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유아 교사의 정서 지능이 영유아의 놀이성과 또래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천서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15

        영유아 교사의 정서 지능이 영유아의 놀이성과 또래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전공 천서희 지도교수 강기수 본 연구는 영유아 교사의 정서 지능이 영유아의 놀이성과 또래 유능감 의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정서 지능이 놀이성과 또래 유능감 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영유아 교사의 정서 지능, 영유아의 놀이성, 영유아의 또래 유능 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영유아 교사의 정서 지능이 영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영유아 교사의 정서 지능이 영 유아의 또래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과 경남지역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 는 만 0세∼만 5세 담임교사 380명을 대상으로 2023년 7월 18일∼8 월 1일까지 2주간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이 중 누락 및 부실기재를 제 외한 365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정서 지능 검사도구(Wong과 Law가 개발한 WLEIS를 임전옥이 번안, 타당화 검증하여 재구성한 도구사용), 놀이성척도 검사도구(이재은, 2006)또래 유능감 검사도구(박주희, 2001)이다. 영유아 교사의 정서 지능, 영유아의 놀이성, 영유아의 또래 유능감 간 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영 유아교사의 정서 지능이 영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 해 단순회귀분석(Simple linear regression)및 중다회귀분석(stepwise multi-regression)을 실시하였고, 영유아 교사의 정서 지능이 영유아의 또래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 및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분석과 논의에 근거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교사의 정서 지능과 영유아의 놀이성은 전적으로 유의미 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영유아 교사의 정서 지능과 영유아의 또래 유능 감 간에도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 둘째, 영유아 교사의 정서 지능 하위 요인이 영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정서 지능 하위 요인 자기정서 인식, 타인정서 인식, 정서 활용, 정서조절을 독립변인으 로 하고 영유아 놀이성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 과, 영유아 교사의 정서 지능 하위요인이 영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 향은 영유아 교사의 정서 지능 하위요인 중 정서 활용이 영유아의 놀이 성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설명해 주는 독립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영 유아의 놀이성에 대해 설명력을 가진다. 셋째, 영유아 교사의 정서 지능 은 영유아의 또래 유능감을 유의미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영유아의 또래 유능감의 설명력을 가진다. 영유아 교사의 정서 지능 하위요인이 영유아 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정서 지능의 하위요인 자기 정서 인식, 타인 정서 인식, 정서 활용, 정서조절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영유아 유능감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유 아 교사의 정서 지능 하위요인 중 정서 활용과 타인 정서 인식이 영유아 의 또래 유능감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설명해주는 독립변인으로 나타 났으며, 이들 두 변인 중 정서 활용이 또래 유능감에 가장 많은 설득력 을 가지며, 타인 정서 인식을 첨가할 경우 설명력이 증가된다.

      • ‘에밀’에 나타난 루소의 독서교육론에 관한 연구

        정지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에밀’에 나타난 루소의 독서교육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ading Education of Rousseau’s Emile 교육학과 정 지 은 지도교수 강 기 수 현대는 빠르고 복잡하게 변해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교육은 아이들이 현대사회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슬기롭게 극복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노력을 하고 있다. 그중에 하나가 바로 독서이다. 이러한 가운데 독서교육이 아동의 삶과 교육에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진지하게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에밀』에서 나타난 루소의 독서교육론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루소 교육사상의 시대적 배경과 사상적 배경을 고찰하고, 『에밀』에 나타난 루소 교육사상에 대한 전반을 이해하며, 루소의 독서교육론 분석을 통해 루소의 독서교육론의 교육적 시사점과 한계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에밀』에 나타난 루소의 교육사상은 사람들의 세계관이 바뀐 18세기, 프랑스 절대주의 말기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고 실학주의와 계몽주의를 사상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다. 그는 성선설에 입각한 아동관에 근거하여 인간다운 인간의 형성, 이성을 가꾸고 기르는 인간, 현재를 즐길 줄 아는 인간을 교육의 목적으로 삼고 아동의 발달단계를 5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에 맞는 교육내용을 전개하였으며, 자신의 감각을 중요시하는 감각교육, 인간의 내적 능력의 발현을 위해 사회적 영향을 배제하는 소극적 교육, 발달단계에 따른 순서를 지키는 자연의 교육, 그리고 경험을 통한 교육을 그 방법으로 하였다. 이러한 그의 교육사상은 독서교육론에 반영되어 있다. 그는 어린시기의 문자 교육을 반대하고 발달단계에 맞는 독서내용을 전개하였다. 유아기에는 언어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중시하고, 어린이 시기에는 특히 우화교육에 반대하였으며, 소년기에는 오직 『로빈슨크루소』읽게 하였다. 그리고 청년기에야 비로소 역사서, 인물전기, 우화, 고전을 읽게 하였다. 이를 보아 루소는 지적발달을 위한 독서가 아니라 독서를 위한 지적발달을 우선으로 하여 독서의 시기를 잡고 있으며, 독서 전에 동기를 충분히 부여하고, 읽는 동안 스스로 결론을 이끄는 능동적인 독서를 추구하고 있다. 또한 독서 후에도 책의 내용에 대해 사람들과 대화하고 그 내용을 자신의 삶에서 적용할 수 있는 태도를 중요시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교육적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루소의 독서교육은 지적발달을 재촉하는 현대의 부모에게 독서교육의 준비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정보를 쉽게 접하는 현대의 아동에게 생각하는 독서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며, 독서 후 아동의 삶에 그것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아동의 발달을 배려하며 독서교육을 체계적으로 이끌어 가는 독서지도자의 자세와 중요성을 시사한다. 지금까지 논의를 바탕으로 루소 독서 교육의 한계를 제시하면 먼저 루소는 독서의 준비성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다. 다음으로 루소는 책의 언어가 줄 수 있는 아동의 발달을 간과하였으며 끝으로 루소의 독서교육은 현대 사회의 관점에서 그것을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루소의 『에밀』은 사회적 명분이 아이들을 길들이는 현재의 교육에 대하여 진지하게 생각하는 계기를 마련해주며, 특히 아동의 발달을 고려하는 루소의 독서교육론은 현대의 아동의 삶과 교육, 그리고 독서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요어: 루소, 루소의 교육사상, 루소의 독서교육, 독서교육

      • 카뮈의 『이방인』에 나타난 실존적 권태의 교육적 의의

        천소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카뮈의 『이방인』에 나타난 실존적 권태를 고찰하고 교육적 의의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작품 『이방인』의 저자인 카뮈의 생애 및 시대적 상황과 작품세계를 살펴보았으며, 실존적 권태를 이해하기 위해 실존적 존재로서 인간이해와 근본기분으로서의 권태의 개념을 살펴보았고, 『이방인』의 작품 분석을 위해 등장인물의 특징과 주제의식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이방인』에 드러난 권태를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권태의 교육적 의의와 한계를 도출하였다. 『이방인』에 나타난 실존적 권태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교육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권태는 숙고와 반성의 여유를 제공함으로써 성장의 계기가 된다. 둘째, 권태는 진부한 지식이나 견해에 대해 비판과 의문을 제기하고 변화를 모색함으로써 창조성의 발판이 된다. 셋째, 권태는 자신을 돌아보게 함으로써 삶의 주체적 주인으로 살아가게 할 수 있다. 권태는 인간이라면 늘 느끼는 가장 보편적인 감정이며 살아있는 정서로 우리의 삶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실존적 권태는 인간이 자기성찰을 하게 하는 측면이 강하다. 실존적 권태에 대한 진지한 물음은 삶의 여유와 삶의 의미를 찾지 못한 채 바쁘게만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자신을 성찰하고 나아가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를 성찰하는 데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또한 권태를 제대로 인식하고 받아들인다면 권태는 인간을 보다 인간답고 창조적인 삶으로의 변화로 이끌 수 있는 교육적인 측면에서의 기능과 의미를 가질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권태에 대한 연구는 필요하다. 이러한 교육적 의의에도 불구하고, 권태의 개념이 너무 방대하고 애매모호하여 명확한 기준과 개념을 정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권태의 극복방법이 쉽지 않고 교육적으로 적용하고 실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연구의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앞으로 권태가 삶에 미치는 긍정적이며 부정적인 기능에 대한 연구와 이를 바탕으로 한 권태의 교육적 관심과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of existential boredom in Camus' 『The Stranger』 and clarify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life, background, and creative world of Camus, the author of 『The Stranger』 and discussed the meaning of mankind as existential beings and the concept of boredom as an essential feeling to comprehend existential boredom. To analyze 『The Stranger』, it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and the topic. Also, it discussed the feeling of boredom portrayed in 『The Stranger』.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derived the educational meaning and limitation of boredom. The following describe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existential boredom portrayed in 『The Stranger』: First, boredom provides an opportunity for contemplation and self-reflection to grow. Second, boredom raises questions and criticisms about banal knowledge or opinions and seeks for creativity. Third, boredom makes one to look back on oneself and to live one's own life. Boredom is one of the most universal emotions of mankind and a living sentiment that protects our lives. In particular, existential boredom allows us to reflect on ourselves. The serious question of existential boredom can provide the modern people who are just busy without any opportunity to ponder and find the meaning of life to reflect on themselves and the world in which they live. Also, boredom, when understood and accepted properly, can have educational functions and meanings for us to change our lives to be more humane and creative. Further studies on boredom are necessary in this context. Despite these educational meaning, the concept of boredom is too broad and ambiguous with difficulties to set clear standard and concept. Also, ways to overcome boredom are difficult and there are limitations to applying and practicing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boredom educationally. Therefore, mo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with educational interests in boredom to discuss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functions of boredom in life.

      • 영화를 활용한 어린이 철학교육 모형 탐색

        정가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지난 50년간 대한민국은 정치·경제·사회·문화면에서 초고속 성장을 이루어왔다. 그리고 현재 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에 대한 커다란 변화의 기대는 필연적으로 교육에서도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이 새로운 패러다임에서 요구하는 교육은 더 이상은 전달식, 주입식, 강의식 교육이 아니다. 이제 학생들에게 필요한 교육은 스스로 사고하고 지식을 탐구하는 교육, 습득한 지식을 융합·창출하는 사고력 교육이자 창의력 교육이며, 인간다움의 소양을 길러주는 교육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영화와 어린이 철학교육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영화와 어린이 철학교육의 연계 가능성을 모색한 후 이를 활용한 모형을 구안하고 그 교육적 의의를 찾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따라 영화를 활용한 어린이 철학교육의 모형을 탐색하기 위해 어린이 철학교육과 영화의 의의를 살펴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계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또 영화를 활용한 어린이 철학교육의 한 방법으로써 철학적 탐구공동체 모형과 영화 수업의 모형을 연계하여 영화를 활용한 어린이 철학교육 모형을 구안하였고 그 과정을 “사전 준비 → 영화 제시 → 토론 주제 선정 → 토론하기 → 토론 마무리 및 평가 → 심화 학습”으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탐구 활동에 주체적, 능동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자기 주도 학습을 할 수 있고, 민주시민의 태도를 신장시킨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였다. 또한, 자기 수정의 과정을 거쳐 자아를 실현할 수 있는 점과 영화를 활용한 어린이 철학교육에서의 교사의 역할은 바람직한 교사의 실천적 지침이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교육적 의의를 발견할 수 있다.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교육적 과제를 제언하면 우선, 영화를 활용한 어린이 철학교육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같은 전체적인 분위기 조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영화를 활용한 어린이 철학교육을 진행할 역량 있는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연수가 필요하다. 끝으로 영화를 활용한 어린이 철학교육의 체계적인 프로그램과 다양한 사례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앞으로도 영화를 활용한 어린이 철학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확산되고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연구와 프로그램의 개발, 그리고 교육 현장에서의 적용 등과 같은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이솝 우화』의 인성교육적 의의

        강희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이솝 우화』에 나타난 인성교육적 의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성과 인성교육의 의미를 고찰하였고, 인성교육의 요소를 재구성하였으며, 『이솝 우화』의 특징과 교훈 분석을 바탕으로 『이솝 우화』의 인성교육적 의의와 한계를 도출하였다. 인성은 사람됨, 인간의 성품 등 바람직한 개인이 갖추어야 하는 자질로 설명되었으나 사회적, 시대적 흐름의 변화에 따라 인성과 인성교육은 개인에서 사회구성원으로서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자질을 길러주는 방향으로 정의되는 추세이다. 고대 그리스 시대의 노예였던 이솝(Aesop)에 의해 쓰인 『이솝 우화』는 동물, 식물, 사물 등 의인화된 등장인물을 통해 교훈을 전달하는 짧고 재미있는 이야기로서 현실세계를 있는 그대로 그려내는 특징을 지닌다. 예로부터 도덕교육의 교재로 사용되어왔지만 교훈분석 결과 『이솝 우화』는 도덕성뿐만이 아니라 인간이라면 실생활에서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이야기로서 그에 따른 다양한 교훈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솝 우화』에 나타난 인성교육적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성교육이 자기이해와 함께 타인과 더불어 살아감에 있어 요구되는 도덕성을 근간으로 상황에 맞게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것임을 고려하였을 때 『이솝 우화』는 자신과 타인을 이해할 수 있게 하고, 현실에 근거한 삶의 지혜와 판단력을 길러주며, 더불어 사는 삶의 가치를 일깨울 뿐만 아니라 사고력 교육을 위한 교재로 활용가능하다는 점에서 인성교육적 의의를 가진다. 이러한 교육적 의의에도 불구하고 『이솝 우화』가 인성교육적으로 지니는 한계는 관계적 측면에서 요구되는 대화, 의사소통능력, 공감을 교육하는데 불충분하고, 독자에 따라 『이솝 우화』를 본 뜻과 달리 왜곡되게 해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인간의 변화 가능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기존의 『이솝 우화』는 주로 아동을 위한 도덕교육 교재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솝 우화』의 특징을 분석하고 교훈을 고찰한 결과, 『이솝 우화』는 선과 악이 공존하는 세상에서 마냥 도덕적이며 착하게 행동할 것이 아니라, 어떻게 판단하고 행동하는 것이 지혜로운지에 대한 교훈을 주는 이야기로 나타났다.

      • NIE를 활용한 어린이 철학교육 지도 방안 연구

        황송이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이자 지능정보화 시대인 현대 사회는 산업과 문화전반에 걸쳐 다양한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렇게 빠르게 변하는 시대를 지혜롭게 대처하기 위해 사회 전반에서는 교육에 대해서도 세계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인재양성에 초점을 맞추기 위한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제 글로벌 인재양성을 위해 필요한 교육은 문제 해결을 위한 사고력·창의력, 팀워크, 의사소통능력, 적응력, 대인 관계 기술 등을 구비하기 위한 교육이 되어야 하며 학생들에게는 인간 실존의 회복을 위한 도덕성과 책임감을 키워주는 교육도 필요하다. 이 논문은 위와 같은 우리 교육에 대한 다양한 변화의 요청에 응답하는 하나의 대안으로서 NIE를 활용한 어린이 철학교육 지도 방안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따라 이론적 탐색으로서 먼저 어린이와 철학교육의 관계를 이해하고, 전개 과정, 목적과 내용, 방법 등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NIE의 개념과 특징, 교육적 효과 등을 살펴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어린이 철학교육과 NIE의 연계가능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이론적 검토를 토대로 NIE를 활용한 어린이 철학교육의 구체적인 지도 방안 마련을 위해 철학적 탐구공동체 모형과 NIE를 활용한 수업 모형을 연계․활용한‘NIE를 활용한 어린이 철학교육 모형’을 새롭게 구안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을‘준비 → 도입 → 탐구활동 → 평가 및 마무리’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NIE를 활용한 어린이 철학교육의 교육적 시사점은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 능동적으로 참여함으로써 배움의 주체가 될 수 있고 세상을 보는 통찰력을 기를 수 있고, 탐구공동체 활동을 통해 민주시민의 자세를 함양할 수 있게 하며, 스스로 사유 활동의 과정을 거통해 사고력을 형성하는 과정은 자아를 실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교사에게 있어서도 NIE를 활용한 어린이 철학교육은 교사가 교수․학습의 주도권을 내려놓고 바람직한 조력자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교사의 실천적 지침이 될 수 있다는 교육적 의의를 발견하게 되었다. 지금까지의 논의와 결론에 근거하여 제언하면, 우선 어린이 철학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어린이를 위한 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어린이 철학교육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과 어린이 철학교육의 보편화 대중화와 같은 전체적인 분위기 조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NIE를 활용한 어린이 철학교육을 진행할 역량 있는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연수가 필요하다. 끝으로 NIE를 활용한 어린이 철학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다양한 프로그램, 교수․학습법, 사례 등의 개발 및 보급 그리고 다양한 교육 현장에서의 대중화와 같은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을 통한 현장체험학습 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

        정진화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을 통한 현장체험학습 지도 방안 연구 A Study on Field Experience Learning Teaching Method through Activities in the Community of Philosophy Inquiry 교육학과 정 진 화 지도교수 강 기 수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은 비판적, 창의적, 배려적 사고력인 고차적 사고력 신장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학생들은 공동체를 구성하여 진행되는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을 통하여 타인에 대한 존중과 이해를 바탕으로 한 배려적 사고를 형성할 수 있고, 대화적 탐구를 통하여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철학적 탐구공동체와 현장체험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철학적 탐구공동체와 현장체험학습의 연계 가능성을 모색하여 향후 이를 활용한 수업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 교육적 의의를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을 통한 현장체험학습 지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철학적 탐구공동체와 현장체험학습의 개념을 살펴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또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과 현장체험학습을 연계하여 실제 수업 시간에 사용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을 통한 현장체험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수업 과정에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함으로써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찾았다. 또 철학적 탐구공동체 수업은 대화와 토론을 통한 바람직한 협동학습의 모델이 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불어 공동체 학습은 타인에 대한 배려와 존중을 통한 인간교육이 가능하며 수업에서의 전달자가 아닌 조력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은 오늘날 사회에 필요한 바람직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지침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교육적 과제를 제시하면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을 통한 수업을 진행할 역량 있는 교사를 양성이 필요하고,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을 통한 수업의 의미에 대한 이해와 학부모, 학생, 교사의 인식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더욱 다양한 형태의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 수업 프로그램과 교재가 필요하다. 주요어: 철학적 탐구공동체, Lipman, 고차적 사고력, 현장체험학습

      •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통해서 본 몸 철학의 교육적 의의

        조민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사유의 중심을 이성으로부터 몸으로 전환시킨 니체의『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 나타난 몸 철학의 교육적 의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그의 저서인『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이해하기 위해 그의 생애와 저작을 살펴보고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의 내용 구성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니체의 몸 철학을 이해하기 위해 몸에 대한 근대 이성 철학의 관점을 살펴보고,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 나타난 몸을 의미를 알아보았다. 이어서 몸 철학과 교육의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교육적 인간상으로서의 위버멘쉬, 교육내용으로서의 춤, 교육방법으로서의 자기극복을 고찰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니체의 몸 철학의 교육적 의의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로서, 니체의 『Also sprach Zarathustra』(1896)을 정동호(2020)가 번역한『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중심으로 니체의 다른 저술들과 그의 사상을 연구한 저작물, 학위논문과 학술논문 등의 문헌을 분석하였다.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 나타난 몸 철학은 자신의 삶에서 몸이 가지는 의미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고찰해봄으로써 다음과 같은 교육적 의의를 가진다. 첫째, 몸으로 실존하는 인간의 능동성과 개방성을 깨달음으로써 인간을 온전히 이해하는 계기가 된다. 둘째, 몸의 의미를 회복하고 진정한 자아의 개념을 깨달을 수 있다. 셋째, 교육적 인간상인 위버멘쉬의 의미를 이해하고 우리의 교육이 지향해야하는 인간상을 탐색할 수 있게 해준다. 넷째, 자연과 삶을 표현하는 체현 예술로 파악한 춤을 통해 모순과 허무로 가득 찬 우리의 삶에서 긍정을 추구하는 자세를 가질 수 있게 한다. 다섯째, 자기극복을 통해 우리는 능동적이며 창조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존재임을 깨닫는다. 서양의 근대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본질은 이성이었으며 이성의 본질은 사유하는 것이었다. 사유하는 것은 오직 이성의 독자적인 것이었으므로 사유할 수 없는 ‘몸’이라는 존재는 등한시될 수밖에 없었다. 니체의 몸 철학은 이러한 사유의 중심을 이성에서 몸으로 돌리고자 한다. 몸의 존재는 우리와 필수 불가결한 것으로 그 의미를 알지 못하면 인간을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 니체의 몸에 대한 새로운 관점은 인간을 전인적으로 이해해야 하는 교육에서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니체의 『차라투스투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통해 그의 몸 철학을 이해하고 몸을 가진 자아의 의미를 깨달아 기존의 이성 중심의 교육적 한계를 넘어서고 동시에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이끌고 성장할 수 있는 지평을 넓혀줄 것이다.

      • 플라톤의 교육사상에 나타난 음악교육에서 합창의 교육적 의의

        정혜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플라톤의 저작 『국가』와 『법률』을 중심으로 교육사상과 음악교육의 내용을 고찰하고, 나아가 합창의 교육적 의의를 밝히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플라톤 교육사상의 형성 배경인 그의 생애와 시대적·학문적 배경을 살펴보고, 플라톤의 교육사상을 이데아론과, 이상국가론, 에토스론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그리고 플라톤의 음악교육의 목적, 내용, 기능을 살펴본 후, 플라톤의 음악교육에서 합창의 의의, 형식 및 구성요소, 기능을 고찰한다. 이를 바탕으로 합창의 교육적 의의와 교육적 한계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이다. 플라톤의 저작 『국가』와 『법률』을 중점적으로 보고, 플라톤의 교육사상, 음악교육, 합창에 관한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종합적으로 활용하며 연구를 수행한다. 이러한 플라톤에게 있어 합창은 교육 전체를 일컬을 만큼 중요성을 가지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교육적 의의를 가진다. 첫째, 플라톤의 음악교육에서 합창은 개인의 덕의 고양을 지향하고, 삶을 긍정 하게 한다. 둘째, 플라톤의 음악교육에서 합창은 소통의 예술로써 공동체의 조화를 도모한다. 셋째, 플라톤의 음악교육에서 합창은 교육 전체를 의미하기에 평생 교육적으로 의의가 있다. 넷째, 플라톤의 음악교육에서 합창은 문화 형성과 문화 전달에 기여한다. 다섯째, 플라톤의 음악교육에서 합창은 가정교육에서 공교육으로의 발달에 기여한다. 여섯째, 플라톤의 음악교육에서 합창은 음악교육철학의 발달에 기여한다. 이러한 교육적 의의에도 불구하고 플라톤의 음악교육은 다음과 같은 한계를 지닌다. 이상국가를 이루는 철인 통치자 계급의 교육적 성장을 위한 음악교육으로 일반인들이 음악을 교육받는 것이 제한적이다. 그리고 합창음악의 시와 선법, 리듬에 관한 규제는 합창음악의 창작의 영역을 협소하게 하며, 이로써 전문 음악인의 양성의 저해를 가져온다는 한계를 지닌다.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성인애착, 자기자비, 학교소속감 그릿(grit)및 진로준비행돈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공성화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성인애착, 자기자비, 학교소속감, 그릿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와 직·간접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성인애착은 자기자비, 학교소속감, 그릿 및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자기자비, 학교소속감, 그릿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성인애착은 자기자비, 학교소속감, 그릿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성인애착은 자기자비, 학교소속감, 그릿을 매개로 순차적으로 진로준비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4개의 특성화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성인애착, 자기자비, 학교소속감, 그릿 및 진로준비행동 척도의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1,047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7.0과 AMOS Ver.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구조적 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성인애착은 자기자비, 학교소속감, 그릿 및 진로준비행동에 직접효과가 있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자기자비, 학교소속감, 그릿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효과가 있다.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성인애착은 자기자비, 학교소속감, 그릿을 매개로 각각 진로준비행동에 간접효과가 있다. 넷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성인애착은 자기자비, 학교소속감, 그릿을 매개로 각각 진로준비행동에 순차적 간접효과가 있다. 결론적으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이 지각하는 성인애착, 자기자비, 학교소속감 및 그릿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효과를 검증하여,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성인애착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자비, 학교소속감 및 그릿의 간접효과를 검증하고,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증진하여 4차산업혁명의 시대에 창의적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대처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학교 및 상담에서 진로교육 및 학년별 맞춤형 취업·진로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등의 지원을 통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현재와 미래를 위한 진로준비행동 증진의 필요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