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집단표현예술치료 참여자의 저항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혜진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집단표현예술치료 참여자들의 저항 경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집단표현예술치료 참여경험이 있는 연구 참여자 8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고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의미 구조를 도출하고 구조화하였다. 분석 결과 총 17개의 세부 요소와 6개의 핵심 요소가 발견되었다. 연구 결과에서 도출된 집단표현예술치료 참여자 저항 경험의 핵심 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집단표현예술치료에서 사용하는 여러 가지 예술 활동에서 저항을 겪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낯선 예술매체를 사용해서 내면을 표현하는 예술 활동이 막막했는데, 자신과는 달리 다른 집단원들은 능숙하게 표현하는 모습을 보고 비교하면서 열등감을 느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집단표현예술치료의 짜여진 구조가 답답해서 따라가기 싫었고, 반복되는 예술활동은 지루했다. 또한 여러매체를 사용할 때, 창조적 순환이 일어나도록 무르익는 시간을 갖지 못한 채 다음 활동으로 넘어갈 때 내면 탐색의 흐름이 끊겼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예술 활동을 통해 자신들도 모르게 흘러나오는 듯한 무의식적인 반응들을 경험했다. 이미 해결했다고 여겼던 삶의 주제들을 감각과 이미지로 재경험하는 것이었는데, 불현듯감각이 되살아서 괴로움을 겪기도 했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은 저항이 자신의 미해결 문제임을 알고, 극복하려 노력하면서 치유를 경험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저항을 직면하는 경험을 통해, 상담이나 집단 현장에서 만나는 내담자들을 더욱깊게 이해하고, 일상에서도 선택의 순간에 자신 내면의 지혜를 믿을 수 있게 되었다. 연구 결과, 집단표현예술치료에서 겪는 저항은 비언어적 방식인 예술 활동과 감각을 통해 내면을 탐색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이는 직접적으로 깊은 무의식에 있는 기억들에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의식 차원에서 걸러지지 않은 채로 마주하는 것은 위협적으로 느껴지기도 했다. 따라서 참여자들이 내밀한 저항을 겪고 있을 때 치료자가 집단원들의 상태를 세심하게 살피고 살뜰하게 돌보며, 안전하게 저항을 다루지 않으면 조기종결 되거나 피상적으로 집단에 참여해서 치료적 효과를 거둘 수 없었다. 이 연구는 선행연구가 극히 드물었던 집단표현예술치료에서의 저항에 대해 연구 참여자들의 생생한 경험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 치료적 제언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명상의 부작용에 대한 개관

        정희주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힐링 열풍과 더불어 명상 열풍이 일어나 현재에는 수백만 명이 명상을 하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스트레스 감소 및 통증 완화 뿐 아니라, 신체 및 정신적 어려움을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영역에서까지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명상의 확산과 인기에 비해서 효과의 신빙성 문제나 부정적인 현상들은 제대로 알려지지도 인식되지도 않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비현실적인 기대를 가지고 단순히 건강해지기 위해서 혹은 행복해지기 위해서 명상에 뛰어든다. 최근에는 명상 어플리케이션의 활용으로 인해 적절한 지식이나 지도 없이 명상을 손쉽게 활용하는 사람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기 때문에, 명상을 할 때 나타나는 부작용 및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는 부작용을 예방하고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더욱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명상을 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인 경험들에 대해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고, 원인 및 해결방안을 제안하여 명상을 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I장에서는 연구목적을 밝히고,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방법에 대해 소개하였다. 선행연구 고찰에서는 국내외 명상관련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몇 가지 문제점에 대해 고찰하고, 국내의 명상관련 부작용 연구들의 의의 및 한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명상을 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을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정신역동적 관점에서는 자아의 치료적 분열과 구조적 변화를 감당할 만큼 분화된 자기감이나 통합된 자기구조를 가지지 않은 경계선, 자기애적, 분열성 등의 성격장애를가진 사람들이 겪을 수 있는 명상의 부작용에 대해 기술하였다. 자아초월 심리학적 관점에서명상의 부작용으로 언급하는 전초오류, 영적우회, 영적인 방어와 공격적 방어, 영적 위기에 대해서 정리했다. 부작용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에서는 해외의 부작용 연구 사례들을 통해 명상의 부작용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사람들에게, 어떻게 경험되어지는지를 검토했다. 또한 명상기반 치료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부작용에서는 프로그램을 끝까지 완수하지 못하는 요인들, 증상의 정도 및 시기에 따라 달라지는 효과, 프로그램에 적합하지 않은 증상 및 성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명상단계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에서는 Ando Osamu와 Epstein이 제시한 것을 살펴보았다. Ando Osamu는 준비 훈련기, 집중 명상기, 통찰적 명상기, 영적 위기의 네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에서 나타나는 구체적인 현상들을 제시했고, Epstein은 예비 명상수행, 집중명상, 마음챙김명상, 통찰명상의 각 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역동과 위험에 대해 설명하였다. 심각한 정신병의 유발 등 심각한 해가 될 수도 있는 부작용도 있었으며, 이와 달리 발달 단계에 따른 자연스러운 경험이나 순기능으로 작용하는 부작용들도 있었다. Ⅲ장에서는 부작용의 원인 및 해결방안에 대하여 명상 및 관련 요인, 명상가(참가자) 요인, 명상지도자 요인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명상 및 관련 요인에서는 동양과 서양의 사고방식의 차이, 명상과 정신치료의 상호 보완의 필요성, 불교적 맥락에서 치료적 맥락으로의 변용, 치료할 부작용과 극복할 장애의 구분, 명상 프로그램에 적합한 성향, 명상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 부작용에 대한 사전고지 및 사후관리, 개인맞춤형 명상법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명상가(참여자) 요인에서는 명상에 대한 명확한 개념적 이해, 명상을 하는 올바른 의도, 명상을 하는 올바른 태도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명상지도자 요인에서는 이론과 경험을 갖춘 숙련된 지도자의 필요성, 심리 및 심리치료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이 연구는 명상을 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인 경험들에 대해 다양한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살펴보고 원인 및 해결방안을 제안하였다. 명상관련 부작용의 발생가능성을 아는 것만으로도 예방효과가 있으며 적절한 대응책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연구를 통해 명상을 하거나 명상을 치료적으로 활용하는 연구자들에게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연구에서는 명상의 종류를 구분하지 않고 부작용을 분석한 한계가 있으므로 차후에는 다양한 명상법에 따른 부작용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한 기후환경운동가의 생애사를 통한 자아초월적 삶의 이해

        문윤형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자아초월심리학에서는 의식의 수직적 상승만을 자아초월이라고 여기지 않으며, 현실과 조화를 이루고 피부에 둘러싸인 자아를 넘어 얼마나 확장된 자아를 경험하는가를 자아초월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추상적 개념인 자아초월이 어떻게 한 개인의 삶 속에서 구체화될 수 있는지를 탐구해 보고자 생애사 연구라는 질적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환경운동가인 연구 참여자가 개인적 삶에서 공동체적 삶으로, 또 지구와 생태를 위한 활동으로 의식을 확장해 나간 생애 과정을 살펴봄에 있어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는 ‘연구 참여자의 삶에 전환을 가져온 사건과 만남이 무엇이며, 이를 통해 그는 어떤 삶을 살아가게 되었는가?’ 이며, 둘째는 ‘연구 참여자의 삶 속에 드러난 자아초월적 특징은 무엇이며, 그 특징은 어떠한 배경 속에서 발현이 되었는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의 삶 속에 드러난 자아초월적 특징을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는 그가 개인적인 문제에 집착하고 골몰하기보다 더 많은 이들에게 당면한 공통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면서 결과적으로 개인적인 문제를 넘어 성장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둘째는 공동체의 배치 속에서 사람들과 가치를 공유하고 서로를 돕고 지지함으로써 더 큰 시너지를 경험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셋째는 인간적인 만남과 소통이 그의 활동을 이룬 중심이라는 점이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의하면 연구 참여자의 삶의 과정은 궁극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일에 의해 동기부여 되었으며, 이는 외부에 있는 목표나 결과를 지향하는 형태가 아닌 자기를 만들고 경험하는 형태의 자기생산 활동이었다. 이러한 삶의 태도는 자연스럽게 수단과 목적이 일치하며, 외적인 결과를 떠나 과정 자체에 만족할 수 있도록 도왔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자아초월심리학에서 비교적 간과 되었던 실천적 삶의 중요성을 조명했다는 점이다. 둘째는 생애사 연구를 통해 자아초월적 삶을 지향해가는 과정과 배경에 대한 구체적인 탐색이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단순히 외적으로 드러난 사회 참여적 활동이 곧 자아초월적 삶은 아니며, 얼마나 자아중심성에서 멀어진 내적 동기를 가지고 살아가는지가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In the field of transpersonal psychology, heightened consciousness is insufficient as to describe transpersonal state of mind. Living in harmony with the reality and the extent to how one experiences the self beyond the personal level of the psyche are also considered critical elements of being transperson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abstract concept of being transpersonal can be embodied in an individual's life using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this study, two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to examine the lifelong process of the participant who is a climate environmentalist and have expanded his consciousness from personal to community, to activities that help save our environment and earth. The first is “What were the events and encounters that led to transition of the participant’s life and how did he live after that?” The second is “What are the transpersonal characteristics in the participant’s life and in what circumstances were they usually demonstrated?” This research reveals the participant’s transpersonal characteristics in three aspects. First, he has grown beyond himself when he tried to solve the common problems of the general public rather than focusing on his personal difficulties. Second, he has experienced greater synergy by sharing values with people and supporting each other in the arrangement of the community. The third is that his activities were centered on encounters and communication with the people.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study, the participant was motivated by pursuing the ultimate values, which can be reinterpreted as autopoiesis(self-production) contrary to accomplishing external goals and objectives. With such attitude of life, means and the purpose naturally coincide with one another, helping one to be satisfied in the process itself regardless of the outcom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ractical life which was relatively overlooked in other studies of transpersonal psychology. Second, the study is noteworthy as a detailed examination of the process and background of self-transcendent life through life history research. Finally, it can be seen from the study that the extent to how much one participates in socially engaged activities does not equate the level of self-transcendent life he is living. Instead, living with inner motivation away from self-centeredness is more important aspect when it comes to being transpersonal.

      • 일러스트 프로그램을 활용한 캐릭터 디자인 지도 방법 연구 :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정원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미술 교육에 있어서, 디자인 교육은 현대 산업사회나 미래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지식과 정보의 전자화를 통한 제작시간의 단축, 비용절감 및 제품 차별화로 경쟁력을 꾀하고자 사람들은 최첨단의 기능을 갖추고 있는 컴퓨터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컴퓨터가 제공하는 관련 분야의 기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시대에 발맞추기 위해서 중학교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 시대에 맞는 변화가 있어야 함을 절실히 느끼고, 특히 배우는 학습자의 관심 대상이 되는 컴퓨터 교육 중 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한 교육의 체계와 방법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중학교 미술교육에 있어서 미래사회에서 요구하는 폭넓고 깊이 있는 지식과 기능에 대한 도움이 될 수 있는 컴퓨터 그래픽을 미술교육의 일환으로 활용하여 현장에 적용, 컴퓨터 교육의 흥미를 높여 학생들의 미술에 대한 소질과 잠재력을 신장시키며, 나아가 획일적인 미술수업에서 벗어나 학생들에게 흥미를 유발시켜 표현력을 길러주기 위해서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을 활용한 캐릭터 디자인 지도 학습 요소를 추출하여 그에 필요한 학습 자료와 일러스트 프로그램을 활용한 캐릭터 디자인 수업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작품분석과 컴퓨터 그래픽 수업을 하기 전과 수업을 실시한 이후의 설문지 분석을 통해 학생들이 컴퓨터를 미술 도구로 활용하였을 때 새로운 미술도구에의 흥미로 적극적인 수업 참여와 매체의 다양성을 활용한 새로운 창의적 표현 활동으로 학생들에게 창작세계의 재미를 줄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으로 첫째,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교수·학습방법이 학생들에게 흥미를 유발시켰으며 미술시간이 즐거운 학습시간으로 운영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둘째, 일러스트 프로그램을 활용함으로써 학생 개개인에 적합한 개별화 수업을 할 수 있어서 창의성 계발에 효과적이다. 셋째, 컴퓨터 그래픽의 프로그램인 일러스트 프로그램을 디자인 교육에 적용한 후 효율성을 디자인 교육의 수작업과 비교 분석한 결과, 새로운 미술도구로서의 필요성과 가능성 그리고 기대되는 효과를 찾아볼 수 있다. 넷째, 컴퓨터를 이용한 미술교육은 학생들의 동기유발과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유도 할 수 있다. 다섯째, 자연스럽게 컴퓨터에 흥미를 갖게 하고 친숙해져, 정보화 사회에 뒤지지 않는 자신감을 길러 줄 수 있다. 이러한 결론으로 비추어 볼 때 다양한 기능을 갖춘 컴퓨터 그래픽은 표현 기술이 부족한 학생들도 자신의 아이디어를 의도한 대로 표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작품에 대한 높은 성취감과 만족감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런 부분에서 새로운 미술도구로써 컴퓨터는 표현 활동하는 데에 손색없는 미술도구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컴퓨터 프로그램 중 일러스트 프로그램을 활용한 실기 수업 학습 모형과 학습 방안이 디자인 영역의 학습도구로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The education of design plays a crucial role in industrial societies. This study suggests to use the Adobe illustration program, which many students are interested in, in order to keep pace with the times. In addition, this study demonstrates how to apply computer graphic programs as a tool of art education to help students obtain skills and improve their potential abilities along with the increasing their interests in art. This study came to four conclusions. First off, students are becoming interested in classes with design programs. This fact proves that the design classes are highly valued by students. Secondly, each person has had much success in developing creativity where individual teaching hasn’t been possible. Thirdly, illustration program will be needed as a new device after learning it at the art classes. Finally, the program inspires students to become positively involved in the classes. Based on these conclusions, it turns out that those who do not have enough skills to produce art, become able to express their own emotions and creativity via these computer programs. Computers are the wonderful means for demonstrating these emotions especially for those particular kinds of students. As the study suggests, the Illustration program can be used as a great pathway to learn and create art.

      • 뇌기능분석을 통한 만다라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성 연구 :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한 뇌파검사와 신경심리검사를 중심으로

        차현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만다라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성을 객관적인 방법으로 입증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기존 만다라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성을 입증하는데 불가피하게 개입되었던 주관적 평가를 최소화하고자 마음의 생물심리학적 토대인 뇌 기능을 측정하는 뇌파검사도구와 신경심리검사도구를 이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의력 저하, 비활성화 상태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뇌파를 측정하여 주의(θ/SMR), 정신적 스트레스(H_β/α), 활성화(L_β 비대칭), 집중(L_β/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변화율에 대한 검증을 확률적으로 확인한다. 또한 뇌파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만다라 그림과의 상관성을 질적분석하며, 전두엽 관리기능의 효과성을 윌콕슨 방식의 통계로 제시한다. 이와 같이 객관적이면서도 타당도 있는 면밀한 분석방법을 시도하여 만다라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성을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대상자는 2011년 12월 경기도에 위치한 상담센터에서 공고하였으며, 미술치료에 관심 있고, 자신을 탐색하고자 하는 욕구와 심리상태에 대한 궁금증을 갖고 있는 주의력이 저하와 비활성 상태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모집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매회기 출석 가능한 8명으로 최종 선별하였다. 프로그램은 2012년 2월부터 3월까지 주 2회 90분씩 10회기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만다라 집단미술치료의 효과를 객관적이면서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기획된 연구이므로 만다라 기법만을 중심으로 기획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하고자 뇌파검사는 BES-2000, 전두엽 관리기능 검사는 표준화된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로 사전, 사후, 후처리(프로그램 종결 2개월 후)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효과를 면밀하게 검증하고자 매회기 사전, 사후에 뇌파검사를 실시하였다. 뇌파검사는 정량분석을 위해 EEG 데이터를 파워스펙트럼 분석하였으며, 전두엽 관리기능검사 통계는 대응표본인 프리드만(Friedman) 검정법을 실시하였고, 만다라 그림은 뇌파 측정을 토대로 질적분석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1에서는 만다라 집단미술치료 참여 이후 뇌파에 효과적임을 확인할수 있었다. 첫째, 만다라 집단미술치료 참여 이후 주의(θ/SMR)에 관한 결과는 주의기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만다라 집단미술치료 참여 이후 정신적 스트레스(H_β/α)에 관한 결과는 정신적 스트레스(H_β/α)가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만다라 집단미술치료 참여 이후 활성화(L_β 비대칭)에 관한 결과는활성화(L_β 비대칭)기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만다라 집단미술치료 참여 이후 집중(L_β/α)에 관한 결과는 집중(L_β/α)기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만다라 그림분석과 뇌파분석과의 상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2에서는 만다라 집단미술치료가 성인여성의 전두엽 관리기능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 째, 만다라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와 뇌기능과의 상관성을 객관적으로 규명하고자 뇌파검사와 신경심리검사를 시도하였다. 둘 째, 만다라 집단미술치료 효과의 변화율을 면밀히 제시하고자 매회기사전, 사후 뇌파검사를 측정하여 확률적인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셋 째, 만다라 집단미술치료 효과의 지속시간이 3.5일 이상 유지하기가어렵다는 새로운 결과를 도출하였다. 넷 째, 만다라 집단미술치료 참여 이후 신체적 스트레스(δ/α)가 감소됨을확인하는 추가적 결론을 밝혔다. 본 연구의 제한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 째, 특정 지역(경기도)에 거주한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선별했으므로 성인여성에게 만다라 집단미술치료가 효과적이라고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둘 째, 참여 대상자가 8명이라는 한계가 있으므로 보다 많은 구성원을 통해 본 연구를 재검증할 필요가 있다. 셋 째, 전두엽 관리기능의 하위 요인인 주의영역, 언어영역, 시공간영역, 기억영역을 세분화하여 뇌 기능의 영역과의 명확한 관련성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넷째, 만다라 집단미술치료의 지속성이 3.5일에 미치지 못한다는 사실로부터 다음 프로그램에 참여할 때까지 3.5일 이내에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향후 만다라 집단미술치료 효과의 지속기간에 대해서는 본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mandala group art therapy through brain functions analysis using brainwave test and and standardized neurophysiological test. For this purpose, a counseling center in Gyeonggi-Do has invited adult females who wanted to search for her own self and had curiosity towards her mind. Eventually, 8 adult females who showed low state of attention and activation were chosen by researcher and have participated in mandala group art therapy program. Each session was offered by researcher with 90 minutes, 10 sessions from February to march in 2012. For testing the efficacy of mandala therapy program objectively, participants’ brain wave was tested using BES-2000, and their prefrontal lobe’s executive functions were tested using Kim’s neuropsychological test. Also, 8 female participants’ brainwaves were tested in each session before and after the mandala group therapy to examine the effect of this program carefully.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brainwave tests of research participants, their EEG (electroencephalogram) data were analyzed with power spectrum. And their results of Kim’s neurophysiological tests were analyzed through Friedman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research 1, the mandala art group therapy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adult females’ brain wave. First, after the program, female participants’ attention (θ/SMR) was improved significantly. Second, after the program, female participants’ mental stress (H_β/α) was improved significantly. Third, after the program, female participants’ activation (L_βasymmetry) was improved significantly. Fourth, after the program, female participants’ attention (L_β/α) was improved significantly. Fifth, qualitative analysis of female participants’ mandalas reflected their brainwave test results. In research 2, the mandala art group therapy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adult females’ prefrontal lobe’s executive function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sing brainwave tests and Kim’s neurophysiological tests, this study shows that mandala art group therapy is related to brain function. Second, using brainwave tests, this study shows the female participants’ rate of change of before and after the each session. Third, it suggests that the mandala art group therapy’s effects lasted for 3.5 days. Fourth, it shows that after the mandal art group therapy female participants’ physical stress (δ/α)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a bit hard to generalize this result to every adult female, because this study’s participants were adult females living in Gyeonggido. Third, it is needed to examine the lower components of prefrontal lobe’s executive functions such as attention area, language area, time-space area, memory area more in detail and their inter-relationship. Fourth, from the result that the mandala art group therapy’s effects lasted for 3.5 days, it can conclude that it is advisable to set the term between each session within 3.5 days. It is needed to examine more carefully the mandala art group therapy’s duration of the effects.

      • 불교 출가자의 움직임중심 표현예술치료 체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움직임을 통한 영성의 체화를 중심으로

        김미애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한 불교 출가자의 움직임중심 표현예술치료 체험을 통한 몸과 영성의 통합에 관한 연구이다. 움직임중심 표현예술치료는 신체, 정서, 인지, 영성 수준의 상호작용을 강조함으로써 인간의 전체성을 회복하고자 한다. 그러나 움직임중심 표현예술치료가 영성을 의미 있게 포함하는 것에 비해서 실제 치료 현장이나 교육에서는 영성의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움직임을 통한 영성의 체화 과정을 밝히고, 그러한 과정이 심리치료에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는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고 다양성이 확보된 한 불교 출가자를 사례로 질적 사례연구를 했다. 2016년 3월부터 2017년 5월까지 연구 참여자의 움직임중심 표현예술치료 체험을 참여관찰과 심층 면담하였고, 수집한 자료를 통해 기술, 분석, 해석하였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의 주변인 4명의 추가 면담 자료를 연구에 포함했다. 연구 참여자는 법랍 20년의 불교 출가자이고 주로 간화선 수행을 했다. 또한 연구 참여자는 움직임중심 표현예술치료 전문가 과정의 모든 교육을 마쳤고, 국내외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에 꾸준히 참여했다. 현재 연구 참여자는 법회, 불교 강의 외에 움직임을 활용한 명상 수행 지도, 움직임중심 표현예술치료를 접목한 포교 활동을 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는 억압한 무의식과 감정을 움직임중심 표현예술치료를 통해 해소, 변화시켰다. 이 과정에서 예술적 승화로 발현된 창조성과 지혜는 삶에서의 성장으로 연결되었다. 심층적인 알아차림은 내적 경험들에 초점을 맞추는 과정에 필수 요소였는데, 이를 통해서 신체, 정서, 인지, 영성 수준 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신체 알아차림은 몸과 영성의 통합에 주요 조건이었다. 신체알아차림은 그라운딩을 유도하고, 움직임은 영성의 체화를 가능하게 한다. 연구 참여자는 움직임으로 불교의 ‘연기법(緣起法)’과 “본성”을 체험함으로써 “움직임속의 선(禪)”이 가능해졌다. 이를 통해 연구 참여자의 수행은 불교 수행에서 움직임중심 표현예술치료로 확장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움직임중심 표현예술치료 분야에서 몸과 영성의 통합에 관하여 단일 사례로 연구한 첫 질적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는 움직임중심 표현예술치료의 심신치유 과정, 몸과 영성의 상호작용을 세밀하게 심층적으로 탐구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움직임중심 표현예술치료 뿐만 아니라 심리치료분야의 전문가들에게 신체, 정서, 인지, 영성 수준의 상호작용과 영성의 치료적 기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몸과 영성의 통합에 관한 사례가 관련 후속 연구의 학문적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 빛과 그림자를 통한 내면적 표현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이미예 경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Light, object, shadow were used as pictorial motives to depict poetic rhythm in one's own work. In this work, the author oneself communed with nature through empathy. The mutual relationship and pictorial motives from metaphorical expressions show the very nature of human being, sexual impulse, and feministic images such as narcissism. Those may account my very self or another hidden self. This paper was aimed to study the expression of light and shadow, enjoying the essence and vitality of nature from daily routines. It studies aesthetic consciousness of shadow while demonstrating truth or delusion of an object in nature. Also, the connection between nature and light, object, shadow are regarded as psychological and instinct sense of myself. In addition, self-discovery or inner beauty of an object are applied to creating work demonstrating reconstructed image from the object. This paper covers the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light and shadow, theoretical background, the expression of objects. On the other hand, in the painting, the expression of color, space and shape are looked deeply. Light and shadow, in this work, is not concrete form through truth or delusion of nature, but reconstructed figures which are combined with inner image of an object. The light and shadow also try to approach visible or invisible ambivalent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Not only my inner world(loves, memories, dreams, desires, daily lives, and so on), but also my raw emotions are reflected. The image of shadow, which is formed by light, shows psychological emotion and lyricism and it is depicted as rather than original colors or shapes but metaphorical colors and figures. Objects in the work are trees or flowers, which are formative elements exhibiting strong vitality of nature. This study helps me to commune with nature directly and indirectly, and encourages my artistic inspiration so that I could express inner creativity. Numerous shapes and images help me to commune with objects, and they become the light and the shadow in my artistic world. 작품에서 감성적으로 내재된 시적(詩的) 운율의 표현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빛, 사물, 그림자는 회화적 모티브가 되었고 자신의 감정이입을 통한 자연과의 상호교감과 소통이 되었다. 상호관계의 설정과 은유적 표현이 주는 회화적 모티브는 본질적 자아와 성적 충동 그리고 나르시즘과 같은 페미니즘적인 이미지를 보여준다. 이것은 본인이 가지고 있는 본질일 수도 있고 또는 숨겨진 또 다른 자아일 수도 있다. 본 논문은 일상의 체험을 통해 축적 된 자연에 대한 본질과 생명력을 음미하면서 작품의 중심 소재인 빛과 그림자의 표현 방법을 자연의 이미지로 비교, 연구하였다. 자연 속에서의 사물의 실상과 허상의 관계를 표현하면서 그림자에 대한 미의식을 연구하고, 자연현상과 빛, 사물, 그림자의 연관성을 본인의 심리적이고 본능적인 느낌으로 해석하였고 대상으로부터 재구성화된 이미지를 색채가 갖는 특성을 활용해서 표현해봄으로써 자아 발견 혹은 사물의 내면적 표현을 작품 창작 활동에 적용하였다. 본문에서는 빛과 그림자에 대한 개념과 특성 및 이론적 배경과 사물의 내면적 표현 및 방법을 위한 철학적 접근을 하였고, 회화에서는 색채와 공간 그리고 형태의 표현을 고찰하였다. 본인의 작품은 자연의 실상과 허상을 통한 구체화된 형태로서의 재현이 아니라 내부의식과 동질화되어 재구성된 빛과 그림자이며, 내면의식의 이미지를 재현함으로써 사물의 보이거나 보이지 않는 양면적 특성에 접근을 시도하였다. 자신의 내면세계(사랑, 추억, 꿈, 욕망, 일상)를 투영하였고, 꿈틀거리는 원초적 감성을 작품에 전이(轉移)시켰다. 빛을 통해 형성된 그림자의 이미지는 화면 속에서 색채와 함께 심리적 감성과 서정성을 부여하였으며 본래의 색이나 모양보다는 은유적인 색채와 형태로 표현되었다. 작품에서 표현된 대상은 자연 속에서의 나무나 꽃들이며 그것들은 강한 생명력을 나타내는 조형 요소로 창작 활동에 중요한 소재가 되었다. 본 작품 연구는 자연과의 직간접적인 대화를 이루었고 예술적 영감을 고양시켜 본인의 내재된 창의력을 표출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자연과 인간의 관계 속에서 수많은 형상과 이미지는 자신과 대상물의 교감을 형성하여 잠재된 나의 작품세계에 빛과 그림자가 되었다.

      • 성직자의 상담자 역할 통합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정원경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의 목적은 성직자의 역할을 수행하던 중 심리상담을 전공하고 상담자 역할을 통합해 나가는 참여자들의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고자 함이다. 이를 통해 종교적 신념이 내재화 및 외재화되어 있는 참여자들이 상담자의 역할을 어떻게 취하고 통합의 과정에서 경험하는 변화와 성장의 요소, 유의할 점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는데 의의가 있다. 최근 한국에서는 급격한 사회변화에 따른 스트레스로 인해 심리학이 인기를 끌고 상담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전통적으로 치유의 역할을 맡았던 종교계에서도 심리상담에 대한 관심과 접목이 늘게 되었다. 한편 가치중립성을 지향하는 상담계에서도 상담자 자신 또는 내담자의 종교성과 영적 가치에 대한 언급과 훈련이 없는 상황에 갈등과 한계를 느끼게 되고 신앙 즉 종교적 가치와 상담의 통합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이 연구는 인간의 정신적 지향성과 삶의 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종교와 상담의 영역이 상호보완적인 노력과 통합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이 연구 참여자인 성직자는 특정 종교인으로 한정하지 않고 한국의 보편적인 종교비율에 맞춰 불교의 스님, 기독교의 목사, 천주교의 신부와 수녀로 하여 고른 분포를 두었으며, 신 중심의 종교와 구별되는 불교 계열의 비율을 맞추기 위해 원불교 교무를 2인 추가하여 총 11명을 선정하였다. 참여자는 10년 이상의 성직생활을 하고 있으면서 일반 상담대학원 전공수련을 경험하였고 상담자 역할을 병행하고 있거나 통합하고자 하는 방향성을 모색하는 이들이다. 총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3월부터 2015년 4월까지였고 참여자당 1~2회씩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진술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체계적인 의미단위로 분석하고 구조화하여 주제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는 총 32개의 하위구성요소로 묶여서 8개의 핵심요소로 범주화되었으며 주제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구성요소는 ‘성직자로서의 역할에 한계를 느끼며 성장의 욕구로 상담자의 길을 선택함’이다. 참여자들은 자기 소신에 따라 성직의 길에 입문하였고 자신과 타인을 보다 잘 돕고자 하는 소명의식을 가졌으나 제도 안에서의 갈등과 한계를 경험했다. 이들은 자발적으로 또는 권유에 의해 심리학과 상담을 접하게 되고 보다 더 성장하기 위한 욕구로 상담자의 길을 모색하게 된다. 두 번째 구성요소는 ‘상담을 받으며 종교적으로 풀지 못한 심리적 문제를 치유하고 강박적인 태도에서 벗어남’이다. 참여자들 다수가 상담을 받는 경험을 가지면서 종교 안에서 개방하기 어려운 문제나 다루지 못했던 심리적 미해결문제를 조망하고 치유가 일어났다. 성직자의 삶 안에서 축적된 그림자와 관계패턴을 점검하면서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수용하게 되고, 종교적 강박에서 벗어나 현실적인 자기변화를 촉진하게 된다. 세 번째 구성요소는 ‘상담이론 및 기법을 통해 인간을 이해하는 스펙트럼이 넓어짐’이다. 참여자들은 심리학과 상담이론 및 다양한 기법들을 배우면서 인간을 대하는 시각이 폭넓어지고 문제해결을 돕는 방법론을 각자의 방식으로 활용한다. 한편 인간을 영적인 존재로 간주하는 참여자들은 심리학적 관점과 영성과 종교성을 다루는 영역이 상호보완적으로 필요하다고 여기게 되면서 이에 대한 통합의 방향을 모색한다. 네 번째 구성요소는 ‘성직자의 정체성이 상담에 영향을 미침을 인식함’으로 참여자들이 성직자의 외적 정체성(persona)을 상담 장면에서 자각하는 부분이다. 이는 참여자 스스로가 도덕적 권위의 대상으로 작용하는 페르소나를 내면에서 의식하는 경우와, 내담자가 가지는 성직자에 대한 선입관과 종교적 태도가 개입되는 경우로 크게 구분되었다. 상담관계에서 성직자 생활의 특성이 가져오는 이질감도 있었으며, 성직자에 대한 내담자의 기대와 편견은 이점과 장애로서 동시에 작용했다. 다섯 번째 구성요소는 ‘종교적 틀이나 이론에서 벗어나 인간실재를 마주하며 깊은 연민과 참자기에 대한 믿음이 증대함’ 이다. 참여자들은 일반 상담을 통해 성직자의 기준을 내려놓고 상담자의 역할에 몰입하게 되는데, 다양한 어려움에 처해 있는 내담자들의 고통을 수없이 접하면서 기존에 지니고 있던 종교적 규범과 틀에서 유연해지고 수용력과 연민이 증대하였다. 점차 참여자들은 체험에서 우러나오는 공감능력이 늘고 특정한 이론적 관점보다는 있는 그대로의 현상을 직관하는 창조성이 더 중요하다고 여기게 되며, 인간 본성에 내재한 잠재력의 힘을 더욱 신뢰하게 된다. 여섯 번째 구성요소는 ‘성직자로서 상담자 역할을 자리매김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함’이다. 참여자들은 성직자로서 상담전공수련을 이어나가며 상담자 역할을 어떠한 형식으로 취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이어진다. 성직의 일환으로 상담을 하게 되는 경우에도 종교조직에서 요구되는 여타 업무와 대우에 의해 나름의 애로사항이 생기며, 자의에 의한 선택일 경우에도 공동생활이나 전문적인 역할기대에 따른 정체성 갈등이 일어난다. 참여자들은 성직생활과 상담교육과정에서 갈등을 함께 경험하면서 자신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현실적인 방향을 설정하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 나가게 된다. 일곱 번째 구성요소는 ‘종교와 상담이 상호보완적으로 시너지가 일어나며 온전한 성장으로 나아감’이다. 참여자들은 상담과 성직생활을 겸하며 삶에서 총체적인 변화가 찾아왔고 점차 양방향에서 시너지가 일어나며 상담자로서의 자원이 풍성해진다. 참여자들은 스스로 종교와 상담이 갖는 한계를 삶에서 경험했고 이에 대한 통합을 모색하는 것이 온전한 성장으로 나아가는 방향이 된다는 것을 확신하게 되었으며 통합과정에서 자기충족감을 체험했다. 특히 온전한 성장을 위해서는 인격적 성숙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종교적 수행과 심리학적 자기성찰이 병행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성직자이면서 상담자인 자신의 역할에 의미를 두게 된다. 마지막 여덟 번째 구성요소는 ‘종교에 뿌리를 두고 상담자의 정체성을 통합하여 궁극적 삶의 비전을 만듦’이다. 참여자들은 성직자의 자리에 기반하여 상담자 역할을 통합해 나가는데 두 역할을 하는 본질적인 목적을 종교적인 바탕의 근원적 지향점에 두고 있기에 동기의 차이가 없다고 여긴다. 참여자들은 내면적으로는 통합된 성직자이자 상담자의 정체성을 가지면서 외적으로는 필요에 따라 전문적 정체성에 따른 역할을 분리하거나 통합하여 수행하는데 있어 구애를 덜 받고 자기중심성을 확보하게 된다. 특정 종교에 몸담고 있지만 진리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관점을 확립하게 되고 상담자의 원칙과 함께 종교적 핵심원리와 기법이 모든 상담에 자연스럽게 녹아든다. 통합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인간적인 갈등과 고통을 경험하였고 이는 종교의 핵심이라고도 할 수 있는 영성의 닻이 인간 실존에 정박하도록 하는데 기여하였다. 참여자들은 보다 확장된 의식으로 삶의 현장에서 영적 비전이 체화된 상담자가 되고자 하는 노력을 지속해 나간다. 이 연구결과는 상담자의 역할을 통합해 나가는 성직자들이 온전한 개인적 성장과 치유를 경험함과 동시에 양 측면에서 기능하는데 풍성한 자원이 활용되면서 시너지가 일어남을 보여준다. 또한 참여자들은 전일적 존재를 향하여 자신의 페르소나에 의해 억압된 그림자를 통합함으로써 진정한 자아의 확장을 경험하고 공동체와 세계를 향하여 개방적인 자세를 취하게 된다. 참여자 경험의 의미를 종합해서 요약하면 첫째, 통합과정은 온전한 성장으로 가는 삶의 훈련이자, 자기초월을 통해 자기를 확장하고 실현하는 여정이다. 둘째, 성직자와 상담자 역할 상호간에 시너지 효과가 작용하며, 통합은 이상과 현실의 만남의 전개이자 영성의 현존을 관계를 통해 체험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의의는 첫째, 특정 종교의 내부자적 관점이 아닌 통합적 시각으로 보편적인 종교성직자들이 심리상담자 역할을 경험하고 통합하는 현상의 본질을 탐색하고자 한 국내 최초의 질적 연구이다. 둘째, 성직자이자 상담자인 참여자들이 갖는 종교적 목적의 삶의 구현이 상담을 매개로 하여 어떠한 양식으로 드러나는지 통합적 관점의 발달과정으로 살펴볼 수 있었으며 이는 상담자 발달연구에 전생애적 관점이 요구됨을 더욱 시사한다. 셋째, 종교 및 영성과 상담 및 심리치료에 대한 통합 연구와 관련하여 이러한 통합이 실제로 직업적 형태와 개인적 삶에서 어떤 형태로 구축되며, 상호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넷째, 최근 범종교적인 영성과 상담을 결합하는 형태, 또는 자아초월적인 상담모델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으나 실제 그것을 수행하는 주체인 상담자 역할 측면에서는 깊게 다뤄지고 있지 않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을 통해 그러한 모델적 특성의 단면을 살펴볼 수 있었다는 의의가 있으며 이는 통합적 영성의 개념을 구축하기 위한 토대가 되는 시도로서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meaning and nature of experiences by religious workers who majored in psychological counselling and took on the role of a counsellor. Through this, the study investigated how the participants with religious beliefs take on the role of counsellor, what are the elements of change and growth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integration, and what are the cautions. Psychology is recently popular due to the amount of stress in people's lives, owing to fast social changes happening in Korea. The situation has brought a surging demand for counselling. Religious groups that had traditionally played a role of healing have shown increased interest in counselling, and have adapted their religious practice to include counselling. On the other hand, counselling groups that pursue neutral value have begun to feel conflict and limitations with regard to the situation in the case that they are not trained spiritually or conscious of the spiritual value of the counsellor or client. So they began to explore an integration of belief, that is, religious value and counselling. The study began from a problematic consciousness that religion and counselling, which directly influence human spiritual pursuits and attitude toward life, need complementary effort and integration. Participants for the study were not limited to particular religious workers. Their number was equally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Korean religious spectrum - Buddhist monks, Protestant Christian ministers, priests and nuns from the Roman Catholic tradition. And for balance, two religious orkers fro the Won Buddhist tradition were included to represent a faith not based specifically on God. Finally, eleven subjects in total were selected. Qualification for participation is a career as a religious worker (for at least ten years) and a major in counselling at the graduate school level. They also should be experiencing the role of a counsellor or interested to play such a role. The period of collecting data was March, 2014 to April, 2015.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1~2 times with each participant.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 systematic meaning unit according to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Giorgi). Analysis results were bound to 32 sub-structural elements and then, categorized to 8 core elements. The subjec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structural element is 'Feeling one's limit in the role of religious worker, and so choosing the way of counsellor for one's own growth'. The participants became a monk, a minister etc. by their own decision and therefore have the mission to help themselves and others. But they experience conflicts and limitations under the current system. They came to know psychology and counselling voluntarily, or by recommendation, and sought the way to work as a counsellor, being motivated by desire to grow more. The second structural element is 'Healing psychological problems that had not been solved through a religious path, and being free from compulsive attitudes while being counselled'. While participants had been counselled, some of them could see a broad spectrum of problems that are difficult to address within religion, or psychological problems still unsolved, and heal such problems. As they identified dark areas and relational patterns accumulated in their lives as religious workers, they accepted themselves as they were and encouraged themselves to make realistic changes, going beyond religious compulsion. The third structural element is 'Broad spectrum that understands people through counselling theory and skill'. As participants learned psychology, counselling theory, and various skills, their view of human beings became broader and they used their own methods to help solve problems. Participants who regard human beings as spiritual beings realized that the psychological viewpoint and sphere of spirituality are complementarily necessary. Thus, they explored the direction of integration. The fourth structural element is 'Recognizing the influence of religious workers' identity'. This is related to the fact that participants realized their persona within the framework of counselling. This was largely divided to two: one is the case where participants themselves are conscious of their persona, which functions as an object of moral authority in their mind; the other is a case where preconception and religious attitudes about religious workers by clients intervene. There was alienation, which was brought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igious worker's life in counselling. Client expectations and prejudices about religious workers resulted in some benefits as well as obstacles. The fifth structural element is 'Deep compassion and increased belief about one's real self, facing the human reality while going beyond a religious framework or theory'. Participants put away the criteria of religious workers and are committed to the role of counsellor. Perceiving troubles of clients many times, they came to be flexible on religious norms and framework, and their receptive capacity and compassion increased. Gradually, participants gained more capacity for sympathy. They think that creativity with intuition to observe a phenomenon as it is is more important than one's particular theoretical view. They also believe in potential power within human nature. The sixth structural element is 'Exploring a way to play the role of counsellor as a religious worker'. Participants deeply thought on what form they should take as a counsellor, majoring in counselling. Even though they counsel as part of their religious work, there could be difficulties caused by other jobs and situations required by their religious organization. In the case of voluntary choice, conflicts over identity according to community life or expectations for one's professional role arise. Participants set a realistic direction about their own identity and role, and explored methods to strengthen their capacity, while experiencing conflicts in their religious life and the counselling education process. The seventh structural element is 'Going forward to complete growth based on complementary synergy of religion and counselling'. Participants experienced complete changes, doing counselling and religious work together. Synergy in both directions makes abundant resources as a counsellor.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limitations religion and counselling have. They came to be sure that to explore integration is a direction towards complete growth. They also experienced self-satisfaction in the process of integration. Notably, they emphasized that religious practice and psychological self-reflection should be done together. This is because achieving a mature personality is necessary for complete growth. So they put meaning on their role as both religious worker and counsellor. Finally, the eighth structural element is 'Shaping vision of ultimate life by integrating identity of counsellor, taking root in religion'. Participants thought that two roles of religious worker and counsellor have the same motive. Because essential purpose of two roles is to achieve a fundamental goal based on religion. Participants had integrated identity of religious worker and counsellor in mind. Externally, they separated or integrated their role according to professional identity so that they were less disturbed in practicing religiously, and secured egocentrism. Though they are religious workers in a particular religion, they come to have comprehensive views about truth so that the principles of counselling, religious core principles and skills are all naturally melted together in all counselling. In the process of integration, participants experienced conflicts and troubles as human beings. But this made it possible for their anchor of spirituality, which could be core of religion in human existence. Participants continue to strive to be counsellors with embodied spiritual vision in the field of life based on a more expanded consciousness. The study shows that religious workers playing a role of counsellor experience complete personal growth and healing. At the same time, for both roles, abundant resources are used so that there is synergy effect. And participants experience an expanded true self and take an open attitude toward world by integrating the shadows suppressed by their own persona towards holistic existence. The meanings of integration experience for role of counsellor of religious worker -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tegration process is training toward complete growth and is a journey to expand and realize oneself through transpersonal experience. Second, a synergy effect works between the role of religious worker and counsellor. Integration is a development of meeting of ideal and reality, experiencing the existence of spirituality through relationship. The meaning of the study can be expressed as follows. First, this is the first qualitative study in Korea from an integrated view, not from the view of an insider within a particular religion, that has tried to explore the nature of phenomenon that common religious workers experience, and integrate role of counsellor. Second, it could examine the development process of integrated views in what form embodiment of goal of religious life for participants can be disclosed. This implies that study on counsellor's development requires whole-life views. Third, in regards to integrated study of religion, spirituality, counselling, and psychological therapy, the author explored in what form such integration is actually constructed in occupational form and personal life, and how religion, spirituality etc. influence each other. Fourth, recently, interest to connect Pan-religious spirituality and counselling, or the transpersonal counselling model, is increasing. But they have not been deeply dealt with in the aspect of counsellor's role. Through participants of the study, a profile of the characteristics of such model could be investigated. And the study would contribute as a trial which could be a base to construct a concept of integrated spirituality.

      • 한상담 의사소통(본심대화)훈련이 대인관계능력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김분자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한상담의 의사소통(본심대화) 훈련 프로그램이 대인관계능력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S시 공동주택 OO위탁관리회사에 소속된 관리소장 24명을 각각 실험집단과 대기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치하여 실험집단에는 한상담본심대화훈련 프로그램을 주 1회, 회기별 150분씩, 총 12회기로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두 집단의 사후검사 점수에 대해 공변략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상담 의사소통(본심대화)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대인관계 능력 척도의 하위 영역인 처음관계 맺기, 타인에 대한 불쾌감 주장, 자기노출, 정서적 지지 및 조언, 대인갈등 다루기 및 대인관계능력 전체 점수에서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둘째, 한상담 의사소통(본심대화)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심리적 안녕감 척도의 하위 영역인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통제력,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 및 심리적 안녕감, 전체 점수에서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한상담의 의사소통(본심대화)훈련 프로그램이 대인관계능력과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effect of Han Counseling Communication (Real Intense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ha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24 people studied, housing managers working for ABC Housing Management Company,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and waiting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got trained 12 sessions in total, one session a week, each session for 150 minutes. And adopted was ANCOVA (Analysis of Covariance) of points acquired by each group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ose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compared with those in the waiting control group, showed a meaningful improvement in terms of total points they got in posttest on subcategories of IC (Interpersonal Competence) such as starting a relationship, expression of their displeasure to others' behavior, self exposure, expressing emotional support and giving advice to others, and handling of interpersonal conflict. Second, the same was true of subcategories of PSW (Personal Well-Being: SA (Self Acceptance), PR (Positive Relation), AU (Autonomy), EM (Environmental Mastery), PL (Purpose in Life), PG (Personal Growth). The results of the study attested not just to Han Counseling Communication (Real Intense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being effective in enhancing both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ut, further, to its being useful in establishing stabl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curing Psychological Well-Being.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of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