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CAMPER를 활용한 교사의 발문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정혜윤(Jung HeyYun),이경화(Lee Kyunghwa)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7 창의력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유아의 창의성 지도를 위한 교수법의 하나로 창의적 사고기법의 하나인 SCAMPER 기법을 활용하여 교사가 발문하는 것이 유아들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유아의 창의성, 즉 언어와 도형영역에서의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을 향상시키는 데 SCAMPER 활용 교사발문이 효과적인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이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로 SCAMPER 기법을 활용한 교사발문은 유아의 언 어영역에서의 창의적 능력(융통성, 유창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SCAMPER 기법은 확산적 발문을 통해 유아들이 문제에 대한 다양한 대답을 생각해 내게 하고 새로운 사고를 촉진시켜 융통성과 유창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로 SCAMPER 기법을 활용한 교사의 발문은 유아의 도형영역 창의적 능력(연속성 및 연결 성, 완성도, 새 요소첨가, 비관습성 증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SCAMPER 활용 교사발문은 유아의 창의적 성격 향상에도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본 연구에 사용된 발문이 유아가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도전을 즐거워하고, 자신의 생각대로 과제를 끝까지 해결하려는 성향을 갖도록 했음을 확인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로 유아의 창의성 지도를 위해서 교사는 SCAMPER 기법을 적절하게 활용하면서 발문하는 것이 도 움이 됨을 시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effect of teacher‘s questioning utilizing the SCAMPER technique on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erefore, it has set research question of what kind of influence does teacher’s questioning utilizing the SCAMPER technique have on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language creativity, figure creativity, and creative personality? to confirm this. First, teacher’s questioning utilizing the SCAMPER technique had positive effect on language creativity (flexibility, fluency) of young children. That is, the SCAMPER is a divergent questioning technique that makes children to think of various reponses to the questions and promotes new thinking and based on this, it has enhanced their flexibility and fluency. Second, teacher’s questioning utilizing the SCAMPER technique was effective for figure creativity (continuity and connectivity, completeness, add new elements, and non-habitual) of young children. This result showed that shaping activity done by a big group of children helped expand meaning of basic materials, made them to think of new elements, think of unique methods, and complete each idea. Third, teacher’s questioning utilizing the SCAMPER technique had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The questions used in this research made children to enjoy the challenging they went through while solving the problems and to have tendency to finish the assignment as much as they can. To conclude, teacher’s questioning utilizing the SCAMPER technique is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creativity (language creativity, figure creativity, and creative personality). Therefore, this research implies that using the SCAMPER technique for promot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is effective variable for improving their creativity.

      • KCI등재후보

        유아의 지능,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의 창의성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김호(Kim Ho)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2수준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유아의 지능 및 어머니 양육행동과 교사의 창의성 교수효능 감이 유아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유치원 31학급에서 선정된 만 5세 유아 461명 및 어머니 461명과 해당 학급의 교사 31명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창의성과 유아의 지능,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의 창의성 교수 효능감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지능,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의 창의성 교수 효능감은 유아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교사의 창의성 교수 효능감과 상호작용하여 유아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children’s intelligence,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s, and teacher's creativity teaching efficacy can explain the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461 young children under age five and their mother from 30 kindergarten classes and their 31 teachers. Data gathered were analyzed th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of this subject for using SPSS and HLM(Hierarchical Linear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telligence and creativity of the young children,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s and creativity of the young children, and teachers’ creativity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ity of the young children. Second, the intelligence of the young children show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e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s and teachers' creativity teaching efficacy show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e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s and teachers' creativity teaching efficacy have interaction effect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 KCI등재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자기조절력 및 어머니의 내외통제성 간의 관계

        송수희 ( Song Soo-h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자기조절력 및 어머니의 내외통제성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어머니의 내외통제성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및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창의적 인성 사이에 어머니의 내외통제성이 갖는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4~5세 유아와 어머니 163명이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자기조절력 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어머니의 내적통제성 사이에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이 나타났다. 세째, 자기조절력 하위요인 중 충동성 감소 및 유아의 창의적 인성 하위요인 중 독립심과 어머니의 내적통제성 사이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어머니의 내적통제성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33.4%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어머니의 내적통제성은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자기조절력 증진 방안 및 이를 위한 부모교육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has three main objectives. The first objective wa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their self-regulation and mothers` locus of control. The other objectives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ve influence that mothers` locus of control and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have over their creative personality an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that mothers` locus of control exer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and their self-regulation. One hundred sixty-three young children`s aged four to five years and their mother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and their self-regulation correlate positively to each other. Second,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mothers` locus of control and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Third, mothers` locus of control was found to correlate positively with a sub-variable of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independence and another sub-variable of their self-regulation, the decrease in their impulsiveness. Furthermore, two main relative contributing factors towards young children`s creativity, mother`s locus of control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were found to account for 33.4% of young children`s creativity. Lastly, mothers`locus of control was shown to exer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and their self-regulation.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have led to valuable discussions on ways to enhance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as well as their self-regulation and the future direction of parents education to achieve this goal.

      • KCI등재후보

        부모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적 가정환경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장영숙 ( Young Sook Jang ),조정화 ( Jeong Hwa Ch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문화연구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적 가정환경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과 경기지역의 병설 유치원에 다니는 유아 200명과 그들의 부모이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과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방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창의적 인성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아버지와 어머니의 창의적 인성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적 가정환경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은 창의적 가정환경 중 풍부한 학습환경과 아동존중, 독립심 자극하기 순으로 유의미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와 어머니의 창의적 인성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을 의미있게 설명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어머니의 창의적 인성의 하위변인인 어머니의 호기심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의 하위변인인 유아의 독특성과 유아의 독립성-인내를 의미있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ents`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home environment on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00 young children in six kindergartens and their parents in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program.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reative personality and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relative effects of fathers` creative personality, mothers`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home environment on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thers` creative personality and mothers` creative personal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overall creative personality. Second, creative home environment turned out to be positively related to young children`s overall creative personality. Third,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was most significantly explained by abundant learning environment, followed by respecting children and stimulating to be independent. Parents` creative personality failed to explain significantly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The examination of the sub-factors of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however, showed that young children`s peculiarity and independence-patience was explained by mothers` curiosity.

      • KCI등재

        유아의 내ㆍ외적 동기 및 어머니와 교사의 창의성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김호(Kim H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에서는 2수준 위계적 선형 모형을 적용하여 유아의 내ㆍ외적 동기 및 어머니와 교사의 창의성이 유아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유치원 30학급에서 선정된 만 5세 유아 488명 및 어머니 488명과 해당학급의 교사 30명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창의성과 유아의 내적 동기 및 어머니와 교사의 창의성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내적 동기, 어머니의 창의성, 교사의 창의성은 유아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교사 창의성은 유아 창의성에 유아의 외적 동기와 상호작용하여 영향을 미쳤다. 유아의 외적동기가 높은 집단일수록 교사의 창의성은 유아 창의성에 보다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children’s motivations, mother's creativity, and teacher's creativity can explain the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488 young children under age five and their mother from 30 kindergarten classes and their 30 teachers. Data gathered were analyzed th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of this subject for using SPSS and HLM(Hierarchical Linear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ternal motivation and creativity of the young children, mothers’ creativity and creativity of the young children, and teachers’ creativity and creativity of the young children. Second, the internal motivation of the young children show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e mothers' and teachers' creativity show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e teacher creativity and external motivation of young children have interaction effect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 KCI등재

        HLM을 이용한 교사 창의성과 유아 창의성 간의 관계 분석

        김호(Kim ho),김재철(Kim jae chul),노영희(Noh young 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유아의 개인 변인(성, 지능 성격)과 교사 창의성이 유아 창의성에 대해서 어떠한 효과를 갖는지 위계적 선형 모형을 활용하여 규명하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 대전광역시교육청 산하에 있는 25곳의 유치원 중에서 42학급을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만 5세 유아 총 765명과 해당 학급의 교사 42명이었다. 연구결과, 유아 창의성은 학급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설정한 학급 수준 변인인 교사 창의성은 유아 창의성에 주효과를 가지지 않았지만, 유아변인인 유아의 지능과 성격은 유아 창의성에 주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 창의성은 유아의 지능 및 성격과 상호작용하여 유아 창의성에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the individual variables of young children (such as sex,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and teacher creativity can explain the creativity of the young children.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42 teachers and 765 kindergarten students. The instruments employed here were Torrance Tests of Creativity Thinking (TTCT) and Chon's (2001) Korean Figural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 The statistical analysis utilized in this study is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techniqu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amination of the ratios from group dispersion between classes and individual dispersion within a group indicates that differences in the young children's creativity exist between different classes as well as within classes among classmates. Second, the teacher creativity, which is the class level variable, shows no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whereas young children's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which are children level variables, show significant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Teacher creativity and young children's variables have interaction effect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 KCI등재

        유아 그리기 표현력과 창의성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이하련,서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2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drawing expressiveness, creativit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the effect of young children’s drawing expressiveness on crea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79 young children aged 3-5 years old and 26 teachers attending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located in G city. The collected questionnaire data were subjected to Pearson’s moment correlation analysis, Baron & Kenny’s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s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overall correlation among young children’s drawing expressiveness, creativit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drawing expressiveness and creativity,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as a partial medi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eacher-child interaction is an important variable in that young children’s drawing expressiveness affects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teacher-child interaction is an important variable in that young children’s drawing expressiveness affects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creativity. 본 연구는 유아 그리기 표현력과 유아 창의성, 교시-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를 알아보고 유아 그리기 표현력이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G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3~5세의 담임교사26명과 유아 279명이다.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2021년 8월부터 2022년 5월까지 10개월에 걸쳐 실시되었다. 그리기 표현력을 측정하기 위해 지성애(2001)가 제작한 ‘그리기 표상능력 평가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유아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해 이영, 김수연, 신혜원(2002)이 제작한 유아용 창의적 행동 특성 검사를 사용하였다.본 연구의 매개변인인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이정숙(2003)의 연구 도구를 강병재, 백영숙(2013)이 유아교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의 적률 상관관계분석과 Baron & Kenny가 제시한 매개회귀분석 및 Sobel’s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그리기 표현력과 유아 창의성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전체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그리기 표현력과 유아 창의성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는 부분 매개 변수로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 그리기 표현력이 유아 창의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해준다.

      • KCI등재

        교사 변인과 유아 창의성의 관계에서 창의적 교수행동의 매개효과

        이은빈,유연옥 한국아동교육학회 2017 아동교육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teaching behavior between teacher‘s variables and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40 five-year-old children and 160 teachers. For data collection, children took the TTCT(figural), while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teacher efficacy, thinking styles,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teaching behavior. Data were analyzed using path analysis and the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 efficacy, thinking styles,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teaching behavior as teacher’s variables directly affected the young children’s creativity. Second, the effects of teacher efficacy, thinking styles and creative personality on the young children’s creativity were mediated by creative teaching behavior. Indirect effects of creative behavior were relatively higher than other independent variables when thinking styles was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reative teaching behavior and its 3 subfactors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between teacher’s variables and young children’s creativity.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 변인과 유아 창의성과의 관계에서 창의적 교수행동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5세 유아 640명과 그들의 담임교사 160명이다. 유아에게는 TTCT(도형)를 실시하였으며, 교사에게는 교사효능감, 사고양식, 창의적 인성, 창의적 교수행동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경로분석과 Sobel 검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변인인 교사효능감, 사고양식, 창의적 인성, 창의적 교수행동은 유아 창의성에 직접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창의적 교수행동을 매개로 교사효능감, 사고양식, 창의적 인성이 유아의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창의적 교수행동의 간접효과는 사고양식이 독립변인인 경우에 다른 독립변인들에서 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창의적 교수행동이 교사 변인과 유아의 창의성 관계에서 주요한 매개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아 리더십의 유형화와 특성에 관한 연구

        박연경,황혜정 한국유아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연구 Vol.29 No.4

        This study classifies young children’s leadership into four types and defines their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their mothers’ child rearing behavio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5.0 program. Statistical methods used were hierarchical clustering, K-means clustering, one-way ANOVA and the Tukey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leadership can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relational, coordinated, potential, and creativ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se types are as follows: First, ‘relational leadership’ is characterized by proper regulation of emotion, respecting what others say and think, as well as by acquiring a good relationship with adults. It has lower correlations with the adaptability, activation, and conversion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compared to other leadership types. The mothers in this type of relationship show warm-hearted and accepting child rearing behaviors. Second, ‘coordinated leadership’ is characterized by creative and unique leadership activity to achieve goals through regulating his/her and peers’ thoughts in various situations. This type has higher correlations with the adaptability, activation, and durability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Mothers of children demonstrating this type of leadership also show warm-hearted and accepting child rearing behaviors. Third, the ‘potential leadership’ type is a latent one so is unlikely to be exposed outside. It has lower correlations with the adaptability and durability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compared children demonstrating other leadership types. Mothers in this relationship show permissive and liberal rearing behaviors. Fourth, ‘creative leadership’ is characterized by planning and achieving creative and new activities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and excellent adaptability to new environments. It has higher correlations with the adaptability and durability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Mothers of children who demonstrate this leadership type show warm- hearted and accepting child rearing behaviors. 본 연구는 유아가 보이는 리더십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에서 나타나는 관련 변인(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행동)의 차이를 고려하여 유형별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유아 리더십이라는 광범위한 개념을 구체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629명과 그들의 어머니, 담임교사 45명이었으며, 유아 리더십을 유형화하기 위하여 계층적 군집분석과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일원변량분석을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 유아 리더십 유형은 관계적인 리더십, 조화로운 리더십, 잠재적인 리더십, 창의적인 리더십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유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적인 리더십’ 유형은 자신의 감정을 잘 조절하고 다른 사람의 말과 생각을 존중하여 또래와 성인과의 관계가 원만한 유형이다. 둘째, ‘조화로운 리더십’ 유형은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과 친구들의 생각을 적절히 조절하여 창의적인 방법으로 활동을 이끌어가는 유형이다. 셋째, ‘잠재적인 리더십’은 리더십 능력이 잠재되어 있어 아직 외부로 잘 표현되지 않는 유형이다. 그리고 넷째, ‘창의적인 리더십’은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하며 유아가 주도적으로 창의적인 새로운 활동을 계획하고 완성하는 유형이다.

      • KCI등재후보

        통합창의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박춘성(Park Choon sung),이경화(Lee Kyung hwa),김진희(Kim Jin hee)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3 창의력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통합창의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 유아는 서울시 관악구에 위치한 C어린이집에서 만 4세 유아 20명을 무선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선배치 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유아통합창의성 검사'(이경화, 2012)를 사용하였으며, 사전검사를 실시 후 집단 간 동질성을 확인하고, 실험을 실시한 후, 사후검사에서도 같은 방법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검정하였다. 실험과정에서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10차시로 구성된 통합창의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통제집단 유아들은 표준보육과정인 누리과정의 4월-5월에 해당하는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통합창의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통제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창의성 총점과 창의성 하위요인의 일부(유창성, 독창성, 도형의 완성도, 주제, 비관습성, 새로운 요소 첨가)에서 향상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유아의 창의성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합창의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아교육현장에 시사점을 줄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creativity program' on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Thus the research problem of this study was set up as follows ; How does 'The integrated creativity program' affect young children's creativity(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selected 20 young children randomly, who belonged to C kindergarten in Gwanak-gu, Seoul. They were dived into 2 groups randomly,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ith 10 children each. The Integrative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Lee, 2012) was applied as pre and post test for measuring children's crea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were exposed to 'The integrated creativity program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children who were in the control group exposed to an ordinary education program. Total creativity score (language creativity, drawing creativity) and some of sub-factors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were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s children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children. However, the differences of creative personality was not significant.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in fluency, originality, which are sub-factors of language creativity. But imagination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was not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