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 미세증거의 중요성과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김재원 순천향대학교 법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전 세계적으로 과학기술이 발달하고 인권 의식이 확장되면서 범죄 수사 및 재판에 과학적?객관적 증거를 이용하는 법과학 및 과학수사 기법이 크게 발전하여 왔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어서 DNA는 물론이고 최첨단 디지털 포렌식 기법 등을 도입하여 수사에 이용하고 있고, DNA 및 지문 분야에 있어서는 과학수사 선진국이라 불리울 정도로 놀라운 발전을 해 왔다. 과학적 기법으로 범죄를 수사하고 범인을 검거하고 범행을 입증하는 것은 미디어나 인터넷에 의해 일반인에게도 널리 알려져 현재는 상식 수준이 되었다. 이러한 현상의 부작용으로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들은 보다 적극적이고 지능적으로 자신의 흔적을 은폐하게 되었으며, 따라서 과학수사 기법이 발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사건 현장에서 범인의 흔적을 찾기는 어려워지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참여재판의 도입으로 한국의 사법 환경이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이제까지의 조서 위주, 진술과 자백 위주에 의한 수사 관행을 탈피할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이와 관련하여 물적 증거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이는 재판 중심의 사법 제도를 가진 곳이라면 세계 어느 나라에서든 주장이나 진술뿐이 아닌 그를 뒷받침할 수 있는 명백한 물적 증거가 있어야만 합리적 의심 없이 유죄를 인정하고 있다. 한국 경찰 과학수사는 지문과 DNA 이외의 다른 종류의 증거물에 대한 개념 및 체계적 현장 감식 과정, 사건의 재구성 등에 대하여 포괄적인 도입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는 현재로서도 크게 달라진 바가 없다. 범인을 특정할 수 있는 지문이나 DNA가 사건 현장에서 발견되지 않으면 그 현장 감식은 실패하거나 무용한 것으로 바라보는 분위기가 경찰 내부에 그리고 사회적으로 만연해 있다. 그러나 사법 환경이 변화하면서 사건 현장 전체를 감식하여 재구성하는 과학수사의 본래의 역할이 중요시되면서 그러한 인식은 달라져야 하고, 범죄의 지능화로 인한 개인 식별 증거의 부재 현장의 공백을 메우기 위하여 더욱 적극 도입해야 하는 이 시점에서 미세증거물의 역할이 필요하다. 미세증거물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고 높은 확률로 유류되며 인멸시키기 어려운 종류의 섬유, 페인트, 유리, 토양, 인화성 물질 등 매우 미세한 크기의 증거물로, 군집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단편적으로 용의자를 특정할 수는 없지만 교차 전이, 개별화 등을 통해 범인임을 입증하거나 범행 상황을 명확히 재구성해줄 수 있는 능력을 가진다. 이미 과학수사 선진국인 미국, 영국 등에서는 오래 전부터 미세증거물 채취를 현장 감식 과정에서 필수적인 단계로 선정하여 현장 감식 요원을 대상으로 철저히 교육을 하고 있으며 미세증거물을 통하여 사건을 해결하고 범인을 밝혀내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과학수사에서는 아직 생소한 개념인 미세증거물의 개념과 그 효용성, 사건 해결 사례 등을 소개하고, 미세증거를 한국 과학수사에 적극 도입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각 분야의 경찰관을 대상으로 한 교육, 관련 장비 및 시스템적 지원, 데이터베이스 구축, 상호간의 정보 공유 및 협조 등이 필요할 것이며, 미세증거물 뿐만이 아니라 전체적인 법과학 지식에 관한 법조인과 의료진에 대한 교육도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미세증거물에 대한 연구와 실제 적용 사례가 거의 없는 현재, 본 연구를 시점으로 하여 보다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고 결과적으로는 한국이 진정 우수한 과학수사 선진국으로 거듭나기를 희망한다.

      • 과학고 학생들의 가설 생성과 연구 설계 과정 분석

        김은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과학 영재의 자유 탐구 활동 중 가설 생성과 연구 설계 영역이 수행되는 탐구 과정과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학 영재의 행동적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과학 영재의 탐구 과정과 그 행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대상으로 광역시 소재 과학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과학 영재 10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주 1회 진행되는 조별 탐구 과정을 촬영하고 추가 인터뷰를 실시하여 프로토콜을 생성하였으며, 과학고 학생들이 탐구 수행 중에 작성한 연구 노트도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고 학생의 자유 탐구 활동 중 가설 생성과 연구 설계 영역은 일정한 순서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른 학생들의 선택에 의해 탐구 과정이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고 학생들은 탐구 과정의 각 단계들에 대해서는 인지하고 있었으나 각 단계들 사이의 논리적 관계에 대한 인식은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자유 탐구를 수행하는 과학고 학생은 주제 탐색, 주제 선택, 정보 탐색, 탐색 정보의 이용, 실험 재료 선택, 실험 방법의 선택과 수정 등에서 탐구가 수행되는 상황, 자신들의 능력과 선호도를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고 학생들은 의문을 생성하지 않은 채로 탐구를 수행하여, 주제 선정을 어려워하고 연구 가설을 분명하게 생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의 연구 내용을 탐구 주제로 선택함에 따라 실험 설계를 정교하게 하지 않으며, 예비 실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정량적인 면을 간과하고 실험 과정을 상황에 따라 임의로 수정하는 등의 행동적 특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이 과학 영재가 객관적이고 논리적으로 탐구를 수행하는 방법을 경험할 수 있고, 탐구에서 호기심과 의문이 가지는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hypothesizing and designing process and their behavioral characteristics during conducting open inquiry task.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te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who were in science high school in D city, Korea. To collect data for analyzing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inquiry process and their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e researcher observed and recorded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inquiry situation, and interviewed with students to collect additional data. The protocol to analyze the result was established from recorded data and from the students' inquiry not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hypothesizing and designing processes didn't follow fixed sequence, but the inquiry process depended upon students' selection by the existing state of things.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recognized the steps of inquiry process adequately, but they didn't have appropriate understanding about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quiry steps.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reflected upon their practical environment, ability of inquiry, and preference when they searched the theme, selected the theme, searched the information, used the information, selected the materials for experiment, selected the method, and modified the method. Because they conducted open inquiry without generating questions, therefore they had some difficulty when they selected the theme and generated hypothesis.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designed the experiment without detailed descriptions because they selected inquiry theme from the completed research. They conducted the pre-test without consideration of quantitative aspect and modified the experiment procedure according to the existing state of things. The results impli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adequate programs for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 which make students experience the objectivity and logicality, and understand importance of curiosity and of generating questions to develop their scientific inquiry ability.

      • 과학 관련 독서활동이 고등학생들의 학습동기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주무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재 대부분의 학생들이 과학 관련 독서를 통한 지식이나 정보 습득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과학 관련 독서활동에 필요성과 흥미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2학년 자연과정에 있는 학생들에게 과학 관련 독서활동을 하게 한 후 과학학습동기와 과학적 태도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남의 시 지역에 위치한 A고등학교 2학년 남여 각 2개반 112명을 표집 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학습동기 검사지와 과학적 태도 검사지를 사용하여 사전 검사를 실시한 후, 약 10주 동안에 실험집단 학생들에게 과학 관련 독서활동을 실시하게 하고 사후 검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 학습 동기 검사에서는 남학생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여학생의 경우에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과학적 태도 검사에서는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 ’과학에 대한 직업으로서의 관심‘등의 일부 항목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설문조사에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과학 관련 지식 습득과 과학에 대한 흥미를 키울 수 있어 좋았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과학 관련 독서활동이 과학 학습동기와 과학적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과학 관련 독서활동의 필요성 인식과 흥미유발에 도움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Today most students are scarcely acquir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science-related reading. 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we need to awaken the necessity and the interest for students' science-related reading activities. In this study, after 11th graders belonging to science division administered science-related reading activities, what kinds of effects such activities had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ce-related attitude were examin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2 second graders who consisted of two classes' male and female students respectively in A high school located in rural region. They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a city in the test classes and the control classes. After conducting pre-test of each group making use of a questionnaire for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ce related attitude, the test group did science related reading activities for about 10 weeks. And then after a post-test and a questionnaire survey about it were administer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for the learning motivation, science-related reading activities made no difference in male students, but they made a difference in female students. Such activities made a difference in some items of science- related attitudes such as 'the attitude for science inquiry', 'the interest as a job related to science'. Also, most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could have a great interest in science related knowledge acquisition in the post survey. According to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proved that science-related reading activities have influences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ce-related attitude positively and help students realize the necessity of science-related reading activities and enhance interest in such activities.

      • 과학적 실재관에 대한 폴킹혼의 유신론적 이해

        이상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실재(reality)에 대한 이해, 즉 ‘실재관(實在觀)''에 대해 다룬다. 실재관이란 외부세계에 대한 현상적 지각을 통해, 나와 나를 둘러싼 세계의 얼개(mechanism)를 이해하는 방식을 뜻한다. 따라서 실재관을 지녔다는 것은 외부세계에 대한 내면적 재구성을 이미 전제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실재를 어떻게 이해하느냐가 각 사람의 삶과 세계에 대한 의미를 결정한다고 말할 수 있다.한편, 현대에는 ‘과학적 실재관’이 공적인(public) 실재 이해로 인정받고 있다. 과학적 실재관은 근대 유럽의 기계론적 세계관에 뿌리를 두고 있는 실재관으로, 우리 세계의 모든 자연현상이 과학적 인과율로 설명될 수 있다고 본다. 이는 물리적 세계의 배후에 존재하는 신성한 영역이 일부 자연현상의 동인으로 믿어졌던 근대 이전의 실재관과는 대조적인 이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과학적 실재관이 오늘날의 사람들에게도 결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이유는 이 실재관이 ‘유물론’과 ‘논리실증주의’라는 확실한 검증도구를 통해 실재에 대한 논의가 이전처럼 사변적 논쟁으로만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며, 과학기술이라는 결과를 통해 가시적인 성과물들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근대 이후 이러한 과학적 실재관이 공적인 실재관으로 자리 잡게 된 것은 기독교를 비롯한 일반적인 의미의 유신론자들에게는 난감한 상황이 아닐 수 없었다. 과학적 실재관은 이 세계를 모사(模寫)하는데 있어 이전까지 당연시되었던 신의 존재의 필요성에 의문을 제기하였고 이와 연관된 증명될 수 없는 전제들을 제거하는데 주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시대에는 자연현상의 동인으로서의 신의 자리를 빼앗겼고 이신론이 유지시킨 창조자의 지위에 만족해야 했다. 그러나 이러한 불안한 유지는 20세기 빅뱅 우주론과 양자 물리학의 발전을 통해 완전히 무너진다. 가령, 호킹(S. Hawking)을 비롯한 여러 저명한 물리학자들은 창조주로서의 신도 필요치 않음을 주장하였고, 우주가 스스로 탄생하여 오늘날에 이를 수 있다는 무신론적 실재의 시나리오를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신의 존재를 굳건하게 믿어온 이들은 이러한 무신론적 실재 이해에 대해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어떤 이들은 과학적 실재관과 유신론적 실재관을 그들의 삶에서 철저하게 분리시켜 이해하였고, 또 다른 이들은 신을 제거한 과학적 실재관이 치명적인 결함이 있거나 불완전하다고 간주하며 나름대로의 유신론적 실재관을 새로이 세우려 하였다. 그러나 전자는 실재에 대한 이중적인 삶의 태도를 야기하였고, 후자는 과학적 실재관이 이룩한 체계들을 거부하는 반과학적인 흐름으로 나타났다.이러한 분위기에서 폴킹혼은 과학적 실재관과 유신론적 실재관이 서로 모순됨 없이 설명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는 현재 영국의 성공회 사제로 활동하고 있지만 이론물리학자로서의 오랜 경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늘날의 과학적 실재관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는 보기 드문 신학자이다. 그는 과학적 실재관 자체가 무신론을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 이 실재관이 근거하고 있는 ‘물질중심의 사고’와 ‘논리실증주의’가 신을 불필요한 가정으로 간주하여 제거하려한다는 것을 간파하였고, 따라서 유신론적 실재관이 적절히 전개된다면 우리 실재를 설명하는데 있어 과학적 실재관과 충돌함 없이 개연성을 가질 수 있음을 변증하였다.그가 유신론적 실재관을 변증하기 위한 첫 번째 논거는 과학적 실재관이 신의 존재를 제거할 때 ‘인간원리(anthropic principle)’를 올바로 설명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인간원리는 우리 우주가 인간이 탄생하기 위해 가장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는 이유에 대한 원리로, 우주의 역사 안에서 인간의 탄생을 위한 정교한 조율(fine tuning)이 전제되지 않으면 그것은 단순한 우연의 연속으로 이해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폴킹혼은 이 우주를 단순히 우연의 산물로 보는 것보다는 오늘날의 상태까지 인도한 창조주를 전제하는 것이 보다 ‘경제적’이며 인간의 삶에 대한 풍요로운 의미와 가치를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폴킹혼의 두 번째 논거는 신이 존재한다고 가정했을 때, 과학적 실재관 안에서 신적 작인(作因)에 대한 경로(path), 즉 하나님의 의지가 이 세계에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 것이다. 근대 이전에는 우리의 세계가 신성한 실재로 구성되어졌다고 믿었기 때문에 굳이 신적 작인의 경로를 설명할 필요를 느끼지 못했다. 그러나 이 경로가 근대 이후 기계론적 실재관에서 설명되지 못했기 때문에 섭리하는 신의 존재는 거부되었고 그나마 당시의 대안적 유신론이었던 이신론을 통해 우주의 처음 시작을 일으킨 존재로만 묘사되었다. 오늘날 기독교가 주장하는 신적 작인의 경로는 우리에게 알려진 과학적 인과율을 터무니없이 무시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신의 존재 자체가 여전히 배척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폴킹혼은 양자이론에서 발견된 ‘스트레인지 어트랙터(strange attractor)’ 모델을 통해 신적 작인의 경로가 과학적 인과율을 손상시키지 않고도 충분히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는 이 모델을 통해 신이 단지 소립자 단위의 움직임을 제어할 뿐 아니라 ‘정보 입력(active information)’의 방식을 통해 우주 전체가 나아갈 방향과 목표를 하향식으로 제어할 수 있는 존재임을 설명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그는 기독교가 전통적으로 이해해왔던 인격적이며 피조물과 상호작용(interaction)하는 하나님에 대한 이해가 과학적 실재관 안에서도 가능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폴킹혼이 과학적 실재관 안에서 유신론적 이해를 변증하기 위해 세 번째로 다루는 것은 과학적 실재 이해가 바라보는 ‘현재상태’와 ‘되어질 미래’가 신학적으로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가령, 현대과학이 실재로서 이해하는 ''복잡계(complex system)''는 우리의 세계가 예측할 수 없는 우연성을 내재하고 있으며, 모든 피조물들이 하나님이 부여한 자유 안에서 존재하고 있음으로 해석될 수 있다. 신학적으로, 피조물의 자유로의 방임과 이 세계 안의 악의 발생은 같은 맥락에서 질문되는 오래된 신학적 문제이다. 폴킹혼은 이 문제를 신의 자기비움이라는 ‘케노시스(kenosis)’ 개념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고 믿는다. 또한, 복잡계가 양산하는 새로운 질서의 우연적 발생은 우주의 미래를 열적 죽음이나 ‘대수축(big crunch)’으로 보는 과학적 종말론의 염세적 이해를 긍정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는데, 폴킹혼은 이 가능성을 근거로 각 개체의 부활까지도 가능할 수 있다는 신학적 상상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폴킹혼은 신학적 상상과 반성을 통해 새로운 신학적 개념을 계발하고 전개하기보다는, 과학의 실재관이 이해한 세계를 신학적으로 재해석하고 이를 다시 과학적 실재관에 비추어 재검토하는 순환작업을 새로운 신학적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다.오늘날의 과학과 교회는 그 동안의 감정적 불화로 인해, 서로를 부정하며 마치 과학적 실재론자는 무신론자이고 유신론자는 반과학주의에 서 있는 듯한 인상을 주고 있다. 폴킹혼이 제안하고 있는 것은 과학적 실재관 안에서 ‘신이 반드시 존재한다’는 확실성이 아 ‘신이 존재할 수도 있다’는 개연성이며, 따라서 그의 신학은 과학적 실재관에 대해 억압적이기보다는 설득적이다. 바꾸어 말하면, 신의 존재는 확실성을 추구하는 과학적 실재관 안에서 증명될 수도 없지만 여전히 거부될 수도 없으며 오직 각 개인이 바라보는 실재 이해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다. 즉, 각자의 실재 이해가 신을 요청하고 있느냐 아니냐에 따라 유신론적 실재관과 무신론적 실재관으로 구분될 수밖에 없다. 결국, 폴킹혼의 공헌은 오늘날의 과학적 실재관에서 거부되는 것처럼 보였던 신의 존재에 대한 명제를 증명될 수는 없지만 반증 또한 불가능한 영역으로 재설정하고, 신을 요청하는 이들을 위해 과학적 실재관과 모순되지 않는 유신론적 실재관을 정립하려 한 것이다.

      • 과학영재학교 운영사례 분석연구

        전수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근래에 들어 세계적으로 우수한 인재의 확보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고조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세계적 추세에 발맞추어 가기 위한 일환으로 국내에서도 2001년 영재교육특별법의 공표와 더불어 본격적으로 영재교육이 시작되었다. 이후 국내 영재교육의 제도적 정착을 위하여 2001년 부산에 국내 최초로 영재학교가 설립되었고, 그 후 1년간의 준비 기간을 거쳐 2003년 3월 첫 신입생을 받았다. 그러나 이제까지 이 학교의 운영 전반에 대한 학술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부산과학영재학교의 효과적이고 성공적인 운영을 위하여 학교 측이나 정부 측에서 하는 행정적 평가 이외의 좀 더 객관적인 학술적 접근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부산과학영재학교의 전반적인 운영 현황에 대하여 개방체제적 관점에 근거하여 조사 및 분석하여, 현재 운영상 지니는 강점과 문제점을 분석·파악하고 개선점을 탐색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첫째, 개방체제의 시각에서 바라보았을 때 부산과학영재학교의 투입, 변환, 산출, 피드백 과정과 외부환경에는 각각 어떠한 요소들이 있는가?둘째, 이러한 요소들의 현황은 어떠하며, 부산과학영재학교의 운영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가?셋째, 부산과학영재학교에 대한 학교 구성원들의 인식은 어떠한가?넷째, 부산과학영재학교의 운영상의 강점과 문제점은 무엇이며, 그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다섯째, 총체적으로 보았을 때 부산과학영재학교의 설립 목적과 취지는 과학영재의 육성에 부합하는가?위의 연구문제에 대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개방체제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부산과학영재학교의 운영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우선 투입요소로는 재정, 시설, 학생과 교사가 있었다. 변환과정 요소에는 교수-학습활동과 교과 외 활동이 있었다. 산출요소에는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구성원들의 교육만족도가 있었다. 피드백 요소는 학생들의 학업 성취에 대한 평가 결과와 교육만족도 조사 결과가 있었다. 환경 요소에는 학부모, 부산시 교육청, 과학기술부, 기타 부산지역의 여러 단체와 기관 등이 있었다.둘째, 운영상의 대표적인 투입요소인 시설, 재정, 교사, 학생은 전반적으로 영재학교의 특성에 맞는 운영을 보였다. 시설물이나 재정의 경우에는 일반 공립 고등학교나 전국 과학 고등학교와 비교해 보았을 때 월등히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부 시설물들이나 학생들의 장학금 수여 측면에서는 몇 가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교사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부산시 교육청에 의해서 임용 및 배정받은 교사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전체 교사들 중 약 30% 가량이 박사급 학위를 소지하고 있으며, 이는 외국의 영재학교들의 박사급 학위 소지 교사 비율과 유사하거나 그 이상인 것으로 났다. 그러나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 임용과 관련된 법제도가 아직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 여러 문제점들이 지적되었다. 영재학교의 학생 선발은 외국의 영재하교들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다단계 선발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선발된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사회·경제적 특징을 살펴본 결과 선행연구들에서 지적하였던 과학영재의 특성을 보이는 학생들이 주로 선발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셋째, 변환과정으로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과 기타 특별활동들은 과학영재들의 흥미와 지적 욕구를 충족하며 인격수양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넷째, 산출물로써 학생들의 학업 성취 결과와 학업에 대한 만족도는 다시 피드백 요소로 변환과정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영재학교 학생들은 높은 학업성취와 학교의 교육 서비스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다섯째, 영재학교의 운영에는 다양한 외부 환경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 이들 대부분이 재정적 지원을 통해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기관에 영향력이 편중이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볼 때, 부산과학영재학교는 과학영재들을 교육시키기에 적합한 교육환경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학교 구성원들도 학교에 대하여 대다수가 만족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국의 영재학교와 비교해 보았을 때, 시설이나 교사 임용, 교육과정에 대한 부분은 여전히 개선해야할 점들이 보였다. 또한 학생들이 분포가 고르지 않아 홍보활동 등을 강화하여 다양한 지역과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과학영재 교육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보장하여야 할 것이다.

      • 중등 과학교사의 교재연구 및 교재활용의 실태 분석

        현명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good quality teaching, which every teacher is seeking, is a kind of teaching that gives high satisfaction to the teacher as well as improving the achievement of the student by efficient management of all the teaching processes that covers establishment of teaching target,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eaching contents, adequate method of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Particularly, in case of selecting and organizing teaching materials,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the teaching contents by using various teaching materials and information as well as teacher''s specialty could be a criterion to determine the quality of teaching.It is concluded that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study level of teaching materials required for middle and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the types of study, science related training and the status of selection and utilization of teaching materials will help forecast and enhance the possibility of good quality teaching, i.e. the possibility of doing a good teaching.The detailed hypothesis, established to find out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science teaching materials and the status of utilizing such teaching materials, is as follows:Firstly, are the required level of the study of teaching material of middle and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different according to sex, school grade, teaching career and education?Secondly, are the types of teaching material study of middle and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different according to sex, school grade, teaching career, teaching hours and education?Thirdly, are the status of science related training of middle and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different according to sex, school grade, teaching career and education?Fourthly, are the selection and utilization of teaching materials of middle and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different according to sex, school grade, teaching career and education?In order to prove the above mentioned hypothesis, detailed survey was performed against 328 science teachers of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City and Kyung Gi Province. For this purpose SPSS (version 1.5)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educed.Firstly, it is proved that the teachers think it is very important to perform study by referring to technical books or training, to exchange information and consultation with colleague teachers. Particularly, it is proved that middle school teachers recognize such information exchange and consultation with colleague teachers more important than high school teachers. At present, when organizing and operating education courses, curriculum consultative meetings, consultative meetings and class teacher meetings are usually used and sometimes encouraged. This is anticipated because science curriculum has usually a special room called science laboratory.Even though most teachers think teaching material study is important for a better quality teaching, the first reason why they do not study teaching materials is because they do not have enough time due to ''works other than teaching'' and the next reason is that ''they do not know the method of teaching material study''.This result suggests that although enhancing teacher''s specialty is important in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ing, it is more important and urgent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s.Secondly, science teachers think that time to study teaching material is insufficient due to administration works, works to do as a class teacher and other sundry works. They usually allocate time to study teaching materials in the afternoon after work. It is proved that they feel burdened by teaching because of the special character of science which requires teaching preparation focused on laboratory works and a lot of experimentation and evaluation. It is also proved that in some cases even teaching instruments and appliances were not fully utilized due to deterioration and lack of sufficient science laboratories. It is judged that in order to consolidate science basic education, securing a sufficient science laboratory is one of the most urgent tasks which science teaching is now facing.Thirdly, it is proved that many teachers agree that science related training is important and necessary and they responded that they want training focused on new knowledge, textbook related contents and science for practical use. We realize from this suggestion that, instead of training which is focused only on theory, development of more practical and diversified training program, that can be used and applied in the actual teaching, is needed.Fourthly,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proper selection and utilization of teaching materials are needed in preparing the teaching and it is proved that they use reference rooms of education related institutions, science meetings in the school and teaching materials distributed from School Board of city or province. The degree of specialty of teachers themselves was the criterion for selecting teaching materials.It is proved that the many teachers seldom use teaching materials which were prepared and distributed by the School Boards of the city and province, and education related institutions. This is understood because such materials are usually focused on theory which cannot be applied in the actual teaching. There were also quite a few responses that they do not use such materials because they do not know how to use them or they did not use such materials often.This result implies that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nd reorganize reference material system to conform with the needs of teacher''s desire for study on the teaching materials and to make a systematic data base for concerned materials. For example, it might be one of the alternatives to provide a training continuously by dispatching a guiding instructor to the school in order to make the most use of TeachingLearning Supporting Center in Seoul... 모든 교사들이 희망하는 질 높은 수업이란 수업목표의 설정, 수업내용의 선정 및 조직, 적절한 교수·학습방법, 평가에 이르는 전(全)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학생의 성취도 향상은 물론 교사의 수업만족도가 높은 수업이라 고 할 수 있다. 특히 수업내용의 선정·조직 시 본인의 교과전문성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료와 정보를 토대로 수업내용을 재구성하는 과정이야말로 좋은 수업의 성패를 가늠하는 척도가 될 수 있다.따라서 중등과학교사들의 교재연구의 요구수준, 교재연구의 실시형태, 각종 과학관련 연수, 교재선정 및 교재활용의 실시형태들을 조사·분석해보는 것은 질 높은 수업 즉 좋은 수업의 성공가능성을 예측하고 높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과학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과학교사의 인식과 그들의 교수·학습자료 활용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첫째, 중등과학교사들의 교재연구와 관련된 요구는 성별, 학교급별, 교직경력,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둘째, 중등과학교사들의 교재연구의 실시형태는 성별, 학교급별, 교직경력, 수업시수,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셋째, 중등과학교사들의 과학관련 연수 이수실태는 성별, 학교급별, 교직경력,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넷째, 중등과학교사들의 교재선정 및 교재활용의 실시형태는 성별, 학교급별, 교직경력,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이상의 연구문제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연구조사를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소재하는 중·고등학교 과학교사 328명을 연구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결과분석을 위한 분석방법으로 SPSS (버전 11.5) 프로그램을 이용 하였다.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첫째, 교재연구와 관련된 교사들의 요구수준은 전문서적이나 연수를 통한 연구노력과, 동료교사와의 정보교환 및 협의 활동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중학교 교사들이 고등학교 교사들에 비해 동료교사의 정보교환 및 협의활동을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일선학교에서는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시, 교과협의회, 협의회, 담임협의회 등 여러 대화채널을 활용하고 독려하는 분위기일 뿐만 아니라, 과학교과는 보통 과학부실이라는 특별실에 상주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는 예상된 것이라 할 수 있다.대부분 교사들은 질 높은 수업을 위해 교재연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수업외의 업무로 인한 시간부족’이 교재연구를 하지 못하는 첫 번째 이유이고, 그 다음으로 ‘교재연구 방법을 알지 못해서’ 라고 응답하였다.이러한 결과는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의 전문성 제고도 중요하지만 교사가 수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근무여건을 개선하는 것이 매우 시급하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그리고 다양한 교재연구 방법과 참고자료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통합시스템을 갖추어 교사들이 쉽게 자주 이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방침과 홍보차원의 연수가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게 해주고 있다.둘째, 대체로 과학교사들은 행정업무처리, 담임업무, 기타 잡무 등으로 인해 교재연구 시간의 부족을 느끼고 있었으며, 주로 모든 일과를 마친 오후 시간을 할애하여 교재연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중심의 수업준비 및 실험평가를 많이 해야 하는 교과의 특성으로 인해 수업시수에 대해 많은 부담을 느끼고 있었으며, 교과교실(과학실험실)의 부족 및 노후화로 인해 적절한 수업교구와 매체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기초과학교육의 내실화를 위해서 충분한 과학시수의 확보도 중요한 당면과제로 판단된다.셋째, 과학관련 연수의 필요성 및 중요성에 관해서는 많은 교사들이 공감하고 있었으며, 새로운 지식과 교과서와 관련된 내용 그리고 생활속에서의 과학 등의 연수를 원하고 있다는 응답이 많이 나왔다. 이는 이론중심의 연수보다는 실제 수업에 활용하고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이고도 다양한 연수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넷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수업준비를 위해 적절한 교재선정 및 교재활용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교과와 관련된 유용한 정보들을 구하기 위해 교육관련 기관 자료실, 학교의 교과모임, 시·도교육청 배포자료 등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 자신의 교과전문성 정도를 교재선정의 중요한 선택기준으로 삼고 있었다. 특히 주목할 결과는 많은 교사들이 시·도교육청 및 교육관련 기관에서 제작·보급한 자료들을 수업에 직접 활용하는 정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이들 자료들이 실제 수업에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이론중심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러한 자료들을 자주 사용해 보지 않았거나 사용방법을 모르기 때문이라는 응답도 상당 수 있었다.이러한 결과는 교사들의 교재연구 욕구에 부응하고 관련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자료구축 시스템을 구축·재정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 체계적으로 운영, 홍보되고 있는 서울 교수·학습 지원센터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학교현장에 전문 지도강사를 지원하여 지속적인 연수를 실시하는 것도 한 가지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물리Ⅱ현대물리 수업모형개발 : 과학사, STS 활용 : science history & STS education used

        천우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ecture model of an atom and an atomic nucleus field in the high school physics Ⅱ prepared according to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The principle of this lecture model is based on science history and STS education.Modern physics has great educational value, because it has something to do with social issues and technology in many ways, especially an atom and an atomic nucleus which is a modern physics part of high school text is relevant to energy that is very important subject for all of us.It is valuable for students to understand correct theoretical concepts of physics and solve a lot of problems in the textbook, also more important thing is to think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and to enhance their own eyes to see it with a critical mind.These two lecture models are made based on science history which can explain how old scientists study their experiments, and process their theories, and also based on STS education which is some kind of teaching skill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Those two lecture models provide students virtual experiments to carry out following the jobs done by old scientists long time ago, and to correct their wrong concepts about science principle. Also through the discussion reports which students have to fill out with their partners, students are not able to understand science moves on, but also get reciprocal reaction in the science, society, and technology.Finally, the students educated about mutual relevance of science and society can achieve excellent judgement, constructive criticism, and positive attitude which are needed to be good democratic citizens.Students should be given many programs like these lecture models to help study science education. I hope these models are useful in real class.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물리Ⅱ 가운데 현대 물리 부분인 원자와 원자핵에 관련된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과학사와 STS과학교육을 활용하였다.현대물리는 개인뿐 아니라 사회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만큼 그 교육가치가 크며 원자와 원자핵은 에너지와 관련된 단원이라는 점에서 그 중요도가 높다. 심화학습인 물리Ⅱ를 선택한 학생이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강의식 수업으로 원자와 원자핵의 정확한 이론적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적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더불어 과학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과학, 기술, 사회의 관계를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안목과 능력을 키우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그런 맥락에서 본 연구의 수업모형을 통해서 학생들은 당대의 과학자들의 과학적 탐구 방법과 사고과정을 과학사를 활용하여 배워보고 가능한 모의실험을 직접 수행해보며, 토의학습 보고서를 작성해 봄으로써 과학적 오개념을 수정․보완할 수 있고 과학에 흥미를 느낄 수 있으며 과학이 계속해서 발전해 가고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그리고 원자핵, 핵에너지, 원자폭탄에 관련된 역사적 사실들을 조사하고 토의해 봄으로써 과학과 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가 과학과 기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학습할 수 있게 되어 장래 민주 시민으로서 과학, 기술, 사회의 상호 관련성을 이해하고 이들을 날카롭게 바라 볼 수 있는 판단력과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자세를 키울 수 있을 것이다.또한 서로 다른 정치적, 종교적 신념으로 대립하는 다원화 사회에서 논쟁을 받아들일 수 있고, 반대되는 가치에 직면하거나, 딜레마에 빠졌을 때 스스로의 가치를 세울 수 있는 자신감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 동양 전통과학의 탐구방법론 연구 : 주자의 격물치지론을 중심으로

        최영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Science is originall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nature including humans as its one of the components. Recently it has been said that modern science has reached its academic limit, which is called, rigid thought, since people have sought for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only, ignoring numerous problems such as environmental damages, human alienation, etc. In this shed, as a scientist, it should be our prime goal that we try to find the ways to overcome this difficult situation and to live together with nature and other human beings. This thesis were liked to inquire the nature of science itself first. Later, also were discussed some of the traditional methods in oriental science "Gyukmulchiji(格物致知)". Last, I'd give a direction to solve the problems our modern technology is facing, through several proposals of traditional science as an alternative. In terms of scientific activity is to be on the basis of logical theories or schema, the beginning of "science" may well be seen to come after the invention of letters. The term "Gyukchi(格致)", shortened form of "Gyukmulchiji" of 『Daehak(大學)』:the greatest ancient chinese academic bibliography, and "Jukmulkungli(卽物窮理)" of 『Daehakjanggu(大學章句)』, written by Ju-Ja(朱子) who was one of the honorable Confucian scholars were used to connotate the meaning of nature science in early years. Today's term "Science" was originated from Nisi-Amane(西周) in the tur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since he coined the word from the old and modern chinese language which refers to "knowledge of classification". Science is featuring in logical systems, for it is the systematic knowledge, resulted from the human efforts to take care of the hardship they confront. Although "Gyukmulchiji" in traditional science failed to distinguish human "Cosmos" from the one of nature, it is certain that the ideology of "Cosmos" contributes to the recognition of universality in all creatures including humans. Thus it has its strong point that "Li(理)" which lies in nature ,as well as humans, is a kind of principle gained by exerting experimental mind operation "Sik(識)" to take an objective view and so, it takes on the stance of intellectualism. "Li" is to be recognized as a general standard to tell a shared factors in both humans and nature ,at the same time, it can be served as a specific principle to give account for the source of "life" and for the individual mechanism of lives. While "Chi(氣)" is referred to the invisible movement of energy corresponding to the stream of surrounding energy throughout the whole universe. In Ju-Ja's cognitive theory, however, it is undeniable that "Gungli(窮理)" was focused mainly on the study of moral aspect, which is a weakness as a scientific principle because "science" is normally regarded as a way of explaining the natural phenomena, rather than as a course to lighten the human nature. Admitting that his view of science is limited, we still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philosophical views of Ju-Ja as he shows quite a positive attitude toward science, suggesting that one should see nature as itself and there should find the universal principles. In other words, his ideas well represent "the oriental science" where he insisted that humans and nature are not totally separated, but connected with each other. "Gyukmulchiji" is considered to be a learning process to study general truth on the basis of experience in one's life, including applications of those general principles which was acquired throughout the process to our real daily life. Therefore, from today's perspective, the old oriental educators have already established and practiced the meaning of STS education- in a broader sense, a Constructivism- in their education. "Chi" is a basic component which is an energy and an object with energy itself at the same time. The energy in nature, that is, "Chi" or a bio-energy as a life source within every creature in the universe could be named as "Sin(神)" in traditional oriental science. Therefore, I would suppose that we take "Correlational and Associational Science(聯關科學)" diverged from the idea of 'Mulnaesin(物乃神)‘-Gods lie in every object, Gods is "Chi" and "Chi" is energy: objects are gods into a consideration for the sake of the science development. The greater portion of our cultural crisis is attributed to the modern Western philosophy where one seek their own interest at the cost of nature sacrifice. It is here that we rely on our traditional "Chi" as the alternative ideology in science, which eventually leads us to live a harmonious life, by abandoning our "humans as the master of nature" mind but accepting "nature and us as united and compatible partners."

      • 과학계 고등학교의「컴퓨터 과학」교육과정 개발

        정인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재 과학계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제7차 컴퓨터 과학 교육과정은 소양교육과 활용 중심의 교육으로 많은 문제점이 있다. 정보화 시대 흐름에 부합하고 학생들의 인지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창의력 등의 고차원적인 인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컴퓨터 과학 중심으로 교육과정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과학계 고등학교의「컴퓨터 과학」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실행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설문 조사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현행 과학계 고등학교 컴퓨터 과학 교육과정 분석과 해외 기술·과학 고등학교의 컴퓨터 교육과정 사례 분석을 통하여 컴퓨터 교육의 문제점 및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17개 과학계 고등학교 25명의 교사들의 설문을 통하여 컴퓨터 교육의 실태와 과학계 고등학교 전문교과인 컴퓨터 과학의 성격 및 교육 목표와 교육내용의 개정방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과학계 고등학교 컴퓨터 과학 교육과정의 성격 및 교육 목표와 교육내용은 연구 분석에 따라 선정되고 조직되었다. 그 형태는 ‘컴퓨터 과학Ⅰ’은 정보사회와 생활, 자료구조, 알고리즘,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 공학의 5개 영역으로 나누고, 각각의 주요 내용들은 컴퓨터 과학의 개념과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으로 선정하였고 ‘컴퓨터 과학Ⅱ’은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컴퓨터 구조, 컴퓨터 네트워크, 인공지능의 5개 영역으로 나누고, 각각의 주요 내용들은 컴퓨터의 부가가치성을 높일 수 있는 내용과 과학적 적용이 가능한 주제로 구성하였다. 이에 새롭게 설계된 과학계 고등학교의「컴퓨터 과학」교육과정을 통해 과학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맞는 차별화 된 컴퓨터교과 교육과정과 컴퓨터 과학의 전문지식 교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7차 교육과정 '화학 I'에 적용한 STS 프로그램이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서현수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선택과목에 따른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를 비교하여 과학과목을 선택한 학생들의 과학 분야에 대한 진출 가능성을 탐색하고, 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선택과목 ‘화학Ⅰ’수업에 STS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 변화와 STS 수업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연구하여 과학 선택과목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 데 그 목적이 있다.선택과목에 따른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과학 과목 선택 집단과 비 선택 집단으로 이루어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280명을 대상으로 과학에 관련된 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를 비교 · 분석하였고, 과학 선택과목에 적용한 STS 수업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과학 과목을 선택한 140명의 학생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집단에는 STS 수업 프로그램을, 통제 집단에는 전통적인 수업방법을 적용하였다. 수업 프로그램 적용 후 과학에 관련된 태도 검사를 실시하고 사전 검사 결과와 비교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또한, 수업 후 설문조사를 통해 STS 수업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과학 과목을 선택한 학생들은 과학 과목을 선택하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과학에 관련된 태도 검사에서 훨씬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이를 통해 선택과목이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STS 수업 프로그램의 효과는 STS 수업을 실시한 실험 집단이 전통적인 수업을 한 통제 집단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과학에 관련된 태도는 과학의 사회적 의미를 제외한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적 태도,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한 태도, 과학 교과와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의 변화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STS 수업 프로그램의 적용에 따른 학생들의 반응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과학에 대한 관심, 생활 적용, 수업에 대한 만족도 등의 영역에서 보다 긍정적이었다. 연구결과, 선택과목으로 과학을 선택한 학생들은 과학에 관련된 태도가 매우 긍정적이었으며, 과학 선택 과목 수업에 STS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는 더욱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STS 수업은 실생활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활동으로 진행되어 과학교과 및 과학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가져왔으며, 실생활에서 과학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과학관련 분야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켰다. 이러한 점을 감안 할 때 효과적인 STS 수업을 위해 앞으로 STS 수업에 대한 교사 연수를 확대하고 STS 수업과 관련된 수행평가를 도입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STS program applied to an elective course, ChemistryⅠ, on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s. This paper also aims to suggest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STS program by analyzing the students'''' responses to the program. Before the STS program was used in class, a pre-test was given to 280 second year (or 8th grade) students in a high school, divided into two groups: one, Science Choosers, having chosen ChemistryⅠas an optional subject, and the other, Non-science Choosers. The attitudes of each group were analyzed and compared.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STS program, 140 Science Choosers were separat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former was instructed using the STS program, while the latter was given a traditional lesson. After the experiment, attitude tests concerning science were given.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the results of the pre-test. Students were also asked to fill out a questionnaire so that their responses to the STS program could be analyzed.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following: First, Science Choosers showed much higher scores on the attitude test concerning science than Non-science Choosers. It was concluded that the elective courses reflect students'''' traits.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here the STS program was used showed mo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attitude tests than did the control group. The STS program was proven effective in changing attitude toward science, scientific attitude, attitude to occupations relating to science, and attitude to science class in school, but it had little effect on attitude to the sociological aspects of science.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s in the questionnaire items such as interest in science, application of science to life, and satisfaction in class, than the control group. In short, students who had chosen science as an elective course had a very positive attitude toward science, which became even more positive when they were given the STS program-applied class. The STS program, which provides a science class with a variety of activities centering around real life issues, brought a positive change to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class. It not only made them aware of the necessity of science in real life, but also increased their interest in the field of science. The STS program-applied class was given with various activities based on real life, and led the students to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s science and science class. And it also caused the students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science and increased their interest in the field of science. This result suggests an expansion of a teachers'''' training course on the STS class and the introduction of a performance test related to the STS class to develop a more effective STS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