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브래지어 C컵 이상 여성을 위한 원피스 드레스 원형설계 연구

        김성희 창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서구화된 체형으로 변해가는 여성 체형의 변화를 고려하여 젖가슴의 크기에 영향이 적고, 신체 주요 부위를 대표할 수 있는 신체 치수를 추출하고, 이를 사용한 원피스 드레스 원형을 개발하는 것이 본연구의 목적이다. 문헌 조사를 통하여 4종의 원피스 드레스 원형을 비교원형으로 선정하고, 제도 방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 4종의 비교원형으로 가상착의 시뮬레이션을 시행하여 적합도가 높은 부위와 낮은 부위에 대하여 제도법과의 비교 분석을 하여 연구 원피스 드레스 원형을 개발하였다. 연구 원피스 드레스 원형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가상착의를 시행하여 제도 방법을 수정 보완한 후, 최종 연구원형을 개발하였으며, 3인의 피험자에게 착의실험일 시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젖가슴둘레가 큰 여성을 위한 원피스 제도는 뒤판의 뒤목너비는 젖가슴아래둘레(UB: Underbust Circumference)를 사용하여 UB/10–0.4cm로 하고, 진동깊이는 UB 2/10 +6.5cm로 하며, 뒤가슴둘레선 UB/4+4cm로, 겨드랑뒤벽접힘사이길이도 UB 2/10 +3cm로 한다. 허리둘레선은 가슴둘레선의 외곽점보다 2cm 들여서 정하고 엉덩이둘레선은 가슴둘레선의 외곽점보다 1cm 내어서 정하여, 뒷길의 경우에는 젖가슴아래둘레를 주로 사용하였다. 앞판은 앞목너비는 UB/10 –0.4cm로 하고, 가슴둘레선은 젖가슴아래둘레/4에 젖가슴둘레와 젖가슴 아래둘레의 차이를 고려하여 UB/4 + J로 한다. J는 젖가슴둘레에서 젖가슴아래둘레를 뺀 치수에 10cm 를 더하고 이를 4로 나눈 수치이다. 겨드랑앞벽접힘점사이길이는 UB 2/10 + J + 숄더다트량–4cm로 한다. 어깨선은 어깨가쪽사이길이/2의 위치에서 B.P와 연결하고, B.P와 7.5cm 지점에서 회전하는 다트량으로 젖가슴의 크기에 따라 1.6cm, 2cm, 2.4cm, 2.8cm, 3.2cm로 한다. 허리둘레선은 밑단은 뒤판과 동일한데, 젖가슴의 크기에 따라 앞만 커지게 되므로 뒤의 엉덩이둘레, 뒤의 밑단 넓이와 같아지도록 다트 아래를 잘라서 조절한다. 3인의 피험자에게 원피스 드레스를 착의 실험 한 결과 연구원형은 전체적으로 맞음새가 좋고 옆 솔기선 및 진동 둘레, 앞허리선과 밑단은 외관 관능 평가에서 좋은 점수를 얻었다.

      • 여성복 테일러드 재킷의 칼라제작요인에 관한 연구

        김구영 창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related factors to obtain the best collar pattern of the women's tailored jacket by analyzing the difference of the shapes between the drafted pattern and that of being stitched. The experimental conditions established are as follows: The position and angle of its break point, the notch and the width of the collar and lapel are kept unchanged. The different lengths between the neckline edge of the collar and the neckline of the waist. The different sizes between the top collar and the under collar. The crossing point of gorge line is changed to make the collar's roll line straight. When the pattern is changed to make the outline of the lapel straight, the amount of cloth is changed too.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conditions, The experimental clothes using muslin were made to. put on the manikin and the suitable methods of making the collar pattern were decided. In order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fabric materials on the jacket' shapes, Three kinds of wool fabrics were used and the results were evaluated. Summary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1. When 0.5cm of the neckline edge is shortened, the standing part of the collar has less wrinkles, and its position looks natural and lastly, the material has slightly affected the collar's condition. 2. It is desirable to make the top collar 0.2cm longer than the under collar. But the length sh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fabric material. It it is thick cloth, the length has to be extended. 3. To make the roll line straight, 0.4cm of the crossing point of gorge line should be corrected. The thick cloth needs more correction. 4. To make the lapel's outline straight, it needs outwardly round 0.2cm more and materials make little difference to affect the shape. 20세기 초 이후부터 점차 보편화 되어온 여성재킷은 현대에 와서는 널리 착용되고 있으며, 여성재킷의 대표적인 칼라인 테일러드 칼라의 기능성과 디자인을 충족시켜주는 재킷 패턴 연구의 필요성은 점차 중요시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패턴 제작 시 테일러드 칼라의 패턴 형태와 봉제 후 착용 된 상태에서의 테일러드 칼라의 형태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숙련공이 아닐지라도 원하는 형태의 테일러드 칼라를 얻기 위한 패턴제작법을 밝히려는 것으로 다음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1. 여성복 테일러드 재킷의 브레이크 포인트 위치, 너치의 위치 및 각도, 칼라 및 라펠의 넓이는 일정하게 하고, 칼라와 길의 뒤목부분의 길이의 차이, 겉칼라와 안칼라의 크기의 차이, 칼라의 꺾임선을 직선형태로 하기 위한 고지라인(Gorgeline)의 교차점의 수정, 라펠의 외곽선을 직선으로 제작하기 위한 패턴의 수정 등의 조치 시 그 양을 달리하는 실험조건을 설정한다. 2. 설정된 실험조건에 따라 머슬린으로 실험의를 제작하고, 이를 인대에 착의 시켜 적합한 제작방법을 선정하였으며, 소재의 물리적 성질에 따라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선정된 제작방법으로 3종류의 모직물로 실험의를 제작하였다. 3. 평가는 제작 된 실험의를 8호 인대에 입혀, 칼라의 안정감에 대하여는 5명의 의류학과 대학원생이 최적의 실험의를 선정하였으며, 칼라의 형태에 대하여는 1m의 거리에서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고, 그 사진 상에서 라인을 사용하여 꺾임선과 라펠의 외곽선이 직선을 이루는지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1. 칼라 달림선의 길이와 길의 뒤목부분의 길이는 칼라를 0.5cm 줄인 경우 칼라의 스탠드부위의 안쪽에 쭈글거림이 적었고 칼라의 놓임이 자연스러우며, 군주름도 없어, 0.5cm 줄이는 것이 칼라의 패턴으로 적당하며, 소재의 두께에 관계없이 0.5cm 줄여서 제작하는 것이 적당하다. 2. 겉칼라와 안칼라의 크기의 차이는 겉칼라가 안칼라 보다 0.2cm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소재에 따라 그 양이 달라져야 하며,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그 양을 증가시켜야 한다. 3. 칼라의 꺾임선은 고지라인의 교차점을 길 쪽으로 0.4cm 수정한 것이 꺾임선이 직선형태이고, 직물의 두께가 두꺼운 것은 수정량이 좀 더 많아져야 한다. 4. 라펠의 외곽선을 직선으로 제작하려면 라펠의 아래쪽에서 1/6되는 곳에서 0.2cm 볼록하게 제도하여야 완성 시 직선형태를 이루고, 이는 소재의 두께에 관계없이 동일하다.

      • 봉제패션인형의 바디패턴과 의상제작에 관한 연구

        한미란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패션인형은 의상, 신발, 액세서리등 복식의 전반적인 것을 적용한 것으로 인체를 축소하여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조형적이고 시각적인 공간미술의 범주에 속하며, 복식이라는 시대성을 수반한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여성의 이상적인 체형이 패션인형에 적합하게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국내 여성모델의 신체치수로 인형모형을 제작, 비교하여 시각적으로 이상적인 신체비례를 가진 인형을 제작할 수 있는 바디패턴을 제시하고, 고(古)의상의 패턴을 수정 보완하여 인형의상의 패턴을 제시하였다. 연구 과정으로는 현재 사용 중인 봉제패션인형의 바디패턴을 수집하여 비교분석하여, 여성의 인체를 그대로 드러내는 바디슈트의 패턴으로 신장 168cm의 모델의 사이즈로 제도하였다. 이를 40cm 내외의 인형이 되도록 전체를 1/4로 축소하고, 두 번의 수정을 거쳐 연구인형을 제작하였다. 시대별 복식 5점을 선정하여 문헌에 제시된 착용법과 고의상의 패턴을 기초로 하여 연구인형에 적합한 인형의상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연구인형의 키에 대한 신체 각 부위의 비율을 Size Korea 2004의 표준체형의 키에 대한 주요부위 신체비율과 비교 하였을 때 키에 대한 높이 항목의 비율은 거의 일치하고, 너비항목은 약 80~85%, 허리의 경우 75%, 두께항목은 약 90% 정도로 나타나 시각적으로 이상적인 비율로 표현되었다. 인형의상의 제작은 키톤, 고딕시대의 로브, 와토 가운, 엠파이어드레스와 버슬드레스 5점을 제작하였고 인체의 프로포션과 인형의 프로포션이 다르므로 재현의상 제작 시 문헌에 제시된 착용법과 실제 패턴을 적용시키기는 어려움이 있어 인형의 바디에 맞도록 패턴을 수정하였다. 의상제작 시 실제 당시에 사용된 소재를 인형의상에 적용시켜 제작할 경우에는 의상의 실루엣을 제대로 나타내기 어려우므로 최대한 얇고 부드러운 소재를 사용하여야 하고, 허리부분의 시접분량이 많을수록 굴곡을 나타내지 못하고 허리가 굵어 보이는 요인이 되므로 옷감의 너비분량은 최소화 하여야 한다. 연구바디의 B.P점 위를 1/5로 축도하였기 때문에 의상 패턴제작 시에도 어깨부터 가슴둘레선까지의 길이가 짧아져야 착용시켰을 때 편안하다. 본 연구는 수작업으로 진행된 것으로, 일정한 바디패턴이라 할지라도 충전재의 종류와 넣는 방법에 따라 형태가 달라지고 인형 제작이 서투른 초보자의 경우 가슴부분의 표현이 어렵다. 또한 의상의 경우에도 패턴을 이용해 제작을 하더라도 착의시켰을 때 인형바디의 내부 충전상태와 바느질 방법이나 시접의 분량에 따라서 맞음새가 달라지기도 하므로 정확한 표준 제작법이 정리되어야 할 것이다. 의상 소재도 유사한 색상과 느낌의 얇은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섬세한 주름을 표현하여야 하는 의상의 실루엣을 제대로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인형에 적용할 소재의 조직, 두께, 소재와 실의 굵기에 따른 드레이핑의 효과 등이 다양하게 논의되어 인형 의상 제작 연구가 계속 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fashion doll is to apply the general matters of the clothing styles, including the clothes, shoes, accessories, and others that the human body is reduced and expressed in details for formative and visual spatial arts of category and it accompanies the time attribute in clothes. In this study, the ideal human body of adult woman is to express, and the body dimension of the woman model is produced and compared in doll model with the bodily dimension by presenting the body pattern to produce the dolls with the ideal body proportion visually, and present the pattern of doll clothing by amending and supplementing the pattern of ancient clothing. For the research process, by collecting, comparing and analyzing the body pattern of the currently used embroidery fashion doll, the pattern of body suit that displays the body of women is designed with the size of model with the height of 168cm. This is scaled for 1/4 of its entirety to make the doll of around 40cm and produced the research doll with two revisions. By selecting five pieces of clothes for each time, the doll clothes appropriate for the research doll are produced on the basis of the pattern for ancient clothes and the method of cloth-making presented in documentation. When compared with the ratio of each part of the body for the height of the produced research doll with the bodily ration of the major ratio of the height of the standard bodily size of Size Korea 2004, the ratio of the category of the height is almost consistent, and the width category is shown approximately 80~85%, waist for 75%, thickness category for approximately 90% as the ideal ratio. Production of doll clothing is produced in five pieces in Chiton, rob of gothic time, Watteau gown, empire dress and bustle dress, and the proportion of human body and the proportion of dolls are different that, when producing the reproduced clothing, there is a difficulty of applying the wearing method presented in the documentary with the actual pattern that the pattern is modified to fit to the doll body. In production of clothing, in the event of producing the materials actually used at the time is applied and produced on the doll clothing, the silhouette of the clothing is difficult to show well that it has to use the thinnest and softest possible materials, and as the margin to sew up volume gets larger in the waist part, it would not show the curves well and shows the waist line thicker that the width volume of fabric has to be minimized. B and P points of the research body was scaled for 1/5 that, when producing the clothe pattern, it would be comfortable if the length from the shoulder to the chest line is shortened.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manual work, and even for the consistent body pattern, the appearance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filling substance and method would have the difference in type that in the event of the beginners with different doll production that the expression of the chest part is difficult. In addition, in the event of clothing, the pattern is used that the tailored look would differ depending on the internal filling condition of doll body, embroidering method, volume of the margin to sew up that accurate production method would be arranged. Clothing materials also use the thin material with the feeling and color similar thereto but it has the difficulty in accurate silhouette of clothing that requires the expression of sophisticated wrinkles that the study has to be continued on the doll clothing production by draping and diverse material to apply on dolls.

      • 기능경기대회 의상디자인 직종 과제 기술에 관한 연구 : 2009년~2020년 지방기능경기대회를 중심으로

        박지은 창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2009 년부터 2020년까지 실시한 지방기능경기대회 의상디자인 부문 과제의 출제 형식과 요구 사항을 분석하여 효과적이고 발전적인 과제 출제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의 범위는 2009년부터 2020년까지 진행된 지방기능경기대회 의상디자인 과제에 사용된 어휘에 대해 분석하였고, 2020년 지방기능경기대회 디자인 과제를 수정한 후 수정 전 문제와 비교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과제명은 의복 종류와 의복의 특징을 제시해야 하며, 지나치게 길거나 복잡하지 않도록 무표항과 지나친 디테일은 제외한다 . ‘실루엣 + 소매 형태 + 칼라형태 + 여밈형태 + 의복 품목’ 순으로 표현해야 한다. 둘째, 연도별로 사용 어휘 수는 점차 증가하며 외래어와 고유어의 비율은 외래어가 평균 34%, 고유어가 평균 66% 사용하고 있다. 패션 분야 용어의 순화 노력은 사회성을 획득하지 못한 무리한 순화어가 대부분이며, 외래어의 오랜 사용으로 순화어 사용 시 혼란을 초래하는 등 대중화시키는 데는 부족함이 많아 보인다. 셋째, 사이시옷의 오류, 비표준어 사용의 오류, 띄어쓰기의 오류가 많았다. 넷째,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는데 지나치게 생략하거나 고유어와 외래어를 통일되지 않은 다양한 형태로 사용하여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다섯째, 2020년도 지방기능경기대회 디자인 과제는 어휘 외 서술 방법에 있어 서술어생략, 호응의 부적절성, 조사 사용의 오류, 주제어 표현의 불명확성, 과제의 서술 순서의 무질서 등의 오류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대체 가능한 순화어가 정착될 수 있도록 공식적 과제에서 순화어 사용에 대한 노력이 필요해 보이며, 통일된 단일 어휘를 지정 · 사용하도록 노력하는 것은 기능경기대회 과제 수행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국내 의상디자인 용어를 정착시키고 발전시키는 데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이라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국가 기관에서 실시하는 시험이나 대회의 문제는 공공언어의 규범에 따라야 하고, 대상의 서술 순서가 일관되고 정확한 어휘를 사용해야 하며 간결하고 평이하게 출제해야 한다.

      • 폐경기 여성의 슬랙스 패턴에 관한 연구

        박현숙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여성은 폐경을 기준으로 중년에서 노년으로의 진행이 가속화 되며, 체형의 변이가 두드러져, 허리 및 배둘레가 증가하고, 엉덩이의 하수가 심해지며 다리는 굽고 가늘어지는 등 신체지수와 프로포션에 이상이 발생하게 된다. 슬랙스는 어느 의복보다도 기능성이 중시되며 복잡한 신체구조를 감싸야 하는 구성요인을 가지고 있으나, 활동의 용이성으로 인해 상시착용 연령이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경 이후에도 사회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여성을 위하여 기능적이고 편안하면서도 심미적인 슬랙스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노년을 대상으로 한 슬랙스 패턴을 수집 분석하고, 1차 연구원형을 설계, 제작하여 시착하였으며, 수정, 보완을 위해 폐경기의 여성 158명을 대상으로 슬랙스의 착용 빈도 및 착용이유, 불만족 요인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2차 연구원형을 설계, 제작하여 시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설문조사 결과 슬랙스의 착용 빈도는 조사대상자의 85%가 즐겨 입는 것으로 응답하였고, 착용하는 이유는 “활동하기 쉬워서” 가 주된 이유였다. 불만족 요인으로는 “허리부분의 당김”과 “무릎이 나와서 원상태로 돌아가지 않아 보기 싫다” 이며, 모직소재의 허리밴드가 있는 세미 벨보텀형을 선호하였다. 연구원형의 특징은 하반신 최대 외포둘레를 엉덩이둘레로 하여 그 비례식으로 밑위길이, 앞·뒤 밑위 연장선을 산출하였고, 앞·뒤 밑위 연장선을 하반신 최대 외포둘레/16-1cm, 하반신 최대 외포둘레/8-1cm로 하고, 뒤 중심선을 밑위기준선부위를 2등분한 선으로 설정하였다. 그 외에는 스타일의 특징으로 허리선 2cm 낮추고, 무릎선을 6cm 위로 정하고, 폭을 넓혔으며 허리는 곡선벨트로 하였고, 부리는 세미 벨 보텀 형으로 하였다. 6명의 여성이 자신의 치수로 제작한 연구슬랙스를 시착한 결과 평소 본인이 착용하던 기성복 바지에 비해 외관이나 착용감이 월등히 뛰어나다고 평가했다. 본 연구는 피험자가 임의로 선정 된 6명에 불과하고, 착의 평가도 착용자와 연구자의 주관적인 평가이므로, 결과를 확대 해석하기에는 주의를 요한다. 또한 슬랙스를 즐겨 입는 폐경기 이후 여성들의 하반신 체형의 특성을 고려하여 동작 기능성 뿐 만 아니라 심미적으로도 만족할 수 있는 디자인의 개발이 필요하다. 즉 연령의 증가에 따라 다양한 변화가 나타나는 하반신 체형을 보완할 수 있는 와이드형이나 스트레이트형 등을 도입한다든지 칼라선택에 있어서도 폐경기의 우울함을 전환시킬 수 있는 색상에 대한 연구 및 체형이 잘 드러나지 않고 관리가 용이한 기능성 소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From the menopause, women's aging progress is accelerated. Changes of lower body somatotype are accentuated in abnormal of body index and proportion. Abdominal circumference is more increased, buttocks are drooping, and legs become curved and thin. Because slacks have to wrap the lower body, the construction components of slacks are complex, therefore the functional aspect in slacks is very important. Slack is convenient to act, women prefer to wear slacks anytime or anywhere no matter 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aking more functional, more beautiful and more comfortable slacks for the postmenopausal women who actively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First prototype of study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by collecting and studying 14 patterns of slacks in preceding study about the middle and old age. Second prototype of study was planed and made as 158 postmenopausal women were asked questions about frequency and reasons of putting on, and factors of dissatisfaction for correction and compl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survey, 85% of respondents prefer to wear slacks mainly because slacks are easy to act. Dissatisfactions of slacks were 'pulling of waist part' and 'irreversible protrusion of slacks at the knees'. And they prefer to wear slacks of semi-bell bottom type with a straight belt made of woolen fabric. A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pattern, hip circumference was replaced with maximum lower body circumference, the crotch length was defined as H/4, front crotch extension was H/16 and back crotch extension was defined as H/8. The center backline was set up with half of crotch level line. As characteristics of style, waist line is lowered 2cm at the center front, 1cm at the center back with a little bent waistband. Knee line was set up heightened 6cm from crotch level to the ancle, and widened the width of the knee and ancle, and made in semi bell bottom. 6 women who put on slacks designed from their body size evaluated that their experimental slacks were superior than ready to wear. This study have some limitations. Only 6 persons were selected randomly. Evaluations about wearing were estimated subjectively by participants and experimenter. So overestimation of result should be avoided. The development of slacks design is necessary not its only activity function but also aesthetic aspect regarding lower body characters of postmenopausal women. For example, It is nice to wear the wide type or straight type slacks or bell bottom style to complement lower body shape changing variably with aging. And It is necessary to study about color to change postmenopausal depressive mood and development of functional fabric to cover body shape and easy to care the slacks.

      • 패턴 설계 요인에 따른 나폴레옹칼라의 형태 변화 연구

        이규림 창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1. 목둘레선 형태는 휘어짐이 작을수록 스탠드칼라가 목 쪽으로 세워지고, 휘어짐이 커질수록 스탠드칼라가 몸 쪽으로 뉘어져 칼라높이가 낮아진다. 2. 스탠드칼라 올림분량이 작으면 목과 칼라 사이에 여유가 있고, 스탠드칼라 올림분량이 클수록 칼라가 목 쪽으로 밀착되어 목과 칼라 사이의 여유가 없어지므로 칼라 달림선이 목과 일치하게 된다. 3. 스탠드칼라와 윗칼라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면 윗칼라 외곽선의 길이가 짧아지고, 칼라의 뒤 중심 폭이 좁아지는 반면, 스탠드칼라와 윗칼라 사이의 거리가 커질수록 윗칼라 외곽선의 길이가 길어지고, 칼라의 뒤 중심의 폭이 자연스럽게 놓여진다. 4. 나폴레옹칼라의 형태는 스탠드칼라 올림분량과 스탠드칼라와 윗칼라 사이의 거리의 치수를 작게 할수록 높이가 낮고 퍼지는 칼라가 되고, 스탠드칼라 올림분량과 스탠드칼라와 윗칼라 사이의 거리의 치수를 크게 할수록 칼라가 목에 밀착되면서 안정되게 세워지는 높은 칼라가 된다. 나폴레옹칼라의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목둘레선 형태와 스탠드칼라 올림분량 및 스탠드칼라와 윗칼라 사이의 거리의 크기이다. 따라서 이 세 가지 요인의 치수를 조절함으로써 디자인에 맞는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나폴레옹칼라뿐만 아니라 차이나칼라, 스탠드칼라, 셔츠칼라 및 테일러드칼라 등에 모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초상화에 나타난 엘리자베스 1세 복식의 디지털 복원

        김은화 창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디지털 복원이란 인류 삶의 환경을 조성했던 유형과 무형의 문화유산을 디지털 기술을 통해 본래 모습대로 복원 및 가상공간에서 운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데이터화 하는 것이며, 의상에서의 디지털 복원은 3D 어패럴 S/W를 사용하여 컴퓨터상에서 가상인체를 구현하고 패턴을 제작해서 가상으로 착의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위적인 미의 표현양식의 시발점이 되었던 르네상스 복식을 대표하는 엘리자베스 1세의 초상화를 분석하고, 그 초상화에 나타난 복식을 CLO 3D S/W를 사용하여 디지털 복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사용 가능한 르네상스 시대의 패턴을 제시하고 가상착의 시의 외관·형태·실루엣 등을 초상화와 비교하여 고찰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르네상스 시대의 복식 재현을 위한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엘리자베스 1세에 관한 문헌, 선행연구, 관련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2. 엘리자베스 1세의 초상화 중 비교적 전신에 가깝게 그려졌으며, 제작 시기가 동일하거나 디자인이 흡사한 작품들은 제외한 16점의 형태를 분석하고, 그 중 중세에서 르네상스로의 전환기 및 르네상스 초·중·후기를 대표하는 초상화 4점을 대상으로 디지털 이미지로 복원하였다. 3. 엘리자베스 1세 초상화의 이미지와 디지털 복원의 이미지를 비교한 관능평가를 하였다. 가상착의 소프트웨어인 CLO 3D를 사용하여 디지털 복원 시, 가상착의 순서는 하의인 파딩게일, 언더스커트, 스커트를 먼저 착의하고, 상의인 파틀렛 또는 스토마커와 바디스(커틀)를 착의한 후, 소매와 행잉 슬리브를 착의하고 마지막으로 러프 칼라를 착의하였다. 디지털 복원한 엘리자베스 1세의 복식의 구현정도는 전체적으로 잘 구현되었다는 평가 결과를 얻었으며, 구현도가 높게 평가된 부위는 목둘레, 스커트, 소매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는 러프 칼라의 독특한 형태, 스커트의 넓은 면적이나 소매의 크기로 인한 면적의 대비 등이 구현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사료된다.

      • 심의와 철릭을 활용한 나이트가운 개발에 관한 연구

        김현정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study aimed to develop the nightgown considering the construction and design features of the Shimui and the Cheolik. The analysis on the construction features of the Korean traditional costume and the physiological and motional attributes while sleeping resulted into the construction factors of the nightgown developed in the study. Consequently, the nightgown having these traditional Korean costume features were made for the evaluation. The distinctive construction traits of the nightgown developed are as follow: (1) horizontal angle of the shoulder slope for the ease driven throughout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sleeping motions; (2) horizontal shoulder slope constructed by the Flat patternmaking, enough tolerance included for the bust girth measurement, ribbon type closure system(Goreum), gather and slit details in general Korean traditional Costume construction factors; (3) in particular, the top(Eui, 衣) and wide-ham bottom(Sang, 裳) assembled together at a waist level which enabled leg movements free. Seeing the Shimui and the cheolik among the Korean traditional outerwear(Pho, 袍), the features in terms of performance, shape and the Korean traditional philosophy mentioned above are concluded as highly appropriate to develop the nightgown. 4 different types of nightgowns were designed to be constructed. these gowns were evaluated through the wearing test by human subjects and the objective fit test. The human subjects for the wearing test consisted of two men and women each answered to the 5-scale grade questionnaire. 20 professional clothing staff evaluated these 4 nightgowns developed and the existing nightgown used in the hotel industry by seeing the pictures of these gowns implementing the 5-scale grade questionnaire. The results from the wearing test evaluation were: (1) the gowns developed were considered better to compare to the existing one in the context of postures, movements, and comfort; (2) to consider the stable closure of the gowns while wearing, the scores of the gowns developed were higher as 4 to 5 while the existing gown showed the relatively lower scores, i.e. 1 to 2; (3) the evaluations of the wearing comfort of the standing posture for the gowns developed and the existed were more or less similar. however, considering the lying down posture, the scores of the developed ones were significantly higher, 4 to 5 than the existing ons's score, 2 to 3; (4) the gowns developed to have the wide-ham lines were considered more appropriate to the leg movement showing the 4 to 5 scores compared to the existing gown's score, 1. The results from the fit and appearance test evaluation were: (1) the gowns developed were considered better than the existing one in terms of appearance, fit, design features; (2) throughout the all hight levels, the means of the gowns developed were higher as over 4.0 than the existing gown's means, 1.0 to 3.0 in the most of the evaluation questions; (3) in the evalu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features, the gowns developed were more appropriate than the existing one. The nightgown developed considering the features of the Shimui and the Cheolik driven from the study may highlight the beauty and performance of the Korean traditional costume to be in the wide use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the world. Furthermore, considering the gowns in the study were made by using one material. i.e. 100% cotton, the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of the nightgown using material in more variety are required. 수면 시에는 일상적인 동작과는 상이한 동작과 형태를 취하게 되므로 잠옷, 휴식복으로 사용되는 나이트가운(nightgown)은 자세변화에 따른 구성이 고려된 형태이어야 한다. 어깨경사가 수평인 한복은 누워서 있는 자세와 눕거나 기대어 취하는 행동이 많은 나이트가운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최근의 관광산업에서는 문화에 관련된 체험관광 상품이 부상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적 이미지가 잘 표현된 전통복식을 활용한 나이트가운은 외국 관광객에게 우리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기회와 국내관광객에게는 과거와 현재의 연결고리가 될 수 있는 문화적인 체험으로의 여행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복의 구조가 기능적이면서도 철학적 사상이 담겨 있는 심의와 철릭을 이용하여 나이트가운을 개발·제작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한복의 구성적 특징을 고찰하고, 수면시의 인체의 동작과 생리적 특징을 분석하여 나이트가운의 설계요건을 정립하고 이를 제작 평가 하였다. 나이트가운의 설계의도를 요약하면 나이트가운은 수면시의 자세를 고려한 수평인 어깨선이어야 한다. 또한 한복의 구성적 특징은 잠옷이 요구하는 어깨경사각이 없는 수평의 소매 형태에, 압박감이 없는 넉넉함과 풍성함, 고름, 끈, 주름, 트임의 세부장식, 입고 벗기에 편리한 전개형 등으로 인체의 활동성과 기능성을 겸비한 나이트가운개발의 요건이 되었다. 특히 심의와 철릭은 넓은 폭의 상(裳)이 의(衣)부분과 허리에서 연결 된 상하연철의 구조로 이루어져 활동 시 하지의 움직임이 자유스러운 기능성과 함께 심오한 사상을 담고 있어 나이트가운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한 형태와 전통적인 요소를 포함한 문화적 특색도 지닌다. 설계요건에 따라 제작한 4벌의 나이트가운은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피험자가 입고 평가한 기능성 평가에서는 기존 가운에 비해 개발 가운이 동작 적응력, 활동성, 착용감의 기능성 만족도는 높았는데, 특히 움직일 때 여밈 부분이 벌어져 불편하지 않는지를 묻는 문항에서는 개발 가운의 만족도가 높았다. 그리고 자세에 따른 견부의 편안함을 묻는 항목에서는 선 자세인 경우 기존 가운과 개발 가운과의 만족도의 차이는 크지 않은데 비해 누운 자세에서는 기존 가운의 낮은 점수에 비해 개발 가운은 5점에 가까운 점수를 보여 수평의 어깨선은 나이트가운의 형태로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피험자가 착용한 모습을 관찰자가 보고 외관을 평가한 결과에서는 개발 가운 모두 기존의 가운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고, 특히 한국적 특색, 기념상품으로의 활용가능성, 나이트가운으로서의 적합성에 관한 항목에서 개발가운이 기존의 가운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 개발가운은 한국의 전통 이미지를 담은 특색 있는 디자인임을 알 수 있었다. 심의와 철릭을 활용하여 문화상품으로 제작한 나이트가운이 우리나라 사람 뿐 아니라 외국인에게까지 널리 사용되어지고 가운에 담긴 철학적 사상도 가운을 착용한 사람들에게 은연중에 전해져 우리민족의 전통복식에 대한 우수성을 재조명하고 전통복식이 더욱 계승 발전 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 고어드스커트의 패턴설계에 관한 연구

        최순희 창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83

        본 연구의 목적은 고어드스커트의 폭의 수 및 플레어 량, 플레어가 시작되는 위치, 소재의 변화가 고어드 스커트의 실루엣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패턴 설계방법에 따라 27종의 실험패턴을 Pattern CAD프로그램으로 제도하고, 20대 여성 피험자 한 명의 3D 인체 형상자료를 스캔하여, I-Designer series Version 3.2을 사용하여 3D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그 중 1가지 패턴을 선정하여 3종의 Polyester 직물로 실물 제작하여, 3D 시뮬레이션과 비교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고어드 스커트의 폭의 수와 플레어 량이 증가하고, 허리에서 아래로 내려갈수록 드레이프 량이 증가하였으며, 플레어가 시작되는 위치는 다트 끝점과 엉덩이둘레선의 경우 실루엣의 변화가 적고, 엉덩이둘레선과 햄라인의 이등분점에서 시작하는 경우는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2. 햄라인 단면은 폭의 수나 플레어 량보다는 햄라인 둘레의 전체길이가 햄라인 단면의 크기 및 형상에 더 큰 영향을 미치며,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단면의 크기가 커지고, 노드수가 많고 골고루 분포한다. 3. 플레어 시작위치 및 플레어 량에 의한 변화는 허리에서부터 엉덩이부분까지는 여유량에 관계없이 유사하고, 엉덩이 둘레선 아래는 변화를 보인다. 4. 소재의 무게에 따른 변화는 3D 시뮬레이션과 실물제작의 경우 드레이프 순위계수는 소재3, 소재2, 소재1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동일한 소재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3D 시뮬레이션과 실물제작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impacts of number of widths and amount of flares, the place where a flare starts, and the change of material of a gored skirt on the silhouette of the gored skirt. According to the pattern design method, 27 types of test patterns were drawn by the Pattern CAD program. Then 3D body form data of a female subject in her 20s was scanned to have a 3D simulation using the I-Designer series Version 3.2. Among the test samples, one sample was selected to be manufactured in the 3 types of polyesters for a 3D simulation and a comparativ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below: 1. As the number of widths and amount of flares of a gored skirt increases and the place falls further from the waist, the amount of drapes increased. And in terms of the place where the flare begins, the end point of dart and the hip line showed less change of silhouette where as the bisectional point of hip line and hemline showed a tremendous difference. 2. The overall length of hemline is more impacted by the size and form of the side of hemline than by the number of widths and the amount of flares. As the length increases, the size of side becomes bigger with more number of nodes distributed evenly. 3. For the place where the flare starts and the change due to the amount of flares are similar from the waist to the hip regardless of the remaining amount. However, it shows difference from below the hip line. 4. For the change due to the weight of the material, both in the 3D simulation and actual manufacturing, the drape index number appeared in the order of material 3, material 2, and material 1. Although the same materials were used,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3D simulation and actual manufacturing.

      • 환편물 상의의 패턴 설계방법 연구

        김형진 창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83

        컴퓨터산업의 발전에 따라 의복 제작에 있어서도 디자인, 패턴제작 및 봉제에 이르는 모든 과정에서 컴퓨터 제어자동 시스템의 도입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특히 의복 구성 분야에서는 사이즈 측정에서부터 의복의 피팅 과정까지의 전 과정을 컴퓨터로 처리할 수 있는 가상봉제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최근 편성물의 장점이 대두되면서 편성물에 대한 연구는 활기를 띠고 있으나, 편성물의 60%이상을 차지하는 환편물의 패턴 설계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미흡하다. 편성물은 여성복 상의에서도 다트를 사용하지 않는 등 직물과는 패턴 설계방법을 달리해야 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환편물에 적합한 토르소 패턴을 설계하였다. 기존의 패턴으로 환편물 상의를 I-Designer series Version 3.2에서 가상착의를 실시하여 적절성 여부를 확인하고, 부적절한 부분을 수정 보완하여, 환편물용 토르소 패턴을 설계하였다. 그 외관 및 단면의 형태를 기존 3종의 패턴과 비교하고, 실물제작하여 가상봉제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1. 연구 패턴은 앞가슴둘레는 B/4+1cm, 뒤가슴둘레는 B/4-1cm로 하고, 앞과 뒤 허리둘레는 W/4+3cm, 엉덩이둘레는 H/4으로 하고, 앞품은 B/6+ 1.5cm, 뒤품은 B/6+2.5cm, 옷 길이를 62cm, 뒤목너비는 B/20+2.5cm, 소매산은 A·H/4+2.5cm로 하였다. 2. 4종의 패턴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 연구 패턴은 다른 기존 패턴에 비해 높은 점수를 얻었다. 12항목 중 전면과 후면의 군주름 유무와 밑단선의 수평, 전체적인 외관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구패턴이 이 4가지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얻어 좋은 평가를 받았다. 3. 가상 봉제와 실물제작을 비교한 결과 목둘레와 소매너비를 제외한 그 이외 항목에서는 가상착의와 실물착의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가상 착의와 실물 착의 간의 차이가 없으므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한 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을 행하였으므로, 이를 전체 여성복 상의로 확대하는 경우에는 주의가 요구된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가 신축성 소재의 여유량을 감안한 패턴 제작 시 설계 방법 연구에 있어서는 참고 자료로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 되며, 앞으로는 다양한 체형에 적합한 환편물 패턴에 대한 개발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