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Ultraminiaturized Microcolumn

        사마, 엔질 선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Miniaturized low voltage electron beam microcolumn was first introduced by Chang et al. in 90s. Since then, microcolumn has been growing its popularity and getting attention because of its potential applications in near future. Microcolumn performance and characteristics have been improved, but lots of challenges are still there in the fabrication and optimization of each component. Microcolumn performance and resolution depend on many factors which include the column structure, field emitter, alignment of lenses, deflector alignment, gap between electrodes, working distance, and driving voltage etc. Basically microcolumn consists of an electron emitter, electrostatic source lens, deflectors, and objective lens. Electrostatic lens is a set of three conducting electrodes separated by insulating material. The lens fabrication technique by MEMS process has been used for the fabrication of Si membrane. The thickness of electrode is as thin as a micrometer to a few tens of micrometers despite its large area (~ 1 cm x 1cm). The modified design provides freedom in lens structure while selecting the thickness of electrode and gap between electrodes. The diameter and length of a miniaturized microcolumn are less than 10 mm, which is small compared to conventional microcolumn. Microcolumn design, fabrication, and optimization of each component to achieve high resolution (in sub-micrometer range) and high beam current have several challenges which need to be addressed. For the improvement of probe current, source lens is modified by adding an additional focusing electrode in between extractor and accelerator in this research. We have fabricated and investigated three designs of microcolumns, all of which employing the same modified source lens, and also investigated the image quality. The 2D-CNT field emitter tip is used as the source emitter for these columns. Multiple lens-electrodes were aligned in parallel along an optical axis passing through center of apertures using the laser/optical diffraction technique with alignment accuracy of ~1 μm. In the first type of microcolumn, Einzel lens set is used for focusing the e-beam trajectories and tried to achieve high resolution images at the working distance (WD) of about ~2.5 mm. In the second type of microcolumn, Einzel lens set has been eliminated, while an auxiliary electrode has been added which plays the role of focusing electron beam to the sample position and the double deflectors are used for scanning and controlling the field of view. Both single and double deflectors have been used for imaging and compared the images obtained. The deflection field size can be made quite large with the WD of ~ 3.5 mm. The third microcolumn design is an ultraminiaturized microcolumn in which Einzel lens and lower deflector are eliminated, and instead an auxiliary focusing electrode is adopted in between extractor and accelerator. The fabrication and alignment of investigated microcolumns are easier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icrocolumn by mitigating the complexity of manufacturing processes. Further the ultraminiaturized microcolumn provides high probe beam and larger deflection field size as compared to the previously reported microcolumns. While optimizing these three designs of microcolumns, we obtained sample current images of standard 2000 mesh Cu grid. For the first time, we acquired images with the newly fabricated modified quadrupole source lens in three ways, that is, with Einzel lens, without Einzel lens and in the ultraminiaturized microcolumn mode. High probe current of ~9.5 nA has been achieved with an ultraminiaturized microcolum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ultraminiaturized microcolumn can be a promising candidate for the next generation lithography tool as the more design is more suitable for wafer-scale integrated microcolumn system than the conventional microcolumn. This thesis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I introduces the basics of conventional microcolumn, historical background and its applications in various fields. The mechanism of field emission tip and the brief summary on the microcolumn structure have been discussed in detail. Chapter II presents the simulation study on the microcolumn with modified source lens structure. Simulation results show the influence of auxiliary electrode on the electron beam trajectories in microcolumn operation. Chapter III presents the photomask design of thin electrostatic lens based on CAD design. We have discussed the MEMS processes for the fabrication of thin electrostatic lens such as boron doping, oxidation, photolithography, deep Si etching, wet etching process, and Pyrex anodic bonding with Si membrane. The multiple lens electrodes were aligned and bonded using laser and optical diffraction technique. The alignment accuracy of multiple lens electrodes was measured with the help of transmission optical microscope. The sets of source lens, Einzel lens and deflectors were aligned in column housing base by using optical aligner. And finally, the field emitter tip and sample were assembled in column housing. All the above mention processes are discussed in detail. Chapter IV presents the operation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of modified quadrupole source lens microcolumn with and without Einzel lens and also the results of ultraminiaturized microcolumn performance in terms of imaging quality and probe current. The comparison of results of three fabricated microcolumns is also discussed. Chapter V includes the overall conclusion and future works.

      • 법학전문대학원 제도의 실태 및 발전방안에 관한 비교분석 : 한·미·일 3국을 중심으로

        신경철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章에서는 본 연구의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논의된 로스쿨 제도를 바 탕으로 우리가 장기적인 관점에서 장차 취해야 할 로스쿨, 즉 한국형 로 스쿨 제도운영을 위한 방향 제시를 함으로써 본 연구를 마감하고자 한다. 앞에서 로스쿨 도입에 따른 여러 개별사안에 대하여 미국과 일본의 로 스쿨과 비교하여 분석해 보았다. 하지만, 이들 개별사안들은 하나의 문제 로써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각각의 이해집단에 의한 의견 반영을 통해 나타난 로스쿨 법률의 내용 들은 개별 이익집단의 신뢰가 밑바탕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어떠한 시각 으로 보아도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체 정원을 2000명으로 제한한 총 정원문제도 그렇고, 로스쿨 유치에 엄청난 투자를 했던 대학들이 생각보다 적게 배정된 인원으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인상하 게 된 등록금이나 인가요건 충족을 위해 교원 충원을 위하여 짧은 시간에 이를 해결하려 한 점 등 이 모든 것이 로스쿨 설립과정에 있어서 엄격한 인가주의를 따랐기 때문이다. 이는 다수의 법조인을 배출하고 법조인간의 치열한 경쟁을 통해 사법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국민들이 저렴하게 법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자는 사법개혁의 본래 취지에도 어긋나는 것으로써, 단기적인 이익추구를 위한 이익집단의 주장보다는 진정한 장기 적인 안목에서 사법개혁의 본래취지 및 법학교육의 올바른 발전을 위하여 차후 법 개정을 통하여 준칙주의에 따르는 로스쿨 설치 및 총원제 제한 폐지 내지는 총원을 대폭 늘려야 할 것이다. 우리가 추구하고자 하는 로스쿨 제도는 그 제도 자체만으로는 이루어 질 수 없다. 이는 실제로 로스쿨을 졸업하고 변호사로 진출하려는 이들에 대한 문제도 함께 논의 되어야 할 문제인 것이다. 이에 따라 법무부는 최 근 변호사시험법 안 ( )을 입안한다고 발표하였는데, 그 내용은 응시자격, 시험과목 그리고 응시횟수제한으로 크게 3가지의 사안으로 축약할 수 있 다. 하지만 정부가 발표한 법안에서도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 는 바, 이는 몇 번의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자연스레 해결할 수도 있는 문 제이긴 하지만 뻔히 보여 지는 문제를 무시하고 넘어가는 과오를 범해서 는 아니 될 것이며, 공청회 등의 의견청취를 이용하여 문제되는 사안들에 대한 심각한 고민을 거쳐야 할 것으로 보인다.

      • EU사례를 통해본 남북 경제협력 추진전략

        김종태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1980년대 이후 국제적인 데탕트 분위기 이후 한반도에서의 평화통일을 다양한 방안들이 시행되었다. 그 결과 28년의 남북경협 과정에서 많은 성과를 가져오게 되었으나 2016년 전면 중단되기에 이르렀다. 한반도 통일방안인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의 실행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과정의 하나가 바로 화해와 협력을 위한 교류 협력이다. 이를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분야가 남북 경제협력을 통한 화해 협력이다. 이를 위해 EU통합사례를 통해 교훈을 도출하고 남북한 경제협력을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에 대한 추진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경;제통합이론의 핵심인 정치/군사와 경제를 분리하여 지속적인 경제협력을 추진해 나갈수있도록 하는 등 8개 분야의 전략을 제시하였다.

      • 국내 친환경자동차 부품산업 발전방안

        조상룡 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화석연료 고갈과 지구의 온난화 문제 및 선진국의 각종 환경 규제에 대응하고 국내 친환경자동차 부품산업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국내 관련 업계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오늘날 대표적 친환경자동차로 불리우는 연료전지자동차와 하이브리드자동차의 부품산업 발전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동 조사를 바탕으로 기술개발 현황 및 수준, 기술기반 조성의 현황 및 수준, 선진기술의 도입 및 제휴 현황, 기술경쟁력 향상 방안 등에 대한 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외부환경 분석과 내부 경쟁력 수준 설문조사를 토대로 국내 친환경자동차 부품산업의 SWOT 분석을 실시하여 국내 친환경자동차 부품산업 발전방안으로 기존 정책의 수정 보완, 기술개발지원의 강화, 기술기반조성사업의 강화, 선진업체와의 기술제휴 및 도입 강화 전략 등을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하여 국내 친환경자동차 부품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도출된 발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자동차 부품산업의 발전방안의 하나로 현행 정책의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하다. 친환경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촉진을 위한 “환경친화적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촉진에 관한 법률”은 그 기본계획에 있어서 현행 완성차 위주의 지원 계획과 더불어 부품업계도 지원이 될 수 있도록 제도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즉, 부품업계의 경우 정부주도의 Top-Down 방식과는 별개로 부품업계가 필요로 하는 기술개발을 추진할 수 있도록 Bottom-Up 방식을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수소충전소 설치 등 민간이 해결하기 어려운 부분은 범 정부차원에서의 지원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술개발 지원의 강화 전략으로 세계적인 환경규제에 따라 친환경자동차의 등장과 함께 최근 하이브리드자동차의 수요급증은 이와 관련된 부품의 기술개발 필요성을 증대시키고 있어 우리나라의 잘 발달된 전자·정보 통신기술을 활용한 기술개발 노력을 통해 차별화된 사업영역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친환경자동차 부품기술 개발능력 강화가 필수적으로 인력 및 투자비 측면에서의 R&D투자 확대, IT기반 활용, 완성차업체와 협력개발 등을 통하여 기술개발 능력을 증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기술기반조성사업 강화 전략으로 친환경자동차인 연료전지자동차와 하이브리드자동차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은 기존의 자동차에 사용되는 부품과는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기술개발과 함께 다양한 시험평가 인프라를 새롭게 구축해야 하며 이와 같이 다양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은 기술개발을 수행하는 기업으로서는 많은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친환경자동차 부품 시험평가 관련 장비나 시설을 공공의 기관에 구축하여 이를 통하여 관련 부품업체를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검토되고 관련 인프라를 운영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의 양성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친환경자동차 부품산업의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친환경자동차 부품을 개발할 수 있는 핵심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정부차원에서의 인력양성 지원과 함께 기업에서도 대학에 위탁하는 방식으로의 현장 맞춤형 인력을 육성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선진업체와의 기술제휴 또는 도입 강화 전략으로 적극적인 기술개발을 통한 기술우위를 확보하고 이를 통해서 해외 관련기업과의 기술 제휴를 통한 세계 표준 확보 등의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막대한 투자비가 소요되는 기술개발의 일부를 부담하는 방식으로 선진 업체와의 제휴도 필요할 것이며 국제 공동연구의 활성화가 필요할 것이다. 이와 같은 발전전략을 토대로 지속적으로 연료전지자동차와 하이브리드자동차 등 국내 친환경자동차 부품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이 실행된다면 지구온난화와 선진국의 각종 환경규제 등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세계적으로 관련 부품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친환경자동차 부품산업의 발전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미·중 경쟁 : AIIB와 THAAD를 중심으로

        이장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most conspicuous feature of international society in post-Cold War era and after global financial crisis is the rapid emergence of China. The rapid emergence of China forewarns the vehement competition between US and China over the order of Northeast Asia. Notwithstanding the assertion that the military power and economic power of US still overwhelms China, China deploys aggressive policy toward Great China. It is ascertained in the strategic reality, namely, China’s economic challenge -the establishment & operation of AIIB and its military challenge - vehement opposition against the deployment of THAAD in Korean Peninsula. This implies that China intends to search the condition of powerful nation and to construct new international order based on China, rejecting the Occidental dominant order mainly led by US. Further, the sophisticated nuclear missile of North Korea is quite likely to play the role of unexpected variable of serious intimidation over security and change in order over Northeast Asia including Korea. The vehement competition between US and China symbolizes the change in order in Northeast Asia. In relation to vehement competition between US and China, many researchers assert that the economic power and military power of China will surpass that of US sooner or later and China will be the most powerful nation in the world. Further, they believe that the peaceful emergence of China will continue. Namely, they assert that the era where US is the only leader of international power ends and the balance is moving toward China. However, this dissertation does not agree with such assertions, because they are based on the past trend line and extrapolation. The issue is whether the economic growth of China will continue or not. Unless China deviates from the fixed goal of growth, the challenge of China against the existing order can be activated in full scale. However, the critical factor which means the decline of US power is not yet seen. The international order led by US for considerable term is solid structure which systematically includes the pieces of diverse orders such as reasonable history and politics-economy. It is quite unlikely that the existing international order based on US easily moves toward China. At the same time, US has definite view of the history and peculiar view of the world that international order cannot be left to a country like China. US thinks that the conditions to restrain China in order to maintain order in Northeast Asia and the existing international order are matured. Thus, US is ready to cope with the challenge of China in full scale. Since national foundation, US is willing to war if necessary to protect American value. Thus, in the light of overwhelming superiority of US power, it is expected that the existing international order mainly led by US will continue for considerable term. It is true that China with US is at the center of international order in Northeast Asia. The external policy of China is becoming more aggressive on the basis of economic power especially after the appearance of Xi Jinping. China’s establishment of AIIB and opposition against the deployment of THAAD symbolizes the change in economic & military position of China. The core variable which decides order in Northeast Asia is confrontation between China’s ‘dilation strategy’ through One belt One road project and Indo-Pacific Strategy of US. Countless wars in the past history occurred in connection with the change in power of international society which basically intended to change the existing order. Unless the present structure of confrontation in Northeast Asia changes, it is difficult to rule out the possibility of physical collision mainly between US and China. Thus, Also asserting that it is quite unlikely to avoid Tuchididdes Trap, US and China present 4 outcomes of analysis in relation to competition between US and China. First, China’s external policy definitely shows defiant intention against the overall military/economic order led by US. China forcefully intends to change the phenomenon of order in Northeast Asia, asserting the dominium and jurisdiction of South China Sea. Then, US rejects the assertion of China, implementing FON. The strategic goal of US is to maintain international order(Pax Americana) favorable to US and proper to international society. Simultaneously, it is to promote American value in international society. US rejects any condition which opposes the strategic interest of US in order to attain such goal. Second, the main reason why China established AIIB and opposed the deployment of THAAD in Korean Peninsula is to construct conditions to be super power in both economic and military aspect. Thus, China shows defiant intention against the existing order. Although US wans the maintenance of strategic value of Northeast Asia and the existing order, US and China confront each other, vying for strategic interest. Only the stern law of power prevails in international society. Physical collision is quite probable in that the international position will be never changed with peaceful method. Third, China lacks international competence to present new international norm with which international society agrees by the middle of this century at latest. In comparison with US, China has natural limit in the environment of security, e.g., diverse geopolitical disadvantages and independence movement in Tibet. However, China attempts to change active phenomenon in military sector after economic emergence. US has global dominance and potential of formidable soft power. Thus, it is expected that China’s challenge against US will face definite limit. Fourth, Korean Peninsula is a region where continental power collides with oceanic power geopolitically. It is closely connected to strategic interest of US and China. China is a neighboring powerful nation which has territorial ambition over Korean Peninsula. The larger the power of China is, the more unstable Korean security will be. The sophisticated nuclear technology of North Korea exists as grave and imminent intimidation. If opaque diplomatic direction in conscious of China continues, Korea is likely to be alienated to the periphery of international society. Thus, Korea should make diplomatic direction definite and be on the side of the strong in order not to be degenerated as peripheral state in the confused era of international order. In order to survive, Korea is requir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Indo-Pacific Strategy which is led by US and which is in solidarity of Japan, Australia and India on the basis of Korea-US alliance. This dissertation is subject to inevitable difficulty in satisfactorily explaining the strategy of both super powers which is peculiarly spreading in relation to competition of US and China. Further, studying AIIB and THAAD where strategic interest of US and China collides is also subject to limit in analysis and verification. Study on such sectors inevitably remains to be the incomplete task of this dissertation. 탈냉전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제사회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중국의 급속한 부상이다. 중국의 급속한 부상은 동북아 질서에 대한 미ㆍ중간 치열한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중국은 미국의 군사력과 경제력이 여전히 중국을 압도하고 있다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초강대국을 향한 공세적인 정책(大國崛起)을 펼치고 있다. 그것은 중국의 경제적 도전사례인 AIIB의 설립ㆍ운용과 군사적 도전사례인 한반도 THAAD 배치를 격렬하게 반대하는 전략적 현시에서 확인되고 있다. 이는 중국이 강대국의 조건을 탐색하는 것이며, 미국 주도의 서구적 지배질서를 거부하고 중국 중심의 새로운 국제질서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게다가 북한 핵ㆍ미사일 기술의 고도화는 한국을 비롯한 동북아에 대한 심각한 안보적 위협과 질서변화의 돌발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미ㆍ중 양국의 치열한 경쟁은 동북아 질서의 변화를 상징한다. 미ㆍ중 경쟁과 관련하여 다수의 연구자들은 조만간 중국의 경제력과 군사력이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고의 강대국이 된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또 이들은 중국의 평화로운 부상이 계속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즉, 국제권력의 미국 독주시대는 끝났으며 중국 쪽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은 이러한 주장들에 동의하지 않는다. 이러한 주장들은 과거의 추세선과 외삽법에 근거한 주장들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중국의 경제적인 성장의 지속여부다. 만일 중국이 정한 성장의 목표에서 이탈되지 않는다면, 기존 질서에 대한 중국의 도전은 본격화될 수 있다. 그러나 미 국력의 쇠퇴를 의미하는 결정적인 요인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상당기간 미국이 주도해온 국제질서는 타당한 역사성과 정치ㆍ경제 등 다양한 질서의 편린들을 조직적으로 포괄하고 있는 견고한 구조다. 따라서 미국 중심의 기존 국제질서는 중국 쪽으로 쉽게 전이될 가능성이 희박하다. 동시에 미국은 ‘중국과 같은 국가에게 국제질서를 맡길 수 없다’는 분명한 역사관과 독특한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 미국은 동북아 질서뿐만 아니라 기존 국제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중국을 견제해야 할 조건들이 성숙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중국의 도전에 본격적으로 대처할 태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은 건국 이래 미국적 가치를 수호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전쟁도 불사한다. 따라서 미국 국력의 압도적 우위성에 비춰볼 때 미국 주도의 기존 국제질서는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 전망된다. 중국은 미국과 함께 동북아 국제질서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특히 시진핑(習近平) 등장 이후 경제력을 바탕으로 중국의 대외정책은 더욱 더 공세적으로 변하고 있다. 중국이 AIIB를 설립하고 THAAD의 배치를 반대하는 것은 중국의 경제적, 군사적 위상의 변화를 상징한다. 향후 동북아와 질서를 좌우하는 핵심 변수는 일대일로 프로젝트를 통한 중국의 ‘팽창전략’과 이에 맞선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Indo-Pacific Strategy)’ 간의 대립이다. 지난 역사 속의 수많은 전쟁들은 근본적으로 기존질서를 변경하려는 국제사회의 힘의 변동과 연계되어 발생했다. 동북아에 있어서 현재의 대결구도가 변하지 않는다면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물리적인 충돌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따라서 미국과 중국 역시 투키디데스 함정(Thucydides trap)을 피할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주장하면서, 미ㆍ중 경쟁과 관련하여 4가지의 분석결과를 제시한다. 첫째, 최근 중국의 대외정책은 미국이 주도하는 군사ㆍ경제 질서 전반에 대한 도전적 의도를 분명히 하고 있다. 중국은 남중국해의 영유권 및 관할권 주장과 함께 힘을 앞세워 동북아 질서의 현상변경을 꾀하고 있다. 이에 대해 미국은 항해의 자유작전(FON) 등을 실행하며 중국의 주장을 거부하고 있다. 미국의 전략적 목표는 미국에게 유리하고 국제사회에 적합한 국제질서(Pax Americana)를 유지하는 것이다. 동시에 미국적 가치를 국제사회에 증진시키는 일이다. 미국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미국의 전략적 이익과 배치되는 어떠한 조건도 거부한다. 둘째, 중국이 AIIB를 설립하고 THAAD의 한반도 배치를 반대하는 핵심적인 이유는 경제와 군사적인 양면 모두 초강대국으로 나가기 위한 조건들을 구축하는 것이며 기존 질서에 대한 도전의지를 나타낸 것이다. 미국은 동북아의 전략적 가치와 기존 질서의 유지를 원하고 있지만, 미ㆍ중 양국은 전략적 이익을 두고 대립하고 있다. 국제사회는 냉혹한 힘의 법칙만이 작용한다. 결코 평화로운 방법으로 국제적 지위의 변경은 허용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물리적으로 충돌할 개연성이 크다. 셋째, 중국은 적어도 금세기 중반까지 국제사회가 동의하는 새로운 국제 규범을 제시할 수 있는 국제적 역량이 부족하다. 중국은 미국에 비해 다양한 지정학적 불리함과 티베트 지역의 독립 운동 등 안보환경의 태생적 한계를 안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경제적 부상에 이어 군사적 부문에서 적극적인 현상의 변동을 시도하고 있다. 미국은 막강한 연성권력의 글로벌적 지배력과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미국에 대한 중국의 도전은 분명한 한계에 직면할 것으로 평가된다. 넷째, 한반도는 지정학적으로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이 충돌하는 지역이며, 미ㆍ중 양국의 전략적 이익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중국은 한반도에 대한 영토적 야심을 가진 이웃하는 강대국이며, 중국의 세력이 커질수록 한국의 안보불안은 가중된다. 북한 핵 기술의 고도화는 중대하고 즉각적인 위협으로 존재하고 있다. 만일 중국을 의식한 불투명한 외교적 정향이 계속된다면, 한국은 국제사회의 주변부로 밀려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한국은 국제질서의 혼란기에 주변국으로 전락하지 않기 위해 외교적 정향을 분명히 하고 강자의 편에 서야 한다. 한국은 생존을 위해 한ㆍ미동맹을 기반으로 미국이 주도하고 일본ㆍ호주ㆍ인도 등이 연대하는 인도-태평양 전략(Indo-Pacific Strategy)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 된다. 본 논문은 미ㆍ중 경쟁과 관련하여 독특하게 전개되고 있는 양국의 초강대국 전략을 만족하게 설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 미국과 중국의 전략적 이해가 충돌하는 AIIB와 THAAD를 연구함에 있어서 분석과 검증의 한계가 존재한다. 이 같은 부문들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본 논문의 미진한 과제로 남을 수밖에 없다.

      • 정부투자기관의 조직혁신

        김민경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혁신을 하든가, 사라지든가". 경영의 대가 피터 드러커는 유작인 「위대한 혁신」을 통해 조직, 경제, 사회의 생존에 필수적인 생명활동으로 혁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불확실한 환경에서 생존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변화의 흐름에 맞춰 능동적인 변화를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혁신에 대한 요구는 공기업 조직도 예외는 아니다. 본 연구는 공기업 조직이 급변하는 경쟁 환경에 대응해 나가기위해서는 민영화를 통해 정부와의 관계를 개선하는 것 이외에 공기업 자체의 내부경영능력의 자생적 제고 노력이 필요하다는 데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공기업 혁신의 체계적 이해를 제고하기 위해서 경영실적평가의 조직관리 합리화 지표를 통해 정부투자기관의 조직혁신 실태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정부투자기관의 조직혁신 실태는 조직을 운영하고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측면과 조직의 구조인 하드웨어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소프트웨어인 조직관리 제도의 합리화는 정원관리, 조직의 통폐합, 직급체계 및 결재단계, 권한 위임 등을 기준으로, 하드웨어인 조직구조의 유연성 제도는 팀제도입, 외부위탁의 활용 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영환경 변화에 부응하여 새로운 핵심 사업을 모색하거나 이를 추진하기 위한 조직개편 및 정원관리, 외부위탁의 활용 등 사업이나 업무와 관련한 수평적인 개선 노력에서는 대부분의 기관에서 상당한 진척을 보였다. 그러나 직급 및 결재단계를 축소하고, 권한 위임을 통한 조직관리 제도의 합리화 노력과 팀제의 실질적 도입을 통해 조직의 구조를 유연하게 개선하고자 하는 수직적인 노력은 상대적으로 형식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해보면 첫째, 지표별로 개선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사업이나 업무, 기능 등에 관한 수평적인 개선 노력에 비해 계층이나 권한 등에 관한 수직적 개선 노력이 상당한 저항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혁신의 가장 중요한 성공요인이 최고 경영자의 의지와 구성원들의 공감대 형성인 만큼 이해관계자에 대한 충분한 설득과 분위기 조성 통해 혁신에 대한 의식을 고양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특정 혁신 기법과 관련해서 기관별로 큰 개선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은 조직의 상황을 총체적으로 진단하기 보다는 유행 혁신 기법을 무분별하게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성공적인 혁신을 위해서는 조직이 처한 상황에 알맞은 기법을 도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조직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혁신기법의 목표나 대상, 강약점, 저항도, 효과 등을 충분히 사전 분석한 후에 혁신을 진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분석의 토대가 된 경영실적평가는 자율성을 보장하고 사후적인 책임성 확보를 통해 경영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제도이다. 뿐만 아니라 상대적인 경영성과 순위를 결정함으로써 정부투자기관 간에 간접적인 경쟁 환경을 조성함에 따라 보다 개선유인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기관에서는 경영실적평가를 타 기관과의 간접경쟁이나 외부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는 통로로 활용하여 보다 자발적인 경영혁신을 촉진할 수 있어야겠다. "Innovate or Die." Through his book, On Innovation, the great economist, Peter F. Drucke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novation as an necessary activity to the life of an organization, economy, and the society. In order to survive and develop in the uncertain environment that changes complexly and quickly, it is necessary to pursue nimble changes that suits the flow of changes. The State enterprises are not exempt from the needs to innovate.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remise that the government invested enterprises need spontaneous efforts of improving the internal management abilities as well as privatizing themselve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innovative practices, then, it analyzed those practices with performance index used by the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group.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most organizations improved in the human resources planning, reorganizing and outsourcing. However, they remained at a superficial level in reduction of the job ranks and approval steps, empowerment, team building. In deducing a few points of illustr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First, the indices indicate differences in improvements. Because the vertical improvement effort in rank levels or responsibilities raise significant resistance, in comparison to the horizontal improvement efforts in business, task, functions, etc. As the key success factor in innovation is common understanding, there is a need to solidify common understanding through adequate persuasion to the interested participants and set the mood. Second, in regards to special innovation strategics, it showed the differences in improvements among the organizations. Because rather than diagnosing the organizational situations as a whole, they are adopting the popular innovation strategics in disregarding ways. For a successful innovation, they must adopt the right methods for the organization’s situation by analyzing the current position and innovation strategics. Third, the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that became the basis of the analysis is a system to improve the management efficiency through managing self reliance and ensuring the ex-post responsibility. Also by deciding the relative management performance ranks, it sets an environment of indirect competition among the government invested organizations. Therefore, each organization should be able to promote the self-innovation of the management using the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to indirectly compete against other organizations or to utilize as a way to reflect the opinions of outside professionals.

      • PSM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 개인, 직무, 조직문화를 중심으로

        박재웅 아주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추상적인 ‘공공성’이라는 개념을 실증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Perry & Wise(1990)의 공공봉사동기(PSM: Public Service Motivation)의 결정요인을 밝혀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분석방법을 함께 수행 하였다. 공공봉사동기의 결정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공공봉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개인적 차원, 직무 차원, 조직문화 차원으로 구분하고 각 차원에 속하는 변수들과 공공봉사동기와의 관계를 통계적 분석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기존 국내외연구들이 갖는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연구대상을 정부부문 뿐만 아니라 준정부부문으로 까지 확대하였다. 이로 인해 공공부문의 공공봉사동기 결정요인에 대한 일반화를 시도할 수 있었다. 구체적인 조사대상 집단은 경찰, 교도관, 일반행정, 교육행정, 교사, 군인, 연구직, 공기업 그리고 공단으로 비교적 폭넓게 설정하였다. 설문조사를 위해 배포한 300부의 설문지 중 220부를 수거하였고, 불성실응답 설문지 제거 과정을 통해 212부 설문지를 데이터화 한 후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통계적 분석방법은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문항별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수들 간의 관계를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공공봉사동기의 결정요인들을 차원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개인 차원에서는 봉사활동 경험과 공동체주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였고, 직무 차원에서는 가능 다양성과 모호성 변수가 결정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문화 차원에서는 집단문화와 위계문화가 공공봉사동기를 결정하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