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영리단체 후원자의 지속적인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SNS이용행태와 이용동기를 중심으로

        김대균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변하고 있는 미디어 환경에서 모바일 기술의 발달과 대중화된 인터넷 환경,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이용자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 또한 시민의식과 경제수준의 향상에 따라 비영리단체 활동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그 수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계속되는 불경기로 인해 후원을 중단하는 숫자가 증가함에 따라 신규후원자 개발 보다 기존후원자가 후원을 지속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이 시간과 비용측면에서 효율적이라고 말한다. 이에 따라 후원자관리나 홍보 및 소통을 위해 비영리단체에서도 여러 미디어 중 SNS를 많이 이용하고 있지만 SNS를 활용한 홍보방향이나 영향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비영리단체를 정기적으로 후원하는 개인의 SNS 이용행태와 이용동기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대에서 60대까지 현재 비영리단체를 정기적으로 후원하고 있으며 SNS를 이용 중인 200명의 응답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장 많이 사용하는 SNS는 페이스북과 카카오스토리 순으로 나타났고 SNS 이용자의 이용행태가 성별, 연령, 종교, 결혼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적 특성에 따른 기부지속의도는 소득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이용행태 중 비영리단체 SNS 이용빈도는 기부지속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영리단체 관련 콘텐츠가 자신의 SNS에 노출되었을 때 관심정도는 기부지속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이용동기 중에서는 표출적 동기가 기부지속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히 많은 시간을 비영리단체 SNS에서 많이 보낸다고 해서 기부지속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없다는 것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반면, 후원자가 비영리단체의 콘텐츠를 볼 때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양질의 콘텐츠를 통해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부지속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지속적인 기부행동에 대한 연구에서 자주 다루지 않았던 미디어 변인 중에서 특히 SNS 이용행태와 이용동기를 중심으로 기부지속의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앞으로 SNS를 통해 비영리단체의 활동을 지지하고 후원하는 사람들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활용방안에 대한 다양한 후속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In rapidly changing media circumstances, the number of SNS users is growing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mobile technology, the popularization of internet environment, and the spread of smart phones. Also, in accordance with the improvement of the civic awareness and the economic level, the number of NPO is increasing as well as its importance. However, as the number of donors is decreased by discontinuing donation due to the recent continuous recession, it is thought to be more efficient, in both time and cost, to manage existing donors by encouraging their constant donation rather than to find a new one. According to the above, NPOs chose SNS among various media to manage their donors, PR, and communication. However, the researches on the influence of SNS or PR using SNS have not been carried out so far.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constant donation intention of donors who regularly donate to NPO, focusing on SNS user’s behavior and motivation. To achieve the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collected from 200 respondents between 20s and 60s, who are currently using SNS and regularly donating to NPO at the same time,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acebook and Kakao Story were the most broadly used SNS among donors in the order. 2.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NS user’s behavior in terms of sex, age, religion, and marriage. 3. As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constant donation inten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level of income. 4. Regarding SNS user’s behavior, it was appeared that the frequency of using NPO’s SNS has negative influence on constant donation intention; while interest in constant donation intention affects positively when the content related to NPO is posted on donor’s SNS. 5. Regarding SNS user’s motivation, it was appeared that expressive motivation has positive influence on constant donation intention; and this signifies that even if a donor spends a lot of time at NPO’s SNS, a positive constant donation intention cannot be expected. 6. On the other hand, it indicated that once high-quality content is provided, the interest of donors can be drawn and thus positive influence on constant donation intention can be carried out.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it looked into the relation between constant donation intention and media factors, especially focusing on SNS user’s behavior and motivation, which have rarely dealt in the studies regarding constant donation behavior so far. Lastly, further studies on the effective ways to support NPOs and to meet the needs of donors via SNS are expected to be done.

      • NLL 추정법과 GMM 추정법을 중심으로 살펴본 확산모형 추정방법에 관한 비교 연구

        김대균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the famous research ofBlack and Scholes (1973),modeling methods using diffusion processes have performed principal roles in financial engineering. In modern financial theories, various types of diffusion processes were suggested and applied in real situations. To analyze financial data by using diffusion process models, estimation of model parameters is an indispensible step. Many estimation methods were suggested and their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by many researchers. This thesis reviews the statistical properties of the three estimation methods, Euler approximation method, New Local Linearization (NLL) method, and Generalized Methods of Moment(GMM), which are known as the most practical methods. Especially,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properties of the estimators, when the model is misspecified as geometric brownian motion (GBM),forthe data generated by Heston stochastic volatility model. When correlation is zero in case of the model is misspecified, estimation results shows best performance and estimation results are different according to correlation. When the correlation isn't zero, 확산모형은 Black과 Scholes(1973)의 연구 이후 금융공학 주요 방법론으로 자리 잡고 있다. 현대금융이론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확산모형이 제안되었고 이용되고 있다. 확산모형을 이용하여 금융자료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확산모형에서 모형 모수의 추정과정이 필수적이다. 과거의 자료에 대하여 확산모형을 적용하고 그 모수를 추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었고 그 성질이 연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현실에서 활용도가 높은 세 가지 추정법, 오일러근사법 (Euler approximation method), 수정된 국소선형화 방법(NLL; New Local Linearization method), 그리고 일반화적률추정법(GMM; Generlaized Methods of Moment)을 중심으로 그 추정방법들의 성질을 살펴보게 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실제 자료가 stochastic volatility 모형의 하나인 Heston 모형에 의하여 생성되었음에도, 모형설정을 잘못하여 단순한 기하브라운운동모형으로 가정하여 모수를 추정한 경우, 각 추정방법에 대하여 어떠한 차이점을 보이게 되는지를 살펴보게 된다. 모형을 잘못 선정하였을 경우 상관관계가 0일 때, 가장 추정결가가 좋으며 상관관계에 따라 각 추정법으로 추정한 결과가 다른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관관계가 0이 아닐 때, NLL 추정법의 결과가 GMM 추정법의 결과보다 우수하다.

      • 속응성을 고려한 계통연계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김대균 明知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상용계통과 연계시키기 위해 태양전지, 승압초퍼, PWM 컨버터, 직렬리액터 등을 사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시스템과 계통을 절연변압기 대신 직렬 리액터를 사용하여 연계하므로써 시스템의 소형ㆍ경량화를 이룰 수 있었고, 계통으로 유입되는 전류의 고조파를 줄일 수 있어서 계통의 전력품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기존의 필터가 삽입된 디지털 PLL방식과 달리 필터를 제거한 디지털 PLL방식을 사용하여 안정성 및 속응성의 향상을 가져왔다. 계통전압과 시스템 출력 전류를 동기화 시켜 전력계통 쪽으로 정현파 전류가 공급되어 고역률 연계 운전이 가능함은 물론 PWM 컨버터의 출력전압변화에 따라 보상되는 전류 피드포워드 제어기를 구성하여 직렬리액터 출력전류가 계통에 속응성을 갖도록 하였다. 제안된 계통연계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Matlab Simulink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TMS320VC33을 이용하여 PWM 컨버터 및 각 제어기로 시스템을 구성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In this paper, we constructed the system using solar cells, step up chopper, PWM converter, series reactor and griding commercial utility. The system and utility gridded for using the series reactor instead of insulating transformer. So, we effected a miniature system. And, confirmed not deterioration in the power quality of distribution line. Besides, the improvement stability and rapid response produced using digital PLL system get ridded of filter, differently, conventional digital PLL system consisted of filter. High power factor grid operation is possible by supplied toward utility grid sinusoidal wave current and, synchronizing utility voltage and system output current. Also, series output current consist of current feed forward controller according to output voltage alteration of PWM converter had rapid response in utility. The proposed technique conducted to simulation using Matlab simulink in support of feasibility for a utility interactive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 Moreover, the system using TMS320VC33 exper-iment to configuration.

      • 의료인의 양심적 거부에 관한 고찰 : 인간 생명의 존엄성을 수호하는 의료인의 양심

        김대균 가톨릭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Our society has been rapidly progressing in the field of biomedicine along with remarkable economic growth for the last 30 years. Thus, as human life expectancy increases, our society can not but be forced to take a sudden interest in health and life. With these changes in society, the problem of life is being tackled not only in the field of ethics but also as a legal issue. In other words, there is a time in the universal law of a nation that controls the life of an individual. For example, it has come to an era when the laws determine the treatment methods, not the knowledge and conscience of professional medical personnel, to make decisions about medical care for terminally ill patients. Ultimately, these problems sometimes result in the destruction of the conscience, which is the backbone of their human dignity, by making decisions against individual conscience. In other words, as the law and the conscience of each individual come into conflict, it develops into a conflict between law and conscience. Therefore, the legal approach to solving the problem from a uniform viewpoint on a society composed of individuals is not a fundamental solution to the problem because it infringes on the conscience of the individual, the last resort of human dignity. This is because there is a great risk of mass production of a 'culture of death' that degrades human dignity and life. This study will focus on examining the conflict between the law and the conscience of the individuals while excluding the conscience of the medical personnel. The analysis of this study is based on two types of research: ‘Act on Patient Determina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System for the Patient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nd ‘Act on Medical Treatment Sexual Impulse for the Sex Offenders.’ Furthermore, by reviewing misleading legal content, which may transfer responsibility to medical staff, this study seek to understand conscientious objection and examine the ethical justification of conscientious objection. 지난 30여 년간 우리 사회는 눈부신 경제 성장과 함께 인간 생명의 영역을 다루는 의과학분야에서 급속한 발전을 이루어왔다. 그리하여 인간의 기대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우리 사회는 건강과 생명의 문제에 급격한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의 변화로 생명의 문제는 윤리의 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법적인 문제로까지 다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달리 말하면, 한 국가의 보편적인 법률 안에서 개인의 생명을 통제하는 시대가 오고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말기 환자에 대한 연명의료결정을 전문 의료인의 지식과 양심에 따른 것이 아니라 법률이 치료방법을 결정하는 시대가 도래 한 것이다. 결국, 이러한 문제들은 때로는 전문 의료인 개개인의 양심을 거스르는 결정을 함으로써 그들의 인간 존엄성의 보루라고 할 수 있는 양심을 훼손하는 결과까지 발생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법률과 각 개인의 양심이 부딪히는 갈등이 초래되는 양상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개개인의 총합으로 구성된 사회에 대하여 획일적인 관점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법률적 접근으로는 인간 존엄성의 최후 보루인 개인의 양심을 침해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근본적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은 아니다. 왜냐하면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을 경시하는‘죽음의 문화’를 양산할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인간 삶의 마지막과 깊이 관련된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과 사회의 물의를 일으키는 성범죄자 처벌을 위한 「성폭력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법률」을 통하여, 의료인의 양심이 배제된 법률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의료진에게 책임을 전가할 수도 있는 잘못 의도된 법률적인 내용들을 검토함으로써, 양심적 거부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양심적 거부의 윤리적 정당성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 대용량 스토리지 환경에서 중복제거를 이용한 백업시스템 효율화

        김대균 高麗大學校 컴퓨터情報通信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도입 가상화 솔루션의, 확대, 전자문서 스토어생성 및 문서의 공유, WEB2.0 확대에 따른 데이터의 폭발적인 증가, 디지털보존기록 같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스토리지 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매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또한 데이터의 개수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백업 및 복구에 소요되는 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본 논문은 대규모 데이터를 공유하는 스토리지 환경에서 데이터의 중복을 제거하여, 백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이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고 효율적인 백업환경을 제안하였다. 이는 향후 대용량 스토리지 환경에서 데이터 백업시스템을 모델링 하는데 참고가 될 것이다.

      • 줄타기 전승교육을 위한 잔노릇 기본동작 개발 연구A Study on Developing Basic Movements of Jannorut for Tightrope Tradition Education : 국가 무형문화재 제58호 줄타기 중심으로

        김대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starts from the awareness of why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basic movement of artistic action in the current tightrope training. In many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ightrope, there was no study that revealed the aspect of tightrope as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 curre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is an important device to ensure the transmission of so-called performing folklore, but it is regrettable that researchers lack interest in it. In addition, attention in tradition education as a way to strengthen the successive power of tightrope in relation to intangible cultural assets was lacking. Tradition education is an important matter in order to secure the successive power among the various performing folklore that are currently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e researcher who was recognized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 in the year of 2000 has realiz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basic movements for efficient education while exercising the tradition education of tightrope, and has considered it necessary to systematize the tradition education of tightrope. As a practical activity that guarantees the successive power of tightrope, tradition education is important. Accordingly, developing a manual for efficient tradition education and using it in the educational field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transmission of tightrope.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artistic action, namely 'Jannorut', which is one of the key performance elements of tightrope walking, an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education by way of developing basic movements for it. The researcher went through a lot of trial and error during the transmission education process for tightrope graduates. One of the reason is that the trainees began to enter tightrope walking at a late age, but mostly because as a teacher, the researcher did not have a systematic edu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reasonable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their physical condition, concentration, physical strength, and etc., and to conduct customized education according to each individual's differences for the transmission education of artistic movement. However, since the researcher had been taught tightrope walking through apprenticeship, it was a big mistake for the researcher to try to guide the trainees in the previous way only.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changed surrounding environment, the method of education must also be changed. In order to minimize the various trials and errors that occurred in the educational process, the researcher realized the need for a new method of transmission education and the need to develop basic movements of the artistic actions of tightrope. Accordingly, in this thesis, the researcher intends to examine the basic movement of the newly developed artistic movements based on the researcher's experience in transmission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basic movements was carried out by examining the actual performances of the four transmission trainees and supplementing the problems identified for each movement. Through this, this paper introduces 25 newly developed basic movements and 8 movements of connection action, namely 'Gullsin', and explains the background in which these movements were developed, thereby increasing the value of research as well as its effectiveness as a textbook. In order to creatively inherit and develop existing traditional cultu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atic educational model. In this thesis, the researcher has analyzed the 35 movements of tightrope walking that are handed down to clarify the composition system and gone one step further to reveal the development process of 25 basic movements and 8 gulshin movements. In this process, the researcher will look at how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of the basic movement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ightrope since modern times and come to result by paying attention to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inued basic movement from before and the developed movement by the researcher. In addition, the researcher will develop a discussion on the development of basic movements while keeping in mind the cognitive apprenticeship learning and pedagogical field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training and actual performance of the transmission trainees. The researcher is tutoring four transmission trainees three times a week at the tightrope training center in Gwacheon. In addition, researchers and tradition trainees are participating in tightrope performance at festivals, and etc. The researcher has looked at the history and genealogy of tightrope as well as the current activities of the Tightrope Preservation Society in order to help the basic understanding of the tightrope. Afterwards, 25 basic movements and 8 movements of gulsin, newly developed from an applied level, were introduced for the effective transmission education of tightrope walking,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nded down today. In addition, the researcher has paid attention to the effect of the newly developed basic movement in the field of transmission education under the curre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This series of process has been derived from the need to prepare a new educational system through various trial and error in the course of guiding the trainees and the new educational system has been derived from the fact that the researcher has collected the opinions of trainees and analyzed the movements that appeared in the actual demonstration process. In the meantime, there was a limitation in not being able to systematically deliver the tightrope to the trainees in the training course of tightrope, but, while carrying out this study, the researcher can prepare for a more efficient and objective educational method.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teaching method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trainees in the tightrope tradition education and organizes practical experiences and various data can be widely used in the field of transmission education of various performing folklore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현재 전승되는 줄타기 전승교육에서 잔노릇(기예)의 기본동작 개발이 왜 필요한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줄타기와 관련한 여러 선행연구에서는 무형문화재로서 줄타기의 면모를 밝히는 연구가 없었다. 현행 무형문화재 제도는 이른바 연행민속의 전승을 담보하는 중요한 장치이지만, 연구자들의 관심이 부족했던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아울러 무형문화재와 관련 속에서 줄타기의 전승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편으로서 전승교육에 대한 관심도 모자랐다. 현재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여러 연행민속에서 전승력의 확보를 위한 전승교육은 중요한 문제이다. 2000년에 국가무형문화재로 인정된 연구자는 그동안 줄타기의 전승교육을 진행하면서 효율적인 교육을 위한 기본동작의 개발에 대해 필요성을 절감했으며, 이를 체계화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여겼다. 줄타기의 전승력을 담보하는 실천적 행위로서 전승교육은 중요성을 지닌다. 이에 따라 효율적인 전승교육을 위한 매뉴얼을 개발하고, 이를 교육현장에서 활용하는 것은 줄타기의 전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줄타기의 핵심 연행요소 가운데 하나인 잔노릇을 주목하고, 이에 대한 기본동작 개발을 통해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자는 줄타기 이수자들에 대한 전승교육 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 전승교육생들이 늦은 나이에 줄타기에 입문한 이유도 있겠지만, 교사로서 문화환경과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른 체계적인 교육법을 갖추지 못한 탓이 크다. 또한 잔노릇 동작의 전승교육을 위해서는 그들의 신체조건과 집중력, 체력적인 근기 등의 차이를 파악하고, 각자의 여건에 따라 맞춤식 교육을 행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러나 연구자는 도제학습으로 줄타기 학습을 전수 받았기 때문에 이전의 방식대로만 전승교육생을 지도하려 했던 것이 큰 착오였다. 즉 변화한 주변 환경에 따라 교육의 방식도 발맞추어 내용을 달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교육과정에서 발생한 각종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새로운 전승교육 방법의 필요성과 잔노릇 기본동작의 개발 필요성을 절감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연구자의 전승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새로 개발된 잔노릇의 기본동작에 대해 살피고자 한다. 기본동작의 개발은 전승교육생 4명의 실제 실연을 살피고, 각 동작 별로 노정된 문제점들을 보완해 가면서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새로 개발한 잔노릇 기본동작 25가지와 굴신동작 8가지를 소개하고, 그 동작들이 개발될 수 있었던 배경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연구의 가치는 물론 하나의 교본으로서 실효성을 높이고자 한다. 현존하는 전통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모델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전승되는 줄타기의 잔노릇 35가지 동작을 분석해서 구성 체계를 규명함은 물론, 한발 더 나아가 기본동작 25가지와 굴신동작 8가지의 개발과정을 밝히려고 한다. 이 과정에서 전통적인 잔노릇의 교육방식이 근현대 이후 줄타기의 교육환경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필 것이며, 잔노릇 기본동작의 개발과정에서 이전부터 이어지던 잔노릇의 기본동작과 유기적인 관계에 주목하여 결과를 도출할 것이다. 또한 인지적 도제학습과 교육학적 현장연구방법을 염두에 두고 잔노릇의 기본동작 개발에 대한 논의를 전개할 것이다. 연구자료는 전승교육생에 대한 교육과 실제 연행 과정 속에서 수집하였다. 연구자는 과천의 줄타기 전수 교육장에서 일주일에 3회에 걸쳐 전승교육생 4명을 지도하고 있다. 그리고 축제장 등에서도 연구자와 전승교육생들은 줄타기 연행에 함께 참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구성은 줄타기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줄타기의 역사와 계보는 물론 줄타기보존회의 현재적 활동양상을 살펴보았다. 이후 현재 전승되는 국가무형문화재 줄타기의 효율적인 전승교육을 위해 응용적 차원에서 새로 개발한 잔노릇 기본동작 25가지와 굴신동작 8가지를 소개하였다. 아울러 새로 개발된 잔노릇 기본동작이 현재 무형문화재 체제의 전승교육 현장에서 어떤 효과를 발휘하는지도 주목하였다. 이런 일련의 과정들은 전수교육생들에 대한 지도 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새로운 교육체계를 마련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에서 비롯됐으며, 교육생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실제 실연과정에서 나타난 동작들의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것이다. 그동안 줄타기의 교육과정에서 교육생들에게 줄타기를 체계적으로 전달하지 못한 한계도 있었지만,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좀 더 효율적이고 객관성을 담보하는 교육방법을 마련할 수 있었다고 판단된다. 아울러 줄타기 전승교육에서 교육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방법을 실제적 경험과 각종 데이터를 통해 구성한 것은 향후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여러 연행민속의 전승교육 현장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