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적 권태성향이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 충동성과 음주동기의 매개효과

        홍다은 경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외적 권태성향이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충동성과 음주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270명을 대상으로 외적 권태성향, 충동성, 음주동기, 음주문제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 통계 분석, 상관분석, 직렬다중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외적 권태성향, 충동성, 음주동기, 음주문제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외적 권태성향은 충동성, 음주동기, 음주문제에 정적인 상관을 나타났으며, 외적 권태성향이 음주문제에 미치는 효과는 충동성에 의해 매개되었으며, 충동성, 음주동기에 의해 순차적으로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나났다. 이러한 결과는 외적 권태성향이 충동성을 촉진하고 이로 인해 음주동기가 높아지면서 음주문제에 영향을 미치게 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음주문제에 있어, 개인의 성격적 측면과, 내적 동기가 어떻게 음주문제에 영향을 미치는지 직렬다중매개모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외적 권태성향이 음주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탐색함으로써 개인 성격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음주문제 개선을 위한 개입의 가능성을 제안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comprehend the effects of external boredom proneness on drinking problem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impulsiveness and drinking motivation in their relationship.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270 university students using external boredom proneness, impulsiveness, drinking motivation, and drinking problem scale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conducted.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problems, external boredom pronen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impulsiveness, drinking motivation, and drinking problems and the effects that external boredom proneness had on drinking problems were mediated by impulsiveness and they were mediated by impulsiveness and drinking motivation in that order. As a result, external boredom proneness facilitates impulsiveness and because of this, drinking motivation increases and thus affects drinking problems. In relation to the drinking problems of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observed how personal character aspects and internal motives affect drinking problems using a serial multiple mediator model.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d the channels through which external boredom proneness affects drinking problems to aid in the understanding of individual personalities and to present possibilities for interventions for the improvement of drinking problems.

      • 소셜 네트워크 게임(SNG)의 사용성 향상을 위한 UI 디자인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한국 카카오 톡과 중국 웨이신(wechat) 게임을 중심으로

        이소추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기술 발전에 따라 웹 2.0의 시대를 거쳐 "공유", "참여", "개방", 그리고 "개인화"와 "지능화"가 된 웹 3.0시대가 도래하였다. 스마트 환경에서 모바일 기기 같은 경우, 단순히 전화 또는 문자 기능만 있는 것이 아니라 앱이나 게임을 제공하기 때문에 유저들은 이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수많은 한국과 중국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중에서 최근 이용자 수가 급증하고 있는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게임(SNG)에 주목하였고 게임의 타겟층에 따라 카카오톡(한국)과 웨이신(중국)의 퍼즐 게임, 아케이드 게임 및 (카드)보드 게임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일차적으로 문헌조사 및 선행연구를 통해 SNG 인터페이스에 관련된 연구이론 근거를 얻었다. SNG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일반적 정보인지 요소와 시각요소를 도출한 후, 각각의 요소에 대한 사례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게임 사용성에 관한 사용성 평가 항목을 도출하였다. 체험자를 세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에게 같은 종류의 한국, 중국게임을 체험하게 한 후, 각각의 그룹에 나누어 설문조사를 실시, 그 평가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라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해 봄으로써 향후 발전적인 디자인 방향을 모색해보자 한다. SNG UI 디자인의 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례분석과 설문조사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그룹에서 실시한 게임은 유사한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터페이스에 대한 시각요소의 특징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그 중 주목할 만한 것은 한・중 게임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성 평가가 상이하게 나타난 점이다. 두 퍼즐 게임(대중성)에 대한 인터페이스의 시각적 요소는 게임 조작에 방해되지 않고 조작에 대한 학습시간이 짧더라도 게임을 빠르고 쉽게 적응할 수 있다. 중국 퍼즐 게임보다 한국 퍼즐 게임이 조작에 있어서 편리성과 유연성, 그리고 즉각적인 피드백 내용은 더욱 긍정적 태도를 얻었다. 아케이드 런닝 게임(젊은 세대)은 한국 게임이 중국 게임에 비해 조작의 편리성, 유연성, 적응성이 더욱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 게임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게임 조작에 방해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카드)보드 게임(뉴시니어 세대)에서는 한국 게임의 내용에 대한 다양성이 더욱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 게임은 조작의 편리성과 유연성 면에서 더욱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으며, 인터페이스의 구성과 체험성에 있어서 한국 게임은 시각적 방해요인이 더욱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보면 퍼즐 게임과 아케이드 게임에 대해 한국 게임은 더욱 만족스러운 결과를 나타났다. (카드)보드 게임에 대해 중국 게임보다는 한국 게임이 더욱 부정적 태도로 나타나 개선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사례분석 결과와 사용성 평가 결과를 결합하여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앞으로도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되는 요인과 그 방지 방법에 대한 연구를 모색하고자 하며, 이 3 가지게임 장르뿐만 아닌 다른 장르의 모바일 게임이 역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례분석 및 사용성 평가 방법이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신경증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의 조절효과

        조량재 경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신경증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신경증, SNS중독경향성, 자존감, 자존감 안정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경증, 자존감, 자존감 안정성, SNS중독경향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신경증은 SNS중독경향성과 정적상관을,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은 SNS중독경향성과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신경증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경증이 SNS중독경향성의 일부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경증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 자존감 안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존감은 신경증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나 자존감 안정성은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신경증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의 조절효과를 동시에 검증한 결과,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은 신경증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study the effects of neurosis on SNS addiction tendency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esteem and stability of self-esteem in that relationship. For this, it conducted surveys using neurosis, SNS addiction tendency, self-esteem, and stability of self-esteem scales on 300 university student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analysis we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nalyses of correlations among neurosis, self-esteem, stability of self-esteem, and SNS addiction tendency showed that neurosis and SNS addiction tenden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hile self-esteem and stability of self-esteem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NS addiction tendency. Second, after conducting simple regression to observe the effects of neurosis on SNS addiction tendency, it was found that neurosis partially explains SNS addiction tendency. Third, after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esteem and stability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sis and SNS addiction tendency,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sis and SNS addiction tendency but stability of self-esteem did not show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Fourth, after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tability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sis and SNS addiction tendency simultaneously,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and stability of self-esteem moderated the effects of neurosis on SNS addiction tendenc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부정적 자기개념, 자기개념 명확성, 자기초점적 주의에 따른 군집 유형 차이분석 : 정신건강을 중심으로

        김혜미 경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자기개념의 세 가지 측면인 내용-부정적 자기개념, 구조-자기개념 명확성, 과정-자기초점적 주의를 사용하여 어떠한 군집 유형이 나타나며 각 유형들이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기위해 각 군집 별로 정신건강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대학생 514명을 대상으로 단축판 역기능적 신념검사(SDBT), 자기개념 명확성 척도(SCCS), 자기초점적 주의(SDSAS),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을 이용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먼저, 자기개념의 세 가지 변인과 정신건강의 하위 요인들의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개념 명확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정적상관을 보였다. 부정적 자기개념, 자기개념 명확성, 자기초점적 주의(일반적/몰입적) 척도를 사용하여 군집유형을 분류한 결과, 안정형 자기 집단, 비일관된 각성형 자기 집단, 부적응적 자기 집단, 안정적 경직형 자기 집단, 부적응적 경직형 자기 집단, 비일관형 자기 집단으로 여섯 개의 군집이 나타났다: 군집 별로 정신건강의 하위요인들과 비교한 결과, ‘부적응적 경직형 자기’집단은 정신건강의 변인들에서 모두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안정형 자기’ 집단은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이후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요어 : 자기개념, 부정적 자기개념, 자기개념 명확성, 자기초점적 주의, 정신건강,

      • 게임 애플리케이션에적용된 색채디자인연구

        함지영 한양대학교 이노베이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유비쿼터스 시대가 도래하고 디지털이 발전함에 따라 개인 휴대 기기의 대표격인 스마트폰이 발전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멀티미디어의 활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산함에 따라 인간생활 전반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을 구성하는 콘텐츠인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직접 구매하고 삭제하는 것이 가능해짐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요구를 수용하는 것을 넘어서 더 나은 콘텐츠를 제공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중에서도 사용자가 가장 많은 관심을 보이는 것은 게임 애플리케이션이었으며,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고 있는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여 더 나은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개발될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가이드로 제시하고자 한다.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의 구성 요소에는 컬러, 레이아웃, 그래픽, 타이포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사용자의 시감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컬러’로 다양한 시각 요소 중 가장 순간적으로 반응하여 디지털 매체의 기능과 목적을 변별하는데 효과적인 판단 요소이다. 그리하여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때 사용자에게 색채가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고, 적절한 색채 가이드의 제시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논문은 현재 사용자에게 선호되는 게임 애플리케이션 중 앱스토어 다운로드 순위의 상위 4 종인 앵그리버드 스페이스(Angry Birds space), 팔라독(Paladog), 인피니티 블레이드2(Infinity Blade2), 컴투스프로야구 2012의 색채를 분석하고, 게임 장르별 색채 가이드를 도출하였다.본 논문에서는 체계적인 색채 가이드 제안과 이의 타당성을 위하여 설문 조사를 통해 사용자의 사례를 분석하고, 표본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검증 된 색채 가이드를 바탕으로 샘플 디자인을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 설문을 실행하여, 다시 한 번 제안한 색채 가이드의 적절성을 검토 하였다. 이를 통하여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색채 디자인 향상과 사용자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융합인재소양을 위한 디자인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성진선 한양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늘날 세계는 지식 기반 경쟁 시대로 현대인들은 다양하고 복잡해지는 문제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그 결과 오늘날에는 여러 분야의 지식을 활용하는 능력을 가진 통합적인 사고력과 창의성을 갖춘 융합 인재상이 요구되고 있다. 융합은 예술과 기술, 공학 뿐 아니라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 모든 학문분야와의 통합과 확장을 실천하려는 움직임을 말하는데, 교육에서도 마찬가지로 융합인재교육(STEAM)이 학생들의 전인적 교육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융합인재교육(STEAM)의 목표와 더불어 예술영역의 중요성을 조명하여, 융합인재를 위한 디자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융합인재교육(STEAM)은 창의와 인성을 강조한 내용융합(Convergence), 창의(Creativity), 배려(Caring), 소통(Communication)에 해당하는 융합인재소양의 핵심역량인 4C를 강조 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서 디자인교육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문헌과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예술영역과 디자인교육의 당위성을 연구하고, 교육목적과 방법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연구를 기반으로 교육현장에 적극적으로 활용 가능한 STEAM 디자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개발은 PDIE 연구절차(김진수,2011)를 따르고 있으며, 초등학교 고학년의 과학, 실과, 미술(디자인), 수학 교과의 종합적 지식과 총체적 사고를 필요로 하는 학생들을 위한 번뜩이는 신발 디자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프로그램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혼합 연구(mixed method research)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안산시 B초등학교 5학년 16명을 대상으로 하고, 융합인재소양(STEAMLiteracy)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STEAM 디자인교육 프로그램은 융합인재소양 증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수업과정, 산출물 분석, 수업 만족도 인터뷰에서도 융합인재소양과 관련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결론적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은 융합인재소양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확증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가 초등학교 외에도 폭넓은 연령대의 프로그램 개발과 융합인재소양을 위한 디자인교육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실천적 토대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의 조절효과

        권준영 경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변인들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52명을 대상으로 진로장벽 척도(KCBI), 진로준비행동 척도, 자기결정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과 상관 분석, 위계적 회귀 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장벽, 진로준비행동, 자기결정성과 그 하위요인들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단순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의 일부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에서 자기결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결정성은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에서 자기결정성 하위요인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율성과 관계성이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perceived career barrier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For thi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252 college students using the career barrier scale(KCBI),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self-determination Scale.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reveal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career barrie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elf-determina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Second, a sim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it was found that career barriers explained some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ird, after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was found that self-determination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after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sub-factors, it was found that autonomy and relationship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in th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s. Key words : career barrie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determination

      •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가해와의 관계 -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매개효과

        이은정 경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가 데이트 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내현적 자기애(CNS), 데이트 폭력(CTS-2),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CERQ) 척도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연애경험이 있는 485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내현적 자기애가 데이트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에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데이트 폭력에 가해에 예방적 차원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이해를 넓히며, 가해자와 피해자간의 관계의 치료적 개입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이론적 및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대학생의 불안정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정서억제의 차별적 매개효과

        조건우 경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불안정애착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정서억제의 차별적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458명(남자 233명, 여자 225명)을 대상으로 불안정애착, 스마트폰 중독,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정서 억제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 통계 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1.0을 사용하여 불안정애착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정서억제가 매개하는 구조방정식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불안정애착, 스마트폰 중독,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정서 억제의 모든 변인이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불안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피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억제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정서억제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불안정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의 구체적 경로를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상담 장면에서 성인의 스마트폰 중독예방 및 상담과정에서 정서억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수정을 통한 부정 정서의 완화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요어 : 불안정애착, 스마트폰 중독,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정서억제

      • 발달장애인 부모의 돌봄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 2요인의 차별적 매개효과

        김신애 경일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들의 돌봄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 2요인의 차별적인 영향을 확인하고자하였다. 우선 자기친절, 보편적 인간성, 마음챙김의 자기자비 긍정요인과, 자기비난, 고립, 과잉동일시의 자기자비 부정요인의 2요인 구조의 적합성을 확인하고 긍정과 부정의 2요인이 각각 독립적임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자녀를 둔 부모들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 돌봄 스트레스, 자기자비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507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우선 긍정과 부정의 자기자비 2요인 구조모형이 타당한지를 검증하고자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1요인 구조모형보다 2요인 구조 모형이 적합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발달장애인 부모의 돌봄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긍정과 부정요인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를 각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먼저 발달장애인 부모의 돌봄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 2요인은 각각 차별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돌봄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있어서 자기자비 부정요인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자기자비 부정요인은 개인적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생활혼란과 삶의 만족도, 장애자녀에 대한 부정적 감정과 삶의 만족도 하위요인 모두 유의하였고, 완전매개모형보다 부분매개모형이 더 적합하였다. 그러나, 자기자비 긍정요인과 부정요인의 조절효과와 자기자비 긍정요인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돌봄 스트레스가 직접적으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자기자비 부정요인(자기비난, 고립, 과잉동일시)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돌봄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자기자비 긍정요인(자기친절, 보편적 인간성, 마음챙김)이 보호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과 발달장애인 부모를 대상으로 한 상담 및 지원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발달장애인 부모에 대한 상담 및 지원을 제공할 경우 자기자비 긍정요인에 대한 개입보다는 자기자비 부정요인인 자기비난, 고립, 과잉동일시를 다루는 것이 중요하며, 발달장애에 대한 정확한 정보제공, 심리교육을 포함한 심리상담, 돌봄의 사회적 지원이 필수적임을 제안하였다. 주요어 : 돌봄 스트레스, 발달장애인 부모, 자기자비, 삶의 만족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