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 중년 남성의 대학교 행정직원으로서의 자전적 삶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전환학습 관점을 중심으로

        전원택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년 남성의 대학 행정직원으로서 29년간 근무한 경험과 새로운 직업을 찾기까지의 생애 전환에서 경험한 삶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를 통해 삶을 이해하고, 그 경험의 의미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학 행정직원이 가지고 있는 삶의 의미와 살아낸 경험, 새로운 직업을 찾는 전환학습 경험의 과정을 정리하고 심층적으로 분석을 했다. 이와 같은연구를 위해 2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 행정직원으로서의 삶에서 무엇을 배우고 경험하였는가? 둘째, 대학 행정직원으로서 자전적 삶의 과정에서 나타난 사고의 전환과학습의 양상은 무엇인가?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첫째, 본 연구 결과 연구자는 전환학습 경험을 통해 사고방식, 가치체계, 인간관, 세계관에서의 변화를 알 수 있다. 학력 콤플렉스 극복을 위해 4년제 대학에 편입하여 학습의 길로 다시 들어서는 계기를 만들었다. 콤플렉스 극복은 연구자가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을 만들어 주었다. 본 연구는 연구자 본인의 생애전환으로서의 경험을 어떻게 겪어내고 있는지 분석할 수 있었다. 전환학습은 자신이 겪은 경험으로부터 의미를 생성하는 과정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성인학습자에게 관점 전환의 틀을 제공하고 이것을 통해 학습자가 더 나은 관점을 형성하고 지혜로운 삶을 살아가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둘째, 전환학습 경험을 통해 더 넓은 시각과 안목을 가질 수 있었다. 경 험을 통해 느낀 변화와 발전에 대한 자기 인식은 연구자의 삶에 주요한 밑거름이 되고 있다.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관점이나 사고방식, 신념, 태도 등의 변화로 새로운 시각과 안목을 가지게 되었으며, 그 결과 개인적 삶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middle-aged male as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29 years worked experience and new jobs to find life in the transition experiences in the lives of autobiographical narrative it through understanding, that experience means to accomplishing this goal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meaning of life and experiences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and the process of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 to find a new job, and to derive the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 through in-depth analysis. In connection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raised. First, what did you learn and experience in your life as a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Second, as a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what are the transformation of thinking and learning in the process of autobiographical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Firs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can know the change in the way of thinking, the value system, the human view, and the world view through the transformational learning experience. In order to overcome the academic complex, I transferred to a four-year university and created an opportunity to enter the path of learning again. The event of overcoming academic ability created a driving force for the researcher to grow. This study was able to analyze how the researcher is going through the experience as a life changer. Transformative learning focuses on the process of creating meaning from one's own experience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dult learners with a framework for transformational their perspectives, and through this, to form a better perspective and lead a wise life. there was. Second, I was able to have a wider perspective and insight through the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 Self-awareness of change and development felt through experience is a major foundation for a researcher's life. It can be confirmed that a new perspective and perspective have been acquired through changes in existing viewpoints, ways of thinking, beliefs, and attitudes, and as a result, positive changes have been brought about in personal life.

      • 협동조합의 교육공동체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 책상없는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장은영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가 안고 있는 미흡한 교육환경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지역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영리가 아닌 공익을 목적으로 협동조합을 설립하고 그 조합을 통해 그 지역이 가지고 있던 지역적 한계를 스스로 극복한 사례인 책상없는학교 협동조합을 대상으로 그 형성과정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책상없는학교 협동조합의 설립과정에 참여한 연구대상자 5명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위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그 형성과정을 심도있게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책상없는 학교 협동조합의 형성과정을 보면, 미흡한 교육환경을 자체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지역주민 중심의 실천공동체를 발단으로 조합이 형성되었으며, 지역 인프라를 활용하면서 지역주민과 상호 작용하는 교육공동체로 정체성을 확립하게 되었고 마을 공동체의 공익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그 사회적 가치와 성과를 인정받아 사회적 기업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또한 마을교육공동체의 중요성을 인지하면서 다양한 평생교육 생태계를 조성하고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사회적 기업으로 발전하려는 경영자의 기업가적 정신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적 특성과 양상을 보면, 지역 주민 중심의 교육공동체가 공교육을 보조하는 방식의 교육적 특성을 보이고 있었으며, 지역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과 지역 인프라 활용으로 지역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한계점을 협동조합을 통해 극복해 나아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교육대상자가 초중고를 넘어 모든 주민으로 확대되고 높은 수준의 교육을 통한 삶의 질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평생교육 로드맵을 통해 지속 가능한 평생교육 생태계를 조성하고 확장하는 양상을 볼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책상없는학교 협동조합은 마을주민이 생활문화를 매개로 일상적인 만남의 기회를 마련함으로써 공동체 활동을 확산하고 생활문화 활동이 자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매개자 역할이 되었으며, 주민 스스로 지역자원을 활용한 일상의 문화적 활동을 통해 지역의 문화적 공동체 문화를 회복하고 주민과 함께 일상적 문화를 나누고 소통해 나감으로써 공동체만의 특색 있는 문화를 형성하는데 기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제안하면, 우선 각 마을마다 소득, 연령, 교육수준 등이 다르고 도시형태, 거주 및 지역의 특수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본 연구결과가 전국의 모든 형성사례를 대표하는 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다양한 지역을 사례로 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으며, 경기도 P시 책상없는 학교의 교육공동체로의 형성과정이 모든 마을에 평균적인 내용으로 적용되기에는 일반적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지역의 인적 및 물적자원을 고려한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하는 연구가 필요할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process of 'school without desk' which is a case where local residence voluntarily set up cooperatives and overcome their own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in order to overcome limitations of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nducted an in- depth interview for the qualitative research of fiv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school without desk' and examined the formation process in depth. First of all, the formation process of 'school without desk' was formed by starting a practice community based on local residents in order to overcome the insufficient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stablishing identity as an educational community that interacts with local residents while utilizing local infrastructure.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various projects for the public interest of the village community, it has grown to become a social enterprise with recognition of its social values and achievements. Based on the importance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there has been a lot of efforts to create lifelong education ecosystem, and there was entrepreneurial spirit of managers who want to develop into a sustainable social enterprise. In terms of educational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school without desk', educational community based on local residents showed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 of supporting public educati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various education programs suitable for local characteristics and the utilization of local infrastructure have shown that the educational limitations of the region are overcome through cooperation. In addition, there was a lifelong education roadmap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expansion of education to all residents and a high level of education beyond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rough this, there was an aspect to create and expand sustainable lifelong education ecosystem. As mentioned above, the 'school without desk' has become a mediator in which the residents are able to spread the community activities and make the living and cultural activities naturally by establishing daily meeting opportunities through the living culture. In addition, residents themselve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 distinctive local culture by restoring and communicating the local community culture through cultural activities using local resource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follow-up study sugges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not be representative of all regions of the country, because each region has different income, age, educational level,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studies in various regions. Also, since the formation process of 'school without desk' as educational community may not be generalized to all regions, it is necessary to study from various perspectives considering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f the area.

      • 평생학습마을 형성과정의 리더의 역할과 리더십에 관한 연구

        한용천 대진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oday, we share various information in a knowledge-based society, and lifelong education has emerged to adapt to a rapidly changing society. As the lifelong education law was enacted in 1999, lifelong education has become the driving force of national development and spread nationwide. Through the Learning Cities Project, lifelong education was identified as a contributor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individuals and restoring local communities and as a result, local governments are making efforts to create a 'Lifelong Learning Village'(Eun-jin Hong, 2015). The Lifelong Learning Village is a place where learning and practice happen together. Lifelong education in the village is accomplished by creating, learning, and participating in 'local knowledge' through various lessons that develop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In the process of learning, the residents increase the quality of their relationship through interaction, and they form a village community through various activities based on trust and cooperation. In order to establish lifelong learning in the village, it is necessary to have a leader who can transform the way residents live. The leadership is required to rest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revitalize the community through education. The need for the leader of lifelong learning village has been steadily raised publicly(Eun-jin Hong, 2016) since 2000 when local lifelong education started to go viral, so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ree objectives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se problems. First, what is the developmental process and practical strategy of lifelong learning village through the activities of the leader of lifelong learning village?, Second, what role does the leadership play in leading a lifelong learning village?, Third, what kind of leadership type positively influences as a leader of lifelong learning village?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problems, I researched and analyzed Jangdokdae Village which was selected as a lifelong learning villag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residents of the Jangdokdae village who were selected as lifelong learning villages, conducting and participating in the lifelong program,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constr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finding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ader of lifelong learning village has an educational purpose in impro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and restoring local community through lifelong learning, contributed daily life of learning to the people by developing and operating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at meets the public needs of the village and the needs of its residents(Eun-jin Hong, 2015), and expanded the meaning of learning by conducting the results of learning linked with the village project. Second, the leader of lifelong learning village presented a vision of "A village with a happy dream" to the village and encourage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the planning of village activities. Third, the leader of lifelong learning village basically has a willingness to devote to the village, showing his/her respect and commitment with a dedication to the residents not only in the learning place where lifelong learning takes place but also in daily life. The leaders of lifelong learning villages applied different types of leadership according to the situations and relationships of villages. And it was also found that the leaders showed different kinds of leadership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Lifelong learning leaders showed the main process of developing a practical leadership in the sense of "I will do this way!" through the cases of leadership types identified during the lifelong learning creation process. The display of leadership demonstrated the process of developing a lifelong learning village where residents can live their lives as a village community and experience the changes and growth among the residents by enabling the villagers to perform everyday, practical, and voluntary activities.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the lifelong learning village was organized and the learning was internalized while the residents participated in the village project through learning. In other words, the leader of lifelong learning village has demonstrated leadership that make the lifelong learning village share the whole experience with individual residents and constantly demands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오늘날 우리는 지식기반사회 속에서 다양한 정보가 공유되고,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하기 위하여 평생교육이 등장하였다. 1999년 평생교육법이 재정됨에 따라 평생교육은 국가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하여 전국적으로 확산되었고, 평생학습도시사업을 통해서 평생교욱이 개인의 삶의 질을 개선과 지역의 공동체 복원의 기여함이 확인됨에 따라 지자체에서는 ‘평생학습 마을 조성’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홍은진, 2015). 평생학습마을은 배움과 실천이 함께하는 곳으로 마을에서의 평생교육은 마을이 지닌 특색을 발전시켜 다양한 학습들을 통해서 ‘지역 지식’을 창조하거나, 배우고, 참여하면서 이루어진다. 학습하는 과정에서 주민들은 서로 상호작용을 통해 관계의 질을 높여가며, 신뢰와 협동의 삶의 다양한 활동으로 마을공동체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마을에서 평생학습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주민들의 삶의 모습을 변화시킬 수 있는 리더가 필요하며, 교육을 매개로 주민들 간의 관계를 회복시키고 공동체에 활력을 불어 넣는 리더의 리더십이 요구되고 있다. 평생학습마을리더의 필요성은 지역평생교육이 확산성을 갖게 된 2000년 이후부터 공공차원에서 꾸준히(홍은진, 2016) 제기 되었으며,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평생학습마을리더의 활동을 통해서 평생학습마을의 성장과정과 실천 전략은 무엇인가?, 둘째, 평생학습마을을 이끌어 가는데 리더십이 어떠한 작용을 하는가?, 셋째, 리더십 유형중 평생학습마을리더로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 유형은 무엇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평생학습마을로 선정되어진 장독대마을을 연구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평생학습마을로 선정되어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참여하고 있는 장독대마을 주민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문헌 조사를 통해서 이론적 배경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학습마을리더는 평생학습을 통해 주민들의 관계개선과 공동체 회복에 교육적 목적을 두며 마을의 공공적 필요와 주민의 요구에 부합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운영함으로써 학습이 주민들의 일상이 되게 하였고(홍은진, 2015), 학습의 결과를 마을 사업과 연계하여 실천하게 함으로써 배움의 의미를 확장시켰다. 둘째, 평생학습마을리더는 마을에 “행복한 꿈이 있는 마을”이라는 비전을 제시하고 마을 활동을 계획하는데 있어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 셋째, 평생학습마을리더는 기본적으로 마을에 헌신하고자 하는 마음가짐을 가지고 있어 평생학습이 일어나는 학습의 장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주민들을 존중하고 행동하면서 헌신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평생학습마을리더들은 마을의 상황과 관계에 따라 적용하는 리더십 유형이 달랐으며, 처한 상황에 따라 발휘되는 리더십 또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평생학습조성 과정에서 파악된 리더십 유형별 활동 사례들을 통해 평생학습리더들이 “이렇게 하면 되겠구나”라는 의미의 실천적 리더십 형성의 주요 과정을 보여주었다. 리더십의 발휘는 주민들에게 마을의 일상적, 실천적, 자발적인 활동을 가능하게 해 줌으로써 주민들이 마을 공동체로서의 삶을 살아가게 만들고, 주민간의 변화된 모습과 성장을 경험하는 평생학습마을 조성과정을 보여주었다. 아울러 주민들은 학습을 통해 마을 사업에 참여함으로써 평생학습마을이 조직화되어 학습이 내면화 되는 모습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평생학습마을리더는 평생학습마을이 주민 개개인에게 모든 경험을 공유하며 교육적 활동을 끊임없이 요구하도록 하는 리더십을 발휘 한 것이다.

      • 생애학습능력 신장방안

        정하석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2개 반 5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교과 단원과 연계한 생애학습활동을 할 수 있는 생애학습콘텐츠를 추출하여 다양한 방법의 분석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평생학습 능력을 신장시키고자 한다.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에서 생애학습콘텐츠를 추출하여 프로그램 구축을 위하여 제반 여건을 조성하고, 둘째, 프로그램의 원만한 적용을 위하여 수업모형과 활동자료를 개발하며, 셋째, 계획된 프로그램 적용이 학생들의 평생학습 능력에 어느 정도의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지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지역 문화예술 활성화를 위한 학습공동체 사례 연구 : 우리동네 버스킹 사례를 중심으로

        고은지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학습공동체가 학습을 통하여 지역에서 성공적으로 이루어낸 문화예술 활성화 성과를 학습공동체 관점에서 탐색하고자 하였다. 공동체의 형성과 전개 과정에서 문화예술로 인한 마을 분위기의 변화와 동네에 긍정적인 파급 효과, 다른 지역의 벤치마킹 요구, 유관기관과 연계한 사업으로 확산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평범했던 주민 참여자가 문화예술교육 기획 및 강사 또는 공연 기획자로의 발전 과정을 보여주기에 본 연구의 사례로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습공동체의 학습경험과 지역 문화예술 활동에 초점을 두고 경기도 연천의 ‘우리동네 버스킹’ 학습공동체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학습공동체 기반한 문화예술의 발전 가능성을 찾고 이것이 지역주민에게 미치는 영향과 지역 문화예술 활성화에 대한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학습을 오랫동안 경험한 참가자는 학습을 삶의 일부로 생각하고 있다. 참여자들은 공동체 활동을 통하여 문화예술 경험뿐만 아니라 삶의 터전과 이웃, 공동체를 위하여 할 수 있는 자신만의 역할을 찾고 있었다. 공동체 구성원 하나하나가 마을의 발전을 위한 중요한 인적자원이고 없어서는 안될 존재임을 스스로 깨닫게 되었다. 한 개인이 마을의 일원으로서 역할을 담당하는 주민으로 성장하고 예술을 매개로 자신의 삶을 향유하고 가꾸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생각의 변화는 그 지역공동체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어 선순환적 마을교육공동체를 구성하였다. ‘우리동네 버스킹’ 활동 사례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경험이 개인과 공동체에 어떠한 의미를 주고 변화했는지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습공동체 활동이 문화적으로 소외된 지역주민에게 예술체험의 기회를 확대하여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마을 안에서 자신의 존재를 깨닫고 마을 주민으로서 성장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둘째, 지역 특성을 반영한 학습공동체의 문화예술 활동으로 마을은 활기를 띠고 마을 주민을 화합하게 함으로써 마을교육공동체를 형성하였다. ‘우리동네 버스킹’의 문화예술 프로그램은 참가자의 높은 학습성과를 가져왔고, 이것이 지역사회와 연계한 활동으로 이어져 지역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 되었다. 학습공동체 ‘우리동네 버스킹’은 학교 특색사업을 평생교육과 연계하여 지역 주민의 관심과 호응을 얻고 지역 네트워크 및 마을공동체를 형성하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이로 인해 마을교육공동체가 형성되고 지역 문화예술 발전을 함께 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 ‘우리동네 버스킹’은 문화예술 활동을 지속적으로 실천하여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학교와 마을의 분위기를 변화시켰다.

      • 도산 안창호의 학교형태 사회교육의 사회적 기능 탐색 : 없음

        김창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평생학습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정책과 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나 사회교육 분야의 정체성 확립과 실천영역에서의 사회교육의 본질을 찾아보기 위한 학문적 성찰이 필요한 현실이다. 이런 맥락에서 오늘날의 사회교육이 어떠한 원리에 의해 실천되어야 하고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성찰은, 국권회복과 독립을 위한 모든 것의 핵심과정을 ‘교육’에 두고 평생을 바친 도산 안창호의 사회교육 실천 원리와 방법에 관한 역사적 교훈을 찾아보고 이어갈 수 있는 과제가 무엇인가를 알아보는 것에서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교육 본질의 방향성은 유럽의 social pedagogy나 일본 사회교육학계에서 논의되어 온 바와 같이 ‘교육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이어야 한다. 따라서 영역 중심이 아닌 사회적 기능 중심의 사회교육 본연의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오혁진(2017)의「사회교육의 유형」을 연구 목적에 맞게「사회적 기능 분석 도구」를 구안하였다. 그리고 현대 사회교육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안창호의 생애를 독립운동 시기에 따라 일반사적 시대구분의 관점에서 5단계로 구분, 학교형태 사회교육내용을 고찰하였고 「사회적 기능 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안창호의 사회교육 실천내용의 사회적 기능을 탐색하였다. 안창호는 평생 국권 회복과 독립을 위한 활동에 헌신했고 이는 모두 사회교육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그의 사회교육실천 내용은 복합적이고 다면적이었다. 특히 학교형태 교육기관들을 통해 이루어진 사회적 기능 중심의 사회교육은 개개인의 현실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교육을 우선적으로 실천하였고 동시에 기초교육, 문해교육 등의 개인변화 지원은 물론 애국심을 고취시키고 국민으로서의 의무 이행을 촉구하는 사회변화를 촉구하는 교육을 균형적으로 실천하였다. 안창호가 학교형태의 교육기관을 통해서 인재를 양성하고자 평생 노력한 것은 본인 스스로가 민족의 독립 역량 배양과 백성들의 현실 문제 해결을 위한 단초로서의 교육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것이고, 안창호는 그의 생애에 걸쳐 학교형태 사회교육 활동을 통해 사회를 개선하고, 사회문제를 해결하며, 건강한 공동체를 형성하고자하는 사회교육의 본질이 될 수 있는 ‘사회적 기능’을 다 하고자 노력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Currently in Korea, variety of policies and systems has been implemented along with arrival of learning society. Still, academic introspection is required to figure out the essence of social education in regard of social education’s identity establishment and practice. In this context, the self-examination about which principles should be applied for today’s social education and where to proceed could start from investigation about Dosan Ahn Chang-Ho; who devoted one’s life to the ‘education’ for restoring national rights and independence. Searching historical precepts about his practicing principle of social education and figuring out remaining tasks would be the initial step for this report. The nature of social education should proceed to ‘social role and function’ as European social pedagogists and Japanese social educators have argued so far. Therefore, this report borrow 「The Types of Social Education」(Oh Hyuk-Jin, 2017) to plan 「social function analysis method」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ocial education oriented to social function. Also, in order to deduct implication for establishment of modern social education’s identity, this report separate Ahn Chang-Ho’s life according to different stages of independent movement in 5 phases and consider their different types of formal social education. Ahn Chang-Ho dedicated his whole life to restoring national rights and independence and this made his social educational practice complex and multifaceted since all his activities had close relationship with social education. Especially, social function oriented social education institutions in form of school tried to focus on individuals’ practical solution. At the same time, they supported people basic education and literacy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inspiring patriotic spirit and demanding performance of a national obligation. Ahn Chang-Ho tried to raise talented individuals through educational institutions in form of formal school since he fully recognized himself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s the beginning of enhancing people’s ability for independence and solution of actual life issues. Therefore, it is certain that he tried to improve society by social education in form of school and focused on ‘social function’ which could be the essence of social education to solve social issues and develop healthy social community.

      • 숲 체험활동과 유아의 생명존중인식 간의 관계에 대한 고찰

        서명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숲 체험활동과 유아의 생명존중인식과의 관계를 확인하여, 유아의 생명존중인식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아교육기관에서 현재 진행하고 있는 숲 체험활동의 적절성에 대해 판단해 보고,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숲 체험활동이 어떻게 나아가야 할지에 대해서 논의해 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숲 체험활동과 유아의 생명존중인식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2010년부터 2019년 현재까지 진행된 숲 체험활동과 유아의 생명존중인식 간의 관계를 다룬 질적연구 4편, 실증연구 8편 등 총 12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하여 문헌고찰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의 연령대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숲 체험활동을 도입하여 실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유아들은 숲 체험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모든 생명체가 사랑받고, 보호받아야 하고, 존중받을 가치가 있다는 것을 깨닫고 있었다. 또한 숲 체험활동과 자연명상활동을 병행하여 진행할 때 유아들의 생명존중인식 수준이 더 높게 향상될 수 있는 것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고찰 결과를 토대로 할 때 유아들이 자기 자신 및 타인의 삶을 소중히 생각하고, 자연 속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에 관심을 갖고 아낄 줄 아는 바른 인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유아교육기관에서 숲 체험 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