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재확인 추구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불안 및 강박 증상에 미치는 영향 : 단기종단연구

        김보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선행연구에 따르면 과도한 재확인 추구는 불안 및 강박장애의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확인 추구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변화량이 불안 및 강박 증상을 효과적으로 예측 할 수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국내 대학(원)에 재학 중인 217명이 1차 측정에 참여하였으며, 2차 측정에는 총 139명이 참여하였다. 참여자들은 재확인 추구 척도, 지각된 사회적 지지 척도, 상태-특성 불안검사 Y형, 통합적 한국판 CES-D 척도, 한국어판 단축형 강박 증상 목록을 실시하였으며, 이는 4~6주 간격을 두고 2회에 걸쳐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재확인 추구, 그리고 재확인 추구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항은 시점 2의 불안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량을 나타냈으며,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시점 2의 불안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 가까운 설명량을 나타냈다. 또한 재확인 추구는 시점 2의 강박 증상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한 반면, 지각된 사회적지지, 그리고 재확인 추구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항은 시점 2의 강박 증상을 유의하게 설명하지 못했다. 연구 결과는 재확인 추구가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보호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reassurance seeking is a major variable influencing anxiety and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interaction between reassurance seeking and changes in perceived social support predict the development of anxiety and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39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The procedure involved a first assessment in which reassurance seeking, perceived social support, anxiety, and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were assessed. A follow-up assessment was also conducted four to six weeks later, in which reassurance seeking, perceived social support, anxiety, and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were reassess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reassurance seeking interacted with changes in perceived social support to predict anxiety symptoms. Furthermore, the interaction of reassurance seeking and changes in perceived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predicted anxiety symptoms but not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for reassurance seeking of anxious individuals are discussed.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불안 및 우울의 관계 : 불확실성의 정서가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최솔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한 상황이 내포한 정서가(valence)에 따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과 불안의 공통 요인, 불안 특정 요인, 우울 특정 요인간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성인 36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우울과 불안의 공통 요인과 개별 요인을 함께 측정하기 위해 기분 및 불안 증상 질문지(MASQ)가 사용되었으며, 내포된 정서가(긍정/부정)에 차이가 있는 두 가지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을 측정하기 위해 정서가가 다른 두 가지 시나리오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상황형 척도(IUS-SS)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과 불안의 공통 요인, 불안 특정 요인, 우울 특정 요인, 상황의 정서가에 따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우울과 불안의 공통 요인인 일반적 고통은 상황이 내포한 정서가와 무관하게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으로 불확실한 상황 모두에 대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을 설명하였다. 셋째, 불안 특정 요인과 우울 특정 요인 모두 공통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부정적인 정서가를 내포한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을 추가적으로 설명하였다. 넷째, 긍정적인 정서가를 내포한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에 대해서는 공통 요인을 통제한 이후, 우울 특정 요인만이 추가적인 설명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임상적 시사점과 한계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anxiety and depression focused on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valance of uncertain situations. A total of 361 adults completed a series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We used Mood and Anxiety Symptoms Questionnaire (MASQ) to measure both common and specific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Also, we used Scenarios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Situation Specific to measure Intolerance of Uncertainty (IU) of two uncertain situation that have valence differences.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a common factor of depression and anxiety, a depression-specific factor, and an anxiety-specific factor. Second, both anxiety-specific factor and depression-specific factors continued to explain variance in IU of situation that has negative valence when controlling for the common factor of anxiety and depression. Third, only the depression-specific factor continued to explain variance in IU of situation that has positive valence when controlling for the common factor of anxiety and depression.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사회불안과 우울 : 행동 활성화 체계와 인지적 재평가의 조절된 조절효과

        강진원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과 우울의 공존기제에 대해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생물학적 기제인 행동 활성화 체계와 정서 조절 방략 중 한가지인 인지적 재평가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사회불안, 행동 활성화 체계, 인지적 재평가가 상호작용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온라인으로 표집한 359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공포척도(SPS),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척도(SIAS), 행동 억제 체계/행동 활성화 체계 척도(BIS/BAS Scale), 정서 조절 질문지(ERQ), 한국판 역학연구 센터 우울척도(CES-D)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조절된 조절 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불안, 행동 활성화 체계, 인지적 재평가 사이에 삼원 상호작용이 유의했다. 구체적으로, 인지적 재평가가 높고 행동 활성화 체계 수준이 높으면 사회불안이 높을수록 우울을 덜 경험하였다. 반대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인지적 재평가가 낮고 행동 활성화 체계가 높으면 사회불안이 높을수록 우울을 더 경험하는 경향성이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사회불안이 우울을 경험하게 되는 보호 및 위험요인이 조건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임상적 의의와 한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existence mechanism of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cognitive reappraisal (CR) and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AS) in contributing to depression. Specifically, the three-way interaction between social anxiety, BAS, and CR was tested. For this purpose, 359 people who were sampled online, were subjected to the Social Phobia Scale (SPS),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SIAS), BiS/BAS scal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ERQ), an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The hypothesis was tested by using PROCESS macro for moderated modera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hree-way interaction between social anxiety, BAS and CR was significant. Specifically, the higher the CR and the higher the level of the BAS, the less depression was experienced by persons with high social anxiety. On the contrary, al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tendency to experience more depression was found in persons with high social anxiety when CR was low and BAS was high.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tection and risk factors that make persons with social anxiety experience depression can change according to the condi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clinical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공적 자의식과 신체이형 증상의 관계 : 외모 거부민감성과 신체상 심리적 경직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박지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에서는 공적 자의식과 신체이형 증상의 관계에서 외모 거부민감성과 신체상 심리적 경직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찰자의 시선으로 자신을 바라보는 공적 자의식 수준이 신체이형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외모 거부민감성과 신체상 심리적 경직성이 인과관계의 형태로 작용하는지 확인하였다. 경로 확인을 위해 성인 352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의 측정에는 공적 자의식 척도(PSCS), 외모 거부민감성 척도(Appearance-RS), 한국판 신체상 관련 심리적 경직성 척도(K-BIPIS), 신체상 염려 척도(BICI)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변인 간 관계를 밝히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PROCESS macro Model 6를 활용하여 순차적 이중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적 자의식, 외모 거부민감성, 신체상 심리적 경직성, 신체이형 증상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 관계였다. 둘째, 공적 자의식과 신체이형 증상의 관계에서 외모 거부민감성과 신체상 심리적 경직성이 완전 순차이중매개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임상적 의의와 한계점 및 후속연구의 방향성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act of public self-consciousness on body dysmorphic symptoms, taking the potential mediation of appearance-based rejection sensitivity and body image psychological inflexibility into consideration. Self-reported survey responses of 352 adults are collected and analyzed. To measure the variables, the PSCS (Public Self-Consciousness Scale), Appearance-RS (Appearance-Based Rejection Sensitivity), K-BIPIS (Korean version of the Body Image Psychological Inflexibility), and BICI (Body Image Concern Inventory) are included in the survey.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the major variables are reported to understand their potential associations. To analyze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s, SPSS PROCESS macro Model 6 is us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SCS, Appearance-RS, K-BIPIS, and BICI variables are all significantly correlated in a positive direction. Second,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s of the Appearance-RS and K-BIPIS variables on PSCS and BICI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veral clinical implications, some research limitations and fruitful agenda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 중년 성인의 분리 : 개별화, 자기분화, 자기초월 관련성

        박정숙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ssociations among separation-individuation, differentiation of self, self-transcendence and to explore whether differentiation of self mediates the relations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self-transcendence. In order to do so, 350 middle-aged adults between 40 and 64 participated by completing the Separation-Individuation Scale(SIS), the Korean Self-Differentiation Inventory(KSDI), and the Transcendental Self Scale(TSS). Furthermore, correlations and a pass model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selected variables. As a result, firstly, separation-individu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ree subscales of KSDI and self-transcendence. Secondly, separation-individuat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three subscales of KSDI and self-transcendence. And only one subscale of KSDI: intrapsychic division had positive effect on self-transcendence. Thirdly, only one subscale of KSDI: intrapsychic divi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self-transcendenc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two subscales of KSDI: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vision and emotional fusion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self-transcendenc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분리-개별화, 자기분화 및 자기초월이 어떤 관계를 나타내는지 살펴보고, 분리-개별화와 자기초월과의 관계를 자기분화가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40세~만64세 성인 350명을 대상으로 분리-개별화, 자기초월, 자기분화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심리내적차원, 대인관계차원, 정서적 융합을 측정하였으며, 상관관계와 경로분석을 통해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리-개별화는 자기분화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심리내적차원, 대인관계차원, 정서적 융합 그리고 자기초월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분리-개별화는 자기분화의 세 하위요인과 자기초월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또 자기분화의 하위요인인 심리내적차원은 자기초월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반면 대인관계차원과 정서적 융합은 자기초월에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분리-개별화가 자기초월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자기분화의 하위요인 중 심리내적차원만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반면 자기분화의 하위요인 중 대인관계차원과 정서적 융합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사회불안과 우울의 관계 : 자기은폐와 자기-타인 표상 차이의 조절된 매개효과

        강초롱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에서 우울로의 공병 경로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두 관계를 설명해줄 수 있는 변인을 통해 두 장애의 관계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자기은폐와 자기-타인 표상 차이가 사회불안과 우울의 관계에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도 소재의 대학생 311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상호작용 척도(SIAS), 사회공포증 척도(SPS), 우울증 척도(CES-D), 자기은폐 척도(SCS), 사회적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설문지(RSBQ)를 이용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불안과 우울, 자기은폐는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자기-타인 표상 차이는 나머지 세 변인과 각각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특히 대상의 행동 양식에 따라 자기은폐와의 관계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불안은 자기은폐를 매개로 하여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불안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은폐와 자기-타인 표상 차이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자기은폐는 사회불안과 우울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동시에 자기-타인 표상차이와 상호작용하여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verify the path from social anxiety to comorbid depression and examined whether self-concealment and the discrepancy between self and other representation modera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311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about Social anxiety Interaction Scale(SIAS), Social Phobia Scale(SPS),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Self-Concealment Scale(SCS) and Reactions Social Behavior Questionnaire(RSBQ).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social anxiety, depression, and self-concealment was found. Secondly, the discrepancy between self and other represent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anxiety, depression, and self-concealment. Especially, the relation between self-concealment and discrepancy between self and other representation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behavior of object. Moreover, self-concealment mediates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Also, discrepancy between self and other representation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alment and depression. In other words, self-concealment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simultaneously, self-concealment has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interacted with discrepancy between self and other representation.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가톨릭 신자의 종교성향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종교의 긍정적 대처의 매개효과와 의도적 반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창희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가톨릭 신자의 종교성향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 둘의 관계에서 종교적 대처 변인의 매개효과와 의도적 반추 변인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충북 지역에 거주하는 18세 이상의 성인 남녀 가톨릭 신자 308명을 대상으로 종교성향, 종교적 대처, 반추, 외상 후 성장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재적 종교성향, 종교의 긍정적 대처, 의도적 반추, 외상 후 성장 사이는 서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내재적 종교의 긍정적 대처는 내재적 종교성향과 외상 후 성장 사이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재적 종교성향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종교의 긍정적 대처가 매개하는 모형에서 의도적 반추는 종교의 긍정적 대처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조절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종교의 긍정적 대처와 의도적 반추는 상호 독립적으로 그리고 상호작용을 통해서 외상 후 성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인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내재적 종교성향이 종교의 긍정적 대처에 영향 관계를 가지고, 종교의 긍정적 대처는 또 다시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 내재적 종교성향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종교의 긍정적 대처의 수준이 낮을 때 의도적 반추를 높여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과 반대로 종교의 긍정적 대처의 수준이 높다면 의도적 반추의 수준을 높이지 않아도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통해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를 다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ligious orientation on post-traumatic growth and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religious coping variabl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variables during the process. For this, 308 male and female Catholics aged over 18 living in Seoul and Chungbuk were recruited to evaluate religious orientation, religious coping,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For analysis of data from the 308 research subjects, programs of official social statistics - SPSS 22.0 and SPSS Process macro - were employed. To explor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ir data, frequency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re conducted before calculating Cronbach's α,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among major variables. SPSS Macro model 4 and 14 were use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and Hayes’ bootstrap was utilized to analyze the effe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mmanent religious orientation, positive religious coping,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all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immanent positive religious coping was revealed to hav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mmanent religious orient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This means that immanent religious orientation affects positive religious coping, acting as a factor that influences post-traumatic growth. Third, deliberate rumination played a controll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religious coping and post-traumatic growth in the model where positive religious coping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mmanent religious orient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That is, low-level positive religious coping can increase deliberate rumination and have an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At the same time, it also means that with high-level positive religious coping, it is not necessary to increase the level of deliberate rumination to have an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In conclusion, positive religious coping and deliberate rumination are variables that can affect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mutual independence and interaction. Lastly, the implications on post-traumatic growth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 거부민감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로 조절된 외로움의 매개효과

        임효정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거부민감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외로움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하고, 이 경로에서 자기자비가 외로움과 우울의 관계에 작용하여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원)생 392명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 척도(RSQ), 한국판 UCLA 외로움 척도(RULS),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 척도(CES-D),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K-SCS)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거부민감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외로움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여, 거부민감성은 외로움을 매개하여 우울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로움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여, 자기자비가 높을수록 외로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한 결과를 통합한 거부민감성과 우울 사이를 외로움이 매개하는 경로에서 자기자비가 외로움과 우울 사이를 조절하는지 확인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거부민감성이 외로움을 거쳐 우울로 가는 경로에서 자기자비가 보호요인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시사점 및 한계, 후속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We sought to examine the role of loneliness and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on. A total of 392 undergraduates and master students completed self-report measures that included the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RSQ),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RULS),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and Korean Self Compassion Scale(K-SCS). This study analyzed by using SPSS PROCESS macro. Results suggest that (1) loneli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on, (2) self-compass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depression, (3) the indirect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depression via the mediation of loneliness may depending on the level of self-compassion. The findings highlight the role of loneliness in accounting for the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on depression and self-compassion as a protective facto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lin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the direction of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자기애 성향과 얼굴표정 정서인식 : 신호탐지이론의 적용

        안길성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자기애의 하위유형인 자기애적 웅대성과 자기애적 취약성 수준에 따라 얼굴표정 정서인식 양상이 달리 나타나는 지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99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병리적 자기애 척도(PNI)와 얼굴표정 정서인식 과제를 실시했다. 신호탐지이론을 적용해 자기애 성향과 공포, 분노, 슬픔, 역겨움, 행복 정서지각의 민감도와 반응편향을 측정하고 척도 점수와의 상관을 분석했다. 그 결과, 자기애적 웅대성과 취약성 모두 얼굴표정에서 부정정서를 인식하는 민감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연구결과는 부정정서 얼굴표정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경향이 두 하위유형의 공통분모를 이루는 자기애적 특권의식과 공감결여에서 비롯됨을 시사한다. 스펙트럼 모형과 자기조절 모형의 관점에서 자기애의 이해와 치료에 유용한 본 연구의 함의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의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two phenotypes of narcissism─narcissistic grandiosity and narcissistic vulnerability exhibit a differential tendency of facial emotion recognition. Using PNI(Pathological Narcissism Inventory) and facial emotion recognition task, we evaluated hypotheses in 99 adult participants. In a facial emotion recognition task, we measured perceptual sensitivity and response bias to fearful, angry, sad, disgusting and happy faces using signal detection theory. The correlation between narcissistic phenotypes and measures of facial emotion recognition was analysed. Results indicated that both narcissistic grandiosity and narcissistic vulnerability were associated with lower perceptual sensitivity to negative emotional faces. This finding suggests that lower sensitivity to negative faces reflect narcissistic entitlement and lack of empathy, which are shared features of narcissistic phenotypes. The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s well as clin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narcissism spectrum model and self regulatory theory.

      • 완벽주의가 신체이형장애 성향에 미치는 영향 : 고통 감내력과 반추의 조절된 매개효과

        신윤경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완벽주의적 성향이 신체이형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영향을 고통 감내력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완벽주의적 성향이 고통 감내력을 매개로 신체이형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반추적 경향성이 조절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지역의 대학교 및 대학원에 재학 중인 만 19세 이상의 남녀 성인 40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HMPS), 신체상 염려 척도(BICI), 고통 감내력 부족 척도(DII), 반추-반영척도(RRQ)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는 반추 및 신체이형증상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고통 감내력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반추는 신체이형증상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고통 감내력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고통 감내력은 신체이형증상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완벽주의와 신체이형증상의 관계에서 고통 감내력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완벽주의는 매개변인인 고통 감내력을 통하여 신체이형증상에 간접적으로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완벽주의가 고통 감내력을 매개로 신체이형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반추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반추경향이 높아짐에 따라 완벽주의가 고통 감내력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이 증가하였으며, 고통 감내력이 신체이형증상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또한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on body dysmorphic symptoms and tested whether distress tolerance mediates the relations between perfectionism and body dysmorphic symptoms. In addition to this mediated model, the study examined whether rumination moderates the mediate effect of perfectionism on body dysmorphic symptoms. Self-report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on 403 (under)graduat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In order to assess each variables, HMPS(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BICI(Body Image Concern Index), DII(Distress Intolerance Index), RRQ(Rumination-Reflection Questionnaire) were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perfectionism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ed with rumination and body dysmorphic symptoms, an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ed with distress tolerance. Rumination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ed with body dysmorphic symptoms an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ed with distress tolerance. And distress tolerance wa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ed with body dysmorphic symptoms. Secondly, distress tolerance appeared to have mediate effect between perfectionism and body dysmorphic symptoms, and perfectionism have only indirect effect on body dysmorphic symptoms via distress tolerance. Third, rumination moderated the effect of perfectionism on body dysmorphic symptoms mediated by distress tolerance. That is, as one’s ruminative tendency has increased, not only the direct effect of perfection- ism on distress tolerance but also the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on body dysmorphic symptoms has increased.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