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정에서 지속가능한 의생활 및 업 사이클링의 탐색적 연구

        심수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가정에서 지속가능한 의생활의 태도와 실천 현황 연구를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선행연구와 문헌자료, 인터넷 자료 고찰을 통해 지속가능한 의생활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고, 지속가능성을 토대로 하는 업 사이클링을 조사하였으며 가정에서 지속가능한 의생활과 업 사이클링 양상을 연구하였다. 조사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 가정에서 지속가능한 의생활의 태도 및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가정에서 업 사이클링 실천 현황 분석을 위해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참여자들은 지속가능성을 주로 친환경적인 태도로 이해하였으며, 앞으로 추구해야할 발전방향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또 가정을 주체적인 소비자로 간주하고 가정에서 지속가능한 의생활의 실질적인 실천을 위해 노력했다. 가정에서 지속가능한 의생활의 실천으로 지속가능한 패션제품의 선택소비, 환경영향과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는 세탁과 관리법 이행, 재활용 및 중고거래를 생활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는 가정에서 지속가능한 의생활 실천방법 중 하나로 재활용을 이야기하였으며, 특히 가정에서 업 사이클링은 지속가능성의 특성인 환경적 지속가능성, 경제 · 사회 · 문화적 지속가능성, 시간적 지속가능성 양상이 모두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의생활에서 업 사이클링 실천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실증연구에서 가정에서 업 사이클링의 사례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 ‘네이버(Naver)’ 블로그에 게시된 업 사이클링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가정에서 업 사이클링 참여 유형으로는 일회성 이벤트로 업 사이클링을 참여하거나, 취미활동의 일환으로 업 사이클링을 실천해 즐거움을 얻거나,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 상에서 업 사이클링 방법과 작품을 공유하였으며, 또는 가정 내 업 사이클링으로 지역사회에 이바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에서 업 사이클링 사례를 조사한 결과 재료의 기존 기능이나 디자인을 활용하는 소재활용을 극대화한 업 사이클링 유형, 저급 소재를 활용하거나 보완 해 가치상향하는 유형, 아이디어로 재료의 기존 성질 및 용도와는 전혀 다른 의외의 제품으로 업 사이클링 하는 유형, 그리고 업 사이클링 브랜드 제품 모방과 업 사이클링 방법의 유행에 동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현 시대의 화두가 되고 있는 지속가능성과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업 사이클링의 경향과 내적의미를 이해함으로써 가정에서 업 사이클링이 지속가능한 의생활에 보다 새로운 가치창출과 영역 확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 고대 한국의 기하학 문양의 기원과 유형 탐색 : 원, 네모, 세모를 중심으로

        박선화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문양(紋樣)은 한 민족 문화의 소산이다. 각 시대의 민족 생활 풍습이나 정서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징적 표현’은 오랜 역사를 통하여 변화 및 발전을 거듭한다. 그리하여 한 민족의 보편적인 미의식(美意識)을 축적(蓄積)시킨다(정복상, 정이상, 1996). 민족마다의 생활습관과 사고방식이 상징적으로 표현되는 조형적이고 아름다운 가치 있는 고대 문양이 있다. 우리 민족은 고대부터 나라의 안녕, 가정의 평안과 행복을 절실히 갈구해 왔다. 이러한 염원과 소망은 문양에 상징적 의미를 부여해왔고 이렇게 만들어진 기호를 시각적인 조형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고대 문양의 형태를 분석하여 그 의미와 상징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사시대부터 고대에 이르기까지 복식과 유물 등에 나타난 다양한 문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예로부터 자연을 숭상하고 예(禮)를 중시한 선조들이 어떠한 문양(원형, 네모, 세모)을 선호하고 그 문양에 어떠한 의미를 부여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목적 및 내용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을 통해 한국의 고대 문양을 연구하고 분석하였다. 첫째, 고대 문양의 일반적인 정의 및 특성과 종류를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한다. 미술 전집, 박물관 소장품으로부터 자료를 얻고, 정기 간행물 연구 논문 등을 참조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선행 논문, 도서, 인터넷 자료, 사진자료 등을 이용하였으며 도자기. 공예품, 복식 등 다양한 문양에서 나타난 고대문화에 연결고리를 고찰하였다. 둘째, 한국의 고대 문양 중 원형, 네모, 세모 모양의 기원을 알아보고 그 쓰임새와 의미를 다시 한 번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한국 고대의 문양 이미지가 주변 국가 예술에 미쳤던 영향과 미래에 기여할 가치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넷째, 각 문양이 의미하는 것들을 바탕으로 다양한 종류의 유적 및 의복, 장신구에 쓰임새에 대하여 파악하였다. 특히, 선사시대의 복식과 관련된 유물은 주로 가죽, 모피 등으로 그 흔적이 사라져 의미와 형태를 알아보기란 매우 힘들었다. 그리하여 주로 장신구 및 토기 등에서 찾아 분석할 수 있었다. 다섯째, 고대의 문양 발전사를 중심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지리·역사적인 위치를 고찰한 후 고대의 문양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원 무늬는 태양을 상징하는데, 한편으로는 타원 무늬와 더불어 씨족공동체의 성원(成員)이나 씨족 신의 수호 밑에 있는 씨족 개개인의 혼을 나타내는 것으로도 보고 있다. 고조선족과 고조선 문명권에 포함된 부족들은 '태양숭배', '천재숭배' 등의 사상을 바탕으로 자신들을 '태양의 자손', '천손'이라는 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즉, 하늘과 땅과 사람이 하나가 되는 ‘회삼귀일(會三歸一)’의 원리는 태극문양으로 표현하여 그 의미를 부여하였다. 또한 연성문을 통해 별을 관측하여 풍요를 기원하였으며 우리의 문물이 멀리 만주지역으로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는 중요한 발견이었다. 둘째, 우리의 선조들은 공동체의 풍요와 건강을 위해 하늘뿐만 아니라 땅에도 제(祭)를 지내며 소원을 빌었다. 하늘과 태양을 상징하는 문양이 원형이라면 땅(地)을 상징하는 문자는 네모라고 볼 수 있다. 이로써 우리선조들의 문양에서 주로 원형과 네모문양을 쉽게 접하는 이유를 알게 되었으며 자신의 안녕보다는 가족과 더 나아가 국가의 안녕을 기원하는 마음이 담긴 문양을 선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빗살무늬에서 삼각무늬가 파생되었으며 하늘, 땅 다음으로 사람이 중요하다는 고대인의 사고에서 발생한 듯하다. 재생의 뜻과 다산을 상징하므로, 삼각무늬의 배열은 곧 다산과 복의 상징물로 볼 수 있다. 바람이나 물결, 구름결 등은 나선형이어서 물의 소용돌이, 뱀과 조개 및 고사리과 식물의 와상(渦狀), 그리고 회오리바람 등의 자연적인 형상에서 얻어진 것으로 보고, 그 상징적 의미는 죽음이거나 우주의 무한함 또는 그 반대적인 의미로 여기는 것이다. 선사시대를 거쳐 고구려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문화예술은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시대의 문양에서는 특히 자연숭배사상과 나 자신보다는 가족과 나라의 안녕을 기원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하늘과 태양을 숭배하는 원 문양, 땅을 숭배하는 네모문양 그리고 다산을 기원하는 세모문양으로 크게 구분되었다. 이 문양을 바탕으로 조사하고 분석하여 문양을 통해 우리 선조들의 얼을 기리고 알아보고자 하였다. 고대 문양은 우리 문화의 뿌리와 역사를 올바르게 밝히는 일임과 동시에 더 나아가 찬란한 문양을 되새기며 더욱 계승 발전시켜 순수한 고대의 문양을 정립하여 문화 산업에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이처럼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우리역사의 얼과 혼을 더욱 잘 파악하여 지속적인 문화보존 및 새로운 문화 창조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 Study on Origin and Meaning of Geometry Patterns in Ancient Times of Korea - Focusing on Circle, Square, Triangle Patterns - A pattern is the outcome of a national culture. It symbolically expresses the life customs and emotions of each period. The ‘Symbolic Expression’ repeatedly changes and develops through a long history. The general aesthetic consciousness of an ethic group is accumulated in such way (Boksang Jeong. Isang-Jeong, 1996). Each ethic group has own figurative, aesthetic, and valuable ancient pattern which expresses the life style and attitudes. Our people has been desperately longing for wellness of nation, peace and happiness at home. Such wishes and aspirations has been assigning the symbolic meaning to patterns and those symbols has been used as the visual for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ditional Korean patterns to identify the meaning and symbols of the patterns. For the research, this study examined various patterns on clothing and relics from the prehistoric times to the ancient times. This study also seeks to examine the patterns (circle, squire, comb patterns) preferred by the ancestors who worshipped nature and emphasized courtesy and identify the pattern’s meaning assigned by the ancestors. To accomplish the objective and contents of this study,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and analysis on traditional Korean patterns with following research methods. First, this study researched on general definition, characteristic, and types of traditional pattern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 The study obtained data from arts books and museum collections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data by referring to periodical publications of research papers. This study also used preceding studies, books, internet material, and photo data and examined the link to the ancient cultures appearing on various patterns of pottery, craftworks, and clothing. Secondly, this study researched on origin of circle, square, and triangle patterns among traditional Korean patterns and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on usage and meaning of patterns. Third,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and analysis on how traditional Korean patterns influenced on arts of neighboring nations and their value for future contribution. Fourth, this study identified usage of various relics, clothing, and accessories based on the meaning of each pattern. Especially, relics related to clothing of the prehistoric times were leather and fur and it was hard to identify the meaning and shape as the traces of relics disappeared. Therefore, this study found the usage of patterns mainly in accessories and earthenware. Fifth, this study conducted content analysis focusing on development of patterns in the ancient times. Additionally,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traditional pattern in consideration of the geological and historical location.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from above research process. First,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circle pattern indicated the sun. On the other hand, the circle pattern may also have indicated the souls for members of clan community or individual clan protected by the god of the clan along with oval pattern. The Gojoseon group and the tribes of Gojoseon civilization perceived themselves as ‘Son of the Sun’ or ’Son of the Sky’ based on the ‘worship of sun’ and ‘worship of the sky’s son’. They expressed the principle of ‘Hei-Sam-Geui-Il’ (unification of sky, land, and human) in Taegeuk (yin-yang) pattern and assigned meaning. They also observed the starts with Yeonsungmun and prayed for the prosperity. Those findings are significant as they indicate that Korean culture was widely spread to Manchuria regions. Secondly, the ancestors practiced ancestral rites to land and sky and made a wish for the prosperity and healthy of themselves and their family. While the circle patterns symbolized the sky and sun, the square patterns symbolized the land. These findings indicate the reason why circle and square patterns often appear in patterns used by the ancestors. The patterns also demonstrated that the ancestors preferred the patterns wishing for wellness of family and the nation rather than their own wellness. Third, the comb pattern was derived from the triangle pattern and it symbolizes regeneration and genital organ of women. Thus, arrangements of the triangle patterns can be seen as the fecundity and feminine symbol of animal. Also, coil pattern has spiral shape and it is assumed to be derived from spiral figure of snail, clam, and Pteridaceae family and natural shapes of whirlwind. The symbolic meaning of coil pattern is death, infinite universe, or the opposite meaning. Korean culture and arts enjoyed their golden age from the prehistoric times to Goguryeo times. The patterns found in these times emphasized nature worship and wished for wellness of family and nation rather than individual. The pattern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circle pattern worshipping the sky and the sun, square pattern worshipping the land, and triangle pattern wishing for fecundity. This study aimed to praise the spirits of ancestors and understand the ancestors better based the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patterns.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traditional patterns,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root and history of Korean culture. Furthermore, such research and analysis should be applied on Korean culture business by reviewing the glorious patterns, inheriting and developing the patterns to establish the pure traditional patterns.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helps in identifying the spirits and souls of Korean history and can be utilized as the basic material for contribution to constant cultural preservation and creation of new culture.

      • 중국 장족(티베트 족)민족복식의 색채특성 연구

        왕종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세계의 지붕인 티베트 고원에서 살고 있는 중국 장족(티베트 족)은 오랜 역사와 자연환경에 순응한 자신만의 독특한 생활양식을 가지고 있어 독자적인 의복문화 형태를 지닌다. 그리고 장족은 복식 중에 색채의 사용, 문양과 도안 등에서 뵌교 또는 불교의 종교적인 의미를 나타내고 있는데 복식을 통해 자신들의 생활의 희망과 자연을 존중하는 마음을 강하게 표현하고 있다. 현재까지 장족에 관한 연구가 비교적 많이 수행되었지만 색채분석 관련한 연구는 미미한 형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족 복식에 사용된 색채를 분석하고 그들만의 색채의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장족의 민족 복식의 색채 상징성에 관한 고찰을 통하여 장족 문화의 특수성을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장족의 복식 사진에서의 색 수집, 색의 사용빈도 집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 조사연구와 사례조사, 즉 장족 복식사진의 색채를 한국 I.R.I HUE-TONE 시스템을 통해 분석하였다. 장족의 복식사진으로는 [서장장족복식] 도록에 실려있는 사진과 청해장문화박물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장족 복식을 촬영한 사진, 인터넷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사진 등 총96장의 사진이었다. 복식 색채를 분석할 때 두식과 장화, 장식품 등은 제외하였고 의복 중에 나타난 색과 방전(邦單)을 포함하였는데 11색조와 10 tone 을 기준으로 색의 빈도를 집계하였다. 일반복식의 색 분석 결과는 장족복식의 타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도록 하였고 승려복식과 관복은 일반복식과는 따로 분석하였다. 장족은 모든 생활에서 검정색과 백색, 순도 높은 홍색, 황색, 남색, 녹색, 즉 오방색을 선호한다. 복식 색의 사용시에서도 오방색을 선호하는 특징이 반영되어 홍색과 녹색, 황색과 남색, 흑색과 백색의 순도 강한 대비색의 조합을 많이 사용한다. 또 이와 함께 흑색, 백색이나 금색, 복합색 등의 중간색을 추가적으로 사용하고 반복적으로 직조하여 장족 특유의 복식을 만들어낸다. 장족복식은 홍과 녹, 흑과 백, 홍과 남, 황과 자색 등 강렬한 색채조화를 이루도록 대담한 색채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의복뿐만 아니라 장식으로도 이차색이나 삼차색의 교묘한 사용, 금은사의 배합 등이 많이 들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복식의 색채는 명쾌하고 조화롭다. 즉 흰색과 검정색, 원색과 원색 등 반대색을 대비하는 의복의 색 조합뿐만 아니라 장식으로 금은색이나 중간색을 추가하고, 이를 원색과 반복적으로 시용한 방법은 티베트의 독특한 복식의 장식성을 형성한다. 특히 장족복식의 대표 장식인 방전에서는 넓은 면적으로 색채 대비의 이용이 나타나고 금은색, 중간색이 더 추가되어 총 14~20 색의 화려한 색채로 반복되는 줄무늬가 특징이다 장족은 세상을 구성한다고 생각하는 가장 주요한 요소를 5가지 색 오방색에 연결하여 각 색마다 의미를 부여하는데, 홍색은 불, 남색은 하늘, 백색은 구름과 흰 눈, 녹색은 초원, 황색은 대지를 각기 상징한다. 홍색, 백색, 남색, 녹색, 황색이 5 개 순도의 원색은 원시 자연종교인 뵌교의 5종 근본의 상징으로서 후에 불교에 응용되어 종교적 상징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일반 복식은 색채 사용빈도 통계하고 결과는 유무채색을 통틀어 무채색이 (22.2%)로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유채색 중에서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내는 색은Red(19.2%) 이었으며, 다음으로는 Yellow (10.8%) 였다. 그 다음은 자주(9.5%)과 주황색(8.7%) 이었다. 남색(8.4%)과 초록 (8.1%)로 나타난다. 장족 복식은 장족인들의 특유한 심미관을 표현한다. 기본색의 일반적인 감성을 대부분 따르지만, 자기들만의 감성이 드러나는 색상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노랑의 경우 부드러운, 즐거운, 행복한 등의 감성이라기 보다는 귀하고, 권력적이고, 힘있는 감성을 갖는다. 녹색은 싱싱하고 신선함, 생명력 등의 감성은 유사하지만 친밀함을 더 강하게 느끼고 있다. 또 남색과 파랑은 침착하고 이지적이며 시원한 감성뿐만 아니라 근처 호수인 청해를 상징하므로 깨끗함의 감성을 더 강하게 느낀다. 즉 색채의 일반적인 감성과 다르게 느끼는 장족사람들은 복식 중에 자신들이 선호하는 색을 많이 사용하고 자기민족의 특유한 종교적인 의미와 상징성을 부여하고 있다. 장족에게 복식은 아름다운 색채와 도안을 통해 종교성, 자연숭배와 생활의 희망을 복식으로써 표현하는 것이다. The Chinese tribe (Tibetan) living in the Tibetan highlands, the Roof of the World, has its own unique lifestyle conforming to its long history and natural environment, as well as its own form of clothing culture. In their costumes, the use of colors, patterns and designs is expressing the religious meaning of Buddhism and it also represents one’s own life's hopes and one's heart that respects the nature. Although there have been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long - term studies,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on color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lors used in the Tibetan costumes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se colors. The goal is also to understand the specificity of Tibetan culture through consideration of ethnic costume's color symbolism. As a research method, using the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colors of Tibetan costume photographs were analyzed through Korea I.R.I HUE-TONE system. I analyzed 96 photographs of these costumes taken during the Seojangjangjungsik ceremony, a photograph seen at the Cheonghaejang Culture Museum and a photograph taken at the Internet museum. In the analysis of costume colors, we excluded headdress, boots, and ornaments and only the colorful aprons' colors were included. The frequency of color was calculated based on 11 tone and 10 tone. The results of the general Tibetan costume's color analysi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previous researches. The costumes and customs of the monks were analyzed separately from general costumes. Tibetan people prefer black and Obangsaek colors, white, clear red, yellow, blue, green. In the case of costumes, the strong constrasts between the combination of red, green, yellow, blue, black and white are used very often. In addition to this, they use additional colors such as black, white, gold, and neutral, and alternate them repeatedly to create a unique costume. This Tibetan costumes are characterized by using bold color contrasts such as red and green, black and white, red and yellow, yellow and purple to achieve intense color harmony. Also a decorative use of secondary and tertiary colors, and the combination of gold and silver colors leads to the overall clear and harmonious looking costume. This means that in addition to the color combinations of white and black, of primary and opposite colors, the addition of gold or silver ornaments as decorations to the clothes and the repeated use of these elements form the Tibet's unique costume. More specifically, the colorful apron which is the representative decoration of the Tibetan costume, shows the use of color contrast in many areas, that is further enhanced with gold, silver and half-tone colors and also by repeated colored stripes of 14 to 20 colors. The shape of the it is also similar to the shape of a regular apron.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the costumes is connected to the five colors of Obangsaek which give meaning to each color. The red color symbolizes fire, the navy blue is sky, white is cloud or snow and green color symbolizes grassland. The five primary colors of red, white, indigo, green, and yellow are symbolic of the five fundamental principles of primitive natural religion, and later they are applied to Buddhism with a religious symbolic meaning. These fancy costumes express the unique aesthetics of the Tibetan people. The primary colors follow general emotions but they can also add personal emo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yellow, it carries an emotion of precious, powerful, and emotional rather than soft, pleasant, and happy emotion. Green represents freshness and vitality but the feel of intimacy is stronger. In addition, navy blue and blue represent calm, intelligent, and cool senses, as well as the feeling of a neighboring lake, which is a symbol of pleasure. In other words, the Tibetan people have a different feelings of colors from others, according to which they use their favorite color for the costumes and through that they express the distinctive religious meaning and symbolism of their people. Their costume is to represent the hopes of religion, nature worship and life through beautiful colors and designs.

      • 인체착용평가를 통한 엠파이어드레스의 보온성과 착의생리반응

        김지수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Empire style dress in the late 18th and early 19th attracted the hugely popular among women. High waisted and graceful styles are known as the Empire style. The volume in the skirt is great and breast is exposed a lot. Underwear such as the corset and panier did not wear in the dress. Women wore the dress in winter as well as in summer, however, they just wore spencer jacket or shawl over the dress. Furthermore, this fashion gained popularity not only a young lady but also older women. At the time when wearing this clothing for daily life or work, in particular, a lot of women in the winter felt cold. When women continue to cough, they look beautiful because of delicate femininity, but health was deteriorated and they even died. Because of low thermal insulation of dress, they feel a sense of dissatisfaction and their skin temperature is lower. We want to investigate that these environment is how much risk to health. No one knows thermal insulation of the empire style dress. Before human wear test, thermal insulation of each dress was measured through thermal mannequin. But this method still does not fully analyze the psysiological human body. Thus, combine thermal mannequin and human wear test should be more accurate result. A study is measured when subjects wore empire style dress, mean skin temperature, energy metabolism, thermal insulation, subjective feeling (thermal sensation) and PMV(Predicted Mean Vote) in climate chamber. Energy metabolism in addition to the basal metabolic rate is the energy needed to physical activity, such as exercise and work. The higher the energy metabolism, the more quickly tired and have high energy consumption. Energy metabolism is necessary to measure the PMV.Between thermal mannequin and human wear test, we compare how different Thermal insulation. Using the Clo unit, thermal sensation of subjective feeling is nine steps (very hot (+4) ~very cold (-4)). The Predicted Mean Vote(PMV) and Percentage People Dissatisfied(PPD) method developed by Fanger has been used worldwide. PMV is seven steps (hot (+3) ~ cold (-3)) which is calculated metabolic rate, external work, thermal resistance of clothing and so on. PMV and subjective feeling can be analyzed by a comparison with changes in time. PMV = 0 is thermal balance that is neither hot nor cold. PPD can be obtained through PMV and we can know subjects wearing empire style dress how much dis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difference on the wearer's physiological response and subjective sensation in human-clothing-environment system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human body worn empire style dres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human physiological reactions and subjective feelings. For the experiment, the empire dresses are made ??of three consisting of wool, silk and cotton. Artificial climate chamber (TABAI ESPEC (Japan), EBL-5HW2P3A-23) for human wear test conditions was that a temperature is 18℃(±2℃) and relative humidity was 55%(±5%) because of healthy of subjects. In order to calculate PMV, black bulb thermometer is suspended for experiment period in climate chamber. Then, the scale of the thermister(the Gram Corp (Japan), LT-8A.) was measured. Subject was attached sensor on the body then put on the dress. Skin temperature is measured by automatic one-minute intervals. Skin temperature by attaching human body using the four sites (chest, upper arm, thigh and calf) is measured. Mean skin temperature was calculated by Ramanathan(4-point method). Metabolic Measuring Instrument(TrueOne2400-TM (America), PARVO MEDICS) was measured by automatic one-minute intervals. The subjects are three women in their early 20s college students. With regard to mean physical characteristics, age of subjects is 22(±1), height is 167.5cm(±2.3cm), weight is 63kg(±4.0kg) and body surface area is 1.72㎡(±0.03㎡). People who have similar physical conditions were selected.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the same time zone of the day. The reason is that change in the daily cycle of human body is to eliminate as much as possible. The day before the experiment the subjects were careful not to tobacco and alcohol intake. In addition, intense exercise was banned and had to maintain a regular sleep. Experiment carried out during the winter(December 21, 2013 ~ February 17, 2014). Because this experiment is done in winter to reduce the physiological differences due to differences in the artificial climate chamber and a real-world environment. As pre-test subjects is measured as the maximum oxygen uptake(Vo2 max). In this experiment, the maximum oxygen intake amount of the exercise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exercise intensity of 60%. Treadmill speed was 3.2mph. Subjects wear brassiere, briefs and drawers. Subjects sit on the chair for 30 minutes in the rest and recovery period and then run on a treadmill in the exercise period. It was total 90 minutes. Thermal insulation was determined to be a total of two kinds of thermal sensation and the PMV. Thermal insulation was set on the basis of ISO 11092. PMV was calculated with the ISO 7730. To evaluate the physiological comfort and thermal insulation of the Empire dress, we investigated mean skin temperature, metabolic rate, subjective evaluation and calculated clo & PMV by the human bo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kin temperature rises during exercise and radiation is to warm the air inside the clothing and then temperature in empire style dress rises. During early recovery period, skin temperature rise because of mental strain, muscle contraction and increased blood flow according to relieve from continuous skin peripheral vasoconstriction when exercising. Upper arm is not all covered by clothing so skin temperature great decrease during rest period that is difficult to maintain health and comfort. Thigh is little change during rest period because high-waist dress is a relatively large still air layer. Calf area is frequently found in skin temperature variation except exercise period because calf is relatively large space in the dress. Each part of skin temperature is difficult to make certain conclusions due to large individual differences. Upper arm, thigh and calf increased skin temperature during exercise period on the other hand chest declined skin temperature during exercise period. Accordingly, mean skin temperature can be seen as a combination of the two. In terms of skin temperature at the limb, the thigh is no change in the rest period. Part of the thigh was the least difference according to textile types because of a lot of air space relatively well maintained stationary in a high-waist dress. Generally, skin temperature of wool is highest among textile types because of heat of adsorption of wool. On the contrary, skin temperature of cotton is the lowest. In the rest period, mean skin temperature of wool and silk is alike but cotton is the lowest. After sweating, cotton increases skin temperature more than silk because of the high adsorption. 2. Energy metabolism was 1.0 MET in the rest period but sharply rise about 5.0±0.3 MET in the exercise period. On finishing exercise period, energy metabolic sharply decreased and then recovery period decreased less 0.8MET. In terms the characteristics of textile, wool is rough and silk clings to body. Silk is crepe back satin that is grainy and thin and light textile. In other words, wool and cotton increased friction that was wet with sweat. 3. Thermal insulation of clothing is calculated as using skin temperature and energy metabolism. This result is different from thermal insulation of clothing by thermal mannequin. Using thermal mannequin is silk>cotton>wool,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is wool>cotton>silk. Thermal mannequin is difficult to moisture transport and energy exchange due to exercise among human, clothing and environme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mbine thermal mannequin and human wear test. 4. While temperature was 18℃, subjects felt very cold(1) in the rest period but changed very hot(9) in the exercise period. During recovery period, thermal sensation fall as 'neutral(5)' and then gradually felt ‘cool(3)-cold(2)’ 5. On finishing exercise, subjects felt cold(PMV : -2.8) that means unsatisfactory environment. At that time, more than 90% of subjects felt uncomfortable. PMV is not considered in sweating and water vapor resistance of clothing. During exercise period, subjects exercised maximum oxygen consumption of 60% that it occurred to difference from thermal sensation of subjective feeling to PMV. Therefore, thermal sensation of subjective feeling is more significant in the exercise period than PMV. We find out thermal insulation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empire style dress from the above results. In particular, when women wearing the dress got into a perspiration or in rain environment, they felt unpleasant. At that time, it would have been easy women's health was deteriorating. Before human wear test, thermal insulation of each dress is measured through thermal mannequin. Since then, we have analyzed in more detail as compared to the two results through the human wear test. The present study started and to more specific follow-up study of the Empire style dress will study through the fusion research that combines the history of costume and technology. The dress which is popular in Europe in the late 18th and early 19th is reviewed according to the effects on human physiological responses and thermal insulation and then will accumulate objective and useful data through a more healthy and functional clothing design. 18세기말에서 19세기 초 유럽, 여성들 사이에서 엠파이어드레스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네크라인을 깊게 파여 있고 가슴을 부풀게 하여 허리는 하이 웨이스트를 엠파이어 스타일이라고 일컫는다. 하지만 추운 겨울철에 입기에는 보온성이 좋지 않아 많은 여성들이 감기에 걸리고 ‘머슬린 디지즈(muslin disease)’라는 병에 걸리게 되었다. 겨울철에는 드레스 위에 스펜서 자켓이나 숄을 걸쳤지만 보온성이 턱없이 부족했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현대 의복에 관한 보온성과 생리적 쾌적성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지만, 옛 의복을 고증하여 실험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 당시 엠파이어드레스를 고증하여 제작한 후, 착의 실험을 통해 피부온, 에너지대사량, 보온성, 주관적 감각(온열감, 습윤감, 쾌적감)과 PMV(Predicated Mean Vote)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피험자는 신체 건강한 20대 성인여성 3명으로, 겨울 계절인 2013년 11월 19일 ~ 2014년 2월 14일 동안 실시되었다. 인공기후실은 피실험자의 건강을 위해 온도는 18℃(±2℃), 상대습도는 55%(±5%)로 하였다. 피실험자는 30분간 안정기를 취한 후 30분 동안 최대산소섭취량의 60%에 해당하는 운동 강도로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하였고 그 이후 30분간 회복기를 가져 총 90분간 실험이 행해졌다. 피부온은 인공기후실(TABAI ESPEC(Japan), EBL-5HW2P3A-23)로 입실 후, 착의생리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대사량, 피부온, 의복 내 습도를 1분 간격으로 자동 측정하였다. 에너지대사량은 TrueOne2400-TM(America), PARVO MEDICS으로 측정하였다. 주관적 감각(온열감, 습윤감, 쾌적감)은 전체 실험 90분 동안 매 5분마다 총 18회에 걸쳐서 응답하도록 요구 하였다. 온열감은 ISO 10551를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습윤감과 쾌적감의 척도는 일본 공기조화 위생공학회에서 만든 척도를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의복의 보온성은 ISO 11092에 준하여 측정하였고 단위는 clo를 사용하였다. 또한 PMV는 ISO 7730에 기준으로 측정되었으며, PMV를 통해 PPD를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피부온 측정 결과, 운동 중에는 평균 피부온이 상승하였고 이로 인해서 의복내 공기층이 따뜻하게 하며 의복 내 온도가 상승하여 비교적 쾌적한 온도범위를 나타내었다. 운동 후 회복기 초반에 피부온이 상승하였는데, 이는 운동 중 정신적 긴장과 근수축, 연속적인 말초 피부 혈관 수축으로부터의 해소에 따른 혈류랑의 증가에 의한 결과라고 예측한다. 평균 피부온이 안정기 30분 동안에 지속적으로 낮아져 주관적 감각 중 온열감에서 18℃ 실내이므로 안정기 초기 ’서늘하다(3)’에서 말기에는 ‘매우 춥다(1)’에 가깝게 느끼고 있었다. 이때의 하강 기울기는 안정기의 경우보다 더욱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이 계속 지속되었다면 피부온의 저하는 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부위별 피부온을 보면 다른 부위와 달리 가슴부위 피부온은 운동 시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가슴부위의 특성상 다른 부위보다 땀의 발생이 많아 땀이 증발되는 과정에서 피부표면으로부터 열을 빼앗기 때문이다. 상완의 경우는 의복으로 전부 덮여있지 않는 부위이기 때문에 안정기에 피부온 저하가 매우 컸다. 이는 매우 낮은 피부온으로서 건강 및 쾌적성을 유지하는데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대퇴부는 비교적 안정기에 피부온의 변화가 거의 없었는데 이는 하이웨이스트 드레스 특성상 허리 아래로부터 비교적 많은 정지공기층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하퇴부 부위는 의복의 여유 공간이 비교적 크므로 운동기를 제외한 안정기와 회복기에서 피부온 높낮이에서 변동이 빈번히 나타났다. 부위별 피부온은 개개인의 차이가 커서 일정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다. 양모, 견, 면 소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자면, 안정기와 회복기에서 양모가 가장 완만한 높낮이를 보였다. 양모는 소재의 특성상, 흡열성이라는 특징 때문에 세 가지 소재 중 대체적으로 피부온이 높았으며 반면에 면의 경우가 가장 낮았다. 안정기에서는 양모와 견이 비슷한 피부온을 보이고 면이 가장 낮았다. 반면에 땀을 흘리는 운동기를 살펴보면, 양모와 면이 비슷한 피부온으로 오른다. 땀을 흘린 뒤, 면은 견보다는 높은 흡열성 때문에 피부온이 증가하였다. 2. 에너지 대사량은 안정기에는 1.0MET였다가 운동기에는 5.0±0.3 MET으로 증가한 후, 회복기에서는 대략 0.8MET였다. 회복기에는 드레스를 착용한 여성의 건강이 더 위험할 가능성이 크다. 그 이유는 산열량이 비교적 적고 또 땀에 의한 증발 방열량이 커졌기 때문이다. 양모, 견, 면 소재에 따른 차이를 보면, 견의 경우 에너지 대사량이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양모와 면은 소재가 견에 비해 거친 반면에 견은 필라멘트 소재로서 활동 시에 몸의 움직임과 마찰을 덜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운동 시 땀을 흘리면서 마찰저항이 더욱 증가하게 되고 움직임에 더 큰 방해가 되어 동일한 운동량임에도 불구하고 무효 작업량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3. 인체착용평가를 한 보온성은 기존의 써멀마네킹으로 측정한 보온성과는 다른 결과가 나왔다. 써멀마네킹으로 측정한 보온성은 견>면>양모 순이었는데, 인체착용평가에서 측정한 보온성은 양모>견>면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차이가 나타난 이유는, 써멀마네킹과 달리 인체착용평가는 운동 시 발한의 분비와 증발 방열의 교환 부분을 내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써멀마네킹과 인체착용을 병행하여 보온성을 측정하는 것을 통해 더욱 정밀한 분석을 할 수 있다. 4. 주관적 감각 중 온열감을 살펴보면, 인공기후실의 기온을 18℃로 설정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온열감에서 피실험자는 안정기에는 ‘춥다(1.8)’ 상태였다. 만약 10℃ 이하의 기온에서는 ‘매우 춥다’였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운동 시 체내 산열에 의해 운동기에는 ‘덥다(8.5)’로 바뀌었다. 그 이후 회복기에는 땀을 많이 낸 직후라서 증발로 인해 온열감이 급격하게 떨어져 운동정지 5분만에 ‘어느 쪽도 아니다(5)’로 돌아오고 이후 점차 ‘시원하다(3)-춥다(2)’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습윤감의 경우 온열감과 유사한 그래프로 나타났다. 안정기에는 비교적 ‘약간건조~보통(3~4)’하였으나, 운동 중에는 ‘습하다’(6.5)로서 습윤감이 증가하였다. 그 이후, 회복기에는 다시 초기와 유사하게 회복되었다. 쾌적감은 안정기에는 불쾌함이 증가하였다가 운동 초기에 다시 쾌적해지고 운동 중반 이후에는 ‘불쾌하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중에는 땀을 흘리면서 습윤감이 증가하고 이 때 피실험자는 불쾌함을 느꼈을 것이다. 5. PMV(Predicated Mean Vote)는 운동 시작 전 안정기(-2.4 ~ -1.6), 운동기로 땀이 나고 더운 상태(1.9 ~ 2.3), 운동 직후 땀이 많이 난 회복기(-2.8 ~ -1.5) 등으로 나타났다. 운동기를 제외하면 ‘추움~매우 추움’으로 나타나 착용자의 불쾌감과 추위가 증가되었다. 특히 운동을 마친 상태에서는 최대 -2.8로서 피험자들은 매우 춥게 느끼고 있었는데 이는 피험자 90% 이상이 불쾌감에 해당되는 체감기후였다. 19세기 초 유럽에서 많은 인기를 얻은 엠파이어드레스의 인체생리반응 및 보온성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재검토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운동 후 회복기에 여성의 건강에 문제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되는데, 피부에 땀이 남아있는 경우나 비가 오는 환경에서는 엠파이어 드레스를 입으면 매우 불쾌감을 느끼게 될 것이고 그 당시 여성들의 건강이 손상되기 쉬웠을 것이다. 동일한 3종의 드레스의 보온성을 인체착용 실험과 써멀마네킹을 통해 각각 실험하였는데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인체 착용 시 운동에 따른 땀의 분비와 인체 생리 반응의 변화에 따른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주관적 감각 중 온열감을 직접 측정한 값과 PMV 계산에 의한 예측 값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복식사와 과학 기술을 접목한 융합연구이며 신고전주의 엠파이어 스타일 드레스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대안교육의 국내외 사례를 통한 발전방안 연구 : 가정교과 교육의 관점에서

        한승영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나라는 치열한 입시 위주의 경쟁을 목표로 하는 공교육 속에서 배움의 의미를 찾지 못한 채 방황하는 학생들이 많다. 이러한 현실 때문에 교육부를 포함한 많은 학생 및 학부모들이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다. 우리나라 공교육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바라보는 21세기 속에서도 아직까지도 졸업장이나 학위, 자격증 등을 통해 학생에 대한 평가를 내리고 있다. 이러한 평가 기준 속에 학부모, 학생들은 교육정책에 대한 불신을 갖게 되었고, 이런 불신 및 한계점 극복을 위해 자유로운 형태로써의 교육을 추구하는 새로운 교육 단체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저마다 우리의 현행 교육을 바꾸어 보겠다고 여러 시도를 하였으며, 변화 속에서 방황하던 학생들이 제자리를 찾기도 한 것이 현재까지의 우리 대안교육이다. 그러나 20년 동안 이루어진 우리나라의 대안 교육은 아직까지도 우리나라만의 고유한 성격을 갖추지 못하였으며 한국 교육과정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형식적이고 보편화된 교육으로 인식되어지고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소수 계층만을 위한 특화된 학교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국내외 대안학교의 교육철학 및 방법 등의 자료들을 수집 분석하여 가정교과의 교육 목적 및 교육 과정에 접목함으로써 우리나라 대안교육이 고유한 특성을 자리 잡는 데 있어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가정교과는 우리가 직면하는 실생활의 문제를 중심으로 학습함으로 학습자가 실제적 경험을 통하여 자기주도적인 삶과 행복하고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자 하는데 교육 목적을 가지고 있다. 타인을 배려하는 따뜻한 인간애와 실과 활동 속의 노작활동을 통한 전인 교육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고자 하는 교육 방법을 취하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 대안교육을 분석하고 앞으로 나아갈 길을 모색하기 위해 미디어 기술적 방법을 이용한 자료를 토대로 문헌연구의 방법에 의해 수행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대안 교육의 교육적인 영향, 방법 및 대안교육의 현재를 파악하기 위해 교육부 인가 대안 고등학교 25개교, 중학교 14개교 등 총 71개교 중 이우중학교와 지리산 청학동 대안학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대안교육 미래를 제언하기 위해 외국 대안교육 교육 방법 및 내용들을 가정 교과의 교육목적 및 내용과 비교하였으며 이를 위해 대안학교로써 세계적으로 성공하여 인지도가 높은 독일의 발도로프학교와 영국의 Summer Hill 두 학교의 교육 내용 및 교육 요소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수집 분석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과 외국 논문 및 저서 외국 논문 및 저서를 분석하는 등 자료 분석 연구방법을 택하였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안교육’이라는 용어를 버리고 새로운 용어를 창출하였으면 한다. 둘째, 고유의 가치 브랜드를 확립하기 위해 우리나라 가정교과가 가지고 있는 특성 중 ‘실천적 문제 해결능력’, ‘생활자립능력’ 그리고 ‘관계형성능력’을 응용하여 독자적인 교육과정을 가진 학교를 설립하였으면 한다. 셋째, 학교의 핵심이 되는 역량 있고 매력적인 교사를 기르기 위해 교사 교육에 오랜 시간을 투자하였으면 한다. 마지막 결과로는 학생들의 졸업 후 삶 역시 관리해주는 학교 교육이 되었으면 한다. 교사와 학교는 자신들이 가르친 학생의 삶을 50년 AS해 주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대안 교육이 이루어졌으면 한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걸맞은 미래교육으로써 대안교육이 발전하기 위해 다른 교과 과정의 교육 과정 뿐 아니라 교육목적이 가장 유사한 가정교과의 교육과정을 잘 융합하여 제 길을 잘 찾아간다면 우리가 추구하는 질 높은 교육에 좀 더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라고 사료된다. 우리가 추구하는 질 높은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학생 개개인에 대한 세심한 배려와 관찰, 관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생들은 높은 행복감과 만족감을 가지게 될 것이다. 학생들의 행복감과 만족감은 곧 학생들의 자존감을 높여줄 것이고 이는 오늘날 가정교과 교육이 추구하고 있는 인성교육으로 이어지며 그 동안 도외시되었던 인간성 회복의 가치를 되찾는 길을 여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인간성 회복의 가치를 되찾는 길이 곧 우리가 대안교육을 대안으로 제시하는 이유이지 않을까 사료된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대안 교육이 단지 형식적이고 보편화된 교육으로만 인식되지 않았으면 하며 외국 사례들처럼 우리나라만의 특별한 대안교육으로의 그 특징을 바로 세울 수 있기를 바란다. Korean public education involves intense competition for entering better school and many students wander around without finding the meaning of learning. Due to such reality, many students, parents, and Ministry of Education have critical attitude toward Korean public education. Although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pproaching the 21st century, Korean public education still evaluates students based on diploma, degree, and license. Due to such evaluation standard, parents and students lost faith in the educational policy and new educational groups have appeared aiming for more free education. Newly appeared educational groups made several attempts to change current Korean education system. Alternative education is one of the attempts made by the groups and it helped the students to find their place. However, although alternative education has been existing for over 20 years, it does not have own characteristic. In addition, alternative education is perceived as the superficial and generalized education which failed to break away from Korean school curriculum. Some people even think of alternative school as the specialized school for few privileged students.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and analyze the data on educational philosophy and methods of domestic and overseas alternative school and apply it on educational purpose and curriculum on home economics curriculum to help Korean alternative education to have own characteristic.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focuses on real life issues to help the learners to have the ability to live self-directed, happy, and healthy life through practical experiences.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adopts the instructional method of cultivating talent necessary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imes by seeking well-rounded education through warm humanity respecting others and work activities within practical course activities. To analyze Korean alternative education and objective of alternative education,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view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materials using the media descriptive metho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influence and method of Korean alternative education an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alternative education, this study conducted survey on Ewoo Middle School and Cheonghakdong Alternative School among 71 alternative schools including 25 high schools and 14 middle schools approved by Ministry of Education. This study compared educational method and contents of overseas alternative education and educational purpose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to suggest the future of Korean alternative education. For the research,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contents and educational elements two successful and famous alternative schools: Waldorf School in Germany and Summer Hill in the United Kingdom.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reate new word instead of using the term ‘alternative education’. Secondly, among characteristics of Korean home economics curriculum, ‘practical problem-solving ability’, ‘independent living ability’, and ‘relation forming ability’ should be utilized to found school with independent curriculum and to establish own brand value. Third, time investment on instructor education should be made to cultivate competent and charming instructor as center of school. Lastly, school education should manage student’s life at school and after graduation. The school and instructor should provide alternative education while thinking they are responsible for 50 years of student’s life. In order for alternative education to develop as the future education suitable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imes, the alternative education should adopt not only other curriculums but also home economics curriculum which has the most similar educational purpose. In such way, the alternative education would develop into the high-quality education we seek. The high-quality education will provide careful consideration, observation, and interests for each student and it will result in higher happiness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Such happiness and satisfaction will boost self-esteem of students and it will lead to humanism education that home economics education has been looking for. The humanism education will be a great help in recovering the value of humanity that has been neglected. Those are the reasons why alternative education is needed in Korean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alternative education is not perceived as the superficial and generalized education and that the Korean alternative education would find its own characteristic as overseas cases.

      • 엠파이어 드레스와 스펜서 재킷의 착장 조합에 따른

        오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Recently Volkswagen trends began to turn to Vintage and many international big-name designers introduced to imitate the retro-style of costumes in the eighties of the last century. On the spring show of Oscar de la Renta 2010, simple design reflected the style of last eighties, which is simple and classic. People pursue the classical and natural pure form with healthy and natural ancient Greek costume culture as a model(Jin, E. C., Heui, J. S & Hye, J. L. 2001). It seems to say that people are pursuing a kind of design philosophy characterized by pragmatic. But how does the thermal insulation of this kind of clothing? Is it appropriate or not in the absence of heating and air-conditioned living environment? Do people feel cozy or not when wearing the costume? The research related above questions is not sufficient. So this research investigates women clothing satisfaction through analyzing the shape and the thermal insulation of the costumes people wore at early 19th century in Europe.

      • 남자 중학생의 티셔츠 단독무늬에 대한 선호도 및 감성

        최승은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남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1) 티셔츠 단독무늬에서 어떤 감성을 느끼는지 알아보고, 2) 선호하는 티셔츠가 무엇이며 그 특징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또, 3) 성격에 따라 티셔츠 단독무늬에서 느끼는 감성차이가 있는지 4) 유행개성리더성에 따라 티셔츠 단독무늬에서 느끼는 감성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실증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지법을 이용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3부분으로 구성하여 1부에서는 MBTI를 이용한 성격유형에 관한 측정문항 2부에서는 의복행동에 관한 측정 문항 3부에서는 티셔츠 단독무늬에 대한 감성 측정 문항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인천 지역에 사는 중학생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에 의해 진행 통계분석은 SPSS 10.0을 이용하여 t test와 분산분석, 대응분석 등으로 분석하였다. 이 중 무성의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331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중학생들이 선호하는 단독무늬는 인공물을 소재로한 사실적인 모티브로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친근한 소재를 활용한 무늬였다. 반대로 친근하지 않은 소재나 이해하기 어려운 단독무늬는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단독무늬에 대한 감성은 성격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외향형인 학생들은 감성에 대해 극적으로 대답하는 반면, 내향형인 학생들은 중간값에 가깝게 대답하는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고, 감각형/직관형에서의 감성차이는 모든 단독무늬에서 직관형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사고형/감성형에서 나타난 특징은 특정감성이 두 성격유형 모두에서 높게 나타난 경우 항상 사고형 학생집단에서 더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판단형/인식형에서는 감성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가 가장 많이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 이 결과는 단독무늬에서 느끼는 감성차이가 판단형과 인식형에서 가장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유행개성혁신성과 감성 및 선호도는 상관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행성, 리더성, 개성성은 서로 관련이 깊었으며, 유행개성리더성이 낮은 학생일수록 ‘세련’ 감성에 대해 높게 평가하였고, 단독무늬에 대해 ‘개방적’, ‘로맨틱한’, ‘우아한’, ‘시원한’, ‘개성적인’, ‘고급스런’ 감성을 나타냈다. 또 유행개성리더성이 낮은 학생집단이 모든 단독무늬의 선호도가 높았다.

      • 중등교사 임용시험 문항분석과 학교 현장과의 상관성 : 2014학년도 이후 가정과를 중심으로

        이은영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er placement test of secondary school for the candidates from 2014 to 2019. Also,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nd secondary school teacher 's appointment test to see if the test materials reflect the contents of actual school site. Finally, we analyzed the linkage with the curriculum of the National College of Education, which is a teacher training institute, and tried to confirm whether the principle of "setting the questions that can be solved if a person who has faithfully completed the curriculum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The researching method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questionnaire for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placement test (the first examination) conducted for the last 6 years from 2014 to 2019 is divided into 『Teacher eligibility criteria, assessment area, and evaluation content elements of 「Home Economics」』Were analyzed in detail. Secondly, in or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nd the test items for the Home Economics employment examination, the examination was stimulated for the 2019 school year from the 2014 school year compares the 2009 curriculum with the yearly question items. In additi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2017 to 2019 was further analyzed with the 2015 curriculum. Thirdly, we examined whether the basic courses that domestic tutors in the home economics department should take ar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of the five national universitie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linkage between the rate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ruitment test and the rate of opening of lectures in the curriculum of the College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placement test conducted from 2014 to 2019, the field of Home Economics education, which is a pedagogical pedagogy, showed the highest rate of 25% or more in all years. Among the subjects of the curriculum contents, the dietary area questions appeared in the range from 15% to 22.5%. Other areas showed a similar ratio, and the rate of consumption area questions in the 2016 school year was 7.5%, which was the lowest among the analysis period. As a result of analyzing by region, it showed similar number of items similar to the number of items every year in all areas.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sumer life area, it was felt that one question in the 2015 school year and two questions in the 2016 school year were not enough to evaluate the professionalism. As a result of the detailed analysis according to the detailed criteria, most of the evaluation areas showed the same ratio, but in the content of the evaluation, there was a variation between the items in the 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details so that students can measure teachers' professionalism evenly in various fields. Secondly, in or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nd Home Economics test items, we compared the results of the 2014 school year and the 2019 school year examination with the 2009 curriculum and the 2015 curriculum. As a result, the correlation was high overall, Even within the subcategories, the rate of exams was high only at certain attendants and the frequency of exams was low at some attendants. In addition, three items were presented in the 'Housing and residential environment' section, but it was found that the deviation was not significant in the 'sustainable main life and residential space decorating' section. Teachers 'professionalism is a factor that has a great influence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ir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rriculum of the five universities of the National College of Education, the basic courses were properly established at all the colleges of education. However, depending on the university, there was a large deviation in the opening of lectures by area. In addition, in the field of home economics and pedagogy, Home Economics education, home teaching materials research and teaching methods, home economics education logic and essay courses were examined at five national universities. In the case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33.34% of the respondents showed the highest rate of lectures in the field of home economics and pedagogy. While the rate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ruitment test was the highest in the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and Education, the ratio of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was 33.33% for the university and 20% for the whole university. The rate of opening lecture in the field of clothing was also high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8.26%). On the other hand, the rate of opening lecture in the main life area was low overall, and the main life lecture opened at Kongju University was limited to residential courses. Family lectures were also held in the family lecture. Secondary teacher placement tests are not simply assessing the level of knowledge, but evaluating the quality of teachers who will train future talents. Therefo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a direction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that is helpful for the growth of th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 not merely providing information. I hope that all of these efforts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overall secondary school home education. 본 연구는 2014학년도부터 2019학년도까지의 가정과 중등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출제 문항을 분석하여 우수한 교사 후보자를 선발하기에 적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중등학교 교육과정과 중등교사 임용시험과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임용시험 문항이 실제 학교현장의 내용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원양성기관인 국립대학 사범대학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중등학교 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수한 자면 풀 수 있는 문항을 출제한다.”는 출제원칙이 잘 지켜지고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4학년도부터 2019학년도까지 최근 6년간 실시된 중등교사 임용시험(제1차 시험) 가정과 출제 문항을 『표시과목 「가정」의 교사 자격 기준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에 따라 배점 및 비율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중등학교 교육과정과 가정과 임용시험 출제문항 간의 상관성을 살펴보기 위해 2014학년도부터 2019학년도 임용시험은 2009 교육과정과 연도별 출제문항을 비교하였다. 또한 2015 교육과정이 적용된 2017학년도부터 2019학년도까지의 임용시험은 2015 교육과정과 추가적으로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셋째, 교육부에서 고시한 가정 과목의 가정교사가 이수해야 할 기본 과목이 가정교육과가 있는 국립대학 사범대학 5곳의 교육과정에 제대로 반영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중등교사 임용시험 출제율과 사범대학 교육과정에 개설되어 있는 강의 개설비율 간의 연계성을 파악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4학년도부터 2019학년도까지 실시된 중등교사 임용시험 가정과 출제 문항을 연도별로 분석한 결과, 교과교육학인 가정과교육론 영역이 모든 해에 25% 이상의 출제율을 보이며 가장 많이 출제되었다. 교과내용학 영역 중에는 식생활 영역이 15%에서 22.5%까지 출제되며 높은 출제율을 보였다. 그 외 의생활, 주생활, 소비생활, 가족생활 영역은 비슷한 출제율을 보였으며, 2016학년도 소비생활 영역이 7.5%의 출제율로 분석 기간 중 가장 낮은 출제율을 보였다. 내용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매년 비슷한 문항 수와 비슷한 출제율을 보였다. 다만, 소비생활 영역의 경우 2015학년도에 1문항, 2016학년도에 2문항이 출제되어 전문성을 평가하기에 부족함이 느껴졌다. 상세기준에 따라 상세히 분석한 결과, 대부분 평가영역에서는 고른 출제율을 보였지만 평가 내용요소에서는 출제문항 간 편차가 나타났고, 가정경영 영역의 경우 전체적으로 출제율이 매우 저조하였다. 상세 기준까지도 세세하게 파악하여 다방면에서 고르게 교사의 전문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문항이 출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중등학교 교육과정과 가정과 임용시험 출제문항 간의 상관성을 살펴보기 위해 2014학년도부터 2019학년도 임용시험을 2009 교육과정, 2015 교육과정과 비교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상관성이 높고 대부분의 단원에서 골고루 출제가 되었으나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대단원 내에서도 특정 중단원에서만 출제율이 높고 일부 중단원에서는 출제 빈도가 저조하였다. 또한, ‘주거와 거주환경’ 단원에서는 3문항이 출제된 반면 ‘지속가능한 주생활과 주거 공간 꾸미기’ 단원에서는 출제가 되지 않아 같은 주생활 영역 안에서도 편차가 심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의 전문성은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므로 전체 단원에 대한 고른 문항 출제로 다면적으로 교사의 능력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국립대학 사범대학 5곳의 교육과정을 분석할 결과 모든 사범대학에서 기본 이수과목은 제대로 개설이 되어 있었다. 하지만, 대학에 따라 내용영역별 강의 개설 편차가 심했다. 또한 중등교사 임용시험 출제율과 사범대학 교육과정에 개설되어 있는 강의들과의 연계성을 살펴보았을 때, 가정 교과교육학 교육학 영역에서는 가정교육론, 가정교재연구 및 지도법, 가정과교육 논리 및 논술 과목이 5곳의 대학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개설되어 있었고, 공주대학교의 경우 전체의 33.34%가 가정 교과교육학 영역의 강의로 가장 높은 개설비율을 보였다.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출제율은 가정 교과교육학이 가장 높았지만, 사범대 강의 개설비율은 식생활 영역이 공주대학교 33.33%, 전체대학 20% 이상의 개설비율을 보이며 골고루 높았다. 의생활 영역의 강의 개설비율도 전남대학교 28.26%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반면, 주생활 영역의 강의 개설비율은 전체적으로 저조하였으며, 공주대학교에 개설된 주생활 강의는 주거학 한 과목으로 선택이 제한적이었다. 가족생활 영역의 개설 강의도 가족학 한 과목이었다. 중등교사 임용시험은 단순히 지식의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의 인재를 양성할 교사의 질을 평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 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데서 그치는 것이 아닌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이 모든 노력이 모여 중등학교 가정교육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패션 명품 대여의 동기, 혜택과 한계점에 관한 연구 : 서울과 상해 거주 여성을 중심으로

        정소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중국 명품시장은 2008년에 86억 달러에 도달했고 이 후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4년 중국소비자 전국 명품소비는 약185억 달러에 도달했다. 이는 중국인들이 2014년 전 세계의 46% 되는 명품을 구매하는 것을 뜻한다. 현재 중국은 일본을 대체하여 세계 최고의 명품소비대국이 되었고 명품소비액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리웨이지에, 2015). 한국 명품시장은 2006년부터 시작하여 매년 10%를 넘는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2014년에는 45억 달러에 도달했고 이미 세계 4대 명품소비시장 중의 일원이 되었다 (정재훈, 2015). 한국과 중국 명품 시장은 급속히 성장하고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여성 소비자들의 명품에 관한 구매동기/혜택, 명품 대여 의도/동기/혜택/한계점에 관한 관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중국의 중국과 한국의 한국에 거주하는 20~50대의 학생과 직장인 및 주부 등 총450명으로 본 연구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 표집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명품 브랜드의 설정범위를 높은 가격과 오랜 역사전통과 전설적인 브랜드 스토리를 갖고 있는 해외 유명 명품브랜드로 한정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5년 12월 중이었고 총 400부가 자료 분석에 이용되었는데 1회라도 명품을 구매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한국 (서울) 소비자들의 평균연령은 24.8세이고 중국 (상해) 소비자의 평균연령은 25.7세로서 차이가 거의 없었다. 또 소득 역시 200만 원 이하가 163명, 200만 원 이상이 37명으로 동일하게 조정되었으나 중국소비자가 소득이 약간 높은 편이었다. 직업과 학력은 한국의 경우가 ‘대학생’ 직업과 ‘재학 중’ 학력이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중국은 ‘직장인’ 직업과 ‘대학교 졸업’ 학력이 더 많이 표집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여성은 명품구매 횟수가 1.58±0.9회/연, 중국 여성은 1.82±1.1회/연 인 것으로 나타났다 (t= -2.42, p<0.05). 중국과 한국소비자들의 평균 소득은 동일 수준이지만 한국보다 중국 소비자들은 더 자주 명품을 구매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 명품을 많이 구매한 여성 소비자가 명품을 1번만 구매한 여성 소비자보다 구매동기-즐거움/기능, 사용혜택-물질/실용적 혜택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차원축소의 요인분석 결과를 보면, 명품의 구매동기는 과시/동조성, 기능/즐거움 의 2가지 요인으로 묶였으며, 사용혜택은 개인/사회적 혜택, 물질/실용적 혜택의 2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대여 동기는 1가지 요인 대여의도로 나타났으며, 대여혜택은 경제체험활용, 공간환경품위의 2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대여의 한계점은 신뢰성 불안, 소유애착위생, 복잡한 절차 등 3가지 요인으로 묶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명품의 구매동기/혜택과 대여 의도/혜택/한계점은 서로 상관이 깊었다. 넷째, 국적에 따라 차이를 보인 것은 한국보다 중국이 대여 의도가 높았으며 구매 시에 과시/동조성 동기가 중국이 높았다는 점이다. 사용혜택으로 자존감 상승의 개인/사회적혜택은 중국이 높았으나 내구성의 물질/실용적혜택은 한국이 높았다. 대여혜택에서 경제체험활용의 혜택은 차이가 없었으나 공간환경품위는 중국이 높았다. 대여시장의 한계점에서 신뢰성불안, 소유애착위생은 차이가 없었으나 복잡한 절차에 대한 한계점은 중국이 높았다. 다섯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서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고연령이 대여의도가 낮았으며 대여혜택-경제체험활용이 낮았다. 30세 이상의 고연령이 공간환경품질의 대여 혜택에 관해서 저연령보다 의식적 이었다. 기능/즐거움의 명품 구매동기와 물질/실용적 사용혜택에서는 국적과 연령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는데 한국은 고연령에서 높게 나타나는 반면에 중국은 저연령에서 높게 나타났다. 중국과 달리, 한국은 경제력이 강한 200만원이상의 고소득자는 200만원이하의 저소득자보다 명품구매동기에서 기능/즐거움이 높았으며 물질실용적 사용혜택이 높았고 공간환경품위의 대여혜택에 관하여 의식이 높았으니 대여 의도는 낮았다. 직업에 따라서 살펴보면, 자영업과 직장인이 학생보다 공간환경품위 의 대여혜택에 대한 의식이 높았다. 학력에 따라 살펴보면, 대학졸업 이상 고학력자는 대학재학 이하 저학력자보다 명품구매동기-기능/즐거움이 높은 경향이 있었으며 공간환경품의의 명품대여 혜택의 의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여름철 냉방실내에서 최적 의류 착의형태와 주관적 감각

        강누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83

        에너지 절약차원에서 냉방을 줄여 지구온난화 방지에 일조하고자 여름철에 가벼운 차림의 의복을 권장하는 쿨맵시 캠페인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복장별, 환경온에 따른 인체 생리적 반응과 그 정량적인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름철 온실가스 줄이기 및 직장인, 학생 등의 건강증진․기후의복 적응을 위하여 인체 착의실험을 통해 복장종류 및 환경온에 따른 피부온 변화와 주관적 감각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신체 건강한 20대 성인남성 4명으로, 1차 실험은 착의 형태에 의한 두 복장, 일반복장과 쿨맵시 복장에 의한 피부온도 및 생리적, 주관적 반응의 변화․관찰 이었다. 환경온도 25℃와 27℃, 상대습도 50±10%R.H.에서 30분간의 안정기 기간을 가진 후에 60분 동안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총 90분간의 실험이었다. 사무실 내 작업환경과 비슷한 분위기 조성을 위해 중앙에 책상과 의자를 설치하였으며, 피험자는 의자에 앉은 안정된 상태에서 설정된 온열환경 조건에 노출되도록 하였다. 실험 시작시 즉 안정기 기간이 끝난 30분 시점과 실험종료 90분 시점 두 번에 걸쳐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을 하였다. 주관적 감각 측정을 위하여 5분 간격의 일정한 시간으로 설문지를 스스로 작성하도록 하였는데, 온열감․습윤감․쾌적감 등과 같은 주관적 감각을 평가하였다. 2차 실험은 동일 피부온 발현하는 환경온 찾기로 권장온도 27℃에서 일반복장을 입고 환경온도를 점진적으로 하강시키면서 27℃ 쿨맵시 권장 복장을 입은 상태의 피부온도와 동일해지는 실내온도를 찾는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차 실험 착의형태에 따른 인체 생리적 반응 결과이다. 1. 여름철 고기온에서 인공기후실 25℃로 입실함에 따라 피험자는 발한분비로 인한 저피부온에서, 땀의 분비가 감소함에 따라 고피부온으로 변하였다. 착의형태에 따라 살펴보면, 환경온도 25℃에서는 일반복장과 쿨맵시 복장에 의한 가슴 부위 피부온의 차이는 일반복장이 최소 0.3∼최대 1.6℃ 더 높게 나타났다. 환경온도 27℃에서 일반복장과 쿨맵시 복장에 의한 가슴 부위 피부의 차이는 대체적으로 일반복장이 최소 0.4∼최대 1.0℃ 더 높게 나타났다. 2. 착의형태에 따라 살펴보면, 일반복장에서 가슴 부위 피부온․습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넥타이의 착용으로 인해 가슴 부위의 보온이 더해져 피부온․습도가 상승한 것이다. 또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피부온도 변화 폭이 점차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일반복장의 경우 피부에 머무르는 땀의 양이 많기도 했지만 셔츠 윗 단추의 잠금으로 인해 의복 안 대류가 일어나지 않아 기화열에 의한 체온저하가 적었기 때문이다. 27℃ 일반복장 > 27℃ 쿨맵시 복장 > 25℃ 일반복장 > 25℃ 쿨맵시 복장 착용순서로 온․습도가 높았다. 3. 환경온도 25℃에서 27℃로 높여주게 됨에 따라 피부온도가 상승하면서 이에 따라 발한량도 증가하였지만, 1시간 반 후에는 증가한 액체 땀의 증발열로 인해 피부온도는 다시 하강 하였다. 동일 의복의 경우 기온이 높을수록 불감증설량이 많았다. 25℃ 일반복장과 27℃ 쿨맵시 복장에서 비슷한 발한량 수치를 나타냈다. 4. 전신 발한량은 환경온 25℃ < 27℃에서 체중 손실이 많았다. 5. 열화상 카메라 실험에서 27℃ 일반복장 > 27℃ 쿨맵시 복장 > 25℃ 일반복장 > 25℃ 쿨맵시 복장 착용 순서로 의복표면의 최고온도가 높았다. 환경온이 높아질수록, 착의량이 많아질수록, 의복표면온도와 인체표면온도가 높아졌다. 6. 주관적 감각평가에서도 쿨맵시 복장보다 일반복장에서 온열감․습윤감․불쾌감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25℃ 일반복장과 27℃ 쿨맵시 복장에서 가장 중립적인 느낌을 나타냈다. 2차 실험 동일 피부온 발현 환경온 찾기 결과이다. 일반복장 착용시 실내온도 25℃에서의 평균 피부온도는 쿨맵시 복장 착용시 실내온도 27℃에서의 평균 피부온도와 같았다. 따라서 27℃에서의 쿨맵시 복장 착용은 냉방 온도를 2℃ 높이는 효과와 같다고 볼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여름철 고기온에서 저기온 실내로 입실하여 장시간 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 쿨맵시 복장이 피부온의 신속한 회복에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넥타이 미착용과 반소매 셔츠로, 팔다리의 움직임에 의한 환기 촉진(bellows ventilation) 및 대류에 의한 방열기능이 우수한 디자인이기 때문이다. 장시간 실내에서 저강도의 작업을 하는 경우, 피부온도는 하강하게 되는데, 이는 냉방온도 27℃에서 보다 25℃에서 그 하강 속도가 급격하였고 불쾌감을 유발하게 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여름철 실내 환경온을 27℃ 환경으로 설정하고, 의복을 가볍게 입는 것이 인체생리 반응 및 체온조절에 바람직하며 주관적 감각도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