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힙합음악을 활용한 분노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부적응 청소년들의 분노감소에 미치는 영향 : 기숙형 치료재활센터 입교생을 대상으로

        윤진광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힙합음악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부적응 청소년의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용인시에 위치한 거주형 치료·재활 시설에 입교한 정서·행동에 어려움을 겪는 부적응 청소년 중 자발적 신청과 담당 지도자의 추천을 통해 실험집단 8명과 비교집단 8명을 구성 하였다. 본 연구의 힙합음악을 활용한 분노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Don Elligan(2000)의 랩 테라피의 5단계를 적용하여 한국 교육개발원의 어울림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감정조절) 및 국내의 분노관련 프로그램(강신덕,1997; 김종주, 유형근, 권순영, 2011; 문은주, 2011)을 토대로 연구목적에 맞게 연구자가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1회씩 10회기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한 회기마다 소요 시간은 80분으로 하였다. 검사도구는 NAS(Novaco Anger Scale)분노척도를 사용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5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및 사후-추후검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공분산분석을 통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검사의 차이를 비교 검증하였다. 또한 양적 결과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활동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내용 및 집단원들이 작성한 랩 가사를 바탕으로 Don Elligan 랩테라피의 5단계를 적용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적응 청소년에게 힙합음악을 활용한 분노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의 전체점수 및 하위영역에서 인지영역과 행동역역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추후검사에서도 그 효과가 지속되었다. 둘째, 실험집단의 분노조절 능력의 변화와 비교집단의 변화의 차이가 본 연구에서 사용한 NAS분노척도의 전체점수와 하위요인에서 모두 유의하였다. 셋째,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내용 및 집단원이 작성한 랩 가사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Don Elligan의 랩 테라피의 5단계에 따른 힙합음악을 활용한 분노조절 집단 상담은 부적응 청소년의 분노조절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상담자와 집단원간 동맹관계 형성과 내적 성찰에 대한 이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힙합음악이 우리나라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과 문화적 가치를 인정하고 그 기법들을 적용하여 부적응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분노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하고 힙합음악이 지닌 심리상담의 도구로서의 잠재력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 to examine Affections for decrease to youths’ anger issues on maladjustment by using hip-hop music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were consist of eight experimental groups and eight comparative groups through voluntary application and recommendation by the teacher of the organization who was in charge of maladjusted adolescents with difficulty in emotional or behavior problem in the residential care and Treatment-Rehabilitation center located in Yongin City. The anger -control group counseling program in this study was reconstructed by researcher based on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s Harmony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Empression Control) and other anger control programs(Gang,1997; Kim,2011; Moon,2011) by applying five stages of the rap therapy by Don Elligan(2000). The measurement tools used for this study were Novaco anger scale and the data processing,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from SPSS 25 was us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post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results of the pre-post test and post-follow up 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analyzed by paird t-test. Furthermore,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research, analyzed the students' experience reports, the counselor's observations , and Rap lyrics written by group member by following five steps of Don Elligan Rap therapy.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application of the anger control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hip-hop music to maladjust adolescents resulted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overall score of the pre-post test and the score of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role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effect also persisted in the follow-up test.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bility of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to control their anger, both in overall scores and sub-factories. Third, the analysis of experience report of group members, the counselor’s observations and the rap lyrics written by the group member showed that anger control group counseling using hip-hop music had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anger control ability of maladjustment adolescents, and that it had the advantage of constructing alliance between counselors and groub members and self-refle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ip-hop music recognized the influence and cultural value of Korean teenagers and used the techniques to test its effectiveness and identify its potential as a psychological counseling tool for hip-hop music by implementing anger control group counseling programs for maladjustment youth. Based on this conclusion,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discussed.

      • 성인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마음챙김과 영성의 매개효과

        박인숙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영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서울, 경기, 대전, 광주 지역에 거주하는 만 20세부터 만 65세까지의 성인남녀 397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구조적 관계에 대한 모형이 타당한가를 검증하여 최적의 모형을 도출해 이들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은 마음챙김, 영성, 심리적 안녕감과 부적상관이었고, 마음챙김, 영성, 심리적 안녕감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구조 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측정모형은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모든 변인 간 경로를 설정한 연구모형이 마음챙김에서 영성을 설정하지 않은 경쟁모형에 비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영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애착불안의 경우 마음챙김과 영성 모두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나, 애착회피의 경우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였으나 영성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영성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에 관하여 논의 하였다.

      • 혈액투석환자의 약물이행 영향요인

        김하나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약물이행도 및 약물복용행태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Y시와 B광역시, M시 소재의 일개 대학병원과 종합병원 및 의원에서 혈액투석치료 중이거나, 신장병 환우모임 혹은 신장장애인협회에 소속된 혈액투석환자 140명을 대상으로 2016년 12월 1일부터 2017년 1월 15일까지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대상자의 약물이행도를 측정하기 위하여Morisky 등[23]이 개발한 약물이행도 측정도구 MMAS-8(Morisky Medication Adherence Scale-8)을 사용하였고, 약물복용행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김윤수[15]가 개발한 약물이행관련요인 도구를 연구자가 수정, 보완 후 간호학 교수 1인, 내과간호사 20인에 의해 내용타당도를 검증 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SPSS/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표준편차, t-test, ANOVA, S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co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57.9세였고 50대가 46명(32.9%)으로 가장 많았다. 결혼상태는 기혼이 120명(85.7%), 동거인이 있는 경우가 102명(72.9%)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교육정도는 고졸 67명(47.9%), 중졸 26명(18.6%), 대졸이상 25명(17.9%)순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은 117명(83.6%)이 가지고 있지 않으며, 종교는 87명(62.1%)이 가지고 있었다. 혈액투석기간은 5년 이상-10년 미만이 33명(23.6%)으로 가장 많았고, 투석원인질환은 당뇨병 56명(40.0%), 고혈압 54명(38.6%)으로 나타났다. 비처방약 복용여부는 127명(90.7%)이 복용하지 않고 있었고, 하루 동안의 약물복용빈도는 평균 2.48회로 나타났으며 하루 동안의 복용하는 약물개수는 11-15개가 46명(32.9%), 6-10개 37명(26.4%), 16-20개 28명(20.0%)으로 나타났다. 주관적인 건강상태에 대해서는 보통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84명(60.0%)이었고, 대상자의 37명(26.4%)이 약물 부작용 경험이 있으며, 약물 복용 시 불편함은 63명(45.0%)이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약물 부작용 중 소화기계 관련이 23명(28.4%), 심혈관계 관련 12명(14.8%), 신경계 관련 11명(13.6%), 약물복용 시 불편함 중 약물의 특성(가루형태, 제형이 큼 등)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낀 대상자가 32명(33.3%), 약물개수가 많음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낀 대상자 26명(27.1%), 약물복용을 자주 잊어버림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낀 대상자 12명(12.5%) 순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약물이행도 평균 점수는 6.34점(8점 만점), 약물복용행태의 총 평균 점수는 41.1점(72점 만점)이었다. 약물복용행태의 하부영역인 약물 복용에 대한 기대감은 평균 점수 2.61점(4점 만점), 약물 복용에 대한 거부감은 평균 점수 1.89점(4점 만점), 약물 복용에 대한 지식은 평균 점수 2.56점(4점 만점), 약물 복용에 대한 태도는 평균 점수 2.10점(4점 만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약물이행도의 차이는 주관적인 건강상태(F=5.21, p=.007), 약물 부작용(t=-2.18, p=.031), 약물복용 시 불편함(t=-4.20,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약물이행도와 약물복용행태의 상관관계는 약물 복용에 대한 기대감(r=.46, p<.001)이 약물이행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약물 복용에 대한 거부감(r=-.35, p<.001)은 약물이행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5. 대상자의 약물이행 영향요인을 분석해본 결과 약물 복용에 대한 기대감(=.35, p<.001), 약물 복용에 대한 거부감(=-.22, p=.004), 약물복용 시 불편함(=-.20, p=.010)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영향요인들이 혈액투석환자의 약물이행도를 29%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 종합해 볼 때, 혈액투석환자의 약물이행도는 높은 수준이었으며, 약물이행도와 약물 복용에 대한 기대감, 약물 복용에 대한 거부감과의 상관관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약물 복용에 대한 기대감, 약물에 대한 거부감, 약물 복용 시 불편함이 약물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혈액투석환자에게 맞는 약물이행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추후 혈액투석환자의 약물이행도 개선에 기여할 것이다.

      •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한수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살펴보고,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과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전략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밝힘으로써 스마트폰 중독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소재의 중·고등학교 남·녀 학생 434명을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심리통제척도, 인지정서조절전략척도, 청소년용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8.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주요변수들의 기술통계와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과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3단계 매개 회귀분석과 Sobel Tes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통제와 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은 부적상관을 보였고, 심리적 통제와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중독간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정서 조절전략은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이 스마트폰 중독의 위험성을 높일 수 있는 주요요인임을 의미한다. 반면에 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은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처음으로 심리적 통제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인지정서조절전략을 적응적 전략과 부적응적 전략을 구분하여 두 전략의 차이를 고려한 접근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점차 늘어나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는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19세기 프랑스 살롱음악과 여성에 대한 연구 : 샤미나드(Cécile Chaminade, 1857-1944)의 피아노 소품 중심으로

        Wu, Yimin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샤미나드(Cécile Chaminade, 1857-1944)는 19세기 프랑스 낭만시기를 대표하는 여성 작곡가로서 출판된 총 400여 편의 작품들 중 대다수가 는 가곡과 피아노 소품이다. 1887년 그녀의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악화된 경제적 이유로 인하여 그녀의 창작활동이 시장성을 가진 단편적인 기악 소품에 집중된 경향때문에 그녀의 음악은 살롱음악으로 간주되었고 실제로 샤미나드 스스로도 적극적으로 다양한 살롱 활동에 참여하였다. 사실 샤미나드가 활동하던 19세기 말 20세기 초에는 사회 환경이 남성 주도로 이루어졌고, 여성의 외부 음악 활동이 거의 불가능한 상황에서 샤미나드를 비롯한 여성 작곡가들은 주로 살롱에서 자신의 작품을 대중에게 소개하고 연주하였고 살롱은 여성 음악 해방의 출발지이자 여성 음악가 활동의 중심이 되었다. 프랑스 정부로부터 여성 작곡가 최초로 레지옹 도뇌로 훈장(Ordre national de la légion d'honneur)을 받는 등 많은 상을 받은 샤미나드의 작품 《스카프 댄스(Pae des echarpes, Scarf Dance)》Op. 37, No. 3, (1888)가 도 100만 부가 판매되었으며 유럽과 미국에서 순회 연주회를 갖는 등 많은 작품들이 대중의 사랑을 받기도 하였으나, 한 편으로 그녀의 작품에 대해‘여성스럽다', ‘창조성이 부족하다', ‘살롱음악으로 실질적이지 않다' 등 대부분 그녀의 성별과 관련된 표현으로 비판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샤미나드는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여성과 연관된 제목을 가지는 피아노 작품들을 통해 새로운 여성 이미지를 만들어내었다. 그녀의 피아노 소품들은 낭만적인 시기의 음악적 특징과 함께 단순 3부형식, 기억하기 쉬운 동기를 가지며, 선율은 기본 짜임새와 리듬 패턴을 유지하면서도 독특한 선율구성을 보여준다. 성부, 음형, 조성의 변환을 통해 여성 캐릭터의 감정과 심리상태를 표현하며 여성 이미지를 그려내는 샤미나드의 작품에는 반음계적인 하모니가 자주 등장하며, 펼침화음, 장식음 또한 정교하고 섬세한 음악어법을 구현하는 데에 역할을 한다. 본 논문은 19세기 프랑스 여성이 사회에서 받은 음악 활동의 제약과 여성 작곡가의 살롱에서의 위치 및 한계점으로부터 출발하여 샤미나드의 음악이 비판받은 배경에 대해 설명하고 그녀의 피아노 소품 네 곡 《아첨꾼(La Lisonjera, The Flatterer)》 Op. 50, 《롤리타(Lolita-Caprice Espagnol)》 Op. 54, 《피에레트(Pierrette)》 Op. 41, 《아를르캥느 (Arlequine)》 Op. 53 를 중심으로 작곡가 특유의 음악 어법으로 그려내는 여성 이미지에 대해 분석, 연구하고자 한다. Cécile Chaminade (1857-1944) was published as a female composer representing the 19th century French romantic period, with a total of over 400 works mostly songs and piano props. After her father's death in 1887, her compositional activities focused on one-sided instrumental props of a marketable nature due to deteriorating economic reasons, so her music was considered salon music, and indeed Chaminade herself was actively involved in various salon activities. In fact, during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when Chaminade was active, the social environment was dominated by men, and when it was almost impossible for women to engage in external musical activities, women composers such as Chaminade mainly introduced and performed their works to the public in salons, which were the starting point of women's musical emancipation and the center of women musicians' activities. Chaminade's work Pae des echarpes, (Scarf Dance) Op. 37, No. 3 (1888), the first female composer to be awarded numerous prizes by the French government, including the Ordrenational de la égion d'honneur (Order of Region Donat), also received 1 million copies at the box office, but her European and American touring recital of the work Pae des echarpes, (Scarf Dance) ) . Op. 37, No. 3 (1888) and many others. But Chaminade defied these criticisms and created a new image of women through piano works related to topics associated with women. Her piano miniatures are characterized by the music of the romantic period, a simple 3-part form, easily remembered motives, and melodies that display a unique melodic composition while maintaining basic structural and rhythmic patterns.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tes of female characters are expressed through changes in voice, mode, and tonality. Chromatic harmonies, unfolding harmonies, and ornamental tones often appear in Chaminade's works depicting female figures, and they also play a role in reflecting a refined and delicate musical syntax. This thesis illustrates the context in which Chaminade's music was criticized in terms of the constraints on women's musical activity in society and the position and limitations of women composers in the salon in 19th century France, and attempts to use her four piano miniatures, centering on“La Lisonjera” (The Flatterer) Op. 50, “Lolita-Caprice Espagnol” Op. 54, "Pierrette” Op. 41, "Arlequine” Op. 53, to analyze and study the female figure depicted by the composer's characteristic musical syntax.

      • 보육교사의 인권 및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과 영유아 문제행동지도 역량강화를 위한 인권중심 긍정적 행동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춘영 강남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developed (Children Right based Positive Behavior Support, PBS) tha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 in guiding behavior of infants and children by examining literature and prior studies and examining the status of recognition of child human rights, recognition of positive behavioral support, and education needs for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the capability of child care teachers to guide problem behavior.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1. What is the perception of child care teachers (all, reserve personnel, active service) about child human rights? 2. What is the perception of child care teachers (all, reserve personnel, active service) about positive behavioral support? 3.What is the status of supplementary education for guiding children's human rights and problem behavior? 4. What is the awareness and demand of child care teachers for human rights-centered positive behavioral support (education/training)? 5. What is the composition of the Human Rights-centered Positive Behavioral Support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pro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errors of guidance and preliminary investigation were verified and distributed to field experts of infant education, child family studies, child studies, child studies researchers and professors of children's studies who are designing basic tools for research problems in accordance with this study, and special education experts who are experts on emotional behavior, child special education, and visually impaired children's studies. As the prior study of education programs on behavioral guidance, including support for children's human rights and positive behavioral support, the tools and questionnaires required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and studied in the preceding study in each field. The research for the study was hold throughout 300 people in capital areas and with the help of child care related major in Incheon, It was analyzed with a total of 252 copies by pre-school teachers(115 copies) and general child care teachers(137 copies). Each questions were marked in 5point likert scale and higher scane meant it was better understood. Surveys(44 questions) were used from Hyen-Mi Do(2014) and Jeon-Un Seo(2015)'s research as the child human rights recognition tool. And according to how the teachers felt about the human rights for children, 10 sub-factors form the right not to be discriminated, the right to get the best interests first, the right to have their life respected and protected, the right to express themselves freely, the right to have the freedom of thought conscience, religion. The right to be educated, The right to be protected from all abuse, the right to play well for their development, the right to enjoy relaxation, art and cultural activities, the right to get stable protection were used as tools to evaluate each questions. The recognition tool for positive behavioral support consists of eight sub-components of overall recognition of positive behavioral support(nominal, element, process), lifestyle and background event arbitration, need and method of functional evaluation, intervention related factors, prior event arbitration, alternative behavior mediation, follow-up result arbitration and evaluation which are subsections of 30 questions about positive behavioral support recognition studied by Hye-Won Lim(2014) based on prior research in the relevant field. The recognition and demand tool for the implementation of training teachers about human rights-centered positive behavioral support was modified from the phrase 'Support Needs for the Implementation of Positive Action Support' (Lim, 2014) to a recognition request for 'Human Rights-centered Positive Action Support' and part of the data of the Korea Child Care Agency (2017) was used for basic answer questions in this study. Summary of the main findings of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 Right-based Positive Behavior Support (PBS) education program for child care teachers' ability on guiding infant and infant problem behavior is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erception of child care teachers(entire, preliminary, present)? The analysis of the overall(preliminary, present)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human rights showed that the "right to protect children from abuse" was the highest, the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s had the highest "right to protect children from abuse" and that the present-day child care teachers had the highest awareness of the "right for their life to be protected and respected." The perception of "freedom of thought and conscience" was equally low for all(preliminary, present) child care teachers, which is the same as the findings of HYEN-MI DO(2014) and JEON-UN SEO(2015)'s. Second, how is the awareness of child care teachers(entire, preliminary, present) about positive behavioral support? The full (preliminary, present)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positive behavioral support is the highest in terms of 'evaluation for functional necessity' and the overall recognition was high, but the awareness of positive behavioral support(nominal, element and process) was low similar to the study by 임혜원(2014), which prevents and mediates problematic behavior, and recognizes less in the strategic goods during follow-up and replacement actions. Third, What is the status of supplementary education for guiding children's human rights and problem behavior? Subjects related to children's human rights and problem behavior are divided into two or fewer subjects and those related to teachers' rights are included in one or two subjects in the qualification criteria and in the training course for child care teachers. Among the compulsory education under the guidance of child care projects and related statutes, 'education on the reporting authority of child abuse'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collective education and Internet lectures for more than one hour, requiring training of new approaches to improve teachers' sensitivity to children's human rights and access to education on a child's human rights. Fourth, What is the awareness and demand of child care teachers (entire, present and preliminary) for human rights-oriented positive action support(education/training)? The analysis of HR-PBS's percep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showed that HR-PBS's need for education and training was the highest, while HR-PBS's awareness of attendance at teacher training was the lowest, while HR-PBS's need for education and training was high for all teachers in the need for re-education of problem behavior, and the number of teachers for problem-RBS was high. The awareness and demand for the implementation of positive behavioral support both showed high HR-PBS need recognition and low willingness to attend HR-PBS teacher training, and the awareness and demand survey on HR-PBS need indicates that the actual intent of the training is low on both recognition and demand, and measures are required to analyze the causes and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A study on the awareness and demand of HR-PBS by child care teachers in the course of undergraduate development showed that all teachers had high demands for HR-PBS teacher training to recognize the need for HR-PBS teacher training and to mediate problem behavior, while both recognition and demand were low from attending HR-PBS teacher training sessions to mediate problem behavior.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awareness and demand of HR-PBS by child care teachers according to the course status related to problem behavior showed that all teachers were aware of the need for HR-PBS and were equally low in their intent to attend HR-PBS teacher training to mediate problem behavior. Fifth, What is the composition of the Human Rights-centered Positive Behavioral Support Education Program? Among teachers who took courses related to children's human rights during their tenure as incumbent teachers, 68.6% said they took classes within two hours (48.9%) with the participation of courses related to conservative education, and 54.8% said they helped more than that. Among the teachers who took the courses related to problem behavior, 36.4 percent took them for less than two hours (28.4%) and 37.2% said they helped them more than "that way," with 62 (45.2%) related to human rights and 86 (62.8%) related to problem behavior saying they were "normal" or less in terms of help. The results of the survey to form the HR-PBS education program showed that the recognition of child human rights and positive behavior support by infant teachers is high, but that they are found to have difficulty in participating in and practicing education, and that the teacher's knowledge, values and attitudes can be used to enhance the teacher's ability to act as a guide to child problems behavior. The program was designed to organize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in the implementation of positive action support for children's living and problem behavior, taking into account the low satisfaction caused by the short-term, large-group, and delivery lecture format in order to enhan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The facilitator's role in enriching the lecture requiring active and active attitudes of participants rather than the instructor's one-sided lectures and various activities techniques for improving sensitivity were applied, which consisted of a 10th class(15 hours) operation, including the main areas of education. The main content areas consist of "Teacher's Human Rights," "Children's Rights including Child Abuse," "Understanding Infant's Development and Problem Behavior," "positive Action Support," "Teacher Human Rights Inspection and Human Rights Growth" and the need for human rights sensitivity of the instructors are essential to improve their human rights sensitivity. It is meaningful as a basic research that can contribute to enhancing teacher efficacy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to foster the professionalism of infant and child teachers by actively utilizing the "human rights-centered positive action support education program" for the implementation of positive action support with greater emphasis on human rights in the guidance of children's living and problem behavior.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문제행동지도 역량강화를 목적으로 문헌연구 및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아동인권 인식과 긍정적 행동지원 인식 및 교육요구 현황을 조사하여, 영유아 행동지도 시 인권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한 ‘인권중심 긍정적 행동지원(Human Rights based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Children, HR-PBS)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아동인권에 대한 보육교사(전체, 현직, 예비)의 인식은 어떠한가? 2.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전체, 현직, 예비)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아동인권 및 문제행동지도를 위한 보수교육 현황은 어떠한가? 4. 인권중심 긍정적 행동지원(교육/연수)에 대한 보육교사(전체, 현직, 예비)의 인식과 요구는 어떠한가? 5. 인권중심 긍정적 행동지원 교육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을 돌출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을 위한 문헌 연구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연구문제 분석을 위한 도구를 분석하고, 본 연구에 맞게 연구문제를 위한 기초 도구를 설계 후, 유아교육 현장전문가인 유아교육, 아동가족학, 아동학 및 연구원 겸직 교수 전문가와 정서·행동장애, 유아특수교육·시각장애 특수교육전문가 교수에게 내용타당도 검토 후 최종 지도교수와 예비조사의 오류를 확인보완하고 최종 배포되었다. 아동인권과 긍정적 행동지원을 포함한 행동지도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의 선행연구가 미약하여 각 분야의 선행연구에서 본 연구에 요구되는 도구와 설문문항을 취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를 위한 조사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온라인 설문 배포한 결과 인천지역 보육관련 학과의 협조로 예비보육교사(115부), 일반보육교사(137부), 총 252부가 회수되어 최종 분석되었고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표시하고 각 문항에서 점수가 높을수록 인식 정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되었다. 아동인권 인식 도구는 도현미(2014)와 서정은(2015)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44문항)를 사용하였고 교사가 영유아의 인권을 느끼는 바에 따라 각 문항을 평정하는 도구로서 차별받지 않을 권리, 최선의 이익을 우선적으로 받을 권리, 생명을 존중․보호받을 권리, 의사표현의 자유를 가질 권리, 사상․양심․종교의 자유를 가질 권리, 교육의 권리, 모든 착취와 학대로부터 보호받을 권리, 발달에 적합한 놀이를 할 수 있는 권리, 휴식․예술․문화 활동을 즐길 권리, 안정된 보호를 받을 권리의 10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 설문지는 임혜원(2014)이 관련분야의 선행연구를 기초하여 연구된 긍정적 행동지원 인식에 대한 30문항의 하위 영역인 긍정적 행동지원의 전반적 인식(명칭, 요소, 과정), 생활방식 및 배경사건 중재, 기능평가의 필요성과 방법, 중재 관련요소, 선행사건 중재, 대체 행동 중재, 후속결과 중재, 평가에 대한 8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권중심 긍정적 행동지원의 교사연수를 실행하기 위한 인식과 요구 설문지는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을 위한 지원요구’ 문항(임혜원, 2014)을 인권을 강조한 ‘인권중심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 요구로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기초응답 문항은 한국보육진흥원(2017), 김태영(2017)의 질문 중 일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영유아 문제행동지도 역량강화를 위한 인권중심 긍정적 행동지원(Human Rights based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Children, HR-PBS)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인권에 대한 보육교사(전체, 현직, 예비)의 인식은 어떠한가? 아동인권에 대한 전체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착취학대로부터 보호권리’가 가장 높았으며, 예비교사는 ‘착취학대로부터 보호권리’가 가장 높고, 현직교사는 ‘생명존중 보호받을 권리’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상양심종교의 자유’에 대한 인식은 전체교사 모두 동일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도현미(2014), 서정은(2015)의 연구결과와 동일하다. 둘째,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전체, 현직, 예비)의 인식은 어떠한가?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전체교사의 인식은 ‘기능평가 필요성 방법’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고 전반적인 인식이 높은 것에 비해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명칭·요소·과정)이 낮게나와 임혜원(2014)의 연구와 동일한 결과로 문제행동을 예방하고 중재하며 후속결과중재 및 대체 행동중재 전략에서의 인식은 조금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아동인권 및 문제행동지도를 위한 보수교육 현황은 어떠한가? 자격취득기준 및 보육교직원의 보수교육과정에서 아동인권 및 문제행동 관련 교과목은 2과목에서 4과목 이내, 교사인권 관련 과목은 1과목에서 2과목 이내로 편성되어 있으며, 보육사업 안내 및 관련 법령에 따른 필수교육 중 ‘아동학대 신고의무자에 대한 교육’이 약 1시간 이상 집합교육 및 인터넷 강의 형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정의적인 영역에서의 교사의 아동인권 감수성 향상과 아동인권에 기초한 행동지도의 교육접근을 위해 새로운 접근의 연수가 요구되었다. 넷째, 인권중심 긍정적 행동지원(교육/연수)에 대한 보육교사(전체, 현직, 예비)의 인식과 요구는 어떠한가? HR-PBS의 교육 및 연수에 대한 전체보육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HR-PBS 필요성인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HR-PBS 교사연수 참석의향 인식은 가장 낮게 나왔고, HR-PBS의 교육 및 연수에 대한 요구는 문제행동중재 위한 HR-PBS 필요성 요구에서 전체교사 모두 높았고, 문제행동중재 위한 HR-PBS 교사연수가 전체교사 모두 낮게 나왔다.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을 위한 인식과 요구에서 전반적인 지원요구 모두 HR-PBS 필요성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HR-PBS 교사연수 참석의향은 낮은 것으로 보아 HR-PBS 필요성에 대한 인식·요구 조사를 통해 연수의 실제 참여의향은 인식과 요구 모두 낮게나와 이에 대한 원인분석과 참여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학부양성과정에서 아동인권 관련강좌 수강여부에 따른 보육교사의 HR-PBS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한 연구결과 전체교사 모두 HR-PBS 교사연수 필요성 인식과 문제행동 중재위한 HR-PBS 요구가 높게 나오고 인식과 요구 모두 문제행동 중재 위한 HR-PBS 교사연수 참석의향에서 낮게 나왔다. 문제행동 관련강좌 수강여부에 따른 보육교사의 HR-PBS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한 연구결과 전체교사 모두 HR-PBS 필요성 인식과 요구가 높았고, 문제행동 중재 위한 HR-PBS 교사연수 참석의향에서 동일하게 낮게 나왔다. 다섯째, 현직교사 재직기간 중 아동인권 관련 과목을 수강한 교사 중 68.6%가 보수교육관련 경로의 참여로 2시간 이내(48.9%)로 수강하였고54.8%가 ‘그런 편’ 이상으로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했다. 문제행동관련 과목을 수강한 교사 중 36.4%가 보수교육관련 경로의 참여를 통해 2시간 이하(28.4%)로 수강하였고 37.2%가 ‘그런 편’ 이상으로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여 인권관련 62명(45.2%), 문제행동관련 86명(62.8%)이 관련 수강 여부 도움정도에서 보통이하이거나 미 응답하였다. HR-PBS 교육프로그램의 구성을 위한 조사결과 영유아교사의 아동인권 및 긍정적 행동지원 인식은 높으나 교육 참여와 실천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사료되어 실제적인 보육교사의 역량강화를 위해 교사의 지식, 가치, 태도와 함께 인권감수성이 높은 교사 효능감을 발휘 할 수 있도록 영유아 문제행동지도 역량강화를 위한 인권중심 긍정적 행동지원(Human Rights based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Children, HR-PBS)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보육교사가 아동생활지도 및 문제행동지도 시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에서 교사의 지식, 가치, 태도 등의 정의적인 내용인 인권감수성과 교사 효능감 향상을 높이기 위하여 단시간, 대집단, 전달 강의형식으로 인한 낮은 만족도를 고려하여 활동·참여 형 내용이 연계되도록 구성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강사의 일방적인 강의보다 참여자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요구하는 강의를 풍요롭게 하는 촉진자의 역할과 감수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활동기법이 적용되어 주요 교육영역을 포함하여 10차시(15시간)운영으로 구성되었으며, 주요 내용영역은 교사자신의 인권에 대하여 인식하고 존중받는 경험이 되도록 ‘교사의 인권’, ‘아동인권(아동학대 포함 아동권리)’, ‘영유아의 발달과 문제행동 이해하기’, ‘긍정적 행동지원’, ‘교사 인권점검 및 인권 성장’이 연계되어 구성되었으며 교사의 인권 감수성 향상을 위해 지원되는 강사의 인권감수성과 전문성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는 아동의 생활지도 및 문제행동 지도에서 아동인권에 기초된 긍정적인 행동지원 실행을 위해 ‘인권중심 긍정적 행동지원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 영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 함양 및 영유아 문제행동지도에 대한 교사효능감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연구로서 그 의의를 갖는다.

      • 청소년기 부모양육태도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김지영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청소년기 부모양육태도에 관한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진행되었다. 분석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kr)와 학술정보원(kiss.kstudy.com)을 이용하여 “부모양육태도”와 “자녀”라는 두 개의 검색어로 학술지 논문을 검색하였고, 그 중에서 청소년기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학술지 논문 174편을 최종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동향에서 사용하고 있는 보편적인 분류에 의거하여 연구연도별,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 연구주제별로 동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로 발표된 연구수를 살펴보면, 2010년부터 매해 10편 이상씩 꾸준히 발표되었고, 특히 2014년, 2016년, 2017년에는 20편이 넘는 논문이 발표되었다. 2019년에는 11편으로 그 수가 다소 줄어들었다. 둘째, 연구대상에서 자녀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160편, 부모와 자녀를 함께 한 연구가 3편,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10편이었다. 연구대상을 학교급으로 구분하였을 때,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82편(47.4%)으로 가장 많았고, 고등학생 41편(23.7%), 중 ․ 고등학생 38편(22%), 초 ․ 중 ․ 고 12편(6.9%)이었다. 연구대상 집단을 특징에 따라 구분한 결과, 일반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155편(89.6%), 특수한 집단을 대상으로 한 경우는 18편(10.4%)이었다. 셋째, 연구방법별로 분류한 결과, 전체 174편중에 양적 연구방법을 사용한 연구는 164.6편(94.8%), 질적 연구는 9편(5.2%)으로 양적연구가 많았다. 양적연구에는 회귀분석이 67.5(38.9%), 구조방정식 모형 54.8(31.6%), 변량분석 24.9(14.3%), 요인분석 6.9(4.0%), 성장모형 5.5(3.2%), 상관연구 1(0.6%)이 있었고, 질적 연구에는 현상학적 연구 3편(1.7%), 사례연구 1편(0.6%), 문화기술지연구 1편(0.6%), 스티빅-콜레이지-캄의 데이터 분석방법 1편(0.6%), 지속적인 비교분석법 1편(0.6%),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 1편(0.6%), 근거 이론 1편(0.6%)이 있었다. 부모양육태도 측정도구를 분석한 결과 감독, 합리적 설명, 애정, 비일관성, 과잉기대, 과잉간섭, 학대, 방치의 유형으로 구분하는 허묘연(2000)의 부모양육태도척도(PBI)가 66.5편(40.5%)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애정-적대, 자율-통제, 성취-비성취, 합리-비합리 4차원의 오성심과 이종승(1982)의 부모양육태도 검사가 31.5편(19.2%)에서 사용되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척도가 수정, 보완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넷째, 연구 내용에서는 연구변인을 예언변인, 종속변인, 중재변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부모양육태도를 예언하는 변인으로는 자녀의 비만, 지각된 부모의 자기 통제력, 자녀의 휴대전화 의존, 한부모 가족의 기간, 가족자원이 있었다. 부모양육태도가 자녀에게 미치는 종속변인에는 사회적 적응 관련이 50편(25.8%), 심리·정서영역 47편(24.2%), 학업관련 23편(11.9%), 인터넷·게임·휴대전화관련 22편(11.3%), 문제행동관련 17편(8.8%), 자기이해·자아관련영역이 15편(7.7%), 진로·적성관련 11편(5.7%)이 있었다. 중재변인에서는 심리·정서 영역과 자기이해·자아관련 영역의 매개효과 사용이 많았고, 자아탄력성, 자아통제감, 성별, 학교급, 부모양육태도, 사회적지지, 또래애착, 비행경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기 부모양육태도에 관한 연구의 발전을 위해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를 측정하는 방식 이외에 자녀와 부모가 인식한 부모양육태도를 양방향의 입장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다양성이 존중되는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일반집단 이외의 특수한 집단에 관한 연구도 좀 더 진행된다면 실제 현장에 맞는 좋은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기 자녀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과 질적, 양적연구의 혼합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학문적 발전과 함께 청소년기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상담관계에서 상담자가 지각한 내담자의 수치심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김성아 아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상담관계에서 상담자들이 지각하는 내담자의 수치심 경험을 질적연구 방식으로 분석하여 상담자는 상담관계에서 내담자의 수치심을 어떻게 지각하고 어떻게 개입하는 지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한국상담심리학회에서 발급하는 상담심리사 1급을 취득하였거나 상담경력이 10년 이상인 상담자 중 현재 상담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상담자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최종 상담자 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분석과정은 근거이론 접근방법의 절차를 따랐다. 분석결과, 72개의 개념과 34개의 하위범주, 15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고. 축 코딩 단계에서는 15개의 상위범주간의 관계를 중심현상, 인과적 조건, 맥락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중재적 조건, 결과 순으로 정렬하여 상담관계에서 상담자들이 지각한 내담자의 수치심 경험에 대한 패러다임 모형으로 제시하였으며, 이 범주들은 중심 현상(내담자의 수치심을 다루기 망설여짐), 맥락적 조건(체면을 중시하는 사회의 가치를 내면화함, 관계지향적 사회의 가치를 내면화함), 인과적 조건(수치심이 비언어적으로 표현됨, 내담자가 대화를 회피 하거나 부인 또는 침묵함, 내담자가 스스로를 평가절하하거나 상담자를 평가절하함), 작용/상호작용(비언어적인 반응을 살피고 내담자의 방어 양식을 따라감, 감정의 정상화ㆍ타당화를 위한 개입, 내적 접촉을 위한 시도), 중재적 조건(수치심의 비가시성, 숨기고 싶은 마음의 의미를 이해함, 존중하는 시선으로 내담자를 바라봄), 결과(내담자로부터 상담자의 안정감 있는 태도가 도움이 되었다는 피드백을 들음, 상담 진행 속도와 개입에 대한 아쉬움, 회기 후의 자기성찰적 사고)로 분류되었다. 다음으로 선택코딩 단계에서는 이전의 분석 결과를 통해 나온 개념들과의 관계를 아우르며 이 연구가 무엇에 관한 것인지를 통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핵심범주로 ‘상담자의 존중하는 시선을 내담자가 내면화 시킬 수 있도록 노력함’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중심으로 이야기 윤곽을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부정정서를 통한 심리적 수용의 매개된 조절효과

        이서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정서인식명확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심리적 수용의 매개효과와 부정정서의 조절효과, 그리고 부정정서를 통한 심리적 수용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대학의 대학생 307명을 대상으로 정서인식명확성, 우울, 심리적 수용, 부정정서를 측정하여 연구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20.0과 SPSS PROCESS의 macro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수용은 정적상관을 부정정서와 우울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우울은 부정정서와는 정적상관을 보였으나, 심리적 수용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심리적 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본 결과,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심리적 수용이 부분 매개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정서인식이 명확할수록 심리적 수용이 용이해지고, 우울감이 감소한다는 것을 뜻한다. 셋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수용의 관계에서 부정정서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이들의 관계에서 부정정서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수용 간의 관계는 부정적 정서를 얼마나 느끼는가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부정정서가 높을 경우 정서인식명확성이 높을지라도 심리적 수용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반면, 부정정서의 수준이 낮을 경우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수용의 관계는 정적상관을 보였는데, 이것은 정서인식명확성이 높다하더라 부정정서의 수용이 쉽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앞서 확인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결합하여, 정서인식명확성이 우울로 가는 과정에서 부정정서의 조절효과와 심리적 수용의 매개효과, 즉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분석결과, 정서인식명확성은 직접적으로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또한 심리적 수용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정서는 정서인식명확성이 심리적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였는데 즉, 정서인식명확성이 심리적 수용을 통해 우울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부정정서의 수준에 따라 달라졌는데, 부정정서가 높을수록 정서인식명확성의 긍정적 효과는 줄어들었다. 따라서 매개된 조절 모형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부정 정서는 정서인식명확성이 심리적 수용을 통해 우울을 예방하는 간접효과를 감소시킨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정서인식명확성이 높을 경우 심리적 수용의 수준이 높아져 우울이 감소하지만, 부정정서가 이것의 효과를 축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emotional clarity on depression and also determine whether psychological acceptance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depression.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A total of 307 students who enrolled at th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Analysis of data was conducted using SPSS 20.0 and the macro function of SPSS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hile negative emotion and depress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In addition, depression was found to be correlated with negative emotion while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acceptance. Seco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yielded that psychological acceptance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depression. Such finding indicates that emotional clarity has a direct effect on decreased depression, while it also indirectly influences decreased depression through psychological acceptance. Third, negative emotion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was different depending on how much participants reported to have negative emotion-when the level of negative emotion was low, emotional clar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psychological acceptance. However, when the level of negative emotion was high, emotional clarity did not facilitate psychological acceptance. Fourth, the mediated moderating model was confirmed in that psychological accepta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depression, while negative emo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That is, emotional clarity had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through psychological acceptance on decreased depression. Also it was found that negative emo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Taken together, negative emotion decreased the indirect effect of emotional clarity on decreased depression through psychological acceptance. The aforementioned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depression will be reduced when the level of emotional clarity is high since the level of psychological acceptance rises. At the same time, they also imply that negative emotion may reduce the effect thereof. The significance, the limitations and the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above-stated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