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극한 굽힘이 가능한 섬유기반의 투명전극 소재의 제조 및 스마트 액정 디바이스 응용 연구
김인철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In this work, an extremely foldable and highly transparent nanofiber-based electrode is introduced. The nylon 6 nanofiber-reinforced cellulose acetate (NF-r-CA) film as a fiber-based transparent substrate was used to develop the highly transparent electrodes with excellent durable and foldable properties. The tensile strength and toughness of the NF-r-CA films were greatly improved, suggesting that the nanofibers provide an effective reinforcement. The NF-r-CA transparent films also showed smooth surface morphologies (RRMS ~ 27 nm by AFM analysis) than as-spun nylon 6 nanofiber membrane, indicating the successful infiltration of the cellulose acetate into the voids of nylon nanofiber membranes. The NF-r-CA electrodes prepared using AgNWs concentration of 0.025 wt% and electrospinning time of 45 min was highly transparent (~ 90% at 550 nm), lower sheet resistance (~ 38 sq-1) and mechanically robust (59.6 MPa in tensile strength).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that the sheet resistance of the NF-r-CA electrodes shows almost constant in the sheet resistance, which does not change over 3% even after a repeated bending test (bending radius ~ 1 mm) of 10000 cycles, while the ITO electrode shows gradual increase in sheet resistance and then eventually no electrical signal after bending test of 50 cycle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NF-r-CA transparent electrode exhibited excellent ultimate flexibility by maintaining its electrical performance. The PDLC cell was fabricated using a transparent and collapsible NF-rCA electrode, and the bending test wa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 of a 1.5 mm bending radius. As a result, the NF-r-CA PDLC cell was showed higher driving voltage compare than the ITO PDLC cell, it was observed that the ITO PDLC cell working was stopped after bending test of 50 cycles, while fiber PDLC still operated even after bending test of 500 cycles.
보편적 일상과 헤이리의 규범을 융합한 주택설계안 : 어느 화가의 주택
일상은 습관적 반복으로 매일을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이다. 매일 반복되는 일상이기에 정지된 것처럼 보이지만, 일상은 눈에 보이지 않게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우리는 반복적 행동에 익숙하여 새로운 시각과 생각으로 발전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일상을 우리의 통상적 시점이 아닌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면 우리는 일상의 차이를 느낄 수 있다. 새로운 공간과 시각은 우리가 다양한 시점을 갖고 우리의 평범한 일상을 다르게 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것은 우리가 여행을 가서 새로운 공간을 만나게 되면 새로운 시각으로 공간과 일상을 보고 느끼게 되는 것과 같다. 다른 문화와 새로운 시점은 동 시간대이지만 우리의 공간에서 우리의 방식으로 느끼는 평범한 일상을 신선하게 느낄 수 있는 일상은 차이를 만든다. 이것이 문화적 차이와 문화적 특색을 나타내는 것이다. 관점의 변화는 새로운 시각과 생각으로 접근하여 매일의 습관적 반복으로 접근하지 못했던 일상의 원인과 본질을 발견할 수 있다. 건축은 매일의 일상의 필요에 의해 세워지지만 그것이 어떠한 의미이며 시대가 요구 하는 방향으로 변화 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말하고자 한다. 또한, 과거가 있었기에 지금의 현시점이 존재할 수 있음을 존중한다. 이 연구는, 헤이리 문화 예술 마을이라는 새로운 실험적 공간에서 통상적 일상이 아닌 실험적 공간으로써의 일상을 제안한다. 헤이리를 실험적 공간으로 해석하는 것은 헤이리의 문화·예술적 특색이 헤이리를 특별하게 만들며, 우리의 시각이 헤이리의 일상을 관람객의 시선으로 관찰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헤이리가 새로운 실험적 공간이 되는 이유이다. 헤이리 주거에서 보여 지고자 하는 것은 관람자와 헤이리 주민의 삶과, 새로움을 찾는 사람의 새로움을 만드는 사람들 간의 삶의 관계이다. 더 나아가, 이들 간의 소통은 또 다른 헤이리의 문화를 만들 것이다. 이들의 관계는 소통의 차이를 발생하며, 중첩되는 요소들을 연결하여 개방과 폐쇄의 공간으로 공간의 깊이를 조절한다. 헤이리의 지침에 준하여 자연과 시간을 공존 하며 일상의 반복적 겹침이 소통과 차이를 발견하는 주택설계안을 제안한다. In our humdrum living, repeated ways appear to be a aspect of our life in which we live every day. Although every day seems to be stopped because of repeating, it has been changed steadily in a quiet way. Repeated ways in routine living make us set limits of thinking and ideas. However, if you look in your living with another point of view, you can find new things though it is the present repeated every day. New spaces and visions help us have various points of view and see differentially our ordinary living. We can feel our living by a new vision in a new space as if we travel other countries and experience other cultures, or foreigners look at our living with other points of view. Other cultures and new points of view let us feel freshly our ordinary living even in the same time and space. These show cultural differences and distinctions. Changing a point of view helps us find new things in routine living by force of habit. The past is in the present, and architecture includes our usual life in the present. Accordingly, it is said how architecture answers the change and needs of the times. In this study, our ordinary living is represented in an experimental space, Heyri Culture Art Village. We feel specially usual living in Heyri because we see residents` living in Heyri with sightseers` points of view. It is the reason for Heyri to be taken as a new experimental space. The architecture which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who find the new and people who create the new, sightseers` life and residents`life in Heyri, can be shown in Heyri. Moreover, a understanding among them can create another culture of Heyri. The way[method] which connects elements that are overlapped in differences and understandings between people who find the new and people who create the new is used in order to coordinate the depth of space in the open and closed space and present it. In accordance with the guide of Heyri, we propose housing design that is to apply differences and understandings, which are based on a repeat and a overlap of our common living in company with nature and time.
비디오 장면 그래프 생성을 위한 심층 신경망 모델의 설계 및 구현
비디오 장면 그래프 생성은 비디오에 등장하는 모든 물체들과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그들 간의 관계들을 탐지해내어, 여러 장면 그래프들의 시퀀스로 표현해내는 작업이다. 단 한 장의 영상에서 장면 그래프를 생성하는 작업(ImgSGG)에 비해, 비디오 장면 그래프 생성(Video Scene Graph Generation, VidSGG) 작업은 물체들에 대한 단순한 공간적 위치 탐지가 아니라 시공간적 위치 탐지를 요구하고, 비디오 안에서 물체들 간의 관계들도 시간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훨씬 더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장면 그래프 생성을 위한 새로운 심층 신경망 모델 VSGG-Net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에서는 슬라이딩 윈도우 방법을 적용하여 비디오의 전체 범위에서 다양한 길이의 물체 트랙들을 탐지해낸다. 특히, 제안 모델에서는, 시간적 필터링과 사전 학습된 신경망과 통계적 정보를 이용해 물체 트랙 쌍들의 관계성을 평가하는, 새로운 물체 쌍 제안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제안 모델에서는 시-공간 맥락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시-공간 맥락 그래프와 그래프 신경망을 이용하여 저-수준의 시각 맥락 추론과 더불어 고-수준의 의미적 맥락 추론도 함께 수행한다. 또 희소 빈도의 관계들에 대한 탐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안 모델에서는 희소 빈도 관계들의 비중을 높게 조정해주는 클래스 가중치 기법을 적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벤치마크 데이터 집합 VidOR와 VidVRD를 이용한 실험들을 통해, 제안 모델의 긍정적 효과와 높은 성능을 입증한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deep neural network model VSGG-Net for video scene graph generation. In the proposed model, a sliding window scheme is applied to detect object tracklets of various lengths in the entire video range. In particular, in the proposed model, we propose a new tracklet pair proposal method that evaluates the relatedness of object track pairs using a pretrained neural network and statistical information. In addition, in the proposed model,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the spatio-temporal context, a low-level visual context is used using a spatio-temporal context graph and a graph neural network In addition to reasoning, high-level semantic context reasoning is also performed.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detection performance of sparse-frequency relationships, the proposed model applies a class weighting technique that adjusts the weight of sparse-frequency relationships high. In this paper, we demonstrate the positive effect and high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through experiments using the benchmark dataset VidOR and VidVRD.
링크와 공중송신권 침해 : 각국의 판례 비교 및 입법제안을 중심으로
김지영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본 논문은 인터넷에 게시된 불법복제물로 연결되는 링크를 게시한 행위의 규제를 논하기 위한 내용을 담고 있다. 기술의 발달에 따라서 불법복제물로 연결되는 링크를 게시하는 행위는 인터넷 웹사이트를 넘어 모바일 웹사이트 및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링크로 연결되는 불법복제물은 주로 해외 웹사이트 서버에 업로드 된 것을 생각하면 해외 인터넷 속도가 증가 할수록 그러한 행위는 더욱 증가할 것이다. 이는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니며 해외에서도 임베디드 링크를 통하여 저작권자의 허여를 받지 않고 인터넷 기사에 사진을 첨부하거나, 인터넷에 업로드 된 저작물에 적용된 접근제한을 우회하는 링크를 제공하여 모든 인터넷 이용자들이 접근제한이 적용된 저작물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행위 등이 발생하고 있다. 그렇기에 인터넷 상에서 발생하는 링크 행위와 관련된 저작권법적 논의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연합 등 전 세계 주요국에서 논의되고 있고 관련 판결도 선고되고 있다. 다만, 주요국의 링크 행위와 관련된 저작권 판결을 살펴보기에 앞서 저작권 관련 국제조약을 먼저 살펴보아야 한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 국 저작권법은 베른협약, 세계지적재산권기구 저작권 조약(WIPO Copyright Treaty, WCT) 및 세계지적재산권기구 실연 음반 조약(WIPO Performances and Phonograms Treaty, WPPT)등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주요국 저작권법의 이해 및 우리나라가 공중전달권으로 링크 행위를 규제하는 것이 적합한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위 국제조약들을 살펴보는 것이 가장 처음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미국은 링크 행위를 Perfect 10 사건에서 소위 ‘서버 테스트’를 적용하여 링크가 게시된 웹사이트 서버에 저작물이 업로드 되어 있지 않고, 링크 행위를 통해서는 실제 저작물의 전송이 발생하지 않기에 링크 행위는 저작권 침해가 아니라고 미국 제9연방항소법원이 판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 일부 연방지방법원에서 임베디드 링크의 경우 인터넷 이용자들이 클릭하여 이동해야 연결되는 저작물을 접할 수 있는 딥 링크와 달리 임베디드 링크가 게시된 곳에서는 인터넷 이용자들이 링크를 클릭하지 않더라도 저작물을 접할 수 있기에 임베디드 링크의 경우 저작권 침해로 규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연방지방법원의 판단이기 때문에 연방항소법원에서 위와 같이 판단을 내리기 전까지는 미국의 경우 여전히 링크 행위는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봐야 될 것이다. 유럽연합의 경우 현재 선진국 중 가장 엄격히 링크 행위를 저작권법으로 규제하고 있다. 유럽연합은 유럽사법재판소의 판결을 통하여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링크 행위의 경우에는 유럽연합 저작권 관련 지침의 공중전달권 직접 침해를 구성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 조건에는 링크를 게시한 사람이 해당 링크를 통하여 불법복제물로 연결된다는 점을 인식하였는지 여부, 링크 행위를 통해 영리적 이익을 얻는지 여부, 링크 행위를 통하여 새로운 공중이 저작물을 접했는지 여부, 권리자가 인터넷에 저작물을 업로드 할 당시 모든 인터넷 이용자를 대상으로 공개 할 의도가 있었는지 여부 등이 있다. 다만 유럽사법재판소의 판단 기준 중 하나인 새로운 공중은 베른협약의 브뤼셀 개정 논의 당시 명시적으로 거절 된 바 있으며, 이를 판단 기준으로 삼는 것이 옳은지 등에 대한 비판이 존재한다. 더불어 유럽연합의 경우 저작권 관련 지침에서 직접 침해만을 규정하고 있을 뿐 간접 침해, 인터넷 중개자의 규제 등은 각 회원국 법에 일임하고 있기 때문에 국경이 없는 인터넷 환경의 특수성 및 회원국 사이의 조화로운 법제 달성 등을 위해 특정 조건의 링크 행위를 공중전달권의 직접 침해로 규제할 수밖에 없는 불가피한 이유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우리 대법원이 링크 행위는 저작권 침해의 정범은 물론 방조범에도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결을 하였지만, 2021년 9월 9일에 선고된 대법원 2017도19025 전원합의체 판결을 통해 저작권자의 허여를 받지 않고 웹페이지에 업로드 된 불법복제물에 연결되는 링크를 다른 웹사이트에 게시한 행위는 저작권자의 허여를 받지 않고 불법복제물을 업로드한 자가 행한 공중송신권 침해를 강화 및 증대시켰기 때문에 방조에 해당한다는 판결을 내리면서 유럽연합의 움직임을 따라가려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더불어 위 판결은 인터넷에 불법복제물이 게시되어 삭제되기 전까지는 공중송신 행위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공중송신권을 과도하게 넓게 해석하였고, 불법복제물로 연결되는 링크의 경우 인터넷 이용자를 도와준 것이 아니라 불법복제물을 업로드 한 자를 도와주었다고 판단하여 실제 저작물의 전송이 발생하지 않고, 인터넷에서 위치 정보를 알려주는 것에 불과한 링크 행위도 잘못 해석하여 판단하였다. 해당 판결이 나오기 이전부터 우리 정부는 불법복제물로 연결되는 링크를 저작권 침해로 규제하기 위하여 저작권법의 개정을 준비하고 있었다. 하지만 위 판결을 통해서 우리나라에서 불법복제물로 연결되는 링크 행위가 저작권법의 개정 없이도 저작권 침해로 규제할 수 있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저작권법의 개정을 통하여 링크 행위를 규제해야 한다. 그 이유는 앞서 언급하였듯 우리 대법원 판결이 공중송신권과 방조행위를 잘못 해석하였기에 다시 전원합의체 판결을 통한 판례의 재변경이 필요하다. 다만, 기존의 개정안은 우리 저작권법 제124조 침해로 보는 행위로 불법복제물로 연결되는 링크 행위를 규제하려고 하고 있지만 이는 각 링크 행위의 고의 및 과실을 입증하여야 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은 물론이고 불법복제물로 연결되는 링크가 게시된 웹사이트 운영자뿐만 아니라 링크를 게시하는 일반 인터넷 사용자들까지 규제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의 필수적 행위라 할 수 있는 링크 행위에 대한 위축효과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그렇기에 앞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저작권법 제124조 보다는 제102조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의 책임제한을 개정하여 불법복제물로 연결되는 링크가 게시된 웹사이트 운영자를 규제하는 방안이 더 적합하기에 제102조 개정안을 제안한다. 이는 결국 불법복제물로 연결되는 링크 행위가 줄어들기 위해서는 그러한 링크를 모아서 제공하는 웹사이트를 규제하고 대중의 저작권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켜 일반 대중들이 합법적인 경로로 저작물을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먼저 각 국 저작권법의 기반이 되는 베른협약 등 국제조약의 관련 조문 및 법제사를 살펴보고, 미국, 유럽연합 등 주요국의 관련 저작권법 조문과 판례를 살펴본 뒤 우리 법원의 관련 판결을 검토하고 최종적으로 저작권법 개정을 통한 규제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regulation of posting hyperlink to illegal reproductions posted on the Internet. Recently, the act of posting hyperlink to illegal reproductions is expanding beyond website to applications for smart phone. Considering that illegal reproductions are uploaded to overseas website servers, the higher the overseas internet speed, the more such actions will increase. Copyright law related to hyperlink occurring on the Internet is being discusse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major countries around the world,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The United States applies the so-called 'server test' to the hyperlink behavior in the Perfect 10 case, and the work is not uploaded to the server of the website where the link is posted, and the actual work is not transmitted through the hyperlink act. It is known that the U.S.Court of Appeals for the United States has ruled that the infringement was not. However, recently, some district courts are trying to regulate embedded hyperlink as copyright infringement because, unlike deep hyperlink, Internet users can access the work where the embedded link is posted, even if they do not click the link. However, since this is still a judgment of the district court,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act of linking does not constitute copyright infringement until the federal appeals court makes the above judgment. In European Union, the copyright law regulates the act of linking the most strictly among developed countries. In the case of linking that meets certain conditions through the judgment of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the European Union judges that it constitutes a direct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public communication of the European Union Copyright Directive. The conditions include whether the person posting the link is aware that the link is linked to an illegal reproduction, whether there is a commercial profit through the link act, whether a new public has access to the work through the link act, and whether the right holder Whether or not there was an intention to disclose the work to all Internet users at the time of uploading it to. However, the new public, one of the criteria for the judgment of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was explicitly rejected at the time of discussing the Brussels revision of the Berne Convention, and there are criticisms about whether it is right to use this as a criterion for judgment.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uropean Union, in the case of the European Union, only direct infringement is stipulated in the Copyright Directive, but indirect infringement and regulation of Internet intermediaries are left to the laws of each member country. There is an unavoidable reason for regulating the act of linking under certain conditions as a direct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public communication. In the case of Korea, the Supreme Court previously ruled that the act of linking does not fall under the main offense of copyright infringement as well as the aiding offense, but the Supreme Court 2017도19025, which was recently sentenced on September 9, 2021, did not allow permission from the copyright holder. The court ruled that the act of posting a link to an illegal reproduction uploaded on a web page without permission on another website constitutes aiding because it reinforced and increased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public transmission by the person who uploaded the illegal reproduction without permission from the copyright holder. It appears to be trying to follow the movement of the European Union as it descends. In addition, the above judgment judged that public transmission continues to occur until the work is published and deleted on the Internet. As it was judged that the user did not help the user, but the person who uploaded the illegal copy, the actual work did not transmit, and the link act itself, which was merely to inform location information on the Internet, was misinterpreted and judged. This is a judgment that needs to be changed again because legal stability was reversed by introducing the tweezers jurisprudence applicable only to the case of this link when there were concerns about side effects while expanding the concept of aiding in the Criminal Act. Furthermore, since copyright laws around the world are based on the Berne Convention, WCT, and WPPT, to understand the copyright laws of each country and to determine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regulate linking with the right of public communication, the first thing to do is to look at the above international treaties. Therefore, first, I will review the relevant articles and legal history of international treaties such as the Berne Convention, which are the basis of copyright laws in each country, and then review the relevant articles and precedents of copyright laws in major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then review the relevant judgments of our courts and determine appropriate regulatory methods. I would like to suggest The amendment currently under discussion is to amend Article 124 to directly regulate the act of linking, in addition toregulating websites with hyperlink to illegal reproductions, but the amendment is to directly regulate the person who posted the link. For this reason, there is a strong concern that link behavior in the Internet environment will be atrophied, and even in the case of the website operator where the link is posted, there is a burden to prove intention or negligence in each case.
동적 컴퓨터 게임 환경을 위한 지속적인 멀티 에이전트 강화학습
다양한 실세계 응용 분야들에서 여러 에이전트들이 공동의 목표를 위해 상호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작업할 수 있는 행동에 대한 정책을 수행하도록 학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멀티 에이전트 강화학습(MARL) 상황에서 기존의 제안된 연구들이 채택한 프레임워크는 대부분 중앙-집중형 학습과 분산형 수행(CTDE) 방식이다. 하지만 이러한 멀티 에이전트 강화학습 방법은 훈련 시간 동안에는 새로운 환경 변화 즉, 경험하지 못한 상황이 끊임없이 일어날 수 있는 동적인 환경에서는 효과적인 대처가 매우 어렵다. 이러한 동적인 환경에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존 제안된 모델을 변경한 멀티 에이전트 강화학습 모델인 C-COMA를 제안한다. C-COMA는 에이전트들의 학습 시간과 수행 시간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실전 상황을 처음부터 가정하고 지속적으로 에이전트들의 협력적 행동을 할 수 있는 정책을 학습해나가는 지속학습 모델이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전략게임의 대표인 StarcraftⅡ를 기반으로 동적인 미니게임을 구현하고 이 환경을 이용하여 다양한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제안한 모델인 C-COMA의 우수성과 효과를 입증한다. It is very important to learn behavioral policies that allow multiple agents to work together collaboratively for common goals in many real-world applications. Most existing studies for multi-agent reinforcement learning (MARL) have adopted Centralized Training with Decentralized Execution (CTDE) as a standard paradigm. However, the CTDE paradigm for multi-agent reinforcement learning is difficult to effectively cope with in a dynamic environment where new changes occur constantly as in real life situations. In order to effectively cope with such dynamic environments, this paper proposes a novel multi-agent reinforcement learning framework, called C-COMA. C-COMA is an extended version of the COMA multi-agent reinforcement learning framework, which enables continual learning to deal with dynamics of the environment. C-COMA continuously learns and refines the cooperative joint policy of agents without dividing training and execution time separately. In this paper, we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and superiority of the proposed C-COMA framework by conducting various experiments using Starcraft II, a well-known multi-agent real-time strategy game.
Transformer 기반 온-오프라인 복합 강화학습 프레임워크 설계 및 구현
일반적으로 학습자 로봇이 연속적인 상태 및 행동 공간을 갖는 보행 작업들에서 강화학습을 통해 최적화된 행동 정책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실제 학습 환경과의 많은 시행착오적 경험이 필요하다. 이러한 온라인 강화학습의 낮은 데이터 효율성, 하드웨어와 기물의 파손 위험성, 베터리 자원의 한계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오프라인 경험 데이터 집합을 사용하는 오프라인 강화학습 방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오프라인 강화학습 방법 역시 오프라인 데이터 집합의 품질과 범위에 매우 의존적인 한계성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오프라인 데이터 집합 이외에 경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복합 강화학습 프레임워크와 순차적 경험 데이터에 내재된 시간적 맥락 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Transformer 기반 정책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복합 강화학습 프레임워크에서는 학습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습자 로봇의 진도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우선 순위 샘플링 전략을 사용하여 경로 재현 버퍼에서 학습 데이터들을 선택한다. 온라인/오프라인 두 체계의 데이터를 모두 활용하는 제안 프레임워크를 통해 순수 온라인 강화학습의 데이터 비효울성 문제를 극복하고, 오프라인 강화학습이 갖게 되는 행동 정책의 데이터 집합에 대한 높은 의존성과 이것으로 인해 발생하는 편향성을 극복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OpenAI Gym에서 제공하는 hopper, walker2d, halfcheetah의 3가지 다른 보행 작업들에 대한 다양한 실험들을 통해 제안된 프레임워크의 효율성과 우수성을 입증한다. In order for a robot to learn an optimized action policy through online reinforcement learning in locomotion tasks with a wide range of state and action spaces, it is required to have a lot of trial and error experience within the real environment. Recently, offline reinforcement learning using pre-collected experience datasets has been actively studied to overcome the low data efficiency problem of online reinforcement learning. However, offline reinforcement learning also has a limitation that it is highly dependent on the quality and scope of pre-collected dataset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on-offline hybrid reinforcement learning framework that can effectively utilize online experience data as well as offline datasets. Moreover, the proposed hybrid reinforcement learning framework adopts a Transformer-based policy network, which can reflect well the temporal context inherent in sequential episode data. In addition, the proposed hybrid reinforcement learning framework uses a novel progress-based priority sampling strategy to select more effective learning data from the trajectory replay buffer. By conducting various experiments on three different locomotion tasks: hopper, walker2d, and halfcheetah provided by OpenAI Gym, we show the effectiveness and superiority of the proposed learning framework.
김치 유산균 배양액과 간수를 활용한 친환경 제설제 개발
In many countries, chloride-deicer such as calcium chloride(CaCl2) and sodium chloride(NaCl) are used. However, the corrosion and environmental problems of chloride-deicer are seriou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an alternative deicing agent, a deicing agent using an organic acid is being developed. Lactic acid bacteria are known to produce lactic acid in the case of homo fermentation and acetic acid in addition to lactic acid in the case of hetero fermentation. This suggests that the lactic acid bacteria could be used for a large amount of anion-related substances, and the anions produced at this time may bind to cations. This study is based on these basic concepts. This study developed an eco-friendly deicing agent using nutrient medium as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nd bittern.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was identifi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as a result of 16S rRNA identification and was named Lb. plantarum FMRG1. In this study, food by-products such as CSL and molasses were used as basic materials to develop industrial medium for Lb. plantarum FMRG1. The developed medium contains 1% CSL, 15% molasses, 0.6% yeast extract and 1.0X salt stock. The bittern was concentrated to reduce the NaCl and CaCl2 contents and to increase the MgCl2 content. The content of Na and SO4 were reduced from 3.217±0.068% to 0%, and from 6.172±0.052% to 2.902±0.003%. The content of Mg and Cl were increased from 4.354±0.287% to 8.155±0.526%, and from 13.543±0.091% to 22.617±0.134%. When optimizing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of the deicing agent by mixing nutrient medium of latic acid bacteria and concentrated bittern, the 3:7 ratio of the nutrient medium and concentrated bittern mixture showed the lowest value –51.4±1.71℃. Therefore, the 3:7 ratio was selected as the optimum manufacturing conditions of the deicing agent. Ca, K, Mg, Na, Cl and SO4 contents of mixed solution showed 0.012±0.001%, 1.145±0.022%, 4.135±0.218%, 0.584±0.005% and 12.966±0.215%, respectively. The freezing point of the developed deicer diluted solution tended to be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deicer increased, and rapidly decreased to –27.4±3.99℃ in 60% diluted solution. Ice melting capacities at –7℃ and –12℃ were about 106% and 135% of the reference material since 30 minutes, respectively. When the effects on the steel corrosion were evaluated for 5 weeks, the steel corrosion of the develeped deicer was about 62% of NaCl solution and about 52% of NaCl and CaCl2 mixed solution. 세계적으로 염화물계 제설제를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강한 부식성과 환경 문제가 심각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체 제설제로 유기산 계열 제설제가 개발되고 있다. 유산균은 호모 발효인 경우는 유산을, 헤테로 발효인 경우에는 유산 외 초산 등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유산균 발효액이 다량의 음이온 관련 물질을 생성하며, 이때 발생한 음이온이 양이온과 결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본적인 개념으로 김치에서 분리된 유산균 배양액과 간수를 이용하여 친환경 제설제를 개발하였다.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을 API test와 16S rRNA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과 99% 유사성을 보여 Lb. plantarum FMRG1으로 명명하였다. Lb. plantarum FMRG1의 산업용 배지를 개발하기 위해 CSL, molasses와 같은 식품 부산물과 yeast extract, salt stock을 사용하였으며, 최적 배지 조성은 1% CSL, 15% molasses, 0.6% yeast extract, 1.0X salt stock이다. 간수의 NaCl과 CaCl2의 함량은 줄이고 MgCl2 함량은 높이기 위해 간수를 농축한 결과, Na 함량은 3.217±0.068%에서 0%로, SO4의 함량은 6.172±0.052%에서 2.902±0.003%로 감소했고, Mg 함량은 4.354±0.287%에서 8.155±0.526%로, Cl 함량은 13.543±0.091%에서 22.617±0.134%로 증가했다. 제설제 제조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해 배양액과 농축 간수를 여러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배양액과 농축 간수가 3:7 비율로 배합된 혼합액에서 –51.4±1.71℃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 제설제의 최적 제조 조건으로 선정하였다. 이의 Ca, K, Mg, Na, Cl 및 SO4 함량은 각각 0.012±0.001%, 1.145±0.022%, 4.135±0.218%, 0.584±0.005%, 12.966±0.215%, 3.494±0.020%를 나타냈다. 개발 제설제를 희석하여 어는점을 측정하였을 때, 제설제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어는점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60% 수용액에서 –27.4±3.99℃로 급격히 낮아졌다. 제설제의 성능 평가를 위해 –7℃와 –12℃에서 얼음 용융 시험을 진행하였을 때, -7℃에서는 30분부터 기준 물질 대비 약 106%를 나타냈고, -12℃에서도 30분부터 기준 물질 대비 약 135%를 나타냈다. 도로 및 시설 구조물의 강재 부식에 미치는 영향을 5주 동안 평가하였을 때, 개발 제설제의 강재 부식량은 NaCl 용액의 약 62%였으며, NaCl과 CaCl2 혼합 용액의 약 56%를 나타냈다.
한국정부의 지방분권화 성과에 관한 연구 : 지방자치제 재실시 이후의 사무, 인사, 재정분야를 중심으로
고광용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This study is about the results of decentralization from the year 1995 when this system was reborn by the president Kim Dae Joong to the year 2011, the era of Lee Myoung Ba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side the real meaning of decentralization in three different aspects; office works, human resource affairs, and financial affairs, and find out the changes of relation of Central-Local Government according to the eras. So to measure how much the decentralization is made, I invented the indicator in three fields ; office works, human resource affairs, and financial affairs, by studying these indicators, what kind of effects have these changes in system which make different results in autonomy administrative power, autonomy human resource power and autonomy financial power. And with these data, I compared the result of decentralization according to the each eras by different aspects and find out the relation of Central-Local Government. First of all the results of decentralization in three different aspects; office works, human resource affairs, and financial affairs, according to the eras of presidents are as in the following. The level of office works decentralization is developed because of the increase in the rate of autonomy office works and distribution of office works, even though there were no changes in autonomy administration power. The level of human resource affairs decentralization didn't changed a lot and had little increase in autonomy human resource affairs. The level of financial affairs increased in a small rate because of the increase of the level of tax revenue as a result of reduction of tax revenue by government to overcome the an economic crisis, and with decrease of autonomy financial affairs, and the level of tax expenditure was maintained. In the era of the president Nho Moo Hyun, all of office work decentralization, human resource decentralization, financial decentralization increased in a narrow range except the autonomy administrative power had no change. In the era of the president Lee Myoung Bak, the level of office works decentralization has been decreased but the rate of autonomy office work has been increased. Human resource decentralizations has been increased and financial decentralization has been decreased because of the fall of the level of tax revenue and the fall of autonomy financial affairs. After the revival of a local self-governing system, I found some features of the results of evaluation of the outcomes of decentralization according to the eras of the presidents. First of all, the decentralization of power in the era of the president Nho Moo Hyun made the outcome of improvement in all aspects which are office works, human resource affairs and financial affairs. Especially, the increase in the rate of autonomy office work and in the distribution of office work was rapid and also reinforcement of autonomy human resource power for the human resource affairs decentralization was strong. But, the change in the rate of regional office work and regional tax wasn't so great and also the increase of the level of financial affairs decentralization was narrow. On the other hand, the president Lee Myoung Bak made the depreciation in the office work decentralization and financial decentralization so that the level of decentralization was back into the era of the president Kim Dae Joong. Second, there were barely no change in the system of autonomy administrative power. The right of cancellation of the action of the policy with the problem and the right of supervision which the central government has toward the local government, and which the metropolitan council has toward the basic council has been existed until the era of the president Lee Myoung Bak and was possessed by the high government. Third, the structure of 7:3 which indicates the rate of national office works and local office works and 8:2 which indicates the rate of national tax and local tax haven't been changed. These structures indicate the relation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This means that without the innovative change in the right of autonomy, a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autonomy council, inferiority of office work and that of tax will never get better. For the last but not least, there were no improvement in the level of the tax revenue decentralization with the adoption of systems that strengthen the right of tax revenue of autonomy financial power. It made a consequence of improving the level of tax expenditure decentralization with the growth of financial power. Also, the level of the degree of financial independence of metropolitan council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3 eras in the past, but that of basis autonomy council has been decreased and its degree of financial dependence are increasing. In other words, there always has been financial gap between the haves and the have-nots of local government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government and the local. Following explains about the level of decentralization of each eras of the presidents by finding out the relation of Central-Local Government of each eras with the relation of office works, human resource affairs, and finances which can be known by the changes of data of the level of decentralization and each systems which were resulted by the research of the level of office work decentralization, human resource affairs decentralization and the financial affairs decentralization. The government of the president Kim Dae Joong is inclusive authority model, and the government of the president Nho Moo Hyun and the president Lee Myoung Bak is between inclusive authority model and overlapping-authority model, so after the revival of the local self-governing system, the relation of Central-Local Government has been developed. Especially in the office work part, the increase in the rate of autonomy office work was visible and in the human resource affairs part, the right to hire people and make promotion of official employees and the right to approve fixed number of employees have been transferred to local governments and through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employees in the national official employees from local government, the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 has been overcame. But, the financial relation hasn't been overcame the dominant -subordinate relationship during the past 3 eras. In conclusion, the decentralization of korean government has been occurred disproportionately in the aspects of office works, human resources affairs, and financial affairs.
김행운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현대의 대중문화에 있어 유머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은 큰 영향력을 가지고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다. 다양한 매체 속에서 유머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효과적인 전략으로 사람들에게 거부감이나 긴장감을 주지 않고 설득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유머는 소구의 유형이기도 하지만 사회문화적 상황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 표현양식으로 다른 소구의 유형보다 보다 더 심리적 친근감을 가져다주며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수용을 유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도구인 유머의 시각표현에 있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용자에게 흥미와 자극을 주면서 이해와 공감을 얻고 메시지를 핵심적으로 전달하기위해 감성이미지맵을 통한 감성표현을 연구한다. 일반적으로 논의되는 유머의 개념을 이해하고 용어의 정리를 통한 정의를 재정립하고, 유머생성과 관련된 이론적 개념인 인지부조화이론(Incongruity Theory), 우월성이론(Superiority Theory), 각성이론(Arousal Theory)을 참고하여 유머생성 원리를 알아본다. 유머를 내용적 측면과 표현적 측면으로 분류하여 비교 ․ 분석하여 용어들의 정의를 명확히 하였으며, 내용적 측면인 해학(Humor), 기지(Wit), 풍자(Satire), 아이러니(Irony)와 표현적 측면인 펀(Pun), 패러디(Parody), 패러독스(Paradox)를 서로 연계하여 10가지 시각적 유머 유형으로 구분하여 유형에 따른 다양한 표현 사례들을 조사한다. 그리고 다음 장에서 유머와 감성과의 관계를 정리하고 앞서 정리한 10가지 사례를 통해 캐주얼(Casual)한 유머, 내추럴(Natural)한 유머, 클래식(Classic)한 유머, 쿨 클래식(Cool classic)한 유머, 모던(Modern)한 유머로 분류한다. 각 감성별 분류를 통한 특징을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시각적 유머의 표현감성 사례를 제작한다. 연구자는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서 유머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고, 이 논문을 통해 효과적인 감성 커뮤니케이션 방법론을 만드는 토대를 마련하길 기대한다.
효율적인 중학생 가창지도에 관한 연구 : 변성기 중학생을 중심으로
음악교육은 학교 교육에서 학생들의 성장과 발전에 많은 영향을 주는데, 특히 변성기에 접어든 사춘기 학생들에게 음악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변성기에 어떤 방법으로 가창을 하느냐에 따라 올바른 가창방법으로 무사히 변성기를 마치거나, 잘못된 가창으로 목을 다치거나 훼손시켜 변성 후, 노래에, 음악에 대한 인식이 좋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변성기를 겪고있는 학생들을 지도할 때에는 조심스럽고, 정확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지도를 해야한다. 현재 교과서에 실린 가창곡들의 음역은 높은 음역의 곡이 많은데, 변성중의 학생과 변성후의 학생들은 성역이 맞지않아 가창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효율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첫째, 가창의 기본요소를 연구하였다. 선자세, 앉은자세, 구체적인 자세 등 가창을 하기위한 올바른 자세를 제시 하였고, 흉식호흡과 복식호흡의 차이점을 연구하고, 복식호흡의 이점을 소개함으로서, 가창시 조금더 적절한 호흡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정확한 발성법과 자음, 모음의 발음, 공명을 소개하여 가창지도를 좀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변성기란 무엇이며, 어느시기에 겪게 되는지, 변성기 때 겪게 되는 심리적 변화 등을 소개 함으로서, 변성기는 12세에서 15세 전후에 겪게 되며, 성역의 변화가 오게 되는데, 남학생은 1옥타브가 낮아지고, 여학생은 약 2도의 성역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변성기(사춘기)에는 본능적으로 불안이 커지고 자아중심적이며, 감정변화도 심하고 충동적이게 된다. 이러한 심리, 정서변화를 이해하고 자연스럽게 음악을 접하여 정서가 안정될 수 있도록 교사는 안내자 역할을 해주어야 한다. 또, 변성기 시기에는 무리한 가창을 피하고 적절한 음역대에서 가창 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셋째, 변성기 학생들을 위한 효율적인 지도방법으로 합창지도, 기악지도, 감상지도를 제시하여 가창수업 뿐만 아니라 다양한 수업들을 함으로서 변성기를 겪고있는 학생들이 무리한 가창을 피하고, 변성기를 잘 마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음악수업을 통해 음악에 대한 흥미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한다. 그리고, 현재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실려있는 가창곡들 중 두 곡을 선택해 음역이 높은 곡은 조옮김을 하여 변성기 학생들이 무리하지 않고 변성전, 변성후의 학생들과 어울림을 느끼며 합창할 수 있도록 학습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변성기 가창지도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교사의 적극적인 역할과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고, 변성중인 학생이 무리하지 않고 즐겁게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더욱 효율적인 지도를 하기 위해 노력과 열의를 다하고, 보다 즐거운 음악수업이 될 수 있고, 음악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변성기를 잘 마칠 수 있게, 올바른 성장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주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