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에 따른 실행실태 연구

        문혜영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육과정 운영의 성패는 교사의 관심수준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교사가 교육과정에 어느 정도의 관심을 가지고 있고, 교육과정을 어떻게 적용하고 실행하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교사들의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 수준을 살펴보고 교육 과정의 관심수준에 따른 교육과정 실행 수준을 분석하여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세 가지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제7차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관심도는 어느 정도인가? 둘째, 제7차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행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제7차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관심도에 따른 실행실태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 광주광역시, 전라남도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교사 총 288명이 참여하였다. 교사들은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 및 실행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개발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교육과정의 관심도는 교사들의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관심도 조사 및 성별, 교직경력, 소속지역, 연수경험, 학교 규모 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고, 교육과정 실행 실태는 교육과정편성, 수업내용, 수업방법 및 자료개발, 평가, 교육과정 실행실태 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우리나라 초등 교사들의 관심도는 교육과정에 대해 특별히 관심을 지니지 않고 있는 지각적 관심과 운영적 단계가 높다. 운영적 단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제7차 교육과정이 전체 학년에 적용 된지 많은 시간이 지나 교사가 교육과정을 효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과 학교규모를 제외한 초등 교사들의 인적변인들은 교육과정 관심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큰 학교의 비효율적인 의사소통, 소규모 학교의 업무량 과다 등의 문제로 교육과정의 관심도에 차이를 나타냈으며, 교사들의 교육과정의 관심도를 높이기 위한 행정의 뒷받침과 교사 개개인의 관심단계에 맞게 개별적인 처방, 지속적인 연수활동 등의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관심도에 따른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실행실태는 교육과정 개발자들의 의도한 이상적인 실행실태와는 차이가 있다. 전체적인 교육과정의 실행도는 중간 수준인 기계적 실행에 머물고 있다. 넷째, 교사의 관심수준이 높을수록 영역별 실행도가 높다.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에 따른 실행실태는 관심수준이 높은 단계인 결과적, 협동적, 대안적 관심수준의 집단이 교육과정 편성영역, 수업 내용영역, 수업방법 및 자료개발영역, 평가영역, 교육과정의 전체적인 실행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높은 수준의 교육과정 실행실태를 이루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에 좀 더 관심을 기울일 수 있도록 현장 교사들의 교육과정 개발, 학교별 교육과정 구성 위원회 활성화 등을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ages of concern and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study set up three guiding research questions to accomplish the purpose. First, what stages of concern a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Second, what innovation configurations a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ird,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stages of concern and innovation configuratio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 total number of 288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answered a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stages of concern and innovation configuratio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Using the result of the data analysis, the study concluded as follow.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mostly in the stages of awareness and management. Second, except sex and the size of school, the personal traits variables did not affect the stages of concern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ird,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found to be in the mechanical level of use, which is in middle level. Four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the higher level of concern on curriculum are also in the higher level of innovation configuration.

      • 인성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임정렬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성교육에 대해 어떤 인식과 태도를 갖고 있으며, 현재 초등학교에서의 인성교육 실태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인성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문제점을 찾아내어 새로운 개선방향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초등학교 교사들은 인성교육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과 태도를 갖고 있는가? 2)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인성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3)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인성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위의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제주도내 23개교의 초등학교 교사 269명의 설문 조사 내용을 연구분석의 자료로 삼았다. 측정 도구로는 25개의 문항으로 설문지를 만들어 사용하였으며, 자료 처리 방법은 SPSSWIN 통계 프로그램으로 x² 검증 통계량을 이용한 교차분석과 다중 응답형 설문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아동들의 인성교육에 대한 관심도(74.6%)와 실천 열의(74%)가 매우 높고, 평소 자신의 행동이 아동들에게 바른 행동의 모델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일선학교의 인성교육 수준에 대해서는 만족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재정적 여건에 대해서는 불만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인성교육을 위한 연수기회가 지금까지 1~2회 정도 이하(84.1%)로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성교육을 위해 다양한 학습방법을 조금 적용(49.6%)하고 있고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노력도 조금 정도(33.6%)에 그치고 있다. 또한 인성교육 지도 방법이나 평가방법도 주로 생활지도(25.1%)나 관찰평가(73.6%) 정도에 그치고 있어 교사들 스스로도 인성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육방법이나 평가방법 활용에 실패하고 있으며 이러한 도구들에 대해서도 많은 확신을 갖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인성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학교 내부 환경으로 학급당 아동 수 감축(28.8%)을, 학교 외부 환경으로는 부모의 자녀 교육관(20.8%)을 꼽고 있으며, 앞으로 실시되어야 할 인성교육의 적합한 내용으로는 공동체 의식, 예절교육, 타인 존중의 내용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그리고 인성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가장 시급한 교육정책 과제로는 대부분의 초등교사가 학급당 학생 수의 감축(71%)을 들었고 다음으로 예산 확보의 문제(11.5%)를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성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성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과 실천열의를 구체적으로 실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인성교육의 실천 방법과 내용들이 국가적 차원에서 연구·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인성교육의 평가도구 및 기준 마련, 이를 위한 교육재정의 확보·투자 역시 시급한 정책 과제라 하겠다. 둘째, 교사들은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바로 인식하여 나부터라는 의식을 가지고 일선에서 인성교육을 위해 작은 노력이라도 아끼지 않아야 하며 나의 행동이 어린이들의 모델이 되고 있다는 생각을 잊지 말고 항상 행동의 본보기가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셋째, 우수 교사 자원을 전문 인성교육 교사로 양성하고 이들을 활용한 동료장학, 프로그램 개발, 집단 연수 등의 실시가 요구된다. 넷째, 입시위주의 학교교육과 사교육 수강으로 인하여 인성계발지도에 필요한 시간이 점차 부족해지고 있다. 과감한 교육개혁과 행·재정적 지원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실천 가능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구안·적용해 나갈 수 있도록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가정교육의 중요성과 함께 사회, 국가적 차원에서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부각시키는 일이 중요하다. 부모교육, 사회교육 등을 통해 가정의식 및 사회 의식을 건전하게 전환시키는 노력과 함께 부모와 사회단체, 학교 교사 모두가 힘을 합쳐 인성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and attitude of humanity education and its actual condition in elementary school, to search problem relevant to its activation and to propose solution for its improvement. To achieve its purpose, this study set subject of examination as; 1) what kind of perception and attitude of humanity education teacher has in elementary school? 2) what kind of its actual condition teacher perceives in elementary school? 3) what kind of problem and solution about humanity education teacher perceives in elementary school? As methodology, questionnaire which was composed by 25 questions was distributed to 269 teachers from 23 elementary school in Jeju island for attaining data. then x² test was used to conduct the cross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on multiple response type of questionnaire by SPSSWIN program. Conclusively, the results of examination were like followings; First, teachers showed very high degree of interest(74.6%) and zeal of practice(74%) on humanity education for children and perceived their behavior as playing a role of desirable behavioral standard to children. On the contrary, they are not satisfied with existing humanity education level of actual field. especially, in its highest degree of financial condition. Second, teachers had scarce chance for training humanity education in 1∼2 and less times(84.1%). moreover, they showed low degree of application of various teaching method(49.6%) and effort to develop new program(33.6%). In aspect of instruction and valuation method for humanity education, less positive method such as practical guidance(25.1%) and observation valuation(73.6%) was used, which means teachers thought they failed to apply various teaching method or valuation method for humanity education and were not confident of its instrument. Third, teacher chose reduction of amount of students per a class(28.8%) and parent's viewpoint of education for children(20.8%) as each of desirabl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of school, as well as they thought appropriate contents of humanity education which must be achieved in the future as community consciousness, etiquette education and respect to others. the most critical problem of educational policy was represented as reduction of amount of students per class(71%) and security of budget(11.5%) by overall teachers in order to activate humanity education. As a results, this examination proposes several suggestion for activating humanity education based on its results. First, practical method and contents of various humanity education which can actualize teacher's intense interest and zeal of practice in elementary school must be examined and developed under national level. not only establishment of valuation method and criterion for its education but security and investment of finance for education also may be critical politic problem. Second, teachers need to recognize necessity of humanity education and exert every effort in actual field with perception of "I Do It First". then try to be behavioral standard to children, because their behavior can be model to them. Third, excellent teacher-based resource needs to be promoted to act as professional one charged of humanity education and be applied to conduct companion encouragement of learning, development of program and group training. Fourth, considering insufficient time for development and instruction of humanity education due to teaching centered on entrance examination and taking lecture of private education, more time needs to be provided to develop and apply practical humanity education program in actual field based on positive educational innovation and administrative & financial support. Fifth, significant home education and necessity of humanity education must be emphasized in social and national level. parents, social organization and teacher need to concentrate their effort to make humanity education be activated with conversion of family and society in desirable way through parents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 初等學校 低/高學年 兒童의 差異를 考慮한 學校施設計劃에 관한 硏究 : 龍仁市 龍仁邑 5개 初等學校 資料를 中心으로

        崔元峰 명지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육시설은 교육이념에 기초한 교육목적과 목표를 당성을 위한 제반 기능에 필요한 공간의 물리적 환경 내지는 형태이다. 그러므로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육방법 등의 변화는 교육시설 계획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한다. 학교시설은 과거의 전통적인 표준화 설계로부터 최근에는 학교의 개별요구를 수용하고 이를 설계에 반영하고 있으며 개별 요구중에는 아동의 요구도 포함되며 아동은 발달단계별로 여러 가지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저/고학년의 차이와 그들의 요구도 학교시설의 계획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용인시 용인읍에 소재한 5개 초등학교 전체에 대한 거주평가를 통하여 현재 시설의 문제점과 저학년과 고학년의 차이를 발견하였으며 이를 고려한 시설기획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1장은 서론으로서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방법과 과정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2장에서는 시설기획과 POE, 아동의 발달과 물리적 환경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았으며, 제7차 교육과정 운영에 따른 초등 학교계획의 변화를 알고자 조사대상학교 5개와 최근 신축하거나 개/증축하는 초등학교시설 기본계획안 10개를 배치, 평면, 동선의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3장에서는 조사계획의 발전 단계로서 조사대상학교 선정, 설문조사과정과 절차, 행태관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4장에서는 설문응답분석을 통하여 설문항목별 저/고학년의 경향과 시설의 문제점을 파악하였으며 저/고학년별 특성을 종합하였다. 5장에서는 행태관찰을 통하여 설문응답분석의 결과를 검증하였다. 6장은 시설기획의 방향을 제시하는 단계로서 제7차 교육과정의 요구와 저/고학년의 차이가 동시에 고려된다. 7장에서는 연구결과를 종합하고 그 의의를 살펴보았다. 저/고학년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두 가지로 종합할 수 있다. 첫째, 저학년은 고학년에 비해 다양한 공간에 취미를 갖고 있으며 고학년은 자신이 좋아하는 공간들의 범위를 좁혀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체육수업이나 축구장을 이용하는 활동을 할 때 저학년은 고학년에 비해 운동 범위가 작다고 판단할 수 있다. 둘째, 교실이나 복도를 선호하는 아동이 고학년이 많은 것, 저학년은 나무와 벤치가 있는 쉼 터를 놀이공간으로 이용하고 고학년은 휴게공간으로 이용하는 것을 보아 저학년은 고학년에 비해 동적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학교가 용인시 용인읍의 전 지역이지만 한 개의 지역에 국한되고 사례가 현재 신축하는 학교들과 공간구성에서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이를 보편화 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초등학교 시설에서 필수적인 몇 공간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저/고학년의 경향을 파악하였으며 시설기획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자원의 제한으로 본 연구의 분석에 포함된 내용은 초등학교 시설을 이루는 일부분에 불과하다. 본 연구는 아동이 교육시설에 대한 반응을 알기 위한 거주평가방법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과정이라고 생각되며 앞으로 조사방법을 보강하고 조사대상의 종류와 수량을 늘여 보충해야 한다. 사물과 사건에 대한 정확한 판단능력이 결핍한 아동의 요구만 수렴한다고 교육목적에 부합되는 학교시설을 될 수는 없으므로 앞으로 교육시설이 아동에 대한 영향과 교육시설에 대한 아동의 반응이 동시에 고려된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educational facilities is an physical environment in space or its form to achieve educational goal based on education ideology. Therefore, changes in education purposes, education contents and means of education make an alteration on planning out educational facilities. School facilities in the past were typical standard designs. In the present the facilities meet each school's demands and take those demands in design. Individual demands include children's and children have various differences by child development stages. Therefore, differences between lower graders and upper graders and their demands sh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out school facilities. In this study POE of the whole five elementary schools at Yong-in county in Yong-in city is used to find problems of present faci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lower graders and upper graders and show the facilities planning courses considering present situations. the processes and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As an introduction chapterl presents basis, purpose of the study and means of the study and its process. Chapter2 is about concepts of facilities planning,POE, child development and physical environment. this chapter compares 5 survey schools and basic facilities plans of l0elementary schools which is under construction or extension work in terms of placement, plane, traffic line. That helps to know changes in elementary school planning according to the 7th school curriculum of the Republic of Korea. Chapter3 is a development stage of the survey plan. selection of the survey schools, process of survey research, observation methods of children's behaviors include in chapter3. Chapter4 presents, through survey analysis, children's inclination between lower graders and upper graders and problems of facilities and put together overall characteristics between lower graders and upper graders. Chapter5 verifies survey analysis by behavior observation. Chapter6 shows the course of facilities planning. the demands of the 7th school curriculum of the R.O.K and differences between lower graders and upper graders are considered all together. Chapter7 put all the results together and conclude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You see the two characteristics of lower graders and upper graders in their behaviors. 1 lower graders are interested in various spaces whereas high graders narrow down spaces they like.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or other activities using football grounds, lower graders use less spaces than higher graders. 2 Among higher graders, they are preferred to use classrooms or corridors. lower graders use trees and benches for playing as higher graders for resting. you can presume that lower graders are more active. This study is hard to generalize to be given the fact that those schools are only at one area even if the survey schools cover the whole area of Yong-in, and the cases are different from the cases of other schools under construction in space formation. But the study shows the course of facilities planning and find out children inclination through space analysis which is crucial for elementary school facilities.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only a part of elementary school facilities because of source limitation. But this study is a key process in developing methods of POE to get responses from the children how they like education facilities. and Further study needs various survey methods and increases kinds and numbers of survey subjects. Only to take Children's demands can't build educational school facilities since children have yet to fully develop judgement in all circumstances. Further researches of Effects of education facilities and children's reactions with those facilities need to be continued.

      •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초등학교 디자인 수업 방안 연구

        한승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is internationalized & opened modern society, design is the significant role which can determine the competitive power of product. Like this, the significances of design considered, there is necessity to perform design education not only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to raise designer but also in elementary school course organically when students have lots of curious and creative power, having emotional & intelligential development. I expect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raise their sense and artistic sight through organized education of design so be grow to cultural citizens who prepared proper understanding of design, expressiveness and creative power, therefore tried to apply the 'Problem-based learning' model into design education which purpose of these things. 'Problem-based learning' is the efficient learning way to expect expert knowledge & thinking faculty, and self-leading learning ability through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actical problems with cooperation in small groups based on constructivism. Students are efforts to understand and solve the problem through cooperation when the built scenario which related with practical life given in design class which separated in 3 parts such as visual, product, and environment. The object set for this study is finding the way to raise students' solving ability, thinking faculty, creative power and sense for design during the process. First of all, literatures, previous studies and etc which were concerned with 'Problem-based learning' and design & elementary design education were investigated, and the present design education topics and methods of educational course & textbook, guidance book which are based on the art textbook and guidance books according to 7th education course were analyzed. And the methods of 'Problem-based learning' applied elementary teaching-learning were separated into visual, product, and environment which connect naturally with the project class of school grounds' living supplies public subscription exhibition were built. The process which practiced in 3 classes of 6th grade as following, make living supplies for public subscription first, and make manual for notice to consumers, then decorates the exhibition hall of living supplies for judgment. And the products which results of the activity were analyzed through performed surveys before & after the class to know the success of this study. The summary of the results for this study as followings; Firstly, when we proceed 'Problem-based learning' applied design class, students had interest & sense of responsibility in class and suggesting questionnaires to inform exhibition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class could be performed in active & enjoying atmosphere and also could made better finished product than other results which obtained from 'Problem-based learning' was not applied. Secondly, We could lead student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interests for design through the organized design class through the several times of thinking and sketch process for solving problems. Thirdly, as a results obtained from the treat of visual, product, environment design parts as a one product, students could get opportunities to get understanding about the concept and part of design naturally. Fourthly, Students had opportunities to get artistic sight which can observe beauty through the process of look after the design of product with the concept of good design to evaluate their own product and fellows' products. Lastly, the interests, concerns, understanding of design and creative expression power were improved because the interests, sense of responsibility for learning and organized design thinking processing influenced to it. I hope this study which about the 'Problem-based learning' applied teaching elementary design class method as mentioned in above will helpful to educate organized and interesting design class in school, and also expect students to grow to cultural citizens who have the sense of beauty who raised their solving problem power, critical concepts, and creative power in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국제화, 개방화된 현대사회에서 디자인은 제품의 경쟁력을 좌우할 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처럼 디자인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기에 고등교육기관에서만 디자이너 육성을 위해 교육할 것이 아니라 지적, 감성적 발달이 이루어지고, 호기심과 창의력이 왕성한 초등학교 과정에서부터 체계적으로 디자인 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았다. 초등학교 어린이들이 체계적인 디자인교육을 통해 미적안목과 감각을 높이고 올바른 디자인의 이해와 표현력, 창의력을 갖춘 문화시민으로 성장하여 훌륭한 국가의 자원이 되길 기대하며, 이러한 목적을 추구하는 디자인 교육에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문제중심학습이란 구성주의에 바탕을 두고 현실적인 문제를 소집단별로 협동하여 해결하는 과정에서 전문적인 지식 및 사고력, 자기 주도적인 학습능력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적인 학습 방식이다. 시각, 제품, 환경의 세 영역으로 나눈 디자인 수업에서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를 설계하여 시나리오를 제시하면 학생들은 문제를 이해하고 협동을 통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 과정에서 문제해결력, 사고력, 창의력을 기르고 디자인 감각을 키울 수 있는 수업이 될 수 있도록 그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방법은 우선, 문제중심학습과 디자인 및 초등학교 디자인 교육에 대해 문헌, 선행연구 등을 참고로 하여 조사하고, 교육과정 및 교과서, 지도서 내 디자인 교육내용과 방법 현황을 제7차 교육과정 및 미술교과서와 지도서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초등학교 디자인 교수-학습 방법을 시각, 제품, 환경의 세 영역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교내 생활용품 공모전 프로젝트 수업으로 설계하였다. 방법은 공모전을 위한 생활용품을 만든 후, 소비자에게 알리기 위한 제품 설명서를 만들고, 공모전에서 심사를 받기 위해 생활용품 전시장을 꾸미는 것으로 이를 6학년 3개 반에서 실제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로 나오는 작품과 수업 전, 후 설문지 분석을 통해 연구의 성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여 디자인 수업을 진행하였더니 공모전을 알리는 문제를 제시함과 동시에 학생들은 수업에 흥미를 느끼고 책임감을 가지게 되었다. 그 결과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지 않았던 기존의 결과보다 훨씬 높은 완성도를 지닌 작품이 제작되었으며 즐겁고 활기찬 분위기 속에서 수업이 진행될 수 있었다. 둘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차례의 사고와 스케치 과정을 통한 체계적인 디자인 수업으로 인해 학생들로 하여금 디자인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었다. 셋째, 하나의 프로젝트 형식으로 시각, 제품, 환경 디자인 영역을 모두 다룬 결과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디자인의 개념과 영역에 대해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넷째, 학생들이 자기 평가와 동료 평가를 하기 위해 좋은 디자인의 요건을 생각하며 작품의 디자인을 진지하게 살펴보는 과정에서 아름다움을 볼 줄 아는 미적 안목을 키울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습에 대한 흥미와 책임감, 체계적인 디자인 사고 과정이 영향을 끼쳐 창의적인 표현력과 디자인에 대한 흥미와 관심, 이해도가 향상되었다. 위의 과정으로 살펴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초등학교 디자인 수업 방안에 관한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체계적이고 흥미 있는 디자인 교육을 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고,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력, 창의력을 기르고 미적 감각을 지닌 문화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학교 옥외공간 개방에 따른 공간활용 개선방안 연구 : 전주시내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박정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Presently, urban citizens have a desire to improve their wealth and quality of life. They also want to increase their education and culture, as well as have more leisure time. But this is not possible in the city due to the lack of outdoor public space and proper management. Therefore, it would be an effective process to use the centrally located outdoor space available in the public schools as leisure space for the public. On this idea, the original research was facilitated to provide theoretical information on the following: the role of community and school regarding the use of elementary space, the national data on similar cases and the outdoor space opening usage direction. Through the observance of this data, a possible school outdoor space usage plan was implemented. On the basis of these theoretical data, field research was also done in the form of a questionnaire to analyze the current position, requests and objections of the local community citizens. First, our research analysis showed an urgent need for the opening of elementary school space. At the same time, the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centrally located elementary school space had a very low awareness level in the community. Second, the elementary outdoor space and assembly hall was indeed open, but classrooms and any indoor space was very weak in terms of usage. The usage of the assembly hall was only done so to a private group for a fee, but the data shows that local citizens want the same space to be opened free of charge to the public. Thir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outdoor space was very low. Foremost, there needs to be an expansion and improvement of outdoor space, sports equipment, outdoor lighting and CCTV. The data showed residents interest in the usage of added outdoor space, the assembly hall, the outdoor washrooms, water supply, parking lot and outdoor lighting, but did not show much interest in the indoor facilities. Fourth,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e lack of space usage was due to the after school night time lockout by the security guards. The setup for the lockout and all pertaining worries associated with the lockout of the school was a main concern for the lack of space opening. Fifth,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usage of the elementary outdoor space did not conflict with the students. The period between after school and before school started the next day was a preferred opportune time residents for the usage of the space. Sixth,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common reason for the usage of the elementary outdoor space was for simple leisure activities, such as walking. On a related note, the main reason why local residents declined to approach the space was due to poor outdoor lighting systems and associated night-time risks. Seventh, the after school usage of public buildings by local residents are limited due to the lack of facilitation, the charging of usage fee and lack of maintenance in general. From this evidence, the local residents show a keen interest in the creation of a self governing organization to take care of public usage and space. From this data, a few proposals are suggested: First, the elementary schools and local community must create a variety of out-reaching leisure programs to insure a strong relation and co-operation. Second, there must be a plan to maintain the elementary school space: safety regulations, damage prevention and maintenance fees. Third, steps must be taken to improve and expand the school outdoor space so that local residents can aptly use the space for leisure activities. Fourth, there must not be a case where there is a lack or no outdoor washrooms. After school and weekends/holidays, there is a low level of school operations. This is why an outdoor washroom must be installed or an indoor one made separately available to the public. Fifth, to avoid classroom disruption or affect students in a negative way, local residents must be on the same page when regarding the usage of the elementary school space. Operations must be setup so that those who use the facility do so with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terms of usage. Sixth, there must not be a lack of outdoor lighting or none at all. Without proper lighting, there is danger to the public and local residents will feel the uncomfortable. To avoid this problem, there must be an expansion of proper lighting systems, and at the same time create a local body to take care of resources for expansion and maintenance of expenses. Seventh, since the usage of the outdoor space/washrooms/outdoor lights are for the convenience of the local residents, it must be self governed by locals. There must also be a carrying public feel and maintenance fee to support various maintenance fees. All outdoor space usage operations carried out should be done with the benefits of the local residents in mind, and should be adjusted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The above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e understanding of school facility as a central building in the community. The theoretical and field data was obtained using the Elementary School as a basis. Yet, to facilitate each individualized school for the local community's needs, more policies and field data must be acquired. Since each community is unique, each specialized elementary school must be analyzed for such things as location, facility, and arrangement. After finding this data, additional research must be done to arrange appropriate solutions accordingly. 현대 도시민들은 경제적 부와, 삶의 질의 향상으로 교육·문화에 대한 욕구와 자신을 위한 여가시간을 찾으려는 의식이 증대되고 있으나, 도시에는 도시민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담아낼 수 있는 옥외공간과 그 시설적인 면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도심의 근린주구내에 있는 초등학교 옥외공간을 도시민의 여가선용 등의 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은 공간과 시설의 효율적 이용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공동체의식을 촉진 시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적 조사로 초등학교 옥외공간의 활용에 대한 지역사회와 학교의 역할, 국내외 사례를 알아보고, 지역사회를 위한 학교 옥외공간 활용에 대해 살펴봄으로서 옥외공간 개방의 방향을 제시했다. 또한 이러한 이론 조사결과를 기초로 초등학교 옥외공간에 대한 현장조사와 초등학교 교육행정가와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옥외공간 개방에 대한 인식과 개방실태 및 요구사항, 시설 확충 및 유지관리와 개선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들이 분석되었다. 첫째, 지역사회 주민을 위한 초등학교시설 개방과 학교시설을 이용한 평생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학교가 지역 중심시설로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인식은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옥외공간시설과 강당은 대부분 개방되고 있으나 교실 등 옥내시설의 개방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당 개방은 학교에서 유료로 단체에게만 주로 개방하고 있으나 지역사회 주민은 무료로 단체나 개인에게 개방되기를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옥외공간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선 확충·개선되어야 할 시설로는 옥외화장실, 체육기구, 외등시설, CCTV설치 등 순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옥외공간 부대시설은 강당, 옥외화장실, 급수대, 주차장, 외등시설 순으로 개방정도가 높았으나 옥내화장실과 탈의실(샤워실), 창고 등의 개방 정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넷째, 특히 옥내화장실은 방과후 야간 경비출입문의 폐쇄와 시설물 훼손 염려 때문에 개방이 매우 낮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학교 옥외공간시설의 개방 시기에 대해서는 수업활동에 지장이 없는 방과후 부터 익일 출근 전까지를 가장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지역사회 주민이 옥외공간시설을 이용하는 목적에 대해서는 걷기 와 같은 여가선용이 가장 높았으며. 옥외공간시설 이용을 꺼려하는 이유로는 외등시설의 부족으로 야간에 위험하고 불편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곱째, 방과후 주로 지역주민이 사용하는 옥외화장실 및 외등시설 등의 부족 시설 확충과 공공요금, 사용 후 청소 등의 관리비에 대한 비용 분담 주체에 대해서는 ‘자치단체', 자치단체 및 지역주민' 순으로 의견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라서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학교 옥외공간 활용 개선방안으로 제안하였다. 첫째, 학교가 지역사회 중심시설로서 역할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여가 프로그램의 운영과 지역사회 주민과의 협조와 유대를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학교 개방을 적극 유도할 수 있는 방안으로 시설물 관리 및 안전사고, 방범 등에 대한 제도적 장치의 보완과 관리비등의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 옥외공간의 부족한 시설을 적극적으로 확충, 보완하여 지역사회 주민의 여가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넷째, 옥외공간에 사용자를 위한 화장실이 부족하거나 없고, 건물내에 있는 옥내화장실은 학교 건물을 방과후, 휴무일, 공휴일에는 학교 경비업무를 용역업체에 위탁함으로 개방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옥외화장실을 설치하거나 아니면 학교 건물내에 있는 옥내화장실을 방과후에 개방할 수 있도록 개방 존 시설을 별도로 설치해야 한다. 다섯째, 옥외공간시설을 지역사회 주민들이 이용함으로 인해서 학생들의 수업이나 옥외활동이 지장받지 않도록 지역주민들의 이용 동선을 명확히 설정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옥외공간시설에 외등시설이 부족하거나, 외등시설을 가동하지 않아 지역사회 주민이 위험하고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따라서 부족한 외등시설 확충 및 전기료 등 재원 확보가 뒷받침이 되어야 한다. 곱째, 옥외공간내의 화장실, 외등시설 등은 주로 주민들의 편의를 위한 공공시설이므로 지방자치단체에서 설치하여야 하며 공공요금 등 관리비와 사용 후 청소 관리비 등도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옥외공간에 화장실이나 외등시설 등의 주민편익시설을 확충하고 이를 유지·관리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며 기관간 협조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학교시설의 지역사회 중심시설로서의 역할에 대한 이론적인 자료조사 분석과 전주시내 소재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그러나 개별 학교 옥외공간에 대한 지역주민의 이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정책수립 및 실제적인 실행 시에는 학교가 위치한 지역사회적인 특성과 학교의 입지조건, 그리고 학교 옥내외공간의 시설배치실태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러한 변인을 고려한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생활환경으로서 건축의 이해를 통한 초등미술교과의 건축 관련 교육 내용 구성 : 초등학교 3-6학년을 중심으로

        최선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e actual situation of the art education in an elementary school, drawing, making and decorating are the main part of the education. This is connected with the artist education in the university which cultivating the students by classifying their major fields such like painting, carving and modeling, and design. However, there is today's trend that the contents for an art education are expanded into visual culture and unified as the art group and the aspect of the art education are being changed together.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art education are being changed. The change of the art education is made together with the direction and method of the education. Among these, the educational direction, method and contents related to architecture are the parts which have to be treated as the closest living environment to the children differently against the existing art activities. So to speak, these parts nee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compositive and comprehensiv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e. In this study, the values of the living environment for the elementary pupils are focused on and the educational actual conditions related to architecture are analyze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related educational contents to architecture for 3th-6th grades of an elementary school. To do so, the basic understanding, meanings,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values of architecture as the living environment were derived by studying the related literatures to architecture. By analyzing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architectural education for the elementary school up to now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related study to the architectural education is a vulnerable and poor phase in this study. And the problems and implication of the architectural education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educational curriculum for arts and the textbooks. And the proper directions for the architectural education were set up in the light of its goals, contents and methods and then according to the standard for selecting contents. These were organized by setting up the scope of learning per grade and group. According to the above, the content structure per grade was established and the guidance plan for teaching and learning applicable to the educational field was set up. In relation to the goal of this stud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bove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based on understanding on architecture, the educational values of architecture as the living environment are to cultivate judgement on establishments on basic understanding of the architecture, develop the appreciative eyes for beauty of architecture, establish identity through understanding on traditional architecture, provide the possibilities for the united education originated from the synthetic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e, provide the possibilities for cooperation learning and get rid of the gap between the realities inside and outside of a school through studying based on life. Second of all, through analyzing the previous studie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rogressed studies related to the art education or the elementary education have poor quality even though architecture is the important object for studying in relation to the real life of children. And manufacture or expression activities in the progressed studies were so restrictive while their educational approaches were focused on understanding on architecture and appreciation of art. Also, while architecture on the educational curriculum was provided as the educational object in the actual elementary education field, it was needed that the related contents to architecture in the art textbook are raised. Third of all, as the education for leading to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thought on architecture, the related educational contents to architecture in the elementary educational courses, based on the educational values of architecture as the living environment, have to be directed to the basic education that the learners can experience and enjoy the values of architecture in their life and criticize the architectural environment and improve our architectural environment. Fourth of all, in the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to architecture, the contents the learner have to study them according to the scope of studying was divided into the field of manufacture and criticism, per grade and group. In the manufacture field, it was focused on definition, materials, structure, space, type, expression(design), field, history and terms of architecture as the main concepts. And in the criticism fiel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were summarized, including practicality, artistry, actuality and characteristic of symbol and space. Lastly, the architectural educational plans applicable to the actual education field, which creation and criticism could be made at the same time, were prepared and the model, which collaborative learning per group could be made, was suggested. Architecture is the closest environment to the daily life of children but its educational activities have been took lightly. Also, the related studies to the architectural education is in poor surroundings. Organizing and offering the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to architecture need the change of the contents and directions of its activities, not expansion of the art subjects. Arts are expanding into visual culture and the scope of the art education was expanded into visual culture in the art curriculum revised in 2007. Focusing on the educational values of architecture as the living environment is connected into switching over its directions and methods as deviating from the existing artistic point of view and focusing on dailiness of architecture. So, this study will be a small indicator light for the basic education that can make the children in an elementary school expand their appreciative eye for architecture and enjoy it. Also, it will be a small sign that the direction of the studies related to architecture can be different. 그동안 초등학교 미술교육의 실제적인 장면은 그리기, 만들기, 꾸미기 중심의 교육이었으며 이는 회화, 조소, 디자인 등 대학의 전공을 가진 예술가 양성과 관련을 맺어왔다. 그러나 미술계가 변하면서 미술교육이 다루어야 하는 분야 역시 시각 문화로 점차 확장되고 있다. 미술교육의 내용이 변하고 있는 것이다. 교육의 내용이 변하는 것은 교육의 방향과 방법의 변화와 함께 한다. 이 가운데 건축과 관련한 교육의 방향, 방법, 내용은 건축의 복합적이고 종합적인 성격을 고려하여 그 변화가 필요한 분야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축이 어린이의 생활환경으로서 갖는 가치에 주목하여 현재 실시되는 건축과 관련한 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고 건축과 관련한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여 초등학교 3-6학년의 건축 관련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 3장에서는 건축과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여 건축의 정의, 재료, 구조, 유형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그리고 건축이 생활환경으로서 갖는 특성을 실용성, 예술성, 상징성, 공간성, 장소성, 현실성으로 정리하고 생활환경으로서 건축이 갖는 교육적 가치를 도출하였다. 4장에서는 현재까지의 초등학교의 건축 교육과 관련한 선행 연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미술과 교육과정 및 미술 교과서 분석을 통해 건축과 관련한 교육의 문제점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초등학교에 적합한 건축 관련 교육의 방향을 목표, 내용, 방법 면에서 모색하여 제시하고, 건축 관련 교육내용을 학습의 범위를 두어 구성한 후 이를 상세화한 학년군별 내용체계와 학년별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안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얻어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이 생활환경으로서 갖는 교육적 가치는 건축의 기초적 이해를 통한 건축물에 대한 판단력 형성, 건축미에 대한 안목의 형성, 전통건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정체성 형성, 건축의 종합적 특성에 기인한 통합교육의 가능성 제공, 협력학습의 기회제공, 건축 환경의 개선을 위한 기초 교육의 제공, 삶에 근거한 학습으로 학교와 학교 밖 현실과의 간격 해소이다. 둘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건축과 관련하여 초등교육이나 미술교육과 관련되어 진행된 연구는 양적인 면에서 취약하고 진행된 연구들이 이해 교육으로 접근하고 있으며, 제작이나 표현 활동으로 접근한 사례는 없었다. 또한 초등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건축 관련 교육의 실태는 교육과정상에 건축이 교육의 대상으로 제시된 데 비해 미술교과서에서 다루어지는 건축 관련 내용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였다. 즉 일상생활과 가까운 건축적 내용을 학습의 소재로 삼는 것은 바람직하나 학습의 소재만 건축에서 가져왔을 뿐 학습활동의 실제적인 과정은 다른 조형 활동과 차이가 없고 소품(小品)을 만들고 꾸미는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한계점을 발견하였다. 셋째, 생활환경으로서 건축의 교육적 가치에 기반한 초등학교 건축 관련 교육의 방향은 건축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사고를 유도하는 교육으로 학습자가 생활 속에서 건축의 가치를 체험하고 향유할 수 있으며 현재의 건축 환경을 비판적으로 보고 우리 건축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기초, 기본 교육이 되어야한다는 것이다. 넷째, 건축 관련 교육의 내용구성은 제작 영역에 건축의 정의, 재료, 구조, 공간, 건축 유형, 표현(디자인), 건축 분야, 역사, 용어로 제시하고, 비평 영역에 건축의 특성인 실용성(기능성), 예술성, 상징성, 공간성, 장소성, 현실성으로 제시하되, 3·4학년, 5·6학년 군으로 구분하여 학습범위와 학습내용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육 현장에서 실시 할 수 있는 건축 관련 지도방안을 학년별로 구안하였다. 건축은 어린이들의 일상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생활환경이면서도 그 교육적 활동에서는 비교적 가볍게 다루어져 왔다. 건축 교육과 관련한 연구 역시 빈약하다. 건축과 관련한 교육의 내용을 구성하여 제안하는 일은 미술교과의 확대를 의미하기 보다는 활동의 내용과 방향의 전환을 요구하는 일이다. 미술이 시각문화로 확장을 가져오고 있듯 2007년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미술 교육의 범위가 시각문화로 확대되고 있다. 건축이 생활환경으로서 갖는 교육적 가치에 주목하는 일은 건축을 미술의 한 분야로 바라보던 시각에서 벗어나 건축의 일상성에 주목하여 실제적인 교육활동의 방향과 방법을 전환하는 일로 연결이 된다. 이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건축에 대한 안목을 넓혀 건축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 기본교육으로 나아가야함을 알리는 것이며 또한 건축 교육과 관련한 연구의 방향 역시 다를 수 있음을 보이는 작은 표시가 될 것이다.

      • 초등학교 고학년의 컴퓨터 활용실태 조사에 의한 정보통신 윤리 교육의 방향 모색

        봉인순 대전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ICT 활용 교육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에게 학습 정보를 획득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적 정보에 접근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에게 고도로 발달된 정보통신 기술은 순기능 못지 않게 게임이나 음란물 중독, 규범적 언어 파괴 현상 등과 같은 문제를 우발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의 이면에는 우리 나라의 정보통신 교육이 컴퓨터 작동과 프로그램 활용이라는 기능적인 차원에서만 추진되어 왔고 그 역기능에 대한 관심과 대책 마련에 대하여 소홀하게 대응하여 온 요인도 있다. 초등학교 아동들은 대체로 정보통신 기술의 부정적인 면에 대한 자각이나 비판적 대응능력이 부족하다. 아동들은 오히려 정보통신 기술의 역기능에 '다치기 쉬운 집단'이다. 아동들은 정보통신 기술의 역기능으로부터 안전하게 지키고 온라인상의 유해환경으로부터 어떻게 보호할 것인가 등을 모색하는 일은 컴퓨터 활용기능을 교육하는 것 못지 않게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에 아동들의 컴퓨터 이용 실태를 알아보고 학부모들의 '자녀 컴퓨터 이용에 관한 인식'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정보통신 윤리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에 대한 정보통신 윤리 교육은 정보통신 역기능의 유형을 알아보고 그에 대한 예방과 자제 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여 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의 10개 초등학교의 4, 5, 6학년 학생과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의 정보통신 환경과 이용 실태를 분석하고, 학부모들의 자녀들의 컴퓨터 이용에 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대부분의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은 가정에 펜티엄급 이상의 컴퓨터를 가지고 ADSL등의 인터넷 전용선 등을 통하여 거의 매일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으며, 컴퓨터를 통한 게임에 지나치게 몰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교육 희망 항목으로는 홈페이지 만들기나 그래픽 디자인 등의 고급 조작 능력을 들었으나 실제로는 게임 혹은 인터넷의 대화방이나 채팅 등을 통해 지나치게 많은 시간을 허비한다고 느끼면서도 더 이끌리고 있었다. 그만큼 중독적 현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게 나타났다. 부모의 간섭이 없는 PC방 등에서는 음란 사이트에 접속해 본 경험이 있는 경우도 10%안팎으로 조사되었다. 학부모들의 자녀 컴퓨터 이용에 관한 인식은 가정 내에서와 가정 밖에서의 경우에 차이를 보이고 있는 가정에서는 대체로 컴퓨터/인터넷 이용을 학업에 장애 요인으로 여겨 사용 시간을 제한하고 있으나 가정 밖의 P.C방 이용에 관해서는 관대한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이에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이 정보통신 역기능으로부터 보호되고 올바른 정보통신 문화에 익숙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아동 발달기에 따른 효율적인 정보통신 윤리교욱의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웹(web) 상에는 유용한 컨텐츠뿐만 아니라 각종 불건전 정보도 많다. 민감한 컴퓨터 조작 능력을 지닌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기가 발달 단계상 '착한 아이 지향'의 '천정효과'가 나타나는 시기임에도 컴퓨터/인터넷에 대한 유혹과 정보통신 윤리 사이의 이중적인 혼돈에 머물고 있다.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의 컴퓨터에 대한 이중적인 의식은 청소년으로 성장하면서 스스로도 통제하기 힘든 습관에 길들여질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컴퓨터/인터넷 사용에 관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이 자기 통제와 조절 능력 기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는 초등학교 아동들의 발달 단계에 맞는 강화나 보상 등의 유인가를 마련하고 '만족 지연'의 패러다임 등을 통하여 자기 통제 및 조절 능력을 기를 수 있게 해야할 필요가 있다.

      • 初等學校 敎科專擔制度의 效率的인 運營에 關한 硏究

        윤완주 東洋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과전담제도에 관한 연구로 시행 10년이 넘은 교과전담제에 대한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초등교사의 교수 효율성을 높이면서도 수업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마련하여 교과전담제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로 첫째, 우리나라 교과전담교사제도의 운영현황과 문제점은 무엇인가? 둘째, 교과전담교사의 양성과 임용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 셋째, 교과전담제 운영의 효율적인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로 설정하고, 관련문헌과 선행연구의 수집·분석·정리를 통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은 참고문헌과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초등교육의 특성 및 초등교과의 특성, 교과전담제의 개념과 의의, 그리고 교과전담제와 학급담임제의 비교 등을 통하여, 초등과정에서 가르치는 과목이 다양하며 일인 교사가 담당하기에는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아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교과전담제를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효율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교과전담제 운영방식에서의 개선이 필요하다. 교과전담교사의 법정 교원수가 확보되어야 하며, 법정 교원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과다한 교육행정 관련 인원을 축소하고, 교육예산집행 조정을 통한 정식교사를 채용해야 한다. 또한 현행 초등학교 교과전담교사의 배치 기준을 상향조정하는 방향으로 개정한다. 초등학교 저학년(1·2학년) 학급담임교사의 수업시수 경감을 위하여 ‘수업보조요원’을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그리고 교과전담교사에 대하여 적절한 수준의 우대책을 제공하여 적극적으로 교과전담지도에 참여하도록 유도한다. 특히 순회교사로 교과를 전담하는 경우에는 그 우대책이 적극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교과전담교사 편성과 배정방법에서의 개선이 필요하다. 교과전담교사 자격증 소지자에 대한 교사공개임용시험 시 가산점 부여할 수 있으며, 교과전담교사의 순회 근무제를 활용한다. 또한 한 교사가 자신의 담임학급을 책임 지도하되 특정교과는 다른 반 교사와 교환하여 지도하는 교환수업제(순환수업제)를 일반적인 교과전담제와 동시에 운영할 수 있다. 셋째, 교과전담교사 양성방법을 개선해야한다. 교과전담제의 취지를 살리고, 현장 도입의 현실성을 고려하여 교과전담 교사제를 도입 할 교과를 체육, 음악, 미술교과로 제한하여 초등학교 교과전담교사의 양성과 자격에 대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안한다. 제1안 학급담임교사와 기능교과 전담교사의 분리 양성 제2안 학급담임 + 1기능교과 전담교사 양성 제3안 저학년, 고학년 교사의 분리 양성 제4안 현행 심화과정의 적용을 통한 양성 제5안 중등교사 자격증 소지자의 활용을 통한 양성 제6안 현직 연수과정을 통한 양성 넷째, 전담교사제의 다양화와 탄력적인 운영이 되어야겠다. 학교사정에 따라 정해지는 교과전담교사의 운영을 한 교사가 1개 학년을 매년 전담하는 학년 전담제 운영과 전담교실제의 운영, 소외를 받고 있는 농어촌 지역의 교과전담교사의 순회지도와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학교를 연계하여 지도 운영하는 교과전담제의 운영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operation status and problems of the exclusive subject system that has been practiced over 10 years, and proposed improvement plans to increase effectiven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reduce burden of classes. By doing this, this study has a goal of finding out effective ways to operate the exclusive subject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developed. First, what are operation status and problems of exclusive subject system in Korea? Second, how should the teachers of exclusive subject be trained and employed? Third, what are the effective ways to improve the operation of exclusive subject system? Through collection, analysis, and arrangement of relevant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these questions were validated. After looking into the relevant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t observe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ducation and elementary curriculum, concept and significance of exclusive subject system, and comparison between the exclusive subject system and the system where the whole class is under one teacher's charge. Through these,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re are a variety of subjects in the elementary curriculum and these were hard for one teacher to take the full responsibility. In order to activate the exclusive subject system, the following plans should be developed. First, there needs to be improvement in the ways of operating the exclusive subject system. There needs to be secured number of legal teachers for the exclusive subject system and in order secure this number, the schools should cut back the over-numbered personnel of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employ professional teachers through adjustment in the education budget. Also, they should raise the standard of posting the teachers of exclusive subject in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reduce mistakes of teachers in charge of a class in low grade(1st or 2nd grade), they should use 'class assistants.' They should provide improved conditions for the teachers of exclusive subject so that the teachers can participate in the instruction of exclusive subject. Especially, the roving teachers should be treated more considerately. Second, there should be improvement in the ways of organizing and appointing the teachers of exclusive subject. Points should be given to teachers with the qualification of teaching an exclusive subject at the open recruitment test, and they should use rotating class system of the teachers of exclusive subject. Also, one teacher should teach a class he/she is in charge of but he/she should change with another teacher for a specific subject in order to operate the exclusive subject system with the rotating class system. Third, there should be improvement in the training for teachers of exclusive subject. Considering the purpose of exclusive subject system and the reality of its introduction to the actual education, the following plans are presented by limiting the exclusive subjects to P.E.(Physical Education), music, and fine art. Plan 1. Separate training of teachers in charge of whole class and teachers in charge of one specific subject Plan 2. Training of a teacher in charge of whole class + 1 teacher in charge of one technical subject Plan 3. Separate training of teachers of low grade and high grade Plan 4. Training through application of current in-depth curriculum Plan 5. Training through application of teachers with the qualification of being a middle school teacher Plan 6. Training through current training programs Fourth, there should be diverseness in the exclusive subject system and it should be operated elastically. There should be operation of exclusive grade system and exclusive class system where a teacher take charge of a grade or a class every year after practicing the exclusive subject system depending on the school's situation. Also, there should be operation of exclusive subject system where the teachers rove around the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which are being neglected and they should teaching connecting the high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with the middle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