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안락사 문제와 말기 환자에게 알릴 권리

        김형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Practice physicians are professionally obliged to interpret ethical precepts and laws in emergency situations under extreme pressure when resuscitation measures leave little or no time to consider deontological issues. The extent to which extraprofessional experiences influence physicians' attitudes towards terminal patients is a difficult issue to approach with preci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influence of some personal biographical circumstances on medical student' attitudes towards terminal patients. A total of 646 medical students were randomly chosen. Physicians, as an integral part of society cannot be expected to be immune to the influences which mould our attitudes. We suggest that medical students should receive information and training aimed at equipping them to face dying patients. 현대의학기술의 발달로 말기 환자와 안락사가 예상되는 환자에게 자신의 죽음을 알려야 할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이러한 문제들은 보다 합리적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의견을 알아보고자 설문지를 준비하여 의과대학 학부학생과 대학원생 646명에게 설문지를 조사하였다. 남녀간에 차이는 별로 없으나,의과대학생이 자기 자신이 말기 환자라면 나는 내가 죽어간다는 사실(병세)을 알기를 원하는가라는 대답에 남·여학생 모두 96%이상이었다

      • 과학과 교과 역량 함양에 미친 협동학습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김형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collaborative learning affects the newly introduced subject’s competencies in Proclam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rough meta-analysis.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on competencies in science education were investigated in two direction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to find out how cooperative learning influenced the competencies in science education for each dependent variable.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to find out what effect the competencies have on whether or not the components and condi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are implemented before performing cooperative learning. So, domestic and masters' and doctoral thesis published from 2000 to December 2019 were targeted. The analysis thesis use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Korea Institute of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RIS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923 articles related to cooperative learning were searched, of which 121 were directly related to science subject. Among the 121 previous studies, a total of 55 previous research thesis were selected and 87 effect siz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riteria equipped with factors to obtain 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SMD) for meta-analysis. The operational definition was defined to treat the dependent variable of the existing study as competencies in science education. Thus, the number of effect sizes is as follows. There are 1 scientific thinking ability, 14 scientific inquiry skills, 5 scientific problem solving skills, 3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and 64 scientific participation ability. The results of the first research problem are as follows. 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SMD) that cooperative learning has on competencies in science education is .3970. This is a moderate impact on Cohen's criteria, but lower than the results of other collaborative learning meta-analysis. It is means that cooperative learning has an effect of about 16% on improving the competency in science education. The effect size of scientific thinking ability is .1742, which is about 4%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effect size of the scientific inquiry ability is .31, which is also 11%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but it can be seen that it has a small effect. The effect size of the scientific problem-solving ability is .95, which is 32%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is suggests that cooperative learning increases the competence of scientific problem-solving ability compared to non-cooperative learning. The effect size of the scientific communication ability is .37, which is about 10%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is can be seen as a small size effect. Finally, the effect size of scientific participation ability was .36, which also showed a synergistic effect of about 10% than the control group. Similarly, it belongs to a small effect size. The results of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are as follows. 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SMD) that enforced the components and conditions before performing cooperative learning was .2325, which can be considered to be less effective in terms of Cohen. On the other hand, 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SMD) of the studies that did not perform the component and condition was .4531, which is greater than .2325. In other words, the execution of components and conditions means that cooperative learning cannot be regarded as a variable affecting competencies in science education. Rather than, it seems that not doing is high, so it can be considered that performing it has a negative effect. To draw conclusions, first, the number is lower than other meta-analysis, but cooperative learning has a moderate impact on competencies in science education introduced in Proclam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is is because the attitude variable, which was ineffective in previous studies, accounted for a large portion of the scientific participation ability variables in this study. The number of effect sizes of scientific participation abil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verall standardized mean difference(SMD). Seco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ponents and conditions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does not have the static effect of competencies in science education. There may be various reasons, but it is believed that the experim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a relatively high standardized mean difference(SMD), did not perform the components and conditions. Lastly, it is hoped that cooperative learning and research on other subject’s competencies of each subject will be actively conducted. So I hope that it will serve as the basis for a more diverse and meaningful analysis for other studies to be conducted. 본 연구는 협동학습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새롭게 도입된 핵심역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메타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협동학습이 과학과 교과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2가지 방향으로 설정하여 조사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협동학습이 종속변인 별로 과학과의 교과 역량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협동학습을 실행 하기 전 협동학습의 구성요소, 조건의 실행 유무에 따른 역량에 대한 효과는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9년 12월까지 발간된 국내의 석・박사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논문은 국회전자도서관,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를 이용하였다. 협동학습과 관련된 논문은 923건이 검색되었고 그 중 과학교과와 직접 관련이 있는 논문은 121건이었다. 121건의 선행연구 중에서 메타분석을 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평균의차(SMD)를 구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를 갖춘 기준에 따라 총 55건의 선행연구 논문을 선정하였고 87개의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이때, 조작적 정의를 가하여 기존의 연구의 종속변인을 교과 역량으로 처리하였다. 그리하여 효과크기의 개수는 다음과 같다. 과학적 사고력 1개, 과학적 탐구능력 14개, 과학적 문제해결력 5개,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3개, 과학적 참여능력 64개이다. 첫 번째 연구문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협동학습이 과학과 교과 역량에 미치는 표준화된 평균의 차(SMD)는 .3970이다. 이는 Cohen의 기준으로 볼 때 중간 정도의 영향이긴 하지만 다른 협동학습 메타분석의 결과보다 낮은 수치이다. 이를 해석하면 협동학습이 과학 교과 역량의 향상에 약 16% 정도의 효과를 미친다고 볼 수 있다. 과학과의 교과 역량 분류별 표준화된 평균의 차(SMD)는 과학적 사고력 .1742로 통제집단보다 4%정도 상승효과를 나타내지만 이는 의의가 없는 것과 같다. 과학적 탐구능력의 표준화된 평균의 차(SMD)는 .31로 이 역시 통제집단보다 11%정도 상승효과를 나타내지만 작은 효과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과학적 문제해결력의 표준화된 평균의 차(SMD)는 .95로 통제집단보다 32% 더 높은 효과를 낸다고 볼 수 있다. 이는 협동학습이 비협동학습에 비해 과학적 문제해결력의 역량을 상승시켜준다고 볼 수 있다.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의 표준화된 평균의 차(SMD)는 .37로 통제집단보다 약 10%정도 상승효과가 있다. 이는 작은 크기의 효과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과학적 참여능력의 표준화된 평균의 차(SMD)는 .36으로 이 역시도 통제집단보다 약 10%정도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찬가지로 작은 효과크기에 속한다. 두 번째 연구문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협동학습을 시행하기 전 구성요소, 조건을 시행한 표준화된 평균의 차(SMD)는 .2325으로 Cohen의 기준으로 볼 때 효과 크기가 작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에 구성요소, 조건을 실행하지 않은 연구들의 표준화된 평균의 차(SMD)가 .4531로 .2325보다 크다. 즉, 구성요소, 조건의 실험은 협동학습을 역량에 효과를 주는 변인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오히려 하지 않은 것이 높게 나타났기에 시행하는 것은 부적 효과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결론을 도출하자면 첫째, 다른 메타분석에 비하여 수치가 낮지만 협동학습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도입된 과학과 교과 역량에 중간 정도의 영향을 미친다. 이는 분석된 논문들에서 상대적으로 효과가 적었던 종속변인이 태도인데 본 연구에서 과학과의 교과 역량으로 과학적 참여능력의 효과크기의 비중이 높았기에 전체 표준화된 평균의 차(SMD)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협동학습 시행 전 구성요소, 조건의 실행 유무는 협동학습이 과학과 교과 역량의 정적 효과를 내지 못한다.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상대적으로 표준화된 평균의 차(SMD)가 높았던 중학생,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구성요소, 조건의 실험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협동학습의 각 교과 역량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앞으로 진행될 다른 연구에 더 다양하고 의미잇는 분석의 기초가 되길 바란다.

      • 애드-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null 벡터와 인증 코드를 이용한 생존정보 전달 프로토콜

        김형진 아주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에서는 데이터 통신에 앞서 통신하고자 하는 노드가 현재 정상적으로 기능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노드들의 생존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어떠한 노드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미 기능하지 않고 있는 노드와의 통신 시도를 차단할 수 있다. 생존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는 개별 전송 방식과 비트맵 방식이 있다. 개별 전송 방식은 전송의 효율성 측면에서, 비트맵 방식은 보안성의 측면에서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이면서도 보안을 고려하는 전달 기법을 제안한다. 각 노드는 고유 ID를 이용하여 생존정보 ID 벡터를 부여 받게 되며, 이 ID 벡터를 이용하여 수집한 생존노드들의 ID 벡터와 직교하는 null 벡터를 생존정보 메시지로 생성한다. 이 생존정보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는 미리 알고 있던 전체 노드의 ID 벡터 행렬과 메시지간의 내적 연산을 통해 생존정보를 획득한다. Null 벡터를 활용한 생존정보 전달 방식은 비트맵 방식과 동일한 전송 횟수에 생존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도청과 오염 공격 모두에 뛰어난 저항성을 가지고 있다. 공격자가 서로 통신하는 노드들 간에 공유하는 ID 벡터 행렬을 모르고, ID 벡터의 차원을 모르고 벡터의 원소가 속한 유한체의 크기가 충분하다면 생존정보 메시지를 도청한다 하더라도 생존정보를 해독해낼 수 없으며 유효한 오염 메시지를 생성할 확률도 지극히 낮다. 또한 인증 코드 기법을 적용하여 모든 메시지의 조작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인 생존정보 전달이 가능하다.

      • Terahertz CMOS on-chip antenna using defected ground structure

        김형진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a V-shaped patch antenna with defected ground structure is proposed at terahertz,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ed performance of a standard CMOS on-chip patch antenna consisting of several metal layers and very thin inter dielectric layers. The proposed V-shaped patch with slots allows the increased radiation resistance and broadband performance. In addition, the resonant patch is stacked on the V-shaped patch for multiple resonances. More importantly, the slots are formed in the ground plane, what is called defected ground structure, to further increase the radiation resistance and thus improve the bandwidth and efficiency. It is verified from the electromagnetic simulation that the leakage waves by defected ground can improve the antenna gain by coherently interfering with the topside radiation. It is also proved from the simulation that the probe tip used in the on-wafer measurement can increase the directivity of the antenna and thus reduce the radiation resistance. The proposed on-chip antenna is fabricated using a standard 65 nm CMOS process. The measurement shows very wide bandwidth of input return loss (> 10 dB) greater than 28.7% from 240 to >320 GHz. The corrected radiation efficiency is greater than 10% from 270 to 318 GHz (16.3% fractional bandwidth) with a maximum of 27.1% at 295 GHz. The corrected gain and directivity are 4.15 and is 9.8 dB, respectively, at 295 GHz. These results belong to the best performance among the terahertz CMOS on-chip antennas without using additional components or processes such as dielectric resonators, lens, or substrate thinning.

      • Assessment of hepatic cytochrome P450 3A activity in healthy volunteers, pregnant women, and patients with renal impairment using endogenous metabolic markers

        김형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Introduction: Cytochrome P450 3A (CYP3A) is a phase I drug-metabolizing enzyme which has a key role in the metabolism of xenobiotics such as drugs and endogenous substrates. Assessment of CYP3A activity prior to dose prescription may enable doctors to predict the therapeutic efficacy and safety of a wide range of therapeutic agents.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physiology-based changes in the CYP3A activity: a pregnancy dependent increase in the CYP3A activity induced by hormonal changes and a renal impairment dependent decrease in the CYP3A activity induced by an accumulation of the plasma level of indoxyl sulfate. However, the CYP3A activity during the pregnancy and according to the renal severity were not properly evaluated from previous studies. Additionally, the assessment of the CYP3A activity using probe drugs such as midazolam may result in drug-induced toxicity, thus their use is inappropriate in such vulnerable population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endogenous metabolic markers by comparing them with exogenous markers of hepatic CYP3A activity and to utilize those results to assess the activity of hepatic CYP3A in various populations including healthy volunteers, pregnant women, and patients with renal impairment. Methods: A total of 100 healthy volunteers, 48 pregnant women, and 66 patients with renal impairment were enrolled in this study. Gas chromatography coupled with triple-quadruple mass spectrometry was used to quantify the endogenous metabolic markers of hepatic CYP3A activity (urinary 6β-OH-cortisol/cortisol, 6β-OH-cortisone/cortisone and plasma 4β-OH-cholesterol).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electrospray tandem mass spectrometry was used to quantify the plasma concentration of midazolam, 1’OH-midazolam, urinary creatinine and indoxyl sulfate. The total plasma concentration of cholesterol was measured using an enzymatic colorimetric assay. Results: Midazolam clearance (MDZ CL) and the metabolic ratio of 1’OH-midazolam and midazolam (MDZ M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ndogenous metabolic markers of CYP3A activity. MDZ CL, 6β-OH-cortisol/cortisol, and 6β-OH-cortisone/cortisone decreased with increasing age. The 4β-hydroxycholesterol/cholesterol ratio was higher in pregnant women compared with that in non-pregnant women; however, no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rimesters.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eGFR) and the indoxyl sulfate level.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either the eGFR or the indoxyl sulfate level with the endogenous metabolic markers of hepatic CYP3A activity. Conclusion: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xogenous and endogenous metabolic makers for hepatic CYP3A activity. Therefore, the replacement of endogenous metabolic markers is considered feasible to the use of midazolam to measure CYP3A activity. When hepatic CYP3A activity was assessed in health volunteers, age dependent decrease in its activity was observe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hepatic CYP3A activity during pregnancy but pregnancy induced increase in the hepatic CYP3A activity was observed. Lastly, in this study, the severity of renal impairment induced accumulation of the blood level of indoxyl sulfate was observed.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of the endogenous metabolic markers with the plasma level of indoxyl sulfate or the eGFR. Thus, the impact of renal impairment on the hepatic CYP3A activity may negligible. Therefore, when prescribing CYP3A substrates, age and pregnant status of subjects should be considered to maximize beneficial efficacy of the drug.

      • 토끼 골연골 결손에서 골수 간엽 줄기 세포의 효과 :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for Osteochondral Defects in Rabbits

        김형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토끼 슬관절의 대퇴부 골연골 결손 치료에 있어서 자가 및 동종 골수 간엽 줄기 세포를 각각 주입하여 골연골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육안적 및 조직학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방법: 9 마리의 토끼를 사용하였으며 좌우 양측 대퇴골 내측과의 체중 부하 부위에 직경 5 mm, 깊이 4 mm의 골연골 결손을 만들었다. 3마리 토끼의 후상장골능에서 얻은 골수혈을 처리하여 간엽 줄기 세포를 얻었으며, 배양한 줄기 세포를 연골 결손 시행 일주일 뒤 토끼의 양측 슬관절에 주입하였다. 자가 줄기 세포 주입군(A), 동종 줄기 세포 주입군(B), 그리고 결손을 만든 후 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군(C)의 3 군으로 분류하였다. 골연골 결손 시행 직후부터 체중 부하를 하도록 하였으며, 결손을 만든 7주 후 토끼의 대퇴골을 채취하였다. 육안적 분석은 포토샵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손 부위의 크기를 측정한 뒤 이를 비교하였으며, 조직학적 분석은 변형된 국제 연골 재생 학회 점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육안적 분석상 A군과 B군이 C군에 비해 유의한 골연골 결손 치료효과를 보였다(p<0.05). A군과 B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조직학적 분석상 A군과 B군은 연속적이고 부드러운 관절면, 골연골 정상 분화 및 초자 연골 구조가 관찰되었으며 C군에서는 대부분의 결손 부위가 남아있고 섬유조직으로 대치되었다. A군과 B군은 C군에 비해 유의한 치료 효과를 보였다(p<0.05). A군의 조직학적 수치가 더 높았지만, A군과 B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 토끼 골연골 결손 모델에서 골수 간엽 줄기 세포의 관절내 주입은 간편하고 덜 침습적이며 효과적인 치료로 생각되며 저자들이 시행한 1 x 106개의 골수 간엽 줄기 세포의 주입은 결손부 재생에 있어 효과적인 농도로 판단된다. 그리고 자가 및 동종 간엽 줄기 세포 주입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both macroscopic and histologic results affecting the osteochondral regeneration with the injection of autologous and allologous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MSCs), in the treatment of osteochondral defects in rabbits' knees. Materials and methods : A 5 mm long in diameter and 4 mm depth osteochondral defect was made on the weight bearing medial condyle of 9 rabbits' femur. Bone marrows harvested from the posterior iliac crest were processed to obtain MSCs which were injected on both knee joint 7 days after surgery. Group A (n=6) received intra-articular injection of autologous MSCs. Group B (n=6) received intra-articular injection of allologous MSCs. Group C (n=6) was the untreated group. After the operation, the animals were allowed to move freely with full-weight bearing and the distal femur was achieved 7 weeks after creation of a defect. The defect areas were analyzed macroscopically using photoshop program and histologically using modified international cartilage repair society (ICRS) score. Results : Macroscopically, groups A and B showed better effects in osteochondral regeneration than group C (p<0.05).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group A and group B (p>0.05). Histologically, groups A and B showed continuous and smooth articular surface, clearly differentiated osteochondral architectures and hyaline cartilage. In contrast to groups A and B, group C showed that most of the defects remained and fibrous tissue was substituted. Groups A and B showed better effects in osteochondral regeneration with statistical improvement than group C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A and group B (p>0.05) but mean ICRS scores were relatively high in group A. Conclusion : The intra-articular injection of marrow MSCs is simple, less invasive and effective in the healing of osteochondral defects in rabbit models. Also, injections of 1 x 106 MSCs were considered as an effective density in regenerating osteochondral defec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steochondral defects between the autologous MSCs and allologous MSCs injection groups.

      • 대장암세포에서 Quercetin-유도 세포사멸 기전의 연구 : Studies on the Mechanism of Quercetin-induced Apoptosis in Colon Cancer Cell

        김형진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HT-29 대장암 세포와 이종이식 동물모델에서 quercetin으로 유도된 AMPK의 활성화 및 p53 의존성 세포사멸을 통한 아폽토시스 기전에 관한 연구로 식물성 flavonoid의 대표적 성분 중 하나인 quercetin을 이용하여 최근 급증하고 있는 대장암에서의 chemoprevention 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실험을 진행 하였다. HT-29 대장암 세포주를 이용한 in vitro 실험에서 quercetin을 50, 100 uM의 농도로 24, 48시간 처치한 후 MTT assay를 수행한 결과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의 증식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했다. FACS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한 실험에서 quercetin을 처치한 후 24시간 뒤 G1 phase에서 cell cycle arrest가 관찰되었고, Annexin V와 PI staining을 통해 세포의 apoptosis를 관찰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아폽토시스 효과가 확인 되었다. Nuclei morphology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DAPI staining 결과 처치군 모두 chromatin condensation이 확인 되었으며, immuno blot 기법을 이용한 Western Blot 결과 아폽토시스를 조절하는 기전으로 알려진 AMP-kinase와 관련된 AMPKα, p-AMPKα, p-p53, p21, Bax, bcl-2, caspase-3, c-caspase-3, PARP, c-PARP의 농도가 quercetin의 처치농도 및 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조절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In vivo 실험에서는 누드마우스에 HT-29 대장암 세포를 이종이식 시킨 후 6주간의 quercetin 경구투여를 통해 이식된 종양의 크기가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이 확인 되었다. 아폽토시스와 관련된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기 위한 면역조직화학염색 (IHC) 결과 고용량 (100 mg/kg) 처치군에서 p21 및 p53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 되었으며, TUNEL assay를 수행한 결과, 고용량군 (100 mg/kg)에서 뚜렷한 아폽토시스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quercetin은 HT-29 대장암 세포에서 AMPK의 활성화를 통한 아폽토시스를 유발시키며, 대장암 세포의 증식 및 종양 형성의 억제에 상당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