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베트남 내 대학교 한국어 통번역 교재 개발 연구

        트란티반 호남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 for developing translation textbooks for lectures at universities in Vietnam in order to improve the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skills of Vietnamese learner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in Vietnamese universities and already published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extbooks, and also analyzed th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for teachers, learners, and related workers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t universities in Vietnam. In addition, it identified the point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in the university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currently used in Vietnam, and suggested development plans for lectur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that respond based on the needs of teachers, learners, translators, and practitioners. In order to develop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for learners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s in Vietnam,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actual situation of Kore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in the field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In addi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nslation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fully understand the needs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 teachers and learners in Vietnam and the work situation and role of Korean-Vietnamese interpreters and translation workers. In this article, we would like to address the following topics. First, the components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skills,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and the principles of development of Korea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extbooks are identified. Second, the actual situation of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s in universities in Vietnam is analyzed. The educational reality to be analyzed includes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and used textbooks, and based on the actual situation analysi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xisting Korea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extbooks were distinguished. Third, a demand survey was conducted at universities in Vietnam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Vietnamese translation textbooks suitable for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other words, it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level of awareness, satisfaction, and demand for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currently being performed by learners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nd teachers in charge of the subject.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what Korean language is necessary for job performance, the job contents of Korean-Vietnamese interpreters and translation workers were investigated, and the needs of current Korean-Vietnamese interpreters and translation worker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Fourth, based on the previous basic research, the goal of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t four-year universities in Vietnam was finally set, the curriculum and syllabus were desig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Vietnamese translation were comprehensively developed. Considering this, a corresponding textbook development plan was proposed. This study was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conducted overseas, especially in Vietnam, rather tha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ducted in Korea. Based on the scope and contents of the above research,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1,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were clarified, an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In addition, research contents,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were identified. In Chapter 2,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principles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were explored from the content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Chapter 3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Vietnam, and in particular, analyzed the aspects of Korean-Vietnamese translation textbooks published in Vietnam. After selecting and analyzing representative textbooks among them, problems that exist in Kore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were presented, and then applied to the textbook composition plan. In Chapter 4, based on the analysis of existing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Korean-Vietnamese translation textbooks were developed by Korean learners (132 people), teachers (30 people), and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workers (66 people). Through the demand for textbooks, the perception, satisfaction, and demand for textbooks used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s at four-year universities in Vietnam we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reflected in the textbook development plan.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instructors in charge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lasses to have a practical perspective on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and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in Vietnam. In Chapter 5,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needs of learners, teachers, and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in Chapter 4, the principles and directions for developing Kore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were presented, and the Korean-Vietnamese translation textbooks used in universities in Vietnam were presented in detail. In addition, by presenting the actual unit composition based on the curriculum and syllabus, an appropriate method of composition of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was also presented. Finally, in Chapter 6, the contents discussed above were summarized and organized, and the shortcomings in the development of logic,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tasks were reviewed. 이 연구는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통번역 능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베트남 내 대학 강의용 통번역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베트남 대학의 통번역 교육 현황과 이미 출판된 통번역 교재를 분석하고 베트남 내 대학교의 한국어학과 교원과 학습자, 관련 종사자에게 통번역 교재 개발에 대한 요구 조사도 분석하였다. 아울러 현재 베트남에서 사용하고 있는 대학용 통번역 교재에서 보완되어야 할 사항을 파악하고 교원, 학습자, 통번역, 종사자의 요구를 토대로 대응하는 강의용 통번역 교재의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베트남 내 한국어학과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통번역 교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실제 통번역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 통번역 실태를 파악해야 한다. 또한 한국어 통번역 교육의 특성을 고려하여 베트남 내 한국어학과 교사와 학습자의 요구 및 한·베 통번역 종사자의 업무 상황과 역할에 대해서도 충분한 파악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첫째, 통번역 능력의 구성 요소, 통번역 교육, 그리고 한국어 통번역 교재의 개발 원리를 파악한다. 둘째, 베트남 내 대학교의 한국어학과의 한·베 통번역 교육 실태를 분석한다. 분석할 교육 실태에는 교육목표, 교육과정, 사용교재를 포함하며 실태 분석을 바탕으로 기존의 한국어 통번역 교재의 장단점을 구별하였다. 셋째, 베트남 내 대학교에서 한국어학과 학습자에게 적합한 한국어 통번역 교재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즉 학습의 주체인 한국어학과 학습자와 해당 과목 담당 교사가 현재 수행 중인 한·베 통번역 교육에 대한 인식도와 만족도 및 요구도를 조사 및 분석하는 것이다. 아울러 직무 수행에 필요한 한국어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한·베 통번역과 관련된 종사자의 업무 내용을 알아보고, 현직 한·베 통번역 종사자의 요구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넷째, 앞선 기초 조사를 바탕으로 마지막에는 베트남 내 4년제 대학교에서 한국어학과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통번역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여,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을 설계하고 한국어 통번역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대응하는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이 아니라, 해외, 특히 베트남에서 실행되는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시각에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상의 연구 범위와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아울러 연구 내용과 연구 방법, 절차를 규명하였다. 제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통번역 교육의 내용부터 통번역 원리를 탐구하였다. 제3장에서는 베트남 내 대학의 한국어 통번역 교육 현황을 살펴봤는데, 특히 베트남에서 출판된 한·베 통번역 교재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중 대표적인 교재를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한 후, 한국어 통번역 교육에 존재하는 문제를 제시한 다음, 이를 교재 구성 방안에 적용하였다. 제4장에서는 기존의 한·베 통번역 교재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한국어 통번역 교재를 개발하기 위해 한국어 학습자(132명), 교사(30명), 통번역 종사자들(66명)의 한국어 통번역 교재에 대한 요구를 통해 베트남 4년제 대학교 한국어학과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재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요구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한 결과를 교재 개발 방안에 반영하였다. 아울러 베트남에서 한국어 통번역 교육 및 통번역 교재에 대한 현장의 실제적인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통번역 수업 담당 교수자 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도 진행하였다. 제5장에서는 제4장의 학습자, 교사 및 통번역 종사자들의 요구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한국어 통번역 교재 개발 원리 및 방향을 제시하고 베트남 내 대학교에서 사용 중인 한국어 통번역 교재의 예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을 바탕으로 한국어 통번역 교재의 적절한 구성 방식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앞에서 논의한 내용을 요약 및 정리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앞으로의 과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KSL환경과 KFL환경에서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전략에 대한 연구

        곽춘려 호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language education, early listening learning is very important. Language skills can be divided into four areas: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One of them, listening, is the basis of communication. Listening is a basic premise of successful communication because it can not respond properly if you can not hear and understand the other person's words. Early listening learning is very important. In particular, if self-directed learning is achieved through listening strategy training, learners will be able to induce continuous learning of Korean and actively participate in learning. It also allows positive transition to learning of other functions. At present, the flow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moving toward realizing learner - centered education, and it is necessary to suggest a strategy that learner can learn self - directedly by improving motivation of learning.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learning strategies in language learning is more prominent, and appropriately selected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help increase language proficiency and increase confidence in language learning(Liang Sheng Ai, 2013).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hinese learners who are studying Korean in KSL environment and Chinese learners who are learning Korean in KFL environment use listening strategies. Let's consider whether a difference appears. In the future, we will propose how listening education should be done in KSL environment and KFL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e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were as follows. The Chinese learners' listening strategies are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of 'cognitive strategy, high cognitive strategy, concentration strategy, high evaluation strategy, positive strategy, social strategy and rewarding strategy' in KSL environment. Summary linkage strategy, social strategy, positive strategy, high-level plan, concentration strategy, high-level check, analysis strategy ".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of Korean listening strategies according to Chinese learner 's mastery in KSL environment, positive strategic factors of Korean listening strateg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t p <0.05, and compensatory strategy factors showed significant level of p <0.05 Ther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In the Korean listening strategy, the positive strategic factors and the compensatory strategic factors are considered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first grade in the 5th, 2nd, and 6th grade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of Korean listening strategies according to Chinese learner 's proficiency in KFL environment, cognitive and definitive strategic factors in Korean listening strateg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t p <0.05. Level p <0.05. This suggests that Korean listening strategies are more important than positive and compensatory strategie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mastery of the higher evaluation, summary linkage strategy factor, social strategy factor, upper plan, concentration strategy, upper plan, and concentration strateg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learners' overall listening ability by actively teaching and encouraging listening strategies such as cognitive strategy and memory strategy that Korean learners are lacking in listening to Korean language. Suggesting that they should help them learn. In the future, more detailed and careful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through the use of thought oral techniques or teacher observation through interviews that take into account more diverse variable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on the listening strategi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ill be continued and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will be able to improve their listening ability by effectively using them in the education field. 언어 교육에 있어서 학습 초기의 듣기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언어 능력은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네 가지 영역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중 하나인 듣기는 의사소통의 기초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상대방의 말을 듣고 이해할 수 없으면, 적절하게 반응할 수도 없기 때문에 듣기는 성공적인 의사소통의 기본 전제가 된다. 학습초기의 듣기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듣기 전략 훈련을 통해 자기 주도적 학습이 이루어진다면, 학습자의 지속적인 한국어 학습을 유도할 수 있으며 학습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다른 기능의 학습으로 긍정적인 전이가 가능하다. 현재 한국어교육의 흐름은 학습자 중심교육을 실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학습의 동기를 제고하여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해야 할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언어 학습에 있어서 학습전략의 중요성은 더욱 두드러지는데, 적절하게 선택된 언어 학습전략은 언어 숙달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고 언어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높여준다(Liang Sheng Ai, 2013). 본 연구의 목적은 KSL환경에서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중국인 학습자와 KFL환경에서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듣기 학습에 있어서 어떠한 전략을 사용하는지를 살펴보고 숙달도와 학습 환경의 차이에 따라 듣기 전략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향후 KSL 환경과 KFL 환경에서의 듣기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제안해 볼 것이다.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산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는 중국인 학습자 듣기 전략은 KSL환경에서 ‘인지적 전략, 상위인지 계획、집중 전략, 상위평가 전략, 정의적 전략, 사회적 전략, 보상적 전략 ’의 여섯 가지 범주로 KFL환경에서 ‘인지적 전략, 상위평가、요약연계 전략, 사회적 전략, 정의적 전략, 상위계획、집중 전략, 상위점검、분석 전략’ 여섯 가지 범주로 이루어져있다. KSL환경에서중국인 학습자 숙달도에 따른 한국어 듣기 전략차이를 검증한 결과, 한국어 듣기 전략 중에서 정의적 전략 요인은 유의수준 p<0.05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상적 전략 요인은 유의수준 p<0.05에서 숙달도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어 듣기 전략에서 정의적 전략 요인과 보상적 전략 요인을 5급, 2급, 6급은 1급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KFL환경에서 중국인 학습자 숙달도에 따른 한국어 듣기 전략차이를 검증한 결과, 한국어 듣기 전략 중에서 인지적 전략 요인, 정의적 전략 요인은 유의수준 p<0.05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상적 전략 요인은 유의수준 p<0.05에서 숙달도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어 듣기 전략에서 정의적 전략 요인과 보상적 전략 요인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위평가、요약연계 전략 요인, 사회적 전략 요인, 상위계획、집중 전략, 상위계획、집중 전략은 숙달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듣기에서 부족하다고 나타난 인지 전략이나 기억 전략 등의 듣기전략들을 적극 지도하고 장려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전반적인 듣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며, 다양한 전략 활용을 통해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을 시사한다. 향후에는 더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한 인터뷰를 통한 사고구술 기법이나 교사의 관찰 등을 통해 더욱 점층적이고 면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어 교육의 듣기전략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교육현장에서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함으로써 한국어 학습자들의 듣기 능력신장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한국어 읽기 교재 개발 연구 :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 활동을 중심으로

        김우련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한국 사회는 2000년대 이후 외국인근로자, 결혼이민자, 유학생, 재외동포의 유입이 증가됨에 따라 사회구성원이 인종적, 민족적, 문화적으로 크게 다양해지고 있다. 이 중 다문화가정 아동의 수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 나타나는 사회적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다문화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다문화교육은 사회 구성원이 함께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상호간의 소통과 이해를 포함한다. 이에 서로 간의 문화에 대해 이해하며 상호 소통함으로써 다양한 언어와 문화를 존중하는 태도를 기르는 것은 다문화 사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교육적 가치를 가진다. 한국 사회가 다양성과 이질성이 공존되는 다문화 사회로 이행됨에 따라 타인과의 관계와 소통에 중점을 둔 상호문화주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호문화주의 관점에 기반을 두어 다문화가정 아동 대상 한국어 읽기 교재를 개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다문화가정 아동의 상호문화적 태도를 함양할 수 있는 읽기 텍스트를 제안하고, 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읽기 활동 방안을 개발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 및 정서 발달,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신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다문화가정 아동 학습자에 관한 연구는 보통 초등학교 이후의 아동 또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아동의 언어 발달 및 정의적 태도 함양을 위해서는 가정에서 언어를 습득하는 초기 단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취학 전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을 상호문화주의적 관점에서 밝히고 이들의 언어 학습 환경 및 특수한 가정환경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정체성 및 언어 발달 문제에 도움을 주기 위한 읽기 교재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과 외국인 부모가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제시하여 아동이 한국의 문화와 외국인 부모의 문화를 이해하고 상호 공감대를 형성하여 올바른 정체성을 키울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한다. 특히 부모와 함께하는 읽기 교재를 통한 한국어 학습 경험은 부모에게는 양육자로서 자녀와 적극적으로 교감하고 소통할 수 있으며 자녀들은 성장 과정에서 언어 능력 신장은 물론 정체성 형성과 사회적 관계 형성 등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1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제시하였다. 현재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교육 실태 및 이들을 위한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의 언어교육의 필요성과 아동-부모 간의 상호작용이 아동의 언어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는 선행 연구들을 살펴본 후 본 연구의 전반적인 내용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개념과 현황을 살펴보고 언어발달, 정체성 및 가치관, 사회성의 세 범주로 나누어 다문화가정 아동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 대상의 한국어 교육 현황을 조사하여 향후 이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식성과 읽기 능력이 아동의 언어발달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임을 밝히고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의 한국어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아동의 언어발달에 아동-부모 간의 상호작용의 역할과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 및 일반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읽기 교재를 선정하고 본 연구에서 구성한 분석 기준을 토대로 교재 분석을 실시하였다. 5장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한국어 읽기 교육의 목표를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한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의 한국어 교재 내 텍스트 구성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제 한국어 교육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외국인 부모와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과 함께 실제 한국어 읽기 교육의 실례를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6장에서는 이제까지의 연구를 정리하고 본 연구 의의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내용에 따라 제안한 교재의 실제 활용 사례를 제시하지는 못하였다는 점, 해당 교재에 대한 교육 수요자의 만족도나 효과를 밝히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다문화가정 아동과 외국인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읽기 교재 개발 방안을 실제 한국어 교육에 적용하여 언어 습득 초기에 활용할 수 있는 한국어 교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더 나아가 다문화가정 아동 대상 교재 개발의 배경으로 상호문화주의적 관점을 취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다문화 사회의 한국어 교육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 강연 프로그램을 활용한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 교육 연구

        김소희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외국인 학생들이 늘어남에 따라 학습 목적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이 중 대학 및 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한 학문 목적 학습자들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고 국내 대학들도 외국인 학생들을 입학시키기 위해 다양한 입학 전형 기준을 내세우고 있다. 현재 국내 대학의 입학 전형 기준은 한국어능력시험(TOPIK) 3, 4급의 급수를 요구하거나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의 성적 혹은 일정 시간의 한국어 어학연수 프로그램을 이수한 경우 입학이 가능하지만 이러한 대학의 입학기준이 실제 대학 및 대학원에 진학하여 수업을 듣고 발표를 하는 데에 필요한 학습능력과 언어능력을 갖추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학문 목적 학습자들이 대학에 진학한 후 학업 수행을 이루기 위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부분 중 하나는 대학에서 한국어로 진행되는 강의를 듣고 이해하는 능력일 것이며 동시에 학습자들에게 가장 어려운 부분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학습자들의 필요성에 기반을 두어 강연 프로그램의 특성을 활용한 듣기 교육을 통하여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내용 지식을 높이고 대학 강의 이해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듣기 수업 모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한국어 듣기 교육의 연구는 드라마, 영화, 예능 프로그램 등 여러 영상매체를 사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해 왔다. 이러한 영상매체는 학습자의 흥미 유발이나 학습자들이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데에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배경 지식이나 내용 지식 확장에는 부족한 점이 있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학문 목적의 한국어 듣기 교육에서는 주로 강의 듣기 전략이나 강의 주제, 담화 구조, 언어 형태 등을 분석하는 연구가 많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성 있는 듣기 교육 방안을 연구하여 대학 입학 이전의 단계에서 학문 목적 학습자들을 위해 강의 듣기를 준비시키고자 하였다. 강연 프로그램은 실제 대학 강의와 유사한 면을 가지고 있는 만큼 듣기의 자료가 실제적이며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듣기 후 활동으로 다양한 후속 활동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소재의 강연을 선택하여 들음으로써 배경 지식을 확장시키고 내용 지식을 쌓을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강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학문 목적 학습자들을 위한 듣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1장에서는 현재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증가 현황 및 이들을 위한 듣기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 방안들을 보여주는 선행 연구를 검토한 후 주요 연구들의 의의와 한계에 대해 고찰하여 본 연구의 전반적인 내용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통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 학문 목적 듣기 텍스트의 유형과 실제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후 여러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강연 프로그램의 개념을 정의하고 실제 대학 강의의 특징과 강연의 특징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이론적 검토를 마친 후에 3장에서는 강연 프로그램의 선정 기준을 마련하여 수업에서 사용할 수업용 강연 프로그램을 선정하고 수업에서 사용하기 위한 듣기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위의 강연 프로그램을 활용한 듣기 수업 모형을 작성한 후 타당도 점검을 위해 학문 목적 학습자들을 가르치고 있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듣기 수업 모형을 수정하였고 학문 목적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제 수업을 진행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를 확인하고 실제 수업에서 보완해야 할 부분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연구의 내용 및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의 의의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 모형을 설계하여 실제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가의 의견 수렴을 하고 연구 내용에 따라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제 수업을 진행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더 나아가 강연 프로그램이라는 영상매체를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배경 지식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한국어 교육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Recently, as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wanting to learn Korean increases, the purpose of learning is also diversifying. Among them, the number of academic learners to enter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is on a steady rise, and Korean universities are also putting forward various admission standards to enroll foreign students. Currently, Korean universities can be admitted by requiring grades 3 and 4 of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TOPIK) or completing the grades of a university-affili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al institution or a Korean language training program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ut it is hard to say that these universities have the learning and language skills required to go to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to take classes and make presentations. One of the most basic parts for academic learners to achieve academic performance after entering college will be the ability to listen to and understand lectures conducted in Korean at universities, and at the same time the most difficult part for learners. Based on the needs of these learners, this study will present a listening class model that can enhance the content knowledge of academic learners and improve their ability to understand university lectures through listening education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lecture programs. Until now, the study of Korean listening education has attracted learners'interest by using various video media such as dramas, movies, and entertainment programs. Such video media may help interest learners or help learners understand Korean culture, but they may have been lacking in the expansion of background and content knowledge. In addition, in Korean listen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there were many studies that mainly analyzed lecture listening strategies, lecture topics, discourse structures, and language types. In response, the study studied practical listening education methods and looked at how to prepare lectures for academic learners at the stage before college entrance. As the lecture programs are similar to actual university lectures, the listening materials are realistic and can interest learners and provide a variety of follow-up activities after listening activities. Furthermore, you can expand your background knowledge and accumulate content knowledge by selecting and listening to lectures of various materials. I would like to present a listening education plan for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by utilizing lecture programs with these characteristics. To this end, in Chapter 1, after reviewing prior studies showing the curr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academic learners and the need for listening education for them, the overall contents and direction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by examining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major studies. In Chapter 2, we then explored the types and practic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and listening texts for academic purpose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s. Later, based on various prior studies, the concept of lecture programs was defi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actual university lectures and lectures were compared. After the theoretical review,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lecture program was prepared, the lecture program for the class was selected, and the listening class model for use in the class was presented. In Chapter 4, after preparing the listening class model using the above lecture program, the listening class model was revised by collecting the opinions of the experts who are teaching the learner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check the students'understanding of the class and looked at the part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in the actual class. Finally, chapter 5 summarizes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e study and confirm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the class model was designed to collect opinions from experts working in the actual field and that actual classes were conducted for learners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study. Furthermore, we believe that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in order to improve the background knowledge of learners by utilizing the video media of lecture programs.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 수행 양상 분석 연구

        조민경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내에 입국한 학문 목적 학습자들이 성공적으로 학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학업능력과 요구가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학문 목적 학습자의 학업 수행 능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분야의 연구와 교육도 활발해지는 추세이다. 학문 목적 학습자의 교육이 중요해지면서 많은 한국어 교육기관이 일반 목적 중심의 교육에서 학문 목적 중심의 교육으로 바뀌고 있다. 학문 목적의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의 대학이나 대학원에 진학하여 학업을 수행할 때 학문 공동체 일원으로서 청중을 대상으로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인 발표하기는 학습자에게 중요한 과업인 동시에 가장 어려워하는 과업 중 하나이다. 학문 목적 학습자가 성공적으로 대학과 대학원 생활에 적응하고 교육과정을 수료하기 위해 학문 목적 발표에 대한 이해와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학문 목적 발표의 개념과 특성을 정의하고 학문 목적 발표가 한국어 교육에서 가지는 위치와 실제성을 확인하여, 학문 목적 발표의 구조와 구성 요소를 제시하고 제시한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학문 목적 발표를 범주화하여 정리하고자 한다. 발표 수행의 실제를 분석하기 위해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학문 목적 외국인 학습자 30명의 발표 수행 영상을 수집하여 한국어 교육 경험이 있는 한국어 강사 3인을 통해 발표 수행에 대해 평가하도록 하였다. 한국어 강사 3인의 평가 결과와 선행 연구를 통해 도출한 학문 목적 발표 틀을 종합하여 분석함으로써 학습자가 발표를 수행할 때 나타나는 유의미한 요소를 ‘내용구성적 측면’과 ‘언어적 측면’, ‘전달적 측면’과 ‘상호작용적 측면’으로 구분하고 범주별 내용에 대해 분석·기술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되는 시사점을 통해 학문 목적 학습자가 발표라는 장르를 이해하고 성공적으로 발표라는 과업을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spects of the presentations of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s. Academic abilities and requirements needed for successful performance of studies by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who came to Korea, become gradually more diverse. As needs and interests for abilities of academic performance of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increase, research and education in related fields tend to become active. As education for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becomes important, many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shift from general purpose-focused education to academic purpose-focused education. When foreign learners study for academic purpose at a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in Korea, ‘presentation,’ the process of present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the audience as the members of an academic community, is an important academic ability for learners and one of the academic abilities they find difficult and burdening. An understanding and education of presentation for academic purposes would be needed so that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can successfully adapt themselves to their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lives and complete courses in their major studies. This study would defin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resentation for academic purposes, check the location and reality of presentation for academic purpos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ort out the structure and components of presentation. To analyze the reality of the presentation performance, this study collected videos of presentations performed by 30 foreig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enrolled in a domestic university and had three Korean language instructors who had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ienc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ir presentations. This study would classify the significant elements that appeared when learners performed presentations into ‘content composition aspect,’ ‘linguistic aspect’, ‘communicative aspect’ and ‘interactive aspect’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framework of presentation for academic purpose drawn through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the three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nd previous studies and would analyze and state contents by category.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would help understand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understand the genre of presentation and successfully perform the task of presentation.

      • TV예능 프로그램 자막을 활용한 한국어 종결어미 교육방안 연구 : -중국인 중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딩커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한국어 문법교육은 한국어 교육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한국어 문법의 중요성 부분인 종결어미를 정확하게 이해와 사용하기 위해서 한국 TV예능 프로그램 자막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방법을 탐구의 주제로 삼아 연구 진행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은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중급 학습자이다. 논문은 매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에 관해서 연구, 자막 영상에 관한 연구, 한국어 종결어미에 관한 연구 등 이론적 연구를 진행한 것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광범하게 사용하고 있는 수업 모형인 TTT모형에 ‘형태 초점 접근법’의 이론과 기법을 적용하여 중국인 한국어 중급 학습자들을 위한 종결어미의 더욱 효율적인 교육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의 연구 내용을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장 서론부분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목적에 대해 서술하고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정리하였다. 제2장에서 이론적 내용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한국어문법 교육의 원리 및 방안을 알아보고, TTT모형을 살펴봤다. 형태 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의 등장과 개념, 그리고 특성에 대해 파악했다. 다음에 TV매체 및 자막을 활용한 한국어교육의 유용성을 검토하고 한국어 종결어미의 개념 및 유형을 국어학 분약과 한국어 교육 분약 두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제3장에서는 이전의 중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종결어미교육에 관련된 논문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해 적합한 교육용 종결어미를 선정하고 실제 교육 현장에서 더욱 효율적인 교육모형을 설계하였다. 제4장에서는 3장에서 설계된 교육모형을 바탕으로 실제 수업을 진행한다. 수업진행의 실황을 분석하여 이번 교육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제5장은 본 논문의 결론 부분이다. 효율적인 교육방안을 실행하는 것이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큰 작용을 하고 있다는 젓을 다시 강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더욱 효과적인 한국어 학습 자료를 기대된다. 주제어: 한국어 교육, 종결어미, 교육방안, TV예능프로그램, 자막

      • 베트남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재 개구발 방안 연구 : -대학 강의용 교재를 중심으로-

        부반미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베트남과 한국 간의 수교 이후 양국의 경제ㆍ정치ㆍ문화 교류가 급속히 확대되면서 한국어 통ㆍ번역 인재와 한국 관련 전문가 수요의 증가로 한국 관련 인력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베트남 학습자들이 날로 늘어나면서 한국어 자료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특히 이들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재의 개발이 절실해지고 있다. 그동안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는 주로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 결혼 이민자와 외국인 유학생과 관련한 논의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기능별 교재에 대한 논의는 아직까지 본격화되지 못하였으며, 베트남 현지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학습자, 특히 대학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베트남 학습자의 주요 학습 목적이 한국 사람과 유창하게 의사소통하는 것임을 고려할 때 이들 학습자를 위한 초급 한국어 말하기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본고는 베트남 내 대학교 한국어과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 상황을 살펴보고,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초급 교재와 베트남 학습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교재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베트남 대학교 한국어 학습자와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베트남 현지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학습자를 위한 초급 말하기 교재 개발 방안을 제안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1장에서는 연구 목적 및 필요성을 제시하고, 베트남의 한국어 교육과 교재 개발에 관련된 기존 연구 및 말하기 교재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베트남 대학에서의 말하기 교육 현황과 실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한국어 교육 과정, 한국어 말하기 수업의 현황과 사용하는 교재를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하노이 국립 인문사회대학교와 홍방국제대학교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제3장에서는 말하기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를 실시하였다. 제1절에서는 한국에서 출판된 교재와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교재를 분석하였다. 교재분석은 주로 교재의 내적 구성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으며 주제, 어휘, 문법, 말하기 활동 유형, 그리고 교재의 현지 적용 가능성을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제2절에서는 교사 요구 분석 결과와 학습자 요구분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설문조사의 구성은 학습자 기본 정보, 한국어 학습 경험에 관련한 질문, 말하기 수업에 사용하는 교재와 관련된 항목 등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요구분석을 통해서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교재 개발과 교수 방안을 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마지막으로 제3절에서는 제1절과 제2절에서 도출된 결과를 분석한 후 말하기 교재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제4장에서는 2장과 3장에서 실시한 분석 결과를 통해서 베트남 초급 학습자를 위한 교재 개발 방안과 한국어 말하기 교재 개발 실제를 제시하였다. 2장과 3장에서 살펴본 베트남대학교의 한국어 교육 현황, 설문조사, 교재 분석을 바탕으로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초급 한국어 말하기 교재의 단원 구성을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수요목 설계와 실제 교재 모형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제5장에서는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고 논문의 의의와 한계점, 향후과제에 대해 기술하였다.

      • Design, Synthesis and Anti-HCV Activity Evaluation of Novel Indole Analogues

        손서현 동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C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HCV)는 전 세계적으로 약 1억 7천만 명이 감염되어 있는 수준으로 심각한 질병으로 분류된다. 현재 알려진 HCV 치료에는 페그인터페론-알파와 리바비린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치료법은 HCV genotype 1형 환자 중 약 50%만 완전한 치료가 가능하고 여러 부작용을 동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HCV 감염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새로운 HCV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HCV 핵산 중합 효소는 바이러스 복제에 필수적이다. 이 때문에, 새로운 HCV 저해제타겟으로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본 연구에서는 Renilla luciferase-linked genotype 2a reporter virus를 이용해 동국대학교 in-house 화합물 라이브러리를 스크리닝 하였고, 그 결과 인돌계 화합물이 HCV 복제 저해에 활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genotype 2a J6/JFH1 RNA-transfected cell과 genotype 1b Bart79I subgenomic replicon cell을 통하여 인돌계 화합물이 바이러스의 게놈복제를 저해하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항-HCV 활성을 갖는 인돌계 화합물 유도체들을 고안하고, 인돌 고리에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indole-3-carbaldehyde (3a-j)를 출발물질로 하여 Wittig 반응, 가수분해, 아미드커플링 반응 등 총 3 단계의 합성 단계를 걸쳐 인돌계 화합물 indole2-methylacrylamide (12a-j)를 합성하였다. 그 중에서 (E)-N-(4-tert-butylphenyl)-3-(5-cyano-1H-indol-3-yl)-2-methylacrylamide (12e)가 가장 활성이 우수한 유도체였다 (EC50 = 1.1 μM, and CC50=56.9 μM, SI = 56.9). 추가적인 구조 활성 상관 관계를 통한 최적화 연구를 위하여신규 유도체들을 고안하였다. 이러한 유도체들은 12e의 구조를 바탕으로 이중 결합의 치환기 변형, 벤조산의치환기 변형, 인돌 고리의 N에 치환기를 도입하였다. 따라서 indole-3-carbaldehyde (3a-j)를 출발 물질로 하여 Wittig 반응, 가수분해, 아미드커플링 반응, 알킬레이션 또는 아실레이션 또는 설포닐레이션 반응 등 총 4단계의 합성 과정을 거쳐 인돌 고리의 N 위치가 치환된 화합물 3-(N-substituted indole)2-methylacrylamide (17-43) 신규 유도체들을 합성하였다. 또한 NS5B 핵산 중합 효소 저해제로서 신규하고 높은 활성과 안전성을 갖는 유도체들에 대한 활성을 확인하여 구조-활성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E)-3-(1-acetyl-5-cyano-1H-indol-3-yl)-N-(4-tert-butylphenyl)-2-methylacrylamide(41) 이 가장 좋은 활성과 안전성을 나타내었다. (EC50 = 0.47 μM, CC50 = 40.74 μM, SI = 86.68). 인돌계 화합물 41은 HCV NS5B RNA 의존성 RNA 중합 효소 저해제계열의 신규하고 가치 있는 신약 선도 물질로 여겨진다. Hepatitis C virus (HCV) is a novel human pathogen. The standard of carefor HCV infection is a combination of pegylated interferon-α and ribavirin. However, this treatment is associated with severe side effects and only half of patients benefit from this combined treatment. Recently, a rate of HCV infection is on a constant increase. Therefore, a new class of anti-HCV therapeutics is urgently needed for treatment of HCV infection. One of major targetsfor HCV infection is a viral NS5B protein, which is an RNA dependent RNA polymerase (RdRp). NS5B RNA polymerase plays an essential role in viral replication. In order to develop novel inhibitors of HCV replication via mechanistically unbiased approach, we screened ~ 6,000 compounds of our in-house library with renilla luciferase-linked genotype 2a reporter virus. We identified a series of compounds with an indole moiety as active against HCV replication. On the basis of this result, we designed three groups of novel indole derivatives as active inhibitor of HCV, and synthesized indole2-methylacrylamides (12a-j) with 3 steps such as Wittig reaction, hydrolysis, and amide coupling reaction from indole-3-carbaldehyde which were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of indole ring (3a-j). Among tested compounds, 12e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ly enhanced HCV inhibitory activity and low cytotoxicity (EC50 = 1.1 μM, CC50 = 61.8 μM, and SI = 56.9). However, these series had a problem with water solubility, even though compound 12a, 12d-e were potent inhibitors. Thus, we wished to solve this solubility problem while maintaining antiviral activity. We further synthesized four groups of new 3-(N-substituted indole)2-methylacrylamidederivatives (17-43), which have modification of double bond, benzoic acid, and introduction of N substituentinan indole ring bysimple chemistry including Wittig reaction, hydrolysis, amide coupling reaction, and alkylation or acylation or sulfonylation from indole-3-carbaldehydes (3a-j). Th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SAR) study showed (E)-3-(1-acetyl-5-cyano-1H-indol-3-yl)-N-(4-tert-butylphenyl)-2-methylacrylamide (41)was the most potent inhibitor (EC50 = 0.47 μM, CC50 = 40.74 μM, SI = 86.68) which was derived from (E)-N-(4-tert-butylphenyl)-3-(5-cyano-1H-indol-3-yl)-2-methylacrylamide (12e)(EC50 = 1.1 μM, and CC50=56.9 μM, SI = 56.9). Herein, we described our efforts towards the identification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SAR) of novel indole derivatives as NS5B polymerase inhibitor. Compound 41may serveas a valuable candidate for development of a new class of HCV NS5B RNA polymerase inhibitors in the future.

      • Construction of privileged chemical library and its application in the development of potential norovirus inhibitors and BLT2 antagonists

        Harmalkar, Dipesh S Dongguk University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CHAPTER 1 Total Synthesis of Gramistilbenoids A-C and Discovery of Non-Nucleoside Stilbene Analogues as Anti-Norovirus Agents The stilbene family has allured a lot of interest because of their fascinating biological activities. The stilbene based phenolic compounds gramistilbenoids A-C were first isolated from A. graminifolia and showed cytotoxicity against several cancer cell lines (NB4, A549, SHSY5Y, PC3, and MCF7). In this chapter, the first total synthesis of gramistilbenoids A (1), B (2), and C (3), with overall yields of 10, 2, and 8%, respectively is reported. These natural products were synthesized using key reactions, such as Horner–Wadsworth–Emmons olefination, Stille coupling, and hydroboration-oxidation. Next, the biological evaluation of gramistilbenoids was carried out. Noroviruses are the major cause of acute gastroenteritis worldwide usually expressed as mild diarrhea. Earlier, stilbenoids have been screened for the treatment of human cytomegalovirus (HCMV) infections; nevertheless, there is no report of stilbene analogues exhibiting anti-norovirus activity. Hence, stilbene-based derivatives were developed and synthesized as potential anti-norovirus therapeutics. The HNVs protease and RdRp have been attractive targets since the X-ray crystal studies of HNVs protease and RdRp has provided a much-needed platform for the design of norovirus inhibitors. Despite the significant impact of noroviruses on public health, there are currently no effective vaccines or norovirus-specific small-molecule therapeutics for the treatment of norovirus infection. Thu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anti-norovirus therapeutics. A practical and convenient methodology for the synthesis of non-nucleoside stilbene-based derivatives as anti-norovirus agents has been developed. In search of more potent and efficient norovirus inhibitors, initially, the intermediates obtained during the total synthesis of gramistilbenoids were screened using qPCR assay to HG23 cell line. Among the tested compounds, compound 7 with vinyl moiety exhibited moderate inhibition of norovirus replication. Considering it as a hit compound, a systematic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study on compound 7 was conducted. As a result, a series of vinyl stilbene derivatives were synthesized to obtain piperazine analogue 78k which was found to be the most potent compound with EC50 of 2.34 μM.   CHAPTER 2 Design,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CAY10583 Analogues as Potent BLT2 Antagonist for the Treatment of Anti-Inflammatory Diseases Inflammation is part of the body's immune response. However, inflammation can persist longer than necessary, causing inflammatory diseases such as rheumatoid arthritis, arteriosclerosis, gastritis, and asthma. During the inflammatory process, pro-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histamine, bradykinin, prostaglandins, nitric oxide (NO), various pro-inflammatory cytokines, are synthesized and secreted. They a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certain types of human cancers and inflammatory disorders. Leukotriene B4 (LTB4), an inflammatory lipid mediator synthesized from arachidonic acid (AA) by the 5-lipoxygenase pathway, mediates acute and chronic inflammation. LTB4 binds to two types of G protein-coupled receptors BLT1 (Leukotriene B4 receptor 1) and BLT2 (Leukotriene B4 receptor 2). Overproduction of LTB4 has been demonstrated in several inflammatory diseases. The inhibition of LTB4 binding to BLT1 and BLT2 is the premise of treatment for inflammatory diseases. Therefore, the design and synthesis of novel BLT antagonist with high potency and efficacy are highly desired to achieve ideal therapeutic candidates with reduced side effects. CAY10583 is a potent, selective full agonist for BLT2 that it did not inhibit LTB4 binding to BLT1, however, it inhibited binding to BLT2 with IC50 = 20 nM. A lead optimization effort starting with the full BLT2 agonist CAY10583, a series of biphenyl amide analogues were synthesized and th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was investigated. Exploration of the SAR in the series led eventually to the discovery of potent selective BLT2 antagonist 40b. Compound 40b inhibited the chemotaxis of CHO-BLT2 cells under serum-free conditions with the IC50 of 6.02 μM and inhibited the binding of LTB4 and BLT2 with IC50 of 140.35 nM. The compounds showed an excellent cancer cell death promotion, inhibitory effect and anti-asthmatic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