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리나라 연안해역의 해저쓰레기 성상 및 공간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김창원 부경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해저쓰레기의 조사는 90년 초반에는 연안 부유쓰레기 중심으로 이루어지다가 9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항만, 어항, 주요어장 등을 중심으로 수산자원회복, 생태계보전, 선박의 해난사고 예방 등을 이슈로 이루어졌다. 조사방법에 있어 부유쓰레기 조사와 달리 해저에 침적되어 있는 해저쓰레기는 조사선, 양방향음파탐지장비, 인양틀, 잠수조사 등 조사 전용장비를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바다 속에 가라앉은 해저쓰레기의 설계물량과 실제 사업시행 시 수거물량과의 차이점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여 왔던 것은 사실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양방향음파탐사기로 전체적인 조사 layout를 구성한 후 이를 통해서 인양틀 예인조사, 잠수조사를 병행하여 조사의 신뢰성 확보에 주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계물량과 수거물량의 차이점이 있는 이유로는 조사장비가 해저면의 표층만을 조사할 수밖에 없는 한계성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조사방안은 우선 조사장비의 일정(등) 간격으로 조사하는 방안 정립이 되어야 하며, 양방향음파탐사기 조사, 인양틀 예인조사, 잠수조사 후 표본지역을 선정하여 오렌지 필 그랩을 이용하여 해저퇴적물에 묻힌 해저쓰레기를 조사하는 방법이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기존의 조사장비 및 조사방법은 해저 표층에 산재되어 있는 쓰레기를 2차원적인 조사의 한계로 실제 넓은 조사대상해역을 표본 조사하여 전체면적에 반영하는 것을 설계단계에서 이루어져 왔다. 설계 후 실제 수거 시에는 설계 시 정해진 위경도 좌표 값에 오렌지 필 그랩 등을 활용하여 3차원적인 수거작업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항상 조사된 설계물량과 수거물량의 차이가 발생하여 논쟁의 여지가 있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오렌지 필 그랩을 활용하여 2차원조사 결과 해저 연직방향의 조사결과를 반영하는 3차원 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000년~2010년(11년)동안 해저쓰레기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해양에 산재된 해저쓰레기 총 물량으로 추정된 “400,000 ton”에 대하여 동·서·남해별, 항만 및 해역별로 분리하여 조사․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단위면적당 해저쓰레기양이 동해가 0.08 ton/ha로 서해의 0.04 ton/ha보다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항만 및 해역별로는 항만이 7.82 ton/ha로 연안해역 0.03 ton/ha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오렌지 필 그랩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연안해역에 산재된 해저쓰레기양을 재산정한 결과 약 418,685 ton으로 오렌지 필 그랩 조사를 제외한 401,531 ton에 비해 약 4.3% 증가된 양을 나타났다. (2) 동·남해안 해저쓰레기 조사의 대상해역인 18개소에 대해 SSS, 인양틀 및 잠수조사 결과와 실제 수거물량에 대한 오차를 파악하기 위하여 OPG 조사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조사된 SSS 및 잠수 조사물량에 OPG 조사 자료를 합산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수직적인 조사방법에 대한 가중치로 선형회귀식을 산정하여 기존의 조사방법에 대한 폐기물량의 오차를 줄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상관계수(r)이 0.990 으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결정계수(r2) 0.981, 선형회귀식은 Y=1.0991X+1.054 로 잠수조사 결과와 유사한 분석결과가 나타났다. 산출된 선형회귀식을 사용하여 동·남해안 18개소 총 추정물량 986 ton에 적용하여 재산정되면 18개소에 대한 물량을 산정한 결과 기존 조사물량 9.9%가 늘어난 1,083 ton으로 나타났다. 또한 2000~2010년 우리나라 동․남해안 81개소와 2012년 동․남해안 18개소를 합한 총 99개소의 12년 조사결과로 총 추정물량 260,256 ton에 선형회귀식을 적용 재산정하면 4.2%가 늘어난 271,065 ton으로 재산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저쓰레기의 현장조사에서 활용되고 있는 양방향음파탐지장비, 인양틀, 잠수조사 등에 대한 특성에 대하여 기술하였고, 취득한 자료를 기반으로 비우심해역, 우심해역 등을 선정하여 향후 수거 시 정확한 위치 정보, 물량, 해저쓰레기의 성상 등을 사전에 알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시도한 오렌지 필 그랩 조사는 기존의 양방향음파탐사기조사, 인양틀조사 및 잠수조사와 같은 해저면에 놓여 있는 수평적인 2차원 조사에서 보다 낳은 신뢰도 있는 자료를 획득하기 위하여 해저면에 연직방향으로 침적되어있는 물량에 대한 선형회귀식을 도출하고 3차원적인 해저쓰레기 조사물량이 산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그동안 현장조사를 통해 얻은 조사물량과 설계 시의 물량 및 실제 수거물량의 차이점을 줄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좀 더 많은 오렌지 필 그랩 조사를 통해 database를 구축하여 해역별, 이용특성별로 적용 가능한 정량적인 연구가 보완되어야 한다. At the beginning of 1990, the surveys for the ocean waste were mainly carried out about floating debris in coastal area. Since in the middle of 1990, it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the restoration of the fishery products, the preservation of the ocean-ecosystem and prevention of the maritime accidents in port, fishing port and ground. Unlike the floating debris, the surveys for the seabed marine litters were applied specialized equipments such as vessel, side scan sonar, towing hook and dive systems. On the other hand, these equipments had limitations because 2 dimensional waste surveys on the seabed were performed. It was applied to design for the seabed marine litters that 2 dimensional surveys behaved sample investigation and adapted to the entire in wide area. After design, the marine waste disposal projects conducted using orange peel grab excavated into the seabed in 3 dimensional. It was always disputable that waste quantities and were difference between the design step and the project.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have conducted 3 dimensional orange peel grab survey in 6 sites among 18 sites of East and South Sea and applied the previous survey results in 18 sites of East and South Sea, Korea. The reliability of survey results was improved by deriving the linear regression equation, Y = 1.0991X + 1.054. Depending on the seabed marine litters in the total coastal area approximately 400,000 tons, it is applied to the linear regression equation 420,173 tons, approximately 4.3% increased. Also, survey weight of seabed marine litters and results of applied linear regression equation at 18 sites in East and South Sea each were 986 and 1,083 tons, approximately 9.9% increased. In East and South Sea during 2000 to 2010 also 2012, waste weight, 271,065 tons, applied linear regression equation of 99 sites were increased 4.2% than survey weight, 260,256 tons.

      • mo.mentre.call

        윤규섭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mo.mentre.call 작업은 <mo. mentre.call>이라는 제목을 가지고 연작으로 이어져가고 있다. <mo. mentre.call>라는 단어는 그 어디에서도 찾아 볼 수는 없다. “moment” “순간, 때”를 나타내는 단어와 “recall”이라는 “다시 기억하다, 불러내다”라는 뜻의 단어를 의도적으로 조합하여 만들었기 때문이다. 실존(實存)을 바탕으로 한 일상적 풍경과 인간 행위의 순간들을 선택하여 또 다른 이미지로 재탄생 시킨다. 재조합의 과정을 통해 존재하는듯하지만 어느 곳과도 같지 않은 이미지를 생명력 있게 화폭 안에 불어넣게 된다. camera / photoshop 작업 진행 과정에서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카메라" "photoshop"이다. 카메라의 역할은 그리는 행위 도구인 “붓”과 같은 역할을 하는 매체이며 “컴퓨터 작업”은 기억을 더 명확히 표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이다. 현장 작업 없이 순간의 존재함을 카메라로 담아내는 행위를 통해 당시의 기억을 새삼 환기시켜 컴퓨터 작업으로 순간의 존재를 옮겨와 내 의지를 토대로 경계와 경계를 뒤흔들어 놓는다. 보이지 않는 공간을 만들어 내며 있었던 무엇을 없애내는 적극적인 개입을 통해 그림을 그리는 행위는 나의 선택성을 드러내는 과정으로 거듭나게 된다. 이는 결코 구도적 의미로서 공간의 재구성에서 그치지만은 않는다. Mixed materials 공간을 더욱 도드라지게 하기도 하며, 공간과 공간을 묶어주는 중심에는 표현재료가 자리 잡고 있다. 건축용 자재나 공업용 재료가 표현도구로서의 물성(物性)탓에 작품은 “drawing”과 “making“의 경계선상에 서 있게 된다. 이 모든 과정은 시대성을 발현시키는 또 하나의 도구로서 의미로 획득된다. 모든 매체가 빠르게 보급되고 확산되는 우리나라의 특징으로 미뤄볼 때 현재의 작업이 수많은 매체와 정신없이 출현하는 기기들에 묻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딱히 새로운 재료도 아니다. 흔한 일상적인 구성 요소들 중 일부일 뿐이다. 도시의 상징성 사람들의 모습을 통해 현대인들이 살아가는 모습과 그 속에서 인간적인 심리상태로 현대사회를 바라보고 고찰해 보고자 한다.

      • 고등학교 학생선수의 생활기술과 진로탐색행동에 관한 연구

        김현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lies in investigating life skills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athletes empirically and in depth. To achieve this goal, we have adopted a mixed research methods and carried out a quantitative research first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with high school student-athletes as target. After that, as research activities for in-depth understanding, interpretation, and explanation, we have carried out a qualitative research in sequence. The conclusions that we have drawn from 367 persons as quantitative research targets and 9 participants in the qualitativ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life skills ba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athletes. The higher is one’s grade, leadership, self-esteem, and emotional control skill turned out to be higher, but in interpersonal manner the opposite was true. The lower is one’s grade, interpersonal manner turned out to be higher. Also, the student-athletes who maintained their single event revealed higher interpersonal manner skill, positive thinking skill, and self-esteem than the student-athletes who experienced an event change. Likewise, individual event student-athletes revealed higher sensibility skill than team event student-athletes, but in planning, decoding, and encoding skills team even student-athletes turned out to be higher. Also, student-athletes revealed that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as athlete helped them to learn life skill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ba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athletes. Junior students turned out to be higher in external activity and information gathering behavior than students in other grades. And the student-athletes who maintained their single event turned out to be higher in information gathering behavior than the student-athletes who experienced an event change. Lastly, individual event athletes also turned out to be higher in self-exploration behavior than team event athletes. Thir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ife skills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athletes. Of their life skills, personal skill had a more positive effective on information gathering, to be followed by communication skill and interpersonal relation skill in descending order. Personal skill and communication skill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external behavior in descending order. Lastly, communication skill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self-exploration, to be followed by personal skill and interpersonal relation skill in descending order. Keywords : Student-athlete, life skills, career search behavior, mixed research methods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학생선수의 생활기술과 진로탐색행동을 실증적이고 심층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통합연구방법을 적용하였는데 먼저 고등학교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양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후 심층적인 이해 및 해석, 설명 등의 연구 활동으로서 절적 연구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양적 연구의 대상자 367명과 질적 연구 참여자 9명을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학생선수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생활기술은 차이가 있었다. 학년이 높아질수록 리더십과 자존감, 그리고 감정통제 기술이 높았으나, 반대로 대인 매너는 학년이 낮을수록 높았다. 단일종목 유지 학생선수가 종목변경 경험이 있는 학생선수 보다 대인 매너 기술과 긍정적 사고 기술, 그리고 자존감이 높았다. 또한 개인종목 학생선수가 단체종목 학생선수보다 감수성 기술이 높았으나, 반대로 단체종목 학생선수가 개인종목 학생선수보다 계획성, 해독과 기호화 기술이 높았다. 또한 학생선수들은 운동선수로서 스포츠 활동 참여가 생활기술 습득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둘째, 고등학교 학생선수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진로탐색행동은 차이가 있었다. 2학년이 다른 학년군에 비하여 외적 활동과 정보수집 행동이 높았다. 그리고 단일종목 유지 학생선수가 종목변경 경험 학생선수보다 정보수집행동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개인종목 선수가 단체종목 선수보다 자아탐색행동이 높았다. 셋째, 고둥학교 학생선수의 생활기술과 진로탐색행동은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고등학교 학생선수의 생활기술 중 개인적 기술, 의사소통기술, 그리고 대인관계기술 순으로 정보수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개인적 기술과 의사소통기술 순으로 외적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의사소통, 개인적 기술, 대인적 관계기술 순으로 자아탐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천연가스중의 이산화탄소 제거를 위한 알카놀아민 수용액의 흡수특성 연구

        조두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천연가스 대상으로 이산화탄소 흡수공정에 사용할 수 있는 알카놀아민 계열의 아민수용액을 사용하여 흡수특성을 연구하였다. 1차아민 MEA, 2차아민 DEA, 3차아민 TEA, 입체장애아민 AMP를 30 wt%의 농도로 제조하였고, 실험온도는 40, 60, 80℃로 하였다. 기-액 흡수평형 실험을 통해서 이산화탄소 평형분압과 압력감소를 측정하였고, 반회분식 흡수실험을 수행하여 이산화탄소 흡수능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상용성 열역학 모델식을 이용하여 실험 데이터와 비교를 통해 기존 문헌과의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또한 천연가스 중의 이산화탄소 처리공정 기준으로 실제 공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아민공정을 전산모사를 위해 공정모사 프로그램은 산성가스 처리공정 모사에 특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Bryan Research & Engineering Inc.사의 PROMAX를 활용하여 각 흡수제별로 전산모사를 수행하고 재생에너지와 Solvent circulation rate룰 분석하였다. 그결과 실험에 사용한 아민류의 흡수용량은 온도가 높아 질수록 낮아지고 압력이 높아 질수록 높아지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흡수용량은 AMP>MEA>DEA>TEA순 이었고 흡수속도는 MEA>AMP>DEA>TEA 순으로 나타났다. 전산모사 결과로는 MEA는 상대적으로 CO2 제거율이 높은 반면에 DEA, MDEA, MDEA와 첨가제인 Piperazine은 H2S 제거율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여성의 사회인야구 참여동기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신한빛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여성의 사회인야구 참여동기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관계 규명을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B시에서 진행되고 있는 사회인야구 리그에 참여하는 150명 중 성실하지 못한 응답이나 중복 기재되거나 정규성에 위배되는 10명을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140명의 여성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는 경기 시작 전 및 대기시간 등을 활용하여 양해를 구한 후 설문방법과 설문의 취지를 충분히 설명한 후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연구의 목적에 따라 SPSS 15.0을 활용하여 일원변량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는 즐거움, 성취감 및 외적과시 등을 중심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심리적 만족, 사회적 만족, 환경적 만족 등을 중심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여성의 사회인야구 참여동기는 생활만족도에 대해 외적과시, 즐거움, 사교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참여동기가 생활만족도에 있어 중요한 요인이며, 특히 외적과시와 즐거움이 생활만족도의 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인야구의 적극적인 참여가 외적과시와 즐거움을 통하여 여성들의 생활만족도 중 사회적, 신체적, 심리적 및 환경적 만족 등에 긍정적인 변화에 대한 영향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들의 사회성과 자신의 신체에 대한 만족, 심리적 만족도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 대하여 사회인 야구의 역할을 재고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향후 여성에 대한 사회인 야구의 참여에 있어서 당위성과 확장성에 대한 접근적 방법을 다각화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

      • 한국 동해 연안용승역에서 해수유동 수치실험

        임우현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paper was focused on studying the flow characteristics in time and space at upwelling region using a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 model, Prinston Ocean Model, in the East Sea of Korea after determining the optical environment factors of upwelling occurrence. In order to estimate the amount of nutrients and primary production being transported from lower level to upper level, the flux of upwelling was quantitatively estimated. The results of hydrodynamic model showed that the flow was southward during flood tides and northward during ebb tides. Generally, tidal currents were getting weaker as moving to north from south. To test upwelling effect, wind-driven currents were experimented in classifying three cases of wind directions, southwesterly, southerly and westerly. Each case of wind directions was simulated by three different wind speeds, 3m/s, 6m/s and 9m/s. The result showed that the strongest upwelling occurred when wind blows southwesterly. Upwelling begin to occur at wind speed 6m/s in southwesterly and southerly wind and 9m/s in westerly wind. The results of upwelling flux for five stations where upwelling was dominantly occurred were compared. Residual current was 57.28(105×m3/day) in maximum at St. Ⅱ by the influence of strong current and bottom topography. Wind-driven current was 50.84(105×m3/day) in maximum at St. Ⅲ. It is concluded that Tsusima Currents influenced largely for upwelling occurrence at St. Ⅰ,Ⅱin the meantime, wind-driven currents affected dominantly for upwelling occurrence at St. Ⅲ∼Ⅴ. The results of sea surface temperature produced by hydrodynamic numerical experiments were well agreed with sea surface temperature images by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when strong upwelling occurred.

      • 하계 동한난류 경로 변동에 따른 동해남부 해역의 냉수대 발생 특성

        서호산 부경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Using the long-term water temperature and velocity data, the characteristics of cold-pool occurrence by region of the East Sea were identifi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ppearance of the cold-pool in the southern coast of the East Sea according to the path change of the EKWC northward along the East Sea was analyzed. First, based on previous research papers dealing with the occurrence of cold-pool and long-term water temperature observation data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cold-pool along the East Sea was identifie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cold-pool was the highest at 45% in the coastal waters of Ulgi in August in the summer. Next, Gampo (33%) and Busan (22%) showed a higher frequency of occurrence of cold-pool in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located south of Homigot, than in other coastal areas. The water temperature an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tructures of curren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ld-pool along the Ulgi coa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water temperature, the water temperature stratification in the coastal area is formed in the shallow water during the cold-pool.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non-occurrence of the cold-pool, the interval of isothermal lines along the coast is widely distributed. EKWC, which flows northward along the southern coast of the East Sea, passes 36.5°N and changes its path. EKWC main pathway variations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is the case of EKWC northward adjacent to the coast (On-coastal), the second is the case of EKWC northward along the 129.7°E line about 40 km away from the Hupo coast (Normal), and the third is the case of EKWC northward along the outer sea away from the coast (off-coastal). The probability of cold-pool occurrence according to the three paths of EKWC was 22% when on-coastal, 0% when normal, and 91%. Correlation was identified through spectral analysis using TWC transport, water temperature, and long-term fluctuation indexes, ONI and PDO data. As a result of the Coherence of ONI and PDO, which are long-term fluctuation indices, they show a high correlation in a long-term period of more than 3 years. In the Coherence results of ONI and water temperature, no correlation was found. However,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ime series data, the water temperature along the East Sea decreased during the period when the ONI was high, and as the ONI rapidly decreased, the water temperature in the entire East Sea increased from the following year. Rapid changes in ONI were found to affect the water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East Sea. In the result of Coherence analysis of PDO and TWC transport, the Coherence value was 0.7 in the period of 0.8 to 1.2 years, showing high correlation. In addition, the correlation was relatively high even in the long period of 5 years or more.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time series data of PDO and TWC transpor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The Coherence of PDO and Ulgi water temperature shows a correlation of 0.6 in a 1.2-year cycle, and there are no other highly correlated cycles. In the short-period component, the Coherence between TWC transport and water temperature in the coastal waters of Ulgi is high, ranging from 0.6 to 0.75.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mutual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TWC transport and the water temperature of Ulgi in relation to the occurrence of the cold-pool. It was found that the change in the path of the EKWC northward from the Hupo coast and the change in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occurrence of the cold-pool in the Ulgi coast. Therefo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low characteristics of each station (H-01 to H-10) of the Hupo line and the water temperature along the coast of Ulgi was analyzed. The Coherence of the 4-month cycle, which coincides with the occurrence cycle of the cold-pool, is higher than 0.7 in coastal waters (H-01 to H-03), and the Coherence is lower than 0.5 in the open waters (H-06 to H-10). As suc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occurrence of cold-pool along the Ulgi coast and the flow change characteristics at the station close to the Hupo coast.

      •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분비 뇌하수체 선종 세포주에서 sodium metaarsenite의 효과에 대한 연구 : 쿠싱병 치료제로서의 가능성

        박정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분비 뇌하수체 선종에 의해서 발생하는 쿠싱병은 쿠싱증후군의 가장 흔한 원인이고 치료받지 않을 경우 사망률이 50%이며, 초치료 실패율과 재발율이 높은 질환이다. 따라서 재발 혹은 불응성 쿠싱병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절실하지만, 아직까지 효과적인 치료법은 없는 상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쥐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분비 뇌하수체 선종 세포주의 세포성장과 자멸사에 대한 삼가 비소제인 KML001의 영향과 작용기전을 규명하여 이 물질의 잠재적 쿠싱병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