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dysfunction in korean patients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based on new criteria of neuropsychological classification

        박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Background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is characterized by progressive neuronal degeneration of motor neurons, associated with a spectrum of cognitive impairment such as frontotemporal dementia (FTD) as a part of a multisystem disorder. In 2014, previous study already reported a spectrum of cognitive impairment in Korean patients with ALS. In that study, patients with ALS with FTD had a poorer prognosis than patients with ALS with normal cognition. Over the years, genetic advances have been made and revised diagnostic criteria including behavioral impairment have been suggested. Contrary to our knowledge, other study reported that subtle neuropsychological impairment does not affect survival in ALS. Therefore, we investigate neuropsychological features in Korean patients with ALS using the revised diagnostic criteria of ALS-FTSD. We aimed to approach ALS as a multisystem disorder and provide clinical evidence that neuropsychological impairments affect the prognosis of sporadic ALS. Methods Two hundred ninety-nine patients with sporadic ALS were enrolled from a prospective longitudinal cohort from March 2009 to June 2017. We performed neuropsychological evaluation, and collected the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family history of related diseases, and genetic screening for ALS-related genes. According to the revised ALS-FTSD diagnostic criteria, all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pure-ALS, cognitive impairment (ALSci), behavioral impairment (ALSbi), combined cognitive and behavioral impairment (ALScbi), frontotemporal dementia (ALS-FTD), and ALS comorbid with other types of dementia groups. We analyzed the neuropsychological and demographic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Through survival analysi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on survival time in patients with sporadic ALS. Results Number of finally enrolled patients who were compatible with inclusion criteria was 299. There was no cognitive impairment in 148 patients with ALS (49.5%). One hundred thirty-nine patients (46.4%) showed cognitive or behavioral abnormality. Among them, the ALSci group was the most populous (102 patients, 34.1%) followed by ALScbi (28 patients, 9,4%), ALS-FTD (12 patients, 4.0%), and ALSbi (nine patients, 3.0%). The ALSci, ALScbi, and ALS-FTD groups were significantly impaired in executive function, attention, language, calculation, and memory compared with the ALS pure group, while the ALSbi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compared to the ALS-pure group. In the survival analysis, patients with ALS with neuropsychological impairment (ALSci, ALSbi, ALScbi, and ALS-FTD) showed significantly shorter survival than patients with ALS with normal cognition (ALS-pure group).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assessed a large number of patients with ALS with the revised ALS-FTSD diagnostic criteria and extended genetic screening.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y, we found more patients with ALS with cognitive or behavioral impairments. Moreover, behavioral and cognitive impairments and FTD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survival. We suggest that when we first evaluate patients with ALS, we should perform tests for behavioral impairment as well as cognitive function. We expect to use these neur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s a clinical biomarker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ALS.

      • 보도 사진에 있어서의 과해석 현상에 대한 연구

        이영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미디어 텍스트에 있어서 과해석(overinterpretation) 개념을 적용시켰던 기존의 연구에서 더 나아가, 글로 만들어진 텍스트가 아니라 이미지로 만들어진 텍스트, 그 중에서도 보도사진에 과해석이 적용되는지를 연구문제로 삼았다. 이를 위해 부정적 속성을 띠는 기사와 보도사진, 각 네 개씩을 선정하고 기존의 ‘과해석’ 적용 틀과 ‘비언어적 표현’ 틀로 분석했다. 연구결과 보도사진 역시 과해석의 개념이 그대로 적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됐던 다섯 가지 기준인 유사성, 경제성, 화제의 일관성, 사회적 맥락, 작가의 무의식은 텍스트로서의 속성을 가진 사진에서 과해석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해줬다. 그리고 보도사진이 가지는 시간의 단절성, 즉 시간을 단절하고 차단해 공간적 표현을 해내는 특성과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사진이 캡션이나 기사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된다는 보충, 보완의 특수성에서 나온 보충성과 현장성의 기준 역시 과해석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해줬다. 새로운 기준을 이 연구에서 제시한 셈이다. 보충성과 현장성의 기준으로 과해석 여부를 분석할 때, 보도사진의 속성은 비언어적 표현 틀에 의해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분류되었다. 이를 기사의 속성과 비교해서 과해석 여부를 판단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보도사진은 기사의 동일한 속성을 띠었으나 특정 사진은 상반되는 속성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보도사진의 과해석 여부를 판단할 때, 보충성과 현장성의 개념을 완벽히 적용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보도사진에 있어서도 과해석이 적용될 수 있고, 또 새로운 기준을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디어 텍스트에 한정되어 있었던 과해석의 개념을 확장시키고, 더불어 추가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적용한 것을 본 논문의 의의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과해석의 명확한 경계를 어디까지로 둘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한 물음은 해결하지 못한 한계를 보여주었다. 이는 작가(기자)의 무의식 그리고 오해석(misinterpretation) 관련한 근본적인 물음이다. 그러나 이후의 연구들이 계속 이어져 과해석 기준들이 더욱 명확해지고 관련 사례들이 풍부해지면 과해석과 오해석의 구분에 관한 문제는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 Therapeutic effects of a novel PARP-1 inhibitor, JPI-289, in models of acute ischemic stroke

        김영철 한양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Excessive activation of Poly (ADP-ribose) polymerase-1 (PARP-1) after ischemic stroke is known to develop neuronal apoptosis, necrosis and inflammati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in vitro and in vivo neuroprotective effects of a novel PARP-1 inhibitor, JPI-289. The inhibitor strongly inhibited PARP-1 activity (IC50 = 18.5 nM) and cellular PAR level (IC50 = 10.7 nM). In rat cortical neuronal cells, JPI-289 did not affect cell viability up to 1 mM as shown in trypan blue staining (TBS) and lactate dehydrogenase (LDH) assays. In oxygen glucose deprived (OGD) rat cortical neuron, treatment of JPI-289 attenuated PARP activity and restored ATP and NAD+ levels. JPI-289 treatment in the OGD model showed decrement of apoptosis-associated molecules including apoptosis-inducing factor (AIF), cytochrome-C and cleaved caspase-3. After the evaluation of JPI-289 in vitro model, we investigated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JPI-289 in rat permanent and transient stroke models. In transient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model in rats, JPI-289 treatment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of infarcted area of brain, which was maximal at the dose of 10 mg/kg up to 36% reduction. The therapeutic time window was 8 hours for reduction of ischemic volume up to 29%. Moreover, number of apoptotic cells decreased by 56% compared to control. When model was twitched to permanent MCAO model in rats, JPI-289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infarcted volume up to 20% at the dose of 40 mg/kg, and improved behavioral socre. Along with stable and safe data of novel PARP-1 inhibitor, JPI-289 on pharmacokinetics and toxicology, its effectiveness on ischemic stroke models and modes of action mechanisms suggest that JPI-289 could be a potential therapeutic agent for the treatment of acute ischemic stroke.

      • (The) pathogenic role of plasma Gelsolin in sporadic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안수경 한양대학교 의생명공학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배경 및 목적: 근위축측삭경화증(ALS)은 운동신경계를 선택적으로 침범하며 급속히 진행 및 파급이 병리적으로 일어나는 신경계퇴행성질환 중 예후가 좋지 않은 희귀난치성질환이다. 대표적인 병리기전으로 흥분성 신경독성, 비정상적 단백 응집, 과도의 산화성-스트레스, 신경 염증성 반응 등이 제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는 상태이며 이 질환의 진단은 아직까지도 임상적 소견에 의해 이루어지고 임상 양상이 매우 비균질적이어서 신뢰할 수 있는 진단적 혹은 예후 예측 바이오마커의 개발이 시도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plasma Gelsolin(pGSN)의 농도가 면역-염증반응, 급성 혹은 만성 신경계 손상 및 신경계퇴행성질환에서 변화한다는 근거들에 착안하여 근위축측삭경화증(ALS)에서 정상인과의 차별점이 있는지와 예후예측에 도움이 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가장 잘 알려진 plasma Neurofilament light chain (pNfL)에 대한 비교 분석 및 척수액의 면역-염증매개 cytokine 등과의 상관성과 의미를 동시에 분석하였다. 방법: 한양대학교 병원 근위축측삭경화증 코호트에서 125명의 환자와 건강한 대조군 70명에서 보관된 혈액과 뇌척수액 샘플을 이용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자는 ALS의 진행 경과를 평가할 수 있는 ALSFRS-R 점수가 시기적으로 모두 조사된 환자로 국한하여 진행 속도는 ∆FS를 구하였으며 환자의 장기적 추적을 통해 사망 혹은 환자의 primary end point를 분석하였다. pGSN과 pNfL의 농도는 혈장 샘플로부터 각각 ELISA와 Simoa를 이용해 측정하였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농도는 CSF 샘플로부터 측정하였다. 환자군은 질병 진행 속도, pGSN 농도의 중간값을 기준으로 각각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하위 그룹 분석을 진행하였다. pGSN 농도와 ALSFRS-R, ∆FS, 척수액의 면역-염증 매개 cytokine 농도, pNfL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 모집된 집단에서, pGSN 농도는 대조군보다 ALS 환자에게서 유의미하게 높았고 (p = 0.0002), 대조군에 대한 분별력은 ROC 곡선을 통해 확인하였다 (AUC = 0.65). 하위 그룹 분석에서 rapid 그룹의 pGSN 농도는 HC보다 통계적으로 높았다 (HC의 경우 142.60 ng/ml ± 35.09, slow의 경우 157.55 ng/ml ± 35.28, rapid의 경우 171.91 ng/ml ± 50.09, HC vs. Rapid의 경우 p = 0.0053). pGSN의 중간값에 기초한 다른 하위그룹 분석에서는 high-pGSN 그룹이 ΔFS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r = 0.400, p = 0.001). Kaplan-Meier survival curves를 통해 high-pGSN 그룹이 더 나쁜 예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p = 0.032).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pGSN 수치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번 연구에서 Plasma GSN의 진단적 예후적 역할이 pNfL을 뛰어넘지는 못하였지만, pGSN과 pNfL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두 인자 사이의 유의미한 양의 상관 관계를 확인하였다 (r = 0.248, p = 0.005). 결론: 이번 연구를 통해 pGSN이 정상인과 구분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로서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또한 pGSN이 ALS 환자의 질병 진행 속도를 예측할 수 있으며, 생존 기간의 예후 인자로 기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현재까지 가장 신뢰성이 높다고 알려진 pNfL과 비교하였을 때 pGSN의 진단적 및 예후 예측에 대한 판별가치는 pNfL의 가치보다 낮았다. 그러나 혈장 샘플에서 pGSN을 측정하는 데 필요한 비용이 pNfL을 측정하는 데 필요한 비용보다 비용 효율적이고, 단면적인 연구를 넘어 종단적 연구를 진행한다면 다른 가치가 있을 지는 추후에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Gelsolin의 ALS에서 중요한 병리기전 및 역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 Objective: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is the most common incurable motor neuron disease with a poor prognosis. It progresses rapidly, and the pathology spreads sequentially. Typical pathological mechanisms include excitotoxicity, abnormal protein aggregation, excessive oxidative stress, and neuroinflammatory reactions, but there are currently no effective treatments for ALS. The diagnosis of ALS is mainly based on clinical criteria, but because the clinical features are heterogeneous, numer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develop reliable diagnostic or prognostic biomarkers. Recent studies revealed the level of plasma Gelsolin (pGSN) changes in immune-inflammatory reactions, acute or chronic nervous system disorders,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discriminatory power of pGSN between ALS patients and healthy controls (HC) and their prognostic potential.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pGSN was compared to the level of plasma Neurofilament light chain (pNfL). Also,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pGSN or pNfL and inflammatory cytokines in CSF. Methods: Blood and CSF samples of ALS patients (n = 125) and age-matched HC (n = 70) were collected from the ALS cohort of Hanyang University Hospital, and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Clinical data of each subject, including demographic information, the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Functional Rating Scale-Revised (ALSFRS-R) score, the disease progression rate (∆FS), and the dates of tracheostomy and death, were collected through long-term follow-up. pGSN and pNfL were quantified by th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method and the ultrasensitive single molecule assay (Simoa) technology, respectively. In addition, inflammatory cytokines from each subject were analyzed in CSF samples using a multiplex assay. We stratified ALS into rapid- and slow-progression subgroups based on the disease progression rate and the median values of pGSN and pNfL. Also, we correlated pGSN levels with several clinical parameters (ALSFRS-R, ∆FS), CSF inflammatory cytokines, and pNfL levels for correlative analysis. Results: pGSN level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ALS patients compared to HC (p = 0.0002), and ROC curve analysis revealed the ability to discriminate between ALS and HC (AUC = 0.658). In subgroup analysis, the ALS rapid group's pGSN level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HC (142.60 ng/ml ± 35.09 for HC; 157.56 ng/ml ± 35.28 for the slow group; 171.91 ng/ml ± 50.09 for the rapid group, p = 0.0053 for HC vs. rapid). In dichotomized subgroups based on the median level of pGSN, the high-pGSN group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ΔFS (r = 0.400, p = 0.001). Kaplan-Meier survival curves explain that the high-pGSN group had a worse prognosis (p = 0.044). CSF inflammatory cytokines had no correlation with the pGSN levels. Although the pGSN levels did not surpass pNfL in terms of diagnostic and prognostic valu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GSN and pNfL (r = 0.248, p = 0.005).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ed that elevated levels of pGSN had a value for discriminating between ALS patients and HC. Also, we found the prognostic performance of pGSN as it could predict the disease progression rate of ALS patients and survival time. However, considering the pNfL level as a currently available known biomarker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ALS, the measurement of pGSN did not reach the significance of pNfL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Nevertheless, the measurement of GSN in plasma has better cost-benefit effectiveness than neurofilament. So, whether another value exists can be found through longitudinal studies, and it will clarify the important pathogenic role of pGSN in ALS.

      • The Effects of High Temperature on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Growth and Seed Yield

        백재경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Recently, abnormal weather, such as extreme high temperature and drought, has increased due to climate change. So, there has been a growing concern about damage to field crop, including soybea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increased temperature on soybean growth and yield using temperature gradient chamber (TGC). The response of soybean growth and seed yield under elevated temperature was conducted using TGC at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in Korea in 2019. The two major types of soybean cultivar, medium- seed cultivar such as Daepung-2 (DP) and large-seed cultivar such as Daechan (DC), were used and four temperature treatments, aT+1°C (ambient temperature+1°C), aT+2°C (ambient temperature+2°C), aT+3°C (ambient temperature+3°C) and aT+4°C (ambient temperature+4°C) were established to examine the growth response and seed yield of each cultivar. In all cultivars, the vegetative stage (VE-R1) did not differ in the development rate depending on temperature rise, but the development rate of the reproductive stage was delayed due to the temperature rise. Also, seed yield showed a higher correlation with seed weight (r=0.713***) and the increased temperature affected soybean seed yield by reducing the single seed weight. In particularly, seed growth rate of the large-seed cultivar (Daechan) increased in high temperature condition,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number of days for full maturity. These results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seed quality. In Daechan, nitrogen (N), calcium (Ca) and magnesium (Mg) content decreased. However, N and Ca content in Daepung-2 increased.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large-seed cultivar, such as Daechan, is vulnerable to high temperature stress, given the seed yield and seed qu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developing cultivation technology to reduce damage caused by elevated temperature. Also,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table production of soybean by evaluating the growth response of each soybean cultivar by elevated temperature.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고온, 한발 등 이상기후 발생이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해 콩을 포함한 식량 작물의 재배 피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온도구배챔버를 활용하여 상승된 온도 조건에서 콩의 생육 및 수량 반응을 분석하였다. 온도 상승에 따른 콩 품종별 생육 반응 및 종실 수량을 분석하기 위해 대풍 2호 (중립종), 대찬 (대립종) 등 주요한 두 품종을 활용하여, 외기 온도 대비 +1~+4°C의 온도 조건을 처리한 결과, R1-R5, R5-R7의 생식생장기간의 생육 속도가 지연되었다. 또한, 종실 수량과 수량구성요소 간 상관분석 결과에 따르면 종실 수량은 1립중과 높은 상관관계 (r=0.713***)를 나타냈고, 전 생육기간 온도 상승에 따라 1립중은 감소해 최종 종실 수량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대립종인 대찬 품종은 고온 조건에서 종실 등숙 속도가 증가해 등숙소요일수가 감소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종실 품질에 영향을 미쳐 N, Ca, Mg 등 단백질 및 무기원소 함량이 감소하였다. 즉, 종실 수량 및 품질을 고려해 볼 때, 대립종이 고온 조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상승된 온도조건에 따른 콩 생육 및 수량반응을 평가함으로써 향후 이상기상 대응 콩의 안정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방사능 세슘제거를 위한 강자성체-프러시안 블루 복합체 제조 및 적용

        여우석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전 세계적으로 고도 산업화 및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가파른 인구증가에 따른 에너지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의 에너지 공급원인 화석에너지로는 사용자의 수요를 충족할 수 없으며 화석연료의 고갈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또한, 화석에너지는 온실가스를 배출하여 지구온난화와 같은 심각한 환경문제를 유발하기 때문에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 개발이 요구된다. 원자력에너지는 생산단가가 저렴하고 고갈의 위험성이 없어 경제적이며 안정적으로 양질의 에너지를 공급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원자력 에너지는 에너지 생산 과정에서 방사능 물질이 포함 된 방사능 폐기물이 발생되며 원자력 사고와 같은 잠재적인 위험도 존재한다. 원자력 사고가 발생되면 엄청난 양의 방사능 물질들이 지하수, 하천과 같은 수계 환경 속으로 유출되어 엄청난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수계로 유출된 방사능 물질들은 확산 속도가 커 피해 범위가 크며 반감기가 다양하여 오염이 장시간동안 유지된다. 원자력 사고를 통해 방류되는 방사능 물질들 가운데 방사능 세슘(137Cs)은 반감기(Half-life)rk 30.17년으로 매우 긴 편이며, 수용성의 성질을 가져 수계로 유입될 경우 수중으로부터 분리·제거가 어렵다. 또한 방사성 세슘에 의하여 오염된 수중 식물을 통해 최종적으로 인간에게 전달되어 인체농축이 일어나 암과 같은 질병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자연환경과 생태계환경에 악영향을 주는 방사성 세슘은 완벽하게 처리되어야 한다. 프러시안 블루(Prussian Blue, PB)는 입방격자를 가진 푸른색의 염료로써 수중에 존재하는 세슘을 제거하는데 효율적인 물질이라고 알려져 있다. PB 내부의 입방격자의 크기와 방사능 세슘이 잘 맞아 세슘 이온을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다. 하지만 세슘제거에 효율적인 나노크기의 분말형 PB를 세슘제거에 직접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처리효능은 우수하나, 수중에 용해되어 분리·회수가 어렵다. 분리·회수되지 못한 PB입자들은 수계에 축적되어 2차 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말형태의 PB입자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복합체 제조 및 적용하였다. 수중의 존재하는 세슘을 안전하고 완벽하게 분리하고 2차 환경오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복합체의 주요 재료는 자성력을 지닌(Magnetic Substance) 중 강력한 자성력을 지닌 강자성체(Ferromagnetic Substance)로 선정하였다. 강자성체는 외부자기장에 가해지면 내부 모멘트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여 강한 자성력을 가져 적은 에너지로도 수중으로부터 완벽하게 분리가 가능한 물질이다. 본 실험에서는 강자성체로 펜타카르보닐철 제작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을 재활용하여 제조하여 친환경적인 Carbonyl Iron입자를 선정하였다. CI의 입자의 표면에 산화, 실란처리를 통한 표면 활성화 과정을 통해 균등하고 균질하게 PB입자가 형성된 새로운 형태의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복합체의 표면에 전자주사파현미경(SEM)을 통해 CI, 산화 처리된 Oxidation Carboynl Iron(OCI), 실란처리를 통하여 활성화된 Activation Carboynl Iron(ACI), 입자의 표면에 PB입자가 형성된 새로운 형태의 복합체 단계별 분석을 통해 PB입자가 균등하고 균질하게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X선 회절분석기(XRD)를 통해 분석한 결과 복합체에서 강자성체인 Carboynl Iron 입자와 PB입자 고유의 결정 구조를 확인함에 따라 입자의 표면에 형성되어있는 나노사이즈의 입자들은 PB임자임을 확인하였다.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기(FT-IR)을 통해 관찰한 결과 강자성체 고유의 화학적 특징은 유지하고 있으며 입자의 표면에 PB의 고유 화학식 및 PB를 형성하기 위한 화학적 반응들이 정상적으로 발현된 것을 확인하였다. 복합체의 세슘제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Batch 실험 결과 수중에 존재하는 세슘에 대하여 99.5%의 제거율을 얻었고 복합체의 분배계수는 113,136mL/g으로 좋은 품질의 흡착제로 분류할 수 있다. 등온흡착실험(Adsorption isotherm)을 통해 복합체는 물리적, 화학적 흡착이 모두 일어나지만 단층흡착을 하는 Langmuir 등온흡착이 더 우세하며 복합체의 세슘 최대 흡착량(qm)으로 79.3mg/g까지 흡착이 가능하다. 복합체의 최적의 적용조건을 도출하기 위하여 중심합성설계법(CCD)-표면합성분석법(RSM)를 통해 실험 설계 및 실험을 실시하였다. Response optimization을 사용하여 최적의 적용조건을 도출한 결과 세슘 원수의 pH는 6.97, 세슘 원수의 초기농도는 5㎍, 교반속도는 20rpm, 그리고 반응시간은 6.59분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조된 새로운 형태의 복합체를 적용한다면 수중에 존재하는 세슘을 안전하고 완벽하게 제거하여 경제적, 환경적으로 이점을 지닌 방안이라고 판단된다. As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of the world is progressing, energy demand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steep population growth. Fossil energy, which is an existing energy supply source, cannot meet the user's demand, and exhaustion is on the rise. In addition, since fossil energy emits greenhouse gases and causes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global warming, alternative energy development is required to solve the energy problem. Nuclear energy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high-quality energy economically and stably because of low production cost and no risk of exhaustion. However, nuclear energy generates radioactive wastes containing radioactive materials during the production of energy, and there are also potential risks such as nuclear accidents. In the event of a nuclear accident, a huge amount of radioactive materials are leaked into aquatic environments such as groundwater and rivers, causing massive damage. In particular, the radioactive substances spilled into the water have a large diffusion rate and a large damage range, and the half-life is varied so that the contamination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Among the radioactive substances released through nuclear accidents, radioactive cesium (137Cs) has a long half-life of 30.17 years and is very water soluble and difficult to separate and remove from the water when entering the water system. In addition, it is finally delivered to humans through aquatic plants contaminated with radioactive cesium, causing human concentration to cause diseases such as cancer. Therefore, radioactive cesium, which adversely affects the natural and ecosystem environments, must be completely treated. Prussian Blue (PB) is a blue dye with a cubic lattice and is known to be an effective material for removing cesium in water. The size of the cubic lattice inside the PB and the radioactive cesium match well to allow selective adsorption of cesium ions. However, when the nano-sized powder PB, which is efficient for cesium removal, is directly used for cesium removal, the treatment efficiency is excellent, but it is dissolved in water and difficult to separate and recover. PB particles that are not separated or recovered can accumulate in the water and cause secondary environmental problems. Therefore, in this study, a new type of composite was prepared and appli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PB particles in powder form. The main material of the new type of composite that can safely and completely separate the cesium in the water and prevent the secondary environmental pollution in advance is the Ferromagnetic Substance which has the strong magnetic force among the Magnetic Substance. Was selected. Ferromagnetic material is a material that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water with little energy because the internal moments move in the same direction when applied to an external magnetic field, and have strong magnetic force. In this experiment, eco-friendly carbonyl iron particles were selected by recycling by-products produced during the production of pentacarbonyl iron as ferromagnetic materials. Through the surface activation process through oxidation and silane treatment on the surface of the CI particles, a new type of complex in which PB particles were formed uniformly and homogeneously was prepared. A new form of CI, oxidized Oxidation Carboynl Iron (OCI), Activation Carboynl Iron (ACI) activated by silane treatment, and PB particle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mplex Complex phas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PB particles were formed uniformly and homogeneously. X-ray diffractometer (XRD) analysis confirmed that the intrinsic crystal structure of the ferromagnetic Carboynl Iron particles and PB particles in the composite, it was confirmed that the nano-sized particle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are PB. Observation through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revealed that the ferromagnetic inherent chemical properties were maintained and that the intrinsic chemical formula of PB and chemical reactions for forming PB were normally expressed on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As a result of the batch test to evaluate the cesium removal ability of the complex, 99.5% of the removal rate of cesium in water was obtained, and the partition coefficient of the complex was 113,136 ml/g. Adsorption isotherm allows the composite to have both physical and chemical adsorption, but Langmuir isotherm adsorption with monolayer adsorption is more prevalent, and the maximum adsorption amount of cesium (qm) of the complex allows adsorption to 79.3 mg/g. In order to derive the optimum application conditions of the composites, experimental design an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hrough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CCD) -surface synthesis analysis (RSM). As a result of deriving optimal application conditions using response optimization, the pH of raw cesium was 6.97,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raw cesium was 5㎍, the stirring speed was 20rpm, and the reaction time was 6.59 minutes. The application of a new type of composite produced through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a safe and complete solution to remove cesium in water, which is economically and environmentally beneficial.

      • 적조생물이 역삼투법 해수담수화 정밀여과 공정의 효율에 미치는 영향

        민충식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역삼투법 해수담수화 시설에 다량의 적조생물이 유입될 경우 심각한 막오염이 발생 하며, 이로 인하여 운전압력 증가, 처리수량 감소 등의 문제가 유발된다. 본 연구는 적조생물이 역삼투법 해수담수화 전처리 공정인 정밀여과장치의 효율에 미치는 영향과, 적조생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실 규모의 정밀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적조생물인 Heterosigma akashiwo와 Prorocentrum micans종이 정밀여과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적조생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약품(Cl2, KMnO4, FeCl3)주입 및 DAF와 FA공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째, 적조생물의 개체수가 많을수록 다당류농도가 증가하였다. Heterosigma akashiwo의 개체수가 50,000cells/mL일 때, 6.3mg/L이며 Prorocentrum micans의 개체수가 50,000 cells/mL은 6.5 mg/L로 연구수역의 해수에 비하여 약 7배 높았다. HPSE를 이용하여 Heterosigma akashiwo가 분비하는 유기물질의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33,000 · 55,000 dalton 이었다. 둘 째, Heterosigma akashiwo와 Prorocentrum micans 두 종의 시료를 이용하여 정밀여과장치를 운전한 결과, 개체수가 많을수록 막오염이 증가되어 막간차압이 증가하였다. CLSM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적조생물이 분비하는 다당류 물질이 막에 흡착 됨을 알 수 있었으며, 유입농도가 높을수록 막에 축적되는 양도 증가하였다. 셋 째, Heterosigma akashiwo 50,000 cells/mL의 시료에 산화제인 Cl2, KMnO4 8 mg/L를 주입한 결과, 세포가 파괴되어 세포내 유기물질이 분비되었으며, 이로 인해 막간차압이 증가하였다. 응집제인 FeCl3 8 mg/L를 주입한 경우는 적조제거 효과는 크지 않았으며, 100 mg/L 주입 한 경우 다당류 제거율 39 %, 세포는 제거율은 87% 까지 제거 되었다. 넷 째, DAF 단독 공정의 적조 개체수 제거율은 82% 높았던 반면 다당류 제거율은 18%로 낮았다. DAF+FA조합 공정의 적조생물의 제거율은 99%, 다당류 제거율은 50.1 %로 DAF 단독 공정보다 효과적이었다. When many algae are introduced into a reverse osmosis desalination system, a serious membrane fouling occurs, and leads to operation pressure increase and reduction of treatment capacity.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red tide algae on the efficiency of micro-filtration device, a pre-processing of reverse osmosis desalination system, and investigates a plan to remove red tide algae effectively. The effect of Heterosigma akashiwo and Prorocentrum micans upon micro-filtration membrane was examined using a lab-scale micro-filtration process, and chemical injection (Cl2, KMnO4, FeCl3) and DAF(dissolved air flotation) and FA(filter absorber) process were performed to remove the marine algae.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ly, when population of algae was high, the concentration of polyaccharide increased. When the abundance of Heterosigma akashiwo was 50,000cells/mL, it became 6.3mg/L. And when the abundance of Prorocentrum micans was 50,000 cells/mL, it became 6.5 mg/L, which was 7 times higher than the sea water of Masan bay. When the molecular weight of protein and polysaccharide, which Heterosigma akashiwo secretes, was measured using HPSEC, it was 33,000 · 55,000 dalton. Secondly, when samples of Heterosigma akashiwo and Prorocentrum micans were operated using a micro-filtration process, the population of marine algae increased and increased membrane pollution that led to TMP increase. By CLSM image analysis, polysaccharide secreted in the red tide algae was found to be absorbed into membrane, and when there was high inflow concentration, the amount to be accumulated in the membrane increased too. Thirdly, when the oxidizer Cl2, KMnO4 8 mg/L was injected into Heterosigma akashiwo and the sample of 50,000 cells/mL, cells of marine algae were destroyed and organisms in the cells were secreted which increased the TMP. When the coagulant FeCl3 8 mg/L was injected, there was no high efficient in removing the red tide. But, when 100 mg/L was injected, the rejection rate of polysaccharide became 39 %, and the rejection rate of red tide population increased by 87%. Accordingly, when removing the red tide algae using coagulant, plenty of coagulant is required. Fourthly, when the marine algae was removed using the DAF and FA process, the independent DAF process showed an 82% rejection rate. But the rejection rate of polysaccharide was insufficient with 18%. The rejection rate of DAF+FA combination process reached to 99%, and the rejection rate of polysaccharide was 50.1 %, which was proven effective.

      • 자하 하디드 비선형 건축의 특성을 적용한 패션 디자인 연구

        양상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패션 발전의 역사를 통틀어 패션과 건축은 항상 수많은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으며, 오늘날의 패션 디자이너는 건축의 조형, 질감 및 재료 질감에서 영감을 받아 패션의 윤곽과 세부 처리에 사용되며 패션 디자인 언어를 풍부하게 한다. 자하 하디드는 현대세계 건축 분야에서 전위적이고 급진적인 건축가로서 새로운 건축양식을개척하여 비전통적인 건축양식을 창조한다. 다른 건축물과 달리 자하 하디드의 비선형 건축은 혁신적인 형태를 구조적, 비선형적, 유기적 가소성의 형식적 언어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최근 몇 년 사이 자하 하디드의 건축 디자인과 관련된 연구도 많아지고 있다. 자하 하디드 건축에 나타난 유기적 '선'의 특성 연구, 비선형 표현 특성 연구, 비선형 조형 연구 등이해당 된다. 자하 하디드 건축 응용 패션 디자인 연구로는 기하학적 형태를 이용한 3D 프린팅 의상 디자인 연구, 건축의 조형성을 이용한 해체주의 의상 디자인 연구, 건축 특성 기반의 직물 패턴 디자인 등이다. 그러나 건축 디자인 기법과 과정을 패션 디자인에 적용한 논문이 거의 없으며 기존 연구는 대부분 건물의 외형을 그대로 활용한 패션 디자인이다. 패션 디자인과 건축 디자인의 내적 의미와 관련성은 약하다. 따라서 자하 하디드 작품의 비선형 건축설계 과정과 기법을참고하여 패션 디자인에 적용하면 패션 디자인에 조형 기법 활용에 도움이 될 것으 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하 하디드의 현대 건축 요소에대한 수집,정리, 요약을 통해 건축물의 형식 및 스타일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통해 건축물의조형 요소를 추출하여 패션 디자인에 적용하는 것이다. 둘째, 자하 하디드 비선형건축의 파라메트릭 디자인 기법과 디자인 과정을 참고하여 패션 디자인의 패턴 개발에 적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자하 하디드의 비선형 건축의 형태, 재질, 색채를 해석하여 의상의 실루엣, 소재, 색채에 적용하여 현대 패션 디자인 작품을 만드는 것이다. 셋째, 현대 비선형 건축의 조형적 특성을 패션에 적용하는 디자인 방법의 분석함으로써 패션 디자인 개발에서 연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하 하디드 비선형 건축의 특성을 활용한 실천적 탐구를 통해 패션 아트가 다른 학문과 융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장하고자 한다. 자하 하디드 비선형 건축의 형태 표현 특성과 형태 특성을 이해하고 분석한다.표현 특성은 자기 유사,위상변환,유동성,자연형태 모방이다. 건축물은 점차 유체 같은 자유로운 형태를 띠게되고, 디지털화 도구로 유클리드 기하학 체계의 한계를 완전히 타파하게 되는데, 이러한 자유로운 형태는 전통적인 입면 개념을 해체하게되고, 자하 하디드는 수많은 곡면을 조합한 자유로운 형체로 건물을 통합하게된다. 형태 특성은 중첩성, 곡선성, 불규칙성, 다공성, 무중력이다. 자하 하디드 비선형 건축 형태에서 역시 비교적 안정된 형태에서부터 예측하기 어려운 변형된 형태까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여러 가지 면이나 선이 반복되는 구조와 비대칭적, 비규칙 적인 사각형 형태, 부드러운 둥근 형태, 유연하게 흐르는 듯한 곡선이나 나선형 모양이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색채는 화이트와 소량의 그레이가 많다.자하 하디드 비선형 건축의 설계 기법 및 과정을 분석한다. 자하 하디드 비선형 건축은 형체의 3차원 시스템 생성, 파라메트릭 디자인, 디지털 가공 및 구축의 세가지 설계 기법이 사용되었다. 자연에서 온 영감을 추상화하여 Rhino 소프트웨어로 3차원 모델을 만드는 과정이다. 3차원 구조 모형을 만든 후 최적화 설계를 하여 건물의 외부 및 내부 구조를 검사한다. 1:1 건축 커튼월 모델 제작하고 BIM 3차원 정 보 모델에서 알루미늄판을 구부려서 각 조각의 위치를 확정한다. 패션 개발에 비선형 디자인 및 파라메트릭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자하 하디드의 비선형 건축 설계과정을 연구하고 이를 패션디자인 패턴 설계에 적용하였다. 스커트 디자인 개발에서는 은하 수소호 건축의 비선형 조형 특성을 분석해 추상회화를 한다. 다음으로 Rhino를 사용하여 3차원 모델을 설정하고 패턴을 출력, 봉합하여 비선형 입체 조형을 만든다. 입체 재단할 수 없는 입체 조형 패션의 경우 모델링 소프트웨어의 적용을 통해 디자인 기법과 생산의 혁신을 실현하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패션 제작 전 Rhino가 생성한 3차원 모델을 통해 패션의 디자인 및 디테일을입체적이고 직관적으로 볼 수 있어 효과적으로 수정이 가능하다. 파라메트릭 디자인 기술과 디자인 개발 관행을 연결하고 4개의 스커트의 디자인과 제작을 완료하고의 파라메트릭 패션 디자인 기법을 혁신한다. 디지털 시대의 도래와 함께 패션의 발전은 점차 다양해지고 있으며 패션 디자인에 대한 대중의 요구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자하 하디드의 비선형 건축에서 영감을 받아 비선형 건축의 자연스럽고 흐르는 곡선의 아름다움을 파라메트릭 디자인 기술을 사용하여 패션 디자인에 적용한다. 감성적 사고와 이성적 논리를 결합해 예술과 기술을 결합시킨다. 이러한 방법은 디자이너의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개성화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자하 하디드의 비선형 건축 디자인의 개념, 이론, 방법 등을 참고하여 설계방법을 확대하고 건축 디자인과 패션 디자인의 통합을 모색하였으며, 본 연구는 건축 디자인과 패션 디자인의 관계를 더욱 탐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으며, 향후 관련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Throughout the history of fashion development, fashion and architecturealways have numerous connections, and today's fashion designers, inspired byarchitectural formations, textures, and material textures, are used to outline anddetail fashion, enriching the language of fashion design. Zaha Hadid is anavant-garde and radical architect in the field of modern world architecture,pioneering a new architectural style and creating a non-traditional architecturalstyle. Unlike other buildings, Zaha Hadid's nonlinear architecture expressesinnovative forms using formal language of structural, nonlinear, and organicplasticity. There are many literature studies on Zaha Hadid's architectural design, butfew papers apply architectural design techniques and processes to fashion design,and most of the standard studies are fashion design that utilizes the exterior ofthe building. The internal meaning and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design andarchitectural design is weak. Therefore, referring to the nonlinear architecturaldesign process and technique of Zaha Hadid's work and applying it to fashiondesign helps to use formative techniques in fashion design. The purpose of thisstudy is to understand the format and style of the building through the collection,organization, and summary of Zaha Hadid's modern architectural elements, and toextract the building's shaping elements and apply them to fashion design. Inaddition, it is applied to the pattern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by referringto the parametric design technique and design process of Zaha Hadid nonlineararchitecture. It also interprets the shape, material, and color of Zaha Hadid'snonlinear architecture and applies it to the silhouette, material, and color of thecostume to create a modern fashion design work. Finally, we intend to provide aresearch method in fashion design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design method that applie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modern nonlinear architecture tofashion. Zaha Hadid's nonlinear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and technique are appliedto fashion design. This study aims to expand the possibility of fashion artconverging with other disciplines through practical exploration using thecharacteristics of Zaha Hadid nonlinear architecture.In order to apply nonlinear design and parametric techniques to fashiondevelopment, architectural design techniques and fashion design techniques wereeffectively linked by referring to Zaha Hadid's nonlinear architectural designprocess. Zaha Hadid envisions abstract paintings based on natural objects andcreates a three-dimensional model using rhino software for parametric design.Finally, digital processing and construction are carried out. In skirt designdevelopment, abstract painting is performed by analyzing the nonlinear shapingcharacteristics of the Galaxy Soho architecture. Next, a three-dimensional modelis set using Rhino, and the pattern is output and sealed to create a nonlinearthree-dimensional form. In the case of stereoscopic fashion that cannot be cut into three dimensions, itis meaningful to realize design techniques and innovation in production throughthe application of modeling software. 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modelcreated by Rhino before fashion production allows you to see the design anddetails of fashion three-dimensional and intuitively, effectively modifying it. Itconnects parametric design technology with design development practices,completes the design and production of four skirts, and revolutionizes parametricfashion design techniques. 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age, the development of fashion is graduallydiversifying, and the public's demand for fashion design is increasing. Inspired byZaha Hadid's nonlinear architecture, we apply the natural, flowing curve beautyof nonlinear architecture to fashion design using parametric design techniques. Itcombines art and technology by combining emotional thinking and rational logic.This method can improve the designer's work efficiency and at the same timebe personaliz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Combining various materials with modern technology can create a nonlinearthree-dimensional fashion model to satisfy the psychological needs of users topursue their own personality. We also demonstrate the validity of this methodthrough the case of skirts. This application breaks the traditional design process,enriches the format of fashion products, brings new ideas to the fashion designindustry, and has extensive application value in creating modern fashion styles.Through follow-up research, we would like to explore various ways to implementa richer fashion design model, and look forward to many possibilities for thefusion of architectural design and fashion design. This study expanded the design method by referring to Zaha Hadid's nonlineararchitectural design concepts, theories, and methods, and sought the integration of architectural design and fashion design. This study provided a foundation forfurther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al design and fashion design.

      • 중국에 진출한 외국기업의 중국어 브랜드 네이밍에 관한 연구 : 글로벌기업과 한국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뢰홍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늘날 기업경영에서 가장 큰 변화는 브랜드 경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사람들은 21세기를 ‘브랜드’시대라고 말한다. 어떠한 방식으로 브랜드 가치를 창출하고, 경영하고, 진단. 판단하느냐가 중요한 경영 과제로 급부상하고 있다. 기업들은 자사의 브랜드를 자국의 시장에만 국한시키는 것이 아니라 국제 글로벌화 할 때, 각 국가별 문화에 쉽게 적응할 수 있는 전략과 브랜드 네이밍이 성공의 관건이 되고 있다. 최근 아세아문화권에서 중국은 눈부시게 빠른 속도로 경제가 급성장하고 있다. 중국은 매년 10%의 경제 성장을 이루고 있으며, 향후 세계의 경제 강국으로 발돋움 할 것이 확실하다. 경제 개방이후로 물밀듯이 진출한 외국기업들의 시장 쟁탈전이 어느 정고 자리를 잡은 지금 중국은 이제 토착브랜드의 부흥기를 맞고 있다. 그러므로 글로벌 브랜드의 중국화는 새로운 경쟁에 맞서야 한다. 외국기업이 중국에 진출하려면 가장 먼저 중국이란 나라에 대해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하자면, 중국의 문화와 언어네 대한 알고, 그 지역적 문화에 맞는 브랜드 네임을 새롭게 개발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국은 다른 나라와 달리 특정된 표의문자로 인해 네이밍(Naming) 개발에 어려운 점이 많다. 그리고 중국 상표법에서 요구하는 사항뿐만 아니라, 아직까지도 대다수의 중국인들이 영어 같은 외국어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다는 점에서 중문 네이밍 개발의 당위성이 있다. 중문 네이밍에 개발은 브랜드와 중국인들 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것이다. 중국은 유구한 역사적 전통과 지리상의 영향으로 스스로의 독특한 문화를 발전 시켜왔다. 또한 한자라는 특징적인 문자와 중국어라는 고유의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가지게 되는 특징적 모습이 브랜드 네이밍에도 상당한 영향을 보이고 있다. 즉, 표의문자인 한자를 사용하는 국가로써 브랜드 네이밍 시 이러한 한자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하고, 여기에 담긴 중국인들의 의식 형태와 선호 유형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은 중국에 현존한 다국적 브랜드들을 고찰, 분석하고 이미 들어간 외국브랜드와 한국브랜드의 차이점을 찾아냈으며, 한국 브랜드들이 존재하는 문제 점을 조사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한다.

      • 한류 드라마가 중국 대학생의 한국 현실 인식에 미치는 영향

        안영해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한류 드라마로 시작한 한류 열풍은 10 여 년을 넘는 세월이 지났지만 여전히 중국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대학생들이 한류 드라마를 시청한 후 그들의 한국 현실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문화계발이론을 적용해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한류 드라마를 시청한 후, 한류 드라마를 많이 시청하는 대학생은 한류 드라마를 적게 시청하는 대학생보다 한류 드라마에서 자주 표현되는 한국인의 애정관, 가족문화상, 생활수준을 현실속의 한국인의 애정관, 가족문화상, 생활수준으로 인식하는 정도가 높은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한류 드라마로 인한 한류의 영향이 아직 지속되고 있는지, 국가 간 문화 교류에서 문화계발현상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3가지 연구가설을 탐구했다. <연구가설 1>에서는 한국인의 애정관에 대해서 문화계발효과가 일어나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중국대학생들이 장기적으로 한류 드라마를 시청한 결과 한국인 애정관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계발 효과가 검증되었음을 의미한다. 그외, 한국인접촉정도, 한국방문의향도 한국인 애정관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 한국인 접촉정도는 한국인 애정관 인식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즉 한국인을 많이 접촉할 수록 한국인의 드라마에서 보여지는 한국인의 애정관을 실제 한국인의 애정관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연구가설 2><연구가설 3>은 한국인의 가족문화상과 한국인의 생활수준에 대해서 문화계발효과가 일어나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인의 가족문화상과 한국인의 생활수준에 대해서 문화계발효과가 일어나지 않는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대학생들에게는 한국의 전통적 가족윤리문화에 대해 이미 고정적 인식이 생성되었고 급속히 향상된 중국인들의 생활수준은 중국인들로 하여금 한류 드라마에서 그려지는 화려한 삶의 모습은 더 이상 단지 추상적인 동경의 대상으로 머물지 않는다는것으로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한국인의 애정관에 대해서 문화계발효과가 나타났고 한국인의 가족문화상, 생활수준에는 문화계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류 드라마가 중국 대학생들의 한국 현실인식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문화계발효과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한류 드라마는 중국 대학생들의 한국 현실 인식에 있어서 여전히 일정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한류는 여전히 중국인들에게 일정한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국가간 문화교류에서, 즉 한류라는 특유한 문화현상에 있어서 문화계발효과가 발생한다는 것은 폭력성향에 관한 연구에서 시작된 문화계발연구는 이제 분명히 폭력에 대한 연구 범주를 넘어서 더욱 넓은 범위에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