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에서의 활용에 적합한 그림책 분석

        배윤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에 활용하기에 적합한 그림책을 선정하여 그림책의 사회관계영역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생활주제별로 분류함으로써 현장에서 생활주제에 따른 사회관계 영역의 통합적 활동에 적용 할 수 있는 질 높은 그림책의 선정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 내용범주에 따른 그림책 분석은 어떠한가, 둘째,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에 해당되는 그림책은 생활주제별로 어떻게 분류되는가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3년까지 한국에서 단행본으로 출판된 국내외 그림책 중 유아사회교육 내용을 포함한 그림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린도서연구회에서 2012년-2014년에 발간한 <어린이 권장도서목록>과 서울의 대형서점 1곳, 인터넷 서점 1곳에서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에 제시된 ‘나’, ‘가족’, ‘공동체’, ‘지역사회’, ‘우리나라’, ‘세계’, ‘자아존중’, ‘의사소통’, ‘배려’, ‘친사회성’, ‘정서조절’, ‘사회관계’, ‘대인관계’라는 키워드로 검색된 도서 중 ‘유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그림책 142권을 1차로 선별하였다. 유아교육현장에서 실제 적용 가능하며, 사회관계 영역에 활용 가능한 그림책을 선별하기 위해 <유아사회교육>(이은화, 김영옥, 2008) 등 4권의 유아사회교육 교재(조순옥, 이경화, 2013; 차경수, 정문성, 구정화, 1997; 최혜순 2012)와 <유아문학>(박선희, 김현희, 2012), <유아문학교육>(서정숙, 남규, 2013) 등 2권의 유아문학 전공 교재에 제시된 그림책 목록 중에서 247권을 2차로 선정하였다. 그 중 중복되는 도서와 영아용, 아동용 그림책과 사회관계 영역과 상관없는 내용을 다루고 있는 도서를 제외하고 162권을 선정한 후, 그림책 평가기준에 의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기준은 여러 학자들(공정자, 2001; 김선영, 2004; 김세희, 1996; 박선희, 김현희, 2012; 서정숙, 남규, 2013; Hazard, 2000; Jalongo, 1990)이 좋은 그림책이라 평가한 기준을 참고하여 설정하였으며, 평가기준은 주제, 등장인물, 플롯, 문체, 그림 등 5개 요소로 구성하였다. 각 평가 요소별로 4점 이상을 받은 그림책을 선별하여 최종 129권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그림책의 연구문제에 따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3-5세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의 내용 범주를 알아보기 위해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에 제시되어 있는 5개의 내용 범주(상위 범주)와 12개의 세부 내용(하위 범주)을 정리하고, 그림책에 내용 범주와 세부 내용이 나타나 있는 대로 분석하였으며, 그림책에 나타나는 내용 범주는 중복체크 하였다. 둘째,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에 적용하기 위한 그림책을 생활주제별로 분류하기 위해 2012년에 고시된 각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 지도서의 생활주제 및 소주제를 참고하여 제시한 분석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셋째, 분석된 내용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전문가 서평을 참고하였다. 공정자(2014), 심향분과 현은자(2005)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그림책 서평에 있어서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열린 어린이>, <창비 어린이>, <어린이와 문학>에 실린 그림책 서평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서 분석된 내용과 비교 검토하였다. 위 서평지에서 언급되지 않은 그림책의 경우에는 인터넷 책 전문 포털 사이트(book.daum.net; book.naver.com)와 온라인 서점(www.aladin.co.kr)의 도서 소개 및 서평을 검색하여 해당 그림책의 전문가 서평을 찾아서 확인하였고, <유아문학>(박선희, 김현희, 2012), <유아문학교육>(서정숙, 남규, 2013)에 소개되어 있는 서평을 참고하였으며, 유아교육 전문가 1인의 최종 확인을 받았다. 넷째, 사회관계 영역 내용 분석은 누리과정의 사회관계 영역에 해당되는 그림책을 각 범주에 따라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다섯째, 각 그림책의 생활주제별 분석은 각 주제별 해당 그림책 목록을 제시하고, 각 그림책에 포함되어 있는 사회관계 영역 내용을 병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의 상위 범주와 그에 따른 하위 범주별 그림책을 분석하면 ‘나를 알고 존중하기’에 해당하는 그림책은 외적인 조건이 아닌 내면의 가치에 집중함으로써 긍정적인 자아 인식을 갖는데 도움을 주며,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른 사람 또한 존중하는 자세를 가지도록 하고, 자신의 삶을 스스로 판단하여 실천하는 자율성을 갖는데 도움을 준다. ‘나와 다른 사람의 감정 알고 조절하기’에 해당하는 그림책은 다양한 감정을 이해하고, 다른 사람의 감정에 공감하며, 자신의 감정을 상황에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가족을 소중히 여기기’에 해당하는 그림책은 가족의 의미와 소중함에 대해 알게 해주고, 다양한 가족의 형태와 역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가족 간의 갈등을 해결하고 협력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다른 사람과 더불어 생활하기’에 해당하는 그림책은 친구 관계 및 공동체 속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사건과 상황을 통해 친구와 사이좋게 지내는 법, 갈등이 생겼을 때 해결하는 법과 공동

      • 온라인 문자 채팅에서의 교사-한국어 중·고급 학습자 간 오류 수정을 위한 의미협상 양상과 학습자 태도 연구

        손빛나라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ighlight the effects of meaning negotiation that occurs between the student and the teacher that occurs when a student makes a mistake over online text chat, a digital tool that's commonly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first chapter provides the motivation behind the research. The first motivation comes from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iting studies done overseas and English education in Korea, providing a context on the need for this research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 am also motivated by studies of meaning negotiation done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in context of colloquialisms. The second chapter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online text chat as a synchronous CMC tool, using the model of computer-mediated negotiated interaction by Smith (2003). Furthermore, the chapter provides the foundation of the strategies chosen for meaning negotiations by providing context with studies of interactions and reactions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진제희(2004) and 이석란(2009). The paper also utilizes 박선희(2008)'s error correction feedback strategy that utilizes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The third chapter covers the methodology and experimental design. The study focuses on 24 intermediate to advanced level students from China utilizing online text chat. Through a proficiency exam, four pairs of intermediate students, four mixed pairs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students, and four pairs of advanced students were formed and given surveys regarding their affective attitude before the experiment. For the experiment, they had two online text chat sessions, where they would negotiate with teachers over errors. After the experiment, they were given a modified error test and survey measuring their affective attitude. Chapter 4 describes the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experiment with regards to the research question. It begins by report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on the strategies utilized by the teachers during negotiations. Structure of negotiations were categorized by looking at the phase of the student after the teacher's indicators. Furthermore, impact of strategies of negotiations was analyzed across the different phases of negotiations. I categorized triggers by vocabulary, grammar, and etc, and structured the interactions in negotiation by indicators, response, and reaction to the response as well as confirmation and reconfirmation, and by the student and the teacher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differences in traits by proficiency of the language. The paper also covers student's error recognition and acceptance. It showed frequency and the proportion of whether or not the student was able to successfully notice their mistake, and whether or not they were able to correct themselves by proficiency. In addition, it was compared by the structure of negotiations that arose after the teacher's indicators. Using the results of the delayed test, I was able to look at the whether or not the students were able to fix their error and whether or not it persisted. The advanced pair were most successful in fixing their errors, then the mixed pair, then the intermediate pair. The test also indicated that the types of errors made by each of the three groups were different and through frequent meaning negotiation, I could expect that the students are able to sustain their recognition of mistakes and slowly adapt. Finally, through the survey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I was able to see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s were able to develop opinions on online text chats and negotiations. All three groups were significantly more interested in online text chat,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termediate and advance pair on whether or not they would recommend online text chat and overall opinions. All three groups had meaningful differences in confidence and participation. I was able to find characteristics and traits from these results for each proficiency pairs. The study was able to confirm that online text chat, through negotiations of meaning over the errors, the teachers were able to help the students focus on their words and help recognize their own mistake, and through correction and persistence through acceptance the student were able to get closer to learning their language of choice. There's relevance in that I was able to confirm the impact of synchronous CMC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 expect this research to continue.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화 사회의 한국어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디지털 매체 중 언어 학습 도구인 온라인 문자 채팅의 오류 수정적 피드백 상황에서 의미협상 양상과 학습자에 대한 영향을 밝히는 데 있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서 확인해 보았다. 해외 및 국내 영어 교육에서 컴퓨터를 매개로 한 의사소통(Computer-Meditated Communication: CMC) 중 문자 채팅의 학습 도구로서의 특징 및 장점을 알아보고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교사와 학습자 간 의미협상과 오류 수정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고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CMC 도구 중 동시적 매개 의사소통 도구로써 문자 채팅이 어떠한 특성과 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Smith(2003)의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에서의 의미협상 모형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육에서 교사와 학습자 간 반응에 대한 진제희(2004)와 이석란(2009)의 연구와 근접발달척도를 활용한 박선희(2008)의 오류수정적 피드백을 통해 의미협상 전략으로 사용하기로 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방법 및 절차를 밝혔는데, 온라인 문자 채팅 상황에서 중국어권 중급·고급 학습자 24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숙달도 검사 후 중급 간, 중급과 고급, 고급 간 짝 집단을 각 4개씩 설정하였으며 두 번의 채팅과 사전·사후 설문지 및 사후 오류 수정 시험지를 대상으로 삼았다. 이를 이용하여 집단 간 의미협상 양상 및 학습자의 태도를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실험의 채팅 자료를 분석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하였다. 먼저 의미협상 양상과 전략을 집단에 따라 비교하였다. 의미협상의 구조를 빈도 분석하여 대표적인 유형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교사의 신호 후 학습자의 단계에 따라 구조를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의미협상 단계별로 나타나는 교사와 학습자의 의미협상을 위한 세부 전략을 분석하였다. 촉발 단계에서는 학습자의 오류에 한정하여 어휘, 문법 등으로 살펴보았으나, 이후 단계인 신호와 반응, 역반응 및 확인과 재확인 등은 발화자인 교사와 학습자로 나누어 집단에 따른 오류 수정을 위한 의미협상 전략의 특성을 밝혔다. 그리고 의미협상의 반응 및 역반응 단계는 어떠한 의미협상 단계 후에 일어나는지 유형화하여 살펴보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고급-고급 집단에 비해 중급-중급 집단과 중급-고급 집단이 조금 더 복잡한 의미협상의 구조를 나타내며 교사에게 정보를 요청하는 전략을 주로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은 학습자의 오류 인지 및 수용에 대해 분석한 결과로, 의미협상 과정에서 나타난 오류 인지의 성공과 실패 여부를 각 단계별로 살펴보고 오류 인지에서 수정이 나타난 단계의 빈도와 비율을 분석하였다. 반응과 확인 단계에서 중급-중급 집단은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성공률이 비교적 낮았다. 또 교사 신호 후 학습자 단계에 따라 유형화한 두 의미협상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고급-고급은 학습자 반응 유형에서, 다른 두 집단은 학습자 신호 유형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리고 사후 오류 수정 시험을 통해 오류의 수정과 인지 및 실패를 분석하였는데, 고급-고급, 중급-고급, 중급-중급 집단 순으로 수정에 성공했다. 그리고 점수화한 결과를 오류 유형으로 비교했을 때, 형태·통사에서 세 집단이 달랐고 의미협상의 유형에 따라 학습자들이 집단마다 빈번했던 의미협상 과정에서 지속적인 오류 인지와 수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임을 예상했다. 마지막으로 설문을 통해 문자 채팅이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미친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사전에 비해 사후 설문에서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며, 집단 내 두 설문의 결과를 비교했을 때 모두 관심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 때 중급-중급과 고급-고급 집단은 추천도와 종합적 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고급 간 집단은 자신감에서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사후 설문을 집단 간 비교하여 자신감과 참여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문자 채팅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오류에 대한 의미협상을 통해 학습자가 자신의 발화에 집중하고 오류를 주목하게 하며, 인지와 수정으로 나아가 목표 언어에 근접할 수 있음을 추론하였다. 또 동시적 CMC 학습 도구인 문자 채팅에 대해 한국어 교육에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한·중 민족지영화의 서사구조 비교 연구 : KBS <차마고도>와 YNTV <차마고도>를 중심으로

        신철호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15

        한․중 민족지영화의 서사구조 비교연구 - KBS의 ‘차마고도’와 YNTV의 ‘차마고도’를 중심으로 - 신 철 호 조선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지도교수: 박선희) (국문초록) 이 논문은 정치적 이념과 시장주의 이념이 다르고 제작환경이 상이한 한국과 중국에서 동일한 소재를 다룬 민족지영화인 KBS <차마고도>와 YNTV <차마고도>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를 서사구조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우선, KBS <차마고도>와 YNTV <차마고도>의 스토리구조 차이를 분석한 결과, KBS <차마고도>는 차마고도 연변에 살고 있는 다양한 사람들의 삶을 ‘마방과 자연의 생존싸움’이라는 탈국가적인 스토리로 구성하고 ‘설명서’ 형식으로 현지인들의 생활상과 생존방식 및 종교 신앙 등 다방면의 내용을 기승전결의 구성방법으로 엮어서 파노라마식으로 보여준 반면에, YNTV <차마고도>는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어 서로 다른 사건들을 하나의 서사로 묶는 다큐멘터리의 보편적 제작방법을 사용하여 과거와 현실이라는 복수의 스토리 구조 속에 차마고도 연변에서 살아가는 현지인들의 삶의 역사성에 중점을 두고 차마고도의 역사적 의미를 부각하였다. 둘째, KBS <차마고도>와 YNTV <차마고도>의 언술표현방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KBS <차마고도>는 대부분 현장화면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고 필요한 부분만 내레이션으로 해석하였으며, 내레이션으로 전달하기 힘든 세부적인 사항들은 당사자의 인터뷰를 통해 소개하는 방식을 사용한 반면에, YNTV <차마고도>는 시공을 초월하여 서로 다른 지역의 이야기들을 연결하면서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분석하고 결론을 내리는 방식을 사용하면서 대부분의 정보는 내레이션으로 전달하고 영상으로 담을 수 없는 역사적 사실은 인터뷰와 재연으로 처리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셋째, KBS <차마고도>와 YNTV <차마고도>의 영상표현방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KBS <차마고도>는 전체 영상의 92%를 롱테이크를 위주로 한 현장화면으로 구성하여 민족지의 사실적 기록의 원칙을 엄격히 지키면서 마방의 생활과정을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지속적인 장면을 객관적으로 기록하려고 노력한 반면에, YNTV <차마고도>는 현장화면 49%, 재연 35%로 차마고도에서 이름을 날린 두 여자 마궈토들의 삶을 보여주었다. KBS <차마고도>는 픽스로 시각적인 안정성을 기하고 다양한 앵글로 된 롱테이크나 팬 등으로 과정의 연속성을 보장하였기 때문에 화면흐름의 전반적인 리듬이 느리지만, YNTV <차마고도>는 단일숏의 병치가 많아 화면흐름의 리듬이 상대적으로 빠르다. 마지막으로, KBS <차마고도>와 YNTV <차마고도>의 서사양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KBS <차마고도>는 관찰자적 양식을 주축으로 하면서 설명적 양식을 결부하는 제작양식을 취하였고, YNTV <차마고도>는 설명적 양식을 주축으로 하고 참여적 양식과 관찰자적 양식을 부가하는 서사양식을 취하였다. 서사양식이 다르기 때문에 KBS <차마고도>는 생활리듬과 같은 화면의 흐름에 차분한 목소리가 어울려 마치 ‘소설’과 같은 인상을 주는 반면에, YNTV <차마고도>는 변화가 많은 화면의 흐름에 제작자의 견해나 인상을 서정적으로 표현하는 내레이션을 사용함으로써 마치 ‘산문’과 같은 인상을 주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KBS <차마고도>는 ‘피사체가 말하게 하라’는 제작 모토를 고수하면서, 차마고도를 오르내리는 마방들의 독특한 생활 방식, 차마고도를 삶의 터전으로 하면서 차마고도 연변에서 살아온 여러 소수민족의 풍속습관, 종교 신앙 등 현재의 실상을 사실적으로 기록한 민족지영화라 할 수 있다. 반면에 YNTV <차마고도>는 차마고도 연변에서 대를 이어 살아온 여러 소수민족들의 과거와 오늘의 삶을 넘나들면서 차마고도의 역사에 초점을 맞춘 민족지영화라 할 수 있다. 결국 한국과 중국의 정치적 이념과 시장주의 이념의 차이로 말미암아 민족지영화를 제작하는 의도와 출발점이 다르고 현지인들의 삶에 대한 접근방식이 다르며 프로그램을 통해 나타내고자 하는 주제가 다르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서사구조가 다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주제어] 민족지영화, 차마고도, 서사구조, 스토리 구성, 계열체적 분석, 통합체적 분석, 담론분석, 언술표현, 영상표현, 서사양식 ABSTRACT A Comparative Study of Narrative structure between Korean and Chinese Ethnographic Films - Focusing on KBS Program 'Asian Corridor in Heaven' and YNTV Program 'The Ancient Tea Route' - Shen Zhe Hao Advisor : Prof. Park, Sun-Hee, Ph. D. Department of Journalism & Communications,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is study is to fi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different ethnographic films, KBS Program 'Asian Corridor in Heaven' and YNTV Program 'The Ancient Tea Route' addressing the same subject in Korea and China, the countries with different political and market ideologies in unequal production environmen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ilms' narrative structure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in story structures of KBS Program 'Asian Corridor in Heaven' and YNTV Program 'The Ancient Tea Route', while KBS Program 'Asian Corridor in Heaven' shows various people's lives living on and around Tea-Horse Road composed in a story ignoring the country as 'the survival struggle between the caravans and the nature' and in a 'manual' format as a panorama in the traditional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structure on various aspects of the local people's life, survival method, religion and belief, YNTV Program 'The Ancient Tea Route' transcends the time and space and uses a general documentary production method combining two different incidents in one narration to highlight Tea-Horse Road's historical meaning in a double story structure on the past and the reality while the focus is on the realistic lives of the local people living the area along Tea-Horse Road.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in the verbal description methods of KBS Program 'Asian Corridor in Heaven' and YNTV Program 'The Ancient Tea Route', while KBS Program 'Asian Corridor in Heaven' delivers the most of information though location scenes, interprets only the necessary parts in narrations and uses the method of interviewing actual persons to introduce some detail items difficult to deliver, YNTV Program 'The Ancient Tea Route', in each method, connects different areas' stories transcending time and space and uses the method of analysing and concluding according to the producer's intention while the most information is delivered in narration and the historical facts impossible to be captured in vidow is processed with interviews and dramatization.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in the video expressions of KBS Program 'Asian Corridor in Heaven' and YNTV Program 'The Ancient Tea Route', KBS Program 'Asian Corridor in Heaven' emphasizes the principle of realistic record by composing 92% of the entire video of mostly long take scenes of the location and makes efforts to record continuous scenes showing the entire life courses of caravans objectively. On the other hands, YNTV Program 'The Ancient Tea Route' is in composition of the location scene 49% and the dramatization 35% showing the lives of two women maguotous who were famous on Tea-Horse Road. The rhythm of entire scene flow of KBS Program 'Asian Corridor in Heaven' is slow since close attention is payed for the visual stability with fixed angle and the connectivity in the process is preserved with long takes in various angles or panning. However, the rhythem of scene flow of YNTV Program 'The Ancient Tea Route' is relatively fast due to many single shots' arrangement. At la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in narrative mode of KBS Program 'Asian Corridor in Heaven' and YNTV Program 'The Ancient Tea Route', KBS Program 'Asian Corridor in Heaven' employs the production method connecting the descriptive format while having the observer's format as the main axis. But, NTV Program 'The Ancient Tea Route' mainly uses the descriptive format while the narrative format adding the participant format and observer's format together.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narrative format, while KBS Program 'Asian Corridor in Heaven' gives an impression similar to a 'novel' with its scene flow like a life rhythm matching with the calm voice, YNTV Program 'The Ancient Tea Route' gives an impression as an 'essay' with the scene flow of many changes and by using the narration emotionally expressing the producer's opinion and impression. Organizing the above research result, KBS Program 'Asian Corridor in Heaven' is an ethnographic film realistically recording the unique life style of caravans traveling along Tea-Horse Road and the current real lives including customs, religions and beliefs of many different minor races having Tea-Horse Road as their living ground for a long existence on Tea-Horse Road. In the meanwhile, YNTV Program 'The Ancient Tea Route' is an ethnographic film focusing on the history of Tea-Horse Road by visiting the past's and today's of many minor races including Tibetans living for generations in Tea-Horse Road area. In conclusion, the study shows that the differences in political and market ideologies between Korea and China make the differences in the intention and the start point in production of the ethnographic films, the approach to the local people's lives and the subjects to highlight through the programs so that the programs' narrative structures are only to be different. Key words: Ethnographic film, Tea-Horse road, Narrative structure, Story composing, Paradigmatic analysis, Syntagmatic analysis, Discourse analysis, Enonciation expression, Visual image expression, Narrative mode

      •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언어활동 분석

        박선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언어활동의 전반적인 구성 경향을 알아보고 내용범주, 활동접근방법, 집단유형, 활동자료, 발문형식을 각 기관별로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언어활동의 특징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바람직한 언어활동이 이루어지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언어활동의 구성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언어활동은 내용범주, 활동접근방법, 집단유형, 활동자료, 발문형식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가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보건복지부에서 발간한 ‘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2012) 4권과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발간한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2012) 11권 및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수정·보완서'(2013) 1권의 의사소통영역에 제시된 언어활동 587개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5세 누리과정에 제시된 생활주제와 진술체계를 기준으로 언어활동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았으며, 내용범주는 누리과정의 의사소통 영역에 제시된 내용범주와 하위내용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활동접근방법은 박선희와 박찬옥(2013)에 제시한 유아 언어교육의 실제부분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집단유형은 대집단, 소집단, 개별활동으로 구분하였고, 활동자료는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자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후 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구분하였다. 발문형식은 Bloom의 발문형식을 수정한 이혜경과 박성희(2007)의 6가지 발문형식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연구절차는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대상과 분석기준을 구성하고, 유아교육 전문가 1인의 조언을 받아 수정·보완하였으며, 분석자간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연구보조자 2인과 함께 분석기준이 명확하지 않거나 불일치하는 경우 반복적인 수정과 확인 작업을 거쳐 분석자간 신뢰도를 100%로 일치시켰다. 자료분석은 분석기준에 따라 데이터자료를 수집한 후 SPSS 18.0 프로그램을 통하여 빈도와 교차분석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언어활동의 전반적인 구성 경향은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언어활동이 비슷한 분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언어활동 진술체계는 어린이집에서는 초등연계와 활동평가부분이 전혀 제시되지 않은 반면 유치원에서는 초등연계만 부분적으로 제시되고, 유의점 및 참고사항, 활동평가, 확장활동은 모든 언어활동에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교사용 지도서 언어활동을 내용범주별로 비교분석한 결과 어린이집은 말하기, 쓰기, 듣기, 읽기 순으로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유치원은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순으로 나타나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위내용은 어린이집은 ‘쓰기에 관심가지기’에서, 유치원은 ‘동요, 동시, 동화 듣고 이해하기’에서 두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셋째,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교사용 지도서 언어활동의 활동접근방법은 어린이집은 이야기 나누기, 문학, 조작교구활동 순으로 높은 분포를 보인 반면 유치원은 문학, 이야기 나누기, 평가활동 순으로 높은 분포를 보였다. 특히 어린이집은 게임활동, 조작교구활동, 탐구활동에서, 유치원은 평가활동에서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교사용 지도서 언어활동의 집단유형은 어린이집은 개별활동의 분포가 높게 나타난 반면, 유치원은 대집단활동의 분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교사용 지도서 언어활동의 활동자료는 어린이집은 사진/그림, 쓰기자료, 교구 순으로, 유치원은 사진/그림, 동화자료, 쓰기자료 순으로 높은 분포를 보이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또한 동화자료, 동요·동시자료의 하위목록 비교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어린이집은 동화에서 그림책(인쇄책자), 동요·동시자료에서는 인쇄/구성자료에 집중된 분포를 보인 반면 유치원은 동화자료인 그림책(인쇄책자/멀티미디어), 플래시, 멀티미디어, 매체활용에서 고른 분포를 보였으며, 동요·동시자료에서도 인쇄/구성자료와 멀티미디어에서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여섯째,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교사용 지도서 언어활동의 발문형식은 어린이집과 유치원 모두 이해와 지식·기억에서 높은 분포를 보였으나, 유치원은 종합, 평가발문에서 더 높은 분포를 보이며 어린이집 교사용 지도서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5세 누리과정이 통합된 교육과정으로 교육적 평등을 위해 제정된 만큼 다른 기관에서 언어교육을 받더라도 교육적 차이가 생기지 않도록 교사용 지도서의 언어활동을 구성하는데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며, 또한 유아의 올바른 언어발달을 위해

      • 숲 체험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윤경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숲 체험활동을 운영하고 있는 유아교사와 숲 체험 유아기관에 보내는 부모의 숲 체험활동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아 숲 체험활동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활성화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정한 연구 문제는 첫째, 유아 교육기관에서 숲 체험활동의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숲 체험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숲 체험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숲 체험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사립유치원, 국․공립 유치원, 민간 어린이집, 국․공립 어린이집 등 56개원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98명과 숲 체험유아기관에 보내는 12개원의 학부모 2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숲 체험활동의 운영현황은 만 3세 이상 유아들이 월 2회 정도, 일일 1~4시간씩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고, 교사 1명이 20~30명의 유아를 맡고 있으며, 숲 체험활동의 프로그램은 주로 활동중심 통합프로그램과 연계된 활동을 하고 있고, 프로그램 내용으로는 자연관찰, 조형 활동, 자연물을 이용한 게임을 주로 하며, 체험활동을 위한 장소와 여건은 대체로 준비가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숲 체험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숲 체험활동의 필요성은 지능발달과 더불어 감성발달에 좋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며 숲 체험활동의 운영형태는 일일 2~3시간 정도 주 2회 이상 숲 체험활동과 일반 교육활동이 연계되는 체험형을 선호하였다. 숲 체험활동 프로그램 내용은 자연 관찰, 조형 활동, 자연물을 이용한 게임 등이며 숲 체험활동의 교육 효과는 정서발달에 가장 많은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다. 교사의 역할은 놀이를 도와주는 조력자의 역할과 놀이에 변화를 주는 촉진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았고, 교사의 처우는 현재의 급여수준에 숲 체험활동 지도경력을 반영하는 것을 가장 많이 희망하였다. 셋째, 학부모들은 숲 체험활동이 꼭 필요하나 기관을 선정할 때는 숲 체험활동에 대한 프로그램 내용과 방법을 고려하겠다고 하였다. 또한 학부모들은 숲 체험활동은 특별활동(체육, 영어, 미술 등)과 접목되어 운영되는 것을 원했고 숲 체험활동 시 한 학급 인원은 교사 1인에 유아는 10명 미만이어야 하며 숲 체험활동 시 문제점은 유아의 안전사고라 하였다. 넷째, 숲 체험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의 차이를 보이는 것은 숲 체험활동의 필요성과 목적, 인적 교육환경, 현장적용에서의 문제점, 정책지원 상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숲 체험활동의 운영형태를 보면 교사와 학부모 모두 주 2회 이상 숲 체험활동과 일반교육활동이 연계되는 체험형을 원하고 있다. 둘째, 교사와 학부모는 숲 체험활동을 어린 연령에서부터 필요로 한다.. 셋째, 교사는 전문적 향상과 자질을 위하여 교사의 재교육과 연수 등을 통해 자연생태계에 대한 전문지식을 쌓아야 한다.. 넷째, 학부모는 다양한 교육을 통해 숲 체험활동은 자연에서 자유롭게 놀이를 통하여 전인적 성장발달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다섯째, 정부와 지역사회는 유아들의 숲 체험활동을 위하여 도로주변 숲이나 인근공원의 환경을 개선하여 숲 체험활동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한 후속 연구로 맞벌이 부모의 증가로 유치원(어린이집) 방과후 반 유아들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종일제 특성에 맞는 숲 체험활동 운영과 프로그램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어지기를 바란다.

      •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인과관계 연결어미 습득 연구 : ‘-아서, -(으)니까, -느라고’를 중심으로

        Vet, Navy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causal connective endings in Korean Language. Even thought, the causal connective endings is in the same category of semantic and syntactic terms but have different constraints. Therefore, it is not easy to be acquired especially for learners whose mother tongue is Khmer, which is isolating Languag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arning patterns of causal connective endings such as '-ese-', '-nikka', and 'neurago' by Cambod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Chapter I,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is presented, and existing researches are reviewed, and research questions are established.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o discover the differences between native speakers and the Cambod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in syntactic terms of the language proficiency; and seco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native speakers and the Cambod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in se-mantic·pragmatic functions of causal connective endings of the language proficiency. Chapter II, focu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yntactic, semantic·pragma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causal connective endings. Additionally, syntactic, seman-tic·pragmatic characteristics of Cambodian are also described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mentioned in Chapter I. In Chapter III, described the study method. The research tool are described, which are developed us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tool that usesd to assess Korean causal con-nective ending such as syntactic and semantic·pragmatic patterns of Cambodian learners for Korean language, is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In order to identify syntactic, seman-tic·pragmatic condition of causal connective ending, the test is conducted by developing 36 questions. The research subjects are 60 Cambod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nd 30 Korean native speakers. And Through a proficiency test, Cambodian learners of Korean were equal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upper group and the lower group. The one-way ANOVA is used to quantify their grammaticality test results. Chapter IV describes the results of the study.As the result, among the syntactic condition of causal connective endings such as '-ese-' and '-nikka', is ‘pre-final tense ending’ and ‘characteristics of predicate in preceding clause’ are the most difficult for Cambod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lso, 'neurago', is quite difficult for Cambodian students who study Korean Language in every condition, except ‘subject’ conditon. Among the seman-tic·pragmatic functions, ‘politeness’ condition is the most difficult for Cambodian learners. Chapter V present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and mention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confirming the acquisition pattern by spec-ifying the semantic·pragm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usal connective endings ‘-ese', 'nikka', and 'neurago' for Cambod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revealed that there is a need to teach the syntactic and semantic·pragmatic functions explicitl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ore importantly, it is meaningful to allow the teachers to know which function to focused on while teaching causal connective endings. However, the study is able to estimate only their grammatical understanding through the chosen answers plus the lack of their real expression ability, it is the limitation of the study. There are still a number of aspects in semantics and pragmatic function remained unspecified. 본 연구는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인과관계 연결어미 ‘-아서’, ‘-(으)니까’, ‘-느라고’의 습득 양상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Ⅰ장에서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인과관계 연결어미를 연구한 선행 연구를 토대로 하여 캄보디아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첫째,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는 숙달도에 따라 인과관계 연결어미의 통사적 특성 습득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는 숙달도에 따라 인과관계 연결어미의 의미·화용적 특성 습득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이다. 이어서 Ⅱ장에서는Ⅰ장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어미의 통사적 제약과 의미·화용적 기능을 살펴보고, 캄보디아어의 통사적 제약과 의미·화용적 기능으로 나누어 이론적 배경을 순서대로 정리하였다. 먼저 통사적 특성에서 하위 조건별로 각 어미가 가지는 제약, 의미·화용적 특성에서 각 어미의 기능에 대한 논의를 정리하고 캄보디어의 인과관계 표현과 비교하여 언어 습득에 영향을 미친다고 예상하였다. 그리고 Ⅲ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통해 연구 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실험 도구는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를 평가하여 하 집단과 상 집단으로 분류하기 위한 숙달도 분류 검사 도구와 통사∙의미·화용적 특성의 하위 조건별로 언어 숙달도에 따른 인과관계 연결어미 습득 양상을 살펴 보는 문법성 판단 검사 도구이다. 숙달도 검사는 학습자 하 집단을 30명, 학습자 상 집단 30명을 나누었고 문법성 판단 검사는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사하여 학습자 하 집단∙상 집단∙모어 화자 집단을 대상으로 습득 차이를 평가하기로 하였다. 다음으로 Ⅳ장에서는 분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먼저, 통사적 특성의 하위 조건별 습득 양상에서는 학습자 하 상 집단∙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 세 집단 간 결과가 일치하지 않았다. 어미별로 살펴본 결과, ‘-아서’의 통사적 특성 하위 조건별의 습득 양상에서 캄보디아인 학습자 중에 학습자 상 집단 경우은 모든 조건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의 정답률에 근접하거나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였고 학습자 하 집단은 ‘시상 선어말어미’ 조건을 습득하는 데 가장 어려움을 겪는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으)니까’의 통사적 특성 하위 조건별 습득에서 학습자 상 집단은 ‘선행절 서술어’ 조건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조건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의 정답률에 근접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하 집단의 경우는 ‘선행절 서술어’ 및 ‘시상 선어말어미’ 조건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를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확인되었다.‘-느라고’의 경우는 ‘-아서’와 ‘-(으)니까’와 비교했을 때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습득하는 데 가장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습자 상 집단의 경우는 ‘주어 관계’, ‘선행절 부정 요소’, ‘후행절 서법’ 조건의 정답률이 한국어 모어 화자와 유사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선행절 서술어’와 ‘시상 선어말어미’ 조건에는 모어 화자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습득에 숙달도 변인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학습자 하 집단의 경우는 ‘주어 관계’ 조건을 제외한 나머지 조건의 정답률이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학습자 상 집단과 크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의미·화용적 특성 하위 조건별 습득 양상은 세 집단이 서로 일치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어미별로 살펴본 결과, ‘-아서’ 습득의 경우, 학습자 상 집단은 모든 조건에서 85% 이상으로 분포가 높아 한국어 모어 화자의 분포에 근접하거나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였고, 학습자 하 집단은 ‘공손성’ 조건에서 가장 점수가 낮아 한국어 모어 화자와 습득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으)니까’의 의미·화용적 특성 하위 조건의 습득에서는 학습자들이 모두 ‘공손성’ 조건에서 낮은 분포를 보여 한국어 모어 화자와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느라고’의 의미·화용적 특성 습득 양상은 학습자 집단 다 모든 조건에서 분포가 높았으며, 한국어 모어 화자와 근접한 결과를 보였다. 다만 ‘긍정적 결과’ 조건에서만 학습자 하 집단의 분포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캄보디아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인과관계 연결어미 ‘-아서’, ‘-(으)니까’, ‘-느라고’의 통사적, 의미·화용적 특성에 주목하여 습득 양상을 확인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의 통사적 특성과 의미·화용적 특성을 교수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통사적, 의미·화용적 특성에서 어떤 하위 조건을 더 집중해서 교수해야 하는지 연구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캄보디아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문법성만 판단하고 캄보디아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생산을 파악하지 못했다는 점에 한계가 있다. 또 다양한 의미·화용적 특성과 담화∙화용적인 측면은 살펴보지 못했다는 점도 본 연구의 한계이다. 캄보디아 학습자들의 인과관계 연결어미의 습득을 다방면으로 고찰하기 위해 실험 도구를 다양화하고 의미론적 및 담화∙화용론적 층위로 확장시켜 습득 양상 등을 밝힐 수 있는 후속 연구를 시사한다.

      • 한지사 원단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 마크라메(Macrame) 기법을 중심으로

        조희령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today's fashion world, many technical attempts are being made to create a different way of expressing clothing materials. However, despite advances in advanced technology,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three-dimensional, complex material representation of the fabric that machines can express, limiting the developm ent of more creative designs. Therefore, various handicrafts are being attempted as a means of creative artistic expression. This is part of efforts to develop a new style by properly combining tradition and modernity. As a result, structural and complex materials that are difficult for machines to express in the modern fashion sector are being implemented through analog methods. It is also focusing on developing new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considering the sustainability that is constantly being talked about in the fashion industry. Thus, this study aims to apply various macrame techniques to present them as an axis of decorative fabric techniques for visual effects, and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area of expression in fashion design. We also want to remind you of our potential as a fashion material by utilizing hanji, an eco-friendly material, as a material for macram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rough the theoretical background, we analyze the concept, transition process, characteristics, and manufa cturing process of Hanji yarn and analyze modern fashion design cases that apply it.It will also identify and clas sify the concept, background of forma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Macrame, and examine examples of m odern fashion designs that utilize them.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alyzed earlier, the design will be developed and five real works will be produced using the Macrame technique.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anji yarn is a dak fabric yarn that emphasizes the characteristics of hanji, an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weaving,knitting and other textile combinations, so it was possible to expect its value as an eco-friendly new material and expandability in the market. Second, it was easy to make a Macrame costume because there was no run in the process of cutting the fabric of Hanji back into the form of a tape company, and the unevenness of the fabric surface caused gave a rough surface effect visually and tactically. so, the use of the hanji yarn fabric has the embossing effect of Macrame, creating a unique beauty of sculpture. Third, compared to the general macrame yarn, the hanji yarn fabric was lightweight and easy to produce costumes, and the visual weight was also light due to its low actual weight. Fourth, the macrame basic technique, the flat knot, was suitable for filling the face of the costume, while the clove hitch knot, it was suitable for filling the line, served as a wick for areas requiring force. In addition, the number, size, and density of knots can be set in the early stages, enabling various formative expressions with the same kind of yarn. Three-dimensional patterns and objects could be produc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flat knots and clove hitch knots, inversion of direction, etc., and the development of arm-hole designs. The visual effects between the human body and the garment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margin and spacing of the knots were also visible. Fifth, according to the practical aspects of the Macrame, which can be applied to various materials, it was meaningful in that the clothing or fabric that would be discarded could also be cut and used as a macrame material. This study was a macrame fashion design study using hanji yarn fabric. it showed the advantages and expandability of hanji yarn and showed that various Macrame techniques realized decorative and three-dimensional fabric expressions. Based on thi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macrame combined with other materials and techniques in the fashion sector to be used to create new images. 오늘날의 패션 분야에 있어서 패션 소재의 색다른 표현 방식을 위해 많은 기술적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첨단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기계가 표현해낼 수 있는 소재의 입체적이고, 디테일한 예술적 표현에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창의적인 예술 표현의 한 수단으로 다양한 수공예적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이는 전통과 현대가 적절하게 접목되어 새로운 스타일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다. 이에 따라 현대 패션 분야에서는 기계가 표현하기 어려운 구조적이고, 복잡한 패브릭을 아날로그적 방식을 통해 구현해내고 있다. 또한 패션업계에서는 지속적으로 회자되고 있는 환경친화적인 소재의 사용과 확대방안을 모색하고 있다.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마크라메 기법을 응용하여 소재 표면의 시각적 효과를 위한 장식적인 소재 기법의 한 축으로 제시하고, 패션디자인의 표현 영역의 확대에 기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마크라메의 재료로 한지사 원단을 활용하여 패션소재로서의 잠재성을 상기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론적 배경을 통해 한지사의 개념과 변천 과정, 특성, 제조과정 등을 분석하고 이를 응용한 현대 패션 디자인 사례를 분석한다. 또 마크라메의 개념과 형성 배경, 기법의 종류와 특징을 파악하고 분류한 뒤 이를 활용한 현대 패션 디자인 사례를 살펴본다. 앞서 분석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디자인을 전개하고, 마크라메 기법을 응용한 실물 작품 5벌을 제작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지사는 한지의 특성을 그대로 살린 닥 섬유 원단사로, 원단으로 제직과 편직, 다른 섬유와의 복합사로 인한 원단 제작이 가능해져 친환경 신소재로서의 가치와 시장에서의 확대가능성을 기대해볼 수 있었다. 둘째, 한지사 원단을 다시 테이프사의 형태로 잘라 의상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올풀림현상이 없어 마크라메 의상제작에 용이했으며, 한지로 인한 원단 표면의 요철감으로 인해 시각적, 촉각적으로 러프한 표면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에 한지사 원단의 사용은 마크라메의 부조적 재질감이 더욱 강조되는 효과가 있어 독특한 조형미를 창출한다. 셋째, 일반적인 마크라메용 져지원단과 비교해 한지사 원단은 중량감이 가벼워 의상 제작에 용이했으며, 시각적 중량감 또한 가벼웠다. 넷째, 마크라메 기본 기법인 평 매듭은 의상의 면을 채우기에 적합했으며, 클로브 히치 매듭은 선을 채우는데 적합함과 동시에 힘이 필요한 부분에 심지의 역할을 했다. 또한 매듭의 수와 크기, 밀도를 초기에 설정할 수 있어 같은 원사로 다양한 조형적 표현이 가능했다. 평 매듭과 클로브 히치 매듭의 응용 매듭과 방향의 전환, 반전 등을 통해 입체적인 형태의 패턴과 오브제를 제작할 수 있어 즉흥적 표현이 가능했으며, 발전된 형태의 암홀 디자인을 전개할 수 있었다. 매듭의 여백과 간격의 조절을 통해 다트없이 신체의 굴곡을 살릴 수 있었으며, 인체와 의상 사이의 투시적 효과를 의도할 수 있었다. 다섯째, 다양한 재료의 적용이 가능한 마크라메 소재의 실용적 측면에 따라, 폐기될 의류나 원단 또한 커팅해 마크라메 재료로 쓸 수 있다는 점에서 자원의 순환이라는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지사 원단을 활용한 마크라메 패션디자인 연구로, 한지사 원단이 가지는 장점과 확대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마크라메 기법이 장식적, 입체적인 패브릭 표현을 실현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패션 분야에서 마크라메가 다른 소재, 기법과 결합되어 새로운 이미지 창출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대학생의 전자담배 사용실태 및 사용경험 관련요인

        이안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E-cigarette us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e-cigarette ever use among college stud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by Ahnna Lee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Directed by Associate Professor Sunhee Park, RN, Ph.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evalence of e-cigarette us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e-cigarette ever use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on 550 students in 5 universities in S city and K city from October to December 2016. Data collected from self-reporting questionnaire survey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final sample for this study(n=399) included those who had ever heard of e-cigarette. Results: Among 399 students who had ever heard of e-cigarette, 68(17%) were e-cigarette ever-users. 32.4% of e-cigarette ever users thought e-cigarette is less harmful than traditional cigarette. Significant association were found between e-cigarette ever use and gender, age, monthly allowance, residence location, father’s smoking status, past 2-week binge drinking, past 30 days cigarette smoking and club activities.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se of e-cigarette among college students is prevalent and students recognized e-cigarettes as less harmful than traditional cigarette. To better understand the patterns and the trends of e-cigarette use among young adults in Korea, further studies are needed. The associated factors of e-cigarette use should be considered for smoking cessation and preven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 제프 쿤스(Jeff Koons) 회화의 캐릭터 복제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 렌티큘러 적용을 중심으로

        박진영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today's world of digital technology and online networking, copying and sharing images has become very ordinary. In art, the meaning of originality gradually disappears and an artistic approach to creative reproduction becomes possible. In this trend, pop art and kitsch art are widening their ranges of expression, and they are being actively applied to contemporary fashion design with an actively receptive atmosphere in the art world.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world of Jeff Koons (1955 ~), one of the representative figures of kitsch art, to use his paintings, which strongly characterize the reproduction of characters, as a powerful source of inspiration for fashion design. A character is a visual thing that has distinct characteristics in itself. This can be defined as an independently existing form, or as a form created to represent a company, organization, product, service, idea, event, or other specific subjects. Jeff Koons’ paintings reproduce visual images by replicating various modern characters, and each piece of work is given a unique symbol. Amongst Jeff Koons’ paintings, there are approximately 3 kinds of character reproductions. First, it replicates cartoon characters and emphasizes the toy image of the character as a consumer object. Second, is in cases when reality is given to a virtual character, when a hero character in the media is replicated as an attempt in social and cultural parody. Third, he replicated animal characters and gave them original symbols. All of these characters are among the objects that can easily be seen and consumed in everyday life and popular culture. In this study, six character replica images were constructed based on 3 different methods of Jeff Koons' character reproduction, and they were applied to a polyurethane lenticular material. By using the stereoscopic and transformative effects from the various effects of lenticular, I tried to express the costume work, creating a distinctive fashion material with characters showing a stereoscopic effect or a transformative effect depending on the position. We designed a total of six over-sized silhouettes of neoprene material so that the duplicate characters made of polyurethane material can be seen without folding. The theoretical research method is as the following. The background, goal, and method of the study were introduced in chapter I. In chapter II, the backgrounds of the formation of Jeff Koons’ paintings were investigated based on various data that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the replicated characters that showed up in his paintings were analyzed. Cases where character replication was implemented in fashion design was also investigated. The concept of lenticular was then looked at, analyzing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ffects of lenticular, and cases where lenticular effects were implemented in contemporary design were investigated. In chapter III, works were produced which reconstructed the motifs that used the character replication of Jeff Koons’ paintings, and the intention and method of the production were proposed. The conclusion gathered through this study is as the following. First, the character replication of Jeff Koons’ paintings show up in cartoon character replications, replications of hero characters in media, and animal character replications, and through this, a piece was produced that reflected the culture of consumer societies and social effects. I also combined character duplication with painting effects in a collage format of the Photoshop program to create a harmonious composition image. For this study, Super Mario, Batman, Mickey Mouse, and other characters were selected to be used, and the images were reproduced in the Photoshop collage format. These were expressed in fashion design that utilized lenticular effects, which gave them new value. Second, the reconstructed motifs of the character replications of Jeff Koons’ paintings were used in the piece using soft lenticular effects, and the stereoscopic and transformative effects in the lenticular output added another layer of fun to the character expression. The polyurethane soft lenticular material was thin and soft, making it easy to use in fashion pieces, and was appropriate. Third, in order to effectively emphasize the character motifs, boxy silhouettes were appropriate to express the outfits, and neoprene material was appropriate to secure the lenticular and express a stable silhouette. Also, the thickness of the material, where neoprene and lenticular overlap, reduced the curves of the human body, which enabled it to express the lenticular effect and silhouette more effectively. The neoprene of the motif's main color was exposed to the edge seam to emphasize the motif clearly, and it was able to express a stable silhouette. Fourth, by attempting a fashion piece that applied the lenticular effect on reconstructed motifs of replicated characters from Jeff Koons’ paintings, a new fashion material expression, which was not easily attempted before, was made possible. Just as Jeff Koons created pieces with metal materials with special surfaces that projected both the viewer and the space, these outfits serve as a material to hold images in a special wa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shion design of lenticular applicat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 reproduction of Jeff Koons' painting and developing the reconstructed motif. In the case of soft lenticular, there were limits to the thickness and area, and in the current situation there are limits in boldly and freely expressing images. However, with developments in soft lenticular output technology in the future, I believe there will be no limits in expressing images. This study resulted in a reconstructed motif using the character replication from Jeff Koons’ paintings, and this motif was used in fashion design using the lenticular expression method. It appears that reproducing the character replication image and creating works that express them stereoscopically and dynamically, might end up starting a new method of fashion design expression. It is also expected to find meaning and value as a discovery of an art form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public. 디지털 기술과 온라인 네트워크 문명의 이기를 누리는 오늘날, 이미지를 복제하고 공유하는 행위는 매우 일상적인 것이 되었다. 예술에 있어 원본성의 의미는 점차 사라지며 창의적 복제에 대한 예술적 접근이 가능해진 것이다. 이러한 흐름에서 팝아트와 키치 아트는 그 표현 영역을 넓히고 있으며, 예술에서의 적극적 수용 분위기와 더불어 현대 패션디자인에까지 활발하게 응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키치 아트의 대표적인 인물로 손꼽히는 현대 미술가 제프 쿤스(Jeff Koons, 1955~)의 작품 세계를 이해하고, 그의 회화 중 캐릭터 복제의 특징을 강하게 보이는 회화를 대상으로 패션디자인에 강력한 영감으로서 발굴하고자 하였다. 캐릭터란 그 자체만으로도 독특한 성격을 강하게 지닌 시각물을 뜻한다. 이것은 독립적으로 존재하거나 기업, 단체, 제품, 서비스, 아이디어, 행사 등 특정의 대상을 상징하기 위하여 창조된 형태라고 규정할 수 있다. 제프 쿤스의 회화는 현대의 각종 유명 캐릭터를 복제하여 시각적 이미지를 재구성하였으며 작품 시리즈마다 독창적인 상징을 부여하고 있다. 제프 쿤스의 회화에는 약 세 가지의 캐릭터 복제가 등장한다. 첫째, 만화영화 캐릭터를 복제하여 캐릭터의 이미지에 소비대상으로서의 장난감 이미지를 강조하는 경우이다. 둘째, 가상의 캐릭터에 리얼리티를 부여하는 경우로서, 미디어 속 히어로 캐릭터를 복제하여 사회, 문화적인 패러디를 시도한 것이다. 셋째, 동물 캐릭터를 복제하여 독창적인 상징을 부여하기도 하였다. 이상의 캐릭터들은 모두 일상생활과 대중문화 중에 쉽게 눈에 띄고 소비할 수 있는 대상들에 속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프 쿤스의 세 가지 방향의 캐릭터 복제 방식에 근거하여 총 6종의 캐릭터 복제 이미지를 각각 구성하였으며, 이를 폴리우레탄 재질 렌티큘러(lenticular) 출력에 적용하여 제작하였다. 렌티큘러의 다양한 효과 중 입체효과와 변환효과를 이용하여, 시각의 위치에 따라 캐릭터가 입체적 효과를 보이거나, 형태변환 효과를 보이는 독특한 패션소재를 제작하여 의상 작품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폴리우레탄 재질의 렌티큘러로 제작한 캐릭터 복제 이미지들이 접힘없이 잘 보일 수 있도록 네오프렌 소재의 오버사이즈 실루엣으로 총 6벌을 계획하였다. 연구의 이론적 연구 방법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방법 등을 소개하였다. Ⅱ장에서는 각종 자료 수집과 분석을 토대로 제프 쿤스의 회화작품의 형성 배경을 조사하고, 회화에 나타나는 캐릭터 복제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캐릭터 복제가 응용된 패션디자인을 사례를 조사하였다. 이어서 렌티큘러 개념을 살펴보고 렌티큘러 효과의 종류와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렌티큘러 효과가 적용된 현대 디자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제프 쿤스 회화의 캐릭터 복제를 응용한 모티프를 재구성하여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제작 의도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프 쿤스 회화의 캐릭터 복제는 만화영화 캐릭터 복제, 미디어 속 히어로 캐릭터 복제, 동물 캐릭터 복제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하여 소비사회의 문화와 사회적인 현상을 반영한 작품을 제작하였다. 또한, 캐릭터 복제를 포토샵 프로그램의 꼴라주 형식으로 페인팅 효과와 결합하여 조화로운 구도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하여 슈퍼마리오, 배트맨, 미키 마우스 등의 캐릭터를 응용 캐릭터로 선택하였으며, 포토샵 꼴라주 형식으로 복제 이미지를 재생산하였다. 이를 렌티큘러 효과가 적용된 패션디자인으로 표현하여 새로운 가치를 부여할 수 있었다. 둘째, 제프 쿤스 회화의 캐릭터 복제를 재구성한 모티프를 연질 렌티큘러 효과를 적용하여 작품에 응용할 수 있었는데, 입체효과와 변환효과를 사용한 렌티큘러 출력이 캐릭터 표현에 재미를 더해줄 수 있었다. 폴리우레탄 재질의 연질 렌티큘러는 얇고 부드러워 패션 작품을 완성하기에 어려움이 없고 적합하였다. 셋째, 캐릭터 모티프를 효과적으로 강조하기 위해 박시한 라인의 실루엣이 의상을 표현하기에 적합하였고, 렌티큘러를 고정하여 안정적인 실루엣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네오프렌 소재가 적합하였다. 또한, 네오프렌과 렌티큘러가 겹쳐진 소재의 두께감은 인체의 굴곡을 최소화시켜 렌티큘러의 효과와 실루엣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모티프의 주된 색상의 네오프렌을 가장자리 시접에 드러내어 모티프를 선명하게 강조하며 안정감있는 실루엣을 표현할 수 있었다. 넷째, 제프 쿤스 회화의 캐릭터 복제를 응용하여 재구성한 모티프를 렌티큘러 효과를 적용하여 패션 작품으로 시도함으로써 기존에 쉽게 시도되지 않았던 새로운 패션소재 표현이 가능하였다. 마치 제프 쿤스가 특별한 표면의 금속 소재로서 작품의 관람자와 공간을 투영하는 작품을 했던 것처럼 이 의상 작품들은 특별하게 이미지를 품는 표면의 소재로서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는 제프 쿤스 회화의 캐릭터 복제를 분석하여 재구성한 모티프를 전개하여 렌티큘러 적용의 패션디자인을 연구한 것이다. 연질 렌티큘러의 경우 두께와 면적의 제약이 있어 현재의 상황에서는 이미지 표현에 있어 보다 강력하고 자유로운 표현에 일정의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차후 연질 렌티큘러 출력에 대한 보다 발전된 기술 진보를 이룬 이후에는 한계없는 이미지 표현이 가능하리라 본다. 본 연구는 제프 쿤스 회화작품에 나타난 캐릭터 복제를 응용하여 재구성한 모티프를 도출하고 이를 패션디자인에 접목시키기 위해 렌티큘러 표현기법을 사용하였다. 캐릭터 복제 이미지를 재생산하고 이를 입체적이며 역동적으로 표현한 작품들은 패션디자인의 표현 방법에 있어 하나의 새로운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중과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예술 방식의 발굴로서도 그 의미와 가치를 찾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