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아동문학에 나타난 가족서사 연구 : 2000년대 이후 작품을 중심으로

        안점옥 광주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family narrative in children's literature since 2000s. Family narrative means the narrative developed with the medium-term of family, or to comprehensively involve the stories with family members as the main characters. However, in the respect that family itself is the constructive entity created by the interaction with the society, its implication cannot help but be expanded socially and historically. Accordingly, family narrative is not only the constitutive model of a narrative that forms an individual's identity, but also becomes the narrative model and constitutive model that explores the changes of and conflicts in the society, and the social and political identity following them. Particularly in children's literature, the matter of a family is the basic element consisting of the background and events of a literary work, and also the eternal theme and the dominant narrative type of children's literature. The period for research was set as since 2000s because, first, the study on children's literature has been focused only the beginning period and its formation process of children's literature, so this research intends to define children's life and how they are described through contemporary children's stores, and second, the family narrative during this period shows the characteristic remarkably different from former ones. The feature is that ‘they take issue with family itself', that is, while the former family narratives used to force unwilling reconciliation and happy ending in order to preserve family, the present one shows the aspect how family works as a suppressive mechanism. To investigate into the changing family narrative, Choi Na-mi, Nam Chan-suk, and Kim Jung-mi were chosen as the representative authors, and as for the works to analyze, Choi Na-mi's 『Mommy's 40th birthday』 and 『A worried 13-year-old』, Nam Chan-suk's 『A strange guy』 and 『Who are you?』, and Kim Jung-mi's 『Children in Gwaengyiburimal』 and 『Come together, traveling puppt show troupes!』 were selected. Choi Na-mi describes the detailed aspects of how Confucian patriarchy works in modern family, and how women in it strive to find their identity through the narrative of a mother and a daughter. She also depicts the narrative of a mother and a son who get over the dichotomous separation between what's normal and what's abnormal forced by the patriarchal system, and grow by being aware of themselves as individual beings. Her narrative especially shows the conclusion that the main child characters realize themselves as separate beings. Nam Chan-suk narrates the reality in which a family that has become means is oppressing a child's life. It's easy for a family, which has become the only mechanism for survival in the tough reality, to make a child with an unfixed future the target for casting, so it ends up restricting a child's life. A child, who has become an object, cannot stand as a main agent of his/her own life and become his/her mother's display, or sometimes comes to develop the symptoms of self dissociation. Kim Jung-mi embodies the community narrative resisting familism, the root problem of Korean families. The Korean familism, which can be summarized as ‘only for our family’, is overcome through the detailed alternatives of a table community and an alternative community, and the world of pacification and sympathy is created. Through which, the exclusiveness and blood shutdown of Korean families are being paradoxically spoken. Lastly, the remarkable characteristic of the family narrative in children's narrative, the connection to growth narrative was examined. Development in growth novels usually means the process to break away from a family and enter into the society, but growth in children's literature is often manifested based on a family and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so they are evidently different. The problems were also dealt with that have occurred by discussing the growth narrative in children's literature while borrowing the concepts of growth novels. Investigation into the problems of family itself can be the work to review the ideological layers consisting of the Korean society. The analysis into the works studied in this paper can also help grasp some aspects of the current Korean familism. Moreover, ultimately, the argument for and confutation against the repression and negativity that the contemporary reality and family ideology pressed on children will be able to be observed.

      • 이원수의 동요·동시 연구

        김찬곤 광주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set out to consult previous studies on Lee Won-su and bring back what had been missed in them to life, thus enriching the research of his poetic literature even further. Its main text is The Spring of Hometown(1989), which is Volume 1 of the complete collection of his works published by Woongjin Publications after his death. Its auxiliary texts include The Lark(Saedongmusa, 1947), which is his first collection of poems published before his death, The Red Fruit(Aingak, 1964), which is his second collection of poems, and I Call You(Changbi, 1979), which is his collection of poetry for children. In addition, other auxiliary texts were used to find something new that could not be found only with poetic texts and analyze what he tried to say in his poems, including his three "collections of essays," which are Children, Listen to My Stories(Volume 20 of his complete collection of works), Across These Beautiful Mountains and Streams(Volume 26 of his complete collection of works), and The Same Sound of Breeze as The Day(Volume 27 of his complete collection of works), his books on "theories of children's literature," which include Introduction to Children's Literature(Volume 28 of his complete collection of works), Writing Techniques for Children's Poems and Stories(Volume 29 of his complete collection of works), and Children and Literature(Volume 30 of his complete collection of works), and his "children's stories" needed to interpret his poems. Before doing research on his poems, Chapter 2 examined his family and biographical facts that became a foundation for his early poetic literature. Chapter 3 sorted out the characteristics of his poetry for children's songs and poems and his theories on innocence of childhood. Chapter 4 divided his poems into the early period(1926∼1950), middle period(1951∼1963), and late period(1964∼1981) and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by listing his works representative of the periods one by one. His early 133 poems were analyzed under a big theme of "innocence of childhood living in history" and three small topics of parting and missing, working children and suffering of colony, and memories and "counter-memories" of pro-Japanese activities. His 98 poems from the middle period were examined under a big theme of "subjects and dynamics" and small topics of lyricism and activity of subjects, static and dynamic poetry for children's songs, and loss of poetic tension and cliche. His 91 poems from the late period were analyzed under topics of the world of personal love and desperate affection, poems of thinking and fear for growth, and will for life and humble wishes. Those poems turned out to talk about "yearning for the happy days." The present study carried out full research on Lee's poems from the middle and late periods, which had been subjected to insufficient research efforts, thus solidifying a foundation for the research of his poetry. It first delved into what he said about his poetry closely and found many clues in them. It also focused on the "intertextuality" of his theories and criticisms about children's literature, essays and children's stories, thus avoiding allegorical interpretations that were easy to fall into when analyzing poems of realism and looking at his poetic interpretations from an objective point of view. It has been 35 years since he passed away, but his theory on innocence of childhood, he used to criticize, still stirs a controversy today. His viewpoint he shared with children and maintained from the early days, creation of poetry based on fairy tale-like imagination, poetic spirit and common touch he maintained throughout his life, subjects and activity of poems, growth and subjects of children, and expansion of boundary of poetry for children will also raise important problematic consciousness even in today's circles of poetry for children.

      • 보물 동굴을 찾아라!

        최한나 광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83

        1. 머리말 어린이들은 작은 집을 짓거나 좁은 공간에 들어가기를 좋아한다. 그러한 아동의 심리는 어머니 자궁 속 같은 안정감과 동시에 자신만의 세계에 대한 기대 때문일 것이다. 현실의 불만족을 채워주고 나를 구원해 줄 새로운 세계를 꿈꾸는 것은 무한한 상상력과 카타르시스를 선사한다. 어릴 적, 집 앞 공터에는 버려진 장롱 하나가 꽤 오랫동안 있었다. 아이들은 캄캄한 그 속에 들어가 숨는 것을 좋아했고 나 또한 그랬다. 그 속에 들어가 장롱 문이 닫히면 익숙한 세상은 없어지고 곧 암흑에 휩싸인다. 잠시 공포를 느끼지만 다시 문이 열렸을 때, 행여 또 다른 세상이 나타나지 않을까 상상할 때가 있었다. 집에서 쫓겨나 우는 아이에게는 마법의 환상 세계로 이끌어줄 매개체로는 참 적당하다고 생각했다. 나의 동화는 어쩌면 그곳에서부터 시작되었는지 모른다. 미지의 세계는 어른이 된 지금까지도 마치 향수에 젖어들 듯 때때로 마음 설레게 하며 갈망하게 만든다. “동화를 흔히 어린이를 위한 이야기 정도로 간주하기 쉽다. 그런데 이러한 견해는 결코 타당하지 않다. 아동 문학이 일차적으로 어린이에게 주로 읽히고 그렇게 간주되는 것이 보통이나 어른에게도 읽혀질 수 있으며 그들에게도 기대 이상의 큰 감동을 주기도 하는 것” 강정규,『아동 문학 창작론』, 학연사, 2013, p, 12. 이기 때문이다. 내용면이나 형식면에서 아동문학은 아동에게 주로 읽히는 문학이지만 성인도 독자가 될 수 있다. 한 때 ‘어른들을 위한 동화’가 불티나게 잘 팔리던 때가 있었다. 현대인의 메마른 정서, 개인주의가 만연한 세태 속에서 감동과 동심을 찾고 싶은 어른들이 많아졌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그래서 나는 꼭 아이들만을 위한 동화가 아닌 어른과 노년층까지도 즐겨 읽을 수 있는 동화가 많이 창작되기를 소망한다. 동화는 크게 사실 동화와 환상동화로 나눌 수 있다. 사실 동화가 현실에서 이해될 수 있는 일과 사건을 다룬다면 환상동화(판타지)는 현실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일들, 즉 상상을 통해서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를 다룬다. 그 중에서도 나는 현실을 뛰어넘어 마음껏 상상력을 펼칠 수 있는 판타지의 영역에 주목했다. 그런 뜻에서 판타지의 구성요소라고 할 수 있는 시공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판타지의 시공간을 분석하는 것은 판타지라는 장르를 보다 잘 이해하게 되는 적절한 수단” 마리아 니콜라예바, 『용의 아이들』, 김서정 옮김, 문학과 지성사, 2004, p, 185. 이다. 판타지의 근원은 신화나 전래동화에서 비롯되었고 현실에서 일어날 수 없는 환상적 요소와 초현실적인 요소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비슷하다. 이러한 가운데 고전적인 판타지는 새로운 유형의 판타지 창작동화로 다양하게 발전하였다. 그러나 환상동화는 시간과 공간, 마술의 사용면에서 전래동화와 구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시공간이라는 개념은 전래 동화와 판타지 사이의 구별을 아주 뚜렷하게 만들어 준다. 전래 동화는 마술적인 세계에서 발생한다. 사건이 일어나는 시간은 ‘옛날 옛적’으로 시간과 공간은 모두 우리 경험 너머에 있다. 전래 동화의 세계에서 마술은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놀라움을 일으키지 않는다. 요정, 마녀, 용, 동물, 도깨비 등은 아주 자연스럽게 인간과 밀착되어 살아간다. 즉, 전래 동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이나 독자, 청자들은 마술 세계의 안쪽에 있다. 현대의 판타지 창작 동화는 우리 시대의 시간, 공간과 연계되어 있고 등장인물은 대부분 평범한 아이들이다. 시공간은 분명 현실과 연결되어 있지만 다른 세계로 들어가는 마술 통로를 통해 명확하게 분리된다. 그리고 그 세계에서 벌어지는 마술적인 모험은 현실과의 대비를 만들어낸다. 다른 세계는 그 세계 고유의 시간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래 동화와 환상 동화의 사이를, 작품 배경의 시공간이 한 세계의 구조로 되어 있는지 아니면 두 세계의 구조로 되어 있는지를 통해 구별할 수 있는 것이다. 마리아 니콜라예바, 상게서, pp. 185-186 참조. 이처럼 판타지의 시공간은 일차 공간(현실)에서 이차 공간으로 넘어가게 하는 마법의 수단이고 보이지 않는 세계를 보이게 하는 판타지의 큰 모티브라 할 수 있다. 시공간의 경계를 넘나들게 하는 마법의 장치물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전형적인 예가 1950년 C. S. 루이스가 쓴 『사자와 마녀와 옷장』에서의 ‘옷장’이다. 아이들은 마법의 옷장을 통해 신비한 나라로 이동하고, 옷장을 통하여 다시 현실로 돌아온다. 한국 동화 이준호의 『할아버지의 뒤주』(2007)에서는 오래된 ‘뒤주’가 시간이동을 해주는 마법의 매개체가 된다. 주인공은 뒤주 안에 들어가 할아버지의 어린 시절을 목격하고 다시 뒤주를 통하여 현실로 돌아온다. 이 때 마법적 장치물은(그것이 비록 평범해 보일지라도) 독자가 이야기 속으로 빠져들기 쉽게 개연성을 부여하고 이야기의 흥미를 더해준다. 이번 작품에서 위와 같은 특성을 살려 이차 공간을 가기 위한 통로로 ‘동굴’을 설정했다. 동굴은 어둡고 습하지만 그 속으로 들어가기 전까지는 무엇이 있을지 알 수 없는 신비로운 공간이기도 하다. 등장인물들은 ‘동굴’이라는 마법의 통로를 통하여 현실 세계에서 낯선 시공간으로 이동한다. 그곳에서 그들은 현실 세계로 다시 돌아오기 위해 모험을 한다. 모험이야기의 시공간은 익숙하지 않은 외부 공간과 불특정의 시간으로 일상의 따분함을 새롭게 전환시켜주는 공간이면서 위험한 공간이기도 하다. “모험물 시공간의 일부 구체적인 예는 로빈슨식 소설을 들 수 있는데, 일상적인 배경인 섬이나 보물찾기를 위한 동굴이다.” 마리아 니콜라예바, 『아동문학의 미학적 접근』, 조희숙 외 옮김, (주)교문사, 2005, p. 180. 보물찾기 이야기의 핵심은 새롭고 낯선 공간에서의 신기한 경험과 모험이다. 로빈슨 크루소의 이야기에는 식인종이 등장하고 문명과는 거리가 먼 원시적 생활을 그려내는데, 이번 작품 또한 그런 배경과 유사하다. 동굴을 통하여 열린 이차 시공간은 미래 세상이다. 하지만 우리의 상상과는 반대로 최첨단의 모습이 아닌 원시 시대로 돌아간 것처럼 밝지 않는 미래로 설정했다. 주인공은 거칠고 위험한 공간에서 뜻밖의 모험을 하게 되는데 그곳을 가기 위한 그럴 듯한 동기부여가 필요했다. 누구나 예기치 못한 상황에 맞닥뜨릴 수 있고, 불행이 찾아 올 수도 있다. 이번 작품에 등장하는 주인공이 그런 처지에 놓여졌다. 아버지의 갑작스런 사고로 생활고를 견디다 못한 엄마와 동생이 가출했다. 이럴 때, 아이는 무엇을 가장 소원할까? 가정의 회복과 동시에 가족 해체의 원인인 돈이 필요했을 것이다. 그래서 생각해 낸 것이 보물찾기였다. 고전에서나 나올 법한 보물찾기에 설득력을 얻기 위해 오래 전에 난파된 보물선과 판타지의 세계를 열어줄 ‘동굴’을 생각했다. 어떤 물리적 힘으로 문제를 해결 수 없다면, 마술적 능력을 발휘하여 해결할 수도 있다. 돈은 어디까지나 동굴을 찾아 나선 원인으로 하나의 장치물일 뿐이다. 정작 중요한 것은 돈이 아니라 나와 다른 사람, 가족 간의 관계 속에서 해결된다. 주인공은 판타지의 세계인 이차 공간에서 모험과 사건을 통해 성장하고 현실로 돌아왔을 때는 현실을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진다. 판타지의 시공간은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없는 새로운 환경을 조성하는데, 독자들은 이러한 낯설고 이국적인 세계를 간접 경험할 수 있다. 요즘은 학교와 학원 공부에 바빠 놀이터에서조차 아이들을 잘 볼 수 없는 세상이다. 햇빛을 받고 뛰어 놀아야 할 시기에 아이들은 공부와 씨름하고 있다. 그런 요즘의 아이들이 바라는 세상은 어떤 세상일까? 단순히 미디어나 게임으로만 여가를 즐기며 하루하루 보내고 있는 그들의 아동기가 가여울 때가 있다. 그들에게는 그 어떤 상상의 여지가 없고, 낯설고 새로운 경험은 다만 게임으로만 접하며 대리만족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나는 이번 작품을 통해 모험을 겁내지 않고 용기 있게 실천하는 아이, 정체된 아이 보다 행동하는 아이를 그려내고 싶었다. 더불어 뜻밖에 상황에 놓이게 되면 무엇을 할 수 있고, 어떤 선택을 할 수 있는지 하나의 길을 보여주고 싶었다. 이러한 생각으로 등장인물을 현실 너머 제 2의 공간으로 이끌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작품 속의 인물과 시간에 관계한 구성, 주제에 대한 분석을 해 보았다. 첫 번째, ‘모험을 떠나는 아이들’에서는 다소 위험하지만 보물을 찾아나서는 용기 있는 아이들, 나와 다른 남을 받아들이는 인물들. 더 나아가 타인을 사랑하는 인물들이 어떻게 형상화되어 있는지 살펴보겠다. 두 번째, ‘미래 시간 여행․꿈’에서는 현재-미래-현재의 시간 구성에 대해 설명하겠다. ‘동굴’이라는 마술적 통로를 통하여 낯선 미래로 가는 과정과 ‘꿈’에 나타난 상징성과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세 번째, ‘나와 다름의 이해와 이타심’에서는 개인주의와 이기주의가 만연한 이 사회 속에서 가족애와 타인에 대한 존중과 사랑하는 법을 주제로 삼고 정리해 보았다. Children like to build small houses or enter narrow spaces. Such a child's psychology may be due to the sense of stability in the mother's womb and the expectation of her own world. Dreaming of a new world that will fill the dissatisfaction of reality and save me gives infinite imagination and catharsis. As a child, there was a abandoned wardrobe in the open space in front of the house for quite some time. The children liked to hide in the dark and I also did. When the door of the wardrobe is closed in it, the familiar world disappears and soon it is dark. I felt a moment of panic, but when the door opened again, I sometimes imagined that another world would appear. For a child who was driven out of the house, it was considered appropriate as a medium to lead to a magical fantasy world. My fairy tale may have started there. The unknown world, even as an adult, makes me feel like I am soaked in perfume and sometimes I am craving. "It is easy to regard fairy tales as stories for children. But this interpretation is not right. Children's literature is mainly read by children, but adults can read it and give them more impression than expected. " In terms of content and form, children's literature is a literature that is mainly read to children, but adults can also become readers. There was a time when ' fairy tales for adults' were selling very well. It is also evidence that the number of adults who want to find emotion and concentricity in the modern man's dry emotions and individualism is widespread. So I hope that many fairy tales will be created that can be read even for adults and elderly people, not just fairy tales for children. Fairy tales can be divided into real fairy tales and fantasy fairy tales. If a fairy tale deals with things and events that can be understood in reality, fantasy fairy tales deal with stories that can not happen in reality, that is, stories that can only be understood and shared through imagination. Among them, I focused on the realm of fantasy that can go beyond reality and unfold imagination. Modern fantasy creative fairy tales are linked to the time and space of our time, and most of the characters are ordinary children. Space and time are clearly connected to reality, but they are clearly separated through magic passages into other worlds. And magical adventures create contrasts with reality. The magic world has its own time. In addition, the space-time of fantasy is a magical means of moving from primary space to secondary space, and it is a motif of fantasy that makes the invisible world visible. There are many magical devices that cross the boundaries of time and space. A typical example is C.S. Lewis's "wardrobe" in the 『lion, witch and wardrobe』. The children move to a mysterious country through a magical wardrobe and return to reality through a wardrobe. In the Korean fairy tale Lee Jun-ho's『a rice-bin of Grandfather 』(2007), the old 'a rice-bin' becomes a magical medium for time shift. The main character enters the rice barrel and witnesses his grandfather's childhood and returns to reality through the rice barrel. At this time, the magical device (even if it seems normal) gives the reader the possibility of falling into the story and adds to the interest of the story. In this work, I set up 'cave' as a passage to go to the secondary space us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The cave is dark and humid, but it is also a mysterious space where you can not know what will be until you enter it. The characters move from the real world to the unfamiliar space and time through the magical passage called 'cave'. There they adventure to return to the real world. The space and time of the adventure story is a dangerous space as well as a space that transforms the boredom of everyday life with unfamiliar external space and unspecified time. I wanted to draw a child who acted courageously against the adventure without fearing the adventure while writing this work. I also wanted to show you what you can do and what choices you can make if you are in a situation unexpectedly. I always think about how to impress and entertain readers while creating fairy tales. However, there are times when I am worried that it will be too educational or old topic because of the personal desire to impress. It's something I need to overcome.

      • 우타타어치카

        신두리 광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83

        청소년 문학은, 이러한 삶을 살고 있는 10대들을 위한 문학이다. 개념으로는 이렇게 정의할 수 있다. 청소년문학이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고, 그들의 생활과 밀착해 있는 주제를 택하고, 그들의 어법과 의식을 폭넓게 진술하는 문학을 말한다. 여기에는 평범한 체험도 있을 수 있으며, 특수한 체험도 있을 수 있다. 황선열, 『아동청소년문학의 새로움』, (푸른책들, 2008), p. 18. 위의 설명처럼 청소년 문학은 청소년들의 생활과 밀착해 있는 주제를 택해야 한다. 또한 다른 연령을 대상으로 한 문학일지라도 판타지나 장르 문학이 아닌 이상 생활에 밀착 돼 있는 주제를 택하지 않으면 그 이야기는 독자들의 마음을 사기 어렵다. 2000년대의 리얼리즘 서사가 이념 대결이라는 거대하고 단일한 담론의 영향 아래 있었다면 지금은 환경, 여성, 인권, 문화 등 생활에 밀착된 다양한 문제에 관심을 두고 있는 시대다. 김민령, “리얼리즘 아동문학이 서 있는 자리,”『창비 어린이』 ,62, (2012, 가을호), p. 29. 나는 요즘 청소년들의 생활에 밀착된 문제를 알기 위해 다수의 청소년들을 만나 직접 얘기를 들어보았다. 각자 고민이 다르긴 하지만 그것들 중 꼭 빠지지 않는 것이 있었다. 바로 ‘또래집단’에 대한 고민이다. 청소년 집단 사이에서는 직접적인 말로 드러내지 않아도 암묵적인 ‘서열’이라는 것이 공공연하게 존재하고 특별한 이변이 없는 이상 그 서열은 유지 된다. 특히 그런 특성은 매번 반이 바뀌는 도시 학교보다 농어촌 학교에서 더 두드러지게 일어난다. 그 서열 속에서 아이들은 자신의 존재가 억눌리는 기분을 느끼기도 하고 알 수 없는 괴로움을 느끼게 된다. 또 요즘은 전국 어디든 학교마다 ‘일진회’라는 것이 있어 청소년들에게 공포의 대상이 된다. 그들에게 잘못 낙인찍히면 기간을 기약할 수 없이 따돌림을 당하게 되거나 무자비한 폭력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반 안에서 당이 갈라지듯 파가 갈리는 일이 일어나기도 한다. 학교 안의 집단들은 그들 나름의 생명력을 가질 수 있으며, 아이들은 파괴적인 일을 저지르면서 마치 양 떼처럼 집단을 따른다. 나는 그런 현상을 너무나 많이 보아왔기 때문에 누군가가 자기 아이가 나쁜 학급에서 나쁜 아이들과 어울린다고 말을 할 때면 항상 나는 그 말에 의문을 가진다. 유난히 말썽 많은 아이가 두어 명 있을지도 모르지만 내가 내린 결론은 항상 그 집단 내에 파괴의 역학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집단의 결속에 대한 인간적 필요성 때문에 아이들은 파괴적인 방식에 자신을 내맡기고 따라간다. 마이클 톰슨 외, 김경숙 역, 『어른들은 잘 모르는 아이들의 숨겨진 삶』, (양철북, 2012), p. 183. 이처럼 또래집단의 힘은 아직 주관이 뚜렷하지 않은 아이들에게 있어 가장 두려운 것이 된다. 나는 이번 작품에서 ‘집단’ 과 ‘공동체’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각종 일들을 그려내려고 의도했다. ‘집단이 한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 ‘오래 유지된 집단 속에서 왜곡되고 변질되는 것들’, ‘집단의 위험성’, ‘집단이 주는 따뜻함’을 드러낼 수 있는 에피소드들을 만들고자 했다. 또한 이웃 사이, 마을 사람 사이, 가족 사이, 10대 여중생들 사이에 발생되는 갖가지 사건들을 그리고 싶었으며 그들 사이에 놓인 ‘관계’에 대해 집중적으로 드러내고자 노력했다. I have seen so many of these phenomena, so I always have questions when someone says that their child is hanging around with bad children in bad class. There could be a couple of exception, but my conclusion is that there is always the mechanics of destruction within that group. Because of the human need for group unity, children leave and follow themselves in a destructive way. This power of peer group is the most frightening thing for teenagers whose subjectivity is still unclear. I intend to describe various things that can happen in 'group' and 'community' in this work. I wanted to create episodes that would reveal the 'influence of a group on one person', 'things that are distorted and altered in a long-standing group', 'risk of a group', and 'warmth of a group'. I also wanted to describe various events happening between the neighbors, among the villagers, between the family and between the teenage girls, and tried to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is is an autobiographical work. Although the episode on this work is not based on fact that I’ve been experienced like the novel 『Der Yalu Flieβt’』, I tried to make the story more concrete by utilizing the unique environment of 'Island' that I spent in my teenage years, and filled the emotions I felt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However, autobiographical works usually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can end up as an individual story. I agonized why many people suffer in the community considering that limitations. As a result, I chose the cause of 'the image of myself in the community' as the biggest answer, and put in the narrative revealing that point. But, unfortunately, it was not an only topic of this work, and it ceased to be one of the events. Fundamentally, from the time I started to write this work, my desire about this work was to describe all my memoirs in everyday life. If I started to describe the stories toward only topic, I could fail to make it a natural story with the ability I’ve got right now. I also thought that literature existed in real life even if it is trivial.

      • 바람의 멜로디

        이화영 광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83

        외할머니는 내가 심부름을 잘 하거나 마음에 드는 행동을 하면 ‘너는 터를 잘 팔아 예쁘고 착하다’는 이해하기 어려운 칭찬을 했다. 반면 둘째 언니는 뭔가 조금만 잘못을 해도 ‘너는 터도 못 팔고 고집도 세다’며 혼이 났다. 둘째 언니가 터를 잘못 팔아 태어난 사람은 나고, 내가 터를 잘 팔아 태어난 사람은 남동생이었다. 할머니의 이론대로라면 나는 잘못 태어났지만 터를 잘 팔아 남동생을 낳게 했으니 잘못 태어난 것에 대한 구제를 받은 셈이다. 그러나 터를 잘못 판 둘째 언니는 영원한 죄를 지었기 때문에 구제받을 방법이 없었다. 그래서 언니는 늘 고집이 세다는 누명을 쓰고 나는 늘 착하다는 단어에 억눌린 가면을 쓰게 되었다. 가장 가까운 가족이 특별한 악의 없이 한 말들이 언니와 나를 정신적으로 건강하지 못하게 만든 것이다. 정신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건 남동생도 마찬가지였다. ‘장남’이라는 굴레는 늘 아버지를 대신해야 하는 막중한 임무였기에 모든 것을 누릴 수 있었지만 뭐든지 잘해서 부끄럽지 않은 ‘장남’이 되어야 했다. 결국, 우리 모두 가족이 만들어 놓은 굴레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아동문학을 시작하면서 가족서사에 가장 많은 관심을 갖게 된 이유도 바로 이런 굴레들이 지금의 나를 만들었다는 생각 때문이다. 그리고 이런 굴레의 대부분은 우리 가족 스스로가 만든 것이 아니라 가부장제가 만든 모순이었다. 가부장제는 남성가장이 아내와 자식들을 지배하는 가족제도로서, 농경시대부터 시작하여 근대까지 견고하게 이어져오고 있는 것이다. 결국 따지고 보면 인류 역사의 가족 제도는 모권 사회의 붕괴 이후 줄곧 가부장제의 지배를 받아왔다고 할 수 있다. 근대가 표방하는 평등과 자유라는 가치도 역시 가정 내에서 통용되지 않았고, 오히려 가족이 가부장제라는 사회적 이데올로기를 유지시키는 도구로 작동하면서 여성과 아이에게는 억압과 질곡이 된 측면이 있다. 이러한 억압은 여성에게는 강요된 ‘모성애’로 아이에게는 ‘동심 천사주의’로 재탄생 되었다. 여성은 ‘모성애’를 가진 존재이기 때문에 자신의 모든 것을 희생해서라도 아이를 돌보고 지킬 수 있다는 억지스런 ‘모성애’ 이론은 여성에게 직업과 가정이라는 두 개의 짐을 안겨 주었다. 더군다나 ‘모성애’를 느끼지 못하는 여성들은 죄책감에 시달려야 했다. 어린이도 ‘동심 천사주의’라는 왜곡된 이데올로기에 시달려야 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우리는 흔히 어린이를 순수하며 정직한 존재라고 기대한다. 이 점에서 어린이는 ‘인간’이라는 현실적 실체이기보다는 ‘천사’라는 이념적 가상물에 근접해 있는 것처럼 여겨진다. 그 때문에 어른들은 현실의 어린이가 영악하고 때로는 교활하기까지 하며 잔인하면서 무신경한 태도를 보임으로써 자신들에게 친숙한 ‘어른’의 모습을 보여줄 때, 도리어 그들을 낯설어하고 어색해하며 놀라움과 거부감이 교차된 감정 속에서 배신감마저 느끼곤 한다. 이 모든 것은 어린이에게 투영된 ‘어린이라는 관념’에 강박된 결과로서, 어린이의 세계는 더러움과 악, 잔인함과 불순함으로부터 표백된 세계라는 어른들의 관념은 어린이를 옥죄고 죄책감에 시달리게 한다. 어른들이 만든 ‘동심천사주의’는 아이들이 시기, 질투, 미움 등의 인간의 자연스러운 감정을 느낄 때, 마치 해서는 안 되는 무언가를 한 것처럼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지 못하게 하는 또 하나의 굴레이다. 특히 부모에게 억압을 받은 아이일수록 더욱 감정을 숨기고 어른들이 생각하는 착한 어린이의 가면을 쓰게 된다. ‘착한 사람들’은 누군가로부터 많은 억압을 당했다는 뜻이며, 그 억압에 제대로 저항하지 못했다는 의미도 된다. 아이가 어른의 말을 잘 듣는다는 것은 그가 ‘순응적’ 이고 ‘순종적’ 이라는 것이지, 도덕성과는 무관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 잘 듣는 아이를 착한 아이라고 길들이는 것은 이러한 모든 사실을 분별해낼 수 없는 아이에 대한 어른들의 거짓말이다. 어른들은 아이들이 말을 잘 들어 통제 가능한 존재가 되기를 바란다. 통제 가능한 존재는 어린이에게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국가는 ‘가부장제적 가족’을 행복한 가족의 밑그림처럼 제시하고 통제 가능한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개인의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는 사회야 말로 얼마나 통제 가능한 사회인가. 이렇게 자신도 모르게 통제된 사람들은 통제되지 않은 사람들에게 불안감을 느낀다. 말 잘 듣고 착한 아이는 반항하는 아이에게 불안감을 느끼고 가부장적 질서로 이뤄진 가족은 한 부모 가족이나 다문화 가족, 소년, 소녀가족에게 불안감을 느끼며 폭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아이들은 학교에서 조금만 달라도 왕따로 몰리고, 제도권에 들어가지 못한 가족은 그들의 폭력을 피하기 위해 비밀리에 가정을 유지하는 경우도 많다. 나는 많은 아이들이 자신과 다른 환경의 아이들에게 쉽게 폭력을 행사하고 다름에 주눅 들어 하는 모습에 주목했다. 그런 아이들의 대부분은 어른들이 만들어준 틀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기 때문에 죄책감을 느끼지 못한다. 당하는 아이들 역시 자신이 그 틀 안으로 들어가지 못한 자격지심으로 폭력을 받아들인다. 당당하게 폭력과 맞서는 아이들도 많이 있지만 그 아이들 역시 사회적 편견과 폭력이 힘든 건 마찬 가지이다. 가족이 조금이라도 사회가 만든 틀을 지워버리고 아빠, 엄마, 남편, 부인, 자식이 아닌 ‘인간’대 ‘인간’의 만남으로 소통하길 바라며 7편의 작품을 묶었다. 「내 푸름이」, 「엄마 곰, 아기 곰」, 「날지 못하는 새」, 「천사의 음성」, 「바람의 멜로디」 5편은 미혼모 가족의 은지와 입양가족의 영서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연작동화이고 「잠긴 문」, 「아빠가 돌아왔다」 2편은 고학년 소설이다. 모두 가족에 대한 왜곡된 편견과 사랑으로 괴로워하는 아이들의 이야기며, 주제에 따라 세 부분으로 분류했다. 첫 번째, ‘가족, 관계의 양상’에서는 미혼모 가족, 입양 가족, 한 부모 가족, 사고로 신체와 뇌의 일부를 인공 이식한 아버지와 가족이 되어가는 ‘AI가족’의 모습 등 다양한 가족의 모습을 그렸다. 두 번째, ‘폭력과 상흔’에서는 가부장제와 모성애, 가족에 대한 사회의 편견이 폭력이 되는 모습과 상흔이 되는 과정을 썼다. 세 번째, ‘사랑, 그리고 희망’에서는 사회 편견과 틀을 벗어나 사랑이라는 주제를 통해 ‘희망’을 담아 보았다. I started “Children's Literature” because of the expectation that I could find my true self in my childhood. However, as time went by, I felt that even my childhood self was not my genuine self. There was no me in my personality, choices and, actions. How did myself as this person, come to be? When I was young, the fairy tales I read were “Cinderella”, “Snow White”, or folklore like “Kongjwi and Patjwi”. The main characters in these tales all had pretty faces and kind hearts and were dreaming of knights in shining armor to come rescue them. I despaired while reading them because unlike pretty Snow White or kind Kongjwi, I could not wait to be saved from my reality. Furthermore, my parents had too many daughters that they were ashamed of me for being a girl. They dressed me in boy’s clothes every time we went out. My family and I were constantly changed and sacrificed to the ideology that someone else had created. How I grew up became a starting point of my writing seven works. My five-part series, “My Blue”, “Mother Bear, Baby Bear”, “The Voice of the Angels” and “Melody of Wind” has children from an adoptive family and a single parent family as main characters. The other two books, Locked Door and Daddy's back are for upper elementary students. All my novels portray children suffering from prejudice and distorted love, and I divided them into three parts based on the main themes. The first theme, “Family and Relationships” depicts a variety of families, including single mothers, adoptive families, one parent families, and an “AI Family” family with a father whose body and brain are artificially transplanted after an accident. Second, “Violence and Scars”. This theme is about the patriarchal system, maternal love, and social prejudices against family members becoming violence and trauma. Third, "People and Hope" depicts hope through the idea of love, going beyond social prejudices and stereotypes. I left a lot of regrets when organizing my work. In the five-part series, I wrote that Eun-ji understood her mother and dreamt of happiness with her stepdad, but I couldn't get over the idea that writing her like this was of itself an act of violence. Also, in “Locked Door” I didn't like the way Min-gi justified his mother’s violence. Anna's behavior in "Daddy's Back" is also too passive. Anna's portrayal did not make headway above understanding her abusive mother and hating her father. At the end, Eunji, Young-seo, Min-gi, Anna and their families were myself in ideology. I couldn't deny that they were no longer a portrayal of myself, no matter what role they had in their work. Imagination in my works doesn't allow me to go beyond what I've ever experienced. And to write unique stories I will need way more experience in life, reading, and constant thinking out of the box. If you don’t endeavor, you will have to be content with writing within your boundaries. I will constantly ask the child in my stories whether that is how you really want to be, in hopes I don't have to struggle with my passive image anymore. My literature will always be progressive and growing with my expectation that someday I will meet the real 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