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 여가 프로그램이 노인의 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 및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현정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에 대한 현황분석과 함께 여가 활동이 노인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있다.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 현황에 대한 조사와 함께 여가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심리사회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의 수용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 심리사회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아울러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노화에 따른 부정적 영향력을 예방하는 완충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병행하였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 여가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 검증을 위해 여가활동에 참여한 노인과 참여하지 않은 노인들의 심리사회적 안녕감을 직접적으로 비교하고, 노인여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의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적 지지에 대한 긍정적 영향력을 감안한 분석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들과 차이가 있다.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도는 어느 정도인가? 또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는 성별, 연령, 학력 등 과 같은 인구학적 변인에 의해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노인의 여가활동 현황과 만족도 수준은 어떠한가? 즉 여가활동의 참여기간, 참여빈도, 선호활동, 여가활동의 동기 및 목적은 어떠하며, 이 같은 여가활동의 현황과 만족도는 의미있는 관계를 보이는가? 셋째, 여가활동은 노인의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는가? 즉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이 참여하지 않는 노인에 비해 높은 수준의 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을 보이고, 낮은 수준의 우울감을 경험하는가? 넷째, 여가활동은 노인의 사회적 지지 수준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즉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이 참여하지 않는 노인에 비해 높은 수준의 사회적 지지를 수용하고 있는가? 다섯째,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의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사회적 지지는 영향력을 미치는가? 또 사회적 지지는 노화의 부정적인 영향력을 감소시키는 완충효과가 있는가? 이다.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는 성별, 연령, 학력 등과 같은 인구학적 변인에 의해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응답자의 대부분이 노인여가프로그램 참여 후 생활이 즐거워지고, 건강해졌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일상생활에 있어서 노인 여가프로그램의 비중을 살펴본 결과 5점 Likert 척도에서 평균 3.43으로 집계되어 응답자들이 노인여가프로그램을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 여가활동이 활발할수록 여가활동에 대한 노인의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여가활동의 현황과 만족도는 유의미한 관계를 가져온 거승로 확인되었다. 셋째, 여가활동은 노인의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이 참여하지 않는 노인에 비해 높은 수준의 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을 보이고, 낮은 수준의 우울감을 경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로써 노인여가프로그램은 노인의 불안한 심리사회적 안녕감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여가활동은 노인의 사회적지지 수준과 긍정적인 상호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이 참여하지 않는 노인에 비해 높은 수준의 사회적지지를 수용하고 있다. 이로써 노인의 여가활동은 사회적지지 수준과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이 참여하지 않는 노인에 비해 높은 수준의 사회적 지지를 수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사회적 지지는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의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사회적 지지는 노화의 부정적인 영향력을 감소시키는 완충효과가 있다. 이로써 노인 여가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의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사회적 지지는 영향력을 미치며, 또한 사회적 지지는 노화의 부정적인 영향력을 감소시키는 완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이상의 결과로 노인여가프로그램이 노인의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긍정적 변화를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 및 사회적 지지가 노화의 부정적 영향력을 감소시킨다는 영향력 및 관계성을 분석하여 입증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첫째 노인을 위한 여가프로그램 개발과 서비스 마련 등 사회복지적 개입의 필요성을 경험 차원에서 입증하였다. 둘째, 국내외 노인여가프로그램 연구에 대한 현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고 본다. 셋째, 사회복지기관에서 노인을 위한 심리사회적 안녕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마련 필요성을 강조하는 근거를 제공하였다. 넷째, 노인여가프로그램의 영향력 및 관계성을 입증하였다. 다섯째, 노인의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대한 긍정적 변화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의 필요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의미를 지닌다고 생각된다.

      • 노인의 이동수단에 따른 사회활동참여, 사회통합감과 삶의 질 차이 연구

        강기종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s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means of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opulation-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ged 60 or older,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means of transportation mainly used by the elderly, the sense of social integration,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to solve the four problems of suffering of the elderly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of the elderly. The study was conducted on 185 elderly people aged 60 or older living in Dalseo-gu, Daegu, and Andong-si, Gyeongsangbuk-do,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s a method of analysis, the SPSS27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and analyzed,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Reliability analysis using Chronoch's alpha coefficient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the measures used. The χ² test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means of transportation, which is a nominal variable according to the population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In order to identify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social integration, and quality of life, the t-test was conducted for the two groups, and the ANOVA test was conducted for three or more groups. Next, the ANOVA test was conducted to identify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social integration, and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transportation of the elder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elements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 aged 60 or older,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bility in all sub-elements of gender, age, academic background, occupation, and incom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partial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depending on the sub e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 aged 60 or older, such as gender, age, academic background, occupation, and income. In detai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conomic activities for gender, social activities for age, and social and self-development activities for academic background. In the case of job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conomic activities, and in terms of incom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conomic and social activities.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social integration based on education, occupation, and income among the sub-elemen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ged 60 or older. Fourth, among the sub-elements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 aged 60 or older,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depending on age,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 and income. Fifth, it was found that there are two differences in self-development and volunteer activities in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by means of transportation, which are mainly used by the elderly people. Sixth,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social integration varies depending on the means of transportation mainly used by the elderly people. Seventh,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of life varies depending on the means of transportation mainly used by the elderly people. In order to expand the right of movement of the elderly in order for them to live a better life, first of all,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society from the passive to the active elderly will be the most important. Next, when an elderly person is walking, it is due to degenerative physical diseases such as weakened muscle strength, and there are many restrictions when a time limit such as a traffic light pass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 device will be needed to ensure that crosswalks can be crossed safely.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seats for the elderly will have to be increased on subway lines with a large proportion of senior citizens, and support for local governments' mobile support service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low-floor buses, call taxis for the disabled, and 100 won taxis will have to be expanded to reduce the burden on the movement of elderly people. In addition, in Korea, although there is a driver's license return system, the benefits are very poor when compared to the name "100 years old."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in age and benefits among local governments, which can lead to misunderstandings for elderly people who are weak in acquiring information. Therefore, the driver's license return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not by local governments, so that senior citizens who want to return their driver's licenses will not be confused. And, for senior citizens who are still hoping to drive, fully autonomous vehicles will need to be developed, and elderly license plates and elderly-only lanes will be created to encourage ordinary drivers and elderly drivers to engage in defensive driving. 본 연구는 60세 이상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이동 수단의 차이와 노인이 주로 이용하는 이동 수단에 따른 사회활동 참여, 사회통합감, 삶의 질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 노인의 이동권을 향상시켜 활발한 사회활동 참여를 통해 노인의 4苦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경상북도 안동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1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27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사용한 척도들의 내적일관성 신뢰도(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파악을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이용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명목변수인 이동 수단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χ²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사회활동 참여, 사회통합감, 삶의 질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집단의 경우 t-검정, 세 집단 이상의 경우 ANOVA검정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노인의 이동 수단에 따른 사회활동 참여, 사회통합감, 삶의 질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ANOVA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60세 이상 노인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하위 요소 중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수입 모든 하위 요소에서 이동 수단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60세 이상 노인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하위 요소인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수입에 따라 사회활동 참여에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성별의 경우 경제활동, 연령의 경우 사교활동, 학력의 경우 사교활동 및 자기개발활동, 직업의 경우 경제활동, 수입의 경우 경제활동 및 사교활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60세 이상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하위 요소 중 학력, 직업, 수입에 따른 사회통합감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60세 이상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하위 요소 중 연령, 학력, 직업, 수입에 따라 삶의 질의 정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노인이 주로 이용하는 이동 수단에 따른 사회활동 참여에 대한 차이에서는 자기개발활동, 자원봉사활동의 두 활동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노인이 주로 이용하는 이동 수단에 따라 사회통합감의 정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노인이 주로 이용하는 이동 수단에 따라 삶의 질의 정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이동권 확대를 통해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해 우선 사회가 바라보는 시각을 수동적인 이미지에서 능동적인 노인으로 인식의 변화가 가장 중요할 것이다. 다음으로 노인이 도보로 이동할 경우 근력 약화 등 퇴행성 신체 질환으로 인해 신호등과 같은 시간제한이 있는 길을 지날 때 많은 제약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횡단보도를 안전하게 건널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노인 비중이 많은 지하철 노선에 노약자석 비중을 늘리고, 저상버스 도입의 확대와 나드리 콜, 100원 택시 등과 같은 지자체의 이동지원 서비스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여 노인들이 이동에 대한 부담을 줄여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운전면허증 반납제도가 있긴 하지만 그 혜택이 ‘100세 시대’라는 명칭과 비교하였을 때 매우 빈약한 수준이며 지자체마다 연령과 혜택에 조금씩 차이가 있어 정보 습득에 약한 노인들의 경우 착각을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운전면허 반납제도를 지자체가 아닌 중앙부처에서 시행하여 운전면허증 반납을 희망하는 노인들이 혼란을 겪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여전히 운전하기를 희망하는 노인들을 위하여 완전 자율주행 차량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노인 전용 차량 번호판, 노인 전용차선 등을 만들어 일반 운전자와 노인 운전자가 서로 방어운전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등의 방안을 통해 노인의 이동성을 증진시켜야 할 것이다.

      • 불교식 生前預修齊를 지낸 노인의 정서와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정증용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60세 이상 402명 불교신자를 대상으로 불교식 생전예수재가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생전 예수제가 노인들의 정서요인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교육수준에 따른 정서에서 유의한 차이(p<.05)를 나타내었고, 성별, 배우자 유무, 신앙기간, 연령에 따른 정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전 예수제가 일상생활 중 자아 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노인의 교육수준, 신앙기간, 연령에서 유의한 차이(p<.05)를 나타내었고, 성별, 배우자 유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노인들의 일상생활 중 정서요인에서는 교육수준이, 자아통합감에서는 교육수준과 신앙기간 및 연령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수준별, 신앙기간별, 연령변화에 따른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을 근거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생전예수재는 임종을 염두에 둔 불교신자의 영적 활동으로서 일반적으로 노년기 정서를 안정시키고 자아통합감을 높인다는 가정 하에 종교지도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analyze impacts of religious activities of life time spiritual Ye-Su Rituals in Buddhism on emotionality and self integration of the elderly. In this study 402 elderly aged 60 or more were asked how they felt about their self integration after their religious activities and particularly, they were expected to explain what emotional changes they experienced toward them afterwards. In this study, age, sex, and having religion were factors most influential on the self integration; females, older elders, and those who had religion showed the higher score of the self integration than the others. Therefore in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authorities develop a variety of education programs and emotional wellbeing guidelines in the religious institution elderly education class. In addition, there are also impacts of the religiosity on alleviation of death anxiety. Therefore in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authorities develop a variety of education programs and emotional wellbeing guidelines for the younger elderly without religion nor grandchildren. In addition, standardized images and good will episodes of the elderly activities need be provided by welfare service agencies, in order to improve public images on the elderly. Intensive adjustment programs for the younger elders in special needs should be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various community societies and family counselling institutions, so that the they are relieved from anxieties of the idea of getting into later life.

      • 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자 만족도 조사 : 대구지역 시설입소자들을 중심으로

        임경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초록) 급변하는 노령화 사회 구조 속에 시행된 노인장기요양보험 중 시설급여서비스의 시설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제도의 성과를 분석하고자 본 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은 노인장기요양 등급판정 결과 1-2등급으로 판정받고 2009년 7월과 8월 사이에 노인장기요양보험 중 노인요양시설에 입소해 시설급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남녀 30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 노인요양시설을 이용하는 조사대상자들이 시설입소를 하게 된 동기에 관한 조사에서 전체의 62.7%(192명)는 ‘돌봐줄 사람이 없어서 입소하였다’라고 하였다. 2. 시설에 입소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조사대상자들이 입소에 관한 정보를 인지한 경로에 대한 조사에서 전체 306명중 37.3%가 ‘가족이 조사하여 알려주었다’ 라고 하여 이용자들의 시설입소에 가족들의 의지가 많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3. 현재 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들의 입소 시 염려했던 부분들에 대한 조사에서 전체의 50.3%가 단체생활의 부적응을 가장 염려했다, 4. 입소자들의 향후 미래에 대한 상담에 대한 필요성에 공감하는 정도에 대한 조사에서 전체의 59.2%가 대체로 필요하다고 하였다. 5. 현재 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조사대상자들의 앞으로의 당면 문제에 대한 조사결과 전체의 59.2%가 건강문제를 지적하였고 28.1%가 수발문제, 9.8%가 경제적 문제를 지적하였고 고독문제는 2.9%였다. 6. 전체적인 수발서비스의 만족도는 3.77이었으며, 시설 이용비 만족도 조사에서 평균 3.89, 직원 친절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의 평균은 4.41, 정서적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조사의 평균은 4.11, 시설환경에 대해 느끼는 만족도는 평균 4.66, 의식주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의 평균은 3.61,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의 평균은 4.10, 상담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4.33 이었다. 7. 전체적 만족도와의 상관관계에서 노인요양시설의 이용기간은 시설급여서비스의 만족도(r=.120)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수발서비스(r=.200), 시설이용비서비스(r=.410), 직원친절서비스(r=.416), 정서적서비스(r=.450), 환경서비스(r=.190), 의식주서비스(r=.334), 건강관리서비스(r=.333), 상담서비스(r=.305)가 시설급여서비스 만족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8. 노인요양보험중 시설급여서비스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요양등급(β=.124), 일상적인 건강(β=-.220), 종교(β=-.101), 배우자유무(β=-.226), 수발서비스(β=.115), 시설이용비 만족(β=.238), 직원친절서비스(β=.231), 정서적서비스(β=.335), 건강관리서비스(β=.142) 등이 유의한 변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insured for facility-based service, part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program introduced in today's fast-changing aging society, in an attempt to check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6 male and female elderly people who were eligible to receive the first- and second-grade benefits from the long-term care insurance and used facility-based service, one of the benefits, in a nursing home in July and August, 2009.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n regard to the motivation of institutionalization, 62.7 percent(192 respondents) were institutionalized since there was nobody to take care of them. 2. As to the route of information acquisition on the nursing home, 37.3 percent were informed about that by their family members, which seemed to indicate that their institutionalization was under the large influence of their families. 3. Concerning what they were concerned about upon institutionalization, 50.3 percent were most anxious about their possible maladjustment to collective life. 4. As for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counseling about the future, 59.2 percent felt the need for that. 5. Regarding what problems they were likely to face in the future, 59.2 percent cared about their own health, and 28.1 percent worried about who would take care of them. 9.8 percent pointed out financial difficulties, and 2.9 percent were concerned about loneliness. 6. Concerning satisfaction level, they gave a mean of 3.77, 3.89, 4.41, 4.11, 4.66, 3.61, 4.10 and 4.33 to overall caregiving service, cost of facility use, employee friendliness, emotional service, facility environments, food/ clothing/housing service, health care service and counseling service. 7. As to the correlation of the satisfaction factors, satisfaction with the term of using the fac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o satisfaction with the facility-based service(r=.120), and satisfaction with the facility-based servic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satisfaction with caregiving service(r=.200), facility use(r=.410), employee friendliness (r=.416), emotional service(r=.450), environmental service(r=.190), food/ clothing/housing service(r=.334), health care service(r=.333) and counseling service(r=.305). 8. The variables tha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atisfaction level with the facility-based service, part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were the grade of care(β=.124), health(β=-.220), religion(β=-.101), presence or absence of spouse(β=-.226), caregiving service(β=.115), satisfaction with the cost of facility use(β=.238), employee friendliness(β=.231), emotional service(β=.335) and health care service(β=.142).

      • 유료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경기도 용인지역을 중심으로

        안혜원 백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유료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서비스 질 수준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경기도 용인 지역에 소재한 유료노인복지시설의 종사자(사회복지사, 간호사, 요양보호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304부를 회수하였으며, 이중 23부를 제외하고 총 281부가 본 연구의 분석에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료노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2.82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는 직무요구(3.18), 조직체계(3.00), 보상부적절(2.99), 직무자율(2.78), 물리환경(2.74), 직무불안정(2.53), 직장문화(2.51), 관계갈등(2.32)순으로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에서 직무요구에서는 간호사가 3.48로 가장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나타냈으며, 직무자율에서는 요양보호사가 3.30으로, 관계갈등에서는 사회복지사가 2.51으로, 직장문화에서는 사회복지사가 2.83으로 가장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나타내므로 인해 종사자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유료노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서비스 질 수준을 살펴본 결과, 평균 3.84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하위영역별로는 보증성(4.03), 신뢰성(3.98), 대응성(3.97), 공감성(3.74), 유형성(3.56)순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대응성에서는 요양보호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순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공감성에서는 요양보호사, 사회복지사, 간호사 순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전체 서비스 질에서는 요양보호사가 3.96으로 가장 서비스 질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다음은 간호사가 3.80, 사회복지사가 3.70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유료노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서비스 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서비스 질 수준은 낮아지며, 반대로 직무스트레스가 적을수록 서비스 질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질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유형성, 신뢰성, 대응성, 보증성, 공감성 모든영역의 수준이 낮아지고,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유형성, 신뢰성, 대응성, 보증성, 공감성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이 서비스 질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물리환경 요인은 서비스 질과 유형성, 신뢰성 영역에서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조사되었다. 직무불안정 요인은 보증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조직체계요인에서는 서비스 질과 유형성, 신뢰성, 대응성, 공감성에서 유의미한 영향이 발견되었다. 직장문화 요인에서는 대응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났다. 한편, 직무요구, 직무자율, 관계갈등, 보상부적절 요인은 전체 서비스 질과 서비스 질 하위 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 서비스 질과 서비스 질 하위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려는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료노인복지시설 종사자(사회복지사, 간호사, 요양보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 조사대상자들은 직무요구에서 가장 강하게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다. 이는 유료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업무가 과중함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우선 더 많은 수발인력을 시설에 배치하여 업무를 줄여줘야 할 것이다. 종사자들 가운데서는 간호사가 직무요구스트레스가 가장 높게 나왔다. 간호사의 경우는 일반병원의 간호사 업무보다 노인에 대한 특수하고 전문적인 업무를 요하므로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 같다. 유료노인복지시설에 근무를 하기 전에 노인에 대한 특성이나 이해를 기본으로 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요양보호사의 경우에는 직무자율에서 가장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다. 요양보호사는 간호사의 밑에서 지시를 받고 일을 하므로 직무에 대한 결정권이나 영향력 행사가 크지 않아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 같다. 노인의 직접적인 케어를 담당하는 요양보호사의 업무를 존중해주며 이 업무에 대한 전문성도 인정해주어 서로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잘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사회복지사의 경우에는 관계갈등과 직장문화에서 다른 종사자들보다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의 업무보다는 상사나 동료와의 관계, 직장의 분위기에 따른 스트레스가 큰 것으로 나왔다. 이는 업무를 하는데 있어서 협동 작업이나 커뮤니케이션이 많이 필요로 하는 직종의 특성인 것 같다. 이는 상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권위적이고 수직적이 아닌 수평적인 직장분위기 안에서 업무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유료노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서비스 질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를 보면 서비스 질 하위영역에서 유형성의 질 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종사자들이 생각하기에 어르신들에게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설이나 장비가 갖춰져 있지 않으며 외관상보이는 것들도 부족하다고 보고 있다. 이는 앞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시행함에 있어 유형성에 관한 항목도 포함함으로써 서비스 질을 높여야 할 것이며 종사자들도 업무가 과중하지만 복장이나 시설관리에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 결과 서비스 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된 직무스트레스 영역, 즉 물리환경, 조직체계 요인의 스트레스를 줄이려는 구체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물리환경 요인에 있어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려면 깨끗하고 쾌적한 직무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할 것이며 노인을 수발함에 있어 사고나 위험요인을 줄여줘야 할 것이다. 조직체계 요인에 있어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려면 업무의 과중함을 서로 이해해주고 적절한 보상이나 승진 등의 인센티브가 있어야 할 것이며 업무수행에 필요한 인원, 공간, 장비 등의 지원이 잘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또한 타부서 간에 업무협조가 잘 이루어지도록 유동적인 조직체계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job stress of employees of paid senior welfare facilities,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by them and the impact of their job stress on the quality of servi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0 employees of paid senior welfare facilities in the region of Yongin, Gyeonggi Province, who included social workers, nurses and care protector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304 respondents were gathered, and 281 answer sheets were analyzed except for 23 on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mployees of the paid senior welfare facilities got a mean of 2.82 out of possible five points in job stress.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they felt the most job stress about job requirements(3.18), followed by organizational system(3.00), improper reward(2.9), job autonomy(2.78), physical environments(2.74), job instability(2.53), organizational culture(2.51), and interpersonal conflicts(2.32). Secon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by the employees, they got a mean of 3.84, which was a relatively high score. In the case of the subfactors of the quality of service, assurance(4.03) ranked first, followed by reliability(3.98), responsiveness(3.97), empathy (3.74) and tangibility(3.56). The care protectors ranked first(3.96) in the overall quality of service, followed by the nurses(3.80) and social workers(3.70). The gaps among them were significant. Third, a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job stress of the employees on the quality of service, and the degree of job stress appeared to affect the quality of service in a negative manner. A heavier job stress led to the lower quality of service, and a less job stress was followed by the better quality of service. Fourth,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on the subfactors of the quality of service, physical environ- ments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service, tangibility and reliability, and job instability affected assurance in a significant way. The organizational system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service, tangibility, reliability, responsiveness and empathy, and organizational culture exercis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sponsivenes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First, the kind of management strategies that aim to relieve paid senior welfare facility employees involving social workers, nurses and care protectors of their job stress should be devised. Job requirements put the heaviest pressure on the employees investigated, which indicated their workload was heavy. In order to lower their job stress, employment of more personnels is requested. Second, the sort of strategies that aim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by employees of paid senior welfare facilities should be mapped ou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quality of service, the quality of tangibility lagged behind the most. The employees didn't think that the facilities were well equipped enough to render superb service to elderly people, and the facilities weren't considered to look good enough, either. It's needed to pay attention to tangibility whe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program is implemented so that the elderly could benefit from excellent service, and employees should care about their own dress and facility maintenance though they are responsible for heavy workload. Third, the quality of service was negatively affected by physical environments and organizational system, which were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and careful efforts should be made to ease their stress about physical environments and organizational system. To relieve their stress related to physical environments, clean and pleasant environments should be created, and it's required to get rid of the possibility of accidents or risk factors that they might face when take care of elderly people. As for stress about organizational system, the fact they are responsible for heavy workload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nd proper incentives such as promotion or due reward should be provided. The preparation of additional personnels, spaces and equipment required for their successful job performance is important, and a flexible organizational system should be built to step up smooth collaboration among different departments.

      • 한국교회의 노인복지에 관한 목회방안

        김병한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예수님은 가장 작은 자 하나에게 예수님의 제자라는 이름으로 대접할 때 상을 잃지 않으리라고 하신 가운데 그러한 일이 바로 생명이신 예수님을 영접하는 것이며 복지목회를 하는 것임을 나타내셨다. 노인은 육체적으로 연약하고 동시에 사회적 약자다. 예수님은 이러한 사회적 약자들과 함께 하는 이웃 사랑의 정신을 실천하셨다. 바로 이러한 예수님의 삶을 쫒는 것이 교회의 길이 다. 교회 내에서 노인복지 목회를 할 때에는 우선 신앙을 기반으로 해야 하며 교회가 주체가 되어 활동해야 한다. 교회 건물의 안과 밖이 노인의 신체적 연약함을 배려해서 설계 되어져야 하고, 적용되는 모든 프로그램은 분명한 목표와 목적이 있어야 한다. 교회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신앙성숙에 중점을 두는 것이 당연하지만 일반적인 노년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공하는 것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교회 내에서의 노인복지가 하루 이틀만에 끝나는 것이 아니기에 중·장기 계획에 의한 내·외부적 프로그램 개발에 좀 더 세심함을 기우려야 할 것이다. 교회는 무엇보다 영적인 자원으로 역할을 해야 하고 다른 사람들을 보호하고 돌보는 자원으로서도 역할을 해야 하며, 노인들에 대한 통합적 목회를 하는 기관으로서도 역할을 해야 한다. 목회자는 바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고 활용하여 목회를 구체적으로 실천, 이행해야 한다. 결국 노인복지 목회도 목회라는 의미로 볼 때 하나님의 생명사업에 교회가 동참하는 맥락에서 노인들의 안녕과 삶을 지탱하고 지속하는 과정에 평안을 누리도록 서비스하는 일을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모두가 협력하여 목회에 동참할 수 있게 하고 통합적 노력을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노인복지 목회 이행에서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교회 내에서의 노인복지와 목회는 시대의 필연적 요청이라 할 수 있다. 교회의 잠재력과 수년 내로 기하급수적으로 교회 내의 팽창될 노인인구의 무한한 인적자원의 활용이 노인복지에 대한 국가적 한계를 다소나마 극복하고 교회내의 노인복지 목회에도 성공적인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노인 인력개발의 관심에 힘써서 노인을 통한 교회의 참된 봉사와 질서 확립과 권위가 세워지게 하며 교회가 교회답기 위해서는 노인에 대한 애정과 존경, 관심과 복지와 더불어서 노인들로 하여금 봉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계속 개발되어야겠다. As developing medical science &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death rate is decreasing. In addition, development of contraception & increasing social life of women caused decreasing of birth rate. So population structure is changing into increasing old age. Average life span of Advanced country passed over 70 years old in 1990's. Maybe average life span of children who are born from in 2000's will pass over 80 years old. The case of our society, average of life span was 76.5 years old in 2001. But it will pass over 81.5 years old in 2030. According to statistics of Korea, ratio of old age who is over 65 years old reached 7.0% in 2000. And ratio of old age will pass over 14.0% in 2019. That is population number of old age will increase from 3.39 million in 2000 to 12million in 2030. Now, we must deeply consider role of old age in the church society and take the spiritual care of congregation of Christian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opriately improve pastoral duties for old 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ly, instituting of old age's university or senior education section in the church. They will enforce old age ability which is needed for regional society and have to give old age more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their welfare. Secondly, focusing our attention on enforcing old age association each other. And the churches have to provide finance & facility to the old age including nursing & spiritual care. Thirdly, managing the consulting office for council of old age. Especially in order to solve problem of old age, the council is organized with experts who can advise with life pattern, health, family problems etc.

      • 노인요양시설 설비 및 입지조건에 관한 연구

        이봉기 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는 경제성장과 저출산 및 의료기술의 발달 등에 따른 평균수명 연장으로 인한 고령화 사회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미 우리나라는 2000년에 고령화사회에 진입하였고, 향후 2019년에 고령 사회 2020년이후에는 초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렇게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인구 고령화로 이해 노인주거 공급과 다양한 복지 및 의료지원 등에 관련된 대안 마련이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렇게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인구 고령화로 노인에 대한 부양시설과 의료서비스 제공이 요구되어 노인 요양 시설의 확충이 요구되고 있다. 장기요양 서비스나 개인간병 서비스에 대한 공급확대가 필요하다. 2008년 7월 1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출범한 이후 시설인프라확장을 위해 많은 시설들이 노인요양시설로 전환하게 되면서 시설의 설비나 입지 조건의 관한 이해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중요한 생활중심이 되는 거주 기능의 공간구성과 시설 외부환경 을 중심으로 노인요양시설 설비 구성 체계를 파악하고 외부환경을 기반으로 한 입지조건을 파악하여 노인요양 시설건축 계획에 있어서 향후 노인 요양시설을 설치하거나 관련 이해가 필요할 때 고려해야할 점 에 대해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examine variety of facility equipment such as heating, maintenance, and other mechanical status and location environment of elderly nursing homes inn Korea, as a part of adjustment process conditions for the residents. Mainly,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well or negatively the physical environments and social environments affect residential life. Five nursing homes were selected from rural and urban areas such as Hong-Sung, Dang Jin, and In-Cheon in elderly care facilities in 2009, and they were asked about qualitative free questions 5 regarding their agree status of adjustment, and nearby conditions and daily lives related items in 2009. In this study, it was observed owners and workers' satisfaction with management system and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homes were influenced by distance to convenient community facilities and how well the system was equipped. The results also show subjects were more satisfied with local leisure and health education programs, and there are differences by gender and age group in perceptions and attitudes for the program. It is also interpreted that the single house build nursing homes with owners living together were more satisfied because they had been given more freedom and self-regulation for managing day program and schedules, while those living in the multi-structured nursing homes such as local institution basis had been rather regulated and controlled by the companies' security system. The satisfaction for physical environment were higher for the rural and younger subjects. The satisfaction with social environment manifest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characteristics of gender education level, religion, working time, and housing structure type, and particularly the group differences were due to more intensified community activities. As a conclusion, urban and rural integrated form of nursing homes a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