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판매시설 및 업무시설의 주차수요 산정에 관한 연구

        박영수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Abstract Calculation Methods of Parking Demand for Sales facilities and business facilities Park, Young-su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Our country was able to strengthen national competitiveness in virtue of the 1970s development of industry and the growth of cities. In carrying out this process, we could develop the national economy and the level of income has greatly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1970s. With the rise in individual income, the car penetration rate is increasing. This kind of situation led to lots of traffic problems like traffic congestion and parking problem. Parking problem arise at a diverse range of facilities such as housing facility, sales facility and business facility. To solve this problem, Traffic Impact Analysis&Improvement Measures and forecasting parking demand must be set up when planning development and building Project. When forecasting parking demand, average basic unit method is in general use. Average basic unit method has the merit of using relatively simple way of calculation, but at the same time prediction error can get bigger due to the effect of extreme value. Preceding research to overcome such a weakness is limited to housing facility, and there have not been plenty of cases. Hence, this study suggests a new model that supplements faults of existing forecasting parking demand method using average basic unit method on sales facility and business facility. Parking demand an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otal floor area of a single regression equation derived, and apply it to the new model after calculating modification factor, taking account of causes that have an effect on parking demand. The new model was verified through computation of root mean squared error and the study found out that it reduce errors by 21.1% and 15.0% respectively in comparison with average basic unit method on sales facility and business facility. The new model, for forecasting parking demand in this study, to remedy the shortcomings of an existing one using average basic unit method, is expected to lower prediction errors under the influence of extreme value. Because various factors that influence parkin demand, the newly developed model is thought to be able to forecast practical parking demand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provide parkin spaces more efficiently. Key words : Parking Demand, Average basic unit method, Regression, Modification Factor, Root Mean Squared Error 국문초록 판매시설 및 업무시설의 주차수요 산정에 관한 연구 박영수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우리나라는 1970년대 산업발전과 도시의 발달로 인한 국가 경쟁력이 강화되고, 국가 경제의 발전과 함께 국민의 소득수준도 높아졌다. 개인의 소득 수준이 증가하면서, 자가용의 보급률도 높아졌다. 이와 같은 현상은 교통량 증가로 인한 교통의 지체 및 주차문제 등 많은 교통문제를 발생시키게 되었다. 주차문제는 주택뿐만 아니라 판매시설과 업무시설 등 다양한 용도의 시설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주차문제의 예방을 위해 개발사업 및 건축사업 계획시 교통영향분석·개선대책을 수립하고 주차수요예측을 실시한다. 주차수요예측은 일반적으로 평균원단위법을 많이 사용한다. 평균원단위법은 계산이 비교적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극단값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예측의 오차가 커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선행연구는 주택에 한정되어 있으며, 그 사례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판매시설 및 업무시설에 대하여 평균원단위법을 이용한 주차수요예측 방법의 단점이 보완된 새로운 모형을 구축하였다. 주차수요와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연면적과 단일 회귀식을 도출하고, 주차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려하여 보정계수를 산정후 모형식에 적용하였다. 구축된 모형의 검증은 평균제곱근오차(Root Mean Squared Error) 산정을 통해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검증 결과 새롭게 구축된 모형의 오차수준이 평균원단위를 이용한 주차수요예측 방법보다 판매시설은 21.1%, 업무시설은 15.0%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평균원단위법을 이용한 주차수요예측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구축한 주차수요예측 모형은 극단값의 영향에 의한 예측의 오차수준이 낮아 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개발된 모형은 주차수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지역의 특성에 맞는 현실적인 주차수요예측이 가능하고, 효율적인 주차면의 공급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어 : 주차수요, 평균원단위, 회귀식, 보정계수, 평균제곱근오차

      • 위험운전행동 감소를 위한 운전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이석준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2010년 국내에서 발생한 자동차 1만대 당 사망자수는 사업용 자동차가 비사업용에 비해 4.2배나 높아 사업용 자동차의 교통사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업용 자동차의 교통사고 발생 감소를 위해서는 반드시 운전자 교육이 시행되어야 하며, 시행되는 운전자 교육은 운전자의 운행패턴이 담긴 운행자료를 통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운행패턴을 분석하기 위하여 일별 운행자료를 통한 교육 전과 교육 전/후의 위험운전행동 변화추이를 통해 운행패턴을 확인하였다. 또한 통계적 검증기법을 사용하여 업종별, 위험운전행동별 운행패턴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한 위험운전행동의 교육효과 지속시간을 산정한 후 재교육 주기를 산정 및 재교육 주기와 연관된 위험요인을 분석하였다. 교육 전 위험운전행동 변화추이 분석결과, 시간이 지날수록 위험운전행동 발생건수가 증가되는 운행패턴을 보였으며, 버스와 택시 업종에서 공통적으로 증가한 위험운전행동은 급가속, 급감속, 급제동, 진로변경 4가지로 분석되었다. 또한 교육 전/후 위험운전행동 변화추이 분석결과, 교육 초기에는 교육효과가 존재하였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되는 운행패턴을 보였으며, 버스와 택시 업종에서 공통적으로 감소되지 않는 위험운전행동은 급출발, 앞지르기, 회전 3가지로 분석되었다. 사업용 자동차 운전자의 현재 운행패턴을 분석한 결과, 일부 위험운전행동에 대해선 지속적인 교육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재교육 주기를 산정하였다. 위험운전행동의 재교육 주기산정 결과, 택시 업종이 4일로 분석되어 버스 업종 8일에 비해 50% 교육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업종은 7일로 분석되었다. 또한 위험운전행동별 최대 재교육 주기는 14일, 최소 재교육 주기는 2일로 나타났고 급가속의 경우, 버스와 택시 업종 모두 가장 짧은 2일이라는 재교육 주기가 산정되어 가장 교육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교육 주기와 연관된 위험요인을 분석한 결과, 급출발, 장기과속, 급정지, 앞지르기의 항목에서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이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4가지 위험운전행동의 재교육 주기 hazard ratio가 증가되는 위험요인은 “10년 미만의 입사 후 운전경력”, “30~50세 나이”, “인천지역”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입사 후 운전경력이 5년 미만의 운전자일 경우 급출발, 장기과속의 교육효과 수준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일별 운행자료를 통하여 사업용 자동차 운전자의 운행패턴과 수행된 운전교육효과를 분석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일괄적인 운전자 교육이 아닌 운수회사별 운행특성에 맞는 운전자 교육이 수행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사업용 자동차의 교통사고 감소에 효과적일 것이라고 판단된다. The 2010 domestic car accident fatalities were 4.2 times higher in commercial vehicles compared to non commercial vehicles, showing that the dangers of commercial vehicle accidents were higher. For the decrease in these commercial vehicle accidents there needs to be driver education and objective and accurate assessment needs to be done through data containing the drivers’ driving patterns. For this, this research found out about the driving patterns through the changes in dangerous driving actions before and after education through daily driving data. Also it analyzed the driving patterns by industry and by dangerous driving actions through statistical verification technique and calculated the dangerous driving behavior education effect duration, then calculated the re-education periods and analyzed the danger factors related with the re-education period. In the analysis of the changes of dangerous driving behavior before education, there was a driving pattern where dangerous behavior increased as time passed after education and the universally increased dangerous behaviors in bus and taxi industries were sudden acceleration, sudden deceleration, sudden stopping, and change of course. Also looking at the changes in dangerous driving behavior before and after education, it showed that at first there was an education effect but there was a pattern as time passed the effect decreased. The universally unchanging dangerous driving behaviors in bus and taxi industries were analyzed as sudden acceleration, overtaking, and turning. Analyzing the current driving patterns, for some of the dangerous driving behaviors requires continuous education and for this a re-education period was calculated. Looking at the dangerous driving behaviors re-education period calculations, the taxi industry showed as 4 days, showing 50% of education level compared to the bus industry which was 8 days. The whole industry re education period was analyzed as 7 days. Calculating by dangerous driving behaviors, the longest re-education period was 14 days and the shortest was 2 days. For sudden acceleration the re-education period was 2 days, which showed that it was had the least effective education effects. Analyzing the dangerous factors related to the re-education periods, it was found that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significant in sudden acceleration, long-term speeding, sudden deceleration, and overtaking. Also in the re-education periods for the 4 dangerous driving behaviors, the dangerous factors where hazard ratio increases were found to be “10 or fewer years of driving experience after employment,” “age of 30-50,” and “Incheon area.” Especially in the drivers with less than 5 years of driving experience after employment, it showed that the level of education effect about sudden acceleration and long-term speeding was very low. In this research the analysis of the commercial vehicle drivers’ driving patterns and the effect of the conducted driving education through the daily driving data.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suitable driv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patterns by transport company would be effective in reducing commercial vehicle accidents.

      • 운전면허시험이 교통안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영수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15

        There have been disputable arguments since the amended system for the drivers license test were legislated and implemented. Before the amendment, those who intend to obtain a drivers license need to register a private driving school to practice an “on-site skill test” which is only available at the private driving schools in addition to an “on-the-road test.” In the amended system, the two separate tests (on-site test and on-the-road test) were merged to a more extended on-the-road-test. As a result, the overall procedure has been substantially simplified, resulting in the reduction of the total costs of obtaining a drivers license. However, such execution has been blamed for “over-simplification” of the procedure that overlooks the essential practice and knowledge of which the drivers should be aware. Thus,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evaluate how the newly implemented drivers license test has contributed to the road-traffic safety. Three separate evaluation methods; Simple before and after study (BAS); Cross-tabulation method; and Survival analysis, were employed in this study. A series of case studies for the obtainers of the drivers license before and after the amended laws, who have been involved with traffic accidents and violation were conducted based on the simple BAS. Subsequently, results were statistically confirmed using the cross-tabulation method based on chi-square() distribution. Afterwards, no-accident and no-violation periods were evaluated based on the survival analysis method.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under the amended system, the number of the drivers license obtainers has increased up to 21.5 %, resulting from the substantially simplified procedure. It can be also shown that the amended system contributes to decrease accidents caused by the new drivers(decreased 18.3% in the overall accidents by the new drivers during decreased 8.6% by all drivers). However, the no-accident and no-violation periods which are intervals until the involvement of the first accident and violation of the traffic laws, have been shortened. Such results partly support the arguments raised by those who claim the oversimplified procedure under the amended system. Especially, the decrement of the new drivers’ accidents by self-inducing, distracted driving, and the nasty weather(e.g. rain and fog) is lower than that of their overall accidents. And the accidents in tunnels and at junctions and crossings where the traffic flow changes caused by the new drivers are increased or immaterially decreased. It is due to the insufficient education of traffic safety,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over-simplification. Despite the numerous positive aspects of the amended system (laws) for the drivers license test, there are some issues that need to be resol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ome suggestions made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 of the road-traffic safety needs to be intensified. In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ome components of the road-traffic safety need to be newly included by the law. Foreign applicants who do not have access to such education are then required to register private driving schools to take courses for the road-traffic safety. For current drivers, before the renewal of their drivers license, they can be required to acquaint with new traffic rules and laws. Second, the improvement of the written examination for the drivers license test is suggested. Question pool needs to be extended, covering more diverse situations that the drivers may encounter during the actual driving. On the other hand, some questions which can be tested during the on-the-road test needs to be removed. Furthermore, some difficult situations e.g., driving through narrow roads and congested roads needs to be added to examine applicants’ driving capability. The introduction of a probation period after the drivers license is obtained is also suggested. On providing the evidence of no-violation and no-involvement of any sort of accidents, the actual drivers license can be issued. 본 연구는 자동차운전학원 위주로 구성되어 있던 자동차운전 교육시스템을 피교육자인 국민 위주로 전환시켜 운전교육에 대한 국민의 권리를 향상시키고 운전면허 취득비용을 절감시켰을 뿐 아니라 기능시험과 도로주행시험으로 중복되어 있던 운전면허시험을 도로주행시험으로 일원화하였다는 긍정적인 평가와 교통안전을 확보하여 교통사고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야 할 국가가 교통안전교육과 운전교육을 폐지․축소하고 운전면허시험을 완화하여 자신의 역할을 외면했다는 부정적 평가가 공존하고 있는 최근 개선된 운전면허시험제도에 대하여 개선된 제도가 교통안전에 기여했는지 여부를 공학적 분석을 통해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운전면허시험 개선 전․후 운전면허 취득자, 그 취득자가 야기한 교통사고 및 교통법규위반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단순 전․후 비교(Simple BAS)와 Chi-square 교차분석을 이용하여 기초특성분석 및 통계적 검정을 실시하고 생존분석법을 이용하여 제도개선 후 신규 취득자의 무사고․무위반 기간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저부담․저비용의 교육제도와 다소 수월해진 운전면허시험제도로 인하여 제도개선 후 운전면허 신규 취득자는 21.5%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교통사고는 제도개선 전․후 전체운전자 집단에서 8.6% 감소한 반면, 운전면허 신규 취득자 집단에서는 18.3% 감소하여 당초 우려와는 달리 운전면허시험제도의 개선이 교통사고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으나 신규 취득자의 무사고․무위반 기간이 짧아지는 등 부정적 결과로 분석되는 등 운전면허시험제도의 개선이 교통안전에 기여했다고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교통안전교육의 부재가 원인으로 분석되는 차량단독사고, 안전운전불이행 사고, 빗길․안개길 등 악천후 시 사고가 제도개선 후 운전면허 신규 취득자의 전체사고 감소율에 못 미치고, 미흡한 운전교육을 원인으로 이해할 수 있는 터널 안 사고, 횡단보도 및 교차로 부근 등 교통흐름이 변화되는 지점에서의 교통사고가 증가하거나 소폭 감소에 그치는 등 운전면허시험제도의 개선이 교통안전에 일정부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면허시험제도의 개선이 영향을 미친 교통안전분야를 보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정책을 제언하는 것으로 마무리 하였다. 첫째, 운전교육을 확대하고 강화할 것을 제언하였다. 사교육에 의존하고 있는 자동차 운전교육시스템에 초․중․고등학교에서의 공교육 체계를 도입하고 이를 이수하지 못한 외국인 등이 운전면허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전문학원 등에서 일정시간 이상 교육을 받도록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기존 운전자에 대한 교육은 운전면허 적성검사 또는 갱신 시 법령․제도의 개선 및 교통운영의 변화 등에 운전자가 꼭 알아야 할 사항을 시청각 또는 유인물 등을 이용한 교육 방안을 제언하였다. 둘째, 운전면허시험제도의 보완을 제언하였다. 학과시험 문제의 다양성 및 변별력을 위하여 문제은행 수를 확대할 필요가 있고, 도로주행시험 과정에서 다둘 수 있는 장내 기능시험은 폐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제언하였다. 또한 도로주행시험에 과제에 초보운전자가 가장 어렵게 생각하는 비좁은 골목길 주행, 차량통행이 많은 복잡한 도로국간 및 고속주행이 가능한 구간에 대한 평가가 포함되어야 하고 운전면허시험에 모두 합격하면 초보운전면허증을 발급하고 일정기간동안 실제 운전하였다는 증명과 함께 교통사고와 주요 법규위반행위가 없는 경우 본 면허를 발급하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 우회전 교통류 처리방안에 따른 교차로 효율성 분석

        임유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교차로는 서로 다른 방향의 교통류가 만나는 곳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많은 상충이 존재하게 된다. 신호교차로에서는 이러한 상충을 막기 위해 교통류를 신호로 통제하지만 우회전 이동류에 대해서는 신호를 적용하고 있지 않다. 우회전은 신호에 관계없이 회전하게 되고, 다른 방향에서 신호에 의해 통행하는 이동류와의 상충을 피하는 것은 온전히 개별차량 운전자에게 의지하고 있다. 우회전 교통류 처리방법으로 RTOR(Right Turn On Red, 적신호시 우회전 허용)과 NTOR(No Turn On Red, 적신호시 우회전 금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주요 교통 선진국과는 반대인 RTOR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최근 경찰청에서는 교통선진화 방안으로 ‘적신호시 우회전 허용 선별 제한’을 두고 있으며 우회전 신호가 필요한 교차로를 중심으로 우회선 신호 설치를 도모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도로 내 차량 및 보행자 비율이 높고 교통문제가 심각하여 NTOR 운영을 전면적으로 실시하면 심각한 지체증가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교차로 선정 시 신중하고 합리적인 기준에 의해 선정되어 효율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회전 교통류 분석을 위해 우회전 전용차로 및 교통섬 유무의 4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분류하여 안전성 측면과 지체도 측면에서 우회전 비율별, 접근로 교통량별로 세분화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시 VISSIM, SSAM, T7F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MOE로는 상충횟수와 평균제어지체를 산출하여 NTOR 시행 시 우회전 유형별로 가장 효율적인 유형을 도출하였다. 개괄적으로 우회전 전용차로가 존재하는 유형(TYPE 1, TYPE 3)에서 우회전비율에 상관없이 NTOR 적용이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e territory, a right turn at an intersection is generally allowed irrespective of traffic lights and seldom restricted. However allowing a right turn at an intersection may interfere with forward or left turn traffic or make troubles against pedestrians, which means the allowance is risky and increases traffic jam. To minimize the negative influence from right-turning vehicles at an intersection, it is necessary to install or prepare exclusive ways or exclusive traffic light and importantly the efficiency of operating intersections should be maximized. Regarding the right turn traffic, the study analyzed them by intersection types during RTOR(Right Turn On Red) and NTOR(No Turn On Red) and which type would be the most efficient is studied. For this, the Study compared RTOR intersection and NTOR intersection analyzed the efficiency and pros & cons, and subsequently the efficient right turn traffic scheme. It was studied regarding independent intersections by classifying them into 4 types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traffic islands and right-turn lanes. As a result, the intersection containing right-turn lanes showed better results in terms of both safety and operation. In terms of efficiency, the average control delay showed better results at channelized right-turn lanes, than right-turn lanes.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safety, it was found if applying RTOR and NTOR that the conflict frequency was irrespective of the installation of traffic island a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an right-turn lanes, which means that if there are accelerating/decelerating ways before and after right turning, the possibility of accident due to conflict would be significantly reduced. If executing NTOR system, it is important to let the drivers recognize the exclusive right turn signal and it will be also necessary to promote and train them continuously.

      • 중국 개혁개방 시기 문예 작품 평반(平反)의 두 가지 함의

        전현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평반(平反)은 개혁개방 시기 중국 사회에서 광범위하게 일어난 사회 현상이다. 잘못된 판결과 정치적 결론을 바로잡는 평반은 이 시기 분열된 사회의 통합을 위한 기제이자, 사회주의 현대화 건설을 위한 기초가 되었다. 평반의 정치적 사회적 관점에 기초한 평반 논의가 비교적 심도 있게 이루어진 반면, 문예 작품에 대한 평반은 정치적 조건 변화에 의한 결과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문예 작품의 평반을 정치적 평반 테두리 안에서 서술하게 되면, ‘문예’의 문제를 결국 ‘정치’로 푸는 환원론으로 비춰질 수 있다. 물론, 마오쩌둥 시대의 중국에서 정치적 태도와 입장을 표현하는 형식과 내용이 ‘문예’의 양상을 띠었기 때문에 개혁개방 시기 ‘문예’와 ‘정치’를 엄격히 구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지만, 이러한 불가분성을 ‘정치’가 곧 ‘문예’라는 식의 결정론과 혼동이 되어서는 안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여 문예 작품의 평반 양상에 대해 연구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으로 이어나가기 위해 상이한 두 가지 평반 사례를 선정하였는데, 각각 장편소설『연안을 지켜라(保衛延安)』와『류즈단(劉志丹)』, 선집『다시 핀 꽃들(重放的鮮花)』의 출판과 영화 『우쉰전(武訓傳)』의 평반이 그것들이다. 문예 작품의 평반은 ‘정치 결정론’식으로 일원화하여 설명할 수 없는 양상이 존재했고, 본고는 이를 ‘형식적 평반’과 ‘도구적 평반’이라 해석하였다. ‘형식적 평반’이란 정치적 안건이 해결됨에 따라 문예 작품의 평반이 당연하게 이루어지는 경우를 지칭하였다. ‘도구적 평반’이란 정치적인 안건이 해결되었다고 해서 바로 평반이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작품의 상징적인 의미를 조정하여 무언가에 활용하고자 하는 의도가 반영된 평반을 지칭하였다. 『연안을 지켜라』와『류즈단』의 평반은 두 가지 관점에서 ‘형식적 평반’이라 보았다. 첫 번째는 평반 과정이 정황상 정치적인 환경 변화에 따라 이루어졌다는 점이며, 두 번째는 평반 제기 글에서 실질적인 내용이 없이 형식적인 문구의 나열이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선집『다시 핀 꽃들』의 출판과 영화 『우쉰전』의 사례는 평반을 통해 의도하는 바를 이루고자 기획되었다는 점에서 ‘도구적 평반’이라 보았다. 『다시 핀 꽃들』은 당시 사회주의 현대화 건설에 걸림돌로 작용했던 관료주의에 대한 인식을 환기시켜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도가 반영되었고, 『우쉰전』은 1985년 당시 교육 체제 개혁과 관련하여 추진된 방침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의도가 반영되었다. 문예 작품 평반의 두 가지 양상은 문화의 자율성의 관점에서 문화의 상징적 의미 체계가 정치적, 사회적 조건에 종속된 것이 아니라 자율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문예 작품이 평반되었다라고 하는 것은 작품의 상징적 의미가 ‘독초’에서 혁명적인 것으로, 부정적인 것에서 긍정적인 것으로 바뀌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작품의 상징적 의미는 정치적 평반이 이루어졌다고 저절로 변하게 되는 것이 아니었으며 상징적 의미를 조정하는 일련의 과정이 필요했다. 『연안을 지켜라』와 『류즈단』의 사례는 정치적 인물에 대한 명예 회복이 이미 결정되었더라도 작품의 의미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평반 좌담회와 발표문 등의 형식적, 의례적 절차가 필요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선집『다시 핀 꽃들』의 출판은 평반된 작품과 평반되지 못한 작품을 한 데 묶어 출판함으로써 상징적 의미의 경계를 모호하게 흐트려트려 상징적 의미를 조정하였다. 『우쉰전』은 우쉰과 우쉰정신이 지니고 있는 현실적, 교육적 의미를 강조하여 기존의 ‘자산계급의 개량주의 교육’이라는 부정적 의미를 재조정해주었다. 개혁개방 시기 문예 작품의 평반은 작품의 상징적 의미 영역이 정치적인 것과 별개로 그 자체로 자율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 『도덕과 법치』 교과에 나타난 중국의 국가 이념 연구

        정민영 한국교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중국공산당 제18기 중앙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이하 18기 4중전회)에서 「의법치국을 전면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중대한 문제에 관한 중공중앙의 결정(中共中央關於全面推進依法治國若干重大問題的決定)」(이하 결정)을 통과시켰다. 「결정」에서 전면적인 ‘의법치국(依法治國)’ 추진의 궁극적인 목표는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법치 체계와 사회주의 법치국가 건설”이라고 강조하였으며 교육 방면에 있어서는 전 국민의 법치 관념을 강화하여, 법치사회 건설을 추진하는 방안으로 “법치 교육을 국민 교육체계로 편입시켜 초‧중등학교에 법치 지식 교과를 개설할 것”을 요구하였다. 이에 2016년 중국 교육부는 「2016년 초중등학교 학습도서와 관련한 사항에 관한 통지(關於2016年中小學教學用書有關事項的通知)」를 배포하였다. 그 내용은 “당의 18기 4중 전회에서 제기한 초‧중등학교에 법치 지식 교과를 개설하고자 하는 요구를 관철하기 위해 2016년 가을부터 의무 교육 단계의 초등학교 1학년의 ‘품덕과 생활’, 중학교 1학년의 ‘사상품덕’ 교재의 명칭을 일괄적으로 ‘도덕과 법치’로 바꾼다.”라는 것이다. 또한 여러 종의 검인정 교재를 단 하나의 ‘국정(統編)’ 교재로 바꾸었다. 이 교재들은 정치 교과의 특징을 지닌 교재로 중국에서의 정치 교과서는 국가의 통제를 받아 집필되기 때문에 교과서가 사회주의 법치 국가 건설이라는 체제의 정당성을 합리화하는 도구로 사용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중국 사회에서 ‘법치’를 강조하는 시점에 정치 교과서의 개정 사실은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의무교육 단계의 모든 학생들에게 『도덕과 법치』를 통해 가르치고자 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법치 교육을 통해 어떠한 목표를 이루고자 하는 것인지 알아보는 데 목표를 두고 개정 전의 『사상품덕』 7학년 上冊‧下冊, 8학년 上冊‧下冊, 9학년 全一冊 총 5권의 교재와 개정 후의 『도덕과 법치』 7학년 上冊‧下冊, 8학년 上冊‧下冊, 9학년 上冊‧下冊의 총 6권의 교재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우선 중국의 정치 교과 변화의 역사적 과정을 살펴보았다. 신중국 성립 이후의 정치 교과의 변화 과정을 개혁개방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중국의 ‘정치’ 교과는 당시 사회의 상황을 반영하고자 하는 국가적 요구에 따라 과목의 명칭과 체계에 있어 여러 차례의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사상품덕』과 『도덕과 법치』의 ‘교과 표준’인 「사상품덕 교과 표준」을 살펴보고 교과서의 전체적인 구성과 내용 체계, 개별 단원의 내용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교과 표준’에 의거해 각 교재의 단원을 분류해 본 결과 『사상품덕』에서 『도덕과 법치』로의 개정 과정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국정 이해와 국가 사랑”, “법률과 질서”, “권리와 의무”에 해당하는 부분이었다. 그중 “국정 이해와 국가 사랑”, “법률과 질서” 부분은 『도덕과 법치』에서 눈에 띄게 증가한 부분이며, “권리와 의무”는 내용이 대폭 축소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교과 표준’에 근거하여 내용의 증감을 살펴봤을 때, “나와 국가, 그리고 사회”라는 ‘국가’ 차원의 주제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음을 발견하였다. 첫 번째로 ‘헌법’에 대한 설명이 증가하면서 오히려 중국이라는 ‘국가’가 부각되는 효과를 낳았다. 헌법의 전신인 ‘공동강령’과 ‘오사 헌법’의 제정에 이르는 헌법의 역사를 설명하면서 중국의 정통성을 과시하였고 모든 국가 권력이 헌법으로 규범화된다는 내용을 통해 국가의 위상을 제고하였다. 두 번째, ‘기본 제도’를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로 설명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우리나라의 기본 제도’라는 타이틀을 취해 ‘국가’를 전면에 내세웠다. 『사상품덕』에서는 ‘사회주의’에 대한 언급이 주로 등장하지만 『도덕과 법치』에서는 합리적인 ‘국가’의 모습을 서술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세 번째, ‘국가 기구’에 대한 내용이 새롭게 추가되어 ‘국가 권력기관’,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국가 행정기관’, ‘국가 감찰기관’, ‘국가 사법기관’으로 층위를 나누어 각 기관의 역할과 기관 간의 관계 등에 대해 조명하였다. ‘국가 기구’를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각 기관의 독립성과 분권화된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중국이라는 ‘국가’가 질서 있게 잘 조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네 번째, 『도덕과 법치』에는 국가 정체성에 대한 이념교육이 끊임없이 등장한다. ‘국가이익 지상’ 단원의 출현과 국가의 이익이 다른 무엇보다 우선시되어야 한다는 설명을 통해 ‘국가’를 강조하고 있다. 또한 ‘세계화’를 주제로 다루는 부분에서는 중국의 국제 사회에서의 지위와 역할을 강조하고 중국의 위상을 과시하면서 전 지구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집중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다양한 층위에서 중국의 위치를 조망하면서 국가 정체성에 대한 교육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사상품덕』에서 『도덕과 법치』로 개정되면서 가장 큰 변화는 ‘국가’의 이야기가 많아졌다는 것이다. 결국 『도덕과 법치』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교육 목표는 ‘법치’ 교육보다는 중국이라는 ‘국가’의 이상적인 모습을 설명하는 데 그 목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홍가(紅歌)의 세속화와 탈세속화

        김민경 한국교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고의 목적은 개혁개방 이후 홍가의 상징적인 의미 변화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중국 사회 특유의 문화적 현상을 파악함과 더불어 어떤 대상의 의미가 세속화 및 탈세속화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은 무엇이었을지 일반적 차원으로 확장시켜 이해해보고자 하는 데 있다. 어떤 대상의 상징적 의미가 변화한다는 것은 보편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기는 하지만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해당 과정 속에는 다양한 문화적 현상과 과정이 등장하여 대상의 의미 변화 과정에 기여하거나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고에서는 개혁개방 이후 홍가를 부르는 행위가 어떠한 의미로, 어떠한 과정을 거쳐 중국 사회 속에서 자리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어떤 대상의 상징 의미가 달라지는 과정 속에서의 다양한 담론의 교차, 의미 투쟁의 과정과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고찰하고자 하였다. 홍가는 본래 20세기 초 중국의 사회주의 혁명 과정을 거치며 중국에 정착한 노래이지만 체제 전환 이후 지금까지도 여전히 민중의 호응을 받으며 불리고 있다. 그러나 홍가의 상징 의미는 중국의 독특한 역사적 맥락과 함께 변화 과정을 겪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홍가의 의미가 변화되었다고 보이는 대표적인 유행 현상들을 분류하고 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는 개혁개방 이전의 홍가와 추이젠(崔健)의 「난니완(南泥灣)」 리메이크, 『홍태양(紅太陽)』 앨범 열풍과 TV 프로그램인 『중국홍가회(中國紅歌會)』 유행 현상이다. 이에 위 범위의 홍가와 관련된 가요집, 신문기사, 논평, 인터넷 기사와 홍가와 관련된 묘사들, 분산되어 출현하고 있는 경험자들의 회고성 문장과 인터뷰를 바탕으로 당시의 상황과 맥락을 재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이는 클리퍼드 기어츠(Clifford James Geertz)의 ‘두꺼운 기술(Thick description)’의 연구 방법과 맥을 같이 하며, 홍가 유행 현상을 다양한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해석학적으로 해당 상황과 맥락을 재구성함으로써 대상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개혁개방 이전의 홍가는 다른 노래와는 구별되는 음악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민중 사이에서 의식 음악의 형태로 구현되었다. 그것은 ‘계급 모순의 타파, 사회주의 혁명 이념의 강화’라는 강한 정치적 메시지를 띠고 있었으며 홍가를 부르는 행위는 혁명을 하는 행위와 같은 의미로 인식되었다. 이로 인해 그것을 대하는 태도는 경건하였으며 함부로 대할 수 없는 금기의 영역이었다. 또한 개혁개방 이후 추이젠이 홍가 「난니완」을 록 음악으로 리메이크 한 사건에 대해 사람들은 추이젠의 이러한 시도를 위반, 저항적 의미로 받아들였다. 이와 같은 반응 속에서 홍가의 정치적 의미가 중국 사회 속에서 얼마나 견고하게 자리 잡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1992년 마오쩌둥 찬양가를 새로 리메이크 한 『홍태양』은 중국 전역에 걸쳐 유행하였다. 『홍태양』의 유행 현상은 홍가 의미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세속화되었는지 보여준다. 『홍태양』은 상업적 생산 기제와 유통과정의 영향을 받으며 여타 유행음악과 구분되지 않기 시작했다. 디스코 리듬과 메들리의 형태는 홍가의 엄숙한 가사 내용을 무의미화 시켰고, 그것이 오락 및 유흥의 공간에서 불리며 사람들이 홍가를 대하는 태도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다. 결국 홍가가 개인의 일상생활 속에서 개인적 수요와 오락의 목적을 위해 사용되고 여가와 감상의 의미로 향유되며 그것의 상징 의미 또한 변화가 일어났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홍가가 세속화되는 데 있어 중국 사회에 사적 영역이 출현한 것은 중요한 부분이다. 개혁개방 이후 중국에 사적 영역이 형성되고 활성화되며 홍가가 개인의 사적 영역 속에서 자리 잡는 과정에서 일어난 의미 변화인 것이다. 『홍태양』은 개인의 사적 목적에 의해 불리고, 그것이 시장의 활동과 연계되며 사적인 방법으로 민중에게 향유되었다. 결국 홍가에 사적 가치, 경제적 가치, 사적인 향유 과정이 더해지며 홍가의 의미는 세속화되었다. 그러나 최근 홍가는 다시 새로운 의미 정립 과정을 거치며 탈세속화되기 시작한다. 『중국홍가회』는 홍가를 주제로 한 일반인 오디션 프로그램으로 중국 전역에 홍가 붐을 일으켰으며 홍가를 새로운 상징 의미로 제안하고 조정해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홍가회 프로그램 속에서 홍가는 참가자의 경험을 인터뷰하는 과정을 통해 국가, 민족, 단결, 고난의 극복 등의 보다 인류 보편적인 가치와 연계되었다. 또한 홍가회에서는 홍가를 국가적 이슈나 사회 문제들과 연계되었고 홍가는 국민들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공익적 노래로 재규정 되었다. 즉, 홍가는 홍가회를 통해 새로운 공적 가치의 체계로 거듭난 것이다. 더불어 이 속에서 드러나는 방법적 과정 역시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홍가회를 통해 홍가가 공익적인 의미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홍가회와 관련된 공론장의 형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전에 비해 자유롭게 개방된 여론과 언론기관, 인터넷과 SNS 등을 통해 홍가회 관련자 및 시청자들은 홍가와 관련된 다양한 이슈에 대해 활발한 논의를 했다. 그 과정 속에서 홍가의 새로운 의미 체계가 형성되고 조정되었다. 이는 홍가의 의미 형성에 있어 기존에는 보이지 않던 과정이 보이기 시작함을 의미한다. 그것은 홍가와 관련된 논의가 공공의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토론 자체가 일종의 과정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있다는 점이다. 해당 과정을 거친 홍가의 새로운 의미는 민중들이 받아들이기에 훨씬 정당성을 지닌 것이 된다. 즉, 방법에 있어서의 공적 영역 역시 의미 전환에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적 부분과 공적 부분은 홍가의 의미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를 일반적 차원으로 확대하여 보면 어떤 대상의 상징 의미가 세속화되는 데 있어 중요한 부분은 사적인 차원의 의미들, 시장에서의 활동들, 그것과 관련된 행위들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세속화된 의미를 다시 긍정적인 방향으로 탈세속화 시키고자 한다면 그것을 공적인 가치 체계로 전환하고 이를 공적인 영역과 방법으로 공론화하면 그것의 상징적 의미는 구원될 수 있을 것이다.

      • 현대 화예디자인의 재료 사용 경향에 관한 연구

        송영숙 경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화예조형전에서 보여지는 작품들은 화예작품인지 단순 조형작품인지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다. 이것은 식물재료보다 인공재료가 작품에 차지하는 비중이 더 크기 때문에 빚어지는 일이라 할 수 있다. 흔히 화예디자인은 식물재료가 주재료로 인식되어져 왔으며 꽃꽂이 형태로 알고 있다. 그러나 현대 화예디자인은 전통적인 개념의 틀을 깨고 현대미술의 영향을 받아 인공재료의 사용을 넓히며 조형화 경향을 띠고 있다. 그리하여 화예디자인 분야의 사용재료에 대한 구분이 모호해진 상황으로 현대 화예디자인에서 다루는 재료는 어떤 것이 있으며 시대별로 어떤 재료가 등장하고 줄어드는지, 식물이외의 인공재료가 화예디자인 분야에 얼마나 침투되어 그 표현을 다양하게 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현대 화예디자인에서 사용하는 재료는 무궁무진하다 할 수 있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조형재료가 화예디자인의 재료가 될 수 있다. 그렇다고 재료를 파악하지 못한다고 할 수는 없다. 본 연구에서는 2000∼2009년까지 10년간의 월간잡지 플레르에 수록된 작품을 그 대상으로 현대 화예디자인의 재료 사용 경향을 파악하였다. 그 방법으로 재료를 항목별 분류한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각 작품별로 사용된 재료를 집계 하였다. 연구 결과 10년간의 화예디자인의 재료 및 형태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었다. 현대 화예디자인은 식물재료 위주의 작업에서 벗어나 금속, 플라스틱, 종이, 섬유, 도자, 광학, 석고 등 인공재료 유입이 진전되고 있었다. 전통형태에서 벗어나 조형형태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었으며 조형화 경향은 경제 상황에 민감하고 국내외 큰 행사와 관련이 깊었다. 속속들이 등장하는 산업사회의 부산물을 받아들이며 산업구조변화에 따라 사용재료도 변하고 발전하고 있었으며 기존에 쓰이지 않았던 재료가 하나 둘 편입되어 재료범위를 확장해 나가고 있었다. 이로 인해 표현면에서 꼴라쥬, 추상주의 표현, 라이트아트, 정크아트 등 미술의 표현과 접목한 표현을 많이 볼 수 있었으며 탈장르 현상에 의해 장르를 구별할 수 없는 실험적인 작품도 등장하였다. 반면, 화예디자인의 조형화에 대한 작가들의 자각은 오래되지 않아 고전적으로 써오고 있는 조형의 재료가 대부분이며 몇 가지 재료가 집중적으로 사용되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시대변화에 따른 현대 화예디자인의 재료의 변화를 감지하고 화예디자인의 식물위주의 재료에 대한 인식의 틀을 깨고 재료의 범위를 확장하여 새로운 재료를 발굴하여 자유로운 표현을 기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또한 꽃꽂이로만 인식되었던 화예디자인의 개념을 조형의 개념으로 넓혀 미술의 한 장르로 편입하려는 움직임을 인식시켜 작품의 질적 개선을 통해 작가들이 개성 넘치는 작품을 연구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The works, which are shown in the recent Floral Art & Design, often have a case tha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whether being floral art work or simple design work. This can be said to be what is caused by which the plant materials possess the larger weight in a work than artificial materials. The Floral Art & Design has been often recognized the plant material as the main material, and is known to be the form of flower arrangement. However, modern floral art & design breaks a frame of traditional concept, and is influenced by modern art, thereby broadening the use of artificial materials, and showing the trend of design. Thus, this study examined which materials there are that are addressed in modern floral art & design in a situation of being ambiguous on the materials of being used in the floral art & design field, which the material appears and reduces by period, and how much the artificial materials except plants penetrate the floral art & design field, and are expressing diversely. Materials, which are used in modern floral art & design, can be said to be infinitude. All the design materials, which exist on the earth, may become floral art & design. Even so, it cannot be said to fail to grasp materials. This study grasped the trend of using materials in modern floral art & design targeting the works that had been recorded in the monthly magazine Fleur for about 10 years in 2000∼2009. Its method was found the total of materials, which were used by each work, by making checklist that classified materials by item. As a result of research, a change in materials and forms of floral art & design for 10 years could be grasped. Modern floral art & design was being advanced the inflow of artificial materials such as metal, plastic, paper, fiber, ceramics, optics, and plaster, with escaping from the work centering on plant materials. It was being developed into the direction of pointing to the design form with escaping from the traditional form. The trend of design pattern was sensitive to economic situation and had deep relationship with big events at home and abroad. It is being changed and developed even into the use materials according to a change in industrial structure while accepting by-product in industrial society, which appears continuously, and was proceeding with expanding the material range by being included the material, which had not been used conventionally, one by one. Due to this, the expression could be much seen that integrated with expression in fine arts such as collage, abstractionism expression, light art, and junk art in the expression aspect. Even the experimental work, which cannot be distinguished a genre by deconstruction phenomenon of genre, appeared. On the other hand, as for artists' perception on design pattern of floral art & design, the material in design, which has been used classically without being long, possess the majority. Some materials could be seen even the image of being used intensively. This study aimed to be conducive to expressing freely by excavating new materials by sensing a change in materials of modern floral art & design according to historical change, by breaking a frame of recognition on materials with the center on plants in floral art & design, and by expanding range in materials. Also, the aim was to arrange an opportunity of researching into a work, which is full of artists' individuality through qualitative improvement in a work by allowing movement to be recognized that tries to be included in one genre of fine arts by broadening a concept of floral art & design, which had been recognized only as flower arrangement, into a concept of design.

      • 지속가능한 도시 구현을 위한 TOD 개발 적합성 평가지표 개발

        유희주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Cities become outdated over time. TOD(Transit-Oriented Development) can be considered one of the methods of revitalizing cities. Because TOD cannot be applied to all citie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its applicability to a city. However, evaluation methods and measurements are lacking. Thus, this study seeks to develop and validate a measure for evaluating the applicability of TOD for small/medium sized cities. Specifically, using prior research and theory, we plan for and develop a measure that evaluates the applicability of TOD based on density, design, and approachability, resulting in a seven-factor measure that includes factors including balance in city's functionalities, systematic nature of transportation, and usability of green transportation. To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factors in the developed measure, we conducted AHP analysis. Further, to validate the measure, we created 50 scenarios and asked subject matter experts to evaluate to provide their scores on the seven factors. We then correlated the experts' scores with results from the AHP analysis. We found that cities where TOD is applicable are characterized b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expert and AHP scores. Also, applying logit regression based on the 50 scenarios, we found that our result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we conclude that it is valid to use the developed measure for assessing the extent to which TOD is applicable for a small/medium sized city 도시들은 도시 형태를 갖추고 형성되어 온지 오랜 시간이 지나 기능이 쇠퇴하고 노후화된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도시 활성화를 위한 한가지 대안으로 대중교통 지향형 개발(TOD)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나 모든 도시에 TOD 개발이 적용 가능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개발이 적합한지 평가해 볼 필요가 있으나 평가방법론과 지표가 부재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TOD 개발 적합성 평가를 위한 지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개발된 지표의 적용 적정 여부 검토를 통해 지표를 검증하고자 한다. 관련 연구 및 이론 고찰을 통해 지표 개발 방향을 설정하여 밀도, 설계, 접근성 측면에서 TOD 모습을 정리하고 정의하여 균형적인 도시 기능 구조, 체계적인 교통망 구축, 녹색교통 이용 용이성 영역 안에서 총 7개의 평가 지표가 개발되었다. 개발된 지표별 중요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AHP 분석을 실시하였고, 지표가 적절하게 개발된 것인가 검증하기 위하여 선호의식조사 형태로 50개 시나리오를 만들어 적합성 평가를 실시하여 전문가가 평가한 점수와 AHP 가중치에 따라 산출된 값을 그래프를 그려보고 상관관계 분석을 해보니 개발이 적합한 TOD 도시모습은 전문가가 생각하는 도시 모습과 비슷한 모습을 가지고 있고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났다. 또한 50개 시나리오의 적합성 평가 점수를 가지고 순서형 로짓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더니 분석결과 모든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분석결과가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개발된 지표는 적정한 지표로 검증되어 TOD 개발에 적합한 중소도시 선정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