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저가브랜드 패키지디자인의 미니멀 현상에 관한 연구 : 대형마트 PB상품을 중심으로

        진주 한양대학교 이노베이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디자인은 시장을 통하여 소비자들에게 선택 받으며 시장의 흐름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적 활동의 일부분이다. 세계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우리 생활과 밀접한 백화점, 대형마트, 길거리 등에 판매되고 있는 생필품, 의류, 심지어 고가의 가구, 가전 등 많은 브랜드들이 중저가를 외치며 소비자들을 유혹하고 있다. 중저가브랜드라 하여 저 품질의 값싼 이미지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효과적인 패키지디자인으로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가질 수도 있다. 고급브랜드와 중저가브랜드의 제품사양이 동일하다면 저렴한 쪽을 선호하는 경향이 짙어지면서 PB상품 패키지디자인에 주목하고 있다. 디자인은 판매에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가지는 경쟁 우위요소로 간주되어 일반 제품과 차별화하는 효과적인 방안이다. 때문에 중저가브랜드를 기업의 이미지 향상 차원에서 패키지디자인의 미니멀현상과 함께 생각해 봐야한다. 미니멀 현상이란 미니멀리즘의 영향을 받아 어떠한 이미지나 사물의 조형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대상을 기본적인 구조로 되돌려 놓고, 부분보다 전체를 강조하면서 관람자가 이것을 보고 형태의 본질적인 요소를 바로 지각할 수 있도록 단순한 색채와 크기로 강조하여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의 반복이 주를 이루며, 기하학적인 형태의 제시로 분명함을 느끼게 해 줌으로써 간결함에서 느껴지는 명확한 느낌과 엄격함을 전달해 준다. 반복성은 어떠한 계층적 관계에 있어서 이를 허용하지 않고, 비관계적 구도를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물체를 같은 모양, 같은 크기로 쌓아 올리거나 늘어 놓아가며 반복적인 구성방식을 취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 대형마트인 미국 월마트, 영국 테스코, 일본 이온과 국내 대형마트인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의 식품군 중간 가격대를 형성하는 PB상품 패키지디자인 현황을 조사·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해외 대형마트는 인터넷과 문헌을 통한 자료를 토대로 조사하였고, 국내 대형마트는 방문조사 및 제품 구매를 통한 현황조사로 진행하였다. 패키지디자인 구성요소 중 시각적인 분석을 통하여 미니멀 현상을 검토해보았다. Great Value는 기본적으로 로고에 쓰인 색을 적극 활용하는 단순성과 반복성의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며, 로고를 크게 넣는 일관된 패키지디자인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TESCO는 브랜드 로고, 일러스트레이션, 포장용기 등의 시각적 요소를 잘 활용하고 있으며 컬러풀한 색상과 브랜드 로고타입으로 한눈에 테스코 PB상품 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 단순성과 명료성을 보인다. TOPVALU는 중앙상단에 로고타입과 그 밑으로 제품명이 오면서 하나의 큰 이미지로 볼 수 있게 명료성과 반복성을 주어 디자인하고 있다. E-MART는 전체적으로 깔린 하얀색 배경이 깔끔하고 단순해 보이지만 일러스트레이션을 크게 넣어 디자인이 복잡해졌다. 좋은상품은 제품용기 또는 포장제의 성격이나 색상에 따라 브랜드 로고 색상도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어 일관된 컬러의 적용이 주는 아이덴티티의 힘이 다소 약해 브랜드 구분이 어렵다. CHOICE L은 제품 상·하단에 PB Bar가 기본으로 배열된 레이아웃을 갖추고 있고, Bar적용이 인쇄 도수를 올려 가격부담을 안고 있다. 국내 3사의 상품들은 대부분 일러스트레이션이 들어가 있다. 일러스트레이션만 제거하여 레이아웃을 다시 한다면 더욱 단순한 구조의 명료성이 강한 디자인이 될 것이다. 또한, 인쇄 도수를 줄여 가격을 낮추는 것도 패키지디자인 미니멀의 경쟁력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상황에 따라 디자인은 변하며 중저가브랜드의 소비가 늘면서 새로운 창출 역시 어느 때 보다 더 큰 가능성으로 열려있는 이때, 미니멀이 일반생활 속으로 보다 빠르고 누구나 부담 없이 향유할 수 있도록 영향을 주고 있다. 무조건적인 미니멀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유동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이시대의 효과적인 패키지디자인의 미니멀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미니멀 특성을 이용하여 대형마트 자체의 브랜드이미지 개선으로 기업 가치의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 design is a part of economic activity which can be chosen by consumers through a market and would be affected by a flow of the market. According to a fall of world economy, many brands such as daily necessaries, garments, even expensive furnitures and home appliances which are being sold at the department store, wholesale store and street that are very close to our life seduce consumers, emphasizing reasonable prices. Reasonable price brands do not just have low-quality images, but can have high-class images by efficient package designs. When a product specification between a high-class and reasonable price brands are equal, the latter is likely to be chosen. So PB product-package design attracts public attention. A design is a effective way because it is regarded as a superiority of competition which has an direct influence on sales. Thus we have to consider reasonable price brands with minimal phenomenons of package design in a view of improvement of enterprise's images. A minimal phenomenon means that it restores some images and shapes of things to a basic structure, and emphasizes the whole than a part. So it emphasizes simple colors and sizes in order that a spectator perceives essence of a shape by observing. It consists of repetition of simple geometric shapes and transmits definite and strict senses through the repetition for a brevity. The repetition doesn't allow any relationship of a class and makes non-relational systems, and takes a repetitive composing way. In this study, I have investigated and analyzed a present condition of PB product-package design which takes up middle prices of groceries in Wall-mart of U.S.A, TESCO of U.K, Ion of Japan and domestic wholesale stores such as E-mart, Homeplus, and Lotte-mart. I have used internet and documents for foreign wholesale stores ,and also used visiting researches and present condition researches by purchase of products. I investigated minimal phenomenons through a visual analysis of package designs. Basically Great Value makes the best use of colors in the logotype, meaning simplicity and repetition, and has a coherent package design system by putting a big logo. TESCO makes the best use of visual elements such as a logo, illustration and container, and has simplicity and clearness with TESCO PB products by colorful color tones and brand logotypes. TOPVALU designs a big image which has a logotype on mid-top and product name below it, making clearness and repetition. Though E-Mart makes clear and simple through a totally white background, it looks complex due to a big illustration. 'Joeunsangpum' has so different colors and brand logos for containers that makes an identity weak in spite of consistent colors. CHOICE L has a layout arranged PB Bar on the top and bot, and the Bar makes a burden of price. Three domestic stores' products mostly have illustrations. It can be a much simpler design with clearness if the illustrations are removed. Also a decrease of printing frequency and low price are the competitive power of a minimal. In this way, designs can be changed by conditions, and now new possibility for consumption of reasonable price products are available. Similarly minimal has an strong influence on daily lives, so not an unconditional but mobile application is needed and effective now. Moreover, a character of minimal can raise a value of enterprise through an improvement of brand images.

      • 사례분석을 통한 프리미엄 브랜드의 패키지디자인 차별화 방안 연구 : 국내 제과시장을 중심으로

        홍경희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GNI (per capita income) of Korea has increased 11.6% yearly from 280 dollars in 1970, and it is expected to reach twenty thousand dollars this year. With such continuous economic growth, consumers who are experiencing increases in family income and improvements in standards of living are moving towards more high class consumption based on higher consuming power. As seen in Maslow’s Hierarchy of Needs, people who have filled their physiological and safety needs go further to focus on self actualization, and great consumer groups, which have gained certain income increases, have formed a consuming trend while carrying out their own self-actualizing consumption. Such consumption changes have brought about premium products, which are products with better quality harmonized with higher prices. Premium products are achieving high sales volumes, overturning the traditional ideas of economics. Such occurrences are even appearing in the confectionary market which is included in low-involvement products with its characteristics. The confectionary market, which has been going through continuous sales declines after the Harm Crisis last year, has been broadening its target groups and using high quality ingredients and non-toxic additives, creating products with higher quality and prices to break through the well-being trend and sales depressions. Such premium products need visual elements which are different from existing products in order to make them distinct from normal products in the confectionary sales stand. Therefore, judging that package design is the most core strategy in forming premium brand images and in stimulating consumer minds in this present time in which premium products are appearing as a new change in the confectionary market, this essay attempts to find a defining plan to express characteristics which are distinct from existing products. Individual studies on package design are extremely important as a whole and concrete substance in forming premium brand product uniqueness. This is because, in points of consumption of direct contact with consumers, package design not only displays the brand's image but also acts as the greatest factor in distinguishing products which appear similar to the naked eye. Therefore, this study was put into effect with focus on the role of premium confectionary product package design in connection with brand image and identity formation of package design and in presenting future direc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while premium products are distinct in quality, ingredients, and price when compared to average products, consumers feel trust in that distinction and recognize a high-quality image in the package designs. Also, it was shown that unique visual elements that had not been experienced in existing products heightened perceptions of premium products to consumers and products which were perceived as premium products to consumers influenced repurchasing as well. Therefore, it seems that businesses should put more interest and effort into developing package design for the success of the premium products which they have developed with great expense. This is to remain as a strong brand in a rapidly changing marketing environment. For this, a unique brand image can be formed through continuous research in package design distinction and plans should be made more strategically and sharply so that brands can be favored on their own. 우리나라의 일인당 국민소득은 1970년 280달러에서 2006년까지 연평균 11.6%로 빠르게 증가하며 올해 2만 달러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지속적인 경제성장으로 가계소득의 증가와 생활수준의 향상을 경험한 소비자들은 이전보다 훨씬 높아진 구매력을 바탕으로 점차 고급화된 소비를 지향하게 되었다. 매슬로우(A.H.Maslow, 1908~1970)의 욕구 5단계설에서 알 수 있듯이, 생리적, 안전적 욕구를 충족하게 된 인간은 나아가 자아추구의 욕구에 집중하게 되는데, 일정한 수준의 소득 향상을 얻은 거대한 소비자 그룹이 제각각 자아추구적인 소비를 수행하면서 하나의 소비 트렌드를 형성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겠다. 이와 같은 소비의 변화는 기존 상품보다 질적 우위의 제품에 고가의 가격이 조화된 프리미엄 제품의 등장을 초래하게 되었고 전통적인 경제학의 관념을 뒤엎으며 높은 판매량을 올리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특성상 저관여 제품군에 속하는 제과시장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유해성 파동’이후 매출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제과시장은 웰빙 트렌드와 매출부진이란 이중고를 돌파하기 위해 타깃 층을 확대하며 고급원료는 물론 인체에 무해한 첨가물만을 사용하여 품질과 가격을 높인 제품을 내놓고 있다. 이러한 프리미엄 제품이 제과 매대에서 일반제품과 차별화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제품과 다른 시각요소를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제과시장의 새로운 변화로 프리미엄 제품이 등장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브랜드에 프리미엄 이미지를 형성하여 소비 심리를 자극하는데 가장 핵심적인 전략은 패키지디자인이라고 판단하고 일반제품과 구별되는 특성을 표현하기위한 차별화 방안을 모색하고자한다. 패키지디자인의 개발연구는 프리미엄 제품의 브랜드 개성을 형성하는 총체적이고 구체적인 실체로 매우 중요하다. 패키지디자인은 직접적으로 소비자와 접촉하는 구매 점에서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육안으로는 비슷해 보이는 제품을 차별화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브랜드 이미지와 패키지디자인의 아이덴티티 형성에 연관하여 제과류 프리미엄 제품 패키지디자인의 역할과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는데 중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그 결과 프리미엄 제품은 일반제품에 비해 품질과 원료, 가격 면에서 차별되지만 소비자들은 그 차이를 패키지디자인에서 느껴지는 신뢰감과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식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 제품에서 경험하지 못한 독창적인 시각 요소는 소비자에게 프리미엄 제품으로써의 이해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차적으로 소비자들에게 프리미엄 제품으로 지각된 제품은 재 구매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은 많은 비용을 들여 개발한 프리미엄 제품의 성공을 위하여 패키지디자인의 개발에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빠르게 변화하는 마케팅 환경에서 강력한 브랜드로 남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지속적인 패키지디자인의 차별화 연구를 통해 독창적인 브랜드이미지를 형성하고, 그 브랜드 자체로 사랑받는 방법을 보다 전략적이고 예리하게 구사해야 하겠다.

      • 사물인터넷(IOT) 기반 어포던스 식품 패키지 디자인 연구 : 스마트 실버 소비자를 중심으로

        홍우정 한양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첨단기술의 발전으로 사회는 급격하게 변모되어 가고 있다. 새 기술의 등장은 새로운 상호작용 방법을 요구하게 되고, 그럴 때마다 해결의 실마리는 인간의 욕구와 행동방식에 따른 디자인 철학이 뒷받침 되어야 순조롭게 난제들을 해결하고 적절한 대안들을 마련한다. 그러므로 인간과 기술의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되기 위해서는 인간의 감성과 인지에 대한 이해가 수반되어야 한다. 과거에 비해 과도한 정보와 상품들 속에서 소비자가 제품 선택에 혼란을 느낄 때가 많다. 행동경제학자들은 소비자의 내재된 신념과 시각심상에 의한 편향으로 소비자의 행동관찰이 구매의사결정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한다. 그로 인해, 소비자의 마음을 이해하고 마음의 작동원리 체계를 알기 위해서는 뇌에 대한 지식정보와 이해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 그러나 예전과 달리 현재 수많은 상품과 정보 그리고 복잡한 시각 환경에서 소비자는 상품 선택에 어려움을 느끼며 살고 있다.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두되고 있는 것이 ‘어포던스’이다. 로자베스 칸터(Rosabath M. Kanter)는 복잡한 시각 환경에서 패키지 디자인은 단순하게 구현되는 것이 소비자와의 쉬운 커뮤니케이션 전략이라고 말한다. 즉 소비자가 무엇을 원하는지 이해하고 소통해야 진정한 혁신적 상품들이 나올 것이라 말한다. 현재 우리는 향후 소비자의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즉 한국은 2026년을 기점으로 초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이로 인해 고령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 생겨난 새로운 소비시장이 형성되고 그 범위가 확장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고령 사회를 맞이하여 고령 소비자에 대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디자인 연구가 필요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있어 새로운 주요 소비 계층으로 등장하는 스마트 실버(Smart Silver)세대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어포던스 패키지 디자인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향후 스마트 실버 소비자의 구매의 편리성을 고려한 미래지향적인 패키지 디자인의 발전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의 연구범위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범위를 사례조사 대상, 심층면접 대상, 실험조사 대상의 범위로 구분하였다. 세부적으로 어포던스 패키지 디자인 사례조사 대상으로 2010년부터 2018년까지 식품 부분 국제 디자인 어워즈 수상작과 패키지디자인 사이트를 선정하였다. 또한 스마트 실버 세대 소비자의 심층면접 대상으로 55세부터 65세까지의 남녀 고령자 총 10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조사 대상으로 55세부터 65세까지의 남녀 고령자 총 105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범위를 바탕으로 다음의 세부 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시각적 주의 이론 및 패키지 디자인 사례에서 나타난 어포던스 패키지 디자인의 시지각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조사대상인 스마트 실버세대의 정의와 사물인터넷에서 스마트 패키지의 관계파악을 통해 스마트 실버 소비자에게 필요한 디자인 연구를 조사, 분석하였다. 셋째,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과 유비쿼터스(Ubiquitous)를 접목한 스마트 실버를 위한 어포던스 패키지 디자인 전략을 바탕으로 디자인 관점에서 접목시킬 수 있는 디자인을 제작, 제시하였다. 넷째, 스마트 실버의 실증적 검증을 위해 아이 트래커(Eye Tracker)를 사용하여 소비자의 디자인 선호도를 알아보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조사를 통해 다음의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첫째, 본 연구는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와 사례분석을 통해 스마트 실버 세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어포던스 패키지 디자인 특성을 ‘지각의 친환경성’, ‘정보의 명확성’, ‘행위의 연속성’, ‘인지의 공통성’ 등으로 도출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어포던스 패키지 디자인 특성과 심층면접 결과를 적용한 작품연구를 통해 스마트 실버 세대 소비자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어포던스 식품 패키지 디자인은 실버 세대의 신체적ㆍ정신적ㆍ사회적 노화를 총체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식품 및 제품정보와 스마트 기기의 연동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는 실험조사 결과를 통해 스마트 실버 세대 소비자의 시각적 주의를 통한 어포던스 패키지 디자인의 선호도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패키지 디자인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 즉, 브랜드, 친환경 관련 시각적 특성 및 마크, 영양함량표시, 원산지 정보, 제품 종류 관련 네이밍 등에서 차별적인 시각적 주의집중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반적인 조사 및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의 결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스마트 실버 세대 소비자의 구매의도 향상을 위해 건강 중시로 인한 친환경・건강 제품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제품의 친환경적 특성을 나타내는 명확한 정보를 적용한 어포던스 패키지 디자인이 필요하다. 둘째, 스마트 실버 세대 소비자의 구매의도 향상을 위해 소비자의 신체적 노화를 고려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한 어포던스 패키지 디자인이 필요하다. 셋째. 스마트 실버 세대 소비자의 구매의도 향상을 위한 제품의 선택에서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적 주의 집중을 강화하기 위해 건강 기반의 친환경적 특성과 브랜드의 특성을 융합한 디자인 요소의 적용이 필요하다. 넷째, 스마트 실버 세대 소비자의 구매의도 향상을 위한 제품의 선택에서 시각적 경로 탐색을 지원하기 위해 제품 관련 정보를 시각적으로 단순, 명확하게 구성한 패키지 디자인 레이아웃의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론에 기반한 어포던스 패키지 디자인 요소의 적용은 향후 스마트 실버 세대 소비자의 사회적, 신체적, 정신적 변화에 따른 제품 구매 니즈 충족에 긍정적이고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첨단기기와 인간의 상호작용으로 패키지 디자인 역시 시대변화에 맞는 다감각적인 융합 패키지로 도약해야 된다. 또한 뇌-과학을 통한 인간행동의 유추 또는 추론을 통한 디자인 접근방법으로 발전시켜야 된다. 아직, 뇌-과학에 대한 인간 행동의 연구가 외국에 비해 연구윤리문제가 법제화 되지 못한 상황이라 연구자에 있어 인간을 위한 디자인 연구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 실버를 위한 패키지 디자인의 기초자료연구에만 한정하였다. 향후 후속 연구에서 심도 있는 패키지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제안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Society is changing rapidly with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y. The appearance of new technology demands new methods of interaction and each time this happens, clues to solutions must be supported by design philosophies that follow human needs and behavior patterns for dilemmas to be smoothly resolved and for appropriate countermeasures to be provided. Therefore, for humans and technology to interact, there must be an understanding of human emotion and perception. Compared to the past, consumers often feel confused when selecting products amidst an excessive amount of information and products. Behavioral economists say that consumer behavior observation affects purchase decision due to the inherent beliefs of consumers and bias due to visual imagery. Because of this,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an understanding of the brain must be placed first to understand the minds of consumers and to learn the operating principle systems of their minds. Unlike before, consumers are having difficulty choosing products in a complex visual environment with countless products and information. As a resolution to this, attention is being given to ‘Affordance’. Rosabath M. Kanter states that realizing simple package designs in a complex visual environment is a strategy to easily communicate with consumers. In other words, she says that truly innovative products come from understanding what consumers want and communicating with them. Currently, it is predicted that we will experience sudden changes from consumers in the future. In other words, as Korea will enter a super aging society from the year 2026, it is predicted that a new consumer market will form and that the scope of that market will expand centering on the elderly. At this, design research from diverse aspects must be conducted on aging consumers in the face of an aging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n Affordance package design plan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that affects the purchase intentions of Smart Silvers who are appearing as a new major consumer class in an aging society. Through this, it attempts to provide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oriented package design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purchasing convenience of Smart Silver consumers in the future. To achieve its research purposes, this study established the following research scopes. This study separated its research scope into case study subjects, in-depth interview subjects,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 subjects. Specifically, it selected International Design Award winning work from the food category of the years 2010 to 2018 along with package design sites. Also, a total of 10 male and female elderly subjects aged 55 to 65 were chosen as subjects for Smart Silver generation consumer in-depth interviews and a total of 105 male and female elderly people aged 55 to 65 were chosen for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 This study conducted the following detailed surveys based on these research scopes. First, this study looked into the visually perceptive characteristics of Affordance package designs that appear in the Theory of Visual Attention and in package design cases. Second, it surveyed and analyzed designs that are needed by Smart Silver consumers by defining the Smart Silver generation, who are the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and by figuring out their relationship with smart packaging in the Internet of Things. Third, it produced and presented a design that can be grafted from a design perspective based on Affordance package design strategies for Smart Silvers that graft the Internet of Things and Ubiquitous. Fourth, an Eye Tracker was used to conduct an experiment that examines the design preferences of consumers for the positive verification of Smart Silvers.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rawn from these surveys. First, through previous studies, literature reviews, and case analysis, this study deduced that Affordance package design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s of Smart Silver generation consumers are ‘the environmental-friendliness of perception’, ‘the clarity of information’, ‘the continuity of action’, and ‘the commonness of perception’. Second, this study figured out that Affordance food package designs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for Smart Silver generation consumers made through work research applying Affordance package design characteristics and in-depth interview results need plans that actively utilize the linkage of food and product information and smart devices so the general management of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aging of the silver generation can be made possible. Third, this study looked into Affordance package design preferences through the visual attention of Smart Silver generation consumers through experiment results. Through this, it was verified that differential visual attention occurred in the various elements of package design such as brand, environmentally friendly visual characteristics and marks, nutritional content, product origin, and product type related naming. This study attempts to propose the following conclusions through the overall survey and research results. First, Affordance package designs should show clear information that shows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to satisfy the need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health products made for health promotion for the enhanced purchase intentions of Smart Silver generation consumers. Second, Affordance package designs should reinforce brand images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physical aging of consumers for the enhanced purchase intentions of Smart Silver generation consumers. Third, design elements that fuse health-based, environmentally friendly characteristics and brand characteristics should be applied to reinforce the visual attention focus of package designs in product selection for the enhanced purchase intentions of Smart Silver generation consumers. Fourth, package design layouts must construct product related information in a visually simple and clear manner to support the visual path finding of product selection for the enhanced purchase intentions of Smart Silver generation consumers. The application of Affordance package design elements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ill give positive and important effects on the needs satisfaction of product purchasing according to the social, physical, and mental changes of Smart Silver generation consumers in the future. Lastly, package designs must also be made into multi-sensible fusion packages that suit the changes of the age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high tech devices and humans. Also, design approach methods made through inferences and conjectures of human behavior through brain science must be developed. With research on human behavior regarding brain science, as research ethics issues have not yet been enacted, researchers must put design research for humans first. This study was limited to base material research of package designs for Smart Silver. In the future, the presentation of in-depth package design guidelines will be needed in following studies.

      • IP(Intellectual Property)의 이모티콘 활용성 연구 : 청년하위문화 제품을 중심으로

        장우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연구목적: 본 연구는 청년하위문화를 연구과제의 문화적 배경으로 삼아 청년층이 포스트모더니즘 사회 하에서 인터넷의 가상공간에서 모이는 형태로 어떤 의사소통 패턴과 새로운 생활 방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탐구하며, 나아가 현대 젊은이들의 이모티콘 사용의 깊은 상징적 의미와 특징을 더욱 이해하기 위함이다. 또 그 맥락의 연장으로 이모티콘이라는 문화제품도 시대의 발전에 따라 끊임없이 업그레이드를 하고 있으며 그 속의 인기 트렌드 중 하나는 IP(IP, Intellectual Property, 일종의 지식재산권)의 활용이다. 본 연구는 청년하위문화 제품을 중심으로 문화 IP 산업의 현황을 파악하여 나아가 이모티콘의 IP적 효과와 특성을 탐구하고 미래 발전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연구방법: 문헌조사법은 학제적 통합 연구 방법과 결합하여 연구과제에 기초를 제공하였고, 보다 보완적이고 객관적이며 깊이 있는 이론적 배경을 형성하였다. 사례 분석과 설문조사 방법을 결합하여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스토어 상위권의 이모티콘과 그 파생된 청년하위문화 제품을 중심으로 18~22세 연령대의 청년층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청년하위문화 제품의 시장 현황 및 특성, 브랜드와 콜라보레이션한 특징을 심층적으로 조사 및 분석하였다. 젊은이들의 이모티콘 선호도와 사용 취향을 조사하여 청년하위문화 제품에서 이모티콘의 IP적 효과와 특성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결론을 내렸다. 연구결과: 개발 가치가 있는 이모티콘 IP는 외적인 직관적이고 인지도가 높은 시각 디자인 형태 및 내적인 감정을 형상화하게 구현하는 두 가지 핵심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외에 단일적 캐릭터 이미지에 얽매이지 않고, 인터랙티브한 시각적 확장과 콘텐츠 확장으로 IP에게 지속적인 업데이트하는 생명력을 부여한다. 양질의 이모티콘 IP 이미지는 소비자의 요구를 통찰하고 미적 흐름이 시대를 앞서가는 주도할 수 있으며 문화 생산과 문화 수요 사이의 제어성을 어느 정도 실현할 수 있다. 미래의 이모티콘의 IP적 활용은 더욱 다차원화되고 IP 이미지의 콘텐츠도 더욱 다원화되며 관련 산업 규범도 더욱 표준화될 것이다. 연구결론: 인터넷의 발전과 통신 기술의 세대교체에 따라 청년층의 일, 학습, 라이프스타일, 의사소통 수단, 나아가 가치관의 형성은 인터넷의 영향을 깊게 받고 있다. 게다가 최근 코로나의 영향과 함께 젊은이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은 물리적 공간의 모임보다는 일종의 가상공간에 모이는 경향이다. 이로 인해 형성된 현대의 청년하위문화도 높은 자치성과 유동성의 특성으로 더 포용적이고 자유로울 뿐 아니라 포스트모더니즘적 소비주의와 오락주의의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런 젊은이들의 새로운 의사소통 방식의 영향 아래, 이모티콘은 더 이상 개인적인 감정의 단순한 전달만이 아니라 디지털 차원에서 어떤 문명이나 입장을 나타내는 것으로, 우리는 이 사용행태에서 더 많은 포용성을 볼 수 있다. 이모티콘의 미래는 무한한 가능성으로 가득 차 있다. 그의 생명력의 일종 연장으로서 IP는 이모티콘을 가상 세계에서 청년들의 실제 생활로 다시 가져온다. 이렇게 형성된 IP적 효과는 청년층에게 참신한 심미적 향수(Aesthetic enjoyment)와 정서적 체험을 가져다 준다. 이러한 새로운 탐구는 디자인학과 분야의 연구범위를 어느 정도 넓혀줄 수 있다. Research Purposes: Taking the youth subculture as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research, explore what new communication modes and new lifestyles young people have in the form of gathering in the virtual Internet world under the postmodern society, and further understand the deep symbolic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young people's use of emoticon. Secondly, as a continuation of vitality, the cultural product of emoticons is also constantly updated under the impetus of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One of the hot trends is the flexible use of IP image intellectual property (IP, Intellectual Property). Focusing on youth subculture products, This study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cultural IP industry, and then explore the eff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P development of emoticon, and make suggestions for the IP possibility of future emoticon development. Research Methods: The literature survey method combined with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method forms the basis for a more complete, objective and in-depth theoretical basis for the subject research. Case analysis combined with questionnaire method, taking the emoticons in the upper circle of chat software stores and their derived youth subculture products as the research object, and young people in the 18-22 age group as the research object, to conduct an in-depth investigation and analysis on the marke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youth subculture product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co-branding with brands. Investigate young people's preference and tendency to use emoticons, objectively analyze the IP effects and characteristics of emoticons in youth subculture products. Research Result: High-quality IP images of emoticons not only have an intuitive and highly recognizable of external design form and internal emotional construction, but also do not stick to a single character image, and give emoticons continuous updates through interactive visual expansion and content expansion vitality. High-quality IP images of emoticons can gain insight into consumer needs and lead the aesthetic trend, and to a certain extent realize the controllability between cultural production and cultural needs. The future development and the subject of IP image will be more diversified and more multi-dimensional, and the relevant industry will be more standardized. Research Conclusio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the upgrading of communication technology, young people's daily work and study, communication methods, and even lifestyles are all affected by the Internet. The gathering of young people because of their hobbies is gradually evolving into a gathering of virtual spaces, and the resulting youth subculture is also characterized by strong autonomy and high mobility, more inclusive and free. At the same time,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ism and entertainmentism under postmodernism. Under the influence of such new communication methods of young people, emoticons are no longer just a tool for conveying personal emotions, but also represent the recognition of a certain culture or position on the digital level. The future development of emoticon is very likely, As a continuation of its vitality, IP brings emoticons back into the real life of young people from the virtual world. The resulting IP effect brings a new dimension of aesthetic enjoyment and emotional experience to the youth group. To a certain extent, this new exploration is also broadens the research scope of design science and related fields.

      • 포장폐기물의 실태와 감량화에 관한 연구 : 컵라면 용기 구조 개발을 중심으로

        모유원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의 소비자들은 자신이 받은 불만족을 인터넷 및 언론매체를 통해 표출한다. 최근 이슈가 된 과자 과대포장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만은 포장에 대한 자원낭비 및 포장 쓰 레기 문제로 확산하였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포장폐기물에 관한 생산자 책임 재활용 제도, 재활용 촉진법, 제품의 포장재질 및 포장 방법에 관한 기준, 포장폐기물 발생 억제 제도, 친환경 상품구매 촉진에 관한 법률 등을 통해 포장폐기물을 관리하고 있다. 하지 만 이 문제의 가장 근본은 불필요한 과대포장 즉, 최초 포장량의 최소화일 것이다. 포장 폐기물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식품 포장용기 폐기물이다. 식품 포장용기는 대부분 이일회용으로서사용후바로폐기되어포장폐기물증량원인을제공한다. 그중대표 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식품 포장용기 가운데 한 가지는 컵라면 용기이다. 컵라면 용기 는 대부분이 발포스티롤 재질로 생산됐다. 하지만 1999년부터 환경호르몬에 대한 경각 심이 커지고 재활용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현대에는 종이 재질로 대체되고 있다. 컵라면 용기는 식사 후 용기에 찌꺼기가 남고. 단단하여서 부피를 많이 차지하고 처리 과정에서 문제점이 많다. 하지만 용기 형태의 변화는 최초 출시와 비교해 개선된 부분이 없다. 플 라스틱 용기의 형태는 재질 특성상 구조적 개선이 힘들 수 있지만 종이 용기로 제작되 는 컵라면은 구조적 개발이 가능하다. 따라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독창적인 구조적 연구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일일판매량이 많은 컵라면 용기의 폐기물 문제를 개선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은 포장폐기물의 실태조사를 통해 현황을 알아보고. 포장폐기물 감량화를 위해 컵라면 용기 구조 디자인을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실증분 석을 통해 6가지 구조디자인을 개발하여 포장폐기물 감량화의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 다. 구체적으로 1장에서는 연구 배경 및 목적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포장폐기 물의실태고찰을국내외문헌자료와보고자료및웹사이트를통해정리하였다. 실태 고찰은 포장폐기물의 기본적 개념과 관리, 처리 과정, 현황을 정리하였다. 또한, 과대포 장에 대한 고찰과 사례 조사를 통하여 감량화를 위한 패키지디자인에 대하여 정리하였 다. 3장에서는 기존 컵라면 용기의 사례연구를 조사, 분석하였는데 현재 판매되고 있는 컵라면 제품을 판매처 방문조사 및 제품 구매를 통한 실질적 조사를 진행하였고, 특허청 정보검색서비스(KIPRIS)를 통해 지적재산권을 조사·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컵라면 용 기의 포장재 및 구조분석을 통해 개선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개선 필요성을 기준으로 ‘기본 용기 형태에서 부피를 줄이는 방안, 사각형의 상자 형 태로 부피를 줄이는 방안, 휴대성을 극대화한 전혀 새로운 형태의 용기’ 이상 3가지의 개발 콘셉트를 설정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4장에서 구조 디자인 프로세스에 맞춰 컵라 면 용기의 구조디자인을 진행하였다. 구조디자인의 실 제작은 현재 컵라면 용기에 사용 되는 폴리에틸렌이 코팅된 종이로 제작하여 물성테스트가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 물 성테스트는 컵라면 용기에 대한 일본 규격(JAS)을 기준으로 내열성, 단열성, 내수성을 테스트하였다. 내열성은 개발한 용기에 뜨거운 물을 넣고 15분 전·후를 비교하여 변형 이 있는지 외형을 촬영하여 테스트하였고, 단열성은 비접촉식 적외선 체온계를 이용하 여 외부 온도를 측정하였다. 내수성은 개발한 용기에 뜨거운 물을 넣고 60분간 비치해 놓아 물의 샘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물성테스트를 통해 확인된 문제점을 개선하여 구조 디자인을 수정·보완하여 컵라면 용기의 개선안을 6가지 제시하였다. 제시안들은 일본 표준 규격에 따라 컵라면 용기로서 적합한지 물성테스트를 진행하였다. 각 구조 들은 컵라면 용기의 총 부피(높이)를 줄이는 방안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구조디자인은 첫째로 적재율이 증가함에 따라 물류비 절감할 수 있고 둘째, 이산화탄소 발생량 감소로 환경부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현대사회에서 제안한 컵라면 용기 구조들은 실제로 적용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 제점이 많다. 소비자로서는 기존에 적응되었던 용기구조 방식에서 새로운 용기구조방 식에 적응 시간이 필요하며 그 시간 동안 불편함을 느낄 것이다. 또한, 기업의 입장에서 는 컵라면 용기를 제조하는 제조업체의 설비 장비 개발 및 생산설비의 구조 설립 등 추 가적인 비용이 들기 때문에 환경 부하를 줄이기 위한 활동은 기업 이윤에서 보자면 낭 비라고볼수있다. 하지만인간에게가장중요한편의와이익이무엇인지따져보면결 국에는우리를살아갈수있게해주는환경일것이다. 환경에주는영향을고려하지않 는 소비자의 편의와 기업의 이윤은 배제하고 환경을 고려한 활동들이 지향되어야 할 것 이다. 또한, 현대 사회의 패키지디자이너는 포장 폐기물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하고 이에 따른 구조디자인 중요성을 각인하여 환경에 대해 생각을 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컵라면 용기의 구조디자인을 통해 많은 디자이너가 환경 문제에 접근한 구조 개 발의 필요성과 관심이 유도되길 기대해본다. Today's consumers express their complains via the Internet and media sources. One of the recent issues among the consumers was how snacks are over-packed which has also raised concerns about waste of resources and excessive packaging wastes. The most basic way to solve the problem is to avoid unnecessary packaging, which is, in other words, to minimize the packaging. Since most of foods are purchased in shingle use packaging this certainly increases the packaging waste. The most common single use packaging is a cup noodle container and the cup noodles are sold in a great volume everyday. After eating the noodles, people leave ingredient remains in the container. These hard and big containers are always a problem because it is difficult to dispose. In the past, the cup noodles containers were manufactured in blowing styrole. However, as the society became more conscious about the environmental hormone since 1999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recycling, the material was replaced with a paper to protect nature. This showed that manufacturers who concentrated on production only began to take needs of the consumers. The new movement in the market has initiated an original structural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paper cup noodles container. This attempt is also expected to bring about many other developments in the future. The study first reviewed the circumstance of the packaging waste and second, carried out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structural design of the cup noodles container to figure out ways to reduce the packaging waste. Chapter 1 of the study talked about the background of the research as well as purposes and research methods. In Chapter 2, the circumstance of the packaging waste was summarized with information gained from domestic/overseas literature, data reports and web-sites. Did this chapter not only discuss the basic definition of the packaging waste, ways to handle the problem and other related data but also reviewed the package designs for the waste reduction through consideration of the over-packaging based on knowledge learned from case researches. Chapter 3 conducted another case researches on the existing cup noodles container. Actual researches for on-sale cup noodle products were carried out by visiting stores and purchasing the products. The study also used KIPRIS to know about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Reasons for the container improvement were also determined through analyses on the packing materials and structure. The improvement was decided to be carried out based on three development concepts which are 'reducing of the container size as not touching the original form of the container, reducing the size into a shape of quadrangle and creating a very new container with portability maximized.' Based on the concepts, Chapter 4 worked on the structural design of the cup noodles container according to the structural design process. The item actually made of polyethylene-laminated paper so that the material property could be tested. As to the material property tests, the study adapted JAS to see the thermal resistance, the heat insulation and the water-proofing qualities of the container. For the thermal resistance, hot water was poured into the container for 15 minutes to find out any changes of the shape. The outer appearance was photographed. For the heat insulation, the external temperature was measured by contactless infrared thermometer. To test the water-proofing qualities, hot water was again put into the container for 60 minutes to see any water leakages. Problems discovered from the material property test were worked on to improve the structural designs and 6 ideas were newly offered in consequence. Each idea was gone through with the material property tests based on JAS before the item was finally proved to be appropriate as a cup noodles container. All the structures wer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how to reduce the total volume (height) of the cup noodles container. The structural design proposed by the study is expected to reduce distribution costs as the load rates increases and then to decrease environmental load caused by reduction of the carbon dioxide emissions. However, despite such advantages, there might be many problems to apply the newly designed cup noodles containers to the modern society. First of all, the consumers need to adapt themselves to the new container which would feel inconvenient at first. Second, companies may see, in the beginning, that making new cup noodles containers is a waste of finance since the work would cost them additional money on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facilities. Nevertheless, once they take time to think what would bring people the biggest convenience and benefits they will eventually figure out that it is nature that gives humans such things. Now the companies should start to aim at activities that concern the environment, sublating to make profits without consideration of nature. In addition, for package designers, it is time to think about the packaging structural design along with the surroundings, taking a profound interest in the packaging waste. The study would be a great success if many designers are inspired by the new cup noodles container proposed in the study, learning how important it is to develop a design in an attempt to solve the environmental issues.

      • 모바일교육 서비스 사용자경험(UX) 향상을 위한 자기조절 학습 지원모형 : 모바일 OCW 서비스의 사용자경험 개선 방향을 중심으로

        김명산 한양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IT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현대 생활은 전방위적인 디지털 혁명의 소용돌이에 휩쓸리고 있다. 교수/학습 방식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라, 교수자 중심의 전통적인 제도권 교육에서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는 전천후 교육체제로 변화되고 있다. 즉, 교수자 중심적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에게 보다 많은 책임감과 자유권을 주는 학습자 중심적인 학습환경(learner-centered environment)으로 전환되고 있다. 특히,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는 고등교육 자료를 일반인들에게 개방하자는 대학의 움직임으로 시작되어 이제는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만 마련되면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학습을 해서 실력을 갖출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모바일 환경에 있어서도 교육 서비스는 콘텐츠 자체의 양적, 질적 성장을 거듭하고 있으나, 지속적인 학습동기를 부여하고 소기의 학업성취를 이룰 수 있는 지원체계는 매우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서비스를 이용하는 학습자 관점에서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고, 학습효과와 관련된 기능수요를 도출하여 모바일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모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문헌연구와 언론 보도 자료를 기본으로 한 실증연구를 통해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교수/학습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스마트기기 대중적 보급과 모바일 인프라의 안정적 구축에 따른 모바일 교육환경의 확산 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모바일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필연적으로 직면하는 자기조절학습과 관련된 이론적 배경과 온라인 교육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 전략이 유효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지에 대한 선행 연구를 리뷰함으로써 모바일 교육 서비스에 대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다. Ⅲ장에서는 모바일 교육 콘텐츠를 접하는 인터페이스로서 다양한 채널을 통해 확산되고 있는 모바일 교육서비스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교육공급자 관점에서 전통적인 교육 체제를 탈피한 공개강좌 서비스의 사례를 수집하고 각 사례별로 특징을 파악해 보았다. 또한, 교육 콘텐츠의 소비자 관점에서 공개강좌 서비스의 이용 동기, 유형 등 서비스 이용행태에 대해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모바일 교육 서비스 이용행태에 대한 기초 자료를 바탕으로, 서비스 플랫폼의 사용성 평가를 통해 서비스 사용자 경험을 파악해 보았다. 평가에 앞서 선행 연구 리뷰를 통해 모바일 교육 서비스 사용성 평가를 위한 평가척도를 도출하였다.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여 평가척도에 대해 검토하고, 수정 보완된 사용성 요소를 바탕으로 보다 많은 평가단을 통해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평가과정을 통해 교육서비스의 기능적, 감성적 사용성을 분석하고, 학습 효과 제고를 위한 기능적 수요를 파악하였다. Ⅴ장에서는 Ⅳ장의 모바일 교육 서비스 사용자 경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서비스 개선 방향을 정의하고, 학습자 중심의 모바일 교육 서비스 대안으로서, 모바일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구사하여 학업성취를 제고할 수 있는 개념적 모델을 제안하였다. 특히, 모바일 교육콘텐츠의 주를 이루는 동영상 타임라인을 기반으로 한 상호작용 모델과 구현방안을 연구의 결과로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모바일 교육 서비스를 이용하는 학습자 관점에서 사용성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는 점과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활용하여 학습효과 제고할 수 있는 기능 수요를 도출함으로써 기존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개념적 모형이, 향후 교육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 보다 자기주도적인 학습 동기를 발현하여, 효과적으로 학업성취를 이룰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 개발 및 리뉴얼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서의 역할을 기대한다.

      • Display shelf(賣臺) dead zone의 유목성(誘目性) 향상을 위한 패키지디자인 연구

        반동욱 한양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재의 소비환경은 포커스 인텐션 마케팅(Focused Intension Marketing)이라 할 수 있다. 20세기 대량 생산, 대량 소비체제에서부터 비롯된 제품을 다수에게 제공함으로써 부가가치를 극대화시키기 때문이다. 즉, 타겟을 바탕으로 제품에 대한 콘셉트(Concept)와 이미지(Image)를 상품에 반영, 소비자가 제품을 선택할 때 가장 먼저 인식하고 그에 따른 만족도를 최대치로 올리기 위한 노력을 하는 것이다. 제품이 소비자의 선택을 유도하던 환경에서 벗어나 소비자의 다양한 구매요구를 바탕으로 개발되는 제품은 개발 초기부터 구매자의 기호와 취향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는다면 시장에서의 생존을 장담하기 어려운 시점에 놓여 있다. 그렇다면 현재 소비재를 제조 판매하는 회사에서는 무엇을 이용해서 소비자에게 접근하여 자신의 제품을 홍보 판매하고 있을까? 소매시장의 과열, 폭넓어지는 국제 시장 및 브랜드 전략의 전개에서 제품을 어떻게 보여지게 할 것인가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그리고 그 가운데 패키지디자인이 있다. 소매의 형태가 대형 할인매장이나 클럽 스토어 쪽으로 이동하는 가운데 수많은 제품으로 한층 붐비게 된 판매대에서 새로운 브랜드 전략은 강력한 패키지디자인과 구조 및 부수적인 요인을 통한 눈에 띠는 형태를 만들어 가는 데 중점을 두게 되었다. 여기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판매대 어디에 제품이 놓여지냐이다. 판매대에는 살아있는 공간과 죽은 공간이 있다. 살아있는 공간이란 제품을 진열할 수 있고, 소비자의 시선이 자연스럽게 향하는 곳이다. 즉 어떠한 제품을 놓아도 구매로 이어지기가 쉽다. 반면, 죽은 공간은 소비자의 시선이 닿지 않아 제품을 진열하더라도 구매로 이어지기 쉽지 않는 공간을 말한다. 대형 할인점에서의 소비자 인지의 문제는 제품 판매로 연결되는 제1의 요소가 되고 있다. 따라서 타사 제품보다 우월하게 구매 효과를 거둘 수 있게 하는 것은 여러 가지 요소가 있겠지만 보이는 측면, 나아가 어느 위치에 놓이느냐 까지 고려된 패키지디자인이 반드시 필요하다. 유통매장에서 소비자의 구매결정이 ‘5초 내에 이루어진다’는 일반적인 룰에 맞추어 볼 때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지는 무엇을, 어떻게 소비자에게 보여줄 것인가를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살펴보면 식, 음료 산업과 고급 브랜드 전략을 가지고 있는 제품에서 그 제품이 지니는 속성 및 편익을 효과적으로 전달함으로써 구매시점에서 소비자의 잠재된 구매 욕구를 자극하는 브랜드 전략 및 Display 전략을 복합적으로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패키지디자인과 Display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매대에서 패키지디자인의 유목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나아가 매대 Dead Zone에서 패키지디자인의 한계를 파악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해 보았다. 관련 연구결과 Display를 고려하지 않은 패키지디자인이 적용된 제품은 매대 Dead Zone에서 전혀 유목효과를 가져오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유통매장의 경우 동종 제품을 최대한 그룹형식으로 진열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시선을 끌기 위해서는 패키지디자인에 더해 외부요소가 반드시 필요했다. 결론적으로 패키지디자인은 모든 산업과 관련을 맺고, 기술융합형 산업으로서 원료소재, 재료가공, 유통서비스 등 다양한 업종의 최첨단기술과 학문, 정보 및 마케팅 등을 복합적으로 융화시키며, 시장상황 선단에서 가장 효율적이며 강력한 도구로서 그 기능을 다하는 대안인 것이다. 패키지디자인의 힘이 가장 효과적으로 발휘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고 유통, 판매 현장에서 세일즈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Display가 일관성 있게 기획되고 표현되어야 한다.

      • 인쇄산업 환경 변화에 따른 개인 맞춤형 인쇄의 디자인 템플릿에 관한 연구 : 청첩장 · 명함 · 독립출판물 중심으로

        설재성 한양대학교 융합산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세계적으로 최고의 화두는 4차 산업혁명이며, 이로 인해 모든 방면에서 급진적인 변화가 일어나며 디지털화 되어가고 있다. 특히 다양한 기술의 접목과 발전이 가능한 인쇄산업에서의 변화 움직임은 그 동안의 인쇄산업의 변화 흐름보다 훨씬 거대해지고 있다. 인쇄술의 발명으로 인해 정보와 지식이 대량 생산되고 일반인에게 보급되기 시작했으며, 보편화됨으로써 정보와 지식을 매체로 인류의 문화 발전의 원동력이 되어왔다. 하지만 인쇄산업이 지식과 정보의 전달 및 문화, 교육, 그 밖의 정보산업에 대한 토대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의 국내 인쇄산업과 출판사들은 영세성과 유통구조의 낙후성을 면치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급속하게 발전하는 정보통신과 함께 인쇄산업은 다양한 기술 환경의 변화를 맞이하고 있고, 인쇄생산 공정에서 생산자는 계획된 목표아래 좋은 품질의 인쇄물을 짧은 시간에 생산하고자 한다. 4차 산업시대 디지털 문명의 발달로 종이책의 수요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 예를 들어 과거 1천권의 책이 필요하던 시절, 현재는 스마트폰, e-book의 개발 등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로 종이책의 수요가 줄어들고 있다. 따라서 인쇄산업은 점차 사양 산업 이라고 논의하고 있는 실정이며, 인쇄산업 역시 제조업 차원의 새로운 기술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새로운 기술을 이끌어갈 수 있는 각종 신기술과 이들의 활용방안을 탐색하여 인쇄산업의 새로운 생산 기술을 위한 대응방안을 찾아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유통 및 정보의 저장이 다양하게 변화 되자, 독자라고 부를 수 있는 정보수용자의 반응도 다양하게 변하고 있다. 과거의 인쇄산업은 소품종 대량생산, 또는 대량배포, 즉 제품의 공급형태가 생산자 중심이었다면 새로운 기술들의 발달 및 발명으로 인해 제품의 공급 형태가 고객 중심으로 변화하게 되어 다품종 소량생산, 소량배포로 변화하고 있다. 4차 산업시대의 흐름에 맞춰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예전의 출판방식을 탈피한 새로운 출판방식이 나타나게 되는데 그것이 맞춤형 출판이다. 그리고 이제는 맞춤형 출판에서 소비자 스스로 디자인에서 인쇄 의뢰까지 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이 구축될 것이다. 출판·인쇄 디자인의 변화는 지속되어 왔다. 또한 맞춤형 디자인 템플릿의 활용방안은 가변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인쇄의 가장 큰 장점이다. 전문 디자이너에게 명함부터 초대장, 홍보전단지 그리고 책에 이르기까지 많은 비용과 시간을 들여 지금도 만들어지고 있다. 앞 장에서 언급해 왔듯이 소품종 대량생산 의 예전 인쇄방식에서 다품종 소량의 맞춤형 인쇄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긴 제작시간과 많은 비용, 재고 정리의 현실에서 고객 부담은 클 수밖에 없다. 디자인부터 인쇄주문 까지 고객이 원하는 수량, 종이의 선택, 직접 원하는 디자인까지 할 수 있는 맞춤형 인쇄는 앞으로의 인쇄산업 시장에 새로운 영역으로 자리 잡아 나갈 것이다. 미래의 인쇄기술은 다품종 소량생산의 고객 맞춤형 인쇄기술이 더욱더 향상 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을 예상되며, 소량 고객 맞춤형 인쇄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인쇄기술을 중심으로 한 인쇄기술의 발달로 인해 디자이너의 가변적 데이터 방식의 새로운 디자인 영영과의 융합을 통해 4차 산업시대 고부가가치의 디자인과 맞춤형 인쇄산업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시한다.

      • 스마트폰 GUI 디자인에 있어서 미니멀리즘적 디자인 효용성에 관한 연구

        진두진 한양대학교 이노베이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인들은 정보혁명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동시에 정보의 홍수 속에 살아가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정보는 경쟁력이며 또 다른 형태의 자본이다. 정보를 좀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습득하는 것이 과거 어느 때 보다 중요해졌다. 스마트폰은 현대인이 PC와 함께 가장 많은 정보를 습득하는 기기이자 세상을 보는 하나의 큰 창이 되었다. 이제껏 국내 3대 스마트폰 업체들은 주로 외형 디자인을 통해 마케팅 활동을 벌여 왔으나 상대적으로 GUI 디자인은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정보와 콘텐츠의 습득이 주목적인 스마트폰의 GUI는 그만큼 효율적, 안정적, 경제적인 디자인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서 GUI 디자인은 정보와 콘텐츠를 돋보이게 하는 보조자적 역할에 충실해야 하며 친절한 안내자가 되어야 한다. GUI 디자인은 정보와 콘텐츠와의 관계에서 주객전도되지 않도록 단순해야 하며, 형(形)과 경계가 뚜렷하여 명료성이 높아 보다 정확한 인지가 가능해야 하고, 예상이 쉽도록 높은 반복성을 유지하며, 보는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사물성이 높아야 한다. 미니멀리즘 경향은 이러한 조형적 특성들을 모두 내포하고 있으며 미니멀리즘적 디자인이야 말로 정보를 좀 더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해야하는 스마트폰 GUI 디자인에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들어 세계적 대표 IT 기업들의 GUI 디자인에서도 미니멀리즘의 가장 큰 특성인「단순화」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추세이다. 기술의 발달과 고해상도 터치패널의 등장으로 다채롭게 표현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하게 변화하는 이유는 GUI에서 간단명료한 디자인을 원하는 시대상과 정보의 시각 표현의 보조적 역할 자로서 미니멀리즘적 디자인의 효율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 주요 IT업체의 GUI 디자인의 인터페이스 구성요소 중 레이아웃, 그래픽요소, 컬러 요소 등의 단순화 경향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근본이 되는 미니멀리즘의 조형적 특성인 단순성, 명료성, 반복성, 사물성 등의 특성들을 통해 4가지 속성 별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통해 미니멀리즘적 스마트폰 GUI의 효율적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단순성과 명료성은 명백한 정보 전달에서 유용성과 경제성을, 반복성은 효율적 개념 구조를, 사물성은 직관적 예측을 통한 안정성의 기대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니멀리즘 조형특성에 근거한 스마트폰 GUI 디자인이 사용자에게 미치는 시각적인 직관성과 효율성을 토대로 미니멀리즘적 조형요소가 GUI에서 갖는 시각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세계 주요 IT 대표 업체인 마이크로소프트社, 애플社,, 구글社, 그리고 국내 업체인 네이버社, 등의 기업들 웹사이트, 심벌, 제품, 주요 GUI 디자인 등의 사례를 통해 연구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조사대상에서 미니멀리즘의 대표적 조형적 특성인 단순성, 명료성, 반복성, 사물성 등의 특성들을 동시에 적용하고 있었으며 그로인한 통일성과 시각적 효율성이 강화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미니멀리즘의 조형적 특성들이 스마트폰 GUI디자인에서 갖는 시각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미니멀리즘적 디자인이 적용된 것으로 보이는 국외 스마트폰 업체인 애플社 아이폰5S의 GUI 디자인과 미니멀리즘적 디자인이 미 적용된 것으로 보이는 국내 스마트폰 업체인 삼성社의 갤럭시S4, 엘지社의 G2, 팬택社의 베가 아이언 등의 스마트폰 제품 GUI 디자인 사례를 비교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미니멀리즘적 특성인 단순성, 명료성, 반복성, 사물성 등의 특성을 가진 단순명료화 된 디자인은, 보는 이로 하여금 신속하게 이미지가 전달 될 수 있게 하며 정보와 콘텐츠의 보조자적 측면에서의 시각적 효율성과 GUI 디자인의 통일성에 미치는 영향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스마트폰 GUI 디자인에서 미니멀리즘적 디자인은 통일성이 강화된 디자인으로 정보전달의 보조자적 역할에서 효과적인 전달력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높은 통일성으로 인한 GUI의 아이덴티티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물인 스마트폰 GUI의 미니멀리즘적 디자인 방안이 모든 스마트폰 GUI 디자인의 정답이 될 수는 없지만 급속도로 변화하는 스마트폰 GUI 디자인의 일시적인 유행 스타일이 아닌, 가장 근본적인 시각적 요소의 강화를 통해 디자인 본질에 다가서는 객관적이고 유용한 디자인을 제공하는 연구가 될 것이다. 미니멀리즘적 디자인은 불필요한 일루전의 최소화라는 특성을 갖는다는 점과 세부적인 형태를 배제하고 가장 순수한 형태를 추구한다는 측면에서 이미지와 콘텐츠 그리고 정보 전달에서 보조적 역할자로서 스마트폰 GUI디자인의 레이아웃, 그래픽요소, 컬러의 최소화 표현에 근거를 제공하고, 그 분석을 실용적 측면에서 직관성과 통일성을 강화하여 시각적으로 효율적인 스마트폰 GUI 디자인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