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외파생상품에 대한 설명의무 강화방안

        김도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99

        이 논문은 장외파생상품에 대한 설명의무의 내용, 금융투자업자의 설명의무 위반에 대한 구제방법 및 그 문제점들에 대하여 다루었다. 이 논문은 계약 체결과정에서 거래당사자들이 신뢰를 형성하고 일반투자자를 보다 확실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장외파생상품에 대한 설명의무를 어떻게 강화할 것인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금융투자업자의 설명의무는 거래당사자 사이의 정보 비대칭성이 가장 큰 장외파생상품에서 그 정보 비대칭성을 해소하고 투자자가 합리적인 투자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투자자 보호수단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 금융투자업자의 설명의무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규정되어 있고, 위 법률은 금융투자업자가 이를 위반한 경우에는 손해배상책임을 지도록 하고 있다. 금융투자업자의 손해배상책임은 설명의무 위반에 대하여 우리나라에서 인정되고 있는 유일한 구제방법이다. 손해배상책임은 그 사후적 성격 때문에 법원의 판단이 있기 전까지는 거래당사자들이 금융투자업자가 설명의무를 다하였는지 알 수 없고,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판례는 거래당사자들이 거래를 함에 있어서 기준으로 삼기에 적합하지 않은 면이 있으며, 과실상계를 통하여 손해배상책임이 제한된다는 점에서 투자자를 보호하기에는 미흡하다. 이 논문은 일반투자자를 보다 두텁게 보호하고 분쟁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설명의무와 관련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설명의무가 필요한 상황, 설명사항, 설명의 정도 및 방법에 관하여 보다 명확하고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여 거래당사자들이 계약 체결과정에서 신뢰를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일정한 경우의 장외파생상품의 기본구조에 대하여는 약관으로 인정하여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 및 자본시장 및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의 관련 규정이 적용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그 기본구조의 공정성에 대한 심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금융투자업자가 설명의무를 위반하여 계약을 체결한 경우 금융투자업자가 그 기본구조를 계약의 내용으로 주장하지 못하도록 하여 일반투자자를 보다 두텁게 보호하고 분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시행되었다가 이른바 일몰조항에 의하여 현재는 시행되지 않는 사전심의제도를 재도입하고 장외파생상품에 대한 설명의무 이행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운용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금융투자업자가 보다 충실하게 설명의무를 이행하도록 하여 분쟁이 사전에 예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thesis deals with details related to duty to explain about OTC derivatives, a remedy against a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entity's violation of the duty and their problems. It aims to suggest how to strengthen duty to explain about OTC derivatives for establishing trust between the parties to a transaction in the process of making contract and protecting ordinary investors more definitely. A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entity's duty to explain is the most important of investor protection measures in that it gets rid of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the parties in OTC derivatives which is the greatest of financial investment instruments and enables investors to make rational investment decisions. It is provided in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and this act provides a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entity's liability for damages caused by the violation of the duty. A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entity's liability for damages is the only remedy against the entity's violation of duty to explain which is admitted in Korea. It is not insufficient to protect investors in that the parties in a transaction can not know whether the entity completely performed duty to explain before court's decision because of liability for damages' ex-post character, law cases about the liability for damages is not suitable for the parties to transact based on them and comparative negligence limits the liability for damages. This thesis suggests the measures about duty to explain to protect ordinary investors definitely and prevent disputes. First, it suggests more specific standards of situations needed to perform the duty, what is needed to explain, a degree of explanation and methods of it. This enables the parties to trust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making contract. Second, it recognizes the basic structure of OTC derivatives in some cases as terms and conditions so Act on the Regulation of Terms and Conditions and related provisions of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apply. As a result, the fairness of the structure is examined and if a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entity enters into a contract in violation of obligation to explain, the entity can not claim that the structure constitutes the content of it. This is able to protect ordinary investors definitely and prevent disputes. Third, it suggests the reintroduction of prior deliberation which was enforced but not now by sunset clause and new application plan focused on performing the duty about OTC derivatives. This is able to make a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entity perform the duty more faithfully so disputes can be prevented.

      • 한국신문의 자율규제와 사전심의에 관한 연구 : 동아일보 심의실을 중심으로

        강수진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69

        As the influence of the press rises more than any other time, voices of request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press is also rising. Accordingly, each organ of speech started to make efforts to recover its reliability. To come to life again as the press of responsibility, organs of speech are establishing self-control organization for self-control. Ombusman system first introduced by Courier journal in Louis ville. U. S. A. 1967,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elf-control organization. Since then, many organs of the press all over the world started to introduce Ombusman System, including some of local organs of the press. Ombusman System in Korea was introduced with two forms. One is Ombusman system in the aspect of contents, and the other is Ombusman in formal aspect. The former one is not Ombusman system in its name, but it plays a role of Ombusman-i.e. deliberation office. The latter one has a name of ombusman, but its role is a little different from that of American Ombusman, targeting image effect abroad rather than criticism in the firm. Both of the two forms are different from American from of self-control, suitable for its special situation, having the object of ombusman system. It is so-called 'pre-deliberation' deliberation first introduced by Donga Ilbo's deliberation office in 1998, started with positive purposes regardless of the negative image of the world. More specifically, Pre-deliberation is deliberation on newspaper in the newsstand. Newspaper in the newsstand has only 7000 copies, and it is different from other newspaper delivered home in that it is distributed to organs of the press, departments of the government, and publicity offices in big companies, so general readers do not have much chance to read it. Considering this, Donga Ilbo is under deliberation on newspaper in the newsstand. In this case, items pointed out by the deliberation office are corrected before pressing for general readers. Considering Donga Ilbo's daily issue number-over 2 million copies, at least 1.3million copies of them are being issued through deliberation by the deliberation office. That is, actual 'pre-deliberation' is being done on newspaper for general readers. Most journalists recognize and agree to the necessity of pre-deliberation. Also general readers can read newspaper with corrected contents. Nevertheless, reporters in editing department have complaint of the contents taken into deliberation. Analyzing the contents under deliberation, they are mostly about minor errors in grammar or sentences rather than indication of value judgement related to an article. For this reason, reporters in editing department hope that the deliberation office will indicate more 'substantial' contents such as comparative criticism with other newspaper and opinions on the direction of articles. Considering deliberation judges in the deliberation office are mostly senior reporters with more than 20 years' experience, it can be said that the newspaper also expects more meaningful deliberation rather than simple corrections. The deliberation office also tries to do more deep deliberation, but reality doesn't allow it to do so. the biggest reason for this is that revision work is partly transmitted to the deliberation office because of the structure adjustment of the newspaper. Another reason is that the internship period of new reporter is shortened with reporters' increased amount of work unlike the fact reporters had enough to practice article writing in each department in the past. Also in the desk, they don't even have enough time to polish sentences in the process of desk work because of overburdened work. Like this, the function of the deliberation office is not as effective as expected, but the importance of the deliberation office as self-control device is the same as before. Unlike other selfcontrol organizations which have been nominal so for, it can deliver more revised newspaper and accurate information to readers, bringing substantial changes to the paper. In the present situation that defamation of character suits against the press rise, more strengthened deliberation by the deliberation office is expected to protect readers' rights and contribute to the economic aspects of the company. 언론의 영향력이 그 어느때보다 커지면서 언론의 책임을 요구하는 목소리 또한 높아가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언론사는 신뢰회복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책임있는 언론으로 거듭나기 위해 언론사는 자기 규제를 위한 자율규제기구를 앞다투어 설치하고 있다. 1967년 미국 로이빌 쿠리어 저널에서 처음 도입된 옴부즈맨 제도는 자율규제 기구의 대표적인 예다. 이후 전 세계 많은 언론사들이 옴부즈맨제도를 도입하기 시작했으며 국내 일부 언론사도 옴부즈맨제도를 채택했다. 한국에서 옴부즈맨제도는 크게 두가지 형태로 도입됐다. 하나는 내용적인 측면에서 옴부즈맨제도이고 또 하나는 형식적인 측면의 옴부즈맨이다. 전자의 경우 명칭은 비록 옴부즈맨제도가 아니지만 내용면에서 옴부즈맨의 역할을 하고 있는 기구로 심의실이 그 예다. 후자의 경우 옴부즈맨이라는 명칭은 들여왔지만 그 역할은 미국의 옴부즈맨과 다소 동떨어져 사내비평보다는 대외적인 이미지효과를 겨냥해 도입된 것이다. 두 가지 형태 모두 미국의 옴부즈맨제도와는 차이가 있다. 오히려 한국에서는 우리의 특수한 언론현실에 맞게, 옴부즈맨제도의 취지를 살리되 독특한 형태이 자율규제형식을 선보였다. 이른바 '사전심의'가 그것이다. 1998년 동아일보 심의실이 처음 도입한 사전심의는 그단어가 지닌 부정적 이미지와는 달리 긍정적인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사전심의는 엄밀히 말하면 가판(街販) 신문에 대한 심의이다. 가판신문은 7000부 정도만 찍는데다 그나마 각 언론사및 정부부처와 대기업 홍보실정도에만 배포된다는 점에서 가정으로 배달되는 신문과 달리 일반 독자들이 볼 기회는 많지 않다. 동아일보 심의실은 바로 이 점에 착안, 가판 신문이 나온후 이를 대상으로 심의를 하고 있다. 이 경우 심의실이 지적한 사항은 일반 독자들에게 배달되는 신문에서는 수정대 인쇄되게 된다. 동아일보가 하루에 찍는 신문발행부수가 2백만부가 넘는 점을 고려할때 최소한 130만부는 심의실의 심의를 거친채 신문이 발행되는 거이다. 즉, 일반독자들이 보는 신문을 기준으로 한다면 사실상 '사전심의'를 하고 있는 셈이다. 사전심의에 대해 기자들은 대체로 심의의 필요성에 대해 인정하고 공감하는 편이다. 또 심의지적사항에 대해 지면에 최대한 반영하고 있어 독자의 입장에서 볼 때 조금이라도 내용이 다듬어진 신문을 받아보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편집국 기자들은 현재 심의실의 심의내용에 대해서는 불만이 적지않다. 심의실의 지적 내용을 분석해 보면 기사에 대한 가치판단과 관련된 지적보다는 문장이나 어법 등 단순하거나 상대적으로 사소한 잘못에 대한 지적이 대부분이다. 이 때문에 편집국 기자들은 심의실이 보다 '본질적인' 내용, 즉 타신문과의 비교 평가라든가 기사 방향에 대한 의견 등에 대한 지적을 바라고 있다. 심의실에 소속된 심의위원들이 대부분 경력이 20년 이상인 고참 기자들인 점을 고려할때 고임금 인력들의 심의실에 배치한 데에는 신문사 입장에서도 현재의 단순한 교열 역할보다는 보다 의미있는 심의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심의실측도 비문이나 잘못된 표현을 고치는 단순 지적을 지양하고 보다 깊이있는 심의를 하고자 하고 있으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가장 큰 원인은 신문사의 구조 조정에 따라 교열부기자가 대폭 줄어들면서 결국 교열의 업무가 일정부문 심의실로 전가됐기 때문, 또 다른 원인으로는 기자의 업무량이 폭증하면서 과거 수습기간이 끝난 후에도 기자가 각 부서에서 기사작성훈련을 충분히 받을 수 있었던 것과는 달리 요즘은 인력부족과 폭주하는 기사에 따라 실제 기자훈련의 기간이 짧아져 기사작성에 미숙한 기자가 많기 때문이다. 데스크 역시 과중한 업무에 따라 기자훈련은 커녕 기사를 데스크보는 과정에서도 천천히 문장을 다듬을 여유가 없다. 이같이 심의실의 기능이 당초 표방했던 것에 못 미치는 것을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자율규제기구로서 심의실의 중요성은 변함이 없다. 무엇보다 지금까지 유명무실했던 다른 자율규제기구와 달리 실질적으로 지면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독자에게 보다 다듬어진 신문과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심의실이 지금의 역할에서 보다 강화된 심의를 수행할 경우, 언론사를 상대로 한 명예훼손 소송 또한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궁극적으로 독자의 권익을 보고하고 회사에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 韓國 映畵檢閱制度 形成의 政治過程 : 映畵事前審議 違憲決定(憲法裁判所, 1996. 10) 以後의 論爭을 中心으로

        이병량 高麗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박사

        RANK : 248653

        The film censorship of Korea dates back to the introduction of the film. Yet, there has been seldom problematization of this institution, that the state pre-assessed the contents of the film and expurgated it or prohibited the screening of it. If any, it was an individual and ephemeral resistance but far from the problematization of the censorship itself. By the way, the problematization of the institution, aiming at the abrogation or reorganization of the censorship, came to appear on the ground in nineties and has been constituted a political agenda since then. Furthermore, it has beget one after another controversies albeit its reorganization after the first issuing of the problem and become more complicated and die-hard political issue than ever. This study originated from the questions about this situation: why has the film censorship come to problematized in political areas with such an importance but only after nineties? why has it become so intricate matter that disapproved any easy closure of the controversy? This study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process of the political construction of the new film censorship to address to those questions. It seems that the politicizing of this construction of film censorship relates with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film censorship itself. The film censorship is an institution of the state but does not matter in the loss or gain of everyday life of most people. Without the intervention of practical(or substantial) interest, the film censorship is likely to be involved in the ideological confrontation. That state exercises censorship on the film connotes the intention of the intervention of the process of the personal creation of a film; the state pre-assesses about the content of the film and even induces the change of it by the censorship; it can be considered as an unjust intervention of the state against the expression of an individual, that consists very fundamental core of the freedom. Yet this objection to the censorship based on liberalism confronts another ideological attitude: the freedom of individual can be regulated or restricted for the order of the state or common values or morals of the society. Through the analysis, I keep my eyes on the political process of the reorganization or reconstruction of the censorship and the way that the uniqu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 of the censorship has been fabricated through the process. What I see through this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it can be indicated that the problematization of the nobody's substantial matter, like the film censorship has been required precedented change of the socio-political environment. How the censorship operated i.e. which films controlled or restricted in what measures and intensities was not able to be a critical factor in this problematization. It was a prerequisite for the problematization of this kind of policy or institution like the censorship that substantial change in socio-political environment like democratization that guarantees some political freedom to inquire about the legitimacy or validity of the established institution or the ideological diversity. It explains the reason why the problemtization of the film censorship has been constituted after 1990 in Korea. Second, the critical point of the political construction of the film censorship has not been the interest of the constituencies but rather the ideological standpoint on which they posit themselves. The controversies about the film censorship pertained to the problem of the freedom of speech and the limitation of it, and further, it revived old controversy about struggling relation of the individual and the state around that problem. The ideological confrontation with these kind of matters is hardly compromised. And since this ideological confrontation has been inscribed in the political process of the construction of the film censorship, the material contents of the new film censorship were not the product of the negotiation or adjustment of the interest of the constituency of the controversy. The eclectic alternative could not suffice any confronting groups, the new institution has been exclusively based on the standpoint of the overwhelming group. The group which has been exclud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institution usually came to latent antagonist and has been probably trying to change the institution on any following occasion. It is the very reason why the film censorship has been recurring since its advent although the regulation on the Constitution or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Third, the groups which have excercised effectively on gaining dominance were the group of intensively polarized ideology(or political interest disguised ideological appearance) or political party. The analysis reveals the extended inclination for the alternative that has been trying to abrogate the pre-control of the state, to secure the freedom of creation and to respect the self-regulation of the citizen through the process of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film censorship. This alternative has voiced out through the public opinion also. However, the state has not given up the control and intervention of the contents of film in the newly adopted censorship owing to some conservative film related groups or the political party that has kept warning the cultural and moral degradation to the corruption of common values and to shaking of public order by the abrogation of the censorship. Although they were minority in number and not in the support of public opinion, they have dominated in the political construction of the censorship. It disclose that the group which exercises and adheres to highly polarized standpoint dominates effectively over the opinion of public majority in this kind of matter like the film censorship that is not related with the loss or gain of everyday life of most people.

      • 부당한 방송광고의 규제에 관한 연구 : 시장경쟁과 소비자보호를 중심으로

        김정훈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20

        본 논문의 주제는 부당한 방송광고 행위에 대한 개별법상 규제 내용을 살펴보고, 현행 방송광고에 규제에 대한 문제점들을 검토하여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광고는 현대 산업사회에서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산업이 다원화되고 확대됨에 따라 그 역할이 계속 증대되었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사업자는 자기 상품뿐만 아니라 그 외에 많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반면 개개의 소비자는 경제적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얻지 못하는 정보 비대칭성 문제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업자는 자기에게 유리한 정보는 허위 또는 과장하고, 불리한 정보는 은폐?축소하는 등 왜곡된 정보를 제공하려는 유인을 갖게 된다.그래서 사업자는 광고를 단순한 상품의 정보제공의 목적에 사용하지 않고, 다른 사업자와의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상품과 서비스의 정보를 광고를 통하여 과장하거나 왜곡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었다. 이는 다른 사업자와의 불공정한 경쟁이 될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에도 방해가 된다. 이런 불공정행위를 방지하고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을 돕기 위해 광고에 대한 규제가 필요한 것이다.그 중에서도 방송광고의 경우에는 신문 등의 다른 매체를 이용하는 광고와 달리 전파성이 훨씬 크고,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월등히 높기 때문에 다른 광고에 비해서 더욱 많은 규제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특히 방송광고는 지금까지 방송법상 사전심의제도를 중심으로 규제되고 사후규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표시광고법에서 일정부분 부당한 방송광고에 대해 사후규제가 이루어져 왔을 뿐이다. 그러나 「방송법」의 사전심의제도가 위헌결정됨으로서 현재 사전에 걸러지던 부당한 광고들이 훨씬 많이 방송광고로 방영될 것으로 보여지며, 표시광고법 등 개별법상의 사후규제가 더욱 증가될 것으로 판단된다.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측면에서 방송광고의 특성과 우리나라의 방송광고 규제가 부당한 광고를 규제하는데 얼마나 효율적으로 규정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우리 법체계의 문제점 등에 대해 개선방안을 강구해보기로 한다. 이 논문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광고는 사업자의 마케팅 수단이자 소비자에게는 상품의 정보를 얻는 수단으로 사용되므로 광고는 정확한 정보를 주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그러나 사업자는 광고를 마케팅 수단으로 이용하면서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허위?과장 광고 같은 부당한 광고를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소비자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 부당한 광고에 대한 규제를 하는 것이다. 특히 방송광고의 경우에는 파급력이 다른 매체 광고보다 크기 때문에 더욱 엄격한 규제가 필요하다.현재 방송광고를 규제하는 개별법은 표시광고법, 방송법, 식품위생법, 약사법 등 많은 개별법이 존재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표시광고법은 광고에 대한 일반법으로 방송법은 방송에 대한 전문 규제법으로 부당한 광고를 규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다른 개별법들도 관련 분야에 대한 부당한 광고를 규제함으로써 역할을 하고 있다. 다만, 방송법상 사전심의가 위헌결정되면서 이후 방송광고에 대한 규제 형태는 사전규제에서 사후규제로 많은 변화를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현행 우리나라의 방송광고 규제에 대한 문제점들은 첫째, 방송광고에 대한 규제가 외국과 달리 자율규제 중심이 아니라 타율규제 중심으로 운영되는 점, 둘째, 부당한 광고를 규제하는 개별법들 사이에 적절한 규제기준과 제재수준의 불균형, 중복규제 등의 문제가 존재하는 점. 셋째, 개별법을 운영하는 기관들 사이에 유기적인 협조가 부족하여 법집행의 실효성이 낮다는 것이다. 이런 문제점들로 인하여 우리나라는 방송광고를 규제하는 많은 개별법을 가지고 있지만 효율적인 집행은 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우리나라의 타율규제 중심의 광고규제를 자율규제로 전환하고, 둘째, 방송광고 규제와 관련하여 여러 개별법에서 규제하기 보다는 부당한 광고의 성립요건에 따라 표시광고법과 다른 법률로 구분하여 광고 규제 법률을 단순화할 필요가 있으며, 마지막으로 광고를 규제하는 규제기관 사이에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헌법재판소의 방송법 위헌 결정으로 인하여 부당한 방송광고가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를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공정거래위원회와 방송통신위원회의 유기적인 협조는 꼭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결론적으로 부당한 방송광고가 사회적 역기능을 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서는 소비자단체나 사업자단체의 자율적인 규제가 필요하다. 또한 부당한 방송광고에 대한 법집행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방송광고를 규제하는 행정기관들 사이의 유기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결국 우리나라의 방송광고 규제 법률들의 문제점을 잘 파악하고 효율화 하는 것이 소비자에게 더욱 도움이 될 것이고, 사업자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 부당한 광고가 소비자에게 도달하지 않도록 끊임없이 감시하고, 건전한 광고가 확산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The following master thesis overlooks concerns about biased advertisement broadcasting, examines problems and presents solutions to them. Advertising is the key interconnection between the manufacturer and the consumer in the contemporary market society. It plays a critical role in mass expansion and amplification of businesses. In actuality, businesses have been transmitting excess impractical information rather than genuine conceptions about the product in their advertisements. In some cases information is purposely concealed. The consumer is not fully informed and unfair advantages are given to businesses. It raises problems where there can be disorientation on the consumer's judgment and a lack of balance between the interconnection.Therefore, the businesses did not use advertisement simply for the information providing purposes but problems of distortion and exaggeration of products and services through advertisements frequently occurred, in order to win the competition among other businesses. This is not only unfair competition with other businesses but also interferes with consumer's rational choice making. The regulations are necessary for advertisements to prevent these unfair acts and to help consumers to make healthy choices.Among these, it is necessary to have more regulations because broadcasting advertisements have wider circulation than newspapers or other means of media and the effects on consumers are too big by far.Until now, broadcast advertising has been regulated through standard systems and regulations almost have not been filtered as intended. Only from the indication advertisement law, we see that certain parts of the schedules have been regulated. Even with 'The broadcasting law' still in place, the unjust advertisements find a loop hole to get by these barriers. Unconstitutional, but in the present time it will be expected that a mass amount of unjust/unregulated broadcast will be televised and is likely to increase.This thesis overlooks how efficiently characteristics of the broadcast ads and the nature of broadcast advertising regulations have been filtered in our country. The problems with our regulation laws and unfair advertising and a way to figure out ways to improve problems of the law system will be expressed in the following.Advertisement marketing is the means of business for companies and for consumers it's a endeavor to receive accurate information for a good. Companies should work to be authentic and accurate when they portray information. On the contrary businesses use advertisement with marketing means to promote sometimes bogus and dishonest sales? Exaggerated advertisements that are televised in broadcasts are unjust. In result the consumers are the ones that suffer from these kinds of ordeals. This is the reason that unregulated advertisements need to be enforced more thoroughly. Being stricter in enforcing larger and more powerful advertisements than regular advertisements is necessary.Currently, there are many individual laws that regulate televised advertisements such as law for expressive advertisement, broadcasting law, food hygiene law, and the pharmaceutical affairs law. Among them, law for expressive advertisement works as the general law, and broadcasting law takes important role as regulating biased advertisements. Other individual laws regulate biasedadvertisements within related fields. However, the precensorship of the broadcasting law has been concluded and unconstitutional, future form of broadcasting advertisement regulation will change in many ways from precensorship to postcensorship.Current problems with Korean Broadcasting regulations are; first, it is not focused on self-regulations as other countries but focused on regulations by outside; second, the criterion and standard disparity among the individual laws that regulate biased advertisements; third, the lack of cooperation among organizations that manage individual laws so that effectiveness of enforcement is very low. It seems that, because of these problems, despite many individual laws that regulate broadcasting advertisements, effective enforcement is not realized.To solve this problem, first of all, transformation of regulations by outside to self-regulations focused regulations; second, instead of regulating by individual laws, it is necessary to simplify advertisement regulation laws by dividing law for expressive advertisement and other laws according to formattingconditions of biased advertisements; and finally, we need to build systematic cooperation organization among the executive agencies that regulate broadcasting advertisements. Especially it is predicted that biased advertisements will increase due to ruling of unconstitutionality of broadcasting laws by the constitutional court, therefore the systematic cooperation between Fair Trade Commission and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Committee to prevent this effectively.In conclusion, to prevent the biased broadcasting advertisements from doing social reverse functions, it is necessary for consumer groups and supplier groups to self-regulate. Also,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xecution of the law for biased broadcasting advertisements, it is necessary for the executive agencies that regulate broadcasting advertisements to cooperate systematically, we need to make constant effort to make sure that no biased advertisements will reach consumers and for the healthy advertisements to spread because in the long run it will be more helpful for the consumer and suppliers if the shortcomings of the laws for broadcasting advertisement regulations were clear and were more effective.

      • 대중가요의 선정성에 관한 연구 : 가수 박진영과 싸이(Psy)의 노래를 중심으로

        정천기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19

        새가 노래하고 시냇물이 노래한다고 여겼을 때 사람도 노래를 불렀을 것이다. 그것이 단지 의사소통의 도구였든 아니면 선험적 미의식의 발로였든 노래는 소리를 낼 줄 아는 생명체에게 생득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소리에 희로애락의 감정을 담고 가사와 악곡의 형식을 갖추면서 예술작품의 한 형태로서 노래가 사람살이 속에 자리 잡았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의 삶 속에서 결코 떠날 수 없었을 노래는 인간의 삶의 방식이 변하고 시대가 변화하면서 내용과 형식이 끊임없이 바뀌어 왔다. 이른바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구두에서 문자, 활자매체, 전파매체, 인터넷 매체로 발달해오는 동안 노래의 양식도 그 수단의 변화에 적응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최근 대중가요 속에 나타난 여러 현상 가운데 두드러진 특징으로 꼽히는 선정적 경향은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발달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영상매체의 발달에 따라 '듣는 음악'에서 '보고 듣는 음악'으로 노래의 형식이 바뀌면서 생겨난 것이다. 게다가 "인간의 성적 욕망을 무한한 수요로 간주하고 성을 상품화하여 공급에 나서는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확대"라는 사회·경제적 배경에서 생겨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노래의 주요 소재로 쓰여온 성 표현의 양상이 시대변화와 더불어 선정적 또는 성 상품화의 경향으로 나타난 배경을 짚어보고자 했다. 이는 시대의 반영으로써 대중가요의 현상을 분석해 '지금 여기' 발을 딛고선 한국사회의 정체성을 읽어내려는 작업이기도 하다. 근대적 의미의 대중가요는 음반이라는 매체를 전제 조건으로 한다. 에디슨이 19세기말 축음기를 발명하면서 시작된 음반의 역사는 인간의 목소리를 시공간의 한계에서 벗어나게 했고 상품화를 가능하게 했다. 이로써 대중문화산업이 형성됐다. 이는 삶의 자연스런 일부였던 노래를 시장경제 속의 상품으로 변모시켰으며, 노래를 보통사람의 삶에서 유리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사람들은 노래의 주인이 아니라 판매대상이며 관객으로서 존재하게 된 것이다. 대중가요의 선정성 문제는 매체발달사를 떼어놓고는 설명할 수 없다. 박진영이나 싸이의 노래가 몰고 온 선정성 논란도 결국 음반이나 매스미디어를 통해 다수의 대중소비자에게 전달될 것이라는 파급효과를 전제했을 때 생겨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작금의 대중가요에 나타나고 있는 선정성 문제에 대해 매체의 발달과 시장경제의 확산이라는 두 가지 기본 전제를 바탕으로 논의가 진행됐다. 이를 위해 대중가요 노랫말에 나타난 성 표현의 역사적 맥락, 시대변천에 따른 성 표현의 수위, 음란성에 대한 기준과 표현의 자유 문제, 매체별 심의사례 등을 두루 점검했다. 대중가요의 선정성이 추구하는 최종 목적지가 어디인지 살피기 위해서는 이와 관련된 노래로 최근 가장 주목받았던 박진영과 싸이의 노래를 집중 분석했다. 연구 결과, 대중가요의 선정성 문제는 뮤직비디오와 음악전문채널 등 영상매체의 발달, 미국 힙합 문화의 유입, 사전심의제도 폐지 등 규제완화, 음반시장에서 상업주의 확산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분석 대상으로 삼은 박진영의 노래는 데뷔앨범 이후 최근작까지 전반적으로 사랑과 이별 등 남녀 문제와 성을 주요 소재로 삼고 있었다. 박진영의 노래는 대부분 댄스곡이어서 가사의 비중이 발라드나 포크송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작품의 창작의도가 대부분 가사에 반영된다고 볼 때 그의 노래는 남녀의 애정문제나 성 문제에 집중된 것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다시 말해 박진영은 노래활동과 음반 마케팅의 핵심도구로 남녀관계나 성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경향은 시간이 지날수록 강화되는 측면을 보인다. 그는 데뷔 초 주로 순수한 남녀관계를 노래했지만 2집 앨범에 실린 '엘리베이터' 이후 남녀관계에 대한 묘사가 점점 육체적이고 노골적인 방향으로 흘러갔다. 6집 앨범 「게임」은 남녀관계 묘사에 치중해온 그의 성 표현 수위가 최고 지점에 이른 앨범이라고 할 수 있다. 싸이는 1, 2집 앨범을 통해 직설적 성 표현을 서슴지 않았지만 노래 자체는 성을 추구하지 않은 점에서 박진영과 다른 면모를 보였다. 그의 노래가 지향하는 것은 주로 사회의 부조리한 측면에 대한 비판과 저항, 향락과 부패에 빠진 현대 도시생활에 대한 염증, 여성에 대한 냉소 등이다. 갱스터랩 등 미국 힙합 문화의 영향을 고스란히 드러내는 싸이의 노래는 욕설과 직설적 성 표현 등에서 일반적 표현수위를 넘었다고는 할 수 있어도 이것만으로 노래 자체가 선정적이라고 단정하기에 어려운 측면이 있다. 물론 그는 앨범의 재킷 디자인 등을 통해 여성의 신체 일부 등을 표현함으로써 성을 음반 마케팅의 소재로 활용한 것만은 분명하다. 박진영과 싸이는 노래의 내용뿐만 아니라 표현방식에서 분명히 다른 면모를 보이지만 두 가수가 모두 성을 음반마케팅의 주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공통적이다. 박진영은 "사랑은 아름다운 것이며 섹스는 즐거운 놀이다"라는 메시지를 내세우고 있다면, 싸이는 "사랑은 반드시 아름다워야 하는가?"라고 반문하면서 비현실적이고 달콤하게 포장한 '사랑타령'에 대한 혐오감을 드러냈다. 결과적으로 박진영이 남녀관계에 대한 묘사를 좀더 노골적이고 관능적으로 묘사하는 쪽으로 팬들의 관심을 유도했다면, 싸이는 남들과 다른 방식, 즉 기존의 사랑방식을 전복시키는 독특함을 내세워 팬들에게 다가가고자 했다. 박진영과 싸이의 노래를 분석하는 것만으로는 대중문화 전반에 확산된 성 상품화의 사회적 파급효과와 시대적 함의를 읽어내는데 부족하다고 본다. 대중가요에 투영된 시대상이 제대로 파악되기 위해서는 사회·경제적 접근을 통해 좀더 폭넓고도 심도 있는 후속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Primitive men might sing just as birds or stream sang. Whether their songs were means of communication or expressions of a priori aesthetic sense, singing ability must be inborn for every life which can generate sound. When the emotion of pleasure, anger, grief and relief was contained in such a sound with a story and melody, the songs began to be established as a form of art in men's life. The songs which could not be separated from men's life have continued to change in terms of contents and forms over time. While the so-called human communication means have developed from verbal language through letters and printed media to electronic media and Internet, the forms of song have adapted themselves to the changed communication means. The sensationalism which is most peculiar among various phenomena of the popular songs tends to be very closely related with development of the communication means. Such a tendency has emerged, as the form of music has changed from 'listening to music' to 'watching and listening to music' due to development of the image media. In addition, it has been affected by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that "the unexhaustive human sexual desire should be merchandized to expand the market economy of capitalism".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aimed at reviewing the changes of the sexual expressions in popular songs and thereupon, examining the background of their sensationalism or the commercialized sex. In other words, it is deemed essential to analyze the phenomenon of the popular songs reflecting the social conditions of a time, and thereby, read the identity of our current society. The modern popular songs must be based on the medium called 'disc'. When Edison invented the gramophone in late 19th century, human voice could begin to be free from the reign of time and space and ultimately could be commercialized. After all, the popular culture industry was born. As a result, the songs which had been natural parts of life began to fall down into the commodities in the market economy, and therefore, songs were separated from ordinary people's life. People became not main actors but consumers and simple audience. The sensationalism of the popular songs cannot be explained without reviewing the development of media. The disputes surrouding Park Jin-young's or Psy's songs have emerged because their songs are delivered via mass media to the people or consumers. In this study, the discussions of the sensationalism of today's popular songs evolve around two preconditions, namely development of media and expansion of the market economy. In this vein, the historical contexts of the sexual expressions in the stories of the popular songs, the levels of the sexual expressions by age, criteria for obscenity and freedom of expression, and cases of the reviews by medium are examined extensively. In order to review the ultimate effects of the sensationalism of the popular songs, Park Jing-young's and Psy's songs which attracted much attention recently were analyzed concentratingly. As a result, it has been analyzed that the sensationalism of the popular songs is attributable to development of such image media as music video and music special channels, introduction of the American hip hop culture, deregulation of the prior reviews, expansion of commercialism in the disc market, etc. The main themes of Park Jing-young's songs have been love and parting, heterosexuality and sex since his debut album. Most of his songs are dance songs, which suggests that the weight of stories is relatively lighter than ballads or folk songs. However, because the intentions of the songs are mostly reflected in the stories, his songs may well be focused on heterosexual love or sexuality. In other words, Park Jing-young tends to use heterosexual relation or sexuality as core tool for performances or disc marketing strategically. Such a tendency has been rather reinforced over time. When he made a debut, his songs expressed pure heterosexual relations primarily, but his song "Elevator" listed in his second album described a more apparent sexuality. His sixth album "Game" shows a peak of sexual expressions. On the other hand, in his first and second albums, Psy did not hesitate to express sexuality directly, but his songs does not pursue sexuality, which is different from Park Jing-young's songs. Psy's songs seem to attempt to criticize the irregular aspects of the society, champion a sense of resistance, express a sense of nihilism towards the modern urban life submerged into entertainment and corruption or ridicule the women. Psy's songs influenced by the American hip hop culture or gangster rap may describe obscenity or sexuality unfiltered, but it cannot be concluded that his songs are sensational. Of course, the jacket designs of his albums show parts of female body in an attempt to use the sex as marketing tool. After all, although Park Jing-young's and Psy's songs are appare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erms of not only stories but also expression methods, both of them have used sexuality as primary disc marketing tool. While Park Jin-young delivers the message "Love is beautiful and sex is an amusing play", Psy asks back "Should love be necessarily beautiful?" only to detest the unrealistic and sweetly packaged 'love'. In other words, while Park Jin-young attempted to attract fans' attention by describing the heterosexual relationship in a more undisguised and sensual way, Psy attempted to approach near the fans by using a unique method of overthrowing the conventional love. It may not be sufficient to read the effects and implications of the sexual commercialism which has spread across the entire popular culture by only analyzing Park Jing-young's and Psy's songs.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in-depth future studies which will use a socio-economic approach to read the conditions of our time reflected in the popular songs.

      • 지방 중소도시 지역의 홍수방재대책 개선방안 연구 : 경기 북부지역, 동두천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하재봉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04

        우리 나라는 기후적 요인으로 크고 작은 수해가 매년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의 새로운 기후형태로 경기·강원 북부 등 일부지역에서 국지성 집중호우가 발생하였으며 ‘99.7.31∼8.2일의 3일간 내린 강우량은 동두천 805mm, 철원 873mm, 파주적성 1,032mm로서 매우 경이적인 강우량 기록이다. 또한 ‘96, ‘98, 99년의 최근 3년간 스해피해 중 인명피해에 있어서 전국 147명중 경기 북부·강원지역은 60명으로 41%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경기북부·동두천시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홍수발생 현황과 피해원인에 대하여 기왕의 홍수사상 분석과 문헌 조사를 통하여 고찰하고 앞으로 홍수피해의 규모를 최소화하자는 목적에서 방재 구조적·비구조적 측면에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일본 및 미국의 토지이용규제방안 등을 조사하여 얻은 시사점 등을 통하여 근원적 홍수방지대책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구조적 개선방안으로는 수공구조물의 합리적 설계기준 설정, 도시 내배수 체계의 적정 운영방안, 우수유출저감시설의 설치, 홍수 예경보시설 구축 방안을, 비구조적 개선방안으로는 개발계획의 시행단계에서부터 재해저감요인을 사전에 검토, 제거하는 방재사전심의제도 도입, 재해영향평가제도의 개선방안, 홍수보험제도 도입, 치수사업에 대한 투자확충방안, 관련제도 정비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We witness various big and small floods due to the climatic variations every year, and in particular some parts of Kyonggi and northern Kangwon provinces have been affected much by the heavy rainfalls. For examples, the rainfall for 3 days from July 31 to August 2, 1999 was 876mm in Dongducheon, 873 mm in Cheohvon and 1,032 mm in Paju Jeoksong. Thus, in three years of 1996, 1998 and 1999, these areas accounted for 41% (60 persons) of the casualties (147 persons) caused by the floods.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aimed at reviewing the conditions and causes of the flood in northern Kyonggi province including Dongducheon city through literature, and thereby, addressing the structural and other problems in order to minimize the victims and damages and thereupon, suggesting their solutions. To this end, the land uses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were examined to suggest some fundamental measures of flood disaster prevention. The structural solutions are establishment of the reasonable design criteria for underwater structures, proper operation of the urban drainage system, construction of raindrop leakage reduction facilities and establishment of an early flood warning system, while the non-structural solutions are introduction of disaster prevention system designed to preview the factors reducing the disasters even at the earlier stage of development project, improvement of the current disaster effect review system, introduction of a flood insurance system, expansion of the investments in the flood control projects, and rearrangement of relevant systems.

      • 의료기관 홈페이지의 합리적 관리방안

        박경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02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 된 현대사회에서, 의료기관의 홈페이지는 의료기관 이용자들이 관련 정보를 얻는 중요 통로이다. 그러나 홈페이지는 운영 중 수시 수정이 가능하고 없어지고 생기기도 쉽기에 이에 대한 규제와 제제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며, 이 때문에 2011년 개정 의료법의 사전심의대상에서도 제외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홈페이지 자체의 특성인 수정의 용이성 등을 감안하되, 의료기관 홈페이지를 적절히 관리 할 수 있는 합리적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우선 사례조사를 통해 의료기관 홈페이지의 의료법 위반 실태 조사를 통해, 홈페이지 내용들이 시술의 장점만을 과장되게 강조하고 부작용 등은 안내하지 않음으로서 의료소비자에게 시술을 권장하고 유혹하는 경향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홈페이지 제작 디자이너, 그리고 개발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의료기관 홈페이지를 제작하는 실무자들이 의료기관 홈페이지 콘텐츠가 의료법의 적용을 받는다는 사실을 거의 인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료광고 규제에 대해 우리나라와 미국, 독일의 사례를 비교제도론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통해 의료기관 인터넷 홈페이지 의료광고에 대한 규제 대안 제시의 참고점을 찾아볼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고찰을 통해, 의료기관 홈페이지의 합리적 관리방안에 대한 몇 가지 제안점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의료광고 관련 규정의 정비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의료법, 행정당국, 법원, 의료광고 심의 위원회의 입장이 엇갈려, 일선에서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는 예들을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홈페이지 제작 가이드라인의 마련을 제안한다. 제작 가이드라인은 의료소비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내용들을 포함하는 “권장콘텐츠”와 해당 “의료법”, “심의기준”, “위반 사례집” 등을 총괄 정리하여 한 곳에서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이면 좋을 것이다. 셋째, 보건복지부의 사업별 운영 홈페이지 중 하나인 “공공보건포털” 홈페이지에 모든 의료기관의 홈페이지 URL 등록을 의무화 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보건복지부, 보건소, 공정거래위원회 등에서 행하는 감독과 단속이 용이해 질 수 있으며, 의료기관 스스로의 자정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