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생의 사이버 일탈행동 분석

        정혜경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중학생의 사이버 일탈행동 분석 2011년 2월 상담심리전공 鄭惠景 지도교수 朴榮信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중학생의 인간관계, 도덕적이탈, 행동특성이 사이버 일탈행동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사이버 일탈행동의 5가지 하위변인은 게임중독, 채팅언어폭력, 사이버 사기, 성적 일탈, 불법 정보유출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청소년 사이버 일탈행동의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 사이버 일탈행동과 인간관계(부모자녀관계, 친구관계, 교사학생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청소년 사이버 일탈행동과 도덕적이탈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청소년 사이버 일탈행동과 행동특성(일탈행동, 학업성취)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박영신과 김의철(2007)이 제작한 사이버일탈 질문지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분석대상으로는 중학생 397명(남 201, 여 196)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 일탈행동과 인간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모와 교사, 친구로부터 정서적 지원을 적게 받을수록, 사이버 일탈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부모가 무관심하거나 거부적일수록, 교사와 적대관계에 있을수록, 친구로부터 따돌림을 받을수록, 사이버 일탈행동에 개입하였다. 둘째, 사이버 일탈행동과 도덕적이탈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도덕적이탈의 하위변인인 상대적 비교와 도덕적 정당화는 사이버 일탈행동과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폭력 가해경험과 심각한 일탈행동을 하는 청소년들이 사이버 일탈행동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적(性的) 일탈행동은 폭력 가해경험과 매우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객관적인 학교성적, 주관적 학업성취도는 사이버 일탈행동과 상관이 없었다. 넷째, PC방 이용을 많이 할수록, 온라인 게임시간이 많을수록, 야한 동영상을 많이 볼수록, 인터넷 사용 기간이 길수록 사이버 일탈행동을 많이 하였고,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사이버 일탈행동을 많이 하였다. 주제어: 사이버 일탈행동, 도덕적이탈, 인간관계, 일탈행동, 학업성취도

      • 중학교 함수개념의 오류에 관한 연구

        정혜경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학생들은 수학적 지식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인하여 특정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중학교 함수 단원을 중심으로 학생들이 함수의 개념학습과 함수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할 때 어떤 유형의 오류를 발생시키며, 그 오류를 교정하는 학습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를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함수의 개념을 지도할 때는 그래프와 연관시켜서 지도하고, 교과서에 있는 한정된 종류의 그래프만 지도할 것이 아니라, 그 외에 여러 가지 그래프를 경험하도록 예를 많이 제시하며 지도할 필요가 더욱 분명히 드러났다. 또한 함수에 관한 지도를 할 때에는 기울기, 꼭지점의 좌표, 직선의 식 등을 구하는 절차적 지식을 지도하기 이전에, 먼저 용어들의 의미나 공식들의 증명과 같은 개념적 지식을 충분히 강조하여 잘 이해시킨다.

      • 한 대학병원의 진료협력 서비스에 대한 개원의의 만족도 조사

        정혜경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expectation and the satisfaction of the practitioners who had used the Wonju Severance Christian hospital patient referral center(WSCHPRC). Methods : Doctors (257 subjects) who had referred three or more patients to WHPRC from March 2015 to February 2016 were determined as a study population.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July to August 2016. A total of 16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commercial statistical analysis software (SAS 9.4 ver., SAS Inc., Cary, NC, USA). Results : 95.1% of subjects concluded MOU with Wonju Sevrance Christian Hospital (WSCH) for patient referral system. Quick booking process was the most influencing factor to MOU. 32.5% of subjects referred 6-10 patients to general hospital every month and 73.3% of subjects had a tendency to refer their more and half patients to the WSCHPRC. The percentage of subjects who had been returned patients from WSCH was 90.9%. Among them, 14.1% of respondents had experienced a return of more than three quarters of the patients and 38.3% of respondents had answered that less than one quarters of the patients were returned from WSCH. The doctors’ satisfaction with WSCH’s patient referral system was lower than their expectation needs in all items (P<0.05). Items were as follows: ① quick booking process ② amicable hospitalization ③reply to the referral patient ④ WSCHPRC staff’s kindness ⑤ return of referral patient ⑥ sharing the up-to-dated clinical evidence ⑦ convenience off for referring doctor. The score for satisfaction, future re-referral, and recommendation to others for WSCH’s patient referral system were 4.01±0.73, 4.21±0.62, 4.02±0.74, respectively. The quick booking process and WHPRC staff’s kindness were most relevant to overall satisfaction with WSCH’s patient referral system(P<0.05). Conclusion :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doctor with WSCH’s patient referral system were quick booking process and staff’s kindness. The rapid patient's booking process and kind response to referring doctor would be increase doctor’s satisfaction and use of WSCH’s patient referral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 지방거점 3차 의료기관인 조사대상 대학병원의 진료협력센터를 통해 진료를 의뢰한 개원의들의 기대요구와 만족도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개원의와의 유대관계를 통한 효율적인 진료의뢰와 회송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2015년 3월 1일부터 2016년 2월 29일까지 W시 대학병원 진료협력센터에 3건 이상 의뢰한 257명의 개원의를 선정하였으며 2016년 07월 11일부터 2016년 08월 19까지 총 6주 동안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분석결과에 대한 유의성을 판단하기 위해서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여 통계검정을 실시하였고, 최종 164부의 사회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AS 9.4 Ver (SAS Inc., Cary, NC, USA)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남성87.2%(143명), 40-50대 69.5%(114명) 이었으며 조사대상 대학병원과 진료협력을 체결한 기관은 95.1%(156명), 진료의뢰 시 주로 사용하는 매체로는 전화 또는 팩스(57.9%)로 조사되었다. 한 달 평균 진료의뢰건 수는 6-10건이 32.4%로 가장 많았으며, 총 진료의뢰 중 절반 이상인 73.2%가 본 조사대상 대학병원으로 의뢰되었으며 타 병원으로 의뢰할 경우 78.7%가 서울지역으로 의뢰되어 환자들의 대형병원 선호현상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신속한 예약 및 검사는 협력기관 체결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진료협력센터의 주된 기능이 예약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회송 받은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90.9%로 나타났으나 회송된 환자의 비율이 3/4 이상이었다고 응답한 비율은 14.1%, 1/4 미만 이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38.3%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2단계 요양급여기관의 입장에서 의뢰했던 1단계 요양급여기관으로 환자회송 시 경제적인 유인을 갖지 못하는 현행 회송제도와 대형병원을 선호하는 환자의 의료행태 때문으로 여겨진다. 수가 인정 시 진료의뢰·회송이 원할 할 것인가 항목에서는 예 50.6%(83명), 아니오 49.4%(81명)로 이는 시범사업단계 중이므로 아직 개원의들의 의견이 분분함을 알 수 있다. 회신서는 주로 우편으로 받아보길 원하여 40-50대 개원의들은 출력된 문서를 더 선호함을 알 수 있었으며, 회신 내용의 충실성 3.59±0.83, 회신시기의 적절성 3.24±0.91로 나타났다. 이는 2단계 요양급여기관에서 충실한 회신서 작성과 발송이 이루어지지 못했음을 짐작할 수 있으며, 낮은 환자회송과 불성실한 회신은 개원의의 불만요인으로 이에 회송률을 높이고 충실한 회신서가 작성될 수 있는 방안마련이 필요하다. 총체적 만족도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전반적 만족도(4.01±0.73), 계속의뢰의도(4.21±0.62) , 타인권유의도(4.02±0.74)항목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특성이 없었으나 총체적 만족도(4.08±0.64)에 영향 미치는 요인으로는 신속한 예약 및 진료, 진료협력센터 직원의 친절도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개원의들은 환자 의뢰 시 진료협력센터 직원의 친절을 바탕으로 한 신속한 예약 및 진료, 충실한 회신서의 수령 및 치료 후 회송(되의뢰)을 기대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회송 되는 비율이 낮아 개원의의 불만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진료협력센터에 대한 개원의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의뢰과정에서 직원의 친절한 안내를 바탕으로, 신속한 예약 및 진료를 위한 의뢰시스템의 구축과 신속하고 상세한 회신서의 작성 및 회송률을 높일 수 있는 회송시스템을 구축이 필요하며 변화하는 개원의의 요구도 반영은 계속의뢰와 신규환자 의뢰증가로 이어질 것이다.

      • 문화공론장 조성과정에 참여한 커뮤니티 아티스트의 사회적 실천 탐색

        정혜경 숭실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ocial practice of community artists who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cultural public spheres. Nine community artist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who joined three research sites that provided cultural public spaces for more than three year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une 2017 and September 2018; basic data were developed based on in-depth interviews and non-participant observations, and a multiple case study design among other qualitative methods was used to explore community artists’ social practice. To comprehensively analyze community artists’ social practice, this study used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social practice’ proposed by Usher et al. (1997). An analysis of community artists’ social practice showed that their activities aimed to constantly identify themselves as an artist, and such activities in and of themselves were a work of art for the artists in a broad sense. The following are the chronological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three cases that help understand community artists’ social practice in political and social contexts. First, a good rapport was built between community artists and residents. Next, based on the established confidence, they turned local issues into public discourse in a reciprocal way that benefited residents. Issues on the agenda agreed upon earlier between community artists and residents were resolved as a process developed after having such public discourse and finding a clue about how to solve the issues. They then entered a new phase. The four quadrants developed for community artists’ social practice in Usher et al.’s (1997) theoretical framework include living a daily life with self awakening in lifestyle practice, creating a new aesthetic code in confessional practice, maximizing professionalism around local history and resident lives in vocational practice, and creating a new life paradigm in critical practice. This study shows the following social practice of community artists that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cultural public spheres: First, as an experience obtained from problem solving, it was a whole learning process that became a turning point for traditional knowledge and pedagogy. Second, community artists’ social practice in the three cases was an activity about forming a meta-discourse to reinforce as sense of community rather than achieving personal needs. Third, it was a comprehensive creative activity that in corporated community artists’ expertise, experience, and value.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공론장 조성과정에 참여한 커뮤니티 아티스트의 사회적 실천의 양상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수행을 위하여 문화공론장을 조성 중인 세 연구사이트에 3년 이상 참여한 커뮤니티 아티스트 아홉 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7년 6월부터 2018년 9월까지로 심층면담과 비참여관찰을 주로 하여 기초자료를 작성하였으며, 커뮤니티 아티스트의 사회적 실천의 심층 탐색을 위하여 질적연구방법론 중 다중사례연구방법을 이용하였다. 커뮤니티 아티스트의 사회적 실천의 양상에 대한 심층분석을 위하여 Usher 등(1997)이 제시한 ‘사회적 실천’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였다. 커뮤니티 아티스트의 사회적 실천 탐색결과 그들의 활동은 예술인으로서 자신의 존재를 끊임없이 확인하기 위한 노력이었으며, 그들에게는 활동 자체가 총체적인 예술작품이었다. 커뮤니티 아티스트의 사회적 실천의 양상에 대한 정치·사회적 맥락 이해를 위한 세 가지 사례의 공통적인 연대기별 특징을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역의 역사성과 지역성을 기반으로 커뮤니티 아티스트와 지역주민의 라포가 형성되고(허니문기), 다음은 기 형성된 신뢰도를 기반으로 지역의 이슈를 지역구성원의 상호호혜적인 방향으로 공론화하게 된다(가열기). 지역현안의 공론화를 거치면서 문제 해결방법에 대한 실마리가 보이기 시작하고 프로세스가 만들어지면서(비등기) 초기의 주민과 커뮤니티 아티스트가 합의한 의제가 해결되고 새로운 국면으로 전환된다(승화기). 커뮤니티 아티스트의 Usher 등(1997)이 제시한 사회적 실천 이론적 프레임워크의 4분면에 대한 사회적 실천의 양상은 라이프스타일 실천에는 일상생활에서 주체적 각성상태로 살아가기, 고백적 실천에는 새로운 미학적 코드만들기, 직업적 실천에는 지역의 역사성과 주민의 삶을 중심으로 전문성 극대화하기, 비판적 실천에는 새로운 삶의 패러다임 만들기로 압축할 수 있다. 연구결과 문화공론장 조성과정에 참여한 커뮤니티 아티스트의 사회적 실천의 경험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첫째, 이들의 사회적 실천은 현안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얻어진 경험으로서 그간의 지식과 페다고지의 전환점이 될 수 있는 총체적인 학습이었다. 둘째, 세 사례에서 나타난 커뮤니티 아티스트의 사회적 실천은 개인적 욕구의 달성보다는 지역의 공동체성 향상을 위한 거대 담론을 형성하기 위한 활동이었다. 셋째, 문화공론장 조성은 그 자체로서 커뮤니티 아티스트의 예술적 전문성과 경험, 추구하는 가치를 모두 녹여내는 총체적인 예술 활동이었다.

      • '서른 즈음에'의 조형적 표현에 관한 연구 : 김광석 음악을 통한 본인 작품 중심으로

        정혜경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2008년 발표한 본인의 작품 [김광석 리포트] 를 통하여 작품의 전개과정을 표현하고자 했던 주요 내용과 그 제작 방법에 관한 연구 분석한 것이다. 사회와 예술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이다. 과학문명, 기계문명, 물질문명으로 상징되어지는 현대사회는 정신적 가치보다 물질적 가치를 중요시 하게 되면서 궁극적인 인간 삶의 가치 또한 변모되어 가고 있다. 또한 개인의 인격적 가치와는 상관없이 사회제도나, 사회구조의 기능성이나 합리성을 지나치게 강조하다보니 도리어 제도가 인간의 정신적 육체적인 활동을 제한하고 있다. 사회가 발전할수록 사회는 인간을 더욱 구속하게 되고 인간의 고유한 개체성을 획일화시켜 집단적 사고 성향이 커지게 됐다. 그러나 획일화된 사고 패턴은 현대인에게 오히려 일탈하고자 하는 욕망을 불러일으키고 심리적 불안과 정신혼란으로 위기의식을 가중시키게 되었다. 본인의 작품은 현대인의 일탈하고자 하는 욕망을 그 바탕에 두어 조형화 하였다. 본인의 작품에 나타나는 몽타주형식의 이미지들은 일탈의식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실제 존재했던 인물 ‘대중 가수 김광석’과 그의 노래 ‘서른 즈음에’를 통하여 일탈의 새로운 가상세계 이미지를 표현하고 그에 대한 제작과정과 내용에 대해 서술하고 어떠한 조형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본 논고를 통해 밝히고자 한다. 또한 본인의 작품 속에서 어떻게 일탈의 이미지로 형상화 되는지 모색하였으며 음악을 통한 예술적 접근으로 인간이 느끼는 현실과 꿈, 실재와 허구 사이에서 인간의 본질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제1장 서론에서는 본고의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 그리고 연구의 범주에 대해 서술하였다. 제2장 본론에서는 1. ‘서른 즈음에’ 대중가요를 통한 일탈이미지를 사회적, 철학적 접근을 통한 정체성의 모색과 일탈을 작품화한 [김광석 리포트] 에 대한 연구 배경으로 서술하였다. 2. 가상세계를 통한 영상작품과, 설치된 전시공간의 이론적 설명과 음악적 일탈이미지에 대한 의미와 특징들을 서술하였다. 3. 본인의 작품 [김광석 리포트]의 제작기법과 재료, 제작 의도를 연구, 분석하고자 한다. 본인은 음악적 일탈의 모색과 본인의 주된 몽타주기법을 통해 작품에 대해 더욱 깊이 통찰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희망하며 본인의 작품의 진행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thesis is to study and analyze main contents which tried to express the unfolding course of work and the manufacture method through my work, [Report of Kim, Kwawng Suk] announced in 2008. Society and art has mutually supplementary relation. In modern society to be symbolized as science civilization, mechanical civilization, and material civilization, value of ultimate human life is being transfigured while taking serious view of material value than mental value. In addition, while emphasizing society system or functional nature or rationality of society structure excessively regardless of individual moral value, system is limiting the mental and bodily activity of human beings. As society develops, society gets to restrict human beings all the more, and it standardizes individuality peculiar to human beings. Thus, collective thinking disposition gets to be great. But, standardized thinking pattern arouse desire to try to deviate to moderns and came to aggravate crisis consciousness with psychological uneasiness and mental confusion. My work made moderns' desire to try to deviate into molding on the basis of it. Images of montage form which appear in my work tried to express deviation consciousness. Through a person who existed really, 'popular singer, Kim, Kwang Suk' and his song 'at the time of 30 years old', I try to express new imaginary world image of deviation and describe the manufacture course and contents for it and try to clarify which plastic feature it has through this thesis. In addition, I groped how it is made into form with the image of deviation in my work and tried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human beings between actuality and dream and reality and falsehood that human beings feel with artistic approach through music. In the introduction of chapter 1, I described study goal, study method and study category of this thesis. In the main discourse of chapter 2, 1. I described deviation image through popular song, 'at the time of 30 years old as groping of original form nature through social and philosophical approach and as study background for [report of Kim, Kwang Suk] which was made into work. 2. I described reflection work through imaginary world, theoretical explanation of installed exhibition space, and meaning and features for musical deviation image. 3. I try to study and analyze manufacture technique, material and manufacture intention of my work, [report of Kim, Kwang Suk]. Through groping of musical deviation and my main montage technique, I hope that they will be the opportunity to be able to discern work deeply all the more, and I presented the progression direction of my work.

      • 보건소공무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정혜경 신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aims at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for public health center officials who serve to deliver public health and medical services of local governments. To this end, we look at the differenc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study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immer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based on gender over various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men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duties and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than women. Furthermore, men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personnel system and remunerative welfare than women, and their definitive immersion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women. Whil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did not differ by age significantly, those in their 30s or younger were foun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 personnel system and human relationship than those in their 40s or older.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due to marital status, unmarried civil servants were foun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 personnel system and human relationship than married civil servants.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based on academic background, it was found that public officials who graduated from college or higher were more satisfied with human relations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 or below.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 civil servants and time-selective term officials were more satisfied with remunerative welfare than ordinary civil servants, but the degree of continuous immersion was lower.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during the working period, less than five years of each sub-varying public officials were more satisfied with human relations than five years of public officials, while the degree of continuous immersion was lower.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depending on their affiliation, public officials belonging to the health management department were found to have a higher degree of continuous immersion than those belonging to the health promotion department. Second, task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have been shown to have static correla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job, the higher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immer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and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immersion, it was shown that personnel system, human relations, work satisfaction and conservative welfare have a significant static relationship with righteous and normative immers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personnel system, human relationships, work and conservative welfare, the more people experience righteous and normative immersion. Third, job satisfaction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organizational immersion.. In other words, the job satisfaction of public health officials was seen to play a positive role in organizational immersion. Satisfaction with human relationships and satisfaction with work have been shown to affect definitive immersion in the impact of sub-variables on organizational immersion. In other words, we could see that satisfaction with the human relationship and satisfaction with the work of public health officials makes them loyal to the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public health officials will provide local residents with more friendly public services and deliver better health and medical services when they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duties and more immersed in the organization. 본 연구는 지자체의 공공 보건의료서비스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보건소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의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조사하였으며,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에 따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남성은 여성에 비하여 직무에 대한 만족과 조직에 대한 헌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성은 여성에 비하여 인사제도와 보수후생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정의적 몰입도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직무만족의 하위변인에서 30대 이하는 40대 이상에 비하여 인사제도와 인간관계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여부에 따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직무만족의 하위변인에서 미혼인 공무원들은 기혼인 공무원들에 비하여 인사제도와 인간관계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직무만족의 하위변인에서 대학교졸 이상의 공무원들이 전문대졸 이하의 공무원들에 비하여 인간관계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 형태에 따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각 하위변인 중 공무 및 시간선택임기제 공무원들은 일반적 공무원들에 비하여 보수후생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나 지속적 몰입 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 기간에 따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각 하위변인 중 5년 미만의 공무원들이 5년 이상의 공무원들에 비하여 인간관계 만족도가 높은 반면 지속적 몰입 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속에 따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조직몰입의 하위변인 중 지속적 몰입에서 보건관리과에 소속된 공무원들이 건강증진과에 소속된 공무원에 비하여 지속적 몰입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에 대한 만족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몰입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의 하위변인과 조직몰입의 하위변인간의 관계에서 인사제도, 인간관계, 업무만족과 보수후생은 정의적 몰입, 규범적 몰입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즉 인사제도, 인간관계, 업무와 보수후생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정의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의미가 있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건소공무원의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직무만족의 하위변인이 조직몰입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인간관계에 대한 만족과 업무에 대한 만족은 정의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건소공무원의 인간관계에 대한 만족과 업무에 대한 만족은 조직에 대한 충성심을 갖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에 따라, 보건소공무원들이 스스로 직무에 만족하고 조직에 몰입함으로서 우수한 보건의료서비스의 전달과 함께 지역주민들에게 친화적인 공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직업적응훈련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 직업준비도에 미치는 효과

        정혜경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적응훈련프로그램이 지적 장애인의 직업 준비 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진주시장애인종합복지관 직업적응훈련생들을 대상으로 직업적응훈련프로그램 실시전과 실시 후 직업준비도의 변화 정도를 파악하였으며, 장애인들의 직업적응훈련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총 15명으로 직업적응훈련프로그램 실시 전후로 변화된 직업인성, 대인관계 및 사회기술, 자기효능 감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측정척도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에 있어서는 사후-사전검사 점수의 차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을 채택하였으며, 요인간 상호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준비도 요인 변화에 있어서 직업이 요구하는 일에 적응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되는 직업인성은 직업적응훈련프로그램 적용 이후 향상되었으며, 이것은 직업준비를 위한 직업인성 형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 및 사회기술은 통계상으로 사회적 기능, 부적절한 행동, 작업 관련 기술에서는 직업적응훈련프로그램 적용 이후 향상되어 직업적응훈련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 감은 직업적응훈련프로그램 적용 이후 향상되어 고용에 있어 성공적 수행에 필요한 행동적, 인지적, 정서적 자원을 선택적으로 동원할 수 있는 능력 형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적응훈련프로그램의 적용이 성별에 따른 직업준비 도에 미치는 영향은 직업인성, 대인관계 및 사회기술, 자기효능 감에는 특별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적응훈련프로그램 적용에 있어서 직업준비도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직업인성이 높으면 대인관계 및 사회기술, 자기효능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적절한 작업태도와 가치, 행동에 대한 인식 및 고용 가능성이 높아질수록 어떤 결과를 위해 필요한 행동을 조직하고 수행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이나 신념 및 자신감이 높아지고 직업을 선택하고 결정하는 시점에서 요구되는 직업준비도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직업생활 유지에 있어서 직업적응을 위한 직업준비 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업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직업적응훈련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러한 직업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대인관계 및 사회기술 영역에 비중을 둘 수 있는 직업적응훈련프로그램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a vocational adjustment training program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impairments on vocational readiness. The effects of the work adjustment training program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as applied to trainees who are in the Jinju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and it was also attempted to make a good use of basic research for the improvement of vocational adjustment aspects. The study was conducted on fifteen selected trainees, and it measured job personality,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ocial skills, and self efficacy. A serle t-tests were used to compare number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was applied, and a factor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relationships among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factor of work personality significant for adjustment to a work was improved after the application of a vocational training, and the training was effective for development of work personality for vocational readiness. Factors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ocial skills such as social functions, inappropriate behaviors, and skills for operation were enhance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Moreover, the self-efficacy factor was imploved after developing ability to use behavioral, cognitive, and emotional resources necessary for successive employment. Second, the result did not show meaningful effects of the gender on the work readiness including work personality, interpersonal relations, social skills and self efficacy. Third, when the level of work personality was high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social skills and self efficacies after the application of vocational adjustment training programs. The higher the employ possibility and appropriate recognition of work attitude, value, and behavior, the more confidence in personal ability to achieve the positive results, and also the work readiness required when people get a job was increased. Through this study, the overall vocational adjustment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to enhance work personality essential for increased vocational readiness to maintain a job. Especially, it is significant for higher work personality that the vocational adjustment training program is focused on factors of personal relations and social skills.

      •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

        정혜경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개인체계, 가족체계, 지역사회체계로 구분하고 각 체계가 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함으로써 정책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만 60세 이상 노인 중 보건소에서 시행하는 치매 선별검사를 받은 노인으로 그 범위를 한정하였으며, 치매로 판정받은 노인과 정상 인지 노인을 제외하고 총 155명을 편의 표집하였다. 자료는 한 달간의 기간을 거쳐 총 152부를 수거하였으며, 수집 자료 분석은 SPSS/WIN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연구가설 검증을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개인체계 변인인 주관적 건강상태, 자아존중감과 지역사회체계 변인인 사회참여가 우울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가족체계 변인인 가족지지는 우울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자아존중감,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참여의 순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실천적 함의는 첫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신체 기능 및 주관적 건강인식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확대 및 제공이 필요하다. 셋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사회참여 활성화를 위한 활동 영역의 개발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정책적 함의는 첫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감 개입 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감 개입 프로그램의 효과성 증진을 위한 사례관리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사회참여 활성화를 위해 지역 공동체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역 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생태체계관점에서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위에서 제시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바탕으로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감을 관리할 수 있는 지역 내 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nto individual system, family system, and community system from an ecological system perspective, analyze the effects of each system on depression in the elderly, and to lay the basis for policy by suggesting practical policy implica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those aged 60 years or older who had undergone a dementia screening test conducted by public health centers, and a total of 155 people were conveniently sampled, excluding the elderly diagnosed with dementia and the elderly with normal cognitive function. A total of 152 copies were collected over a period of one month, and SPSS/WIN 23.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and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are as follows. First,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self‐esteem, individual system variables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social participation, a community system variable,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Second, family support, a family system variable for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Third, the relative effects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ere found to be in the order of self‐esteem,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social participat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the following practical policy implications. First, for the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program for improving the physical function and subjective health awareness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provide programs to improve self‐esteem for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ctivity area to activat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Next, for policy implications, first, financial support is needed to provide an intervention program for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case management system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depression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ocal community to activat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ooked at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from an ecological system perspective. Based on the practical policy implications presented abov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regional policies that can manage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