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 여부에 따른 기술사업화 성과에 대한 연구 : 제품수명주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영은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기술혁신이 국가 및 기업의 경쟁우위 창출의 핵심적 요소로써 작용하고, 글로벌 경쟁 시대가 대두되면서 전 세계는 국가적 차원에서 R&D에 대한 투입을 지속적으로 증대시키며 성과 창출을 도모해 오고 있다. 그러나 증가하는 R&D 투입에 비해 창출되는 성과의 실효성은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R&D 패러다임은 R&D의 투입이 기술사업화와 직접적으로 연계되는 R&BD형태로 진화하며 실효적인 기술사업화 성과로 파급되는 프로세스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수행된 기술사업화 선행연구와는 달리, R&BD형 기술사업화 성과에 초점을 맞추어 투입 요인과 중간성과 요인을 중소기업의 기술적 역량에 포함하여 시장 진입을 통한 기술사업화의 최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다소 정태적인 특성의 기술적 역량이 기술사업화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에 있어 시장성 등의 동태적 특성을 가지는 외부 환경의 반영 요소로써 제품수명주기를 활용하여 개방형 혁신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 조절효과까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소기업의 기술적 역량은 투입 요인과 중간성과 요인이 대부분 기술사업화의 최종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태적 특성을 보이는 제품수명주기는 개방형 혁신 여부에 따라 정태적인 기술적 역량과 기술사업화의 재무적 성과를 대체로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개방형 혁신을 수행하는 기업은 제품수명주기가 기술적 역량과 기술사업화의 재무적 성과 간의 관계를 양(+)으로 조절하는 반면, 폐쇄형 혁신을 수행하는 기업은 음(-)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재무적 성과와의 관계에서는 개방형 혁신 여부와 관계없이 대체로 유의한 조절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R&D 패러다임을 고려한 R&BD형 기술사업화를 중심으로 수행한 실증 연구라는 점과 정태적 특성의 기술적 역량뿐만 아니라 동태적 특성의 제품수명주기의 조절효과까지 함께 연구에 반영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변수 상의 한계점을 개선하고 보다 다양한 방법론을 적용시킴으로써,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여 국내의 R&BD형 기술사업화 활성화 도모 및 기술사업화의 실효적인 성과 파급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rise of global competition, technological innovation plays a crucial role in creating competitive advantages for national economy and companies. As a result, most countries try to increase expenditures on Research and Development(R&D), to profit from technological innovation. Effectiveness of R&D performance, however, is not profitable compared to R&D input. Thus, Research and Business Development(R&BD) -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able to create profit - is rising as a new paradigm of R&D. To achieve R&BD, establishing a process fo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s the essential tasks for many firm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 specifically, R&BD, rather than on just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tself. This study aims to articulate the effect of the technological competence of SMEs on the overall outcome of it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fter market entry, holding other input and output variables constant. In addition, in analyzing the effect of technological competence on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is study considers product life cycles as a stationary attribute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depending on open innovation. Upon analysis, I found that the effect of technological competence of SMEs on the outcome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s mostly positive. In addition, Product Life Cycle(PLC) that represented as a dynamic feature turned out to moderate significantly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technological competence represented a stationary feature by open innovation. That is, PLC moderates positively technological compete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SMEs that try to open innovation, whereas it moderates negatively that of SMEs that try closed innovation. Moreover,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in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rrespective of open innovation.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considering both technological competences as a stationary feature, and PLC as a dynamic feature fo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Further studies should improve the limitations on variables, and apply other empirical methods. This study concludes that technological competence increases the actual value of R&D, and establishes an effective R&BD process to maximize the effect achieved through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 대학생의 스마트폰 보상경험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자기조절력과 대인관계 지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은영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스마트폰의 사용 연령대가 낮아지고, 삶의 전반에 영향을 주기 시작하면서 우리는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관심을 갖게 되고 예방 하고자 노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의 문제가 대두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느끼는 보상과 이에 따른 자기 조절 실패 그리고 중독경향성으로 이루어지는 과정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건전하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스마트폰 사용을 유도 할 수 있는 심리적인 보호요인들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보상경험, 자기조절력,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을 행위중독의 과정으로서 요인들을 설정하고,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SNS 영향력을 고려할 수 있는 요인으로 대인관계지향성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스마트폰 보상경험과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자기조절력이 매개하고, 대인관계 지향성이 자기조절력과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사이에서 조절한다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력이 스마트폰 보상경험과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사이에서 부분 매개하였다. 스마트폰 보상경험은 자기조절력에 부적효과를 주었고, 자기조절력을 매개하여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직접 영향을 줄 때 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의 과정이 보상경험, 자기조절 실패, 강박적 행동의 반복이라는 행위 중독으로서의 과정과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자기조절력과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사이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지향성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대인관계 지향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자기조절력과의 상호작용이 높아져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인관계 지향성이 높은 집단 내에서도 자기조절력이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에 비해 조절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인관계 지향성의 조절효과에서 성별 간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남성은 대인관계 지향성의 조절 효과가 유의하였고, 여성은 대인관계 지향성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경험한 보상이 자기조절력을 매개하여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주고, 이러한 영향력은 대인 관계적 욕구 수준에 따라 달라지며 대인관계 지향성의 조절효과는 남성에게서만 유의하였다.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감소를 위한 치료적 개입에 있어 중독의 과정에 대한 치료 방법은 남녀모두 같은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나, 관계적 측면에서는 남녀 간에 각각 다른 개입방식으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sis i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which is reinforcement experience followed by self-control failure and which is the mediation role of interpersonal ability. Also, this thesis seeks to recommends the psychological protection factors that can induce positive direction for smartphone usage through the analysis on variables which affect the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Accordingly, this thesis analysis the research model that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inforcement experience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though self-control. And a total of 437 undergraduate students aged 19 to 25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via online survey.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 mediation effect of self-control on the relation between reinforcement experience and addiction tendency was found all gender while using smartphone. However the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ability was restrict in males. Therefore this thesis suggests that therapeutic interventions to reduce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can be applied to all genders in terms of their reinforcement experience and self-control of smartphone usage. However, therapeutic approach should be distinguished by gender in terms of interpersonal ability. Keyword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reinforcement experience, self-control, interpersonal ability, moderated mediating effect

      • 부적응적인 섭식태도가 음식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이분법적 사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권혁의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국내 성인을 대상으로 부적응적인 섭식태도가 음식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이분법적 사고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만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200명을 대상으로 섭식태도, 음식중독 경향성, 이분법적 사고를 측정하고 SPSS와 Process Macro를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나이는 만 20세부터 만 62세 까지였으며(M=33.4, SD=11.0), 남자 58명, 여자 142명이었다. 각 요인은 한국판 식사태도 검사(The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 Test-26; 이하 KEAT-26), 한국형 음식중독 경향성 척도(Food Addiction Tendency Index in Korea; 이하 FATI), 개정판 이분법 사고 지표(Dichotomous Thinking Index-30 Revised; 이하 DTI-30R)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남성과 여성에서의 섭식행동 차이를 고려하여 표본을 나누어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적응적인 섭식태도는 음식중독 경향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이분법적 사고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성립되지 않았다. 이분법적 사고는 음식중독 경향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부적응적인 섭식태도와 음식중독 경향성의 관계를 이분법적 사고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남성표본과 여성표본에서의 조절 양상이 이질적으로 도출되었다. 남성표본에서는 이분법적 사고가 높을수록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여성표본에서는 이분법적 사고가 낮을 때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성별에 따라 서로 다르게 조절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음식중독에 대한 심리학적 예방 및 치료 개입에 있어 성별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부적응적인 섭식태도를 가진 일반인들이 음식중독으로 심화되는 요인 중 하나인 이분법적 사고를 확인하였고, 성별에 따른 양상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기업벤처캐피탈(CVC)유형에 따른 운영특성 분석 : 국내 CVC 사례를 중심으로

        송봉규 건국대학교 기술경영학과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끊임없는 혁신의 요구는 급격한 기술발전과 시장환경의 변화 속에서 기업들이 당면한 과제이다. 특히 대기업의 경우 과거의 성공적인 성장을 이끌었던 기존의 사업모델이 더 이상의 성장을 보장하지 못하고, 내부 연구개발 활동만을 통해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의 기회를 충족시킬 수 없다고 판단하여, 기업 외부주체와의 협업을 통한 개방형 혁신 전략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이에 다수의 글로벌 대기업들은 CVC(Corporate Venture Capital)운영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혁신 기술 및 신사업 비즈니스를 탐색하고 있으며, 스타트업 지분투자와 인수합병으로 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고 있다. NVCA(National Venture Capital Association, 2018)의 조사에 따르면, 2011년 총 VC 투자액 중 약 15%였던 CVC 투자액 비중은 2018년 40.3% 수준으로 급격하게 성장하였고, 2018년 기준 Fortune지 선정 100대 기업의 77%가 벤처캐피탈에 투자하고 있으며, 52% 기업이 CVC를 보유중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학문분야에서도 CVC의 성과, 전략적 운용방안, 유형별 특징의 비교 연구 등 다양한 주제의 CVC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Chesbrough, 2002; Maula, Autio & Murray, 2005; Patrick et al., 2018), 특히 CVC 운영을 Open innovation 전략의 일환으로서, 신기술 습득, 기술의 Catch up, 기술의 흡수역량 효율화, 신기술의 이전, 기술지식다각화 측면에서 분석한 연구들이 많은 상황이다(MacMillan, Roberts, Livada, Wang, 2008; 이상욱, 2018; 안현섭·윤지환, 2018; 강신형·이종선·박상문, 2021) 그러나 국내 CVC 연구의 경우, CVC 설립에 대한 규제, 벤처투자 생태계의 미성숙, 관련 데이터 확보 등의 어려움으로 인해 대부분 미국 CVC 정보를 기반으로 한 연구가 진행되었다(임소진·이정동, 2006; 이상욱, 2018; 안현섭·윤지환, 2018; 강신형·이종선·박상문, 2021; 김도윤·신동엽, 2021). 국내 CVC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경우 CVC에 대한 명확한 분류 기준이 수립되지 않아, 연구자의 기준에 따라서 CVC를 분류하는 기준과 범주상의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는 CVC 분야 연구자들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후속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장애요소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CVC 정의와 분류기준을 이론적 실무적, 차원에서 검토하고, 국내외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오픈이노베이션 전략 측면에서의 CVC 활용과 특징을 국내 CVC 사례와 결합하여 논의함으로써, 성공적인 CVC 운영의 방향성과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의 경우, 사전조사를 통해 CVC로 명확하게 분류 가능한 13개 CVC 운용사를 확보한 뒤, 해당 CVC의 전·현직 심사역을 대상으로 개별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심층면접 결과 국내 CVC에서 운영상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 주된 요인으로 ‘포트폴리오 탐색범위의 다양성’, ‘CVC의 설립형태’, ‘펀드 출자자 구성’ 등이 확인되었고, 해당 요인을 CVC 유형모형의 변수로 적용하여, ‘포트폴리오 다양성’, ‘모기업으로부터의 CVC의 독립성’ 이라는 두 가지 변수를 축으로 한 확장된 CVC 유형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모기업의 개방형 혁신전략으로서 CVC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최적의 운영형태 및 운영방식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였다는 것이다. 즉, 새로운 CVC 유형모형은 우리나라 CVC 운용사의 현재의 상태를 진단하고, 해당 유형이 모기업의 전략적 목적 달성에 어떠한 운영상의 장점과 단점이 있는지를 확인을 함으로써 CVC 운용사가 개방형 혁신전략을 최대한 활용 할 수 있는 지침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In the midst of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changes in the market environment, continuous innovation is a challenge facing companies. In particular, since large corporations judge that the existing business models that have been successful in the past do not guarantee further growth and that they cannot meet the rapidly changing market opportunities only through internal R&D activities, they are actively developing an open innovation strategy through collaboration with external entities. A number of global conglomerates are exploring innovative technologies and new business in various fields through CVC (Corporate Venture Capital) operation, and are discovering new growth engines for companies through equity investment in startups and mergers and acquisitions. According to a study by the National Venture Capital Association (NVCA, 2018), the proportion of CVC investment, which was about 15% of the total VC investment in 2011, grew rapidly to 40.3% in 2018. As of 2018, 77% of the Fortune 100 companies are investing in venture capital and 52% of companies are reported to have CVCs. In the academic field, CVC research on various topics such as CVC performance, Strategic operation plan, and comparative study of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is in progress.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studies analyzing CVC operation as part of an open innovation strategy in terms of acquiring new technology, technology catch up, technology absorption capacity & efficiency, new technology transfer, and technological knowledge diversification. However, in the case of CVC research in Korea, most of the research based on US CVC information was conducted due to difficulties such as regulations on the establishment of CVC, the immaturity of the venture investment ecosystem, and difficulties in securing related data. In the case of domestic CVC studies, no clear classification criteria for CVC were established, so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criteria and categories for classifying CVC depending on the researcher. This has become an obstacle to follow-up research by researchers in the field of CVC.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the existing CVC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criteria from a theoretical and practical level, and discussed the use and characteristics of CVC in terms of open innovation strategies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prior studies by combining them with domestic CVC cases. Through this, I intend to provid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successful CVC operation. As for the research method, 13 CVCs were selected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CVCs’ current and former examiners of the company. As a result of the in-depth interview, ‘diversity of portfolio scope’, ‘form of establishment of CVC’ and ‘composition of fund investors’ were identified as the main factors that create operational differences in domestic CVCs. And by applying the factor as a variable of the CVC type model, an extended CVC type model was developed centered on two variables: 'portfolio diversity' and 'independence of CVC from the parent compan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d insight into the optimal operating form and operating method to effectively use CVC as the parent company's open innovation strategy. In other words, through the new CVC type model, it is possible to diagnos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CVC managers, and to check what operational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e corresponding type has in achieving the parent company's strategic objectives.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serve as a guide for CVC managers to make the most of the open innovation strategy.

      • 가족체계유형과 스트레스 대처방식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정신장애인 경험을 중심으로

        윤지은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find family system types of the mental disordered based on Beavers System Model, which is one of the model to evaluate the family function, and to apply it to develop new rehabilitation program for the mental disordered, through the demonstration of differences among correlation with the ways of stress coping, the type of family support members. Research object of this study is 173 people with mental illness with schizophrenia simplex, bipolar and depression simplex, living in Daegu and Gyeongbuk area. They have been participating in rehabilitation program in local mental health center and their mental levels are more than 41-50 GAF scale. Measures used in this study is SFI II, which is based on Beavers System Model for family system type, and stress source scale, developed by Kim, Jeong-Hee(1987). "The ways of coping checklist"by Folkman & Lazarus (1985) is used as the scale of stress coping methods in this study. Statistic methodologies, used in this study, are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lpha, ANOVA, T-test, and Pearson's co-relation analysis, and results are as follows. Family system types as the level of family competence, experienced the mental disordered, are most widely shown in mid-range family, and done in healthy adequate family, borderline family in order. Family system types as the level of family style is shown in mixed family, centripetal family, and centrifugal family in order. As the result of study on the difference of competence and family style by the trait of family support for the mental disorder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s shown only in concern family. In inter-group difference,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brother & sister and other family members in borderline family. In main causes of stress of the mental disordered, conflict with or between family members is most numerous and the next is conflict in human relationship. Stress coping methods of the mental disordered is positive problem solving, emotional easing, evasion, asking help to the others, and wishful thinking in order. The statistical difference of stress coping methods by the trait of family support is only shown in exchange family, and also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coping attitude of the mental disordered to the problem, as family member who spend the most time with them. The meaningful difference of stress copying methods by family competence, the mental disordered are experiencing, is shown in positive problem solving, asking help to the others, wishful thinking, emotional easing, and evasion. And family competence and positive problemsolving is more meaningful than other factors. The meaningful difference of stress copying methods by family style, the mental disordered are experiencing, is only shown in positive problem solving. As the result of examin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family competence and family style, problem solving, asking help to the others and evasion shows high correlation level each other. Especially, problem solving and evasion shows high correlation in healthy adequate family, and problem solving, asking help to the others and evasion shows high correlation in mid-range family. By family style of the mental disordered, centripetal family, which get energy from inside of family, shows high correlation in problem solving, and centrifugal family, which get energy from outside of family, does in evasion, more negative coping method. To sum up study results, family members should make up comfortable environment to communicate each other and make the mental disordered learn basic communication skill and human relation skill through interaction between family members for more efficient their rehabilitation. Moreover, professional and family members of the mental disordered should recognize the family system on the Beavers System Model, and objective evaluation system, development of professional emotional management program for the mental disordered, understanding of family system and individualized approaching method, and family education and meeting for their sister and brother should be supplied for their efficient rehabilitation. (초록) 정신장애인은 지역사회로 복귀했을 때 정신장애의 질환적 특성과 가정, 직장, 사회 등 스스로 대처하기 어려운 심리적, 사회적 문제로 불안과 여러 가지 관련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특히 퇴원 후 정신장애인은 1차적으로 가족에게 돌아가기 때문에, 가족체계 내에서의 적응이 성공적인 사회복귀의 단초가 된다. 이렇게 가족은 정신장애인이 소속된 여러 체계에 적응을 돕는 중요한 체계임에도 불구하고 정신장애인이 경험하는 가족지지원의 특성과 정신장애인의 가족체계유형, 가족체계 내에서의 스트레스대처방식이 어떠한지에 관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족지지원의 특성을 가족관계를 중심으로 알아보고, 가족기능을 평가 할 수 있는 모델 중 비버즈 체계모델(Beavers System Model)을 정신장애인 가족에 적용하고 스트레스대처방식과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이는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를 위한 재활프로그램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본 연구는 대구, 경북에 거주하며 DSM-Ⅳ 진단기준에 의해 정신분열증, 조울증, 우울증으로 진단되어, 입원치료나 외래 치료 받으면서 지역사회의 낮 병원이나 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에서 재활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173명의 정신장애인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정신장애인의 기능수준을 고려하여 GAF척도 41-50점 이상으로 제한하였다. 측정도구는 정신장애인의 가족체계유형 분석을 위해 비버즈체계모델(Beavers System Model)에 근거하여 만들어진 SFIⅡ를 사용하였고, 스트레스요인 척도는 김정희(1987)가 개발한 것으로 사용하였다. 스트레스대처방식척도는 Folkman & Lawarus(1985)의 The ways of coping checklist를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일반적, 임상적, 가족지지원의 특성 분석을 위한 기술통계,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도 검사하기 위해 Cronbach's alpha, ANOVA와 T-test 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이 경험하는 가족체계유형은 비버즈체계모델(Beavers System Mode)에 근거하여 가족 유능성 수준에서 중간범위의 가족, 적절가족, 경계선 가족 순으로 나타났고, 가족양식 수준에서는 균형 있는 혼합가족, 구심가족, 원심가족 순으로 나타났다. 가족체계유형을 가족유능성과 가족양식 수준을 다양한 범주로 나눠 본 결과 정신장애인이 경험하는 가족체계유형으로는 중간범위혼합가족이 가장 많았다. 둘째, 정신장애인의 가족 지지원의 특성에 따른 가족 유능성, 가족양식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가족지지원의 특성 중 관심가족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다. 집단간 차이에서도 경계선 가족 내에서 형제-자매와 그 외 가족 집단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정신장애인이 경험하게 되는 스트레스의 요인으로는 중 가족간의 갈등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대인관계 갈등, 남아 있는 증상인 환각, 망상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방해, 사소한 일상생활 관련 내용, 외모나 능력에서 자신감 저하, 직업, 경제적 문제, 퇴원, 장래에 대한 두려움, 학업의 순서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신장애인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으로는 문제해결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정서적 완화, 회피, 조력추구, 소망적사고 순으로 나타난다. 또한 문제해결과 조력추구의 적극적대처가 정서적 완화, 소망적 사고, 회피의 소극적 대처 보다 다소 높은 수준을 보였다. 다섯째, 가족지지원의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대처방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교류가족은 스트레스대처방식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신장애인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가족에 따라 문제에 직면하지 않는 회피대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정신장애인이 경험하는 가족 유능성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의 비교에서는 문제해결, 조력추구, 소망적사고, 정서완화, 회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 중 가족 유능성과 문제해결대처가 가장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정신장애인이 경험하는 가족양식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에서 문제해결대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가족 유능성 및 가족양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문제해결, 조력추구, 회피에서 가족유능성과 상관관계가 컸으며, 특히 적절가족과 문제해결, 회피 대처가 통계적으로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중간가족은 문제해결, 조력추구, 회피 대처에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력추구대처가 상관관계가 높았다. 정신장애인의 가족양식에서는 가족 내부에서 에너지를 얻는 구심형 가족일수록 문제해결대처를 많이 하며, 외부에서 에너지를 얻는 원심형 가족일수록 소극적 대처인 회피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 정신장애인 가족체계의 유연성과 자유롭고 편안한 분위기 형성을 통한 원활한 의사소통을 돕는 가족교류의 장을 마련하여 가족이 의사소통 하는 방법이나 인간관계에 필요한 기본적인 기술들을 체계적으로 훈련 하는 가족기능 향상에 관련된 사회복지적 실천 개입과, 비버즈 체계모델(Beavers System Model)과 같은 정신장애인 가족의 특성을 객관적으로 평가 할 수 있는 도구를 활용하여 전문가나 가족 모두가 가족체계의 특성을 인지하고, 변화에 대한 동기를 모색할 수 있도록 하는 평가체계와 정신장애인이 가족관계에서 겪게 되는 정서를 관리 할 수 있는 전문적인 프로그램 개발, 정신장애인에게 실질적인 지지체계 역할을 하고 있는 가족지지원의 특성을 고려한 가족체계의 이해와 이에 따른 개별화된 접근이 이뤄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신장애인에게 중요한 지지체계인 형제-자매와의 관계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으로 기능적인 가족체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가족모임이나 교육을 위한 사회사업 실천을 제안하는 바이다.

      • 중국CMMB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도 연구 : 소비자의 혁신성에 따른 구매의도와 최대지불의사가격을 중심으로

        곽요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최근 중국 방송 및 통신 융합환경에 있어 중국소비자에게 전개될 새로운 미디어인 중국CMMB와 관련되어, 중국CMMB에 대한 중국소비자의 구매의도와 최대지불의사가격 등을 조사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CMMB는 영문 China Mobile Multimedia Broadcasting으로서 중국이 자체 개발한 최초의 멀티미디어운영체계 시스템으로 휴대전화, PDA, MP3, MP4,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하기 위해서 개발된 방통융합서비스를 의미한다. 본 연구는 중국CMMB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소비자의 혁신성에 따른 구매의도와 최대지불의사가격에 미치는 연구모형 및 연구문제를 설정하였고 중국소비자를 대상으로 총 520부 설문조사를 한 후, SPSS 14.0 통계패키지를 통해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중국CMMB 인식수준은 전반적으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소비자의 혁신성에 따라서 CMMB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서 중국CMMB의 방송장르별 구매의도 수준을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거주지역등에 따라 CMMB 구매의도가 다양한 차이가 나타났다.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CMMB 구매의도를 분석한 결과 엔터테인먼트 방송장르에서 높은 구매의도를 보였으나 전반적으로는 평균값보다 낮은 구매의도를 보여 중국소비자의 CMMB에 대한 구매의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성에 따라서는 혁신소비자인 경우 중국CMMB에 대한 구매의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CMMB 인식수준을 살펴본 결과 스포츠와 교육정보 방송장르를 제외하고 높은 구매의도를 보였다. 셋째, 방송장르별 최대지불의사가격을 살펴보면 엔터테인먼트는 6.48 CNY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고, 전체적인 최대지불의사가격은 26.80 CNY로 보였다. 인구통계적 특성을 보면, 최대지불의사가격에는 학력과 월평균수입 높을수록, 전문직(교사포함)에 따라 최대지불의사가격이 높게 나타났다. 중국소비자의 혁신성은 최대지불의사가격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방송통신서비스인 중국의 CMMB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의도와 최대지불의사가격은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중국시장의 방통융합서비스는 아직까지 초기단계이며 시장과 소비자중심의 생활혁신 서비스, 문화엔터테인먼트서비스, 교육정보제공서비스의 생활가치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인지시키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소비자의 인지도가 낮고, 요구도가 낮은 상황에서 시장에서의 가치를 높이는 방안으로 소비자에게 서비스교육,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 CMMB의 기술지향적인 서비스에 대한 이해도 증진 등의 부가적인 방안이 시장진초기에 총체적으로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방송과 이동통신회사의 공동마케팅 전개시에 단말기의 전략도 아울러 중요함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싶다. 즉 방송, 통신, 융합서비스, 단말, 콘텐츠의 복합적인 마케팅방안이 시장에서 시작되는 시기에 소비자 즉 이용자 중심의 교육과 인지도 상승을 위한 사전 서비스교육이 매우 중요함이 본 연구결과를 통해 나타났다. 즉, 중국의 방통융합서비스가 시장에서 런칭하고 성공적으로 확산되기 위하여 소비자의 인지도와 요구도, 만족도등을 위한 특별 전략이 선행되지 않는 한 시장 확산에 어려움이 예측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이와 같은 기술지향적인 CMMB 서비스가 중국시장에서 생활정보혁신서비스로 소비자에게 혁신과 효율성을 제공해주는데 본 연구의 결과가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purchase intention and maximum willingness-to-payment price of Chinese consumers in relation to CMMB(China Mobile Multimedia Broadcasting), the new media to be provided for Chinese consumers, in the Chinese combined broadcasting-communications environment. CMMB stands for China Mobile Multimedia Broadcasting and is the first multimedia operating system developed by Chinese for themselves. That is, it means the broadcasting-communications fusion service developed to apply diverse terminals such as cell phones, PDA, MP3, MP4, digital camera, laptop computer and the like. This study set the research model and research question that would have an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and the maximum willingness-to-pay price on the basis of the Innovativeness of consumers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consumers' demand for CMMB. To attain the goal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by distributing a total of 520 questionnaires to Chinese consumers.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obtained from it was conducted by using the SPSS 14.0.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hinese respondents had a more or less high level of perception on CMMB overall.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MMB according to the Innovativeness of the Chinese consumers. Second, an attempt was made to make an analysis of the level of the purchase intention by broadcasting genre of CMMB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tention to purchase CMMB according to gender, age, the area of residence and so on. But it was found that the Chinese consumers had the low intention to purchase CMMB as they showed the lower purchase intention than the mean overall. The Chinese consumers with the high level of Innovativeness showed the high intention to purchase CMMB. An investigation into the level of perception of CMMB showed that the Chinese consumers had the high intention to purchase all genres except the broadcasting genres of sports and educational information. Third, an investigation into the maximum willingness-to-pay price for each broadcasting genre showed that the Chinese consumers had the highest level in entertainment as the maximum willingness-to-pay price for entertainment was 6.48 CNY. The overall maximum willingness-to-pay price was shown to be 26.80 CNY.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maximum willingness-to-pay price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Chinese consumers with higher educational level and monthly average income and with profession (including teachers) showed the high maximum willingness-to-pay pric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ximum willing-to-pay price according to the Innovativeness of the Chinese consum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hinese consumers had the lower intention to purchase CMMB, Chinese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service, and the low maximum willingness-to-pay price for it overall. The combined broadcasting-communications services of the Chinese market is still at the beginning stage.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it is more important, among other things, to provide Chinese consumers with the living value of market-and consumer-centered life-innovative service, cultural entertainment service and education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s and enable them perceive it. To add up the market value under the situation that consumers have the lower level of perception and demand in providing services, it is necessary to formulate the scheme to raise the level of consumers' service education and satisfaction and the additional scheme to increase the level of understanding on the technology-oriented service of CMMB at the early stage of market entry.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at the strategy of the terminal is important when the co-marketing of broadcasting and mobile communications companies is launched. That 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ior service education is very important to elevate the level of consumer-or user-centered education and perception when the comprehensive marketing scheme for broadcasting, communications, terminals and contents is launched in the market. That is, a special strategy for increasing the level of consumers' perception, demand and satisfaction is should preceded for the Chinese combined broadcasting-communications service to be launched and successfully spread in the market. It is predicted that otherwise, there would be difficulty in spreading the Chinese combined broadcasting -communications services in the market.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the useful basic material for this technology-oriented CMMB service to provide consumers with innovation and efficiency through the innovative service of life information in the Chinese market.

      • 중견기업의 연구개발 역량과 재무 건전성, 국제화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제조업의 패널 분석을 중심으로

        황성욱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changes to the industrial structure have driven the South Korean economy into a dire situation of big corporations - based economic structure and manufacturing crisis. The economic structure with high concentration on manufacturing means that the manufacturing crisis has influences across the industries. In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the structure of competition is changing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romotion of medium and large-sized manufacturing enterprises can emerge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economic power concentrated on big corporations and manufacturing crisis. The expansion of medium and large -sized manufacturing enterprises will serve as the waist of industrial ecosystem and bridge between big corporations and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contributing to a healthy economic structure and sustainable growth. There is a huge shortage of research on medium and large-sized enterprises despite their roles and importance compared with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and venture firms. In 2011, the Industrial Development Act distinguished medium and large-sized enterprises from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and initiated supports for them, thus increasing the social interest in them. This study thus set out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medium and large-sized manufacturing enterprises in details,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ir corporate features, R&D capabilities, financial stability, and internationalization capabilities, and propose desirable development plans for them as well as their characteristics. The study identified medium and large-sized manufacturing enterprises according to the criteria in Special Act on Medium and Large-Sized Enterprises and conducted panel regression analysis of casual relations affecting management performance with the financial statements, exports, and R&D data of 495 enterprises for ten years(2002~2011). For analysis, the investigator set R&D capabilities(R&D intensity), corporate features(corporate age and size), financial stability(debt ratio and current ratio), and internationalization capabilities(sales /export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n return on sale(ROS), a profitability indicator, and sales growth rate(SGR), a growth indicator, as dependent one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show that corporate age and size had negative effects 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that R&D concentration had very positive effects on ROS and SGR. The study analyzed variables from one year ago and those from two years ago to examine time differences in R&D intensity and found that both of them had significant effects with the R&D intensity a year ago having greater influences. Financial stability had negative impacts on ROS and no significant impacts on SGR. The percentage of exports against sales, which represents internationalization, had no significant influences on sales performance and negative influences on SGR. Those empirical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earch: First, the study investigated medium and large-sized manufacturing enterprises, which had not been a popular topic in previous studies, and raises a need to expand their researches for their distinct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venture firms and big corporations. Second, there should be policy supports for medium and large-sized manufacturing enterprises according to the criteria since they claim a very broad scope. Third, there were time differences in the R&D capabilities of medium and large-sized manufacturing enterprises, which were analyzed to invest more capabilities into progressive technologies that will produce results fast. They should strike balance with technological development to find the driving force of growth. Finally,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exports of medium and large-sized manufacturing enterprises generated less profit than cost and raised a need for policy supports and strategic interest in them, thus claiming its significance.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해 한국경제는 대기업 위주의 경제구조와 제조업의 위기라는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 제조업의 집중도가 높은 경제구조 상 제조업의 위기는 산업 전반에 영향을 주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을 통해 경쟁의 구조가 바뀌는 현 시점에서 대기업에 집중된 경제력과 제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조 중견기업을 육성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제조 중견기업군의 확대는 산업 생태계의 허리 역할과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가교역할을 수행하여 건강한 경제 구조를 만들어 지속 성장이 가능케 한다. 중견기업의 역할과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의 연구에 비해 중견기업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2011년 산업발전법에 중견기업이 중소기업과 분류되어 지원되기 시작하면서 사회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조 중견기업의 현황을 상세히 파악하고, 제조 중견기업의 기업특성, 연구개발 역량, 재무 건전성, 국제화 역량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여 제조 중견기업의 특성과 바람직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견기업 특별법」의 기준을 적용하여 제조 중견기업을 파악했으며, 최종 495개 기업을 대상으로 10년(2002년-2011년) 간의 재무제표, 수출, 연구개발 데이터를 활용하여 경영성과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패널 회귀분석 하였다. 분석을 위한 독립변수로 연구개발 역량(R&D 집중도), 기업특성(기업업력, 규모), 재무 건전성(부채비율, 유동비율), 국제화 역량(매출액 대비 수출액)을 변수로 설정하였고, 종속변수로 수익성 지표인 매출영업이익률(ROS)과 성장성 지표인 매출성장률(SGR)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기업업력과 기업규모는 경영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연구개발 집약도는 영업이익률과 매출성장률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연구개발 집약도의 시차를 보기위해 1년 전 변수와 2년 전 변수를 분석해 본 결과,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며 1년 전 연구개발 집약도가 더 많은 영향을 주었다. 재무 건전성은 매출영업이익률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매출 성장률에는 유의미한 값을 얻지 못했다. 국제화인 매출액 대비 수출비중은 영업성과에 유의미한 값을 얻지 못했지만 매출 성장률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 연구 결과에 따른 이론적 실무적 연구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많이 연구되지 않았던 제조 중견기업을 연구하였고, 벤처기업과 대기업과는 구별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중견기업에 대한 연구는 확장되어야 한다. 둘째, 제조 중견기업은 매우 광범위한 범위의 기업군이기 때문에 기준을 나누어 정책적 지원이 되어야 한다. 셋째, 제조 중견기업의 연구개발 역량은 시차가 존재하며, 빠른 결과가 나올 수 있는 점진적 기술에 더 많은 역량을 쏟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며, 성장 동력을 찾기 위한 기술개발과의 균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제조 중견기업의 수출은 비용 대비 수익이 적은 것으로 나타나 정책적 지원과 전략적 관심을 가지고 추진해야 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 정신장애인의 재활정도와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조은숙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정신장애인이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지역사회에서 보다 건강한 삶을 누리기 위해서는 그들의 치료적 접근에 있어 사회복귀와 재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의 행동변화에 대한 정도 즉, 재활을 위한 행동변화의 단계를 '재활정도(Rehabilitation level)'라고 보고, Hillburger의 변화과정 척도(CAQ-SPMI)를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의 재활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특히 자기효능감, 정신장애인이 경험하는 가족의 기능, 정신보건서비스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08년 12월 10일부터 2009년 1월 28일까지, 대구와 경북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정신보건센터 및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 14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하였다. 측정도구는 Change Assessment Questionnaire for People with Severe and Persistent Mental Illness(CAQ-SPMI : Hilberger, 1995), Self-Efficacy Scale(Sherer, 1982), Self-report Family Instrument(SFI: Beavers, 1985) 이며, SPSS for Windows v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의 재활정도는 숙고전 재활정도가 124명, 숙고 재활정도가 5명, 행동 재활정도가 4명, 유지 재활정도가 7명으로 조사되어, 대부분 숙고전 재활정도로 타나났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의 재활단계에 따라 자기효능감의 평균을 비교해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의 재활단계에 따라 가족기능의 평균을 비교해본 결과 재활단계와 가족기능이 서로 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족기능의 하위 요인인 응집성은 숙고 이상의 단계에 비해 숙고 전 단계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의 재활단계에 따라 정신보건서비스 이용의 평균을 비교해본 결과 숙고 이상의 재활정도가 숙고전 재활정도보다 1주일 동안 서비스를 이용하는 횟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사회복지적 함의를 갖는다. 첫째, 현재 정신장애인이 경험하는 재활정도에 대한 파악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개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정신장애인 가족을 위한 지역사회 내의 자원 및 전문적인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다. 셋째, 정신장애인이 경험하고 있는 재활정도에 대한 전수조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넷째, 정신보건전문요원은 정신장애인 재활에는 변화 단계 및 재활정도가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전문가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의식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When it comes to therapeutic approach toward the mentally disabled, it's needed to pay attention to their social adjustment and rehabilitation in order for them to lead a sound life in local community as members of society. They may take a different attitude to rehabilitation and differently be motivated to step up their own rehabilitation, and the differences affect the success or failure of rehabili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the rehabilit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And it's specifically meant to check their self- efficacy, their experience of family function and the impact of mental health servi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49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used mental health centers and social rehabilitation institutions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Data were gathered from December 10, 2008, to January 28, 2009.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Change Assessment Questionnaire for People with Severe and Persistent Mental Illness(CAQ-SPMI: Hilberger, 1995), Self-Efficacy Scale(Sherer, 1982) and Self-Report Family Instrument(SFI: Beavers, 198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2.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level of rehabilitation, 124 respondents were in the pre-contemplation stage, and five belonged to the contemplation stage. Four were in the action stage, and seven were in the maintenance stage. Thus, most of the mentally disabled people investigated were in the pre- contemplation stage. Second, when their self-efficacy was compared in consideration of their rehabilitation stage, there was no significant gap in that regard. Third, when their family function was compared in view of their rehabilitation stage,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ir rehabilitation stage and family function. But stronger cohesion was found among those who were in the pre-contemplation stage than the others in the contemplation or higher stage. Fourth, when their use of mental health service was compared by the rehabilitation stage, those who were in the contemplation or higher stage used the service more frequently per week than the others in the pre-contemplation stage. The above-mentioned findings ha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First, epidemiological studies should be implemented to find out what rehabilitation stages people with mental disorder go through. The fact they used mental health service means that they already started to make a preparation for rehabilitation though they were in the pre- contemplation stage. The level of the rehabilitation of those who don't yet start to do that should be checked so that they could properly be helped to take advantage of better and more specialized service in response to their own needs. Second, a supply of differentiated service and intervention is required in consideration of the rehabilitation stage they belong to. Third, local resources available and professional programs should be offered to families of mentally disabled people. There should be close collaboration between local service systems in order to expedite the successful social rehabilitation of mentally disabled people and their families, and information on a wide variety of programs should be provided.

      •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인도네시아 여성을 중심으로

        엠마누엘라 사바티니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acculturation process and experience meaning of Indonesian migrant women who married to Korean men.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Indonesian women with a positive mind about Korea and had some experiences of learning Korean culture before deciding to marry Korean men then move to live in Korea. Eight migrant women who married Korean men for more than 1 year and lived in Korea for no more than 5 years are selected as participants by snowball sampling. The interview was held in February 2020.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is applied to identify the essential themes of the acculturation experience. Results of this data analysis produced 125 meaning units, 32 constituents, 13 topics, and 8 essential themes of general descriptive meaning. The essential themes are as follows : “tied the knot with Korea”, “a new page of my life”, “psychological distress in Korea”, “distance inside the family”, “establish strong social support systems”, “trying to narrow the family distance”, “dyed with Korean culture”, and “dual cultural identity”. This study shows that Indonesian married migrant women had faced difficulties,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n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especially in religion and eating habits. However, they have become willing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due to a support system like family and welfare organizations. The study indicates that Indonesian married migrant women are most likely to use integration strategy, by acquiring Korean culture while maintaining their original culture simultaneousl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program activities with the local residents, Korean language classes that include the introduction of regional dialects as implication of social welfare practice. This study also suggests an implication for social welfare policy to carry out education on Korean culture and multicultural society as a compulsory issue to get spouse visa and marriage registration. 본 연구는 한국남성과 국제결혼한 인도네시아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과정과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참여자는 모국에서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다양한 한국문화를 습득하였고 그 과정에서 한국인과 국제결혼을 결정하여 한국에 이주하게 된 인도네시아 여성들이다. 연구참여자는 결혼 후 1년 이상 된 자이며 한국거주 기간은 6개월에서 5년 이하로 한국에서 정착하고 있는 여성으로 제한하고 눈덩이 표집을 통해 8명의 결혼이주여성을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2020년 2월에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인도네시아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Giorgi의 현상학 분석 방법으로 도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문화적응 경험은 의미 단위는 125개, 중심의미는 32개, 드러난 주제는 13개, 본질적 주제는 7개로 나타났다. 본질적 의미는 “한국과 인연을 맺음”,“한국은 내 인생의 새로운 길이다”,“한국에서 받은 심리적 고통”,“가족 간 좁혀지지 않는 거리”,“든든한 사회적 지지체계의 형성”,“가족 내 거리를 좁히기 시도”,“한국문화에 물들어감”과 “이중문화 정체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연구참여자는 문화적응 과정에서 어려움 또는 편견과 차별을 경험했으며 특히 종교와 식습관에 관한 문제였다. 그러나, 이들은 가족이나 지역사회단체와 같은 지지체계로 인해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해나가는 의지를 가지게 되었다. 인도네시아 결혼이주여성은 대부분 자국의 문화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한국문화를 습득하여 통합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지역주민과 함께 하는 활동, 지역의 방언 소개와 함께 직접적인 한국어 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함의로 제안하였다. 사회복지정책을 위한 함의로는 결혼이민자 비자 발급과 혼인신고를 위해 한국문화와 다문화 이해에 대한 교육 이수를 제도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