 전국적으로 통합적인 전수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지엽적인 조사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어 요양보호사들이 처한 정확한 상황과 이들의 근무환경에 대한 실질적이고 객관적인 자료 제공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전수조

      •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일의 의미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권치영 협성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들의 일의 의미가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일의 의미와 삶의 만족 간에 직무만족이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지역에서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만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실제 분석에서는 조사된 604부의 설문지가 활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기술통계분석, 주요변수의 평균비교,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관련 변인들 간의 이론적 모형을 검증하고자 구조방정식모형 분석방법을 중심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일의 의미가 삶의 만족에 대해 갖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경제적 이득의 경로를 제외하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일의 매력이 높을수록, 자존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인정의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일의 의미가 직무만족에 대해 갖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모두 유의하였다. 즉, 자존감이 높을수록, 일의 매력이 높을수록, 경제적 이득과 사회적 인정의 수준이 높을수록 각각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개변수인 직무만족이 종속변수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일의 의미가 직무만족의 매개역할을 통해 삶의 만족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자존감, 일의 매력, 사회적 인정은 삶의 만족에 직접,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만족은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경제적 이득은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력은 없으나 직무만족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제 본격적으로 도래한 고령사회에 노후소득보장정책과 고용정책으로서 노인일자리사업이 갖는 사회적 유용성과 노인의 심리사회적 효과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특히 노년기 삶에서 노인들이 갖는 일의 의미와 삶의 만족 간에 대한 연구가 매우 제한적인 상황에서 주요 변인들 간 총체적인 인과관계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실증함으로써 관련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확장시키는데 기여했다는 점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급속한 고령화에 대응하는 중요한 인적·사회적 자원으로서 노인인력활용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전환의 계기를 마련하고, 궁극적으로는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더한다고 할 수 있다.

      • 노인의 여가몰입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김규엽 협성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Elderly's Leisure Commitment on Depression : Verification on Medicated Effect of Self-efficacy Kim, Gyu Yop Doctor of Philosophy in Social Welfare Hyup Su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Lee, Keun Hong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focused on analyzing the leisure commitment and depressio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socio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elderly and verifying the medicated effect of self-efficacy in effect of leisure commitment of the elderly on the depression. For achieving that purpose, both literature research method and empirical research method were conducted. By this way, the basic materials for leisure activation plan, which can increase the elderly's leisure commitment and decrease the depression, and for establishment of senior welfare policy on leisure are designed to provide. This research selected a population from the elderly older than 60 who attend 6 senior welfare centers in Suwon, Kyeonggido and researched 530 people using sampling of convenience. Gathering material was conducted by directly visiting senior welfare center, and except 28 copies of questionnaires which were refused to respond or responded insincerely in the survey process, final 502 copies were used to material analysis. The result of major studies derived from analysis of difference among major variables, correlation, hierarchial regression and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leisure commitment directly affects the depress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effect of leisure commitment on the depression, it was revealed that cognitive commitment and behavioral commitment in leisure commitment have positive impact on the depression. Especially, behavioral commitment(standardization coefficient=-0.241) relatively more affects the depression than cognitive commitment(standardization coefficient=-0.161). Second, it is confirmed that the elderly's leisure commit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self -efficacy. In consequence of conducting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effect of leisure commitment on self-efficacy, it was confirmed that subfactor of leisure commitment statistically has a meaningful impact on subfactor of self-efficacy. In other words, it was determined that cognitive commitment and behavioral commitment which are the subfactor the elderly's leisure commitment have respectively significant impact on self-confidence, self-control,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s which are the subfactor of self-efficacy. Third, self-efficacy is found to have direct and indirect impact on the depression. After conducting th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effect of self-efficacy, which is a parameter, on the depression, it was confirmed that each subfactor of the self-efficacy all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depression. It was proved after the research that leisure commitment and self-efficacy are related with the depression when the elderly participate in the leisure activities. Fourth, in aspect of the effect of the elderly's leisure commitment on the depression, after verifying the self confidence which is a subfactor of the self-efficacy and partial medicated effect of self-control, it was revealed that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pression. Also, it was determined that the difficulty of the task partially has the medicated effect in the process of the effect on the depression. Also, self-efficacy is found to play a partially medicated role which is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the effect of the leisure commitment on the depression.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both the leisure commitment of the elderly and self-efficacy have impact on the elderly's depression through direct or indirect route. Also, the leisure commitment and self-efficacy are found to be the factors that most positively affect the depression. This research used subfactor of the self-efficacy focusing on the physical factors of the elderly's leisure, which was to try differentiation from the original study, and was determined to be the basic material for the empirical study on self-efficacy and depression later. However, there can be a limit for the research result to be generalized to all old people attending leisure welfare service centers because in the process of the study the target area for gathering sample was limited to Suwon in Gyeoggi-do. Therefore, this essay discussed th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and presented the direction for the later studies. Key words: the elderly, leisure, leisure commitment, depression, self-efficacy, medicated effect 국문초록 노인의 여가몰입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협성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김규엽 본 연구는 노인의 인구 사회학적인 특성에 따른 여가몰입과 우울을 분석하고, 노인의 여가몰입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증적 연구방법과 문헌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해 노인의 여가몰입을 증진 시키며, 우울은 감소시킬 수 있는 여가 활성화 방안 및 여가에 관한 노인복지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수원시 노인복지관 6개소를 이용하는 60세 이상 노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대상자의 표집은 편의 표집을 통하여 530명을 조사하였다. 자료수집은 노인복지관을 방문 조사하였으며, 조사과정에서 응답을 원치 않거나 무성의하게 응답한 설문지 28부를 제외하고, 최종 502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주요변수 간의 차이, 상관관계 분석 및 위계적회귀분석과 매개회귀분석 및 Sobel-test을 실행하였으며, 이와 같은 검증을 통해 나타난 주요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여가몰입은 우울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몰입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가몰입의 하위변인인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은 우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행위몰입(표준화 계수=-0.241)이 인지몰입(표준화 계수=-0.161)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여가몰입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먼저 여가몰입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가몰입의 하위요인이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노인 여가몰입의 하위변수인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이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선호에 각각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우울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변수인 자기효능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효능감의 각 하위요인은 우울에 대해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들이 여가활동 참여시 여가몰입, 자기효능감이 우울과 연관 있음이 연구결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여가몰입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은 부분적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신감과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선호가 부분적 매개효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은 여가몰입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분적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노인의 여가몰입과 자기효능감은 직·간접적인 경로를 통하여 모두가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나타났으며, 우울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도 여가몰입과 자기효능감으로 규명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노인 여가의 심리적 요인에 관점을 두고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을 활용하여 노인 여가 복지 방향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화를 시도함으로써, 향후 자기효능감과 우울에 대한 실증적 차원 연구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의 표집과 관련하여 대상 지역을 경기도 수원시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노인여가복지시설을 이용하는 모든 분들에게 일반화하는데 한계점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정책적인 논의와 동시에 향후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 노인여가복지시설 이용노인의 여가몰입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상기 협성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오늘날 우리나라는 출산율의 급락과 평균수명이 증가하여 저출산과 고령화라는 인구구조의 문제를 가지게 되었다. 2000년에 이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한국 사회는 이후 급격한 속도로 초고령사회로 나아가고 있으며, 더욱이 전 세계적으로 가장 고령화 속도가 빠르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개인의 차원에서는 경제적 빈곤, 보건·의료문제, 노인의 무위·무료, 사회적 소외 등과 같은 다양한 노인 문제들이 심각해지고 있으며, 사회적 문제들로 나타나고 있다. 노년기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미래의 노인세대가 현세대 노인과는 다른 특성과 욕구를 가질 것임을 염두에 두고 사회적으로 접근의 초점을 어떻게 두어야 할지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의욕이 있고 건강한 노인세대 즉, 신노인들이 수행하는 사회적 역할이나 정책적 대응이 다르게 접근되어야 한다는 지적들이 제기되고 있으며, 100세 시대 패러다임으로 전환되어가는 과정에서 노년기의 생애 주기 또한 새롭게 설계되어 생활만족과 연결되는 여가몰입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야 한다는 요구와 부합된 새로운 삶에 대한 방식이 제기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여가복지시설 이용노인의 프로그램 참여 실태, 참여 빈도, 참여 기간, 만족도, 프로그램 참여 후의 변화 정도에 따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또한 노인여가복지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의 여가몰입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노인여가복지시설 이용노인의 여가몰입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노인여가복지시설 이용노인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여가몰입을 높이고 사회적 지지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적 분석을 위해 서울 금천구, 구로구, 경기도 광명시에 소재한 노인복지관 및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비확률표본추출 방법의 하나인 편의표집을 통하여 550명을 설문조사를 하여 그중에서 설문내용을 불성실하게 응답한 35명을 제외한 설문지 515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방법으로는 여가몰입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여가복지시설 이용노인의 여가몰입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노인여가복지시설 이용노인의 여가몰입과 생활만족도에 대한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전체적인 결과를 요약하면, 노인여가복지시설 이용노인의 여가몰입 중,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노인여가복지시설 이용노인의 여가몰입과 생활만족도 간에는 서로 관계성이 있었고, 그중에서도 여가몰입의 인지몰입, 행위몰입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4가지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는 행위몰입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여가복지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여가몰입을 높이고 사회적 지지를 높일 수 있는 기초적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여가복지시설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생활만족도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노인들의 여가몰입을 위한 여가활동 참여를 촉진하고 확대하기 위한 실천이 필요하다. 둘째, 외국 노인들의 여가복지에 관한 사례들을 벤치마킹하여 우리나라의 노인여가복지에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 셋째,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는 생활만족도 증대를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노인들의 안정적인 사회적 관계망을 유지하고 확대하기 위해서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본다. 주제어: 노인여가복지시설, 여가몰입, 생활만족도, 사회적 지지

      •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업 정체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최지안 협성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국 문 초 록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업정체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협성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최지안 노인 돌봄에 있어 요양보호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여러 요인들이 요양보호사의 안정적인 활동을 저해하여 이들의 이직률은 매우 높은 편이다. 요양보호사의 이직률을 낮추는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어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업정체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업정체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업정체성을 제고하고 자기효능감을 높여 이직의도를 낮추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서울시 및 경기도의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대상으로 편의표본 추출을 통해 400명에게 설문을 받았고, 이 중 392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기술통계, t-검증, F-검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매개회귀분석, Sobel-test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정체성의 하위요인 중에서 공공서비스 신념과 직업소명의식이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요양보호사의 공공서비스신념과 직업소명의식의 인식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직업정체성의 하위요인 중에서 전문조직활용, 직업소명의식이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요양보호사의 전문조직활용과 직업소명의식의 인식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에서 자기조절효능감과 자신감이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조절효능감과 자신감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직업정체성의 하위요인 중에서 직업소명의식과 공공서비스 신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은 부문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업정체성과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낮추어 장기근속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들의 공공서비스신념과 직업소명의식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교육 시간 확대, 교육 기관과 교육의 세부적 내용 등 관련 법제도적 장치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직업소명의식을 제고하여 직업에 대한 애착을 높이기 위하여 급여 인상, 요양보호사 1인당 담당인력 확대 배치, 요양보호사 업무매뉴얼의 구체화, 휴게공간과 시간의 확대 등 요양보호사의 복리후생 증진을 위한 노력이 수반될 필요가 있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요양보호사의 직무교육과정에 자기성장 프로그램, 자기효능감 향상 워크샵을 개설하거나, 근골격계 운동프로그램 등을 확대 운영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리고 노인요양시설 기관장 교육 시 기관 차원에서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 관리에 관심을 가지도록 유도하는 것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기관 및 협회차원에서 요양보호서비스의 중요성과 필요성, 요양보호사의 사회적 가치 등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홍보해 나가야 할 것이다. 요양보호사의 직업소명의식, 공공서비스 신념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리적 환경의 처우개선과 함께 지역사회 주민들이 요양보호사와 요양보호 서비스에 대한 사회적 중요성을 인식할 때 가능하기 때문이다. 주제어 :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 직업정체성, 자기효능감, 이직의도

      • 방문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검증

        정형학 협성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방문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검증- 협성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연 구 자 : 정 형 학 본 연구는 방문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스트레스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고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방문요양기관 요양보호사들의 소진과 직무스트레스를 어떻게 하면 감소시킬 수 있고, 노인장기요양의 수급권자인 대상자들의 신체기능의 증가와 삶의 질이 좋아지도록 요양보호를 하고, 요양보호사들의 문제인 장기근속을 유도해 보고자 연구를 시작 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 및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가설 1인 ‘방문요양기관 요양보호사 직무환경이 소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하여 검증한 결과 직무환경의 하위요인인 업무관련요인, 대인관계요인, 조직관련요인은 종속변수인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직무환경의 하위 요인 중 소진에 가장 큰 영향을 준 변인은 대인관계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가설 2인 ‘방문요양기관 요양보호사 직무환경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한 검증결과는 직무환경의 하위 변인 업무관련요인, 대인관계요인, 조직관련요인은 모두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직무환경의 하위 요인 중 대인관계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이었으며 다음으로 업무관련요인, 조직관련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구가설 3인 ‘방문요양기관 요양보호사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소진 수준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가설 4인 ‘방문요양기관 요양보호사 직무환경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스트레스는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에 대한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방문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업무관련요인과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는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가 지지되었다. 이는 업무관련요인이 부정적일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소진의 정도도 높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인관계요인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독립변수와 매개변수가 종속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스트레스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대하여 직접적인 영향과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변수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해석된다. 즉,‘방문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대인관계요인과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는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가 지지되었다. 마지막 검증에서는 대인관계가 부정적일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요양보호사의 소진의 정도는 부분매개로 나타났다. 셋째, 방문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조직관련요인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조직관련요인 및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직무스트레스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동료 요양보호사 및 대상자, 가족 등의 관계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을 하고, 부정적인 부분들을 감소시키고 직무스트레스를 줄임으로써 요양보호사들의 소진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와 관련된 제언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회복지사가 월 단위 방문 시 모니터링과 함께 요양보호사의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고충기록지를 작성한다. 둘째, 대상자 특성에 맞는 전문교육을 받은 요양보호사는 상황별로 대상자에 배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대상자 개개인에 맞는 요양보호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다. 셋째,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공단, 장기요양기관에서는 업무와 관련된 교육, 업무관련 교양교육, 소양함양교육을 실시하여 요양보호사들의 자질을 향상시켜야 한다. 넷째, 감염위험 스트레스감소를 위하여 요양보호사에게는 항상 보호장구 가방(마스크, 장갑 등)을 지급하는 것을 규정화해야 한다. 다섯째, 노인대상자, 가족과의 갈등 관계개선을 위하여 애로사항을 전달하고 전문적인 관계형성을 위한 교육이 포함된 월례회의를 의무화 시켜야 한다. 핵심어 : 직무환경, 직무소진, 직무스트레스, 업무관련, 대인관련, 조직관련, 소진

      • 노인의 여가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송은옥 협성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노인의 여가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협성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송은옥 최근 우리나라는 급속한 노인 인구의 증가로 평균수명의 연장과 더불어 길어진 노년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노년기의 대부분의 시간으로 여가로 보내고 있기 때문에 여가활동을 통한 노인복지에 대한 노력과 우울이나 노인 자살로 나타나는 사회문제의 감소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의 여가활동을 통한 여가만족이 삶의 질을 평가하는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여가만족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노인들이 다양한 여가활동에 참여하여 여가만족을 높임으로써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적인 분석을 위하여 안양시와 군포시에 소재한 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최종 300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노인의 여가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노인의 여가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서는 연령, 학력, 종교, 건강상태, 경제상태와 여가유형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건강상태와 경제상태, 여가 유형은 여가만족과 자기효능감의 차이에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여가만족은 종속변수인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여가만족 하위요인 6개 모두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가만족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도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노인의 여가만족은 매개변수인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가만족의 하위 요인들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도 높아질 거라고 분석할 수 있다. 넷째, 노인의 자기효능감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곧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도 높을 것으로 해석된다. 다섯째, 노인의 여가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가질 것인가에 대해서 검증한 결과 첫 번째로 여가만족의 하위요인 6개 각각을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적 효과 검증 결과 분석 1단계에서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2단계에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3단계에서 독립변수와 매개변수가 종속변수에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3단계에서 2단계에 비하여 독립변수의 표준화 회귀계수가 모두 감소하였으므로 자기효능감은 여가만족의 6개의 하위 요인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노인의 여가활동을 통한 여가만족은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요인인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의 여가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 및 연구결과의 함의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한다. 첫째, 접근성이 강화된 소규모 다목적 기능의 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노인복지관 건립이 필요하다. 노인의 수도 증가할 뿐만 아니라 과거에 비해 교육수준이 높고 경제력을 갖춘 건강한 노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 수요에 맞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 차원을 넘어서 지방자치단체에서도 그 지역의 특성과 형편에 맞게 노인여가활성화가 이루어지도록 정책적인 계획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노인여가복지시설이 노인들이 거주하는 지역의 근거리에 위치하여 노인여가활동 하고자 하는 노인들은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경로당 운영비에 대한 지원의 확대이다. 현재는 가장 고령이면서 경제상태가 열악한 노인들이 여가활동의 장소로 이용하고 있는 곳이 경로당이다. 과거에 비해 다양한 방법으로 지원이 확대되고는 있지만 이용하고 있는 노인들의 체감수준은 아니며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에 따라 경로당 지원금의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지원되고 있는 경로당의 운영비의 대부분은 냉∙난방비, 중식, 다과, 회식 등에 활용되고 있어 노인여가복지시설의 기능을 위한 지원이 더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원금을 일률적으로 동등한 지원보다는 경로당의 규모와 등록 인원수, 이용인원 등을 고려한 차등 지원과 다양한 프로그램이나 그 시설의 특성에 맞도록 지원금을 활용할 수 있도록 운용에도 제한을 두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경로당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여가프로그램을 운영할 경우 다른 노인여가복지시설의 접근성에 비해 용이한 경로당에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 노인들의 여가활동 접근성도 높일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여가만족을 통해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안녕감을 높여 우울과 노인자살 등과 같은 노인문제를 예방하고 노년기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셋째, 경로당의 이미지 개선 및 여가만족을 높일 수 있도록 개방형 경로당의 모델로 지역주민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경로당 이용 연령 제한을 자유롭게 하는 것이다. 현재 노인복지법에 의하면 노인여가복지시설 중에 노인복지관과 노인교실은 만60세 이상의 노인이 이용가능하고 경로당은 만65세 이상의 노인들이 이용가능하다는 법만으로도 시설마다 연령기준이 명확하여 최근 연령 하향 조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효력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또한 지역적인 차이로 초고령사회가 된 지역은 경로당만 존재해야 한다는 역설적인 표현이 될 수도 있고 경로당을 무기력하고 정적인 이미지로 굳히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경로당 이용가능한 연령을 조정함으로써 활기차고 젊은 경로당으로 거듭나 누구나 드나들 수 있는 경로당을 만들려는 구체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경로당 중심으로 지역의 복지자원을 효율적으로 연계함으로써 지역사회에서 소외되는 노인들을 위한 노-노 케어까지도 이루어져 노인복지의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 수 있다. 넷째, 노인의 교육욕구와 여가욕구를 충족시키고 사회문제로 이어질 수 있는 노인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중고령층을 포함한 막 은퇴한 노인들이 이용할 만한 여가시설의 필요성이다. 정부나 민간에서 노인 연령 기준을 높이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사실상 중고령층을 포함한 은퇴하는 노인들이 이용할 만한 여가시설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연령대까지 이용할 수 있도록 기존의 노인교실이나 복지관에 대한 자율성이 보장되어 운용할 수 있거나 이들이 자유롭게 이용하며 삶을 재설계하고 노년기를 준비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시설이 지역적으로 건립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설의 활성화는 교육 수준이 높고 경제력을 갖춘 베이비부머 세대들부터 자연스럽게 고령층의 노인들과 어울릴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 연구결과에 따라 실천현장을 위한 실천적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인 여가활동보다 집단적으로 어울릴 수 있는 여가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촉진활동의 필요성이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개인적으로 여가활동을 즐기는 노인보다 집단적 여가활동을 즐기고 있는 노인들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내용적으로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다양한 여가프로그램의 개발을 필요로 한다. 4차 산업 혁명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적절하게 4차산업 기술을 접목하여 활용할 수 있는 교육을 포함한 여가활동이 필요하다. 셋째, 여가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인한 여가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다. 과거에는 은퇴 후 남아도는 시간을 활용하는 소비적인 여가활동에서 자신이 좀더 가치 있는 존재로 느끼며 여가활동이 단순히 기분전환이 아닌 친구, 지식, 건강, 활력 등을 중심으로 재창조할 수 있는 생산적인 여가활동에 대한 개념으로 접근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넷째 노인복지서비스의 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노인복지 전문인력 확보의 필요성이다. 마지막으로 노인들을 여가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좀더 적극적인 여가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여가 문화에 대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사전교육을 통하여 많은 노인들이 여가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독거노인 등 여가활동의 비참여자의 참여유도를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져야 한다. 주제어: 노인여가복지시설, 노인여가, 소비적 여가, 생산적 여가, 여가만족,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

      •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김규화 협성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노인 인구 증가와 함께 장기요양서비스 수급대상자가 많아짐에 따라 요양보호사에 대한 수요와 질 높은 서비스에 대한 요구는 늘어나고 있지만, 장기요양기관은 요양보호사 인력수급에 있어서 신규인력http://uhs.dcollection.net/submit/process?page=2&itemId=200000180464&collId=200000001057# 확보의 어려움과 재직 중인 요양보호사의 잦은 이직 등으로 인한 이중고를 겪고 있으며, 이의 해소방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조직몰입에 따른 요양보호사의 정서적 몰입 요인, 계속적 몰입 요인, 규범적 몰입 요인이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조직몰입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이 매개효과를 갖는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조직몰입을 개선하여 직무만족을 강화하고 이직의도를 낮추어 장기요양기관의 원활히 운영될 수 있도록 기여하고 장기요양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적 수준향상을 도모하며, 요양보호사의 장기근속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에 소재한 장기요양기관 중에서 시설급여를 제공하는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최종 519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장기요양기관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가 인식하는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분석을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요양보호사의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분석을 위하여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가 인지하는 조직몰입의 하위변인인 정서적 몰입, 계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은 종속변수인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이 부(-)의 영향을 미치게 됨에 따라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의 인식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을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요양보호사가 인지하는 조직몰입의 하위변인인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은 매개변수인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이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게 됨에 따라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의 인식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높을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요양보호사가 인지하는 직무만족의 하위변인인 보수, 동료와의 관계, 직무긍지는 종속변수인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인 보수, 동료와의 관계, 직무긍지가 부(-)의 영향을 미치게 됨에 따라 보수, 동료와의 관계, 직무긍지가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을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에 대한 검증결과, 첫 번째로 정서적 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번째로 규범적 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의 부분적 매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장기요양기관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가 인식하는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상당히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요양보호사의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요양보호사의 조직몰입을 개선하고 직무만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할 것이며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요양보호사들이 받는 보수는 직업 경력이나 업무능력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며, 임금의 격차가 거의 없이 지급되는 구조다. 요양보호사의 보수는 정부의 저수가 정책에 의해 최저임금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요양보호사의 근무 환경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노인장기요양보험료에서 서비스 대가로 지급하는 수가를 현실화시킴으로써 사회적 요구와 역할에 맞는 요양보호사의 보수와 처우개선이 가능하게 해야 한다. 이는 정부의 현실상황 인식과 개선의지가 필요하며, 이는 전향적인 정책 전환과 정부의 주도적 역할이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민간 노인요양시설의 한계를 극복하고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국공립 노인요양시설이 확충 되어야 한다. 노인요양시설 운영 주체별 공급의 불균형과 저수가 정책 등에도 불구하고 민간요양시설에 요구하는 공공성과 책임이 높아짐으로써 늘어나는 대상자에 비해서 요양원의 신규공급이 둔화되고 입소 대상자는 요양시설을 수소문하여 빈자리를 찾아내거나 대기 상태로 기다려야하는 현상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이를 시급히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셋째,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참여하는 모든 구성원에 대한 교육과 훈련을 강화하고 확대하여야 한다. 요양보호사들의 업무 특성상 발생하는 직무갈등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수급대상자와 보호자와의 관계 형성을 원활히 하기 위한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고 또한 보건복지부를 비롯한 국민건강보험공단 등의 유관기관에서 각종 정책을 통하거나 홍보 방법을 통하여 장기요양기관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들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하여 꾸준한 노력이 요구된다.

      •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김민화 협성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급격한 인구고령화 진행이나 노인성 질병 사유 등으로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하기엔 어려운 노인에게 신체활동이나 가사활동 지원 등의 장기요양서비스를 지원하는 노인의료복지 시설 또한 빠르게 확충되고 이들 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수도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에 따른 요양보호사의 업무관련 요인, 조직관련 요인, 인사관련 요인, 대인 관계 요인이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근무환경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을 개선하여 자기효능감을 강화하고 직무스트레스를 낮추어 장기요양 서비스의 질적 수준향상을 도모하고, 장기요양기관의 운영활성화에 기여하며 장기간 근무 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장기요양기관 중에서 입소시설에 근무하는 경기도 수원시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최종 527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 중에서 하위변인인 업무관련 요인, 인사관계 요인, 대인관련 요인, 조직관련 요인은 종속변수인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근무환경 중에서 업무관련 요인과 대인관련 요인, 조직관련 요인, 인사 관련 요인의 부정적인 부분이 해소될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을 것으로 업무관련 요인 및 대인관계 요인, 조직관련 요인, 인사 관련 요인이 부(-)의 영향을 미치게 됨에 따라 해석된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의 하위변인인 업무관련 요인, 대인관계 요인, 인사 관련 요인은 매개변수인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인관계 요인, 인사 관련 요인이 부(-)의 영향을 미치게 됨에 따라 근무환경 중에서 대인관계 요인 및 인사 관련 요인의 부정적인 부분이 해소될수록 자기효능감은 높을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자신감 요인은 종속변수인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인 자기조절 효능감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중에서 자신감 요인이 강화 될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아질 것이며 자신감 요인이 부(-)의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는가의 검증결과로는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에 대한 검증결과, 첫 번째로 업무관련으로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번째로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관련 근무환경은 자기효능감의 부분 매개적 효과가 있음을 입중 하였다.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이 직무스트레스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을 개선하고 자기효능감 제고를 위한 대책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관련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기요양보험법 제28조 및 시행규칙 제22조에 따르면(노인장기요양보험법, 2018) 현재, 요양보호사의 급여체계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지급하는 장기요양 숫가에 포함하여 장기요양기관에서 청구하면 요양보호사에게 급여를 지급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급여체계의 문제는 장기요양급여 숫가 인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문제였고, 10년이라는 세월이 지나도록 장기요양제도는 숫가라는 인상폭이 아주 낮아 장기요양기관 입소시설이나 재가복지시설 등 많은 기관들이 부실화되거나 자연 도태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어 빠른 기간 내에 정상숫가에 반영되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요양보호사 처우개선과 관련하여 국민건강 보험공단에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급여형태로 지급하는 처우개선비를 지급하므로, 요양보호사의 급여소득은 실질적으로 증가하지 않고 처우개선비는 장기요양 숫가 외 별도로 지급되어야 한다. 또한 정책적으로 개선해야 할 향후 장기요양급여 숫가 인상 및 요양보호사 급여에 반영하여 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현재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 중에서 하위요인의 인사관련 근무환경으로써 임금 관련하여 설문조사하였으며, 장기요양기관에 소속된 노인 요양보호사가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 운영비를 제외한 시설 및 재가 요양급여를 청구하여 지급하는 시스템인 요양보호사에게 인건비를 지급하는 시스템 제도를 말한다. 이는 최저임금제도 및 근로기준법에 저촉되어 많은 문제가 발생 될 수 있으므로 국민건강 보험공단은 요양보호사 급여 시스템 제도를 개편하고 이는 장기요양기관이 민영화로 운영되어 부실화 된 제도를 법제화해야 될 필요가 있다. 주제어 :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 근무환경,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박상훈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국 문 초 록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협성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상훈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요양기관 및 요양보호사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 증가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요양보호사에 대한 보상체계 및 근무 환경은 열악하고, 요양보호사의 잦은 이직은 곧 요양서비스의 질 저하로 이어질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를 파악하여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가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보상체계의 이직의도에 대한 영향에서 직무갈등이 매개효과를 갖는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를 개선하여 직무갈등을 최소화하고 이직을 방지하여 장기요양기관의 운영활성화에 기여하고 장기요양 서비스의 질적 수준향상을 도모하며, 장기근속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의 장기요양기관 중 노인요양시설 및 재가방문요양기관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537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다. 자료분석은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가 이직의도에 대한 영향에서 직무갈등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상체계의 하위 요인들 중, 화폐적 보상체계인 급여적절성과 비화폐적 보상체계인 복리후생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상체계의 하위 요인들 중, 화폐적 보상체계인 급여적절성과 비화폐적 보상체계인 복리후생은 직무갈등 요인 중 직무환경의 부적절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는 기관장과의 불화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한 검증한 결과, 보상체계의 하위 요인들 중, 화폐적 보상체계인 급여적절성, 비화폐적 보상체계인 교육훈련과 복리후생이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는 수급자와의 갈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한 검증 결과, 보상체계의 하위 요인들 중, 화폐적 보상체계인 급여적절성, 비화폐적 보상체계인 교육훈련과 복리후생은 직무갈등 요인 중 수급자와의 갈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는 동료와의 부조화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한 검증 결과, 보상체계의 하위 요인들 중, 화폐적 보상체계인 급여적절성 변수만 직무갈등 요인 중 동료와의 부조화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갈등의 하위 요인들 중, 수급자와의 갈등, 직무환경의 부적절성, 동료와의 부조화는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직무갈등 중, 직무환경의 부적절성, 수급자와의 갈등, 동료와의 부조화는 이직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이,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 직무갈등, 이직의도는 서로간의 관계성이 있었고, 그 중에서도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급여적절성 보상체계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4가지의 직무갈등은 모두 매개효과가 있음을 밝혔고, 요양보호사의 복리후생 보상체계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는 기관장과의 불화의 직무갈등이 매개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가 이직의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가 직무갈등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를 확충하고 직무갈등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관련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장기요양보험 급여수가 인상율을 매년 5% 미만 수가반영으로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실질적 급여가 현저히 낮은 원인이고, 처우개선비도 급여수가에 포함하여 지급되므로, 요양보호사의 보상체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직접적으로 요양보호사에게 인건비를 지급하는 형태로 개선하고 관리·감독할 수 있는 요양보호사 관리지원센터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 미국은 저임금 근로자에게 적정임금제도를 통해서 근로자들에게 최저임금 피해를 줄이고 삶의 질을 높여 주고 있다. 셋째,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가 쉴 수 있는 별도의 휴게 공간의 설치를 법적으로 의무화해야 한다. 주제어 :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 보상체계, 이직의도, 직무갈등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