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백남준의 창의·융합적 사고와 이의 교육적 전환을 통한 초등 미술교육프로그램 개발

        이주연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63

        21세기의 인재는 무엇보다 미래의 융복합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누구도 생각하지 못하는 창의적 생각을 이끌어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미술가의 창의·융합적 사고가 학생들에게 교육적 전환을 통해 적용되었을 유의미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연구를 진행했으며 그 대표적인 창의적 현대미술가로 백남준을 선택하였다. 그 이유는 2009, 2015개정 교육과정의 미술과 교과서의 작품 수, 기존에 교사들의 설문조사, 현대미술에서 백남준의 중요성이 대두 사회문화적 맥락 때문이다. 백남준의 비디오아트의 창시로만 알려져 있지만 그의 분야와 장르를 넘어서 새로움을 만들어내는 백남준의 사고를 미술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학습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창의·융합적 사고를 증진 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창의·융합의 개념이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에게 다소 산발적이고 통일되지 않았으며 창의·융합 교육이 STEAM프로그램과 동일한 맥락에서 교육되어 학생들에게 활동의 과중함과 부담감으로 이어져 그 의미가 퇴색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백남준 교사 설문에서 백남준을 창의적 현대미술가로 인식하기는 하나 미술수업에서는 제대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으며 교육활동에서 소극적으로 다루어졌다. 본 연구는 창의적으로 평가 받았던 백남준의 창의·융합적 사고를 이끌어내고 교육적 전환을 통해 초등 미술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우선 산발적인 창의·융합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기 위하여 학술지, 학위논문, 단행본, 2009 및 2015 개정 미술교육과정과 미술 검정교과서를 분석하였고 현장 초등 교사들의 인식 조사를 통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였다. 백남준의 창의·융합적 사고를 백남준의 문헌연구를 통해 과정적 요소로 1)예술가의 사유 2)방법으로서 콜라주와 협업 3)문제해결을 꼽아 미술수업에 적용시키고자 하였다. 백남준의 창의·융합적 사고 요소 1)소리(음악) 2)테크놀로지 3)시공간 4)관객참여 5)행위였다. 백남준 창의·융합적 사고의 교육적 전환의 내용은 ‘미래에 대한 상상과 참여적 소통’ ‘새로운 매체의 자발적인 선택 및 활용하기’, ‘학생-학생, 교사-학생과의 협업’, ‘이질적인 요소 더하기’로 창의·융합적 사고 증진 프로그램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4차시 이루어진 세 개의 미술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1차시는 보이지 않는 것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공감각에 대한 내용, 2차시는 미래에 대한 사유로써 로봇과 인간의 미래에 대한 상상, 3차시는 소통을 주제로 학생중심 활동을 통해 미술표현 매체를 선택하고 협업하여 기능을 익히며 시각적 표현에서 만나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는 수업방향으로 설계하였다. 끊임없이 미래를 내다보며 인간과 기계가 공동으로 진화하는 미래를 그려내었던 백남준에 기반을 둔 창의·융합적 사고 증진 미술프로그램이 학생들에게 체계적으로 제시되길 바란다. 또한 창의·융합 미술교육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4차 혁명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시각적 사고능력을 지닌 인재양성을 위한 방법으로서 미술교과와 미술 활동의 중요성이 대두되기를 희망한다.

      • 탈 동독 이주민의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통일 대비 이주정책에 대한 시사점

        이주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그 동안의 한반도 통일의 ‘당위성’에 대한 논의에서 벗어나 통일의 ‘가시성’에 초점을 맞추어 그 구체적인 행동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통일 전후의 대규모의 이주사태는 통일의 가장 시급한 문제로서 체계적으로 준비되어야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독일 통일 전후의 동독에서 서독으로의 이주를 분석하여 남북한의 통일 상황에 대비하고, 통일과정에서 발생될 북한주민의 대규모 인구이동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독일사회경제패널(G-SOEP)를 활용하여 독일 통일을 기준으로 1989년 이전과 1990년 이후의 탈 동독 이주민을 구분하여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는 현재 북한 이탈주민과 통일 이후 탈북 이주민으로 대응될 수 있다.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분석과 교차분석을 활용하여 두 집단의 구성과 특성이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차이를 바탕으로 탈 동독 이주민의 특성이 서독에서의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지 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탈 동독 이주민의 인구 사회적 특성과 고용관련 특성이 서독에서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T-test,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89년 이전과 90년 이후 탈 동독 이주민 집단에서 모두 대졸의 삶의 만족도가 고졸보다 낮았다. 또한 두 집단 모두에서 가구소득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반도 통일 상황에서 탈북 이주민의 소득과 노동시장참여를 높이는 것이 남한사회의 적응을 돕는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준다. 이를 위해서는 학력연계 및 재교육 시스템을 개발하고 직업교육프로그램을 재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 대도시와 중소도시 중학교 수학교사간의 ICT 활용 실태 및 활성화 방안 비교연구

        이주연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전주시의 수학교사를 중심으로 서울시 수학교사와 비교를 통해 정의적인 측면에서 ICT 활용수업 실태와 활성화 방안을 분석하고자 한다. 전주시 수학과 교사들이 ICT 활용수업 및 ICT 의 생활화가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상호 작용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수학과 교수․학습에 있어서 수학교사들의 ICT 를 다루는 능력은 전주시와 서울시 두 집단 간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수학과 교수․학습에 있어서 수학교사들의 ICT 활용수업 실태는 전주시와 서울시 두 도시 간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수학과 교수․학습에 있어서 수학교사들의 ICT 활용수업의 활성화 방안은 전주시와 서울시 두 도시 간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전주시와 서울시 중학교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2008년 8월 중순부터 11월 말까지 인터넷과 우편을 이용하여 설문지를 배부․회수하여 통계․분석의 자료로 삼았다. 설문지는 인터넷 자료에 실린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연구자가 개작한 설문지를 사용, 총 36문항으로 배경사항, 기초사항, ICT 활용능력, ICT 활용수업 실태, ICT 활용수업의 활성화 방안의 5개의 영역으로 분류하여 실시하였으며,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2.0 ko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검증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 간 ICT 를 다루는 능력은 전반적으로 전주시 수학교사가 서울시 수학교사보다 더 높은 자신감을 보였다. 유의수준 5% 내에서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를 보였다. 둘째, 두 집단 간 ICT 활용 횟수에는 전주시가 서울시보다 높았지만 유의수준 5% 내에서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가 없었다. 전주시 수학교사와 서울시 수학교사 모두 ICT 활용수업을 주당 1회- 2회 이하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ICT 활용수업을 거의 하지 않는 이유에 전체 전주시와 서울시 수학교사의 60% 가 교과에 맞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셋째, 두 집단 간 효과적인 ICT 활용수업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유의수준 5% 내에서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를 보였다. 전주시 수학교사의 대부분은 S/W 및 인터넷 사용능력․ 전문지식 습득을 위한 본인의 자율연수 그리고 학교의 노후 된 시설과 인터넷 접속 향상을 꼽았다. 서울시 수학교사의 대부분은 교육청 단위 ICT 활용 연수의 횟수․ 대상인원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1.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actical operation condition and the way to revitalize the methods on the aspect of definition from the junior-highschool mathematics teachers in Jeonju and seoul. Also, this study is to find the interactive way of operating ICT by mathematics teachers in Jeonju both the application of the apparatus on the classes and the practical use of it. For these goals, we set up 3 main subjects following below; Subject 1. What is the differences of the handling capability on ICT of the teacher groups in Seoul and Jeonju? Subject 2. What is the differences of the condition of operating ICT device in the class of both groups? Subject 3. What is the differences about revitalizing plans on classes with the ICT apparatus by both groups? 2. The Researching Method To analyze these subjects, the questionnaire subjects to the mathematics teachers of Jeonju and Seoul was distributed and withdrawn through the Internet or Postal services from Mid-August to Late of November in 2008 for the statistical information archive. The Research was based upon the contents of the internet material, with 36 questions in 5 area - Background, Basic Knowledge, ICT operation capability, Actual Condition of ICT Operation and Revitalization of ICT operating classes -, and the process of this data was done with and by SPSS 12.0 kor.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the research. 3.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n the mathematics classes with ICT operation, we could obtain three distinct results that following below. Of those two groups, mathematics teachers in Jeonju have more capability of operating ICT. They had 5% of difference in the level of significance statistically. Also the frequency of operating ICT system in Jeonju was higher than that of Seoul, but there were no difference in 5% of the level of significance statistically. The result showed that the teachers operated ICT program only twice in a week or lesser than that. More than the state, about 60% of interviewees were not able to operate the system appropriately in teaching mathematics. And finally on the questions about the necessity of practical operation of ICT in the classes, they had some difference in 5% of the level of significance statistically. Most of the mathematics teachers in Jeonju mentioned the capability of using S/W and the internet services, more individual training course to learn the specialty, the outdated structure of the school and the improvement of the Internet connection. On the other hand, most of those teachers in Seoul suggested that the enlargement of the classes and the augmentation of the personnel for the ICT operation training course is necessary.

      • Integrin αv β3 Antagonist의 생물학적 활성과 3차원 입체구조 사이의 상관관계 연구

        이주연 가톨릭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tegrin α_Vβ_3 (또는 vitronectin 수용체)는 세포 표면 단백질의 한 종류로 cell-cell 및 cell-matrix 부착에 용이하다. Integrin α_Vβ_3 는 Arginine -Glycine-Aspartic acid (RGD) tripeptide 서열을 인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integrin α_Vβ_3 antagonist는 골다공증 (osteoporosis), 혈관의 풍선 확장술 (ballon angioplasty) 부위의 재협착 (restenosis) 및 황반 변성 (macular degeneration)과 같은 망막 신생혈관 (neovascularization)을 수반하는 질병, 당뇨병성 망막증 (diabetic retinopathy) 그리고 암 (cancer)을 치료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integrin α_Vβ_3 antagonist의 nonpeptide Arg-Gly-Asp (RGD) 모방체에 대하여 이들이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기 위한 입체구조와 그 구조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연구하기 위하여 integrin α_V_β3에 대한 antagonist들 중에서 실험적 활성이 좋은 RGD 모방체인 nonpeptide들을 선택하여 3D-QSAR (3차원 정량적 구조-활성 관계) 방법으로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화합물의 입체구조를 확인하였다.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이 화합물들의 약용성 자리와 3차원적 입체구조의 배열을 Accelrys사의 CATALYSTTM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HypoGene 방법으로 활성가설 (Hypothesis)을 만들기 위하여 16개의 화합물로 training set을 구성하고, 계산한 10개의 활성가설 중에서 활성도와 입체구조적 상관관계 (r=0.9317, RMS=0.8920)가 좋은 활성가설을 선택하여 하나의 "체"로 사용하였다. HipHop 방법과 training set에 포함되지 않은 또 다른 화합물들의 활성 정도를 예측하여 비교, 분석하는 방법으로 만들어진 활성가설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Semi-empirical AM1 방법으로 이들이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낼 때 갖는 입체구조적 특징을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사용된 프로그램은 Wave -function, Inc.사의 SPARTAN 이었으며, Arg-Gly 모방체를 중심으로 자유 회전 가능한 결합을 제한적으로 변화시켜 입체구조 변화에 따른 에너지 관계와 중요 부분이라 생각하는 Arg 모방체와 Asp 모방체 사의의 거리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위의 두 가지 방법에 따른 계산 결과를 토대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입체구조의 형태와 그 특징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발표된 논문들을 조사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이를 만들어진 활성가설을 가지고 검색하여 보았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 알려진 integrin α_Vβ_3의 PDB 구조를 이용하여, 연구한 입체구조가 어떠한 형태로 수용체와 결합 할 것인지를 예측해 보았다. The integrins are a class of cell surface proteins that facilitate cell-cell and cell-matrix adhesion. Integrin α_Vβ_3 is known to recognize the Arg -Gly-Asp (RGD) tripeptide sequence. The relative affinity and specificity for ligand binding is determined by the unique combination of the different 18 α-subunits and 8 β-subunits which associate selectively to form at least 24 integrins. Of the members of this family of receptors, α_IIbβ_3, α_5β_1, α_Vβ_3 and α_Vβ_5 are extensively studied. A number of known natural ligands to these integrins, such as fibronectin (binds to α_5β_1 and α_Vβ_3), fibrinogen (binds to α_IIbβ_3 and α_Vβ_5) and vitronectin (binds to α_Vβ_3 and α_Vβ_5), contain common peptide sequence within their native sequence, which are recognized by several integrins. As a result, α_Vβ_3 antagonists are expected to have utility in the treatment of osteoporosis, restenosis following balloon angioplasty, and diseases involving neovascularization, such as macular degeneration, diabetic retinopathy, and cancer. This study focus on nonpeptide Arg-Gly-Asp (RGD) mimetic antagonists of the integrin α_Vβ_3 that 3D-conformer required for the biological activity and their conformational features. For this study, compounds of integrin α_Vβ_3 antagonist were selected that a good biological activity of nonpeptide RGD mimetics and therefore the biologically active 3D-conformer was found out using the 3D-QSAR (Three Dimensional Quantitativ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method. Theses compounds were analyzed for pharmacophore sites and 3D -conformer arrangement using for CATALYSTTM of Accelrys's molecular modelling programs. Training set was made up of 16 compounds for get hypothesis using HypoGene method. A selected hypothesis among 10 hypotheses showed a good correlation (r=0.9317, RMS=0.8920) between biological activity and conformation. The utility of this hypothesis was confirmed using HipHop method and estimated activity of other compounds which were not included in the training set. Also, the conformational features with biological activity were analyzed closely using Semi-empirical AM1 method. With free-rotation bond of Arg-Gly mimetics was constrained, so that the relationship of energy and Arg-Asp distance according to conformer change were analyzed using SPARTAN program. Lastly, the small size of database was made of compounds which were collected from the published literatures and searched this commercial database with a hypothesis query. Recently integrin α_Vβ_3 PDB structure was confirmed. We predicted how to bind the receptor and conformer of compound with these 3D-structures. Following the results of theses studies, the biologically active 3D -conformer and conformational features of the integrin α_Vβ_3 antagonist was found.

      • 마음챙김명상 중심의 건강프로그램이 비만 여자중학생의 폭식행동, 비만스트레스, 자기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주연 덕성여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비만은 일반적으로 체내의 지방조직이 과다하게 축적되어 있는 과체중 상태를 말하며, 세계보건기구가 발표한 21세기 최대 문제 질환이기도 하다. 전 세계적으로 비만 인구는 5년마다 무려 2배씩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최근 비만이 미국 사망원인 1위가 될 것으로 밝혀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비만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청소년에게도 커다란 건강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비만은 특히 학령기 아동과 사춘기에 그 발생률이 높은데 이처럼 청소년 비만이 증가하는 이유는 청소년기가 신체적으로 급성장기로써 지방의 수가 왕성하게 증가하고 (Moses 등, 1999), 호르몬의 작용으로 체형에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이기 때문이다(Hogar, 1981). 또한 비만 청소년들 중 상당한 비율이 성인비만으로 이행되므로 청소년 비만이 보다 더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마음챙김명상을 중심으로 한 건강프로그램을 통해 비만여중생의 폭식행동변화, 비만스트레스, 자기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시행한다. 연구의 목적은 비만 여중생들에게 마음챙김명상을 중심으로 한 건강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프로그램 후 다이어트와 관련된 폭식행동, 비만스트레스, 자기존중감, 우울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이다. 연구는 이전에 마음챙김명상에 참여한 적이 없는 서울시에 소재한 BMI=23이상의 과체중 및 비만 여중생 2학년 중 18명을 대상으로 시행한다. 그들은 4주 동안 50분간 주 2회씩 8회기의 마음챙김명상을 중심으로 한 건강프로그램에 참여하고 호흡마음챙김명상 일지와 식사마음챙김명상 일지를 작성하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폭식행동 척도, 스트레스 반응 척도, 비만 스트레스 척도, 자기존중감 척도, 우울척도, 비만도이며 프로그램 처치를 가한 후 사전-사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척도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마음챙김명상 중심의 건강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은 프로그램 전-후 스트레스 반응, 비만스트레스, 자기존중감, BMI의 차이검증에서 다소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그러나 폭식행동, 우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체지방은 통제집단에서 전-후 차이 값이 유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마음챙김명상 중심의 건강프로그램을 실시한 뒤 비만여중생의 심리적인 상태에 변화가 있고,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학령기 비만 여자중학생을 대상으로 마음챙김명상을 적용했다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Obesity is a condition in which the excessive fat accumulate in the body. The adolescence obesity is related adult obesity, the most of child and adolescence obesity are easy to be continued adults obesity. Specially obese adolescence girls are sensitive of their's appears. Many obese people make efforts to lose weight with excessive restraint of eating. The immoderate diet induces obesity stress and negative emotion, then often leads to overeating which aggravates their mental problem. Recently Mindfulness Meditations are known for low price, long time tested for therapy. Meditations are not only prevent stress also elevate eating control, finally reduce overeating of stress. And Meditations make complex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examined the effect of Mindfulness Meditation centered Health Program on binge eating, stress response, obesity stress, self-esteem, depression, obesity of obese middle school girls. A investigator collected more than BMI=23 girls who wanted to join this program, then they examined selective test. eighteen students chosen attended this program. They were assigned to two groups, a Mindfulness Meditation centered Health Program group(experimental group, 9) and a waiting control group(comparative group, 9) by matched design. The Mindfulness Meditation-centered Health Program group participated in eating-mindfulness meditation and breath-mindfulness meditation for 50 minutes 2 times a week for 4 weeks. They completed utilized the following scal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binge eating, stress response, obesity stress, self-esteem, depression, body fat, BMI, interven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fter program, Mindfulness Meditation centered Health Program group showed more change than waiting-control group in stress response, obesity stress, self-esteem, BMI. However, there was not significant change in binge eating, depression. Also waiting-control group showed more change than Mindfulness Meditation centered Health Program group in body fat. These results show that Mindfulness Meditation centered Health Program can be effective for negative emotion and psychological change for individuals with obese girls. Then we discussed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result.

      • 신체화장애 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특성

        이주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correlations in somatization disorder patients, and to apply in cognitive behavioral aspect for the management. Methods: Thirty patients meeting the criteria of DSM-IV somatization disorder were compared with thirty control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emographical data, clinial characteristics. We evaluated the subjects by using somatosensory amplification scale, symptom interpretation questionnaire, and coping strategy check list, Symptom Checklist-90-Revised,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We analyzed the data using by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Result: The results in group of patients with somatization disorder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Somatization disorder patients showed a higher scores in somatization, obsession-compulsion, depression, anxiety, and psychoticism subscales of SCL-90-R. 2) Somatization disorder patients were a greater amplification of phsical sensation in somatosensory amplification scale. The difference of scores in symptom interpretation questionnai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hysical interpretation than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and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3) In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Somatization disorder patients group showed low level in coping scores rather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ping styles between them. And, we observed that passive coping sty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in symptom interpretation questionnaire. We generally observed no association between coping style and the psychological factors in somatization disorder patients. Conclusions: Above results suggest that we should evaluate the combined psychopathology in patients with somatization disorder and investigate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perception of body sensation, pattern of symptom interpretaion and should have a therapeutic approach based on the cognitive behavioral aspect for the management of these patients 목적 : 신체화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인지치료에 적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환자군은 전남대학교병원에 내원하여 신체화장애로 진단받은, 3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조군은 신체화자애 환자군와 연령 및 학력 수준이 비슷한 3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두집단의 사회인구학적 자료 및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조사도구로는 Symptom Checklist-90-Revised, 신체감각 증폭척도, 증상해석 설문지, 대처방식 체크 리스트,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등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 신체화장애 환자는 대조군에 비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1) 신체화장애 환자군에서 간이정신진단검사의 소항목 중 신체화, 강박증, 우울, 불안, 정신병적 성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2) 신체감각 증폭척도 평균치는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0.05), 증상 해석 양상의 차이에서는 신체적 해석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심리적 해석과 중립적 해석에서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신체화 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대조군에 비해 모든 대처수준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신체화 환자에서 대처방식과 심리적인 변인들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소극적인 대처방식이 증상 해석 질문지의 심리적 해석의 하위 척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볼 때, 신체화장애 환자를 치료할 때는 동반된 정신 증상의 평가 및 조절, 신체감각에 대한 지각 및 해석에 대한 오류 교정,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개선 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유기견 훈련 프로그램이 청소년 수형자의 공격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이주연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 of a prison-based dog training on violent, incarcerated, male juveniles. The program addresses the change of aggression and self-esteem in a structured environment by using human-animal interaction. The test was given over a period between December 2006 and June 2007, and the data collected were case analysed. The study subjects were four youths incarcerated in a juvenile correctional center in South Korea. Two dog instructors who taught the juveniles how to train dogs observed the frequency in target behavior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type of AB planning of single case study. An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a pre-, intermediate and post-questionnaire study was performed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Self-esteem Scale (Rosenburg, 1965), Buss-Durkee Hostility Inventory, and a daily report written by two instruc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The prison-based dog training lowered aggressiveness compared with pre-test. But it didn't raise self-esteem of the subjects.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수형자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유기견 훈련 프로그램이 소년교도소에 있는 청소년들의 공격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충북의 한 소년교도소에서 복역중인 수형자 중 면접을 통해 인지 기능에 이상이 있거나 동물 학대 경험이 있는 피험자를 제외하고 동물을 길러본 적이 있는 수형자를 5명 선발하였다. 견 훈련에 정통한 훈련사가 주 5회 견 훈련 지도를 하였다. 참여자 4명을 유기견 훈련 프로그램 참여 전과 프로그램 참여 중, 프로그램 참여 후에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여 총 3회를 평가하였고, 훈련 실시기간은 2006년 12월부터 2007월 6월까지였다. 연구에 사용된 검사와 자료는 공격성 검사, 자아존중감 검사, 그리고 견 훈련사가 참가 수형자의 상태를 매일 기록한 내용이었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을 통하여 청소년 수형자의 공격성은 감소되는 결과를 가져왔으나, 자아존중감은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감소되었다.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유기견 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효과를 검증하려는 시도를 했다는 점과 비행청소년에게 인간-동물 관계(Human-animal Bond)를 이용한 심리치료적 접근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