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선시대 전례 관점에서 본 의암별제 제례악 연구

        이연복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1868년 진주목사 정현석에 의해 만들어진 의암별제는 임진왜란 시 제2차 진주성 싸움에서 순국한 의기 논개를 위한 제례이다. 이후 의암별제는 진주의 주요한 행사로 자리 잡아 전국 각지의 기생이 참석할 정도로 성황 속에 거행되었으나 일제에 의해 중단되었다. 그 후 1980년대에 성계옥이 성경린, 김기수, 김천흥과 함께 정현석이 남긴『교방가요』의「의암별제가무」를 토대로 제례를 복원하였으며, 1992년부터 다시 지내고 있다. 현재 의암별제는 논개제로 확대되어 유등축제와 함께 진주를 대표하는 행사로 자리 잡았다. 현재까지 알려진 의암별제의 특징에는 유교의례에 따른 제례인 것과 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유일하게 제례의 대상과 제관이 모두 여성인 점이다. 사실상 의암별제는 조선시대 관청에서 만든 마지막 제례임에도 불구하고 제례로서의 형식, 위상, 제례악의 구성 등 전례 관점의 특징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국조오례의, 『국조오례의서례, 『춘관통고 등 조선시대 전례서의 주요 국가제례와 의암별제의 제례절차 및 제례악을 고찰하였다. 조선의 국가제례는 대사, 중사, 소사, 기고, 속제, 주현의 여섯 가지 등급으로 분류한다. 이 중 일부에서만 제례악을 사용하며 등급에 따라 악․가․무의 사용범위를 차별화 하고 있다. 종묘제례나 문선왕제와 같은 대사와 중사에서는 악․가․무를 모두 사용하는데 반하여 소사와 속제에서는 악․가 또는 가․무와 같이 일부 요소만 사용한다. 전례 기준상 지방관이 주관하는 주현 제례는 악․가․무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지만. 일부 지역의 향교 문선왕제에서는 음악만을 사용하였다. 의암별제는 지방의 제례이나 국가제례의 절차를 따르면서 고유의 제례악을 갖고 있다. 특히 다른 소사나 지방의 제례와 다르게 악․가․무를 모두 사용하고, 악현을 당상악과 당하악으로 편성, 전례 기준으로 보면 중사 수준의 특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의암별제 제례악의 큰 특징은 국가전례의 기준을 무조건적으로 따르지 않고 당시 진주지역의 음악적 여건과 제례 장소인 촉석루의 건축적 특성을 고려하여 일부 요소를 조정한 점이라 할 것이다.

      • 특성화고 및 산업수요 맞춤형고 전문교과 교사의 평가 활동을 위한 메타평가 평가요소 개발

        윤지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박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meta-evaluation elements to assess vocational subject teacher’s evaluation activity in specialized and meister high schools. By applying the meta-evaluation elements, it is expected to reason out a qualified improvement through analyzing and assessing the teachers’ evaluation activity on vocational education.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oretical background is established to develop a meta-evaluation structure and its elements for assessing activity of vocational subject teacher in specialized and meister high school, and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last step is to carry out the final developed elements, and deducting a implication by analyzing the research result. The research methods are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 analyze the materials, research study – conduct a survey, Delphi method,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rough interviews. With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 is drawn. APPOF Meta-evaluation elements are developed for assessing the evaluation activity of vocational subject teacher at specialized and meister high schools consisting 18 evaluation categories and 95 evaluation items under a total of 5 assessment areas according to the systematic approach. Here are some implications that have the developed meta-evaluation elements through research First, this research has a predominant feature by connecting the area of meta-evalu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assessment evaluation as a part of vocational education. With the constant research of developing assessment tools for teachers’ professionalism on the assessment, the meta-evaluation elements would be developed into a broad understanding of evaluation with high level view exceed to the existing specialism in assessment. Second, the meta-evaluation elements designed through this research could be applied for self-improvement to build the teachers’ specialism on vocational subjects. Also, it is expected to be beneficial to establish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and comprise its contents to cultivate experts for assessing students and teachers at the national and provincial education level. Third, this research has applied the method to verify the meta-evaluation elements has been drawn from literature research. Prior to executing the meta-evaluation, reliability was verified through a thorough investigation with on-site expert teachers as preliminary inspection. In the main research where the meta-evaluation was applied, qualitative research was additionally conducted to reveal the fundamental causes and drawbacks for assessment activity. Researcher carried on the meta-evaluation to have implication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 has been drawn. Meta-evaluation in 5 categories (analyzing, planning, processing, outputs and applying) provided improvement feedbacks among the vocational subject teachers’ assessment activity in specialized and meister high schools. The result verified as there was a difference among the 6 individual factors including sex, college majors, teaching career, training participation experience related to assessment evaluation, field supporting experience and the level of education. the hypothesis was proven to be significant among the variables with the exception of sex and college majors. Through the verified result, a difference of dependent variables according to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following conclusion has been drawn. The remedial action and training program showed development among lowly and highly experienced teacher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n the assessment. Also, the effectiveness the training program would be maximized through conducting qualified analysis and monitoring. The training program needs to be comprise appropriate contents with the right talent in the right position. To handle the lack of teacher evaluation activity and to improve teachers’ evaluation performance, collaboration is needed among colleague teachers or through the mentoring system.

      • 공학계열 대학생의 핵심역량 도출과 평가지표 개발

        조동헌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박사

        RANK : 247615

        This study aims to propose core competencies that engineering students should develop in their undergraduate year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help engineering students strengthen their competencies as well as identify lacking competencies. A Delphi survey was used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for core competencie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status quo. The panel for the Delphi survey consisted of 20 experts in industrial fields, admissions assessment, job search and engineering education.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at three different times during a 3-week period from February 20 to March 12, 2016. The first Delphi survey was designed with open-ended questions on core competencies and activities, which were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the opinions of experts with the intention to facilitate the responses of the panel. The second Delphi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survey. The validity and importance of core competencies and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with closed-end questions, while evaluation indicators were identified with open-ended questions. The Third Delphi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econd survey. The validity and importance of core competencies and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with closed-end question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tatus quo of core competencies,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1,000 engineering seniors, with 724 questionnaires returned. Except for 82 poorly completed ones, 642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consider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selected using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and simple random sampling. The questionnaire included 6 personal information related questions intended to examin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nd 10 questions relating to core competencies of engineering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re competencies of engineering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4 domains: self-management, community, major, and global communication. Major competency showed the highest validity of 4.59, followed by self-management competency, 4.53, community competency, 4.53, and global communication competency, 4.29. Second, activities of engineering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9 domains: self-development, job search, student self-government, volunteering, club activities, academic performance, certificate acquisition, foreign language learning, and international exchange; the following relationships were found: self-development and job search were relevant to self-management competency, student self-government, volunteering and club activities to community competency, academic performance and certificate acquisition to major competency, and foreign language learning and international exchange to global communication competency. Third, evaluation indicators of engineering student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se, the levels of core competencies and activities were stratified into high, mid-high, mid, mid-low, and low. They were also quantified in terms of frequencies, time, grades, credits, and numbers. Forth, the status quo of engineering students' core competencies and activities was analyzed according to gender and admissions type. Self-management competency had a low correlation with major and global communication competencies, and little correlation with community competency. Community competency had some correlation with major competency, but a low correlation with global communication competency. Fe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ajor and self-management competencies than male students. Students admitted by admissions officer selec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mmunity and major competencies than those admitted through entrance exams. They also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major competency than those admitted based on school record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mak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their utilization and further research. First, there is a need to develop ‘(tentatively called) college student career management systems’ and successfully operate them using the developed evaluation indicators for core competencies of engineering students. Second,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provide programs that help engineering students improve their competencies during their undergraduate years from admission to graduation. 이 연구는 공학계열 대학생이 대학에서 성취해야할 다양한 역량들을 균형감 있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핵심역량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생 스스로 자가 진단하여 부족한 역량을 신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핵심역량과 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델파이 조사를 하였고 현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의 패널은 산업현장, 전형평가, 취업전담, 공학교육전문가로 20명을 구성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2016년 2월 20일∼3월 12일까지 3차에 걸쳐 실시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는 핵심역량과 활동내용에 대해 문헌 연구를 통해 개방형 문항으로 구안하였고 전문가 위원의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한 자료로서 델파이 패널의 응답에 도움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는 1차 조사 결과의 내용을 수정하여 반영한 설문지를 개발하여 조사하였다. 핵심역량과 활동내용에 대한 타당도와 중요도를 폐쇄형 문항으로 조사하였고, 평가지표를 개방형 문항으로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는 핵심역량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공과대학 4학년에 재학 중인 1,000명을 표본으로 하였고 724부가 회수되었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82부를 제외하고 642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은 비례유층표집과 단순무선표집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지는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조사하는 인적사항 관련 6개 문항과 공학계열 대학생의 핵심역량 관련 1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역량은 4개 영역으로 자기관리역량, 공동체역량, 전공역량, 글로벌소통역량이었다. 핵심역량은 전공역량 4.59, 자기관리역량 4.53, 공동체참여역량 4.53, 글로벌역량 4.29의 순으로 높은 타당도를 나타냈다. 둘째, 활동내용은 9개 영역으로 자기계발프로그램, 취업프로그램, 학생자치활동, 봉사활동, 동아리활동, 대학학업성취도, 자격증, 어학능력, 국제교류프로그램이었다. 핵심역량별 활동내용은 자기관리역량이 자기계발프로그램, 취업프로그램으로, 공동체역량이 학생자치활동, 봉사활동, 동아리활동으로, 전공역량이 대학학업성취도, 자격증으로, 글로벌소통역량이 어학능력, 국제교류프로그램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평가지표는 핵심역량과 활동내용을 수준에 따라 상, 중상, 중, 중하, 하로 분류하였다. 또한 활동내용에 따라 횟수, 시간, 점수, 학점, 개수 등으로 수치화하였다. 넷째, 공과대학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활동내용에 대한 성별, 대학입학전형 유형에 따라 현 수준을 분석하였다. 자기관리역량은 전공역량과 글로벌소통역량은 낮은 상관이 있고, 공동체역량과 상관이 거의 없었다. 공동체역량은 전공역량과 상관이 있고 글로벌소통역량과 상관이 낮았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전공역량과 자기관리역량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대학입학전형 유형은 입학사정관전형이 수능전형보다 공동체역량과 전공역량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그리고 입학사정관전형이 학생부교과전형보다 전공역량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 연구를 기초하여 추후 연구결과의 활용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칭) 대학생 경력관리 시스템’을 개발 운영할 필요가 있다. 개발된 공학계열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경력관리를 체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공학계열 대학생의 대학생활에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제공이 필요하다. 공학계열 대학생들이 입학 초기부터 졸업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역량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중등 생명공학기술 관련 교육과정 국제 비교

        김영숙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 curriculum related to biotechnology focused on the courses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n give a suggestion, which can be applied to our country's curriculum. The followings are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to achieve the goal. Firstly,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included in the courses of science and technology are extracted after examining literatures about the curriculum in several countries such as Bavaria in German, California in the USA, the United Kingdom, Japan, and Korea. Secondly, standards of comparative analysis are established in the curriculum based on the pilot study. Depending on those standards, the curriculum related to biotechnology is compared and analyzed. Finally, on the basis of the result, some implications are suggested, which can be applied to the curriculum of our count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was the level of a high school in almost all of countries, and mostly in-depth information was taught. Next, in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contents' of our country, an act-centered education was proposed as its goal, describing the goal abstractly. Compared to other countries, the quantity of the contents in teaching methods was much more and more specific than others, but the content itself was quite general and comprehensive. Also, the evaluation was described comparatively in detail, whose contents were largely on its tools, all the matters and so on. At last, the range of the contents in the curriculum was far more various than that of other countries. However, the curriculum of our country relatively included more concrete contents despite its content range in science being quite similar to each country. Genetic engineering was covered preponderantly in every country, and so was bioethics. Technology education courses of our country solely covered the contents related to biotechnology from middle to high schools.

      •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초등학교 국악 감상 수업 지도 방안 :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한승예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팬데믹 상황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교육 현장은 더욱 효율적인 교육을 위해급격한 변화를 겪어 오고 있다. 대표적인 변화로 꼽히는 것이 블렌디드 러닝을활용한 수업이다.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수업 방법은 오래전부터 제시되어왔으나 팬데믹 상황 속에서 온·오프라인 수업을 진행하며 더욱 주목받고 있다.지금 겪고 있는 급격한 변화가 일회적인 대응이 되지 않도록 교실 내에서 온·오프라인 수업이 혼합된 블렌디드 러닝으로의 확장을 통해 미래에 겪을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본 연구는 급격한 교육 현장의 변화 속에서 학생 및 교사에게 인식과 흥미가 낮은 우리 국악은 어떻게 대처해 나아가야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바탕으로 시작되었다. 우리의 전통을 교육의 변화와 연계하여 교실 내에서 온라인 도구를 활용하며 국악 감상 수업을 진행하는 블렌디드 러닝 수업이 학생들의 국악에 대한 이해와 흥미도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 또, 미래 교육의 변화에 알맞은 대처 방안이 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블렌디드 러닝, 국악 감상 수업, 감상 수업 모형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고찰하며 연구 진행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둘째, 6학년 8종 교과서 속 국악 감상 영역을 분석하여연구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10차시로 재구성하고, 수업 진행을 위한 ‘BLEND’수업모형을 개발하여 지도안 양식을 마련하였다. 셋째, 연구자가 담임을 맡고있는 부산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에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지도안과 온라인 도구 적용 모습을 통해 수업 과정을 제시하였다. 넷째,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국악 감상 수업이 국악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및 흥미도 향상에도움이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3가지의 분석 기준을 통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적용 결과를 분석하였다.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블렌디드 러닝을 국악 감상수업에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국악에 대한 이해도가 향상되었다. 둘째,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국악 감상 수업 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국악에 대한 흥미도가높아지는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교실 내에서 온·오프라인 수업이 혼합되어 진행되는 확장된 의미의 블렌디드 러닝이 미래 국악 교육에 적합한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본 연구를 통해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국악 감상 수업의 효율성을 증명할수 있었으나 다음과 같은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보다 발전된 국악 수업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국악 감상 수업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표현,생활화 영역과 연계된 수업을 진행할 경우 학생의 개인별 성향에 따라 수업 진행 과정에 어려움이 나타났다. 따라서, 표현, 감상, 생활화 영역을 통합한 블렌디드 러닝 수업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학교 현장에서의 수업 운영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확장된 의미의 블렌디드 러닝은 교실 내에서 온·오프라인 도구를 동시에 활용하는 수업으로 학교 현장의 상황을 반영한온라인 도구들이 더욱 많이 개발된다면 수업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전통은 우리가 함께 지키고, 가꾸어 나가야 할 소중한 유산으로 끊임없는 관심과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미래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이 될 학생들에게 전통과 관련된 수업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급변하는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전통은 도태되기 쉬운 것처럼 국악 교육도 변화에 어울리는 발전을 통해 학생들의이해와 흥미를 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 미래 사회에 걸맞게 국악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연구 결과가 현장에 반영되어 끊임없이 발전해야할 것이다.

      • 쌍생아간 수혈 증후군에서 태아내시경 레이저 수술 도입의 효과

        김수현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목적: 쌍생아간 수혈 증후군은 빈도는 드물지만 치료 받지 않을 경우 주산기 사망률이 매우 높은 질환이다. 최근 태아내시경 레이저 수술이 도입되어 쌍생아간 수혈 증후군의 최선의 치료로 여겨지고 있으며 본 연구는 태아내시경 레이저 수술 시행 이후 치료 성적의 변화 여부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출생한 쌍생아간 수혈 증후군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태아내시경 레이저 수술을 시행 받은 군과 받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사망률 및 신생아기 합병증 이환율을 비교하였다. 또한, 태아내시경 레이저 수술을 시행 받은 군을 선택적 레이저 수술을 시행 받은 군과 솔로몬 기법을 시행 받은 군으로 재분류하여 치료 성적을 비교하였다. 결과: 연구에 포함된 총 70쌍의 쌍생아간 수혈 증후군 환자 중에서 35쌍(50%)의 쌍생아들이 레이저 수술을 시행 받았다. 쌍생아 중 적어도 한 명 이상 생존할 확률이 태아내시경 레이저 수술을 시행 받은 군에서 100%(35/35), 시행 받지 않은 군에서 91.4%(32/35)로 확인되었다(P=0.028). 레이저 수술을 시행 받은 군을 재분류한 결과, 솔로몬 기법을 시행 받은 군에서 선택적 태아내시경 레이저 수술을 받은 군에 비하여 쌍생아 두 명 모두 생존할 확률이 높았다(81.3%, 13/16 vs. 57.9%, 11/19, P=0.036). 신생아기 사망률은 레이저 수술을 시행 받은 군이 시행 받지 않은 군에 비해 낮았으며(1.7%, 1/59 vs. 16.4%, 11/67, P=0.005), 3단계 이상의 중증 뇌실내 출혈의 경우에도 레이저 수술을 시행 받은 군에서 빈도가 적었다(0%, 0/59 vs. 18.2%, 12/66, P=0.001). 또한, 레이저 수술을 시행 받은 군에서 쌍생아간 출생 체중의 차이(24.4% vs. 33.7%, P=0.032)가 작았으며 쌍생아 빈혈-적혈구증가증의 빈도가 적었다(0% vs. 43.8%, P<0.001). 결론: 태아내시경 레이저 수술 도입 이후 쌍생아간 수혈 증후군 환자들의 생존률이 호전되었다. 또한, 솔로몬 기법 도입 이후 쌍생아 두 명 모두 생존할 확률이 더욱 증가된 것으로 보아, 솔로몬 기법이 쌍생아간 수혈 증후군의 치료로써 태아내시경 레이저 수술 시에 고려해 볼 수 있는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Fetoscopic laser surgery (FLS) is considered an optimal therapeutic strategy for twin-to-twin transfusion syndrome (TTTS). We aimed to determine the clinical outcomes of TTTS patients since the introduction of FLS.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of TTTS patients born between January 2005 and December 2015 was conducted. Mortality and morbidity were compared in the FLS and non-FLS groups. The FLS group was divided into selective FLS and Solomon technique group, and subgroup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Of 70 pregnancies diagnosed with TTTS during the study period, FLS was performed for 35 (50%). Survival of at least one infant at discharge was achieved in 100% (35/35) of pregnancies in the FLS group and 91.4%(32/35) in the non-FLS group (P=0.028). Subgroup analysis revealed that the Solomon technique group had a higher dual survival rate than the selective FLS group (81.3% vs. 57.9%, P=0.036). Neonatal mortal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FLS group than in the non-FLS group (1.7% vs. 16.4%, P=0.005). Severe intraventricular hemorrhage more than grade 3 was less frequent in the FLS group than in the non-FLS group (0% vs. 18.2%, P=0.001). The FLS group showed smaller inter-twin differences in birth weight (24.4% vs. 33.7%, P=0.032) and lower incidence of twin anemia-polycythemia sequence (0% vs. 43.8%, P<0.001). Conclusion: Since the introduction of FLS, the survival rate of TTTS patients has improved. The Solomon technique resulted in better dual survival rates than selective FLS.

      • 패널자료를 이용한 중국 수산물 소비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임설매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599

        China is the world's largest producer of aquatic products and its fishery sector is comprised primarily of aquaculture facilities, both fresh and seawater, and a much smaller wild catch component. The expansion of the aquaculture sector continues to boost China's aquatic output. The increase is attributable to several factors. Among them rapidly growing domestic demand is no doubt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sons. Rapid economic growth and rising disposable income are influencing domestic consumption and the economic recovery of major import markets is further stimulating consumption of China’s aquatic products.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status, trend and reasons of consumption of aquatic products in China.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consumption of aquatic products and its change, this paper utilizes panel regression model to estimate the affecting factors of aquatic products consumption in China. By using panel data between 1997 and 2010, the results indicate that income, urbanization, aging and dummy variable have positive effects and fish price index has negative effect on China's aquatic products consumption as predicted. However, effect of meat consumption on fishery consumption is totally opposite with our prediction. In other words, it turns out that meat consumption has positive effect on fish consumption. Finally the member of household does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 on consumption of aquatic products in China.

      • 학교건축의 개방필요시설 및 운영방안 : 이용자와 관리자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이덕희 충북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인구절벽 시대에 학령인구의 감소에 따라 학교는 소규모화되었고 학교와 지역의 중심 기능은 쇠퇴해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시설을 지역주민들에게 개방함으로써 학교의 중심 기능을 회복하여 지역 공동체를 발전시키고 학교, 마을 공동체,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하여 지역의 요구를 충족하도록 학교시설을 공유하기 위해 학교시설의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활용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지역주민과 시설관리자를 대상으로 수행된 설문조사에 따르면 1990년 이후 학교시설의 복합화 및 개방화 정책이 시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운동장과 다목적교실(강당) 이외의 학교 시설들의 개방이 미비하여 지역 주민들이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추가적으로 개방이 시급한 편의시설들은 화장실과 수도시설인 것으로 밝혀졌다. 학습권 보호의 명목 하에 닫혀있었던 학교 내 편의시설을 개방하여 지역주민들이 시설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교의 기능을 강화하고 지역사회에서 중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2004년에 학교 내 화장실이 공중화장실로 편입․개방되도록 법적으로 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제도가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 실정이므로 학교 화장실은 공중에게 우선적으로 개방되어야 한다. 2) 학교화장실 및 수도시설은 도난 및 파손의 우려가 있으므로 시설 이용자들의 의식 개선이 필요하고 청소, 전기 및 수도 이용에 따른 유지관리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의 교육보조 경비를 확보하여 관리되어야 한다. 3) 2001년 4월 “특별교부금 교부·운용 지침”이 제정되면서 지역주민들을 위한 평생학습교육장소로 다목적 교실을 개방하여 특별교부금으로 운용해 온 것과 같이 지방자치단체의 대응투자 확보로 특별교부금을 지원받아 학교 화장실을 공중화장실 역할을 하도록 개방할 필요가 있다. 4) 학교 시설 개방으로 인한 도난 및 파손, 성폭력, 유괴, 학교폭력 등의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현재 모든 학교에 배치되고 있는 배움터 지킴이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안전 확보와 시설물의 건전한 유지관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1995년 이후 정부 정책과 더불어 시행된 학교 시설의 복합화와 개방화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교수․학습활동의 침해를 우려하여 학교시설의 평생학습 교육장소로의 전환이 제대로 이루어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성과물이 쇠퇴해가는 학교와 지역을 재생하기 위해 지자체, 교육청, 지역공동체가 협력하여 지역특색에 맞는 교육에 부합하는 학교시설의 변화를 준비하는데 도움을 주기를 바란다. During the age of the demographic cliff, schools became smaller and central function of the schools and regions declined due to a decrease in the number of school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tore the central functions of schools by opening the facility to local residents so that the community can be developed and to propose a sound and sustainable utilization of school facilities that schools, the local community and the local government can work together to meet the needs of the community. In this study, a survey of local residents and facility managers found that although the enforcement of policies to combine and open school facilities since 1990, the opening of school facilities other than playgrounds and multipurpose classrooms (auditorium) was insufficient for the residents. Also, facilities that require additional opening were toilets and water supply facilities. To strengthen the function of the school and to play a central role in the local communities by opening the school facilities which were closed under the protection of the right of learning and allowing the facilities to be freely used by resident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1) This system is not implemented properly even though it was legally prescribed that toilets in schools were transferred to and opened to public toilets in 2004, so the school toilets should be opened to the public first. 2) School toilets and water facilities are subject to theft and damage, so they need to improve the awareness of facility users, and require the education auxiliary expenses of local governments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s associated with cleaning, electricity, and water use. 3) By the establishment of the " Special Grant and Operation Guidelines " in April 2001, was opened a multi-purpose classroom as a lifelong learning education site for local residents. Thus the toilet in schools should be opened to serve as a public toilet by supporting the special grants with the securing of corresponding investment by local governments. 4) In order to solve problems such as theft, destruction, sexual violence, kidnapping, and school violence, due to the opening of school facilities, by school guardians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ensuring the safety of students and the sound maintenance of facilities In spite of efforts to compound and open school facilities implemented with government policies since 1995. the transition to a lifelong learning education site of school facility was not accomplished properly because of the worry about obstru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herefore, I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prepare for changes of school facilities in response to education tailored to loc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cooperation of local governments, the education office, and local communities to recreate declining schools and regions.

      • 충주지역 공동주택 단지내 상가의 규모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강윤식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1990년대 200만호 주택건설과 2000년대 50만호 주택건설계획 등의 총량적 목표달성을 위해 정부는 대량의 아파트 단지 건설이 이루어졌고, 앞으로도 더욱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아파트단지의 대량 건설은 주택공급측면의 양적 목표에는 어느 정도 실효를 거두었으나, 삶의 질적인 수준에서는 많은 문제가 야기되었다. 사회적 인식변화와 경제적 성장은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켰으며, 제4차 국토종합계획에서도 가시화 되었듯이, 주거환경의 질적변화에 대한 예고가 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주택은 거주뿐만이 아닌 삶의 질을 윤택하게 하는 장소로서 인식전환을 주호단위의 내부공간에 대한 질적 변화와 더불어 아파트단지의 외부공간에 대한 질적 변화를 가져오게 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커뮤니티 중심의 아파트단지의 부대복리시설중 하나인 단지내 상가를 이익의 수단으로만 인식하여 계획하여 왔으며, 개발초기의 이용형태와 다르게 주변상가나 대형마트의 출현으로 공실의 발생과 함께 점차 쇠락의 길을 걷고 있다. 충주지역 공동주택 또안 예외라 할수 없어 이에 보다 정확한 조사를 통하여 공동주택 단지내 상가업종과 규모를 분석하고 충주지역의 공동주택 단지내 건축계획특성을 도출하여 규모와의 상관성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충주지역 공동주택 단지내 상가를 주 대상으로 하였으며, 내용적 범위는 공동주택 단지내 상가의 업종구성과, 세부업종면적, 세대수의 변화에 따른 규모계획특성으로 한정한 결과, 다음과 같이 연구가 진행되었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연구의 범위 및 방법, 그리고 선행연구의 고찰과 단지내 상가와 관련된 법규를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충주지역 공동주택단지의 개발규모와 단지면적, 주택규모등의 개발여건에 관련된 일반현황과 함께 단지내 상가의 업종구성분류와 업종구성현황등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단위업종별 공동주택 단지내 상가의 규모계획특성을 알아보고자 우선 공동주택 단지내 상가의 업종구성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과 함께 각 업종군에 따른 세부업종의 규모계획특성을 알아보았다. 제4장에서는 세대규모에 따른 공동주택 단지내 상가의 규모계획특성을 알아보고자 우선적으로 공동주택 세대규모별 단지내 상가의 업종구성에 대해 살펴본후 일정단위로 세대수를 구분하여 그에 따른 당지내 상가의 규모계획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충주지역의 공동주택 단지내 상가의 규모계획특성에 관한 연구로써 충주시 전역에 단지내 상가를 포함하고 있는 공동주택 단지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을 한 결과 세대수의 변화에 따라 세부업종의 규모와 구성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추후 충주지역 공동주택 단지내 상가에서의 적정한 규모에서의 업종구성에 대한 이론적인 결론을 제시하였으며, 단지의 규모와 세부업종에 따른 적정 규모 산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arge amounts of apartment complex have been, and will be, constructed under the direction of the administration to fulfill the goal of 20 million housing projects of 1990s and 5 million housing projects of 2000s. However, despite the administration's success in quantitative issue of the matter, when it comes to the question of quality of living, many problems and doubts are raised. Change in our society's values and economic progresses have brought the issue of quality of living into our concerns, and as the 4th Multiple Purpose Development of Land Planning folded out, qualitative improvement in residential environment is foreshadowed. Having these background, qualitative improvements are brought to interior of dwelling units and exterior of apartment complexes while housings are seen as not only residential space but also places of life-betterment. Shopping centers in apartment complexes have been planned and established only for the financial profits, and with the advent of large wholesale shopping centers, empty shops have begun to appear with the whole area of shopping centers going downhill. Apartment housing projects of Chung-ju district are experiencing the same kind of deterioration, thu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ale and types of the businesses in the shopping center and addres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ale of the business and the current phenomenon. This study involves shopping centers in apartment housing complexes of Chung-ju district, and contents are ranged within the matters concerning types and areas of the individual shops and changes in land use program followed by changes in numbers of households. The first chapter explores the object, background, range, and method of the study, provides contemplations on preceding studies, and identifies the laws regarding shopping centers in apartment complexes. The second chapter explores the present status of development conditions such as development scale and housing scales, while examining categories of businesses and present statues of businesses of the shops in apartment complexes. The third chapter, in order to examine the land use program features of shopping centers according to their business types, explores land use program features of detailed types of businesses with a general summary concerning the composition of shops in the shopping center. The fourth chapter, in order to examine land use program features of shopping centers according to the household scale of the apartment complex, first explores the composition of shops according to the household scale of the apartment complex, and then inspects the land use programs of the complex by classifying the households into specific units. This study, involving apartment complexes with shopping centers in the whole district of Chung-ju, has obtained the result that shows types of shop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household numbe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esents appropriate composition for the shops in shopping centers of apartment complexes, and expects to provide further information on figuring out the appropriate scales of shops according to the scales of the complex and shop composition.

      • 도시 옥상을 이용한 효율적인 텃밭활용

        차미경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인들이 살아가는 도시의 대부분은 산업화로 인한 인구의 집중으로 도시공기의 오염과 도시 열섬화현상과 같은 문제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나라들이 주변 녹화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어 세계 각국에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라차원에서 관심과 지원을 쏟고 있다. 현대인들은 도시의 상업화, 산업화로 인해 녹지 공간을 접할 기회가 많지 않고 자연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도시인들의 소망이 개인 텃밭, 옥상의 조경, 베란다의 텃밭화, 또는 주말농장을 재배하는 형태로 발현되고 있다. 환경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웰빙에 대한 도시인들의 욕망은 스스로 텃밭을 재배하고 작물을 수확하며 믿을 수 있는 좀 더 건강한 먹거리를 생산하고 공급받고자 한다. 그러나 도시 인구집중화로 인하여 도시인들의 생활공간은 점차 줄어들고 있어 텃밭으로 활용 가능한 잔여공지가 턱없이 부족하여 아파트 베란다를 활용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베란다를 활용한 텃밭은 다양한 작물이나 공간의 한계가 있으므로 최근에는 옥상을 활용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을 연구한다. 이러한 도시 옥상의 공간적 한계점을 벗어나기 위하여 가변을 이용한 하우스에 대한 사례를 수집하고 다양한 활용법을 찾아 도시생활의 옥상텃밭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우선 하우스의 높이를 가변으로 조절하여 다양한 작물을 그 특성에 맞게 재배가 가능하도록 하였고 바퀴를 달아 이동이 자유롭도록 조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효과적인 연구를 위해 건축법상으로 신고나 허가의 불편한 절차없이 옥상에 하우스를 설치 할 수 있는 사례를 연구하여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계절적 기후적인 한계점을 보완하고 하우스의 소재를 일본과 제휴하여 그늘이 생기지 않는 소재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하우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편리함을 도모하는 방법과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하여 가볍고 이동이 용이하며 하우스의 영구성이 좋도록 하는 사례도 함께 연구분석하였다. 다른 나라의 여러 사례들도 비교 연구하여 보고 성공사례로 꼽히는 일본의 채원 즉, 옥상텃밭을 지역주민들에게 대여하고 수확한 작물을 저렴하게 공급하는 사례를 살펴보고 연구하였다. 옥상 텃밭은 현대 도시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비어있는 도시 옥상 한곳에 텃밭을 이루어 작물을 재배함으로써 도시 안에서의 전원생활을 느낄 수 있고 `육체적 심리적 건강, 수확하는 재미, 나누는 즐거움`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옥상텃밭을 좀 저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개인의 자급자족적인 텃밭뿐만 아니라 상업적이고 고부가가치의 다양한 작물을 수확할 수 있도록 하여 가계나 지역의 소득 창출의 효과를 나타날 수 있는 도시농업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제시해 보고자 한다. In most of the cities where modern people live, concentration of the population due to industrialization causes many problems such as city air pollution and urban heat island. Therefore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are paying much attention to surrounding greenery, and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paying attention and provide support at the national level to solve these problems. Modern people do not have many opportunities to get access to the green space due to the commercial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the city. The desire of the citizens who want to return to nature is expressed in the form of cultivating a private garden, rooftop landscaping, veranda gardening, or weekend farm. Along with the interest in the environment, the urban people's desire for well-being leads to cultivating gardens, harvesting crops, and producing and being supplied more trustworthy food. However, due to the concentration of the urban population, the living space of the urban residents is gradually decreasing, and there is a severe lack of remaining space that can be utilized as a garden, which induce them to utilize apartment verand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 that various methods of utilizing the rooftop are emerging in recent years because there is a limit to variety of crops and spaces in veranda garden. In order to overcome the spatial limitation of the urban rooftop, the examples of various vinyl greenhouse have been collected, and effort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rooftop garden in urban life by finding various ways of using it. First, the height of vinyl greenhouse was adjusted variously so that various crops could be cultivated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installed wheel to it to be moved freely. Also, in order to make such effective research, the cases where houses can be installed on the rooftop without inconvenient procedure of reporting or permitting in perspective of construction law have been studied to arrange reasonable alternatives. This study complemented the seasonal climatic limitations of our country and used the materials that do not create shade in partnership with Japa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method of making the people convenient who use the vinyl greenhouse and the case of using the aluminum material to make it light and easy to move and to make the house permanent. It has also studied and compared various cases of other countries and studied the cases of Japanese gardening which are considered as a success case, that is, leasing the rooftop garden to local residents and supplying the crops from there inexpensively. A rooftop garden is a place where people living in modern cities can create their own garden on a rooftop of a vacant city, so that they can feel the rural life in the city and enjoy the benefit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as well as fun for harvesting and sharing. By utilizing the rooftop gardens in a more efficient way, this study tries to suggest the method to harvest a variety of commercial and high value-added crops as well as individual self-sufficient gardens, thereby to present the ways to revitalize urban agriculture that can generate income in households and reg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