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테크노파크 정책 연구 : 맥락적 모방을 통한 정책이전

        김상모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Since the mid-1990s,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has been supporting technoparks to realize the success of Silicon Valley in Korea. Moreover, a number of related highly-funded policy programs were developed in response to the political appeal of hardware installation. This study analyzes 18 technoparks established nationwide according to the designation of MOTIE and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Support For Technoparks’, and related policies. It will first explore the factors formulated in the period of pre-policy stage (1966-1993) and subsequently influenced the technopark policy. Next the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the technopark policy in Korea by dividing the period into three: the period of technopark policy ideas formation (1994-1995), the period of concrete policy formation (1996-1998), and the period of policy implementation (1999-2012). This study on Korean technopark policy was conducted according to qualitative research progresses. As for the analysis framework, this study used the framework used by Dolowitz & Marsh (1996), based on the fact that technoparks are a typical policy transfer case. In addition, this study supplemented the analysis framework by adopting a new institutionalism perspective based on the comprehensive path-dependence described by North (1990). The main variables include (1) foreign policy sources, (2) policy situations, (3) actor variables, and (4) institutional variables.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Korean technopark policies are formulated through the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variables from (1) to (4). In order to supplement previous research on technoparks, this study aimed to answer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y did MOTIE try to take the initiative in technopark policy from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how was it possible? Second, as Korean technopark policies are different from foreign cases, what variables influenced the policy process? Third, what are the promotional and restrictive factors of Korean technopark polici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MOTIE enacted the ‘Industial Development Act’ in 1986, abolishing 7 laws supporting industry and developing policies exceeding direct and discriminative measures to support industries. MOTIE highlighted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 technology for industrial support in the late 1980s, and succeeded in converting the single research and development system direc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to a shared one. In 1995, WTO was launched while the technoparks were spreading globally in the period of technopark policy ideas formation (1994-1995). As technological competition intensified, enhancement of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became a large task. In addition, MOTIE was faced with a policy situation where demand for regional development was increasing as the local self-govenment system resumed in the early 1990s. However, MOTIE was no longer able to use discriminative industry support measures. Eventually MOTIE was able to lead the technopark policy transfer by securing the consensus of related ministries to comply with global norms and accepting regional development. Second, in the period of concrete policy formation (1996-1998), there was a continuous demand for high technology competition as well as for regional development. In 1997, the Asian Financial Crisis swept Korea, and as a response a new policy to promote startup businesses was introduced to transform the structure of domestic industry, later influencing the formulation of technopark policies. MOTIE, recognizing that foreign technoparks were also not just successes but failures as well, pursued emulation of the policies of countries such as Japan and USA, bearing in mind the domestic situations. In the process of policy transfer, the interactions between foreign policy sources, policy situations, actor variables, and institutional variables was analyzed as following: First, the organization responsible for the creation and operation of technoparks in Korea would take the form of a third-sector foundation corporation. This was largely due to MOTIE’s desire to mobilize and rally policy actors such as local governments and universities. Next, most of the domestic technoparks would take the form of small complexes, mainly due to policy competition with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budget constraints from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The complexes include university campus type, industrial complex type, and mixed type. This was also the result of the policy allowing competition among local governments, giving them the rights to choose and apply the complexes. It was also not possible to adopt a preferential treatment for research institutes of foreign enterprises based on the Hsinchu Science Park in Taiwan due to lukewarm responses from policy actors. On the other hand, support measures not found in Japan or other countries were included. A typical case can be found in the enforcement of the foundation system for the technopark corporation, largely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MOTIE. Third, 18 technoparks have been established nationwide in the period of policy implementation (1999-2012) with about 1,700 companies in operation, and technoparks rising to the region’s central organization. This shows the technopark policy in Korea has achieved successful results from MOTIE’s policy support and the local participants’ commitment. However, the technopark in Korea has gradually become bureacratic causing limitations in autonomy and creativity, the essential figures of a technopark. The policy legacy of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foundation corporation system is a fundamental cause of the tendency of the Korean technopark towards becoming bureacratic and path dependence still in the present day.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olicy transfer through emulation of foreign policies affects the policy performance positively. Policy competition among ministries can serve as a motivation for new ideas. It is pointed out that the merits of a particular policy can turn into a great obstacle over time. On the other hand, policy actors tend to pursue change only within existing policies and institutions. Furthermore, policy makers should be aware that as the number of stakeholders in a specific policy increases due to path-dependence, it makes policy innovation more difficult.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Korean technopark policy process can be successfully explained through an analysis framework applying a policy transfer framework and new institutionalism. The analysis framework us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in the future for studying policy transfer cases through emulation of foreign policies. 산업자원부는 1990년대 중반부터 실리콘밸리의 성공을 국내에 재현하기 위하여 테크노파크를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더욱이 하드웨어 설치가 주는 정치적인 매력에 따라 유사정책프로그램이 다수 개발되어 대규모 자금이 투입되고 있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은 「산업기술단지지원에관한특례법」에 따라 산업자원부의 지정을 받아 설립된 전국 18개의 테크노파크와 관련 정책이다. 이 연구는 먼저 선행정책단계 시기(1966∼1993)에 만들어져 테크노파크정책에 영향을 준 요인을 탐구한다. 다음으로 테크노파크 정책과정 시기(1994∼2012)의 한국테크노파크 정책과정에 대하여 테크노파크 정책아이디어 형성기(1994∼1995), 구체적인 정책형성기(1996∼1998)와 정책집행기(1999∼2012)로 구분하여 탐구한다. 이 연구는 한국테크노파크 정책에 대하여 질적 연구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분석틀은 테크노파크가 대표적인 정책이전사례임을 감안하여 Dolowitz & Marsh(1996)가 제시한 정책이전 분석틀을 활용하였다. 이에 더하여 North(1990)가 설명하는 포괄적 경로의존성 개념을 포함하는 신제도주의 시각을 도입하여 보완하였다. 주요 변수는 (1) 해외의 정책원천, (2) 정책상황, (3) 행위자변수, (4) 제도변수 등이다. (1)에서 (4)까지의 변수들의 복잡한 교호작용으로 한국테크노파크 정책이 만들어지는 과정이 설명된다. 이 연구는 테크노파크 선행연구를 보완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다음의 연구문제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첫째, 산업자원부는 왜 과학기술부 영역인 테크노파크 정책을 주도하려고 나섰고 어떻게 가능했는가? 둘째, 한국테크노파크 정책이 해외 사례와 다르게 만들어졌는데 정책과정에서 작용한 변수들은 무엇인가? 셋째, 한국테크노파크 정책의 성과는 무엇이고 장애로 작용하고 있는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자원부는 1986년 「공업발전법」을 제정하면서 7개의 개별 공업지원 법률을 폐지하여 직접적이고 선별적인 산업지원 시책을 넘어서는 정책수단을 개발하고 있었다. 이에 1980년대 후반 산업지원을 위한 응용기술 개발이라는 측면을 부각하여 과학기술부 단일의 연구개발사업 체제를 다수부처의 분담 체제로 전환하는데 성공하였다. 테크노파크 정책아이디어 형성기(1994∼1995)에 테크노파크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기업에 대한 직접 보조를 제한하는 WTO가 출범하여 첨단기술 경쟁이 심화되어 국내 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가 당면과제로 부각되었다. 그리고 지방자치제가 본격 실시됨에 따라 지역개발 요구가 확대되는 정책상황에 산업자원부는 직면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산업자원부는 더 이상 선별적 산업지원시책을 사용할 수 없었다. 이에 산업자원부는 국제규범을 준수하고 지역개발 요구에 대응하는 효과적 정책수단으로서 테크노파크에 대한 관계부처의 공감대를 확보함으로써 테크노파크 정책이전을 주도할 수 있었다. 둘째, 구체적인 정책형성기(1996∼1998)에 WTO 등 첨단기술경쟁과 지역개발 요구가 지속되는 가운데 1997년 말에는 IMF외환위기가 발생하였고 국내 산업의 구조를 전환하기 위한 벤처기업 육성정책이 새로 도입되어 테크노파크 정책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산업자원부는 해외 테크노파크에도 성공사례만 존재하지 않고 실패사례도 많다는 점을 인식하고 국내 여건을 감안하여 일본, 미국 등의 정책에 대하여 맥락적 모방을 추구하였다. 정책이전 과정에서 해외의 정책원천과 정책상황, 행위자변수, 제도변수의 교호작용은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먼저 국내에서 테크노파크의 조성·운영주체는 제3섹터 재단법인 형태로 결정되었다. 이는 지방자치단체, 대학 등 참여주체를 결집하려는 산업자원부의 의지가 작용하였다. 다음으로 국내 테크노파크는 소규모 단지 형태로 조성되었다. 이는 과학기술부와의 정책경쟁과 기획재정부의 예산제약 요인이 주로 반영되었다. 입지는 대학부지형, 산업단지형, 혼합형이 존재하고 있다. 이는 지방자치단체 간 경쟁에 따라 지방자치단체가 입지를 정하여 신청하는 방식으로 정해지면서 예정된 결과이었다. 한국테크노파크 지원제도는 1998년 「산업기술단지지원에관한특례법」이 제정됨으로써 골간이 정해졌다. 산업자원부는 일본의 「테크노폴리스법」으로부터 개별법 형식과 개발절차, 자금지원, 세제지원 등의 내용을 국내 맥락에 맞게 도입하였다. 그렇지만 일본 「테크노폴리스법」의 다수부처가 활용 체제와 입지조건 규정은 부처 간 정책경쟁 측면, 지역의 반발 우려 등으로 무시되었다. 대만의 신죽단지를 벤치마킹한 외국기업 연구소 우대 규정도 참여주체의 미온적 반응으로 도입이 좌절되었다. 반면 일본이나 외국에 없는 지원제도도 포함되었다. 대표적으로 테크노파크법인에 재단법인 체제를 강제한 것은 과학기술부의 정책유산과 산업자원부의 의지가 함께 작용한 사례이다. 셋째, 정책집행기(1999∼2012)에 전국에 18개 테크노파크가 설치되어 약 1,700개 기업이 입주하고 있고, 지역의 중추적인 거점기관으로 성장하는 등 한국테크노파크 정책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산업자원부의 정책적인 지원과 지역주체들이 결집하여 거둔 성과이다. 그렇지만 한국테크노파크는 점차 공공기관화되어 테크노파크 본연의 자율과 창의에 의한 성장이라는 측면에서 한계를 갖게 되었다. 공공기관화의 근본 요인으로 작용하는 재단법인 체제는 과학기술부의 정책유산으로 산업자원부에 의해 도입되어 현재까지 유지되는 경로의존성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해외의 정책에 대하여 맥락적 모방을 통한 정책이전이 정책성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부처 간의 정책경쟁이 새로운 정책아이디어의 동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정책의 장점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근본적인 한계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반면 정책행위자는 기존 정책과 제도의 범위 내에서만 변화를 추진하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특정정책의 참여자와 수혜집단이 증가할수록 경로의존성으로 인하여 정책혁신은 어려워지므로 정책당국자는 유의해야 한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 정책이전의 분석틀과 신제도주의 시각을 접목한 연구방법이 한국테크노파크 정책 과정에서 벌어진 정책원천, 정책상황, 행위자변수와 제도변수 간의 복잡한 교호작용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이론적 유용성과 적실성을 갖는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분석틀은 앞으로 해외 정책으로부터 맥락적 모방을 통한 정책이전 사례를 연구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본다.

      • R&D조직의 조직성과 결정요인분석 : 셀프리더십을 중심으로

        정서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셀프리더십에 관한 선행요인 및 셀프리더십과 R&D 성과 간의 관계에 평가제도의 수용성 매개효과를 다룸으로써 셀프리더십 분야의 연구와 R&D 성과 부문의 연구에 기여하고 있다. 연구결과는 R&D 성과 증대를 위해 조직문화 및 바람직한 평가제도의 밑거름 속에서 궁극적으로 셀프리더십을 통한 자기개발훈련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공공부문의 R&D 조직은 공정하고 타당한 평가제도를 구축하여 단기성과뿐 아니라 중・장기성과로서의 기술확산을 장려해야 하며 이와 발맞추어 조직구성원 모두가 셀프리더가 되어 조직을 창조적이고 생산적인 연구가 가능한 조직으로 이끌어야 할 것이다.

      • 정부와 이익집단 간의 정책네트워크 연구 : 건설산업의 분리발주제도 폐지 추진 사례를 중심으로

        장영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599

        세계화(globalization)를 배경으로 한 신자유주의(Neo-Liberalism) 개혁 조치의 일환으로 금융, 통신 등 여러 산업 분야에서 다양한 규제개혁이 촉발되었다. 전체 GDP의 약 10%를 차지하는 국민경제 효과가 매우 큰 국가 인프라구축 산업인 건설 산업 부문에서도 분리발주 폐지 추진 등 다양한 규제개혁 정책이 추진된 바 있다. 분리발주제도 정책은 우리나라가 규제국가로의 전환과정에서 산업에 대한 전략적 재규제(re-regulation) 차원으로 추진한 대표적인 규제개혁 정책 사례라는 점에서 큰 연구 의의를 갖는다. 이 연구는 이런 일련의 과정 속에서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에서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추진된 전기 및 정보통신공사 분리발주제도 폐지 규제개혁 과정에서 나타난 정책참여자 간의 상호작용구조 특성과 이익매개양식의 변화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정책네트워크 이론을 기본 분석틀(프레임웍)로 하고, 연구 분석틀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하여 윌슨(Wilson)의 규제정치이론, 사바티어(Sabatier)의 ACF모형, 무시아로니(Mucciaroni)의 ICF모형 중 일부 이론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문제는 건설 산업의‘분리발주제도의 폐지’를 둘러싼 정책결정 과정에서 정부와 이익집단 간의 관계 구조의 유형변화 및 정책행위자 간의 상호작용 체계의 변화가 실제 정책 추진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가 추구하는 구체적인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정치·사회적 변화와 함께 우리나라에서의 정부정책 결정 과정이 국가 중심적 조합주의 모델 보다는 개방적인 이슈네트워크 모델에 의해 더욱 잘 설명될 수 있다는 기존 연구 성과들을 건설 산업 분야에서의 규제개혁 정책 영역에도 그대로 적용시킬 수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 정부의 정책결정 과정에서 정부와 이익집단 간 교호작용 체계의 변화 가 정책 결정 산출물에 실제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 작동 메커니즘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이를 위해 투입부문의 정책행위자로서 정부와 이익집단 간의 상호작용 방식 및 이들 간의 관계구조가 어떠한 경로와 방식을 통해 최종 정책 산출물로 연결되는지에 분석의 초점을 둔다. 연구 분석결과 이 연구가 갖는 이론적 함의는 다음과 갖다. 첫째, 분리발주 제도의 개혁을 둘러싼 정부정책 결정과정에서는 정책 사안 자체에 내포되어 있는 경제적 이슈 뿐 아니라, 이를 둘러싼 정치 사회적 이슈들이 정책 산출물 결정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정부와 이익집단 간의 상호작용 체계의 유형 및 관계구조의 특징은 정책 행위자 집단의 객관적 이해관계 보다는 정책 결정과정에 작용하는 정치적 동기와 규제기관의 조직적 특성, 그리고 관료들의 행태적 특성에 의해 더욱 좌우된다는 것이다. 둘째, 정부와 이익집단 간의 관계 유형과 이익매개양식은 정책 사안의 영역별 고유 특성 뿐 아니라, 정책 결정과정에서의 이익의 다원화 및 복잡성의 정도, 해당 정책 사안에 대한 정보 공유의 정도, 정책 참여자 간의 역학관계의 변화 등에 의해서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 셋째, 정부와 이익집단 간의 상호작용은 중심부행위자와 주변부 행위자 간의 영향력 확대를 통해 확대된다. 이들은 연계관계를 형성하여 정책결정에 자신들의 이익을 최대한 반영하고자 하는데, 정부와 이익집단 간의 핵심행위자들은 대등한 관계 속에서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정책문제를 해결해 나갔다. 분리발주 제도의 규제개혁 정책은 정부의 권위적인 결정 형태에서 벗어나 대부분 핵심공동체 내의 행위자들과 함께 조정해 나가는 형태임을 알 수 있다. 넷째, 분리발주제도 규제개혁 과정에서 정부와 이익집단 행위자들 간의 네트워크 구조 및 상호작용 유형은 이익집단의 경제적 이해관계 자체 보다는 서로 다른 정책 목표와 행위 동기를 갖는 정책결정자 집단 간의 전략적 상호작용, 그리고 이들 정책결정자 집단과 이익집단 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나타난 것이다. 이 연구는 정책제언으로 분리발주제도에 대한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 대립에 따른 불필요한 갈등과 비효율성을 해소하고, 객관적 기준과 절차에 의해 규제품질을 확보해 나가는 것이 분리발주 제도의 전향적 개선책임을 주장하였다. The world was promoting a strong regulatory reform in many industries such a finance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as a response to requirements of the globalization bases the Neo-Liberalism. In this context, Korea was promoting regulatory reform for abolishing of the「Separated Ordering System」in the construction industries that account for 10% of the whole of the Korea’s GDP and have great effects on the national economy as an Infrastructure Industry. Analyzing the「Separated Ordering System」is a very meaningful study in the most typical regulatory reform case that was promoting as a strategic re-regulation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a regulatory state. In this connection,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structure and changes in the mode of interest medi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interest groups which appeared in the process of regulatory reform for abolishing of the「Separated Ordering System」of the electrical & information communications construction business under the administrations of Roh, Mu-Hyun and Lee, Myung-Bak during the 2003~2009. To expla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olicy changes and the interaction, the relationship structure of participants that escalated to a higher complexity, this study used Policy Network theory as a basic analytical framework. Also, a complementary framework, that incorporated certain elements of J. Q. Wilson’s Regulatory Politics theory, Sabatier’s ACF model and Mucciaroni’s ICF model, was used. Main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analyzing how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structure and changes in the mode of interest medi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interest groups will affect actual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in the policy-making process of pushing to abolish the「Separate Ordering System」.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include two following categories; 1. To analyze if a claim, given by many researchers,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interest group is changing from nation-centered corporatism to an open issue-network where they decide and carry out a policy through a reciprocal action of a nation and its society actors, might also be applied to the specific construction industry’s division contract policy. 2. It is to analyze the reciprocal action of the government and the interest group that inputs its interests and to study the influence of these groups, materialized through the reciprocal action, on the policy decision process. In other words, this study focuses on the level of structural changes and the subsequent earning parameters of bi-directional interaction of the government and interest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is study shows that the relationship types of interac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interest group are dependent upon, - Directional nature of the political involvement regarding the economic values and social values of the Separate Ordering System. - Political motivations, organizational systems and the behaviors of actors during the process of the policy decision making as a reflection of actors' interests. 2. A conclusion, that the relationship of the government and the interest-group and the relationship of forming profit parameter does not change because of the policy area or regulation, was drawn. Rather, it could be changed due to obstructed information, policies, structural characteristics, profit diversification policy and the extent of complexity. 3.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interests groups expand through expanding influence between Central actors and peripheral actors. This tries to reflect their best interests in the process of the policy decision making through interaction relationship formation. Central actors between government and interest groups solved Policy problem through producing cooperative network in equal relationship. Regulatory reform of the「Separated Ordering System」was promoted through coordination of actors within the core community. 4. In the process of「Separated Ordering System」regulatory reform, the correlation between policy changes and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structure of actors between government and interest groups is created as the result of the actors relation and strategy by the policy issues based on the power and resource of actors even if the interests elements between government and interest groups are different. In addition, through policy suggestions, by going over the unnecessary discords and inefficiencies that took place so far, it raises the issue of establishing a favorable form of governance in the process of pushing to abolish the「Separate Ordering System」 through building regulatory quality. Keyword - separate ordering system, policy-network, Interest groups, interaction, governance, construction industry

      • 인터넷윤리 교육이 사이버폭력 예방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인터넷윤리의식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박정숙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인터넷이 제2의 생활공간이 된 현대사회에서 사이버공간에서 나타나고 있는 다양한 현상들 가운데 하나인 역기능은 우리 사회의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해를 거듭할수록 사이버 범죄 발생건수는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대학생들은 기술적이고 전문적인 지식에는 관심을 많이 기울이지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상의 글, 사진, 언어 등을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잘못된 윤리적 의식을 느끼지 못하는 현상들이 두드러지고 있다. 또한 기본적인 도덕개념이나 윤리적 판단에는 관심이 없는 경향이 있다. 이 측면에서 인터넷윤리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인터넷윤리의식의 부재는 사이버폭력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정책적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 관점에서 인터넷윤리 교육이 사이버폭력 예방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사이버폭력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는 등 인터넷윤리의식을 함양하고 인터넷윤리 교육을 통해 건전한 가치관을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윤리 교육이 사이버 폭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인터넷윤리 교육이 사이버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터넷윤리의식은 이를 어떻게 매개하는가? 이다. 연구방법은 정량적 분석을 이용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확보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설문조사의 대상은 1990년대 이후에 출생한 이들에 주목하여 서울에 소재하는 대학교 가운데 2개 대학교의 대학생으로 하였다. 최종 분석에 활용한 것은 209명의 응답 자료이다. 인터넷윤리 교육이 사이버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터넷윤리의식이 어떻게 매개하는지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인터넷윤리 교육의 경험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사이버폭력 측면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사이버 상의 폭력의 경향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남학생은 인터넷상에서의 윤리의식을 크게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대학생들의 학년에 따라 인터넷윤리 교육과 사이버폭력, 인터넷윤리의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는데 3, 4학년에 비해 1, 2학년이 사이버폭력적인 경향이 있으며 인터넷윤리의식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와 같이 3,4학년 대학생들이 1, 2학년 대학생들보다 인터넷윤리 교육의 경험정도가 높게 나타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셋째, 인터넷윤리 교육과 사이버폭력과의 관계에서 인터넷윤리의식의 매개효과 여부를 분석한 결과 인터넷윤리의식의 하위요소인 정의의식, 존중의식, 해악금지의식 모두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관찰되었고, 부분매개하고 있음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연구가설 1, 연구가설 2, 연구가설 3은 모두 지지되었다. 분석내용을 종합한 결과, 인터넷윤리 교육은 사이버폭력을 예방하는 데 기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인터넷윤리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기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도출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에서는 부모들이 인터넷 사용 방법을 익히고 사이버문화를 이해하는데서 출발하여, 올바른 인터넷 활용을 위한 윤리적 규범을 숙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자녀들을 보호함과 동시에 올바른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인터넷윤리 교육은 교육부 혹은 방송통신 총괄 부처 등 여러 주체에 의해 다각적으로 진행되어 오고 있다. 사이버폭력이 다양화 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체계적인 교육 방향을 논의하고 사이버폭력을 해소하기 위한 인터넷윤리 교육을 총괄하여 수행할 기관을 지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통합성을 높이고 상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어려서부터 컴퓨터와 휴대폰에 노출되어 인터넷 환경에 친숙하고, 디지털 기기도 많이 사용하는 1990년대 이후에 출생한 이들에 대한 조기 교육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인터넷윤리 교육은 유치원부터가 적합하며 교육의 효과도 클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별도의 인터넷윤리 교과목도 만드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사이버폭력을 예방하고 인터넷윤리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인터넷윤리 교육 분야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들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후속 연구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본 연구는 서울에 있는 대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다양한 성격의 대학을 포함하기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지역적인 한계도 있어 모든 대학생들에게 일반화하기에는 제약이 따른다. 향후 지역과 성격 측면에서 다양한 대학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며, 대상자 집단의 분포를 넓히고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생들의 개인적·환경적인(학교생활, 교우관계, 인터넷 이용현황 등) 요인까지 포함한 다양한 접근의 분석이 필요할 것이며, 사이버폭력의 가해·피해경험에 따라 인터넷윤리의식의 영향 정도를 분석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셋째, 사이버폭력과 인터넷윤리의식을 보다 심층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문항들을 더 구체화하고 이를 통해 후속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정성적인 연구, 인터넷 공간의 커뮤니케이션의 양적·질적 분석을 병행한다면 더 풍부한 논의를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판단된다.

      • 무기체계획득에 관한 정책네트워크 연구 : 한국형전투기 개발사업(KF-X)을 중심으로

        전종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As military weapon system acquisition is an issue closely related not only to strengthening of military might but also growth and development of domestic defense industry, policy making of military weapon system acquisition is crucially important in terms of the countries’ security and industrial/economic interest. Especially, the policy making for the acquisition of a large military weapon system over 500 billion KRW is a national-level decision requiring rational choices and successful execution, as a tremendous amount of national budget is invested and the program will secure core assets of national security. This research deals with a policy making process for the Korean Fighter Experimental(KF-X), the biggest military weapon system acquisition program with investment of 18 trillion KRW, which is conducted in order to furnish future tactical air operations execution capability through replacing ROKAF’s obsolete fighter jets from military perspective, and to foster domestic aviation industry and generate additional economic value through acquiring cutting-edge technology from industrial/economic perspective. This research studies into policy processes from raising requirement to decisions for system development with a perspective centered on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s between policy actors through cross sectional and vertical analysis on the policy making process of the KF-X program, of which system development has been decided to start in 2014 during Park Geun-hye administration after continued disputes since former President Kim Dae-jung’s declaration to internally develop a domestic fighter jet. With a basic analysis framework of policy network theory, agents of interactions between policy actors are analyzed from a perspective of discursive institutionalism. Furthermore, roles and characteristics of expert research groups, who are important actors of KF-X program policy making by applying epistemic communities. Through these, impacts of policy environment, policy actors, policy ideas, and interactions between policy actors on policy making process for military weapon system acquisition and policy outputs as a result of the impact are confirmed. This study illuminates the next research questions under the premise that the policy making of military weapon system acquisition is experiencing changes in the extension of political,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openness. Here are some examples of the changes. First, does the model of military-industry complex and the Iron Triangle have exactness for explaining policy making process per military weapon system acquisition programs? Second, why did KF-X program stay in the pool of policies experiencing disputes over fourteen years, though the president’s public announcement and technological and scientific indexes were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KF-X had been started within the “Iron Triangle” model at first, the program turned into a “policy community” due to participation from expert research groups conducting feasibility analysis of program promotion at the phase of exploratory development, and later on appeared as an “Issue Network” model as various actors including academia, mess media, and the netizens participated in the policy making process. In other words, explanation for KF-X program’s policy making process has exactness when an open network model is applied instead of a closed network model. This confirmed policy making per military weapon system acquisition, contrary to general image, is not a hierarchical top-down management style, but is influenced by interactions of network formed by various actors participating in policy making. Second, actors participating in policy making had cooperative and conflicting interactions through sharing and competing over policy ideas, and the difference in policy ideas suggested by the expert group intensified and strengthened the conflicts between government actors. Hence, the actors’ discussion activities gradually became more complex and developed into an acute competition, and this became the main agent costing a long period of time, along with policy network transitioning to be open, for policy making.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in order for program feasibility analysis by research institutions, expert epistemic communities for military weapon system acquisition, to secure credibility and perform positive roles for selecting rational acquisition methods: First, rather than entrusting program feasibility analysis to a single research institution, establish and operate a joint research team participated by experts from multiple institutions for each field. Second, there is a need to enhance the citizens’ trust and sympathy regarding policy making by arranging regular briefing sessions for relevant government departments,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public media at each certain point while program feasibility analysis is conducted. This research is the first study to analyze KF-X program as a case of policy making process per military weapon system acquisition through theoretical analysis framework of a policy-level, by applying policy network and discursive institutionalism. Therefore, the research can be applied usefully for future studies on policies per military weapon system acquisition and other cases of policie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무기체계획득은 군(軍)의 전력 증강은 물론 국내방위산업 육성·발전과 밀접하게 관련된 사안으로 그에 대한 정책결정은 국가안보와 산업·경제적 국익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5,000억원 이상의 대형 무기체계획득에 관한 정책결정은 막대한 국가예산이 투입되며 국가 안보의 핵심 전력을 확보하는 사업인 만큼 합리적인 선택과 성공적인 집행이 요구되는 국가적 차원의 결정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창군이래 단일 무기체계획득사업으로는 최대 규모인 18조원에 달하는 예산을 투입하여, 군사적으로는 공군의 노후 전투기 교체를 통한 미래 전술적 항공작전 수행능력을 구비하고, 산업·경제적으로는 첨단 기술력 확보를 통해 국내 항공산업 육성 및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추진되는 한국형전투기 개발사업(KF-X: Korean Fighter eXperimental)의 정책결정과정을 대상으로 한다. 본 연구는 2002년 김대중 대통령의 국산 전투기 국내개발 선언이후 논란이 지속되다 지난 2014년 박근혜 정부에 이르러 체계개발 착수가 결정된 KF-X 사업의 정책결정과정을 횡단면적·종단면적으로 분석하여 정책행위자와 그들 간 상호작용의 특성을 중심으로 소요제기부터 체계개발 결정까지의 정책과정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정책네트워크 이론(policy network theory)을 기본 분석틀로 하고 담론제도주의(discursive institutionalism) 관점에서 정책행위자 간 상호작용의 동인을 분석한다. 아울러, 인식공동체(epistemic communities) 이론을 적용하여 KF-X 사업 정책결정의 중요 행위자인 전문가 연구집단의 역할과 특성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무기체계획득에 관한 정책에 있어 정책환경, 정책행위자, 정책아이디어, 정책행위자 간 상호작용이 정책결정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고 그 결과 어떠한 정책산출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한다. 이 연구는 무기체계획득에 관한 정책결정이 다른 정책영역에서와 마찬가지로 정치·경제·사회·문화적 개방성의 확대에 따라 변화를 겪고 있음을 전제로 다음의 연구문제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첫째, 군산복합체(military-industry complex)와 철의 삼각(iron triangle) 모형은 우리나라의 무기체계획득사업에 관한 정책결정과정을 설명하는 데에 있어 적실성을 가지는가? 둘째, KF-X 사업이 대통령의 공표와 안보전략 및 기술적·과학적 지표가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4년이라는 오랜 기간 동안 논란을 겪으며 정책의 장에 머무른 이유가 무엇인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F-X의 연구개발은 최초 폐쇄적인‘철의 삼각’ 모형을 따랐으나, 탐색개발 착수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사업 추진의 타당성 조사를 수행하는 전문성을 보유한 전문가 연구집단이 참여하여 ‘정책공동체’가 되었고, 이후 학계·언론·네티즌 등 다양한 행위자들이 정책과정에 참여하면서 ‘이슈네트워크’모형으로 나타났다. 즉, KF-X 사업의 정책결정과정에 대한 설명은 폐쇄적인 네트워크 모형이 아닌 개방적 네트워크 모형을 적용할 때 적실성을 가진다. 이는 무기체계획득에 관한 정책결정은 일반적인 이미지와 달리 위계적 상의하달식(top-down)이 아니라, 정책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행위자와 그들이 형성한 네트워크의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둘째, 정책과정에 참여한 행위자들은 정책아이디어(policy ideas)의 소통과 경쟁을 통해 상호 협력과 대립의 상호작용을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전문가 집단이 제시한 정책아이디어의 차이는 정부행위자 간 아이디어의 대립을 심화·강화시켰다. 이에 행위자들의 담론활동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첨예한 경쟁의 양상으로 전개되었으며, 이는 정책네트워크의 개방형으로의 변화와 함께 정책결정에 오랜 기간이 소요된 주요 동인이 되었다. 본 연구는 정책네트워크 이론을 기본 분석 틀로 담론제도주의를 접목한 방법론이 무기체계획득에 관한 정책결정과정에서 행위자들의 전략과 행동의 동인과 그에 따른 상호작용 및 관계구조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이론적 유용성과 적실성을 가짐을 보여 주었다. 정책제언으로 무기체계획득사업에 대한 전문가 인식공동체인 연구기관의 사업타당성 조사가 신뢰도를 확보하고 합리적인 획득방법을 선정하는 데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첫째, 사업타당성 조사를 단일 연구기관에 일임하기 보다는 각 분야별로 다수 기관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합동연구팀을 구성·운영하고, 둘째, 사업타당성 조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일정한 시점마다 정부 해당부처 및 국회, 언론을 대상으로 주기적인 설명회의 자리를 마련하여 정책결정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공감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KF-X 사업을 사례로 무기체계획득에 관한 정책결정과정을 정책네트워크와 담론제도주의를 적용하여 정책학 차원의 이론적 분석틀을 통해 분석한 최초의 연구로서 앞으로 무기체계획득에 관한 정책 및 그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정책사례 연구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