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과 연계 읽기 지도 프로그램과 자유독서활동 병행이 읽기 태도·읽기 동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윤석환 서울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15

        ABSTRACT The Effect of Integrating Voluntary Reading Method with Course Associated Reading Program on Motivation and Attitude toward Reading –3rd grade by Yoon, Suk-hwan Major in Elementary Korea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 Um, Hae Yo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integration of voluntary reading method and course associated reading program has a diminishing effect on time needed for students to form reading attitude or reading motivation, as compared to implementing SSR(Sustained Silent Reading). SSR refers to a form of recreational reading in which students read a book of their choice for 15 minutes before the first class. Similarly, FVR(Free Voluntary Reading) is an activity where students read silently in a time period other than regular school schedule. The author renamed the 2 reading methods as ‘Self Initiated Reading Method’, and have incorporated it with a developed reading program. Course associated reading program consists of subjects in Korean, social studies, science, ethics, and fine arts. Students read literatures related to these subjects, and carries out activities to further their understanding. ‘Question-Generating Reading Classroom Method’ was developed to be used in summarizing and book report class. To determine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and course associated reading program, pre and post test of reading motivation, reading attitude, reading ability was implemented. SPSS version. 23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The experiment was set on S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and consisted of 30 3rd grade students as experimental group, and 88 students as control group.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8 weeks, from March 20th 2017 until June 1st. One school our is forty minutes for class. Students had been taught by total of 57 classes; 41 classes on Korean Language, 2 classes each on social studies and science. 2 classes of ethics, and 10 classes of art. The entire group conducted 15 minutes of continuous reading activity, but the experimental group incorporated the course associated reading program. The results are presented in section IV. The summary of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of all, there wasn’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reading attitude, which implies that 8 weeks is insufficient in changing the reading attitude. Secondly, there wasn’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reading motiv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reading motivation, only acknowledgment‧competition factor and adaptation factor had significant difference. Devotion, challenge‧effectiveness, curiosity, interaction, academic grades, family literacy environment, avoidance factor did not show significantly difference. Thirdly, there was a difference in reading attitude among the higher and lower reading ability group. When separating the entire sample based on reading ability, higher reading ability group had significantly better reading attitude compared to lower reading ability group(t=-2.424, p=0.017). Such results suggest that better reading attitude are related to better reading score. Fourthly, there wasn’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ding motivation among the higher and lower reading ability group. Fifthly,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reading attitude is found in long term rather than short term. While the effect wasn’t shown in short 8 week program, significant improvement was found in 9 month program. In summary, while significant effect on reading attitude and motivation wasn’t shown in 8 week program, reading attitude was increased for 9 month follow-up.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reading attitude and reading motivation, long term plan is needed. Other conclusions that can be derived are as follows; First of all, ‘Question-Generating Reading Classroom Method’ was effective in summarization class. Realistic and deductive questioning, critical questioning with discussion and cooperative class was helpful for students to summarize what they have read. Secondly, reading associated activity has increased students’ interest and curiosity. Essay response during post examination showed that students requested increase in discussion, painting, or educational play. Thirdly, while describing the book they have read leads to an increase in cognitive ability, it also creates burden and does not help with reading attitudes. Finally, the process should be collaborated with parents in order to prevent financial burden or students’ autonomy. Key word : Sustained Silent Reading(SSR), Free Voluntary Reading(FVR), Reading Motivation, Reading Attitude, Jigsaw-QAA, Question-Generating Reading Classroom Method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 Education 논 문 요약 교과 연계 읽기 지도 프로그램과 자유독서활동 병행이 읽기 태도‧ 읽기 동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Integrating Voluntary Reading Method with Course Associated Reading Program on Motivation and Attitude toward Reading –3rd Grade 윤 석 환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국어교육전공 ( 지도교수 엄해영 ) 이 연구의 목적은 교과 연계 읽기 지도와 자유독서활동을 통해 지속적인 읽기 활동(SSR: Sustained Silent Reading)만 했을 때보다 학생들의 읽기 태도와 읽기 동기 형성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지속적인 읽기 활동(SSR)은 한 학급 전체가 아침 수업 시작 전 15분 동안 조용히 자신이 선택한 책을 읽는 활동이고, 자기 주도적 읽기 활동(FVR: Free Voluntary Reading)은 정규 교육과정 시간이 외에 학생 스스로 책을 선택하고 자발적으로 책을 읽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자는 두 활동을 합해 ‘자유독서활동’이라 이름 붙이고, 학생들이 실제적 읽기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읽기 지도 프로그램을 구안‧적용해서 자유독서활동과 병행하여 지도하였다. 교과 연계 읽기 지도 프로그램은 국어, 사회, 과학, 도덕, 미술로 정하고 교과와 관련된 읽을거리 찾아 읽기와 책을 읽은 후 책 내용을 갖고 여러 가지 활동하기, 반응을 심화 시켜 내 것으로 만들기 등의 활동을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가 구안한 ‘다중 질문 생성 읽기 수업모형(Jigsaw-QAA)’를 이야기 글 요약하기 및 독서 감상문 쓰기 수업에 실제 적용하였다. 읽기 활동과 교과 연계 읽기 지도 프로그램을 운영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읽기 동기 검사(사전‧사후), 읽기 태도 검사(사전‧사후), 읽기 능력 검사(사후), 독서 설문(추후)을 실시하였다. 검사 자료 처리는 SPSS version. 23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S초등학교 3학년이며 실험집단 30명, 통제집단 88명이다. 실험 기간은 2017. 3. 20~6월 1일이며 약 8주간이다. 1차시는 40분 단위 총 57차시 수업을 전개했다. 국어 약 41차시, 사회와 과학 그리고 도덕은 각 2차시, 미술 10차시 수업을 전개했다.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 모두 매일 아침 15분 동안 지속적인 책 읽기 활동을 하였으나 실험집단은 추가로 교과 연계 읽기 지도 프로그램을 병행하였다. 검사 자료 처리 결과는 Ⅳ장에서 자세히 논의 하였다. 요약하면, 첫째, 교과 연계 읽기 지도와 자유독서활동(SSR, FVR) 병행에 따른 읽기 태도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약 8주간의 진행으로는 읽기 태도를 변화 시키는데 충분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둘째, 교과 연계 읽기 지도 프로그램과 자유독서활동(SSR과 FVR) 병행 실시에 따른 전체적으로 읽기 동기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읽기 동기의 하위 요인 중 인정‧경쟁요인과 순응 요인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 외 몰두 요인, 도전‧효능 요인, 호기심 요인, 상호작용 요인, 성적 요인, 가정 문식성 환경요인, 회피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읽기 능력 평가 수준에 따른 읽기 태도에서 읽기 능력 상위 집단이 읽기 하위 집단에 비해 읽기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전수를 읽기 능력 평가 수준에 따라 상위 집단과 읽기 능력 하위 집단으로 나눠 읽기 태도 차이 분석을 한 결과 읽기 능력 상위 집단에서 읽기 태도가 하위그룹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2.424, p=0.017). 이는 읽기 태도가 좋으면 읽기 능력 점수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넷째, 읽기 능력 평가 수준에 따른 읽기 능력 상위 집단과 읽기 하위 집단의 읽기 동기 차이 분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단기보다는 장기간의 프로그램 실행 후 읽기 태도가 형성되었다. 단기 약 8주 실행 후 읽기 태도 사후 검증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던 것이 장기 약 9개월 실행 후 추후 검증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이를 전체적으로 요약하면 단기 8주의 읽기 지도 프로그램과 자유독서활동의 병행으로는 학생들의 읽기 태도와 읽기 동기에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장기 9개월의 실시 후 실시한 읽기 태도 검사에는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읽기 정의영역인 읽기 태도, 읽기 동기를 변화시키려면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지속적으로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그 외에 연구를 진행하면서 관찰로 얻은 결론을 덧붙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질문 생성 전략을 변형하여 ‘다중 질문 생성 읽기 수업모형(Jigsaw-QAA)’을 구안‧적용한 결과 읽은 글 요약하기 수업에 효과적이다. 사실적 질문, 추론적 질문, 비판적 질문을 생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협의, 협동 수업, 모둠 간 이동 문답 활동 후 학생들이 요약하기를 매우 잘 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둘째, 독서 후 여러 가지 연계활동은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추후 검사 자유기술 문항에 학생들이 독서 후 교육 연극이나 미술활동, 토의활동 등을 더 해달라는 내용을 썼다. 셋째, 읽은 책 소개하기를 위한 요약하기 과제는 학생들에게 인지적 부담을 주어 읽기 태도 형성에는 오히려 도움이 되지 않았다. 하지만 인지 능력은 발달 시켜 읽기 능력 검사에서 통제집단보다 훨씬 높은 점수를 얻기도 하였다. 넷째, 학부모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읽기 교육을 전개해 독서 교육이 사교육 경쟁을 유발하여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 학생들의 자율성 침해 등이 유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주요어 : 지속적인 읽기 활동, 자기 주도적 읽기 활동, 읽기 동기, 읽기 태도, 다중 질문 생성 읽기 수업모형 * 본 논문은 2018. 6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석사학위 논문임.

      • 초등학교 시 창작 지도 방법 연구 : 황동규 작시법을 중심으로

        이금선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시 창작 지도는 문학 영역 중에서 가르치기 어려운 영역에 속한다. 왜냐하면 ‘창작 지도’를 다른 교과 과정처럼 정확히 개념화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각기 전혀 다른 감성을 지닌 학생들에게 일괄적으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시 창작 지도는 ‘(시적) 대상에 대한 민감성과 적극적인 교섭 작용’이라는 측면이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더 크다. 본 연구는 시 창작 지도 방법에 있어 크게 두 가지 방식을 규범으로 삼았다. 우선, 학생 스스로가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한 이해와 교감, 그리고 정서적 이미지가 무엇인지 알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시의 장르적 특성 곧 시의 ‘규범적 체계’(system of norm)가 무엇인지를 알도록 하는 것이다. 이 같은 점을 고려해 본 연구는 개별 시인, 특히 황동규의 작시법을 활용해시 창작 지도 과정에 적용했다. 본 연구가 찾아낸 황동규 시의 작시법 특징은 우선 일상의 직접 체험을 중시하며 사람이 직접 체험한 것을 시 창작의 소재로 삼았다는 것이며, 다음으로 일상 언어를 주된 매체로 사용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파악한 시 창작 지도의 단계별 지도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상하기를 통한 일상의 이미지 찾기 단계에서는 제시어와 관련하여 1분 정도 생각나는 대로 단어를 많이 써 본다. 둘째, 체험의 구체화 단계에서는 제시어와 관련된 자기의 직접 체험을 생각해 보고 글로 써 보게 하되, 반드시 자기의 체험을 가급적 꾸미지 않고 진솔하게 쓰도록 한다. 셋째, 일상어의 시적 변용 단계에서는 학습자의 감정의 깊이와 폭을 조절하게 유도하여 가까운 친구나 부모님에게 이야기하는 것처럼 쓰게 한다. 초고를 쓴 후에는 자신이 다른 독자가 되어 읽어 보거나 다른 사람에게 피드백을 받아본다. 여기에서 운율, 연, 행을 구분하도록 알려준다. 넷째, 완성하기 단계에서 시에서 느껴지는 정서, 자기의 생각이 솔직하게 표현되어 있는지를 생가하면서 시를 고쳐 써본다. 지도교사는 학생들에게 항상 말을 꾸미거나 화려하게 만드는 것보다는 솔직하고 단순한 말이 더 울림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줘야 한다. 곧, 체험을 진솔하게 쓰도록 해야 한다. Poetry writing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areas in the field of literature to teach. The reason is that it is difficult to standardize teaching of a ‘creative process’ and that there is a clear limitation on how much the education can have affect on different students with different emotions. This is especially due to sensitivity to the subject matter and active interaction with it. This study takes two teaching method as norms. First is to let students themselves understand the subject matter, communicate with it, and find images related to it. Next is to understand the distinct quality of poetry as a genre, in other words, the ‘system of norm’ of poetry. The finding of this study from Poet Dong-Gyu Hwang is that he valued experience in daily lives and made it subject matter of his poem. Also, he used everyday language as the most important medium. Drawing from these findings, structured method in teaching poetry writing is as follows. First, when finding subject matter in daily lives, use free association for a minute to write as many words associated with the presented word. Second, when articulating experience, students are instructed to write about their experience related to the presented word in a way not decorative, but in a sincere and straight manner. Third, when transforming words into a poetic form, students are instructed to control depth and diversity of their emotion so that they write like they speak to close friends or family. After writing their first draft, students receive feedback from others. At this stage, students formulate rhythm, meter and stanza. Fourth, in the final process, students rewrite the poem revisiting the emotion and evaluating whether their thoughts were expressed sincerely. Instructors should let the students learn that straight and simple wording can evoke more emotions than elaborate and sophisticated counterpart. In other words, students should attempt to write in earnest. Key words : Dong-Gyu Hwang, Poetic truth, System of norm, everyday language, articulation of experience

      • 교육연극을 활용한 단계적 이야기 창작 지도방안 연구

        안시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방향과 교육현장의 모습을 검토하여 학습자가 주체적인 학습 작가가 되어 유의미한 이야기 창작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교육연극을 활용한 단계적 이야기 창작지도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는 인간이 세계를 인식하는 방식이며 개인의 삶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된다(윤세원, 2013). 이와 같은 이야기의 개방적인 특성은 이야기 창작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학습자가 만들어가는 삶도 하나의 이야기로 존재할 수 있으며 ‘지금, 여기’의 현실 맥락에 맞추어 새롭게 변화하고 창조될 수 있는 것이다(김기선, 2004). 학생들은 이야기를 감상할 때 다양한 문학적 반응을 생성하며 이를 자신의 삶의 맥락에 비추어보기도 한다. 그것이 더욱 발전되면 기존의 텍스트에 자신의 욕구를 반영하여 변형하고자한다. 자신이 읽은 작품과 관련하여 이야기를 꾸며보는 것은 인물, 주제, 플롯 등 이야기에 대한 통찰력을 신장시키며 창조적 활동을 통해 만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새롭게 창작한 작품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고 반응을 나누어 문학을 주체적으로 이해하고 능동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하지만 교육 현장에서의 이야기 창작은 작품을 읽은 뒤 일부를 변형하여 글로 쓰는 결과 중심의 창작 활동에 치우쳐 있다. ‘무엇을’ 창작의 소재로 활용하고, ‘어떻게’ 아이디어를 형상화하는지 이야기 창작 과정을 경험하지 못하여 완성된 작품이 기존 작품의 일부를 고치거나 개연성이나 인과성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학습자의 창작 욕구는 감상 중에 다양한 모습으로 드러나므로 내면에 생성된 반응을 동료 학습자와 공유하여 반성적 사고 과정을 경험하고, 이를 작품으로 형상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익혀 창작의 즐거움을 향유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감상과 창작이 순환적으로 이루어지는 단계화 된 과정 중심 창작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작품 감상에 참여하여 자연스럽게 학습 작가로서 창작의 전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둘째, 이야기 창작은 창조적 사고과정과 밀접하다. 작품을 만났을 때 떠오르는 상상을 구체화하기 위해 다양한 층위의 언어를 사용하면 보다 자유롭게 창작 욕구를 펼칠 수 있다. 교육연극은 사고, 행동, 언어가 함축된 ‘드라마’로 세계를 인식한다. 음성, 문자 및 몸의 언어를 통해 이야기 세계를 직접 체험하므로 적극적인 감상을 통해 풍부한 글쓰기 소재를 얻어 유의미한 맥락 속에 창작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상징과 은유의 언어와 사고 과정을 체험하며 서사적 상상력 신장의 기회를 얻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연극을 활용한 단계적인 이야기 창작 모형을 구안하여 초등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이야기 창작지도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논의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II장에서는 이야기의 개념과 특성을 정의하고 이야기 창작교육의 의의와 지향점을 논의하였다. 이에 이야기 창작지도 방법으로서 교육연극의 의미를 밝히고 선행 모형을 분석하여 교육연극을 활용한 단계적 이야기 창작지도 모형과 전략 및 활동을 구안하였다. III장에서는 구안한 모형에 따라 수업을 계획하고 초등학교 5학년 학습자에게 적용하여 수업 과정 및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감상 뒤에 이어지는 결과 중심의 창작활동이 아니라 자신이 체험한 교육연극 활동 중에 떠오른 아이디어를 단계적으로 이야기로 창작해봄으로써 보다 적극적으로 학습 작가를 체험하는 교육적 경험을 할 수 있었다. 둘째, 단계적 교육 연극 방법을 이야기 창작과 연계하여 적용함으로써 동료 학습자와 새로운 이야기 생성 과정을 공유하고 상호 피드백을 나누어 공동 창작을 경험할 수 있었다. 셋째, 음성, 문자 및 몸의 언어를 통해 적극적으로 이야기를 체험함으로서 작품을 깊이 있게 감상하고 이야기에 대한 이해와 표현능력의 향상을 보였다. 또한 느끼고 상상한 것을 자신의 언어로 자연스럽게 표현하여 창작 과정의 부담을 줄이고 즐거움을 느끼며 활동에 참여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학습자가 교육연극 방법을 활용하여 작품을 감상하고 내면에 생성된 다양한 창작 반응을 단계적으로 새로운 이야기로 완성하여 자연스럽게 문학 생산의 경험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실제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이야기 창작을 위한 과정중심 창작 모형과 활동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전통문화 지도방안 : 옛이야기를 중심으로

        정진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옛이야기를 활용한 과정드라마를 통해 전통문화 지도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해 과정드라마의 개념과 특징, 효과 등을 알아보았고 전통문화교육의 목표, 가치, 학교에서의 전통문화교육을 위한 전통문화의 분류방법과 영역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 이와 함께 전통문화교육에 있어 옛이야기의 가치를 알아봄으로써 지도 방안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어 전통문화의 영역에 따라 옛이야기 텍스트 4개를 선정하고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전통문화 지도 방안을 구안하여 4주간 경기도 의정부 소재 초등학교 6학년 29명의 학생들에게 수업을 실시하였다. 사전에 설문지를 통해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 정도, 관심도 등을 알아보았고, 연구 기간 동안 매차시 학생들에게 소감문을 받고, 심층 면담 및 개별 면담 등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후에 다시 사후 설문지를 통해 전통문화 인식도, 관심도, 흥미도 등의 변화를 알아보았고 학생들이 작성한 소감문, 활동 결과물, 면담 결과 등을 토대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전통문화 교육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학생들의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도와 흥미도가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전통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학생들의 전통문화에 대한 지식 습득의 정도가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전통문화교육 프로그램에 있어서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것은 직접 몸으로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줌으로써 큰 효과성이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앞으로 좀 더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전통문화 지도방안이나 전통문화의 여러 영역을 다룬 지도방안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양적으로 연구하여 그것을 입증해보이는 방안도 필요할 것이다.

      • 스마트 교육을 기반으로 한 시 창작 지도 방안 연구

        임지원 서울교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교육에 대해 알아보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시 창작 방법을 구안하여 그 결과를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시 창작 교육에 활용 가능한 스마트 교육의 개념과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스마트 교육의 특성을 살리며, 학생들의 시 창작 동기와 흥미를 키워주는 시 창작 교육 방법을 구안하고자 한다. 시 창작 교육은 7차 교육과정 이후 확대되고 있으나 이해와 수용 교육에 치중해 있었으며, 이후 2007개정교육과정 이후 문학의 생산 부분이 더욱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2014년 발행된 3~4학년군 3학년 국어교과서에는 본격적으로 시 창작 방법이 구체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시는 글쓴이의 생각이나 느낌을 운율이 있는 언어로 함축해서 표현한 글이다. 시 창작에서 스마트 교육을 적용했을 때, 시의 영상성과 음악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교육부에서는 스마트 교육 추진 전략을 발표하고 스마트 교육 패러다임을 구현해 나가고자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스마트 교육의 특성을 시 창작 교육에 반영하여 시 창작에서 다양한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이때,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스마트 교육의 특성을 발현하고자 하였다. Ⅰ장에서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다양한 시사점을 얻었다. 첫째, 시 창작과 관련된 선행 연구에서 효과가 증명된 시 창작의 일반적인 방법을 정리하고 이를 스마트 교육 기반 시 창작 교육에 적용하여 시 창작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스마트 교육은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흥미, 학습 동기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디지털 시대에 맞추어 교사들은 이미 스마트 기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교사의 전문성과 기술적 환경을 보완하여 스마트 교육의 특성과 방법을 시 창작 교육에 적용한다면 시 창작 교육에서도 성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토대로 Ⅱ장에서는 디지털 시대 스마트 교육에 대해 알아보고,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시 창작 교육 적용 전략 및 방안을 구안하였다. 스마트 교육에 대한 다양한 정의들과 특성을 통해 본 논고에서는 스마트 교육을 “스마트 기기 등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학습자에게 맞는 다양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 하는 교육 체제”로 정의하였다. 이후 스마트 교육의 특성에 대한 여러 관점들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1)의 스마트 교육 도구 분류인 4C요소(사고, 창작, 소통, 협업)를 적용하여 스마트 교육의 특성에 따른 시 창작 지도 전략을 도출하였다. 도출한 전략들은 시 창작 지도 모형에 맞추어 시 창작 지도 단계별 사용 가능 전략과 활동을 산출했다. Ⅲ장에서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시 창작 방안의 구체적인 지도 계획과 적용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스마트 교육을 기반으로 한 시 창작 방법의 적용을 통해 학생들의 시 창작 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었다. 시 창작 동기요인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 결과 스마트 교육을 기반으로 한 시 창작 방법 적용 시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의 각 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둘째, 시 창작의 생활화를 이루어 자신의 생활에서 시 창작의 다양한 소재를 찾을 수 있었다. 스마트 기기를 사용함으로써 학교를 벗어나 학생들의 실생활에서 소재를 가져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시 창작 소재의 다양화가 가능해졌으며, 학생들의 생활에 밀접한 시를 창작할 수 있었다. 셋째, 교사가 시 창작 소재를 제시했을 때 그에 대한 자료 조사를 통해 소재를 관찰하고 구체화하여 자세한 묘사를 할 수 있었다. 은유와 직유와 같은 비유적 표현과 청각적, 시각적 표현과 같은 감각적 표현의 사용이 늘어나 학생들의 시를 감상하며 한 폭의 이미지를 그릴 수 있게 되었다. 넷째,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면서 학생 간 협업을 도모할 수 있었다. 서로의 생각을 나누어 생각의 깊이와 폭을 넓힐 수 있었고, 협동하여 한 편의 시 그림책을 완성하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 SNS(Social Network Services)에 자신의 작품을 게시하고 서로의 생각과 조언을 남길 수 있었으며, 다른 친구들의 조언을 통해 시를 고쳐 쓸 수 있었다. 교사 역시 빠르고 효율적인 피드백이 가능하여 더 많은 학생들이 교사의 지도 조언을 받을 수 있었다. 다섯째, 다양한 방식의 출판 경험을 누릴 수 있었다. SNS에 자신의 완성된 작품을 게시하는 새로운 형태의 출판 경험을 통해 만족감을 느낄 수 있었다. 작품의 영상 출판을 통해 시각성과 청각성을 높임으로써 시에서의 운율과 느낌, 시 속의 감각적 이미지를 살릴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스마트 교육을 기반으로 시 창작 지도를 할 경우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결과가 있음을 도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스마트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학교에 기기 보급과 같은 스마트 교육을 위한 환경 구성이 필요하며 다양한 소프트웨어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가 특정 지역과 학년에 제한되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 연구 대상 및 지역의 범위를 확대하여 적용해 보아야 할 것을 제언한다.

      • 동화 원작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 지도 방안 연구

        강민경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학습자의 문학 작품 수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상 및 표현 욕구를 의미 있는 형태로 조직하여 서사를 창작하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물의 삶을 구상하는 방법으로서 서사 확장에 주목하였고, 동화 원작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 지도 방안을 설계하고 이를 실제 적용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첫째, '동화 원작 확장'의 개념과 유형 및 의의를 밝히고, 둘째, 동화 원작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 지도 모형을 탐색하며, 셋째, 지도 모형에 따라 지도를 계획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다. 동화 원작 확장은 동화 작품을 읽고 원작의 등장인물이나 설정을 가져와 전편, 속편, 외편 등의 형태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창작 주체는 캐릭터를 기반으로 동화 작품을 이해하면서 인물과 인물의 삶에 대해 고찰한다. 또 원작으로부터 메타이야기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새로운 세계를 구현해내는 경험을 하게 된다. 이러한 동화 원작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은 문학적 상상력의 제고, 문학 생산주체로서의 경험, 궁극적으로는 인간 이해 및 세계 인식의 확대를 돕는다. 동화 원작 확장에서 '캐릭터'는 확장의 중추 기제로 작용한다. 동화 원작 확장의 유형은 '후속 이야기', '선행 이야기', '파생 이야기', '교차 이야기'의 네 가지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동화 원작을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의 지도 모형을 설계하였다. 일반적인 작문 및 서사 창작 흐름을 따라 '작품 세계 인식', '가능 세계 탐색', '허구 세계 구체화'의 순서로 전개된다. 작품 세계 인식은 기존 작품의 세계관을 수용하는 단계로, 작품 내용 이해, 인물 분석, 캐릭터 중심의 사건 재인식의 과정을 거친다. 가능 세계 탐색은 창조하고 싶은 세계를 상상하여 구상하는 단계로, 메타이야기적 상상을 펼치고 원작에서 변형 혹은 유지할 요소를 선택한다. 허구 세계 구체화는 이를 언어로 텍스트화하는 단계이며, 스토리 구상, 주제 설정, 플롯 짜기, 초고 쓰기 및 고쳐 쓰기, 작품 교류를 포함한다. 이러한 논의에 기반하여 동화 원작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 지도의 목표를 설정하고 지도 과정을 구체화하였다. 동화 원작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 지도의 목표는 지도의 방향과 내용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작품 내용 파악 및 인물 분석을 통한 작품 세계 인지', '메타이야기적 상상을 통한 세계 구현', '창조할 세계의 텍스트화'로 설정하였다. 지도 과정을 상세화하여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였다. 서울시 송파구 소재 G 초등학교 5학년 1개 학급의 19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사전・사후 검사 각 1차시와 「종이 봉지 공주」를 제재로 6차시, 「떠버리 루이스」를 제재로 10차시, 총 18차시(2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이후 본 지도 방안이 서사 창작에 가져오는 유의미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설문지, 학생활동지 및 작품, 학생 소감문, 교사의 수업관찰일지의 질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동화 원작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 지도 방안을 실제 적용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 원작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 지도 방안은 학습자의 인간 이해 및 세계 인식의 심화, 문학 상상력의 제고, 서사의 인과성 인식 및 확보에 기여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서사 창작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고 선호도를 높였다. 셋째, 기존의 방식과는 차별화된 서사 창작 방식으로 학습자의 상상 및 표현 욕구를 충족시켜주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동화 원작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 지도 방안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서사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이 연구는 동화 원작 확장 방식이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주도적으로 창작에 임할 수 있도록 하며, 학습자의 서사능력 향상의 한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consciousness that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imagination and expression needs that occur in learner’s accepting literatu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 focused on the expansion of narrative as a way of conceiving the life of a person. I designed a method of teaching narrative writing through expansion of fairy tales and I actually did it applied. The concrete conten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o reveal the concept, type and significance of ‘expansion of fairy tales’, Second, to explore a narrative writing teaching model through Expansion of Fairy Tales, Third, to plan teaching according the teaching model and to analyze the results. The expansion of fairy tales means to read fairy tales and to bring a character and setting of the original and to make a new story in the form of prequel, sequel and spin-off. The creative subject considers the life of characters and characters while understanding fairy tales based on characters. In addition, They will experience the experience of realizing new world by exercising meta story imagination from original work. The writing of narrative through the expansion of fairy tales helps to enhance literary imagination, experience as a subject of literary production, ultimately to expand human understanding and global awareness. In the expansion of the original stories, 'character' acts as a central mechanism of expansion. The type of expansion of fairy tales was set to four kinds: 'sequel story', 'prequel story', 'spin-off story', and 'crossover story'. Therefore, I designed a teaching model of narrative writing by expanding the original story. Following the flow of general writing and narrative writing, it is developed in the order of 'Perception of work world', 'Exploration of possible world', and 'fictitious world realization'. The perception of the work world is the stage of accepting the world view of the existing work, and it goes through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he work, analyzing the character, and re-recognizing the character-oriented event. The exploration of possible world is the stage of conceiving and imagining the world that students want to create, spreading the meta - narrative imagination and choosing the element to transform or maintain in the original story. The fictitious world realization is a step of textizing it into language, and it includes story design, theme setting, plotting, super high writing and rewriting, and art exchange. Based on these discussions, I set goals for narrative writing teaching through expansion of fairy tales and embodied the teaching process. The goal of narrative creative teaching through the expansion of fairy tales is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the teaching, to 'Grasp the content of the story and acknowledgment of the story world through the character analysis', 'realize the world through meta storytelling', ‘Text of the world to create’. The teacning process was detailed and applied to actual education fiel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 students from one class in G elementary school in Songpa-gu, Seoul. The pre-test was carried out for each of the 18 times (2 sessions) in 6 times with 「The paper bag princess」 and 10 times 「Loudmouth lou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eaningful change of the instructional method, I analyzed the pre and post questionnaires, student activities and works, student’s review, and the qualitative data of teacher’s observation log. The results of applying and analyzing the method of narrative writing teaching through the expansion of fairy tales are as follows. First, the method of teaching narrative writing through the expansion of fairy tales contributed to the learner's deepening of human understanding and world recognition, the enhancement of literary imagination, and recognition and securing causality of narrative. Second, it improved the negative perception of the learner's narrative writing and increased the preference. Third, it has satisfied the learner's imagination and expression needs through the method of narrative writing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dea of narrative writing teaching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original stor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narrative ability of the fif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ethod of expanding of fairy tales can be a means of improving the narrative ability of the learner by being led by the learner as the subject.

      •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시 창작 지도의 효과

        박은아 서울교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인성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학생들의 인성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우선 자기 자신을 성찰하고 스스로를 사랑하는 자아존중 또한 중요하게 다뤄져야만 한다. 자기 자신을 사랑해야 타인을 사랑할 수 있으며 타인에 대한 배려의 범위도 넓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자아존중감이 올바른 인성 함양과 대인관계 발달 및 공감, 배려 능력을 발달시킨다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어 자아존중감이 인성교육에 필요하다는 점을 뒷받침한다. 그러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적인 접근은 부족하다. 학교 교육에서 인성교육을 강조하지만 인성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는 자아존중감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적 활동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신의 경험과 감정을 표출하고 이를 수긍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자신의 감정을 창작으로 표출함으로써 자아존중감이 높아질 수 있을 거라 판단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에게 적용할 수 있는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시 창작 지도 모형과 활동을 고안하여 이를 적용함으로써 이러한 활동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Ⅱ장에서는 자아존중감의 개념을 밝히기 위해 그동안 연구되었던 자아존중감의 개념과 특성에 대한 탐구를 시작하였다. 앞선 연구들을 통하여 자아존중감이 어떠한 개념이고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지를 분석하여 자아존중감을 향상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시 창작과 자아존중이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연구하여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시 창작 교육이 이론적으로 타당성을 갖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토대로 시 창작 경험과 국어과의 인성교육 영역이 자아존중감의 개념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다음으로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 창작 지도 모형을 구안하였다. 시 창작과 관련한 다양한 지도 모형을 살펴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시 창작 지도 모형을 수정 및 보안하였으며 자아존중감의 개념과 특성에 맞도록 시 창작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제시하도록 하였다. Ⅲ장에서는 이를 수업으로 실제 진행하였다. 서울특별시 M초등학교의 4학년 학생 9명과 5학년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자아존중감 사전 검사를 진행하였으며 그 후 학생들에게 2015년 3월부터 12월까지 총 16차시에 걸쳐 시 창작 지도를 한 차시 당 40분의 수업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본 연구의 연구자가 아닌 초등 교육 전문가 2인이 각각 4학년, 5학년의 연구대상에게 수업을 진행하였다. 시 창작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16차시의 수업이 끝난 뒤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시 창작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어 양적 분석 결과를 보안하기 위해 질적 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양적 연구로 대응 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사용하여 자아존중감 향상정도를 분석하였다. 질적 연구로는 시 창작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동안 학습자들이 보여준 심리적 변화 및 시 창작 결과물과 감상 소감문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Ⅳ장에서 논의하는 본 연구의 결론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시 창작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사전과 사후에 실시한 자아존중감 검사를 양적 분석하여 이를 확인하였다. 둘째,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시 창작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생각과 감정을 시로 표현하는데 도움을 준다. 학습자의 시 창작 과정에서 드러난 감상과 생각을 분석하여 이를 확인하였다. 셋째,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시 창작 프로그램은 시에 대한 두려움과 부담감을 낮춰주며 시 창작에 즐거움과 재미를 느끼게 한다. 시 창작에 대한 선호 및 흥미 검사 결과를 통해 이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본 연구에서 밝혀진 사실을 토대로 앞으로 실제 학교 수업 현장 속에서 시 창작 활동을 통해 많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오길 기대한다.

      • 교육연극을 활용한 독서교육 방안 연구 - 독후활동을 중심으로

        이선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rogram focusing on the reading activities through educational drama and to investigate how this affects reading attitudes and reading abilities of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e questions of inquiry se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does the program of the reading activities through educational drama affect reading attitudes of students? Second, How does the program of the reading activities through educational drama affect reading abilities of students? To resolve these questions, the learning models focusing on the reading activities through educational drama were investigated and the teaching plans for the reading activities were designed. Based on them, sixth graders in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Mapo, Seoul city, the researcher is in charge of, were taken 10 periods of class for 8 weeks. In order to verify how the program of reading activities through educational drama affect attitudes and abilities of students in reading, pre and post 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Also, after paired sample t test using the i-STATistics was performed, the quantitative results were analyzed. In order to verify how the program of reading activities through educational drama affect attitudes of students in reading, “the tool for the reading attitude of th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developed by Mckenna and Kear, translated into Korean and validated the reliability by Yoon Junchae(2007), modified by Gwak Misook(2015) was re-modified and used. Also to verify how the program of reading activities through educational drama affect reading abilities of students, “standardized reading tests for sixth graders” developed by Cheon Gyeongrok(2006), which focused on measuring vocabulary and reading comprehension were used. In addition, in order to supplement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eachers’ journal, students’ study materials, outcomes of activities and students’ reports. The results of conducted research in relation to research questions and previous research issue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of reading activities through educational drama significantly influences on forming positive reading attitude of students(p <0.001). In addition, significant changes were seen in attitude derived from not only reading for pleasure but also reading for learning(p <0.001). Second, the program of reading activities through educational drama gives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reading abilities(p <0.01). The relevant influence of the program in area of inference skill (p <0.05) and literal skill (p <0.01) which are sub-elements of reading ability has been verified, but in area of the evaluation and appreciation, and vocabulary has not been verified. However, as results of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se two area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Third, the program of reading activities through educational drama acted as a catalyst to induce cooperative self-directed learning with each other to encourage learning and growing together. Also, it presented new possibilities of reading education in various reading communities as well as in schools.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gram of reading activities through educational drama significantly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reading attitudes and abilities. Based on this study, through educational drama, further researches will be needed on a wide range of reading education programs for a variety of ages and levels of learners. 이 연구는 교육연극을 활용한 독후활동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6학년생들의 독서태도와 독서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연극을 활용한 독후활동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독서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교육연극을 활용한 독후활동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독서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교육연극을 활용한 독후활동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고 독후활동 수업을 설계해 서울시 마포구에 소재한 S초등학교 6학년 학생 중 연구자가 담임을 맡고 있는 학급 학생들에게 8주간 10차시에 걸쳐 수업을 실시하였다. 교육연극을 활용한 독후활동 프로그램이 독서태도와 독서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i-STATistics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한 후 양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독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Mckenna와 Kear이 개발한 '초등학교 독서태도 검사 도구'를 한국판으로 번안 후 윤준채(2007)가 신뢰도를 검증한 검사 도구를 곽미숙(2015)이 수정한 검사지를 재수정하여 활용하였다. 그리고 독서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어휘력과 독해력 측정을 중심으로 구성된 천경록(2006)이 개발한 6학년용 독서능력 표준화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양적 결과 분석의 보완을 위해 교사의 수업일지, 학생들의 학습지, 활동 결과물 및 소감문을 활용한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육연극을 활용한 독후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연구한 결과를 연구 문제 및 선행연구와 관련지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연극을 활용한 독후활동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긍정적인 독서태도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p<0.001). 또한 독서태도의 세부 요소인 즐거움(학습 이외)을 위한 독서활동 태도와 학습을 위한 독서활동 태도에서 모두 유의미한 변화가 도출되었다(p<0.001). 둘째, 교육연극을 활용한 독후활동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독서능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p<0.01). 독서능력의 하위 요소인 추론(p<0.05)과 내용 확인(p<0.01)영역에서 프로그램의 유의미한 영향력이 양적으로 검증되었으나, 평가 및 감상과 낱말 이해 영역에서는 검증되지 못했다. 그러나 그 두 영역을 질적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교육연극을 활용한 독후활동 프로그램은 학생들끼리 서로 배움과 성장을 장려하고 주도하는 협력적 자기 주도 학습을 유도하는 촉매제로 작용하였으며 학교 현장은 물론 다양한 형태의 독서 공동체의 독서교육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교육연극을 활용한 독후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독서태도와 독서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교육연극을 활용하여 다양한 연령과 수준의 학습자를 지도하는 넓은 범위의 독서교육 프로그램 구안에 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 환상 동화 지도 방법 연구

        박소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의 목적은 환상동화의 교육적 가치에 주목하여 문학적 상상력 신장, 자아실현의 기회 제공, 현실 인식의 가치를 내면화하기 위한 효과적인 지도방법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환상동화의 가치를 밝히고 문학 교육적인 필요성을 제고하였으며 시대의 흐름, 아이들의 흥미 등의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교육 과정 상에서의 필요성을 재인식 하도록 하였다. 또한 연구의 대상인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적합한 환상동화를 선정하고 효과적인 지도 방안을 모색하여 환상동화의 이해부터 시작하여 문학 교육적 가치를 내면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환상동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가치들의 내면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교수·학습 전략과 활동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내용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먼저 환상동화의 개념과 범위,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여 이는 다양한 논의가 있어 왔던 환상동화의 범위를 한정한다. 환상동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문학적 가치를 세 가지 도출하였다. 그 후 기준을 세워 적합한 환상동화를 세 가지 선정한 후 효과적인 지도 방법을 모색하였다. 지도의 실제에서는 계발한 지도 방법을 학습자들에게 적용하여 아동들이 환상동화를 올바르게 읽어보고 이를 통해 상상력 증진, 현실 인식, 자아실현을 체험하도록 하였다. 수업 적용 결과 환상동화 수업이 위에 제시한 세 가지 가치를 획득하는 데 효과가 있음이 드러났다. 또한 환상동화가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효과적인 문학 교육을 위한 방법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상동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꾀할 수 있었다. 그동안 저평가 되었던 환상동화의 위상을 밝히고 가치를 재인식하도록 할 수 있었다. 둘째, 환상동화를 함께 읽으며 구조와 내재된 가치 파악, 작품과 작품을 연결해보는 등의 과정을 강조하여 환상동화의 감상과 수용의 측면을 간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었다. 셋째, 개작과 모작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의 문학적 상상력을 신장시킬 수 있었다. 환상 요소와 바꿀 장면 모두 학습자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자율권을 바탕으로 마음껏 상상해볼 수 있기 때문에 문학적 상상력을 향상시킬 가능성이 크다. 넷째, 주인공이 되어 자신의 소망을 실현시켜보면서 자아실현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었다. 주인공이 되어보기는 다른 서사를 통해서도 이룰 수 있지만 소망 실현이라는 구체적인 지시를 통해 학습자는 자아를 실현하는 데 한 발짝 더 다가갈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작가의 문제의식 또는 생각이 담긴 작품을 읽으면서 환상의 세계가 단지 허구적 세계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현실을 반영함을 깨닫고 이를 통해 현실을 재인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초등학교 교육에서 소홀히 다루어진 환상동화의 가치를 밝히고 실제 교수·학습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계발하였다. 환상동화 지도 단계에 맞춰 실제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활동을 제안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 the teaching methods of Children’s fantasy. Using the methods, students can enhance literary imagination, get the opportunities of self-realization, improve realistic recogn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I clarify the value of fantasy fairy tales. And I consider many elements like chronological change, interests etc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fantasy fairy tales in the curriculum. Also I select the fantasy fairy tales for the 3rd grade students and find the teaching-learning contents and methods to internalize three literary values. What has been discussed in the present study to achieve the aforementioned purpose is summarized as follows. Chapter 2 deals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s definition, scope, types and characteristic of the fantasy fairy tales.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scope because of the various discussions. Also I select 3 literary values; literary imagination, the opportunities of self-realization, realistic recognition through the fantasy fairy tales. Furthermore, Chapter 3 examines learning standards and textbooks based on 2009 Revised Korean Curriculum to analyzes the actual status of fantasy education. In addition, I select 3 children’s fantasy based on the appropriate criterion and proposed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ey were applied to 3r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ir results are given. As a result a class using fantasy teaching-learning methods can arouse literary imagination, emotion, realistic recognition and get the opportunities of self-realization. Also, Fantasy fairy tales can arouse students interests and methods are effective. The implications drawn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in Chapter 5. First, The recognition of fantasy fairy tales has been changed. In the meantime, it has been undervalued. So I revealed the status of the fantasy fairy tales and also learners have a new understanding of it. Second, Learners can improve their literal imagination through adaptation or imitation of the works. They can select the fantastic elements. After that, they can change the part or the entire of the fantastic elements. Through those works they can get the opportunity of improve their literal imagination. Third, Learners can get the opportunities of self-realization through the works called become a main character. Though self-realization is the effect which many kinds of literature can arouse, but learners focus on the desire that has to be achieved. It goes on step better. At last, Learners not only recognize that fantastic world reflects the real world, but also understand the real world. Authors imply their critical minds or thinking in their works. Learners and authors can share the common ideas about the world, so learners improve their awareness of the real world. The present study clarifies the value of the fantasy tales and develop the method to apply to the teaching-learning conditions.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s the work focused on the stage that can utilize to the elementary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