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베트남 내 대학교 한국어 통번역 교재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t Vietnamese Univers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889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 for developing translation textbooks for lectures at universities in Vietnam in order to improve the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skills of Vietnamese learners. To this end, this study 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 for developing translation textbooks for lectures at universities in Vietnam in order to improve the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skills of Vietnamese learner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in Vietnamese universities and already published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extbooks, and also analyzed th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for teachers, learners, and related workers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t universities in Vietnam. In addition, it identified the point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in the university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currently used in Vietnam, and suggested development plans for lectur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that respond based on the needs of teachers, learners, translators, and practitioners.
      In order to develop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for learners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s in Vietnam,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actual situation of Kore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in the field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In addi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nslation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fully understand the needs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 teachers and learners in Vietnam and the work situation and role of Korean-Vietnamese interpreters and translation workers. In this article, we would like to address the following topics.
      First, the components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skills,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and the principles of development of Korea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extbooks are identified. Second, the actual situation of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s in universities in Vietnam is analyzed. The educational reality to be analyzed includes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and used textbooks, and based on the actual situation analysi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xisting Korea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extbooks were distinguished. Third, a demand survey was conducted at universities in Vietnam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Vietnamese translation textbooks suitable for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other words, it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level of awareness, satisfaction, and demand for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currently being performed by learners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nd teachers in charge of the subject.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what Korean language is necessary for job performance, the job contents of Korean-Vietnamese interpreters and translation workers were investigated, and the needs of current Korean-Vietnamese interpreters and translation worker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Fourth, based on the previous basic research, the goal of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t four-year universities in Vietnam was finally set, the curriculum and syllabus were desig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Vietnamese translation were comprehensively developed. Considering this, a corresponding textbook development plan was proposed.
      This study was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conducted overseas, especially in Vietnam, rather tha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ducted in Korea. Based on the scope and contents of the above research,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1,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were clarified, an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In addition, research contents,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were identified.
      In Chapter 2,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principles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were explored from the content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Chapter 3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Vietnam, and in particular, analyzed the aspects of Korean-Vietnamese translation textbooks published in Vietnam. After selecting and analyzing representative textbooks among them, problems that exist in Kore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were presented, and then applied to the textbook composition plan.
      In Chapter 4, based on the analysis of existing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Korean-Vietnamese translation textbooks were developed by Korean learners (132 people), teachers (30 people), and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workers (66 people). Through the demand for textbooks, the perception, satisfaction, and demand for textbooks used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s at four-year universities in Vietnam we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reflected in the textbook development plan.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instructors in charge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lasses to have a practical perspective on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and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in Vietnam.
      In Chapter 5,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needs of learners, teachers, and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in Chapter 4, the principles and directions for developing Kore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were presented, and the Korean-Vietnamese translation textbooks used in universities in Vietnam were presented in detail. In addition, by presenting the actual unit composition based on the curriculum and syllabus, an appropriate method of composition of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was also presented.
      Finally, in Chapter 6, the contents discussed above were summarized and organized, and the shortcomings in the development of logic,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tasks were review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통번역 능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베트남 내 대학 강의용 통번역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베트남 대학의 통...

      이 연구는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통번역 능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베트남 내 대학 강의용 통번역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베트남 대학의 통번역 교육 현황과 이미 출판된 통번역 교재를 분석하고 베트남 내 대학교의 한국어학과 교원과 학습자, 관련 종사자에게 통번역 교재 개발에 대한 요구 조사도 분석하였다. 아울러 현재 베트남에서 사용하고 있는 대학용 통번역 교재에서 보완되어야 할 사항을 파악하고 교원, 학습자, 통번역, 종사자의 요구를 토대로 대응하는 강의용 통번역 교재의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베트남 내 한국어학과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통번역 교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실제 통번역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 통번역 실태를 파악해야 한다. 또한 한국어 통번역 교육의 특성을 고려하여 베트남 내 한국어학과 교사와 학습자의 요구 및 한·베 통번역 종사자의 업무 상황과 역할에 대해서도 충분한 파악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첫째, 통번역 능력의 구성 요소, 통번역 교육, 그리고 한국어 통번역 교재의 개발 원리를 파악한다. 둘째, 베트남 내 대학교의 한국어학과의 한·베 통번역 교육 실태를 분석한다. 분석할 교육 실태에는 교육목표, 교육과정, 사용교재를 포함하며 실태 분석을 바탕으로 기존의 한국어 통번역 교재의 장단점을 구별하였다. 셋째, 베트남 내 대학교에서 한국어학과 학습자에게 적합한 한국어 통번역 교재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즉 학습의 주체인 한국어학과 학습자와 해당 과목 담당 교사가 현재 수행 중인 한·베 통번역 교육에 대한 인식도와 만족도 및 요구도를 조사 및 분석하는 것이다. 아울러 직무 수행에 필요한 한국어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한·베 통번역과 관련된 종사자의 업무 내용을 알아보고, 현직 한·베 통번역 종사자의 요구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넷째, 앞선 기초 조사를 바탕으로 마지막에는 베트남 내 4년제 대학교에서 한국어학과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통번역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여,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을 설계하고 한국어 통번역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대응하는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이 아니라, 해외, 특히 베트남에서 실행되는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시각에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상의 연구 범위와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아울러 연구 내용과 연구 방법, 절차를 규명하였다.
      제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통번역 교육의 내용부터 통번역 원리를 탐구하였다. 제3장에서는 베트남 내 대학의 한국어 통번역 교육 현황을 살펴봤는데, 특히 베트남에서 출판된 한·베 통번역 교재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중 대표적인 교재를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한 후, 한국어 통번역 교육에 존재하는 문제를 제시한 다음, 이를 교재 구성 방안에 적용하였다.
      제4장에서는 기존의 한·베 통번역 교재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한국어 통번역 교재를 개발하기 위해 한국어 학습자(132명), 교사(30명), 통번역 종사자들(66명)의 한국어 통번역 교재에 대한 요구를 통해 베트남 4년제 대학교 한국어학과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재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요구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한 결과를 교재 개발 방안에 반영하였다. 아울러 베트남에서 한국어 통번역 교육 및 통번역 교재에 대한 현장의 실제적인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통번역 수업 담당 교수자 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도 진행하였다.
      제5장에서는 제4장의 학습자, 교사 및 통번역 종사자들의 요구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한국어 통번역 교재 개발 원리 및 방향을 제시하고 베트남 내 대학교에서 사용 중인 한국어 통번역 교재의 예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을 바탕으로 한국어 통번역 교재의 적절한 구성 방식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앞에서 논의한 내용을 요약 및 정리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앞으로의 과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01
      • 제1절 연구 목적 및 필요성 01
      • 제2절 선행연구 06
      • 1. 한국어 통번역 교육에 관한 연구 06
      • 2. 한·베 통번역 교육에 관한 연구 10
      • 제1장 서론 01
      • 제1절 연구 목적 및 필요성 01
      • 제2절 선행연구 06
      • 1. 한국어 통번역 교육에 관한 연구 06
      • 2. 한·베 통번역 교육에 관한 연구 10
      • 제3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3
      • 제2장 이론적 배경 15
      • 제1절 통번역과 통번역 교육 15
      • 1. 통번역의 개념과 과정 16
      • 2. 통번역 능력의 구성 요소 23
      • 제2절 한국어교육에서의 통번역 활동 28
      • 제3절 한국어 교재 및 한국어 통번역 교재 개발 원리 33
      • 1. 한국어 교재 개발 원리 33
      • 2. 한국어 통번역 교재 개발 원리 36
      • 제3장 한국어 통번역 교재 개발 분석 40
      • 제1절 베트남 대학의 한국어 통번역 교육 현황 40
      • 제2절 교재 분석 대상과 기준 44
      • 1. 교재 분석 대상 44
      • 2. 교재 분석 기준 50
      • 제3절 교재 분석 결과 54
      • 1. 교재 사용 상황 54
      • 2. 외적 구성 59
      • 3. 내적 구성 65
      • 제4장 한국어 통번역 교재에 대한 요구 분석 84
      • 제1절 조사 대상과 방법 84
      • 제2절 요구 조사 결과 분석 85
      • 1. 교사 대상 요구 조사 결과 85
      • 2. 학습자 대상 요구 조사 결과 99
      • 3. 통번역 종사자 대상 요구 조사 결과 113
      • 제3절 한국어 통번역 강의 담당 교원 대상 인터뷰 124
      • 1. 인터뷰 절차 및 대상 124
      • 2. 인터뷰 결과 125
      • 제5장 한국어 통번역 교재 개발의 실제 134
      • 제1절 한국어 통번역 교육 목표 135
      • 제2절 통번역 교재의 교수요목 137
      • 1. 교육 내용의 범주 설정 137
      • 2. 통번역 교육 내용 선정 138
      • 3. 교육 내용의 배열 및 조직 146
      • 제3절 단원 구성 149
      • 1. 단원 구성의 기본 방향 149
      • 2. 단원 구성의 실제 152
      • 제6장 결론 165
      • 참고문헌 171
      • 부록 178
      • ABSTRACT 2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